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승강기산업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개론

1.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간접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실린더를 넣는 보호관이 불필요하다.
  2. 승강로는 실린더를 넣는 만큼 넓다.
  3. 실린더를 점검할 수 없다.
  4. 비상정지 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57%)
  •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간접식은 실린더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외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를 넣는 보호관이 필요하지 않으며, 승강로도 실린더를 넣는 만큼 넓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실린더를 점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압 엘리베이터에서는 비상정지 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상부틈 및 피트의 깊이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1. 적재하중
  2. 카의 행정
  3. 승강기 용도
  4. 정격속도
(정답률: 74%)
  • 상부틈 및 피트의 깊이를 정하는 기준은 정격속도입니다. 이는 승강기가 운행될 때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는 최대 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상부틈 및 피트의 깊이는 이 정격속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적재하중, 카의 행정, 승강기 용도는 모두 승강기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상부틈 및 피트의 깊이를 정하는 기준은 정격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설치 시에 레일 브라켓트(Rail Bracket)의 간격을 작게 하면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응력도 및 휨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1. 응력도와 휨도가 모두 작아진다.
  2. 응력도와 휨도가 모두 커진다.
  3. 응력도는 커지고 휨도는 작아진다.
  4. 응력도는 작아지고 휨도는 커진다.
(정답률: 59%)
  • 레일 브라켓트 간격이 작아지면, 레일이 받는 하중이 더 많은 브라켓트에 분산되므로 각 브라켓트에 가해지는 응력과 휨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응력도와 휨도 모두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카가 고장으로 인하여 최하층을 통과하여 피트로 떨어졌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장치는?

  1. 비상정지장치
  2. 제동장치
  3. 완충장치
  4. 조속장치
(정답률: 78%)
  • 완충장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장치로, 카가 고장으로 인하여 최하층을 통과하여 피트로 떨어졌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완충장치"입니다. 비상정지장치는 비상 상황에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장치,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를 감속시키는 장치, 조속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정전 시 예비조명장치의 밝기는 램프중심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에서 측정하여 몇 룩스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
  2. 2
  3. 3
  4. 4
(정답률: 66%)
  • 기존 규정에서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예비조명장치의 밝기는 램프중심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에서 최소 5룩스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했습니다. 하지만 2018년 12월 31일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규정에서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예비조명장치의 밝기는 램프중심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에서 최소 10룩스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전 시 예비조명장치의 밝기는 10룩스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엘리베이터 권상전동기의 제어에서 3상 유도전동기의 입력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인버터 제어)하는 방식은?

  1. 교류 2단속도제어방식
  2. 교류 궤환제어방식
  3. VVVF 제어방식
  4. 워드레오나드방식
(정답률: 68%)
  • VVVF 제어방식은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의 약자로, 입력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모터의 효율성과 정확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엘리베이터 권상전동기와 같은 고속 회전이 필요한 장비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VVVF 제어방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동덤웨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적, 음식물 등 소형화물의 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로서 사람은 탑승할 수 없는 것이다.
  2. 자동차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3. 발판을 동력에 의해 구동시켜 오르내리게 한 것이다.
  4. 발판을 동력에 의해 구동시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74%)
  • 전동덤웨이터는 서적, 음식물 등 소형화물의 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로서 사람은 탑승할 수 없는 것입니다. 즉,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것이며, 사람이 탑승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중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를 현저히 초과하여 과속으로 운전될 때 전원을 차단시켜 엘리베이터 운행을 정지시키는 안전장치는?

  1. 완충기
  2. 세이프티 슈
  3. 종점 스위치
  4. 조속기
(정답률: 74%)
  • 조속기는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과속으로 운전될 때 전원을 차단시켜 엘리베이터 운행을 정지시키는 안전장치입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과속으로 운전될 경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조속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어∙머신에 요구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동작이 원활하고 정숙할 것
  2. 케이지 위에 설치하므로 대형 중량일 것
  3. 동작회수가 엘리베이터 기동회수의 2배나 되므로 보존이 용이할 것
  4. 가격이 저렴할 것
(정답률: 72%)
  • 케이지 위에 설치하는 것은 도어∙머신의 크기와 중량에 대한 요구사항이 아니라 설치 위치에 대한 요구사항이기 때문에, "케이지 위에 설치하므로 대형 중량일 것"은 도어∙머신에 요구되는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승강기의 최대 정원은 1인당 하중을 몇 kg으로 계산한 값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5
  2. 60
  3. 65
  4. 70
(정답률: 78%)
  • 승강기의 최대 정원은 승객들의 몸무게와 승강기의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1인당 하중은 75kg으로 계산하지만, 승객들이 옷을 입고 있거나 짐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더 높은 값으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인당 하중을 65kg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승강기의 최대 정원을 계산하면, 승객들의 총 몸무게를 승강기의 최대 하중에서 나눈 값이 된다. 예를 들어, 승강기의 최대 하중이 1000kg이라면, 최대 정원은 1000kg ÷ 65kg ≈ 15.4명이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대 정원이 15명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로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1 : 1 로핑에서의 로프 장력은 카(또는 균형추)의 중량과 같다.
  2. 2 : 1 로핑에서는 카 정격속도의 2배 속도로 로프가 풀로 구동한다.
  3. 2 : 1 이상의 로핑에 있어서 로프의 수명이 1 : 1에 비해 길어진다.
  4. 2 : 1 이상의 로핑에 있어서 종합효율이 1 : 1에 비해 향상된다.
(정답률: 46%)
  • 정답은 "2 : 1 로핑에서는 카 정격속도의 2배 속도로 로프가 풀로 구동한다." 이다. 이유는 2 : 1 로핑에서는 로프가 카의 이동속도의 2배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는 로프가 두 번 돌아가면서 카를 한 번 이동시키는 구조로, 1 : 1 로핑보다 더 빠른 이동속도를 제공하며, 더 큰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C-1 이나 AC-2 엘리베이터에서 카를 정지 시키는 제동 방법은?

