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02)

배관기능장
(2003-07-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주철관의 소켓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납은 얀의 이탈을 방지한다.
  2. 납은 접합부의 굽힘성을 부여하여 준다.
  3. 얀은 납과 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4. 얀은 수도관일 경우 2/3정도 채워 누수를 막아준다.
(정답률: 74%)
  • 주철관의 소켓이음은 양쪽의 파이프를 끼워 넣고, 그 사이에 납을 채워 녹여서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식은 접합부의 강도를 높이고,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 중에서 틀린 것은 "얀은 수도관일 경우 2/3정도 채워 누수를 막아준다." 이다. 얀은 파이프와 납 사이에 끼워지는 공간을 채우는 역할을 하지만, 누수를 막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오히려 얀이 파이프와 납 사이에 끼워지면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얀은 파이프와 납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합부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점 용접의 3 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통전 시간
  2. 가압력
  3. 용접 전류
  4. 도전율
(정답률: 77%)
  • 점 용접의 3대 요소는 통전 시간, 가압력, 용접 전류입니다. 이들 요소는 모두 용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전 시간은 용접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의미하며, 용접 부위의 온도와 결함 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가압력은 용접 부위를 압축하여 결함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용접 부위의 밀착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용접 전류는 용접 부위의 온도를 높이고, 용접 부위를 녹여 결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도전율은 점 용접의 요소가 아닙니다. 도전율은 전기적인 저항을 가지는 물질의 전류 흐름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점 용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도전율은 점 용접의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조 공장에서 정제된 가스를 저장하여 가스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며 제조량과 수요량을 조절하는 저장탱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정제기
  2. 가스 홀더
  3. 정압기
  4. 스토우브
(정답률: 81%)
  • 가스 홀더는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가스를 저장하는 용기로, 가스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며 제조량과 수요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스 홀더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고, 가스의 수요가 증가할 때는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여 수요를 충족시킵니다. 또한, 가스 홀더는 가스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가스의 습도와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를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 홀더는 제조 공장에서 가스 생산과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스배관의 보수 또는 연장 작업시 배관 내에서 가스를 차단할 경우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모래
  2. 가스 팩(Gas pack)
  3. 코르크(Cork)
  4. 슈링크 튜브(Shrink tube)
(정답률: 80%)
  • 가스배관의 보수 또는 연장 작업시 배관 내에서 가스를 차단할 경우 가장 적합한 것은 "가스 팩(Gas pack)"입니다. 이는 가스 팩이 가스배관 내부에 삽입되어 가스의 유출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가스 팩은 일반적으로 고무나 실리콘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가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됩니다. 또한 가스 팩은 간단하고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가스배관의 보수나 연장 작업시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 팩은 가스배관 작업시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온, 방로, 도장 작업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아스팔트 용해로 밑에는 내화벽돌이나,모래를 깐다.
  2. 화력 조절이 즉시 되지 않은 연료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용해된 아스팔트를 운반할 때는 장갑을 끼고 보행에 주의한다.
  4. 밀폐된 용기 내의 도장 작업시는 자연 통풍만을 해야한다.
(정답률: 92%)
  • "밀폐된 용기 내의 도장 작업시는 자연 통풍만을 해야한다."가 틀린 것이다. 밀폐된 용기 내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자연 통풍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인공적인 환기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유해한 가스나 먼지 등이 축적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환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 전에는 반드시 환기 시스템을 점검하고 작동시켜야 하며, 작업 중에도 환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표준화의 CAD에 적용시 자동화에 적합한 설계기술 업무와 도면작성에 관한 분야 중 설계기술 업무 분야인 것은?

  1. 정밀한 도형, 유사한 도형이 반복되는 분야
  2. 설계이론이 정식화되어 있어 계산이 복잡한 분야
  3. 단순한 도형의 배열이나 원, 곡선 등이 많은 분야
  4. 도면작성이 숙련된 전문기능에 의해 작성되는 분야
(정답률: 69%)
  • 설계이론이 정식화되어 있어 계산이 복잡한 분야가 자동화에 적합한 설계기술 업무 분야인 이유는, 이 분야에서는 다양한 설계 이론과 방법론이 존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계산과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인간의 실수나 오류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계산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분야에서는 다양한 변수와 제약 조건이 존재하며,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복잡한 계산과 분석을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이론이 정식화되어 있어 계산이 복잡한 분야는 자동화에 적합한 설계기술 업무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폴리에틸렌 관의 이음 방법 중 슬리브 너트와 캡 너트가 사용되는 것은?

  1. 용착 슬리브 이음
  2. 테이퍼 조인트 이음
  3. 인서트 조인트 이음
  4. 기볼트 조인트 이음
(정답률: 34%)
  • 슬리브 너트와 캡 너트는 폴리에틸렌 관의 테이퍼 조인트 이음 방법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폴리에틸렌 관의 끝 부분을 테이퍼 형태로 가공하여 이음 부위에 슬리브를 삽입하고, 그 위에 너트를 조여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용착 슬리브 이음 방법과 달리 전기용접이나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또한 인서트 조인트 이음 방법과 기볼트 조인트 이음 방법보다 더 높은 내압성과 내화학성을 가지며, 유체나 가스의 유출이 없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관의 이음 방법 중에서도 테이퍼 조인트 이음 방법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탱크의 자유표면에서 깊이가 25m인 지점에 있는 밸브의 게이지 압력은 몇 kgf/cm2 인가?

