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2-12)

전파전자통신기능사
(2022-02-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펄스부호변조(PCM)에서 표본당 비트 수가 8일 때 레벨의 수는?

  1. 8
  2. 16
  3. 64
  4. 256
(정답률: 69%)
  • 8비트는 2의 8승인 256가지의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펄스부호변조에서 표본당 8비트를 사용하면 256개의 서로 다른 레벨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주파수 체배기를 설치하는 이유는?

  1. 부하의 변동에 의한 출력주파수에 변화가 없도록 하기 위해
  2. 수정발진기의 진동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얻기 위해
  3. 기생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4. 전건 조작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정답률: 58%)
  • 주파수 체배기는 수정발진기의 진동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얻기 위해 설치합니다. 이는 더 높은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부품이나 회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SSB 수신기에서 자동이득 조정이 곤란한 이유로 맞는 것은?

  1. 신호 주파수가 낮으므로
  2. 송신기의 출력이 적으므로
  3. 반송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4. 측파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정답률: 75%)
  • 자동 이득 조정은 수신기가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입니다. 그러나 SSB 수신기에서는 반송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득 조정이 어렵습니다. 반송파가 없으면 수신기가 신호의 강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SB 수신기에서는 수동으로 이득을 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Radar의 구성요소 중 주요 부품이 아닌 것은?

  1. 고전압기
  2. 송수긴기
  3. 지시기
  4. 스캐너(Scanner)
(정답률: 50%)
  • 고전압기는 레이더에서 전자를 가속시켜 전자빔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는 레이더의 주요 부품 중 하나이며, 다른 부품들과 마찬가지로 레이더 작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전압기는 주요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의 전송방식은?

  1. ATSC
  2. DVB
  3. ISDB
  4. SECAM
(정답률: 45%)
  •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의 전송방식은 ATSC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디지털 TV 방송 표준으로, MPEG-2 비디오 압축 방식을 사용하며, 8비트 8VSB(8-Level Vestigial Sideband) 모드를 이용하여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신호의 안정성이 높아서 멀리 있는 지역에서도 좋은 수신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FM전파를 수신할 때 그 전파가 약하거나 0일 때 수신기의 출력에 큰 잡음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저주파 증폭단을 차단하는데 사용하는 회로는?

  1. 스텝 회로
  2. 스퀠치 회로
  3. 디엠파시스 회로
  4. 프리엠파시스 회로
(정답률: 69%)
  • 스퀠치 회로는 입력 신호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출력 신호를 차단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FM전파의 약한 신호나 0 신호를 수신할 때, 출력 신호에 큰 잡음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저주파 증폭단을 차단하여 깨끗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송신 안테나에서 발사된 전파가 수신 안테나에 도달할 때 여러 가지 통로의 차에 의해 시간적 차이가 생겨 같은 신호가 여러 번 되풀이 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1. 델린저 현상
  2. 공전
  3. 자기람
  4. 에코
(정답률: 71%)
  • 송신 안테나에서 발사된 전파가 수신 안테나에 도달할 때, 거리나 장애물에 따라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전파가 전달되면서 시간적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시간적 차이로 인해 수신 안테나에서는 같은 신호가 여러 번 되풀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을 에코라고 합니다. 즉, 송신된 신호가 되돌아오는 현상을 에코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고이득, 저잡음 특성을 이용한 위성통신 지구국용 안테나로 사용하는 안테나는?

