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배관기능장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배관 지지장치의 용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파이프 슈(pipe shoe) : 관의 수평부 곡관부 지지
  2. 앵커 (anchor) : 배관계에서 발생한 충격을 완화
  3. 가이드(guide) : 관의 회전제한, 축방향의 이동 안내
  4. 콘스탄트 행거 : 배관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면서 관 지지력을 일정하게 유지
(정답률: 84%)
  • 앵커 (anchor) : 배관계에서 발생한 충격을 완화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앵커는 배관의 이동을 제한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은 콘스탄트 행거나 스프링 하우저와 같은 다른 지지장치가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급수설비 시공시 용도가 다른 배관과 잘못 연결되지 않도록하고, 상수계통 배관의 공급단에는 송출구와 수수용기 사이에 송수구의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할 수 없을 때는 역류 방지용 수전 또는 무엇을 설치해야 하는가?

  1. 진공 차단기(vacuum breaker)
  2. 볼 이음(ball joint)
  3. 푸트 밸브(foot valve)
  4. TS 이음
(정답률: 65%)
  • 급수설비에서는 상수계통과 용수계통이 분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용도가 다른 배관이 잘못 연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상수계통 배관의 공급단에는 송출구와 수수용기 사이에 송수구의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역류 방지용 수전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확보할 수 없을 때는 "진공 차단기(vacuum breaker)"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배관 내부의 진공을 방지하여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진공 차단기(vacuum breaker)"가 정답입니다. "볼 이음(ball joint)", "푸트 밸브(foot valve)", "TS 이음"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부속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기와 같은 파이프 랙(pipe rack)이 있다. 연료유 라인, 연료가스 라인, 보일러 급수라인 등의 유틸리티(utility) 배관은 어디에 배열하는 것이 적합한가?

  1. A부분 및 D부분
  2. B부분 및 C부분
  3. C부분 및 D부분
  4. D부분 및 E부분
(정답률: 90%)
  • 유틸리티 배관은 보통 파이프 랙의 중앙에 위치하여 유지보수 및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며, 파이프 랙의 상단과 하단에는 프로세스 배관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B부분과 C부분이 적합한 위치이다. A부분과 D부분은 프로세스 배관이 위치하는 곳으로 유틸리티 배관이 위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E부분은 파이프 랙의 끝 부분으로 유틸리티 배관을 배열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백 필터(bag filter)를 사용하는 집진방식인 것은?

  1. 원심력식
  2. 중력식
  3. 전기식
  4. 여과식
(정답률: 92%)
  • 백 필터는 여과식 집진방식입니다. 이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미세한 입자를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방식으로, 백 필터 내부에 여과매체가 있어 공기가 통과할 때 먼지 입자들이 여과매체에 달라붙어 분리됩니다. 따라서 여과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화학 세정작업에서 스케일이 경질일 때, 경도 성분, 실리카 등이 많을 때 산세정 단독으로는 용해가 곤란한 경우에 산세정 전처리로 실시하는 것은?

  1. 유화 처리(油化 處理)
  2. 중화 세정(中和 洗淨)
  3. 소다(soda) 세정
  4. 유기용제 세정
(정답률: 61%)
  • 유화 처리는 세정 대상물질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화 반응을 일으켜 세정 대상물질의 표면을 유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세정 대상물질의 표면이 유화되면 산세정 등의 세정제가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경질한 스케일이나 경도 성분, 실리카 등이 많은 경우에는 유화 처리를 통해 세정 전처리를 실시하면 보다 효과적인 세정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배수 수직관과 수평 분기관이 합류되는 지점의 수직관에서 내려온 배수의 수류에 선회력을 만들어 공기 코어가 지속 되도록 만든 배수 통기 방식은?

  1. 섹스티아 방법
  2. 결합 통기 방법
  3. 신정 통기 방법
  4. 소벤트 방법
(정답률: 89%)
  • 섹스티아 방법은 수직관에서 내려온 배수의 수류에 선회력을 만들어 공기 코어가 지속되도록 만든 배수 통기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수직관과 수평 분기관이 합류되는 지점에서 수직관의 내부에 있는 배수가 수평 분기관으로 흐르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 회전운동이 공기 코어를 형성하여 배수의 통기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선회력을 이용하여 배수의 통기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섹스티아 방법"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부식, 마모 등으로 작은 구멍이 생겨 유체가 누설될 경우 고무제품의 각종 크기로 된 볼을 일정량 넣고, 유체를 채운 후 펌프를 작동시켜 누설부분을 통과하려는 볼이 누설 부분에 정착, 누설을 미량이 되게하거나 정지시키는 응급 조치법은?

