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농기계운전기능사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농기계운전

1. 실린더의 총배기량이 1500㏄이고, 연소실체적이 300㏄일 때 압축비는?

  1. 5
  2. 6
  3. 7
  4. 8
(정답률: 55%)
  • 압축비는 실린더의 총배기량을 연소실체적으로 나눈 값에서 1을 뺀 것입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1500/300-1 = 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행정이 98㎜인 기관이 1800rpm으로 회전한다. 피스톤의 평균속도(m/sec)는?

  1. 약 5.9
  2. 약 3.9
  3. 약 2.9
  4. 약 1.9
(정답률: 35%)
  •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의 평균속도 = (행정 × π × RPM) ÷ 60

    여기서, 행정은 98mm, π는 3.14, RPM은 1800입니다.

    따라서, 평균속도 = (98 × 3.14 × 1800) ÷ 60 = 5,874m/s (약 5.9)

    따라서, 정답은 "약 5.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흡배기 밸브에 밸브간극을 두는 이유는?

  1. 열팽창 때문에
  2. 소음 방지 때문에
  3. 스프링 작용 때문에
  4. 전압 조정 때문에
(정답률: 67%)
  • 흡배기 밸브에 밸브간극을 두는 이유는 열팽창 때문입니다. 엔진이 가동되면 열이 발생하고 부품들이 팽창합니다. 이 때, 밸브간극을 두면 열팽창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밸브간극을 두어 열팽창에 따른 부품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부동액으로 부적합한 것은?

  1. 글리세린
  2. 에틸렌글리콜
  3. 알콜
  4. 메탄
(정답률: 36%)
  • 메탄은 기체 상태이기 때문에 부동액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부동액은 액체 상태에서 사용되며, 나머지 보기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알콜은 모두 액체 상태이므로 부동액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내연기관 연소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강한 불꽃
  2. 강한 압축력
  3. 양호한 혼합기
  4. 양호한 기름순환
(정답률: 57%)
  • 양호한 기름순환은 내연기관 연소의 3대 요소가 아닙니다. 내연기관 연소의 3대 요소는 강한 불꽃, 강한 압축력, 그리고 양호한 혼합기입니다. 양호한 기름순환은 기름이 원활하게 순환되어 엔진 내부를 윤활시키고 냉각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내연기관의 성능과 수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지만, 연소 과정 자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이젤 기관의 고장증상 중에서 정상적인 부하인데도 검은 연기를 내는 원인은?

  1. 연료 분사시기가 빠르거나 늦을 때
  2. 연료 분사 노즐이 불량할 때
  3. 피스톤 라이너가 탓을 때
  4. 실린더 라이너 O링이 마멸되었을 때
(정답률: 36%)
  • 디젤 기관에서 연료는 연료 분사 노즐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분사됩니다. 연료 분사 노즐이 불량하면 연료가 제대로 분사되지 않아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검은 연기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검은 연기를 내는 원인 중 하나는 연료 분사 노즐이 불량할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시마력이 160㎰이고, 제동마력이 128㎰이라면 기계효율은?

  1. 32%
  2. 42%
  3. 60%
  4. 80%
(정답률: 52%)
  • 기계효율은 (출력 ÷ 입력)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입력은 지시마력이고, 출력은 제동마력입니다. 따라서 기계효율은 (128 ÷ 160) × 100 = 8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트랙터 타이어에서 12.4×11-4인 경우 4의 의미는?

  1. 림의 직경 이다.
  2. 림의 폭 이다.
  3. 타이어 높이 이다.
  4. 플라이(ply)수 이다.
(정답률: 66%)
  • 4는 플라이(ply)수를 의미합니다. 플라이(ply)란 타이어의 내부 구조 중 하나로, 타이어를 구성하는 층(layer)의 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2.4×11-4는 12.4인치 직경, 11-4개의 플라이(ply)를 가진 타이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펌프의 양수량이 감소될 때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흡입관 안에서 공기가 새어 들어올 때
  2. 임펠러가 마멸되었을 때
  3. 풋트밸브와 임펠러에 오물이 끼었을 때
  4. 전기의 주파수 증가로 전동기의 회전이 증가되었을 때
(정답률: 59%)
  • 전기의 주파수 증가로 전동기의 회전이 증가되었을 때는 펌프의 양수량이 감소되는 원인이 아닙니다. 전기의 주파수가 증가하면 전동기의 회전수는 증가하지만, 이는 펌프의 양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펌프의 양수량이 감소될 때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동력 경운기 점화 플러그에 검은 탄매가 쌓이는 원인 중 알맞은 것은?

