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4-07)

배관기능장
(2002-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위생 배관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가옥 배수관이 공공 배수관에 연결되는 곳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여과기를 설치한다.
  2. 위생 기구의 통기관은 기구 배수구 근처 통기 수직관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다.
  3. 간접 배수 수직관의 신정 통기관과 일반 배수 수직관의 신정 통기관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4. 통기가 불량한 위치에서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간접 배수이다.
(정답률: 58%)
  • 간접 배수 수직관과 일반 배수 수직관은 함께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간접 배수 수직관은 위생적인 이유로 신정 통기관을 사용하고, 일반 배수 수직관은 신정 통기관 대신 직접 배수구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종류의 배수 수직관을 함께 사용하면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일반적인 집진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원심력식 집진법
  2. 세정식 집진법
  3. 여과식 집진법
  4. 진공식 집진법
(정답률: 65%)
  • 진공식 집진법은 일반적인 집진법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공기를 집진기 내부에서 집중적으로 흡입하여 집진하는 방식으로, 집진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집진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공기를 집진기 내부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집진물질이 집중적으로 흡입되어 효율적인 집진이 가능하며, 집진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집진물질이 집진 필터에 더욱 효과적으로 붙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진공식 집진법은 일반적인 집진법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니며, 특히 고농도의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등을 집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증기난방에 비해 온수난방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 잘못된 것은?

  1. 예열에 시간이 걸린다.
  2.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른 온도 조절이 곤란하다.
  3. 동일 발열량에 비해 방열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
  4. 보일러 취급이 용이하며 비교적 안전하다.
(정답률: 75%)
  • 증기난방과 달리 온수난방은 물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예열에 시간이 걸리지 않아 빠른 난방이 가능하며, 보일러 취급이 용이하고 비교적 안전합니다. 하지만 온수난방은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른 온도 조절이 곤란합니다. 이는 물의 열전달 특성 때문인데, 물은 고온에서는 빠르게 열을 전달하지만 낮은 온도에서는 열전달이 느려져서 온도 조절이 어렵습니다. 또한 동일한 발열량에 비해 방열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온수난방은 난방부하가 일정한 건물에 적합하며, 온도 조절이 민감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구 정압기 방식과 전용 정압기 방식 및 병용 공급 방식으로 분류되는 도시가스 공급방식은?

  1. 저압 공급방식
  2. 중압 공급방식
  3. 정압 공급방식
  4. 고압 공급방식
(정답률: 62%)
  • 도시가스는 가정이나 상업시설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가스입니다. 이 가스는 공급방식에 따라 기구 정압기 방식, 전용 정압기 방식, 병용 공급 방식, 중압 공급방식, 정압 공급방식, 고압 공급방식으로 분류됩니다.

    중압 공급방식은 가스를 고압으로 공급한 후,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압기를 사용하여 중압으로 변환한 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가스의 고압을 이용하여 전송 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가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가스 사용량이 많아져도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합니다.

    중압 공급방식은 대부분의 가정이나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이는 가스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중압 공급방식은 도시가스 공급방식 중 가장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급수펌프 배관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입관은 되도록 짧고 굴곡이 적게한다.
  2. 토출 수평관은 공기가 차지 않도록 올림구배를 한다.
  3. 토출쪽 수직 상부에 수격작용 방지 시설을 한다.
  4. 토출양정이 18 m 이상이면 토출구와 토출밸브 사이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80%)
  • 토출양정이 18 m 이상인 경우, 배관 내부에 발생하는 진공 현상으로 인해 체크밸브가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체크밸브가 열리지 않으면, 펌프가 작동하지 않아 물이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토출양정이 18 m 이상인 경우에는 체크밸브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진공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 이외의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설명이다. 흡입관은 짧고 굴곡이 적을수록 펌프의 성능이 향상되며, 토출 수평관은 공기가 차지 않도록 올림구배를 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토출쪽 수직 상부에는 수격작용 방지 시설을 설치하여 펌프의 안전성을 높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동화 시스템에서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제어정보를 분석처리하여 필요한 제어명령을 내려주는 제어신호 처리장치로 자동화의 5대 요소 중 하나인 것은?

  1. 센서(sensor)
  2. 네트워크(network)
  3. 프로세서(processor)
  4. 소프트웨어(software)
(정답률: 70%)
  • 자동화 시스템에서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어신호 처리장치로, 이는 제어정보를 분석하고 처리하여 필요한 제어명령을 내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프로세서입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의 핵심 부품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입니다. 자동화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로, 센서 등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프로세서가 분석하고 처리하여 필요한 제어명령을 내려줍니다.

    또한, 프로세서는 자동화 시스템에서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도 합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자동화 시스템의 기능을 구현합니다.

    따라서, 자동화의 5대 요소 중에서도 프로세서는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자동화 시스템의 성능과 기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화를 CAD에 적용시 자동화에 적합한 설계기술 업무와 도면작성 업무로 분류할 때 도면작성 업무 분야인 것은?

  1. 단순한 도형의 배열이나 원,곡선 등이 많은 분야
  2. 설계 이론이 정식화되어 있으나 계산이 복잡한 분야
  3. 극히 많은 기술정보 중 가장 적합한 것을 구하는경우
  4. 여러개의 설계조건 중 가장 적합한 것을 골라내는 경우
(정답률: 72%)
  • 단순한 도형의 배열이나 원, 곡선 등이 많은 분야는 도면작성 업무 분야입니다. 이는 이러한 도형들이 자주 반복되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건축 분야에서는 벽, 창문, 문, 기둥 등의 도형이 자주 사용되며, 기계 분야에서는 기어, 벨트, 스프링 등의 도형이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도형들은 간단하지만, 많은 양이 필요하며,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CAD를 이용하여 이러한 도형들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배열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또한, 이러한 도형들은 자동화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AD를 이용하여 자동화된 도면작성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시간 당 급탕 동시 사용량이 3000ℓ 인 급탕 주관의 관경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유속은 1m/sec 이고, 순환 탕량은 동시 사용량의 약 2.5 배 정도로 한다.)

