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28)

배관기능장
(2010-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옥내 소화전에 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방수압력은 노즐의 끝을 기준으로 1.7kg/cm2 이상 3kg/cm2 이하로 한다.
  2. 입상관의 내경은 50mm이상으로 한다.
  3. 소화전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1.5m 이내의 높이에 설치한다.
  4. 소화펌프 가까이에 게이트밸브와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정답률: 65%)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방수압력은 노즐의 끝을 기준으로 1.7kg/cm2 이상 3kg/cm2 이하로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 소화액이 적절한 분사 거리와 압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용접 작업에 대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산소병은 40℃ 이하 온도에서 보관한다.
  2. 가스집중 장치는 화기를 사용하는 설비에서 5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한다.
  3. 산소병은 충전 후 12시간 뒤에 사용한다.
  4. 아세틸렌 용기의 취급시 동결부분은 35℃ 이하의 온수로 녹여야 한다.
(정답률: 89%)
  • "산소병은 충전 후 12시간 뒤에 사용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안전사항이 올바르다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장 미세한 먼지를 집진할 수 있으므로 병원의 수술실 및 제약 공장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집진법은?

  1. 전기 집진법
  2. 원심 분리법
  3. 여과 집진법
  4. 중력 분리법
(정답률: 87%)
  • 전기 집진법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미세한 먼지를 집진하는 방법입니다. 먼지가 전기장에 노출되면 전기적으로 충전되어 전극판에 붙게 되고, 이후 전극판에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미세한 먼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병원의 수술실이나 제약 공장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오물 정화조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정화조의 순서는 부패조, 예비 여과조, 산화조, 소독조의 구조로 한다.
  2. 정화조의 바닥, 벽, 천정, 칸막이 벽 등은 방수재료로 시공해야 한다.
  3. 부패조, 예비 여과조, 산화조에는 내경이 40cm 이상의 맨홀을 설치한다.
  4. 부패조는 침전 분리에 적합한 구조로 하고 오수를 담고 있는 깊이는 2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70%)
  • 오물 정화조의 구비조건 중에서 부패조는 침전 분리에 적합한 구조로 하고 오수를 담고 있는 깊이는 2m 이상으로 한다는 것이 아닌 것은 올바른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오물이 침전하여 분리되는 과정에서 오수가 충분한 시간 동안 정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물 정화조의 부패조는 오수를 담고 있는 깊이가 2m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오수의 정착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스배관에서 가스공급 시설중 하나인 정압기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제조공장과 공급지역이 비교적 가깝고 공급면적이 좁아 저압의 가스를 보낼 때 사용
  2. 제조 공장에서 생산, 정제된 가스를 저장하여 가스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고 제조량 및 소요량을 조절하는 것
  3. 사용량이 서로 다른 시간별 또는 특정 시기에 소요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
  4. 원거리 지역에 대량의 가스를 수송하기 위해 공압 압축기로 가스를 압축하는 역할
(정답률: 87%)
  • 정압기는 가스공급 시설 중 사용량이 서로 다른 시간별 또는 특정 시기에 소요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가스를 사용하는 곳마다 필요한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해주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가스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사용량이 서로 다른 시간별 또는 특정 시기에 소요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수공구 사용에 대한 안전 유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사용 전에 모든 부분에 기름을 칠하고 사용할 것
  2. 결함이 있는 것은 절대로 사용하지 말 것
  3. 공구의 성능을 충분히 알고 사용할 것
  4.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점검하고 고장난 부분은 즉시 수리의뢰할 것
(정답률: 95%)
  • "사용 전에 모든 부분에 기름을 칠하고 사용할 것"은 잘못된 안전 유의사항입니다. 이는 오히려 공구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공구 제조사에서는 각 부분에 필요한 윤활유나 오일 등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를 따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구의 성능을 충분히 알고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점검하고 고장난 부분은 즉시 수리의뢰하는 것이 안전한 사용 방법입니다. 결함이 있는 공구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조 시스템에서 차압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는 곳은?