  1. 코킹법
  2. 스토핑 박스법
  3. 호트 패킹법
  4. 인젝션법
(정답률: 72%)
  • 해당 문제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유체가 누설되는 부분에 볼을 넣고, 펌프를 작동시켜 누설 부분을 통과하려는 볼이 누설 부분에 정착시켜 누설을 미량이 되게하거나 정지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인젝션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젝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기조화 설비의 닥트 주요 요소인 가이드 베인의 용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대형 닥트의 풍량 조절용이다.
  2. 소형 닥트의 풍량 조절용이다.
  3. 닥트 분기 부분의 풍량조절을 한다.
  4. 굽은(회전) 부분의 기류를 안정시킨다.
(정답률: 84%)
  • 가이드 베인은 닥트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굽은(회전) 부분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안정시켜서 효율적인 공기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굽은(회전) 부분의 기류를 안정시킨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소화설비장치 중 연결 송수관의 송수구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수구는 쌍구형으로 하고,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2. 송수구는 연결 송수관의 배관마다 1개 이상을 지면으로 부터 높이 0.5m ∼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3. 건식 송수구 부근에는 반드시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4. 송수구의 결합 금속구는 구경 65㎜의 것을 설치한다.
(정답률: 68%)
  • "건식 송수구 부근에는 반드시 체크밸브를 설치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건식 송수구는 물이 계속 흐르고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송수구로부터 역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역류를 막습니다. 따라서 "건식 송수구 부근에는 반드시 체크밸브를 설치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강성이 큰 I 빔으로 만든 배관 지지대로 정유시설의 송수관에 가장 많이 쓰이는 지지금속인 것은?

  1. 로울러 슈
  2. 리지드 서포트
  3. 파이프 슈
  4. 스프링 서포트
(정답률: 76%)
  • 강성이 큰 I 빔으로 만든 배관 지지대는 고정적인 지지대로, 이에 적합한 지지금속은 리지드 서포트입니다. 리지드 서포트는 고정적인 지지대로, 파이프나 배관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유시설의 송수관에 가장 많이 쓰이는 지지금속은 리지드 서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배관에서 일반적으로 방로, 방동 피복을 하지 않는 관은?

  1. 통기관
  2. 급수관
  3. 증기관
  4. 배수관
(정답률: 88%)
  • 통기관은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로나 방동 피복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급수관, 증기관, 배수관은 물이나 증기를 운반하기 때문에 방로나 방동 피복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통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설비자동화 유압시스템의 결함 중 토출유량이 감소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어큐뮬레이터의 압력변화가 없다.
  2. 작동유의 점성이 너무 높다.
  3. 작동유의 점성이 너무 낮다.
  4. 탱크 내의 유면이 너무 낮다.
(정답률: 65%)
  • 어큐뮬레이터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압 압력을 저장하고 유압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의 압력 변화가 없다는 것은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토출유량이 감소하는 원인은 어큐뮬레이터의 압력 변화가 아니라 작동유의 점성이 너무 높거나 낮거나, 또는 탱크 내의 유면이 너무 낮은 등의 다른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자동제어에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미리 정해 놓은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단계를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
  2. 미리 정해놓은 순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제어의 각 단계를 행하는 제어
  3.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되돌아 오게 하는 되먹임에 의하여 목표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
  4.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되돌아 오게 하는 피드백에 의하여 목표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
(정답률: 94%)
  • "미리 정해 놓은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단계를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는 시퀀스 제어를 설명한 것입니다. 이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차례대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순서에 따라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옥내 및 옥외 소화전 소화설비 배관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소화전 배관은 가능한한 굴곡배관이 아닌 직선배관으으로 시공한다.
  2. 배관을 매설할 경우에는 중량물 통과와 동결에 대한 문제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3.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온 상승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순환 배관을 하지 말아야 한다.
  4. 옥내 배관시에는 방습 및 보온에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88%)
  •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온 상승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순환 배관을 하지 말아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이 정지되어 배관 내부의 물이 수온에 의해 팽창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순환 배관을 통해 물을 계속 순환시켜 팽창을 억제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순환 배관을 통해 물을 계속 순환시켜 팽창을 억제해야 한다."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파이프 랙크상의 배관 배열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규모가 작은 프로세스 장치는 파이프 래크의 한쪽만 프로세스 기기측으로 한다.
  2. 파이프 루프(pipe loop)는 파이프 래크의 다른 배관보다 500-700㎜ 정도 높게 배관한다.
  3. 관 지름이 클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파이프 래크상의 중앙에 배열한다.
  4. 파이프 래크의 폭은 파이프에 보온, 보냉하는 경우는 보온, 보냉하는 두께를 가산하여 결정한다.
(정답률: 80%)
  • "관 지름이 클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파이프 래크상의 중앙에 배열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파이프 래크상의 배관 배열은 온도, 압력, 유속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단순히 관 지름이 클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중앙에 배열하는 것은 아닙니다. 관 지름이 클수록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앙에 배관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역시 다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밸브판이 밸브시트에 대해 직선적으로 미끄럼운동을 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전개시 저항이 거의 없고 고압에 견디는 구조이므로 간선 관로의 차단용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슬루스 밸브
  2. 글로브 밸브
  3. 앵글 밸브
  4. 다이어프램 밸브
(정답률: 79%)
  • 슬루스 밸브는 밸브판이 직선적으로 미끄럼운동을 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전개시 저항이 거의 없고 고압에 견디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간선 관로의 차단용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인 글로브 밸브, 앵글 밸브, 다이어프램 밸브는 밸브판이 곡선운동을 하거나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간선 관로의 차단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폴리부틸렌관(Poly Butylene Pipe ; PB)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돌 난방배관시 시공성이 우수하다.
  2. 부분 파손시 시공이 어렵다.
  3. 결빙에 의한 파손이 적다.
  4. 신축성이 좋으나 열에 약하다.
(정답률: 63%)
  • PB관은 부분 파손시 시공이 어렵다는 특징이 없습니다. PB관은 신축성이 좋으나 열에 약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B관은 부분 파손시에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이를 위해 PB관 전용 커팅기가 제공됩니다. 따라서 부분 파손시 시공이 어렵다는 특징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에터니트관이라고 불리는 석면 시멘트관에서 1종관의 사용 정수두로 적합한 것은?

