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13)

용접기능장
(2008-07-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 작용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아크를 안정하게 한다.
  2. 용적을 크게 하고 용착효율을 낮춘다.
  3. 용착금속에 적당한 합금원소를 첨가한다.
  4. 용착금속의 응고와 냉각속도를 느리게 한다.
(정답률: 95%)
  •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는 용접 중에 발생하는 기체와 산화물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용접부위를 보호하고, 아크를 안정화시켜 용접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피복제는 용적을 크게 하고 용착효율을 낮추는 역할도 한다. 이는 피복제가 용접부위를 덮어서 용접부위와 용접봉 사이의 거리를 늘리고, 이로 인해 열전달이 더디게 되어 용적이 커지고 용착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접시에는 적절한 피복제를 선택하여 용접부위를 보호하면서도 용적과 용착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 용접시 산화 불꽃으로 용접하는 것이 좋은 재료는?

  1. 알루미늄, 압
  2. 청동, 황동
  3. 주철, 가단주철
  4. 모넬메탕, 니켈
(정답률: 78%)
  • 가스 용접시 산화 불꽃으로 용접하는 것이 좋은 재료는 청동과 황동입니다. 이는 청동과 황동이 산화에 강하고, 용접시에도 산화가 적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반면 알루미늄과 압은 산화에 약하고, 용접시에 산화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스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주철과 가단주철은 산화에 약하지만, 용접시에는 산화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스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모넬메탕과 니켈은 산화에 강하지만, 용접시에 산화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스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용되는 아세틸렌 가사의 압력에 따라 가스용접 토치를 분류한 것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저압식
  2. 차압식
  3. 중압식
  4. 고압식
(정답률: 94%)
  • 아세틸렌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용접 토치는 일반적으로 압력에 따라 저압식, 중압식, 고압식으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차압식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차압식은 아세틸렌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차압식은 일반적으로 산소와 연료 가스(프로판, 메탄 등)를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따라서 차압식은 아세틸렌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용접 토치 분류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아세틸렌가스의 폭발성과 관계 없는 것은?

  1. 수은
  2. 압력
  3. 온도
  4. 암모니아
(정답률: 88%)
  • 암모니아는 폭발성이 없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수은은 증기가 폭발성이 있고, 압력과 온도는 화학반응과 연관되어 폭발성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후판정단에 이용되는 가스 절단 팁의 노즐 형태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직선형
  2. 스트레이트형
  3. 다이버전트형
  4. 저속다이버전트형
(정답률: 64%)
  • 가스 절단 팁은 금속을 절단하기 위해 가스를 이용하는 장비입니다. 이 가스 절단 팁은 후판정단에서 사용되며, 가스를 흡입하여 불을 일으켜 금속을 절단합니다. 이때 가스 절단 팁의 노즐 형태는 직선형이 적합합니다. 이는 가스를 일직선으로 흡입하여 불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선형이 가장 적합한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알루미늄을 플라즈마 제트 절단할 때 작동 가스로 적합한 것은?

  1. 아르곤 + 수소
  2. 아르곤 + 질소
  3. 헬륨 + 수소
  4. 질소 + 수소
(정답률: 88%)
  • 알루미늄은 고열에 강하고 산화되기 쉬우므로, 플라즈마 제트 절단 시에는 고열과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작동 가스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아르곤은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열에 강하며 산화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수소는 아르곤과 함께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과의 화학 반응을 억제하여 절단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아르곤 + 수소가 알루미늄을 플라즈마 제트 절단할 때 적합한 작동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ø3.2 용접봉으로 작업 중 아크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용융금속이 산화된다.
  2. 열집중이 부족하다.
  3. 용입불량이 되기 쉽다.
  4. 스패터가 적다.
(정답률: 78%)
  • 정답인 "스패터가 적다."의 이유는, 아크 길이를 길게 하면 용융금속이 더 많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스패터가 적다는 것은 용융금속이 덜 떨어지고 용접작업이 깔끔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스패터가 적다는 것은 용접품질이 좋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강용 피복금속 아크 용접봉의 종류 중 라임티타니아계에 해당되는 것은?

