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3-12)

전파전자통신기능사
(2022-03-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디지털 신호(0, 1)의 정보 내용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디지털 변조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81%)
  • ASK(진폭 변조)는 디지털 신호의 정보 내용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디지털 변조방식입니다. 0과 1에 대해 각각 다른 진폭을 부여하여 전송하므로, 수신측에서는 진폭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SK가 디지털 신호의 정보 내용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디지털 변조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무선송신기의 스퓨어리스 발사를 경감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조회로의 Q를 높게 한다.
  2. π형 결합회로(LPF)를 사용한다.
  3. 급전선에 트랩(trap)을 사용한다.
  4. 기수차 고조파 제거를 위해 A급 증폭회로를 사용한다.
(정답률: 59%)
  • 기수차 고조파는 스피어리스 발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기수차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A급 증폭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옳은 대책이다. A급 증폭회로는 고조파를 제거하고, 깨끗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수차 고조파 제거를 위해 A급 증폭회로를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AM 통신 방식에 비해 FM 통신 방식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점유주파수대폭이 비교적 좁다.
  2. 주로 초단파대 이상에서 사용된다.
  3. 송·수신기의 회로가 간단하다.
  4. 소비전력이 많다.
(정답률: 84%)
  • FM 통신 방식은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주파수 변화에 따라 신호를 전송합니다. 이에 비해 AM 통신 방식은 진폭 변조 방식으로, 진폭의 크기에 따라 신호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FM 통신 방식은 주로 초단파대 이상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주파수 대역폭이 비교적 좁기 때문입니다. 초단파대 이상에서는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질수록 신호가 감쇠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폭이 좁은 FM 통신 방식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Radar의 송신기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주발진기(Trigger generator)
  2. 변조기
  3. 마그네트론(Magnetron)
  4. 지시기
(정답률: 64%)
  • 지시기는 레이더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으로, 송신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송신기의 구성요소로는 주발진기, 변조기, 마그네트론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디지털TV 방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고화질, 고음질이다.
  2. 한 채널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방송할 수 있다.
  3.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4. 디지털TV방송은 셋톱박스를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다.
(정답률: 85%)
  • 디지털TV방송은 셋톱박스를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디지털TV방송은 디지털TV나 디지털TV 내장형 수신기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PIRB: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박의 갑작스런 침몰 시에 자동으로 부양하여 조난신호를 전송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비콘이다.
  2. 선박이 침몰 시 1.5~4m 사이의 수압을 받으면 수압 풀림 장치가 작동하여 EPIRB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3. 태풍 또는 심한 횡요가 있는 경우 선박에서 분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잠시 선내에 보관해 두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수압 이탈 장치의 유효기간은 2년이며, EPIRB 배터리의 유효기간은 일반적으로 5년이다.
(정답률: 89%)
  • "태풍 또는 심한 횡요가 있는 경우 선박에서 분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잠시 선내에 보관해 두어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EPIRB는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장비이므로 선내에 보관해 두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EPIRB는 항상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최적운용주파수(FOT)가 17[MHz]일 때 최고사용주파수(MUF)는 대략 몇 [MHz]인가?

  1. 8.5[MHz]
  2. 10[MHz]
  3. 17[MHz]
  4. 20[MHz]
(정답률: 77%)
  • 최적운용주파수(FOT)는 대역폭이 1.5배인 최고사용주파수(MUF)와 비례한다는 경험적인 공식이 있습니다. 따라서 최고사용주파수(MUF)는 FOT x 1.5 = 17 x 1.5 = 25.5[MHz] 입니다. 그러나 이론적인 값이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20[MHz]이며, 이는 경험적인 공식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야기안테나의 구성소자가 아닌 것은?

  1. 도파기
  2. 증폭기
  3. 투사기
  4. 반사기
(정답률: 50%)
  • 야기안테나는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 도파기, 투사기, 반사기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증폭기는 전기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야기안테나의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초단파(VHF)용 안테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휩 안테나
  2. 브라운 안테나
  3. 슬리브 안테나
  4. 롬빅 안테나
(정답률: 64%)
  • 롬빅 안테나는 UHF(ultra high frequency)용 안테나로, VHF용 안테나가 아닙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초단파(VHF)용 안테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롬빅 안테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급전선의 필요조건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전송 효율이 좋아야 한다.
  2. 급전선의 파동 임피던스는 커야한다.
  3.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4. 외부의 다른 신호와 유도 방해를 주거나 받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7%)
  •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급전선의 파동 임피던스는 커야하는 이유는, 파동 임피던스가 작을 경우에는 전송 신호가 반사되어 전송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급전선의 파동 임피던스는 커야 전송 효율이 좋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입사파 전압이 10[V], 반사파 전압이 2[V]일 경우 정재파비(VSWR)는 얼마인가?