  1. 45m 이하
  2. 75m 이하
  3. 100m 이하
  4. 125m 이하
(정답률: 62%)
  • 에터니트관은 석면 시멘트로 만들어진 파이프로, 내구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내부의 수질 오염도가 낮아 정수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에터니트관은 내부의 마모나 부식으로 인해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파이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파손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1종관의 사용 정수두로 적합한 길이는 75m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구리관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내식성이 좋아 담수에는 부식의 염려가 없다.
  2. 난방효과가 우수하며 스케일 생성에 의한 열효율의 저하가 적다.
  3. K, L, M형 중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은 K형이다.
  4. M 형은 주로 의료 배관용으로 만 쓰인다.
(정답률: 84%)
  • "M 형은 주로 의료 배관용으로 만 쓰인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M 형 구리관은 의료 배관뿐만 아니라 공업용, 건축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신축이음의 종류 중 일명 팩레스(packless) 신축이음쇠라고 부르며 스테인리스제 또는 인청동제로 제작된 것은?

  1. 루프형(loop type) 신축이음
  2. 슬리브형(sleeve type) 신축이음
  3. 스위블형(swivel type) 신축이음
  4. 벨로스형(bellows type) 신축이음
(정답률: 91%)
  • 팩레스 신축이음은 팩(Pack)이라는 밀봉재가 없는 신축이음으로, 벨로스형 신축이음은 팩 대신 벨로우(Bellows)라는 구조물을 사용하여 밀봉을 한다. 따라서 팩레스 신축이음이 아닌 벨로스형 신축이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PS관이라 한다.
  2. 메이커에 따라 PS 흄관이라고도 한다.
  3. 내압의 작용하는 경우에는 압력관이 적합하다.
  4. 호칭 지름은 100 ‾1000mm 까지 이다.
(정답률: 56%)
  • "호칭 지름은 100 ‾1000mm 까지 이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관은 일반적으로 PS관이라고도 하며, 메이커에 따라 PS 흄관이라고도 합니다. 내압의 작용하는 경우에는 압력관이 적합합니다. 호칭 지름은 100 ‾1000mm 까지이며, 이는 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인 파이럿식 감압밸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대 감압비는 3 : 1 정도이다.
  2. 1차측 적용압력은 10 kgf/cm2 이하이다.
  3. 2차측 조정압력은 0.35 -8 kgf/cm2 정도이다.
  4. 1차측 압력의 변동과 2차측 소비 유량변화에 관계없이 2차측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답률: 74%)
  • "최대 감압비는 3 : 1 정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적인 파이럿식 감압밸브의 최대 감압비는 2 : 1 정도입니다. 이유는 감압비가 높아질수록 밸브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통은 2 : 1 이하의 감압비를 유지하도록 설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은분이라고도 하며 방청효과가 크고, 내구성이 풍부한 도막을 형성하며, 400-500℃의 내열성을 지니고 있어 난방용방열기 등의 외면에 도장하는 것은?

  1. 광명단 도료
  2. 알루미늄 도료
  3. 산화철 도료
  4. 고농도 아연 도료
(정답률: 77%)
  • 문제에서 언급된 도막의 내구성과 내열성은 알루미늄 도료의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알루미늄 도료는 방청효과가 크기 때문에 난방용방열기 등 외면에 도장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루미늄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맞대기 용접 이음용 롱엘보(long elbow)의 곡률 반지름은 강관 호칭지름의 몇 배인가?

  1. 1배
  2. 1.2배
  3. 1.5배
  4. 2배
(정답률: 80%)
  • 맞대기 용접 이음용 롱엘보(long elbow)의 곡률 반지름은 강관 호칭지름의 1.5배이다. 이는 롱엘보가 강관의 방향을 바꾸는 곡률 부분에서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롱엘보는 강관의 방향을 바꾸는 부분에서 강관의 직선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곡률 부분에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곡률 반지름을 강관 호칭지름의 1.5배로 설정하여 유동성을 유지하고, 강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맞대기 용접 이음용 롱엘보의 곡률 반지름은 강관 호칭지름의 1.5배로 설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피복 재료 중 무기질 보온 재료가 아닌 것은?