  1. E4316
  2. E4313
  3. E4311
  4. E4303
(정답률: 65%)
  • 라임티타니아계 피복금속 아크 용접봉은 E4303입니다. 이는 AWS(American Welding Society)에서 정한 용접규격 표기법으로, E는 용접봉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43은 피복금속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입니다. E4303은 라임티타니아계 피복금속으로, 용접시 용접봉의 전극에서 양극성 전류를 사용하며, 용접시작부터 끝까지 안정적인 아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접기의 자동전격 방지 창치에서 아크를 발생하지 않을 때는 보조변압기에 의해 용접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을 몇 V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30
  2. 50
  3. 70
  4. 90
(정답률: 86%)
  • 자동전격 방지 창치에서 아크를 발생하지 않을 때는 용접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을 낮춰야 합니다. 이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용접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전압을 낮추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때, 보조변압기에 의해 용접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을 30V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안전하면서도 용접작업에 필요한 전압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AW200 무부하 전압 80V 아크 전압 30V 인 교류 용접기를 사용할 때 역률과 효율은? (단, 내부 손실은 4KW이다.)

  1. 역률 62.5%, 효율 60%
  2. 역률 30%, 효율 25%
  3. 역률 80%, 효율 90%
  4. 역률 84.55, 효율 75%
(정답률: 68%)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유효전력은 실제로 용접에 사용되는 전력이고, 피상전력은 용접기가 소비하는 전력입니다. 따라서 역률이 높을수록 실제로 용접에 사용되는 전력이 더 많아지므로 효율도 높아집니다.

    무부하 전압이 80V이므로 피상전력은 80V x 200A = 16kVA 입니다. 내부 손실이 4kW이므로 실제로 용접에 사용되는 유효전력은 12kW입니다. 따라서 역률은 12kW / 16kVA = 0.75 = 75%가 됩니다.

    효율은 실제로 용접에 사용되는 유효전력과 용접기가 소비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효율은 유효전력 / 피상전력입니다. 따라서 효율은 12kW / 16kVA = 0.75 = 7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률 62.5%, 효율 60%"이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용접 종류 중에서 압접에 해당하는 것은?

  1. 피복 급속 아크 용접
  2. 산소-아세틸렌 용접
  3. 초음파 용접
  4.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정답률: 85%)
  • 초음파 용접은 용접 부위에 초음파를 가해 압력을 발생시켜 부위를 압축하고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압접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스 절단시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드래그(drag)가 가능한 클 것
  2. 절단면 표면의 각이 예리할 것
  3. 슬래그 이탈이 양호할 것
  4. 절단면이 평활하여 노치 등이 없을 것
(정답률: 93%)
  • 가스 절단 시에는 절단기의 속도, 가스 압력, 가스 유량 등이 중요한 조건이지만, "드래그(drag)가 가능한 클 것"은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건입니다. 드래그란, 절단기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가스가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드래그가 가능한 클 것이어야만, 가스가 절단면을 따라 흐르면서 슬래그를 제거하고, 예리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드래그가 불가능한 작은 절단면에서는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크 에어 가우징시 압축공기의 압력은 몇 kgf/cm2 정도가 좋은가?

  1. 3 ~ 5
  2. 5 ~ 7
  3. 7 ~ 9
  4. 10 ~ 11
(정답률: 77%)
  • 아크 에어 가우징은 일반적으로 5 ~ 7 kgf/cm2 정도의 압력을 사용합니다. 이는 충분한 힘을 유지하면서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압력 범위입니다. 또한, 이 범위는 대부분의 작업에 적합하며, 높은 압력은 부품에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 ~ 7 kgf/cm2 정도의 압력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잠호용접(SAW)에 대한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융속도 및 용착속도가 빠르다.
  2. 개선각을 작게 하여 용접 패스 수를 줄일 수 있다.
  3. 용접진행 상태의 양ㆍ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4. 적용 자세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78%)
  • 잠호용접(SAW)은 자동화 용접 기술로, 적용 자세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잠호용접이 자동화 용접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용접 대상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적용 자세가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적용 자세에 따라 용접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발전기형 직류아크용접에는 전동기형, 엔진구동형이 있다. 공통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전한 직류를 얻는다.
  2. 회전하므로 고장나기 쉽고 소음이 발생한다.
  3. 구동부, 발전기부로 되어 가격이 고가이다.
  4. 보수와 점검이 쉽다.
(정답률: 77%)
  • 보수와 점검이 쉽다는 것은 발전기형 직류아크용접기의 공통적인 특징이 아니라, 엔진구동형 직류아크용접기의 특징입니다. 엔진구동형은 이동성이 높아서 현장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보수와 점검이 쉽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발전기형과 엔진구동형은 공통적인 특징으로 보수와 점검이 쉽다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용융형 용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드 외관이 아름답다.
  2. 흡습성이 거의 없으므로 재건조가 불필요하다.
  3. 미용융 용제는 다시 사용이 가능하다.
  4. 용융시 분해되거나 산화되는 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용융형 용제는 용융시에 분해되거나 산화되는 원소를 첨가할 수 없습니다. 이는 용융형 용제가 이미 용융된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원소가 첨가되면 용제의 성질이 변화하거나 분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융형 용제에는 분해나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 안정적인 성질을 가진 원소가 첨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풀럭스 중 분말 원료에 고착제를 첨가하여 500 ~ 600℃에서 건조하여 제조한 것은?