  1. 0.5
  2. 1
  3. 1.5
  4. 2
(정답률: 67%)
  • VSWR은 (입사파 전압 + 반사파 전압) / (입사파 전압 - 반사파 전압)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V] + 2[V]) / (10[V] - 2[V]) = 1.5 이므로 정답은 "1.5" 입니다.

    이는 반사파와 입사파의 전압 차이가 작을수록 VSWR 값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반사파가 적게 발생할수록 VSWR 값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마이크로파 통신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송파 주파수가 높으므로 외부 잡음의 영향이 작다.
  2. 지향성이 예민하여 점대점(Point To Point) 통신이 가능하다.
  3. 통신범위는 일반적으로 큰 장애물이 없는 가시거리 내이다.
  4. 파장이 짧으므로 전리층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이 용이하다.
(정답률: 88%)
  • 파장이 짧으므로 전리층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이 용이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짧아서 공기 중에서 직선으로만 진행되며 지평선 이상의 원거리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통신은 일반적으로 전파 중계기나 위성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 통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ea Area 2에서 DSC 기능을 장착하고 있는 GMDSS 장비는?

  1. NAVTEX 수신기
  2. MF/HF 무선설비
  3. Immarsat-F 통신장비
  4. 위성 EPIRB
(정답률: 78%)
  • Sea Area 2는 중장거리 항해를 하는 해역으로, MF/HF 무선설비는 중장거리 통신에 적합한 장비이기 때문에 DSC 기능을 장착한 GMDSS 장비로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NAVTEX 수신기는 해역 내 정보 수신에, Immarsat-F 통신장비는 극장거리 통신에, 위성 EPIRB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위치 신호 송출에 적합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DSC 조난경보 송신 시 담고 있는 기본 정보 3가지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조난의 종류, 조난시간, 조난위치
  2. 조난시간, 조난위치, 조난자의 식별부호
  3. 조난의 종류, 조난위치, 조난자의 식별부호
  4. 조난자의 위치, 조난자의 항해방향, 조난시간
(정답률: 88%)
  • DSC 조난경보 송신 시 가장 중요한 정보는 조난시간, 조난위치, 조난자의 식별부호입니다. 조난시간은 긴급한 대처를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조난위치는 구조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또한, 조난자의 식별부호는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조직이나 기관이 조난자를 식별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정보는 DSC 조난경보 송신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위성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주로 초단파를 이용한다.
  2. 대용량의 통신 및 다원 접속이 가능하다.
  3. 지리적 여건에 관계없이 회선설정이 용이하다.
  4. 보안유지를 위한 특별한 암호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나의 트랜스폰더를 여러 지구국이 공유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폭을 분할하여 서로 간섭없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은?

  1. 시분할 다원 접속 방식
  2.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3. 파장 분할 다원 접속 방식
  4.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정답률: 87%)
  •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은 하나의 트랜스폰더를 여러 지구국이 공유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폭을 분할하여 서로 간섭없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각 지구국이 할당받은 주파수 대역에서만 통신하기 때문에 다른 지구국과의 간섭이 없어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병렬공진 회로에서 코일의 인덕턴스 100[μH], 콘덴서의 용량 400[pF], 공진 주파수에서 Q가 50일 때 코일의 저항은 얼마인가?

  1. 0.1[Ω]
  2. 1[Ω]
  3. 10[Ω]
  4. 100[Ω]
(정답률: 56%)
  • 병렬공진 회로에서 Q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Q = R/Lω

    여기서 R은 코일의 저항, L은 코일의 인덕턴스, ω은 공진 주파수입니다. 콘덴서의 용량은 Q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Q가 50일 때,

    50 = R/(100×10^-6 × ω)

    ω = 1/(100×10^-6 × 2π × 50) ≈ 3183 [rad/s]

    따라서, R = QLω ≈ 10[Ω]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Sweep Time이 0.1[ms/cm], 수직편향 감도가 1[V/cm]로 조정된 오실로스코프로 펄스를 관찰하여 보니 수평축 10[cm] scale 안에 10개의 펄스 신호가 나타났으며 진폭이 5[cm]로 관측되었다. 이 펄스의 주파수와 최대 전압 값은 얼마인가?

