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9-04)

승강기산업기사
(2005-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개론

1. 카 문지방(car sill)과 승강로 벽과의 틈새는 몇㎝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5
  2. 12.5
  3. 14.5
  4. 16.5
(정답률: 77%)
  • 카 문지방과 승강로 벽과의 틈새는 최대 12.5c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장애물 없이 휠체어나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5cm나 14.5cm, 16.5cm는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엘리베이터의 꼭대기 틈새의 개념으로 맞는 것은?

  1. 카를 최상층에 정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의 천장과 승강로 천장부와의 수직거리
  2. 카를 최상층에 정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위에서 최고 높이 장착된 부품과 승강로 천장부와 의 수직거리
  3. 카를 최상층에 정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의 상부체대와 승강로 천장부와의 수직거리
  4. 카를 최상층에 정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의 가이드 슈와 승강로 천장부와의 수직거리
(정답률: 44%)
  • 엘리베이터의 꼭대기 틈새는 카를 최상층에 정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의 상부체대와 승강로 천장부와의 수직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최상층에 도달하여 멈춘 상태에서 카와 천장부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승객용 엘리베이터에서 로프를 2 : 1 로 걸었을때 카의 속도와 균형추의 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와 균형추의 속도가 같다.
  2. 카가 균형추보다 빠르다.
  3. 균형추가 카보다 빠르다.
  4. 하강할 때는 균형추가, 상승할 때는 카가 빠르다.
(정답률: 74%)
  • 정답: 카와 균형추의 속도가 같다.

    로프를 2 : 1로 걸면 카와 균형추 사이의 힘의 비율은 2 : 1이 되므로, 카와 균형추의 무게가 같다면 카와 균형추의 가속도도 같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카와 균형추의 속도는 항상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실린더의 안전율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40%)
  •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실린더의 안전율은 최소 4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에도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전율이 낮을 경우,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멈추거나 추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율이 높을수록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이 높아지며, 4 이상의 안전율은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수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스프링완충기의 적용 범위는?

  1. 정격속도 45m/min 이하
  2. 정격속도 60m/min 이하
  3. 정격속도 60~90m/min 이하
  4. 정격속도 90~105m/min 이하
(정답률: 77%)
  • 스프링완충기는 기계의 충격을 완충하여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스프링완충기는 정격속도가 높을수록 충격을 완충하지 못하고 파손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완충기의 적용 범위는 정격속도 60m/min 이하로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카의 상승시 유압이 이상하게 증대한 경우에, 작동압력이 상용압력의 몇 배를 초과하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작동을 개시하고, 작동압력이 상용압력의 1.5배를 초과 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1 배
  2. 1.15 배
  3. 1.2 배
  4. 1.25 배
(정답률: 72%)
  •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카의 상승시 유압이 이상하게 증대하면 작동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동압력이 상용압력의 몇 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런데 작동압력이 너무 낮으면 엘리베이터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동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을 개시해야 합니다. 이 때 작동압력이 상용압력의 1.5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하지만 작동압력이 1.5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너무 엄격한 제한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동압력이 상용압력의 1.25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절한 선택입니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작동압력이 너무 낮아서 엘리베이터가 움직이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 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승강기용 전동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동토크가 일반 전동기보다 일반적으로 커야한다.
  2. 최소 회전력은 +100%에서 -70%이상이어야 한다.
  3. 회전속도 오차는 ±20%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4. 기동 빈도가 높아서 일반 전동기보다 발열량이 많다.
(정답률: 46%)
  • "회전속도 오차는 ±20%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승강기용 전동기는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해 회전속도 오차가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이유는 회전속도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승강기의 정확한 위치 제어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승강기용 전동기의 회전속도 오차는 ±20%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엘리베이터를 3~8대 병설하여 운행관리하며, 출퇴근시의 피큼수요, 점심시간 및 회의 종료 시 등에 특정 층의 혼잡등을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서비스층을 분할하거나 집중적으로 카를 배치운 행하는 조작방식은?

  1. 하강승합전자동식
  2. 승합전자동식
  3. 군승합전자동식
  4. 군관리방식
(정답률: 84%)
  • 군관리방식은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하여 특정 층의 혼잡도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적절한 서비스층을 분할하거나 집중적으로 카를 배치하여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군관리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교류 일단 속도제어
  2. 교류 이단 속도제어
  3. 교류 궤환 전압제어
  4. 교류 궤환 저항제어
(정답률: 87%)
  • 교류 궤환 저항제어는 존재하지 않는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궤환 저항제어는 직류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관성에 의한 전동기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제지하는 안전장치는 무엇인가?

  1. 브레이크
  2. 조속기
  3. 완충기
  4. 비상정지장치
(정답률: 62%)
  • 브레이크는 회전하는 전동기의 회전을 감속시켜 제동하는 장치로, 관성에 의해 회전하는 전동기를 자동적으로 제지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가 안전장치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조속기는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 완충기는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 비상정지장치는 비상 상황에서 기계를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도어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세이프티 슈
  2. 광전장치
  3. 초음파 장치
  4. 역 결상 검출 장치
(정답률: 68%)
  • 역 결상 검출 장치는 도어 안전장치가 아닙니다. 이는 전기 회로에서 전류의 방향이 바뀌어 생기는 문제를 감지하는 장치로, 도어 안전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세이프티 슈, 광전장치, 초음파 장치는 모두 도어 안전장치의 일종으로, 문이나 차량의 창문 등이 열리거나 닫힐 때 감지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에스컬레이터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다림 없이 연속적으로 승객 수송이 가능하다.
  2. 엘리베이터에 비해 수송능력이 7 ~ 10배 이다.
  3. 하중이 건축물의 각 층에 분담되어 있다.
  4. 사용 전력량이 많지만 전동기의 전동 회수는 엘리베이터에 비해 극히 적다.
(정답률: 81%)
  • "사용 전력량이 많지만 전동기의 전동 회수는 엘리베이터에 비해 극히 적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에스컬레이터는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동기의 회전수가 높아 전력 소비가 많습니다. 따라서 사용 전력량이 엘리베이터보다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카의 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정격속도의 140%이하에서 로프가 절단되거나 기타의 원인 으로 카가 급강하 할 때 이와 같이 속도를 조속기나 또는 기타의 장치가 감지하여 작동하므로서 카를 정지시키는 장치는?

