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배관기능장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양수펌프의 양수관에서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글로브 밸브 아래에 설치하는 밸브로 워터 해머레스 체크 밸브라고도 하는 것은?

  1. 스윙 테크 밸브
  2. 리프트형 체크 밸브
  3. 스톱 밸브
  4. 스모렌스키 체크 밸브
(정답률: 77%)
  • 양수펌프의 양수관에서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는 워터 해머를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워터 해머는 물이 급격하게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압력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파손이나 소음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가 워터 해머레스 체크 밸브입니다. 이 중에서 스모렌스키 체크 밸브는, 체크 밸브의 일종으로,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입니다. 이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한 피스가 유체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면서 밸브를 열고 닫습니다. 이러한 작동 방식으로 인해, 스모렌스키 체크 밸브는 워터 해머를 방지하면서도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수펌프의 양수관에서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로는 스모렌스키 체크 밸브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통기관의 루프 통기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수관 내의 압력 변동이 적게 발생된다고 예상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2. 자기 사이펀 작용이 발생되기 쉬운 기구와 배관이 연결되어 있을 때 적합하다.
  3. 배수 수평 분기관이나 기구 배수관을 거쳐 각 트랩의 봉수를 간접적으로 보호하는 것이다.
  4.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있는 방식으로 각개 통기관이 생략되는 방식이다.
(정답률: 41%)
  • 통기관의 루프 통기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자기 사이펀 작용이 발생되기 쉬운 기구와 배관이 연결되어 있을 때 적합하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기 사이펀 작용은 액체나 기체가 흐르는 배관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액체나 기체가 자연스럽게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자기 사이펀 작용은 통기관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통기관 내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흐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기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기 쉬운 기구와 배관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기관의 루프 통기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적인 배수 및 통기배관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수압시험
  2. 기압시험
  3. 박하시험
  4. 연기시험
(정답률: 53%)
  • 일반적인 배수 및 통기배관 시험방법에는 기압시험, 박하시험, 연기시험이 포함됩니다. 이 중에서 "수압시험"은 일반적인 시험 방법이 아닙니다. 수압시험은 배관 내부에 물을 채워 압력을 가해 배관의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배관의 내부 구조나 특수한 용도를 가진 배관에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압시험, 박하시험, 연기시험 등의 방법이 사용되며, 이들 방법은 배관의 내부 구조나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수압시험"은 일반적인 배수 및 통기배관 시험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배수 거리가 짧은 아파트 등에 별도의 통기관이 필요없이 배수를 회전시켜 공기 코어를 형성시켜서 배수와 통기를 실시하며 신정 통기관이 필요한 배수 통기방식으로 디플렉터와 브레이크실이 있는 배수 통기방식은?

  1. 소벤트 방식(Sovent System)
  2. 섹스티아 방식(Sextia System)
  3. 구보타 방식(Kubota System)
  4. 코지마 방식(Kogima System)
(정답률: 79%)
  • 섹스티아 방식은 배수 거리가 짧은 아파트 등에서 사용되는 배수 통기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별도의 통기관이 필요하지 않으며, 배수를 회전시켜 공기 코어를 형성시켜 배수와 통기를 실시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디플렉터와 브레이크실이 있는 배수 통기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배수와 통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며, 배관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수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배수와 통기를 처리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따라서, 섹스티아 방식은 배수 거리가 짧은 아파트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효율적인 배수 통기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백 필터(bag filter)를 사용하는 집진 장치는?

  1. 원심력식
  2. 중력식
  3. 전기식
  4. 여과식
(정답률: 84%)
  • 백 필터는 여과식 집진 장치입니다. 이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와 같은 미세한 입자를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백 필터는 여러 개의 필터링 미디어를 사용하여 공기를 여과합니다. 이러한 필터링 미디어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으로 만들어집니다. 공기는 백 필터의 입구로 들어와 여러 개의 필터링 미디어를 통과하면서 먼지와 같은 입자들이 필터링되어 제거됩니다. 이후 깨끗한 공기는 백 필터의 출구로 배출됩니다. 백 필터는 여과식 집진 장치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는 비교적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러 가지 필터링 미디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입자 크기를 필터링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니트로 들어가서 열 교환기, 노(爐) 등의 기기에 접속되는 원료 운반배관을 일반적으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파이프 랙 배관
  2. 프로세스 배관
  3. 유틸리티 배관
  4. 라인 인덱스 배관
(정답률: 64%)
  • 유니트로 들어가서 열 교환기, 노(爐) 등의 기기에 접속되는 원료 운반배관을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배관"이라고 합니다. 이는 해당 배관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원료를 운반하고, 공정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배관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파이프 랙 배관"은 파이프를 보관하는 랙에 사용되는 배관이며, "유틸리티 배관"은 공정 외부에서 필요한 유틸리티(전기, 수도, 증기 등)를 운반하는 배관입니다. "라인 인덱스 배관"은 공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배관들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 배관으로, 프로세스 배관과는 구분됩니다.

    따라서, 유니트로에서 사용되는 원료 운반배관은 해당 공정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세스 배관은 공정의 안전성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설계와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배관설비 화학 세정시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용해시키는 약품은?