  1. 플러그의 열가가 너무 열형이다.
  2. 플러그의 열가가 너무 냉형이다.
  3. 플러그의 직경이 너무 큰 것을 사용하였다.
  4. 플러그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것을 사용하였다.
(정답률: 34%)
  • 플러그의 열가가 너무 냉형이기 때문에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검은 탄매가 쌓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경운기 텐션 풀리 베어링에는 어떠한 오일(oil)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겠는가?

  1. 모터오일
  2. 기어오일
  3. 그리이스
  4. 기계오일
(정답률: 55%)
  • 경운기 텐션 풀리 베어링은 고속 회전하면서 많은 부하를 견디는 부품이므로 오일보다는 그리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이스는 오일보다 더 높은 점착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베어링 내부에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리이스는 오일보다 더 높은 저온성능을 가지고 있어 저온 환경에서도 유지보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경운기 텐션 풀리 베어링에는 그리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동 탈곡기에서 스크로우 컨베이어와 양곡기로 구성된 부분은?

  1. 자동공급장치
  2. 탈곡부
  3. 2번구 환원처리 장치
  4. 자동풍력 조절장치
(정답률: 47%)
  • 스크로우 컨베이어는 곡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양곡기는 곡물을 분쇄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은 2번구 환원처리 장치를 통해 처리됩니다. 따라서 스크로우 컨베이어와 양곡기로 구성된 부분은 2번구 환원처리 장치와 함께 자동 탈곡기의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축의 담근먹이를 제조할 때 수확과 동시에 절단이 가능한 기종은?

  1. 헤이 로우터
  2. 헤이 베일러
  3. 포오리지 하아베스터
  4. 휘일 커터
(정답률: 47%)
  • 포오리지 하아베스터는 수확과 동시에 절단이 가능한 기종으로, 가축의 담근먹이를 제조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기종들은 수확 후 따로 절단을 해야 하지만 포오리지 하아베스터는 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기구들 중 축산용 기계가 아닌 것은?

  1. 휘일 커터(Wheel cutter)
  2. 피이드 그라인더(feed grinder)
  3. 현미기
  4. 해머 밀
(정답률: 71%)
  • 현미기는 축산용 기계가 아닙니다. 현미기는 쌀을 분쇄하여 현미를 만드는 기계로, 축산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스톤링 엔드 갭 측정을 하는 공구는?

  1. 내경 마이크로미터
  2. 시크니스 게이지
  3. 외경 마이크로미터
  4. 다이얼 게이지
(정답률: 43%)
  • 피스톤링 엔드 갭은 매우 작은 차이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내경 마이크로미터나 외경 마이크로미터는 측정 범위가 넓어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다이얼 게이지는 측정 범위가 작지만 정확도가 낮아서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반면, 시크니스 게이지는 측정 범위가 좁으면서도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여 피스톤링 엔드 갭 측정에 적합한 공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크니스 게이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피스톤 링의 단면도(斷面圖)에서 1번링(No1), 2번링(No2), 3번링(No3)이 피스톤헤드 쪽에서 순서대로 맞게 배열된 그림은?

(정답률: 50%)
  • 정답은 "" 입니다.

    피스톤 링은 열팽창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피스토너 헤드 쪽에서는 열팽창으로 인해 링이 팽창하여 벽면과 밀착하게 됩니다. 그리고 피스톤 바디 쪽에서는 압축력으로 인해 링이 압축되어 벽면과 밀착하게 됩니다.