  1. 전동기 계자에 직유를 통전하여 제동한다.
  2. 전자브레이크의 전원을 차단하여 제동한다.
  3. 전동기의 상을 바꾸어 제동시킨다.
  4. 전동기의 회전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제동 시킨다.
(정답률: 64%)
  • AC-1이나 AC-2 엘리베이터에서는 전자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제동한다. 이는 전동기가 회전하는 동안 전자브레이크가 전원을 공급하여 전동기를 제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전자브레이크의 전원을 차단하면 전동기가 멈추게 되어 엘리베이터가 정지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안전하며 신속하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승강기에 카의 위치표시기를 부착하지 않고 주로 홀랜턴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는?

  1. 화물용 엘리베이터
  2. 군관리 방식의 엘리베이터
  3. 자동차용 엘리베이터
  4. 유압식 엘리베이터
(정답률: 69%)
  • 승강기에 카의 위치표시기를 부착하지 않고 주로 홀랜턴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는 군관리 방식의 엘리베이터이다. 이는 군사 시설이나 기타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되며, 카의 위치를 표시하지 않고 홀랜턴을 사용하여 카의 위치를 알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되며, 일반적인 상업용 엘리베이터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주요한 기기로부터 기둥이나 벽까지의 수평거리는 반드시 20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바닥면적은 반드시 승강로 수평투영면적의 1.5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바닥면부터 천장 또는 보의 하부까지의 수직거리는 반드시 1.5m 이상이어야 한다.
  4. 기계실 천장에는 반드시 기기를 양정하기 위한 고리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55%)
  • 기계실 천장에는 반드시 기기를 양정하기 위한 고리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상용 승강기에서 기준층의 호출버튼을 동작시켜 카를 호출하는 비상호출 운전시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하는 장치는?

  1. 카내 비상정지스위치(E-STOP)
  2. 용량초과 감지장치(OVER LOAD)
  3. 세이프티 슈(SAFETY SHOE)
  4. 출입문 광전스위치(SAFETY RAY)
(정답률: 39%)
  • 비상용 승강기에서는 세이프티 슈(SAFETY SHOE)가 필요합니다. 이는 승강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기 내부에 있는 사람이 승강기를 이용할 때 발을 올려놓는 장소에 위치합니다. 승강기가 움직이는 동안 발이 올려져 있어야만 승강기가 움직이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 발이 올려져 있지 않다면 승강기는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는 승강기 내부에 있는 사람이 승강기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카가 층 사이에 갇혀 있을 때 어느 밸브를 열면 카가 하강하는가?

  1. 릴리프밸브
  2. 다운밸브
  3. 업밸브
  4. 스톱밸브
(정답률: 70%)
  • 카가 층 사이에 갇혀 있을 때는 다운밸브를 열면 카가 하강합니다. 이는 다운밸브가 하강을 허용하는 밸브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밸브들은 카가의 상승이나 정지를 위한 밸브이지만, 다운밸브는 카가의 하강을 위한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로프와의 면압이 작아 로프의 수명은 길어지지만 마찰력이 가장 적고 로프의 권부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블랩 방식에 사용되는 도르레 홈의 형상은?

  1. V홈
  2. U홈
  3. T홈
  4. 언더커트홈
(정답률: 63%)
  • U홈은 로프와의 면압이 작아지면서 로프의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고, 마찰력이 가장 적어 로프의 권부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블랩 방식에 사용되는 도르레 홈의 형상으로 선택된 것입니다. V홈은 면압이 크고 마찰력이 높아 로프의 수명이 짧아지고 권부각도 작아지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T홈과 언더커트홈은 U홈보다 면압이 크고 권부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승강로 피트에 출입구를 설치할 수 있는 피트 깊이는?

  1. 1.8m 이상
  2. 2m 이상
  3. 2.5m 이상
  4. 3m 이상
(정답률: 48%)
  • 승강로 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는 보통 1.8m 이상입니다. 따라서 출입구를 설치할 수 있는 피트 깊이는 이보다 높아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여유를 두기 위해 최소한 2m 이상의 깊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완충기의 반경 R 과 길이 L 의 비에 대한 관계로 옳은 것은?

  1. L > 80 R
  2. L > 100 R
  3. L ≦80 R
  4. L ≦ 100 R
(정답률: 10%)
  • 완충기의 반경 R이 클수록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L도 커질 수 있다. 하지만 L이 너무 커지면 완충기의 효과가 떨어지므로 L은 R의 크기에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L ≦ 100 R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8K 가이드 레일의 표준길이 한 본의 무게는 몇 kg 인가?