  1. 0.25
  2. 2.5
  3. 25
  4. 250
(정답률: 63%)
  • 물의 밀도는 1g/cm^3 이므로, 물의 무게는 부피와 같다. 따라서, 물의 무게는 25m의 높이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또한, 밸브의 게이지 압력은 물의 무게에 비례한다. 따라서, 물의 무게를 알면 밸브의 게이지 압력을 계산할 수 있다.

    물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물의 무게 = 물의 부피 x 물의 밀도 x 중력가속도

    여기서, 물의 부피는 1m^3 이므로, 물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물의 무게 = 1m^3 x 1g/cm^3 x 9.8m/s^2 = 9800N

    따라서, 물의 무게는 9800N 이다. 이를 게이지 압력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게이지 압력 = 물의 무게 / 밸브의 면적

    밸브의 면적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크절단에 압축 공기를 병용한 방법으로 용접 현장에서 용접 결함부의 제거, 용접 홈의 준비 등에 이용되는 아크 절단은?

  1. 탄소 아크 절단
  2. 금속 아크 절단
  3. 플라즈마 아크 절단
  4. 아크 에어 가우징
(정답률: 77%)
  • 아크 에어 가우징은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아크 절단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 현장에서 용접 결함부의 제거나 용접 홈의 준비 등에 이용됩니다. 이 방법은 다른 아크 절단 방법과 비교하여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절단이 가능합니다. 또한, 이 방법은 높은 속도로 절단이 가능하며, 절단면이 깨끗하고 부드럽게 마무리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크 에어 가우징은 용접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아크 절단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광물성 섬유류로 미세하고 강인하며 450℃까지의 고온에 견디는 패킹은?

  1. 석면
  2. 네오프론
  3. 테프론
  4. 모넬 메탈
(정답률: 68%)
  • 석면은 광물성 섬유류 중 하나로, 미세하고 강인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고온에 견디는 패킹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석면은 450℃까지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어, 열처리 공정이나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합합니다. 또한, 석면은 내화성이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학공정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석면은 건강에 해로운 물질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석면을 사용할 때는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철관 이음시 스텐레스 커플링과 고무링 만으로 쉽게 이음할 수 있는 접합법은?

  1. 노허브 이음(no-hub-joint)
  2. 빅토릭 이음(victoric joint)
  3. 타이톤 이음(tyton joint)
  4. 기볼트 이음(gibault joint)
(정답률: 88%)
  • 주철관 이음시 스텐레스 커플링과 고무링을 사용하여 쉽게 이음할 수 있는 접합법은 "노허브 이음(no-hub-joint)"입니다. 이 방법은 주철관의 끝 부분에 스텐레스 커플링을 끼우고, 그 안에 고무링을 넣어서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음을 만듭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게 이음을 만들 수 있어서 시공 효율성이 높습니다. 또한, 고무링이 유연하게 작용하여 진동이나 충격에도 강하고, 누출이나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주철관 이음시에는 노허브 이음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른 이음 방법으로는 빅토릭 이음, 타이톤 이음, 기볼트 이음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배관계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활을 하며 축과 직각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데 사용하며 파이프 랙 위의 배관의 곡관부분과 신축 이음쇠부분에 설치하는 것은?

  1. 가이드(Guide)
  2. 로울러 서포트(Roller support)
  3. 리지드 서포트(Rigid support)
  4. 파이프 슈우(Pipe shoe)
(정답률: 72%)
  • 가이드는 배관계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축과 직각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파이프 랙 위의 배관의 곡관부분과 신축 이음쇠부분에 설치됩니다. 가이드는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고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이드는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파이프가 이동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이와 달리, 로울러 서포트는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고, 리지드 서포트는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며, 파이프 슈우는 파이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이드는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배수 트랩 중 박스트랩이 아닌 것은?

  1. 벨 트랩
  2. 드럼 트랩
  3. 메인 트랩
  4. 그리스 트랩
(정답률: 46%)
  • 박스트랩은 웹 개발을 위한 오픈 소스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 HTML, CSS, JavaScript를 이용하여 반응형 웹 페이지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배수 트랩은 웹 페이지에서 특정 요소들을 그룹화하여 스타일링을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메인 트랩"은 콘텐츠를 담는 주요 영역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반면에 "벨 트랩"은 그리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드럼 트랩"은 이미지나 비디오 등의 미디어 요소를 담는 태그입니다. "그리스 트랩"은 텍스트를 담는 태그로, 글자 크기나 색상 등의 스타일링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박스트랩이 아닌 것은 "메인 트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1각법과 제3각 법에서 눈과 물체의 위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제1각법 : 눈 → 물체 → 투상면
  2. 제1각법 : 눈 → 투상면 → 물체
  3. 제3각법 : 눈 → 물체 → 투상면
  4. 제3각법 : 투상면 → 눈 → 물체
(정답률: 68%)
  • 제1각법은 눈에서 물체를 바라보는 시점에서 물체와 투상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이다. 이 법칙에서 눈은 물체와 투상면 사이에 위치하며, 물체는 투상면에 수직으로 선을 내리면서 투영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 때 눈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투영되는 모습은 크고 선명해지며, 멀어질수록 작고 흐려진다. 따라서 제1각법에서는 눈 → 물체 → 투상면의 순서로 위치를 설명한다.

    반면에 제3각법은 물체와 투상면 사이에서 눈의 위치를 설명하는 법칙이다. 이 법칙에서는 물체와 투상면이 수직으로 위치하며, 눈은 이들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 눈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물체는 크게 보이고, 멀어질수록 작게 보인다. 따라서 제3각법에서는 눈 → 물체 → 투상면의 순서로 위치를 설명한다.