    따라서 1번링(No1)은 피스톤헤드 쪽에서 맨 위에 위치해야 하고, 2번링(No2)은 1번링(No1) 바로 아래에 위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3번링(No3)은 2번링(No2) 바로 아래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렇게 배열하면 열팽창과 압축력에 따라 링이 벽면과 밀착하여 효율적인 동작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건초를 운반이나 저장에 편리하도록 꾸리는 작업기는?

  1. 레이크
  2. 모우어
  3. 베일러
  4. 드스크하로우
(정답률: 48%)
  • 건초를 운반이나 저장에 편리하도록 꾸리는 작업기는 "베일러"입니다. 이는 건초를 뭉치게 만들어서 작은 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주는 기계로, 이렇게 만들어진 건초 뭉치를 운반하거나 저장하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바인더 예취칼날 간격을 적게 조정하려면?

  1. 조정심을 뺀다.
  2. 조정심을 더한다.
  3. 조정볼트를 푼다.
  4. 조정볼트를 조인다.
(정답률: 35%)
  • 바인더 예취칼날 간격을 조정하는 것은 조정심을 이용하여 조절합니다. 따라서 조정심을 뺀다면 간격이 좁아지게 됩니다. 조정심을 더하거나 조정볼트를 푸거나 조인하는 것은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콤바인으로 벼를 수확할 때 벼의 도복각이 크면 곡립손실은 어떻게 되는가?

  1. 많아진다.
  2. 적어진다.
  3. 상관없다.
  4. 작업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72%)
  • 벼의 도복각이 크면 콤바인으로 수확할 때 벼가 더 많이 흩어지게 되므로 곡립손실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많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단기통 농용 디젤엔진에서 운전정지 후 점검방법이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엔진의 청소
  2. 주유
  3. 밸브의 닫음
  4. 연료교체
(정답률: 47%)
  • 단기통 농용 디젤엔진에서 운전정지 후에는 연료교체를 해야 합니다. 이는 단기통 디젤엔진에서 연료가 오랫동안 저장되어 있을 경우 연료의 품질이 떨어지고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연료를 교체해야 합니다. 엔진의 청소, 주유, 밸브의 닫음은 모두 정기적인 유지보수에 해당하는 것이며, 운전정지 후에도 필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기관의 진동과 회전을 고르게 하는 것은?

  1. 커넥팅로드
  2. 크랭크축
  3. 피스톤
  4. 플라이휠
(정답률: 49%)
  • 플라이휠은 회전 운동을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회전 운동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기계의 작동이 불안정해지고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이휠은 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양수기 설치 시 주의할 사항 중 맞는 것은?

  1. 가능한한 수원에서 먼 위치에 설치한다.
  2. 흡입호스는 직각이 되도록 설치한다.
  3. 흡입수면에 가까운 높이로 흡입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다.
  4. 흡입호스로 약간의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설치한다.
(정답률: 61%)
  • 양수기는 물을 흡입하여 사용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흡입수면에 가까운 높이로 설치하면 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흡입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면 물이 역류하여 양수기가 고장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동력 경운기의 경운작업 시 주의 사항이다. 틀리는 것은?

  1. 직진 경운 중에는 조향 클러치 사용금지
  2. 철차륜으로 도로 주행금지
  3. 로타리 작업 중 후진 시 경운 변속레버 저속 3단 위치
  4. 작업 중 포장의 경사지 하강 시는 후진운전
(정답률: 61%)
  • 로타리 작업 중 후진 시 경운 변속레버를 저속 3단 위치로 조절하는 이유는, 저속 3단으로 조절하면 엔진의 토크가 증가하여 경운기의 움직임을 더욱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로타리 작업 중 후진 시 경사진 지형에서의 안전한 운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동력경운기 운전 중 직진성이 나쁠 때의 원인은?

