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1-26)

보석감정사(기능사)
(2003-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석학일반

1.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가 규칙적인 내부구조를 가질 때 이것을 결정구조라고 한다. 이 결정구조가 보석에 미치는 다음 요건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아름다움의 원인
  2. 내구성의 원인
  3. 감별의 기초
  4. 투명도의 원인
(정답률: 54%)
  • 정답: 투명도의 원인

    설명: 결정구조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을 가지면, 빛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투명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보석의 투명도는 결정구조에 큰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보석들 중 10월의 탄생석으로 거래되는 것은?

  1. 자수정
  2. 에메랄드
  3. 오팔
  4. 지르콘
(정답률: 97%)
  • 10월의 탄생석은 오팔입니다. 이는 오팔이 10월의 축복과 행운을 상징하는 보석으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석의 브릴리언시를 결정하는 요소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비율
  2. 굴절률
  3. 면의 수
  4. 폴리쉬
(정답률: 52%)
  • 보석의 브릴리언시는 보석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때 보석의 면의 수가 가장 관계가 먼 요소입니다. 면의 수가 많을수록 빛이 반사되는 면이 많아져 브릴리언시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면의 수가 적은 보석일수록 브릴리언시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페리도트(peridot)와 올리빈(olivine)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색이 약간 다를 뿐 같은 성질의 돌이다.
  2. 색과 성장이 서로 비슷한 돌이다.
  3. 색과 성질이 서로 다른 돌이다.
  4. 색은 같으나 성질이 전혀 다르다.
(정답률: 62%)
  • 페리도트와 올리빈은 모두 마그마나 용암에서 생성되는 광물로, 화학적 구성이 거의 동일합니다. 따라서 물리적 성질도 매우 유사하며, 색이 약간 다를 뿐 같은 성질의 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굴절률이 가장 낮은 것은?

  1. 오팔
  2. 수정
  3. 에메랄드
  4. 루비
(정답률: 83%)
  • 오팔이 굴절률이 가장 낮은 이유는, 오팔은 광학적으로 이중굴절을 일으키는데, 이중굴절이란 빛이 물질 내에서 두 개의 광선으로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이 때문에 오팔은 굴절률이 낮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수정, 에메랄드, 루비는 모두 굴절률이 높은 보석으로, 빛을 강하게 굴절시켜 반짝이는 빛의 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천연석과 약간 다른 굴절률을 갖는 합성석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합성루비, 합성쿼츠
  2. 합성사파이어, 합성쿼츠
  3. 합성스피넬, 합성에메랄드
  4. 합성스타루비, 합성오팔
(정답률: 72%)
  • 굴절률은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천연석과 합성석은 광학적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굴절률도 다릅니다. 따라서 천연석과 약간 다른 굴절률을 갖는 합성석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합성스피넬과 합성에메랄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천연석과 합성석이 같은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금에 있어서 귀금속의 함유량(1000분율)이 금:833 일때 표시문자는?

  1. 22K
  2. 20K
  3. 18K
  4. 17K
(정답률: 79%)
  • 귀금속의 함유량이 1000분율이므로, 금의 함유량은 1000-833=167입니다. 이때, 금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순도가 높아지므로, 167에 가까울수록 순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20K가 정답입니다. 20K는 금의 함유량이 833/1000인 83.3%이므로, 귀금속의 함유량이 167/1000인 16.7%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의 순도 범위 내에 있으며, 표시문자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보석 중 화성암의 킴벌라이트 광맥에서 산출되는 것은?

