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정보통신산업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P형과 N형 사이에 샌드위치 형태의 특별한 반도체증인 진성층을 갖고 있으며, 이 층이 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를 감소시켜 일반적인 다이오드 보다 고주파에서 동작하며, RF 스위칭용으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핀(PIN) 다이오드
  2. 건(Gunn) 다이오드
  3. 임팻(IMPATT) 다이오드
  4. 터널(Tunnel) 다이오드
(정답률: 85%)
  • 핀(PIN) 다이오드는 P형과 N형 사이에 샌드위치 형태의 진성층을 갖고 있어, 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를 감소시켜 고주파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RF 스위칭용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다이오드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압 안정계수가 0.1인 정전압회로의 입력전압이 ± 5[V] 변화할 때 출력 전압의 변화는?

  1. ± 0.01[mV]
  2. ± 1.2[mV]
  3. ± 0.2[V]
  4. ± 0.5[V]
(정답률: 88%)
  • 전압 안정계수가 0.1이므로 입력 전압의 10%에 해당하는 값만 출력 전압에 반영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 5[V] 변화할 때 출력 전압의 변화는 ± 0.5[V]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이나 이론적인 가정에 오류가 있어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과 같은 전압궤환 Bias회로에서 IE는 얼마인가? (단, β=50, VBE=0.7[V], VCC=10[V]이다.)

  1. 2.35[mA]
  2. 2.35[A]
  3. 4.6[mA]
  4. 4.6[A]
(정답률: 51%)
  • 전압궤환 Bias회로에서 IE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BE = IE × RE + VE → IE = (VBE - VE) / RE

    여기서, VBE = 0.7[V], VE = 0[V], RE = 300[Ω] 이므로,

    IE = (0.7[V] - 0[V]) / 300[Ω] = 2.33[mA]

    하지만, 이 계산 결과는 β값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므로, 실제 IE는 β값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C = β × IE = 50 × 2.33[mA] = 116.5[mA]

    VCC = VCE + IC × RC → IC = (VCC - VCE) / RC = 10[V] / 86[Ω] = 116.3[mA]

    위의 계산 결과를 종합하면, IE는 약 2.35[mA]이다. 따라서, 정답은 "2.35[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과 같은 전압궤환 바이어스회로에서 콘덴서 “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류신호 이득 감소방지용 바이패스 콘덴서
  2. 콘덴서 C는 직류적으로 개방(Open)
  3. 콘덴서 C는 교류적으로 단락(Short)
  4. 교류신호 입력 시 베이스로 부궤환을 유도키 위한 소자
(정답률: 69%)
  • 콘덴서 C는 교류적으로 단락(Short)이 아니라 교류신호 입력 시 베이스로 부궤환을 유도키 위한 소자이다. 이는 콘덴서 C가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즉, 콘덴서 C는 고주파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베이스로 유도함으로써 전압궤환 바이어스 회로의 작동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과 같은 미분 연산기에 입력파형을 구형파로 인가하였을 때의 출력파형은?

(정답률: 80%)
  • 입력파형이 구형파일 때, 미분 연산기의 출력은 입력파형의 주기에 반비례하는 주기를 가지는 삼각파가 된다. 따라서 주기가 2초인 구형파를 입력으로 주면, 주기가 1초인 삼각파가 출력으로 나오게 된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다.
  2. 대역폭이 무한대이다.
  3. 출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다.
  4. 전압이득이 무한대이다.
(정답률: 57%)
  • 출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면, 출력 신호가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출력 임피던스가 0에 가까울수록 좋은 것이다. 이유는 출력 임피던스가 작을수록 출력 신호가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하틀리 발진기에서 궤환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저항성
  2. 용량성
  3. 유도성
  4. 결합성
(정답률: 76%)
  • 하틀리 발진기에서 궤환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유도성"입니다. 이는 궤환 내부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도성이 높을수록 더 강력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전파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발진 주파수가 변하는 경우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1. 전원 전압의 변동
  2. 주위의 온도 변화
  3. 부하의 변동
  4. 대역폭의 변화
(정답률: 72%)
  • 대역폭은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며, 발진 주파수가 변하는 경우 대역폭의 변화가 아닌 다른 요인들은 전원 전압의 변동, 주위의 온도 변화, 부하의 변동이 있습니다. 대역폭의 변화는 발진 회로의 설계나 구성 요소의 변경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발진 주파수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날로그 TV의 영상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한 쪽 측파대의 일부를 남겨 통신하는 방식은?

  1. VSB(Vestigial Side Band)
  2. DSB(Double Side Band)
  3. SSB(Single Side Band)
  4. FSK(Frequency Shift Keying)
(정답률: 68%)
  • VSB(Vestigial Side Band) 방식은 아날로그 TV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일부 측파대를 남겨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DSB(Double Side Band)나 SSB(Single Side Band)와 같은 방식과는 달리, 측파대의 일부를 남겨 놓아 대역폭을 줄이면서도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채널을 전송할 수 있으며, 더욱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FSK(Frequency Shift Keying)는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TV의 영상신호 전송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AM 피변조파의 반송파, 상측파대, 하측파대의 각 전력성분의 비는? (단, m은 변조도이다.)