  1. 카세그레인 안테나
  2. 브라운 안테나
  3. 웨이브 안테나
  4. 롬빅 안테나
(정답률: 44%)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고이득, 저잡음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성통신 지구국용 안테나로 적합합니다. 이는 카세그레인 안테나가 반사면과 초점면을 분리하여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안테나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잡음이 감소되어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단파용 안테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
  2. 역 L형 안테나
  3. 롬빅 안테나
  4. 빔 안테나
(정답률: 80%)
  • 단파용 안테나 중에서는 "역 L형 안테나"가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주파수 대역이 다른 안테나입니다. 단파용 안테나는 주로 1MHz ~ 3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역 L형 안테나는 주로 VHF(30MHz ~ 300MHz)와 UHF(300MHz ~ 3GHz) 대역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역 L형 안테나는 단파용 안테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무선송신기에서 고주파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급전선의 필요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급전선의 파동 임피던스가 커야 한다.
  2. 급전선의 전송효율이 좋아야 한다.
  3. 절연 내력이 커야 한다.
  4. 타 전파의 유도방해를 주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77%)
  • "급전선의 파동 임피던스가 커야 한다."는 무선송신기에서 고주파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급전선의 필요조건 중 가장 중요한 조건입니다. 이는 급전선과 공기 중의 전기장이 일치해야 전력이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동 임피던스가 작으면 전력이 반사되어 전송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급전선의 파동 임피던스가 커야 전력이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송신기에서 송신안테나까지 또는 수신안테나에서 수신기까지 접속하여 고주파 전력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선로는?

  1. 점퍼선
  2. 급전선
  3. 리드선
  4. 전력선
(정답률: 88%)
  • 고주파 전력을 전송하는데는 점퍼선, 리드선, 전력선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급전선입니다. 이는 고주파 전력을 전송할 때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항이 낮은 굵은 동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급전선은 안테나와 송신기 또는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송 손실이 적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장거리 통신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주파수 공용통신(TRS)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서비스 영역이 넓다.
  2. 통화시간에 제한이 없다.
  3. 비밀통화기능이 필요하다.
  4.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다.
(정답률: 63%)
  • 정답: "통화시간에 제한이 없다."

    이유: 주파수 공용통신(TRS)은 통화시간에 제한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분 이내의 통화만 가능하며, 이후에는 추가 요금이 부과됩니다. 따라서 "통화시간에 제한이 없다"는 특징은 해당 서비스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NAVTEX 관련 규정 및 정보에 맞지 않은 것은?

  1. 수색 및 구조 정보는 경보 신호를 포함하여 정해진 시간과 무관하게 방송할 수 있다.
  2. 국제 NAVTEX 업무는 영어를 사용하는 협대역 직접인쇄전신(NBDP)에 의하여 518kHz에서 MSI의 방송 및 자동 수신을 말한다.
  3. 전파규칙에서 MSI취급 주파수는 490kHz 또는 4209.5kHz로도 지정되어 있다.
  4. Sea Area 3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8%)
  • Sea Area 3은 NAVTEX가 적용되지 않는 해역이기 때문에 Sea Area 3에서 NAVTEX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Sea Area 3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가 정보에 맞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DSC(Digital Selective Calling)를 사용한 조난 중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난 중계는 반드시 수동으로 발신되어야 한다.
  2. DSC에 의한 자동 또는 반자동의 조난 중계는 금지하고 있다.
  3. VHF DSC 또는 MF DSC로 조난 경보를 수신한 선박은 DSC에 의한 조난 중계를 할 수 없다.
  4. HF DSC로 조난 경보를 수신한 선박은 1시간 이상 해안국으로부터 조난 응답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DSC에 의하여 조난 중계를 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정답은 "VHF DSC 또는 MF DSC로 조난 경보를 수신한 선박은 DSC에 의한 조난 중계를 할 수 없다."입니다.

    해설: DSC는 디지털 방식으로 통신을 하며, 조난 중계도 DSC를 통해 자동으로 발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금지되어 있으며, 조난 중계는 반드시 수동으로 발신되어야 합니다. 또한, VHF DSC 또는 MF DSC로 조난 경보를 수신한 선박은 DSC에 의한 조난 중계를 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HF DSC로 조난 경보를 수신한 선박은 1시간 이상 해안국으로부터 조난 응답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DSC에 의하여 조난 중계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위성통신의 다원접속방식이 아닌 것은?

  1. 고정 할당 다원 접속 방식
  2. 시분할 다원 접속 방식
  3.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4.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정답률: 50%)
  • 고정 할당 다원 접속 방식은 사용자마다 고정된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다른 다원접속 방식과는 달리 대역폭이 고정되어 있어 유연성이 떨어지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위성통신에서는 다른 다원접속 방식들이 사용되지만, 고정 할당 다원 접속 방식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정 할당 다원 접속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인마세트-C(Inmarsat-C)의 부가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동 전화 기능
  2. 고기능 그룹 호출
  3. 축적 및 전송 방식
  4. 선박 보안 경보 장치
(정답률: 42%)
  • 인마세트-C는 자동 전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인마세트-C는 고기능 그룹 호출, 축적 및 전송 방식, 선박 보안 경보 장치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피변조 출력 전력이 30[kW], 변조도가 60[%]인 무선 송신기의 반송파 전력은 약 몇 [kW]인가?