  1. 인터록장치
  2. 전자감응장치
  3. 비상정지장치
  4. 록다운정지장치
(정답률: 67%)
  • 카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140% 이하에서 급강하거나 로프가 절단되는 등의 상황에서 카를 즉시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합니다. 비상정지장치는 속도를 감지하여 작동하며, 카를 즉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비상정지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적재하중 100[㎏], 정격속도 60m/min, 오버밸 런스율 40%, 총합효율 60%일 때 권상전동기의 용량은 약 몇 [㎾인가?

  1. 5.9
  2. 6.5
  3. 7.5
  4. 9.8
(정답률: 71%)
  • 정답은 "9.8"이다.

    권상전동기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적재하중 × 오버밸런스율 × 총합효율 ÷ 367 = 권상전동기 용량

    여기서,

    적재하중 = 100kg
    정격속도 = 60m/min
    오버밸런스율 = 40%
    총합효율 = 60%

    이므로,

    100 × 0.4 × 0.6 ÷ 367 ≈ 0.098

    따라서, 권상전동기의 용량은 약 9.8[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카 주행 중 어린이가 장난으로 도어를 여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으로 도어를 여는데 몇 [kgf]정도가 필요하도록 카 도어를 만드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72%)
  • 정답은 "20"이다. 이는 어린이가 장난으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안전장치를 위해 필요한 힘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를 열기 위해 필요한 힘은 10kgf 이하이지만, 안전을 위해 이보다 높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20kgf가 적절한 수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승강로의 출입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동차용은 하나의 층에 2개의 출입구를 설치 할 수 있으나 2개의 문이 동시에 열려 통로로 사용되어서는 아니된다.
  2. 침대용은 2개의 출입구문이 동시에 열려도 된 다.
  3. 화물용은 하나의 층에 하나의 출입구만을 설치 하여야 한다.
  4. 인화용은 하나의 층에 2개의 출입구를 설치하고, 2개의 문은 동시에 열리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률: 76%)
  • 승강로의 출입구는 자동차용은 하나의 층에 2개의 출입구를 설치할 수 있지만, 2개의 문이 동시에 열려 통로로 사용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각각의 문은 번갈아가며 사용되어야 합니다. 침대용은 2개의 출입구 문이 동시에 열려도 되고, 화물용은 하나의 층에 하나의 출입구만을 설치해야 하며, 인화용은 하나의 층에 2개의 출입구를 설치하고, 2개의 문은 동시에 열리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속도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속주행 중에는 보통 교류 전동기로 카를 일 정속도로 주행시킨다.
  2. 점선은 지령속도이고 실선은 실제속이다.
  3. 저속 주행 때문에 운전시간이 길다.
  4. 교류 이단제어의 속도곡선이다.
(정답률: 35%)
  • 정답은 "교류 이단제어의 속도곡선이다."이다. 이 속도곡선은 교류 전동기를 이용한 차량의 속도 제어 방식 중 하나인 이단 제어 방식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부드러운 가속과 감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전속주행 중에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속주행 중에는 보통 교류 전동기로 카를 일 정속도로 주행시킨다."라는 보기는 이유를 설명한 것이 아니라 사실을 설명한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점선은 지령속도이고 실선은 실제속이다."와 "저속 주행 때문에 운전시간이 길다."는 이 속도곡선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로프 소선의 파단이 1개소 또는 특정의 꼬임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소선의 파단 총수가 1꼬임 피치내에서 몇 개 이하로 되어야 합격인가?

  1. 6꼬임 와이어로프이면 18 이하
  2. 6꼬임 와이어로프이면 24 이하
  3. 8꼬임 와이어로프이면 16 이하
  4. 8꼬임 와이어로프이면 24 이하
(정답률: 65%)
  • 로프 소선의 파단이 1개소 또는 특정의 꼬임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소선의 파단 총수가 적을수록 더 강한 인장력을 가집니다. 따라서 파단 총수가 적을수록 더 안전하며, 합격 기준인 16 이하의 파단 총수를 만족하는 경우는 8꼬임 와이어로프일 때입니다. 6꼬임 와이어로프의 경우에는 파단 총수가 18 이하 또는 24 이하인 경우 모두 합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유압엘리베이터에서는 유압펌프나 제어밸브 등 에서 압력맥동이 발생하는데, 이를 흡수하여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치는?

  1. 사이렌서
  2. 스트레이너
  3. 압력계
  4. 라인필터
(정답률: 77%)
  • 유압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압력맥동은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이렌서가 사용됩니다. 사이렌서는 유체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흡수하여 진동과 소음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이렌서가 유압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견인비(Traction ratio)무부하와 전부하에서 체크하고 그 값을 낮게 선택하는 이유는?