  1. 암모니아
  2. 인히비터 첨가 염산
  3. 유기용제
  4. 가성 소오다
(정답률: 63%)
  • 배관설비 화학 세정시 고무나 합성수지를 용해시키는 약품은 유기용제입니다. 이는 고무나 합성수지가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유기용제는 유기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질로, 유기화합물은 탄화수소를 포함한 화합물로, 이들은 대부분 유기용제에 용해됩니다. 따라서, 배관설비 화학 세정시 고무나 합성수지를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암모니아나 인히비터 첨가 염산, 가성 소오다는 유기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고무나 합성수지를 용해시키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배기 가스의 현열을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보일러 부속 장치는?

  1. 증기 예열기
  2. 공기 예열기
  3. 재열기(reheater)
  4. 절탄기(economizer)
(정답률: 75%)
  • 절탄기는 보일러 부속 장치 중 하나로, 배기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입니다. 보일러에서 생산된 배기 가스는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기 가스는 절탄기를 통해 급수를 예열하면서 열을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일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보일러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절탄기를 사용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대기 오염물질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탄기는 보일러의 효율을 높이고 환경을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동화 시스템에서 중앙컴퓨터와 여러개의 콘트롤러 간에 시스템 구성기기들과 통신회선을 연결된 배치형태에 따라 성형, 환형 등으로 구분하는 자동화의 5대 요소인 것은?

  1. 센서(sensor)
  2. 네트워크(network)
  3. 프로세서(processor)
  4. 하드웨어(hardware)
(정답률: 73%)
  • 자동화 시스템에서 중앙컴퓨터와 여러개의 콘트롤러 간에 시스템 구성기기들과 통신회선을 연결된 배치형태에 따라 성형, 환형 등으로 구분하는 자동화의 5대 요소 중에서 "네트워크(network)"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네트워크는 시스템 구성기기들과 중앙컴퓨터, 콘트롤러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체를 통제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대의 기기를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는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접근 권한을 설정하여 불법적인 침입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시스템 전체를 통제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목표값이 시간의 변화, 외부조건의 영향을 받지않고 일정한 값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보일러, 냉난방장치의 압력제어, 급수탱크의 액면제어 등에 사용되는 제어는?

  1. 추치 제어
  2. 정치 제어
  3. 프로세스 제어
  4. 비율 제어
(정답률: 84%)
  • 정치 제어는 목표값이 시간의 변화나 외부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값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보일러나 냉난방장치의 압력제어, 급수탱크의 액면제어 등에 사용됩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방식으로, 시스템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제어기가 자동으로 조절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제어 방식은 목표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시스템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치 제어가 이 문제에서 정답인 이유는 목표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스프링쿨러설비에 설치하며 신축성이 없는 배관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격 작용을 방지 또는 완화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시험 밸브
  2. 유수 작동밸브
  3. 서지 업서버
  4. 리터링 챔버
(정답률: 68%)
  • 스프링쿨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로, 이를 위해 배관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배관 내부에서는 수격 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배관 내부의 물이 갑자기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이는 배관의 파손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지 업서버를 설치합니다. 서지 업서버는 배관 내부의 수격 작용을 완화시켜 파손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쿨러설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서지 업서버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안개 모양으로 흘러 내리는 미세한 물방울로 공기와 직접접촉시킴으로써 여과기를 통과할 때 제거되지 않는 먼지, 매연 등을 제거하는 장치는?

  1. 습제기
  2. 공기 세정기
  3. 공기 냉각기
  4. 공기 가연기
(정답률: 87%)
  • 공기 세정기는 안개 모양으로 흘러 내리는 미세한 물방울로 공기와 직접접촉시킴으로써 여과기를 통과할 때 제거되지 않는 먼지, 매연 등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공기 세정기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균류,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질을 개선시켜주는데, 이는 우리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기 세정기는 우리의 건강과 생활환경을 개선시켜주는 필수적인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열 팽창에 의한 배관의 이동을 구속 또는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리스트레인트의 종류 중 배관의 일정방향의 이동과 회전만 구속하는 것으로 신축 이음쇠와 대압에 의해서 발생하는 축방향의 힘을 받는 곳에 사용하는 것은?

  1. 스토퍼
  2. 앵커
  3. 스커트
  4. 러그
(정답률: 75%)
  • 스토퍼는 열 팽창에 의한 배관의 이동을 구속 또는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리스트레인트의 종류 중 배관의 일정방향의 이동과 회전만 구속하는 것으로, 신축 이음쇠와 대압에 의해서 발생하는 축방향의 힘을 받는 곳에 사용됩니다. 이는 스토퍼가 배관의 이동을 일정 방향으로만 제한하면서도 축방향의 힘을 받는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앵커는 배관의 이동을 모든 방향으로 제한하며, 스커트는 배관의 이동을 일정 방향으로 제한하면서도 축방향의 힘을 받지 않는 부분에 사용됩니다. 러그는 배관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스토퍼가 배관의 이동을 일정 방향으로 제한하면서도 축방향의 힘을 받는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은 스토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배관 배열의 기본 사항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관은 가급적 그룹화 되게 한다.
  2. 배관은 가급적 최단거리로 하고 굴곡부를 적게 한다.
  3. 고압라인, 고유속라인은 굴곡부와 T 브랜치를 최소로 한다.
  4. 고온, 고압라인은 가급적 플랜지를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81%)
  • "배관은 가급적 그룹화 되게 한다.", "배관은 가급적 최단거리로 하고 굴곡부를 적게 한다.", "고압라인, 고유속라인은 굴곡부와 T 브랜치를 최소로 한다."는 모두 배관 배열의 기본 사항으로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고온, 고압라인은 가급적 플랜지를 많이 사용한다."입니다. 이유는 고온, 고압라인은 내부 압력이 높기 때문에 플랜지를 많이 사용하면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플랜지 대신 용접을 사용하여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샌드 블라스트 세정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기 압송장치가 필요하다.
  2. 모래를 분사하여 스케일을 제거한다.
  3. 100A 이상의 대구경관이나 탱크에 사용한다.
  4. 공기, 질소, 물 등의 압력과 화학 세정액을 병행 사용한다.
(정답률: 88%)
  • 샌드 블라스트 세정법은 모래를 이용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공기 압송장치가 필요하며 100A 이상의 대구경관이나 탱크에 사용된다. 그러나 보기 중 "공기, 질소, 물 등의 압력과 화학 세정액을 병행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샌드 블라스트 세정법은 모래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세척을 하는 방법으로, 화학 세정액과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강관 제조방법 표시에서 냉간완성 이음매 없는 강관은?

