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정보통신산업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전원 주파수가 60[Hz]인 정류회로에서 출력이 120[Hz]인 리플 주파수를 나타내는 회로방식은 무엇인가?

  1. 3상 반파정류회로
  2. 3상 전파정류회로
  3. 단상 반파정류회로
  4. 단상 전파정류회로
(정답률: 75%)
  • 단상 전파정류회로는 전원 주파수가 60[Hz]인 AC 전원에서 반파주기가 2배인 120[Hz]의 리플 주파수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 하나와 필터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AC 전원에서 양/음의 반파 주기 중 하나를 제거하고, 필터 회로는 나머지 반파 주기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120[Hz]의 리플 출력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단상 전파정류회로가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회로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은 정전압 회로이다. 이 회로의 전압안정계수를 0.02로 하고자 하는데 필요한 저항 Fs의 값은? (단, 제너 다이오드 내부저항은 30[Ω]이고, 부하저항은 RL=∞로 한다.)

  1. 1.0[kΩ]
  2. 1.5[kΩ]
  3. 2.0[kΩ]
  4. 2.5[kΩ]
(정답률: 69%)
  • 정전압 회로에서 전압안정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압안정계수 = (변화 전압 / 입력 전압) × 100%

    변화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의 내부저항과 Fs의 저항에 의해 결정되며, 입력 전압은 10[V]이다. 따라서 전압안정계수를 0.02로 설정하려면 변화 전압은 10[V] × 0.02 = 0.2[V]가 되어야 한다.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은 대략 0.7[V]이므로, Fs의 저항값은 (10[V] - 0.7[V] - 0.2[V]) / 0.02 = 465[Ω]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5[kΩ]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는 계산 결과와 약간 차이가 있지만 가장 근접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1.5[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에미터 플로워(Emitter Follower)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입출력임피던스가 대단히 높다.
  2. 부하저항이 변화해도 전류, 전압, 전력이득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전압이득이 1에 가깝다.
  4. 전류이득이 크다.
(정답률: 53%)
  • 정답: "전압이득이 1에 가깝다."

    에미터 플로워의 특징 중 "입출력임피던스가 대단히 높다"는 이유는, 입력신호가 출력신호로 전달될 때 전류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입력신호의 변화에 따른 출력신호의 변화가 작기 때문이다. 이는 부하저항이 변화해도 전류, 전압, 전력이득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입출력임피던스가 대단히 높다"는 특징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FET 증폭기에 있어서 Aυ=30, Cgd=1[pF], Cgs=10[pF]일 때의 등가 입력용량은 얼마인가?

  1. 27[pF]
  2. 41[pF]
  3. 48[pF]
  4. 84[pF]
(정답률: 71%)
  • 등가 입력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in = Cgd + (1 + Aυ)Cgs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Cin = 1[pF] + (1 + 30) x 10[pF] = 1[pF] + 310[pF] = 311[pF]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41[pF]"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부궤환 증폭기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득이 증가한다.
  2. 잡음이 감소한다.
  3. 비직선 일그러짐이 감소한다.
  4. 주파수특성이 개선된다.
(정답률: 63%)
  • 정답: "이득이 증가한다." 설명이 틀림

    부궤환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잡음이 감소하고 비직선 일그러짐이 감소하여 출력 신호의 품질이 개선됩니다. 또한 주파수특성이 개선되어 입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더욱 정확하게 증폭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부궤환 증폭기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특히 광통신 분야에서는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송신기의 완충증폭기(Buffer Amp)에 많이 쓰이는 증폭 방식은?

  1. A급
  2. B급
  3. C급
  4. AB급
(정답률: 68%)
  • 송신기의 완충증폭기에는 주로 A급 증폭 방식이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전압이 증폭기의 전압 공급 범위 내에서 모두 증폭되는 방식으로, 출력 신호의 왜곡이 적고 효율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B급과 C급은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만 증폭되는 방식으로, 왜곡이 많고 효율성이 낮습니다. AB급은 A급과 B급을 결합한 방식으로, 효율성은 높지만 왜곡이 적은 A급보다는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상형 RC 발진기에서 궤환 네트워크(Feedback Network)의 입ㆍ출력 위상차는?

  1. 45°
  2. 90°
  3. 180°
  4. 360°
(정답률: 68%)
  • 이상형 RC 발진기에서 궤환 네트워크는 양쪽 끝에 콘덴서와 저항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때, 콘덴서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전하를 축적하고 방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압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궤환 네트워크의 입력과 출력은 전압이고, 이 둘 사이의 위상차는 콘덴서의 축적 및 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차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과정에서 콘덴서의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는 18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CR형 발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C동조회로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발진주파수는 CR의 시정수에 의해 정해진다.
  3. C와 R을 사용하여 부궤환에 의해 발진한다.
  4. 저주파 발진 파형이 깨끗하다.
(정답률: 67%)
  • 정답은 "C와 R을 사용하여 부궤환에 의해 발진한다." 이다.