(정답률: 71%)
  • AM 피변조파의 반송파, 상측파대, 하측파대의 각 전력성분의 비는 다음과 같다.

    - 반송파: m^2/2 : 1
    - 상측파대: m^2/4 : 1/2
    - 하측파대: m^2/4 : 1/2

    이유는 AM 피변조파의 전력분포를 고려하면 된다. AM 피변조파는 캐리어파와 변조파의 곱으로 표현되며, 이를 전력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P = (Ac^2/2) + (Am^2/2)

    여기서 Ac는 캐리어파의 진폭, Am은 변조파의 진폭이다. 이 식에서 첫 번째 항은 캐리어파의 전력, 두 번째 항은 변조파의 전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체 전력 P에서 캐리어파와 변조파의 전력 비율은 다음과 같다.

    캐리어파의 전력 : 변조파의 전력 = Ac^2/Am^2 : 1

    이 식에서 Ac^2/Am^2는 변조도 m에 비례하므로, 각각의 전력 비율도 m에 따라 달라진다. 위의 답안에서는 이 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전력 비율을 계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디지털 변복조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설계할 때 설계 목표로서 거리가 먼 것은?

  1. 최대 데이터 전송률
  2. 최소 심볼 오류
  3. 최소 점유 대역폭
  4. 최대 전송 전력
(정답률: 57%)
  • 디지털 변복조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설계할 때, 최대 전송 전력은 설계 목표 중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전송 전력이 증가할수록 전파의 진행 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 전송 전력을 최소화하여 전파의 진행 거리를 제한하고, 전파 간섭을 최소화하여 다른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최고 주파수가 15[kHz]인 신호파를 펄스 변조할 경우 표본화의 최저 주파수는?

  1. 45[kHz]
  2. 30[kHz]
  3. 20[kHz]
  4. 15[kHz]
(정답률: 78%)
  • 펄스 변조를 하게 되면 원래의 신호파가 펄스열로 변환됩니다. 이때, 펄스열의 최대 주파수는 원래 신호파의 최대 주파수의 두 배가 됩니다. 따라서, 최고 주파수가 15[kHz]인 신호파를 펄스 변조할 경우, 펄스열의 최대 주파수는 30[kHz]가 됩니다. 따라서, 표본화의 최저 주파수는 이보다 높은 2배인 60[kHz]보다는 낮은 30[k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오버슈트(Overshoo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펄스 상승 부분의 진동의 정도를 말한다.
  2. 이상적 펄스의 상승 시각에 진폭의 90[%]까지 이르는 것을 말한다.
  3. 이상적 펄스의 하강 시각에 진폭의 10[%]까지 이르는 것을 말한다.
  4. 상승 파형에서 이상적 펄스 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의 높이를 말한다.
(정답률: 77%)
  • 상승 파형에서 이상적 펄스 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의 높이를 말한다. 이는 펄스가 이상적인 형태로 상승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더 높은 진폭을 가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오버슈트는 회로 설계나 제어 시스템에서 원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신호 전압의 특정한 레벨의 위 또는 아래를 자르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는?

  1.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2. 멀티바이브레이터(Multivibrator)
  3. 클리퍼(Clipper)
  4. 클램퍼(Clamper)
(정답률: 80%)
  • 클리퍼(Clipper)는 신호 전압의 특정한 레벨의 위 또는 아래를 자르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거나, 특정한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양수 신호에서 음수 부분을 제거하거나, 음수 신호에서 양수 부분을 제거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집적도가 높다.
  2. 동작속도가 빠르다.
  3. 소비 전력이 비교적 적다.
  4. 온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정답률: 71%)
  • TTL 회로는 온도의 영향을 적게 받지 않는다. 이는 TTL 회로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TTL 회로는 온도가 높아지면 전력 소비가 증가하고, 동작 속도가 느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TTL 회로를 사용할 때는 온도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의 회로에 해당하는 논리기호는? (단, 정논리 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를 조합하여 만든 회로이기 때문이다.

    먼저,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게이트이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참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 Y1이 참이 되고,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게이트이다.

    따라서, Y1과 C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 Y가 참이 된다.

    따라서, A, B, C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Y가 참이 되므로 ""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순서 논리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 신호와 순서 논리 회로의 현재 출력상태에 따라 다음 출력이 결정된다.
  2. 조합 논리회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다.
  3. 순서 논리회로의 예로 카운터, 레지스터 등이 있다.
  4. 데이터의 저장 장소로 이용 가능하다.
(정답률: 76%)
  • "조합 논리회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순서 논리 회로는 조합 논리 회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4비트 5진 계수기의 상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0000 → 0001 → 0010 → 0011 → 0100 → 0000
  2. 0000 → 0001 → 0010 → 0100 → 1000 → 1001
  3. 0001 → 0010 → 0011 → 0100 → 0101 → 0000
  4. 0001 → 0010 → 0100 → 1000 → 1001 → 0000
(정답률: 79%)
  • 정답은 "0000 → 0001 → 0010 → 0011 → 0100 → 0000" 입니다.

