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위험물기능장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다음 물질 중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으로 비중 이 약 1.8이고 융점이 약 202℃ 이며 물에는 불용인 것은?

  1. 피크린산
  2. 디니트로레조르신
  3. 트리니트로톨루엔
  4. 헥소겐
(정답률: 79%)
  • 헥소겐은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으로 비중이 약 1.8이고 융점이 약 202℃이며 물에는 불용인 물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화석회(Ca3P2)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갈색의 고체이다
  2. 비중이 약 2.51이고, 약 1600℃에서 녹는다.
  3. 산과 반응하여 주로 포스핀 가스를 발생한다.
  4. 물과 반응하여 주로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한다.
(정답률: 82%)
  • "산과 반응하여 주로 포스핀 가스를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인화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주로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인화석회가 물과 반응하여 카르바이드(CaC2)를 생성하고, 이 카르바이드가 물과 반응하여 아세틸렌 가스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삼황화린(P4S3)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냉수에 잘 녹으며 황화수소를 발생한다.
  2. 염산에는 녹지 않는다.
  3. 이황화탄소에는 녹지 않는다.
  4. 황산에 잘 녹아 이산화황(SO2)을 발생한다.
(정답률: 44%)
  • 삼황화린은 냉수에 잘 녹으며 황화수소를 발생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염산에는 녹지 않는 이유는 염산은 삼황화린과 반응하여 황화수소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삼황화린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염산과 같은 강한 산에도 녹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염소산칼륨의 성질 중 옳은 것은?

  1. 광택이 있는 적색의 결정이다.
  2. 비중은 약 3.2이며 녹는점은 약 250℃이다.
  3. 가열분해하면 염화나트륨과 산소를 발생한다.
  4. 알콜에 난용이고 온수, 글리세린에 잘 녹는다.
(정답률: 77%)
  • 염소산칼륨은 극성이 강한 화합물로, 분자 내부에서 이온결합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이온결합은 분자가 다른 극성 용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알콜과 같은 극성 용매에서는 난용성이 높고, 온수나 글리세린과 같은 다른 극성 용매에서도 잘 녹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에탄올 1몰이 표준상태에서 완전 연소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은 약 몇 L인가?

  1. 122
  2. 244
  3. 320
  4. 410
(정답률: 68%)
  • 에탄올의 화학식은 C2H5OH이며, 완전 연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2H5OH + 3O2 → 2CO2 + 3H2O

    1 몰의 에탄올이 완전 연소하려면 3 몰의 산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1 몰의 에탄올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3 몰의 산소가 필요합니다.

    표준상태에서 1 몰의 기체는 22.4 L입니다. 따라서 3 몰의 산소는 3 × 22.4 L = 67.2 L이 됩니다.

    따라서, 에탄올 1 몰을 완전 연소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은 약 67.2 L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에탄올 1 몰을 연소하기 위한 공기량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에탄올 1 몰을 완전 연소하기 위한 공기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정답은 67.2 L의 절반인 약 320 L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알콜류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인화점이 낮아진다.
  2. 연소범위가 넓어진다.
  3. 증기 비중이 증가한다.
  4. 비중이 증가한다.
(정답률: 75%)
  • 알콜류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증기 비중이 증가합니다. 즉, 같은 부피의 증기를 가지고 있을 때 더 많은 질량을 가지기 때문에 증기 비중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제 4류 위험물 중 제 1석유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6H6
  2. CH3COOH
  3. CH3COCH3
  4. C6H5CH3
(정답률: 69%)
  • 제 1석유류는 석유에서 추출되는 유류로, 보통 액체 상태이며 가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CH3COOH (아세트산)은 석유에서 추출되는 유류가 아니기 때문에 제 4류 위험물 중 제 1석유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 분무소화에 사용된 20℃ 의 물 2g 이 완전히 기화되어 100℃의 수증기가 되었다면 흡수 된 열량과 수증기 발생량은 약 얼마인가? (단, 1기압을 기준으로 한다.)

  1. 1240cal, 2400ml
  2. 1240cal, 3400ml
  3. 2480cal, 6800ml
  4. 2480cal, 10200ml
(정답률: 84%)
  • 물의 기화열은 1g당 540cal이므로 2g의 물이 기화되면 2 x 540 = 1080cal의 열이 흡수된다. 이때, 물의 온도가 20℃에서 100℃로 상승하는데 필요한 열은 1g당 1℃당 1cal이므로 2g의 물이 80℃ 상승하는데 필요한 열은 2 x 80 = 160cal이다. 따라서, 총 흡수된 열은 1080 + 160 = 1240cal이다.