  1. 로프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2. 로프의 손상과 전동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3. 로프 본수를 줄이고 마찰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4. 균형추의 무게를 줄이고 로프 본수를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69%)
  • 견인비를 낮게 선택함으로써 로프의 손상과 전동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낮은 견인비는 로프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 로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동기의 용량을 줄여 전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견인비를 낮게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승강기설계

21.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설계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2m 이하에 있도록 설계할 것
  2. 출입문의 너비를 0.8m 이상으로 설계할 것
  3. 엘리베이터 밖에 바닥과 엘리베이터 바닥사이 의 틈의 너비는 10㎝ 이하가 되도록 설계할 것
  4. 카 출입문의 마주보는 벽면에는 거울을 설치할 것
(정답률: 68%)
  • "엘리베이터 밖에 바닥과 엘리베이터 바닥사이 의 틈의 너비는 10㎝ 이하가 되도록 설계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바퀴의 지름이 큰 휠체어나 전동휠체어 등이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너비는 최소 13㎝ 이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접식 유압엘리베이터에서 하부 프레임 재료 의 인장강도가 4,100kg/cm2, 단면계수가 70cm3, 하부 프레임에 걸리는 최대 굽힘 모멘트가 20,300kg∙㎝ 일 때 안전율은 약 얼마인가?

  1. 4.1
  2. 8.2
  3. 14.1
  4. 18.2
(정답률: 56%)
  • 안전율은 재료의 균열이나 파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안전율이 높을수록 더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율은 재료의 인장강도와 단면계수, 그리고 최대 굽힘 모멘트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안전율 = (재료의 인장강도 × 단면계수) ÷ 최대 굽힘 모멘트

    여기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안전율 = (4,100kg/cm² × 70cm³) ÷ 20,300kg∙㎝
    안전율 = 14.14

    따라서, 안전율은 약 14.1이다. 이 값은 1보다 크므로, 하부 프레임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케이지의 무게가 850kg 이고 적재용량이 800kg 오버밸런스율이 45%일 때 균형추의 총 중량은 몇 kg인가?

  1. 1,000
  2. 1,150
  3. 1,210
  4. 1,650
(정답률: 68%)
  • 오버밸런스율이 45%이므로 적재용량의 45%인 360kg의 균형추가 필요하다. 따라서 균형추의 총 중량은 850kg + 360kg = 1,210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대책을 요하는 재해의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1. 고장
  2. 지진
  3. 화재
  4. 정전
(정답률: 75%)
  • 정전, 지진, 화재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로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대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고장은 엘리베이터의 기능상 문제로 발생하는 것으로, 예방이나 대처가 가능한 일상적인 사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균형추용 레일의 내진 설계 시 고려하여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균형추 쪽에 타이브래킷을 설치한다.
  2. 중간 빔을 설치한다.
  3. 균형추에 중간 스톱퍼를 설치한다.
  4. 레일 브래킷의 간격을 줄인다.
(정답률: 72%)
  • 중간 빔을 설치하는 것은 균형추의 역할을 방해하여 내진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재료의 극한 강도가 허용응력의 몇 배인가를 표시하는 수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탄성계수
  2. 포아송 수
  3. 안전계수
  4. 영 계수
(정답률: 43%)
  • 안전계수는 재료의 극한 강도를 허용응력으로 나눈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재료의 안전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안전계수는 재료의 강도와 내구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탄성계수는 재료의 탄성을 나타내는 값이며, 포아송 수는 재료의 변형에 대한 지표입니다. 영 계수는 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류 2단속도 승강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려면?

  1. 전동기 입력전원의 3선 중 임의의 두 개의 선 접속을 바꾼다.
  2. 전동기 극수를 바꾼다.
  3. 전동기 접속을 △에서 Y로 바꾼다.
  4. 전류를 변화시킨다.
(정답률: 70%)
  • 승강기의 회전 방향은 전동기의 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전동기 입력전원의 3선 중 임의의 두 개의 선을 바꾸면 전동기의 극성이 바뀌어 회전 방향이 바뀐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교류 2단속도 승강기의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승강로 구출구의 구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크기는 폭 750㎜ 이상, 높이 1200㎜ 이상으로 한다.
  2.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히는 장치를 설치한다.
  3. 구조는 갑종 방호 또는 을종 방호 기준에 적합 해야 한다.
  4. 도어가 닫혀 있지 않더라도 카가 움직일 수 있어서 승객 구출이 용이해야 한다.
(정답률: 67%)
  • 승강로 구출구의 구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히는 장치를 설치한다." 이다. 이유는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면 승객이 구출구를 통해 빠르게 대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가 닫혀 있지 않더라도 카가 움직일 수 있어서 승객 구출이 용이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엘리베이터의 설계용 지진력을 계산할 때 수평 진도 Kh와 수직진도 Kv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Kv=2Kh
  2. Kv=3Kh
(정답률: 44%)
  • 지진력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엘리베이터 설계용 지진력을 계산할 때는 수평 진도 Kh와 수직 진도 Kv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때, 수직 진도 Kv는 수평 진도 Kh보다 크게 작용하므로, Kv=2Kh보다는 Kv=3Kh가 더 적절한 관계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격속도 150m/min의 조속기의 과속스위치를 셋팅 하려고 한다. 다음 중 조속기의 과속 스위치 셋팅 값이 바르게 조정된 것은?

  1. 170m/min
  2. 200m/min
  3. 230m/min
  4. 260m/min
(정답률: 28%)
  • 정격속도가 150m/min인 조속기에서 과속 스위치를 셋팅할 때, 일반적으로는 정격속도의 1.1배인 165m/min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과속 스위치를 셋팅하라고 하였으므로, 165m/min보다 높은 값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170m/min"이 올바른 과속 스위치 셋팅 값이다. 200m/min, 230m/min, 260m/min은 모두 165m/min보다 높은 값이지만, 과속 스위치를 셋팅할 때는 가능한 한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는 과속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엘리베이터 동력저원 설계시 부등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통량이 많은 건물에서는 부등률이 크다.
  2. 엘리베이터 기동빈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동일 건물내 비상용의 경우는 100% 동시 사용으로 본다.
  4. 2대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는 전부하 상승가 속전류에 대한 부등률 포함 대수는 2이상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2대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는 전부하 상승가 속전류에 대한 부등률 포함 대수는 2이상이다."가 아닌 "교통량이 많은 건물에서는 부등률이 크다."이다.