    4비트 5진 계수기는 5진수로 0부터 4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0부터 시작하여 1씩 증가하다가 4가 되면 다시 0으로 돌아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처음 상태인 "0000"에서 1을 더하면 "0001"이 됩니다. 이어서 1을 더하면 "0010"이 되고, 다시 1을 더하면 "0011"이 됩니다. 여기서 1을 더하면 4가 되므로 다음 상태는 "0100"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1을 더하면 다시 0이 되므로 "0000"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0000 → 0001 → 0010 → 0011 → 0100 → 0000"이 올바른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인코더(Enco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진 코드형식의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
  2. 해당 값에 맞는 번호에만 1을 출력하는 회로
  3. 여러 가지 2진수의 덧셈기로 형성된 회로
  4. 입력신호의 자료를 2진 코드로 변환
(정답률: 67%)
  • 입력신호의 자료를 2진 코드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인코더는 입력된 데이터를 2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이를 통해 디지털 신호 처리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나 센서 등의 입력 신호를 2진 코드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컴퓨터 등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에 설명하는 논리회로 소자로 알맞은 것은?

  1. PLA(Programmable Logic Array)
  2. GAL(Generic Array Logic)
  3. PLE(Programmable Logic Element
  4. PAL(Programmable Array Logic)
(정답률: 65%)
  • 이 논리회로 소자는 입력과 출력 핀이 있고, 내부적으로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가 배열되어 있어서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소자들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입력과 출력의 수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GAL(Generic Array Logic)은 다양한 입력과 출력을 지원하며, 높은 집적도와 낮은 전력 소비를 가지고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데이터 처리방식에 따른 통신제어장치(CCU)의 분류 중 대규모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컴퓨터에 걸리는 부하가 가장 적은 방식은?

  1. 비트 버퍼 방식
  2. 메시지 버퍼 방식
  3. 문자 버퍼 방식
  4. 블록 버퍼 방식
(정답률: 70%)
  • 메시지 버퍼 방식은 데이터를 메시지 단위로 처리하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안 컴퓨터에 걸리는 부하가 가장 적은 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 단위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할 데이터 양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규모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DTE와 DCE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은?

  1. 토폴로지
  2. DCC 아키텍처
  3. DTE/DCE 인터페이스
  4. 참고 모형
(정답률: 90%)
  • DTE와 DCE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장비들이기 때문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이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 분류에서 데이터처리계 (정보처리 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중앙처리장치
  2. 변복조장치
  3. 기억장치
  4. 입출력장치
(정답률: 45%)
  • 정보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가 해당된다. 하지만 변복조장치는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장치로,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디지털 가입자 회로기술로서 망측과 가입자측에 가각 설치되어 가입자 선로상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 아닌 것은?

  1. HDSL
  2. ADSL
  3. VDSL
  4. DSSL
(정답률: 78%)
  • DSSL은 디지털 가입자 회로기술이 아니라 디지털 보안 서비스 레이어로, 가입자 선로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망측과 가입자측에 설치되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나 단말기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송로의 특성에 맞게 신호를 변환시키는 통신장치는?

  1. MODEM
  2. DTE
  3. TDM
  4. OMR
(정답률: 89%)
  • MODEM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는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MODEM은 디지털 단말기(DTE)와 아날로그 전송망(TDM) 사이에서 중개 역할을 하며, OMR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보통신시스템의 통신회선 종단에 위치한 신호변환장치 중에서 디지털 전송로인 경우 단극석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이 가능한 장치는?

  1. 코덱
  2. 음향결합기
  3. 코드변환기
  4.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
(정답률: 82%)
  • 디지털 전송로에서는 쌍극성 신호를 사용하므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코드변환기"입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디지털 전송로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가 정답입니다.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는 디지털 신호를 다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DSU(Digital Service Unit)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LAN 또는 WAN 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된다.
  2.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하다.
  3.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다.
  4.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홍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
(정답률: 80%)
  •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홍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는 것은 DSU의 특징이 아니라 CSU(Channel Service Unit)의 특징이다. DSU는 LAN 또는 WAN 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되며,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하며,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입력 장비가 3개인 동기식 TDM에서 각 프레임은 7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마다 동기를 위하여 2[bits]를 할당한다. 각 문자는 8[bits]이고, 각 입력단의 장비는 5,800[bps]로 보낸다고 할 때 다중화된 후의 프레임 속도는?