  1. 25A
  2. 42A
  3. 50A
  4. 80A
(정답률: 72%)
  • 급탕 주관의 관경을 결정하는 요소는 유속과 동시 사용량입니다. 유속은 1m/sec로 주어졌으므로, 동시 사용량에 따라 적정한 관경을 선택해야 합니다. 순환 탕량은 동시 사용량의 약 2.5 배로 가정하므로, 1시간 동안 필요한 급탕량은 7500ℓ입니다. 이를 유속과 관경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50A가 가장 적합한 관경입니다. 따라서, 50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트레지(strage)탱크 또는 탱크 히터(tank heater)라고 하는 증기를 공급하는 저탕조를 사용하는 급탕법은?

  1. 직접 가열법
  2. 간접 가열법
  3. 기수 혼합법
  4. 복사법
(정답률: 60%)
  • 스트레지 탱크 또는 탱크 히터를 사용하는 급탕법은 간접 가열법입니다. 이는 직접 가열법과 달리 열원과 물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물의 질을 유지하기 쉽고, 물이 오염되지 않으며, 안전성이 높습니다. 또한, 열교환기를 통해 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열 손실이 적어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스트레지 탱크 또는 탱크 히터를 사용하는 간접 가열법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급탕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배수 설비에서 통기관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변소의 오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2.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3.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4. 공기를 잘 유통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76%)
  • 배수 설비에서 통기관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트랩은 배수관에서 오는 쓰레기나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트랩의 봉수는 오염물질이나 쓰레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통기관이 없으면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압력 변화나 진동 등으로 인해 트랩의 봉수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기관을 사용하여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압력 변화나 진동을 완화시켜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배수 설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화조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부패조 → 산화조 → 소독조 → 예비여과조
  2. 부패조 → 예비여과조 → 산화조 → 소독조
  3. 산화조 → 소독조 → 부패조 → 예비여과조
  4. 산화조 → 예비여과조 → 부패조 → 소독조
(정답률: 76%)
  • 정화조에서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로 만들어주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단계가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단계는 부패조입니다. 부패조에서는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미생물이 쉽게 분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줍니다. 이후에는 산화조에서 미생물이 분해한 물질을 산화시켜 더욱 깨끗한 물로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소독조에서는 물 속에 남아있는 세균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을 만들어줍니다. 마지막으로 예비여과조에서는 물 속에 남아있는 미세한 먼지나 부유물질 등을 제거하여 완전히 깨끗한 물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순서는 "부패조 → 예비여과조 → 산화조 → 소독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진공 환수식 증기 난방에서 방열기보다 높은 곳에 환수관을 배관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은?

  1. 하드포드(hardford)배관법
  2. 리프트 피팅(lift fitting)
  3. 파일럿 라인(pilot line)
  4. 동층 난방식
(정답률: 81%)
  • 진공 환수식 증기 난방에서는 방열기보다 높은 곳에 환수관을 배관할 경우, 리프트 피팅(lift fitting)을 사용합니다. 이는 환수관이 상승하는 구간에서 증기와 함께 공기가 함께 상승하여 발생하는 공기포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리프트 피팅은 환수관과 증기관을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환수관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공기포화 현상을 방지합니다. 이를 통해 증기 난방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하드포드배관법, 파일럿 라인, 동층 난방식은 진공 환수식 증기 난방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방식의 배관법이나 난방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배관의 이동 구속 제한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레스트 레인트(Restraint)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앵커(Anchor)
  2. 스토퍼(Stopper)
  3. 가이드(Guide)
  4. 크램프(Clamp)
(정답률: 79%)
  • 크램프(Clamp)는 배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배관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동 구속 제한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레스트 레인트(Restraint)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앵커(Anchor), 스토퍼(Stopper), 가이드(Guide)는 모두 배관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 구속 제한을 위해 사용됩니다. 앵커는 배관의 이동을 수평 방향으로 제한하고, 스토퍼는 수직 방향으로 제한합니다. 가이드는 배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여 이동을 제한합니다. 따라서 크램프는 이동 구속 제한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레스트 레인트(Restraint)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기용제의 세정제로서 난연성 불수용성의 액체이며 석유계 유기물의 용해 세정에 적합한 것은?

  1. 황산
  2. 수산화 나트륨
  3. 암모니아
  4. 트리클로르 에틸렌
(정답률: 68%)
  • 트리클로르 에틸렌은 유기용제의 세정제로서 매우 효과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물질은 난연성이며 불수용성의 액체로, 석유계 유기물의 용해 세정에 적합합니다. 이는 트리클로르 에틸렌이 유기물과 상호작용하여 유기물을 용해시키고 세정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트리클로르 에틸렌은 안전성이 높아서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클로르 에틸렌은 석유계 유기물의 용해 세정에 적합한 유기용제의 세정제로서 매우 효과적인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배수관 및 통기관의 배관 완료 후 또는 일부 종료 후 각기구 접속구 등를 밀폐하고, 배관 최상부에서 배관 내에 물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누수의 유무를 시험하는 것은?