  1. 송풍기 출구의 덕트
  2. A. H. U의 증기코일 입구
  3. A. H. U의 냉각코일 입구
  4. 덕트 내부의 에어 필터
(정답률: 77%)
  • 차압 검출 스위치는 공조 시스템에서 덕트 내부의 에어 필터에 설치됩니다. 이는 덕트 내부의 에어 필터가 차압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덕트 내부의 에어 필터는 공기를 정화하고 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필터가 막히거나 오염되면 공기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차압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압 검출 스위치는 덕트 내부의 에어 필터를 모니터링하여 차압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동제어의 피드백 제어계에서 조절부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목표치를 기준입력신호로 조절해준다.
  2. 제어동작 신호를 받아 조작량을 조절한다.
  3. 동작신호에 따라 2위치, 비례 등 이에 대응하는 연산출력을 만드는 곳으로 조작신호를 출력한다.
  4. 조작량 만큼의 제어결과 즉 제어량을 발생한다.
(정답률: 58%)
  • 조절부는 입력된 동작신호에 따라 2위치, 비례 등 이에 대응하는 연산출력을 만들어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곳입니다. 이는 제어계에서 피드백을 받아 목표치에 근접하도록 제어량을 조절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작신호에 따라 2위치, 비례 등 이에 대응하는 연산출력을 만드는 곳으로 조작신호를 출력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개별식 급탕법의 장점을 중앙식 급탕법과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탕비장치가 크므로 열효율이 좋다.
  2. 대규모 급탕에는 경제적이다.
  3. 배관 중의 열손실이 적다.
  4. 열원으로 값싼 연료를 쓰기가 쉽다.
(정답률: 70%)
  • 개별식 급탕법은 각 가정이나 건물마다 탕비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중앙식 급탕법에 비해 배관이 짧아 열손실이 적습니다. 따라서 "배관 중의 열손실이 적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배관공작용 공구에서 화상의 위험이 있는 것은?

  1. 봄볼
  2. 드레서
  3. 토치램프
  4. 맬릿
(정답률: 94%)
  • 토치램프는 불꽃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공구로, 불꽃이 직접적으로 인체에 닿을 경우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토치램프는 배관공작에서 화상의 위험이 있는 공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퀀스제어(sequence control)란 무엇인가?

  1. 결과가 원인이 되어 진행하는 제어로서 출력측의 신호를 입력측으로 되돌리는 제어이다.
  2.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제어이다.
  3. 목표치가 다른 양과 일정한 비율관계에서 변화되는 제어이다.
  4. 전압이나 주파수 전동기의 회전수 등을 제어량으로 하고 이것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어이다.
(정답률: 93%)
  • 시퀀스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제어이다. 이는 제어의 각 단계가 이전 단계의 결과에 의존하기 때문에 순서가 중요하며, 이전 단계의 결과가 다음 단계의 입력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퀀스제어는 순서를 지켜가며 제어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동화 시스템에서 공정처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제한된 공간내에서 기계구조에 의해 일을 하는 부분으로, 인간의 손, 발의 기능을 하는 자동화의 5대 요소인 것은?

  1. 센서(sensor)
  2. 네트워크(network)
  3. 액추에이터(actuator)
  4. 소프트웨어(software)
(정답률: 79%)
  • 액추에이터는 자동화 시스템에서 공정처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제한된 공간내에서 기계구조에 의해 일을 하는 부분으로, 인간의 손, 발의 기능을 하는 요소입니다. 즉,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바탕으로 액추에이터가 움직여서 실제로 일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동화의 5대 요소 중에서 액추에이터가 인간의 손, 발의 기능을 대신하는 부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50A관의 내경은 155mm이다. 이 관을 이용하여 매초 1.5m의 속도로 물을 수송하고 있다. 2시간 동안 수송된 물의 양은 약 몇 m3 정도인가?

  1. 102
  2. 136
  3. 155
  4. 204
(정답률: 60%)
  • 150A관의 내경이 155mm이므로 반지름은 77.5mm이다. 이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0775m이 된다.

    수송 속도는 매초 1.5m이므로 1시간(3600초) 동안 수송되는 거리는 1.5 x 3600 = 5400m이 된다.

    따라서 2시간 동안 수송되는 거리는 5400 x 2 = 10800m이 된다.

    150A관의 단면적은 파이 x 반지름의 제곱 = 3.14 x 0.0775 x 0.0775 = 0.0188m2이다.

    따라서 2시간 동안 수송된 물의 양은 10800 x 0.0188 = 203.04m3이 된다.

