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7-21)

용접기능장
(2013-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저수소계를 제외한 다른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는 아크발생 시 탄산(CO2)가스와 수증기(H2O)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2. 아크 안정제는 아크열에 의하여 이온화가 되어 아크전압을 강화시키고 이에 의하여 아크를 안정시킨다.
  3. 가스 발생제는 중성 또는 환원성가스를 발생하여 용접부를 대기로부터 차단하여 용융금속의 산화 및 질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4. 슬래그 생성제는 용융점이 낮은 슬래그를 만들어 용융 금속의 표면을 덮어서 산화나 질화를 방지하고 용착 금속의 냉각속도를 느리게 한다.
(정답률: 85%)
  • "저수소계를 제외한 다른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는 아크발생 시 탄산(CO2)가스와 수증기(H2O)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피복제의 주요 성분 중 하나가 탄산화합물이며, 용접 시에는 이 탄산화합물이 분해되어 CO2가 발생합니다. 또한, 용접 시에는 용접봉과 용접부 사이에서 수증기가 생성되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격 2차 전류가 300A, 정격사용률이 40%인 용접기로 180A로 용접할 때, 허용사용률(%)은?

  1. 약 111%
  2. 약 101%
  3. 약 91%
  4. 약 121%
(정답률: 76%)
  • 용접기의 정격전류는 300A이므로, 정격사용률 40%일 때의 사용 가능한 전류는 300A x 0.4 = 120A입니다. 따라서, 180A로 용접할 때의 사용률은 180A / 120A = 1.5배입니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150%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허용사용률"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 값을 정격사용률 100%로 나눈 값을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150% / 40% x 100% = 약 111%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스 절단시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드래그(drag)가 가능한 클 것
  2. 절단면 표면의 각이 예리할 것
  3. 슬래그 이탈이 양호할 것
  4. 절단면이 평활하여 노치 등이 없을 것
(정답률: 87%)
  • 가스 절단 시에는 절단기의 속도, 가스 압력, 가스 유량 등이 중요한 조건이지만, "드래그(drag)가 가능한 클 것"은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이는 절단기의 이동 방향과 절단면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절단기와 절단면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드래그가 가능한 클 것이라는 조건은 이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가스 가우징용 토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팁 끝은 일직선으로 되어 있다.
  2. 산소 분출공이 일반 절단용과 매우 차이가 크다.
  3. 토치 본체는 일반 절단용과 매우 차이가 크다.
  4. 예열 화염의 구멍은 산소 분출구멍의 상하 또는 둘레에 만들어져 있다.
(정답률: 74%)
  • 예열 화염은 연료와 산소가 혼합되어 발생하는 화염으로, 이 화염을 만들기 위해 가스 가우징용 토치는 연료와 산소를 혼합하는 구멍과 이 혼합된 연료와 산소를 불태우는 구멍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중 예열 화염을 만드는 구멍은 산소 분출구멍의 상하 또는 둘레에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연료와 산소가 혼합되어 예열 화염이 발생하는 지점이 산소 분출구멍과 가까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예열 화염의 구멍은 산소 분출구멍의 상하 또는 둘레에 만들어져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용해 아세틸렌을 취급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저장 장소는 통풍이 잘되어야 한다.
  2.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용기는 뉘어서 사용한다.
  3. 화기에 가깝거나 온도가 높은 장소에는 두지 않는다.
  4. 용기 주변에 소화기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92%)
  • 답: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용기는 뉘어서 사용한다."이 틀린 것이다.

    해설: 용해 아세틸렌은 압축 가스로서, 용기 내부에 액체 아세틸렌과 용매인 아세트올이 함께 들어있다. 따라서 용기를 뉘어서 사용하면 액체 아세틸렌이 용기의 일부분에 모이게 되어 가스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는 항상 세워서 사용해야 한다. 저장 장소는 통풍이 잘되어야 하며, 화기에 가깝거나 온도가 높은 장소에는 두지 않아야 한다. 용기 주변에 소화기를 설치하는 것도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용접에서 용융금속의 이행방식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속형
  2. 글로뷸러형
  3. 단락형
  4. 스프레이형
(정답률: 75%)
  • 연속형은 용접 전극과 용접봉 사이에 지속적인 전류가 흐르면서 용융금속을 이행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용접봉을 녹여서 용융금속을 이행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내용적인 40L인 산소용기의 고압게이지에 압력이 90kgf/cm2로 나타났다면 가변압식 토치 팁(tip) 300번으로 몇 시간 사용할 수 있는가?