  1. 다이아몬드
  2. 오팔
  3. 터키석
  4. 커런덤
(정답률: 90%)
  • 화성암의 킴벌라이트 광맥은 고온과 고압에서 형성되는 광물이 많이 존재하는데, 다이아몬드는 이러한 조건에서 형성되는 광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화성암의 킴벌라이트 광맥에서 산출되는 보석 중 다이아몬드가 선택지 중 유일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합성 오팔과 유리(슬로컴스톤)를 구별하는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굴절률(RI)
  2. 확대
  3. 침적
  4. 비중(SG)
(정답률: 52%)
  • 정답: 확대

    합성 오팔과 유리(슬로컴스톤)는 굴절률(RI)과 비중(SG)이 유사하여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들을 구별하는 검사 중 하나인 침적 검사를 사용합니다. 침적 검사는 물에 담가서 침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합성 오팔은 침전하지 않고 유리는 침전합니다. 확대는 이들을 구별하는 검사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결정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균형(Balance)
  2. 결정면(Face)
  3. 능(Edge)
  4. 우각(Corner)
(정답률: 82%)
  • 결정의 3요소는 결정면, 능, 우각입니다. 균형은 결정의 특성 중 하나이지만, 결정의 3요소는 아닙니다. 결정면은 결정의 표면을 이루는 면을 말하며, 능은 결정의 모서리를 말하며, 우각은 결정의 모서리가 만나는 각을 말합니다. 결정의 형태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보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터키석은 터키가 산지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2. 터키석은 표면에 있는 미세한 구멍들에 의해 빛이 산란되어 엷은 청색을 띠게 되며, 표면에 기름을 발라주면 색이 짙어진다.
  3. 라피스라줄리는 지르콘과 함께 11월의 탄생석이다.
  4. 라피스라줄리는 유기 물질이다.
(정답률: 84%)
  • 터키석은 표면에 있는 미세한 구멍들에 의해 빛이 산란되어 엷은 청색을 띠게 되며, 표면에 기름을 발라주면 색이 짙어진다. 이는 터키석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화학주기율표상의 백금족 귀금속원소가 아닌 것은?

  1. Au
  2. Pt
  3. Pd
  4. Ir
(정답률: 66%)
  • 정답은 "Au"입니다. Au는 백금족 귀금속원소 중 하나이지만, 주기율표에서는 Pt, Pd, Ir과 함께 6족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Au의 전자 구성이 다른 백금족 귀금속원소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Au는 5d10 6s1 전자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6s1 전자가 5d 궤도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6족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양식진주 목걸이의 아름다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향수
  2. 따뜻한 물
  3. 헤어 스프레이
(정답률: 93%)
  • 양식진주는 물에서 자란 조개의 껍데기에서 추출한 것으로 만들어진 보석입니다. 따라서 따뜻한 물은 양식진주의 아름다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인 향수, 땀, 헤어 스프레이는 양식진주의 표면을 더러지게 하거나 변색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보석 내부에서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포가 발견될 수 있는 것은?

  1. 천연유리와 합성석
  2. 유리와 천연 루비
  3. 천연 호박과 천연 다이아몬드
  4. 3중 접합석과 천연 스피넬
(정답률: 81%)
  • 천연유리와 합성석은 제조과정에서 공기가 함유될 수 있기 때문에 보석 내부에서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포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리와 천연 루비, 천연 호박과 천연 다이아몬드, 3중 접합석과 천연 스피넬은 보통 기포가 발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부분의 보석을 세척하는 방법 중 가장 안전한 방법은?

  1. 초음파세척
  2. 스팀세척
  3. 따뜻한 비눗물에 솔로 세척
  4. 증유수에 끓임
(정답률: 88%)
  • 따뜻한 비눗물에 솔로 세척이 가장 안전한 방법인 이유는 보석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음파세척이나 스팀세척은 보석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깨끗하게 세척하지 못할 수 있으며, 증유수에 끓임은 보석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석을 세척할 때는 따뜻한 비눗물과 솔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세척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다이아몬드감정법

16. 다음 전기석(Tourmalin)과 관련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스콜은 백색
  2. 루벌라이트는 적색,분홍색
  3. 인디콜라이트는 녹색
  4. 드라바이트는 청색
(정답률: 73%)
  • 전기석(Tourmalin)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루벌라이트는 적색과 분홍색을 가지는 것은 그 내부에 망간과 리튬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스컬 용융법으로 합성된 보석은?