  1. 24.4
  2. 25.4
  3. 48.8
  4. 50.8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송신기의 안테나으로부터 50미터 지점에서의 전계강도가 50[V/m]이었다면, 이 안테나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500미터 떨어진 곳에서의 전계강도는 몇 [V/m]인가?

  1. 500
  2. 50
  3. 5
  4. 0.5
(정답률: 59%)
  • 전파는 거리가 늘어날수록 감쇠되므로, 거리가 10배인 500미터 지점에서의 전계강도는 1/100배인 0.5[V/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가 아닌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무선통신 설비에서 공중선 전류계의 지시가 2[A]이고, 안테나공급전력이 40[W]일 때 안테나 실효저항은?

  1. 10[Ω]
  2. 20[Ω]
  3. 30[Ω]
  4. 40[Ω]
(정답률: 35%)
  • 안테나공급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안테나공급전력 = 안테나전압^2 / 안테나저항

    안테나전압은 공중선 전류계의 지시값과 안테나저항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공중선 전류 = 안테나전압 / (공중선 저항 + 안테나저항)

    공중선 전류계의 지시가 2[A]이므로 공중선 전류는 2[A]입니다. 또한, 공중선 저항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므로 0으로 가정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안테나전압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안테나전압 = 2[A] x 안테나저항

    따라서, 안테나공급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40[W] = (2[A] x 안테나저항)^2 / 안테나저항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안테나저항 = 10[Ω]

    따라서, 정답은 "1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축전지 용량 시험 회로에서 무부하시 전압이 20[V]이고, 부하저항 9[Ω]을 접속했을 때 전류의 값이 2[A]라고 한다면 축전지 내부 저항은 얼마인가?

  1. 1[Ω]
  2. 2[Ω]
  3. 3[Ω]
  4. 4[Ω]
(정답률: 59%)
  • 오므로의 법칙에 따라, 전압(V) = 전류(I) x 저항(R) + 내부저항(r)이 성립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압과 전류, 부하저항이 주어졌으므로 내부저항을 구할 수 있습니다.

    20[V] = 2[A] x 9[Ω] + r
    r = 20[V] - 18[Ω]
    r = 2[Ω]

    따라서, 축전지 내부 저항은 2[Ω]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1[Ω]"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항행 구역별(A1, A2, A3, A4)로 구비할 GMDSS 무선설비가 다르다. 해상인명안전조약 상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PIRB)를 설치해야 할 항행 구역을 모두 고른 것은?

  1. A1, A2, A3 해역
  2. A2, A3, A4 해역
  3. A1, A3, A4 해역
  4. A1, A2, A3, A4 해역
(정답률: 73%)
  • 해상인명안전조약(GMDSS)에서는 항행 구역별로 구비해야 할 무선설비가 정해져 있습니다.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PIRB)는 모든 항행 구역에서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무선설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1, A2, A3, A4 해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4. ㄱ, ㄴ, ㄷ
(정답률: 69%)
  • - AIS는 선박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ㄱ)
    - AIS는 선박 간의 충돌 예방 및 해양 안전을 위해 사용된다. (ㄴ)
    - AIS는 레이더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레이더와 달리 선박의 실제 위치를 알려주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ㄷ)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TU 헌장과 협약에 규정된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최상위 기관은?

  1. 사무총국
  2. 이사회
  3. 전권회의
  4. 국제전기통신회의
(정답률: 47%)
  • 전권회의는 ITU의 최상위 기관으로, ITU 헌장과 협약에 규정된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사회와 국제전기통신회의는 전권회의의 하위 기관으로, 사무총국은 ITU의 운영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국제전기통신협약의 업무규칙 중 '전파규칙'의 약어는?