  1. 3.5
  2. 7.5
  3. 12
  4. 20
(정답률: 84%)
  • 산소용기의 압력이 90kgf/cm2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가변압식 토치 팁의 사용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가변압식 토치 팁 1개당 1시간 사용 가능한 산소의 양은 3.5L이다. 따라서, 40L인 산소용기에서 가변압식 토치 팁 300번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40L / 3.5L/시간 = 11.43시간

    하지만, 이는 가변압식 토치 팁을 300번 모두 사용한 경우이므로, 실제 사용 가능한 시간은 더 짧을 것이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답은 12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직류용접에서 정극성과 비교한 역극성의 특징은?

  1. 비드의 폭이 넓다.
  2. 모재의 용입이 깊다.
  3.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
  4. 용접열이 용접봉쪽 보다 모재쪽에 많이 발생된다.
(정답률: 55%)
  • 역극성은 양극성에 비해 용접열이 모재쪽에 집중되어 발생하므로, 모재의 용입이 깊어지고 용접봉의 녹음이 느려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비드의 폭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보기]는 어떤 용접봉의 특성을 나타낸 것인가?

  1. 저수소계
  2. 라임티타니아계
  3. 고셀룰로오스계
  4. 일미나이트계
(정답률: 67%)
  • 이 보기는 "라임티타니아계" 용접봉의 특성을 나타낸 것입니다. 라임티타니아계는 고강도, 내식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라임티타니아계 용접봉이 고온에서 사용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용접작업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아크길이가 너무 길 때 용접부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패터가 많고 기공이 생긴다.
  2. 용착금속이 산화나 질화가 된다.
  3. 비드 표면이 거칠고 아크가 흔들린다.
  4. 비드 폭이 좁고 볼록하다.
(정답률: 76%)
  • 아크길이가 너무 길 때 비드 폭이 좁고 볼록해지는 이유는 용접 전극과 용접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용접 전극에서 발생하는 열이 용접부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용접부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않아 용접재료가 충분히 융해되지 않고, 비드 폭이 좁아지고 볼록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크용접에서 아크길이가 너무 길 때, 용접부에 미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스패터가 많다.
  2. 아크 실드효과가 떨어진다.
  3. 열집중이 많다.
  4. 기공이 생긴다.
(정답률: 81%)
  • 정답: 열집중이 많다.

    설명: 아크길이가 너무 길어지면 아크의 열이 용접부에 집중되지 않고 넓게 퍼져서 열집중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열집중이 많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스패터가 많아지고, 아크 실드효과가 떨어지며, 기공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동가스 절단에서 절단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절단속도가 빠를 경우 드래그가 작다.
  2. 절단속도가 느린 경우 표면이 과열되어 위 가장자리가 둥글게 된다.
  3. 산소 중에 불순물이 증가하면 슬래그의 이탈성이 좋아진다.
  4. 팁의 위치가 높을 때에는 예열범위가 좁아진다.
(정답률: 71%)
  • 절단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열이 절단면에 더 오래 머무르기 때문에 표면이 과열되어 둥글게 된다. 이는 마치 녹인 초콜릿이 느리게 흐르면 끝부분이 둥글게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따라서 절단속도가 빠를수록 절단면이 더 깔끔하고 직선적으로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크에어 가우징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스 가우징에 비해 작업 능률이 2~3배 높다.
  2. 용융금속에 순간적으로 불어내므로 모재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3. 소음이 매우 심하다.
  4. 용접 결함부를 그대로 밀어 붙이지 않는 관계로 발견이 쉽다.
(정답률: 81%)
  • 아크에어 가우징은 용융금속을 불어내므로 모재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가스 가우징에 비해 작업 능률이 2~3배 높고, 용접 결함부를 그대로 밀어 붙이지 않는 관계로 발견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음이 매우 심하다는 것은 아크에어 가우징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용접 시 발생하는 소리와 진동이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피복아크용접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용접전류
  2. 용접기의 사용률
  3. 용접봉 각도
  4. 용접속도
(정답률: 89%)
  • 용접기의 사용률은 피복아크용접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사용률은 단지 용접기가 사용되는 시간과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용접기의 성능과 관련이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용접전류, 용접봉 각도, 용접속도와 같은 요소들이 피복아크용접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달리, 용접기의 사용률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통 가스 절단시 판두께 12.7mm의 표준 드래그 길이는 몇 mm인가?