  1. P.T.O 축 고장
  2. 부변속 기어 마모
  3. 주변속 기어 마모
  4. 좌우 타이어 공기압력의 차이
(정답률: 65%)
  • 좌우 타이어 공기압력의 차이가 크면, 좌우 바퀴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되어 직진성이 나빠집니다. 이는 운전 중에도 느껴지는데, 핸들을 조작해도 직진하지 않고 좌우로 흔들리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따라서, 동력경운기를 운전할 때는 좌우 타이어 공기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농용기관의 장기간 보관 시 조치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1. 흡, 배기밸브는 완전히 열린 상태로 보관한다.
  2. 기관,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윤활유를 점검보충 한다.
  3. 냉각수를 완전히 비워둔다.
  4. 연료를 완전히 비워둔다.
(정답률: 56%)
  • "흡, 배기밸브는 완전히 열린 상태로 보관한다."는 맞는 조치사항입니다. 이유는 밸브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보관하면 밸브 내부에 공기가 가둬져서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밸브를 열어두면 공기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어 부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심펌프의 설치 시에 푸트밸브 설치법 중 맞는 것은?

  1. 물속 지면위 20㎝위치에 경사지게 설치
  2. 물속 지면에 닿게 하여 수직으로 설치
  3. 물속의 지면에서 1m 이상 위로 수직 혹은 경사지게 설치
  4. 물속의 지면위 60㎝ 이상 수직으로 설치
(정답률: 48%)
  • 원심펌프는 푸트밸브를 통해 물을 흡입하므로, 푸트밸브는 물의 흐름을 막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물속의 지면위가 낮으면 푸트밸브가 물에 잠기게 되어 흡입이 어렵고, 물속의 지면위가 높으면 푸트밸브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포를 만들어 펌프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속의 지면위 60㎝ 이상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동력분무기 운전준비에 관한 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크랭크 오일은 SAE 20∼30번을 규정량 넣는다.
  2. 운반 중 나사의 이완이 있으니 각종 볼트너트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3. V패킹과 플런저간의 유막형성을 위하여 3∼4시간마다 그리이스컵을 2-3회 조여준다.
  4. 엔진과 연결된 V벨트는 동력전달이 확실히 되도록 팽팽하게 힘껏 조정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엔진과 연결된 V벨트는 동력전달이 확실히 되도록 팽팽하게 힘껏 조정한다."입니다.

    V벨트를 너무 팽팽하게 조정하면 벨트와 풀리의 마찰이 증가하여 벨트와 풀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엔진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조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양수기의 운전 중에 주의 해야 할 사항이다. 틀리는 것은?

  1. 베어링의 윤활유가 검은 색깔로 변했는지 확인한다.
  2. 그랜드 패킹에서 물방울이 떨어져서는 안 된다.
  3. 음향에 유의하고 흡입관에 다른 물질이나 공기가 유입되는지를 확인한다.
  4. 베어링의 온도가 60℃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
(정답률: 52%)
  • 정답은 "그랜드 패킹에서 물방울이 떨어져서는 안 된다."가 맞습니다. 그랜드 패킹은 기계의 축과 구동부 사이에 있는 밀봉 장치로, 물이나 기름 등을 차단하여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러나 그랜드 패킹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기계 내부에 물이 침투하여 부식이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랜드 패킹에서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이앙기에는 보통 4개의 클러치가 있다. 두개의 사이드의 클러치 이외에 다른 두 가지의 클러치는 어느 것인가?

  1. 주행클러치와 식부날 속도클러치
  2. 주행클러치와 주간간격 조정클러치
  3. 주행클러치와 주클러치
  4. 주행클러치와 식부클러치
(정답률: 41%)
  • 이앙기의 주행클러치는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식부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연결을 끊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외의 다른 두 가지 클러치는 없으며, 정답은 "주행클러치와 식부클러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산파 이앙기에서 식부침이 한번 찍어 내릴 때 모의 갯수를 조절하는 것은?

  1. 플로우트
  2. 이앙기 전판의 상하 조절레버
  3. 식부심 조절레버
  4. 주수 조절 레버
(정답률: 26%)
  • 식부침이 찍어 내리는 위치는 이앙기 전판의 상하 조절레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 레버를 조절하면 전판의 높이가 변하게 되어 모의 갯수가 조절됩니다. 따라서 이앙기 전판의 상하 조절레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기계전기

31. 그림과 같은 직·병렬회로의 합성 저항은?