  1. 용융형 용제
  2. 저온소결형 용제
  3. 고온소결형 용제
  4. 혼합형 용제
(정답률: 57%)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사용되는 저온소결형 용제는 분말 원료에 고착제를 첨가하여 500 ~ 600℃에서 건조하여 제조됩니다. 이 용제는 저온에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용접 시에 녹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용접 부위에서 녹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의 변형이 적고, 용접 후에도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는 저온소결형 용제가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TIG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불활성가스 분위기 속에서 용접한다.
  2. 전극봉은 순텅스텐전극봉, 토륨(1~2%)텅스텐전극 봉, 지르코늄턴스텐전극봉이 사용된다.
  3. AI, Mg 합금의 용접에 사용되는 전극봉은 1~2% 토륨정스텐 전극봉이 사용된다.
  4. 공랭식 토치는 사용전류 200A 이하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65%)
  • 정답은 "공랭식 토치는 사용전류 200A 이하에서 사용된다."입니다.

    AI, Mg 합금의 용접에는 1~2% 토륨정스텐 전극봉이 사용됩니다. 이는 토륨이 첨가된 것으로, 전극봉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불활성가스 분위기 속에서 용접을 하기 때문에 산화를 방지하고 용접 부위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전극봉으로는 순텅스텐전극봉, 토륨(1~2%)텅스텐전극 봉, 지르코늄턴스텐전극봉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TIG 용접시 청정효과(cleaning ac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현상은 가속된 가스이온이 모재 표면에 충돌하여 산화막이 제거되는 현상이다.
  2. 직류 정극성에서 잘 나타난다.
  3. Ar 가스 사용시 잘 나타난다.
  4. 강한 산화막이 있는 금속도 용제 없이 용접이 가능하다.
(정답률: 54%)
  • "강한 산화막이 있는 금속도 용제 없이 용접이 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청정효과는 용접시 모재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여 용접이 잘 되도록 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강한 산화막이 있는 경우에는 청정효과가 덜 일어나 용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직류 정극성에서 잘 나타나는 이유는 직류는 한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모재 표면에 충돌하는 이온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충돌하여 청정효과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MIG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동 피복아크 용접에 비하여 능률적이다.
  2. 각종 금속의 용접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3. 박판(3㎜ 이하)용접에서는 적용이 곤란하다.
  4. CO2용접에 비해 스패터의 양이 많다.
(정답률: 78%)
  • 정답은 "CO2용접에 비해 스패터의 양이 많다." 이다. MIG 용접은 CO2 용접에 비해 스패터의 양이 적은 편이다. 스패터란 용접 과정에서 용접봉과 용접부위의 금속이 용융되어 떨어지는 불순물을 말한다. MIG 용접은 자동화된 용접으로 용접봉의 소모량이 적고 용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스패터의 양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탄산가스 아크 용접시 발생하기 쉬운 CO2에 의한 중독에서 극히 위험하게 되려면 작업장의 단위체적당 CO2 농도가 몇%정도이어야 하는가?

  1. 5% 이하
  2. 5 ~ 15%
  3. 15 ~ 25%
  4. 30% 이상
(정답률: 47%)
  • CO2 중독은 일반적으로 작업장의 CO2 농도가 5% 이상일 때 발생하기 시작하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중독 위험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극히 위험한 중독은 작업장의 CO2 농도가 30% 이상일 때 발생합니다. 이는 호흡 곤란, 혼수, 심장 마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장에서는 CO2 농도를 30% 이상으로 올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CO2 용접의 복합 와이어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스코 와이어
  2. S관상 와이어
  3. T관상 와이어
  4. NCG 와이어
(정답률: 58%)
  • CO2 용접의 복합 와이어 구조는 아스코 와이어, S관상 와이어, NCG 와이어에 해당합니다. T관상 와이어는 T자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CO2 용접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렉트로 가스 아크용접에서 사용되지 않는 보호 가스는?

