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9)

정보통신산업기사
(2019-03-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전파 정류회로의 맥동률은 얼마인가?

  1. 약 0.482%
  2. 약 1.21%
  3. 약 11.1%
  4. 약 48.2%
(정답률: 66%)
  • 전파 정류회로는 전파를 일정한 주파수로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류회로의 맥동률은 전파가 정류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전파가 정류되는 시간은 전파의 주기와 정류회로의 동작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정류회로가 전파의 주기보다 긴 시간동안 동작한다면, 전파의 대부분이 정류될 것이고 맥동률은 높아질 것이다.

    반면에, 정류회로가 전파의 주기보다 짧은 시간동안 동작한다면, 전파의 일부만 정류될 것이고 맥동률은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전파 정류회로의 맥동률은 정류회로의 동작 시간과 전파의 주기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약 48.2% 정도의 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직류 전원회로의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

  1. 정류회로 → 변압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회로
  2. 변압회로 → 정류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회로
  3. 변압회로 → 평활회로 → 정류회로 → 정전압회로
  4. 변압회로 → 정류회로 → 정전압회로 → 평활회로
(정답률: 73%)
  • 정답은 "변압회로 → 정류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회로"입니다.

    - 변압회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
    - 정류회로: 교류 전원에서 직류 전원을 만드는 회로
    - 평활회로: 정류된 직류 전원에서 나머지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적인 전원을 만드는 회로
    - 정전압회로: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회로

    따라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한 후, 교류 전원에서 직류 전원을 만들고, 나머지 노이즈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정전압회로의 파라미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압안정계수(SV
  2. 온도안정계수(ST)
  3. 출력저항(RO)
  4. 최대제너전류(IZ)
(정답률: 70%)
  • 정전압회로의 파라미터에 속하지 않는 것은 "최대제너전류(IZ)"이다.

    이유는 최대제너전류는 회로의 파라미터가 아니라 부하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기 때문이다. 최대제너전류는 부하에 인가되는 최대 전류로, 이 값을 넘어가면 회로가 과부하되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설계 시 부하의 최대 전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최대제너전류를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2단 이상의 증폭기에서 잡음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종단 증폭기의 이득은 첫단 증폭기에 비해 가능한 낮게 설계한다.
  2. 첫단 증폭기는 가능한 이득이 작은 증폭기로 구성한다.
  3. 첫단 증폭기를 트랜지스터(쌍극성 트랜지스터) 증폭기로 구성한다.
  4. 첫단 증폭기를 잡음지수(Noise Figure)가 낮은 증폭기로 구성한다.
(정답률: 73%)
  • 첫단 증폭기를 잡음지수(Noise Figure)가 낮은 증폭기로 구성한다. 이유는 첫단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이후의 모든 증폭기에서 증폭되기 때문에, 첫단 증폭기에서 잡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의 잡음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회로에서 Re의 값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Re가 크면 클수록 입력 임피던스는 커진다.
  2. Re가 크면 클수록 안정계수 S는 적어진다.
  3. Re가 크면 클수록 증폭된 컬렉터 전류는 적어진다.
  4. Re가 크면 클수록 전압 증폭도는 커진다.
(정답률: 58%)
  • 답: "Re가 크면 클수록 전압 증폭도는 커진다."

    이유: Re가 크면 컬렉터 전류가 커지고, 이에 따라 전압 증폭도가 커진다. 이는 작은 입력 신호에 대해 큰 출력 신호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Re의 값과 관계가 있는 성질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궤한증폭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궤환으로 입력 임피던스 Ri는 감소한다.
  2. 궤환으로 출력 임피던스 Ro는 감소한다.
  3. 궤환으로 전류이득 Io/Is는 감소한다.
  4. RF가 작을수록 출력전압 VO는 커진다.
(정답률: 57%)
  • "RF가 작을수록 출력전압 VO는 커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궤환으로 입력 임피던스 Ri는 감소하고, 출력 임피던스 Ro도 감소한다. 이로 인해 전류이득 Io/Is는 감소하지만, RF가 작을수록 궤환에서의 전압이 더 크게 증폭되므로 출력전압 VO는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압궤환증폭기에서 무궤한 시 이득이 A, 궤환율이 β일 때 궤환 시 전압 이득은 Af=A/(1-βA)이다. βA=1인 경우 어떠한 회로로 동작한 것인가?

  1. 부궤환회로이다.
  2. 파형정형회로이다.
  3. 발진회로이다.
  4. 궤환회로도 아니고 발진회로도 아니다.
(정답률: 74%)
  • βA=1인 경우 Af는 무한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궤환 시 전압이 무한대가 되는 경우, 회로는 발진회로여야 한다. 발진회로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일정한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궤환증폭기에서는 발진회로가 궤환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정 발진회로에서 수정 진동자의 전기적 직렬 공진 주파수를 fs, 병렬 공진 주파수를 fP라 할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한 조건은? (단, fa는 발진 주파수이다.)

  1. fP<fa<fS
  2. fa=fS
  3. fS<fa<fP
  4. fa=fP
(정답률: 78%)
  • 수정 발진회로에서는 수정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가 발진 주파수와 일치해야 안정된 발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fa=fS이어야 한다. 그리고 fS는 직렬 공진 주파수이므로 fS<fa<fP이어야 병렬 공진 주파수인 fP에서도 안정된 발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fS<fa<f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클랩(Clapp)발진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콜피츠 발진기를 변형한 것이다.
  2. 발진주파수가 안정하다.
  3. 발진주파수 범위가 작다.
  4. 발진출력이 크다.
(정답률: 59%)
  • 클랩 발진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발진주파수 범위가 작다." 이다. 클랩 발진기는 콜피츠 발진기를 변형한 것으로, 발진주파수가 안정하며 발진출력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회로에서 발진기 명칭과 C3의 역할이 맞는 것은?

