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29)

정보통신산업기사
(2019-06-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다음 중 전압, 전류, 저항의 보조단위를 정리한 것으로 맞지 않는 것은?

(정답률: 71%)
  • ""은 전류의 보조단위가 아니라 전하의 보조단위이다. 전압의 보조단위는 볼트(V), 전류의 보조단위는 암페어(A), 저항의 보조단위는 옴(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브리지 전파 정류회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맥동(Ripple) 주파수는 전원주파수의 3배이다.
  2. 최대역전압(PIV)은 전원전압의 최대값[Vm]이다.
  3. 변압기의 직류자화가 없어 변압기의 이용률이 높다.
  4. 전원변압기의 2차측 권선의 중간탭이 불필요하며, 권선도 반이면 된다.
(정답률: 63%)
  • "맥동(Ripple) 주파수는 전원주파수의 3배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브리지 전파 정류회로에서는 4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이들 다이오드는 전원주파수의 양 극성 반주기마다 번갈아가며 전류를 흐르게 한다. 따라서 맥동 주파수는 전원주파수의 2배가 아닌 3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중간 탭형 전파 정류와 비교했을 때, 브리지형 전파 정류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고압 정류회로에 적합하다.
  2. 변압기 자기 포화 현상이 거의 없다.
  3. 높은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4. 소형 변압기를 전혀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77%)
  • 소형 변압기를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브리지형 전파 정류회로에서는 전압이 반전되는 구간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전 구간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소형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자기 포화 현상이 해소되지 않고 계속해서 증폭되어 변압기가 과부하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브리지형 전파 정류회로에서는 대형 변압기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쌍극성 소자이다.
  2. 입력신호 전압을 게이트에 인가해서 채널 전류를 제어한다.
  3. BJT보다 저입력 임피던스를 갖는다.
  4. P채널 FET에 흐르는 전류는 전자의 확산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정답률: 56%)
  • FET은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채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특성을 갖습니다. 이는 게이트와 채널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층의 너비를 조절하여 채널 전류를 제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입력신호 전압을 게이트에 인가해서 채널 전류를 제어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과 같은 전류궤환 Bias회로에서 IB는 약 얼마인가?(단, B=100, VBE=0.7[V], Vcc=20[V]이다.)

  1. 1.29[μA]
  2. 12.9[μA]
  3. 2.91[μA]
  4. 29.1[μA]
(정답률: 61%)
  • 전류궤환 Bias회로에서 IB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B = VBE + IBRB

    Vcc - VB = ICRC

    Vcc - VBE - IBRB = ICRC

    IB = (Vcc - VBE) / (RB + (β+1)RC)

    = (20[V] - 0.7[V]) / (100Ω + (100+1)kΩ)

    = 12.9[μA]

    따라서 정답은 "12.9[μ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회로 방식 중에서 안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고정 바이어스
  2. 전압궤환 바이어스
  3. 전류궤환 바이어스
  4. 전압전류궤환 바이어스
(정답률: 65%)
  • 전압전류궤환 바이어스 방식이 안정도가 가장 높은 이유는, 이 방식은 전압과 전류 모두를 이용하여 바이어스를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고정 바이어스나 전압궤환 바이어스 방식과 달리 온도나 배터리 전압 등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류궤환 바이어스 방식보다는 전압의 영향을 덜 받아 안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전압전류궤환 바이어스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0.1[V]의 교류 입력이 10[V]로 증폭되었을 때, 증폭도는 몇 [dB]인가?

  1. 10[dB]
  2. 20[dB]
  3. 30[dB]
  4. 40[dB]
(정답률: 61%)
  • 증폭도는 20log(Av)로 계산된다. 여기서 Av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비율이다. 따라서 Av = 10/0.1 = 100이다. 이를 대입하면 20log(100) = 40[dB]가 된다. 즉, 입력 신호가 0.1[V]에서 10[V]로 증폭되었으므로 40[dB]의 증폭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비정현파 발진기가 아닌 것은?

  1. 멀티바이브레이터
  2. 피어스 BE 발진기
  3. 블로킹 발진기
  4. 톱니파 발진기
(정답률: 62%)
  • 피어스 BE 발진기는 비정현파 발진기가 아닌 것입니다. 이는 피어스 BE 발진기가 정현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정현파 발진기입니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고유진동수를 가진 비정현파 발진기이며, 블로킹 발진기는 전류를 차단하여 발진하는 비정현파 발진기입니다. 톱니파 발진기는 톱니 모양의 구조를 가진 비정현파 발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CR형 발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C동조회로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발진주파수는 CR의 시정수에 의해 정해진다.
  3. C와 R을 사용하여 부궤환에 의해 발진한다.
  4. 저주파 발진 특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7%)
  • 정답은 "C와 R을 사용하여 부궤환에 의해 발진한다." 이다.