  1. 18
  2. 36
  3. 80
  4. 90
(정답률: 61%)
  • 18K 가이드 레일의 표준길이는 1본이며, 한 본의 무게는 90kg입니다. 이는 제조사에서 정해진 표준값으로, 가이드 레일의 길이가 늘어나면 무게도 비례적으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2본의 가이드 레일은 180kg, 3본은 270kg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승강기설계

21. 엘리베이터를 설계할 때 지진에 대비한 설계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권상기
  2. 로프류
  3. 조작반
  4. 종점스위치
(정답률: 45%)
  • 엘리베이터가 지진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조작반은 지진과는 관련이 없는 부분으로, 엘리베이터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조작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지진에 대비한 설계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층고가 3.5m, 속도 30m/min, 1200형(스텁폭 : 1000mm)인 국내 표준형 에스컬레이터의 적재 하중은 약 몇 kg 인가?

  1. 1,336
  2. 1,637
  3. 1,984
  4. 2,113
(정답률: 42%)
  • 에스컬레이터의 적재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적재 하중 = 층고 × 속도 × 1200형 스텝폭 × 1/3

    = 3.5 × 30 × 1000 × 1/3

    = 35,000 kg

    하지만, 이 값은 승강기 안전 규격에 따라 1.5배의 여유를 두어야 하므로,

    적재 하중 = 35,000 × 1.5

    = 52,500 kg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63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카 내부 조명의 조도는 일반적으로 몇 lx 이상으로 하는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률: 44%)
  • 카 내부 조명의 조도는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00lx 이상으로 유지됩니다. 이는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하고, 안전운전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F,G,C형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차작동형 비상정지창치의 일종이다.
  2. 레일을 죄는 힘은 동작시부터 정지시까지 일정하다.
  3. 구조가 간단하나 복귀가 어렵고 설치공간이 커야 한다.
  4. 속도 60m/min 이상에 사용된다.
(정답률: 63%)
  • F,G,C형 비상정지장치는 점차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일종이며, 레일을 죄는 힘은 동작시부터 정지시까지 일정합니다. 하지만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귀가 어렵고 설치공간이 커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이 비상정지장치는 속도 60m/min 이상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나 복귀가 어렵고 설치공간이 커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70%)
  •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구하는 식은 N = 120f/P 이다. 여기서 N은 회전속도, f는 전원주파수, P는 폴의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이다. 이는 폴의 수가 고정되어 있을 때 전원주파수가 증가하면 회전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스프링완충기의 설계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정격하중
  2. 정격속도
  3. 엘리베이터의 용도
  4. 카자중
(정답률: 62%)
  • 스프링완충기는 엘리베이터의 용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부품이기 때문에 설계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스프링완충기는 엘리베이터의 이동 중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완충하여 안정적인 이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용도는 스프링완충기 설계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예비전원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2. 일반용엘리베이터와 동작을 연계시키도록 한다.
  3. 보수가 용이하도록 전선 등은 노출 배선토록 한다.
  4.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비상시에도 작동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예비전원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정전 등의 상황에서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일반용 엘리베이터와 동작을 연계시키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전선 등을 노출 배선토록 하는 것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안전상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편의상이며, 필수적인 요건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카 레일과 균형추 레일을 공용하여 하나의 브래킷으로 사용하는 경우 벽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몇 m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700
  2. 800
  3. 900
  4. 1,000
(정답률: 43%)
  • 카 레일과 균형추 레일을 공용하여 하나의 브래킷으로 사용하는 경우, 브래킷의 높이는 카 레일과 균형추 레일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야 합니다. 이 거리는 약 700mm 정도이므로, 브래킷의 높이는 700mm 이하로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엘리베이터의 조명전원을 설계할 때 인입선의 굵기 산정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선의 기계적 강도
  2. 전선로의 허용전류
  3. 누설전류
  4. 허용전압강하
(정답률: 69%)
  • 엘리베이터의 조명전원은 일반적으로 저전력이므로 누설전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입선의 굵기 산정에는 누설전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교류에 대한 속도제어 방법 중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켜 제어하는 교류제어방식은?

  1. 교류 1단 제어
  2. 교류 2단 제어
  3. 교류 궤환 제어
  4.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정답률: 70%)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은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켜 제어하는 방식으로, 전압과 주파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방식에 비해 더욱 정확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이 방식은 모터의 부하나 속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하여 최적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중앙개폐식(CO)일 때 타는 곳의 문은 (Ⓐ)cm 이내까지 닫혀졌을 때 기동하고, 또한 타는 곳에서는 (Ⓑ)cm 이상 열려지지 않아야 한다.“ Ⓐ, Ⓑ에 알맞은 것은?