  1. 수압 시험
  2. 통수 시험
  3. 연기 시험
  4. 만수 시험
(정답률: 88%)
  • 배수관 및 통기관의 배관 완료 후 또는 일부 종료 후 각기구 접속구 등을 밀폐하고, 배관 최상부에서 배관 내에 물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누수의 유무를 시험하는 것을 만수 시험이라고 합니다. 이는 시공된 배관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배관 내부에 물을 가득 채워 누수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수 시험은 시공된 배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만약 누수가 발견된다면 이를 수정하고 다시 시험을 진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만수 시험은 시공된 배관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용압이 비교적 낮은 증기, 물, 기름 및 공기 등의 배관용에 적합한 배관용 탄소 강관의 KS 재료기호는?

  1. SPP
  2. SPPS
  3. SPPH
  4. SPH
(정답률: 67%)
  • 정답은 "SPP"입니다.

    KS 재료기호는 한국의 산업규격으로, 각각의 재료에 대한 특성과 용도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SPP"는 일반적인 배관용 탄소 강관으로, 사용압이 비교적 낮은 증기, 물, 기름 및 공기 등의 배관용으로 적합합니다.

    반면에 "SPPS"는 용접이 필요한 고압 가스 및 증기용, "SPPH"는 고온 및 고압용, "SPH"는 고온 및 고압용으로 각각의 용도에 맞게 제작된 강관입니다.

    따라서, 사용압이 비교적 낮은 증기, 물, 기름 및 공기 등의 배관용에 적합한 배관용 탄소 강관의 KS 재료기호는 "SP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탈산 동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수(軟水)에는 부식된다
  2. 담수(淡水)에는 내식성이 강하다.
  3. 고온에서 수소 취화 현상이 발생한다.
  4. 탄산가스를 포함한 공기 중에서는 푸른 녹이 생긴다.
(정답률: 74%)
  • 인탈산 동관은 주로 금속 부식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연수(軟水)에는 부식되지만, 담수(淡水)에는 내식성이 강하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고온에서 수소 취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인탈산 동관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소 취화 현상은 금속과 수소가 반응하여 수소가 금속 내부에 침투하면서 금속의 물성을 약화시키는 현상이다. 이는 인탈산 동관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인탈산 동관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고온에서 수소 취화 현상이 발생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석면과 시멘트를 중량비 1 : 5 정도의 비율로 배합하고, 적당한 양의 물로 혼합하여 윤전기에 의해서 얇은 층을 만들어 로울러로 압력을 가하면서 성형한 관은?

  1. 흄관
  2. 콘크리트관
  3. 에터니트관
  4. 경질 염화 비닐관
(정답률: 60%)
  • 석면과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에터니트관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재질로 만들어진 관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에터니트관은 화학공장, 발전소, 하수도 등의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에터니트관은 내부 표면이 매끄러워서 유동성이 우수하며, 내부 침식이 적어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석면과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에터니트관은 내구성과 안정성이 뛰어나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증기의 공급압력과 응축수의 압력차가 0.35kgf/cm2 이상 일 때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용도가 유닛 히터나 가열 코일인 특수 트랩은?

  1. 플로트 트랩
  2. 벨로즈 트랩
  3. 버킷 트랩
  4. 플러시 트랩
(정답률: 56%)
  • 플러시 트랩은 증기의 공급압력과 응축수의 압력차가 0.35kgf/cm2 이상일 때에 사용할 수 있는 특수 트랩 중 하나이다. 이는 유닛 히터나 가열 코일과 같은 용도에서 사용된다. 플러시 트랩은 증기가 트랩 내부로 유입되면, 트랩 내부의 물이 밀려나면서 밸브가 열리고, 물이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증기는 트랩을 통과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러시 트랩은 증기와 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효율적인 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유닛 히터나 가열 코일과 같은 특수한 용도에서 사용되는 트랩으로서, 플러시 트랩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패킹재를 가스킷, 나사용 패킹, 글랜드 패킹으로 분류할 때, 나사용 패킹으로 분류되는 것은?

  1. 모넬메탈
  2. 액상 합성수지
  3. 메탈 패킹
  4. 플라스틱 패킹
(정답률: 82%)
  • 나사용 패킹은 나사와 함께 사용되어 나사의 조임력을 유지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패킹재가 압축되어 나사와 파이프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누출을 막아야 합니다. 따라서 패킹재는 압축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좋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액상 합성수지는 압축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아서 나사용 패킹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액상 합성수지는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을 혼합하여 만든 고분자 물질로, 고온, 고압, 강한 산, 알칼리 등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또한, 내부 마찰이 적어서 파손이나 마모가 적고, 누출 방지 효과도 우수합니다.

    반면에 모넬메탈은 내식성이 뛰어나지만, 압축성이 낮아서 패킹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메탈 패킹은 내구성이 높지만, 압축성이 낮아서 누출 방지 효과가 떨어집니다. 플라스틱 패킹은 압축성이 높지만, 내구성이 낮아서 고온, 고압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나사용 패킹으로는 액상 합성수지가 가장 적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른 보온재에 비하여 단열효과가 낮아 다소 두껍게 시공하며, 500℃ 이하의 파이프나 탱크, 노벽 등에 물을 가하여 반죽하여 칠하는 대표적인 수결재(水結材) 보온재는?

  1. 석면
  2. 규조토
  3. 암면
  4. 탄산 마그네슘
(정답률: 72%)
  • 규조토는 수분을 흡수하여 점토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규조토는 물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반죽은 파이프나 탱크, 노벽 등에 물을 가하여 칠하는 대표적인 수결재 보온재로 사용됩니다. 규조토는 다른 보온재에 비하여 단열효과가 낮은 편이지만, 점토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다소 두껍게 시공하여 보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규조토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재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철관 중 일명 구상 흑연 주철관 이라고 하는 것은?

