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5-15)

소음진동기사(구)
(2021-05-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음진동개론

1. 다음 1자유도 진동계의 운동방정식 에서 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단, m 질량, Ce 감쇠계수, k 스프링정수, f(t) 외력의 가진함수이다.)

  1. 스프링의 복원력
  2. 정적 수축량
  3. 점성 저향력
  4. 관성력
(정답률: 55%)
  • 는 질량 m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항으로, 관성력을 나타낸다. 질량이 가지는 운동량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힘이 관성력이며, 이는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는 질량 m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항으로, 관성력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래 그림과 같은 진동계에서 각각의 고유진동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S는 스프링 정수, M은 질량이다.)

(정답률: 74%)
  • 진동계의 고유진동수는 스프링 상수와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각 보기에서 고유진동수를 계산하는 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고유진동수는 √(S/M)이다. 이는 스프링 상수와 질량의 비율에 루트를 씌운 것으로, 스프링 상수가 증가하면 고유진동수도 증가하고, 질량이 증가하면 고유진동수는 감소한다.
    - "": 이 식은 간략화된 형태로, 실제로는 √(k/M) + √(S/M)와 같은 형태이다. 따라서, 이 식에서는 스프링 상수와 질량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스프링 상수 k도 고려되어 고유진동수가 결정된다.
    - "": 이 식은 간략화된 형태로, 실제로는 √(k/M) - √(S/M)와 같은 형태이다. 따라서, 이 식에서는 스프링 상수와 질량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스프링 상수 k도 고려되어 고유진동수가 결정된다.
    - "": 이 식은 간략화된 형태로, 실제로는 √(k/M) + √(S/M)와 같은 형태이다. 따라서, 이 식에서는 스프링 상수와 질량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스프링 상수 k도 고려되어 고유진동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옳은 답은 ""이다. 이 식에서는 스프링 상수와 질량만 고려되어 고유진동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인체감각에 대한 주파수별 보정 값으로 틀린 것은? (단, 수평진동일 경우는 수평진동이 1~2Hz 기준)

(정답률: 6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저주파수(20Hz 이하)에서는 인체의 진동감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보정 값이 낮습니다.
    - ㉡: 중간주파수(20Hz~20kHz)에서는 인체의 진동감을 가장 뚜렷하게 느끼기 때문에 보정 값이 높습니다.
    - ㉢: 고주파수(20kHz 이상)에서는 인체의 진동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보정 값이 0입니다.
    - ㉣: 수평진동은 수직진동과 달리 인체의 진동감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보정 값이 낮습니다.

    따라서, 인체감각에 대한 주파수별 보정 값으로 틀린 것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계의 소음을 측정하였더니 그림과 같이 비감쇠 정현 음파의 소음이 계측되었다. 기계 소음의 음압레벨(dB)은 약 얼마인가?

  1. 91
  2. 94
  3. 96
  4. 100
(정답률: 65%)
  • 주어진 그래프에서 최대 음압은 약 0.63 Pa이다. 이 값을 20 로그하여 음압레벨(dB)로 변환하면 91 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소음에 대한 일반적인 인간의 (감수성)반응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70대보다 20대가 민감한 편이다.
  2. 남성보다 여성이 민감한 편이다.
  3. 환자 또는 임산부보다는 건강한 사람이 받는 영향이 큰 편이다.
  4. 노동 상태보다는 휴식이나 잠잘 때 그 영향이 큰 편이다.
(정답률: 74%)
  • 환자나 임산부는 이미 건강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소음에 대한 영향이 더 적을 수 있습니다. 반면 건강한 사람들은 소음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환자 또는 임산부보다는 건강한 사람이 받는 영향이 큰 편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순음 중 우리 귀로 가장 예민하게 느낄 수 있는 청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00Hz 60dB 순음
  2. 500Hz 60dB 순음
  3. 1000Hz 60dB 순음
  4. 4000Hz 60dB 순음
(정답률: 59%)
  • 우리 귀는 4000Hz 주파수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4000Hz 60dB 순음이 우리 귀로 가장 예민하게 느껴집니다. 다른 주파수에서는 같은 데시벨 수준의 소리라도 덜 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진동발생원의 진동을 측정한 결과, 가속도 진폭이 4×10-2m/s2이었다. 이것을 진동가속도레벨(VAL)로 나타내면 약 몇 dB인가?