    CR형 발진기는 C와 R을 사용하여 부궤환에 의해 발진한다. 이는 LC동조회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발진주파수는 CR의 시정수에 의해 정해지며, 저주파 발진 파형이 깨끗하다는 것도 일반적으로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PCM에서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이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2. 압신(Companding)
  3. 디엠퍼시스(De-emphasis)
  4. FM 복조시의 리미팅(Limitting)
(정답률: 75%)
  • 압신(Companding)은 PCM에서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이는 기능을 말한다. 이는 소리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와 디엠퍼시스(De-emphasis)와 함께 사용된다. FM 복조시의 리미팅(Limitting)은 FM 방식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신호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신호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폭변조에서 변조율 100[%]인 경우,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몇 배가 되는가? (단, Pm : 피변조파의 전력, Pc : 반송파의 전력)

  1. Pm=Pc
  2. Pm=2Pc
  3. Pm=(1/2)Pc
  4. Pm=(3/2)Pc
(정답률: 64%)
  • 진폭변조에서 변조율 100[%]인 경우, 피변조파의 최대 진폭은 반송파의 최대 진폭의 2배가 된다. 따라서 피변조파의 전력은 최대 진폭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반송파 전력의 4배가 된다. 하지만 진폭변조는 대역폭을 넓게 사용하므로,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3/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Pm=(3/2)P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파형은 디지털 변조 방식의 파형이다. 어느 방식의 파형인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65%)
  • 정답은 "PSK"이다. 이유는 파형이 주파수 변조나 진폭 변조가 아닌 위상 변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PSK는 위상 변조 방식 중 하나로, 0과 1의 비트를 다른 위상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파형에서는 0과 1의 비트가 180도 차이를 가지는 위상으로 변조되어 있으므로 PSK 방식으로 변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PCM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송 구간에 잡음이 누적되지 않는다.
  2. 장거리 전송으로 고품질 통신이 가능하다.
  3. 전송로의 손실 변동 영향이 없다.
  4.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61%)
  • PCM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구간에 잡음이 누적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PCM의 장점 중에는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넓다는 것이 없다. PCM은 주파수 대역폭이 좁은데, 이는 샘플링 주파수가 신호 대역폭의 2배보다 높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CM은 주파수 대역폭이 좁은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듀티싸이클(Duty Cycle)이 0.1이고, 주기가 40[μs] 인 경우 펄스폭은 몇 [μs] 인가?

  1. 10
  2. 4
  3. 3
  4. 1
(정답률: 82%)
  • 듀티싸이클(Duty Cycle)은 펄스폭이 주기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펄스폭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펄스폭 = 주기 x 듀티싸이클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펄스폭 = 40[μs] x 0.1 = 4[μs]

    따라서, 정답은 "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저항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의 주요 목적은?

  1. 증폭도를 높이기 위해
  2.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
  3. 베이스 전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4. 이미터 전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정답률: 72%)
  • 콘덴서는 전하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회로에서 스위칭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즉, 콘덴서는 전류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 스위칭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저항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의 주요 목적은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0진수 673을 16진수로 변환하면 얼마인가?

  1. 2B1
  2. 2A1
  3. 291
  4. 2C1
(정답률: 73%)
  • 10진수 673을 16진수로 변환하면 2A1이 된다. 이유는 16진수는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A부터 F까지의 알파벳으로 표현되며, 10진수에서 16진수로 변환할 때는 16으로 나누어가며 나머지를 구하고, 나머지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알파벳으로 대체하여 표현한다. 따라서 673을 16으로 나누면 몫이 42, 나머지가 1이 되고, 42를 16으로 나누면 몫이 2, 나머지가 10(A)이 된다. 따라서 673을 16진수로 표현하면 2A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3초과 코드 0111의 10진수 값과 그레이 코드(Gray Code) 0111의 10진수 값을 각각 나열한 것은?

  1. 4,5
  2. 5,6
  3. 6,7
  4. 7,8
(정답률: 76%)
  • 3초과 코드 0111은 4를 나타내며, 그레이 코드 0111은 5를 나타낸다.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바뀌는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전 코드의 1비트를 반전시킨 값이 된다. 따라서 3초과 코드 0111의 이전 코드는 0101이며,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GAL(Generic Array Logic)과 PAL(Programmable Array Logic)에 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

  1. GAL은 재프로그램이 가능하나 PAL은 그렇지 않다.
  2. PAL은 재프로그램이 가능하다 GAL은 그렇지 않다.
  3. GAL과 PAL은 모두 재프로그램이 가능하다.
  4. GAL과 PAL은 모두 상호 연결을 위해 링크를 사용한다.
(정답률: 59%)
  • GAL은 AND-OR 배열과 프로그래머블 퓨즈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프로그래머블 퓨즈를 다시 프로그래밍하여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PAL은 AND-OR 배열과 퓨즈만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프로그래머블 퓨즈를 다시 프로그래밍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GAL은 재프로그램이 가능하나 PAL은 그렇지 않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진 4단 리플 카운터는 몇 개의 펄스를 계수할 수 있는가?