  1. CO2
  2. Ar
  3. He
  4. H2
(정답률: 67%)
  • 일렉트로 가스 아크용접에서는 보통 아르곤(Ar) 가스가 사용됩니다. 이는 아르곤이 비활성 기체이기 때문에 용접 시에 산화나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용접 깊이를 깊게 만들어줍니다. 반면, 이 보기 중에서 H2는 화학 반응성이 높아 용접 부위를 보호하지 못하고 오히려 용접 부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H2는 일렉트로 가스 아크용접에서 사용되지 않는 보호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테르밋 용접에서 테르밋제의 주성분은?

  1. 과산화바륨과 마그네슘
  2. 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철 분말
  3. 아연과 철의 분말
  4. 과산화바륨과 산화철 분말
(정답률: 89%)
  • 테르밋 용접에서는 알루미늄과 산화철 분말을 사용합니다. 이는 알루미늄이 산화철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면서 산화철을 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 반응은 매우 강력하며 높은 온도와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므로 용접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레이저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재의 열변형이 거의 없다.
  2. 진공 붕에서의 용접이 가능하다.
  3. 미세하고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다.
  4. 접촉식 용접 방식이다.
(정답률: 78%)
  • 레이저 용접은 접촉식 용접 방식이 아니라 비접촉식 용접 방식입니다. 레이저 빛을 이용하여 모재를 용접하는데, 모재의 열변형이 거의 없고 진공 붕에서도 용접이 가능하며 미세하고 정밀한 용접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점 용접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직렬식 점 용접
  2. 맥동 점 용접
  3. 인터랙 점 용접
  4. 플래시 점 용접
(정답률: 54%)
  • 플래시 점 용접은 점을 용접할 때 일정한 시간 동안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시킨 후에 점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다른 세 가지는 전류를 인가하면서 바로 점을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플래시 점 용접은 직렬식, 맥동, 인터랙 점 용접과는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납땜에는 경납땜과 연납땜이 있다. 연납땜 시 용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연납용 용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염화아연
  2. 붕산염
  3. 염화암모늄
  4. 염산
(정답률: 82%)
  • 연납땜 시 사용되는 용제는 금속을 부식시키지 않고 납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붕산염은 금속을 부식시키는 성질이 있어 연납땜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크 용접 작업의 안전 중 전격에 의한 재해 예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좁은 장소의 용접작업자는 열기에 의하여 땀을 많이 흘리게 되므로 몸이 노출되지 않게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2. 전격을 받은 사람을 발견했을 때에는 즉시 스위치를 꺼야 한다.
  3. 무부하 전압이 90V 이상 높은 용접기를 사용한다.
  4. 자동 전격 방지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90%)
  • "무부하 전압이 90V 이상 높은 용접기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무부하 전압이 높을수록 전기 충격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무부하 전압이 낮은 용접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무부하 전압이 90V 이하인 용접기를 사용한다."가 맞는 예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스용접의 안전작업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아세틸렌가스 집중장치 시설에는 소화기를 준비한다.
  2. 산소병은 직사광선을 피해 보관해야 한다.
  3. 용접작업은 가연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서 한다.
  4. 작업 종료시 메인 밸브 및 콕 등을 완전히 잠근다.
(정답률: 95%)
  • "용접작업은 가연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서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가연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서는 가스용접을 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한 가연성 물질이 없는 장소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반적인 합금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도가 높아진다.
  2. 전기 전도율이 저하된다.
  3. 용융 온도가 높아진다.
  4. 열전도율이 저하된다.
(정답률: 48%)
  • 용융 온도가 높아진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합금은 두 개 이상의 금속이나 비금속 원소가 혼합된 물질로, 이들이 혼합되어 결정 격자를 이루면서 새로운 물성을 갖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합금의 특성은 각 성분의 특성을 결합한 것으로, 경도가 높아지거나 전기 전도율이 저하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용융 온도는 합금을 이루는 성분들의 용융 온도와 비례하지 않으며, 오히려 성분들 간 상호작용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금속인 탄스텐과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금속인 철을 합금하면, 용융 온도가 높아지는 대신에 경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철강재료의 용접에서 설퍼밴드를 만들어 용접균열을 일으키는 원소는?