  1. Ⓐ 2, Ⓑ 5
  2. Ⓐ 2, Ⓑ 2
  3. Ⓐ 5, Ⓑ 2
  4. Ⓐ 5, Ⓑ 5
(정답률: 35%)
  • CO(Central Opening)일 때는 문이 중앙에서 열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문이 열린 상태에서도 타는 곳과 문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 5cm 이상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는 5가 되어야 한다. 또한, 문이 닫혀있을 때 타는 곳과 문 사이의 거리가 최대한 5cm 이내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5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5, Ⓑ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권상용 와이어 로프를 승강기에 적용 시킬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직경은 공칭지름 6mm 이상으로 사용할 것
  2. 단부는 1본마다 강제 소켓트에 바비트 채움 또는 클램프 고정으로 할 것
  3. 승객용일 때 안전율은 10 이상으로 한다.
  4. 카 1대에 대해 3본 이상이나 권동식일 때는 2본 이상이다.
(정답률: 57%)
  • "직경은 공칭지름 6mm 이상으로 사용할 것"은 와이어 로프가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승강기는 매우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는 장비이므로, 로프가 부서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공칭지름 6mm 이상의 와이어 로프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압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압 엘리베이터 기계실은 전용실로 구획한다.
  2. 기계실의 위치는 최상층으로 하여야 한다.
  3. 콘센트의 부착높이는 기름방벽보다 높게 한다.
  4. 기계실은 내화구조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72%)
  • "기계실의 위치는 최상층으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유압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위치는 최하층에 위치해야 한다. 이는 유압 엘리베이터의 작동 원리 때문인데, 유압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에 있는 유압기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빈을 들어올린다. 따라서 기계실이 최하층에 위치해야 유압기가 엘리베이터 카빈을 들어올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권상기에 적용되는 주로프(Maim Rope)가 ø16일 때 다음 중 권상기 도르레의 직경으로 사용하여도 되는 것은?

  1. ø400
  2. ø480
  3. ø520
  4. ø760
(정답률: 59%)
  • 주로프의 직경이 ø16이므로, 권상기 도르레의 직경은 주로프의 직경의 47.5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ø400, ø480, ø520은 모두 주로프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ø760은 주로프의 직경의 47.5배 이상이므로 권상기 도르레의 직경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브레이크의 용량을 계산할 때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요소는?

  1. 마찰계수
  2. 브레이크 드럼의 속도
  3. 브레이크 제동압력
  4.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
(정답률: 50%)
  • 브레이크의 용량을 계산할 때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이 작아도 브레이크 제동압력과 마찰계수가 높다면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은 브레이크 용량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카 무게 1,500kg, 적재량 1,000kg, 제어케이블 무게 50kg, 오버밸런스율 45% 일 경우 균형추 무게는 몇 kg인가?

  1. 1,950
  2. 1,975
  3. 2,050
  4. 2,075
(정답률: 49%)
  • 오버밸런스율은 적재량 대비 카의 무게 중 얼마나 많은 부분이 균형추로 채워져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오버밸런스율이 45%이면 균형추는 적재량의 45%만큼이 필요합니다.

    적재량이 1,000kg이므로 균형추의 무게는 1,000kg의 45%인 450kg입니다. 하지만 제어케이블의 무게도 고려해야 하므로 450kg에 제어케이블의 50kg을 더한 500kg이 균형추의 총 무게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975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엘리베이터의 배열이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3대의 그룹에 대해서는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가장 좋다.
  2. 4대의 그룹에 대해서는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가장 좋다.
  3. 6대의 그룹에 대해서는 3대씩 2줄로 배열하는 것이 가장 좋다.
  4. 8대의 그룹에 대해서는 4대씩 2줄로 배열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답률: 73%)
  • 4대의 그룹에 대해서는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가장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효율적인 이동: 4대의 그룹은 일렬로 배열하면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이동이 효율적이다. 모든 승객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이동하는 시간이 최소화된다.

    2. 대기 시간 감소: 4대의 그룹을 일렬로 배열하면 대기 시간이 감소한다. 모든 승객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는 빈도가 높아진다.

    3. 혼잡도 감소: 4대의 그룹을 일렬로 배열하면 엘리베이터 내부의 혼잡도가 감소한다. 승객들이 일렬로 서 있기 때문에 서로 밀어내지 않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4대의 그룹에 대해서는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인버터 방식의 엘리베이터에서 고조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2. 기계실 주변에 TV 안테나 설치를 멀리한다.
  3. 승강기 전용 변압기를 설치 사용한다.
  4. 인버터 장치와 각종 통신기기 혹은 제어라인 등의 접지선을 각각 독립 배선한다.
(정답률: 62%)
  • 누전차단기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기를 차단하여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버터 방식의 엘리베이터에서 고조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은 전기적인 안전을 보장하면서 고조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기계실 주변에 TV 안테나 설치를 멀리하거나 승강기 전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것은 고조파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며, 인버터 장치와 각종 통신기기 혹은 제어라인 등의 접지선을 각각 독립 배선하는 것은 전기적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고조파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의 안전장치 중에서 운행구간을 초과하여 운행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리미트 스위치
  2. 완충기
  3. 감속스위치
  4.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
(정답률: 37%)
  •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는 운행구간을 초과하여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승하는 경사에서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안전장치들은 운행구간을 초과하여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격속도 90m/min인 유입완충기의 필요 최소 행정은 몇 mm인가?