  1. 합성 커런덤, 합성 스피넬
  2. 합성 알렉산드라이트
  3. 합성 큐빅지르코니아
  4. 합성 에메랄드, 합성 쿼츠
(정답률: 84%)
  • 스컬 용융법은 고온과 고압에서 천연 보석과 비슷한 화학적 조성을 가진 인공 보석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 중에서 합성 큐빅지르코니아는 스컬 용융법으로 만들어진 보석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다른 보석들과 비교하여 높은 광택과 경도를 가지고 있어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빛을 발합니다. 따라서 합성 큐빅지르코니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층상조직에서 생기는 빛의 간섭과 회절에서 나타나는 효과의 명칭으로 알맞는 것은?

  1. 샤토안시 효과
  2. 변색 효과
  3. 진주 효과
  4. 성채 효과
(정답률: 78%)
  • 정답: 진주 효과

    설명: 층상조직에서 생기는 빛의 간섭과 회절로 인해 빛이 여러 색상으로 굴절되어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진주나 조개 등의 껍질에서 자주 관찰되어 "진주 효과"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IA에서 채택하고 있는 다이아몬드 원석의 분류 방법 중 클로스상품과 비슷하나 내부에 흑점이나 흠이 약간 있는 돌의 명칭은?

  1. 케이푸스(capes)
  2. 엘로우 스포티드(yellow spotteds)
  3. 클로스 굿스(close goods)
  4. 스포티드 스톤(spotted stone)
(정답률: 87%)
  • 스포티드 스톤은 클로스상품과 비슷하지만 내부에 약간의 흑점이나 흠이 있는 다이아몬드를 말합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는 내부 결함이 있기 때문에 가치가 떨어지지만, 그래도 아름다운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플로팅(plotting)의 의미는?

  1. A:캐비티, B:외부그레이닝
  2. A:칩, B:내부그레이닝
  3. A:노트, B:어브레이션
  4. A:캐비티, B:페더
(정답률: 67%)
  • 이 그림은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캐비티(cavity)와 외부그레이닝(external grating)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캐비티는 광섬유 내부에서 광파가 반사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광섬유 내부의 미세한 결함이나 광섬유의 끝단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그레이닝은 광섬유 외부에 일정한 주기로 형성된 구조물로, 광섬유의 표면에 미세한 홈이 파여 있어 광파가 반사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의 정답은 "A:캐비티, B:외부그레이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10배의 현미경으로 극히 보기 힘든 내포물을 함유하는 투명도 등급은?

  1. IF
  2. FL
  3. VVS1
  4. VS2
(정답률: 68%)
  • VVS1은 "Very Very Slightly Included 1"의 약어로, 10배의 현미경으로도 내포물이 거의 보이지 않는 매우 높은 투명도 등급을 나타냅니다. IF(Included Free), FL(Flawless), VS2(Very Slightly Included 2) 등급보다 내포물이 더 적은 등급이기 때문에 VVS1이 더 높은 등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이아몬드를 마스터 스톤과 비교하여 컬러그레이딩을 할 때 정상적인 경우보다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큘렛이 큰 돌
  2. 투명도가 많이 떨어지는 돌
  3. 평상 범주에서 벗어나는 프로포션을 가진 돌
  4. 황색 이외의 바탕색을 가진 돌
(정답률: 68%)
  • 큘렛이 큰 돌은 다이아몬드의 하단 부분이 크게 빈 공간으로 남아있어 빛이 반사되는 면적이 적어져 색상이 더 진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이아몬드를 마스터 스톤과 비교할 때 정상적인 경우보다 색상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큘렛이 큰 돌"이 관련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다이아몬드의 색등급(color grading)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표시는?

