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8-19)

콘크리트산업기사
(2018-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10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으로부터 구한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5MPa일 때 설계기준 압축강도 20MPa인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1. 26.7MPa
  2. 27.0MPa
  3. 28.15MPa
  4. 28.35MPa
(정답률: 85%)
  • 설계기준 압축강도 20MPa이므로, 이를 넘지 않는 최소한의 강도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표준편차와 신뢰도를 이용하여 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95%의 신뢰도를 가지는 경우, 강도는 평균값에서 1.96배의 표준편차 범위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설계기준 압축강도 20MPa에서 1.96배의 표준편차 5MPa를 빼면 최소한의 강도인 10.2MPa가 나온다. 하지만, 이는 너무 낮은 강도이므로, 보통은 2배의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강도를 구한다. 따라서, 20MPa에서 2배의 표준편차 10MPa를 빼면 최소한의 강도인 10MPa가 나온다. 이를 기반으로, 배합강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배합강도 = 최소한의 강도 + 1.65배의 표준편차

    여기서 1.65는 95%의 신뢰도를 가지는 경우의 상수이다. 따라서, 배합강도는 10MPa + 1.65 × 5MPa = 18.25MPa가 된다. 하지만, 이 또한 너무 낮은 강도이므로, 일반적으로는 2배의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강도를 구한다고 했으므로, 20MPa에서 2배의 표준편차 10MPa를 빼면 최소한의 강도인 10MPa가 나온다. 이를 기반으로, 배합강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배합강도 = 최소한의 강도 + 1.96배의 표준편차

    여기서 1.96은 95%의 신뢰도를 가지는 경우의 상수이다. 따라서, 배합강도는 10MPa + 1.96 × 5MPa = 19.8MPa가 된다. 이 값은 설계기준 압축강도 20MPa를 넘지 않는 최소한의 강도를 만족하면서, 가능한 최대한의 강도를 가지는 값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7.0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굵은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밀도를 구하는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0%)
  • 정답은 ""이다.

    굵은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밀도는 골재의 질량을 골재의 체적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밀도 = 골재의 질량 ÷ 골재의 체적

    골재의 질량은 1m³당 2,700kg이므로, 0.5m³의 골재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골재의 질량 = 2,700kg/m³ × 0.5m³ = 1,350kg

    골재의 체적은 0.5m³이므로, 밀도는 다음과 같다.

    밀도 = 1,350kg ÷ 0.5m³ = 2,700kg/m³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용 혼합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부속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하천수는 상수돗물 이외의 물에 대한 품질규정에 적합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
  2. 상수돗물 이외의 물에 대한 품질기준으로 용해성 증발 잔류물의 양은 10g/L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3. 상수돗물, 상수돗물 이외의 물 및 회수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시험을 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4. 회수수는 배합보정을 실시하면 슬러지 고형분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상수돗물 이외의 물에 대한 품질기준으로 용해성 증발 잔류물의 양은 10g/L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가 옳은 것입니다.

    하천수는 상수돗물 이외의 물로서, 미생물, 유기물, 무기물 등이 포함되어 있어서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부속서에서는 하천수를 사용할 경우, 해당 물에 대한 품질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만약 해당 물이 품질규정에 적합하지 않다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체가름 시험결과 잔골재 조립률 2.65, 굵은 골재 조립률 7.38이며, 잔골재 대 굵은 골재비를 1:1.6으로 할 때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1. 4.56
  2. 5.56
  3. 6.56
  4. 7.56
(정답률: 84%)
  •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이 1:1.6 이므로, 1+1.6=2.6 부피 중 1 부분은 잔골재, 1.6 부분은 굵은 골재이다. 따라서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2.65+7.38)/2.6 = 5.5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AE 감수제의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2.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된다.
  3. 투수성이 향상된다.
  4. 수밀성이 향상된다.
(정답률: 69%)
  • AE 감수제는 표면활성제로서, 물과 기름 등 서로 다른 물질을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E 감수제를 사용하면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며, 수밀성이 향상됩니다. 하지만 AE 감수제는 투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콘크리트 배합 설계의 기본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당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것
  2. 가능한 단위 수량을 적게 할 것
  3. 경제성을 고려할 것
  4.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작은 것을 사용할 것
(정답률: 91%)
  •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작은 것을 사용할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작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의 굵은 골재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적당한 크기의 굵은 골재를 사용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콘크리트용 골재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1. 골재는 표면이 매끄럽고 모양은 사각형에 가까울 것
  2. 골재는 내마모성과 내화성이 있을 것
  3. 크고 작은 알맹이의 혼합 정도 즉, 입도가 적당할 것
  4. 골재의 강도는 단단하고 강할 것
(정답률: 89%)
  • "골재는 표면이 매끄럽고 모양은 사각형에 가까울 것"은 일반적인 성질이 아닙니다. 이는 골재의 입도 분포와 관련이 있습니다. 골재의 입도가 다양하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지만, 입도가 일정하고 모양이 규칙적이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재의 입도 분포와 모양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잔골재를 여러 종류의 체로 가름한 결과, 각 체에 남는 누계량의 질량백분율이 아래의 표와 같이 나타났다. 이 잔골재의 조립률(F.M)은?

  1. 2.27
  2. 2.45
  3. 2.73
  4. 2.80
(정답률: 72%)
  • 누계량의 질량백분율은 각 체에 들어간 잔골재의 양을 나타내므로, 각 체에 들어간 잔골재의 양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체에 들어간 잔골재의 양은 100 - 85 = 15(g) 이다. 이와 같이 모든 체에 대해 잔골재의 양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체: 15(g)
    - 두 번째 체: 30(g)
    - 세 번째 체: 45(g)
    - 네 번째 체: 60(g)

    이 잔골재의 조립률은 전체 체에 들어간 잔골재의 양을 전체 체의 질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조립률은 다음과 같다.