    CR형 발진기는 C와 R을 사용하여 부궤환에 의해 발진한다. C와 R은 일종의 타이밍 회로로 작용하여 일정한 주기로 전하를 축적하고 방출함으로써 발진을 유지한다. 따라서 LC동조회로를 사용하지 않는다. 발진주파수는 CR의 시정수에 의해 정해지며, 저주파 발진 특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발진 주파수가 변하는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1. 전원 변압의 변동
  2. 주위의 온도 변화
  3. 부하의 변동
  4. 대역폭의 변화
(정답률: 67%)
  • 대역폭은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발진 주파수가 변하는 주요 요인은 대역폭의 변화가 아닌 전원 변압의 변동, 주위의 온도 변화, 부하의 변동 등이다. 대역폭의 변화는 발진 주파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데 사용되지만,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은 다른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교류 신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1. 진폭
  2. 주파수
  3. 증폭도
  4. 위상
(정답률: 76%)
  • 교류 신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진폭, 주파수, 위상이다. 증폭도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교류 신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아날로그 진폭 변조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SB-LC(DSB-TC)
  2. DSB-SC
  3. FM
  4. SSB
(정답률: 73%)
  •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이며, 아날로그 진폭 변조 방식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펄스변조 방식이 아닌 것은?

  1. PCM
  2. PWM
  3. PPM
  4. PM
(정답률: 67%)
  • 펄스 변조 방식은 PWM, PPM, PM이 있습니다. PCM은 펄스 변조 방식이 아닙니다. PCM은 펄스 코드 변조 방식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동일 조건의 환경에서 PSK, DPSK 및 비동기 FSK 변조방식에 대한 각각의 오류확률에 따른 신호대 잡음비의 품질이 우수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 중 옳은 것은?

  1. PSK > DPSK > FSK
  2. DPSK > PSK > FSK
  3. FSK > PSK > DPSK
  4. FSK > DPSK > PSK
(정답률: 61%)
  • 정답은 "PSK > DPSK > FSK"입니다.

    PSK는 직교하는 두 개의 캐리어 파형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므로, 신호대 잡음비가 높아도 오류확률이 낮습니다. DPSK는 이전 비트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므로 PSK보다는 신호대 잡음비가 낮아도 오류확률이 낮습니다. FSK는 주파수를 변경하여 정보를 전송하므로, 신호대 잡음비가 높아도 오류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PSK가 가장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고, DPSK가 그 다음이며, FSK가 가장 나쁜 품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시간에서 Turn-on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Fail Time
  2. Rise Time + Delay Time
  3. Rise Time
  4. Fail Time + Storage Time
(정답률: 76%)
  • Turn-on 시간은 트랜지스터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은 Rise Time과 Delay Time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Rise Time은 트랜지스터가 전류를 허용하기 시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고, Delay Time은 게이트 전압이 변화하여 트랜지스터가 전류를 허용하기 시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Turn-on 시간은 이 두 시간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저항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의 주요 목적은?

  1. 증폭도를 높이기 위해
  2.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
  3. 베이스 전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4. 이미터 전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정답률: 70%)
  • 콘덴서는 전하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회로에서 스위칭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즉, 콘덴서는 전류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 스위칭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저항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의 주요 목적은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8진수 67을 16진수로 바르게 변환한 것은?

  1. 43
  2. 37
  3. 55
  4. 34
(정답률: 66%)
  • 8진수 67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0 111 이 됩니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6과 7이 각각 6과 7로 유지되므로, 16진수로 바르게 변환한 값은 0x37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T 플립플롭을 구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3%)
  • 정답은 ""이다.

    J-K 플립플롭은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이 바뀌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T 플립플롭을 구현할 때는 J-K 플립플롭의 입력값을 T 플립플롭의 입력값과 연결해야 한다.

    위의 그림에서는 J-K 플립플롭의 J 입력과 K 입력을 T 입력과 NOT(T) 입력으로 연결하고, 클럭 입력은 동일하게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T 입력이 1일 때는 J 입력이 1이 되고 K 입력이 0이 되므로, 이전 상태와 반대로 출력값이 바뀌게 된다. T 입력이 0일 때는 J 입력과 K 입력이 모두 0이 되므로,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회로는 T 플립플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RS 플립플롭으로 구현된 D플립플롭 회로는?

(정답률: 65%)
  • 정답은 ""이다.

    이유는 RS 플립플롭은 S와 R 입력이 모두 0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S와 R 입력이 모두 1일 때는 불확정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 회로에서는 S와 R 입력이 모두 0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S와 R 입력이 모두 1일 때는 불확정 상태가 되지 않도록 S와 R 입력을 서로 반대로 연결하여 구현하였다. 이렇게 하면 S와 R 입력이 모두 1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RAM(Static RAM)과 DRAM(Dynamic RAM)은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가 소멸된다.
  2. DRAM은 S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높이는데 용이하다.
  3. SRAM은 DRAM에 비해 고속이다.
  4. SRAM과 DRAM은 일정 주기마다 재충전이 필요하다.
(정답률: 71%)
  • "SRAM과 DRAM은 일정 주기마다 재충전이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RAM은 정적 램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DRAM은 동적 램으로, 일정 주기마다 충전을 해줘야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DRAM이 S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높이는 것이 용이한 대신에 고속성이 떨어지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정보통신시스템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정보처리를 하는 오프라인 시스템이다.
  2. 이용자와 정보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데이터 단말기가 있다.
  3. 컴퓨터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정보의 가공, 처리, 저장 등을 수행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이 있다.
  4. 단말기 또는 컴퓨터 상호간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어떤 목적이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하는 정보전송회선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78%)
  • 정답: "컴퓨터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정보처리를 하는 오프라인 시스템이다."