    엘리베이터 동력저원 설계시 부등률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빈도와 관련이 있으며, 부등률이 크면 엘리베이터의 동력저원 용량이 커져야 한다. 따라서 교통량이 많은 건물일수록 부등률이 크다는 것은 맞지만, 2대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전부하 상승가 속전류에 대한 부등률 포함 대수는 2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및 운영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의 안전율은 얼마 이상 이어야하는가?

  1. 5
  2. 6
  3. 7
  4. 8
(정답률: 40%)
  •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안전율은 5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율이 5 미만이면 트러스가 부서져 사람들이 다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최소한 5 이상의 안전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동 덤웨이터의 기계실의 천장 높이는 최소 몇 ㎝ 이상 확보되어야 하는가?

  1. 60
  2. 70
  3. 80
  4. 100
(정답률: 63%)
  • 전동 덤웨이터는 사람들을 운반하는 기계이므로, 기계실 내부에는 충분한 높이가 필요하다. 또한, 사람들이 머리를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한 100cm 이상의 천장 높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단말정차장치(TERMINAL STOPPING DEVICE)의 형 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턴버클 조작식
  2. 기계식 조작식
  3. 자기적 조작식
  4. 광학적 조작식
(정답률: 71%)
  • 턴버클 조작식은 단말정차장치의 형식이 아니라서 정답입니다. 턴버클 조작식은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나 가방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 단말정차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기계식 조작식은 수동으로 작동하는 장치, 자기적 조작식은 자석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장치, 광학적 조작식은 빛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엘리베이터의 카 및 균형추용 와이어로프 및 그 연결부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로프의 안전계수는 카의 정격속도에 대응하는 로프 실제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2. 로프의 안전계수에 대한 공식은 으로 표시되면, S는 로프의 정격 파괴강도, N은 로프 가닥수, W는 정격부하를 싣 고 상승시 모든 카 로프에 걸리는 최대 부하이다.
  3. 드럼식의 권상로프는 카가 완전히 압축된 완충 기 위에 얹힐 때 드럼에 감긴 로프가 2바퀴 이상 남아야 한다.
  4. 로프소켓과 사클로드가 하나로 된 단위구조의 경우 고정구 전체를 주조강으로 한다.
(정답률: 45%)
  • "로프의 안전계수는 카의 정격속도에 대응하는 로프 실제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가 틀린 것이다. 로프의 안전계수는 로프의 정격 파괴강도, 가닥수, 정격부하 등과 관련된 공식으로 계산되며, 카의 정격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엘리베이터의 교통량 계산기에 필요한 제반 정 보사항이 아닌 것은?

  1. 빌딩의 용도
  2. 층별 인구
  3. 엘리베이터의 용량과 속도
  4. 엘리베이터의 의장
(정답률: 69%)
  • 엘리베이터의 의장은 엘리베이터의 교통량 계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엘리베이터의 의장은 엘리베이터의 디자인과 관련된 정보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색상, 재질, 문의 디자인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W=200kg, a=400㎝, b=600㎝ 일 때, B점에서 발생하는 회전모멘트는 몇 ㎏∙㎝인가?

  1. 40
  2. 60
  3. 80
  4. 100
(정답률: 34%)
  • 회전모멘트는 힘과 그 힘이 작용하는 지점 사이의 수직거리를 곱한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B점에서 회전모멘트를 구해야 하므로, B점에서 작용하는 힘과 B점과 W의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를 곱하면 됩니다.

    W의 무게는 200kg이므로, B점에서 작용하는 중력은 200kg × 9.8m/s² = 1960N입니다. 이 중력이 작용하는 지점은 W의 중심이므로, B점과 W의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는 a + (b-a)/2 = 500cm = 5m입니다.

    따라서, B점에서 발생하는 회전모멘트는 1960N × 5m = 9800N∙m = 980kg∙cm입니다. 이를 ㎏∙㎝으로 환산하면 98000㎝∙㎏/㎜∙㎝ = 98㎏∙㎝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으로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98㎏∙㎝을 1㎏당 1000㎝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0.098㎏∙㎝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용 와이어 로프의 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직경은 공칭지름 12㎜ 이상일 것
  2. 권상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카 1대에 대해 3본 이상일 것
  3.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안전율은 10이상 일 것
  4.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안전율은 4이상일 것
(정답률: 56%)
  •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안전율은 4이상일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안전율은 엘리베이터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안전율은 2 이상이어야 한다. 안전율은 엘리베이터의 적재물 중 최대 중량과 와이어 로프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과 같은 전동기의 절연등급 중 가장 높은 온도까지 견딜 수 있는 것은?

  1. A종
  2. E종
  3. H종
  4. F종
(정답률: 70%)
  • 가장 높은 온도까지 견딜 수 있는 절연등급은 "H종"입니다. 이는 H종이 가장 높은 열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종은 높은 온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카가 정지하거나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문을 손으로 여는 경우의 힘은 몇 kgf 정도로 설계 하여야 하는가?

  1. 5~30
  2. 15~45
  3. 20~50
  4. 30~60
(정답률: 71%)
  • 문을 여는 힘은 문의 무게와 마찰력에 의해 결정된다. 카가 정지하거나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문을 여는 경우, 문의 무게와 마찰력은 정지한 차의 무게와 마찰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차의 무게와 마찰력에 따라 문을 여는 힘은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의 무게와 마찰력을 고려하여 문을 여는 힘은 5~30kgf 정도로 설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일반기계공학

41. 다음 중 AI 합금으로 자동차가나 항공기의 실린더에 많이 사용되는 합금은?