  1. F
  2. Si
  3. S
  4. Mg
(정답률: 68%)
  • 철강재료의 용접에서 설퍼밴드를 만들어 용접균열을 일으키는 원소는 "S"입니다. 이는 설파이드(Sulfide)가 용융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면, 용융된 설파이드가 냉각되면서 설퍼밴드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용접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구상흑연주철 중 마그네슘의 첨가량이 많을 때, 규소가 적을 때, 냉각속도가 빠를 때 나타나는 조직은?

  1. 페라이트형
  2. 시멘타이트형
  3. 펄라이트형
  4. 오스테나이트형
(정답률: 50%)
  • 마그네슘의 첨가량이 많을 때, 규소가 적을 때, 냉각속도가 빠를 때는 시멘타이트형 조직이 나타납니다. 이는 마그네슘이 첨가되면서 탄소의 용해도가 감소하고, 냉각속도가 빠를 때는 탄소가 시멘타이트로 치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서는 시멘타이트형 조직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철의 용접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보수 용접을 행하는 경우는 본 바닥이 나타날 때까지 잘 깎아낸 후 용접한다.
  2. 가열되어 있을 때 피닝 작업을 하여 변형을 줄이는 것이 좋다.
  3. 용접봉은 될 수 있는 대로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한다.
  4. 비드의 배치는 짧게 해서 여러 번의 조작으로 완료한다.
(정답률: 81%)
  • "용접봉은 될 수 있는 대로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용접봉의 지름이 크면 용접할 때 더 많은 금속을 용융시켜서 용접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용접봉의 지름이 작을 경우 용접부의 변형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큰 지름의 용접봉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탄소강의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치 인성이 요구되는 경유 저수소계 계통의 용접봉이 사용된다.
  2. 중탄소강의 용접에는 650℃ 이상의 예열이 필요하다.
  3. 저탄소강의 경우 일반적으로 판두께 25㎜까지의 예열이 필요 없다.
  4. 고탄소강의 경우는 용접부의 경화가 현저하여 용접 균열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정답률: 60%)
  • 중탄소강의 용접에는 650℃ 이상의 예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중탄소강은 탄소 함량이 0.3% ~ 0.6%인 강종으로, 일반적으로 용접 시 150℃ ~ 200℃의 예열만으로 충분합니다. 따라서 "중탄소강의 용접에는 650℃ 이상의 예열이 필요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상 용접시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예열을 해야 한다.
  2. 층간 온도가 320℃ 이상을 넘어서는 안된다.
  3. 짧은 아크 길이를 유지한다.
  4. 될수록 가는 용접봉을 사용한다.
(정답률: 64%)
  • "될수록 가는 용접봉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예열을 해야 하는 이유는 용접 시에 급격한 열팽창으로 인해 응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응력은 용접 부위에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며, 예열을 통해 이러한 응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층간 온도가 320℃ 이상을 넘어서는 것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용접 후 냉각 시에 마르텐사이트 변환으로 인해 경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에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짧은 아크 길이를 유지하는 것은 용접 부위에서 과열을 방지하고, 용접봉과 용접 부위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입니다.

    가는 용접봉을 사용하는 것은 용접 시에 용접봉의 속도가 느리면 용접 부위에서 과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용접봉을 이동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가스 용접할 때는 약한 산화 불꽃을 사용한다.
  2. 가스 용접시 얇은 판의 용접에서는 변형을 막기 위하여 스킵법과 같은 용접방법을 채택한다.
  3. TIG 용접으로 할 경우 용제 사용 및 슬래그의 제거가 필요 없다.
  4. 저항 점용접으로 접합할 경우는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해야 한다.
(정답률: 63%)
  • "가스 용접할 때는 약한 산화 불꽃을 사용한다."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 가스 용접할 때는 산화 불꽃이 아닌 환원 불꽃을 사용합니다. 이는 용접 부위의 산화물을 환원시켜 용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구리 및 구리합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 후 응고시 수축면형이 생기기 쉽다.
  2. 구리 합금의 경우 아연 증발로 중독을 일으키기 쉽다.
  3. 황동의 경우 산화 불꽃으로 용접한다.
  4. TIG용접으로 할 경우 판두께 6㎜ 이상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69%)
  • TIG용접은 보통 고열에 강한 금속재료에 사용되며, 판두께가 두꺼울수록 용접이 어렵기 때문에 6㎜ 이상의 판두께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니켈 합금이 아닌 것은?