  1. 수도용 입형 주철관
  2. 수도용 원심력 금형 주철관
  3. 수도용 원심력 사형 주철관
  4. 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
(정답률: 87%)
  • 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은 수도관 내부에서 물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만들어진 주철관입니다. 이 주철관은 덕타일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원심력이 발생하여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물의 흐름이 안정적이고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수도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도시설 구축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스테인레스 강관의 이음쇠 중 동합금제 링을 캡너트로 죄어서 고정시켜 결합하는 이음쇠는?

  1. MR 조인트 이음쇠
  2. 몰코 조인트 이음쇠
  3. 랩 조인트 이음쇠
  4. 팩레스 조인트 이음쇠
(정답률: 77%)
  • MR 조인트 이음쇠는 동합금제 링을 캡너트로 죄어서 고정시켜 결합하는 이음쇠입니다. 이음쇠는 스테인레스 강관의 연결 부분에서 사용되며, 강한 내식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MR 조인트 이음쇠는 고압 및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서 산업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음쇠의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튼튼하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MR 조인트 이음쇠는 스테인레스 강관의 연결 부분에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이음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관 신축이음쇠 중 단식과 복식이 있고, 일명 펙레스(Pack less)형 신축이음쇠라고도 하는 것은?

  1. 슬리브형 신축이음
  2. 벨로즈형 신축이음
  3. 루프형 신축이음
  4. 스위블형 신축이음
(정답률: 78%)
  • 벨로즈형 신축이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식과 복식 신축이음쇠와는 달리, 특별한 패킹이 필요하지 않은 펙레스(Pack less)형 신축이음쇠입니다. 이는 신축이음쇠의 끝 부분이 벨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끝 부분이 서로 맞닿을 때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물이나 기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또한 벨로즈형 신축이음은 슬리브형 신축이음과 달리 끝 부분이 더 넓어져서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벨로즈형 신축이음은 고압 및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파이프 라인 등에 적합하며, 신축이음쇠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은분이라고도 하며 방청효과가 크고, 내구성이 풍부한 도막을 형성하며, 400-500℃의 내열성을 지니고 있어 난방용 방열기 등의 외면에 도장하는 것은?

  1. 광명단 도료
  2. 알루미늄 도료
  3. 산화철 도료
  4. 고농도 아연 도료
(정답률: 71%)
  • 알루미늄 도료는 방청효과가 크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400-500℃의 내열성을 지니고 있어 난방용 방열기 등의 외면에 도장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는 알루미늄 도료가 알루미늄의 높은 내식성과 내구성을 이어받아 도막으로 형성될 때,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부식 등에 강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알루미늄 도료는 경제적이며 가벼워서 쉽게 처리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난방용 방열기 등의 외면에 도장하는 것에 적합한 도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밀폐된 용기 중에 정지 유체의 일부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 중의 모든 부분에 일정하게 전달된다" 라는 원리는?

  1.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
  2. 파스칼(pascal)의 원리
  3. 오일러(Euler)의 원리
  4. 연속의 법칙
(정답률: 66%)
  • "밀폐된 용기 중에 정지 유체의 일부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 중의 모든 부분에 일정하게 전달된다"는 원리는 파스칼의 원리입니다. 이는 유체가 압축되면 그 압력이 모든 방향으로 전파되어 용기의 벽면에도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이 원리는 유체의 압력과 부피, 그리고 용기의 크기와 모양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합니다. 이러한 원리는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액체가 압축되어 브레이크 디스크에 압력이 전달되어 차량이 멈추게 됩니다. 이때 파스칼의 원리가 적용되어 브레이크 액체의 압력이 모든 방향으로 전파되어 브레이크 디스크에 일정하게 전달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파스칼의 원리는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20℃의 유체 10kg을 80℃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은 몇 Kcal 인가? (단, 이 유체의 비열은 0.5kcal/Kg℃ 이다.)

  1. 300
  2. 400
  3. 1200
  4. 600
(정답률: 4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구리관의 끝부분을 정확한 지름의 원형으로 만들 때 사용하는 공구는?

  1. 가열기(heater)
  2. 커터(cutter)
  3. 사이징 투울(sizing tool)
  4. 익스팬더(expander)
(정답률: 83%)
  • 구리관의 끝부분을 정확한 지름의 원형으로 만들 때 사용하는 공구는 사이징 투울(sizing tool)입니다. 이는 구리관의 지름을 조절하여 원하는 크기로 만들어주는 공구로, 구리관의 끝부분을 정확한 지름의 원형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이징 투울은 구리관의 내부와 외부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구리관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이징 투울은 구리관의 끝부분을 깨끗하게 다듬어주어 연결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구리관 가공 작업에서 사이징 투울은 필수적인 공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관을 4조각 내어 90° 마이터관을 만들려할 때 절단각은 얼마인가?

  1. 7.5°
  2. 11.25°
  3. 15°
  4. 22.5°
(정답률: 81%)
  • 강관을 4조각으로 나누어 90° 마이터관을 만들려면 각 조각마다 22.5°의 각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때, 절단각은 강관의 끝 부분을 대각선으로 자르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22.5° 각도로 자른 강관의 끝 부분을 대각선으로 자르면 15°의 절단각이 나오게 됩니다. 이는 90° 마이터관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각도이므로, 정답은 "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파이프 나사부의 길이를 필요 이상 길게 만들어서는 아니되는 중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1. 관 재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2. 관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3. 나사부의 강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4. 아연 도금한 부분이 깎여 부식되기 쉬운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에
(정답률: 78%)
  • 파이프 나사부의 길이를 필요 이상 길게 만들어서는 아니되는 이유는 "나사부의 강도가 감소되기 때문에"와 "아연 도금한 부분이 깎여 부식되기 쉬운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에"입니다. 파이프의 나사부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중요한 부분으로, 이 부분이 약해지면 파이프의 안전성이 저하됩니다. 또한, 파이프의 나사부는 아연 도금이 되어 부식을 방지하는데, 길이가 길어질수록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파이프 나사부의 길이를 필요 이상 길게 만들어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관 재료를 절약하기 위하여"는 파이프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이는 중요한 이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2개의 플랜지와 2개의 고무링 및 1개의 슬리브를 사용하는 석면 시멘트관의 이음은?