  1. 1[kHz], 50[V]
  2. 10[kHz], 5[V]
  3. 100[kHz], 0.5[V]
  4. 100[kHz], 5[V]
(정답률: 65%)
  • 주파수는 수평축 scale과 Sweep Time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10[cm] scale 안에 10개의 펄스 신호가 나타났으므로, 한 주기의 길이는 1[cm]입니다. 따라서 주파수는 1/10 = 0.1[cm/주기]입니다. Sweep Time이 0.1[ms/cm]이므로, 주파수는 0.1[cm/주기] x 0.1[ms/cm] = 0.01[ms/주기] = 10[kHz]입니다.

    최대 전압 값은 수직축 scale과 수직편향 감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직축 5[cm] scale 안에 펄스의 진폭이 5[cm]로 관측되었으므로, 최대 전압 값은 5[cm] x 1[V/cm] = 5[V]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kHz], 5[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직 접지 안테나의 높이(h)가 25[m]이고, 안테나가 복사하는 전파의 파장(λ)이 100[m]일 때, 전파의 주파수는?

  1. 1[MHz]
  2. 2[MHz]
  3. 3[MHz]
  4. 4[MHz]
(정답률: 48%)
  • 전파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거의 같으므로, 전파의 파장(λ)과 주파수(f)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집니다.

    c = λf

    여기서 c는 전파의 속도, 즉 빛의 속도이며, 약 3 x 10^8 [m/s]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파장(λ)과 높이(h)를 이용하여 수직 접지 안테나가 복사하는 전파의 주파수(f)를 구할 수 있습니다.

    λ = 100 [m]
    h = 25 [m]

    먼저, 수직 접지 안테나의 높이가 파장의 1/4일 때, 안테나는 반파수 안테나라고 부릅니다. 이때 안테나가 복사하는 전파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f = c / (2h)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f = 3 x 10^8 / (2 x 25) = 6 x 10^6 [Hz] = 6 [MHz]

    따라서, 수직 접지 안테나가 복사하는 전파의 주파수는 6[MHz]입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값은 3[MHz]이므로, 정답은 3[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효높이 2[m]인 안네나의 유기되는 전압이 100[μV]일 때 그 지점의 전계강도는 몇 [μV/m]인가?

  1. 25
  2. 50
  3. 100
  4. 400
(정답률: 58%)
  • 전계강도는 전압과 거리의 비례식인 E = V/d 에 따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V는 전압, d는 거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V/d = 100 μV / 2 m = 50 μV/m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전압과 거리가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거리가 더 멀어지면 전계강도는 더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힝행 구역별(A1, A2, A3, A4)로 구비해야 할 GMDSS 무선설비를 분류할 때 MF(중파) 대역 또는 HF(단파) 대역 무선설비가 의무적이지 않은 것은?

  1. A1 해역
  2. A2 해역
  3. A3 해역
  4. A4 해역
(정답률: 83%)
  • A1 해역은 국내 해역 중 가장 가까운 해역으로, 해안에서 20해리 이내의 해역을 말합니다. 이러한 근해역에서는 MF(중파) 대역 무선설비만 있어도 충분히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HF(단파) 대역 무선설비는 의무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A1 해역에서는 MF(중파) 대역 무선설비만 의무적으로 구비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양방향 VHF 무선전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4. ㄱ, ㄴ, ㄷ
(정답률: 75%)
  • - 양방향 VHF 무선전화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장비이다.
    - 양방향이므로 상대방과 양쪽에서 송수신이 가능하다.
    - VHF는 Very High Frequency의 약자로, 주파수 대역이 30MHz에서 300MHz 사이이다.
    - 따라서, "ㄱ. 양방향이므로 상대방과 양쪽에서 송수신이 가능하다."와 "ㄴ. VHF는 주파수 대역이 30MHz에서 300MHz 사이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국제전기통신연합 협약”을 영어로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Union
  2. The International Radio Regulation
  3. Convention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4.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Law
(정답률: 94%)
  • “국제전기통신연합 협약”은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Convention으로, 이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주요 협약이기 때문에 "Convention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이 가장 적합한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을 가장 적절히 표현한 것은?