  1. 펠트
  2. 석면
  3. 암면
  4. 규조토
(정답률: 72%)
  • 펠트는 양털이나 털을 밀어서 만든 천으로, 무기질이 아닌 유기물로 분류됩니다. 반면에 석면, 암면, 규조토는 모두 무기질 보온재료로 분류됩니다. 석면은 화산암에서 추출한 섬유로, 고온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며, 암면은 화강암에서 추출한 섬유로, 내화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습니다. 규조토는 점토질 미네랄로, 고온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며, 물을 흡수하여 보온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펠트는 무기질 보온재료가 아니라 유기물 보온재료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폴리에틸렌관의 용착슬리브 이음시 가열 지그를 이용한 용착(가열)온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온도는 약 몇 ℃ 정도인가?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률: 67%)
  • 폴리에틸렌은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소재로, 용착 시에는 높은 온도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로 용착하면 소재의 녹는 점을 초과하여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온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열 지그를 이용한 용착 시에는 지그와 파이프 사이에 슬리브를 끼워놓고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때 슬리브는 파이프와 지그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여 파이프를 녹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슬리브의 재질과 두께, 파이프의 크기와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한 가열 온도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용착 온도는 200℃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폴리에틸렌의 녹는 점인 약 130℃를 초과하지만, 슬리브와 지그의 열전달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온도로 설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적합한 온도는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중 1.2 의 유체를 4m3/min 유량으로 높이 12 m 까지 올리려면 펌프의 동력은 약 몇 kW 가 필요한가?

  1. 9.41
  2. 10.14
  3. 11.2
  4. 15.01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소켓 이음시 누수의 주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야안의 양이 너무 많고 납이 적은 경우
  2. 코킹 세트를 순서대로 사용한 경우
  3. 용해된 납물을 1회에 부어 넣은 경우
  4. 코킹이 끝난 후 콜타르를 납 표면에 칠한 경우
(정답률: 89%)
  • 소켓 이음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이음부에서 누설이 발생하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누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야안의 양이 너무 많고 납이 적은 경우"입니다. 야안은 납보다 녹는 점이 높아서 납이 녹기 전에 먼저 녹아 이음부에서 누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비율로 납과 야안을 혼합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코킹 세트를 순서대로 사용하지 않거나, 용해된 납물을 한 번에 부어 넣거나, 코킹이 끝난 후 콜타르를 납 표면에 칠하는 등의 잘못된 사용 방법도 누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관을 가열 굽힘할 때의 가열 온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500 ∼ 600℃
  2. 1200℃ 정도
  3. 800 ∼ 900℃
  4. 1350℃ 정도
(정답률: 79%)
  • 강관을 가열 굽힘할 때는 강의 특성과 굽힘 반경 등에 따라 적절한 가열 온도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강관의 가열 굽힘 온도는 800 ∼ 900℃ 정도가 적합합니다.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강의 플라스틱 변형이 용이하고, 굽힘 반경이 작아도 균일한 굽힘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온도 범위에서는 강의 미세조직이 안정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굽힘 후에도 강의 기계적 성질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강관을 가열 굽힘할 때는 800 ∼ 900℃ 정도의 온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관로를 흐르는 유체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마찰 손실은 관경에 비례한다.
  2. 유량은 관경의 2승에 비례한다.
  3. 마찰손실은 속도의 2승에 반비례한다.
  4. 유량은 속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6%)
  • 유량은 관경의 2승에 비례한다는 것은 파이프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기 때문에 유체의 유속이 감소하게 되어 유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관경이 작을수록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좁아져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어 유량이 증가하는 것과 반대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파이프의 관경이 크면 유량이 많아지고, 관경이 작으면 유량이 적어지는 것입니다. 마찰 손실은 관경에 비례한다는 것은 파이프의 관경이 작을수록 유체가 파이프 벽면과 마찰을 일으켜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마찰손실은 속도의 2승에 반비례한다는 것은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마찰 손실이 증가하지만,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속도가 두 배가 되면 마찰 손실은 네 배가 증가합니다. 유량은 속도에 반비례한다는 것은 유체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유체 입자가 충돌하는 횟수가 증가하여 유체 입자 간의 충돌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유체 입자 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폴리부틸렌관만의 이음 방법인 것은?

  1. 압축 이음 (compressed joint)
  2. 플라스턴 이음 (plastann joint)
  3. 에이콘 이음 (acorn joint)
  4. 몰코 이음 (molco joint)
(정답률: 94%)
  • 폴리부틸렌관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식성과 내부마찰저항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폴리부틸렌관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폴리부틸렌관만의 이음 방법은 "에이콘 이음 (acorn joint)"입니다.