  1. 클랩 발진기, 발진 주파수 안정화
  2. 컬렉터 동조형 발진기, 발진 이득의 안정화
  3. 콜피츠 발진기, 위상 안정화
  4. 하틀리 발진기, 왜율 개선
(정답률: 63%)
  • 정답은 "클랩 발진기, 발진 주파수 안정화"이다.

    C3은 클랩 발진기에서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클랩 발진기는 양수 피드백 회로로, C1과 C2가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C3은 발진 신호를 증폭한 후 다시 발진 회로로 피드백되어 발진 주파수를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C3의 역할은 발진 주파수 안정화이다.

    컬렉터 동조형 발진기는 C1과 C2가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C3은 발진 이득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콜피츠 발진기는 C1과 L이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C2는 발진 주파수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틀리 발진기는 C1과 L이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C2는 발진 이득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진폭변조 회로에서 피변조파 전력이 30[kW]이고 변조도가 100[%]라면 반송파 전력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kW]
  2. 20[kW]
  3. 30[kW]
  4. 40[kW]
(정답률: 44%)
  • 진폭변조 회로에서 피변조파 전력은 변조도와 진폭에 비례하므로, 변조도가 100[%]이고 피변조파 전력이 30[kW]이면 반송파 전력도 30[k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DSB-LC(DSB-TC) 변조 후에 발생되는 (피)변조 신호를 구성하는 성분이 아닌 것은?

  1. 반송파
  2. USB
  3. LSB
  4. FSB
(정답률: 53%)
  • DSB-LC(DSB-TC) 변조는 이중 층의 변조 방식으로, 원래 신호와 반송파를 곱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합니다. 이 변조 신호는 원래 신호의 대역폭을 두 배로 확장시키고, 대역폭 내에서는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DSB-LC(DSB-TC) 변조 후에 발생되는 (피)변조 신호를 구성하는 성분은 반송파, USB, LSB입니다. FSB는 DSB-LC(DSB-TC) 변조 후에 발생되는 (피)변조 신호를 구성하는 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간접 FM 변조회로에서 변조용으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가변용량 다이오드
  2. 터널 다이오드
  3. 제너 다이오드
  4. 쇼트키 다이오드
(정답률: 61%)
  • 간접 FM 변조회로에서는 주파수 변조를 위해 가변용량 다이오드가 사용됩니다. 이는 다이오드의 pn 접합 부분의 전하 밀도를 변화시켜 전하 운반 능력을 제어하여 주파수를 변조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진폭변조(AM)에서 반송파 주파수(fc)가 1,000[kHz]이고, 신호파 주파수(fs)가 2[kHz]일 때 필요한 주파수대역폭(BW)은?

  1. 1[kHz]
  2. 4[kHz]
  3. 1,000[kHz]
  4. 4,000[kHz]
(정답률: 66%)
  • 진폭변조에서는 신호파의 진폭을 변조하여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나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신호파의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는 반송파 주파수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변화하게 된다. 이 변화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주파수대역폭(BW)이며, 이는 변조된 신호의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최대 주파수가 반송파 주파수 + 신호파 주파수 = 1,002[kHz], 최소 주파수가 반송파 주파수 - 신호파 주파수 = 998[kHz]가 되므로, 주파수대역폭은 4[k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회로와 쌍안전회로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1.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2. 출력전압의 부궤환율에 따라 결정된다.
  3. 입력전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4. 바이러스 전압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70%)
  •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회로와 쌍안전회로는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회로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소의 결합 방식에 따라 회로의 동작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회로와 쌍안전회로도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클리핑 레벨의 위 레벨과 아래 레벨 사이의 간격을 좁게하여 입력파형의 특정 부분을 잘라내는 회로는?

  1. 클램핑 회로(Clamping Circuit)
  2. 슬라이서 회로(Slicer Circuit)
  3. 적분 회로(Integral Circuit)
  4. 클리핑 회로(Clipping Circuit)
(정답률: 70%)
  • 슬라이서 회로는 입력 신호를 일정한 임계값으로 나누어 출력을 생성하는 회로이다. 이 임계값은 클리핑 레벨이라고도 불리며, 입력 신호가 이 임계값을 넘으면 출력이 높아지고, 그렇지 않으면 출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클리핑 레벨의 위 레벨과 아래 레벨 사이의 간격을 좁게하여 입력파형의 특정 부분을 잘라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슬라이서 회로는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며, 데이터를 이진화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이진수 101011을 십진수로 표시한 것은?

  1. 37
  2. 41
  3. 43
  4. 45
(정답률: 84%)
  • 이진수 101011을 십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각 자리수를 2의 거듭제곱으로 변환한다.
    1 0 1 0 1 1
    2^5 2^4 2^3 2^2 2^1 2^0

    2. 각 자리수에 해당하는 2의 거듭제곱을 곱한다.
    1*2^5 + 0*2^4 + 1*2^3 + 0*2^2 + 1*2^1 + 1*2^0

    3. 계산 결과를 더한다.
    32 + 0 + 8 + 0 + 2 + 1 = 43

    따라서, 이진수 101011을 십진수로 표시한 값은 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회로에서 Y는 어떤 파형이 출력되는가? (단, 입력은 64[kHz]구형파이다.)