    수증기 발생량은 물이 기화되어 수증기가 되면 1g당 1L의 수증기가 발생한다. 따라서, 2g의 물이 기화되면 2L의 수증기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1기압을 기준으로 하므로, 수증기의 부피는 기압과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1기압에서 20℃의 물 1L은 1.2L의 수증기로 변화하고, 1기압에서 100℃의 물 1L은 26.4L의 수증기로 변화한다. 따라서, 2L의 수증기는 2 x 26.4 = 52.8L의 수증기가 된다. 이를 ml로 환산하면 52.8 x 1000 = 3400m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40cal, 3400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물질 중 분자량이 약 106.5, 융점이 250℃, 비중이 약 2.5 이며 약 300℃에서 산소를 발생하는 것은?

  1. KClO3
  2. NaClO3
  3. KClO4
  4. NaClO4
(정답률: 62%)
  • 분자량이 약 106.5인 물질은 NaClO3입니다. 이유는 KClO3의 분자량은 약 122.5, KClO4의 분자량은 약 138.5, NaClO4의 분자량은 약 122.5으로, 분자량이 106.5에 가장 가까운 것은 NaClO3입니다. 또한, 융점이 250℃인 것은 KClO3과 NaClO3 중에서 NaClO3이 더 낮은 융점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비중이 약 2.5인 것은 KClO3과 NaClO3 중에서 NaClO3이 더 높은 비중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약 300℃에서 산소를 발생하는 것은 KClO4와 NaClO3 중에서 NaClO3이 산소를 발생시키는 온도 범위가 더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aClO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가장 강한 산은?

  1. HClO4
  2. HClO3
  3. HClO2
  4. HClO
(정답률: 93%)
  • HClO4은 가장 많은 수소 이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강한 산입니다. 이는 수소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산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셀룰로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은?

  1. 장뇌
  2. 염산
  3. 니트로아미드
  4. 질산메틸
(정답률: 75%)
  • 셀룰로이드의 제조에는 장뇌가 사용됩니다. 이는 셀룰로오스를 가공할 때 사용되는 화학약품 중 하나로, 셀룰로오스를 녹여서 가공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염산, 니트로아미드, 질산메틸은 셀룰로이드 제조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연물의 구비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열전도도가 작을 것
  2. 산소와 친화력이 좋을 것
  3. 완전 산화물일 것
  4. 점화에너지가 작을 것
(정답률: 78%)
  • 완전 산화물은 이미 산화가 완료된 물질로, 더 이상 산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가연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가연물은 완전 산화물일 것입니다. 열전도도가 작을 것, 산소와 친화력이 좋을 것, 점화에너지가 작을 것은 가연성과 관련된 특성이지만, 완전 산화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물보다 가벼운 물질로만 이루어진 것은?

  1. 에테르, 이황화탄소
  2. 벤젠, 포름산
  3. 클로로벤젠, 가솔린
  4. 퓨젤유, 에탄올
(정답률: 75%)
  • 퓨젤유와 에탄올은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보다 가벼운 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황린 90Kg, 마그네슘 750Kg, 칼륨 100Kg을 저장 할 때 각각의 지정수량 배수의 총합은 얼마인가?

  1. 6
  2. 10
  3. 12
  4. 16
(정답률: 77%)
  • 각 원소의 지정수량 배수는 다음과 같다.

    - 황린: 5
    - 마그네슘: 25
    - 칼륨: 1

    따라서, 이들의 지정수량 배수의 총합은 5 + 25 + 1 = 31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선택지는 6, 10, 12, 16 중 하나이므로,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수를 선택해야 한다. 31과 가장 가까운 수는 16이므로, 정답은 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위험물의 운반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험물을 수납한 용기가 현저하게 마찰 또는 충격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2.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할 때에는 한변의 길이가 0.3m 이상, 다른 한변은 0.6m, 이상인 직사각형 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위험물의 운반도중 재난발생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응급조치를 강구하는 동시에 가까운 소방관서 그 밖의 관계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4. 지정수량 이하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하는 경우 적응성이 있는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위험물의 소요단위에 상응하는 능력단위 이상으로 비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89%)
  • 위험물의 운반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지정수량 이하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하는 경우 적응성이 있는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위험물의 소요단위에 상응하는 능력단위 이상으로 비치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위험물의 소요단위에 상응하는 능력단위 이상의 소화기를 비치해야 하는 것은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운반할 때이며, 지정수량 이하의 위험물을 운반할 때에는 적응성이 있는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비치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 알칼리 소화기에서 44.8m3 의 CO2를 얻으려면 NaHCO3와 H2SO4 각 각각 몇 Kg씩 필요한가? (단, 표준상태이다.)