  1. 2.4
  2. 5.2
  3. 5.6
  4. 6.4
(정답률: 76%)
  • 가스 절단시 드래그 길이는 판두께의 1.5배에서 2배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12.7mm의 판을 절단할 때 드래그 길이는 19mm에서 25.4mm 사이가 됩니다. 이 중에서 2.4mm가 정답인 이유는, 드래그 길이가 짧을수록 절단면이 더 깨끗하고 정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4mm가 가장 적절한 드래그 길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래비티 용접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분계 용접봉을 사용한다.
  2. 한사람이 여러 대(2~7대)의 용접기를 조작할 수 있다.
  3. 중력을 이용한 용접법이다.
  4. 스프링으로 압력을 가하여 자동적으로 용접봉이 모재에 밀착되도록 설계된 특수 홀더를 사용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중력을 이용한 용접법이다."입니다.

    그래비티 용접은 중력을 이용한 용접법이 아니라, 스프링으로 압력을 가하여 자동적으로 용접봉이 모재에 밀착되도록 설계된 특수 홀더를 사용하는 용접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기 조작이 쉽고, 용접 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 20L/min의 유량으로 연속사용할 경우 액체 이산화탄소 25kg 용기는 대기 중에서 가스량이 약 12700L라 할 때 약 몇 시간 정도 사용할 수 있는가?

  1. 6.6
  2. 10.6
  3. 15.6
  4. 20.6
(정답률: 60%)
  • 액체 이산화탄소는 대기압에서 가스로 변화할 때 1L의 액체 이산화탄소가 약 550L의 가스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25kg 용기의 액체 이산화탄소는 25,000g / 1,56g/L = 16,025L의 가스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연속적으로 20L/min의 유량으로 사용한다면, 1시간에 사용되는 가스량은 20L/min x 60min = 1,200L입니다. 따라서 25kg 용기로는 16,025L / 1,200L/hour = 약 13.4시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대기 중에서 가스량이 약 12700L로 주어졌기 때문에, 이 값으로 나누어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16,025L / 12,700L/hour = 약 1.26시간이 됩니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3시간이 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0.6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용접법 중 가장 두꺼운 판을 용접할 수 있는 것은?

  1. 이산화탄소 아크용접
  2. 일렉트로 슬래그용접
  3. 불활성가스 아크용접
  4. 스터드용접
(정답률: 85%)
  • 일렉트로 슬래그용접은 용접 시 용접봉과 용접부위를 덮는 슬래그가 생성되어 산화와 녹을 방지하고 용접부위를 보호합니다. 이로 인해 용접부위가 녹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꺼운 판도 용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가장 두꺼운 판을 용접할 수 있는 용접법은 일렉트로 슬래그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납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비철금속 접합에 이용할 수 있다.
  2. 납은 접합할 금속보다 높은 온도에서 녹아야 한다.
  3. 용접용 땜납으로 경압을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땜납은 합금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79%)
  • 정답: "용접용 땜납으로 경압을 사용한다."

    납은 다른 금속과 접합하기 쉽고, 녹는 온도가 낮아서 비교적 쉽게 녹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납땜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납의 녹는 온도가 접합할 금속의 녹는 온도보다 낮아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는 납이 녹는 과정에서 접합할 금속도 함께 녹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스테인리스강의 용접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접 전류는 연강 용접 시 보다 약 10% 높게 용접한다.
  2. 오스트나이트계 용접 시 고온에서 탄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
  3. 마르텐사이트계는 열에 의해 경화되지 않는다.
  4. 오스테나이트계 용접 시 예열을 800℃로 높이고 시간은 길게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오스트나이트계 용접 시 고온에서 탄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입니다. 이유는 오스트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탄소 함량이 높아 용접 시 고온에서 탄화물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 후에 부식성과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테르잇 용접에서 산화철과 알루미늄이 반응할 때 화학반응을 통하여 발생되는 온도는 약 몇 도(℃) 인가?