  1. 4개
  2. 8개
  3. 16개
  4. 32개
(정답률: 78%)
  • 2진 4단 리플 카운터는 4개의 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카운터는 2의 4승, 즉 16개의 펄스를 계수할 수 있습니다. 각 비트가 0에서 1로 바뀔 때마다 카운터는 1씩 증가하며, 4개의 비트가 모두 1이 되면 다시 0으로 초기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RS 플립플롭으로 구현된 D 플립플롭 회로는?

(정답률: 6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RS 플립플롭은 S와 R 입력이 모두 0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S와 R 입력이 모두 1일 때는 불확정 상태가 되기 때문에, D 플립플롭으로 구현할 때는 S와 R 입력을 D와 NOT D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은 D와 NOT D를 이용하여 RS 플립플롭을 구현한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3개의 입력 A, B, C 중 2개 이상이 1일 때 출력 Y가 1이 되는 다수결 회로의 논리식으로 맞는 것은?

  1. Y = AB + BC + AC
  2. Y = A × B × C
  3. Y = ABC
  4. Y = A + B + C
(정답률: 81%)
  • 정답은 "Y = AB + BC + AC"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 B, C 중 2개 이상이 1일 때, 즉 A, B, C 중 적어도 2개가 참일 때 Y가 참이 되어야 한다.
    - Y = AB + BC + AC 식은 A, B, C 중 적어도 2개가 참일 때 Y가 참이 되는 논리식이다.
    - 예를 들어 A = 1, B = 1, C = 0인 경우, AB + BC + AC = 1 × 1 + 1 × 0 + 1 × 0 = 1 이므로 Y가 참이 된다.
    - 또한 A = 1, B = 0, C = 1인 경우에도 AB + BC + AC = 1 × 0 + 0 × 1 + 1 × 1 = 1 이므로 Y가 참이 된다.
    - 따라서 Y = AB + BC + AC 식이 다수결 회로의 논리식으로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통신제어장치(CCU)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수의 통신회선과의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전송속도와 컴퓨터의 처리 속도의 차이를 보완한다.
  2. 주변장치를 제어하며, 기억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3. 통신회선과의 전기적 인터페이스, 통신회선의 접속 및 절단 제어 등의 기능이 있다.
  4. 데이터의 처리에 따라 비트 버퍼 방식, 문자 버퍼 방식, 블록 버퍼방식, 메시지 버퍼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50%)
  • "다수의 통신회선과의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전송속도와 컴퓨터의 처리 속도의 차이를 보완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CCU는 주변장치를 제어하며, 기억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 단말기 중 회선 접속부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병렬 Data를 직렬로 변환 기능
  2. 2진 비트열로 변환 기능
  3. 직렬 Data를 병렬로 변환 기능
  4. 전송제어문자나 부호의 식별 기능
(정답률: 72%)
  • 전송제어문자나 부호의 식별 기능은 회선 접속부의 기능이 아니라 정보 단말기의 기능이다. 회선 접속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하며, 데이터 변환과 관련된 기능은 정보 단말기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전송제어문자나 부호의 식별 기능은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 분류에서 정보 전송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통신회선
  2. 변복조장치
  3. 통신제어장치
  4. 중앙처리장치
(정답률: 69%)
  • 정보 전송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통신회선", "변복조장치", "통신제어장치"가 해당된다. 반면에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정보 전송시스템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디지털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장치는?

  1. FET
  2. DSU
  3. CODEC
  4. MODEM
(정답률: 56%)
  • 공중전화망은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한데,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모뎀(Modem)이 필요합니다.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중전화망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송장치는 모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가 터미널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를 묻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링크
  2. 폴링
  3. 셀렉션
  4. 어드레싱
(정답률: 77%)
  • 폴링은 컴퓨터가 터미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터미널에게 데이터가 있는지 물어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시 충돌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폴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 회선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원거리에 설치된 컴퓨터나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장비는?

  1. MODEM
  2. DSU
  3. CODEC
  4. MPEG
(정답률: 68%)
  • DSU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 회선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전송하는 장비입니다. 반면에 MODE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비이며, CODEC는 음성이나 영상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비입니다. MPEG은 디지털 비디오 압축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DSU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4위상 PSK 변ㆍ복조기에서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는?

  1. 9,600[bps]
  2. 4,800[bps]
  3. 2,400[bps]
  4. 1,200[bps]
(정답률: 77%)
  • 4위상 PSK 변ㆍ복조기에서 1개의 심볼(symbol)은 2개의 비트(bit)를 나타내므로,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1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수는 2,400개이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속도는 2,400[baud] x 2[bit/symbol] = 4,800[bp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주파수분할다중화(FDM)기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동기식 데이터 다중화에 사용된다.
  2. 1,200[bps]이하에서 사용된다.
  3. 채널간 완충지역으로 가드밴드(Guard Band)를 주어야 한다.
  4. 별도의 모뎀이 필요 없다.
(정답률: 56%)
  • "동기식 데이터 다중화에 사용된다."는 주파수분할다중화(FDM)기의 설명이 아닙니다. 주파수분할다중화(FDM)기는 여러 개의 채널을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채널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별도의 모뎀이 필요하지만, 채널간 완충지역으로 가드밴드(Guard Band)를 주어야 합니다. 또한, 주로 고속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며 1,200[bps]이하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광가입자망의 가입자별로 하나의 파장을 대응시켜 고속전송이 가능한 방식은?