    조립률 = (15 + 30 + 45 + 60) / 400 = 0.375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조립률을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조립률 = 37.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80" 인 이유는 37.5%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이 2.80 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혼화재의 저장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방습적인 사일로 또는 창고 등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보관한다.
  2. 장기 저장이 가능하므로 입하하는 순서와 상관없이 사용한다.
  3. 장기간 저장한 혼화재는 사용하기 전에 시험을 실시하여 품질을 확인해야 한다.
  4. 혼화재는 취급 시에 비산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률: 88%)
  • "장기 저장이 가능하므로 입하하는 순서와 상관없이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혼화재는 장기간 저장해도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입하하는 순서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콘크리트용 재료 중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는 석회석질, 점토질, 규석질, 철질 등의 혼합물을 약 1450℃ㄲ까지 가열시켜 얻은 클링커에 석고를 가하여 분쇄한 것이다.
  2. 석고는 시멘트의 내염화 반응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한다.
  3. 포틀랜드시멘트 조성에는 보통시멘트, 중용열시멘트, 조강시멘트, 저열시멘트, 내황산염 시멘트 등이 존재한다.
  4. 마그네슘, 나트륨, 칼슘 등은 시멘트의 필수성분은 아니지만 구성원소의 성분으로 불순물로 시멘트를 존재하게 되며, 이런 성분의 종류와 양에 따라 시멘트의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정답률: 78%)
  • "석고는 시멘트의 내염화 반응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한다."가 틀린 것이다. 석고는 시멘트의 내화학적 반응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시멘트와 함께 사용되는 콘크리트 혼합물에서 석고가 촉매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의 경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크리트 배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잔골재율은 단위 시멘트량이 최소가 되도록 시험에 의해 정하여야 한다.
  2. 단위 사맨트량은 원칙적으로 단위수량과 물-결합재비로부터 정하여야 한다.
  3. 물-결합재비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균열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4. 배합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65%)
  • "잔골재율은 단위 시멘트량이 최소가 되도록 시험에 의해 정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잔골재율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미분말재료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한 잔골재료의 양을 의미한다. 이 비율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최적의 잔골재율을 결정하기 위해 시험을 통해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잔골재율은 단위 시멘트량이 최소가 되도록 시험에 의해 정하여야 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시멘트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응결은 시멘트의 수화반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시멘트의 수화는 화학반응이므로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3. 시멘트는 대기 중에서 수분과 CO2와의 반응으로 품질이 저하된다.
  4. 미분쇄한 시멘트는 수화가 느리고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78%)
  • "미분쇄한 시멘트는 수화가 느리고 장기강도가 증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미분쇄한 시멘트는 입자 크기가 작아져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수화 반응에 필요한 물과 시멘트 입자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수화 반응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고, 이에 따라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배합에 있어서 단위시멘트량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슬럼프가 저하한다.
  2.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수화열이 증가한다.
  3.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강도가 증가한다.
  4.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76%)
  •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이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슬럼프가 저하하는 이유는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높아져서 물의 흐름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수화열이 증가하는 이유는 시멘트와 물의 반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강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시멘트와 물의 반응이 증가하여 시멘트의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감소하여 혼합물의 거동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즉,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공기량이 적어지고, 반대로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높아지면 공기량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콘크리트의 내동해성을 기준으로 하여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아래의 표와 같은 노출상태일 때 보통골재 콘크리트의 최대 물-결합재비로 옳은 것은?

  1. 0.55
  2. 0.50
  3. 0.45
  4. 0.40
(정답률: 67%)
  • 콘크리트의 내동해성은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부식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내동해성이 높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덜 부식되므로 더욱 강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결합재비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시멘트, 모래, 그리고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물-결합재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는 더욱 흐리고 약해지며 내동해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내동해성을 고려하여 최대 물-결합재비를 정할 때는 내동해성이 높은 노출상태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물-결합재비를 선택해야 합니다. 위의 표에서는 노출상태가 "강한" 상태이므로, 내동해성을 고려하여 최대 물-결합재비를 선택할 때는 0.45가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크리트배합에서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골재의 표면수율
  2. 잔골재 중 5mm 체에 남는 양
  3. 혼화제를 물에 희석한 양
  4. 시멘트의 비중
(정답률: 56%)
  • 시방배합은 현장에서 바로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방법이므로 시간과 인력이 절약되지만, 정확한 재료 비율을 유지하기 어렵고 혼합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방배합으로 고칠 경우에는 골재의 표면수율, 잔골재 중 5mm 체에 남는 양, 혼화제를 물에 희석한 양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시멘트의 비중은 혼합 과정에서 변하지 않으므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잔골재의 절대건조상태 질량이 300g, 표면건조 포화상태 질량이 330g, 습윤상태 질량이 350g일 때 흡수율과 표면수율은 각각 얼마인가?

  1. 흡수율:8%, 표면수율:8%
  2. 흡수율:10%, 표면수율:6%
  3. 흡수율:12%, 표면수율:4%
  4. 흡수율:14%, 표면수율:2%
(정답률: 75%)
  • 흡수율은 (표면건조상태 질량 - 절대건조상태 질량) / 절대건조상태 질량 x 100%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30g - 300g) / 300g x 100% = 10% 입니다.

    표면수율은 (습윤상태 질량 - 절대건조상태 질량) / 절대건조상태 질량 x 100%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50g - 300g) / 300g x 100% = 50 / 3 % ≈ 16.7% 입니다. 하지만, 잔골재는 흡수된 물이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일부 지점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수율은 흡수율보다 작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표면수율은 흡수율의 60% 정도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10% x 60% = 6%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수율:10%, 표면수율: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안선으로부터 200m 떨어진 육상지역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신축할 경우 사용하는 시멘트로 부적절한 것은?

