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14)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2007-04-14 기출문제)

목록

1. 국어 순화 사례를 잘못 제시한 것은?

  1. 오늘 아침 접촉 사고로 차가 많이 밀렸다.
  2. 그는 화가 난 상대를 있게 다루는 능력이 있다.
  3. 한강 에 체육공원을 만들었다.
  4. 그는 우리 회사의 을 38%나 가지고 있다.
(정답률: 73%)
  • "한강 에 체육공원을 만들었다."가 잘못된 예시입니다. ""는 "위치"를 나타내는 조사인 "위치격 조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한강 에서 체육공원을 만들었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오늘 아침 접촉 사고로 차가 많이 밀렸다."는 ""가 "원인"을 나타내는 조사인 "원인격 조사"가 필요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오늘 아침 로 인한 접촉 사고로 차가 많이 밀렸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문장의 의미에 어울리지 않는 관용 표현은?

  1. 지금쯤 그는 등이 달아서 앉아 있을 것이다.
  2. 부모님의 낯을 깎을 만한 행동은 하지 마라.
  3. 그들은 코를 떼고 필요한 사항만을 논의하였다.
  4. 그들은 술 몇 잔으로 그의 속을 뽑으려 하였다.
(정답률: 54%)
  • "그들은 술 몇 잔으로 그의 속을 뽑으려 하였다."가 문장의 의미에 어울리지 않는 관용 표현입니다. 이유는 "그들은 술 몇 잔으로 그의 속을 뽑으려 하였다."는 다소 부적절하고 폭력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얻으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문장의 의미로 보아 밑줄 친 한자어의 사용이 잘못된 것은?

  1. 그의 이론이 70년대와 80년대를 風靡하였다.
  2. 고마운 제의였지만 정중하게 辭讓하기로 마음먹었다.
  3. 지연에 근거를 둔 연고 주의는 지역감정을 助長시킬 수 있다.
  4. 전통 사회에서 대중 사회로의 履行은 대중 매체 성장의 사회적 여건을 마련해 준다.
(정답률: 35%)
  • 문장의 의미로 보아, 사용된 모든 한자어가 올바르게 사용되었다.

    정답: 없음

    해설: 모든 한자어가 문맥에 맞게 올바르게 사용되었다. "전통 사회에서 대중 사회로의 履行은 대중 매체 성장의 사회적 여건을 마련해 준다."는 전통 사회에서 대중 사회로의 이동이 대중 매체의 성장과 관련이 있다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바르게 쓴 것은?

  1. 題示
  2. 未吸
  3. 捐金
  4. 遲延
(정답률: 52%)
  • "遲延"은 '지연'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문맥상으로도 "지연"이라는 뜻이 가장 적합하며, 다른 보기인 "題示"는 '제시하다', "未吸"는 '아직 흡입하지 않은', "捐金"은 '기부하다'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긍정적 사고를 담고 있는 고사 성어는?

  1. 오비이락(烏飛梨落)
  2. 권토중래(捲土重來)
  3. 수주대토(守株待兎)
  4. 당랑거철(螳螂拒轍)
(정답률: 70%)
  • 권토중래(捲土重來)는 이전에 실패했던 일이나 계획을 다시 재도전하여 성공하겠다는 긍정적인 의지를 나타내는 성어입니다. "권토"는 흙을 말하며, "중래"는 말을 돌리거나 다시 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 성어는 이전에 실패한 일이나 계획을 다시 재도전하여 성공하겠다는 긍정적인 의지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문장의 의미로 보아 밑줄 친 표현이 정확하게 쓰인 것은?

  1. 올해 경제 성장률이 드디어 6%를 능가하였다.
  2. 새로운 도시개발법이 과반수 찬성표를 얻어 통과되었다.
  3. 석가탑이 다보탑과 틀린 점을 든다면, 바로 건축 양식이다.
  4. 심의위원회의 자문(諮問)을 받아 새로운 정책을 결정하였다.
(정답률: 61%)
  • "새로운 도시개발법이 과반수 찬성표를 얻어 통과되었다."가 정확하게 쓰인 것입니다. 이는 새로운 도시개발법이 찬성과 반대 표를 받았을 때, 찬성표가 반대표보다 많아서 통과되었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국어 로마자 표기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표기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법(轉字法)이 아니라 전음법(轉音法)을 원칙으로 한다.
  2. 'ㅢ'가 'ㅣ' 소리로 나면 소리대로 적는다.
  3. 'ㄱ'은 자음 앞에서 'k'로 표기한다.
  4. 'ㄹㄹ'로 소리 나면 'll'로 적는다.
(정답률: 74%)
  • "'ㅢ'가 'ㅣ' 소리로 나면 소리대로 적는다."가 옳지 않은 표기 원칙입니다. 이는 전자법(轉字法)에 따라 'ㅢ'를 'ui'로 표기하는 것이 맞는 표기 방법입니다. 전자법은 한글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한글의 형태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한글의 발음을 기준으로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ㅢ'가 'ㅣ' 소리로 발음될 때도 'ui'로 표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맞지 않는 것은?