  1. D
  2. G
  3. L
  4. P
(정답률: 97%)
  • 정답은 "D"입니다. 다이아몬드의 색등급은 D부터 Z까지 있으며, D는 가장 순수하고 투명한 흰색이며, Z는 노란색이나 갈색이 강하게 나타나는 등급입니다. 따라서 D는 가장 높은 등급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거들 두께를 목측법으로 측정할 때 측정해야 할 곳은?

  1. 베즐과 퍼빌리언 메인 사이
  2. 어퍼거들과 로우어 거들사이의 가장 두꺼운 부분
  3. 어퍼거들과 로우어 거들사이의 가장 얇은곳
  4. 특정위치가 아닌 모든곳
(정답률: 46%)
  • 거들 두께를 목측법으로 측정할 때는 어퍼거들과 로우어 거들사이의 가장 얇은곳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는 거들의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이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베즐과 퍼빌리언 메인 사이나 어퍼거들과 로우어 거들사이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측정하면, 거들의 두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거들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어퍼거들과 로우어 거들사이의 가장 얇은곳을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테이블 퍼센트를 추정할 때 1 로 취해지는 거리는?

  1. 테이블 코너에서 큐렛까지
  2. 테이블 코너에서 거들까지
  3. 테이블 가장자리에서 거들까지
  4. 테이블 가장자리에서 큐렛까지
(정답률: 74%)
  • 테이블 퍼센트를 추정할 때 1로 취해지는 거리는 테이블 가장자리에서 거들까지입니다. 이는 테이블 가장자리에서부터 측정을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테이블 코너에서 측정을 시작하면 테이블 가장자리에서부터의 거리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또한 큐렛까지 측정을 시작하면 큐렛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테이블 가장자리에서 거들까지가 가장 정확한 측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스터 스톤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이아몬드의 최소 중량은?

  1. 0.20 캐럿
  2. 0.25 캐럿
  3. 0.30캐럿
  4. 0.50캐럿
(정답률: 97%)
  • 마스터 스톤은 다이아몬드의 특정한 등급과 크기를 만족해야 합니다. 이 중 크기는 다이아몬드의 중량으로 결정됩니다. 마스터 스톤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이아몬드의 최소 중량은 0.25 캐럿입니다. 이는 마스터 스톤의 크기 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최소한의 중량으로, 0.20 캐럿보다는 크고 0.30 캐럿보다는 작은 중량입니다. 0.50 캐럿은 마스터 스톤의 크기 요건을 만족하는 중량이지만, 최소한의 중량인 0.25 캐럿보다 크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테이블의 반사가 부서지기 시작하고, 테이블 안에 거들의 반사상이 보이기 시작하면 퍼빌리언의 깊이는?

  1. 40%
  2. 43%
  3. 46%
  4. 50%
(정답률: 72%)
  • 반사는 빛이 표면에 닿았을 때, 그 표면에서 튕겨져 나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퍼빌리언의 깊이가 얼마나 깊냐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이 달라집니다. 깊이가 깊어질수록 반사되는 빛의 양은 줄어들게 되므로, 테이블의 반사가 부서지기 시작하고, 테이블 안에 거들의 반사상이 보이기 시작할 때, 퍼빌리언의 깊이는 4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이아몬드의 컬러등급 판정시 자외선이 없는 형광등을 이용한다. 가장 큰 이유는?

  1. 감정시 눈을 보호하기 위해
  2. 다이아몬드의 형광성 때문에
  3. 눈부심이 없기 때문에
  4. 그림자가 없기 때문에
(정답률: 92%)
  • 다이아몬드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형광을 내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외선이 있는 빛을 이용하여 판정을 하면 형광성에 의해 컬러등급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외선이 없는 형광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컬러등급을 판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라운드 형의 다이아몬드에서 가장 깨지기 쉬운 부분은?

  1. 큘렛
  2. 거들
  3. 크라운
  4. 파빌리온
(정답률: 79%)
  • 큘렛은 다이아몬드의 하단 부분에 위치한 작은 평면이며, 다이아몬드의 가장 깨지기 쉬운 부분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상단 부분인 크라운과 파빌리온이 보다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들은 다이아몬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크라운과 파빌리온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연마 중에 생기는 것이 아닌 것은?