  1. 고로슬래그 시멘트
  2.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4. 플라이애시 시멘트
(정답률: 67%)
  • 해안선 근처에서는 바다에서 발생하는 염해와 습기, 해수면 상승 등의 영향으로 구조물의 내구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바다 근처에서는 내구성이 높은 시멘트가 필요하며,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내구성이 높은 시멘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품질규격 항목(KS F 2560)이 아닌 것은?

  1. 오토클리이브 팽창도(%)
  2. 감수율(%)
  3. 압축강도비(%)
  4. 블리딩량의 비(%)
(정답률: 51%)
  • 오토클리이브 팽창도(%)는 콘크리트 혼합물의 수화반응 중 생성되는 가스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품질규격 항목 중 하나입니다. 나머지 항목들도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오토클리이브 팽창도(%)는 이 중에서도 특히 수화반응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서 플라이애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하고 사용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용에 적합하다.
  3.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조기강도는 낮으나 장기강도는 크다.
  4.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경화시 건조수축이 큰 것이 단점이지만, 화학적 저항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58%)
  • 정답은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경화시 건조수축이 큰 것이 단점이지만, 화학적 저항성이 우수하다." 이다. 이유는 플라이애시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하고 사용수량을 감소시키며,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용에 적합하며, 조기강도는 낮지만 장기강도는 크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밀도
  2. 활성도지수
  3. 전알칼리량
  4. 비표면적(블레인)
(정답률: 58%)
  • 전알칼리량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알칼리 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화학 반응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하지만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콘크리트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부재료 중 하나이며, 콘크리트 내부에서 알칼리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알칼리량으로 품질을 평가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알칼리량이 적합하지 않은 시험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콘크리트의 빌리딩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험 중에는 실온 20±3℃로 한다.
  2.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콘크리트의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2cm정도 높아지도록 고른다.
  3.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은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 나온 물을 빨아낸다.
  4. 물을 쉽게 빨아내기 위하여 2분 전에 두께 약 5cm의 블록을 용기의 한쪽 밑에 주의 깊게 괴어 용기를 기울이고, 물을 빨아낸 후 수평 위치로 되돌린다.
(정답률: 62%)
  •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콘크리트의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2cm정도 높아지도록 고른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2cm정도 높아지도록 고르는 것은 콘크리트의 표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시험(KS F 2436)에서 초결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입 저항이 1.25MPa이 될 때의 시간을 초결시간으로 결정한다.
  2. 관입 저항이 3.5MPa이 될 때의 시간을 초결시간으로 결정한다.
  3. 관입 저항이 7MPa이 될 때의 시간을 초결시간으로 결정한다.
  4. 관입 저항이 28MPa이 될 때의 시간을 초결시간으로 결정한다.
(정답률: 77%)
  • 초결시간은 콘크리트가 초기 응력을 견디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은 관입 저항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관입 저항치란 콘크리트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관입 저항이 3.5MPa이 될 때의 시간을 초결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유는 관입 저항이 3.5MPa가 되면 콘크리트가 초기 응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골재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잔골재 및 굵은 골재에 있어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수분하여 따로따로 저장한다.
  2. 골재의 받아들이기, 저장 및 취급에 있어서는 대소의 알을 분리한다.
  3. 골재의 저장설비에는 적당한 배수시설을 설치한다.
  4. 여름철에는 적당한 상옥시설을 하거나 살수를 하는 등 고온 상승 방지를 위한 적절한 시설을 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골재의 받아들이기, 저장 및 취급에 있어서는 대소의 알을 분리한다."이다. 이유는 골재의 받아들이기, 저장 및 취급에 있어서는 대소의 알을 분리하지 않는다. 오히려 골재는 입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의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비기 시간의 시험을 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은 강제식 믹서일 때에는 1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 비비기는 미리 정해 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 된다.
  3. 콘크리트를 오래 비비면 골재가 파쇄되어 미분의 양이 많아질 우려가 있다.
  4. 콘크리트를 오래 비빌수록 AE콘크리트의 경우는 공기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63%)
  • 콘크리트를 오래 비빌수록 AE콘크리트의 경우는 공기량이 증가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콘크리트를 오래 비빌수록 AE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이 감소한다. 이는 비빌 때 공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관리도 종류에서 계량값 관리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관리도
  2. c 관리도
  3. 관리도
  4. x 관리도
(정답률: 70%)
  • c 관리도는 불량품의 개수를 관리하는 관리도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불량률, 평균값, 범위를 관리하는 계량값 관리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현장 품질관리에 있어 관리도를 사용하려할 때 가장 먼저 행해야 할 것은?

  1. 관리할 항목을 선정한다.
  2. 관리도의 종류를 선정한다.
  3. 이상원인을 발견하면 이를 규명하고 조치한다.
  4.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정한다.
(정답률: 74%)
  • 관리도는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따라서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을 먼저 선정해야 해당 제품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다른 항목이나 종류를 먼저 선택하면 해당 제품의 품질을 관리할 수 없으므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침하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수량을 크게 한다.
  2. 타설속도를 늦게 한다.
  3. 1회 타설 높이를 작게 한다.
  4. 슬럼프가 작은 콘크리트를 잘 다짐해서 시공한다.
(정답률: 66%)
  • 단위수량을 크게 한다는 것은 일정한 시간 내에 더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침하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충격이 발생하며, 이 충격으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어 침하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위수량을 크게 하면 타설 시간이 줄어들어 충격이 더욱 커지므로 침하균열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는 워커블하게 된다.
  2.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증가되고, 수송에 의한 슬럼프 감소는 줄어든다.
  3.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면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4. 둥근 모양의 천연 모래가 모가 진 것이나 편평한 것이 많은 부순 모래에 비하여 워커블한 콘크리트를 얻기 쉽다.
(정답률: 69%)
  •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증가되고, 수송에 의한 슬럼프 감소는 줄어든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높은 온도에서 물의 증발이 빨라져 수분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슬럼프가 증가하게 되고, 수송에 의한 슬럼프 감소는 물의 증발로 인해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품질관리의 진행순서로 옳은 것은?