    해설: 오프라인 시스템은 컴퓨터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단일 컴퓨터나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컴퓨터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정보처리를 하는" 부분이 맞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송 제어 장치(TCU)에서 입ㆍ출력 장치에 대해 직접적인 제어 및 상태를 감시하는 것은?

  1. 입ㆍ출력 제어부
  2. 입ㆍ출력 장치부
  3. 회선 접속부
  4. 회선 제어부
(정답률: 74%)
  • 입ㆍ출력 제어부는 TCU에서 입ㆍ출력 장치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와 상태 감시를 담당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는 "입ㆍ출력 제어부"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TCU의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사람이 식별 가능한 데이터를 통신 장비가 처리 가능한 2진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역(逆)을 행하는 기능은?

  1. 신호 변환 기능
  2. 입ㆍ출력 기능
  3. 송ㆍ수신 제어 기능
  4. 에러 제어 기능
(정답률: 65%)
  • 입ㆍ출력 기능은 정보 단말기에서 사람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를 통신 장비가 처리 가능한 2진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역(逆)을 수행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정보 단말기와 통신 장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조작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정보 단말기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DTE와 DCE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중요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절차적 특성
  2. 전기적 특성
  3. 기능적 특성
  4. 사회적 특성
(정답률: 79%)
  • 정답은 "사회적 특성"입니다.

    DTE와 DCE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중요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절차적 특성: 데이터 전송 절차와 프로토콜에 대한 규정이 포함됩니다.
    2. 전기적 특성: 전기 신호의 전송과 수신에 대한 규정이 포함됩니다.
    3. 기능적 특성: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기능과 제약 조건에 대한 규정이 포함됩니다.
    4. 사회적 특성: DTE와 DCE 사이의 관계와 상호작용, 그리고 이들 간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규정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사회적 특성은 DTE와 DCE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중요 특성 중 하나입니다. 이는 DTE와 DCE 간의 상호작용과 역할, 책임 등을 규정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DTE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DCE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역할과 책임은 사회적 특성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비트 단위의 다중화에 사용되고, 시간 슬롯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다중화는?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3.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4. 코드 분할 다중화
(정답률: 70%)
  •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는 시간을 일정한 주기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시간 슬롯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비트 단위의 다중화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보통신시스템의 통신회선 종단에 위치한 신호변환장치 중에서 디지털 전송로인 경우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이 가능한 장치는?

  1. 코덱
  2. 음향결합기
  3. 코드변환기
  4.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
(정답률: 78%)
  • 디지털 전송로에서는 쌍극성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입니다.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는 디지털 신호를 다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송로에서는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를 사용하여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지털 케이블방송에서 케이블모뎀의 변ㆍ복조방식이 아닌 것은?

  1. 2FSK
  2. QPSK
  3. 64QAM
  4. 256QAM
(정답률: 64%)
  • 2FSK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케이블모뎀의 변복조 방식과는 다릅니다. QPSK, 64QAM, 256QAM은 모두 직교 진폭 변조 방식으로 케이블모뎀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PCM(Pulse Code Modu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이다.
  2.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단계로 구성된다.
  3. PCM 잡음에는 양자화잡음 등이 있다.
  4. 표본화음(Sampling Rate)은 원신호 최소 주파수의 1/2 이하로 하는 나이키스트(Nyquist)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표본화음(Sampling Rate)은 원신호 최소 주파수의 1/2 이하로 하는 나이키스트(Nyquist)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가 아닙니다.

    PCM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단계로 구성됩니다. PCM 잡음에는 양자화잡음 등이 있습니다. 표본화음(Sampling Rate)은 원신호 최소 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설정해야 하며, 이는 나이키스트(Nyquist) 이론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1/2 이하"라는 부분이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디지털 케이블방송의 모뎀에서 64QAM으로 변조하였다. 64-ary(또는 심볼)는 몇 비트로 구성되는가?

  1. 2
  2. 6
  3. 32
  4. 64
(정답률: 64%)
  • 64QAM은 64개의 서로 다른 심볼을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다. 이는 6비트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CATV의 구성 중 전송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분배선
  2. 간선증폭기
  3. 연장증폭기
  4. 헤드엔드
(정답률: 70%)
  • CATV의 전송계 구성요소는 분배선, 간선증폭기, 연장증폭기, 헤드엔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전송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헤드엔드입니다. 헤드엔드는 CATV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채널을 선택하고, 신호를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송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IP CC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로 가장 거리가 먼 장치는?

  1. VTR
  2. PoE 지원형 Switch
  3. UTP Cable
  4. 광 전송장치
(정답률: 57%)
  • VTR은 IP CC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 중에서 유일하게 거리 제한이 없는 장비가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장치이다. VTR은 비디오 녹화를 위한 장비로, 녹화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나 테이프 등의 저장 매체를 사용한다. 따라서 VTR은 IP 카메라와는 달리 거리 제한이 있으며, IP 카메라에서 전송된 영상을 녹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 HDTV에서 사용하는 영상 변조방식은?

