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4-08)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2006-04-0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글에서 맞춤법 ㆍ 표준어 규정에 맞지 않는 것은?

  1. ㉠사글셋방
  2. ㉡셋째
  3. ㉢수퇘지
  4. ㉣가스렌지
(정답률: 75%)
  • "㉣가스렌지"는 표준어 규정에 맞는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밑줄 친 것들은 물건을 셀 때 쓰는 말들이다. 괄호 안의 수량을 모두 합하면 얼마인가?

  1. 182
  2. 186
  3. 262
  4. 266
(정답률: 55%)
  • - 1단계: 각 줄의 수량을 계산한다.
    - 첫 번째 줄: 2 + 3 + 4 = 9
    - 두 번째 줄: 1 + 2 + 3 + 4 + 5 = 15
    - 세 번째 줄: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55
    - 네 번째 줄: 100 + 100 + 50 + 10 + 5 + 1 = 266
    - 2단계: 각 줄의 수량을 모두 합한다.
    - 9 + 15 + 55 + 266 = 345
    - 따라서, 정답은 "2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문장 구조와 어법이 올바른 것은?

  1. 사고가 난 지 10년이 지난 현재도 사고 지역 주변 30km 내에서의 재거주(再居住)는 주변에 방사선 물질이 존재하고 있고, 주변 지하수의 오염 문제 등으로 아직도 어려운 상태이다.
  2. 근대화는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제국주의에 의한 예속성만 깊어져 갔다.
  3. 대도시에 공장이 많이 들어서고 상업 ㆍ 교육 등의 서비스업이 발달함에 따라 더 많은 농어촌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었다.
  4. 여름에 지내는 마룻방과 대청은 바람이 잘 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겨울에 외풍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병풍을 쳤다.
(정답률: 57%)
  • "대도시에 공장이 많이 들어서고 상업 ㆍ 교육 등의 서비스업이 발달함에 따라 더 많은 농어촌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었다."이 올바른 문장입니다. 이유는 대도시에 공장과 서비스업이 발달하면서 일자리와 생활환경이 개선되어 농어촌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문장 중 어법에 알맞은 표현은?

  1. 저희 교육원은 가장 정확한 수험 정보와 높은 적중률을 제공해 드립니다.
  2. 김 원장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 의술을 베풂으로써 사회봉사를 실천합니다.
  3. 태풍 '나비'로 인해 경기 일대의 태풍주의보가 호우주의보로 대체할 전망입니다.
  4. 이번 회담 결과로 앞으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정답률: 69%)
  • "김 원장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 의술을 베풂으로써 사회봉사를 실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제시된 낱말을 활용하여 만든 문장이 잘못된 것은?

  1. 너비 : 사고가 나서 경찰이 도로의 너비를 재고 있다.
    넓이 : 그 농장은 넓이가 3만 평이나 된다.
  2. 한참 : 담장을 따라 한참을 가니 그 집이 나왔다.
    한창 : 요즘 놀이공원은 사람들로 한창 붐빈다.
  3. 있다가 : 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만나자.
    이따가 : 조금만 누워 이따가 일어나마.
  4. 째 : 그는 사과를 껍질째 먹어버렸다.
    채 : 양복을 입은 채 잠이 들었다.
(정답률: 89%)
  • "너비 : 사고가 나서 경찰이 도로의 너비를 재고 있다."가 잘못된 문장입니다. 너비는 폭이나 넓이를 나타내는 단어이지만, 이 문장에서는 도로의 길이를 나타내야 합니다. 따라서 "길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과 진술 방식이 유사한 것은?

  1. 인간이라면 누구나 태어나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2.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야말로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분하는 두드러진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3. 언어의 습득은 인종이나 지능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진다.
  4. 언어 기호란 하나의 언어 사회에서 어떤 개념을 특정한 소리를 사용하여 지시하자는 약속이다.
(정답률: 87%)
  • "언어의 습득은 인종이나 지능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국어의 발음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적절한 예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무릎이[무르피]
  2. 늪 앞[느밥]
  3. 흙 위[흐귀]
  4. 몇 월[며둴]
(정답률: 72%)
  • "몇 월[며둴]"은 적절한 예가 아닙니다.