  1. TR
  2. FR
  3. RR
  4. ARR
(정답률: 54%)
  • 국제전기통신협약에서 'RR'은 'Radio Regulations'의 약어로, 전파에 대한 규칙을 정하는 업무규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문장의 문맥상 괄호 안에 가장 적당한 단어는?

  1. except
  2. ever
  3. whenever
  4. of
(정답률: 89%)
  • 문장에서 "except"는 "제외하고"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ever", "whenever", "of"는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과 뜻이 다른 것은?

  1. maintain watch
  2. remain watch
  3. keep off
  4. keep watch
(정답률: 67%)
  • "Maintain watch", "remain watch", "keep watch"은 모두 '주시하다', '감시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keep off"는 '멀리 떨어지다', '접근하지 않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단어들과 의미가 다릅니다. 이 문장에서는 "keep off"를 사용하여 사람들이 금지된 지역에 접근하지 않도록 경고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로 틀린 것은?

  1. it's
  2. no
  3. believe
  4. with
(정답률: 74%)
  • 문장에서 "it's"는 "it is"의 축약형으로, "그것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문장의 의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it's"가 들어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을 가장 옳게 번역한 것은?

  1. 안전통보가 자국에 염려 없는 것을 느낄 때까지
  2. 안전통보가 자국에 관계없다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3. 안전통보가 자국에 중요하다고 인정될 때까지
  4. 안전통보가 자국에 만족할 정도로 관계 있을 때까지
(정답률: 72%)
  • The reason why the correct answer is "안전통보가 자국에 관계없다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is because the sentence is talking about the need for confirmation that the safety notification does not affect one's own countr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hat do you call the person responsible for a ship?”에 대답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captain
  2. stevedore
  3. master
  4. commander
(정답률: 44%)
  • 정답은 "stevedore"입니다.

    "Stevedore"는 선박 화물을 싣고 내리는 일을 하는 노동자를 뜻합니다. 따라서 선박을 책임지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이 직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captain", "master", "commander"는 모두 선박을 책임지는 사람을 뜻합니다. "Captain"은 일반적으로 상용선의 선장을 뜻하며, "master"는 항해사의 선장을 뜻합니다. "Commander"는 군함의 지휘관을 뜻하기도 하지만, 민간 선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직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THIS'의 각 문자에 대한 영문음성통화표의 사용 단어 표기가 잘못된 것은?

  1. T : TANGO
  2. H : HOTEL
  3. I : INDIA
  4. S : STRESS
(정답률: 75%)
  • 'S : STRESS'가 잘못된 표기입니다. 영문음성통화표에서 'S'는 'SIERRA'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무선전화 절차용어 중 “STOP”은 다음 중 어떤 것을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

  1. 숫자 2
  2. 숫자 6
  3. 숫자 9
  4. 종지부
(정답률: 84%)
  • "STOP"은 통화를 종료하고 연결을 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종지부"가 정답입니다. 숫자 2는 전화를 받는 사람이 없을 때 사용하는 "다시 걸기" 기능, 숫자 6은 전화를 전환하는 기능, 숫자 9는 전화를 재발신하는 기능을 나타내며, "STOP"과는 다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선교 대 선교 통신은?

  1. ship-to-ship communications
  2. ship-to-shore communications
  3. shore-to-shore communications
  4. Bridge-to-bridge communications
(정답률: 89%)
  • 선교 대 선교 통신은 "Bridge-to-bridge communications" 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와 달리 선박 내부에서 다른 선박과의 통신을 의미합니다. 즉, 다른 선박과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필요한 통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문장의 우리말 번역으로 적합한 것은?

  1. 해상 인명구조대원 자격에 대한 조약
  2. 해상의 선박에 승선한 선원신분을 위한 국제조약
  3. 해상에서 있어서의 인명의 안전을 위한 국제조약
  4. 해상에서 무선통신사의 신분보장을 위한 국제조약
(정답률: 89%)
  • 해상에서 있어서의 인명의 안전을 위한 국제조약입니다.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전문의 밑줄 친 약어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POSN : POSITION
  2. TCO : TRUE COUNTING
  3. DEGS : DEGREES
  4. KTS : KNOTS
(정답률: 89%)
  • TCO는 "True Count Out"의 약어로, 블랙잭 게임에서 카드를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TRUE COUNTING"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문장이 설명하는 것은 어떤 선박인가?