    따라서 제1각법과 제3각법에서 모두 눈과 물체의 위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두 법칙에서 눈과 물체의 위치를 설명하는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법칙에서 올바른 위치 설명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칙의 순서를 따라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 검사법이 아닌 것은?

  1. 외관 검사
  2. 초음파 탐상법
  3. 인장 시험
  4. X 선 투과 시험법
(정답률: 83%)
  •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 검사법은 용접부의 결함을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인장 시험은 비파괴 검사법이 아닙니다. 인장 시험은 재료의 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 방법입니다. 이 시험은 재료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며, 용접부의 결함을 발견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 검사법으로는 외관 검사, 초음파 탐상법, X 선 투과 시험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법들은 용접부의 결함을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며, 안전한 용접 작업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기송배관의 분류방식이 아닌 것은?

  1. 진공식(vacuum type)
  2. 압송식(pressure type)
  3. 실린더식(cylinder type)
  4. 진공 압송식(vacuum and pressure type)
(정답률: 88%)
  • 실린더식은 기송배관의 분류방식이 아닙니다. 기송배관은 기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진공식, 압송식, 진공 압송식으로 분류됩니다.

    진공식은 기체를 진공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기체를 이동시킵니다. 압송식은 기체를 압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을 높여 기체를 이동시킵니다.

    진공 압송식은 진공식과 압송식을 결합한 방식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기체를 이동시킵니다.

    반면에 실린더식은 기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기체를 저장하는 용기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린더식은 기송배관의 분류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급탕법 중 보일러에서 나온 증기를 물탱크 속에 불어넣어 물을 가열하는 일명 스팀 사이렌스 방식은?

  1. 기수 혼합식
  2. 보일러 간접 가열식
  3. 가스 직접식
  4. 석탄 가열 증기 분무식
(정답률: 80%)
  • 급탕법 중 스팀 사이렌스 방식은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를 물탱크 속에 불어넣어 물을 가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수 혼합식으로 분류됩니다. 기수 혼합식은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와 물을 혼합하여 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보일러와 물탱크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이 방식은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와 물을 분리하여 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보일러와 물탱크가 분리되어 있어 보일러의 안전성도 높습니다. 또한, 증기와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물의 가열 속도가 빠르고, 물의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수 혼합식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급탕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급수펌프가 설치된 배관도에서 주위부품이 생략되어 있다. 펌프를 2 대 병렬 배관한 것 중 1 조를 별도로 표기한 것으로 필요한 부품에서 번호로 만 표기된 ① → ② → ③ → ④의 명칭을 순서대로 가장 적합하게 구성된 것은?

  1. 플렉시블 조인트 → 첵밸브 → 푸트 밸브 → 스트레이너
  2. 첵밸브 → 플렉시블 조인트 → 푸트 밸브 → 스트레이너
  3. 플렉시블 조인트 → 첵밸브 → 스트레이너 → 푸트 밸브
  4. 첵밸브 → 플렉시블 조인트 → 스트레이너 → 푸트밸브
(정답률: 60%)
  • 주어진 배관도에서 ①은 첵밸브, ②는 플렉시블 조인트, ③는 스트레이너, ④는 푸트밸브이다. 이 중 2 대의 펌프를 병렬로 배관한 것 중 1 조를 별도로 표기한 것이므로, ①과 ② 사이에는 펌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펌프에서 나온 물이 ①을 통해 ②로 들어가고, ②에서는 펌프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플렉시블 조인트가 필요하다. 그리고 ②에서 나온 물은 ③의 스트레이너를 통해 불순물을 걸러내고, ④의 푸트밸브를 통해 배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순서는 "첵밸브 → 플렉시블 조인트 → 스트레이너 → 푸트밸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관 속을 흐르는 물을 갑자기 정지시키거나 용기에 차 있는 물을 갑자기 흐르게 하면 관로에 수격 작용이 생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기실을 설치해야 한다. 다음 중에서 공기실 설치 위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펌프의 흡입구
  2. 급속 개폐식 수전 가까운 곳
  3. 펌프의 출구
  4. 급속 개폐식 수전에서 먼 곳
(정답률: 69%)
  • 공기실은 관로 내부에 공기를 채워 수격 작용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공기실을 설치할 위치는 수도관이나 급수관의 펌프의 흡입구나 출구 부근이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급속 개폐식 수전 가까운 곳이 가장 적합한 위치이다. 이는 급속 개폐식 수전이 수도관의 유량을 제어하는 중요한 장치이기 때문이다. 만약 공기실을 급속 개폐식 수전에서 먼 곳에 설치하면, 수도관의 유량이 제어되는 곳에서는 수격 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실을 급속 개폐식 수전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수격 작용을 방지하고 수도관의 안전한 운영을 보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NC 파이프 밴딩 머신으로 그림과 같이 관을 굽히고자 한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①점의 X, Y 좌표가 (0,0)일 때 ⑤점의 절대좌표는?

  1. (250, 300)
  2. (300, -250)
  3. (400, -250)
  4. (400, 250)
(정답률: 84%)
  • CNC 파이프 밴딩 머신은 X, Y 좌표를 기준으로 파이프를 굽히는데, 이때 파이프의 시작점이 (0,0)이다. 그림에서 파이프는 먼저 X축 방향으로 250만큼 이동하고, Y축 방향으로 300만큼 이동하여 (250, 300)의 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다시 X축 방향으로 150만큼 이동하고, Y축 방향으로 -550만큼 이동하여 (400, -250)의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⑤점의 절대좌표는 "(400, -2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고온측 고체물질 분자의 활발한 움직임에 의하여 인접한 저온측의 분자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는?