  1. 엑스트라 패싯
  2. 어브래이션
  3. 폴리쉬 라인
  4. 폴리쉬 마크
(정답률: 79%)
  • 연마는 표면을 깎아내는 작업으로, 연마 중에는 어브래이션(마모)이 생기지만, 엑스트라 패싯, 폴리쉬 라인, 폴리쉬 마크는 모두 연마 중에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어브래이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보석감별법

31. 다음 중 클래러티 등급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것은?

  1. 엑스트라 패싯
  2. 스크래치
  3. 핀 포인트
  4. 어브레이션
(정답률: 94%)
  • 클래러티 등급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것은 "핀 포인트"입니다. 핀 포인트란 다이아몬드 내부에 작은 결함이나 인클루전이 있는 것을 말하며, 이 결함이 클래러티 등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핀 포인트가 적으면 클래러티 등급이 높아지고, 많으면 등급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핀 포인트는 다이아몬드의 가치와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표준 색범위의 다이아몬드에서 색의 깊이를 판단할 때 가장 고려해야 하는 것은?

  1. 색도와 명도
  2. 명도와 채도
  3. 색도와 채도
  4. 색도, 명도와 채도
(정답률: 86%)
  • 다이아몬드의 색상은 명도와 채도의 조합으로 결정됩니다. 명도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며, 채도는 색상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의 색상을 판단할 때는 명도와 채도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매스터스톤의 가장 적당한 프로포션은?

  1. 14% 크라운 높이, 43% 퍼빌리언 깊이, 약간 두꺼운 거들
  2. 16% 크라운 높이, 48% 퍼빌리언 깊이, 중간 거들
  3. 18% 크라운 높이, 50% 퍼빌리언 깊이, 얇은 거들
  4. 20% 크라운 높이, 52% 퍼빌리언 깊이, 매우 얇은 거들
(정답률: 78%)
  • 매스터스톤은 퍼빌리언이 크고 거들이 얇은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크라운 높이는 적당히 낮게 유지하고, 퍼빌리언 깊이는 크게 가져가며, 거들은 약간 두꺼운 것이 적당합니다. 따라서, "14% 크라운 높이, 43% 퍼빌리언 깊이, 약간 두꺼운 거들"이 가장 적당한 프로포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편광기의 다크포지션에서 투명한 돌을 360° 회전시켰을 때 어두운 상태로 있다면 이 돌은?

  1. 단굴절보석
  2. 복굴절보석
  3. 잠정질보석
  4. 이상복굴절보석
(정답률: 91%)
  • 편광기의 다크포지션에서 투명한 돌을 360° 회전시켰을 때 어두운 상태로 있다면 이 돌은 단굴절보석입니다. 이는 단굴절보석은 한 방향으로만 굴절되기 때문에, 편광기에서 회전시켜도 빛이 통과하지 않아 어두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조흔검사시 말라카이트(공작석)의 색상은?

  1. 적색 - 갈색
  2. 갈색을 띤 흑색
  3. 밝은 청색
  4. 밝은 녹색
(정답률: 79%)
  • 말라카이트는 구리 광물 중 하나로, 구리 산화물과 수산화 구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 구성 때문에 말라카이트는 밝은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석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할 때 우리눈에 주는 느낌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광택
  2. 분산
  3. 편광
  4. 다색성
(정답률: 69%)
  • 보석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할 때 우리 눈에 주는 느낌을 광택이라고 합니다. 이는 보석의 표면이 매끄럽고 깨끗하여 빛이 반사되어 빛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광택"이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보석의 빛나는 현상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복굴절(DR)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색성을 검사해야 하는 것은?