    에이콘 이음은 폴리부틸렌관의 끝 부분을 원통형으로 가공한 후, 이를 다른 폴리부틸렌관의 내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삽입된 폴리부틸렌관의 내부에는 에이콘 모양의 부품이 있어서, 이 부품이 원통형으로 가공된 부분을 끌어당겨서 밀착시키는 구조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이음 방법에 비해 간단하고 빠르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 부위가 매끄러워서 누출이 적고 내구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 방법은 연결 부위가 뚜렷하지 않아서 미관상 좋습니다.

    따라서, 폴리부틸렌관을 연결하는 방법 중에서 폴리부틸렌관만의 이음 방법은 에이콘 이음이며,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며 내구성이 높아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치 램프에 사용할 휘발유를 저장한 곳에 비치하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모래
  2. 석회
  3. 시멘트
(정답률: 94%)
  • 토치 램프는 휘발성이 높은 연료인 휘발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이때 휘발유가 유출되거나 불이 붙어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비치할 수 있는 것은 모래입니다. 모래는 흡수력이 높아서 휘발유를 흡수하여 휘발유가 유출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또한 모래는 불이 붙어도 불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에도 안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석회나 시멘트는 흡수력이 낮아서 휘발유를 흡수하지 못하고 유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은 휘발유와 혼합되어 더 큰 화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토치 램프에 사용할 휘발유를 저장한 곳에 비치하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모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칼라 속에 2개의 고무링을 넣고 이음하는 방법으로 고무가스킷 이음이라고도하며 사용 압력 10.5 기압 이상이고, 굽힘성, 수밀성이 우수한 석면 시멘트관 접합 방법은?

  1. 기볼트 접합
  2. 슬리이브 접합
  3. 칼라 이음
  4. 심플렉스 이음
(정답률: 7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배관 시공시의 안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공 공구들의 정리 정돈을 철저히 한다.
  2. 작업 중 타인과의 잡담 및 장난을 금지한다.
  3. 용접 핼멧의 차광 유리의 차광도 번호가 높은 것일 수록 좋다.
  4. 물건을 고정시킬 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률: 95%)
  • "용접 핼멧의 차광 유리의 차광도 번호가 높은 것일 수록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차광 유리의 차광도 번호가 높을수록 빛을 많이 막아주기 때문에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는 번호가 높은 차광 유리를 사용해야 하지만, 밝은 작업 환경에서는 번호가 낮은 차광 유리를 사용해야 더욱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용접 핼멧의 차광 유리는 용접 작업 시 눈을 보호하고 눈부심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차광 유리의 번호는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그 외의 설명들은 모두 배관 시공 시 안전을 위해 지켜야 할 중요한 사항들입니다. 작업 환경을 철저히 정리하고 정돈하며, 타인과의 잡담 및 장난을 금지하고, 물건을 고정시킬 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안전 수칙들을 지키면서 배관 시공을 진행해야 안전하고 원활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직관을 이용하여 중심각이 90°인 3편 마이터를 만들려고 한다. 절단각은 얼마인가?

  1. 45°
  2. 22.5°
  3. 15°
  4. 30°
(정답률: 68%)
  • 중심각이 90°인 3편 마이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360°를 3등분하여 120°씩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이때, 각 마이터의 끝 부분은 서로 만나야 하므로, 인접한 두 마이터의 절단면이 만나는 각도는 360°를 6등분한 6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각 마이터의 절단각은 60°의 절반인 30°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중심각이 90°인 마이터를 만들어야 하므로, 인접한 두 마이터의 절단면이 만나는 각도는 360°를 4등분한 9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각 마이터의 절단각은 90°의 절반인 45°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22.5°"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각 마이터의 절단각을 45°에서 반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렇게 하면, 인접한 두 마이터의 절단면이 만나는 각도가 360°를 8등분한 45°가 되므로, 중심각이 90°인 3편 마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배관내 유체의 마찰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관의 길이에 정비례한다.
  2. 마찰손실계수에 정비례한다.
  3. 관의 직경에 반비례한다.
  4. 관내 수압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7%)
  • 배관내 유체의 마찰손실은 유체가 배관 내부를 흐르면서 발생하는 손실로, 유체의 저항과 관련된 현상입니다. 이러한 마찰손실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첫째, 배관의 길이에 정비례합니다. 배관이 길어질수록 유체가 흐르는 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에 마찰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둘째, 마찰손실계수에 정비례합니다. 마찰손실계수는 배관 내부의 표면마찰계수, 유체의 속도, 유체의 밀도, 배관 내부의 상대적인 거칠기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이 변화하면 마찰손실계수도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마찰손실도 증가하게 됩니다.

    셋째, 관의 직경에 반비례합니다. 관의 직경이 작을수록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마찰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관의 직경이 작을수록 마찰손실이 증가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관내 수압에 반비례합니다. 수압이 높을수록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마찰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압이 높을수록 마찰손실이 적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절대 온도 303 K 는 화씨 온도로 몇도 인가?