  1. 100[frames/second]
  2. 200[frames/second]
  3. 300[frames/second]
  4. 400[frames/second]
(정답률: 76%)
  • 하나의 프레임은 7개의 문자와 2개의 동기 비트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프레임은 총 7*8+2=58[bits]이다. 따라서, 각 입력단의 장비는 5,800[bps]로 보내므로, 하나의 입력단에서 1초에 보낼 수 있는 비트 수는 5,800[bits/sec]이다. 이를 이용하여 다중화된 후의 프레임 속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프레임 = 58[bits]
    하나의 입력단에서 1초에 보낼 수 있는 비트 수 = 5,800[bits/sec]

    다중화된 후의 프레임 속도 = (하나의 입력단에서 1초에 보낼 수 있는 비트 수) / (하나의 프레임의 크기)
    = 5,800[bits/sec] / 58[bits/frame]
    = 100[frames/sec]

    따라서, 정답은 "100[frames/secon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전화망의 교환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시내교환기
  2. 시외교환기
  3. 중계교환기
  4. 가입자선로
(정답률: 85%)
  • 전화망의 교환시설에는 시내교환기, 시외교환기, 중계교환기가 속하지만, 가입자선로는 교환시설이 아니라 가입자와 교환시설을 연결하는 회선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전화기의 접속률은?

  1. 25[%]
  2. 40[%]
  3. 90[%]
  4. 133[%]
(정답률: 80%)
  • 전화기 4대 중 1대만 사용 가능하므로, 전화기의 접속률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디지털 전송방식 중 Run-Length 부호화 방식의 압축률은 얼마인가? (단, 전 화소수 : 200, 부호화 Bit수 : 2)

  1. 50
  2. 100
  3. 200
  4. 300
(정답률: 83%)
  • Run-Length 부호화 방식은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 그 값을 한 번만 기록하고 그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횟수를 함께 기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전 화소수가 200이고 부호화 Bit수가 2인 경우, 최대 2^2=4개의 서로 다른 값만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에만 압축이 가능하다. 만약 모든 화소가 서로 다른 값이라면 압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압축률은 최대 2배가 될 수 있으므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화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기반 영상은 하드웨어 기반의 비해 화질이 좋지 않다.
  2. 영상신호의 부호화와 복호화를 위해 코덱이 사용된다.
  3.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압축 기술이 필요하다.
  4. 화상회의 시스템은 보안에 강하다.
(정답률: 84%)
  • "화상회의 시스템은 보안에 강하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화상회의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화상회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기반 영상을 사용하며, 이를 위해 영상신호의 부호화와 복호화를 위해 코덱이 사용됩니다. 또한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영상압축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동영상 및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 정송하는 인터넷 방송의 주요 기술이 아닌 것은?

  1. IP 멀티캐스팅
  2. 푸시 및 스트리밍 기술
  3. 오디오ㆍ비디오 압축/복원 기술
  4. 파일럿 신호발생 기술
(정답률: 77%)
  • 파일럿 신호발생 기술은 인터넷 방송과는 관련이 없는 기술로, 주파수 변조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는 인터넷 방송의 주요 기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FM 변조에서 주파수 편이가 일정한 한계를 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회로는?

  1. IDC 회로
  2. AVC 회로
  3. DAGC 회로
  4. AFC 회로
(정답률: 67%)
  • IDC 회로는 Intermediate Frequency (중간 주파수)에서 주파수 변조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주파수 변조 신호의 진폭이 일정한 한계를 넘지 않도록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방지한다. 따라서 FM 변조에서 주파수 편이가 일정한 한계를 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회로는 IDC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위성을 이용한 위치, 속도 및 시간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1. DBS(Direct Broadcasting System)
  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3. TRS(Trucked Radio System)
  4. VRS(Video Response System)
(정답률: 93%)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은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속도 및 시간을 측정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위성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해당 하지 않은 것은?

  1. 지구국
  2. 관제국
  3. 통신위성
  4. 위성발사체
(정답률: 82%)
  • 위성발사체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니라, 위성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위성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지구국, 관제국, 통신위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국은 위성과 통신하는 지상국이며, 관제국은 위성의 운용과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국가나 기관입니다. 통신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며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음악 압축에 사용되는 것으로 CD 수준의 음질로 압축하는 표준은?

  1. JPEG
  2. MPEG-2
  3. MP3
  4. MPEG-4
(정답률: 87%)
  • 정답은 "MP3"입니다. MP3는 음악을 압축하는 표준으로, CD 수준의 음질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음악 파일의 용량을 줄이면서도 손실이 적은 음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가 있습니다. JPEG은 이미지 압축에 사용되는 표준이며, MPEG-2와 MPEG-4는 비디오 압축에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TV 채널대역 중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대역으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이용하는 것은?

  1. 텔레텍스트
  2. 비디오텍스
  3. 텔렉스
  4. 텔레텍스
(정답률: 74%)
  • TV 채널대역 중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대역으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이용하여 문자나 그림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텔레텍스트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텔레텍스트"입니다. 비디오텍스는 비디오와 텍스트를 결합한 용어이며, 텔렉스는 전신주기를 이용한 문자전송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두 가지 이상의 매체를 동시에 사용한다.
  2.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
  3. 시스템을 사용해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4. 두 가지 이상의 시스템으로 매체가 통제되어야 한다.
(정답률: 85%)
  • 정답: "두 가지 이상의 시스템으로 매체가 통제되어야 한다."