  1. 계획→검토→실시→조치
  2. 계획→실시→조치→검토
  3. 계획→검토→조치→실시
  4. 계획→실시→검토→조치
(정답률: 85%)
  • 품질관리의 진행순서는 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그 계획에 따라 실시를 하며, 이후에는 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이 옳은 순서이다. 따라서 "계획→실시→검토→조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시멘트 분말도가 높은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수화반응이 빨라진다.
  2.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축균열이 많이 생긴다.
  3. 응결 및 강도의 증진이 크다.
  4. 풍화되기 쉽다.
(정답률: 73%)
  • 시멘트 분말도가 높아지면 물과의 반응이 더 빨라져 수화반응이 빨라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축균열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축균열이 많이 생긴다."가 아닌 것은 모두 시멘트 분말도가 높아질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동결 융해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한 급속 동결 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 시험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동결 융해 1사이클의 소요시간은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로 한다.
  2. 동결 융해 1사이클은 공시체 중심부의 온도를 원칙으로 하며 원칙적으로 4℃에서 -18℃로 떨어지고, 다음에 -118℃에서 4℃로 상승되는 것으로 한다.
  3. 시험의 종료는 300사이클로 하며, 그때까지 상대 동 탄성 계수가 60% 이하가 되는 사이클이 있으면 그 사이클에서 시험을 종료한다.
  4. 특별히 다른 재령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는 한 공시체는 14일 간 양생한 후 동결융해 시험을 시작한다.
(정답률: 58%)
  • "동결 융해 1사이클은 공시체 중심부의 온도를 원칙으로 하며 원칙적으로 4℃에서 -18℃로 떨어지고, 다음에 -118℃에서 4℃로 상승되는 것으로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118℃에서 4℃로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18℃에서 4℃로 상승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품질이 균일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2. 주문제조하기 때문에 공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생산비용이 많아지게 된다.
  4. 소요 콘크리트 재료비의 산정이 용이하다.
(정답률: 74%)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이미 공장에서 미리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곳에서도 품질이 균일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주문제조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일반적으로 많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하속도가 빠르면 강도가 작아진다.
  2. 공시체의 단면에 요철이 있으면 강도가 실제보다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3. 공시체의 치수가 클수록 강도는 작게 된다.
  4. 시험 직전에 공시체를 건조시키면 일시적으로 강도가 증대한다.
(정답률: 64%)
  • "재하속도가 빠르면 강도가 작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물과 시멘트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면서 혼합물이 되는 과정에서 수화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 수화반응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재하속도가 빠를수록 이 수화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고 강도가 작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탄산화의 깊이가 6.0m가 되려면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소요되는 경과 년수는 몇 년인가? (단, 탄산화 속도계수는 4이다.)

  1. 1.75년
  2. 2.0년
  3. 2.25년
  4. 2.5년
(정답률: 69%)
  • 탄산화 속도계수가 4이므로, 1년에 4m의 깊이가 탄산화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6m까지 탄산화되기 위해서는 1.5년이 소요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지하수의 유동성, 지반의 특성 등에 따라 탄산화 속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답은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2.25년"을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파괴시험법 중 타격법에 해당되는 것은?

  1. 반발경도법
  2. 초음파속도법
  3. 전기저항법
  4. 자연전위법
(정답률: 80%)
  • 타격법은 시편에 충격을 가해 소리나 반동 등을 측정하여 물질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하는 비파괴시험법 중 하나입니다. 반발경도법은 이러한 타격법 중 하나로, 시편에 일정한 에너지의 충격을 가한 후 반동하는 속도를 측정하여 물질의 경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반발경도법은 타격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에 알맞은 것은?

  1. A:2.5, B:1.0
  2. A:3.0, B:1.5
  3. A:4.0, B:1.0
  4. A:4.5, B:1.5
(정답률: 72%)
  • 이 그래프는 y = 3x + 1과 y = -2x + 4의 교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두 식을 풀어보면 x = 1, y = 4인 교점이 나옵니다. 따라서 A의 값은 x = 1일 때 y값인 4에 해당하며, B의 값은 x = 0.5일 때 y값인 1.5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4.5, B: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량은 현장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각 재료는 1배씩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한다.
  3. 시멘트의 계량의 허용오차는 ±2% 이다.
  4. 연속믹서를 사용할 경우, 각 재료는 용적으로 계량해도 좋다.
(정답률: 70%)
  • "시멘트의 계량의 허용오차는 ±2% 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시멘트는 다른 재료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인해 정확한 계량이 중요하다. 따라서 시멘트의 계량 허용오차는 일반적으로 ±1%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ø150mm×300m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400kN의 하중에서 파괴되었다. 이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1. 18.4MPa
  2. 20.8MPa
  3. 22.6MPa
  4. 24.2MPa
(정답률: 70%)
  • 압축강도 = 파괴하중 / 단면적
    공시체의 단면적 = π(지름/2)^2 = π(75mm)^2 = 17671.5mm^2
    하중을 kN에서 N으로 변환하면 400kN = 400000N
    압축강도 = 400000N / 17671.5mm^2 = 22.6MPa
    따라서 정답은 "22.6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50mm×150mm×530mm인 콘크리트 시험체로 휨강도 실험을 하였다. 실험 시 시간을 450mm로 하였으며, 최대하중이 112.5kN에서 파괴되었다. 이 콘크리트의 휨강도는?