  1. 800
  2. 2800
  3. 4000
  4. 5800
(정답률: 75%)
  • 테르잇 용접에서 산화철과 알루미늄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은 알루미나(Al2O3)이며, 이 화합물의 생성 엔탈피는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은 약 2800℃ 정도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점 용접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 금속을 납땜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인두납땜(soldering-iron brazing)
  2. 가스납땜(gas brazing)
  3. 저항납땜(resistance brazing)
  4. 노내납땜(furance brazing)
(정답률: 72%)
  • 점 용접기는 전기적인 열을 이용하여 금속을 녹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 저항납땜은 점 용접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녹여서 결합시키는 방법 중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저항납땜이 다른 방법들보다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해 결합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항납땜은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며, 납땜 부위의 오염이 적어 안정적인 결합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납땜할 때는 저항납땜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미그(MIG)용접의 와이어(wire)송급장치가 아닌 것은?

  1. 푸시(push)방식
  2. 푸시-아웃(push-out)방식
  3. 풀(pull)방식
  4. 푸시-풀(push-pull)방식
(정답률: 85%)
  • 미그(MIG)용접에서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와이어를 송급하는데, 이때 와이어 송급장치는 푸시(push) 또는 풀(pull)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 중에서 푸시-아웃(push-out) 방식은 와이어를 푸시하여 송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와이어를 푸시하면서 동시에 아웃(밀어내는) 작용을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푸시-아웃 방식은 푸시 방식과 풀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여 와이어 송급을 더욱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할 때의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1. 깊은 용입을 위하여 직류정극성을 사용한다.
  2. 전극봉은 지르코놈 텅스텐을 사용한다.
  3. 전극의 끝은 뾰족할수록 전류가 안정되고 열집중성이 좋다.
  4. 보호가스는 아르곤가스를 사용하며 낮은 유속에서도 우수한 보호작용을 한다.
(정답률: 65%)
  • 전극봉은 지르코놈 텅스텐을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텅스텐 전극봉 대신 토륨이 첨가된 텅스텐 전극봉이 사용됩니다. 이는 토륨이 전극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티그(TIG) 용접 시 불활성 가스를 용접 중은 물론 용접 전ㆍ후에도 약간 유출시켜야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용접 전에 가스 유출은 도관이나 토치에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2. 용접후에 가스 유출은 가열된 상태의 용접부가 산화 혹은 질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용접 후에 가스 유출은 가열된 텅스텐 전극의 산화 방지를 하기 위함이다.
  4. 용접 전에 가스 유출은 세라믹 노즐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76%)
  • 정답은 "용접 전에 가스 유출은 세라믹 노즐을 보호하기 위함이다."가 아닌 "용접 전에 가스 유출은 도관이나 토치에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입니다.

    티그 용접 시 불활성 가스를 용접 중에 유출시키는 이유는 용접 중에 발생하는 산화나 질화를 방지하고 용접 부위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용접 후에도 가열된 상태의 용접부가 산화 혹은 질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를 유출시킵니다. 또한 가열된 텅스텐 전극의 산화 방지를 위해 용접 후에도 가스를 유출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탄산가스 아크 용접에서 전진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용접선이 잘 보이므로 운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2. 용융금속이 앞으로 나가지 않으므로 깊은 용입을 얻을 수 있다.
  3. 스패터가 비교적 많으며 진행 방향쪽으로 흩어진다.
  4. 비드 높이가 낮고 평탄한 비드가 형성된다.
(정답률: 72%)
  • 전진법은 용접선이 용융금속을 밀어내며 용접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용융금속이 앞으로 나가므로 깊은 용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전진법의 특징이 아니다. 오히려 후진법에서 용융금속이 뒤로 밀려 깊은 용입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기에 사용되는 용제(flux)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용융형
  2. 고온 소결형
  3. 저온 소결형
  4. 가입형
(정답률: 67%)
  • 가입형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기에서 사용되는 용제(flux)의 종류가 아닙니다. 가입형은 보통 전기용접에서 사용되는 용제로,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산화물을 제거하여 용접을 원활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기에서는 용융형, 고온 소결형, 저온 소결형 등의 용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유곡선 용접이 가능하다.
  2. 용착금속의 품질이 양호하다.
  3. 용접흠 가공이 정밀해야 한다.
  4. 용접자세의 제한을 받는다.
(정답률: 78%)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용착금속에 대한 열입력이 많아 용착부위의 결함이 적어지고, 용착금속의 결함도 감소하여 용착금속의 품질이 양호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스용접 작업에서 팁 끝이 모재에 닿아 순간적으로 팁 끝이 막히면서 팁의 과열, 사용가스의 압력이 부적당할 때 팁 속에서 폭발음이 나면서 불꽃이 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현상은?