  1. 콘스탄탄
  2. 인코넬
  3. 모넬메탈
  4. 다우메탈
(정답률: 56%)
  • 다우메탈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합금으로, 단순히 상용어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다우메탈은 단일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니켈 합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아연(Zn)은 철강재의 부식 방지용으로 많이 쓰인다.
  2. 아연은 공기 중에 산화되며 알칼리에 강하다.
  3. 비중이 7.1, 용융점이 420℃ 정도 이다.
  4. 조밀육방격자의 금속이다.
(정답률: 72%)
  • 정답: "아연은 공기 중에 산화되며 알칼리에 강하다."

    아연은 공기 중에서는 산화되지만, 그것은 아주 느리게 일어납니다. 또한, 아연은 알칼리에 약하고 산성에 강합니다. 따라서, "아연은 공기 중에 산화되며 알칼리에 강하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아연은 철강재의 부식 방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비중이 7.1이고 용융점이 420℃ 정도입니다. 또한, 아연은 조밀육방격자의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면경화법 중 고체 침탄법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고도의 기술이 필요 없고 방법이 간단하다.
  2. 부품의 크기에 구애 받지 않는다.
  3. 가열용 열원으로 전기, 가스, 중유, 경유 등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4. 현대화된 방법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정답률: 47%)
  • "현대화된 방법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가 틀린 것이다. 고체 침탄법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고체 침탄법이 일반적으로 소량 생산에 사용되며,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생산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용접 후 응력제거 풀림의 효과로 틀린 것은?

  1. 크리프 강도의 저하
  2. 열영향부의 뜨임 연화
  3. 응력 부식에 대한 저항력 증대
  4. 용착금속 중의 수소 제거에 의한 연성의 증대
(정답률: 50%)
  • 용접 후 응력제거 풀림은 크리프 강도의 저하를 유발합니다. 이는 응력제거 과정에서 금속 구조 내부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결함은 크리프 파손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크리프 강도를 저하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표면경화법 중 금속 침투법이 아닌 것은?

  1. 크로마이징
  2. 갈바나이징
  3. 칼로라이징
  4. 세라다이징
(정답률: 69%)
  • 갈바나이징은 금속 침투법이 아닙니다. 갈바나이징은 아연 도금 공정 중 하나로, 아연을 이용하여 철강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공정에서는 아연을 녹이고 그 위에 철강을 침전시켜 아연과 철이 합쳐지도록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철강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용접구조물 설계시 주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용접이음은 집중, 접근 및 교차를 피한다.
  2. 용접성, 노치인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택하여 시공하기 쉽게 설계한다.
  3. 용접금속은 가능한 다듬질부분에 포함되지 않게 주의한다.
  4. 후판을 용접할 경우는 용입을 깊게 하기 위하여 용접층수를 가능한 많게 설계한다.
(정답률: 84%)
  • 틀린 것은 "후판을 용접할 경우는 용입을 깊게 하기 위하여 용접층수를 가능한 많게 설계한다."입니다. 이유는 용입을 깊게 하면 용접부위의 응력이 증가하여 용접부의 파열 및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입은 적절한 크기로 설계하여 용접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파열 및 변형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필릿 용접의 이음 강도는 목두께로 결정되는데 만약 다리길이 20㎜로 필릿 용접할 경우 이론 목두께는 약 몇 ㎜ 로 정해야 하는가? (단, 간편법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1. 7.81
  2. 9.81
  3. 12.14
  4. 14.14
(정답률: 59%)
  • 필릿 용접의 이음 강도는 목두께로 결정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목두께 = (다리길이 × 루트2) ÷ 2

    여기서 다리길이는 20㎜이고, 루트2는 약 1.414이다. 따라서,

    목두께 = (20 × 1.414) ÷ 2
    = 14.14

    따라서, 정답은 "14.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의 용접 도면을 설명한 것 중 맞지 않는 것은?

  1. a : 목두께
  2. l : 용접 길이
  3. n : 목길이의 개수
  4. (e) : 인접한 용접부 간격
(정답률: 80%)
  • 정답은 "(e) : 인접한 용접부 간격" 입니다.

