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운용사 3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8)

전산회계운용사 3급
(2016-10-0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대차평균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본의 증가는 반드시 자산의 감소를 가져온다.
  2. 장부 기록에 대한 자기 검증 능력을 갖게 된다.
  3. 자산의 총액은 부채 총액에서 자본 총액을 차감한 금액과 일치한다.
  4. 모든 거래를 분개하였을 때 차변합계액보다 대변의 합계액이 커야 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장부 기록에 대한 자기 검증 능력을 갖게 된다."이다. 대차평균의 원리는 모든 거래를 차변과 대변으로 분개하여 기록하고, 차변과 대변의 합계가 항상 일치해야 한다는 원리이다. 이를 통해 장부 기록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이는 회계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재무상태표 (가)에 기입되는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1. 보험료
  2. 이자수익
  3. 지급어음
  4. 외상매출금
(정답률: 86%)
  • 외상매출금은 이미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아직 수금을 받지 못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재무상태표에서는 현재 자산으로 기재됩니다. 보험료와 이자수익은 수입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이며, 지급어음은 부채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은 결산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가)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시산표의 작성
  2. 정산표의 작성
  3. 재무상태표의 작성
  4. 총계정원장의 마감
(정답률: 67%)
  • (가)는 "시산표의 작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총계정원장의 마감"이다. 총계정원장은 모든 계정과목의 원장을 종합한 것으로, 결산일에는 이를 마감하여 다음 회계연도의 원장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따라서 결산 절차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인 총계정원장의 마감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재고자산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매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이다.
  2. 상품 매입 과정에서 지출되는 부대비용은 판매관리비로 처리 한다.
  3. 재고자산의 대표적인 예는 상품, 제품이다.
  4. 재고자산은 감가상각을 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재고자산은 감가상각을 하지 않는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상품 매입 과정에서 지출되는 부대비용은 판매관리비로 처리 한다."는 매입비용에 포함되지 않는 부대비용(예: 운송비, 보험료 등)은 매입비용에 추가하여 재고자산으로 인식하지 않고, 판매관리비로 처리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재고자산의 가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자료에 의하여 계산한 (주)상공의 기말부채의 금액으로 옳은 것은?

  1. ₩200,000
  2. ₩300,000
  3. ₩500,000
  4. ₩700,000
(정답률: 62%)
  • 주어진 자료에서 기말부채는 "단기차입금"과 "미지급금"의 합계이다. 따라서, ₩100,000 + ₩100,000 = ₩200,000 이므로 정답은 "₩200,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주)상공의 2016년도 손익계정과 잔액시산표(수정 후)의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기초상품재고액은 ₩30,000이다.)

  1. 순매출액은 ₩200,000이다.
  2. 매출원가는 ₩180,000이다.
  3. 상품매출이익은 ₩70,000이다.
  4. 당기순매입액은 ₩190,000이다.
(정답률: 39%)
  • 당기순매입액은 매출원가에서 기초상품재고액을 뺀 값에 추가로 구매한 상품의 비용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매출원가인 ₩180,000에서 기초상품재고액인 ₩30,000을 뺀 값인 ₩150,000에 추가로 구매한 상품의 비용인 ₩40,000을 더한 값인 ₩190,000이 당기순매입액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거래를 분개할 경우 대변에 기입될 계정과목은?

  1. 미수금
  2. 미지급금
  3. 외상매입금
  4. 외상매출금
(정답률: 76%)
  • 거래 내용: 현금으로 외상매입금 지급

    - 차변: 외상매입금 100,000원
    - 대변: 현금 100,000원

    외상매입금은 매입한 상품에 대한 대금을 나중에 지불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현금으로 외상매입금을 지불하는 경우, 외상매입금이 감소하고 대신 현금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거래에서 대변에 기입될 계정과목은 "외상매입금"입니다.

    - "미수금"은 아직 받지 못한 매출금을 말합니다.
    - "미지급금"은 아직 지불하지 않은 매입금을 말합니다.
    - "외상매출금"은 고객이 나중에 지불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출금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재무상태표와 관련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 실체의 일정 시점에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회계보고서 이다.
  2. 기업의 권리(자산), 의무(부채), 순자산(자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재무상태표 계정의 차기이월액을 집계한 이월시산표를 기초로 작성한다.
  4. 기말 재무상태표의 자본이 기초 자본을 초과하는 경우 당기순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단, 손익 거래 외 자본의 증감거래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률: 68%)
  • "기말 재무상태표의 자본이 기초 자본을 초과하는 경우 당기순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단, 손익 거래 외 자본의 증감거래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기말 재무상태표의 자본이 기초 자본을 초과하는 경우, 이는 단순히 자본의 증가일 뿐이며, 당기순손실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 문장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주)상공의 2016년 7월 중 매출처원장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7월 중 외상매출금 회수액은 ₩80,000이다.
  2. 7월 중 외상매출 총액은 ₩350,000이다.
  3. 7월 중 외상매출금 미회수액은 ₩140,000이다.
  4. 7월 중 매출환입 및 매출에누리액은 ₩7,000이다.
(정답률: 54%)
  • 7월 중 외상매출금 회수액은 ₩80,000이므로, 외상매출금 미회수액은 외상매출금 총액에서 회수액을 뺀 값인 ₩14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포괄손익계산서 구성항목으로 옳은 것은?