  1. 32[kHz] 구형파
  2. 24[kHz] 구형파
  3. 16[kHz] 구형파
  4. 8[kHz] 구형파
(정답률: 76%)
  • Y는 입력 신호의 절반 주기인 16[kHz] 구형파가 출력된다. 이는 입력 신호가 64[kHz] 구형파이므로, 1주기당 64/2=32[k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절반 주기당 16[kHz]의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이를 통해 출력 신호의 주파수가 16[kHz]임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동기식 카운터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리플 카운터라고도 한다.
  2. 동일 클록으로 동작한다.
  3. 고속 카운팅에 적합하다.
  4. 회로 설계 시 주의를 요한다.
(정답률: 60%)
  • "리플 카운터라고도 한다."는 동기식 카운터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다. 리플 카운터는 비동기식 카운터로, 동기식 카운터와는 동작 방식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으로 해결할 수 있는 현상으로 알맞은 것은?

  1. Toggle 현상
  2. Race 현상
  3. Storage 현상
  4. Hogging 현상
(정답률: 66%)
  • 정답: "Race 현상"

    Race 현상은 여러 개의 신호가 동시에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에 입력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 때 입력되는 신호의 순서에 따라 출력값이 달라지는데, 이는 신호의 전달 시간 차이에 의한 것입니다.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은 입력되는 순서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출력값을 보장하기 때문에, Race 현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결과를 데이터 또는 문자로 바꿔주는 장치는?

  1. 플로터
  2. OMR
  3. OCR
  4. 카드 리더
(정답률: 67%)
  • 플로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된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데이터를 문자나 숫자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그래픽으로 출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또는 문자로 바꿔주는 장치"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플로터가 정답입니다. OMR은 광학식 마크 인식기, OCR은 광학 문자 인식기, 카드 리더는 카드의 자료를 읽어들이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범용 단말기로 사용되는 PC나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인간과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입ㆍ출력되는 기능
  2. 통신회선을 거쳐서 컴퓨터와 통신하는 전송제어기능
  3. 타 기종의 컴퓨터 액세스를 위하여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
  4. 저장 장치를 갖추어 데이터를 축척하거나 간단한 처리를 하는 로컬 처리 기능
(정답률: 66%)
  • "타 기종의 컴퓨터 액세스를 위하여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데이터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하나가 타 기종의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VDSL 서비스 방식에서 가입자 댁내 장비는?

  1. 다중화장비(DSLAM)
  2. 네트워크접속장치(NAS)
  3. EMS
  4. 모뎀(Modem)
(정답률: 85%)
  • VDSL 서비스 방식에서 가입자 댁내 장비는 "모뎀(Modem)"입니다. 이는 VDSL 신호를 인터넷 신호로 변환하여 가정 내부의 컴퓨터나 기타 인터넷 기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다중화장비(DSLAM)는 VDSL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접속장치(NAS)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와 가입자 댁내 장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EMS는 장비 관리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DSU와 MOD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ODEM은 DTE와 아날로그 회선망을 접속한다.
  2. MODEM 간의 신호 전송형태는 디지털이다.
  3. DSU는 DTE와 디지털 회선망을 접속한다.
  4. DSU는 DTE로부터 단극성 펄스를 복극성 펄스로 변환한다.
(정답률: 70%)
  • "MODEM 간의 신호 전송형태는 디지털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MODE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MODEM 간의 신호 전송형태는 아날로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입력 장비가 3개인 동기식 TDM에서 각 프레임은 7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마다 동기를 위해서 2[bits]를 할당한다. 각 문자는 8[bits]이고, 각 입력단의 장비는 5,800[bps]로 보낸다고 할 때 다중화된 후의 프레임 속도는?

  1. 100[Frames/Second]
  2. 200[Frames/Second]
  3. 300[Frames/Second]
  4. 400[Frames/Second]
(정답률: 71%)
  • 하나의 프레임은 7개의 문자와 2개의 동기 비트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프레임은 총 7*8+2=58[bits]이다. 따라서, 3개의 입력 장비가 동기식 TDM으로 다중화되면, 한 프레임에는 총 3*58=174[bits]가 전송된다. 이를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로 환산하면, 174*300=52,200[bps]가 된다. 이는 3개의 입력 장비가 보내는 비트 수의 총합인 3*5,800=17,400[bps]보다 크므로, 다중화된 후의 프레임 속도는 "300[Frames/Second]"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LAN 장비 중에 더미 허브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단순히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역할
  2. 단순한 전송하는 기능을 넘어 수신지 주소로 스위칭하는 역할
  3. 허브와 허브 사이를 연결하여 용량을 확장하는 역할
  4.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호의 조절과 변경 등 다양한 지능형 기능을 포함한 허브 역할
(정답률: 68%)
  • "단순히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역할"이 맞는 설명입니다. 더미 허브는 수신한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전송하며,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미 허브는 단순한 중계 역할만을 수행하며, 지능형 기능이나 용량 확장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집중화기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집중화기는 m개의 입력 회선을 n개의 출력 회선에 집중화 시키는 장비이다.
  2. 집중화기는 m개의 입력 회선이 n개의 출력 회선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3. 집중화기의 입력 회선은 단말기와 집중화기를 연결하는 기능이다.
  4. 집중화기의 출력 회선은 집중화기와 다른 집중화기를 연결하거나 호스트 컴퓨터와 전처리와 연결된다.
(정답률: 69%)
  • "집중화기는 m개의 입력 회선이 n개의 출력 회선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가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집중화기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으며, 입력 회선과 출력 회선의 개수에 대한 제한을 설명하는 것이다. 집중화기는 입력 회선에서 받은 데이터를 출력 회선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입력 회선과 출력 회선의 개수는 해당 기기의 성능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지털 가입자 회선기술로서 망측과 가입자측에 각각 설치되어 가입자 선로상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 아닌 것은?