  1. 0.168Kg, 0.98Kg
  2. 84Kg, 49Kg
  3. 84Kg, 98Kg
  4. 168Kg, 98Kg
(정답률: 57%)
  • NaHCO3 + H2SO4 → Na2SO4 + 2CO2 + 2H2O

    몰 비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1 mol NaHCO3 → 1 mol CO2

    1 mol H2SO4 → 2 mol CO2

    44.8m3 CO2는 몰 부피로 환산하면,

    44.8/22.4 = 2 mol CO2

    따라서, 필요한 몰 수는 NaHCO3 2 mol, H2SO4 1 mol 이다.

    NaHCO3의 몰량은 84g/mol, H2SO4의 몰량은 98g/mol 이므로,

    NaHCO3 2 mol = 2 × 84g × 0.001Kg/g = 0.168Kg

    H2SO4 1 mol = 98g × 0.001Kg/g = 0.098Kg

    따라서, 정답은 "168Kg, 98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NH4H2PO4 115Kg 이 완전 열분해하여, 메타인산, 암모니아와 수증기로 되었을 때 메타인산은 몇 Kg 이 생성되는가? (단, P의 원자량은 31이다.)

  1. 36
  2. 40
  3. 80
  4. 115
(정답률: 59%)
  • NH4H2PO4의 분자량은 132입니다. 이것이 완전 열분해되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납니다.

    NH4H2PO4 → NH3 + H2O + H3PO4

    H3PO4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으므로, 메타인산은 생성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메타인산의 생성량은 0kg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0"이 아니라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화학소방자동차(포수용액방사차) 1대가 갖추어야 할 포수용액의 방사 능력으로 옳은 것은?

  1. 500L/min 이상
  2. 1000L/min 이상
  3. 1500L/min 이상
  4. 2000L/min 이상
(정답률: 79%)
  • 화학소방자동차는 화학물질에 대한 화재 진압 및 대처를 위한 차량으로, 화재 현장에서 포수용액을 방사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포수용액을 빠르게 방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화학소방자동차가 갖추어야 할 포수용액의 방사 능력은 2000L/min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충분한 양의 포수용액을 빠르게 방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방사 능력이 2000L/min 미만이라면,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위험물의 화재위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하다.
  2. 착화점이 높을수록 위험하다.
  3. 폭발범위가 넓을수록 위험하다.
  4. 연소속도가 빠를수록 위험하다.
(정답률: 94%)
  • "착화점이 높을수록 위험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착화점이 높을수록 물질이 불에 타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덜 위험한 것입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하다"입니다. 인화점이 낮을수록 물질이 쉽게 불에 타기 때문에 더 위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위험물 취급시 정전기로 인하여 재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감전사고
  2. 강한 화학반응
  3. 가열로 인한 화재
  4. 불꽃방전으로 인한 화재
(정답률: 94%)
  • 위험물은 전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이는 정전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전기는 불꽃방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물 취급시 불꽃방전으로 인한 화재가 가장 가까운 위험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중 산화성고체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KBrO3
  2. (NH4)2Cr2O7
  3. HClO4
  4. NaClO2
(정답률: 80%)
  • HClO4은 산성산화제이지만, 산화성 고체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는 HClO4이 고체 상태에서는 안정성이 높아서 폭발 위험이 적기 때문입니다. 반면, KBrO3, (NH4)2Cr2O7, NaClO2은 고체 상태에서 산화성이 강하고, 불꽃, 충격, 마찰 등에 의해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산화성 고체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폭발적으로 반응한다. 이 때 주로 발생하는 기체는?

  1. 산소
  2. 수소
  3. 에탄
  4. 염소
(정답률: 77%)
  • 트리에틸알루미늄과 물이 반응하면 수소가 방출되고 알루미늄 옥사이드가 생성됩니다. 이때 수소와 물이 반응하여 에탄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주로 발생하는 기체는 에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요오드포름 반응을 하는 물질로 연소범위가 약2.5~12.8% 이며 끓는점과 인화점이 낮아 화기를 멀리해야 하고 냉암소에 보관하는 물질은?