  1. 고속도강
  2. KS강
  3. 실루민
  4. Y합금
(정답률: 70%)
  • Y합금은 내열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경량화와 고강도화에 적합한 합금으로, 자동차나 항공기의 실린더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Y합금이 고온에서도 강도를 유지하며,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Y합금은 자동차나 항공기의 엔진 부품에 많이 사용되는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N의 힘은 몇 ㎏중 인가?

  1. 1/9.8
  2. 1/980
  3. 980
  4. 9.8
(정답률: 52%)
  • 1N의 힘은 1kg의 물체를 1m/s^2의 가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힘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하면, 1N의 힘으로 1kg의 물체를 1m/s^2의 가속도로 움직이려면, 그 물체의 질량을 1kg로 가정해야 합니다. 그러면, F=ma에서 F=1N, m=1kg, a=1m/s^2이 됩니다. 이를 풀면, F/m=a, 1kg/1N=1m/s^2이 됩니다. 따라서, 1N의 힘은 1/9.8kg 중의 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이 주어진 구조물에 인장하중이 작용 할 때 구조물의 자중을 고려해서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지점은?

  1. X=0
  2. X=1/2
  3. X=1
  4. 모든 위치에서 동일
(정답률: 39%)
  • 주어진 구조물은 균일한 단면과 길이를 가진 보이므로,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지점은 인장하중이 가장 큰 지점인 중앙인 X=1에서 발생합니다. 이유는 인장하중이 중앙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그리고 구조물의 자중은 균일하게 분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1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Fe - C 상태도에서 탄소가 약 6.67% 함유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탄화철은?

  1. 시멘타이트
  2. 페라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펄라이트
(정답률: 69%)
  • Fe-C 상태도에서 탄소 함량이 6.67%인 경우, 시멘타이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탄소 함량이 6.67%일 때, Fe-C 상태도에서 시멘타이트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시멘타이트는 탄소 함량이 높은 탄화철로, 경도가 높아서 칼날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내면이 원추형인 원통에 2개의 원추키 모양의 슬릿을 가진 원추를 넣고 3개의 볼트로 죄어 두 축을 연결하는 것은?

  1. 슬리브 커플링
  2. 분할 머프 커플링
  3. 셀러 커플링
  4. 플랜지 커플링
(정답률: 40%)
  • 이 문제에서 설명하는 것은 두 축을 연결하는 커플링이다. 이 중에서도 원추 모양의 슬릿을 가진 원추를 넣고 볼트로 죄어 두 축을 연결하는 것은 셀러 커플링이다. 슬리브 커플링은 원통 모양의 슬리브를 사용하여 두 축을 연결하고, 분할 머프 커플링은 머프를 두 축에 각각 부착하고 분할하여 연결하는 방식이다. 플랜지 커플링은 플랜지를 사용하여 두 축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나사의 풀림 방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로크너트(lock nut)를 사용한다.
  2. 분할핀(split pin)을 사용한다.
  3. 세트스크류(set screw)를 사용한다.
  4. 아이 볼트(eye bolt)를 사용한다.
(정답률: 76%)
  • 아이 볼트는 풀림 방지를 위한 방법이 아니라,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달아올리기 위한 고정 장치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이 볼트(eye bolt)를 사용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유압기기의 구성요소 중 유압 액튜에이 터인 것은?

  1. 유압 펌프
  2. 유량 실린더
  3. 제어 밸브
  4. 유압 조절밸브
(정답률: 57%)
  • 유압 액튜에이터는 유압 압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기계 요소를 말합니다. 유압 펌프는 유압 압력을 만들어내는 기기이고, 제어 밸브와 유압 조절밸브는 유압 압력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유압 액튜에이터인 유량 실린더가 정답입니다. 유량 실린더는 유압 압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실린더로, 유압 기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액튜에이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부동속형 유니버설 조인트에서 2축의 교각은 일반적으로 몇 도가 적합한가?

  1. 10° 이하
  2. 20° 이하
  3. 30° 이하
  4. 50° 이하
(정답률: 74%)
  • 2축의 교각이 30도 이하인 이유는, 교각이 너무 기울어지면 조인트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아지고, 또한 교각이 너무 길어지면 진동이나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도 이하의 교각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판의 두께 15㎜, 리벳의 지름 16㎜, 리벳 구멍의 지름 17㎜, 피치 65㎜ 인 1 줄 리벳 겹치기 이음에서 1 피치마다 1500kgf 의 하중이 작용 할 때 판의 효율은?

  1. 73.8%
  2. 75.4%
  3. 76.9%
  4. 77.5%
(정답률: 30%)
  • 리벳 겹치기 이음에서의 판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리벳 구멍의 지름: 17㎜
    - 리벳의 지름: 16㎜
    - 따라서, 리벳과 구멍 사이의 여유 공간: (17 - 16) / 2 = 0.5㎜
    - 이 여유 공간이 1 줄 리벳 겹치기 이음에서는 2배로 필요하므로: 1㎜
    - 따라서, 리벳 1개 당 사용 가능한 판의 면적: (65 - 1) * 15 = 960mm²
    - 이 면적에서 리벳과 구멍 사이의 여유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 (0.5 * π * 16²) / 960 ≈ 0.134
    - 따라서, 실제 사용 가능한 판의 면적: 960 * (1 - 0.134) ≈ 829mm²
    - 1 피치마다 작용하는 하중: 1500kgf
    - 1 피치의 면적: 65 * 15 = 975mm²
    - 따라서, 1 피치마다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판의 지지력: 829 / 975 * 1500 ≈ 1267kgf
    - 따라서, 판의 효율: 1267 / 1500 * 100 ≈ 84.5%
    -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정확하게 계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73.8%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름 30㎜, 길이 200㎜ 인 둥근봉에 인장하중 이 작용하여 길이가 200, 12㎜로 늘어났다. 세로변형률은 얼마인가?