  1. 이익잉여금
  2. 당기순손익
  3. 유동자산
  4. 자본조정
(정답률: 69%)
  • 정답은 "당기순손익"입니다.

    포괄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수익과 비용, 이익과 손실, 자본과 부채 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K-IFRS에 따르면 포괄손익계산서의 구성항목으로는 당기순손익, 기타포괄손익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당기순손익"은 기업이 해당 회계기간 동안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등을 통해 얻은 순이익을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즉, 기업이 해당 기간 동안 얼마나 수익을 올리고 비용을 줄였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포괄손익계산서의 구성항목 중에서도 "당기순손익"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서 비용을 기능별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항목과 계정과목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원가 – 운반비
  2. 관리비 - 감가상각비
  3. 기타비용 – 임차료
  4. 금융원가 - 이자비용
(정답률: 58%)
  • 정답은 "기타비용 – 임차료"입니다.

    K-IFRS에서 비용을 기능별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물류원가 – 운반비"는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운반비용으로 분류됩니다. "관리비 - 감가상각비"는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용으로 분류됩니다. "금융원가 - 이자비용"은 대출 등의 이자비용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기타비용 – 임차료"는 기능별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되지 않습니다. 대신, 임차료는 재무상태표에서 임차보증금과 함께 "기타유동자산" 또는 "기타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의 거래를 분개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3%)
  • - 현금 10,000원을 받았으므로, "현금" 계정의 차변에 10,000원을 기록한다.
    - 이에 대한 대변으로 "예금" 계정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유는 "예금" 계정이 현금을 받아들인 대가로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금" 계정의 대변에 10,000원을 기록한다.
    - 이렇게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같아지므로 거래가 잘 분개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상공의 받을어음 계정의 기입 내용이다. 이를 토대로 거래를 추정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월 10일 상품 ₩100,000을 매출하고 대금은 동점발행 약속어음으로 받다.
  2. 5월 7일 거래처의 외상대금 ₩200,000을 동점발행 약속어음으로 받다.
  3. 7월 5일 소지하고 있던 약속어음 ₩150,000을 현금으로 받아 은행에 당좌예입하다.
  4. 8월 21일 상품 ₩50,000을 매입하고 2개월 만기 당점발행 약속어음으로 지급하다.
(정답률: 65%)
  • 옳지 않은 것은 "5월 7일 거래처의 외상대금 ₩200,000을 동점발행 약속어음으로 받다." 이다. 이유는 이미 받은 약속어음이 동점발행이 아니라 이미 발행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거래는 추정할 수 없다.

    8월 21일 상품 ₩50,000을 매입하고 2개월 만기 당점발행 약속어음으로 지급한 이유는, 상품을 매입하면서 받은 약속어음이 당점발행이었기 때문이다. 이 약속어음은 2개월 후에 만기가 되어 상대방이 지급해야 하는 것이며, 그 때까지는 자신이 현금으로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 거래는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결산 절차 중 수정전 시산표 작성과 동일한 결산 절차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분개장의 마감
  2. 이월시산표 작성
  3. 재무상태표의 작성
  4. 결산 정리 사항 수정
(정답률: 61%)
  • 결산 정리 사항 수정은 수정전 시산표 작성과 동일한 결산 절차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입니다. 이는 분개장의 마감과 이월시산표 작성 이후에 이루어지며, 재무상태표의 작성 전에 회계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나 누락된 내역을 수정하여 정확한 재무상태표를 작성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수익적 지출에 해당하는 것은?

  1. 건물에 피난시설 설치
  2. 1층에서 2층으로 증축
  3. 건물에 엘리베이터 설치
  4. 파손된 유리의 교체
(정답률: 78%)
  • 파손된 유리의 교체는 건물의 안전과 유지보수를 위한 필수적인 지출이며, 교체하지 않을 경우 더 큰 손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적 지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주)상공의 2016년 7월 중 상품재고장과 매출 거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7월 중 갑상품의 매출원가는 ₩51,000이다.
  2. 7월 중 갑상품의 매출총이익은 ₩19,000이다.
  3. 이동평균법으로 인도단가를 결정하여 기입한 것이다.
  4. 7월 24일 매출을 후입선출법으로 기입할 경우 매출원가는 더 적어진다.
(정답률: 44%)
  • 7월 중 갑상품의 매출원가는 ₩51,000이고, 매출액은 ₩70,000이다. 따라서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값인 ₩19,000이 된다. 이는 갑상품에 대한 매출총이익이며, 다른 상품들에 대한 매출총이익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구할 수 없다. 이동평균법이나 후입선출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익과 비용의 대응원칙에 따라 비용을 인식하는 방법 중 직접 대응에 해당하는 비용으로 옳은 것은?