  1. -S-C
  2. -E-C
  3. -A-C
  4. -S-H
(정답률: 71%)
  • "-S-C"는 Seamless Cold Drawn Steel Tube의 약어로, 냉간완성 이음매 없는 강관을 나타냅니다. 이 방법은 먼저 열간압연된 강재를 원하는 크기로 자르고, 그 다음에 냉간압연하여 강관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강관의 내구성과 정확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이음매가 없기 때문에 강관의 내부 표면이 매끄럽고 깨끗하여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또한, 이 방법으로 제조된 강관은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온과 고압에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 선박, 항공기, 기계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과열 증기관 등과 같이 사용온도가 350℃∼450℃ 배관에 사용되며 킬드강을 사용 이음매없이 제조되기도 하는 관은?

  1. 배관용 스테인레스 강관
  2.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
  3.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
  4. 배관용 합금강관
(정답률: 68%)
  • 고온 증기나 가열된 유체를 운반하는 고온 배관에는 고온에도 강한 재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이 사용됩니다. 이 강관은 350℃∼450℃의 고온에서도 변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킬드강을 사용하여 이음매 없이 제조됩니다. 또한, 탄소강은 내식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아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은 고온에서 안정적인 운반을 위해 필수적인 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일반적으로 PS관이라고 불리우는 관은?

  1. 규소 청동관
  2. 폴리부틸렌관
  3. 석면 시멘트관
  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관
(정답률: 75%)
  • PS관은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관이라고 불리우며, 이는 그 구조와 제작 방법에서 유래합니다.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는 철근 등의 재료를 미리 장착하여 인장력을 가한 후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강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PS관은 내구성과 강도가 뛰어나며, 높은 압력과 하중에도 견딜 수 있습니다. 또한, 내부 표면이 매끄러워서 유동성이 좋고, 녹슬지 않아서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PS관은 상하수도, 도로 및 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구리관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내식성이 좋아 담수에는 부식의 염려가 없다.
  2. 난방효과가 우수하며 스케일 생성에 의한 열효율의 저하가 적다.
  3. K, L, M형 중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은 K형이다.
  4. M 형은 주로 의료 배관용으로 만 쓰인다.
(정답률: 77%)
  • "M 형은 주로 의료 배관용으로 만 쓰인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M 형 구리관은 의료 배관뿐만 아니라 공업용, 건축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M 형 구리관은 내식성이 좋고 난방효과가 우수하며 스케일 생성에 의한 열효율의 저하가 적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M 형 구리관은 의료 배관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증기트랩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드럼 트랩
  2. 플로우트 트랩
  3. 충격 트랩
  4. 열동식 트랩
(정답률: 66%)
  • 드럼 트랩은 증기트랩의 종류가 아닙니다. 증기트랩은 증기를 통제하고 배출하는 장치로,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플로우트 트랩은 증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열림과 닫힘이 결정되는 장치입니다. 충격 트랩은 증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장치입니다. 열동식 트랩은 증기와 물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드럼 트랩은 증기트랩이 아닙니다. 드럼 트랩은 액체나 가스를 분리하는 장치로, 증기를 통제하거나 배출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드럼 트랩은 증기트랩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보온재 중 진동이 있는 곳에의 사용에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펠트
  2. 규조토
  3. 석면
  4. 그라스 울
(정답률: 63%)
  • 진동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보온재는 규조토입니다. 규조토는 점토성 물질로, 물에 젖으면 부피가 커지고 물기를 잃으면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수분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진동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면 규조토가 수분을 잃어 부피가 줄어들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규조토는 단단하지 않고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격이나 압력에 약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진동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진동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보온재는 규조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밸브판이 밸브시트에 대해 직선적으로 미끄럼운동을 하여 유체 운동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개시 저항이 거의 없고 고압에 견디는 구조이므로 간선 관로의 차단용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슬루스 밸브
  2. 글로브 밸브
  3. 앵글 밸브
  4. 다이어프램 밸브
(정답률: 70%)
  • 슬루스 밸브는 밸브판이 직선적으로 미끄럼운동을 하여 유체 운동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개시 저항이 거의 없고 고압에 견디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간선 관로의 차단용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슬루스 밸브는 밸브판이 수직으로 움직이며, 밸브판과 밸브시트 사이의 간격이 작아 유체의 누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밸브판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슬루스 밸브는 고압, 고온, 대용량의 유체를 다루는 파이프 라인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최고 사용압력 75kgf/cm2인 배관에 인장강도는 38kgf/mm2인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스케줄 번호는? (단, 인장강도에 대한 안전율을 4 로 한다.)