  1. HDSL
  2. ADSL
  3. VDSL
  4. DSSL
(정답률: 73%)
  • DSSL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술이 아니라 디지털 보안 서비스 레이어로, 가입자 선로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DSS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N 위상 변조에서 동기식 모뎀의 신호 속도가 M[Baud/sec]인 경우 비트 속도를 구하는 식은?

  1. M log2N
  2. N log2M
  3. M log10N
  4. N log10M
(정답률: 75%)
  • N 위상 변조에서는 한 번에 N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M[Baud/sec]의 속도로 전송할 때 한 번에 M개의 심볼(symbol)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한 개의 심볼은 log2N개의 비트를 나타내므로, M[Baud/sec]의 속도로 전송할 때 비트 속도는 M log2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M log2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영상압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저장장치의 영상 저장 효율 증가
  2. 데이터 양이 경감됨으로 하드웨어의 크기가 감소
  3. 전송시스템에서 대역폭을 절감하게 됨으로 대역폭이 고정된 시스템은 전송속도가 감소됨
  4. 데이터 양, 대역폭 및 속도가 감소됨으로 하드웨어 제품의 비용과 전송비용이 절감됨
(정답률: 66%)
  • "저장장치의 영상 저장 효율 증가", "데이터 양이 경감됨으로 하드웨어의 크기가 감소", "데이터 양, 대역폭 및 속도가 감소됨으로 하드웨어 제품의 비용과 전송비용이 절감됨"은 모두 영상압축으로 인한 이점이며, "전송시스템에서 대역폭을 절감하게 됨으로 대역폭이 고정된 시스템은 전송속도가 감소됨"은 영상압축으로 인해 전송시스템에서 대역폭을 줄이게 되어 전송속도가 감소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특수한 목적으로 간단한 카메라와 모니터링 화면 및 이를 총괄하여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 통신기기는?

  1. CATV
  2. CCTV
  3. FAX
  4. HDTV
(정답률: 86%)
  • CCTV는 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자로, 감시용으로 설치된 카메라와 모니터링 화면, 그리고 이를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 통신기기입니다. 이는 특정한 장소나 시설물을 감시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CCTV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ATV방송에서 입력측 (C/N)=20이고, 출력측 (C/N)=10이라고 가정하면 잡음지수(Noise Factor)는?

  1. 0.5
  2. 1
  3. 2
  4. 3
(정답률: 79%)
  • 잡음지수는 출력측 C/N을 입력측 C/N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10/20)^0.5 = 0.7071이다. 이 값은 0.5와 1 사이에 위치하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2"가 아니라 "0.5" 또는 "1"이어야 한다. 따라서, 문제에 오류가 있거나, 문제에서 제시한 값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디지털 TV 방송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상 및 음향신호의 압축이 용이하고 녹화 재생 시 화질이나 음질의 열화가 적다.
  2.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많은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3. 오류 정정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저장 및 복제에 따른 손실이 적다.
  4.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다.
(정답률: 83%)
  •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디지털 TV 방송은 아날로그 TV 방송과 달리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압축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고 노이즈가 적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TV 방송에서도 상호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신호가 전파되는 환경이나 수신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위성통신 방식의 종류를 구분하는 요소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위성 중계기의 기능
  2. 위성 중계기의 위치
  3. 위성 중계기의 수량
  4. 위성 중계기의 고도
(정답률: 82%)
  • 위성 통신 방식의 종류를 구분하는 요소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위성 중계기의 수량"입니다. 이는 위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위성 통신 방식의 종류를 구분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위성 통신 방식의 종류는 주로 위성 중계기의 기능, 위치, 고도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TRS(Trunked Radio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하나의 기지국은 Cellular 보다 좁은 서비스 지역(Area)를 구성한다.
  2.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입자군이 일정 주파수 채널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3. 일제통화, 선별통화, 개별통화 기능이 있다.
  4. 통화누설이 없고, 잡음과 혼신이 적은 양호한 통화품질을 유지한다.
(정답률: 71%)
  • "주로 하나의 기지국은 Cellular 보다 좁은 서비스 지역(Area)를 구성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TRS는 여러 대의 무선 단말기가 일정 주파수 채널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하나의 기지국이 여러 채널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 대의 단말기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구성하는 서비스 지역은 Cellular과 비슷하거나 더 넓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최근 위성방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변조방식은?

  1. PSK
  2. OFDM
  3. QAM
  4. VSB
(정답률: 57%)
  • PSK는 위성방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변조방식 중 하나입니다. PSK는 위성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으로, 이진 신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이진 신호는 0과 1로 구성되며, PSK는 이진 신호를 변조하여 다양한 상태로 변환합니다. 이러한 변환은 위성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높은 전송 효율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PSK는 위성방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변조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의 Main Control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체시스템 관리의 머리역할을 담당한다.
  2. 각 시스템과의 유기적 관계를 관리한다.
  3. 통합 사이트와 로컬 사이트의 콘텐츠 문제 역할을 담당한다.
  4. 시스템의 중앙 처리부를 담당한다.
(정답률: 74%)
  • "통합 사이트와 로컬 사이트의 콘텐츠 문제 역할을 담당한다."는 VOD 시스템의 Main Control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Main Control은 전체 시스템 관리의 머리역할을 담당하며, 각 시스템과의 유기적 관계를 관리하고 시스템의 중앙 처리부를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의 구성 중 Main Control부에서 인증된 클라이언트에게 실제 처리할 VOD 서버 및 QAM Port 관리 Session에 대한 물리적 관리를 진행하는 구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Pumming부
  2. 전송부
  3. 사용자부(Client)
  4. 데이터 변환부
(정답률: 61%)
  • Pumming부는 Main Control부에서 인증된 클라이언트에게 실제 처리할 VOD 서버 및 QAM Port 관리 Session에 대한 물리적 관리를 담당하는 구간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VOD 서비스를 실제로 처리할 서버와 포트를 할당하고, 해당 세션의 물리적인 연결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umming부가 정답입니다. 전송부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사용자부(Client)는 클라이언트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역할, 데이터 변환부는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멀티미디어 중 음성계 미디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DAT(Digital Audio Tape)
  2. HDTV
  3. 전자북(e-book)
  4. VoD
(정답률: 78%)
  • DAT(Digital Audio Tape)은 디지털 오디오 녹음에 특화된 미디어로, 고음질의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습니다. HDTV는 고화질의 영상을 재생하는 미디어이며, 전자북(e-book)은 텍스트 기반의 미디어이고, VoD는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미디어입니다. 따라서 음성 녹음 및 재생에 가장 적합한 미디어는 DAT(Digital Audio Tap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은 대역폭의 몇 배 비례하는가?