    멀티미디어는 두 가지 이상의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고,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 상호작용을 해야하며, 시스템을 사용해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의 특징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의 시스템으로 매체가 통제되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멀티미디어는 여러 매체를 사용하지만, 이들을 통제하는 시스템은 하나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멀티미디어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의 사용자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션에 대한 물리적 관리를 진행한다.
  2. '클라이언트부'라고도 한다.
  3. 헤드엔드와 통신이 가능한 셋탑박스가 있다.
  4. 고객이 요청하는 시간과 콘텐츠를 상기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통신 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76%)
  • "'세션에 대한 물리적 관리를 진행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VOD 시스템은 세션에 대한 논리적인 관리를 진행하며, 이는 서버 측에서 처리됩니다. 세션은 사용자가 VOD 시스템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유지되는 연결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서버 측에서는 세션 ID를 부여하고, 해당 I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과 응답을 구분하고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다음 중 1비트를 사용하며, 2레벨 양자화 사용하는 변조방식은?

  1. TDM
  2. DPCM
  3. PCM
  4. DM
(정답률: 68%)
  • 1비트를 사용하며, 2레벨 양자화를 사용하는 변조방식은 Delta Modulation (DM)이다. Delta Modulation은 입력 신호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1비트로 양자화하고, 이전 샘플과의 차이를 다음 샘플에 더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방식은 단순하고 저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고주파 신호나 빠른 변화를 갖는 신호에 대해서는 정확한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PSK
  2. ASK
  3. FSK
  4. QAM
(정답률: 68%)
  •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ASK(Amplitude Shift Keying)이다. ASK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로, 0과 1의 이진 신호를 각각 다른 진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 때, 0은 반송파의 진폭이 0이 되도록 하고, 1은 반송파의 진폭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ASK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6위상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변복조기에서 단위 펄스위 시간간격이 T=8×10-4[s]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와 변조속도는 각각 얼마인가?

  1. 2,500[bps], 1.250[baud]
  2. 5,000[bps], 1.250[baud]
  3. 2,500[bps], 2,500[baud]
  4. 5,000[bps], 2,500[baud]
(정답률: 82%)
  • 먼저, 데이터 전송속도는 한 개의 펄스 안에 전송되는 비트 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한 개의 펄스 안에는 1개의 비트가 전송되므로 데이터 전송속도는 1/T = 1/8×10-4 = 12,500[bps]가 된다.

    반면, 변조속도는 심볼의 전송속도를 의미하며, 한 개의 심볼은 한 개의 펄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변조속도는 1/T = 1/8×10-4 = 12,500[baud]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00[bps], 1.25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동 이용기(Sharing Unit)의 도입 시 고려할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네트워크 환경
  2. 자동 응답기
  3. 접속 가능한 모뎀
  4. 동시 접속 단말기 수
(정답률: 77%)
  • 공동 이용기(Sharing Unit)의 도입 시 고려할 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자동 응답기"이다. 이는 공동 이용기에 접속 가능한 모뎀이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자동 응답기를 이용하여 원활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 응답기의 적절한 설치와 설정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환경과 접속 가능한 모뎀, 동시 접속 단말기 수도 중요하지만, 자동 응답기는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원접속방식이 아닌 것은?

  1. WDMA
  2. FDMA
  3. TDMA
  4. CDMA
(정답률: 67%)
  • 정답: WDMA

    설명: WDMA는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원접속방식 중 하나가 아닙니다. WDMA는 유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여러 개의 파장을 이용하여 다중 접속을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이동통신에서는 FDMA, TDMA, CDMA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동축케이블에서 외부로부터 유도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접지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1. 외부도체
  2. 절연체
  3. 내부동체
  4. 피복
(정답률: 76%)
  • 동축케이블에서 외부로부터 유도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접지하는 부분은 "외부도체"이다. 외부도체는 동축케이블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금속 재질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차단하여 동축케이블 내부의 신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TV 망에서 케이블TV 회선과 인터넷 사용을 위한 사용자 PC를 연결해 주는 장치는?