  1. Sch No 40
  2. Sch No 60
  3. Sch No 80
  4. Sch No 120
(정답률: 80%)
  • 최고 사용압력이 75kgf/cm2이고 인장강도 안전율을 4로 둘 때, 강관의 인장강도는 38kgf/mm2이므로, 인장강도에 대한 안전율을 고려하여 최소한 152kgf/cm2의 인장강도를 갖는 강관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Sch No 40과 Sch No 60은 인장강도가 152kgf/cm2 이하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Sch No 120은 인장강도가 304kgf/cm2 이상이므로 과도하게 강한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Sch No 80이 가장 적합한 스케줄 번호이다. Sch No 80은 인장강도가 222kgf/cm2로, 인장강도에 대한 안전율을 고려하여 최소한 152kgf/cm2의 인장강도를 갖는 강관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폴리부틸렌관의 가장 대표적인 이음법은?

  1. 미끄럼 이음
  2. 파형관 이음
  3. 에이콘 이음
  4. 플러그 이음
(정답률: 89%)
  • 폴리부틸렌관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식성이 좋아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폴리부틸렌관을 연결하는 이음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에이콘 이음입니다.

    에이콘 이음은 폴리부틸렌관의 끝 부분을 원형으로 가공한 후, 이 부분을 다른 폴리부틸렌관의 내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폴리부틸렌관의 연결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에이콘 이음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연결이 간단하고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둘째, 연결 부위가 매끄러워서 누출이 적습니다. 셋째, 내구성이 뛰어나서 오랜 시간 사용해도 변형이 적습니다. 넷째, 내식성이 좋아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폴리부틸렌관을 연결할 때는 에이콘 이음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단을 아마인유와 혼합한 것으로 밀착력이 강하여 페인트 밑칠 및 다른 도료의 초벽으로 사용하는 페인트는?

  1. 광명단 도료
  2. 알루미늄 도료
  3. 산화철 도료
  4. 합성수지 도료
(정답률: 86%)
  • 광명단 도료는 연단과 아마인유를 혼합하여 만든 도료로, 밀착력이 강하여 페인트 밑칠 및 다른 도료의 초벽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광택성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높아서 오랫동안 유지됩니다. 따라서 광명단 도료는 특히 자동차나 선박 등의 외부 도장에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알루미늄 도료는 반사율이 높아서 빛을 반사하여 눈부심이나 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산화철 도료는 부식에 취약하고 합성수지 도료는 내구성이 낮아서 광명단 도료보다는 사용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페인트 밑칠 및 다른 도료의 초벽으로 사용하는 도료로는 광명단 도료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급수설비에서 수질오염 방지 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빗물이 침입할 수 없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급수 탱크 내부에 급수 이외의 배관이 통해서는 안된다.
  3. 지하탱크나 옥상탱크는 건물 골조를 공용으로 이용하여 만들어야 한다.
  4. 역사이폰 작용을 막기 위해서 급수관이 부압으로 되었을 때, 물이 역류되어 빨려 들어가지 않는 구조로 시공해야 한다.
(정답률: 92%)
  • "지하탱크나 옥상탱크는 건물 골조를 공용으로 이용하여 만들어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지하탱크나 옥상탱크는 건물 골조를 공용으로 이용하지 않고, 독립적인 구조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탱크의 안전성과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탱크가 골조와 연결되어 있으면, 탱크 내부의 물이 골조로 유입되어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탱크나 옥상탱크는 건물 골조와 독립적인 구조물로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름 25cm 되는 파이프 속을 흐르는 유량이 0.4m3/sec 이었다면 유속은 약 몇 m/sec 인가?

  1. 2.74
  2. 5.68
  3. 7.45
  4. 8.15
(정답률: 43%)
  • 유량과 유속은 다른 개념입니다. 유량은 단위 시간당 유체가 흐르는 양을 말하며, 유속은 유체가 단위 시간당 이동하는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파이프의 지름과 유량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해야 합니다.

    파이프의 지름이 25cm 이므로 반지름은 12.5cm 입니다. 이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125m 입니다. 따라서 파이프의 단면적은 πr^2 = 0.049m^2 입니다.

    유량이 0.4m^3/sec 이므로, 단위 시간당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부피는 0.4m^3 입니다. 이를 파이프의 단면적으로 나누면, 유체가 단위 시간당 파이프를 통과하는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0.4m^3/sec ÷ 0.049m^2 = 8.16m/sec

    따라서, 유속은 약 8.16m/sec 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8.15"와 가장 가깝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8.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철관 절단시 주로 사용되며 특히 구조상 매설된 주철관의 절단에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공구는?

  1. 파이프 커터
  2. 연삭 절단기
  3. 기계 톱
  4. 링크형 파이프 커터
(정답률: 87%)
  • 주철관은 강도가 높아 일반적인 공구로는 절단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주철관 절단에는 특수한 공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구조상 매설된 주철관의 경우, 절단 위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특수한 공구가 필요합니다.