    정답은 "204"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암모니아 가스의 누설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무엇을 쓰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비눗물
  2. 알콜
  3. 냉각수
  4. 페놀프타렌
(정답률: 87%)
  • 암모니아 가스는 특유의 냄새가 있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띠게 됩니다. 따라서 누설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해야 합니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물질은 페놀프타렌입니다. 페놀프타렌은 암모니아 가스와 반응하여 물질의 색이 변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누설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페놀프타렌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아니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모니아 가스의 누설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페놀프타렌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느 방의 전난방부하가 1.16kW일 때 복사 난방을 하려면 DN15인 코일을 약 몇 m나 시설해야 하는가? (단, DN15인 코일의 m당 표면적은 0.047m2이고, 관 1m2당 방열량은 0.26kW/m2이라고 한다.)

  1. 85
  2. 95
  3. 100
  4. 110
(정답률: 65%)
  • 전난방부하가 1.16kW이므로, 복사 난방으로 인한 방열량도 1.16kW여야 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코일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일의 표면적 = 방열량 ÷ (관 1m2당 방열량 × 코일의 m당 표면적)
    = 1.16kW ÷ (0.26kW/m2 × 0.047m2/m)
    ≈ 95m

    따라서, DN15인 코일을 약 95m 시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일러의 과열로 인한 파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화염이 국부적으로 집중 연소될 경우
  2. 보일러수에 유지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3. 스케일 부착으로 열 전도율이 저하될 경우
  4. 물 순환이 양호하여 증기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정답률: 88%)
  • 물 순환이 양호하여 증기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는 보일러 내부의 물 순환에 문제가 없으므로 과열로 인한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보일러의 과열로 인한 파열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샌드 블라스트 세정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기 압송장치가 필요하다.
  2. 모래를 분사하여 스케일을 제거한다.
  3. 100A 이상의 대구경관이나 탱크 등에 사용한다.
  4. 공기, 질소, 물 등의 압력과 화학 세정액을 병행 사용한다.
(정답률: 85%)
  • "모래를 분사하여 스케일을 제거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샌드 블라스트는 모래 대신 다양한 종류의 세정재(예: 금속 샷, 유리 비드, 플라스틱 비드 등)를 사용하여 스케일, 부식물, 오일 등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공기, 질소, 물 등의 압력과 화학 세정액을 병행 사용하는 이유는 세정재만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더 깊은 부분까지 청소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배관 설비의 진공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밀시험에서 누설 개소가 발견되지 않을 때 하는 시험이다.
  2. 주위 온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이 없는 시험이다.
  3. 관 속을 진공으로 만든 후 일정 시간 후의 진공 강하 상태를 검사한다.
  4. 진공 펌프나 추기 회수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한다.
(정답률: 89%)
  • "주위 온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이 없는 시험이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진공 시험은 기계적인 누설을 검사하기 위한 시험이기 때문에, 주위 온도의 변화는 누설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위 온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이 없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송 배관의 부속설비 중 공기 수송기에서 분말이나 알갱이를 수송관 쪽으로 공급하는 장치는?

  1. 송급기
  2. 분리기
  3. 수송관
  4. 동력원
(정답률: 84%)
  • 송급기는 분말이나 알갱이를 수송관 쪽으로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분리기나 동력원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며, 수송관과 함께 작동하여 원활한 공급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송급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스가 누설될 경우 초기에 발견하여 증폭 및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누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는?

  1. 가스 저장설비
  2. 가스 공급설비
  3. 부취설비
  4. 부스터(booster)설비
(정답률: 81%)
  • 부취설비는 가스 누설을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고,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폭발사고를 예방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가스 누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는 부취설비입니다. 가스 저장설비는 가스를 저장하는 설비, 가스 공급설비는 가스를 공급하는 설비, 부스터(booster)설비는 가스 압력을 증폭시켜주는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피복 재료 중 무기질 보온 재료가 아닌 것은?

  1. 기포성 수지
  2. 석면
  3. 암면
  4. 규조토
(정답률: 82%)
  • 기포성 수지는 무기질이 아닌 유기화합물로, 보온성이 없습니다. 반면에 석면, 암면, 규조토는 모두 무기질 보온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강관의 종류와 KS 규격기호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1. 수도용 아연도금 강관-SPPW
  2.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SPPH
  3. 압력 배관용 탄소강관-SPPS
  4.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STHS
(정답률: 66%)
  • 정답은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SPPH"입니다.