    "무릎이[무르피]"는 'ㄹ' 소리와 'ㅂ' 소리가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 'ㄹ' 소리가 'ㅂ' 소리에 영향을 받아 'ㄹ' 소리가 'ㅂ' 소리처럼 발음되는 현상인 '유음화'의 예입니다.

    "늪 앞[느밥]"은 'ㅂ' 소리와 'ㅂ' 소리가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 두 소리가 합쳐져서 'ㅃ' 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인 '쌍받침'의 예입니다.

    "흙 위[흐귀]"는 'ㅎ' 소리와 'ㄱ' 소리가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 'ㅎ' 소리가 'ㄱ' 소리에 영향을 받아 'ㅋ' 소리처럼 발음되는 현상인 '축음화'의 예입니다.

    따라서 "몇 월[며둴]"은 발음에 대한 설명이 없으므로 적절한 예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감옥으로부터 사색」이란 글의 일부를 손질한 것이다. 의미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배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 마
  2. 가 - 라 - 다 - 마 - 나
  3. 다 - 가 - 나 - 라 - 마
  4. 다 - 가 - 라 - 나 - 마
(정답률: 76%)
  • 글의 내용이 순서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다 - 가 - 라 - 나 - 마" 순서가 가장 자연스럽게 의미가 연결된다. 즉, 감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색을 하고, 그 후에는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며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게 된다는 내용이 순서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로마자 표기 규정에 맞지 않는 것은?

  1. 영동 - Yeongdong
  2. 종로 - Jongno
  3. 신라 - Silla
  4. 여의도 - Yeoido
(정답률: 88%)
  • "신라 - Silla"는 로마자 표기 규정에 맞지 않습니다. 로마자 표기 규정에서는 "sh" 소리를 나타내는 경우 "s"와 "h"를 붙여서 표기해야 합니다. 따라서 "신라"는 "Shilla"로 표기해야 합니다. "여의도 - Yeoido"는 로마자 표기 규정에 따라 "eo"는 "ㅓ"와 "ㅕ" 중 어떤 소리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다르게 표기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여의도"는 "Yeouido"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암박지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10번 공통지문 문제)

  1. 연암은 당대의 문화를 따르지 않았다
  2. 당시에는 인정을 받지 못했다
  3. 인습을 타파해야한다.
  4. 그의 문학은 당시에 이목을 끌지 못했다.
(정답률: 68%)
  • "그의 문학은 당시에 이목을 끌지 못했다."가 틀린 것이며, 연암박지원의 문학은 당시에는 인정을 받지 못했지만, 현재에 이르러서는 그의 문학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밑줄 친 부분은 같은 뜻의 다른 용어로 순화한 것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이 [비상변->비상 버튼(또는 '비상 밸브')]은/는 중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용하는 것이므로 평상시에는 손대 지 마십시오.
  2. 전동 스쿠터 이용자가 이 리프트를 타실 때에는 탑승 전에 안전 고리를 스쿠터 앞에 [체결->연결]하시고 안전로프를 허리에 매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 규정을 어기고 경비를 과다 지출한 [시말서->경위서]를 오늘 중으로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4. 해당 부서에서는 [마스터 플랜->조감도]를 이 달 말까지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68%)
  • 해당 부서에서는 [마스터 플랜->조감도]를 이 달 말까지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적절함. 마스터 플랜과 조감도는 같은 뜻의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과 ㉡에 들어갈 '사전'의 한자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 ㉡)

  1. 辭典, 事典
  2. 辭典, 辭典
  3. 事典, 辭典
  4. 事典, 事典
(정답률: 68%)
  • 정답은 "辭典, 事典"입니다.

    "辭典"은 언어나 문학 작품 등의 용어나 표현을 정의하고 설명하는 사전을 뜻하며, "事典"은 지식이나 정보를 다루는 사전을 뜻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빈칸에 들어갈 한자는 각각 언어와 지식을 다루는 사전을 뜻하는 "辭典"과 "事典"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시의 화자가 상황에 대해 취하고 있는 태도로 알맞은 것은?