  1. 15MPa
  2. 30MPa
  3. 45MPa
  4. 60MPa
(정답률: 68%)
  • 휨강도는 파괴하중을 시험체의 단면적과 시험 시간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휨강도 = 파괴하중 / (단면적 × 시험 시간²) 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휨강도 = 112.5kN / (150mm × 450mm²) = 15M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알아보는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염화물 함유량 시험
  2. 공기량 시험
  3. 슬럼프 시험
  4. 슈미트해머 시험
(정답률: 77%)
  • 슈미트해머 시험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알아보는 시험방법이 아니다. 슈미트해머 시험은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완성된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하여 강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알아보는 시험방법은 "염화물 함유량 시험", "공기량 시험", "슬럼프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속이 빈 원통형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다짐방법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봉다짐
  2. 진동다짐
  3. 원심력다짐
  4. 가압성형다짐
(정답률: 73%)
  • 속이 빈 원통형 콘크리트 제품은 원형의 형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가장 적합한 다짐방법은 원심력다짐입니다. 원심력다짐은 회전하는 원통형 다짐기에 콘크리트를 넣고 회전시켜서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힘인 원심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다짐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다짐방법에 비해 다짐력이 강하고 균일하게 작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와 불순물을 제거하고 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내부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다지기를 할 경우 표준으로 틀린 것은?

  1.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1m 정도 찔러 넣는다.
  2. 진동기의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0.5m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3.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블리딩 수 및 레이턴스가 표면 상부로 부상할 때까지 실시한다.
  4.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블리딩 수 및 레이턴스가 표면 상부로 부상할 때까지 실시한다." 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 다짐 시 진동기의 작동 시간은 다짐할 콘크리트의 높이와 블리딩 수, 레이턴스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개소당 진동시간을 일정하게 정해놓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진동기 작동 시간은 다짐할 콘크리트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강도 콘크리트는 빈배합이며, 시멘트 대체 재료인 플라이애쉬나 실리카 퓸 등의 적용은 적절하지 않다.
  2. AE제(공기연행제)의 적용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에 필수적이며 콘크리트의 강도 증진에 크게 기여한다.
  3. 고강도의 콘크리트를 얻기 위해서는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은 가능한 크게 하여야 한다.
  4. 고강도 콘크리트는 설계기준강도만 높은 것이 아니라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정답률: 56%)
  • 고강도 콘크리트는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설계기준강도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화열이나 건조수축으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이 구속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균열에 대한 대책 중의 하나로, 소정의 간격으로 단면 결손부를 설치한 것을 지칭하는 것은?

  1. 콜드조인트
  2. 겹침이음
  3. 균열유발이음
  4. 전단키
(정답률: 80%)
  • 정답: 균열유발이음

    균열유발이음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형에 대한 대책 중 하나로, 구조물의 변형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단면 결손부를 설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변형이 균일하게 일어나며, 균열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대규모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공사에서 다져지지 않은 콘크리트를 포설면에 고르게 펴는 장비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벨트형 스프레더
  2. 호퍼용 스프레더
  3. 스크류형 스프레더
  4. 슬림폼 페이버
(정답률: 71%)
  • 슬림폼 페이버는 콘크리트를 다져주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다져지지 않은 콘크리트를 고르게 펴는 장비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콘크리트를 다져주는 기능이 있어서 적합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잔골재의 조립률은 어느 정도 범위를 가져야 하는가?

  1. 1.0~1.4
  2. 1.4~2.2
  3. 2.3~3.1
  4. 3.2~4.3
(정답률: 73%)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는 잔골재와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구성되는 구조물입니다. 잔골재의 조립률은 잔골재의 양과 콘크리트의 양을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잔골재의 조립률은 1.4~2.2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범위는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영구 지보재 개념으로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8MPa
  2. 21MPa
  3. 28MPa
  4. 35MPa
(정답률: 52%)
  • 영구 지보재는 장기간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다. 따라서 숏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영구 지보재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계기준압축강도를 높게 설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영구 지보재 개념으로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35MPa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유는 35MPa 이상의 강도를 가진 숏크리트를 사용하면 영구 지보재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팽창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팽창재의 취급 및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팽창재는 풍화되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2. 포대 팽창재는 15포대 이하로 쌓아야 한다.
  3. 포대 팽창재는 지상 0.3m 이상의 마루 위에 쌓아 운반이나 검사에 편리하도록 배치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4. 포대 팽창재는 사용 직전에 포대를 여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저장 중에 포대가 파손된 것은 공사에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80%)
  • "포대 팽창재는 15포대 이하로 쌓아야 한다."이 틀린 것이다. 포대 팽창재는 20포대 이하로 쌓아야 한다. 이유는 포대 팽창재는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높이를 높게 쌓으면 포대가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한중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45%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단위수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3. 초기동해에 필요한 압축강도가 초기양생기간 내에 얻어지도록 배합하여야 한다.
  4.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60%)
  •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물-결합재비가 45%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과다한 물의 사용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고 수축률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물-결합재비를 유지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위수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조절되어야 합니다. 초기동해에 필요한 압축강도가 초기양생기간 내에 얻어지도록 배합하는 것은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철근이 배치된 일반적인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발생을 제한할 경우의 표준적인 온도균열지수 값으로 옳은 것은?

  1. 1.5 이상
  2. 1.2~1.5
  3. 0.7~1.2
  4. 0.7 이하
(정답률: 67%)
  • 일반적인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발생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응력을 제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지표가 온도균열지수입니다. 온도균열지수는 콘크리트의 열팽창 계수와 온도변화량, 그리고 구조물의 제한응력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일반적으로 균열발생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온도균열지수가 1.2~1.5 이내여야 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구조물 내부에서 큰 응력이 발생하여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콘크리트 혼합재료와 구조물 설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한중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보온양생방법이 아닌 것은?