  1. 1 [Ω]
  2. 2 [Ω]
  3. 4 [Ω]
  4. 7 [Ω]
(정답률: 48%)
  •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은 동일하고 전류는 분할되어 흐르므로, 병렬회로의 저항값은 각 저항값의 역수의 합의 역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Ω와 4Ω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저항값은 2Ω와 4Ω의 역수의 합의 역수인 4/3Ω가 됩니다. 이 값과 1Ω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저항값 1Ω을 합하면, 전체 회로의 합성 저항은 4Ω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 [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6600[V]는 몇[㎸]인가?

  1. 6.6 x 10-3[㎸]
  2. 6.6[㎸]
  3. 6.6 x 103[㎸]
  4. 6.6 x 106[㎸]
(정답률: 66%)
  • 1 [V]은 1 [J/C]이므로, 6600 [V]는 6600 [J/C]이 됩니다.

    1 [J] = 1 [N·m] = 1 [kg·m²/s²] 이므로, 6600 [J/C]는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 있습니다.

    6600 [J/C] = 6600 [kg·m²/s²C]

    1 [㎸]은 1 [N/m²] 이므로, 6600 [kg·m²/s²C]는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 있습니다.

    6600 [kg·m²/s²C] = 6600 [N/m²C] = 6.6 [㎸]

    따라서, 정답은 "6.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00[V]의 전압을 가하여 5[A]의 전류를 흘리는 도체의 저항은?

  1. 500[Ω]
  2. 20[Ω]
  3. 0.05[Ω]
  4. 40[Ω]
(정답률: 73%)
  • 저항은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항은 전압을 전류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저항 = 전압 / 전류

    여기서 주어진 전압은 200[V], 전류는 5[A]이므로,

    저항 = 200[V] / 5[A] = 40[Ω]

    따라서 정답은 "4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축전지의 용량은?

  1. 음극판 단면적에 비례하고 양극판 크기에 반비례
  2. 양극판의 크기에 비례하고 음극판의 단면적에 반비례
  3. 극판의 표면적에 비례
  4. 극판의 표면적에 반비례
(정답률: 60%)
  • 축전지의 용량은 축전지 내부의 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전하의 양에 비례합니다. 이 전하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를 통해 흐르게 되는데, 이때 양극판과 음극판의 크기가 작을수록 전하의 흐름이 제한되어 용량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용량은 극판의 표면적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축전지의 용량이 240[Ah]라면, 이 축전지에 부하를 연결하여 12[A]의 전류를 흘리면 몇 시간 사용이 가능한가?

  1. 10시간
  2. 20시간
  3. 30시간
  4. 40시간
(정답률: 80%)
  • 용량 240[Ah]는 1시간 동안 240[A]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2[A]의 전류를 사용하면 240[Ah] / 12[A] = 20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축전지의 용량은 전류와 사용 시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축전지 터미널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되는 것은?

  1. 그리이스
  2. 기어오일
  3. 엔진오일
  4. 페인트
(정답률: 79%)
  • 그리이스는 부식 방지뿐만 아니라 마모와 고온에 대한 내성도 높기 때문에 축전지 터미널에 사용되며, 기어오일, 엔진오일, 페인트는 부식 방지에는 효과적이지만 축전지 터미널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등유기관의 마그네트 취급방법 중 틀린 것은?

  1. 자석을 강하게 때리거나 진동시키지 말아야 한다.
  2. 마그네트는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3. 운전 중 마그네트 뚜껑을 열어 기름걸레로 가끔 닦아 준다.
  4. 마그네트 보관 장소는 건조한 곳이라야 한다.
(정답률: 84%)
  • 운전 중 마그네트 뚜껑을 열어 기름걸레로 가끔 닦아 준다는 것이 틀린 방법입니다. 이는 운전 중에 위험하며, 마그네트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그네트는 운전 중에는 절대로 열지 않고, 정기적으로 청소하여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속기 접점간극 조정방법 중 적당한 것은?