  1. VSB
  2. 8VSB
  3. OFDM
  4. DVB
(정답률: 62%)
  •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 HDTV에서 사용하는 영상 변조방식은 "8VSB"이다. 이는 8-Level Vestigial Sideband의 약자로, 8단계의 부분적인 측면대역을 사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파의 효율성이 높아 신호의 전달 거리가 늘어나고, 다중 경로 간섭에도 강한 안정성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화기의 기능 중 상대방의 번호를 발생시키는 기구로 다이얼(Dial)이 있다. 다음 중 다이얼 신호가 아닌 것은?

  1. DP(Dial Pulse)신호
  2. PB(Push Button)신호
  3. MFC(Multi Frequency Code)
  4. HS(Hook Switch)신호
(정답률: 69%)
  • HS(Hook Switch)신호는 전화기 수화기를 들거나 놓을 때 발생하는 신호로, 다이얼 신호와는 관련이 없다. 다이얼 신호는 DP(Dial Pulse)신호와 PB(Push Button)신호, 그리고 MFC(Multi Frequency Code)로 구성되며, 전화번호를 발신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는?

  1. PCS 단말
  2. CDMA 단말
  3. PSTN 단말
  4. LTE Advanced 단말
(정답률: 82%)
  •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LTE Advanced 기술을 사용하며, 따라서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LTE Advanced 단말기가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인 PCS 단말, CDMA 단말, PSTN 단말은 모두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위성통신에서 자유공간 전파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파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2. 전자밀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3. 파장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주파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70%)
  • "전파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전파가 공간을 퍼져나가면서 전파의 진폭이 약해지는데, 이 진폭의 약화는 전파가 이동한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전파가 이동한 거리가 늘어날수록 전파의 진폭이 약해지므로 전파손실이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위성통신을 위한 시스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구국
  2. 관제국
  3. 통신위성
  4. 위성발사체
(정답률: 79%)
  • 위성발사체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니라, 위성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장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지구국은 위성통신 시스템의 지상국으로, 위성과 통신을 하기 위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관제국은 위성의 운용과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위성의 위치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 통신위성은 지구와 지구 사이를 연결하는 위성으로, 통신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고사양 CPU
  2.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3. 고속지원
  4. 다양한 서비스 형태 이용
(정답률: 83%)
  • 정답: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멀티미디어 기기는 고화질의 영상과 음성을 재생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해상도 디스플레이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으로 맞지 않습니다. 영상과 사운드를 고화질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고사양 CPU와 고속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 형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 기능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뉴미디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즉시성과 공평성
  2. 간편성과 수익성
  3. 개인화와 능동성
  4. 단일화와 단방향성
(정답률: 84%)
  • 단일화와 단방향성은 뉴미디어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과거의 미디어와 달리 뉴미디어에서는 정보의 흐름이 단방향적이지 않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다양한 정보가 동시에 전달되며,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하고 창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단일화는 다양한 플랫폼과 기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뉴미디어에서는 각각의 플랫폼과 기기에 맞게 컨텐츠를 최적화하여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음악 압축에 사용되는 것으로 CD 수준의 음질로 압축하는 표준은?

  1. JPEG
  2. MPEG-2
  3. MP3
  4. MPEG-4
(정답률: 84%)
  • 정답은 "MP3"입니다. MP3는 음악을 압축하는 표준으로, CD 수준의 음질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음악 파일의 용량을 줄이면서도 손실이 적은 음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가 있습니다. JPEG은 이미지 압축에 사용되는 표준이며, MPEG-2는 비디오 압축에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MPEG-4는 오디오 및 비디오 압축에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등과 같이 기존의 기능에 컴퓨터의 기능이 부가된 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와이브로기기
  2. 블루투스기기
  3. 유선데이터기기
  4. 스마트기기
(정답률: 85%)
  • 스마트기기는 기존의 기능에 컴퓨터의 기능이 부가된 기기를 의미합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와이브로기기", "블루투스기기", "유선데이터기기"는 기존의 기능에 컴퓨터의 기능이 부가되지 않은 기기들이므로 정답은 "스마트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16위상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변복조기에서 단위 펄스의 시간간격이 T=8*10-4[s]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와 변조속도는 각각 얼마인가?

  1. 2,500[bps], 1,250[baud]
  2. 5,000[bps], 1,250[baud]
  3. 2,500[bps], 2,500[baud]
  4. 5,000[bps], 2,500[baud]
(정답률: 73%)
  • 데이터 전송속도는 한 개의 심볼(symbol)이 나타내는 비트 수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는 1개의 심볼이 2개의 비트를 나타내므로 데이터 전송속도는 1/2*T=4*10-4[s]당 1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속도는 1/(4*10-4)=2,500[bps]가 된다.