  1. 도선선
  2. 입항선
  3. 출항선
  4. 예인선
(정답률: 80%)
  • 이 문장은 선박이 항구에 입항할 때 사용하는 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항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괄호 안에 가장 적당한 것은?

  1. shell
  2. audience
  3. service
  4. tone
(정답률: 84%)
  • 이미지에서는 전화기와 손이 그려져 있으며, 전화기는 일반적으로 고객 서비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service"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istress communications에서 조난통신을 지휘하는 국이 조난통신방해국에 전파침묵을 요구할 때 사용하는 용어는?

  1. SOS
  2. ALERT
  3. PAN PAN PAN
  4. Seelonce Mayday
(정답률: 75%)
  • "Seelonce Mayday"는 조난통신을 방해하는 전파침묵을 요구하는 용어입니다. "Seelonce"는 프랑스어로 "유지하다"라는 뜻이며, "Mayday"는 조난상황을 나타내는 신호어입니다. 따라서 "Seelonce Mayday"는 "조난통신을 유지하라, 조난상황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조난통신을 방해하는 국이 전파침묵을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1. to
  2. as
  3. on
  4. with
(정답률: 50%)
  • 이 문장에서 "with"는 "함께"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는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일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with"가 가장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ITU 전파규칙에 부합되도록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Distress Signal
  2. Distress Alert
  3. Acknowledgement
  4. NAVAREA Waring
(정답률: 53%)
  • 해당 그림은 "Distress Signal"을 보낸 선박이 "Acknowledgement"를 받았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ITU 전파규칙에서는 "Distress Signal"을 보낸 선박이 "Acknowledgement"를 받을 때까지 다른 선박들은 해당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Acknowledgement"가 정답입니다. "Distress Alert"는 "Distress Signal"을 보내기 전에 보내는 경고 신호이며, "NAVAREA Warning"은 해양 정보를 제공하는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1. the VHF DSC Group Call
  2. the MF/HF Group Call
  3. the Cospas-sarast Group Call
  4. the Inmarsat Enhanced Group Call (EGC)
(정답률: 63%)
  • 해당 문장에서는 Inmarsat Enhanced Group Call (EGC)에 대한 설명이 주어졌기 때문에 정답은 "the Inmarsat Enhanced Group Call (EGC)"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 중 전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파법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2. 전파에 관한 기술의 개발을 촉진
  3. 공공복리의 증진
  4. 국위의 선양
(정답률: 79%)
  • 정답은 "국위의 선양"입니다. 전파법은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전파에 관한 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하지만 "국위의 선양"은 전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목적과 거리가 멀며, 이는 법적인 용어로는 명확하지 않은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는 전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전파법에서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무선국
  2. 무선설비
  3. 방송국
  4. 송신설비
(정답률: 71%)
  • 전파법에서는 무선으로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시설을 "무선설비"라고 합니다. 이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선설비는 무선국과 송신설비를 포함하며, 방송국은 무선설비 중에서도 방송을 전송하는 시설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이동체에 개설한 무선국에 대하여 전파를 발사하여 그 전파발사 위치에서의 방향 또는 방위를 그 무선국이 결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항행업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무선표지업무
  2. 무선탐지업무
  3. 무선방향탐지업무
  4. 무선측위업무
(정답률: 48%)
  • 이동체에 개설한 무선국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위치를 표시하는 업무를 무선표지업무라고 합니다. 이는 이동체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체에서 발사된 전파의 방향을 결정하여 무선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주파수 회수 또는 재배치를 할 때에 해당 시설자에게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여야 하는 경우는?

  1. 시설자 등의 요청에 따른 경우
  2. 국제전기통신연합이 모든 국가가 공통적으로 수용하여야 할 주파수 국제분배를 변경함에 따라 주파수분배를 변경한 경우
  3.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4. 주파수의 용도가 제2순위 업무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정답률: 47%)
  •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는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때 해당 시설자에게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전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설자의 요청이나 국제전기통신연합의 변경 등과는 달리,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목적이 우선시되며, 이를 위해 시설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파이용 촉진과 새로운 전파 관련 기술 개발과 전파방송기기 산업의 발전 등을 위한 전파진흥기본계획은 몇 년마다 수립해야 하는가?