    KS 규격기호에서 "S"는 강관을 나타내고, 뒤에 오는 알파벳은 강관의 용도와 특성을 나타냅니다. "P"는 압력용, "T"는 열처리용, "H"는 고압용, "S"는 고온용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SPPH"는 KS 규격기호에서 "H"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압용 강관이지만, 문제에서는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STHS"가 고온용 강관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액면 측정 장치가 아닌 것은?

  1. 전자유량계
  2. 초음파 액면계
  3. 방사선 액면계
  4. 압력식 액면계
(정답률: 63%)
  • 전자유량계는 액면 측정 장치가 아닙니다. 전자유량계는 전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전하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액면의 높이나 깊이를 측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초음파 액면계, 방사선 액면계, 압력식 액면계는 모두 액면의 높이나 깊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스위블형 이음쇠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회전이음, 지웰이음 등으로도 불린다.
  2. 신축량이 큰 배관에서도 나사부가 헐거워지지 않는다.
  3. 설치비가 비싸 쉽게 조립해서 만들기 힘들다.
  4. 굴곡부에서 압력강하가 없다.
(정답률: 74%)
  • 스위블형 이음쇠는 회전이 가능한 이음쇠로, 회전이음, 지웰이음 등으로도 불린다. 이는 이음쇠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축량이 큰 배관에서도 나사부가 헐거워지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굴곡부에서 압력강하가 없어 유럽 등에서는 안전성이 높아 인기가 있다. 다만, 설치비가 비싸고 쉽게 조립해서 만들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양질의 선철에 강을 배합하여 원심력을 이용하여 주조한 후, 노속에서 730℃ 이상 고르게 가열하여 풀림처리한 주철관은?

  1. 수도용 원심력 사형주철관
  2. 수도용 원심력 금형주철관
  3. 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
  4. 수도용 입형주철관
(정답률: 85%)
  • 주어진 설명에서 언급된 주요 특징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주조"와 "풀림처리"입니다. 이는 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의 제조 방법과 일치합니다. 덕타일 주철관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주조한 후, 풀림처리하여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내구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어방식에 따라 감압밸브 분류시 자력식 밸브는?

  1. 파일럿 작동식과 직동식 밸브
  2. 피스톤식과 다이어프램식 밸브
  3. 리프트식과 스윙식 밸브
  4. 불식과 해머리스식 밸브
(정답률: 63%)
  • 자력식 밸브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밸브를 제어하는 방식이며, 파일럿 작동식과 직동식 밸브는 이러한 자력식 밸브 중에서도 파일럿 밸브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파일럿 작동식 밸브는 작은 파일럿 밸브를 이용하여 큰 밸브를 제어하는 방식이며, 직동식 밸브는 파일럿 밸브 없이 직접적으로 밸브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자력식 밸브 중에서도 파일럿 작동식과 직동식 밸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배관재료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연관 : 초산, 농염산 등에 내식성이 뛰어나다.
  2. 동관 : 콘크리트 속에서 잘 부식되지 않는다.
  3. 주철관 : 강관에 비해 내구성, 내식성이 풍부하다.
  4. 흉관 :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관이다.
(정답률: 74%)
  • 흉관은 배관재료가 아니라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관이므로 부적당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증기의 공급 압력과 응축수의 압력차가 0.35kgf/cm2이상일 때 한하여 유닛 히터나 가열코일 등에 사용하는 특수트랩은?

  1. 박스 트랩
  2. 플러시 트랩
  3. 버킷 트랩
  4. 리프트 트랩
(정답률: 60%)
  • 증기의 공급 압력과 응축수의 압력차가 0.35kgf/cm2이상일 때 사용하는 특수트랩은 플러시 트랩입니다. 이는 플러시 트랩이 고속으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플러시 트랩은 증기가 유닛 히터나 가열코일 등을 통과할 때, 증기의 속도에 의해 트랩 내부의 밸브가 열리고 응축수가 빠르게 배출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플러시 트랩은 고압 증기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450℃까지의 고온에 견디며 증기, 온수, 고온의 기름 배관에 가장 적합한 패킹은?