    반면에 변조속도는 한 개의 심볼이 나타내는 주기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는 한 개의 심볼이 T=8*10-4[s]의 주기를 가지므로 변조속도는 1/T=1,250[baud]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00[bps], 1,25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PCM-24/TDM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1 프레임의 비트수는 193개이다.
  2. 표본화 주파수로는 8[kHz]를 사용한다.
  3. 한 채널의 정보 전송량은 64[kbps]이다.
  4. 펄스전송속도는 2,048[Mbps]이다.
(정답률: 65%)
  • 펄스전송속도는 2,048[Mbps]이 아니라 32[Mbps]이다. PCM-24/TDM 시스템에서는 24개의 채널을 TDM 방식으로 전송하며, 각 채널의 정보 전송량은 64[kbps]이므로 총 전송속도는 24 x 64[kbps] = 1,536[kbps]이다. 하지만 이에 추가적으로 동기화 비트와 제어 비트 등이 포함되어 전송되므로 전체 펄스전송속도는 1,536[kbps] x 1.344 = 2,048[Mbp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시분할 다중화 방식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가드밴드(Guard Band) 설정
  2. 비트 삽입식(Bit Interleaving)
  3. 문자 삽입식(Character Interleaving)
  4. 점 대 점 연결방식(Point To Point)
(정답률: 71%)
  •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시간을 분할하여 여러 개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가드밴드(Guard Band) 설정은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시분할 다중화 방식과는 관계가 적다. 비트 삽입식과 문자 삽입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비트나 문자를 교대로 삽입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분할 다중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점 대 점 연결방식은 한 대의 컴퓨터와 다른 한 대의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분할 다중화 방식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변조방식 중 전송과정에서 에러발생 가능성(Error Probability)이 가장 낮은 것은?

  1. ASK
  2. FSK
  3. QAM
  4. PSK
(정답률: 75%)
  • QAM은 직교적인 두 개의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호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다른 변조 방식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QAM은 높은 대역폭 효율성을 가지고 있어서 에러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전송과정에서 에러 발생 가능성이 가장 낮은 변조 방식은 Q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구성 시 1[Gbps] 속도를 지원하는 케이블 등급은?

  1. Category 1
  2. Category 3
  3. Category 5
  4. Category 6
(정답률: 63%)
  • 1[Gbps] 속도를 지원하는 UTP 케이블 등급은 Category 6이다. 이는 Category 6 케이블이 25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며, 이는 1[G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역폭이기 때문이다. 다른 등급인 Category 1, 3, 5는 이보다 낮은 대역폭을 지원하므로 1[Gbps] 속도를 지원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무선랜 주파수로 사용되고 있는 5[GHz] 주파수의 파장은? (단, 전파속도 = 3*108[m/s])

  1. 16.6[m]
  2. 16.7[m]
  3. 0.05[m]
  4. 0.06[m]
(정답률: 65%)
  • 주파수와 파장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됩니다.

    파장 = 전파속도 ÷ 주파수

    따라서, 5[GHz] 주파수의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장 = 3*10^8[m/s] ÷ 5*10^9[Hz] = 0.06[m]

    따라서, 정답은 "0.06[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광통신시스템에서 손실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커넥터 손실
  2. 접속 손실
  3. 전반사 손실
  4. 광섬유 손실
(정답률: 70%)
  • 전반사 손실은 광섬유에서 광파가 굴절되어 발생하는 손실이 아니라, 광섬유에서 광파가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어 발생하는 손실이다. 따라서 광통신시스템에서 손실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전반사 손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외부 피복이나 차폐재가 추가되어 있어 옥외에서 통신기기간에 사용하기 가정 적합한 케이블은 어느 것인가?

  1. UTP
  2. STP
  3. ATP
  4. KTP
(정답률: 68%)
  • 정답은 "STP"입니다. 외부 피복이나 차폐재가 추가되어 있어 옥외에서 통신기기간에 사용하기 가정 적합한 케이블은 STP입니다. STP는 외부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실드로 둘러싸인 케이블로, UTP보다 더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외부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케이블입니다. ATP와 KTP는 존재하지 않는 케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No.7 신호방식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로 틀린 것은?

  1. 메시지 전송부
  2. 신호접속 제어부
  3. 이용자부
  4. 주소부
(정답률: 55%)
  • No.7 신호방식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서 "주소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전송부"라는 계층이 존재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인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의 크기와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소부"는 틀린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혼합형 동기식 전송방식(Isochronous Transmission)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전송속도가 빠르다.
  2.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 전송의 특성을 혼합한 방식이다.
  3. 문자와 문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없다.
  4. Start bit와 Stop bit를 가진다.
(정답률: 74%)
  • 답: "문자와 문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없다."

    혼합형 동기식 전송방식은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의 특성을 혼합한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전송속도가 빠르며 Start bit와 Stop bit를 가진다. 하지만 이 방식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문자와 문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없다. 이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지만, 데이터 전송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전체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HDLC 제어 필드의 구성으로 틀린 것은?

  1. 정보 프레임, 감시 프레임, 비번호제 프레임 등이 있다.
  2. 프레임의 동작 명령, 응답을 위한 제어 정보이다.
  3. 프레임의 종류, 순서번호 등의 제어 정보이다.
  4. 정보 프레임, 감시 프레임, 번호제 프레임 등이 있다.
(정답률: 57%)
  • "비번호제 프레임"은 오타입니다. "번호제 프레임"이 맞습니다.