    이에 가장 적합한 공구는 "링크형 파이프 커터"입니다. 이는 주철관의 직경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절단 위치에 따라 링크를 추가하여 절단이 가능합니다. 또한, 파이프 커터는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기 때문에 연삭 절단기나 기계 톱보다는 더욱 정밀하고 깔끔한 절단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구조상 매설된 주철관의 절단에는 링크형 파이프 커터가 가장 적합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동력나사 절삭기의 종류 중 관을 물린 척(chuck)을 저속 회전시키면서 관의 절단, 거스머리 제거 등의 일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1. 오스터형
  2. 호브형
  3. 리머형
  4. 다이헤드형
(정답률: 82%)
  • 다이헤드형 동력나사 절삭기는 두 개의 관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두 개의 척(chuck)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이헤드형 동력나사 절삭기는 저속 회전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다이헤드형 동력나사 절삭기는 대량 생산이나 대형 파이프 등을 다루는 산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비금속 배관재료에 대한 일반적인 이음방법이다. 올바르게 짝지워진 것은?

  1. 경질 염화비닐관 - 기볼트 이음
  2. 석면 시멘트관 - 고무링 이음
  3. 폴리 에틸렌관 - 용착슬리브 이음
  4. 흄관 - 압축이음
(정답률: 87%)
  • 정답은 "폴리 에틸렌관 - 용착슬리브 이음" 입니다.

    폴리 에틸렌관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식성과 내부마찰저항이 좋아 물류 및 산업용 배관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폴리 에틸렌관을 이음하는 방법 중 하나가 용착슬리브 이음입니다. 이 방법은 두 개의 폴리 에틸렌관을 열화학적 반응을 통해 용착시키는 방법으로, 이음부위를 가열하여 슬리브를 씌우고, 슬리브 안쪽에 있는 접착제를 녹여서 두 개의 파이프를 용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이음부위가 매끄럽고 강력하며, 누출이 없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 방법은 빠르고 간편하며, 작업자의 기술이나 경험이 필요하지 않아 대량생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폴리 에틸렌관을 이음하는 방법으로 용착슬리브 이음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배관 종류별 주요 접합 방법이 올바르게 짝지워진 것은?

  1. 플레어 이음 - 연관 이음법
  2. 플라스탄 이음 - 스테인레스 강관 이음법
  3. TS 식 이음 - PVC 관 이음법
  4. 몰코 이음 - 주철관 이음법
(정답률: 61%)
  • TS 식 이음 - PVC 관 이음법은 PVC 파이프를 연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PVC 파이프의 끝을 깎아서 내부에 삽입하고, 그리고 그 주변에 고무 링을 끼워서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높은 밀착성과 누출 방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방법은 PVC 파이프의 크기와 유형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S 식 이음 - PVC 관 이음법은 매우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치 램프의 취급에 관한 안전사항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시 부근에 인화 물질이 없는가 확인한다.
  2. 가솔린 누설 여부를 확인 후 점화한다.
  3. 작업 전에 소화기, 모래 등을 준비한다.
  4. 가솔린의 주입시에는 램프의 불만 꺼져 있는가 확인 한 후 주입한다.
(정답률: 91%)
  • 가솔린은 불에 매우 쉽게 붙기 때문에, 토치 램프의 가스탱크에 가솔린을 주입할 때는 램프의 불이 꺼져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불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가솔린을 주입하면, 가스탱크 내부에 불기둥이 생겨서 폭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탱크에 가솔린을 주입하기 전에는 반드시 램프의 불이 꺼져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불이 켜져 있다면 먼저 램프를 끄고 나서 주입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토치 램프를 사용할 때는 인화물질이 없는지, 가스 누설이 없는지, 소화기나 모래 등의 소화도구를 준비해 놓는 등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과 해머로 재료에 홈을 따 내려고 할 때 해머의 안전작업이 아닌 것은?

  1.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을 낀다.
  2. 인접 작업자에게 파편이 날지 않도록 칸막이를 한다.
  3. 해머를 끼운 부분의 자루에 쐐기를 한다.
  4. 해머 끝부분의 변형을 그라인딩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1%)
  •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을 낀다는 것은 오히려 해머 작업 시 안전을 위해 권장되지 않는 작업입니다. 장갑을 낀다면 손가락이 미끄러져 해머를 제대로 잡지 못하거나, 장갑이 끼인 상태에서 해머를 사용하다가 장갑이 끼인 부분이 해머와 함께 날아가 다른 사람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머 작업 시에는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장갑 대신 안전한 그립감을 제공하는 손목밴드나 그립테이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스테인레스관 몰코 접합시 사용하는 공구는?

  1. 사이징 툴(sizing tool)
  2. 확관기(expender)
  3. 플레어링 툴(flaring tool)
  4. 전용 압착공구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철관 이음에서 종래 사용하여 오던 소켓이음을 개량한 것으로 스테인리스 커플링과 고무링 만으로 쉽게 이음할 수 있는 방법은?