  1. 2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률: 83%)
  • 전파진흥기본계획은 전파방송기기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전파 관련 기술 개발, 전파 이용 촉진 등을 위한 중요한 계획입니다. 이러한 계획은 기술의 발전과 산업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현대 사회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파진흥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주파수분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의 사용제한
  2.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동향
  3. 전파이용 기술의 발전추세
  4.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정답률: 39%)
  • 주파수분배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전파이용 기술의 발전추세"입니다. 주파수분배는 주파수를 이용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공존할 수 있도록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이므로, 주파수의 사용제한과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동향, 그리고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전파이용 기술의 발전추세는 주파수분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파법에 규정된 과태료를 부과 또는 징수하는 기관에 해당되는 것은?

  1. 국가정보원
  2.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3. 한국전파진흥협회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답률: 75%)
  • 전파법은 전파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는 법률이며, 이를 시행하기 위해 과태료를 부과하거나 징수하는 기관으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해당됩니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파법 시행령에서 "전파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는 법률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파법에 규정된 과태료를 부과하거나 징수하는 기관으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신고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간이무선국용 무선설비 중 차량에 설치하지 않는 휴대용 무선기기
  2. 전파천문업무를 행하는 수신전용 무선기기
  3.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기간통신역무를 제공하기 위한 PCS무선국
  4. 아마추어국
(정답률: 50%)
  • 아마추어국은 무선 통신을 취미로 하는 개인이 운영하는 무선국으로, 일반인이 신고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에 포함되지만, 다른 보기들은 상업적인 목적이나 전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무선기기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VHF DSC에서 발생된 허위의 조난경보를 취소하는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즉시 장비의 전원을 끈다.
  2. 장비를 다시 작동시켜 채널 16번으로 선택한다.
  3. 근처 해안국을 호출하여 본선의 성명, 호출부호 등을 통보한다.
  4. 통보 내용에 “본선에서 몇시 몇분에 발신된 조난 경보를 취소한다.”는 사항을 포함한다.
(정답률: 3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무선국에 배치할 수 있는 무선종사자는?

  1. 피성년후견인
  2. 형법 중 내란의 죄를 범하여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고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전파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난 후 2년이 지난 자
  4. 국가보안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난 후 2년이 지난 자
(정답률: 77%)
  • 전파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난 후 2년이 지난 자는 무선국에 배치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전파법 위반으로 인한 범죄기록이 있기 때문입니다. 무선국은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장치이므로, 전파법 위반으로 인한 범죄기록이 있는 사람은 무선국에 배치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송신장치의 종단증폭기 정격출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균전력
  2. 규격전력
  3. 첨두전력
  4. 반송파전력
(정답률: 64%)
  • 송신장치의 종단증폭기는 전파를 발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때, 종단증폭기의 출력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해야 하며, 이를 정격출력이라고 합니다. 이 정격출력은 일반적으로 규격전력으로 표시되며, 이는 해당 장치가 최대한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송신장치의 종단증폭기 정격출력을 규격전력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초단파대 양방향 무선전화장치(2-Way VH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원 공급 후 5초 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2. 156.8[MHz]를 포함한 2파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을 것
  3. 방수복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하며, 휴대용의 경우 휴대하기 편리할 것
  4. 전지 용량은 송신시간의 수신시간에 대한 비율은 9:1로 하여 8시간 이상 작동하기에 충분할 것
(정답률: 65%)
  • "전지 용량은 송신시간의 수신시간에 대한 비율은 9:1로 하여 8시간 이상 작동하기에 충분할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송신시간과 수신시간에 따라 전지 소모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작동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지 용량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숫자는?