  1. 내일은 날씨가 추울 지 모르겠다.
  2. 꽃잎이 한잎 두잎 떨어진다.
  3. 저분은 코치 겸 선수이다.
  4. 그 일은 할 만하다.
(정답률: 66%)
  • "내일은 날씨가 추울 지 모르겠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추울지"는 띄어쓰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추울지"는 "추울"과 "지"가 합쳐진 단어로, "추울"은 형용사이고 "지"는 보조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띄어쓰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글의 밑줄 친 표현 중에서 한글 맞춤법에 맞는 것끼리 모아 놓은 것은?(순서대로 가, 나, 다, 라)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77%)
  • 가: "그녀는"과 "그녀가"는 한글 맞춤법에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나: "먹었어요"와 "먹었다"는 한글 맞춤법에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다: "그것은"과 "그것이"는 한글 맞춤법에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라: "마시고"와 "마셨고"는 한글 맞춤법에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 ㉠ - ㉡ - ㉠"입니다. 이유는 "㉡"와 "㉢" 모두 "그녀는"과 "그녀가"를 포함하고 있지만, "㉡"은 "그것은"과 "그것이"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와 "㉢" 모두 "먹었어요"와 "먹었다"를 포함하고 있지만, "㉠"는 "마시고"와 "마셨고"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어떤 문제에 대한 양측의 입장을 간략히 정리해 놓은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양측의 타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가장 잘 제시한 것은?

  1. 다양한 맵시의 제복을 개발하면 개인의 개성도 드러낼 수 있다는 취지의 말을 한다.
  2. 공무원은 개인의 행복 추구권보다 사회적 책임을 더 중시해야 한다는 취지의 말을 한다.
  3. 불필요한 논쟁으로 분열을 조장하고 있으므로 이 논쟁은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는 취지의 말을 한다.
  4. 개성을 인정하여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 공무원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다는 취지의 말을 한다.
(정답률: 69%)
  • "다양한 맵시의 제복을 개발하면 개인의 개성도 드러낼 수 있다는 취지의 말을 한다."는 양측의 입장 중에서 개인의 개성과 공무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모두 고려한 타협안이기 때문입니다. 이 방안은 공무원의 사회적 책임과 개인의 행복 추구권을 모두 고려하면서, 분열을 조장하지 않고 개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타협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밑줄 친 표현의 발음이 표준 발음법에 어긋난 것은?

  1. 닁큼[닁큼] 일어나지 못하겠느냐?
  2. 불법을[불버블] 조장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3. 열 살 때까지 글을 읽지도[익찌도] 못했다고 해요.
  4. 이 대학은 최근[췌:근] 외국인 학생이 부쩍 늘어났어요.
(정답률: 48%)
  • "닁큼[닁큼] 일어나지 못하겠느냐?"가 표준 발음법에 어긋난 것입니다. 이유는 "닁"이라는 발음이 표준 발음법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 발음은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투리 발음으로, 표준 발음법에서는 "딱"과 비슷한 발음으로 대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재해 예방 포스터를 공모하는 안내문을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반드시 추가해야 할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1. 공모 기간과 신청 방법
  2. 공모 기관과 공모 대상
  3. 포스터의 크기와 공모 취지
  4. 수상 내역과 공모 작품의 주제
(정답률: 81%)
  • 공모 기간과 신청 방법은 참가자들이 공모전에 참여할 수 있는 기간과 참가 신청 방법을 안내하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이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참가자들은 공모전에 참여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추가해야 할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표현이 다음의 높임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할머니께서 진지를 드신다.
  2. 나는 어머니께 과일을 드렸다.
  3. 할아버지께서 병원에 다녀오셨다.
  4. 선생님께서 부모님께 가정 통신문을 발송하셨다.
(정답률: 69%)
  • "나는 어머니께 과일을 드렸다."는 일반적인 반말체이기 때문에 높임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높임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법에 맞게 사용된 문장은?