    이유는 용접 도면에서 (e)는 인접한 용접부 간격을 나타내는데, 이 값은 도면에서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a는 목재의 두께, l은 용접 길이를 나타내며, n은 목재를 몇 개로 나누어 용접할 것인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e) : 인접한 용접부 간격"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용접 지그 사용시 이점이 아닌 것은?

  1. 동일 제품을 다량 생산할 수 있다.
  2. 제품의 정밀도와 용접부 신뢰성을 높인다.
  3. 용접 능률을 높인다.
  4. 구속력이 크면 잔류응력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91%)
  • 구속력이 크면 잔류응력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은, 용접 지그를 사용하여 용접을 할 때 부품이나 재료를 고정시키는 힘이 강할수록 용접 후에 잔류응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부품이나 재료가 고정되어 있을 때 용접 열로 인해 부품이나 재료가 변형되고, 그 변형이 용접 후에도 계속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속력이 크면 잔류응력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은 용접 지그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맞대기 홈 용접에서 열원의 전방에 구속이 없는 경우 연속용접에 의한 홈 간격은 용접 진행에 따라 변화를 일으킨다. 이에 따른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자동용접에서는 홈 간격이 넓어진다.
  2. 전속 소 입열에서는 개선이 넓어진다.
  3. 고속 대 입열에서는 개선이 좁아진다.
  4. 수동용접에서는 홈 간격이 넓어진다.
(정답률: 45%)
  • 자동용접에서는 홈 간격이 넓어진다. 이는 자동용접에서는 용접속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금속이 팽창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홈 간격이 넓어지게 됩니다. 또한 자동용접에서는 용접속의 온도와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넓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접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용접열에 관계되는 인자와 거리가 가장 면 것은?

  1. 용접속도
  2. 용접 층수
  3. 용접 전류
  4. 부재 치수
(정답률: 88%)
  • 용접열은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용접 부위의 온도를 높이고 냉각 속도를 결정합니다. 부재 치수는 용접 부위의 크기와 두께를 의미하며, 부재 치수가 크면 용접 부위의 열량이 많아져 용접열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부재 치수는 용접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용접열에 관계되는 인자이며, 거리가 가장 멀리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용접부에 발생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거한 방법 중 옳은 것은?

  1. 풀림 처리를 한다.
  2. 담금질 처리를 한다.
  3. 뜨임 처리를 한다.
  4. 서브제로 처리를 한다.
(정답률: 63%)
  • 용접 후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재료를 가열하여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열처리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풀림 처리는 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결정구조를 변화시켜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풀림 처리가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결함 중 용입불량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용접봉의 선택이 불량할 경우
  2. 용접 속도가 너무 빠를 경우
  3. 용접 전류가 낮을 경우
  4. 용접 분위기 가운데 수소가 과잉일 경우
(정답률: 68%)
  • 용접 분위기 가운데 수소가 과잉일 경우, 수소가 용접 부위에 흡수되어 수소가 과다하게 존재하게 되면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수소 열화 반응으로 인해 용접 부위에 용입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용접 부위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파손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므로 용접 과정에서 수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용접비드의 토(toe)에 생기는 작은 홈을 말하는 것으로 용접전류가 과대할 때, 아크 길이가 길때, 운봉속도가 너무 빠를 때 생기기 쉬운 용접결함은?

  1. 언더컷
  2. 오버랩
  3. 기공
  4. 용입불량
(정답률: 81%)
  • 언더컷은 용접 전류가 과대할 때, 아크 길이가 길 때, 운봉속도가 너무 빠를 때 생기기 쉬운 용접결함입니다. 이는 용접비드의 토에 생기는 작은 홈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언더컷"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로봇을 동작기구에 따라 분류한 것은?

  1. 시퀀스 로봇
  2. 수치제어 로봇
  3. 지능 로봇
  4. 극좌표 로봇
(정답률: 59%)
  • 로봇을 동작기구에 따라 분류하면 "극좌표 로봇"은 로봇의 동작을 극좌표계로 표현하며, 이는 로봇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좌표계입니다. 따라서 극좌표 로봇은 위치와 방향을 중심으로 동작하는 로봇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파괴시험의 용접성 시험에 해당 되는 것은?