  1. 30 ℉
  2. 68 ℉
  3. 73 ℉
  4. 86 ℉
(정답률: 47%)
  • 절대 온도란 절대적인 온도 척도로서, 섭씨 온도에서 0℃는 273K이고, 1℃는 274K이다. 따라서 303K는 섭씨 온도로 30℃이 된다.

    화씨 온도와 섭씨 온도는 서로 다른 척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변환 공식이 필요하다. 화씨 온도는 섭씨 온도에 1.8을 곱하고 32를 더하는 공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30℃을 화씨 온도로 변환하면 30 × 1.8 + 32 = 86℉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열 굽힘에 사용하는 모래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모래 입자가 클수록 좋다.
  2. 입자 크기가 일정해야 한다.
  3. 습기가 없어야 한다.
  4. 점성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8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용접봉에 (-)극을, 모재에 (+)극을 연결하는 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역극성
  2. 정극성
  3. 반극성
  4. 교류
(정답률: 84%)
  • 용접봉과 모재를 연결할 때, 용접봉에 (-)극을, 모재에 (+)극을 연결하는 극성을 "정극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용접 작업에서 전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용접봉과 모재의 극성이 일치하면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용접이 잘 이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에서는 정극성을 지켜서 용접봉과 모재를 연결해야 합니다. 역극성이나 반극성으로 연결하면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교류는 용접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전류의 방향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용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에서는 정극성을 지켜서 용접봉과 모재를 연결해야 안정적인 용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내용적 40ℓ의 용기에 140 kgf/cm2 의 산소가 들어 있을때 B 형 350번 팁으로 혼합비 1:1 의 표준 불꽃을 사용한다면 작업 시간은 얼마인가?

  1. 30 시간
  2. 25 시간
  3. 20 시간
  4. 16 시간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TIG 용접 직류 정극성(DCSP)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가스이온은 전극에서 모재쪽으로 흐른다.
  2. 역극성보다 용입이 깊어진다.
  3. 전극에서 모재쪽으로 전자가 흐른다.
  4. 비드폭이 좁아진다.
(정답률: 47%)
  • "가스이온은 전극에서 모재쪽으로 흐른다."라는 설명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TIG 용접 직류 정극성(DCSP)에서는 전극에서 모재쪽으로 가스이온이 이동하면서 아크가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이에 따라 역극성보다 용입이 깊어지고, 전극에서 모재쪽으로 전자가 흐르며, 비드폭이 좁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잘못된 설명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탄산가스 아크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풍속 2m/sec 이상의 바람에도 방풍대책이 필요 없다.
  2. 용접 중 수소 발생이 적어 기계적 성질이 양호하다.
  3. 아크의 집중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용입이 깊다.
  4. 심선의 직경에 대하여 전류밀도다 높기 때문에 용착속도가 크다.
(정답률: 86%)
  • 탄산가스 아크용접의 장점 중 "풍속 2m/sec 이상의 바람에도 방풍대책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탄산가스 아크용접에서도 바람이 강할 경우 용접부위 주변에 방풍대책이 필요합니다. 이는 용접부위 주변의 공기가 바람에 의해 이동하면서 용접부위에 불필요한 기체나 먼지 등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산가스 아크용접을 할 때에도 바람에 대한 방풍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맞대기이음 및 필릿용접이음 등에서 비드(Bead) 표면과 모재와의 경계부에 발생되는 균열의 형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토 균열(Toe Crack)
  2. 루트 균열(Root Crack)
  3. 힐 균열(Heel Crack)
  4. 비드 밑 균열(Under Bead Crack)
(정답률: 63%)
  • 토 균열(Toe Crack)은 맞대기이음 및 필릿용접이음 등에서 비드(Bead) 표면과 모재와의 경계부에 발생되는 균열의 형태로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응력과 수축응력이 모재의 끝단인 토 부분에 집중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토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냉각이 느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토 균열은 용접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균열이 발생한 부분에서는 불필요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과정에서는 토 부분에 대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며, 용접 후에는 균열 검사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 조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땜납은 사용하는 납재의 융점에 의해 연납과 경납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인 구분 용융온도(℃)는?

  1. 250
  2. 350
  3. 450
  4. 550
(정답률: 48%)
  • 땜납은 금속을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납과 다른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땜납은 사용하는 납재의 융점에 따라 연납과 경납으로 구분됩니다. 연납은 납재의 융점이 300℃ 이하인 경우를 말하며, 경납은 납재의 융점이 300℃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땜납의 구분 용융온도는 450℃입니다. 이는 땜납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금속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땜납은 금속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높은 온도에서 녹아서 사용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녹는 연납은 사용하기 어렵고, 높은 온도에서 녹는 경납은 금속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땜납의 구분 용융온도는 적절한 온도로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땜납의 구분 용융온도가 450℃인 이유는, 땜납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금속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땜납이 금속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온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 중 가이드(guide)는 어느 것인가?

(정답률: 9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그림이 다른 그림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 그림은 먼저 빨간색 화살표로 시작점과 끝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초록색 선으로 이어져 있는데, 이는 가이드가 따라야 할 경로를 나타냅니다. 또한, 가이드가 지켜야 할 교통 신호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가이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보기와 같은 배관 라인 인덱스에서 관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는?