  1. 광중계기
  2. 케이블 모뎀
  3. 헤드엔드
  4. 트랜시버
(정답률: 86%)
  • 케이블TV 망에서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TV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인터넷도 제공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 PC와 케이블TV 회선을 연결해 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케이블 모뎀"이다. 케이블 모뎀은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넷 신호를 전달하고, 사용자 PC와 연결하여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전송선로에서 누화(Cross Talk)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누화 보상
  2. 프로징(Frogging)
  3. 압신기(Compander)
  4. 시험감쇠(Test Attenuation)
(정답률: 67%)
  • 시험감쇠(Test Attenuation)는 누화를 줄이는 방법이 아니라, 전송선로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영향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시험감쇠는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일부러 신호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누화를 줄이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비동기식 전송 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송신측과 수신측이 항상 동기를 유지한다.
  2. 문자나 비틀르 Start-Srop 비트 없이 전송한다.
  3. 정보 전송형태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진다.
  4. 전송되는 각 문자 사이에 휴지기간(Idle Time)이 있다.
(정답률: 77%)
  • 비동기식 전송 방식은 문자를 하나씩 전송하며, 전송되는 각 문자 사이에는 휴지기간(Idle Time)이 있습니다. 이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항상 동기를 유지하지 않고, 문자나 비틀어 Start-Stop 비트 없이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보 전송형태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비트 동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1차 또는 2차 표준(망동기 기준 클럭)으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
  2. 주 신호 채널과 분리된 보조 채널의 동기화된 신호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
  3. 변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를 유도하는 방법
  4. 1개 또는 2개 이상의 SYN 문자를 정보 블록 앞에 추가로 전송하여 동기를 확보하는 방법
(정답률: 72%)
  • "1개 또는 2개 이상의 SYN 문자를 정보 블록 앞에 추가로 전송하여 동기를 확보하는 방법"은 비트 동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SYN 문자를 추가로 전송하는 방법은 비트 동기화가 아닌 문자 동기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비트 동기화는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는 동안 클럭 신호를 함께 전송하여 수신 측에서 클럭 신호를 추출하여 동기화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비트열(Bit Stream)의 클럭 또는 비트 파형의 전이(Transition)를 재생하는 동기 방식은?

  1. 비트 동기
  2. 문자 동기
  3. 플래그 동기
  4. 프레임 동기
(정답률: 78%)
  • 비트 동기는 수신되는 비트열의 클럭 또는 비트 파형의 전이를 기준으로 동기를 맞추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비트열의 각 비트가 독립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오류 검출 및 정정이 용이하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공통선 신호방식(SS7)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털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도록 최적화시킨다.
  2. 손실이나 중복이 없는 고신뢰성 수단을 제공한다.
  3. 아날로그 채널에서 64[kbps]의속도로 동작하기에 적합하도록 한다.
  4. 패킷교환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규정하며, 이는 하드웨어를 사용하도록 규제한다.
(정답률: 58%)
  • "패킷교환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규정하며, 이는 하드웨어를 사용하도록 규제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공통선 신호방식(SS7)은 디지털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도록 최적화되며, 손실이나 중복이 없는 고신뢰성 수단을 제공하며, 아날로그 채널에서 64[kbps]의 속도로 동작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이는 하드웨어를 사용하도록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비트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SDLC
  2. HDLC
  3. BSC
  4. LAP-B
(정답률: 75%)
  • BSC는 비트방식이 아닌 문자 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다. BSC는 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의 약자로, 문자를 동기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BSC는 비트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SI 7계층에서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2.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3.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4. UDP(User Datagram Protocol)
(정답률: 72%)
  • UDP는 전송계층 프로토콜로, 네트워크계층이 아닌 OSI 7계층에서 동작합니다. ARP, RARP, ICMP는 모두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무엇인가?

  1. DHCP
  2. FTP
  3. HTTP
  4. Telnt
(정답률: 54%)
  • DHCP는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받는 프로토콜입니다. UDP를 사용하는 이유는 DHCP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빠른 통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UDP는 TCP보다 더 빠르고 경량화되어 있어서 DHCP에서는 UDP를 사용하여 빠른 IP 주소 할당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IP address 체계의 B class에서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대 호스트 수는 몇 개인가?

  1. 128개
  2. 254개
  3. 65,534개
  4. 16,277,214개
(정답률: 80%)
  • B class의 IP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 ID가 16비트이고 호스트 ID가 16비트이므로 총 2의 16승인 65,536개의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첫 번째 호스트 ID(0)와 마지막 호스트 ID(모든 비트가 1인 65,535)는 예약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65,53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터넷 IP주소가 십진법으로 129.6.8.4 일 때, 이 주소는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가?

  1. A클래스
  2. B클래스
  3. C클래스
  4. D클래스
(정답률: 81%)
  • 이 주소는 B클래스에 속합니다. B클래스는 첫 번째 옥텟이 128~191 사이의 범위를 가지며, 이 주소의 첫 번째 옥텟이 129이므로 B클래스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Dynamic Routing Protocol)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아닌 것은?

  1. 거리 백터 알고리즘(Distance Vector Algorithm)
  2. 링크 상태 알고리즘(Link State Algorithm)
  3. 패스 백터 알고리즘(Path Vector Algorithm)
  4. 디폴트 상태 알고리즘(Default State Algorithm)
(정답률: 73%)
  • 디폴트 상태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 알고리즘이며, 잘못된 옵션입니다. 따라서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병렬 전송 방식에 대한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전송속도가 느리다.
  2. 전송로 비용이 상승한다.
  3.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한다.
  4.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다.
(정답률: 74%)
  • 병렬 전송 방식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로 비용이 상승한다. 즉,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선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전송로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HDLC 프레임에서 CRC 기법에 위해 계산된 에러 검사용 정보를 나타내는 것은?