  1. 칼라 이음(Collar joint)
  2. 심플렉스 이음 (Simplex joint)
  3. 기볼트 이음 (Gibault joint)
  4. 슬리브 이음 (Sleeve joint)
(정답률: 54%)
  • 석면 시멘트관의 이음은 기볼트 이음(Gibault joint)을 사용합니다. 기볼트 이음은 2개의 플랜지와 2개의 고무링, 그리고 1개의 슬리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방식은 플랜지와 슬리브 사이에 고무링을 끼워서 밀봉을 하고, 플랜지를 기본으로 사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이음에서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또한, 이 방식은 파이프의 이음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도 강하며, 파이프의 이음을 분해하거나 교체할 때도 용이합니다. 따라서, 석면 시멘트관의 이음에는 기볼트 이음이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배관용 공기기구 사용시 안전수칙 중 틀린 것은?

  1. 처음에는 천천히 열고 일시에 전부 열지 않는다.
  2. 기구 등의 반동으로 인한 재해에 항상 대비한다.
  3. 공기 기구를 사용할 때는 방진 안경을 사용한다.
  4. 활동부에는 항상 기름 또는 그리스가 없도록 깨끗이 닦아 준다.
(정답률: 89%)
  • 배관용 공기기구는 고압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시 안전수칙 중 틀린 것은 "활동부에는 항상 기름 또는 그리스가 없도록 깨끗이 닦아 준다." 이다. 이유는 활동부에는 기름 또는 그리스가 없으면 오히려 마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활동부에는 적절한 윤활유를 사용하여 마모를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사용해야 한다. 그 외의 안전수칙으로는 처음에는 천천히 열고 일시에 전부 열지 않는다, 기구 등의 반동으로 인한 재해에 항상 대비한다, 공기 기구를 사용할 때는 방진 안경을 사용한다 등이 있다. 이러한 안전수칙을 지키면서 사용하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폴리에틸렌관을 접합할 때 관끝의 외면(外面)과 이음관의 내면(內面)을 동시에 가열용융하며 접합하는 방법은?

  1. 열간 삽입접합법
  2. T.S식 삽입접합법
  3. H.S식 삽입접합법
  4. 용착 슬리브접합법
(정답률: 80%)
  • 폴리에틸렌관을 접합하는 방법 중에서 용착 슬리브접합법이 선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용착 슬리브접합법은 관끝의 외면과 이음관의 내면을 동시에 가열용융하여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삽입접합법과 달리 별도의 삽입부가 필요하지 않으며, 접합 시에는 슬리브를 사용하여 가열용융을 하기 때문에 접합부의 강도와 밀착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용착 슬리브접합법은 다른 삽입접합법에 비해 접합 시간이 짧고, 작업이 간편하며, 접합부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슬리브를 사용하여 가열용융을 하기 때문에 접합 시에 발생하는 불순물이 적어서 접합부의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관을 접합할 때는 용착 슬리브접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접합부의 강도와 밀착성이 높아지며, 작업이 간편하고 빠르며, 접합부의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폴리부틸렌관만의 이음 방법인 것은?

  1. 압축 이음 (compressed joint)
  2. 플라스턴 이음 (plastann joint)
  3. 에이콘 이음 (acorn joint)
  4. 몰코 이음 (molco joint)
(정답률: 80%)
  • 폴리부틸렌관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식성과 내부마찰저항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폴리부틸렌관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폴리부틸렌관만의 이음 방법은 "에이콘 이음 (acorn joint)"입니다.

    에이콘 이음은 폴리부틸렌관의 끝 부분을 원통형으로 가공한 후, 이를 다른 폴리부틸렌관의 내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삽입된 폴리부틸렌관의 내부에는 에이콘 모양의 부분이 있어서, 이 부분이 다른 폴리부틸렌관의 끝 부분과 맞닿아서 밀착되도록 합니다. 이렇게 연결된 폴리부틸렌관은 높은 내부압력에도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누출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폴리부틸렌관을 연결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은 에이콘 이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가정용 배관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철관의 소켓이음(socket joint)할 때 누수의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얀(yarn)의 양이 너무 많고 납이 적은 경우
  2. 코킹하기 전에 관에 붙어있는 납을 떼어낸 경우
  3. 코킹 세트를 순서대로 차례로 사용한 경우
  4. 코킹이 완전한 경우
(정답률: 86%)
  • 주철관의 소켓이음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원인은 "얀(yarn)의 양이 너무 많고 납이 적은 경우"입니다. 이는 주철관의 소켓이음에서 얀이란 파이버나 실로 된 물질이 존재할 경우, 이음부에서 누출되는 공기나 물이 얀에 의해 막히게 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납이 적은 경우에는 코킹이 제대로 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관의 소켓이음을 할 때는 얀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고, 충분한 양의 납을 사용하여 코킹을 제대로 해야 누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주철관의 이음방법 중 다소의 굴곡에서도 누수가 없고 수중에서도 이음이 가능한 이음 방법은?