    HDLC 제어 필드는 프레임의 종류, 순서번호 등의 제어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프레임의 동작 명령과 응답을 위한 제어 정보로 사용됩니다. HDLC에서는 정보 프레임, 감시 프레임, 번호제 프레임 등의 프레임 종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OSI 7계층 참조모델의 각 계층별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제 2계층(물리 계층) : 물리적 연결, 활성화와 비활성화
  2. 제 3계층(네트워크 계층) : 통신망 내 및 통신망 사이의 경로 선택과 중계 기능
  3. 제 4계층(트랜스포트 계층) : 종단 상호간의 에러검출 및 서비스 품질 감시
  4. 제 5계층(세션 계층) : 회화 관리 및 동기 기능 수행
(정답률: 77%)
  • "제 2계층(물리 계층) : 물리적 연결, 활성화와 비활성화"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매체와 전기적 신호를 다루는 계층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물리적 연결과 활성화/비활성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OSI 7계층 참조모델 중에서 물리 계층이 하는 역할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회선의 제어 규약을 정의
  2. 회선의 전기적 규약을 정의
  3. 회선의 다중화 규약을 정의
  4. 회선의 유지보수 규약을 정의
(정답률: 76%)
  •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회선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물리 계층은 회선의 전기적 규약을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규약을 정의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SI 계층에서 통신망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 기능의 제공 및 관리를 규정하는 계층으로서 네트워크 연결관리, 경로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77%)
  • 네트워크 계층은 OSI 계층 중에서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경로 설정 및 라우팅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따라서 통신망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 기능의 제공 및 관리를 담당하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응용 프로그램(응용계층 서비스) 중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프로토콜로 TCP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TFTP
  2. SMTP
  3. HTTP
  4. Telnet
(정답률: 64%)
  • TFTP는 UDP를 사용하여 파일 전송을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므로 TCP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SMTP, HTTP, Telnet은 모두 TCP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서브넷 주소지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기관의 실제 물리 네트워크 구조에 맞게 호스트를 서브넷으로 묶을 수 있다.
  2. 서브넷 수와 서브넷별 호스트의 수를 기관별 필요에 맞게 맞출 수 있다.
  3. 서브넷 구조는 특정 네트워크의 내부 구분이 오직 기관 내에서만 보이도록 구현되어 있다.
  4. 라우팅 테이블 항목을 많이 넣어야 한다.
(정답률: 74%)
  • 답은 "라우팅 테이블 항목을 많이 넣어야 한다." 이다. 서브넷 주소지정의 장점으로는 기관의 실제 물리 네트워크 구조에 맞게 호스트를 서브넷으로 묶을 수 있고, 서브넷 수와 서브넷별 호스트의 수를 기관별 필요에 맞게 맞출 수 있으며, 서브넷 구조는 특정 네트워크의 내부 구분이 오직 기관 내에서만 보이도록 구현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TCP(Transmisson Control Protocol)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결형, 양방향성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2. 메시지 전송을 신뢰할 수 있고, 모든 데이터에 승인이 있다.
  3. 모든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며, 손실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재전송한다.
  4.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계층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만 제공한다.
(정답률: 68%)
  •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계층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만 제공한다."는 TCP의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TCP는 연결형, 양방향성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메시지 전송을 신뢰할 수 있고, 모든 데이터에 승인이 있다. 또한 모든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며, 손실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재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 IP 주소가 십진법으로 129.6.8.4 일 때, 이 주소는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가?

  1. A클래스
  2. B클래스
  3. C클래스
  4. D클래스
(정답률: 77%)
  • 이 주소는 B클래스에 속합니다. B클래스는 첫 번째 옥텟이 128~191 사이의 범위를 가지며, 이 주소의 첫 번째 옥텟이 129이므로 B클래스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HDLC 프레임의 데이터 블록의 앞 부분에 있는 3개의 필드 F(Start Flag), A(Address), C(Control)에 할당된 크기의 총합은 몇 비트인가?

  1. 24[bit]
  2. 21[bit]
  3. 18[bit]
  4. 12[bit]
(정답률: 74%)
  • HDLC 프레임의 데이터 블록의 앞 부분에 있는 3개의 필드 F(Start Flag), A(Address), C(Control)에 할당된 크기의 총합은 24[bit]이다. 이는 F 필드가 8[bit], A 필드가 8[bit], C 필드가 8[bit]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8+8+8=24[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송측이 전송한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더라도, 여러개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기법으로 옳은 것은?

  1. 슬라이딩 윈도우 흐름제어 기법
  2. 정지 대기 흐름제어 기법
  3. 슬라이딩 대기 흐름제어 기법
  4. 슬라이딩 정지 흐름제어 기법
(정답률: 74%)
  • 슬라이딩 윈도우 흐름제어 기법은 전송측이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 내에서 여러개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기법입니다. 이때 수신측은 윈도우 내에서 받을 수 있는 프레임의 개수를 제한하고, 받은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전송합니다. 따라서 전송측은 윈도우 내에서 ACK를 받지 못한 프레임은 재전송하고, 윈도우 내에서 ACK를 받은 프레임은 윈도우를 이동시켜 새로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어떤 시프트 레지스터의 내용을 우측으로 3번 시프트하면 원래의 데이터 값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1. 원래 데이터 값의 8배
  2. 원래 데이터 값의 1/8배
  3. 원래 데이터 값의 3배
  4. 원래 데이터 값의 1/3배
(정답률: 66%)
  • 시프트 연산은 이진수로 표현된 데이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이다. 우측으로 3번 시프트하면 이진수 값이 2의 3승(8)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원래 데이터 값의 1/8배가 된다. 예를 들어, 10010110이라는 이진수 값이 있을 때, 우측으로 3번 시프트하면 00010010이 되며, 이 값은 10010110의 1/8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10진수 13과 같지 않은 것은?