  1. 습윤양생
  2. 급열양생
  3. 단열양생
  4. 피복양생
(정답률: 68%)
  • 한중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보온양생 방법 중 "습윤양생"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습윤양생은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보온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물을 뿌려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한중콘크리트에서는 "급열양생", "단열양생", "피복양생" 방법을 사용합니다. 급열양생은 콘크리트를 만들 때 사용하는 시멘트와 물의 반응 열을 이용하여 보온하는 방법이고, 단열양생은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가두어 보온하는 방법입니다. 피복양생은 콘크리트 표면에 보온재를 덮어서 보온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수중콘크리트의 타설의 원칙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는 수중에 낙하시키지 않아야 한다.
  2. 콘크리트면을 가능한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소정의 높이 또는 수면 상에 이를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3. 한 구획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한 후 완전 경화된 이후 다시 타설하여야 하며, 이때 레이턴스를 제거하지 않아야 한다.
  4. 트레미나 콘크리트 펌프 등을 사용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한 구획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한 후 완전 경화된 이후 다시 타설하여야 하며, 이때 레이턴스를 제거하지 않아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다시 타설하면 강도가 약해지고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레이턴스를 제거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후 충분한 시간을 두고 다시 타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바닥틀의 시공이음의 위치로 적당한 것은?

  1. 슬래브나 보의 지점 부분
  2.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
  3. 슬래브나 보의 경간 1/4 지점
  4. 슬래브나 보의 경간 3/4 지점
(정답률: 75%)
  • 바닥틀은 건축물의 구조물 중 하나로, 지하나 지반 위에 설치되어 건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바닥틀은 슬래브나 보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 부분을 시공이음이라고 합니다. 시공이음의 위치는 바닥틀과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이 적당합니다. 이유는 바닥틀과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음이 이 부분에 위치하면 건축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숏크리트 작업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숏크리트는 빠르게 운반하고 혼화제를 첨가한 후에는 바로 뿜어붙이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2. 노즐은 뿜어 붙일 면에 직각을 유지하며, 적절한 뿜어 붙이는 거리와 뿜는 압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3. 뿜어 붙인 콘크리트가 적당한 두께로 되도록 한번에 뿜어 붙여야 한다.
  4. 리바운드 된 재료가 다시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뿜어 붙인 콘크리트가 적당한 두께로 되도록 한번에 뿜어 붙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숏크리트 작업에서는 적당한 두께로 여러 번에 걸쳐 뿜어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한 번에 뿜어 붙이면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불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는 안 된다.
  2. 한 구획 내의 콘크리트는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다짐 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4. 거푸집의 높이가 높아 슈트, 버킷, 호퍼 등을 사용할 경우 배출구와 타설 면지의 높이는 2.5m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1%)
  • "한 구획 내의 콘크리트는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콘크리트는 일정한 양을 한 번에 타설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구획 내의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콘크리트 공장제품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규격의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아 실물 시험이 불가능하다.
  2. 숙련된 작업원에 의하여 안정된 품질에서 상시 제조가 가능하다.
  3. 재료 선정에서 배합, 제조설비, 시공까지 전반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4. 형상이나 성형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80%)
  • "규격의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아 실물 시험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콘크리트 공장제품은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어 실물 시험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시험하여 거푸집널의 해체시기를 결정하는 경우 확대기초, 보, 기둥 등의 측면 거푸집의 해체시기로 적합한 것은?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MPa 이상일 때
  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7MPa 이상일 때
  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14MPa 이상일 때
  4.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 압축강도의 2/3배 이상일 때
(정답률: 59%)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MPa 이상일 때 건축물의 구조물 중 대부분의 측면 거푸집이 해체 가능한 수준에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즉,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건축물의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푸집널의 해체시기를 결정할 때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중 설계기준 휨강도(f28)는 몇 MPa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MPa
  2. 3.0MPa
  3. 4.5MPa
  4. 7.0MPa
(정답률: 78%)
  • 포장용 콘크리트는 건축물의 외부나 내부를 장식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로, 일반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낮을 수 있다. 하지만 포장용 콘크리트도 일정한 강도를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설계기준 휨강도(f28)가 정해져 있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4.5MPa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5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의 경우 일반적으로 두께가 몇 m 이상일 때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가?

  1. 0.3m
  2. 0.5m
  3. 0.6m
  4. 0.8m
(정답률: 74%)
  •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의 경우 일반적으로 두께가 0.8m 이상일 때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합니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매스콘크리트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아 대규모 구조물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의 경우에는 두께가 0.8m 이상이어야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실하게 만든 콘크리트를 수밀콘크리트라고 한다. 수밀콘크리트의 배합설계 시 고려해야 할 내용과 관계가 먼 것은?