  1. FDM 방식
  2. TDM 방식
  3. SDM 방식
  4. WDM 방식
(정답률: 73%)
  • 정답: WDM 방식

    설명: WDM 방식은 광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각 가입자마다 하나의 파장을 할당하여 고속전송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과 달리 파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전송 속도와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광통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전화기 회로의 기본 구성이 아닌 것은?

  1. 통화 회로
  2. 신호 회로
  3. 가입자 교환회로
  4. 측음 방지회로
(정답률: 72%)
  • 가입자 교환회로는 전화기 회로의 기본 구성이 아니라 전화교환망에서 가입자 간 통화를 연결하는 회로이기 때문입니다. 통화 회로는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 신호 회로는 전화기의 다양한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측음 방지회로는 통화 중에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통신망 신호방식 중 다이얼 방식에서 메이크시간 = 2, 브레이크 시간 = 4일 때, 단속비는 얼마인가?

  1. 0.5
  2. 1
  3. 2
  4. 3
(정답률: 78%)
  • 단속비는 메이크 시간과 브레이크 시간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 단속비는 2:4 또는 1:2가 됩니다. 이를 간단화하면 0.5가 되므로, 정답은 "0.5"가 아닌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의 얼굴이나 영상을 보면서 회의 및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무선통신
  2. 위성통신
  3. 이동통신
  4. 화상통신
(정답률: 89%)
  • 화상통신은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얼굴이나 영상을 보면서 회의나 통화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무선통신, 위성통신, 이동통신은 화상통신과는 다른 개념이며, 화상통신만이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얼굴이나 영상을 보면서 회의나 통화를 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CATV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테나로 수신한 TV신호를 동축케이블 등의 광대역 전송로로 전송한다.
  2. 난시청 해소를 위한 TV방송의 재송신 및 자체프로그램 방송을 서비스한다.
  3. CATV는 도시형 CATV, 양방향 CATV 등이 있다.
  4. CATV의 간선에는 FTTH(Fiber To The Home)가 적용된다.
(정답률: 69%)
  • CATV의 간선에는 FTTH(Fiber To The Home)가 적용된다. - 이 설명이 옳지 않다.

    CATV는 광대역 전송로를 통해 안테나로 수신한 TV신호를 전송하며, 난시청 해소를 위한 TV방송의 재송신 및 자체프로그램 방송을 서비스한다. 또한 도시형 CATV, 양방향 CATV 등이 있다. 하지만 CATV의 간선에는 광케이블이 적용된다. FTTH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가정에 인터넷, IPTV, 전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CATV의 간선에는 FTTH가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IEEE 802.11로 표준화된 WLAN 규격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IEEE 802.11a
  2. IEEE 802.11b
  3. IEEE 802.11g
  4. IEEE 802.11n
(정답률: 76%)
  • IEEE 802.11n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을 사용하여 최대 600Mbps의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이는 다른 규격인 IEEE 802.11a, 802.11b, 802.11g보다 빠른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WLAN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이동통신기기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 전송거리 10[cm] 이내에서 쓰기/읽기가 가능한 통신방식은?

  1. WAN
  2. Wifi
  3. NFC
  4. WLAN
(정답률: 84%)
  • NFC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 전송거리가 10cm 이내인 방식으로, 주로 스마트폰 결제나 교통카드 등에 사용됩니다. 이에 비해 WAN, Wifi, WLAN은 전송거리가 더 멀고 넓은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동통신기기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 전송거리 10cm 이내에서 쓰기/읽기가 가능한 통신방식은 NF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이 아닌 것은?

  1. 블루투스
  2. UWB
  3. Zigbee
  4. 위성통신
(정답률: 69%)
  • 위성통신은 WPAN 방식이 아니라 WPAN과는 다른 네트워크 방식인 WAN(Wide Area Network)에 해당한다. WPAN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일반적으로 몇 미터에서 수십 미터 이내의 작은 범위에서 사용된다. 반면, WAN은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방식이다. 따라서, 위성통신은 WPAN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와 전용키보드를 단말로 하고 이들 단말과 화상ㆍ음성 파일장치를 가진 센터 사이를 광대역 전송로로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이용자 요구에 따라 정보를 개별적으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은?