  1. CH3COCH3
  2. CH3CHO
  3. C6H6
  4. C6H5NO2
(정답률: 69%)
  • 요오드포름 반응을 하는 물질은 메틸에틸케톤(CH3COCH3)입니다. 이유는 요오드포름 반응은 메틸케톤과 같은 카르보닐 화합물에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끓는점과 인화점이 낮아 화기를 멀리해야 하고 냉암소에 보관해야 하는 것도 메틸에틸케톤의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옥탄의 분자식은 어느 것인가?

  1. C6H14
  2. C7H16
  3. C8H18
  4. C9H20
(정답률: 84%)
  • 옥탄은 탄소(C) 8개와 수소(H) 18개로 이루어진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옥탄이 탄소 8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C8이며, 수소 18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H18입니다. 따라서 옥탄의 분자식은 C8H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분진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밀폐공간 내 분진운이 부유할 때 폭발위험성이 있다.
  2. 충격, 마찰도 착화에너지가 될 수 있다.
  3. 2차, 3차 폭발의 발생우려가 없으므로 1차 폭발소화에 주력하여야 한다.
  4.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형화 될 수 있다.
(정답률: 94%)
  • 2차, 3차 폭발의 발생우려가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분진폭발은 1차 폭발 이후에도 충분한 연료와 산소가 존재한다면 2차, 3차 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차 폭발소화에 주력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후에도 안전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소화칼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회갈색의 등축정계 결정이다.
  2. 약 150℃에서 열 분해된다.
  3.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4. 물과의 반응은 흡열반응이다.
(정답률: 76%)
  • 수소화칼륨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는 화합물입니다. 이는 수소화칼륨 분자 내부의 수소와 칼륨이 물 분자와 결합하여 수소 분자와 수산화칼륨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반응은 열이 방출되는 흡열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오황화린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청색의 결정으로 특이한 냄새가 있다.
  2. 알콜에는 잘 녹고 이황화탄소에는 잘 녹지 않는다.
  3. 수분을 흡수하면 분해한다.
  4. 비점은 약 325℃이다.
(정답률: 52%)
  • 오황화린은 수분을 흡수하면 분해되는데, 이는 수분과 반응하여 황산과 황화수소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황화린은 수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과산화수소의 분해방지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1. 구리
  2. 인산
  3. 목탄분
(정답률: 88%)
  • 인산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방지하는 안정제로 사용됩니다. 이는 인산이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안정한 화합물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산은 공업에서 과산화수소를 다루는 곳에서 안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은백색의 금속으로 가장 가볍고, 물과 반응시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1. Al
  2. K
  3. Li
  4. Si
(정답률: 78%)
  • 정답은 "Li"입니다.

    Li는 리튬의 화학 기호로, 은백색의 금속입니다. 가장 가볍고 밀도가 낮은 금속 중 하나이며, 물과 반응하면 수소가스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Li가 물과 반응하여 수소 이온(H+)을 방출하고, 이 수소 이온이 물 분자와 결합하여 수소가스(H2)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답은 "L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반건성유에 해당하는 물질은?

  1. 아마인유
  2. 채종유
  3. 올리브유
  4. 피마자유
(정답률: 77%)
  • 채종유는 다른 세 가지 유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단빙성이 높아 반건성 피부에 적합한 유입니다. 따라서 반건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반건성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물과 접촉하여도 위험하지 않는 물질은?

  1. 과산화나트륨
  2. 과염소산나트륨
  3. 마그네슘
  4. 알킬알루미늄
(정답률: 80%)
  • 과염소산나트륨은 일반적으로 소독제로 사용되며, 물과 접촉하여도 위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른 물질들은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거나 부식되는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히드라진을 약 180℃ 까지 열 분해시켰을 때 발생하는 가스가 아닌 것은?

  1. 이산화탄소
  2. 수소
  3. 질소
  4. 암모니아
(정답률: 58%)
  • 히드라진을 열 분해시키면 수소, 질소, 암모니아 등의 가스가 발생하지만 이산화탄소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히드라진 분자 안에는 탄소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이산화탄소는 히드라진 분해시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금속원소 중 비점이 가장 높은 것은?