  1. 138
  2. 152
  3. 186
  4. 197
(정답률: 53%)
  • 유입완충기의 정격속도는 90m/min 이므로, 1분에 90m의 길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유입완충기의 필요 최소 행정은 유체가 흐르는 동안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공간입니다. 이 공간의 크기는 유체의 속도와 밀도, 그리고 유입완충기의 설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인 "152"는 유입완충기의 설계에 따라 결정된 값으로, 다른 보기와 비교하여 가장 적절한 값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일반기계공학

41. 저항 점용접법은 사용이 간편하고 용접 자동화가 용이하므로 자동차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 되고 있다. 이러한 점용접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피로시험
  2. 마멸시험
  3. 비틀림 시험
  4. 인장시험
(정답률: 54%)
  • 점용접은 단일 점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멸시험과 같은 표면 결함 검사 방법은 적용이 어렵다. 마멸시험은 용접 부위의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용접 부위를 마멸시켜 결함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점용접은 단일 점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멸시험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마멸시험은 점용접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 시키는 기어는?

  1. 스큐우 기어
  2. 래크와 피니언
  3. 인터어널 기어
  4. 크라운 기어
(정답률: 75%)
  • 래크와 피니언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로, 래크는 일정한 간격으로 높은 치수의 이빨을 가진 기어이고, 피니언은 래크와 맞물려 회전하며 작은 치수의 이빨을 가진 기어입니다. 이 두 기어가 맞물리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압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유 저장용의 용기로 어큐뮬레이터라고도 하는 유압 부속기기는?

  1. 축압기
  2. 유압 필터
  3. 증압기
  4. 유압 유니트
(정답률: 64%)
  • 어큐뮬레이터는 유압장치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파동을 완화하여 유압장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부속기기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축압력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축압기가 정답입니다. 유압 필터는 유압유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속기기이고, 증압기는 유압유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속기기입니다. 유압 유니트는 유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속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 및 동합금에 관한 다음 설명 중 바른 것은?

  1. 황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이다.
  2. 전기 전도율이 은(Ag) 다음으로 크다.
  3. 청동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이다.
  4. 인청동은 내마멸성이 나쁘며 베어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5%)
  • 정답: "전기 전도율이 은(Ag) 다음으로 크다."

    이유: 황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구리의 전기 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전기 전도율이 높다. 구리는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며, 전기를 잘 통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황동도 전기 전도율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와셔의 사용목적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볼트의 구멍의 지름이 볼트보다 너무 클 때
  2. 볼트가 받는 전단응력을 감소시키려 할 때
  3. 볼트 시트 면의 재료가 약해서 넓은 면으로 지지하여야 할 때
  4. 진동이나 회전이 있는 곳의 볼트나 너트의 풀림 방지
(정답률: 41%)
  • 와셔는 볼트와 너트 사이에 끼워져 전단응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볼트가 받는 전단응력을 감소시키려 할 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반면에 볼트의 구멍의 지름이 볼트보다 너무 클 때는 와셔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볼트 시트 면의 재료가 약해서 넓은 면으로 지지하여야 할 때는 와셔 대신 강화된 재료로 만들어진 특수한 와셔를 사용해야 합니다. 진동이나 회전이 있는 곳의 볼트나 너트의 풀림 방지에도 와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장강도가 4200 kgf/mm2 인 연강봉이 있다.안전율이 10이면 허용 응력은 몇 kgf/mm2인가?

  1. 42000
  2. 42
  3. 280
  4. 420
(정답률: 74%)
  • 허용 응력 = 인장강도 / 안전율 = 4200 / 10 = 420 (kgf/mm^2)

    안전율은 재료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값으로, 허용 응력은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안전율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인장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값인 420이 허용 응력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유압의 기초적인 원리라 할 수 있는 파스칼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체의 압력은 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
  2. 각 점에서의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같다.
  3. 가한 압력은 유체각부에 같은 세기로 전달된다.
  4. 유체의 압력은 압력을 직접 받는 면이 가장 크다.
(정답률: 68%)
  • "유체의 압력은 압력을 직접 받는 면이 가장 크다."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유체의 압력은 면에 직각으로 작용하며, 각 점에서의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같습니다. 가한 압력은 유체각부에 같은 세기로 전달되며, 이는 파스칼의 원리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유체의 압력은 압력을 직접 받는 면이 가장 크다는 것도 파스칼의 원리에 따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50,000kgf-cm의 굽힘 모멘트를 받는 단순보의단면계수가 100cm3이면 이 보에 발생 되는 굽힘 응력(kgf/cm2)은?