  1. 텔리텍스트
  2. VRS(Video Response System)
  3. 화상전화시스템
  4. CRS(Computer Reservation System)
(정답률: 68%)
  • VRS(Video Response System)은 화상ㆍ음성 파일장치를 가진 센터와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이용자 요구에 따라 정보를 개별적으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시스템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텔리텍스트"는 텍스트 기반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의미하며, "화상전화시스템"은 화상 통신을 이용한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CRS(Computer Reservation System)"은 여행 예약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음성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넷 망에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1. WiBro
  2. Telematics
  3. WCDMA
  4. VolP
(정답률: 82%)
  • 음성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넷 망에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VolP입니다. VolP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전화망보다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통화가 가능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광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소자 중 능동형인 것은?

  1. 커플러
  2. 분배기
  3. 광증폭기
  4. 편광조절기
(정답률: 65%)
  • 광증폭기는 입력된 광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능동형 광소자입니다. 따라서 광통신 시스템에서는 광신호의 감쇠를 보완하고 전송 거리를 늘리기 위해 광증폭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커플러는 광신호를 분배하거나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분배기는 여러 개의 광신호를 하나로 합치거나 하나의 광신호를 여러 개로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편광조절기는 광파의 진동 방향을 조절하여 광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보 가전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는?

  1. WiBro
  2. DMB
  3. DTV
  4. Home Network
(정답률: 80%)
  • "WiBro", "DMB", "DTV"는 모두 특정한 기기나 장소에서만 이용 가능한 서비스이지만, "Home Network"는 정보 가전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PCM방식에서 입력신호의 최대신호가 2[kHz]인 경우,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파수(fs)와 표본화 주기(Ts)의 계산값은?

  1. fs=2[kHz], Ts=500[μs]
  2. fs=4[kHz], Ts=250[μs]
  3. fs=6[kHz], Ts=167[μs]
  4. fs=8[kHz], Ts=125[μs]
(정답률: 80%)
  •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파수(fs)는 입력신호 최대 주파수의 2배인 4[kHz]가 되며, 표본화 주기(Ts)는 1/fs로 계산되어 250[μs]가 된다. 이는 입력신호의 주기보다 작아야 하므로, 입력신호의 주기는 500[μs]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fs=4[kHz], Ts=250[μ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본화 주파수가 10[kHz]이고 원신호 파형의 주파수가 1[kHz]라면, 1주기당 PAM신호는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5개
  4. 10개
(정답률: 78%)
  • 표본화 주파수가 10[kHz]이므로 1초당 10,00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진다. 원신호 파형의 주파수가 1[kHz]이므로 1초당 1,000개의 주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1주기당 PAM신호는 10개가 된다. 이는 1초당 10,000개의 샘플링 중에서 1주기당 1,00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람의 목소리를 PCM방식으로 디지털화하고자 한다. 음성 전달 대역폭을 0 ~ 4,000[Hz]로 정의할 경우, 샤논의 표본화 정리에 의한 표본화율(Sampling Rate)은 얼마인가?

  1. 4,000[표본수/초]
  2. 6,000[표본수/초]
  3. 7,000[표본수/초]
  4. 8,000[표본수/초]
(정답률: 72%)
  • 샤논의 표본화 정리에 따르면, 표본화율은 최소 2배 이상으로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대 주파수인 4,000[Hz]의 2배인 8,000[Hz]이 표본화율이 된다. 이유는 이렇게 하면 신호를 충분히 재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선택지인 4,000[표본수/초], 6,000[표본수/초], 7,000[표본수/초]는 최대 주파수를 커버하지 못하므로 신호를 충분히 재구성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입력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변조방식은?

  1. QAM
  2. PSK
  3. ASK
  4. FSK
(정답률: 83%)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입력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PSK, ASK, FSK는 각각 진폭, 위상, 주파수를 변조하는 방식이므로 정답은 QA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UTP Category 5 케이블을 이용하여 100[Mbps] 속도를 지원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UTP 케이블의 페어(pair)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68%)
  • UTP Category 5 케이블은 100[Mbps]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 2개의 페어(pair)를 사용합니다. 이는 각각의 페어가 100[Mbps]의 속도를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광케이블을 CO(Central Office)에서 가입자 댁내까지 연결하여 안정된 인터넷 서비스 제공하는 방식은?

  1. FTTF
  2. FTTH
  3. FTTO
  4. FTTC
(정답률: 82%)
  • FTTH는 Fiber To The Home의 약자로, 광케이블을 집 안까지 연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CO에서 가입자 댁까지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안정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FTT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광섬유에서의 신호원은 무엇인가?

  1. 무선파
  2. 단파
  3. 초단파
(정답률: 86%)
  • 광섬유에서의 신호원은 "빛"이다. 광섬유는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빛이 필요하다. 따라서 광섬유에서는 빛을 신호원으로 사용한다. 빛은 전자기파 중에서도 가장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광섬유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현재 우리나라 FM 방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대는?

  1. 중파 : 0.3 ~ 3[MHz]
  2. 단파 : 3 ~ 30[MHz]
  3. 초단파 ; 30 ~ 300[MHz]
  4. 극초단파 : 0.3 ~ 3[MHz]
(정답률: 74%)
  • 우리나라 FM 방송은 주로 88 ~ 108MHz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 범위는 "초단파"에 해당하며,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므로 정답이 "초단파 ; 30 ~ 300[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하며, Start bit와 Stop bit를 두어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은?