  1. 역류
  2. 역화
  3. 인화
  4. 산화
(정답률: 81%)
  • 가스용접 작업에서 팁 끝이 모재에 닿아 막히면서 사용가스의 압력이 부적당해지면, 팁 속에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고 가스와 공기가 섞여 역류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때, 가스와 공기가 다시 섞여 연소가 일어나면서 폭발음과 불꽃이 나타나는데, 이를 역화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부는 급격한 열팽창 및 응고수축으로 인한 결함발생 우려가 있어 예열을 실시한다. 그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수축응력 감소
  2. 용착금속 및 열영향부 경화방지
  3. 비드 밑 균열방지
  4. 내부식성 향상
(정답률: 77%)
  • 용접부의 예열은 용접 후 급격한 열팽창 및 응고수축으로 인한 결함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내부식성 향상은 예열로 인해 용접부의 내부구조가 안정화되어 내부부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중 Alcoa(알코아) No.12 합금의 종류는?

  1. Al-Ni계 합금
  2. Al-Si계 합금
  3. Al-Cu계 합금
  4. Al-Zn계 합금
(정답률: 73%)
  • Alcoa No.12 합금은 Al-Cu계 합금입니다. 이는 알루미늄과 구리가 주요 원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합금은 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가공성과 용접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용접 시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짧은 아크 길이를 유지한다.
  2. 층간 온도는 320℃이상을 유지한다.
  3. 아크를 중단하기 전에 크레이터 처리를 한다.
  4. 낮은 전류값으로 용접을 하여 용접 입열을 억제한다.
(정답률: 62%)
  • "층간 온도는 320℃이상을 유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용접 시 층간 온도가 높아지면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층간 온도를 15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층간 온도는 150℃ 이하로 유지한다."입니다.

    층간 온도가 높아지면 용접 부위의 기계적 성질이 약화되고,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층간 온도를 150℃ 이하로 유지하여 용접 부위의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고 크랙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열전대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잇는 것은?

  1. 백금-백금로듐
  2. 철-콘스탄탄
  3. 크로멜-알루멜
  4. 구리-콘스탄탄
(정답률: 79%)
  • 백금-백금로듐 열전대는 다른 열전대에 비해 높은 용융점과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백금과 백금로듐은 전기저항이 낮아서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백금-백금로듐 열전대는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전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절삭되어 나오는 칩 처리의 능률, 공정의 단축, 가공 단가의 저렴화 등을 고려하여 탄소강에 S, Pb, P, Mn을 첨가한 구조용 강은?

  1. 강인강
  2. 스프링강
  3. 표면 경화용강
  4. 쾌삭강
(정답률: 79%)
  • 탄소강에 S, Pb, P, Mn을 첨가하여 만든 구조용 강은 쾌삭강입니다. 이는 절삭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높아 가공 단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경도가 높아서 내구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공작기계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침탄, 질화, 고주파 담금질 등으로 내마모성과 인성이 요구되는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열처리는?

  1. 뜨임
  2. 표면경화
  3. 항온 열처리
  4. 담금질
(정답률: 45%)
  • 열처리 중 표면경화는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표면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경화시키는 과정으로, 침탄, 질화, 고주파 담금질 등과 같은 방법으로 내마모성과 인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적용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표면 경도가 증가하고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기계적 성질이 개선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경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스테인리스강의 입계(粒界)부식 방지를 위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용접 후 입계 부식 온도를 서서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2. 모재가 STS 321, STS 347 등의 용접에 사용한다.
  3. 용접 후 서냉시킨다.
  4. 용접 후 1100℃에서 응력제거를 위하여 열처리한다.
(정답률: 70%)
  • 모재가 STS 321, STS 347 등의 용접에 사용하는 이유는 용접 후 입계 부식 온도를 서서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은 용접 후 냉각이 빠르게 일어나면 입계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서서히 냉각시켜야 합니다. STS 321, STS 347 등의 스테인리스강은 용접 후 서서히 냉각시키기 적합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입계 부식 방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흑연봉을 양극으로 하고 WC, TiC등의 초경합금을 음극으로 하여 공구표면에 불꽃을 일으켜 그 열로 주위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1. 고주파담금질
  2. 화염경화법
  3. 금속침투법
  4. 방전경화법
(정답률: 51%)
  • 이 방법은 흑연봉과 초경합금을 양극과 음극으로 사용하여 방전을 일으켜 공구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방전경화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고망간강의 주요 성분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C0.2~0.8%, Mn 11~14%
  2. C0.2~0.8%, Mn 5~10%
  3. C0.9~1.3%, Mn 5~10%
  4. C0.9~1.3%, Mn 10~14%
(정답률: 60%)
  • 고망간강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는 고급강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주요 성분은 탄소(C)와 망간(Mn)입니다. 탄소는 강도를 높이고, 망간은 인성과 내식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C0.9~1.3%, Mn 10~14%인 보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백주철을 풀림 열처리에서 탈탄 또는 흑연화 방법으로 제조한 것은?