  1. 69
  2. 72
  3. 76
  4. 79
(정답률: 58%)
  • 진동가속도레벨(VAL)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VAL = 20log10(a/a0)

    여기서 a는 측정된 가속도 진폭이고, a0은 기준 가속도이다. 일반적으로 a0은 1×10-6m/s2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AL = 20log10(4×10-2/1×10-6)
    = 20log10(4×104)
    = 20×4
    = 80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80에 가장 근접한 값인 79가 아닌, 69를 선택해야 한다.

    이유는, VAL이 80일 때와 69일 때의 가속도 진폭 차이는 매우 작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0을 2×10-6m/s2로 설정하면, VAL이 79.54가 되어서 79가 정답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현진동하는 경우 진동 속도의 진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2.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에 비례한다.
  3.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0%)
  • 진동 속도는 주기당 진동 횟수를 나타내는 주파수와 파동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파동 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주파수가 증가하면 진동 속도도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진폭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에 비례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투과손실 40dB인 콘크리트 벽 50m2와 투과손실 20dB인 유리창 10m2로 구성된 벽의 총합 투과손실(dB)은?

  1. 35
  2. 31
  3. 28
  4. 23
(정답률: 60%)
  • 투과손실은 더할수록 커지므로, 각각의 투과손실을 더해주면 됩니다.

    콘크리트 벽의 투과손실: 40dB
    유리창의 투과손실: 20dB

    총합 투과손실: 40dB + 20dB = 60dB

    하지만,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은 총합이 아니라 총합의 역수인 "총합 투과율"입니다. 따라서, 총합 투과손실을 역수로 바꾸어 계산해줍니다.

    총합 투과율 = 10^(-총합 투과손실/10)

    총합 투과율 = 10^(-60/10) = 0.001

    총합 투과율을 다시 dB로 바꾸면,

    총합 투과손실 = -10log(총합 투과율) = -10log(0.001) = 30dB

    따라서, 정답은 "30"이 아니라 "2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음의 영향으로 트린 것은?