  1. 직렬 전송 방식
  2. 병렬 전송 방식
  3. 비동기식 전송 방식
  4. 동기식 전송 방식
(정답률: 74%)
  • 비동기식 전송 방식은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하며, Start bit와 Stop bit를 두어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간적인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비동기식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공통선 신호방식(Common Channel Signal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된다.
  2.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에 의해 신속한 상호 전달 능력과 망의 상태관리나 보수 과금 정보 전송도 수행할 수 있다.
  3. 신호망의 일부 손상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4. 신호전송의 전기적 조건에 따라서 직류방식, In-Band 방식 등으로 나눈다.
(정답률: 66%)
  • "신호전송의 전기적 조건에 따라서 직류방식, In-Band 방식 등으로 나눈다."는 공통선 신호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일반적인 신호방식의 분류 방법이다. 공통선 신호방식은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며,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에 의해 신속한 상호 전달 능력과 망의 상태관리나 보수 과금 정보 전송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신호망의 일부 손상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기저대역전송에서 전송부호가 가져야 하는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송대역폭이 압축되어야 한다.
  2. DC 성분이 포함되어야 한다.
  3. 동기정보가 충분히 포함되어야 한다.
  4. 에러의 검출이 용이하다.
(정답률: 58%)
  • DC 성분이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는 기저대역전송에서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 때 DC 성분은 주파수가 0Hz인 성분으로서 신호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만약 DC 성분이 포함되지 않으면 신호의 평균값이 0이 아니게 되어 신호의 원래 모양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전송부호에는 반드시 DC 성분이 포함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디지털 정보통신시스템이 9,600[bps]로 동작하여야 할 경우 신호요소가 4[bit]로 인코드 된다면 이상적인 전송채널의 최소 대역폭은?

  1. 1,200[Hz]
  2. 2,400[Hz]
  3. 4,800[Hz]
  4. 9,600[Hz]
(정답률: 82%)
  • 9,600[bps]의 전송속도에서 4[bit]의 신호요소를 전송하므로 초당 2,400개의 신호요소가 전송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2,400[Hz]의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OSI 프로토콜 구조 중에서 데이터링크계층이 하는 역할이 아닌 것은?

  1. 흐름제어
  2. 데이터 동기 제공
  3. 에러의 검출 및 정정
  4. 네트워크 어드레싱
(정답률: 70%)
  •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어드레싱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처리하는 역할이며, 데이터링크계층에서는 흐름제어, 데이터 동기 제공, 에러의 검출 및 정정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 어드레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SI 계층에서 통신망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 기능의 제공 및 관리를 규정하는 계층으로서 네트워크 연결관리, 경로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79%)
  • 네트워크 계층은 OSI 계층 중에서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경로 설정 및 라우팅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따라서 통신망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 기능의 제공 및 관리를 담당하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OSI 7계층 참조모델 중 제4계층에 해당되는 것은?

  1. 응용계층
  2. 전송계층
  3. 표현계층
  4. 물리계층
(정답률: 84%)
  • 전송계층은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TCP, UD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전송 중 손실된 데이터를 재전송하며, 순서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계층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한 건물 안이나 제한된 지역 내에서 컴퓨터 및 주변장치 등을 연결하여 정보와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LAN
  2. MAN
  3. WAN
  4. PON
(정답률: 83%)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적으로 제한된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건물 안이나 제한된 지역 내에서 컴퓨터 및 주변장치 등을 연결하여 정보와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를 LAN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lass 단위 IP주소 지정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이 아닌 것은?

  1. DNS
  2. IPv6
  3. NAT
  4. 서브네팅(Subnetting)
(정답률: 61%)
  •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기술로, IP 주소 지정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보는?

  1. 송신지 IP address
  2.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
  3. 다음 홉(hop) IP address
  4. 로컬 인터페이스
(정답률: 65%)
  • 라우팅 테이블은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 다음 홉 IP address, 로컬 인터페이스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송신지 IP address는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라우팅 테이블이 패킷을 전달할 때 목적지 주소를 기반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송신지 IP address는 패킷을 보내는 측의 주소이므로 라우팅 테이블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입력되는 정보 마지막에 1[bit]를 추가하여 추가된 Bit로 에러를 검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ASCII
  2. Parity Check
  3. CRC
  4. ARQ
(정답률: 82%)
  • Parity Check는 입력된 정보에 대해 1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검사하여 마지막에 1[bit]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에러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입력된 정보에 대해 추가된 1[bit]를 통해 에러를 검사하는 것이 Parity Check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에러를 검사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두 부호어의 비트열이 A=(100100), B=(010100)일 때 두부호어의 해밍 거리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3%)
  • 해밍 거리란 두 비트열 간에 서로 다른 비트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A와 B의 해밍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 비트열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비트를 비교하면 됩니다.