  1. 15×10-2
  2. 15×10-3
  3. 6×10-3
  4. 6×10-4
(정답률: 35%)
  • 세로변형률은 (늘어난 길이) / (원래 길이)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세로변형률은 (12㎜) / (200㎜) = 0.06 이다. 이 값을 지문에서 제시된 보기와 비교해보면, 정답은 "6×10-3"과 "6×10-4" 두 가지이다. 하지만 단위를 고려해보면, 세로변형률의 단위는 "1"이다. 따라서 단위를 제외하고 숫자만 비교해보면, 정답은 "6×10-4"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전단가공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블랭킹(blanking) : 펀치로 판재를 필요한 치수의 모양으로 따내는 작업
  2. 전단(shearing) : 판재를 필요한 길이의 치수로 절단하는 작업
  3. 셰이빙(shaving) : 드로잉을 한 제품의 귀 또는 단조품의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작업
  4. 피어싱(piercing) : 필요한 치수 모양으로 구멍을 만드는 작업
(정답률: 53%)
  • 정답: "셰이빙(shaving) : 드로잉을 한 제품의 귀 또는 단조품의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작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셰이빙은 드로잉을 한 제품의 귀 또는 단조품의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작업이 맞다. 이 작업은 주로 자동차 엔진 부품, 항공기 부품 등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된다. 셰이빙은 고속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정밀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작기계로 공작물을 절삭할 때는 절삭저항이 발생하는데 절삭저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분력
  2. 배분력
  3. 횡분력(이송분력)
  4. 치핑(Chipping)
(정답률: 77%)
  • 치핑은 공작물의 표면에서 작은 조각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절삭저항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절삭저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치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선반작업에서 공작물의 지름을 D[㎜], 1분간의 회전수를 N[rpm]이라고 할 때 절삭속도 V 는 몇 m/min인가?

  1. V=πDN
(정답률: 83%)
  • 정답은 "V=πDN" 이다.

    선반작업에서 절삭속도는 공작물의 지름과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V=πDN 이다.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내며, D는 공작물의 지름, N은 1분간의 회전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V를 구하기 위해서는 D와 N의 값을 알고 있어야 한다.

    보기 중에서 ""는 V=πDN을 나타내는 수식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와 ""는 V를 구하기 위한 다른 수식들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V=πDN을 사용해야 하므로, 이들은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관로내를 흐르는 유체의 평균유속이 3 m/sec 이고, 유량이 9.9m3/sec일 때 관의 단면적은?

  1. 3.3m2
  2. 29.7m2
  3. 0.3m2
  4. 1.65m2
(정답률: 63%)
  • 유량 = 평균유속 x 단면적 이므로, 단면적 = 유량 ÷ 평균유속 = 9.9 ÷ 3 = 3.3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3.3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축에는 키 홈이 없고, 축의 원호에 접할 수 있도록 하고 보스에 만 키 홈을 파는 경하중용에 사용하는 키는?

  1. 안장 키
  2. 접선 키
  3. 평 키
  4. 반달 키
(정답률: 82%)
  • 축에는 키 홈이 없기 때문에 축의 원호에 접할 수 있는 안장 키를 사용한다. 이는 경하중용으로 사용되며, 보스에만 키 홈을 파기 때문에 안장 키가 필요하다. 따라서 "안장 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3000kgf-cm의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는 지름 10[㎝] 환봉축의 최대 전단응력은 몇 kgf/cm2인가?

  1. 21.28
  2. 17.59
  3. 15.28
  4. 13.42
(정답률: 36%)
  • 전단응력은 T/J로 계산할 수 있으며, T는 비틀림 모멘트, J는 균일한 단면적을 가진 원형 단면의 폴라 모멘트이다.

    따라서,

    J = π/2 × (d/2)^4 = π/32 × d^4 = 0.00007854 [m^4]

    T = 3000 [kgf-cm] = 29430 [N-cm]

    전단응력 = T/J = 29430 / 0.00007854 = 374,000 [kgf/m^2] = 37.4 [kgf/cm^2]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은 37.4 [kgf/cm^2]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가 kgf-cm으로 주어졌으므로, 답을 구할 때 kgf/cm^2로 변환해야 한다.

    37.4 [kgf/cm^2] = 15.28 [kgf/cm^2]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15.2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2개의 회전하고 있는 롤러 사이에 소재를 통과 시켜 단면적을 감소시켜 길이를 늘리는 소성가 공 방법은?

  1. 압출
  2. 인발
  3. 압연
  4. 단조
(정답률: 71%)
  • 압연은 회전하는 롤러 사이에 소재를 통과시켜 단면적을 감소시켜 길이를 늘리는 소성가공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압연"입니다. 압출은 소재를 압력으로 길쭉하게 늘리는 방법이고, 인발은 소재를 끌어당겨 길이를 늘리는 방법입니다. 단조는 금속을 뜨거운 상태에서 무늬를 새기거나 모양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조립된 기계부품의 세부항목에 대한 안전율을 결정하는데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있다. 안전율 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재료의 품질
  2. 하중과 응력 계산의 정확성
  3. 공작기계의 정도
  4. 하중의 종류에 따른 응력의 성질
(정답률: 66%)
  • 공작기계의 정도는 조립된 기계부품의 안전율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안전율은 재료의 품질, 하중과 응력 계산의 정확성, 하중의 종류에 따른 응력의 성질 등과 같은 변수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공작기계의 정도는 기계부품의 정확도와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만, 안전율을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절삭공구의 수명이 종료되어 공구를 다시 연삭 하거나 새로운 절삭공구로 바꾸기 위한 공구수 명 판정방법이 잘못 된 것은?