  1. 복사
  2. 대류
  3. 전도
  4. 방사
(정답률: 87%)
  • 고온측 고체물질 분자의 활발한 움직임은 인접한 저온측의 분자로 열이 이동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열 전달 현상을 전도라고 합니다. 전도는 분자 간의 직접적인 충돌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으로, 고체물질 내부에서 일어납니다. 이는 고체물질의 분자가 서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전도는 열 전달의 속도가 빠르고, 열 전달 경로가 직접적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열 전달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고온측 고체물질 분자의 활발한 움직임에 의해 인접한 저온측의 분자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전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파이프속을 흐르는 유체가 기름임을 표시하는 기호는?

  1. - W -
  2. - G -
  3. - O -
  4. - A -
(정답률: 93%)
  • "- O -"는 파이프속을 흐르는 유체가 기름임을 표시하는 기호입니다. 여기서 "O"는 Oil의 약자로, 기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기호는 파이프라인에서 유체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파이프속을 흐르는 유체는 물, 가스, 기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들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표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 W -"는 Water(물), "- G -"는 Gas(가스), "- A -"는 Air(공기)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와 같이 파이프라인에서 유체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호는 안전한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처리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이프라인에서 유체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호는 정확하고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적인 염화 비닐관의 냉간 이음방식이 아닌 것은?

  1. TS식
  2. 편수칼라식
  3. PC식
  4. H식
(정답률: 55%)
  • PC식은 일반적인 염화 비닐관의 냉간 이음방식과는 다른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음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PC식은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냉간 이음방식과는 달리 열을 가해야 합니다. 이 방식은 냉간 이음방식보다 더 강력한 접합력을 가지며, 높은 내열성과 내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PC식은 냉간 이음방식보다 더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더 높은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PC식은 일반적인 염화 비닐관의 냉간 이음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음을 만들어 더 강력하고 내구성이 높은 파이프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펌프의 종류 중 고양정, 대유량용으로 유체를 이송시키는데 가장 적당한 펌프는?

  1. 왕복식 펌프
  2. 원심 펌프
  3. 로터리 펌프
  4. 축류 펌프
(정답률: 82%)
  • 고양정, 대유량용으로 유체를 이송시키는데 가장 적당한 펌프는 원심 펌프입니다. 이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하기 때문입니다. 원심 펌프는 회전하는 원반 안에 있는 로터를 이용하여 유체를 흡입하고, 회전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압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고, 유속이 빨라지므로 대량의 유체를 이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심 펌프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이 안정적이며, 유체의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고양정, 대유량용으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원심 펌프는 공업용, 상용용, 건설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데이터를 보고 편차 제곱합(S)을 구하면? (단, 소숫점 3자리까지 구하시오.)

  1. 0.338
  2. 1.029
  3. 0.114
  4. 1.014
(정답률: 6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압시험의 방법으로 물을 채우기 전의 준비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물을 채우는 중, 테스트 중임을 표시하는 표를 밸브등에 부착한다.
  2. 안전밸브, 신축죠인트에 수압이 걸리도록 처치한다.
  3. 급수밸브, 배기밸브를 필요한 개소에 장치한다.
  4. 테스트 펌프, 압력계(테스트압의 1.5배 이상)의 점검을 한다.
(정답률: 82%)
  • 안전밸브와 신축죠인트에 수압이 걸리도록 처치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안전밸브는 수압이 너무 높아지면 자동으로 열어서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압이 걸리도록 처치하면 안전밸브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신축죠인트는 수압이 걸리면 늘어나서 파손될 수 있으므로, 수압이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안전밸브와 신축죠인트는 수압이 걸리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에서 A점인 a1의 단면적이 2m2 일 때, 평균 유속이 1m/sec 이면, 단면적이 b2 = 0.4m2 인 B점의 평균유속은 약 몇 m/sec 인가?

  1. 1
  2. 2
  3. 4
  4. 5
(정답률: 51%)
  • 유체의 연속 방정식에 의해 유체의 질량은 보존됩니다. 따라서 A점과 B점에서의 유체의 유속과 단면적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A점에서의 단면적이 2배로 크면, B점에서의 유속은 2배로 작아져야 합니다. 따라서 B점에서의 평균 유속은 0.5m/se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보기 배관도에서 ①∼③의 명칭이 옳게 나열된 것은?

  1. ① 체크밸브, ② 글로브 밸브, ③ 콕 일반
  2. ① 체크밸브, ② 글로브 밸브, ③ 볼 밸브
  3. ① 앵글밸브, ② 슬루스 밸브, ③ 콕 일반
  4. ① 앵글밸브, ② 슬루스 밸브, ③ 볼 밸브
(정답률: 79%)
  • 보기의 배관도에서 ①은 체크밸브, ②는 글로브 밸브, ③은 볼 밸브이다. 체크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글로브 밸브는 밸브의 본체와 디스크가 연결된 밸브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볼 밸브는 구형 디스크가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로, 유체의 흐름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 범위가 넓다. 따라서, 보기의 배관도에서 ①은 체크밸브, ②는 글로브 밸브, ③은 볼 밸브로 옳게 나열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정 도시기호중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도시기호는?