  1. Flag
  2. Address
  3. Control
  4. FCS
(정답률: 77%)
  • 정답은 "FCS"입니다.

    HDLC 프레임에서 FCS는 CRC 기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에러 검사용 정보를 나타냅니다. FCS는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과 함께 CRC 계산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에러 검사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FCS는 프레임의 에러 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HDLC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다른 필드들을 나타냅니다. Flag 필드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시퀀스입니다. Address 필드는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나타내며, Control 필드는 프레임의 종류와 전송 방법 등을 제어하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중앙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임시 기억하는 장소로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이 레지스터(Register)는 중앙처리장치 내부에 있는 소규모의 임시 기억장치로 범용 레지스터와 특수 레지스터로 분류된다. 다음 중 특수 레지스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레지스터
  2. 누산기(AC : Accumulator)
  3. 스텍 포인터
  4. 다중 처리기(멀티 프로세서)
(정답률: 55%)
  • 다중 처리기(멀티 프로세서)는 레지스터가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분류되며,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를 가지고 병렬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중 처리기(멀티 프로세서)는 레지스터 중 특수 레지스터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방식으로 Monitor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ROM(Read Only Memory)의 역할로서 맞는 것은?

  1. 문자패턴을 기억한다.
  2.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3. 화면의 커서(Cursor) 위치를 기억한다.
  4. ASCII 코드를 기억한다.
(정답률: 68%)
  •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Monitor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문자 패턴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ROM은 문자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참조하여 화면에 문자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문자패턴을 기억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2진수 00111110.10100001을 16진수로 변환한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4D.B1
  2. 4E.A1
  3. 3D.B1
  4. 3E.A1
(정답률: 64%)
  • 2진수 00111110.10100001을 16진수로 변환하면 3E.A1이 된다. 이는 0011 1110.1010 0001을 4비트씩 끊어서 16진수로 표현한 것이다. 0011은 3, 1110은 E, 1010은 A, 0001은 1로 각각 변환하여 3E.A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CD(Binary Coded Decimal) 코드는 10진화2 진 코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진수를 10진수로 표현한 것이다.
  2. BCD 코드는 보수를 구하기 불편하다.
  3. Execess-3 코드는 BCD 코드에 3(0011)을 더한 코드이다.
  4. BCD 코드는 0~9까지만이 표현되기 때문에 1010, 1011, 1100, 1101, 1110, 1111의 6가지는 사용되지 않는다.
(정답률: 53%)
  • 정답은 "BCD 코드는 보수를 구하기 불편하다." 이다. BCD 코드는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각 10진수 자리마다 4비트의 이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수를 구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9의 1의 보수는 6이 되어야 하지만 BCD 코드에서는 1001의 1의 보수가 0110이 아니라 1001이 된다. 따라서 BCD 코드에서는 보수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올바른 것은?

  1. 데이터베이스 관리
  2. 바이러스 탐지 및 제거
  3. Disk Scheduling
  4. 음성 통신 및 채팅
(정답률: 57%)
  • 운영체제의 기능 중 Disk Scheduling은 하드 디스크의 입출력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작업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디스크에 접근하는 순서를 최적화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스크 작업을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CPU(Central Processing Unit)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FCFS(First Come First Served) 스케줄링은 선점기법이다.
  2.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은 현재 시점에서 가장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하는 선점기법이다.
  3. SRF(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스케줄링은 현재 남아있는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하는 선점기법이다.
  4. Round Robin 스케줄링은 시간이 일정하게 배정되는 기법으로 비선점기법이다.
(정답률: 60%)
  • SRF(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스케줄링은 현재 남아있는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하는 선점기법이다. 즉,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보다 남은 실행 시간이 더 짧은 프로세스가 있으면 그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시키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펌웨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하드웨어의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는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없다.
  3.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이다.
  4. 시스템 소프트웨어로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것이다.
(정답률: 70%)
  •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펌웨어는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의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는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RAM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시스템 소프트웨어로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그램(Micro Progra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이크로프로그램은 마이크로 명령어로 구성된다.
  2. 마이크로프로그램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내의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다.
  3. 마이크로프로그램은 처리속도가 빠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한다.
  4. 마이크로프로그램은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정답률: 62%)
  • "마이크로프로그램은 처리속도가 빠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마이크로프로그램은 CPU 내부에 저장되며, 일반적으로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된다. ROM은 RAM보다 느리지만,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장치가 필요할 때마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프로그램 카운터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
  2. 데이터가 기억된 위치를 지시한다.
  3. 기억하거나 읽은 데이터를 보관한다.
  4. 수행 중인 명령을 기억한다.
(정답률: 78%)
  •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입니다. 이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 카운터는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는 동안 계속 업데이트되며,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병렬처리 방식 중 동시수행가능 명령어 등을 컴파일러로 검출하여 하나의 명령어 코드로 압축하는 동시수행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VLIW(Very Large Instruction Word)
  2. Super-Scalar
  3. Pipeline
  4. Super-Pipeline
(정답률: 62%)
  • 정답: VLIW(Very Large Instruction Word)