  1. 선박국명
  2. 선박 공지
  3. 선박국 국명록
  4. 선박국 일람표
(정답률: 95%)
  • 해당 문장에서는 선박의 국적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선박국 국명록"이라고 언급되었는데, 이는 선박의 국적을 확인할 수 있는 목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박국 국명록"이 가장 적절한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문장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Conferences
  2. Channel
  3. Situation
  4. Construction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는 여러 명이 모여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단어는 "Conferences"입니다. "Channel"은 채널을 의미하며, "Situation"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Construction"은 건설을 의미하는 단어이므로, 이 문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Whoever wants to become a radio operator has to ( ) the state examination for radio operators first.

  1. listening
  2. pass
  3. sending
  4. used
(정답률: 75%)
  • 문장에서는 라디오 운영자가 라디오 운영자 국가 시험을 "pass" 해야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Pass"는 시험을 통과하다는 의미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pas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에 대한 가장 적합한 해석은?

  1. 양호한 신호
  2. 유익한 통신
  3. 유해한 혼신
  4. 해로운 사고
(정답률: 95%)
  • 해당 이미지는 "유해한 혼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기적인 충격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문장이 뜻하는 무선 업무는?

  1. Radiolocation
  2. Radionavigation
  3. Radiodetermination
  4. Radio direction-finding
(정답률: 58%)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장비는 무선 신호를 추적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장비이므로 "Radio direction-finding"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무선 위치 결정 기술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Radio direction-finding"은 무선 신호 추적 기술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해상이동 업무용 약어 'SLT'의 의미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International Information
  2. Notice to mariners
  3. Prefix office of destination
  4. Radio Maritime Letter
(정답률: 84%)
  • SLT는 "Sea-Land Telecommunications"의 약어로, 해상 이동 중 통신 업무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Radio Maritime Letter"는 SLT의 의미를 가장 잘 나타내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무선전화 알파벳 통화표에서 발음이 틀린 것은?

  1. F : FOKS TROT
  2. E : ECK OH
  3. L : LEE MAH
  4. T : TAH IM
(정답률: 85%)
  • 정답은 "F : FOKS TROT"입니다. 알파벳 F의 발음은 "FOX"와 유사하지만, "FOKS"는 영국식 발음으로 미국식 발음인 "FOX"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발음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무선전화 절차용어 중 “STOP”은 다음 중 어떤 것을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

  1. 숫자 2
  2. 숫자 6
  3. 숫자 9
  4. 종지부
(정답률: 100%)
  • "STOP"은 통화를 종료하고 연결을 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종지부"가 정답입니다. 숫자 2는 전화를 받는 사람이 없을 때 사용하는 "다시 걸기" 기능을 의미하고, 숫자 6은 전화를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숫자 9는 일반적으로 "긴급 호출" 기능을 의미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전화 요금 부과 중지"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선교 대 선교 통신은?

  1. Ship-to-ship communications
  2. Ship-to-shore communications
  3. Shore-to-shore communications
  4. Bridge-to-Bridge communications
(정답률: 100%)
  • 선교 대 선교 통신은 "Bridge-to-Bridge communications" 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와 달리 선박의 다리(Bridge) 간 통신을 의미합니다. 선박 간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필요한 통신이며, 주로 VHF 무선 통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문장을 영작한 것으로서 적합한 것은?

  1. What is the telegram charge?
  2. What frequency are you listening to?
  3. Where is your next port of call?
  4. When do you expect to enter port?
(정답률: 95%)
  • 정답은 "When do you expect to enter port?"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텔레그램 문장의 내용이 "When do you expect to enter port?"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이미지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주제들이기 때문에 영작한 문장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은?