  1. 플랜지 이음
  2. 타이톤 이음
  3. 빅토릭 이음
  4. 노-허브 이음
(정답률: 82%)
  • 노-허브 이음은 스테인리스 커플링과 고무링을 사용하여 주철관 이음에서 종래 사용하던 소켓이음을 개량한 것입니다. 이 방법은 기존의 이음 방법에 비해 간단하고 빠르게 이음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노-허브 이음은 고무링이 유동성이 있어 진동이나 충격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안정적인 이음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노-허브 이음은 주로 가스, 수도, 배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강관 접합에서 슬리이브 용접 접합시 슬리이브의 길이는 파이프 지름의 몇 배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

  1. 0.5 ∼ 1 배
  2. 1.2 ∼ 1.7 배
  3. 2.0 ∼ 2.5 배
  4. 2.5 ∼ 3.2 배
(정답률: 82%)
  • 강관 접합에서 슬리이브 용접 접합시 슬리이브의 길이는 파이프 지름의 1.2 ∼ 1.7 배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슬리이브의 길이가 지름보다 짧으면 용접 시에 파이프가 굽어지거나 불규칙한 형태가 되어 강도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슬리이브의 길이가 지름보다 길면 용접 시에 슬리이브가 파이프 안으로 들어가지 않을 수 있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길이를 유지하여 용접을 수행해야 안전하고 견고한 강관 접합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배수용 주철관의 소켓이음 작업시 주의사항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납은 1회에 넣는다.
  2. 접합부에 소량의 물을 적시면 좋다.
  3. 마(yarn)는 관의 원주위에 고르게 감아 압입한다.
  4. 납을 충분히 가열하여 표면의 산화납을 제거한다.
(정답률: 86%)
  • "접합부에 소량의 물을 적시면 좋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배수용 주철관의 소켓이음 작업시에는 물 대신에 적절한 윤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유는 물을 사용하면 이음부에 물이 남아 부식이 발생할 수 있고, 물이 증발하면서 이음부가 불완전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윤활제를 사용하여 이음부를 부드럽게 결합시키고, 부식과 불완전한 이음부 형성을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5ℓ 의 물을 0℃에서 3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몇 kcal 인가?

  1. 15
  2. 25
  3. 150
  4. 200
(정답률: 77%)
  • 물의 열용량은 1g당 1℃ 온도 상승에 필요한 열량인 1cal/g℃이다. 따라서 5ℓ(=5000g)의 물을 3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5000g × 30℃ × 1cal/g℃ = 150,000cal = 150kcal

    따라서 정답은 "1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탄산가스 아크용접의 운봉법에서 전진법과 비교한 후진법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1. 용접성이 잘 보이므로 운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2. 용착금속이 아크보다 앞서기 쉬워 용입이 얕아진다.
  3. 표면 비드가 낮고 평탄한 비드 형상이 된다.
  4. 스패터 발생이 전진법보다 적다.
(정답률: 50%)
  • 탄산가스 아크용접에서 운봉법은 전진법과 후진법으로 나뉩니다. 전진법은 용접봉을 용착금속 앞쪽으로 전진시키면서 용입을 만들어가는 방법이고, 후진법은 용접봉을 용착금속 뒤쪽으로 후진시키면서 용입을 만들어가는 방법입니다.

    전진법과 비교하여 후진법의 특징 중 "스패터 발생이 전진법보다 적다."는 이유는 후진법에서는 용접봉이 용착금속 뒤쪽으로 후진하면서 용입을 만들어가기 때문에 용착금속과 용접봉 사이에 공기가 적게 들어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용접시 발생하는 스패터가 전진법보다 적게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후진법은 스패터 발생이 적어 운봉을 깔끔하게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표면 비드가 낮고 평탄한 비드 형상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용착금속이 아크보다 앞쪽으로 가기 쉬워 용입이 얕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름이 350A 이상의 큰 지름의 강관을 만들 때 띠강판의 측면을 용접에 적합하도록 베벨(Bevel) 가공하여 프레스 또는 벤딩롤러로 원통형으로 만든 다음 자동용접을 하여 만든다.이 용접에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CO2용접
  2.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3. TIG용접
  4. 피복아크용접
(정답률: 82%)
  • 지름이 350A 이상의 큰 지름의 강관을 만들 때는 높은 용접 품질과 생산성을 보장하기 위해 자동용접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중에서도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이 가장 적합합니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은 용접 부위를 물에 잠긴 상태에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용접 부위가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아 산화나 오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의 품질이 높아지며, 용접 후에도 추가적인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자동용접 시에는 용접 속도가 빠르고 생산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CO2용접은 용접 부위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산화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용접 후에도 후처리가 필요합니다. TIG용접은 용접 속도가 느리고, 특히 큰 지름의 강관을 용접할 때는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피복아크용접은 용접 부위가 노출되어 산화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용접 후에도 후처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지름이 350A 이상의 큰 지름의 강관을 만들 때는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이 가장 적합한 용접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용접후 용접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역변형법
  2. 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
  3. 가열후 해머질 하는 방법
  4. 가열 후 압력을 주어 수냉하는 법
(정답률: 70%)
  • 용접 후 용접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역변형법"은 속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역변형법은 용접 후 용접부위를 역으로 원래의 형태로 되돌리는 방법으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은 용접 후 용접부위를 냉각하면서 점차적으로 수축시켜 원래의 형태로 돌려놓는 방법입니다. 가열 후 해머질 하는 방법은 용접부위를 가열한 후 해머로 부드럽게 치면서 원래의 형태로 돌려놓는 방법입니다. 가열 후 압력을 주어 수냉하는 법은 용접부위를 가열한 후 냉각수를 이용해 빠르게 냉각시켜 원래의 형태로 돌려놓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용접 후 발생하는 용접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용접부위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용접 후 용접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잘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용접의 품질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잔류응력제거 방법 중 주로 용접부의 용접선 방향에 생긴 인장 잔류응력을 저온 가열하여 제거하는 방법인 것은?