  1. 용접 연성 시험
  2. 초음파 시험
  3. 맴도리 전류시험
  4. 음향시험
(정답률: 75%)
  • 용접 연성 시험은 용접 부위의 인장강도와 연성을 측정하여 용접의 품질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파괴시험 중 용접성 시험에 해당됩니다. 초음파 시험은 결함 검출을 위한 비파괴 검사 방법이며, 맴도리 전류시험은 용접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방법입니다. 음향시험은 소리의 반사와 파동의 이동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형광 침투검사법의 단계를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전처리→침투→수세→현상제 살포와 건조→검사
  2. 수세→침투→현상제 살포와 건조→전처리→검사
  3. 전처리→수세→현상제 살포와 건조→침투→검사
  4. 수세→현상제 살포와 건조→전처리→침투→검사
(정답률: 57%)
  • 형광 침투검사법의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처리: 시료를 청결하게 만들어 줍니다.
    2. 침투: 시료 내부에 형광물질을 침투시킵니다.
    3. 수세: 침투된 형광물질을 시료 외부에서 제거합니다.
    4. 현상제 살포와 건조: 현상제를 시료에 살포시키고 건조시킵니다.
    5. 검사: 형광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합니다.

    따라서, "전처리→침투→수세→현상제 살포와 건조→검사"가 올바른 단계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정에서 만성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산발적으로 발생하며, 품질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요주의 원인으로 우발적 원인인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우연원인
  2. 이상원인
  3. 불가피 원인
  4. 억제할 수 없는 원인
(정답률: 57%)
  • 이상원인은 우발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지만, 품질의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또한, 이상원인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상원인은 예측하기 어렵고,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품질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계수 규준형 1회 샘플링 검사(KS A 3102)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검사에 제출된 로트의 제조공정에 관한 사전 정보가 없어도 샘플링 검사를 적용할 수 있다.
  2. 생산자측과 구매자측이 요구하는 품질보호를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샘플링 검사방식을 선정한다.
  3. 파괴검사의 경우와 같이 전수검사가 불가능한 때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1회만의 거래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파괴검사의 경우와 같이 전수검사가 불가능한 때에는 사용할 수 없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이유는 샘플링 검사는 일부분의 제품을 검사하여 전체 제품의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전체 제품을 검사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파괴검사는 전체 제품을 검사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전수검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떤 공장에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이 다음 [표]와 같을 때 비용구배는 얼마인가? (단, 활동시간의 단위는 일(日)로 계산한다.)

  1. 50,000원
  2. 100,000원
  3. 200,000원
  4. 300,000원
(정답률: 76%)
  • 비용구배는 총 비용을 총 작업일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총 비용은 10일 x 20,000원/일 + 15일 x 10,000원/일 + 5일 x 30,000원/일 = 200,000원이다. 총 작업일수는 10일 + 15일 + 5일 = 30일이다. 따라서 비용구배는 200,000원 ÷ 30일 = 6,666.67원/일이다. 이 값을 1000으로 나누어서 반올림하면 7원/일이 된다. 따라서 100,000원은 7원/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정답은 1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방법시간측정법 (MTM : Method Time Measurement)에서 사용되는 1 TMU(Time Measurement Unit)는 몇 시간인가?

  1. 1/100000 시간
  2. 1/10000 시간
  3. 6/10000 시간
  4. 36/1000 시간
(정답률: 57%)
  • MTM에서 1 TMU는 1/100000 시간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는 MTM에서 사용되는 시간측정 단위로, 작업의 소요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1/100000 시간"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품질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 중 계수치 데이터에 속하는 것은?

  1. 무게
  2. 길이
  3. 인장강도
  4. 부적합품의 수
(정답률: 77%)
  • "부적합품의 수"는 계수치 데이터에 속합니다. 이는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데이터로, 부적합품의 수는 제품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다른 세 가지 데이터인 "무게", "길이", "인장강도"도 계수치 데이터에 속하지만, 이들은 제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지 품질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품질관리시스템에 있어서 4M 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Man
  2. Machine
  3. Material
  4. Money
(정답률: 85%)
  • "Money"는 품질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되는 4M 중 하나가 아닙니다. 4M은 인력(Man), 기계(Machine), 재료(Material), 방법(Method)을 의미합니다. 품질관리시스템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4M을 관리하고 제어합니다. 따라서 "Money"는 품질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되는 4M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