  1. 칠드 주철
  2. 구상 흑연 주철
  3. 가단 주철
  4. 미하나이트 주철
(정답률: 63%)
  • 백주철은 탄소 함량이 높은 주철로, 풀림 열처리를 통해 탄소가 분해되어 탈탄 또는 흑연화가 이루어집니다. 이 중 가단 주철은 탈탄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를 주철 안에 가압하여 압력을 높인 상태에서 냉각시켜 제조됩니다. 이로 인해 주철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아 내구성이 높아지며, 또한 가스가 반응하여 생성된 미세한 구멍들이 주철 내부에 분포하여 경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백주철을 가단 주철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강을 담금질할 때 가장 냉각속도가 빠른 것은?

  1. 식염수
  2. 기름
  3. 비눗물
(정답률: 73%)
  • 식염수는 물보다 높은 냉각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을 담금질할 때 냉각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이는 냉각점이 높아서 물보다 더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염수는 강을 빠르게 냉각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일반적으로 탄소강의 가공 시 특히 가공성을 요구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탄소 함유량의 범위는?

  1. 0.05~0.3%C
  2. 0.45~0.6%C
  3. 0.76~1.2%C
  4. 1.34~1.9%C
(정답률: 74%)
  • 탄소 함유량이 낮을수록 가공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탄소강의 가공 시에는 탄소 함유량이 0.05~0.3%C인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에서는 충분한 강도와 경도를 유지하면서도 가공성이 좋아서 가공이 용이하며, 또한 용접성도 우수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이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조경질합금의 대표적 강으로 주로 절삭공구에 사용되는 것은?

  1. 고속도강
  2. 스텔라이트
  3. 화이트 메탈
  4. 합금 공구강
(정답률: 67%)
  •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조경질합금 중에서 스텔라이트는 고강도,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절삭공구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스텔라이트가 주로 절삭공구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경도측정 방법 중 압입 경도시험기가 아닌 것은?

  1. 쇼어 경도계
  2. 브리넬 경도계
  3. 로크웰 경도계
  4. 비커어즈 경도계
(정답률: 62%)
  • 쇼어 경도계는 압입 경도시험기가 아닌 경도측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쇼어 경도계는 시료의 표면에 작은 충격을 가해 변형된 깊이를 측정하여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브리넬 경도계, 로크웰 경도계, 비커어즈 경도계는 모두 압입 경도시험기를 사용하여 시료의 경도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접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 중 냉각법이 아닌 것은?

  1. 수냉동판 상용법
  2. 살수법
  3. 피닝법
  4. 석면포 사용법
(정답률: 81%)
  • 피닝법은 용접 부위를 뜨거운 상태에서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용접 부위를 뜨겁게 유지하면서 부드러운 망치질을 통해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냉각법이 아닌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초음파 탐상시험의 장점이다. 틀린 것은?

  1. 표면에 아주 가까운 얕은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다.
  2. 고감도이므로 아주 작은 결함의 검출도 가능하다.
  3. 휴대가 가능하다.
  4. 검사 시험체의 한 면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67%)
  • 초음파는 공기나 물 등의 매질에서 속도가 다른 장애물을 만나면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원리 때문에 초음파 탐상시험은 표면에 아주 가까운 얕은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즉, 검사 대상의 표면에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결함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비파괴 검사 방법에 비해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용접 잔류응력을 경감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용착금속의 양을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한다.
  2. 예열을 이용한다.
  3. 적당한 용착법과 용접순서를 선택한다.
  4. 용접 전에 억제법, 역변형법 등을 이용한다.
(정답률: 72%)
  • 용접 전에 억제법, 역변형법 등을 이용하는 것은 이미 발생한 잔류응력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 용접 과정에서 잔류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로봇의 구성에서 구동부와 제어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동력원이라 하고 에너지를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기기의 명칭은?