  1. 노내 풀림법
  2. 저온응력 완화법
  3. 피이닝법
  4. 기계적응력 완화법
(정답률: 74%)
  • 저온응력 완화법은 용접 후 용접부의 인장 잔류응력을 저온 가열을 통해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선 방향에 생긴 인장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용접 후 용접부는 냉각되면서 인장 잔류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인장 잔류응력은 용접부의 변형이나 균열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저온응력 완화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용접부를 200℃~30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인장 잔류응력을 제거합니다. 이를 통해 용접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용해 아세틸렌을 충전하였을 때 용기 전체 무게가 55kgf이고, 충전하기 전의 빈병 무게가 50kgf 이었다면 15℃, 1kgf/mm2 에서 기화하는 아세틸렌의 양은 몇 ℓ 인가?

  1. 2715
  2. 3620
  3. 4525
  4. 5430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필릿용접의 루트부에 생기는 저온 균열로 모재의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비틀림이 주요 원인이 되는 균열은?

  1. 토 균열(toe crack)
  2. 힐 균열(hill crack)
  3. 설퍼 균열(sulfur crack)
  4. 크레이터 균열(crater crack)
(정답률: 50%)
  • 필릿용접에서 루트부에 생기는 저온 균열은 모재의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비틀림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이 중에서 힐 균열은 필릿용접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균열로, 루트부의 상부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필릿용접 시에 루트부의 열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필릿의 상부가 비틀리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비틀림은 필릿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힐 균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균열은 필릿용접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므로, 필릿용접 시에는 이러한 균열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배관설비의 부분 조립도을 의미하는 영문 표기인 것은?

  1. U.F.D.
  2. plot plan
  3. P.I.D.
  4. spool drawing
(정답률: 68%)
  • "Spool drawing"은 배관설비의 부분 조립도를 의미하는 영문 표기입니다. 이는 각각의 배관 부품이 어떻게 조립되는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 부품의 크기, 모양, 위치, 연결 방법 등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설계자나 시공자는 부품 조립 순서와 방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오류나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pool drawing"은 배관 설비의 정확한 조립과 안전한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층 바닥면을 기준면에서 관 밑면까지 높이를 3000㎜ 라할 때 치수 기입법으로 적합한 것은?

  1. BOP FL 3000
  2. TOP EL 3000
  3. BOP GL 3000
  4. TOP GL 3000
(정답률: 72%)
  • "BOP FL 3000"은 Bottom of Plate (바닥면)의 Floor Level (층고)이 3000mm임을 나타내는 치수 기입법입니다. 이 경우, 바닥면을 기준면으로 삼고, 바닥면에서 관 밑면까지의 높이가 3000mm이므로, "BOP FL 3000"이 적합한 치수 기입법입니다. "TOP EL 3000"은 Top of Pipe (관 윗면)의 Elevation (고도)이 3000mm임을 나타내는 치수 기입법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BOP GL 3000"은 Bottom of Plate (바닥면)의 Ground Level (지면고도)이 3000mm임을 나타내는 치수 기입법이므로, 이 경우에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TOP GL 3000"은 Top of Pipe (관 윗면)의 Ground Level (지면고도)이 3000mm임을 나타내는 치수 기입법이므로, 이 경우에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BOP FL 3000"이 적합한 치수 기입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슬리이브형 신축 조인트를 표시한 것은?

(정답률: 84%)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슬리이브형 신축 조인트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슬리이브형 신축 조인트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로,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파이프가 두 개 있고, 그 사이에 슬리이브형 조인트가 있으며, 조인트의 중심에는 신축 가능한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슬리이브형 신축 조인트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기와 같은 크로스 이음쇠의 호칭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1%)
  • 이 크로스 이음쇠는 "Tee"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파이프 중 하나가 메인 파이프이며, 다른 하나는 분기 파이프입니다. 따라서, 이 크로스 이음쇠의 호칭방법은 "Tee"입니다.

    정답인 ""은 "Tee" 형태의 크로스 이음쇠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는 "Elbow" 형태의 이음쇠, ""는 "Reducer" 형태의 이음쇠, ""는 "Coupling" 형태의 이음쇠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관 도면의 식별 표시에서 관내에 흐르는 유체가 기름인 경우의 식별색으로 적합한 것은?

  1. 파랑
  2. 어두운 주황
  3. 연한 주황
  4. 어두운 빨강
(정답률: 86%)
  • 배관 도면에서 식별 표시는 해당 배관이 어떤 유체를 운반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필수적인 정보이며, 유체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식별색을 선택해야 합니다.