  1. 1배
  2. 1.5배
  3. 2배
  4. 3배
(정답률: 77%)
  •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은 대역폭과 신호대 잡음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대역폭이 2배가 되면 통신용량도 2배가 되는 것이 맞지만, 보통 실제 통신에서는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신호대 잡음비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통신용량이 대역폭의 1배에 불과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공동 이용기(Sharing Unit)의 도입 시 고려할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네트워크 환경
  2. 자동 응답기
  3. 접속 가능한 모뎀
  4. 동시 접속 단말기 수
(정답률: 78%)
  • 공동 이용기(Sharing Unit)의 도입 시 고려할 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자동 응답기"이다. 이는 공동 이용기에 접속 가능한 모뎀이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자동 응답기를 이용하여 원활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 응답기의 적절한 설치와 설정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환경, 접속 가능한 모뎀, 동시 접속 단말기 수도 중요하지만, 자동 응답기는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각 펄스에 대한 직류성분을 제거시키고 등기유지와 전송대역폭을 줄이는 방법으로 바이폴라(Bipolar) 방식과 맨체스터(Manchester) 방식을 결합한 것은?

  1. 차등(Differential) 부호 방식
  2. 다이코드(Dicode) 방식
  3. CMI 방식
  4. HDB3 방식
(정답률: 69%)
  • CMI 방식은 바이폴라 방식과 맨체스터 방식을 결합한 방식으로, 각 펄스에 대한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등기유지와 전송대역폭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차등 부호 방식과 달리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므로 신호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HDB3 방식과 달리 추가적인 신호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구현이 간단합니다. 따라서 CMI 방식이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QPS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개의 DPSK를 합성한 것이다.
  2. 피변조파의 크기는 항상 일정하다.
  3.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90°이다.
  4. 1채널과 Q채널 두 개가 있다.
(정답률: 70%)
  • "두 개의 DPSK를 합성한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QPSK는 2개의 DPSK를 합성한 것이 아니라, 1개의 채널을 2진수로 표현하여 4개의 심볼을 사용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따라서 "1채널과 Q채널 두 개가 있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또한, QPSK에서는 피변조파의 크기는 항상 일정하고,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CWDM 전송 대역으로 사용할 수 없는 파장 대역은?

  1. 1.550[nm]
  2. 1.610[nm]
  3. 1.310[nm]
  4. 1.250[nm]
(정답률: 61%)
  • CWDM은 1270nm부터 1610nm까지 20nm 간격으로 8개의 파장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1.250nm은 CWDM 전송 대역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 TV 망에서 케이블 TV 회선과 인터넷 사용을 위한 사용자 PC를 연결해 주는 장치는?

  1. 광중계기
  2. 케이블 모뎀
  3. 헤드엔드
  4. 트랜시버
(정답률: 83%)
  • 케이블 TV 망에서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TV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때, 인터넷 사용을 위해서는 사용자 PC와 케이블 TV 회선을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바로 "케이블 모뎀"입니다. 케이블 모뎀은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케이블 TV 회선과 인터넷 사용을 위한 사용자 PC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모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5[dBm] 레벨의 신호가 전송 매체상의 A지점, B지점, C지점을 거쳐서 D지점까지 전달되는 경우, A지점-B지점간에서 3[dB]의 손실이 발생하고, B지점-C지점 사이에는 증폭기가 있어서 7[dB]의 이득이 있고, C지점-D지점간에 3[dB]의 손실이 발생한다면, D지점에서의 신호의 전력 레벨은?

  1. 0[dBm]
  2. 1[dBm]
  3. 3[dBm]
  4. 6[dBm]
(정답률: 74%)
  • A지점에서의 전력 레벨은 5[dBm]이고, B지점에서는 3[dB]의 손실이 발생하여 전력 레벨이 2[dBm]이 됩니다. C지점에서는 7[dB]의 이득이 있어 전력 레벨이 9[dBm]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D지점에서는 C지점에서부터 3[dB]의 손실이 발생하여 전력 레벨이 6[dB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dB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광섬유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대역폭이 대단히 넓다.
  2. 보안성이 우수하다.
  3. 전자기 간섭에 강하다.
  4. 배선공간 등의 측면에서 활용성이 어렵다.
(정답률: 81%)
  • 광섬유는 전자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전자기 간섭에 강하고, 대역폭이 넓으며 보안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광섬유는 배선공간 등의 측면에서 활용성이 어렵다. 광섬유 케이블은 유연성이 없어 설치가 어렵고, 구리 케이블보다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또한 광섬유는 광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끝단에서 광을 발산시켜야 하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연결과 유지보수가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동축케이블 측정값 중 특성 임피던스가 가장 적은 것은? (단, D[mn] : 외부도체의 직경, d[mn] : 내부도체 직경)