(정답률: 65%)
  • 공정 도시기호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호로, 제품의 공정계열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는 보조 도시기호가 사용됩니다.

    보기에서 ""는 보조 도시기호 중 하나입니다. 이 기호는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때 사용되며, 생략된 부분을 대체하여 전체 공정계열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A-B-C-D"라는 공정계열에서 "B-C"를 생략하고 표기할 때는 ""를 사용하여 "A--D"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조 도시기호는 제품의 생산 과정을 간략하게 표기할 수 있어서, 제품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제품의 생산 과정을 표준화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취급되어야 할 대상설비의 결정
  2. 정비작업에서 점검시기의 결정
  3. 대상설비 점검개소의 결정
  4.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
(정답률: 89%)
  • 예방보전은 시설물이나 설비의 이상을 미리 예측하여 미연에 방지하고, 정비 및 점검을 통해 안전하고 원활한 운영을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은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대상설비의 결정은 시설물이나 설비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대상을 선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시설물이나 설비의 종류, 용도, 규모, 운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정비작업에서 점검시기의 결정은 대상설비의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대상설비의 운영시간, 사용빈도, 고장이 발생한 경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대상설비 점검개소의 결정은 대상설비를 점검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대상설비의 위치, 접근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은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대상설비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외주업체를 선정하는 것으로, 예방보전과는 관련이 없는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관의 종류와 KS 규격 기호를 짝지은 것 중 옳은 것은?

  1. SPP : 수도용 도복장 강관
  2. SPPS :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3. STPW : 배관용 스테인레스 강관
  4. SPPH : 보일러 열 교환기용 탄소 강관
(정답률: 83%)
  • 강관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KS 규격 기호를 통해 구분된다. SPPS는 KS D 3507 규격에 따라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을 의미한다. SPPS는 일반적으로 고압 가스나 액체를 운반하는 파이프로 사용되며, 내구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다. 또한, SPPS는 용접이 용이하고 가공이 쉬워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SPPS는 압력 배관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강관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평면도에 악취방지장치 및 콕이 붙은 배수구을 표시하는 기호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2%)
  • 가장 적합한 기호는 ""입니다. 이 기호는 악취방지장치와 콕이 붙은 배수구를 나타내는 기호로, 악취방지장치는 배수구에서 나는 악취를 막기 위한 장치이며, 콕은 배수구에 물이 차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호는 건축물의 평면도에서 배수구의 위치와 함께 표시되어야 하며, 건축물의 안전과 위생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기호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 절단에서 예열 불꽃이 약할 때의 영향으로 다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 절단면이 거칠어진다.
  2. 변두리가 용융되어 둥글게 된다.
  3. 슬래그 중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려워진다.
  4. 드래그가 증가하고 역화를 일으키기 쉽다.
(정답률: 76%)
  • 가스 절단에서 예열 불꽃이 약할 때, 드래그가 증가하고 역화를 일으키기 쉽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영향이다. 이는 예열 불꽃이 약할 경우, 절단면에 충분한 열이 전달되지 않아 절단면이 거칠어지고, 이로 인해 절단면의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드래그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예열 불꽃이 약할 경우, 절단면의 변두리가 용융되어 둥글게 된다는 것도 중요한 영향이지만, 이는 드래그 증가와 연관성이 적다. 슬래그 중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려워진다는 것도 중요한 영향이지만, 이는 절단면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 절단에서 예열 불꽃이 약할 때, 드래그 증가와 역화 발생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내약품성, 내유성이 우수하여 금속의 방식도료로 우수하나 부착력과 내후성이 나쁘며, 내열성이 약한 것이 결점인 합성수지 도료는?

  1. 에칠렌계
  2. 요소 멜라민
  3. 프탈산
  4. 염화 비닐계
(정답률: 57%)
  • 합성수지 도료 중에서 내약품성과 내유성이 우수하면서도 금속에 부착하기 쉬운 것은 염화 비닐계 도료입니다. 염화 비닐계 도료는 염화 비닐 수지를 기반으로 하며, 내열성이 약하고 부착력과 내후성이 나쁩니다. 하지만 내약품성과 내유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금속의 방식도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염화 비닐계 도료는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외벽 도장재, 자동차의 내부 장식재, 가구의 표면재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기와 같은 배관의 간략 도시방법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팽창 이음쇠
  2. 고정식 지지 장치
  3. 수동 조작식 체크밸브
  4. 수동 조작식 배관설비 청소구
(정답률: 85%)
  • 이 배관의 간략 도시방법은 고정식 지지 장치입니다. 이유는 배관이 지지되어 있지 않으면, 배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배관이 움직이거나 굽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형은 배관의 누수나 파손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배관에서는 고정식 지지 장치를 사용하여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배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맞대기 용접식 강관이음쇠 중 일반 배관용 이음쇠의 바깥지름, 안지름 및 두께는 다음 중 어떤 관의 치수와 동일한가?