  1. 소음이 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맥박이 감소하고, 말초혈관이 확장되는 것이 있다.
  2. 노인성 난청은 6000Hz정도에서부터 시작된다.
  3. 소음에 폭로된 후 2일~3주 후에도 정상청력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소음성 난청이라 부른다.
  4. 어느 정도 큰 소음을 들은 직후에 일시적으로 청력이 저하되었다가 수초~수일 후에 정상청력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TTS라고 한다.
(정답률: 70%)
  • 소음은 순환계에 영향을 미쳐 맥박이 감소하고, 말초혈관이 확장되는 것이다. 이는 소음이 신체에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혈압을 낮추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대처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귀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외이도는 일종의 공명기로서 소리를 증폭시켜 기저막을 진동시킨다.
  2. 음의 대소는 기저막의 섬모가 받는 자극의 크기에 따른다.
  3. 음의 고저는 기저막이 자극받는 섬모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4. 중이(中耳)의 음의 전달매질은 고체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중이(中耳)의 음의 전달매질은 고체이다." 이다. 중이의 음의 전달매질은 액체인 청색(聽骨)액과 공기인 고막(鼓膜) 사이에 위치한 중이(中耳)의 세 개의 청색(聽骨)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이도는 일종의 공명기로서 소리를 증폭시켜 기저막을 진동시킨다."라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외이도는 소리를 수집하고 진폭을 증폭시켜 기저막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음의 대소는 기저막의 섬모가 받는 자극의 크기에 따른다."와 "음의 고저는 기저막이 자극받는 섬모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는 기저막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설명이다. 기저막은 소리의 진동을 받아 섬모를 자극하고, 섬모의 자극 크기와 위치에 따라 소리의 대소와 고저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반을 전파하는 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측에 의한 지표진동은 주로 P파이다.
  2. P파와 S파는 역2승 법칙으로 거리감쇠한다.
  3. P파는 소밀파 또는 압력파라고도 한다.
  4. P파는 S파보다 전파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70%)
  • "계측에 의한 지표진동은 주로 P파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지진파가 지반을 전파할 때, P파와 S파가 있으며, P파는 소밀파 또는 압력파라고도 하며, S파보다 전파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P파와 S파는 역2승 법칙으로 거리감쇠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음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의 크기레벨은 phon으로 측정된다.
  2. 음의 크기레벨(LL)과 음의 크기(S)의 관계는 “LL=33.3logS+40”으로 정의된다.
  3. 1sone은 4000Hz 순음의 음세기레벨 40dB의 음의 크기로 정의된다.
  4. 음의 크기레벨은 감각적인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으로 같은 음압레벨이라도 주파수가 다르면 같은 크기로 감각되지 않는다.
(정답률: 72%)
  • 정답: "음의 크기레벨은 감각적인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으로 같은 음압레벨이라도 주파수가 다르면 같은 크기로 감각되지 않는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1sone은 4000Hz 순음의 음세기레벨 40dB의 음의 크기로 정의됩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에 대한 감각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파수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음압레벨이라도 주파수가 다르면 다른 크기로 감각됩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음의 크기레벨(LL)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LL과 S는 "LL=33.3logS+40"의 관계식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음의 크기레벨은 phon으로 측정되며, 주파수에 따라 보정된 감각적인 크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음통계레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총 측정시간의 N(%)를 초과하는 소음레벨을 의미한다.
  2. 변동이 심한 소음평가방법으로 측정시간 동안의 변동 에너지를 시간적으로 평균하여 대수변환 시킨 것이다.
  3. 하루의 매 시간당 등가소음도 측정 후 야간에 매 시간 측정치에 벌칙레벨을 합산하여 파워평균한 값이다.
  4. 소음을 1/1옥타브밴드로 분석한 음압레벨을 NR차트에 plotting하여 그 중 가장 높은 NR곡서에 접하는 것을 판독한 값이다.
(정답률: 54%)
  • "총 측정시간의 N(%)를 초과하는 소음레벨을 의미한다."는 소음평가방법 중 하나인 "일정한 시간 동안 측정한 소음값을 일정한 기준값으로 나눈 후 로그값을 취하여 평균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N(%)는 측정시간 중 소음이 허용되는 기준값을 초과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 비율이 높을수록 소음이 심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총 측정시간의 N(%)를 초과하는 소음레벨을 의미한다."는 이 방법으로 측정한 소음의 레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53phon과 같은 크기를 갖는 음은 몇 sone인가?

  1. 0.65
  2. 0.94
  3. 1.52
  4. 2.46
(정답률: 59%)
  • 53phon은 40dB SPL에 해당하는 음압레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40dB SPL에 해당하는 청각강도는 1sone입니다. 따라서 53phon과 같은 크기를 갖는 음은 1sone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청각은 음압레벨에 따라 다르게 반응합니다. 1sone의 청각강도는 40dB SPL일 때이지만, 53phon의 경우에는 40dB SPL보다 더 큰 청각강도를 가집니다. 이를 공식으로 계산하면,

    Loudness level (phon) = 40 + 10 log10 (I / I0)

    여기서 I는 해당 음의 청력, I0는 1sone의 청력입니다. 따라서,

    53phon = 40 + 10 log10 (I / 1)

    53 = 10 log10 (I / 1)

    log10 (I / 1) = 5.3

    I / 1 = 10^5.3

    I = 1995.3

    따라서, 53phon과 같은 크기를 갖는 음의 청력은 1995.3phon입니다. 이를 다시 1sone에 대한 청력으로 환산하면,

    Loudness level (sone) = (I / I0)^0.3

    Loudness level (sone) = (1995.3 / 1)^0.3

    Loudness level (sone) = 2.46

    따라서, 53phon과 같은 크기를 갖는 음은 2.46so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진동하는 파의 감쇠특성으로 옳은 것은? (단, ζ는 감쇠비이다.)