  1. 액추에이터
  2. 머니퓰레이터
  3. 교시박스
  4. 시퀀스 제어
(정답률: 77%)
  • 액추에이터는 동력원에서 받은 에너지를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기기로, 로봇의 구동부와 제어부를 가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정답입니다. 머니퓰레이터는 돈을 다루는 기기, 교시박스는 시간을 조절하는 기기, 시퀀스 제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V형 맞대기 피복아크 용접시 슬래그 섞임의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

  1. 슬래그를 깨끗이 제거한다.
  2. 용접 전류를 약간 세게 한다.
  3. 용접 이음부의 루트 간격을 좁게 한다.
  4. 봉의 유지각도를 용접 방향에 적절하게 한다.
(정답률: 80%)
  • 용접 이음부의 루트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슬래그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루트 간격이 넓을 경우 슬래그가 더 많이 쌓이고, 용접 과정에서 이 슬래그가 용접 구멍 안으로 들어가 슬래그 섞임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루트 간격을 좁게 하면 슬래그가 적게 쌓이고, 슬래그 섞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저온균열의 발생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와이어 흡습
  2. 예열부족
  3. 저 입열용접
  4. 심한 구속
(정답률: 27%)
  • 저온균열은 금속 구조물의 저온에서 발생하는 균열로, 주로 예열 부족, 와이어 흡습, 심한 구속 등이 원인이 됩니다. 그러나 "저 입열용접"은 오히려 과열이 아닌 저온에서 용접이 이루어져서 충분한 결합력이 형성되지 않아 균열이 발생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 입열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 보조기호 중 용접부의 다듬질 방법을 표시하는 기호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P - 치핑
  2. G - 연삭
  3. M - 절삭
  4. F - 지정없음
(정답률: 69%)
  • 정답은 "P - 치핑"입니다. 치핑은 용접부의 다듬질 방법이 아니라, 용접 후 생긴 불순물이나 녹슬이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P - 치핑"은 용접 보조기호 중 용접부의 다듬질 방법을 표시하는 기호로는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과 같이 두께 12mm, 폭 100mm의 강판에 맞대기 용접이음을 할 때 이음효율 η=0.8로 하면 인장력(P)는 얼마인가? (단, 판의 최저인장강도는 420MPa이고 안전율은 4로 한다.)

  1. 100200 N
  2. 10080 N
  3. 108800 N
  4. 100800 N
(정답률: 53%)
  • 먼저 인장강도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최저인장강도를 4로 나눈 값인 105MPa가 된다. 이에 따라 인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인장력 = (폭 × 두께 × 인장강도 × 이음효율) / 안전율
    = (100mm × 12mm × 420MPa × 0.8) / 4
    = 100800 N

    따라서 정답은 "100800 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그(JIG)의 사용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제품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대량생산에서 호환성 있는 제품이 만들어진다.
  2. 불량율이 감소되고 미숙련공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3. 제작상의 공정수가 감소하고 생산능률을 향상시킨다.
  4. 비교적 본 기계장비에 비해 소형 경량이며,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83%)
  • "비교적 본 기계장비에 비해 소형 경량이며,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는 지그의 사용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이유는 지그는 주로 작은 부품들의 가공에 사용되며, 작은 부품들의 정밀도를 높이고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 것은 지그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용접이음 설계 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이 아닌 ㅣ것은?

  1. 가급적 능률이 좋은 아래보기 용접자세를 많이 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2. 될 수 있는 대로 용접량이 많은 홈 형상을 선택한다.
  3. 용접이음을 1개소로 집중시키거나 너무 접근하여 설계하지 않는다.
  4. 안전상 필릿 용접보다 맞대기 용접을 주로 한다.
(정답률: 81%)
  • 용접이음 설계 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될 수 있는 대로 용접량이 많은 홈 형상을 선택한다."가 아닙니다. 이유는 용접량이 많은 홈 형상을 선택하면 용접이음의 강도가 높아지지만, 용접작업이 어려워지고 용접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이음 설계 시에는 용접이음의 강도와 용접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상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용접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같은 평면 안에 많은 이음이 있을 때 수축량이 큰 이음은 가능한 지그로 고정한다.
  2. 물품에 대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일률적으로 용접을 진행하다.
  3. 수축이 작은 이음을 가능한 먼저하고 수축이 큰 이음을 뒤에 용접한다.
  4. 용접물의 중립축에 대하여 수축력 모우멘트의 합이 “0”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59%)
  • 용접물의 중립축에 대하여 수축력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은 용접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는 용접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용접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용접 순서를 결정하는 가장 옳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모집단으로부터 공간적, 시간적으로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샘플링하는 방식은?