  1. 담담한 어조로 상황을 수용하고 있다.
  2. 절망적 심정으로 대상을 원망하고 있다.
  3. 감상에 사로잡혀 자신을 책망하고 있다.
  4. 감정을 토로하면서 슬픔을 극복하고 있다.
(정답률: 84%)
  • 시의 화자는 "눈"이 녹아내리는 상황을 담담한 어조로 수용하고 있다. 이는 시 전체적으로 감성적인 표현보다는 사실적인 묘사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양극화 해소(兩極化解消)'라는 화제로 글을 쓰고자 할 때, 계획하기 단계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어떤 방향으로 써야 할지 주제와 목적을 정한다.
  2. 구체적인 표현에 맞는 적절한 어휘와 수사법을 정한다.
  3. 생생한 아이디어들을 구상이나 개요에 맞게 배열한다.
  4. 상황과 독자를 고려하여 주제와 관련되는 자료의 종류와 수집 방법을 정한다.
(정답률: 61%)
  • 주제와 목적을 정하는 것, 생생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배열하는 것, 상황과 독자를 고려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모두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표현에 맞는 적절한 어휘와 수사법을 정하는 것은 이러한 단계들을 토대로 글을 쓰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는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재난 상황에 직면한 공무원이 방송한 내용이다. 어법에 맞고 의미가 분명한 것은?

  1. 사람들이 위험한 건물에서 대피해야 하므로 혼란이 예상됩니다. 이 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찰의 협조를 얻어 치안유지에 만전을 기해 주십시오.
  2. 특히 약한 어린이와 노약자들의 건강유지를 위해 빵과 우유 일만 개를 준비해 주십시오.
  3. 구급차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잠시 주차중인 차량과 운전자들에게 방송을 통해 협조를 구해 주십시오.
  4. 담당 공무원들은 주민들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구호품을 이재민들에게 전달해 주십시오.
(정답률: 83%)
  • "담당 공무원들은 주민들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구호품을 이재민들에게 전달해 주십시오."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문법적으로 틀린 부분이 있거나, 상황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특히 약한 어린이와 노약자들의 건강유지를 위해 빵과 우유 일만 개를 준비해 주십시오."는 상황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며, "사람들이 위험한 건물에서 대피해야 하므로 혼란이 예상됩니다. 이 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찰의 협조를 얻어 치안유지에 만전을 기해 주십시오."는 문법적으로 틀린 부분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리말의 언어예절과 맞지 않은 것은?

  1. 어르신 이쪽으로 앉으세요. 제가 깜박 딴 생각을 하느라고 서 계신 것을 몰랐습니다.
  2. 나 아버지 대학후밴데, 저녁에 아버지 들어오시면 내일 오후 여섯시에 맛나 식당에서 동창회가 있다고 꼭 전해 주게.
  3. 민수 할아버지, 안녕하세요? 저는 민수친구 영훈이 엄마입니다. 민수 엄마 댁에 계세요?
  4. 누나, 항상 내 곁에 머물러 있을 것 같았는데 며칠 후면 시집을 간다고 생각하니 섭섭해
(정답률: 75%)
  • 정답은 "누나, 항상 내 곁에 머물러 있을 것 같았는데 며칠 후면 시집을 간다고 생각하니 섭섭해"입니다. 이유는 "누나"라는 호칭은 나이가 많은 여성에게 사용하는 것이 예절에 맞지만, 여기서는 나이가 어린 여성에게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적절한 호칭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언어예절에 어긋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이 옳지 않은 것은?

  1. 시행
  2. 주선
  3. 유예
  4. 주재
(정답률: 63%)
  • 주선의 독음은 "주전"이 아니라 "주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선"입니다.

    "주선"은 어떤 일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람이나 물건을 섭외하거나 준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주최"나 "주관" 등이 있습니다.

    "시행"은 어떤 계획이나 법령을 실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유예"는 어떤 일을 미루거나 연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재"는 어떤 장소나 행사에 참석하거나 머무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관동별곡 중 일부이다. 본문이 묘사한 대상은?

  1. 은하수
  2. 폭포
  3. 옷고름
  4. 파도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 묘사된 대상은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이는 폭포를 묘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은?

  1. 임금님의 귀가 당나귀의 귀와 비슷하다
  2. 가을엔 쪽빛 하늘과 황금빛 들판이 맞닿는다.
  3. 나는 눈이 큰 진영이의 언니를 선생님께 소개해 드렸다
  4. 일상생활에서도 관용적인 표현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91%)
  • "나는 눈이 큰 진영이의 언니를 선생님께 소개해 드렸다"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없다. 이 문장은 단 하나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이는 눈이 큰 진영이의 언니를 소개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