  1. D=2, d=1
  2. D=8, d=3
  3. D=3, d=1
  4. D=8, d=2
(정답률: 77%)
  • 특성 임피던스는 동축케이블 내부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외부 도체와 내부 도체의 직경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외부 도체의 직경(D)이 작고 내부 도체의 직경(d)이 큰 경우에는 특성 임피던스가 작아진다. 따라서, "D=2, d=1"이 가장 특성 임피던스가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문자 방식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1. DDCMP
  2. LAP-B
  3. BSC
  4. SDLC
(정답률: 63%)
  • BSC는 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의 약자로, 이진 동기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동기화를 위해 시작 비트와 종료 비트를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BSC는 문자 방식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문자 동기 전송방식에서 SYN 문자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수신측이 문자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
  2. 데이터의 완료를 표시한다.
  3. 데이터의 시작을 표시한다.
  4. 질의가 끝났음을 알린다.
(정답률: 81%)
  • 정답은 "수신측이 문자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이다. SYN 문자는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문자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며, 송신측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측에게 동기화 신호를 보내어 수신측이 동기화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신측이 문자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빠르고 동기식 전송보다 느린 방식은?

  1. 비트 방식
  2. 문자 방식
  3. 혼합형 동기식 방식
  4. 비혼합형 동기식 방식
(정답률: 80%)
  • 혼합형 동기식 방식은 비동기식 전송과 동기식 전송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데이터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각 블록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동기식 전송과 동시에 다음 블록을 전송하는 비동기식 전송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혼합형 동기식 방식은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빠르고 동기식 전송보다 느린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문자 동기 방식에서 사용하지 않는 문자 기호는?

  1. SOH
  2. STX
  3. ETX
  4. ARQ
(정답률: 76%)
  • 문자 동기 방식에서는 오류 검출 및 재전송을 위해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기능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ARQ는 문자 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문자 기호 중 하나입니다. 다른 세 개의 문자 기호인 SOH, STX, ETX는 데이터의 시작, 전송 중간, 전송 종료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구문
  2. 의미
  3. 타이밍
  4. 규칙
(정답률: 73%)
  •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로 "규칙"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구문은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문법이나 형식을 의미하고, 의미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메시지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타이밍은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전송이나 처리의 시간적인 조절을 의미합니다. 규칙은 프로토콜에서 지켜야 할 규칙이나 규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TCP 프로토콜에서는 3-way handshake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ISO의 OSI 7계층의 RM(Reference Model)에서 데이터 링크의 전송 에러로부터의 영향을 제거하여 상위층에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계층은?

  1. Layer 1
  2. Layer 2
  3. Layer 3
  4. Layer 4
(정답률: 65%)
  • Layer 2인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송 에러를 감지하고 수정하여 상위 계층에 신뢰성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각 프레임에 대한 오류 검사와 흐름 제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Layer 2는 전송 에러로부터의 영향을 제거하여 상위 계층에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보통신 관련 표준안을 제안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ISO
  2. ITU-T
  3. ISDN
  4. ANSI
(정답률: 62%)
  • ISDN은 정보통신 관련 표준안을 제안하는 기구가 아니라, 디지털 통신망 기술 자체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ISO, ITU-T, ANSI는 모두 정보통신 관련 표준안을 제안하는 기구이지만, ISDN은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AN : 대도시 정도의 넓은 지역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2. PAN : 대학캠퍼스 또는 건물 등과 같은 일정지역 내의 네트워크
  3. WAN : 도시와 도시 또는 국가와 국가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4. BAN : 인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정답률: 70%)
  • PAN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따라서 "대학캠퍼스 또는 건물 등과 같은 일정지역 내의 네트워크"는 PAN이 아니라 LAN(Local Area Network)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AN :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네트워크 계층 중 접속형연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가상회선교환방식이다.
  2. 패킷 수신 순서는 전송순서와 다르다.
  3. 초기 설정과정이 필요하다.
  4. 상대 주소는 접속 설정 시에만 필요하다.
(정답률: 54%)
  • "상대 주소는 접속 설정 시에만 필요하다."가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접속형연결방식에서는 초기 설정과정에서 상대방의 주소를 확인하고 가상회선을 설정합니다. 이후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설정된 가상회선을 통해 전송하며, 이 때 패킷 수신 순서는 전송순서와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IP address 체계의 A class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비트 수는?

  1. 7비트
  2. 14비트
  3. 21비트
  4. 28비트
(정답률: 81%)
  • A class의 IP 주소 체계에서 첫 번째 옥텟은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나머지 3개의 옥텟은 호스트 ID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 class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비트 수는 첫 번째 옥텟의 비트 수와 같습니다. 첫 번째 옥텟은 8비트이므로, A class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비트 수는 8비트 중에서 첫 번째 비트를 제외한 7비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디지털 통신망을 구성하는 디지털 교환기 사이에 클럭주파수의 차이가 생기면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슬립(Slip)
  2. 폴링(Polling)
  3. 피기백(Piggyback)
  4. 인터리빙(Interleaving)
(정답률: 69%)
  • 클럭주파수의 차이로 인해 수신측에서는 송신측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일부 데이터가 누락되는 현상을 슬립(Slip)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통신망에서는 클럭 신호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병렬 전송 방식에 대한 특징을 잘 나타낸 것은?