  1. time after time
  2. according to
  3. soonar or later
  4. owing to
(정답률: 85%)
  • 이미지에서는 "As the saying goes"라는 표현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이는 "속담에 따르면"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according to"가 가장 적절한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to
  2. on
  3. about
  4. in
(정답률: 73%)
  • 이 문장에서 "to"는 "send" 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되어, 무엇을 보내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to"가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문장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VTS
  2. TSS
  3. Traffic lane
  4. Ship Reporting System
(정답률: 77%)
  • 해당 이미지는 VTS (Vessel Traffic Service)에 대한 설명이다. VTS는 선박 운항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선박 운항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TSS (Traffic Separation Scheme)는 선박이 충돌하지 않도록 특정 구역에서 운항 방향을 지정하는 시스템이며, Traffic lane은 선박이 운항하는 노선을 의미한다. Ship Reporting System은 선박의 위치와 상태를 보고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해당 이미지에서 VTS가 강조되어 있는 것은 이 시스템이 선박 운항 안전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1. 12hour UTC
  2. 24hour UTC
  3. 12hour LT
  4. 24hour LT
(정답률: 95%)
  • 이미지에서 보이는 시계는 24시간제로 표시되어 있으며, UTC는 세계 표준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hour UT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전문내용 중 밑줄 친 부분의 뜻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수신하고 이해하였다.
  2. 도착예정시간
  3. 잠시 기다려라.
  4. 귀국의 통화가 끝났는가?
(정답률: 89%)
  • 이미 귀국한 상대방과의 통화가 끝났는지 묻는 것이기 때문에 "귀국의 통화가 끝났는가?"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ITU 전파규칙에 의거하여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1. a ship station
  2. a coast station
  3. a NAVAREA coodinator
  4. a rescue coordination centre
(정답률: 59%)
  • 해상 안전에 관련된 사고나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지역의 구조 조정 센터인 "a rescue coordination centre"가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구조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ITU 전파규칙에서 정해진 규정 중 하나로, 해상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ho has the authority charged with coordinating marine meteorological information broadcasts by one or more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s acting as Preparation or Issuing Services within its area?

  1. METAREA Coodinator
  2. NAVAREA Coodinator
  3. National Coodinator
  4. Administration
(정답률: 56%)
  • METAREA Coordinator is responsible for coordinating marine meteorological information broadcasts within its area. This includes ensuring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s is accurate and timely, and that it is disseminated to the appropriate parties. The METAREA Coordinator also works closely with other organizations, such as the NAVAREA Coordinator, to ensure that all relevant information is shared and disseminated effectivel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방송법에 의한 방송사업을 위하여 이용하는 방송용 주파수의 관리는 어느 기관에서 수행하는가?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중앙전파관리소
  3. 방송통신위원회
  4. 한국방송공사
(정답률: 78%)
  •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법에 따라 방송사업을 위해 이용하는 주파수의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방송용 주파수의 관리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기호·신호·문언·영상·음향 등의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무선설비
  2. 무선통신
  3. 무선국
  4. 무선종사자
(정답률: 94%)
  • 무선통신은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보내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무선설비", "무선국", "무선종사자"는 무선통신을 구성하는 요소들이지만, 무선통신 자체를 나타내는 용어는 "무선통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전파이용의 촉진과 전파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의 개발 및 전파방송기기 산업의 발전 등을 위하여 전파진흥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세워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률: 90%)
  • 전파진흥 기본계획은 전파이용의 촉진과 전파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의 개발 및 전파방송기기 산업의 발전 등을 위한 중장기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획이므로, 일정한 기간마다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전파진흥 기본계획을 5년마다 세우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대가에 의한 주파수를 할당하는 경우 주파수의 이용기간은 최대 몇 년의 범위로 고시하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75%)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대가에 의한 주파수 할당 시 주파수 이용기간을 최대 20년까지로 고시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주파수 이용자들이 장기적인 투자와 계획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주파수 이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용료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장기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고 이용료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심사에 의해 주파수를 할당하고자 하는 경우 심사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2. 신청자의 재정적 능력
  3. 신청자의 기술적 능력
  4. 신청자의 전파발전을 위한 경력
(정답률: 69%)
  • 주파수 할당과 관련하여 심사하는 사항 중에서는 "신청자의 전파발전을 위한 경력"이 아닙니다. 이는 주파수 할당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주파수 할당 심사에서는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신청자의 재정적 능력, 신청자의 기술적 능력 등이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주파수 분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전파이용 기술의 발전 추세
  2.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동향
  3. 주파수의 이용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여건
  4. 무선설비의 이용 및 운영 실태
(정답률: 60%)
  • 주파수 분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전파이용 기술의 발전 추세",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동향", "주파수의 이용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여건"입니다. 이에 비해 "무선설비의 이용 및 운영 실태"는 개별적인 무선설비의 운영과 관련된 사항으로, 전체적인 주파수 분배에 대한 고려사항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선박국에 예비로 설치하는 무선설비의 기능확인에 관한 사항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적당한 말은?