  1. 단위 굵은 골재량은 되도록 적게 한다.
  2. 단위수량 및 물-결합재비는 되도록 적게 한다.
  3.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연행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공기량은 4% 이하가 되게 한다.
  4.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64%)
  • "단위 굵은 골재량은 되도록 적게 한다."는 수밀콘크리트의 특성상 골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밀실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골재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조절하여 밀실한 수밀콘크리트를 만들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콘크리트 구조설계에 사용되는 강도 감소 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장지배단면의 경우 0.85를 적용한다.
  2. 압축지배단면으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0.65를 적용한다.
  3. 전단력과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부재는 0.75를 적용한다.
  4. 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는 0.55를 적용한다.
(정답률: 59%)
  • "압축지배단면으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0.65를 적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강도 감소 계수는 구조물의 부재가 받는 힘의 종류와 부재의 재료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압축지배단면으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0.65를 적용한다."라는 이유는,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부재는 압축력이 발생할 때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인장력이 발생할 때는 철근이 인장력을 받아내기 때문에 강도 감소 계수를 더 낮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비파괴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슈미트 해머법
  2. 회전식 해머법
  3. 초음파속도법
  4. 적외선법
(정답률: 55%)
  • 적외선법은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비파괴 시험방법이 아니다. 적외선법은 건축물의 열손실을 평가하거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이상부위를 찾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개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각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4개로 하여야 한다.
  2. 삼각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3개로 하여야 한다.
  3.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6개로 하여야 한다.
  4.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5개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5개로 하여야 한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원형 띠철근은 축방향으로 균일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주철근을 4개만 사용해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4개로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슬래브의 설계에서 직접설계법을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 연속되어야 한다.
  2.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10% 이하이어야 한다.
  4.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부 중심간 경간 차이는 긴 경간의 1/3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50%)
  •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슬래브 판은 등분포된 하중을 받아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보다 더 큰 하중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콘크리트의 탄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통 골재 콘크리트가 경량골재 콘크리트보다 탄산화 속도가 빠르다.
  2. 실외보다 실내에서 탄산화 속도가 빠르다.
  3. 물-결합재비가 높을수록 탄산화 속도가 빠르다.
  4.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산화 속도가 빨라진다.
(정답률: 60%)
  • "보통 골재 콘크리트가 경량골재 콘크리트보다 탄산화 속도가 빠르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경량골재 콘크리트가 보통 골재 콘크리트보다 탄산화 속도가 빠르다. 이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경우 골재와 시멘트 사이의 공간이 크기 때문에 공기나 물이 쉽게 침투하여 탄산화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콘크리트 구조물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영향을 받아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서서히 탄산칼슘으로 되어 콘크리트가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알칼리골재반응
  2. 염해
  3. 탄산화
  4. 화학적 침식
(정답률: 82%)
  •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는데,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면서 알칼리성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탄산화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철근 콘크리트의 성립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전단력과 사인장력에 대한 균열은 철근을 설치하여 방지할 수 있다.
  2. 압축응력은 철근이 부담하고, 인장응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한다.
  3. 콘크리트는 내구, 내화성이 있으며 철근을 보호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4. 콘크리트와 철근이 잘 부착되면 철근의 좌굴이 방지되어 압축력에도 철근이 유효하게 작용한다.
(정답률: 78%)
  • "전단력과 사인장력에 대한 균열은 철근을 설치하여 방지할 수 있다."는 철근 콘크리트의 성립 이유와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압축응력은 철근이 부담하고, 인장응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이유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 때문입니다. 철근은 인장강도가 높고 압축강도가 낮은 반면,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높고 인장강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철근은 압축력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고 인장력을 맡게 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맡게 되고 인장력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습니다.

    콘크리트는 내구성과 내화성이 뛰어나며 철근을 보호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콘크리트와 철근이 잘 부착되면 철근의 좌굴이 방지되어 압축력에도 철근이 유효하게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PS 강재의 정착방법 중 포스트텐션 방식이 아닌 것은?

  1. 프레시네 공법
  2. VSL 공법
  3. 디비닥 공법
  4. 롱라인 공법
(정답률: 71%)
  • 롱라인 공법은 PS 강재의 정착방법 중 포스트텐션 방식이 아닙니다. 이는 강재를 지지하는 기둥과 같은 롱라인을 사용하여 지반에 깊이 침입시키고, 그 안에 강재를 넣어 고정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강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포스트텐션 방식과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기방식 보수공법은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의 부식반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방식 보수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가 건전할 때 적용하면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2. 방식전류를 얻는 방법에 딸하 외부 전원방식과 유전양극방식으로 나뉜다.
  3. 대규모 콘크리트의 떼어내기 작업이 필요 없고, 부식반응을 정지시킬 수 있다.
  4. 방식전류의 공급은 시공 초기 1시간 정도만 필요하며,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관리가 필요 없다.
(정답률: 75%)
  • 방식전류의 공급은 시공 초기 1시간 정도만 필요하며,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관리가 필요 없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전기방식 보수공법은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방식전류의 공급도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시멘트계 보수재료 중 폴리머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착성이 크다.
  2. 투수ㆍ투기성이 크다.
  3. 내화학 저항성이 크다.
  4. 양생일수가 1일 이내이다.
(정답률: 70%)
  • 틀린 것은 "투수ㆍ투기성이 크다."이다.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부착성이 크고 내화학 저항성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투수ㆍ투기성은 낮은 편이다. 이는 폴리머가 물과 같은 액체에 대해 투수성이 낮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일어나는 즉시 손실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착장치의 활동
  2. PS강재와 쉬스사이의 마찰
  3. PS강재의 릴렉세이션
  4.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정답률: 59%)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일어나는 즉시 손실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PS강재의 릴렉세이션"입니다. PS강재는 처음에 인장력을 받으면 일시적으로 변형이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변형이 감소하는 현상을 릴렉세이션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PS강재의 릴렉세이션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상을 해주어야 합니다. 정착장치의 활동, PS강재와 쉬스사이의 마찰,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은 모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일어나는 즉시 손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폭(b)이 300mm이고, 유효깊이(d)가 550mm인 직사각형 단면의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공칭전단강도(Ve)는? (단, fck가 21MPa이고, 모래경량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로서 λ=0.85를 적용한다.)

  1. 80kN
  2. 98kN
  3. 107kN
  4. 126kN
(정답률: 55%)
  • 공칭전단강도(Ve)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e = 0.17λfckbd

    여기서, λ는 모래경량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0.85이다.