  1. 0.1
  2. 0.3
  3. 0.5
  4. 1
(정답률: 47%)
  • 주어진 그림은 1을 10등분한 것으로, 각 구간은 0.1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왼쪽에서부터 5번째 구간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ITU의 기본구조와 정신에 관한 헌장의 주요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합의 기능에 관한 기타 규정
  2. 전기통신에 관한 일반 규정
  3. 전기통신업무 운용에 관련된 각종 규정
  4. 전파통신에 관한 특별 규정
(정답률: 65%)
  • ITU의 기본구조와 정신에 관한 헌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ITU는 전기통신 및 정보통신 분야에서 국제적인 협력과 표준화를 촉진하는 국제기구입니다.
    2. ITU는 회원국 간의 평등과 상호협력을 기본 원칙으로 합니다.
    3. ITU는 전기통신 및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기술 발전과 보급을 촉진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지원합니다.
    4. ITU는 회원국 간의 의견 조율과 협력을 위해 다양한 기구와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따라서, "전기통신업무 운용에 관련된 각종 규정"은 ITU의 기본구조와 정신에 관한 헌장의 주요 내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ITU의 업무와 관련된 구체적인 규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국제전기통신연합의 헌장에서 규정하는 전기통신에 관한 일반 규정이 아닌 것은?

  1. 유해한 통신
  2. 전기통신의 중지
  3. 전기통신의 비밀
  4. 관용통신의 우선순위
(정답률: 74%)
  • 정답: "유해한 통신"

    설명: 국제전기통신연합의 헌장에서는 전기통신의 중지, 전기통신의 비밀, 관용통신의 우선순위 등에 대한 일반 규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해한 통신"은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국가별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유해한 통신은 다른 사람의 권리나 자유를 침해하는 내용이나 선정적인 내용 등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항해경보, 기상경보, 기상예보 또는 긴급한 정보를 선박 앞으로 방송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해사기상정보
  2. 해사안전정보
  3. 해사긴급정보
  4. 해사조난정보
(정답률: 57%)
  • 해사안전정보는 선박이 항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는 항해경보, 기상경보, 기상예보, 조난상황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해사안전정보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총톤수 300톤 이상 500톤 미만의 화물선에는 최소한 몇 대의 양방향 VHF 무선전화장치를 비치해야 하는가?

  1. 1대
  2. 2대
  3. 3대
  4. 4대
(정답률: 89%)
  • 해당 화물선은 규모가 크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최소한 2대의 양방향 VHF 무선전화장치를 비치해야 합니다. 이는 교신장치가 1대만 있을 경우 장치 고장 등으로 인해 통신이 불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통신보안의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신속한 통신의 소통
  2. 정보 누설량의 최소화
  3. 비밀누설 가능성의 사전제거
  4. 정보내용의 은닉 및 해독의 지연
(정답률: 65%)
  • 신속한 통신의 소통은 통신보안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통신보안의 목적은 정보 누설량의 최소화, 비밀누설 가능성의 사전제거, 정보내용의 은닉 및 해독의 지연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무선통신운용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되는 통신제원으로 적절한 것은?

  1. 호출부호, 주파수, 교신시간
  2. 호출부호, 교신시간, 송신소 위치
  3. 주파수, 교신시간, 송신 출력
  4. 주파수, 송신출력, 송신소 위치
(정답률: 65%)
  • 무선통신에서는 통신을 하기 위해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호출부호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주파수를 할당받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교신시간은 통신을 할 때 언제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호출부호, 주파수, 교신시간"이 가장 기본적인 통신제원으로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암호보안의 보호대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암호와 평문의 이중송신하여 정확성을 확보한다.
  2. 암호와 평문이 혼합사용을 금지한다.
  3. 사용횟수에 따라 적시적인 변경사용을 한다.
  4. 암호문에 대한 질의·응답은 같은 체계의 암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82%)
  • 암호와 평문의 이중송신하여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은 적절한 보호대책입니다. 이는 암호화된 데이터와 원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두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중간에 데이터가 변조되거나 손실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암호와 평문이 혼합사용을 금지하거나, 사용횟수에 따라 적시적인 변경사용을 한다는 것도 중요한 보호대책입니다. 암호와 평문이 혼합되면 암호화된 데이터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사용횟수가 많아질수록 암호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암호문에 대한 질의·응답은 같은 체계의 암호를 사용하는 것이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