  1. 조정 보울트로 조정한다.
  2. 고정 보울트로 조정한다.
  3. 가동접점을 구부려 조정한다.
  4. 단속기 케이스를 돌려 조정한다.
(정답률: 67%)
  • 단속기 접점간극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간극 조정은 안전하고 정확한 전기적인 연결을 보장합니다. 조정 보울트로 조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이는 보울트를 조이면서 접점 간극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정 보울트로 조정하면 보울트를 조이는 동안 접점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간극 조정이 어렵습니다. 가동접점을 구부려 조정하면 접점이 손상될 수 있으며, 단속기 케이스를 돌려 조정하는 것은 케이스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광원의 광도가 200cd이고 거리 1m 되는 곳의 조도가 200Lux 일대 거리가 2m 이면 몇Lux인가?

  1. 50 Lux
  2. 100 Lux
  3. 200 Lux
  4. 400 Lux
(정답률: 28%)
  • 조도는 광도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광학 법칙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거리가 2배가 되면 조도는 1/4로 감소하므로, 200Lux에서 거리가 2배인 경우 조도는 50Lux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 Lu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엔진의 기동에 사용되는 일련의 장치이다.
  2. 기동 전동기로는 축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직류 직권전동기가 주로 사용된다.
  3. 기동 전동기, 레규레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소형, 경량이고 토오크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43%)
  • 기동장치는 엔진을 가동시키기 위한 일련의 장치로, 기동 전동기는 축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직류 직권전동기가 주로 사용되며, 레규레이터는 전기적인 전압을 안정화시켜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기동 전동기, 레규레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브러시의 접촉이 불량할 때 소손되기 쉬운 것은?

  1. 계자코일
  2. 보올 베어링
  3. 전기자
  4. 정류자편
(정답률: 50%)
  • 브러시는 회전하는 부품과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브러시의 접촉이 불량하면 전기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소손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중에서 정류자편은 회전하는 부품 중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 중 하나이며, 브러시의 접촉이 불량하면 정류자편에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져 소손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정류자편이 브러시의 접촉이 불량할 때 소손되기 쉬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단속기내 축전기의 역할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1차 전류의 차단시간을 단축하여 2차 전압을 높인다.
  2. 점화 2차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흡수한다.
  3. 접점사이에 발생되는 불꽃을 흡수하여 접점의 소손을 막는다.
  4. 축전한 전하를 방출하여 1차 전류의 회복이 속히 이루어 지도록 한다.
(정답률: 33%)
  • 단속기내 축전기는 점화 2차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흡수하여 2차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점화 2차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흡수한다."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축전기의 주요 역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전지의 방전 시 나타나는 것은?

  1. Pb
  2. PbO2
  3. PbSO4
  4. H2SO4
(정답률: 59%)
  • 축전지의 방전 시, Pb와 PbO2가 반응하여 PbSO4과 H2O가 생성됩니다. 이는 축전지 내부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면서 전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방전 시 나타나는 것은 PbSO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내연 기관의 전기점화 방식에서 불꽃을 일으키는 1차 유도전류를 일시적으로 흡수 저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진각장치
  2. 단속기
  3. 콘덴서
  4. 배전자
(정답률: 60%)
  • 내연 기관의 전기점화 방식에서는 1차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불꽃을 일으키는데, 이때 콘덴서는 일시적으로 1차 유도전류를 흡수하여 저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적절한 시점에 방전되어 불꽃을 일으키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콘덴서는 내연 기관의 전기점화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오사바아르의 법칙은 다음의 어떤 관계를 나타낸 것인가?

  1. 전위와 전장의 세기
  2. 전류와 자장의 세기
  3. 기전력과 자속의 밀도
  4. 전류와 자속의 기전력
(정답률: 61%)
  • 비오사바아르의 법칙은 전류와 자장의 세기가 비례한다는 관계를 나타낸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며, 이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의 세기와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류가 강해지면 자기장도 강해지고, 전류가 약해지면 자기장도 약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기계안전관리

46. 다음 중 분진에서 오는 직업병이 아닌 것은?