  1. 그것은 우리의 간절한 바램이었다.
  2. 며칠을 쉬었더니 오늘이 몇 일인지 모르겠다.
  3. 농산물 수입은 온 국민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
  4. 정부는 장기 근속 공무원에 수당을 지급할 예정이다.
(정답률: 54%)
  • "농산물 수입은 온 국민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가 어법에 맞게 사용된 문장입니다. 이유는 농산물은 국민의 식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수입이 줄어들면 가격 상승 등의 영향이 모든 국민에게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내용이 함축하는 의미와 거리가 먼 것은?

  1. 온달의 만남은 계산하지 않은 만남이다.
  2. 온달의 만남은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3. 온달의 만남은 신비함과 놀라움을 경험하게 해 준다.
  4. 온달의 만남은 인간의 근본적 경험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정답률: 66%)
  • 글에서 밑줄 친 내용이 함축하는 의미는 "온달의 만남은 계획적이거나 예상되는 것이 아니라 우연히 일어나는 만남이다." 이며, 거리가 먼 것은 "온달의 만남은 신비함과 놀라움을 경험하게 해 준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대화를 읽고 두 인물(윤 군, 나)의 입장에 대해 평가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나'는 생계를 구실로 현실에 안주하였다.
  2. '윤 군'은 지식인의 지도적 역할을 중시하였다.
  3. '나'의 대일 협력은 시대적 특수성 때문이었다.
  4. '윤 군'의 대일 협력은 경제적 능력을 배경으로 하였다.
(정답률: 59%)
  • "'나'의 대일 협력은 시대적 특수성 때문이었다."는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대화에서는 '나'가 대일 협력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으며, 시대적 특수성과 관련된 내용도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대화와 무관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글에서 글쓴이가 민족주의를 주장하는 근거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민족 이외의 모든 사상과 신앙은 반드시 변하므로
  2. 어떤 경우라도 민족은 함께 살아가야 할 인연이므로
  3. 같은 민족끼리는 결코 대립하거나 경쟁할 수 없으므로
  4. 민족주의를 통해서 이상적인 낙원을 건설할 수 있으므로
(정답률: 63%)
  • 글쓴이가 민족주의를 주장하는 근거로 가장 타당한 것은 "어떤 경우라도 민족은 함께 살아가야 할 인연이므로"입니다. 이는 민족이라는 공통된 역사와 문화를 가진 집단이 함께 살아가야만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민족이라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민족 이외의 사상과 신앙이 변할 수 있지만 민족은 변하지 않는 공통된 인연이라는 것을 주장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1. (다)-(나)-(가)-(라)
  2. (가)-(다)-(나)-(라)
  3. (다)-(라)-(나)-(가)
  4. (가)-(라)-(다)-(나)
(정답률: 71%)
  • (다) → (나) → (가) → (라) 순서가 가장 자연스러운 것 같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다) : 첫 번째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물고기가 무엇을 할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집니다.

    2. (나) : 두 번째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먹이를 찾고 있습니다. 이전 그림에서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물고기가 먹이를 찾는 상황으로 전개됩니다.

    3. (가) : 세 번째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먹이를 먹고 있습니다. 이전 그림에서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물고기가 먹이를 먹는 상황으로 전개됩니다.

    4. (라) : 마지막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만족한 듯이 먹이를 먹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전 그림에서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물고기가 먹이를 먹고 만족한 상황으로 전개됩니다.

    따라서, (다) → (나) → (가) → (라) 순서가 가장 자연스러운 전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의 내용으로 미루어 알 수 있는 사실은?

  1.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은 듣기의 효과를 미리 알고 있었다.
  2. 심리학 강의를 듣는 인류학과 학생들이 듣기 실험에 참여하였다.
  3. 실험 전에 인류학 교수는 강의하면서 학생들과 시선을 맞추지 않았다.
  4. 학생들은 실험 내내 인류학 강의를 열심히 듣기 위해 노력하였다.
(정답률: 67%)
  • 실험 전에 인류학 교수는 강의하면서 학생들과 시선을 맞추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언어와 인지
  2. 언어의 범주화
  3. 언어의 다양성
  4. 한국어와 에스키모어
(정답률: 48%)
  • "언어와 인지"가 가장 적절한 제목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언어와 인지의 관계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들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