  1. 녹색, 적색, 오렌지색의 돌
  2. 무색, 오렌지, 보라색의 돌
  3. 적색, 오렌지, 자주색의 돌
  4. 청색, 적색, 보라색의 돌
(정답률: 80%)
  • 복굴절(DR) 반응은 다색성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적색, 오렌지, 자주색의 돌이 정답입니다. 이 돌들은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이 변화하기 때문에 DR 반응을 확인하는 데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DR 반응을 확인하기에는 부적합한 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세팅된 알만다이트와 루비를 구별할 때 필요한 검사가 아닌 것은?

  1. 인클루젼
  2. 스펙트럼
  3. 형광
  4. 굴절률
(정답률: 58%)
  • 알만다이트와 루비는 둘 다 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빛을 통과할 때 색이 나타나는 형광과 스펙트럼 검사, 그리고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확인하는 인클루젼 검사는 둘 다 사용됩니다. 그러나 굴절률은 두 보석의 광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구별할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굴절률은 이 문제에서 필요한 검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떤 보석의 굴절률이 1.80근처에서 생기는 무지개색이나 녹색 음영이 절단된다면 그 보석의 굴절률은?

  1. 1.50
  2. 1.60
  3. 1.70
  4. OTL
(정답률: 89%)
  • 무지개색이나 녹색 음영이 절단된다는 것은 해당 보석이 분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분산이란 빛이 다른 파장으로 산란되어 무지개색이 만들어지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굴절률이 높아서 분산이 적은 1.50, 1.60, 1.70은 제외되고, 분산이 많은 1.80 근처의 굴절률을 가진 보석이 답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OTL"이 아닌 1.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문스톤에서 보이는 특수 효과는?

  1. 어벤츄레센스
  2. 아둘라레센스
  3. 아스테리즘
  4. 오리엔트
(정답률: 91%)
  • 정답은 "아둘라레센스"입니다. 문스톤에서 보이는 특수 효과는 빛의 광선이 다이아몬드와 같은 보석에서 반사되어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를 아둘라레센스라고 합니다. 이는 보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나며, 문스톤에서도 다양한 보석들이 등장하여 아름다운 아둘라레센스를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매우강한 다색성을 가져 이색경에 의한 검사가 감별의 수단이 되는 유색석은?

  1. 쿼츠
  2. 안달루사이트
  3. 제이다이트
  4. 토파즈
(정답률: 90%)
  • 안달루사이트는 매우 강한 다색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색경에 의한 검사가 감별의 수단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색경에 의한 검사가 감별의 수단이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첼시 컬러 필터는 최초에 무엇을 감별하기 위하여 만들어 졌는가?

  1. 천연 에메랄드와 그 모조석
  2. 천연 에메랄드와 합성 에메랄드
  3. 천연 에메랄드와 기타 천연 청색 보석
  4. 천연 에메랄드와 다른 처리석
(정답률: 75%)
  • 첼시 컬러 필터는 천연 에메랄드와 그 모조석을 감별하기 위하여 만들어 졌습니다. 이는 천연 에메랄드와 모조석이 유사한 색상을 가지고 있어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형광검사 결과를 기록시 기록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형광색
  2. 형광정도
  3. 사용한 광원
  4. 보석의 크기
(정답률: 83%)
  • 형광검사 결과를 기록할 때는 형광색, 형광정도, 사용한 광원 등과 같은 형광검사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해야 합니다. 그러나 보석의 크기는 형광검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기록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천연 호박을 플라스틱 모조 호박으로부터 구별해 낼수 있는 용액과 그 반응은?

  1. 증유수에 뜬다.
  2. 포화염수에 뜬다.
  3. 포화염수에 가라앉는다.
  4. 비중 2.57용액에 가라앉는다.
(정답률: 92%)
  • 천연 호박은 물과 접촉하면 떠오르지 않고 가라앉습니다. 반면, 플라스틱 모조 호박은 포화염수에 뜨게 됩니다. 이는 플라스틱 모조 호박이 물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액에 천연 호박이 가라앉고 플라스틱 모조 호박이 포화염수에 뜨는 것을 이용하여 두 가지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접안렌즈의 배율이 X10 이고 대물렌즈의 배율이 X2라면이 현미경의 전체배율은?