  1. 합성수지 패킹
  2. 금속 패킹
  3. 석면 개스킷
  4. 모울드 패킹
(정답률: 59%)
  • 고온에 견딜 수 있는 패킹은 열에 강한 소재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석면은 고온에 강한 소재로 널리 사용됩니다. 석면 개스킷은 석면을 가공하여 만든 패킹으로, 고온의 기름, 증기, 온수 등 다양한 유체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석면 개스킷은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학공장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450℃까지의 고온에 견디며 증기, 온수, 고온의 기름 배관에 가장 적합한 패킹은 석면 개스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열팽창에 의한 배관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지지 장치는?

  1. 브레이스(brace)
  2. 파이프 슈(pipe shoe)
  3. 행거(hanger)
  4. 레스트레인트(restraint)
(정답률: 59%)
  • 열팽창에 의해 배관이 이동하면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을 고정시키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열팽창에 의한 이동을 구속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레스트레인트(restraint)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스트레인트(restrai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내식, 내열 및 고온용 관으로서 특히 내식성을 필요로 하는 화학 공업 배관에 가장 적합한 강관은?

  1. 배관용 아크 용접 탄소강 강관
  2. 고압 배관용 탄소강 강관
  3.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4. 알루미늄 도금 강관
(정답률: 68%)
  • 화학 공업 배관은 내식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강관의 내식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또한 내열성과 고온에 강한 성질도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이 가장 적합합니다. 스테인리스 강관은 내식성이 뛰어나며, 내열성과 고온에 강한 성질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관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화학 공업 배관에 적합한 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경질염화비닐관과 연결이 가능하지 않는 이중관은?

  1. 동관
  2. 연관
  3. 강관
  4. 콘크리트관
(정답률: 86%)
  • 경질염화비닐관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부속품이 필요한데, 이중관 중에서는 콘크리트관만이 이러한 부속품 없이도 직접 연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관은 경질염화비닐관과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이중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관 이음재료를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나사조임형 강관제 이음재료에는 소켓, 니플, 30° 벤드 등이 있다.
  2. 고온, 고압에 사용되는 강제 용접이음쇠는 삽입 용접식만 사용된다.
  3. 플랜지 이음 중 플랜지면의 형상에 따라 가장 압력이 낮은 것은 전면 시이트이다.
  4. 유체의 성질은 플랜지 선택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률: 55%)
  • 정답은 "플랜지 이음 중 플랜지면의 형상에 따라 가장 압력이 낮은 것은 전면 시이트이다."입니다.

    이유는 전면 시이트는 플랜지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워서 밀봉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이 가장 낮게 발생합니다. 반면에 다른 플랜지면들은 형상이 복잡하고 불규칙하여 밀봉이 잘 되지 않아 압력이 높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며 전기 절연성이 가장 큰 관은?

  1. 동관
  2. 연관
  3. 염화 비닐관
  4. 알루미늄관
(정답률: 60%)
  • 염화 비닐관은 내산성과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며, 전기 절연성이 가장 큰 관입니다. 이는 염화 비닐관이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전기적으로 절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염화 비닐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전기 및 통신 산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연관 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관을 접합할 때 와이어 플라스턴을 사용하나 턴핀은 사용하지 않는다.
  2. 플라스턴 이음의 종류에는 직선 이음, 맞대기 이음, 맨더린 이음 등이 있다.
  3. 플라스턴의 용융온도는 232℃이다.
  4. 플라스턴은 주석과 납의 합금이다.
(정답률: 70%)
  • "연관을 접합할 때 와이어 플라스턴을 사용하나 턴핀은 사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증기 난방에 사용되는 증기의 건조도가 0인 것은?

  1. 포화수
  2. 습포화증기
  3. 과열증기
  4. 포화증기
(정답률: 61%)
  • 증기 난방에서는 고온 고압으로 물을 증기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이때 증기의 건조도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건조한 증기는 열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건조도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증기 난방에서는 건조한 증기보다는 습한 증기가 더 효율적입니다. 그 이유는 습한 증기는 열을 더 많이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증기 난방에서는 건조도가 0인 포화수가 사용됩니다. 포화수는 물과 증기가 함께 있는 상태로, 건조도가 0이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습한 증기를 사용함으로써, 증기 난방에서 더 효율적인 열 전달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관의 플래어 접합(flare joi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지름 20mm 이하의 동관을 이음할 때 사용한다.
  2. 동관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할 때 관축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게 한다.
  3. 진동 등으로 인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더블너트로 체결한다.
  4. 플래어 이음용 공구에는 플래어링 툴 세트가 있다.
(정답률: 84%)
  • 동관의 플래어 접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동관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할 때 관축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게 하는 이유는, 플래어 접합 시 동관의 끝 부분이 넓어지는데, 이는 플래어링 툴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관의 끝 부분이 평평하게 되어 있으면, 플래어링 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플래어 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간 경사지게 절단하여 플래어링 툴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5A에서 50A까지 나사를 낼 수 있는 오스터형 나사절삭기의 번호는?