    설명: VLIW는 Very Large Instruction Word의 약자로, 하나의 명령어 코드에 여러 개의 동시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압축하여 처리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를 위해 컴파일러가 동시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검출하여 하나의 명령어 코드로 변환한다. 이 방식은 하드웨어적인 복잡도를 줄이면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서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uper-Scalar은 하나의 클럭 주기에 여러 개의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하는 방식이고, Pipeline은 명령어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병렬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Super-Pipeline은 Pipeline을 더욱 발전시킨 방식으로, 파이프라인의 단계를 더욱 세분화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기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그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통신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1. 전기통신사업법
  2. 전기통신기본법
  3. 정보통신공사업법
  4. 정보화촉진기본법
(정답률: 81%)
  • 전기통신기본법은 전기통신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전기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따라서 이 법은 전기통신사업의 기본 원칙과 규제, 관리, 보호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은“강전류전선”에 관한 용어의 정의이다. 괄호 안에 적합한 것은?

  1. 100[V]
  2. 200[V]
  3. 300[V]
  4. 400[V]
(정답률: 80%)
  • 강전류전선은 전기를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전선으로, 전압이 높은 전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전압이 높을수록 강전류전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정답은 "30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300
  2. 450
  3. 600
  4. 700
(정답률: 63%)
  • 주어진 그림에서는 1번째와 2번째 숫자를 더한 값이 3번째 숫자와 같은 패턴을 보입니다. 따라서 1번째와 2번째 숫자를 더한 값이 750이므로, 3번째 숫자는 750에서 150을 뺀 6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전기통신사업법에서 정하는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정보화 촉진
  2. 이용자의 이익과 안전
  3. 전기통신무역의 보급 정도
  4.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 정도
(정답률: 69%)
  • "이용자의 이익과 안전"은 전기통신사업법에서 명시된 보편적 역무 중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는 전기통신사업자가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품질 유지, 안전한 통신환경 제공 등 이용자의 이익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할 때 이용자의 이익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전기통신사업자의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각 설비간의 분계점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산업용방송통신설비의 분계점은 사업자 상호간의 협의에 따른다.
  2. 산업자용방송통신설비와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분계점은 도로와 택지 또는 공동주택단지의 각 단지와의 경계점으로 한다.
  3. 국선과 구내선의 분계점은 사업용방송통신설비의 국선접속설비와 이용자방송통신설비가 최초로 접속되는 점으로 한다.
  4. 국선용방송통신설비의 분계점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조정하여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정답률: 47%)
  • "산업용방송통신설비와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분계점은 도로와 택지 또는 공동주택단지의 각 단지와의 경계점으로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국선용방송통신설비의 분계점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조정하여 정하는 이유는, 국가적인 통신망을 관리하고 조정하기 위해서입니다. 국선과 구내선의 분계점은 사업용방송통신설비의 국선접속설비와 이용자방송통신설비가 최초로 접속되는 점으로 한 이유도, 국가적인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입니다.

    산업용방송통신설비와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분계점은 도로나 택지, 공동주택단지와의 경계점으로 정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사업자 상호간의 협의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간통신사업자의 국선을 몇 회선 이상으로 인입하는 경우에 케이블로 국선수용단자반에 접속ㆍ수용하여야 하는가?

  1. 2[회선]
  2. 3[회선]
  3. 5[회선]
  4. 10[회선]
(정답률: 77%)
  • 기간통신사업자가 국선을 몇 회선 이상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케이블로 국선수용단자반에 접속ㆍ수용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선의 수가 많아질수록 국선수용단자반의 수용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회선 이상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꼭 케이블로 국선수용단자반에 접속ㆍ수용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폭장치는?

  1. 전송장치
  2. 발진장치
  3. 제어장치
  4. 중계장치
(정답률: 85%)
  •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전파가 약해져서 신호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호를 증폭시켜 전송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장치를 중계장치라고 합니다. 중계장치는 신호를 받아 증폭시키고,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중계장치를 사용하여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통신설로설비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능망설비 공사
  2. 통신케이블설비 공사
  3. 통신관로설비 공사
  4. 통신구설비공사
(정답률: 74%)
  • 정답은 "지능망설비 공사"입니다.

    "통신케이블설비 공사", "통신관로설비 공사", "통신구설비공사"는 모두 통신설비 공사의 일종으로, 각각 케이블, 관로, 구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하지만 "지능망설비 공사"는 인터넷 등 디지털 통신망의 구축과 관련된 작업으로, 기존의 전화망과는 다른 기술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와는 구분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는 전기통신사업자를 지정할 수 있는 기관은?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보건복지부
  3.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4. 산업통상자원부
(정답률: 86%)
  • 전기통신사업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의해 지정되며, 이는 전기통신사업법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는 전기통신사업자를 지정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감리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발주자의 위착을 받은 용역업자가 대행한다.
  2.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감독한다.
  3. 품질관리, 시공관리 및 안전관리에 대한 지도 등을 대행한다.
  4. 공사 수급인의 권한을 대행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1%)
  • 공사 수급인의 권한을 대행하는 것을 말한다. - 이 설명은 감리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공사 대행에 대한 설명이다. 감리는 공사의 품질, 안전, 시간, 비용 등을 감독하고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