  1. 배관용 탄소강관
  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3.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4. 저온배관용 탄소강관
(정답률: 75%)
  • 맞대기 용접식 강관이음쇠의 바깥지름, 안지름 및 두께는 일반 배관용 이음쇠와 동일한 배관용 탄소강관의 치수와 일치합니다. 이는 맞대기 용접식 강관이음쇠가 일반 배관용 이음쇠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배관용 탄소강관은 일반적으로 저비용이며,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내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며, 압력배관, 고압배관, 저온배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맞대기 용접식 강관이음쇠의 치수가 일반 배관용 이음쇠와 동일한 배관용 탄소강관의 치수와 일치하는 것은, 이 두 제품이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링크형 파이프 커터의 사용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주철관 절단용
  2. 강관 절단용
  3. 비금속관 절단용
  4. 도관 절단용
(정답률: 89%)
  • 링크형 파이프 커터는 파이프를 정확하게 절단하기 위한 도구로, 다양한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철관 절단용"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주철관은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도가 높은 주철관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힘과 정확한 조작이 필요합니다. 링크형 파이프 커터는 이러한 주철관의 특성에 맞게 강력한 힘과 정확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주철관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철관은 물론이고 강관 등 다른 강도가 높은 파이프도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강관 절단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배관 시공시의 일반적인 유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배관은 가급적 그룹화되게 한다.
  2. 배관은 가급적 최단거리로 하고 굴곡은 적게 한다.
  3. 고온, 고압라인인 경우에는 기기와의 접속용 플랜지 이외에는 가급적 플랜지 접합을 피한다.
  4. 유속이 빠른 배관에는 분기관과 굴곡부 곡율 반경을 최소가 되게 한다.
(정답률: 57%)
  • 유속이 빠른 배관에는 분기관과 굴곡부 곡율 반경을 최소가 되게 한다는 것이 잘못된 것이다. 유속이 빠른 배관에서는 유동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관 내부의 저항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분기관과 굴곡부 곡율 반경을 최소화하면 배관 내부의 저항이 증가하여 유속이 더욱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유속이 빠른 배관에서는 분기관과 굴곡부 곡율 반경을 최소화하는 것보다는 직선적인 배관 설치와 굴곡부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밸브 내부는 버퍼(buffer)와 스프링(spring)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이패스 밸브 기능도 하는 체크밸브는?

  1. 리프트형(lift type) 체크밸브
  2. 스윙형(swing type) 체크밸브
  3. 푸트형(foot type) 체크밸브
  4. 해머리스형(hammerless type) 체크밸브
(정답률: 81%)
  • 해머리스형 체크밸브는 내부에 해머(hammer)가 없어서 바이패스 밸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체크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내부에 있는 해머가 열리고 닫히면서 바이패스 밸브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해머리스형 체크밸브는 내부에 해머가 없기 때문에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바이패스 밸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해머리스형 체크밸브는 유체의 흐름이 불규칙하거나 압력이 갑자기 변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머가 없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파이프(기계) 바이스 호칭치수 105, 호칭 번호 #2에서의 사용범위로 가장 적합한 파이프의 호칭 치수 범위는?

  1. 6A ∼ 50A
  2. 6A ∼ 65A
  3. 6A ∼ 90A
  4. 6A ∼ 115A
(정답률: 52%)
  • 파이프(기계) 바이스 호칭치수 105, 호칭 번호 #2는 파이프의 직경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호칭치수 105은 파이프의 직경이 105mm인 것을 의미합니다. 호칭 번호 #2는 파이프의 직경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6A ~ 115A까지 총 11개의 범위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호칭 번호 #2에서 사용범위로 가장 적합한 파이프의 호칭 치수 범위는 6A ~ 90A입니다. 이는 호칭치수 105보다 작은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이스가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호칭치수 115보다 큰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이스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A ~ 90A 범위 내에서 적절한 파이프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합성수지관 접합용 공구가 아닌 것은?

  1. 드레셔
  2. 열풍 용접기
  3. 가열기
  4. 비닐용 파이프 커터
(정답률: 69%)
  • 합성수지관 접합용 공구 중에서 "드레셔"는 제외됩니다. 이유는 드레셔는 나무나 금속 등의 재료를 가공하는 공구로,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는 데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열풍 용접기는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공구로, 가열기는 접착제를 녹이는 데 사용되며, 비닐용 파이프 커터는 파이프를 자르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합성수지관을 접합하기 위해서는 드레셔가 아닌 열풍 용접기, 가열기, 비닐용 파이프 커터 등의 공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일러의 과열로 인한 파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화염이 국부적으로 집중 연소될 경우
  2. 보일러수에 유지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3. 스케일 부착으로 열 전도율이 저하될 경우
  4. 물 순환이 양호하여 증기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정답률: 87%)
  •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기계로, 과열로 인한 파열은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발생합니다. 이때, 화염이 국부적으로 집중 연소될 경우나 보일러수에 유지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보일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압력이 증가하고, 스케일 부착으로 열 전도율이 저하될 경우에도 보일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압력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물 순환이 양호하여 증기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에는 보일러 내부의 물 순환에 이상이 없어서 증기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압력이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과열로 인한 파열의 원인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설비 배관 도면에서 전체도 또는 옥외 배관도라고도 하며 건축물과 부지 및 도로 등의 관계, 상.하수도와 가스배관의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배치도
  2. 계통도
  3. 입체도
  4. 평면도
(정답률: 61%)
  • 설비 배관 도면에서 건축물과 부지, 도로 등의 관계와 상하수도, 가스배관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은 "배치도"입니다. 이는 설비의 배치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설비의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며, 설비의 전반적인 구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계통도"는 설비의 유체나 기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입체도"는 설비의 입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입니다. "평면도"는 설비의 평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배치도와 유사하지만 보다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비 배관 도면에서 건축물과 부지, 도로 등의 관계와 상하수도, 가스배관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은 "배치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압축공기 배관에서 공기 탱크를 설치하는 목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맥동 완화
  2. 압축공기의 저장
  3. 드레인 분리
  4. 공기 냉각
(정답률: 74%)
  • 압축공기 배관에서 공기 탱크를 설치하는 목적은 주로 압축공기의 저장과 맥동 완화입니다. 압축공기는 압축과정에서 열이 발생하여 높은 온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탱크에 저장함으로써 온도를 안정화시키고 맥동을 완화시킵니다. 또한, 드레인 분리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시스템의 오염과 부식을 방지합니다.