  1. 5배
  2. 8배
  3. 12배
  4. 20배
(정답률: 100%)
  • 전체배율은 접안렌즈의 배율과 대물렌즈의 배율을 곱한 값이므로, 10 X 2 = 20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보석가공기법

46. 자외선 램프가 꺼진 후에도 보석이 계속해서 빛을 발하는 것은?

  1. 형광
  2. 인광
  3. 북일광
  4. 백색냉광
(정답률: 100%)
  • 보석은 자외선 램프에서 자외선을 받아 활성화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자외선이 없어져도 일정 시간 동안 빛을 발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인광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같은 부피의 물보다 광물이 몇 배 더 무거운가를 나타내는 것은?

  1. 중량
  2. 밀도
  3. 물의 중량
  4. 비중
(정답률: 92%)
  • 비중은 물의 밀도를 기준으로 광물의 밀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같은 부피의 물과 광물을 비교할 때, 광물의 비중이 더 높다면 물보다 더 무거운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중량은 무게를 나타내는 값이고,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물의 중량은 물의 질량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비중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칼라밴딩과 칼라조닝이 가장 잘 보이도록 하는 조명법은?

  1. 명시야 조명
  2. 암시야 조명
  3. 두상조명
  4. 확산조명
(정답률: 91%)
  • 칼라밴딩과 칼라조닝은 색상의 변화를 강조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가장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명이 적절해야 합니다. 확산조명은 조명을 넓게 분산시켜서 부드럽고 균일한 빛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색상의 변화를 부드럽게 강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산조명이 칼라밴딩과 칼라조닝을 가장 잘 보이도록 하는 조명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투과광을 이용해 흡수스펙트럼을 관찰하기 어려운 보석은?

  1. 터키석
  2. 페리도트
  3. 루비
  4. 지르콘
(정답률: 69%)
  • 터키석은 투과광을 이용해 흡수스펙트럼을 관찰하기 어려운 보석 중 하나입니다. 이는 터키석이 청록색을 띄는데, 이 색은 철, 크로뮴 등의 이온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이온들이 흡수선을 매우 약하게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과광을 이용해 흡수선을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강한 자석으로 감별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적철석과 자철석 구슬
  2. 스타 다이옵사이드와 스타 사파이어
  3. 합성 다이아몬드와 천연 다이아몬드
  4. 페리도트와 신할라이트
(정답률: 66%)
  • 페리도트와 신할라이트는 강한 자석으로 감별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다른 보석들과 달리 자석성을 띄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 보석은?

  1. 호박
  2. 산호
  3. 능망간석
  4. 공작석
(정답률: 63%)
  • 염산은 산성 용액으로, 대부분의 보석은 산성에 의해 부식됩니다. 그러나 호박은 알칼리성을 띄고 있어 염산과 반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호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적절한 보석연마를 하기위한 중요한 요인과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적절한 각(angle)
  2. 비율(proportion)
  3. 위치(orientation)
  4. 구조(construction)
(정답률: 83%)
  • 보석의 구조는 연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보석의 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내부 결함이 있는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연마를 해야 합니다. 반면에 각, 비율, 위치는 모두 연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구조는 비교적 거리가 먼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조각형태 중 음각으로 새긴 형태는?

  1. 화병
  2. 인탈리오
  3. 입상
(정답률: 97%)
  • 인탈리오는 기둥 위에 얹혀진 삼각형 모양의 장식물로, 기둥과 삼각형이 이루는 각이 내각이 아닌 외각인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캐보션 연마시 보석과 돕스틱을 분리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적합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찬물에 담가둔다.
  2. 알콜에 담가 둔다.
  3. 칼로 분리 작업을 한다.
  4. 접착제부분을 열로 가열한다.
(정답률: 80%)
  • 알콜은 보석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변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철과 같이 단단한 바탕 금속에 마치 포목과 같이 미세한 모양의 홈을 쪼음정을 사용하여 촘촘히 쪼아 규칙적으로 거친면을 만들고 그 면위에 전연성이 높은 금,은박판이나 금,은사로 문양을 박아 넣는 기법은?