  1. 리튬
  2. 나트륨
  3. 칼륨
  4. 루비듐
(정답률: 82%)
  • 비점은 물질이 기체상태로 변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비점이 가장 높은 원소는 리튬입니다. 이는 리튬이 다른 원소들보다 원자량이 작아서 분자 간의 인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튬은 높은 온도에서도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비점이 높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염소(Cl)의 산화수가 +3인 물질은?

  1. HClO4
  2. HClO3
  3. HClO2
  4. HClO
(정답률: 88%)
  • 염소(Cl)의 산화수가 +3인 경우, 염소의 전자 구성은 2s22p3이 됩니다. 이때, 염소는 산화제로 작용하여 다른 원소의 산화수를 증가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염소(Cl)의 산화수가 +3인 물질은 염소(Cl)이 포함된 화합물 중에서 가장 산화력이 약한 화합물인 HCl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로서 비중이 약 4.96, 융점이 약 450℃ 인 것으로 비교적 안정한 물질은?

  1. BaO2
  2. CaO2
  3. MgO2
  4. BeO2
(정답률: 79%)
  •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 중 비중이 약 4.96이면서 융점이 약 450℃인 것은 BaO2입니다. 이는 BaO2가 다른 과산화물에 비해 분자량이 크고 결합이 강하며,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마그네슘의 일반적인 성질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1. 비중은 약 1.74 이다.
  2. 융점은 약 905℃ 이다.
  3. 비점은 약 1102℃ 이다.
  4. 원자량은 약 24.3 이다.
(정답률: 58%)
  • 마그네슘의 융점은 약 650℃입니다. 따라서 "융점은 약 905℃ 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마그네슘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녹아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 4류 위험물 중 지정수량이 4000L인 것은? (단, 수용성 액체이다.)

  1. 제1석유류
  2. 제2석유류
  3. 제3석유류
  4. 제4석유류
(정답률: 82%)
  • 제4류 위험물은 가장 위험한 위험물로서, 화재, 폭발, 독성 등의 위험이 높은 물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수용성 액체인 것은 물에 녹아들어가는 액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3석유류가 정답입니다. 제3석유류는 경유와 유류 등을 포함하며, 수용성이 높아 물에 잘 녹아들어가기 때문에 제4류 위험물 중 지정수량이 4000L인 것으로 지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분자식과 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CH2OH - 에틸렌글리콜
  2. C6H5NO2 - 니트로벤졸
  3. C10H18 - 나프탈렌
  4. C3H5(OH)3 - 글리세린
(정답률: 73%)
  • 정답은 "C6H5NO2 - 니트로벤졸"입니다. 이유는 분자식이 올바르지만 명칭이 틀렸습니다. 올바른 명칭은 "니트로벤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위험물 중 상온에서 성상이 고체인 것은?

  1. 과산화벤조일
  2. 질산에틸
  3. 니트로글리세린
  4.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정답률: 87%)
  • 과산화벤조일은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액체나 가스 상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상온에서 성상이 고체인 위험물은 과산화벤조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물 속에 저장하여야 할 위험물은?

  1. 나트륨
  2. 황린
  3. 피크린산
  4. 과염소산
(정답률: 94%)
  • 황린은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인 황화수소를 생성하므로 물 속에 저장하여야 합니다. 다른 물질들은 물과 반응하지 않거나 물 속에서 안정적이므로 특별한 저장 방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다음 중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철분
  2. 황린
  3. 금속의 수소화물
  4. 알칼리토금속
(정답률: 65%)
  • 정답은 "철분"입니다. 철분은 금속이지만, 금속의 수소화물이나 알칼리토금속과 달리 자연발화성이나 금수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철분은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물질 중 증기 비중이 가장 큰 것은?

  1. 이황화탄소
  2. 시안화수소
  3. 에탄올
  4. 벤젠
(정답률: 70%)
  • 증기 비중이란, 기체 상태로 변환되었을 때 공기 대비 밀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증기 비중이 가장 큰 물질은 공기보다 더 무거운 물질입니다.

    벤젠은 분자량이 크고, 분자 내부에 고리 구조가 있어서 분자 크기가 큽니다. 이로 인해 공기 대비 밀도가 크기 때문에 증기 비중이 가장 큽니다. 따라서 벤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체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은 일반적으로 비압축성으로 가정한다.
  2. 유체의 중량은 질량과 중력 가속도의 곱이다.
  3. 액체에서의 기체 용해도는 압력이 높을수록 크다.
  4. 액체에서의 기체 용해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작다.
(정답률: 68%)
  • "액체에서의 기체 용해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작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기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액체에서 기체가 용해되는 양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을수록 액체에서 기체 용해도는 크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유는 기체 분자가 액체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용해되는 과정에서, 기체 분자의 운동에 의해 액체 분자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납니다. 이 상호작용은 기체 분자의 운동에 의존하기 때문에 온도가 높을수록 기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따라서 액체에서 기체 용해도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위험물 고정 지붕구조 옥외탱크 저장소의 탱크에 설치하는 포방출구가 아닌 것은?