    기름은 일반적으로 파란색이나 어두운 주황색으로 식별됩니다. 그 중에서도 어두운 주황색이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파란색은 물과 혼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름과 물이 함께 운반되는 경우에는 파란색보다는 다른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한 주황색은 기름의 노화로 인해 색상이 변할 수 있으므로, 식별색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어두운 빨강은 일반적으로 화재 경보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사용되므로, 기름과 같은 유체의 식별색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름을 운반하는 배관의 경우에는 어두운 주황색이 적합한 식별색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관의 끝부분에 나사 박음식 캡 및 나사 박음식 플러그가 결합되어 있을 때 해당부분의 배관 길이 치수가 표시하는 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나사 박음식 캡은 캡의 끝면까지 치수, 나사 박음식 플러그는 관의 끝면까지 치수로 표시한다.
  2. 나사 박음식 캡은 관의 끝면까지 치수, 나사 박음식 플러그는 플러그의 끝면까지 치수로 표시한다.
  3. 나사 박음식 캡 및 나사 박음식 플러그는 모두 캡 및 플러그의 끝면까지 치수로 표시한다.
  4. 나사 박음식 캡 및 나사 박음식 플러그 모두 관의 끝면까지 치수로 표시한다.
(정답률: 60%)
  • 나사 박음식 캡 및 나사 박음식 플러그 모두 관의 끝면까지 치수로 표시한다. 이는 해당 부분이 배관의 끝부분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의 치수는 해당 배관의 총 길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관의 길이 치수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나사 박음식 캡 및 나사 박음식 플러그는 모두 관의 끝면까지 치수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90° 엘보 4개를 사용한 보기와 같은 입체도의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6%)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90° 엘보 4개를 사용한 입체도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구성된 파이프가 있기 때문에, 이를 평면도로 표현할 때는 수직 방향의 파이프를 가로지르는 선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 모양의 평면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반면에 "" 모양의 평면도는 수직 방향의 파이프를 가로지르는 선이 없기 때문에 부적합합니다. "" 모양의 평면도는 파이프가 겹쳐져 보기가 복잡해지고, "" 모양의 평면도는 파이프가 떨어져 있어서 실제 모양과 다르게 보입니다. 따라서 "" 모양의 평면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배관도에 각 장치와 유체를 구분해서 번호를 부여하는데 번호를 붙인 라인 인덱스 중에서 관내 유체 기호 IA 는?

  1. 고압 증기
  2. 작업용 공기
  3. 계기용 공기
  4. 프로세스 유체
(정답률: 67%)
  • 배관도에서 각 장치와 유체를 구분하기 위해 번호를 부여하는 것은 시설물 유지보수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이 중에서 관내 유체 기호 IA는 계기용 공기를 나타냅니다. 계기용 공기는 측정기기나 제어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공기로, 정확한 측정이나 제어를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유지보수나 고장 발생 시 해당 장치의 계기용 공기 공급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고압 증기, 작업용 공기, 프로세스 유체는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 다른 기호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기와 같은 용접기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홈깊이 16㎜
  2. 홈 각도 60°
  3. 루트 간격이 2㎜
  4. 화살표 반대방향 용접
(정답률: 75%)
  • 화살표 반대방향 용접은 두 개의 부품이 만나는 지점에서 용접을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경우, 용접선이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용접 방법은 부품의 강도를 높이고, 용접선이 부품의 표면에 덜 눌러들어가므로 용접 후의 마무리 작업이 쉬워집니다. 이 용접기호의 다른 요소들인 홈깊이 16㎜, 홈 각도 60°, 루트 간격이 2㎜은 용접 부위의 형상과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요소들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용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배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 기호 중 기름을 나타내는 것은?

  1. A
  2. G
  3. O
  4. S
(정답률: 89%)
  • 배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들은 유체의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기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O"입니다. 이는 "Oil"의 약자로, 유류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기름은 물과는 달리 밀도가 높고, 끈적거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 특별한 기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O"로 표시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들은 기름과 같은 유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급자에 대한 보호와 구입자에 대한 보증의 정도를 규정 해 두고 공급자의 요구와 구입자의 요구 양쪽을 만족하도록 하는 샘플링 검사방식은?

  1. 규준형 샘플링 검사
  2. 조정형 샘플링 검사
  3. 선별형 샘플링 검사
  4. 연속생산형 샘플링 검사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는 어느 회사의 월별 판매실적을 나타낸것이다. 5개월 이동평균법으로 6월의 수요를 예측하면?

  1. 150
  2. 140
  3. 130
  4. 120
(정답률: 8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u 관리도의 공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정답률: 85%)
  • 가장 올바른 공식은 "" 입니다. 이유는 u 관리도에서는 각 측정값들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한계선을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제어한계선은 평균값에서 ±3 표준편차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제어한계선의 공식은 평균값에서 ±3 표준편차를 곱한 값으로 설정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UCL = 평균값 + 3σ, LCL = 평균값 - 3σ가 됩니다. 따라서, "" 공식이 가장 올바른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수분포표를 만드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데이터의 흩어진 모양을 알고 싶을 때
  2. 많은 데이터로부터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할 때
  3. 원 데이터를 규격과 대조하고 싶을 때
  4. 결과나 문제점에 대한 계통적 특성치를 구할 때
(정답률: 54%)
  • 도수분포표는 데이터의 흩어진 모양을 파악하고,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많은 데이터로부터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원 데이터를 규격과 대조하고 싶을 때도 도수분포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목적은 결과나 문제점에 대한 계통적 특성치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도수분포표를 만드는 목적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과나 문제점에 대한 계통적 특성치를 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설비의 구식화에 의한 열화는?

  1. 상대적 열화
  2. 경제적 열화
  3. 기술적 열화
  4. 절대적 열화
(정답률: 61%)
  • 설비의 구식화는 기술적 열화와 경제적 열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술적 열화는 기존의 설비가 새로운 기술에 비해 뒤쳐져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설비의 성능이나 효율성이 낮아져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제적 열화는 설비의 수명이 다되어서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상황에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늘리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열화는 상대적 열화로 분류됩니다. 상대적 열화는 기존의 설비가 새로운 기술에 비해 뒤쳐져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절대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즉, 기존의 설비가 여전히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새로운 기술에 비해 뒤쳐져서 더 나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업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든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정해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S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기록법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