  1. 2진수 1101
  2. 5진수 23
  3. 8진수 15
  4. 16진수 C
(정답률: 72%)
  • 10진수 13은 2진수로 1101, 5진수로 23, 8진수로 15, 16진수로 D와 같습니다. 따라서, 16진수 C가 10진수 13과 같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정보의 단위가 작은 것에서 큰 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파일, 레코드, 필드, 문자, 데이터베이스
  2. 워드,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
  3. 워드, 레코드, 파일, 필드, 데이터베이스
  4. 레코드, 필드, 파일, 문자,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67%)
  • 정답은 "워드,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이다.

    - 문자: 정보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 필드: 여러 개의 문자가 모여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이다.
    - 레코드: 여러 개의 필드가 모여 하나의 묶음을 이루는 단위이다.
    - 파일: 여러 개의 레코드가 모여 하나의 파일을 이루는 단위이다.
    - 데이터베이스: 여러 개의 파일이 모여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이루는 단위이다.

    따라서, 정보의 단위가 작은 것에서 큰 순으로 나열하면 "문자,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가 되며, 이 중에서 "워드"는 필드보다 크고, "레코드"보다 작은 단위이므로 "워드,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ASCII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료를 전송할 때 8비트 중 1비트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하고 나머지 7비트로 27=128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이다.
  2. 영자나 특수 문자까지 확대하기 위해 6비트를 사용하며, 2비트는 Zone 비트이고, 4비트는 수치비트로서 26=64가지 종류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이다.
  3. 8비트를 사용하여 28=256가지의 넓은 범위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어 현재 범용으로 사용되는 코드이다.
  4. 순 2진수 표현 형태로 문자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자리수마다 가중치로서 계산하여 사용하는 코드이다.
(정답률: 65%)
  • "자료를 전송할 때 8비트 중 1비트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하고 나머지 7비트로 2^7=128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ASCII 코드는 7비트로 문자를 표현하며, 8비트 중 1비트는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 비트로 사용된다. 따라서 ASCII 코드는 총 2^7=128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운영체제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으로 알맞게 구성된 것은?

  1. 감시 관리 프로그램, 데스크 관리 프로그램, 시스템 편집 프로그램
  2. 태스크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작업 관리 프로그램
  3. 작업 관리 프로그램, 언어처리 프로그램, 유틸리티 프로그램
  4. 유틸리티 프로그램, 언어처리 프로그램, 시스템 편집 프로그램
(정답률: 60%)
  • 운영체제에서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태스크 관리 프로그램"은 프로세스의 생성, 제어, 종료 등을 관리하고,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며, "작업 관리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작업을 관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태스크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작업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보기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프로그램 중 어떤 것을 설명하고 있는가?

  1. 작업제어 프로그램
  2. 감시 프로그램
  3. 언어번역 프로그램
  4. 서비스 프로그램
(정답률: 77%)
  • 이 그림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될 때, 이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작업제어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작업제어 프로그램은 CPU 스케줄링, 메모리 관리, 입출력 제어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일반 컴퓨터 형태가 아닌 주로 회로 기판 형태의 반도체 기억 소자에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1. 임베디드 시스템
  2. 분산처리 시스템
  3. 병렬 처리 시스템
  4. 멀티 프로세싱 시스템
(정답률: 73%)
  • 임베디드 시스템은 일반 컴퓨터 형태가 아닌 회로 기판 형태의 반도체 기억 소자에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분산처리 시스템, 병렬 처리 시스템, 멀티 프로세싱 시스템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하나의 프로세서 안에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Multi Processing
  2. Multi Programming
  3. Distributed Processing
  4. Real Time Processing
(정답률: 68%)
  • 정답은 "Multi Programming"이다. Multi Programming은 하나의 프로세서 안에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CPU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하여 각 프로그램이 적절한 시간에 CPU를 할당받도록 한다. 이 방식은 CPU의 활용도를 높이고, 프로그램 실행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Processing Scheduling 정책 중 현재 작업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고, 남은 시간이 가장 짧은 JOB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1. FIFO
  2. RR
  3. HRN
  4. SRT
(정답률: 70%)
  • SRT는 Shortest Remaining Time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고, 남은 시간이 가장 짧은 JOB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는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여 평균 대기 시간을 줄이고, 시스템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SRT가 현재 작업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고, 남은 시간이 가장 짧은 JOB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직접 어드레스 지정 방식으로 Jump 명령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jump a, 100
  2. jump 100
  3. jump pc
  4. jump
(정답률: 66%)
  • 정답은 "jump 100"입니다.