  1. 절상감
  2. 포목상감
  3. 선상감
  4. 오동상감
(정답률: 77%)
  • 철과 같이 단단한 바탕 금속에 미세한 모양의 홈을 쪼음정으로 촘촘히 쪼아 규칙적으로 거친면을 만들고 그 면위에 전연성이 높은 금,은박판이나 금,은사로 문양을 박아 넣는 기법은 포목상감입니다. 포목상감은 포목이라는 작은 도구를 사용하여 금속 표면에 미세한 홈을 새기고, 그 홈에 금, 은 등의 금속을 박아 넣어 문양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중세시대에는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캐보션 형태의 천연보석을 광택내는데 많이 사용되며, 특히 비취의 광택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산화제이철
  2. 산화크롬
  3. 산화세륨
  4. 실리콘이산화물
(정답률: 89%)
  • 정답은 "산화크롬" 입니다. 산화크롬은 캐보션 형태의 천연보석을 광택내는데 많이 사용되며, 특히 비취의 광택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산화크롬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산화크롬이 비취의 녹색색소인 크로모포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우잉 방법으로 테이블의 비율을 구할 때, 안쪽으로 현저하게 휘어져 있을 경우 테이블의 비율은?

  1. 53%
  2. 60%
  3. 67%
  4. 72%
(정답률: 79%)
  • 보우잉 방법은 테이블의 가장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의 비율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비율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테이블이 안쪽으로 현저하게 휘어져 있을 경우, 가장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 경우 전체적인 비율은 좁은 부분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정답은 53%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라운드 브릴리언트 연마순서로 옳은 것은?

  1. 테이블면 - 거들면 - 퍼빌리언면 - 크라운명
  2. 거들면 - 크라운면 - 테이블면 - 퍼빌리언면
  3. 테이블면 - 크라운면 - 거들면 - 퍼빌리언면
  4. 거들면 - 테이블면 - 크라운면 - 퍼빌리언면
(정답률: 71%)
  • 정답은 "거들면 - 테이블면 - 크라운면 - 퍼빌리언면" 입니다.

    거들면은 다이아몬드의 가장 아래 부분을 말하며, 이 부분을 깎아내어 다이아몬드의 높이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연마해야 합니다.

    테이블면은 다이아몬드의 윗면 중앙에 위치한 가장 큰 면으로, 다이아몬드의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거들면 다음으로 연마해야 합니다.

    크라운면은 다이아몬드의 윗면 중 테이블면을 제외한 부분으로, 다이아몬드의 빛을 균일하게 반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테이블면 다음으로 연마해야 합니다.

    퍼빌리언면은 다이아몬드의 밑면 중앙에 위치한 면으로, 다이아몬드의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장 마지막으로 연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옥 광택시 빠른회전과 무리한 압력에 의해 면이 타게되는데 이때 나타나는 현상은?

  1. 원석의 깨짐
  2. 파손
  3. 백색 반점
  4. 기 포
(정답률: 80%)
  • 옥 광택시 빠른 회전과 무리한 압력에 의해 면이 타게 되면, 결함이 생기게 됩니다. 이 결함은 백색 반점으로 나타나며, 옥의 결함 중에서 가장 흔한 것 중 하나입니다. 이는 옥 내부의 미세한 균열이나 결점이 빛을 반사하여 백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멜레형의 난물림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난발 난물림
  2. 집시 난물림
  3. 이중테 난물림
  4. 신관 난물림
(정답률: 33%)
  • 이중테 난물림은 멜레형의 난물림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두 개의 테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검을 막고 동시에 공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상대방의 방어를 뚫고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전투에서 상대방을 빠르게 제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중테 난물림은 다양한 공격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전략적인 활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