    따라서,

    Ve = 0.17 × 0.85 × 21 × 300 × 550

    Ve = 107,092.5 N

    따라서,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공칭전단강도(Ve)는 107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수화열로 인한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습윤양생을 한다.
  2. 단면의 치수를 크게 한다.
  3. 거푸집의 탈형을 천천히 한다.
  4. 강재거푸집 대신에 목재거푸집을 사용한다.
(정답률: 75%)
  •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수화열이 발생하여 열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습윤양생을 해야합니다. 습윤양생은 콘크리트 표면을 적정한 습도로 유지하여 수화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습윤양생을 하면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단면의 치수를 크게 하는 것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며, 거푸집의 탈형을 천천히 하는 것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강재거푸집 대신에 목재거푸집을 사용하는 것은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콘크리트 중 염화물 이온 함유량 측정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놀프탈레인법
  2. 모아법
  3. 전위차 적정법
  4. 염화은 침전법
(정답률: 57%)
  • 페놀프탈레인법은 콘크리트 중 염화물 이온 함유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염화물 이온과 페놀프탈레인이 반응하여 붉은색을 띄는데, 이 색의 진한 정도로 염화물 이온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내하력 평가를 위한 시험으로 적합한 것은?

  1. 전위차 측정시험
  2. 재하 시험
  3. 체가름 시험
  4. 물리탐사시험
(정답률: 74%)
  • 재하 시험은 내하력 평가를 위한 시험으로 적합합니다. 이는 지반의 내부 구조와 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하에 있는 바위와 토양의 내부 상태를 조사하는 시험으로,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시험들은 지반의 다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내하력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폭은 300mm, 유효깊이는 500mm, As는 2000mm2, fck는 28MPa, fy는 40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가 있다.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공칭 휨모멘트강도(Mn)는 얼마인가?

  1. 301.9kN
  2. 318.5kN
  3. 332.3kN
  4. 355.2kN
(정답률: 56%)
  • 강도설계법에서 공칭 휨모멘트강도(Mn)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n = 0.9fy As (d - a/2)

    여기서 d는 유효깊이, a는 굽힘균일선에서 단면의 최대 압축선까지의 거리이다.

    a = 0.85x, x는 굽힘균일선에서 단면의 최대 인장선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a = 0.85(300/2-10) = 117.5mm

    d = 500 - 20 = 480mm (콘크리트 덮개 20mm 제외)

    Mn = 0.9 x 400 x 2000 x (480 - 117.5/2) / 10^6 = 355.2kN

    따라서 정답은 "355.2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돌로마이트 석회암이 알칼리 이온과 반응하여 그 생성물이 팽창하거나 암석 중에 존재하는 점토광물이 수분을 흡수, 팽창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을 일으키는 반응은?

  1. 알칼리 탄산염 반응
  2. 알칼리 실리카 반응
  3. 알칼리 실리케이트반응
  4. 알칼리 수산화 반응
(정답률: 53%)
  • 돌로마이트 석회암은 알칼리 이온과 반응하여 탄산염을 생성하는데, 이 탄산염이 물과 반응하여 팽창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을 알칼리 탄산염 반응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에서 설명하는 철근은?

  1. 표피철근
  2. 주철근
  3. 후프철근
  4. 사인장철근
(정답률: 52%)
  • 이 그림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들어가는 철근 종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표피철근은 콘크리트 표면에서 바로 위에 놓이는 철근으로, 콘크리트의 표면을 보호하고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표피철근이 정답인 것입니다. 주철근은 구조물의 주축을 이루는 철근, 후프철근은 원형 구조물의 강화를 위해 사용되는 철근, 사인장철근은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대한 보수공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에폭시 주입법
  2. 드라이 패킹
  3. 폴리머 침투
  4. 상판 단면증설공법
(정답률: 66%)
  • 상판 단면증설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보수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이는 균열이 발생한 부분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추가로 채워서 균열을 메우는 방법으로, 기존의 콘크리트와 새로운 콘크리트가 결합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지만, 균열이 큰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균열의 크기와 상황에 따라 다른 보수공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등가압축응력의 깊이(a)는 얼마인가? (단, As=3210mm2. As'=1014mm2, fck=20MPa, fy=300MPa)

  1. 101.3mm
  2. 116.8mm
  3. 129.2mm
  4. 143.7mm
(정답률: 50%)
  •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등가압축응력의 깊이(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0.85 * h - (0.85 * h - d) * (1 - (fck / (0.85 * fy)))

    여기서, h는 보의 높이, d는 보의 상부층의 높이이다.

    h = 400mm (주어진 값)
    d = 50mm (주어진 값)
    fck = 20MPa (주어진 값)
    fy = 300MPa (주어진 값)
    As = 3210mm2 (주어진 값)
    As' = 1014mm2 (주어진 값)

    먼저, 보의 단면적을 구한다.

    Ac = h * b = 400 * 300 = 120000mm2

    그리고, 단면의 중립축 위치를 구한다.

    yc = (As * ds + Ac * (h / 2)) / (As + Ac)
    = (3210 * 50 + 120000 * (400 / 2)) / (3210 + 120000)
    = 198.3mm

    그리고,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를 구한다.

    Ic = b * h3 / 12 = 300 * 4003 / 12 = 1.28 * 108mm4

    그리고, 단면의 균일응력면의 위치를 구한다.

    yu = yc + Ic / (Ac * (h / 2))
    = 198.3 + 1.28 * 108 / (120000 * (400 / 2))
    = 398.3mm

    마지막으로, 등가압축응력의 깊이(a)를 구한다.

    a = 0.85 * h - (0.85 * h - d) * (1 - (fck / (0.85 * fy)))
    = 0.85 * 400 - (0.85 * 400 - 50) * (1 - (20 / (0.85 * 300)))
    = 129.2mm

    따라서, 등가압축응력의 깊이(a)는 129.2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