  1. 매일 1회
  2. 매일 2회
  3. 매주 1회
  4. 매주 2회
(정답률: 92%)
  • 선박의 무선설비는 안전을 위해 매일 정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매일 1회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선박의 갖추어야 하는 무선설비 중 디지털선택호출장치의 사용주파수가 아닌 것은?

  1. 2187.5 [kHz]
  2. 8414.5 [kHz]
  3. 156.8 [kHz]
  4. 156.525 [kHz]
(정답률: 85%)
  • 디지털 선택 호출장치는 VHF 무선전파 대역인 156~162 MHz에서 사용되며, 따라서 156.8 kHz는 해당되지 않는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파전자통신기능사의 종사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다중 무선설비의 기술운용을 제외한 국내통신을 위한 운용에 한정한다,)

  1. 선박에 개설하는 안테나공급전력 250와트 이하의 무선전화 및 팩시 밀리
  2. 육상에 개설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로서 해안국과 항공국 외의 무선국의 안테나공급전력 150와트 이하의 팩시밀리
  3. 육상에 개설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로서 어업용 해안국 외의 해안국의 안테나공급전력 100와트 이하의 팩시밀리
  4. 육상에 개설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로서 항공국과 방송국 외의 무선국의 안테나공급전력 100와트 이하의 무선전화
(정답률: 64%)
  • 정답은 "육상에 개설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로서 항공국과 방송국 외의 무선국의 안테나공급전력 100와트 이하의 무선전화"입니다. 전파전자통신기능사는 다중 무선설비의 기술운용을 제외한 국내통신을 위한 운용에 한정되므로, 항공국과 방송국 외의 무선국의 무선전화는 해당 범위에 포함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육상 또는 해상에 개설하는 무선국의 안테나공급전력이 제한되어 있어 해당 범위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무선설비 적합성평가에 관련된 용어이다. “규정된 전원 전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저 정격전압의 –5%의 전압과 최고 정격전압의 +5% 전압 사이의 전압
  2. 최저 정격전압의 –10%의 전압과 최고 정격전압의 +10% 전압 사이의 전압
  3. 최저 정격전압의 –15%의 전압과 최고 정격전압의 +15% 전압 사이의 전압
  4. 최저 정격전압의 –20%의 전압과 최고 정격전압의 +20% 전압 사이의 전압
(정답률: 73%)
  • 무선설비 적합성평가에서 "규정된 전원 전압"은 해당 무선설비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 범위를 말한다. 이 범위는 최저 정격전압과 최고 정격전압 사이의 전압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최저 정격전압의 -10%의 전압과 최고 정격전압의 +10% 전압 사이의 전압으로 정해진다. 이는 전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무선설비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최저 정격전압의 –10%의 전압과 최고 정격전압의 +10% 전압 사이의 전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무선설비의 공동사용 명령과 환경친화적 설치 명령의 요건을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건물·도로 등에 설치·운용하는 무선설비로서 도시미관 및 자연환경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2. 개발제한구역에 설치·운용하는 무선설비로서 무선설비 안테나가 비행고도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3. 지하·터널 또는 건물 내부에 설치·운용하는 무선설비로서 전자파강도가 인체보호기준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4. 전파밀집지역에 설치·운용하는 무선설비로서 다른 통신망 또는 주변기기 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정답률: 89%)
  • - 무선설비의 공동사용 명령 요건: 전파밀집지역에 설치·운용하는 무선설비로서 다른 통신망 또는 주변기기 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 환경친화적 설치 명령 요건: 건물·도로 등에 설치·운용하는 무선설비로서 도시미관 및 자연환경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건물이나 도로 등에 무선설비를 설치할 때는 주변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무선설비가 도시미관이나 자연환경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면, 환경친화적 설치 명령에 따라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반면, 전파밀집지역에 무선설비를 설치할 때는 다른 통신망이나 주변기기 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공동사용 명령에 따라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무선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 임대·위탁 운용 또는 공동 사용하게 하는 목적으로 타당한 것은?