  1. 102(112R)
  2. 104(114R)
  3. 105(115R)
  4. 107(117R)
(정답률: 64%)
  • 오스터형 나사절삭기의 번호는 일반적으로 "A(BR)"의 형식으로 표기됩니다. 여기서 A는 최소 나사 지름을 나타내고, B는 최대 나사 지름을 나타내며, R은 오스터형 나사절삭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5A에서 50A까지 나사를 낼 수 있는 오스터형 나사절삭기의 번호는 "104(114R)"입니다. 이는 최소 나사 지름이 15이고 최대 나사 지름이 50인 오스터형 나사절삭기를 나타내며, R은 오스터형 나사절삭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스테인리스 강관 MR 조인트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프레스 가공 등이 필요하고, 관의 강도를 100% 활용할 수 있다.
  2. 스패너 이외의 특수한 접속 공구가 필요하다.
  3. 청동제 이음쇠를 사용하여도 다른 강관과는 자연 전위차가 있어 부식의 문제가 있다.
  4. 화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건물 등의 배관 공사에 적합하다.
(정답률: 80%)
  • 스테인리스 강관 MR 조인트는 화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건물 등의 배관 공사에 적합하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유는 화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 위험이 없고, 따라서 기존 건물 등의 배관 공사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준 대기압에서 50℃의 물 1kg을 100℃의 포화 수증기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인가? (단, 물의 비열은 4.19kJ/kgㆍK이고 물의 증발 잠열은 2256.7kJ/kg이다.)

  1. 2255.5
  2. 2466.2
  3. 2674.0
  4. 2883.2
(정답률: 45%)
  • 물을 100℃의 포화 수증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물의 증발이 일어나야 합니다. 따라서 물의 온도를 100℃까지 올리고, 이후에는 물이 증발할 때 필요한 열량을 공급해야 합니다.

    먼저 물의 온도를 100℃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구해보겠습니다. 이 때는 물의 비열을 이용합니다.

    물의 초기 온도는 50℃이므로, 물의 온도를 100℃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Q1 = m × c × ΔT
    = 1kg × 4.19kJ/kgㆍK × (100℃ - 50℃)
    = 209.5kJ

    따라서 물의 온도를 100℃까지 올리는 데는 209.5kJ의 열량이 필요합니다.

    이제 물이 증발할 때 필요한 열량을 구해보겠습니다. 이 때는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합니다.

    물의 초기 온도는 100℃이므로, 물이 증발할 때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Q2 = m × Lv
    = 1kg × 2256.7kJ/kg
    = 2256.7kJ

    따라서 물이 증발할 때는 2256.7kJ의 열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물을 100℃의 포화 수증기로 만드는 데 필요한 총 열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Q = Q1 + Q2
    = 209.5kJ + 2256.7kJ
    = 2466.2kJ