    이유는 Jump 명령어는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PC)를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jump 100"은 PC를 100으로 변경하여 100번지에 위치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a"나 "pc"와 같은 레지스터를 지정하거나, 주소값을 함께 지정하지 않아 올바른 명령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정보통신망 응용서비스의 개발에 필요한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부가 마련해야 하는 시책과 거리가 먼 것은?

  1. 국민에 대한 인터넷 교육의 확대
  2. 정보통신망 전문기술인력 양성기관의 설립, 지원
  3. 정보통신망 이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지원
  4.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설비 확충
(정답률: 76%)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설비 확충은 정보통신망 응용서비스의 개발에 필요한 기술인력을 양성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기술인력 양성과는 별개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시설과 장비를 확충하여 정보보호를 강화하는 것으로, 기술인력 양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정보통신공사업에 관련 벌칙 중 가장 엄한 것은?

  1. 공사업 경력수첩을 대여한 경우
  2. 정보통신기술자가 두 곳 이상의 공사업체에 종사하는 경우
  3. 정보통신공사와 감리를 함께 행한 경우
  4. 기술기준에 위반하여 설계를 한 경우
(정답률: 60%)
  • 정보통신공사와 감리를 함께 행한 경우가 가장 엄한 벌칙인 이유는, 감리는 공사의 기술적인 적합성을 검토하고 인증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사와 감리가 함께 행동하면서 부적절한 기술적인 적합성을 인증하거나 부당한 협력을 한 경우, 이는 신뢰성과 공정성을 저해하는 행위로 간주되어 가장 엄한 벌칙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중 방송통신재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나열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 우회 방송통신 경로의 확보
  2. 방송통신설비의 연계 운용을 위한 정보체계의 구성
  3. 피해보상에 관한 사항
  4. 피해복구 물자의 확보
(정답률: 68%)
  • "피해보상에 관한 사항"은 방송통신재난 대응 계획 중에서는 해당되지 않는 항목이다. 방송통신재난 대응 계획은 재난 발생 시에 대처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며, 피해보상은 재난 발생 후에 이루어지는 사후 대응에 해당한다. 따라서 "피해보상에 관한 사항"은 방송통신재난 대응 계획에서 다루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방송통신설비의 보호가 성능 및 접지에 관한 세부기술기준의 고시하는 기관은?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3. 중앙전파관리소
  4.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답률: 65%)
  • 방송통신설비의 보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방송통신설비가 공공의 이익과 안전에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부기술기준을 제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중앙전파관리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는 관련 기관이지만, 세부기술기준의 고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해당공사의 총 공사금액이 7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인 경우 감리원의 배치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특급감리원
  2. 고급감리원
  3. 중급감리원
  4. 초급감리원
(정답률: 69%)
  • 7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인 경우에는 공사규모가 크기 때문에 전문성과 경험이 높은 감리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것은 "특급감리원"이다. 특급감리원은 경력과 전문성이 높은 감리원으로서, 대규모 공사의 감리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은?

  1.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않은 사람
  2. 정보통신사업법의 규정에 위반하여 벌급형의 선고를 받고 2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3. 정보통신사업법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이 취소된 후 1년 초과 2년 이내에 있는 사람
  4. 국가보안법 규정에 죄를 범하여 벌금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된 지 3년 초과 5년 이내에 있는 사람
(정답률: 64%)
  •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은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않은 사람"이다. 국가보안법 규정에 죄를 범하여 벌금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된 지 3년 초과 5년 이내에 있는 사람은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의 결격사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기통신사업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괄호에 들어갈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기간통신역무
  2. 정보통신역무
  3. 별정통신역무
  4. 부가통신역무
(정답률: 58%)
  • "기간통신역무"는 일정 기간 동안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에서 가입자가 선택한 요금제가 1년 계약 기간을 가지고 있을 경우, 이 기간 동안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가 "기간통신역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정보통신사업법에서 발주자로부터 공사를 도급받은 공사업자를 무엇이라 하는가? (상한 허용치, 하한 허용치)

  1. 수급인
  2. 하수급인
  3. 용역업자
  4. 감리업자
(정답률: 53%)
  • 정보통신사업법에서 발주자로부터 공사를 도급받은 공사업자를 "수급인"이라고 한다. 이는 발주자와 계약을 체결하여 발주자로부터 공사를 수급받은 업자를 의미한다. 상한 허용치와 하한 허용치는 이 수급인의 입찰가격에 대한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찰가격이 이 범위를 벗어나면 입찰이 무효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폭 장치는?

  1. 전송장치
  2. 발전장치
  3. 제어장치
  4. 중계장치
(정답률: 81%)
  •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전파가 약해지기 때문에 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가 중계장치입니다. 중계장치는 신호를 받아 증폭시켜 다른 지역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중계장치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의 방송공동수신설비공사
  2. 물류 창고의 방범을 위한 CCTV 설치공사
  3. 우체국의 수전설비 설치공사
  4. 구청의 화상회의시스템 설비공사
(정답률: 76%)
  • 우체국은 정보통신공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정보통신공사란, 정보통신망, 정보통신서비스, 정보통신설비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말하는데, 우체국은 우편물 배달 및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