  1. 250
  2. 500
  3. 750
  4. 1000
(정답률: 81%)
  • 굽힘 응력은 M / W * y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M은 굽힘 모멘트, W는 단면계수, y는 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입니다. 따라서 굽힘 응력은 50,000 / (100 * 100) * (1/2) = 500 (kgf/cm^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소성가공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인발가공
  2. 압출가공
  3. 전단가공
  4. 밀링가공
(정답률: 53%)
  • 밀링가공은 소성가공의 종류가 아니라 기계가공의 하나로, 회전하는 커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따라서 정답은 "밀링가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냉간 가공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공면이 매끄럽고 곱다.
  2. 가공도가 크다.
  3. 연신율이 작아진다.
  4. 제품의 치수가 정확하다.
(정답률: 39%)
  • 냉간 가공의 특징 중 "가공도가 크다"는 오히려 틀린 내용입니다. 냉간 가공은 금속을 고온에서 가공하는 열간 가공과 달리, 금속을 상온에서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가공도가 크다는 것은 금속이 매우 얇아지거나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냉간 가공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금속재료의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비중
  2. 열전도율
  3. 취성
  4. 선팽창계수
(정답률: 54%)
  • 취성은 금속재료의 화학적 성질 중 하나로, 다른 물질과의 반응성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물리적 성질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취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니버셜 이음(universal ioint)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2축이 평행하고 있을 때에 사용하는 클러치 이다.
  2. 2축이 직교할 때에 사용되고 운전 중 단속할 수 있다.
  3. 2축이 교차하고 있을 때에 사용하는 크랭크 축이다
  4. 2축이 교차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커플링의 일종이다.
(정답률: 63%)
  • 유니버셜 이음은 2축이 교차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커플링의 일종입니다. 이는 두 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사용되며, 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유니버셜 이음이 사용되어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압출가공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속이 빈 용기를 만드는 데는 충격압출이 적합하다.
  2. 압출에 의한 표면 결함은 소재온도와 가공 속도를 늦춤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3. 단면의 형태가 다양한 직선, 곡선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
  4. 납 파이프나 건전지 케이스를 생산하는데 적합하다.
(정답률: 46%)
  • 압출가공은 소재를 압축하여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재를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단면의 형태가 다양한 직선, 곡선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러한 연속적인 가공 과정에서 소재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출가공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적합하며, 납 파이프나 건전지 케이스와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도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어에서 언더컷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1. 잇수비가 아주 클 때
  2. 잇수가 많을 때
  3. 이 끝이 둥글 때
  4. 이 끝 높이가 클 때
(정답률: 69%)
  • 기어에서 언더컷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잇수비가 아주 클 때입니다. 이는 기어의 이빨과 이빨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서 기어가 움직일 때 이빨이 서로 충돌하게 되어 발생합니다. 이는 기어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기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6306 레이디얼 볼베어링의 안지름은?

  1. 6mm
  2. 30mm
  3. 12mm
  4. 36mm
(정답률: 49%)
  • 레이디얼 볼베어링의 안지름은 내부 공간의 지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내부 공간의 지름이 30mm인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화염온도가 가장 높고 발열량에 비하여 가격도 저렴하여 가스용접에 많이 사용하는 가스는?

  1. 수소
  2. 프로판
  3. 일산화탄소
  4. 아세틸렌
(정답률: 66%)
  • 아세틸렌은 화염온도가 가장 높아서 금속을 높은 온도로 용접할 수 있고, 발열량이 높아서 용접 시간이 짧아지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여 가스용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잇수가 40개, 모듈 4인 표준기어를 깎고자 할 때 기어 바깥의 지름은 몇 mm인가?

  1. 84
  2. 120
  3. 160
  4. 168
(정답률: 46%)
  • 잇수가 40개이므로 한 바퀴를 돌기 위해 필요한 모듈 4인 기어의 톱니 수는 40 × 2 = 80개이다. 기어 바깥의 지름은 톱니 수에 모듈을 곱한 후 2를 곱하면 된다. 따라서, 기어 바깥의 지름은 80 × 4 × 2 = 640mm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모두 mm 단위가 아니므로, 640을 보기에서 주어진 값으로 나누어 보면 640 ÷ 4 = 160, 640 ÷ 5 = 128, 640 ÷ 6 = 106.67, 640 ÷ 8 = 80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0이 아니라 16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어의 각부 명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피니언 : 서로 물리는 2개의 기어 중 작은 것
  2. 원주 피치 : 피치 원주에서 측정한 하나의 이 에서 다음 이까지의 거리
  3. 모듈 : 피치원 지름을 잇수로 나눈 값
  4. 지름 피치 : 기어의 잇수를 이뿌리 원으로 나눈 값
(정답률: 55%)
  • 지름 피치는 기어의 잇수를 지름으로 나눈 값이 맞습니다. 이는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지름 피치가 큰 기어는 더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름 피치 : 기어의 잇수를 이뿌리 원으로 나눈 값"이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강화유리란 보통판유리를 600゚C 정도의 가열온도로 열처리한 것인데 다음 중 그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유리파편의 결정질이 크다.
  2. 유리의 강도가 크다.
  3. 곡선유리의 자유화가 쉽다.
  4. 안전성이 높다.
(정답률: 50%)
  • 답: "곡선유리의 자유화가 쉽다."