    반면, 공기 냉각은 압축공기 배관에서 공기 탱크를 설치하는 목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입니다. 공기 냉각은 주로 공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여 기계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압축공기 배관에서 공기 탱크를 설치하는 목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가스 공급시설에서 공급가스가 항상 소요 공급 압력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은?

  1. 가스 홀더
  2. 정압기
  3. 집진 장치
  4. 공급관
(정답률: 70%)
  • 가스 공급시설에서는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가스를 사용하는 곳에서 안정적인 연소와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위해 가스 공급시설에서는 정압기를 사용합니다. 정압기는 고압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해주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가스 공급시설에서는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가스 사용자들은 안정적인 가스 공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압기는 가스 공급시설에서 가장 중요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관리한계선을 구하는데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관리선을 구하는 관리도는?

  1. Pn 관리도
  2. U 관리도
  3. 관리도
  4. X 관리도
(정답률: 41%)
  • 이항분포는 성공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했을 때 성공횟수를 나타내는 확률분포이다. Pn 관리도는 제품의 불량률을 이항분포로 가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리한계선을 구하는 관리도이다. 즉, 제품의 불량률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될 확률을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방법이므로 정답이다. U 관리도는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방법이고, 관리도는 포아송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X 관리도는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경질 염화 비닐관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열 팽창률이 크다.
  2. 전기 절연성이 작다.
  3. 열의 불양도체이다.
  4. 내산, 내알칼리성이다.
(정답률: 54%)
  • 경질 염화 비닐관은 내산, 내알칼리성이며, 열의 불양도체입니다. 그러나 전기 절연성이 작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경질 염화 비닐관은 전기 절연성이 높아 전기적 안전성이 뛰어나며, 전기선로, 통신선로, 케이블 등의 보호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경질 염화 비닐관의 내부에 있는 전기선이 외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질 염화 비닐관은 전기 절연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접부 비파괴시험 기호가 RT로 표기되어 있으면 다음 중 어느 시험인가?

  1. 초음파시험
  2. 육안검사
  3. 내압시험
  4. 방사선투과시험
(정답률: 84%)
  • RT는 "Radiographic Testing"의 약어로, 한국어로는 "방사선투과시험"을 의미합니다. 이 시험은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X선 또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용접부를 촬영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입니다. 용접부의 결함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며, 결함이 있는 부분은 어둡게 나타나고 결함이 없는 부분은 밝게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용접부의 결함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T는 용접부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교류아크 용접기로 용접시 6분 동안 용접을 하고 4분간은 휴식을 하였다. 이때 용접기의 사용률은 몇 % 인가?

  1. 50
  2. 60
  3. 67
  4. 40
(정답률: 83%)
  • 용접기를 사용한 시간은 6분이고, 휴식을 취한 시간은 4분이므로 총 사용 시간은 10분이다. 따라서 용접기의 사용률은 (6/10) x 100 = 60% 이다. 즉, 용접기를 총 10분 중 6분 동안 사용했으므로 사용률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90°곡관을 3편 마이터(3 pieces miter)로 만들려고 할 때 1편의 절단각 θ는 몇 도인가?

  1. 45°
  2. 30°
  3. 22.5°
  4. 15°
(정답률: 64%)
  • 90°곡관을 3편 마이터로 만들려면 각 마이터의 절단각이 동일해야 합니다. 따라서 90°를 3등분하여 각 마이터의 절단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90°를 3등분하면 30°씩 나누어지므로, 각 마이터의 절단각은 30°이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30°이 없으므로, 30°를 2등분하여 15°를 빼면 22.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수도용 수직형 주철직관
  2. 수도용 원심력 사형직관
  3. 수도용 원심력 금형직관
  4. 수도용 인발형 주철직관
(정답률: 63%)
  • 수도용 인발형 주철직관은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물이나 다른 유체를 이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주철관은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과는 달리 인발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이는 내부에 인발이 존재하여 유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합니다. 또한, 이러한 주철관은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더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도용 인발형 주철직관은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과는 용도와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신뢰성
  2. 정확성
  3. 정밀도
  4. 오차
(정답률: 67%)
  • 위의 측정법에서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정확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측정 결과가 참값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정확성은 측정 기기나 방법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측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확성이 높은 측정 결과는 신뢰성이 높은 결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 보통압관의 최대 사용 정수두 압력은 몇 kgf/cm2 인가?

  1. 5
  2. 7.5
  3. 9
  4. 12
(정답률: 74%)
  •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 보통압관은 최대 사용 정수두 압력이 7.5 kgf/cm2이다. 이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수도용 주철관은 물의 공급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대 사용 정수두 압력은 너무 높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물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7.5 kgf/cm2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적절한 압력이며, 이를 넘어가면 파손이나 누출 등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도용 주철관 보통압관의 최대 사용 정수두 압력은 7.5 kgf/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15℃의 물 400㎏에 85℃의 온수 몇 ㎏을 혼합하면 50℃의 온수를 얻을수 있는가?