  1. 소켓 이음
  2. 플랜지 이음
  3. 메캐니컬 이음
  4. 빅토릭 이음
(정답률: 54%)
  • 메캐니컬 이음은 다음 주철관의 이음 방법 중 다소의 굴곡에서도 누수가 없고 수중에서도 이음이 가능한 이음 방법입니다. 이는 메캐니컬 이음이 파이프의 끝을 커플링으로 덮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소켓 이음과는 달리 파이프의 끝을 덮어주는 커플링이 회전하면서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누수를 방지합니다. 또한, 플랜지 이음과는 달리 플랜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메캐니컬 이음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특히 수중에서의 이음 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순수한 물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비중량은 1㎏/cm3 이다.
  2. 물의 비중은 0 ℃ 일 때 1 이다.
  3. 점성계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작아진다.
  4. 해수(바다 물)보다 비중이 약 1.2 배 크다.
(정답률: 78%)
  • 점성계수는 물의 점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물 분자 간의 마찰력을 나타낸다. 온도가 높을수록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고, 이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점성계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작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더 자유롭게 흐르며, 물이 끓을수록 더욱 빠르게 흐르게 된다. 또한, 물의 비중은 0 ℃ 일 때 1이기 때문에, 비중량이 1kg/cm³인 것이다. 해수(바다 물)보다 비중이 약 1.2배 크다는 것은 물이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물질이 많이 녹아있는 바다 물보다 더 높은 농도로 물 분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중이 0.95인 기름속에 있는 물체가 깊이 20m일 때 받는 압력은 몇 ㎏f/cm2 인가?

  1. 2.95
  2. 1.9
  3. 2.11
  4. 0.97
(정답률: 51%)
  • 압력은 밀도, 중력가속도, 깊이에 비례한다는 파스칼의 법칙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기름의 밀도는 대략 0.9g/cm3이고, 중력가속도는 9.8m/s2이다. 따라서, 기름속에 있는 물체가 받는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력 = 밀도 × 중력가속도 × 깊이
    = 0.9g/cm3 × 9.8m/s2 × 20m / 1cm2
    ≈ 1.764kgf/cm2

    하지만, 문제에서는 물체가 기름속에 있는 비중이 0.95인 물체라고 했으므로, 물체의 부피 대비 기름의 부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체가 받는 압력은 더 작아지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압력 = 0.95 × 1.764kgf/cm2
    ≈ 1.676kgf/cm2

    이다. 이 값을 보기와 비교해보면, 정답은 "1.9"가 아니라 "2.1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에 따라 계산한 결과와 보기의 값이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용접의 극성을 설명한 것이다. 올바른 것은?

  1. 직류 정극성(DCSP)은 용접봉을 양극(+), 모재를 음극 (-)측에 연결한 것이다.
  2. 직류 역극성(DCRP)은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빠르나 모재의 용입이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
  3. 직류 역극성(DCRP)은 용접봉을 음극(-) 모재를 양극 (+)측에 연결한 것이다.
  4. 교류 용접기의 극성은 용접봉측에 양극(+), 모재측에 음극(-) 만 연결된다.
(정답률: 71%)
  • 용접의 극성은 용접봉과 모재의 연결 방식을 말한다. 직류 정극성(DCSP)은 용접봉을 양극(+), 모재를 음극(-)측에 연결한 것이고, 직류 역극성(DCRP)은 용접봉을 음극(-), 모재를 양극 (+)측에 연결한 것이다. 교류 용접기의 극성은 용접봉측에 양극(+), 모재측에 음극(-) 만 연결된다.

    직류 역극성(DCRP)은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빠르지만 모재의 용입이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음극측에 연결된 용접봉에서 발생하는 전자의 열전달이 빠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DCRP는 알루미늄 등의 연성이 높은 금속 용접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격 2차전류가 200A, 정격 사용률은 40%인 아크용접기로 175A의 용접전류로 용접할 경우 허용 사용률은?

  1. 30.62%
  2. 49.38%
  3. 52.24%
  4. 55.13%
(정답률: 57%)
  • 아크용접기의 정격 2차전류가 200A이고, 정격 사용률이 40%이므로 최대 사용 가능한 전류는 200A x 40% = 80A입니다. 따라서 175A의 용접전류로 용접할 경우, 허용 사용률은 175A / 80A x 100% = 218.75%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정격 사용률을 초과하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허용 사용률은 80A / 175A x 100% = 45.71%입니다. 하지만, 이는 보기에 없으므로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용접기의 허용 사용률은 전류와 전압의 곱으로 계산되는데, 전압은 일정하므로 전류가 낮아질수록 허용 사용률은 높아집니다. 따라서, 45.71%보다 높은 52.24%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다음 중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에 해당하는 것은?

  1. 화학 분석 시험
  2. 마이크로 조직 시험
  3. 형광 침투 시험
  4. 크리이프 시험
(정답률: 85%)
  •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 중 형광 침투 시험은 용접부의 표면에 염료를 침투시켜 불순물, 균열, 구멍 등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시험은 용접부의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한 후 염료를 침투시키고, 침투된 염료를 제거한 후 형광 검사등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으며, 용접부의 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용접부의 품질을 보장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형광 검사기를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형광 침투 시험은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불활성가스 금속 아크용접은?

  1. TIG 용접
  2. CO2 용접
  3. MIG 용접
  4. 플라즈마 용접
(정답률: 73%)
  • 불활성가스 금속 아크용접은 용접 시에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방식입니다. 이 중에서 MIG 용접은 용접 전극으로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고, 보호 가스로는 아르곤 또는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를 사용합니다. 이는 CO2 용접과는 달리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접 부위의 산화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용접 속도가 빠르고 용접 부위의 완성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용접 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 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용접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MIG 용접은 불활성가스 금속 아크용접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후판을 다층 용접할 때 회전변형(rotational distortion)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층은?