    따라서 정답은 "2466.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용접 잔류 응력을 경감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용착금속의 양을 적게 한다.
  2. 적당한 용착법과 용접 순서를 선택한다.
  3. 용착금속의 양을 많게 한다.
  4. 예열을 한다.
(정답률: 80%)
  • 용접 잔류 응력을 경감하는 방법 중 "용착금속의 양을 많게 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방법입니다. 용착금속의 양이 많아지면 용접 부위의 열이 높아져서 오히려 잔류 응력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용착금속의 양을 적게 하고 적당한 용착법과 용접 순서를 선택하며, 예열을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스용접 토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압식 토치에는 가변압식과 불변압식 토치가 있다.
  2. 불변압식 토치는 프랑스식이다.
  3. 독일식 토치는 팁의 머리에 인젝터와 혼합실이 있다.
  4. A형의 팁의 번호는 사용하는 연강판 모재의 두께를 표시한다.
(정답률: 73%)
  • "불변압식 토치는 프랑스식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불변압식 토치는 영국에서 개발되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가변압식 토치가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 가공용 공구 중 줄의 종류를 눈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세목
  2. 중목
  3. 황목
  4. 초목
(정답률: 78%)
  • 초목은 눈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는 수 가공용 공구의 종류가 아닙니다. 초목은 나무를 가공할 때 사용하는 공구 중 하나로, 나무를 깎거나 다듬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으로 수격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펌프를 가동하기 직전
  2. 송수과정에서 급수밸브를 급격히 폐쇄하는 경우
  3. 급수압력이 높은 심야시간에 급수관로를 열어 사용하다가 닫는 경우
  4. 펌프를 사용하여 양수하다가 펌프를 정지시키는 경우
(정답률: 83%)
  • 정답인 "펌프를 가동하기 직전"은 아직 펌프가 가동되기 전이므로 수격작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펌프를 가동하기 전에는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수격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철관의 소켓이음(socket joint)할 때 누수의 원인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얀(yarn)의 양이 너무 많고 납이 적은 경우
  2. 코킹하기 전에 관에 붙어있는 납을 떼어낸 경우
  3. 코킹 세트를 순서대로 차례로 사용한 경우
  4. 코킹이 완전한 경우
(정답률: 85%)
  • 주철관의 소켓이음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얀(yarn)의 양이 너무 많고 납이 적은 경우입니다. 이는 코킹 시 얀이 납보다 많이 들어가면서 코킹이 제대로 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얀과 납을 사용하여 코킹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MIG용접에서 200A 이상의 전류를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용적이행은?

  1. 단락형 이행
  2. 스프레이 이행
  3. 글로뷸러 이행
  4. 핀치효과형 이행
(정답률: 58%)
  • MIG용접에서 200A 이상의 전류를 사용하면 스프레이 이행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스프레이 이행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서 높은 전류와 전압을 사용하여 금속을 미세한 입자로 분사시키는 용접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높은 용접 속도와 우수한 용접 품질을 제공하며, 높은 전류를 사용하여 금속을 분사시키므로 용접 부위의 열이 분산되어 용접 부식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200A 이상의 전류를 사용하면 스프레이 이행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의 배관도에서 ①~③의 명칭이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① 체크밸브, ② 글로브 밸브, ③ 콕 일반
  2. ① 체크밸브, ② 글로브 밸브, ③ 볼 밸브
  3. ① 앵글밸브, ② 슬루스 밸브, ③ 콕 일반
  4. ① 앵글밸브, ② 슬루스 밸브, ③ 볼 밸브
(정답률: 77%)
  • ① 체크밸브: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 배관에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② 글로브 밸브: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배관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③ 볼 밸브: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글로브 밸브보다 더 빠른 개폐가 가능하고, 누출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체크밸브, ② 글로브 밸브, ③ 볼 밸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도시기호의 계기 명칭인 것은?

  1. 압력 지시계
  2. 온도 지시계
  3. 진동 지시계
  4. 소음 지시계
(정답률: 89%)
  • 이 기호는 온도 지시계를 나타냅니다. 그 이유는 기호 안에 있는 선이 곡선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이는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을 모방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온도를 나타내는 지시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이음쇠 끝부분의 접합부 형상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수나사가 있는 접합부를 의미하는 기호는?

  1. M
  2. F
  3. C
  4. P
(정답률: 80%)
  • 정답은 "M"입니다. 이음쇠 끝부분의 접합부 형상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M"은 수나사가 있는 접합부를 의미합니다. "F"는 평면 접합부, "C"는 원형 접합부, "P"는 끝부분 접합부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필릿 용접 기호에서 a는 무엇을 뜻하는가?