    A와 B를 비교해보면, 첫 번째 비트는 A와 B 모두 1로 같고, 두 번째 비트는 A는 0이고 B는 1로 다릅니다. 세 번째 비트는 A와 B 모두 0으로 같고, 네 번째 비트는 A는 1이고 B는 0으로 다릅니다. 다섯 번째 비트는 A와 B 모두 0으로 같고, 여섯 번째 비트는 A는 0이고 B는 0으로 같습니다.

    따라서 A와 B의 해밍 거리는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다음 중 두 개의 입력을 받아서 합과 자리올림을 구하는 조합 논리회로는?

  1. 인코더
  2. 디코더
  3. 반가산기
  4. 멀티플렉서
(정답률: 74%)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을 받아서 합과 자리올림을 구하는 논리회로이기 때문에 이 문제에 적합합니다. 인코더는 입력 신호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논리회로이고, 디코더는 인코더와 반대로 변환된 신호를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리는 논리회로입니다.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논리회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두 개의 입력을 받아서 합과 자리올림을 구하는 반가산기가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ROM과 RAM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RAM은 휘발성 메모리라고 한다.
  2. EP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
  3. RAM은 동적 RAM과 정적 RAM으로 나눌 수 있다.
  4. ROM의 종류에는 EPROM, EEPROM, PROM 등이 있다.
(정답률: 81%)
  • 정답은 "EP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 인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EPROM은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이다. 하지만 한 번 프로그래밍하면 지울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EPROM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우기 위해서는 UV(자외선)로 인한 전기적인 초기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PROM은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검색 방법 중에서 키 값으로부터 레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직접 계산하여 산출된 주소로 바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키-주소 변환방법이라고도 하는 것은?

  1. 이진 검색
  2. 피보나치 기술
  3. 해싱 방법
  4. 블록 검색
(정답률: 72%)
  • 해싱 방법은 키 값으로부터 직접 주소를 계산하여 레코드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키 값을 해시 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인덱스로 사용하여 레코드가 저장된 주소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검색 속도가 매우 빠르며,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자료의 단위에서 File의 개념을 표현한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Record의 집합을 의미한다.
  2. Character의 수를 의미한다.
  3. Code의 집합을 의미한다.
  4. Field의 집합을 의미한다.
(정답률: 64%)
  • "Record의 집합을 의미한다."는 파일이란 것이 여러 개의 레코드(record)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파일은 여러 개의 레코드가 모여서 하나의 단위로 구성되며, 각 레코드는 여러 개의 필드(field)로 구성된다. 따라서 파일은 레코드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운영체제 중에서 처리를 요구하는 자료가 발생할 때마다 즉시 처리하는 방식은?

  1. 오프라인 시스템
  2. 분산처리 시스템
  3. 실시간 처리 시스템
  4. 일괄처리 시스템
(정답률: 84%)
  •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처리를 요구하는 자료가 발생할 때마다 즉시 처리하는 방식으로, 실시간성이 중요한 시스템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항공관제나 의료장비 등에서는 실시간 처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운영체제의 기법에 관한 걸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산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여러 컴퓨터로 분산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 데이터베이스는 상호 연관 있는 데이터들의 집합과 처리를 말한다.
  3. 다중 프로레싱이란 여러 CPU를 같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4. UNIX는 단일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UNIX는 단일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이다. UNIX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이다.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은 소프트웨어 시스템개발 모형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요구분석, Test, 구현
  2. 요구분석, 구현, Test
  3. Test, 요구분석, 구현
  4. 구현, Test, 요구분석
(정답률: 58%)
  • 소프트웨어 시스템개발 모형은 폭포수 모형으로, 개발 과정이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먼저 요구분석을 통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설계를 진행한다. 이후에는 구현 단계에서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고, 마지막으로 Test 단계에서 시스템의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요구분석, 구현, Tes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C 언어의 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기억장소의 주소, 길이, 타입의 세 가지 속성을 지닌다.
  2. 변수 이름은 영어 알파벳 문자나 밑줄 문자(_)로 시작해야 한다.
  3. 변수 이름의 영문 대문자와 소문자는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
  4. C 언어의 키워드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없다.
(정답률: 82%)
  • "변수 이름의 영문 대문자와 소문자는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C 언어에서는 변수 이름의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num"과 "Num"은 서로 다른 변수 이름으로 인식된다. 이는 C 언어의 식별자 규칙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PU와 RAM, ROM, I/O를 하나의 칩에 구현하였으며, MCU라고도 한다.
  2. 종류로는 CISC와 RISC가 있다.
  3.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연산부와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CPU 또는 MPU라고도 한다.
(정답률: 60%)
  • 연산부와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CPU 또는 MPU라고도 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CPU, RAM, ROM, I/O 등을 하나의 칩에 구현한 것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며, CISC와 RISC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하지만 모든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연산부와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CPU 또는 MPU라고도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PU 대신하여 I/O 장치와 Memory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로써 CPU의 개입 없이 주변 장치와 주기억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기법은?