    강화유리는 열처리로 인해 내부 응력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유리파편이 깨지더라도 작은 조각으로 깨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리파편의 결정질이 크다."와 "유리의 강도가 크다." 그리고 "안전성이 높다."는 강화유리의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곡선유리의 자유화가 쉽다."는 강화유리의 특징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설명]
    - 유리파편의 결정질이 크다: 강화유리는 열처리로 인해 내부 응력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유리파편이 깨지더라도 작은 조각으로 깨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유리의 강도가 크다: 강화유리는 일반적인 유리보다 강도가 높습니다.
    - 곡선유리의 자유화가 쉽다: 곡선형으로 가공된 유리를 강화할 때, 자유화 과정에서 유리가 깨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안전성이 높다: 강화유리는 깨졌을 때 작은 조각으로 깨지는 경향이 있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일반적으로 황동에 구멍 뚫기 작업에 사용하는 드릴의 날끝 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90゚ ~ 120゚
  2. 118゚
  3. 100゚
  4. 60゚
(정답률: 64%)
  • 황동은 연성이 높은 재질로, 드릴의 각도가 너무 낮으면 재료가 끌어올려져서 구멍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각도가 너무 높으면 드릴이 재료를 제대로 깎아내지 못하고 미끄러져서 구멍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황동에 구멍 뚫기 작업에 사용하는 드릴의 날끝 각은 90도에서 120도 사이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각도는 118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다음 중 단위계단 함수 u(t)의 그래프는?

(정답률: 72%)
  • 정답은 ""이다.

    단위계단 함수 u(t)는 t=0에서부터 1의 값을 가지며, 그 이전에는 0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그래프는 x축에서 t=0을 기준으로 y값이 0에서 1로 급격하게 변하는 형태를 띤다. 이를 계단 모양으로 나타낸 것이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동제어계의 안정성의 척도가 되는 양은?

  1. 감쇠비
  2. 오차
  3. 오버 슛(over shoot)
  4. 지연시간
(정답률: 64%)
  • 자동제어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척도는 오버 슛(over shoot)입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의 출력이 목표값을 초과하여 일시적으로 과도한 반응을 보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오버 슛은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며,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안정적인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은 회로도의 논리식은 어떻게 되는가?

(정답률: 58%)
  • 이 회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C가 1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됩니다. 이 두 출력이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A와 B가 모두 1이고 C도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회로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

  1. 25
  2. 30
  3. 35
  4. 50
(정답률: 48%)
  • 이 회로에서, R1과 R2는 직렬 연결되어 15Ω의 합성저항을 이루고, R3과 R4도 직렬 연결되어 10Ω의 합성저항을 이룬다. 그리고 R5와 R6은 병렬 연결되어 20Ω의 합성저항을 이룬다. 이제, 15Ω과 10Ω의 합성저항은 병렬 연결되어 전체 회로의 합성저항은 (15*10)/(15+10) = 6Ω이 된다. 그리고 이 6Ω과 20Ω의 합성저항은 다시 직렬 연결되어 전체 회로의 합성저항은 6Ω+20Ω = 26Ω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변압기의 정격 1차 전압의 의미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정격 2차 전압에 권수비를 곱한 것이다.
  2. 1/2부하를 걸었을 때의 1차 전압이다.
  3. 무부하일 때의 1차 전압이다.
  4. 정격 2차 전압에 효율을 곱한 것이다.
(정답률: 61%)
  • 변압기의 정격 1차 전압은 변압기가 설계된 목적에 따라 결정되는 전압으로, 이를 기준으로 변압기의 다른 성능 지표들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정격 2차 전압은 변압기의 2차 측 전압이 정격 상태에서의 값으로, 이 값에 권수비를 곱한 것이 정격 1차 전압입니다. 권수비는 변압기의 1차와 2차 측의 각각의 코일에 감긴 선의 수 비율을 의미하며, 이를 곱함으로써 2차 측의 전압을 1차 측으로 변환한 값이 정격 1차 전압이 됩니다. 따라서 "정격 2차 전압에 권수비를 곱한 것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서보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역운전이 가능하다.
  2. 직류용은 없고 교류용만 있다.
  3. 급가속 및 급감속이 용이하다.
  4. 속응성이 대단히 높다.
(정답률: 72%)
  • 서보전동기에 대한 설명 중 "직류용은 없고 교류용만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서보전동기는 직류용과 교류용 모두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떤 제어계통을 부궤환 제어계통으로 만들면 오픈 루프(open loop)시스템 때보다 루프이득은 일반적인 경우 어떻게 되는가?

  1. 불변이다.
  2. 증가한다.
  3.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4. 감소한다.
(정답률: 54%)
  • 부궤환 제어계통은 피드백 루프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 때, 루프이득은 피드백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게인으로,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부궤환 제어계통에서는 피드백 루프를 통해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루프이득은 피드백 신호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게 된다.

    오픈 루프 시스템에서는 피드백 루프가 없기 때문에 루프이득이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부궤환 제어계통에서는 피드백 루프가 존재하기 때문에 루프이득이 변화하게 된다. 이 때, 루프이득이 증가하면 시스템의 안정성이 감소하고, 반대로 루프이득이 감소하면 시스템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부궤환 제어계통에서는 루프이득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루프이득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피드백 루프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R - C 직렬회로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60%)
  • R - C 직렬회로의 임피던스는 Z = R + 1/(jωC) 이다.

    정답인 ""은 위 식에서 jωC의 역수를 취한 것이다. 이는 C가 커질수록 jωC의 역수가 작아지므로 전체적인 임피던스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C가 커질수록 전체적인 회로의 임피던스는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NAND 논리소자에 대한 진리표의 출력을 A 에서 D 까지 옳게 표현한 것은? (단, L 은 Low 이고, H 는 High 이다.)