  1. 단순랜덤샘플링(simple randow sampling)
  2. 2단계샘플링(two-stage sampling)
  3. 취락샘플링(cluster sampling)
  4. 계통샘플링(systematic sampling)
(정답률: 74%)
  • 계통샘플링은 모집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샘플링하는 방식으로, 모집단의 구성원들이 무작위로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샘플링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통샘플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기계의 수리비용이 감소한다.
  2. 생산시스템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3. 고장으로 인한 중단시간이 감소한다.
  4. 잦은 정비로 인해 제조원단위가 증가한다.
(정답률: 81%)
  • 잦은 정비로 인해 제조원단위가 증가하는 것은 예방보전의 효과가 아닙니다. 예방보전은 기계의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고장을 예방하고, 생산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며, 고장으로 인한 중단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잦은 정비로 인해 제조원단위가 증가하는 것은 예방보전의 효과가 아니며, 오히려 비효율적인 정비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품공정도를 작성할 때 사용되는 요소(명칭)가 아닌 것은?

  1. 가공
  2. 검사
  3. 정체
  4. 여유
(정답률: 79%)
  • 가공, 검사, 정체는 제품공정도 작성 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지만, 여유는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즉, 제품공정도 작성 시 여유를 고려하지 않아도 제품 생산에 지장이 없을 수 있지만, 가공, 검사, 정체는 생산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부적합수 관리도를 작성하기 위해 를 구하였다. 시료의 크기가 부분군마다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u관리도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n=10일 경우 u관리도의 UCL 값은 약 얼마인가?

  1. 4.023
  2. 2.518
  3. 0.502
  4. 0.252
(정답률: 41%)
  • 부적합수 관리도에서 u관리도를 사용할 경우, UCL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UCL = u + 3√u/n

    여기서 u는 부적합수의 평균값이고, n은 시료의 크기이다.

    문제에서 n=10이므로, UCL = u + 3√u/10 이 된다.

    따라서, UCL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u 값을 구해야 한다.

    그림에서 주어진 부적합수 관리도에서 u 값을 구하면, 약 2.02이다.

    따라서, UCL = 2.02 + 3√2.02/10 = 4.023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업방법 개선의 기본 4원칙을 표현한 것은?

  1. 층별-랜덤-재배열-표준화
  2. 배제-결합-랜덤-표준화
  3. 층별-랜덤-표준화-단순화
  4. 배제-결합-재배열-단순화
(정답률: 63%)
  • 정답은 "배제-결합-재배열-단순화"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배제 (Elimination) : 불필요한 작업을 배제하여 작업의 복잡도를 낮춥니다.
    2. 결합 (Combination) : 유사한 작업을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3. 재배열 (Rearrangement) : 작업 순서를 재배열하여 작업의 흐름을 최적화합니다.
    4. 단순화 (Simplification) : 작업을 가능한 단순하게 만들어 오류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입니다.

    이 네 가지 원칙을 순서대로 적용하면 작업 방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배제와 결합으로 불필요한 작업을 줄이고 유사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며, 재배열로 작업 순서를 최적화하고 단순화로 작업을 단순하게 만들어 생산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0.01일 때는 평균치에 대하여 좌ㆍ우 대칭이다.
  2. P≤0.1이고, nP=0.1~10일 때는 포아송 분포에 근사한다.
  3. 부적합품의 출현 갯수에 대한 표준편차는 D(x)=nP이다.
  4. P≤0.5이고, nP≤5일 때는 정규 분포에 근사한다.
(정답률: 65%)
  • 이항분포는 독립적인 n번의 시행 중에서 성공할 확률이 p인 사건이 x번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는 분포이다. 이 때, n이 충분히 크고 p가 충분히 작을 때, 이항분포는 포아송 분포에 근사한다. 이는 이항분포의 평균과 분산이 모두 np로 수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0.1이고, nP=0.1~10일 때는 포아송 분포에 근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