  1. 규폐증
  2. 난청
  3. 납중독
  4. 피부염
(정답률: 76%)
  • 난청은 분진에서 오는 직업병이 아닙니다. 난청은 소음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직업병으로, 고객상담원, 공장노동자, 건설노동자 등 소음이 많은 직종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재는 A급, B급, C급, D급으로 구분한다. 전기 화재는 다음 중 몇 급인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68%)
  • 전기 화재는 C급이다. 이는 전기 화재가 일반적으로 유기물이나 액체 등의 연소물질이 아닌 전기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C급 화재는 전기 화재를 포함하여 가스, 유체 등의 화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농업용 기계에 있어서 동력 전달장치 중 가장 재해가 심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1. 벨트
  2. 풀리
  3. 차축
  4. 기어
(정답률: 69%)
  • 벨트는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서 마모되거나 늘어나게 되어 전달하는 동력이 약해지거나 끊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벨트가 미끄러지거나 풀리게 되면 기계 작동이 멈추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벨트는 주기적인 점검과 교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호안경을 착용해야 할 작업으로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기화기를 차에서 뗄 때
  2. 변속기를 차에서 뗄 때
  3. 장마철 노상운전을 할 때
  4. 배전기를 차에서 뗄 때
(정답률: 57%)
  • 변속기를 차에서 뗄 때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는 부분을 작업하는 것으로, 작업 중에 부품이 떨어져 눈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호안경을 착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산업재해 통계 중 어느 일정한(100만 시간)기간 안에 발생한 재해발생의 빈도를 나타내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천인율
  2. 강도율
  3. 돗수율
  4. 연천인율
(정답률: 37%)
  • 정답은 "돗수율"입니다.

    돗수율은 일정한 기간 동안 발생한 산업재해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1백만 시간당 발생한 산업재해 건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 동안 발생한 산업재해의 빈도를 나타내는 것이 돗수율입니다.

    천인율은 일정한 인원수(보통 1000명)당 발생한 산업재해 건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강도율은 일정한 면적(보통 1km²)당 발생한 산업재해 건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연천인율은 일정한 인원수(보통 1000명)당 발생한 사망사고 건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농용엔진(가솔린) 작동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가스 중 인체에 해가 없는 것은?

  1. CO2
  2. CO
  3. NO2
  4. SO2
(정답률: 79%)
  • CO2는 인체에 해가 없는 가스입니다. 이는 인체 내에서 생산되는 대기 가스이며, 일반적으로 대기 중 농도가 높아지더라도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반면에 CO, NO2, SO2는 인체에 해로운 가스로 각각 중독, 호흡기 질환, 눈과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용엔진 작동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 중 인체에 해가 없는 가스는 C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동력경운기의 작업 시 경운부의 부착된 흙과 풀을 제거할 때 주의사항에 맞지 않는 것은?

  1. 동력을 끊는 것만으로 족하다.
  2. 기관을 정지시켜야 한다.
  3. 작업기가 움직이지 않게 하고 평지에서 하여야 한다.
  4. 경운날에 손과 발이 다치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77%)
  • "동력을 끊는 것만으로 족하다."는 올바른 주의사항입니다. 이유는 동력을 끊으면 작업기가 멈추기 때문에 경운부의 부착물인 흙과 풀이 자연스럽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주의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트랙터를 운전 중 안전운전 방법이 아닌 것은?

  1. 유압으로 작업기를 올려놓고 그 밑에서 작업하지 말 것
  2. 승하차는 반드시 트랙터를 정지 시킨 후 할 것
  3. 경사지 작업 시에는 가급적 차륜의 폭을 넓게 할 것
  4. 운전자와 작업자가 반드시 동시에 탑승하여 작업할 것
(정답률: 79%)
  • 운전자와 작업자가 반드시 동시에 탑승하여 작업해야 하는 이유는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작업 중에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운전자와 작업자가 함께 작업하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 중에는 운전자와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운전자와 작업자가 함께 탑승하여 작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공구 중에서 일반 공구와 분리해서 보관하는 것은?

