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콘크리트의 배합에 있어서 물-결합재비를 낮게 하였을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각종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 해양 콘크리트 중 물보라, 간만대 지역의 일반 현장 시공의 경우 초과하지 않아야 할 최대 물-결합재배(%)는?
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혼합에 사용되는 물 중 상수돗물 이외의 물의 품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요구되는 성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7.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일반사항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8. 철근콘크리트에 이용되는 길이가 300mm, 지름이 20mm인 강봉에 50kN의 인장력을 가한 결과 2.34x10-1mm가 신장되었을 때 강봉의 변형률은? (단, 강봉의 탄성 계수=2.04×105N/mm2)
9. 공기 투과 장치를 이용한 분말도 시험방법에 따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 결과를 얻었을 때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비표 면적은?
10. 콘크리트용 실리카 퓸의 품질규정으로 부적잘한 것은?
11.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결정할 때 사용 하는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그 이하일 경우 보정계수를 곱하여 그 값을 표준편차로 사용한다. 다음 중 시험횟수가 20회일 때 표준편차의 표정계수로 옳은 것은?
12.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단위골재량의 절대 용적을 계산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 아닌 것은?
13. 다음 재료를 계량할 때 허용되는 오차값으로 옳은 것은?
14.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시험에서 결과의 정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5. 굵은 골재에 관한 시험을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골재의 흡수율은?
16. 시멘트의 비중이 작아지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7. 포틀랜드 시멘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다음의 표는 콘크리트용 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골재의 조립률로 옳은 것은?
19. 플라이 애시의 품질규격에서 물리적 성질의 항목이 아닌 것은?
20. 다음 포틀랜드 시멘트 중 C3A 함량이 가장 적은 것은?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일반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에서 염소이온량은 원칙적으로 몇 kg/m3 이하이어야 하는가?
22.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지름 150mm, 높이 300mm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한 경우, 최대 압축하중 430kN에서 공시체가 파괴되었다면 압축강도는?
23.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4. 콘크리트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몇 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 되는가?
2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 기준 중 고강도 콘크리트의 공기량 및 공기량의 허용 오차로 옳은 것은?
26.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시멘트의 저장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28.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KS F 2424)에서 규정하는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29. 다음 중 콘크리트 타설 후부터 응결이 종료할 때까지 발생하는 균열이 원인이 아닌 것은?
30. 콘크리트의 동해 및 내동해성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1. 지름 150mm, 높이 300mm인 원주형 공시체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쪼갬 인장 강도 시험으로 콘크리트에 하중을 가하여 공시체가 100kN에 파괴되었다면, 이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 강도는?
32. 레디믹스크 콘크리트(KS F 4009)의 품질 중 슬럼프가 80mm일 때 슬럼프의 허용오차로 옳은 것은?
33.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다음 중 품질관리 4단계 사이클의 순서가 옳은 것은?
35. 5회의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측정값을 얻었다. 범위 R은?
36. 콘크리트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블리딩 시험용기의 안지름의 25cm이고, 안높이는 28.5cm이다. 이 용기에 30kg의 콘크리트를 채우고 측정한 블리딩에 따른 물의 총 용적은 200cm3 이었다면 블리딩양은?
38. 블리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9.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에서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는 속도로 옳은 것은?
40.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시험에서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이 4.6%, 골재 수정 계수가 0.3%이면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 설치 목적과 관계가 먼 것은?
42. 아래 표와 같은 조건에서 한중 콘크리트의 타설이 종료되었을 때 온도는?
43. 숏크리트 시공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44. 결랑골재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45. 콘크리트의 이음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46. 특정한 입도를 가지는 굵은 골재를 거푸집에 채워 넣고, 그 간극에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드는 콘크리트의 배합에 사용되는 잔골재의 조립률의 범위로 적당한 것은?
47.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양생방법은?
48. 콘크리트의 운반 및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49. 일반 수중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단위 결합재비량은 표준으로 옳은 것은?
50. 터널 등의 숏크리트에 첨가하여 뿜어붙이는 콘크리트의 응결 및 조기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는?
51. 팽창 콘크리트의 품질과 관련하여 틀린 것은?
5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통하여 거푸집을 해체하고자 한다. 설계기준압축 강도가 24MPa, 단층구조의 보의 밑면인 경우 거푸집을 해체할 때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53.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숫자는?
54. 콘크리트가 굳지 않은 상태일 때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 증발속도가 블리딩(bleeding) 수의 상승속도를 상회하는 경우에 표면 부근이 급격하게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균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55.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스트레싱할 때 프리텐션 방식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57. 서중 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58. 유동화 콘크리트에서 베이스 콘크리트의 정의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59.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슈트를 사용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0.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이 아닌 것은?
62.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KS F 2730)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3. 콘크리트의 탄산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4. 옹벽의 안정조건에 대한 아래 설명에서 ()안에 적합한 수치는?
65. 포스트텐션 공법에 의한 PS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66. 강도설계법에서 띠철근 기중의 강도가 인장으로 지배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 (단, 단주이며, e:편심거리, eb:균형편심, Pu:편심축강도, Pb:균형축강도이다.)
67. 철근의 단면적 As=3000mm2, fck=30MPa, fy=40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전압출력(C)은? (단, 과소철근보이다.)
68. 압축부재의 축방향 철근의 D35 이상일 때 사용할 수 있는 띠철근의 규정으로 옳은 것은?
69. 아래에서 설명하는 균열의 보수기법은?
70.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조사 중 육안조사에 의한 조사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71. 구조물의 보수공법 중 주입공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72.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조사 시 외관조사망도에 기입하지 않는 것은?
73. 그림과 같은 T형 보에서 빗금 친 부분의 압축강도와 같은 크기의 힘을 발휘하는 인정철근의 단면적(Asf)은? (단, fck=18MPa, fy=300MPa이다.)
74. 350kNㆍm의 계수휨모멘트(Mu)가 작용하는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유효깊이 d는? (단, 철근비 ρ=0.0135, b=200mm, fck=24MPa, fy=300MPa, ø=0.85이다.)
75. 도로교 상부 구조의 충격계수(i)식으로 옳은 것은? (단, L은 지간이며, ⅰ는 0.3을 초과할 수 없다.)
7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동해의 형태는?
77.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태에서 총량을 규제를 하고 있는 전 염소이온량의 한도로 옳은 것은?
78. 조건에 따른 강도감소계수 ø의 값으로 틀린 것은?
79. 강도설계법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나선철근 압축부재 설계 시 설계축강도(øPn)는? (단, 기둥의 총 단면적 Ag=300000mm2, Ast=6-D35=5700mm2, fck=21MPa, fy=300MPa)
80.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짐하여 마감작업을 한 이후에도 콘크리트는 계속하여 압밀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침하균열이라고 한다. 다음 중 침하균열이 증가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