  1. 제1층
  2. 전층에서 일정하다.
  3. 제2층
  4. 맨 마지막층
(정답률: 69%)
  • 후판을 다층 용접할 때 회전변형은 용접열로 인해 발생하는 열팽창과 냉각으로 인한 수축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회전변형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층은 제1층입니다. 이는 제1층이 용접열로 인해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열팽창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1층은 전층에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반면, 제2층부터는 전층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수축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제1층에서 발생하는 회전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용접조건과 용접순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접합하려는 2개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둥근 구멍을 뚫고 뚫은 구멍을 용접하여 두 부재를 이음하는 것은?

  1. 플러그 용접
  2. 심 용접
  3. 플레어 용접
  4. 점 용접
(정답률: 67%)
  • 플러그 용접은 접합하려는 부재 중 한쪽에 뚫은 구멍에 다른 부재를 끼워 넣고 용접하여 두 부재를 이음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재의 끝부분을 용접하는 것보다 더 강력한 결합력을 가지며, 부재의 끝부분을 용접하는 것보다 더 깔끔한 외관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부재의 끝부분을 용접하는 것보다 더 많은 용접재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플러그 용접은 부재의 강도와 외관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한 용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KS 배관 도시기호로 배관 끝면에 그림과 같이 표시한 것은?

  1. 나사 박음식 캡
  2. 나사 박음식 플러그
  3. 용접식 캡
  4. 용접식 플랜지
(정답률: 87%)
  • 위 그림은 KS 배관 도시기호 중 "용접식 캡"을 나타냅니다. 이는 배관의 끝면을 덮는 캡으로, 용접 방식으로 배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와 달리 "나사 박음식 캡"은 나사로 배관에 고정되며, "나사 박음식 플러그"는 내부를 막는 플러그입니다. "용접식 플랜지"는 배관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용접 방식으로 배관에 고정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배관의 끝면을 용접식으로 덮는 캡을 나타내므로 "용접식 캡"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라인 인덱스(line index)의 기재에서 LS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계기용 공기
  2. 고압 공기
  3. 저압 증기
  4. 작업용 공기
(정답률: 77%)
  • 라인 인덱스(line index)는 플랜트(공장)의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번호 체계입니다. LS는 저압 증기(low pressure steam)를 나타냅니다.

    저압 증기는 공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에서 열을 전달하거나, 터빈을 구동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저압 증기는 고압 증기보다 압력이 낮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또한, 저압 증기는 고압 증기보다 냉각이 빠르기 때문에, 열교환기에서 냉각재로 사용될 때 유리합니다.

    따라서, LS는 플랜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저압 증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볼 밸브의 KS 배관 도시 기호인 것은?

(정답률: 79%)
  • 볼 밸브의 KS 배관 도시 기호는 "" 입니다. 이는 볼 밸브를 나타내는 기호로, 중앙에 원형으로 그려진 부분이 밸브의 볼을 나타내고, 그 위아래로 연결된 두 개의 직선은 배관을 나타냅니다. 이 기호는 KS 표준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공공시설 등에서는 이와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이를 통해 볼 밸브의 위치와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과 같이 표시된 유압, 공기압 도면기호의 명칭은?

  1. 공기압 전용 배기구
  2. 접속구 없는 배기구
  3. 회전이음(스위블 조인트)
  4. 첵크 밸브없는 금속이음
(정답률: 84%)
  • 위 도면에서 유압, 공기압 도면기호 중 회전이음(스위블 조인트)의 명칭은 "GJ"입니다. 회전이음은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파이프가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는 파이프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각도가 변할 때 필요합니다. 회전이음은 유압 및 공기압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며, 이를 사용하여 파이프가 서로 연결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회전이음은 유압 및 공기압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관의 높이 치수 앞에 EL 만 표시되어 있는 높이는?

  1. 관 외경의 아랫면까지 높이
  2. 관 외경의 윗면까지 높이
  3. 관 내경의 윗면까지 높이
  4. 관의 중심까지 높이
(정답률: 72%)
  • EL은 Elevation의 약자로, 높이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배관의 높이 치수 앞에 EL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이는 해당 위치의 배관의 중심까지의 높이를 의미합니다. 배관은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배관의 중심까지 높이는 배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설계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반면, 배관 외경의 아랫면까지 높이나 윗면까지 높이는 배관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배관의 중심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배관 설계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배관의 중심까지 높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 중 가이드(guide)는 어느 것인가?

(정답률: 8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그림이 다른 그림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 그림은 먼저 화살표를 통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가이드합니다. 또한,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숫자는 거리를 나타내며, 왼쪽 위에 있는 도형은 목적지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면, 다른 그림들은 화살표만 있거나, 거리나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가이드로서의 역할이 덜합니다. 따라서, "" 이 그림이 가이드로서 가장 유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60° × 30° 직각 삼각형 모양의 앵글 브래킷의 C 부 길이는 약 몇 mm 인가?

  1. 800
  2. 1040
  3. 1200
  4. 1800
(정답률: 84%)
  • 주어진 직각 삼각형에서, 각 A의 크기는 90° - 60° = 30°이고, 각 B의 크기는 90° - 30° = 60°이다. 이 삼각형에서, 각 C의 크기는 90°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에서, 각 A와 B의 대변인 BC와 AC의 길이는 서로 같다. 이는 30°-60°-90° 삼각형의 특징이다.

    따라서, AC의 길이는 30mm이다.

    또한, 삼각형 ABC에서, 각 C의 대변인 AB의 길이는 AC와 BC의 길이의 합과 같다.

    AC와 BC의 길이는 서로 같으므로, AB의 길이는 2 × AC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AB의 길이는 2 × 30mm = 60mm이다.

    마지막으로, 앵글 브래킷의 C 부 길이는 AB의 길이의 루트 3 배와 같다.

    따라서, C 부 길이는 60mm × 루트 3 = 약 104mm이다.