  1. 임차료
  2. 매출원가
  3. 광고선전비
  4. 통신비
(정답률: 64%)
  • 매출원가는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로, 제품의 원재료 비용, 인건비, 제조비 등을 포함합니다. 이에 따라 매출원가는 직접 대응 비용에 해당하며, 제품 판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매출원가가 직접 대응 비용으로 옳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거래의 회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변에 현금 계정 ₩350,000이 기입된다.
  2. 차변에 보통예금 계정 ₩700,000이 기입된다.
  3. 차변에 정기예금 계정 ₩1,000,000이 기입된다.
  4. 대변에 이자비용 계정 ₩50,000이 기입된다.
(정답률: 71%)
  • 이 거래는 현금 350,000원과 정기예금 1,000,000원을 입금하고, 그 중에서 이자 50,000원을 차감한 후 보통예금으로 입금한 것입니다. 따라서 현금은 대변으로, 보통예금은 차변으로 기입됩니다. 이에 따라 "차변에 보통예금 계정 ₩700,000이 기입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거래를 분개할 경우 옳은 것은?

  1. (차) 종업원급여 1,500,000 (대) 현금 1,500,000
  2. (차) 종업원급여 1,500,000 (대) 자기앞수표 1,500,000
  3. (차) 종업원급여 1,500,000 (대) 당좌예금 1,500,000
  4. (차) 종업원급여 1,500,000 (대) 보통예금 1,500,000
(정답률: 79%)
  • 이 거래는 종업원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거래이므로, (차)에는 종업원급여 계정을 사용하고, (대)에는 지급받은 금액인 현금 계정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차) 종업원급여 1,500,000 (대) 현금 1,500,000"이다. 나머지 보기는 모두 잘못된 분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대한상사의 총계정원장 일부이다. 자료를 통하여 (가)의 계정과목과 (나)의 금액으로 옳은 것은?

  1. 손익 \30,000
  2. 선수수익 \30,000
  3. 손익 \70,000
  4. 선수수익 \70,000
(정답률: 52%)
  • (가) 선수수익, (나) 30,000이 옳은 것이다.

    선수수익은 아직 수입으로 인정되지 않은 선수적인 수익을 말한다. 즉, 아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거나 상품을 판매하지 않았지만, 미리 받은 돈이나 예약금 등이 해당된다.

    이 경우에는 "선수수익 30,000"이 옳은 것이다. 이유는 대한상사가 아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지만, 미리 받은 예약금이 30,00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금액은 아직 수입으로 인정되지 않은 선수적인 수익인 선수수익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은 (주)상공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에 대한 자료이다. 기말자산과 기말자본을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기말자산 / 기말자본)

  1. ₩600,000 / ₩300,000
  2. ₩600,000 / ₩400,000
  3. ₩800,000 / ₩400,000
  4. ₩800,000 / ₩500,000
(정답률: 70%)
  • 기말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을 합한 값인 ₩800,000이고, 기말자본은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을 합한 값인 ₩500,000이다. 이는 재무상태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800,000 / ₩5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현금및현금성자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취득 당시 1년 만기의 정기예금
  2. 취득 당시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이내인 상환주
  3. 해외 바이어로부터 수령한 외화현금
  4.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양도성예금
(정답률: 74%)
  • "취득 당시 1년 만기의 정기예금"은 현금및현금성자산에 속하지 않는다. 이유는 정기예금은 일정 기간 동안 예금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만기 시에 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 이는 현금성 자산의 특성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즉, 현재 즉시 사용 가능한 현금이 아니기 때문에 현금및현금성자산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가)와 (나)의 거래를 분개할 때 공통으로 기입되는 계정 과목으로 옳은 것은?

  1. 현금
  2. 예수금
  3. 보통예금
  4. 종업원급여
(정답률: 81%)
  • 거래 내용에서 현금이나 보통예금, 종업원급여와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이들은 공통으로 기입되는 계정과목이 아닙니다. 반면에 거래 내용에서 입금이 일어난 것으로 보이므로 이를 기록하는 예수금 계정과목이 공통으로 기입되는 계정과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예수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자산으로 분류되는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76%)
  • 보기에서 "ㄱ, ㄴ"은 모두 자산으로 분류되는 계정과목입니다. "ㄱ"은 현금과 현금성 자산, "ㄴ"은 매출채권과 같은 외부에서 받을 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ㄷ"는 부채, "ㄹ"은 자본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거래 내용에 대한 분개로 옳은 것은?

(정답률: 48%)
  • - 차입금 대신 유가증권을 발행하였으므로, 차입금 대신 유가증권을 차입부채로 인정한다.
    - 유가증권 발행 시 차입금액과 동일한 금액의 유가증권을 발행하였으므로, 차입금액과 유가증권 발행금액을 같은 금액으로 인정한다.
    - 유가증권 발행 시 차입금액과 동일한 금액의 유가증권을 발행하였으므로, 유가증권 발행금액을 차입부채로 인정한다.
    - 유가증권 발행 시 차입금액과 동일한 금액의 유가증권을 발행하였으므로, 유가증권 발행금액을 차입자본으로 인정한다.

    정답: ""
    - 차입금 대신 유가증권을 발행하였으므로, 차입금액을 차입부채로 인정하고, 유가증권 발행금액은 이자비용으로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