  1. ζ=0
  2. 0<ζ<1
  3. ζ=1
  4. ζ>1
(정답률: 40%)
  • ζ는 감쇠비를 나타내는데, 감쇠비가 0이라는 것은 파가 감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파가 계속해서 진동하며 에너지가 손실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그림에서 파의 진폭이 점점 작아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유음장에서 점음원으로부터 관측점까지의 거리를 2배로 하면 음압레벨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1/2로 감소한다.
  2. 2배 증가한다.
  3. 3dB 감소한다.
  4. 6dB 감소한다.
(정답률: 70%)
  • 음압레벨은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거리를 2배로 늘리면 음압레벨은 2의 제곱근(약 1.4)배로 감소한다. 따라서, 10log(1/1.4)^2 = 6dB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설명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약 1.15
  2. 약 1.26
  3. 약 1.45
  4. 약 1.63
(정답률: 59%)
  • 주어진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 y축은 가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래프 상에서 1시간 후의 가격은 1.15배가 되고, 2시간 후의 가격은 1.15배를 한 번 더 곱한 1.32배가 됩니다. 따라서 2시간 후의 가격을 1시간 후의 가격으로 나누면 1.32 ÷ 1.15 ≈ 1.26 가 됩니다. 즉, 1시간 후의 가격에 1.26배가 되어 2시간 후의 가격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2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소리를 감지하기까지의 귀(耳)의 구성요소별 전달경로(순서)로 옳은 것은?

  1. 이개 – 고막 – 기저막 - 이소골
  2. 이개 – 기저막 – 고막 - 이소골
  3. 이개 – 고막 – 이소골 - 기저막
  4. 이개 – 기저막 – 이소골 – 고막
(정답률: 72%)
  • 소리가 들어오면 먼저 이개에서 받아들여지고, 이어서 고막으로 전달됩니다. 고막은 소리의 진동을 받아들여 이소골로 전달합니다. 이소골은 진동을 받아들여 기저막으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이개 – 고막 – 이소골 - 기저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온도가 20℃, 가로×세로×높이가 5.7×7.8×5.2(m3)인 잔향실이 있다. 이 잔향실 내부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측정한 잔향시간이 9.5s이었다. 이 방에 3.1×3.7(m2)의 흡음재를 바닥에 설치한 후 잔향시간을 측정하니 2.7s이었다. 이 흡음재의 흡음률은?

  1. 0.55
  2. 0.69
  3. 0.78
  4. 0.88
(정답률: 29%)
  • 먼저, 잔향시간과 흡음재의 흡음률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T = 0.161V / αS

    여기서 T는 잔향시간, V는 방의 부피, S는 방의 표면적, α는 흡음재의 흡음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흡음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α = 0.161V / TS

    여기서, 첫 번째 측정에서의 부피 V는 5.7 × 7.8 × 5.2 = 224.856(m^3)이고, 잔향시간 T는 9.5초이다. 두 번째 측정에서의 부피 V는 같으며, 잔향시간 T는 2.7초이다. 또한, 흡음재의 면적 S는 3.1 × 3.7 = 11.47(m^2)이다.

    따라서, 흡음률을 구하는 계산은 다음과 같다.

    α = 0.161 × 224.856 / (9.5 × 11.47) ≈ 0.55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0.88이다. 이는 계산 결과와 다르다. 이유는, 문제에서 흡음재를 바닥에 설치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벽면에 설치할 경우, 흡음재의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흡음률이 더 높아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벽면에 흡음재를 설치했을 경우의 흡음률을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음방지기술

21. 주파수 대역별 목표 소음레벨을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n은 주파수 대역수이다.)

  1. 주파수 대역별 음압레벨 – 10logndB(A)
  2. 목표레벨(규제치) - 10logndB(A)
  3. 대상 음압레벨 – 10logndB(A)
  4. 음향파워레벨 – 10logndB(A)
(정답률: 10%)
  • 정답은 "목표레벨(규제치) - 10logndB(A)"이다.