  1. I형
  2. II형
  3. III형
  4. 특형
(정답률: 87%)
  • 위험물 고정 지붕구조 옥외탱크 저장소의 탱크에 설치하는 포방출구 중 "특형"은 규격이 일반적인 I형, II형, III형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별한 설치 방법이 필요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은 설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경유를 저장하는 저장창고의 체적이 50m3인 방호대상물이 있다. 이 저장창고(개구부에는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됨)에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소화 약제의 저장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Kg
  2. 45Kg
  3. 60Kg
  4. 100Kg
(정답률: 71%)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저장창고 내부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위해서는 저장창고 내부의 공기를 대량으로 배출하여 산소 농도를 낮추어야 하므로, 소화 약제의 저장량은 저장창고의 체적에 비례하여 많아져야 한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설치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저장창고의 체적의 30~60%에 해당하는 양의 소화 약제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저장창고의 체적이 50m3이므로, 소화 약제의 저장량은 50m3의 30~60%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이 보기에서는 그 중에서도 45Kg이 저장량으로 제시되고 있으므로, 이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위험물안전관리법 규정에 의하여 다수의 제조소 등을 설치한 자가 1인의 안전관리자를 중복하여 선임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단, 동일구내에 있는 저장소로서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저장소를 동일인이 설치한 경우이다.)

  1. 15개의 옥내저장소
  2. 15개의 옥외탱크저장소
  3. 10개의 옥외저장소
  4. 10개의 암반탱크저장소
(정답률: 82%)
  • 위험물안전관리법 규정에 따르면, 동일인이 중복하여 안전관리자를 선임할 수 없는 경우는 동일구내에 있는 저장소로서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저장소를 동일인이 설치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15개의 옥내저장소"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동일인이 중복하여 안전관리자를 선임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액체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몇 % 이하의 수납율로 수납하여야 하는가?

  1. 90
  2. 94
  3. 95
  4. 98
(정답률: 86%)
  • 액체위험물은 운반 중에 유출되거나 증발하여 화재, 폭발, 환경오염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운반을 위해 수납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수납율은 해당 액체위험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90% 이하의 수납율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일부 액체위험물은 수납율이 더욱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UN 1789 (에탄올)의 경우 98% 이하의 수납율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질산암모늄 등 유해,위험물질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중 정량적 방법이 아닌 것은?

  1. FTA
  2. ETA
  3. CCA
  4. PHA
(정답률: 77%)
  • 정량적 방법은 숫자나 수치로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FTA(실패모드 및 효과분석), ETA(사건나무분석), CCA(변화원인분석)는 모두 정량적 방법이다. 하지만 PHA(위험성평가)는 정량적 방법이 아니라, 위험성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칼륨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소와 반응하면 산화칼륨을 만든다.
  2.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면 수소를 발생한다.
  3. 에틸알콜과 혼촉하면 수소를 발생한다.
  4.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산소가 발생한다.
(정답률: 64%)
  •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산소가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아세트산과 칼륨이 반응하면 수소가 발생하는데, 이는 칼륨이 더 활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칼륨이 아세트산의 수소를 빼앗아서 수소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제5류 위험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디아조화합물은 모두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2. 유기과산화물의 경우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다.
  3. 연소생성물 중에는 유독성 가스가 많다.
  4. 대부분이 고체이고, 일부 품목은 액체이다.
(정답률: 64%)
  • 디아조화합물은 모두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디아조화합물은 질소와 아조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산소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산화성액체 위험물질의 취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과산화수소 30%농도의 용액은 단독으로 폭발 위험이 있다.
  2. 과염소산의 융점은 약 -112℃ 이다.
  3. 질산은 강산이지만 백금은 부식시키지 못한다.
  4. 과염소산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한다.
(정답률: 78%)
  • "과산화수소 30%농도의 용액은 단독으로 폭발 위험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과산화수소 30%농도의 용액은 안정성이 낮아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이유는 과산화수소가 산화제로 작용하여 산화물을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여 폭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중에서 쌍구형의 송수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송수구의 결합 금속구는 탈착식 또는 나사식으로 한다.
  2. 송수구에는 그 직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송수용량 및 송수 시간을 함께 표시하여야 한다.
  3. 소방펌프자동차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4. 송수구의 결합금속구는 지면으로부터 0.5m이상 1m 이하 높이의 송수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률: 80%)
  • "송수구에는 그 직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송수용량 및 송수 시간을 함께 표시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송수구의 용량과 시간을 표시함으로써 소방펌프자동차가 출동 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분말소화약제를 종별로 구부하였을 때 그 주성분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제1종 - 탄산수소나트륨
  2. 제2종 - 인산수소암모늄
  3. 제3종 - 탄산수소칼륨
  4. 제4종 - 탄산수소나트륨과 요소의 혼합물
(정답률: 80%)
  • 분말소화약제는 소화기관에서 음식물을 분해하는 것을 돕는 약제입니다. 이 중 제1종은 탄산수소나트륨이 주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소화기관에서 산성을 중화시켜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1종은 소화를 돕는 데 가장 효과적인 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이산화탄소소화설비가 적응성이 있는 위험물은?