  1. 전자파 인체보호를 위하여
  2. 전파사용료 감면을 위하여
  3. 무선설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4. 전파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정답률: 80%)
  • 무선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 임대·위탁 운용 또는 공동 사용하게 함으로써 무선설비의 효율적 이용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무선설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전파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더 많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파자원의 안정적 확보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이는 타당한 목적으로 인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ITU의 기본구조와 정신에 관한 헌장의 주요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합의 기능에 관한 기타 규정
  2. 전기통신에 관한 일반 규정
  3. 전기통신업무 운용에 관련된 각종 규정
  4. 전파통신에 관한 특별 규정
(정답률: 78%)
  • ITU의 기본구조와 정신에 관한 헌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ITU는 전기통신 및 정보통신 분야에서 국제적인 협력과 표준화를 촉진하는 국제기구입니다.
    2. ITU는 회원국 간의 평등과 상호협력을 기본 원칙으로 합니다.
    3. ITU는 전기통신 및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기술 발전과 보급을 촉진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지원합니다.
    4. ITU는 회원국 간의 의견 조율과 협력을 위해 다양한 기구와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따라서, "전기통신업무 운용에 관련된 각종 규정"은 ITU의 기본구조와 정신에 관한 헌장의 주요 내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ITU의 업무와 관련된 구체적인 규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국제전기통신연합의 헌장에서 규정하는 전기통신에 관한 일반규정이 아닌 것은?

  1. 유해한 혼신
  2. 전기통신의 중지
  3. 전기통신의 비밀
  4. 관용통신의 우선순위
(정답률: 50%)
  • 정답: "유해한 혼신"

    설명: 국제전기통신연합의 헌장에서는 전기통신에 관한 일반규정으로 전기통신의 중지, 전기통신의 비밀, 관용통신의 우선순위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해한 혼신"은 전기통신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ITU의 조정위원회 구성인이 아닌 것은?

  1. 사무총장
  2. 사무차장
  3. 연구위원장
  4. 3국의 국장
(정답률: 82%)
  • ITU의 조정위원회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중요한 기구 중 하나로,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정책과 규정을 조정하고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조정위원회는 ITU의 사무총장, 사무차장, 그리고 3국의 국장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연구위원장은 조정위원회에 속하지 않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디지털선택호출장치(DSC)에 의한 조난 호출에 따라 무선전화로 응답할 수 있는 주파수는?

  1. 500[kHz]
  2. 518[kHz]
  3. 2,182[kHz]
  4. 410[kHz]
(정답률: 74%)
  • DSC는 VHF 무선전파를 사용하며, 주파수 대역은 156~174MHz입니다. 이 중에서 DSC 호출에 응답할 수 있는 주파수는 2,182[kHz]입니다. 이는 VHF 대역에서 21번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DSC 호출 시 이 채널을 통해 응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182[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SOLAS협약상 위성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위성 EPIRB)가 갖추어야 하는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2. 수동으로 쉽게 이탈되고 한 사람에 의해 생존정으로 쉽게 이동 될 수 있을 것
  3. 선박이 침몰한다면 자유로이 부양할 수 있고 또 부양한 때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을 것
  4. 406[MHz] 주파수대에서 운용하는 극궤도 위성업무로 조난경보를 송신할 수 있을 것
(정답률: 74%)
  •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이 잘못된 것이다. 이는 오히려 영향을 미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신호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위성 EPIRB를 높은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는 권장사항과는 반대되는 내용이다. 따라서, 위성 EPIRB는 가능한 한 선박의 최상부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의 내용에 대한 용어 정의로 적절한 것은?

  1. 검열
  2. 감청
  3. 경청
  4. 속청
(정답률: 95%)
  • 감청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불법적으로 도청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전화기와 전화선을 연결하여 상대방의 통화 내용을 도청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통신보안의 1차적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1. 회사의 책임자
  2. 통신 이용자
  3. 통신 기획자
  4. 통신 사업자
(정답률: 85%)
  • 통신보안은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1차적인 책임은 통신을 이용하는 개인이 가지고 있습니다. 통신 이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한 통신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안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통신보안의 1차적인 책임은 통신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통신보안의 3대 수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암호보안
  2. 송신보안
  3. 시설보안
  4. 자재보안
(정답률: 95%)
  • 암호보안, 송신보안, 자재보안은 모두 통신보안의 수단으로서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들이지만, 시설보안은 통신망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물리적인 보안장치나 출입통제 등을 통해 통신시설을 보호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시설보안은 통신보안의 수단이 아니며, 다른 세 가지와는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