  1. 전송속도가 느리다.
  2. 전송로 비용이 상승한다.
  3.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한다.
  4.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다.
(정답률: 70%)
  • 병렬 전송 방식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속도가 빠르고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전송로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병렬로 여러 개의 전송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송로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다음 중 RA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AM은 반도체 기억 소자를 물리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이루어진 8X8 크기를 갖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2. MBR은 기억 장치의 주소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특정한 기억공간을 지정하기 위한 주소들을 기억한다.
  3. 한 개의 RAM에 집적할 수 있는 기억 용량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보통 여러 개의 RAM을 이용하여 원하는 용량의 기억장치를 구성한다.
  4. RAM의 동작은 기억 장치를 중심으로 MAR(Memory Address Register), MBR(Memory Buffer Register) 그리고 RAM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선택 신호(CS), 읽기/쓰기(R/W) 신호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답률: 56%)
  • "MBR은 기억 장치의 주소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특정한 기억공간을 지정하기 위한 주소들을 기억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MBR은 기억 장치와 CPU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주소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기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2진수 11001-10001을 2의 보수를 이용하여 연산할 경우 (가)와 (나)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01110, 00111
  2. 01111, 01000
  3. 01110, 01000
  4. 10000, 01001
(정답률: 59%)
  • 2의 보수를 이용하여 연산할 경우, 먼저 2진수 10001의 1의 보수를 구하면 01110이 된다. 이를 1의 보수에 1을 더한 2의 보수를 구하면 01111이 된다. 따라서 (가)는 01111이 된다.

    또한, 2진수 11001의 1의 보수를 구하면 00110이 된다. 이를 1의 보수에 1을 더한 2의 보수를 구하면 00111이 된다. 이제 01111에서 00111을 뺀 결과는 01000이 된다. 따라서 (나)는 010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111, 0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논리 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는?

  1.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2.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3. 플래그 레지스터(Flag register)
  4.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정답률: 63%)
  • 논리 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는 어큐뮬레이터입니다. 이는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사용하기 위해 값을 축적하는 레지스터로, CPU에서 가장 중요한 레지스터 중 하나입니다. 다른 레지스터들은 주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지만, 어큐뮬레이터는 다양한 연산에 사용되며,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2진수 1011을 0100으로 각 비트의 값을 반전시키거나 보수를 구할 때 사용하는 연산은?

  1. AND 연산
  2. OR 연산
  3. NOT 연산
  4. XOR 연산
(정답률: 65%)
  • 정답은 "NOT 연산"입니다. NOT 연산은 비트 값을 반전시키는 연산으로, 0은 1로, 1은 0으로 바꿉니다. 따라서 1011을 NOT 연산하면 0100이 됩니다.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1을 반환하고,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1을 반환합니다. XOR 연산은 두 비트가 서로 다를 때 1을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운영체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정의
  2. 사용자 간의 데이터 공유
  3. 사용자 간의 자원 스케줄링
  4. 파일 구조 설계
(정답률: 67%)
  • 운영체제의 역할 중 파일 구조 설계는 해당하지 않는다. 파일 구조 설계는 파일 시스템의 일부로, 파일 시스템은 운영체제의 일부분이지만, 운영체제의 주요 역할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정의, 사용자 간의 데이터 공유, 사용자 간의 자원 스케줄링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스택(Sta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주소(번지) 명령어 형식에 주로 사용된다.
  2. 복귀번지를 저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3.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를 갖는다.
  4. 팝(POP)은 스택에 새로운 자료를 추가하는 연산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복귀번지를 저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를 갖는 자료구조로, 가장 최근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함수 호출 시 복귀번지를 저장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함수가 호출될 때 호출한 함수의 복귀번지를 스택에 저장하고, 함수가 종료될 때 스택에서 복귀번지를 꺼내어 다시 호출한 함수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를 스택 프레임(Stack Frame)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운영체제의 기능에서 프로세서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서 실행 중이란 반드시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Running)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2. 프로세서란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되어 운영체제의 관리하에 들어갔으며, 아직 수행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3. 각 프로세서들에 대해 지금까지의 총 실행시간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4. 프로세서들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를 중재하여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을 잃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3%)
  • "프로세서 실행 중이란 반드시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Running)되고 있음을 의미한다."이 설명은 틀린 것이 없다. 이는 프로세서 관리의 기능 중 하나로, 운영체제가 중앙처리장치(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병렬처리 시스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렬처리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이 여러 개의 프로그램들 또는 한 프로그램의 분할된 부분들을 분담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이다.
  2. 컴퓨터 시스템의 계산속도 향상이 목적이다.
  3. 시스템의 비용 증가가 없고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4. 분할된 부분들을 병렬로 처리한 결과가 전체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70%)
  • "시스템의 비용 증가가 없고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는 틀린 설명이다. 병렬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네트워크 등의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하며, 이는 시스템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보증에서 CMM의 성숙 단계로 맞는 것은?

  1. 초보단계 - 정의단계 - 반복단계 - 관리단계 - 최적화단계
  2. 초보단계 - 반복단계 - 관리단계 - 정의단계 - 최적화단계
  3. 초보단계 - 반복단계 - 최적화단계 - 관리단계 - 정의단계
  4. 초보단계 - 반복단계 - 정의단계 - 관리단계 - 최적화단계
(정답률: 55%)
  • CMM의 성숙 단계는 초보단계, 반복단계, 정의단계, 관리단계, 최적화단계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단계로, 초기에는 프로세스가 불안정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태인 초보단계에서 시작하여, 반복적으로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정의하는 단계를 거쳐 안정적인 상태인 관리단계로 이어지며, 최종적으로는 지속적인 개선과 혁신을 추구하는 최적화단계로 발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보단계 - 반복단계 - 정의단계 - 관리단계 - 최적화단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입출력 주소지정방식에 있어 메모리 주소와 입출력 주소가 단일 주소공간으로 구성되어 주소관리는 용이하나, 메모리 주소공간이 입출력 주소공간에 의해 축소되는 단점을 갖는 주소지정방식은 무엇인가?