  1. 작업용 공기
  2. 프로세스 유체
  3. 계기용 공기
  4. 연료 가스
(정답률: 82%)
  • 위의 배관 라인 인덱스에서 "작업용 공기"는 "W.AIR"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작업용 공기는 공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공기로, 공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작업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공기 드라이어, 공기 블로워, 공기 드릴, 공기 절단기 등 다양한 작업에 사용됩니다. 반면에 "프로세스 유체"는 "P.FLUID"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다양한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체를 의미합니다. "계기용 공기"는 "I.AIR"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계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공기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연료 가스"는 "F.GAS"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연료로 사용되는 가스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의 배관 라인 인덱스에서 관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는 "작업용 공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도시 기호 중 접속된 계기가 온도계인 것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92%)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온도계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유는 온도계는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전기, 압력, 유량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들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반적으로 입체도와 같은 등각 투영법으로 제도하며 스풀도(spool drawing)라고도 하는 것은?

  1. 계통도 (flow diagram)
  2. 배치도 (plot plan)
  3. 부분 조립도 (isometrical piping drawing)
  4. U.F.D (Utility Flow Diagram)
(정답률: 80%)
  • 스풀도는 일반적으로 파이프, 밸브, 피팅 등의 부품들을 3차원으로 표현하여 제도하는 것이다. 이때 등각 투영법을 사용하여 입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부분 조립도라고도 불린다. 부분 조립도는 파이프 라인의 부분적인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파이프 라인의 설계 및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반면에 계통도는 공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것이며, 배치도는 공장 내 설비 및 건물의 배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U.F.D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전기, 수도, 증기 등)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달리 부분 조립도는 파이프 라인의 부분적인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파이프 라인의 설계 및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정답이 부분 조립도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관 도시기호 중 밸브가 닫혀있는 상태를 표시한 것이 아닌 것은?

(정답률: 72%)
  • 정답은 ""입니다. 이는 밸브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기 때문입니다. ""은 밸브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은 밸브가 제어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는 밸브가 누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기와 같은 입체도의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9%)
  • 입체도의 평면도를 그리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입체도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시점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입체도가 정육면체이므로, 정육면체의 모든 면을 볼 수 있는 시점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육면체의 대각선 방향에서 바라보는 시점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시점에서는 정육면체의 모든 면이 보이므로, 입체도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배관 도면에서 라인 인덱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프로세스 인덱스만을 표시한다.
  2. 제작에 필요한 제작 공정도를 의미한다.
  3. 배관계통과 운전조작에 필요한 상세작업 계통도이다.
  4. 배관에서 장치와 관에 번호를 부여, 공사와 관리를 편리하게 한 것이다.
(정답률: 76%)
  • 배관 도면에서 라인 인덱스는 배관 시스템에서 장치와 관에 번호를 부여하여 공사와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설물 운영 및 유지보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라인 인덱스를 통해 각 장치와 관의 위치와 기능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에도 빠르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라인 인덱스는 배관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과 유지보수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기와 같은 90°, 60°, 30°로 이루어진 직각 삼각형 모양의 앵글 브래킷의 C 부 길이는 약 몇 mm 인가?

  1. 1800
  2. 1040
  3. 1200
  4. 1800
(정답률: 88%)
  • 앵글 브래킷의 C 부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 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두 직각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것입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c² = a² + b²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a와 b의 길이가 주어져 있으므로, c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합니다.