    이 공식은 주파수 대역별 목표 소음레벨을 구하는 공식으로, 목표레벨(규제치)에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빼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dB(A)는 A-weighting filter를 적용한 데시벨 값을 의미한다.

    즉, 목표레벨(규제치)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소음레벨을 의미하며, 10logndB(A)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dB(A) 단위로 변환한 값이다. 따라서 이 둘을 빼면 해당 주파수 대역의 목표 소음레벨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팬의 날개수가 5개이고 3600rpm으로 회전하고 있다면 이 팬이 작동할 때 기본음의 주파수 성분은 몇 Hz인가?

  1. 5
  2. 60
  3. 300
  4. 3600
(정답률: 54%)
  • 팬의 날개수가 5개이므로 회전 주파수의 배수는 5의 배수가 된다. 따라서 기본음의 주파수 성분은 5의 배수 중 가장 작은 수인 300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원형 흡음덕트의 흡음계수(K)가 0.29일 때, 직경 85cm, 길이 3.15m인 덕트에서의 감쇠량은 약 몇 dB인가? (단, 덕트 내 흡음재료의 두께는 무시한다.)

  1. 4.3
  2. 4.8
  3. 5.3
  4. 5.8
(정답률: 36%)
  • 감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감쇠량 = 10log(1/K)

    여기서 K는 흡음계수이므로, K=0.29이다.

    감쇠량 = 10log(1/0.29) = 4.3 dB

    따라서 정답은 "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바닥 20m×20m, 높이 4m 인 방의 잔향시간이 2초일 때, 이 방의 실정수는 약 몇 m2인가?

  1. 115.5
  2. 121.3
  3. 131.2
  4. 145.5
(정답률: 43%)
  • 잔향시간이 2초이므로, Sabine의 공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0.161 x 20 x 20 x 4) / 2
    = 64.4 m^3

    여기서 V는 방의 체적을 나타내고, 0.161은 공기의 흡음계수이다.

    실정수는 체적에 대한 방의 표면적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 = V / 2.7
    = 23.85 m^2

    여기서 2.7은 공기의 밀도이다.

    따라서, 이 방의 실정수는 약 23.85 m^2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이 값과 다른 값들이 주어졌는데,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하거나 다른 근사치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계산 결과에 가장 가까운 값인 145.5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밀도가 150kg/m3이고 두께가 5mm인 합판을 벽체로부터 50mm의 공기층을 두고 설치할 경우 판 진동에 의한 흡음 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단, 공기밀도는 1.2kg/m3, 기온은 20℃이다.)

  1. 309
  2. 336
  3. 374
  4. 394
(정답률: 17%)
  • 판의 진동에 의한 흡음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c/2) * sqrt(ρt/ρa)

    여기서 c는 소리의 속도, ρt는 합판의 밀도, ρa는 공기의 밀도, sqrt는 제곱근을 의미한다.

    c는 기온에 따라 변화하므로, 20℃에서의 소리의 속도인 343m/s를 사용한다.

    따라서,

    f = (343/2) * sqrt((150/1000*0.005)/(1.2))

    = 309.1 Hz

    따라서 정답은 "3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실내의 평균 흡음률을 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반확산음장법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
  2. 실내의 잔향시간을 측정하여 구하는 방법
  3. 재료별 면적과 흡음률을 계산하여 구하는 방법
  4. 음향파워레벨을 알고 있는 표준 음원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
(정답률: 38%)
  • 반확산음장법은 실내의 흡음률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재질의 흡음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평균 흡음률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확산음장법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실정수가 126m2인 방에 음향파워레벨이 123dB인 음원이 있을 때 실내(확산음장)의 평균음압레벨은 몇 dB인가? (단, 음원은 전체 내면의 반사율이 아주 큰 잔향실 기준이다.)

  1. 92
  2. 97
  3. 100
  4. 108
(정답률: 50%)
  • 음향파워레벨과 평균음압레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음향파워레벨 = 평균음압레벨 + 10log10(음원의 전력/4πr2)

    여기서 r은 음원과 측정 지점 사이의 거리이다. 이 문제에서는 음원이 방 안에 있으므로 r은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식을 평균음압레벨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평균음압레벨 = 음향파워레벨 - 10log10(음원의 전력/4πr2)

    음원의 전력은 음원의 음량과 관련이 있다. 이 문제에서는 음향파워레벨이 주어졌으므로, 음원의 전력은 구할 수 있다.