  1. 가공면에 광택이 있는 색조나 반점이 생길 때
  2. 공구인선의 마모가 일정량에 도달하였을 때
  3. 와성치수의 변화량이 일정량에 도달했을 때
  4. 절삭저항의 이송분력과 배분력이 급격히 감소 할 때
(정답률: 35%)
  • 절삭공구의 수명이 종료되는 가장 큰 이유는 절삭저항의 이송분력과 배분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공구가 가공면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공구의 경도가 떨어지고, 마찰력이 증가하여 이송분력과 배분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가공면에 광택이 있는 색조나 반점이 생기거나, 공구인선의 마모가 일정량에 도달하였을 때, 와성치수의 변화량이 일정량에 도달했을 때와 같은 다른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Kelmet 메탈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동에 주석을 30~40% 가한 것이다.
  2. 동에 철을 30~40% 가한 것이다.
  3. 동에 인을 30~40% 가한 것이다.
  4. 동에 납을 30~40% 가한 것이다.
(정답률: 49%)
  • Kelmet 메탈은 동에 납을 30~40% 가한 것입니다. 이는 동과 납의 특성을 결합하여 내구성과 가공성이 뛰어나며, 전기 및 열 전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무효전력을 나타내는 단위는?

  1. VA
  2. W
  3. Var
  4. Wh
(정답률: 91%)
  • 무효전력은 전기 회로에서 유효하지 않은 전력을 의미하며, 전압과 전류의 차이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무효전력을 나타내는 단위는 Var입니다. VA는 유효전력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W는 전력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Wh는 전력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5[Ω]의 저항 10개를 직렬로 연결했을 경우의 합성저항은 병렬로 연결했을 경우의 몇 배인가 ?

  1. 10
  2. 50
  3. 100
  4. 500
(정답률: 62%)
  • 5[Ω]의 저항 10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각 저항의 합이 합성저항이 된다. 따라서 합성저항은 5[Ω] x 10 = 50[Ω]이 된다.

    반면, 5[Ω]의 저항 10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각 저항의 역수의 합의 역수가 합성저항이 된다. 즉, 1/5[Ω]의 역수인 5/1[Ω]가 10개 있으므로, 합성저항은 (5/1[Ω]) / 10 = 1/2[Ω]가 된다.

    따라서, 직렬로 연결한 경우의 합성저항은 병렬로 연결한 경우의 몇 배인가를 계산하면 50[Ω] / (1/2[Ω]) = 100이 된다. 즉, 병렬로 연결한 경우의 합성저항은 직렬로 연결한 경우의 100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논리함수 X=B(A+B)를 간단히 하면?

  1. X=A
  2. X=B
  3. X=A∙B
  4. X=A+B
(정답률: 75%)
  • 논리함수 X=B(A+B)를 전개하면 X=AB+BB이다. BB는 항상 0이므로 X=AB이다. 따라서 X=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이리스터를 이용한 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의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회로는?

  1. 단상반파 정류회로
  2. 단상전파 정류회로
  3. 3상반파 정류회로
  4. 3상전파 정류회로
(정답률: 79%)
  • 다이리스터를 이용한 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의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회로는 3상전파 정류회로입니다. 이는 3상전파 정류회로가 3상의 전압을 이용하여 정류하기 때문에, 단상 회로에 비해 맥동률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반파 정류회로에 비해 전압이 더 안정적으로 정류되기 때문에 맥동률이 더욱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제어요소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1. 입력부와 조절부
  2. 출력부와 검출부
  3. 피드백 동작부
  4. 조작부와 조절부
(정답률: 77%)
  • 제어요소는 입력된 신호를 받아 출력을 조절하는데, 이를 위해 조작부에서 입력을 받아 조절부에서 출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정답은 "조작부와 조절부"이다. 입력부와 출력부는 제어요소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조작부와 조절부가 제어요소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피드백 동작부는 출력 신호를 검출하여 입력 신호와 비교하여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제어요소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공기 중에서 10[㎝] 떨어져 평행으로 놓여진 2 개의 무한히 긴 도선에 왕복 전류가 흐를 때, 단위 길이 당 0.04N의 힘이 작용한다면 이 때 흐르는 전류는 몇A인가?

  1. 121
  2. 141
  3. 151
  4. 161
(정답률: 49%)
  •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페르냥 법칙에 의해 F = μ0I1I2L / (2πd) 이다. 여기서 μ0은 자유공간의 자기 유도율, I1과 I2는 각각의 전류, L은 도선의 길이, d는 두 도선 사이의 거리이다. 문제에서는 단위 길이 당 힘이 주어졌으므로, 위 식을 단위 길이로 나누어서 계산하면 된다.

    F/L = μ0I1I2 / (2πd)

    0.04 = 4π × 10^-7 × I × I / (2π × 0.1)

    I = 141 A

    따라서, 흐르는 전류는 141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이 유접점 회로의 논리식과 논리명칭 으로 옳은 것은?

  1. , NOT회로
  2. , NOT회로
  3. F=A+B+C, OR 회로
  4. F=A∙B∙C, AND 회로
(정답률: 71%)
  • 유접점 회로에서 A, B, C 중 하나라도 0이면 NOT 회로를 통해 해당 입력값은 1로 바뀌고, 모든 입력값이 1일 때 AND 회로를 통해 출력값 F가 1이 된다. 따라서 논리식은 F=A∙B∙C이고, 회로는 AND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변압기의 정격 1차전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부하를 걸었을 때의 1차 전압
  2. 무부하에 있어서 1차전압
  3. 정격 2차 전압에 권수비를 곱한 것
  4. 정격 2차 전압에 임피던스 전압을 가한 것
(정답률: 78%)
  • 변압기의 정격 1차전압은 "정격 2차 전압에 권수비를 곱한 것"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기본 원리인 전력 보존 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변압기는 1차 측과 2차 측의 전력이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1차 측의 전압과 2차 측의 전류, 그리고 2차 측의 전압과 1차 측의 전류는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2차 측의 정격 전압과 권수비를 알면, 1차 측의 정격 전압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이 아닌 것은?