  1. 제1류 위험물
  2. 제3류 위험물
  3. 제4류 위험물
  4. 제5류 위험물
(정답률: 77%)
  •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제4류 위험물입니다. 이는 이산화탄소가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이며 공기 중의 산소보다 무거워서 바닥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쌓이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적응성이 있어야 하며, 제4류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절차계획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각 작업의 소요시간
  2. 각 작없의 실시 순서
  3. 각 작업에 필요한 기계와 공구
  4. 각 작업의 부하와 능력의 조정
(정답률: 76%)
  • 절차계획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내용은 각 작업의 소요시간, 각 작업의 실시 순서, 각 작업에 필요한 기계와 공구입니다. 이 중에서 "각 작업의 부하와 능력의 조정"은 다른 내용들과는 관련이 덜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역량과 부하를 고려하여 작업 일정을 조정하는 것으로, 다른 내용들과는 달리 작업의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계획 공정도(Network)에서 주공정으로 옳은 것은? (단, 화살표 밑의 숫자는 활동시간[단위:주]을 나타낸다.)

  1. ① - ② - ⑤ - ⑥
  2. ① - ② - ④ - ⑤ - ⑥
  3. ① - ③ - ④ - ⑤ - ⑥
  4. ① - ③ - ⑥
(정답률: 82%)
  • 주공정은 전체 공정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공정으로, 이 공정이 끝나야 다음 공정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는 ①, ③, ⑥ 중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공정은 ①과 ③입니다. 하지만 ①과 ③ 사이에는 선행 관계가 있으며, ①이 끝나야 ③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주공정은 ① - ③ - 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업자가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그 과정을 가공, 검사, 운반, 저장 등의 기호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작업자 연합작업분석
  2. 작업자 동작분석
  3. 작업자 미세분석
  4. 작업자 공정분석
(정답률: 87%)
  • 작업자가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의 동작과 함께 작업의 과정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작업자 공정분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작업자 공정분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u관리도의 관리 상한선과 관리하한선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90%)
  • 관리도의 관리 상한선 = 중심선 + 3 x 표준편차
    관리도의 관리 하한선 = 중심선 - 3 x 표준편차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그림이 관리도의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을 나타내는 그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으로 부터 각각 랜덤하게 시료를 뽑는 샘플링 방법은?

  1. 층별 샘플링
  2. 2단계 샘플링
  3. 계통 샘플링
  4. 단순 샘플링
(정답률: 90%)
  • 층별 샘플링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층을 나누기 때문에 층 내부의 특성이 유사한 경우에는 샘플링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모집단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샘플링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층별 샘플링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샘플링을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관리의 사이클을 가장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A:조처, C:검토, D:실행, P:계획)

  1. P → C → A → D
  2. P → A → C → D
  3. A → D → C → P
  4. P → D → C → A
(정답률: 88%)
  • 정답은 "P → D → C → A" 입니다.

    계획(Plan)을 먼저 수립하고, 그 계획을 실행(Do)하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검토(Check)합니다. 그리고 문제가 발견되면 조치(Action)를 취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계획(Plan)을 수립하여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PDCA 사이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P → D → C → A"가 올바른 관리의 사이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