  1. 구리망치
  2. 센터펀치
  3. 바이스 플라이어
  4. 강철자
(정답률: 60%)
  • 강철자는 일반 공구와는 달리 전기 작업 시에 사용되는 공구로, 전기 작업 시에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해서 보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기에 의한 화재의 진화작업 시 사용해야할 소화기는?

  1. 탄산가스 소화기
  2. 산, 알칼리 소화기
  3. 포말 소화기
  4. 물 소화기
(정답률: 62%)
  • 전기에 의한 화재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원인이므로 물 소화기를 사용하면 전기적인 충격으로 인해 안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기에 의한 화재의 진화작업 시에는 전기를 차단한 후에 사용할 수 있는 탄산가스 소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탄산가스 소화기는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시키는 특징이 있어 전기적인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연삭숫돌의 검사종류와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검사방법이 바르지 못한 것은?

  1. 외관검사는 균열, 이물질, 수분 등의 유무를 육안으로 살펴본다.
  2. 균형검사는 회전 중 떨림을 조사하며 이상이 있을 시 균형추로 조절한다.
  3. 음향검사는 볼핀해머로 숫돌을 두들겨 울리는 소리로 이상 유무를 진단한다.
  4. 회전검사는 사용속도의 1.5배로 3-5분간 회전 시켜 원심력에 의한 파괴여부를 검사한다.
(정답률: 34%)
  • "회전검사는 사용속도의 1.5배로 3-5분간 회전 시켜 원심력에 의한 파괴여부를 검사한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연삭숫돌의 회전속도는 고속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회전검사는 일반적으로 초당 회전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원심펌프의 취급상 유의점이다. 알맞은 것은?

  1. 원심펌프의 보울베어링에는 모빌유를 사용하되 점도가 낮을수록 동력소모가 작다.
  2. 장시간 공운전을 실시하여 펌프의 가동상태를 점검한다.
  3. 그랜드 패킹에서는 소량의 물이 방울로 떨어져야 한다.
  4. 정지 시에는 먼저 원동기를 정지시키고 뒤에 토출밸브를 닫는다.
(정답률: 46%)
  • 그랜드 패킹에서는 소량의 물이 방울로 떨어져야 한다. 이유는 그랜드 패킹은 원심력에 의해 물을 밀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패킹에 물이 너무 많이 고여있으면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아 펌프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소량의 물이 방울로 떨어지도록 조절하여 최적의 원심력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산소 누설을 점검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성냥불
  2. 석유
  3. 비눗물
(정답률: 85%)
  • 산소는 불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기체이기 때문에, 성냥불을 사용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석유나 물은 산소 누설을 감지하는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비눗물은 산소와 반응하여 거품을 일으키기 때문에, 산소 누설을 쉽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눗물이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공기 압축기의 설치장소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급유 및 점검 등이 용이한 장소일 것
  2. 습기와 도료가 많은 곳은 통풍이 안 되게 설치할 것
  3. 실온이 40℃이상 되는 고온장소에서는 설치하지 말 것
  4. 타 기계 설비와의 이격 거리는 최소 1.5m이상 유지될 것
(정답률: 83%)
  • "습기와 도료가 많은 곳은 통풍이 안 되게 설치할 것"은 공기 압축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습기와 도료가 함께 공기와 함께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소에 설치하면 공기 압축기 내부에 쌓이게 되어 기계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통풍이 안 되게 설치하면 공기 압축기 내부의 열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고온화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에도 위험합니다. 따라서, 습기와 도료가 많은 곳은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작업장에서 작업복 착용 시 지켜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작업복을 착용한다.
  2. 땀을 닦을 수건을 허리띠에 끼우거나 목에 감는다.
  3. 기름이 묻고 더러운 작업복은 입지 않는다.
  4. 해지고 찢어진 작업복은 입지 않는다.
(정답률: 86%)
  • 땀을 닦을 수건을 허리띠에 끼우거나 목에 감는 것은 작업복 착용 시 지켜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개인적인 습관이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땀을 닦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