  1. A = L, B = H, C = H, D = H
  2. A = L, B = L, C = H, D = H
  3. A = H, B = H, C = H, D = L
  4. A = L, B = L, C = L, D = H
(정답률: 55%)
  • NAND 논리소자는 입력이 모두 H 일 때에만 출력이 L 이 되는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A, B, C 가 모두 H 일 때, NAND 논리소자의 출력인 D 는 L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A = H, B = H, C = H, D = 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목표값이 임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동조정
  2. 추치제어
  3. 서보기구
  4. 비율제어
(정답률: 47%)
  • 서보기구는 목표값이 변화할 때 그에 따라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자동조정은 시스템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의미하고, 추치제어는 목표값과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제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율제어는 입력과 출력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콘덴서만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 관계는?

  1. 전압이 전류보다 180도 앞선다.
  2. 전압이 전류보다 180도 뒤진다.
  3. 전압이 전류보다 90도 앞선다.
  4. 전압이 전류보다 90도 뒤진다.
(정답률: 64%)
  • 콘덴서는 전기적으로 축적된 전하를 저장하는데, 이는 전압이 먼저 증가하고 그 후에 전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압이 전류보다 90도 뒤진다. 이는 콘덴서가 용량성 부하임을 나타내며, 용량성 부하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가 90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출력 1kw, 효율 80%인 유도 전동기의 손실은 몇 W인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률: 33%)
  • 유도 전동기의 효율이 80%이므로 출력 1kw 중 20%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손실은 1kw x 0.2 = 200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50"도 있으므로, 이는 문제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계측기의 제동장치가 될 수 있는 것은?

  1. 공기제동
  2. 전자제동
  3. 와류제동
  4. 베어링제동
(정답률: 37%)
  • 베어링제동은 회전하는 축을 제동하는 방식으로, 회전 중인 기계나 장치의 속도를 측정하거나 제어할 때 사용됩니다. 회전 중인 축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를 감속시키는 방식으로 제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계측기의 제동장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 공기제동은 공기를 이용하여 제동하는 방식으로, 전자제동은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제동하는 방식이며, 와류제동은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제동하는 방식입니다. 이들은 계측기의 제동장치로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유도전동기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1. 조상기 병렬접속
  2. 콘덴서 병렬접속
  3. 조상기 직렬접속
  4. 콘덴서 직렬접속
(정답률: 75%)
  • 유도전동기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도전동기의 리액턴스를 감소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콘덴서 병렬접속 방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콘덴서를 유도전동기와 병렬로 연결하면,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유도전동기의 리액턴스가 감소하게 되어 전력인자가 개선됩니다. 이는 유도전동기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력 손실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단위 S 는 무엇을 나타내는 단위인가?

  1. 컨덕턴스
  2. 리액턴스
  3. 자기저항
  4. 도전률
(정답률: 50%)
  • 단위 S는 전도도(Conductance)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전도도란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측정하거나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도도를 측정하고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사용되는 단위가 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은 전동기 속도제어의 한 방법이다. 전동기가 최대 출력을 낼 때, 다이리스터의 점호각은 몇 rad 이 되는가?

  1. 0
  2. π/6
  3. π/2
  4. π
(정답률: 39%)
  • 정답은 "0"이다.

    다이리스터는 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로, 전류가 양 끝에서 흐르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그림에서 다이리스터는 전류를 제어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전동기가 최대 출력을 내기 위해서는 전류가 최대로 흐르는 상태여야 한다. 이때 다이리스터의 점화각은 0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다이리스터가 점화되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점화각이 0일 때 전류가 최대로 흐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동기가 최대 출력을 낼 때 다이리스터의 점화각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제어계의 입력과 출력이 서로 독립적인 제어계에 해당되는 것은?

  1. 피드백 제어계
  2. 자동제어 제어계
  3. 개루프 제어계
  4. 페루프 제어계
(정답률: 43%)
  • 개루프 제어계는 입력과 출력이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제어계의 출력이 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개루프 제어계는 입력과 출력이 서로 독립적인 제어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센서용 검출변환기 중 전압변화용 센서가 아닌 것은?

  1. 압전형
  2. 열지전력형
  3. 광전형
  4. 전리형
(정답률: 34%)
  • 전압변화용 센서는 입력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전리형은 전압변화용 센서가 아니라 다른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센서이다. 전리형 센서는 전자기장, 자기장, 음파 등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 I 제어동작은 프로세스제어계의 정상특성 개선에 흔히 사용된다. 이것에 대응하는 보상요소는?

  1. 동상 보상요소
  2. 지상 보상요소
  3. 진상 보상요소
  4. 지진상 보상요소
(정답률: 70%)
  • P I 제어동작에서는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의 차이를 계산하여 오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제어를 조절한다. 이때, 오차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므로 목표 상태에 도달할 때마다 보상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보상요소는 지상 보상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전류의 화학작용을 이용하지 않은 것은?

  1. 전기도금
  2. 전지
  3. 전해연마
  4. 형광등
(정답률: 57%)
  • 형광등은 전류의 화학작용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전기가 흐르면서 수은증기와 아르곤 가스가 혼합된 가스가 방전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이 자외선이 형광체에 닿아 빛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