  1. Programmed I/O
  2. Interrupt I/O
  3. Memory-Mapped I/O
  4. I/O-Mapped I/O
(정답률: 71%)
  • Memory-Mapped I/O 방식은 입출력 장치를 메모리 주소 공간에 매핑하여 입출력 명령을 메모리 접근 명령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주소가 동일한 주소 공간에 있기 때문에 주소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입출력 장치가 사용하는 주소 공간이 메모리 주소 공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 주소 공간이 입출력 장치에 의해 축소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ㆍ보수에 관한 공사와 이에 따른 부대공사중 통신설비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송단국설비, 다중화설비, 중계설비, 분배설비 등의 공사
  2. 무선CATV설비, 방송통신융합시스템설비, 무선적외선설비 등의 공사
  3. 구내통신선로설비, 키폰전화설비, 방송공동수신설비 등의 공사
  4. 영상 및 음향설비, 송출설비, 방송관리시스템설비 등의 공사
(정답률: 67%)
  •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공사는 전송단국설비, 다중화설비, 중계설비, 분배설비 등을 포함합니다. 무선CATV설비, 방송통신융합시스템설비, 무선적외선설비, 구내통신선로설비, 키폰전화설비, 방송공동수신설비 등도 정보통신설비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영상 및 음향설비, 송출설비, 방송관리시스템설비 등은 정보통신설비와는 관련이 있지만, 통신설비공사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임의로 조작하거나 녹음기능을 사용하다 적발될 경우 적용되는 벌칙으로 맞는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4. 4년 이하의 징역 또는 4천만원 이하 벌금
(정답률: 71%)
  •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임의로 조작하거나 녹음기능을 사용하다 적발될 경우,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위배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이 적용됩니다. 이는 법적으로 매우 엄격한 처벌이며,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전기통신의 원활한 발전과 정보사회의 촉진을 위하여 수립하는 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의 이용효율화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사업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사항
  4. 전기통신기자재 관리에 관한 사항
(정답률: 69%)
  • 전기통신기본계획은 전기통신의 이용효율화, 전기통신사업, 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사항을 다루지만, 전기통신기자재 관리에 관한 사항은 다루지 않습니다. 이는 기자재 관리는 사업 운영에 필요한 부수적인 사항으로, 전기통신의 발전과 정보사회 촉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 감리원의 자격기준은 등급으로 구분되어 정하는데, 등급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특급감리원
  2. 고급감리원
  3. 중급감리원
  4. 하급감리원
(정답률: 80%)
  • 등급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전문감리원"입니다. 이는 감리원 자격의 하위 단계로, 감리원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필수 조건 중 하나인 교육과정 이수를 완료한 후에 취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감리원은 등급으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관련 연구기관으로 하여금 정보통신망과 관련된 기술 및 기기의 개발을 추진하도록 하게 하는 주된 사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기술지도
  2. 기술이전
  3. 기술판매
  4. 기술협력
(정답률: 7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관련 연구기관으로 하여금 정보통신망과 관련된 기술 및 기기의 개발을 추진하도록 하게 하는 주된 사업은 "기술지도", "기술이전", "기술판매", "기술협력" 중에서는 "기술판매"가 아닙니다. 이유는 기술판매는 기술을 판매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이 정보통신망과 관련된 기술 및 기기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것은 사업의 주된 목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보호기
  2. 증폭기
  3. 변조기
  4. 유도기
(정답률: 7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기기는 전기적인 충격이나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보호기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국가정보화를 추진할 때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시책 마련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이용자 권익보호를 위한 홍보ㆍ교육 및 연구
  2. 이용자의 불만 및 피해에 대한 신속ㆍ공정한 구제조치
  3. 이용자의 명예ㆍ생명ㆍ신체 및 재산상의 위해 방지
  4. 이용자에 대한 공정한 가치 평가와 분석
(정답률: 60%)
  • "이용자에 대한 공정한 가치 평가와 분석"은 국가정보화를 추진할 때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시책 마련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이용자의 권익보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사항으로, 이용자의 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것은 국가정보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 수집과 분석에 관련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에서 “옥외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풍해대책
  2. 낙뢰대책
  3. 동결대책
  4. 분진대책
(정답률: 81%)
  • 방송통신설비에서 "분진대책"은 옥외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항목이 아닙니다. 분진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미세한 입자로, 설비 내부에 침입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키거나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진 대책은 설비 내부의 청소 및 관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옥외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항목으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ㆍ관리 방침 마련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나열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 근거 및 목적
  2.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 대수, 설치 위치 및 촬영 범위
  3.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자의 영상ㆍ음성정보 확인방법 및 장소
  4. 영상정보의 촬영시간, 보관기간, 보관장소 및 처리방법
(정답률: 66%)
  • 잘못된 것은 없다.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자의 영상ㆍ음성정보 확인방법 및 장소는 포함되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이는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운영하는 사람이 어떤 경우에 영상ㆍ음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확인을 위해 어떤 장소를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명시하는 것이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에서 규정된 사항이며,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운영하는 기관이나 업체는 이를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보통신기술자의 현장배치기준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괄호안에 들어 갈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5천만원
  2. 1억원
  3. 3억원
  4. 5억원
(정답률: 70%)
  • 정보통신기술자의 현장배치기준은 규모에 따라 구분되며, 규모가 클수록 높은 금액의 보증금이 요구된다. 따라서, 가장 큰 규모인 5억원 규모의 현장배치기준에서는 1억원의 보증금이 요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