    따라서, 정답은 "10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유체의 종류 기호 연결 중 잘못된 것은?

  1. 기름 - 0
  2. 증기 - W
  3. 가스 - G
  4. 공기 - A
(정답률: 86%)
  • 정답은 "증기 - W"입니다. 증기는 기체 상태의 물을 의미하며, 기호로는 "V"가 사용됩니다. "W"는 물의 액체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증기의 기호는 "V"이어야 합니다. 나머지 기호들은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름 - 0"에서 "0"은 액체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가스 - G"에서 "G"는 기체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공기 - A"에서 "A"는 공기라는 물질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용접부 비파괴 시험방법 기호의 해독으로 올바른 것은?

  1. 누설탐상시험이다.
  2. 형광자분탐상이다.
  3. 250mm씩 10개소를 시험한다.
  4. 화살표 반대쪽에서 시험한다.
(정답률: 77%)
  • 해당 기호는 형광자분탐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자외선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흡수하는 액체를 발라 용접부의 결함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기호에서 "250mm씩 10개소를 시험한다."는 시험을 진행할 위치와 방법을 의미합니다. 즉, 용접부 전체를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250mm 간격으로 10개의 위치에서 검사를 진행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용접부 전체를 검사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의 정확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기호의 해독은 "형광자분탐상을 이용하여 용접부 결함을 검출하며, 250mm씩 10개소를 시험한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용접기호 중 필릿용접의 병렬단속 용접을 나타내는 기호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68%)
  • 병렬단속 용접은 두 개 이상의 용접선이 병렬로 용접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필릿용접의 경우, 용접선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용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 기호가 병렬단속 용접의 필릿용접을 나타내는 기호로 적합합니다. 이 기호는 두 개의 수직선과 그 사이에 가로선이 있는 모양으로, 필릿용접에서 용접선이 교차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수분포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의 대표치를 말하는 것은?

  1. 중위수
  2. 비 대칭도
  3. 모우드(mode)
  4. 첨도
(정답률: 73%)
  • 도수분포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의 대표치를 모우드(mode)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분포 형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모우드는 데이터의 분포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값으로, 그래프 상에서 가장 높은 점을 나타냅니다. 모우드는 데이터의 분포가 대칭적일 때는 중앙값과 일치하며, 비대칭적일 때는 중앙값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우드는 데이터의 분포 형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정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1. 비용구배(Cost slope)
  2. 정상 소요시간(Normal duration)
  3. 비용견적(Cost estimation)
  4. 총비용(Total cost)
(정답률: 76%)
  • 비용구배(Cost slope)는 일정통제에서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이는 작업을 더 빠르게 완료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일정이 지연되면 추가적인 인력을 투입하여 작업을 빠르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추가 인력을 고용하는 비용이 발생하므로 비용구배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일정통제에서는 비용구배를 고려하여 작업을 계획하고 일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상 소요시간(Normal duration)과 비용견적(Cost estimation)을 고려하여 총비용(Total cost)을 계산하고, 비용구배를 고려하여 일정을 조정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완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서블릭(therblig)기호는 어떤 분석에 주로 이용되는가?

  1. 연합작업분석
  2. 공정분석
  3. 동작분석
  4. 작업분석
(정답률: 53%)
  • 서블릭(therblig)기호는 주로 동작분석에 이용됩니다. 동작분석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동작을 분석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작업을 세부적으로 분해하고, 각 동작의 소요시간과 비용을 측정하여 작업의 개선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블릭(therblig)기호는 이러한 동작분석에서 사용되는 기호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동작을 세분화하여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의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동작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아내는 데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서블릭(therblig)기호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동작분석에서 주로 이용되며, 작업의 세부적인 분석과 개선에 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관리도에서 점이 관리한계내에 있고 중심선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향
  2. 주기
  3. 산포
(정답률: 59%)
  • 런은 관리도에서 점이 관리한계 내에 있으면서 중심선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일정한 패턴이나 경향이 있는 데이터가 관측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제조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 일정한 무게 범위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무게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계속해서 나타나는 것이 런입니다. 런은 제조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조기에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런은 관리도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집단의 참값과 측정 데이터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오차
  2. 신뢰성
  3. 정밀도
  4. 정확도
(정답률: 52%)
  • 오차는 모집단의 참값과 측정 데이터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모든 측정 결과에는 어느 정도의 오차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측정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오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신뢰성은 측정 도구나 방법이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같은 측정을 반복했을 때 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정밀도는 측정 도구나 방법이 얼마나 작은 차이까지 측정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측정 결과가 얼마나 세부적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정확도는 측정 결과가 모집단의 참값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확도가 높을수록 측정 결과가 신뢰성 있고 정밀도가 높은 것입니다.

    따라서, 오차는 측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신뢰성, 정밀도, 정확도는 측정 결과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준비작업시간이 5분, 정미작업시간이 20분, lot수 5, 주작업에 대한 여유율이 0.2라면 가공시간은?

  1. 150분
  2. 145분
  3. 125분
  4. 105분
(정답률: 61%)
  • 가공시간은 준비작업시간 + (정미작업시간 * lot수) + (주작업에 대한 여유율 * 정미작업시간 * lot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가공시간 = 5분 + (20분 * 5) + (0.2 * 20분 * 5) = 125분이 됩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주작업에 대한 여유율입니다. 이 값이 0.2로 주어졌기 때문에 정미작업시간 * lot수에 20분 * 5 = 100분이 더해지는 것이 아니라, 20분 * 5 * 0.2 = 20분이 더해지게 됩니다. 이는 주작업에 대한 여유율이 20%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공시간은 5분 + (20분 * 5) + (0.2 * 20분 * 5) = 125분이 되며,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네 가지 답 중에서 가장 정확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