  1. 용접부 수
  2. 목 두께
  3. 목 길이
  4. 용접 길이
(정답률: 78%)
  • a는 "목 두께"를 뜻한다. 이는 필릿 용접 기호에서 용접할 부위의 목 두께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용접 부위의 길이나 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면에 사용되는 배관도시 약어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PC-압력 조절계
  2. TC-온도 조절계
  3. FI-유량 지시계
  4. FM-유속계
(정답률: 76%)
  • FM은 유량 지시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유속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FM-유속계"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판 두께를 고려한 원통 굽힘의 판뜨기 전개 시에 외경이 D0, 내경이 D1일 때, 두께가 t인 강판을 굽힐 경우 원통 중심선의 원주길이 L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L=(D0-t)×π
  2. L=(D0+t)×π
  3. L=(D1-t)×π
  4. L=(D1×π)/t
(정답률: 70%)
  • 원통의 중심선은 원의 둘레와 같으므로, 원주길이 L은 원의 둘레를 나타낸다. 따라서,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인 L = 원주율(π) × 지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원통의 외경은 지름이 D0이므로, 외경에서 두께 t를 빼면 내경이 된다. 따라서, 내경이 D1이므로 L = (D0-t) × π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가는 1점 쇄선
  3. 피선
  4. 가는 2점 쇄선
(정답률: 66%)
  • 피선은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선으로, 다른 선들과 구분하기 쉽도록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굵은 실선"과 "가는 1점 쇄선", "가는 2점 쇄선"은 대상물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선이지만, 피선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피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관의 지름, 부속품, 흐름 방향 등을 명시하고 장치, 기기 등의 접속 계통을 간단하고 알기 쉽게 평면적으로 배치해 놓은 도면은?

  1. 계통도
  2. 장치도
  3. 평면배관도
  4. 입면배관도
(정답률: 67%)
  • 문제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관의 지름, 부속품, 흐름 방향 등을 명시하고 장치, 기기 등의 접속 계통을 간단하고 알기 쉽게 평면적으로 배치해 놓은 것이다. 이러한 도면은 시설물이나 시스템의 구성을 파악하고 유지보수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계통도"라고 부른다. 따라서 정답은 "계통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통계량의 기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σ
  2. R
  3. s
(정답률: 61%)
  • 정답:

    해설:
    - "σ"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R"은 범위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s"는 표본의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는 표본의 중앙값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계수 규준형 샘플링 검사의 OC 곡선에서 좋은 로트를 합격시키는 확률을 뜻하는 것은? (단, α는 제 1종과오, β는 제2종과오이다.)

  1. α
  2. β
  3. 1-α
  4. 1-β
(정답률: 82%)
  • 계수 규준형 샘플링 검사에서 좋은 로트를 합격시키는 확률은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통해 OC 곡선을 그릴 수 있으며, 이 곡선에서 좋은 로트를 합격시키는 확률은 OC 곡선과 x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이 지점은 제 1종과오의 확률인 α와 같다. 따라서, 좋은 로트를 합격시키는 확률은 1-α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u 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80%)
  • 정답은 ""입니다.

    u 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Upper Control Limit (UCL) = 평균 + 3 x 표준편차
    Lower Control Limit (LCL) = 평균 - 3 x 표준편차

    이때, ""는 표본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본 크기가 커질수록 표준편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UCL과 LCL이 좁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표본 크기가 커질수록 u 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이 좁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인위적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워크팩터(Work Factor)의 기호가 아닌 것은?

  1. D
  2. K
  3. P
  4. S
(정답률: 69%)
  • 워크팩터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중에서 인위적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워크팩터는 "K"입니다. "D"는 디버깅 모드를 나타내는 워크팩터, "P"는 성능을 나타내는 워크팩터, "S"는 보안 강도를 나타내는 워크팩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예방보전(Preventive Naintenance)의 효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의 수리비용이 감소한다.
  2. 생산시스템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3. 고장으로 인한 중단시간이 감소한다.
  4. 예비기계를 보유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한다.
(정답률: 86%)
  • 예방보전은 기계의 고장을 예방하고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예방보전을 철저히 실시하면 기계의 고장으로 인한 중단시간이 감소하고, 생산시스템의 신뢰도가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예비기계를 보유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는 것은 예방보전을 실시하면서 기계의 수명이 연장되어 기계의 교체 주기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비기계를 보유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회사의 매출액이 80000원, 고정비가 15000원, 변동비가 40000원일 때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얼마인가?

  1. 25000원
  2. 30000원
  3. 40000원
  4. 55000원
(정답률: 78%)
  •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고정비와 변동비를 합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15000원(고정비) + 40000원(변동비) = 55000원이 되고, 이 값에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 매출액인 80000원을 빼면 55000원 - 80000원 = -25000원이 됩니다. 이는 회사가 손해를 보는 상황이므로, 이익이 발생하는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55000원보다 커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값은 "25000원", "30000원", "40000원", "55000원" 중에서 "30000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