  1. Interrupt Driven I/O
  2. Program Driven I/O
  3. DMA(Direct Memory Access
  4. Polling
(정답률: 73%)
  • DMA는 CPU의 개입 없이 I/O 장치와 Memory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로써, I/O 장치가 직접 Memory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CPU의 부담을 줄이고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Interrupt Driven I/O는 I/O 요청이 들어오면 CPU가 해당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이고, Program Driven I/O는 CPU가 I/O 요청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Polling은 CPU가 주기적으로 I/O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전기통신의 원활한 발전과 정보사회의 촉진을 위하여 수립하는'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의 이용효율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기술의 진흥에 관한 사항
  4.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협력의 활성화에 관한 사항
(정답률: 68%)
  • 전기통신기본계획은 전기통신의 질서유지, 이용효율 향상, 기술진흥 등과 같은 전기통신 분야의 발전을 위한 계획이다. 따라서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협력의 활성화는 전기통신 분야의 발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기 또는 타인에게 이익을 주거나 타인에게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전기통신설비에 의하여 공연히 허위의 통신을 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5%)
  •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공연히 허위의 통신을 하는 행위는 전기통신법 제53조에 의해 처벌됩니다. 이 법은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이익을 주거나 타인에게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허위의 통신을 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 법을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전기통신설비의 용어에 대한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1.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기계ㆍ기구ㆍ선로 기타 전기통신에 필요한 설비를 말한다.
  2. 전기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로 구성설비로서 전송ㆍ선로설비를 말한다.
  3. 전기통신사업에 제공하기 위한 통신 및 교환기를 말한다.
  4.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장치ㆍ기기ㆍ부품 또는 선조 등을 말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기계ㆍ기구ㆍ선로 기타 전기통신에 필요한 설비를 말한다."입니다. 이는 전기통신 설비의 가장 기본적인 정의로, 전기통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기계, 기구, 선로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전송ㆍ선로설비, 통신 및 교환기, 장치ㆍ기기ㆍ부품 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전기통신 설비의 일부분에 대한 정의일 뿐 전체적인 정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기통신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유형 또는 무형의 계통적 전기통신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통신선
  2. 접지선
  3. 회선
  4. 전선
(정답률: 75%)
  • 회선은 전기통신에서 실제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유형 또는 무형의 전기통신로를 말합니다. 따라서 "통신선", "접지선", "전선"은 모두 전기통신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회선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방송통신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설비의 관리규정을 정하여야하는 방송통신사업자가 아닌 것은?

  1. 위성방송사업자
  2. 지상파방송사업자
  3. 종합유선 방송사업자
  4. 중계유선방송사업자
(정답률: 60%)
  • 중계유선방송사업자는 방송통신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사업자가 아니라, 다른 방송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통신서비스를 중계하는 사업자이기 때문에 방송통신설비의 관리규정을 정하는 것은 해당 사업자의 역할과 범위를 벗어나므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에서 세대망과 단지망을 상호 접속하는 장치는?

  1. 단지서버
  2. 세대단자함
  3. 월패드
  4. 홈게이트웨이
(정답률: 71%)
  • 홈게이트웨이는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에서 세대망과 단지망을 상호 접속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집 안의 모든 기기들을 연결해주는 중심 장치로서, 인터넷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 기기들과 집 안의 기기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홈게이트웨이는 세대망과 단지망을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문장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

  1. 수급
  2. 도급
  3. 용역
  4. 시공
(정답률: 63%)
  • 이 문장은 "도급"에 대한 정의이다. "도급"은 공사나 제품 생산 등을 다른 업체에게 맡겨서 완성품을 받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수급"은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 "용역"은 일을 맡겨서 수행하는 것, "시공"은 건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관한 공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통신 관계법령 및 전기설비 공사업에 의한 전기설비공사
  2. 방송법 및 방송관계법령에 의한 방송설비공사
  3. 수전설비를 제외한 정보통신전용 전기시설설비공사
  4.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 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
(정답률: 47%)
  •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 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관한 공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이유는 정보설비공사는 정보를 제어, 저장 및 처리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공사이기 때문에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와는 다른 범위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용역업자는 발주자에게 정보통신공사에 대한 감리결과를 공사가 완료된 날부터 며칠 이내에 통보하여야 하는가?

  1. 3일
  2. 5일
  3. 7일
  4. 10일
(정답률: 78%)
  • 용역업자는 감리결과를 공사가 완료된 날부터 7일 이내에 발주자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규에서 정해진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을 초과하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업자는 이를 엄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보편적 역무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서통신용 유선전화 서비스
  2. 긴급통신용 선박 무선전화 서비스
  3. 인터넷유지보수를 위한 전화 서비스
  4. 장애인ㆍ저소득층에 대한 요금감면 전화 서비스
(정답률: 67%)
  • 인터넷유지보수를 위한 전화 서비스는 보편적 역무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전화 서비스로, 보편적 역무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