    c² = 30² + 60²
    c² = 900 + 3600
    c² = 4500
    c ≈ 67.08

    하지만 문제에서는 c의 길이를 m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바꾸어야 합니다. 따라서 앵글 브래킷의 C 부 길이는 약 67mm가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67이라는 숫자가 없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보기에서는 모두 4자리의 숫자가 주어져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인 mm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c의 길이를 mm 단위로 구해야 합니다. 위에서 구한 67mm를 100으로 나누면 0.67cm가 됩니다. 이를 다시 10으로 곱하면 6.7mm가 됩니다.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4자리의 숫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숫자인 1200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앵글 브래킷의 C 부 길이는 1200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관의 높이 표시 기호 중 관 윗면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1. BOP·EL
  2. EL
  3. TOP·EL
  4. FL·EL
(정답률: 84%)
  • 관의 높이 표시 기호 중 관 윗면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TOP·EL"입니다. "BOP·EL"은 관의 하단부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EL"은 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높이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FL·EL"은 관의 윗면에서부터 물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TOP·EL"은 관의 윗면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기호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호는 건축물, 도로, 다리 등의 구조물에서 사용되며, 설계자나 시공자가 정확한 높이를 파악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이 기호는 관의 윗면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므로, 물의 높이나 수위를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배관 도면에서 부속에 ECC.RED 로 표시된 부분이 뜻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신축이음
  2. 열교환기
  3. 동심레듀셔
  4. 편심레듀셔
(정답률: 66%)
  • ECC.RED는 배관 도면에서 편심레듀셔를 나타내는 표기입니다. 편심레듀셔는 큰 직경의 파이프를 작은 직경의 파이프로 연결하는 부속으로,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른 부분에서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이때, 편심레듀셔는 파이프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형태로 제작되어 파이프의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연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편심레듀셔는 배관 시스템에서 유체의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직경을 조절하는 중요한 부속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파레토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부적합품(불량), 클레임 등의 손실금액이나 퍼센트를 그 원인별, 상황별로 취해 그림의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비중이 작은 항목부터 큰 항목 순서로 나열한 그림이다.
  2. 현재의 중요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발견할 수 있으므로 관리방침을 수립할 수 있다.
  3. 도수분포의 응용수법으로 중요한 문제점을 찾아내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4. 파레토그림에서 나타난 1∼2개 부적합품(불량) 항목만 없애면 부적합품(불량)률은 크게 감소된다.
(정답률: 44%)
  • "파레토그림에서 나타난 1∼2개 부적합품(불량) 항목만 없애면 부적합품(불량)률은 크게 감소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이는 파레토그림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으로, 파레토그림은 문제점을 발견하고 관리방침을 수립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따라서, 파레토그림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파레토그림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nP관리도에서 시료군마다 n=100 이고, 시료군의 수가 k=20이며, ΣnP = 77이다. 이때 nP관리도의 관리상한선 UCL을 구하면 얼마인가?

  1. UCL = 8.94
  2. UCL = 3.85
  3. UCL = 5.77
  4. UCL = 9.62
(정답률: 40%)
  • UCL = 9.62이 정답이다. nP관리도에서 UC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UCL = p̂ + 3√(p̂(1-p̂)/n), 여기서 p̂는 모든 시료군에서 발생한 결함 비율의 평균이다. 따라서 ΣnP를 k로 나눈 값인 3.85을 n으로 나눈 결함 비율의 평균 p̂은 0.0385이다. 이를 대입하면 UCL = 0.0385 + 3√(0.0385(1-0.0385)/100) = 9.62이다. 따라서 UCL = 9.62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요예측 방법의 하나인 시계열분석에서 시계열적 변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추세변동
  2. 순환변동
  3. 계절변동
  4. 판매변동
(정답률: 61%)
  • 시계열분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시계열적 변동을 분석하여 미래의 값을 예측합니다. 이때, 시계열적 변동은 추세변동, 순환변동, 계절변동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변동입니다.

    하지만 판매변동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변동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변동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이 인기가 있어서 판매량이 급증하는 경우나, 경쟁 업체의 영향으로 판매량이 감소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판매변동은 시계열적 변동과는 달리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계열분석에서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시계열분석에서 시계열적 변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판매변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내용은 설비보전조직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조직의 형태인가?

  1. 집중보전
  2. 지역보전
  3. 부문보전
  4. 절충보전
(정답률: 68%)
  • 설비보전조직은 설비의 안전하고 원활한 운영을 위해 유지보수 및 보전을 담당하는 조직입니다. 이 조직은 설비의 종류나 규모, 운영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부문보전"은 설비보전조직의 한 형태입니다. 이는 설비를 사용하는 부서나 공정별로 보전담당자를 배치하여 보전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설비의 특성에 따라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 설비의 경우 전기기술에 능숙한 보전담당자가 필요하고, 기계 설비의 경우 기계공학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전문성을 갖춘 보전담당자들이 부서나 공정별로 배치되어 보전작업을 수행하면, 보전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부문보전은 설비의 고장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전담당자들이 해당 부서나 공정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고장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비보전조직에서 부문보전 방식을 채택하는 것은 설비의 안전한 운영과 원활한 생산을 위해 중요한 결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원재료가 제품화 되어가는 과정 즉 가공, 검사, 운반, 지연, 저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검토를 행하는 것은?

  1. 사무공정 분석표
  2. 작업자공정 분석표
  3. 제품공정 분석표
  4. 연합작업 분석표
(정답률: 74%)
  • 제품공정 분석표는 원재료가 제품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가공, 검사, 운반, 지연, 저장 등의 모든 공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점을 도출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공정 분석표는 제조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사무공정 분석표, 작업자공정 분석표, 연합작업 분석표는 각각 사무, 작업자, 연합작업에 대한 분석을 위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검사를 판정의 대상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관리 샘플링검사
  2. 로트별 샘플링검사
  3. 전수검사
  4. 출하검사
(정답률: 82%)
  • 출하검사는 제품이 생산되고 나서 최종적으로 제품이 출하되기 전에 수행하는 검사로, 제품의 완성도와 품질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검사를 판정의 대상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입니다. 관리 샘플링검사는 생산 과정에서 일정한 주기로 샘플을 추출하여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검사입니다. 로트별 샘플링검사는 제품을 생산할 때마다 일정량의 제품을 샘플링하여 해당 로트의 품질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전수검사는 모든 제품을 검사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