  1. 전전압기동법
  2. 기동보상기법
  3. Y-△기동법
  4. 2차저항법
(정답률: 70%)
  • 농형 유도전동기는 전전압기동법, 기동보상기법, Y-△기동법으로 기동시킬 수 있지만, 2차저항법은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이 아니다. 2차저항법은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농형 유도전동기의 특성에 맞지 않아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단상변압기를 이용하여 △ 결선을 한 경우 선간전압은 상전압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1. 상전압이 선간전압보다 √3배 많다.
  2. 선간전압이 상전압보다 √3배 많다.
  3. 선간전압은 상전압의 3배이다.
  4.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같다.
(정답률: 40%)
  • 단상변압기를 이용하여 △ 결선을 한 경우,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같다. 이는 △ 결선에서 각 상의 전압이 서로 120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선간전압은 상전압의 차이값이 된다. 따라서,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크기가 같고, 위상 차이만 존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떤 회로의 전압이 V[V]이고 전류가 I[A]이며 저항이 R[Ω] 일 때 저항이 10% 감소되면 그 때의 전류는 처음 전류 I 의 몇 배인가?

  1. 1.11
  2. 1.41
  3. 1.73
  4. 2.82
(정답률: 52%)
  • 저항이 10% 감소하면 새로운 저항 R'은 R x 0.9 이다. 이때 전압은 일정하므로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 I'는 V / R' = V / (R x 0.9) 이다. 이를 I로 나누면 I' / I = (V / (R x 0.9)) / I = V / (R x I x 0.9) = 1.11 이므로, 새로운 전류 I'는 처음 전류 I의 1.11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달함수를 정의할 때의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초기값을 고려한다.
  2. 모든 초기값을 0 으로 한다.
  3. 입력신호만을 고려한다.
  4. 주파수 특성만을 고려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입력신호만을 고려한다." 입니다.

    전달함수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로, 입력신호가 변화할 때 출력신호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달함수를 정의할 때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초기값을 고려해야 합니다.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은 입력신호가 없을 때 출력신호가 0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초기값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초기값을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입력신호만을 고려하여 전달함수를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파수 특성만을 고려하는 것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는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조작기기의 종류를 전기계와 기계계로 분류 할 때 기계계에 해당되는 것은?

  1. 서보전동기
  2. 펄스진동기
  3. 전동밸브
  4. 다이아프램
(정답률: 49%)
  • 기계계의 조작기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하여 작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기회로를 직접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작동을 통해 작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은 기계계에 해당됩니다. 다이아프램은 압력을 전달하거나 유체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기계적인 작동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동력 1 마력을 전력으로 환산하면 약 몇 W인가?

  1. 436
  2. 539
  3. 646
  4. 746
(정답률: 68%)
  • 1 마력은 746W이다. 이는 국제 단위계에서 정해진 것으로, 1마력은 1초 동안 550파운드-피트의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를 전기적인 단위인 와트(Watt)로 환산하면 746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연산증폭기의 특성 중 틀린 것은?

  1. 전압증폭도가 무한대이다.
  2. 입력저항이 무한대이다.
  3. 증폭주파수 대역이 무한대이다.
  4. 출력저항이 무한대이다.
(정답률: 45%)
  • "출력저항이 무한대이다."가 틀린 것이다. 연산증폭기의 출력저항은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값을 가지며, 이는 출력 신호가 외부 회로에 전달될 때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출력저항이 무한대이다."는 연산증폭기의 특성 중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교류 대전류의 계측에 사용되는 것은?

  1. 진동검류계
  2. 계기용변압기
  3. 계기용변류기
  4. 교류전위차계
(정답률: 54%)
  • 교류 대전류의 계측에는 주로 계기용변류기가 사용됩니다. 이는 교류 전압이나 전류를 일정한 비율로 낮춰서 직류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변환된 직류 신호는 다양한 계측기기에서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떤 제어계의 임펄스 응답이 sin ωt일 때 계의 전달 함수는?

(정답률: 83%)
  • 임펄스 응답이 sin ωt일 때, 시간 영역에서의 임펄스 응답은 다음과 같다.

    h(t) = sin ωt u(t)

    여기서 u(t)는 단위 계단 함수이다. 이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H(s) = L[h(t)] = L[sin ωt u(t)] = (ω/(s^2 + ω^2))

    따라서, 계의 전달 함수는 H(s) = (ω/(s^2 + ω^2))이다. 이를 표현한 것이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피드백제어계 중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 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하는 것은?

  1. 서보기구
  2. 프로세스제어
  3. 자동조정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79%)
  • 서보기구는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사용하여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프로세스 제어, 자동 조정, 프로그램 제어와 같이 다른 제어 방식을 사용하므로 정답은 서보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력선, 전기기기 등 보호대상에 발생한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기기의 피해를 경감시키거나 그 파급을 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보호계전기
  2. 보조계전기
  3. 전자접촉기
  4. 시한계전기
(정답률: 81%)
  • 보호계전기는 전력선이나 전기기기 등 보호대상에 이상 상태가 발생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기기의 피해를 경감시키거나 그 파급을 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호대상에 발생한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이 중요하며,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바로 보호계전기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PI 제어동작은 프로세스제어계의 정상특성을 개선하는데 흔히 사용되는데 이것에 대응하는 보상요소는?

  1. 안정도
  2. 이득
  3. 지상
  4. 진상
(정답률: 62%)
  • PI 제어는 오차와 오차의 적분값을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데, 이 때 오차의 적분값이 보상요소인 "지상"이 됩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