  1. 450㎏
  2. 400㎏
  3. 250㎏
  4. 200㎏
(정답률: 53%)
  • 먼저, 두 개의 물체가 혼합될 때, 그들의 열역학적 상태는 항상 보존됩니다. 이것은 열역학의 보존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물의 질량과 온도를 알고 있다면, 혼합 후의 온도와 질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15℃의 물 400㎏과 85℃의 온수가 혼합되어 50℃의 온수를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5℃ × 400㎏) + (85℃ × x) = (50℃ × (400㎏ + x))

    여기서 x는 혼합할 온수의 질량입니다. 이 방정식을 풀면,

    6,000 + 85x = 20,000 + 50x

    35x = 14,000

    x = 400

    따라서, 400㎏의 온수를 15℃의 물 400㎏에 혼합하면 50℃의 온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배관 도면을 작성할 때 그 지방의 해수면에 기준선(base line)을 설정하여 이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GL(ground line) 표시법
  2. FL(floor line) 표시법
  3. EL(elevation) 표시법
  4. CL(center line) 표시법
(정답률: 71%)
  • 배관 도면에서 EL(elevation) 표시법은 그 지방의 해수면에 기준선을 설정하여 이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법입니다. 이 표시법은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건설물을 설계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이유는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건설물은 지형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형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건설물도 그에 맞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때 EL 표시법을 사용하면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건설물이 지형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L 표시법은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건설물을 설계할 때 매우 유용한 표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동화 시스템에서 공정처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만들고, 수집하며 이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제어부분인 자동화의 5대 요소 중 하나인 것은?

  1. 센서(sensor)
  2. 네트워크(network)
  3. 액츄에이터(actuator)
  4. 소프트웨어(software)
(정답률: 59%)
  • 센서는 자동화 시스템에서 공정 처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만들고,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센서는 물리적인 현상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분인 프로세서에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자동화 시스템은 공정 처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자동 주행 시스템에서는 센서가 차선의 위치나 주변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방향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센서는 자동화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동화의 5대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파이프 랙(pipe rack)이 있다. 연료유 라인, 연료가스 라인, 보일러 급수라인 등의 유틸리티(utility) 배관은 어디에 배열하는 것이 적합한가?

  1. A부분 및 D부분
  2. B부분 및 C부분
  3. C부분 및 D부분
  4. D부분 및 E부분
(정답률: 91%)
  • B부분과 C부분에 유틸리티 배관을 배열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째, B부분과 C부분은 파이프 랙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서, 다른 부분에 비해 안정적인 지지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틸리티 배관을 이 부분에 배열하면 파이프 랙 전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둘째, B부분과 C부분은 서로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서, 유틸리티 배관 간의 연결이 용이합니다. 이는 유틸리티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셋째, B부분과 C부분은 파이프 랙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어서, 다른 부분에 비해 공간적 여유가 있습니다. 따라서 유틸리티 배관을 이 부분에 배열하면, 파이프 랙 내부의 혼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B부분과 C부분에 유틸리티 배관을 배열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배관용 연결 부속 중에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때 쓰이는 것으로 되어있은 항은?

  1. 엘보, 티
  2. 레듀셔, 부싱
  3. 캡, 플러그
  4. 유니온, 플렌지
(정답률: 84%)
  • 배관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부속품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분해 조립이 가능한 부속품은 유지보수나 교체 작업 시에 매우 유용합니다. 이러한 부속품으로는 유니온과 플렌지가 있습니다.

    유니온은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부속품으로, 파이프의 연결 및 분해가 용이합니다. 유니온은 두 개의 씰과 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너트를 조이면 씰이 파이프에 밀착하여 누설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유지보수나 교체 작업 시에 파이프를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플렌지는 파이프의 연결 및 분해가 가능한 부속품으로, 파이프의 직경이나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플렌지는 두 개의 플렌지 본체와 볼트, 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이프를 연결할 때는 두 개의 플렌지 본체를 볼트와 너트로 조이면 됩니다. 따라서 유지보수나 교체 작업 시에 파이프를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니온과 플렌지는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때 쓰이는 배관용 연결 부속 중에서 가장 적합한 부속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로트(Lot)수를 가장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1회 생산수량을 의미한다.
  2.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
  3. 생산목표량을 기계대수로 나눈 것이다.
  4. 생산목표량을 공정수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50%)
  • 로트(Lot)수는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제조 공정에서 일정한 수량의 제품을 생산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 한 번에 생산하는 제품의 수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0개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10개씩 10번 생산하는 경우, 로트수는 10이 됩니다. 이는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생산량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로트수를 정확하게 파악하면 생산 일정을 계획하고 원자재, 인력, 기계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트수는 제조업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용접의 종류 중 가스용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산소 아세틸렌 용접
  2. 공기 아세틸렌 용접
  3. 산소 수소 용접
  4. CO2(탄산가스) 아크 용접
(정답률: 65%)
  • CO2(탄산가스) 아크 용접은 가스용접 중 하나입니다. 이 용접 방법은 CO2 가스를 사용하여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을 수행합니다. 이에 반해, 산소 아세틸렌 용접, 공기 아세틸렌 용접, 산소 수소 용접은 모두 가스용접에 속합니다. 산소 아세틸렌 용접은 산소와 아세틸렌 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공기 아세틸렌 용접은 공기와 아세틸렌 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산소 수소 용접은 산소와 수소 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CO2(탄산가스) 아크 용접은 가스용접에 속하지만, 나머지 세 가지 용접은 가스용접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