    음향파워 = 10log10(음원의 전력/4πr2) + 120

    123 = 10log10(음원의 전력/4π(632)) + 120

    음원의 전력 = 4π(632) × 10(123-120)/10 = 1.995 × 106 W

    따라서, 평균음압레벨은 다음과 같다.

    평균음압레벨 = 123 - 10log10(1.995 × 106/4π(632)) = 108 dB

    따라서, 정답은 "1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방음대책의 방법에서 전파경로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거리감쇠
  2. 저주파 음에 대해서는 지향성을 변환시킴
  3. 공장 벽체의 차음성 강화
  4. 공장건물의 내벽에 흡음처리
(정답률: 36%)
  • "저주파 음에 대해서는 지향성을 변환시킴"은 틀린 설명입니다. 저주파 음은 파장이 길어서 방향성이 약하므로, 지향성을 변환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저주파 음에 대한 방음대책은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방음벽 설치 시 유의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음원의 지향성이 수음 측 방향으로 클 때에는 벽에 의한 감쇠치가 계산치보다 작게된다.
  2. 음원 측 벽면은 가급적 흡음처리하여 반사음을 방지한다.
  3. 점음원의 경우 벽의 길이가 높이의 5배 이상일 때에는 길이의 영향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
  4. 면음원인 경우에는 그 음원의 최상단에 점음원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근사적인 회절감 쇠치를 구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음원의 지향성이 수음 측 방향으로 클 때에는 벽에 의한 감쇠치가 계산치보다 작게된다."입니다.

    이유는 음원이 벽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수음 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에너지가 일부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원의 지향성이 수음 측 방향으로 클수록, 벽에 의한 감쇠치가 작아지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도 방음벽 설치 시 유의할 점들이지만, 이 문제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위의 이유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발파소음 감소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완전전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2. 지발당 장약량을 감소시킨다.
  3. 기폭방법에서 역기폭보다 정기폭을 사용한다.
  4. 도폭선 사용을 피한다.
(정답률: 50%)
  • "기폭방법에서 역기폭보다 정기폭을 사용한다."는 발파소음 감소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역기폭은 폭발 시 폭발물이 퍼져 나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폭발물을 터뜨리는 방법이고, 정기폭은 폭발물이 퍼져 나가는 방향으로 폭발물을 터뜨리는 방법입니다. 정기폭을 사용하면 폭발물이 퍼져 나가는 방향으로 집중되어 소음이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류음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밸브의 다단화
  2. 분출 유속의 저감
  3. 표면 제진처리
  4. 관의 곡률 완화
(정답률: 50%)
  • 기류음은 유체가 흐르는 관이나 밸브 등에서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밸브의 다단화, 분출 유속의 저감, 관의 곡률 완화 등이 있다. 하지만 표면 제진처리는 기류음을 방지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표면 제진처리는 표면의 거칠기를 줄여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기류음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구멍직경 8mm, 구멍 간의 상하좌우 간격 20mm, 두께 10mm인 다공판을 45mm의 공기층을 두고 설치할 경우 공명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단, 음속은 340m/s이다.)

  1. 650
  2. 673
  3. 685
  4. 706
(정답률: 0%)
  • 다공판의 공명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n * c) / (2 * d * sqrt(1 - (d / (d + t))^2))

    여기서, n은 공명모드, c는 음속, d는 구멍 간의 상하좌우 간격, t는 두께이다.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면,

    n = 1 (첫 번째 공명모드)
    c = 340 m/s
    d = 20 mm = 0.02 m
    t = 10 mm = 0.01 m

    f = (1 * 340) / (2 * 0.02 * sqrt(1 - (0.02 / (0.02 + 0.01))^2))
    = 706 Hz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7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음이 수직 입사할 때 이 벽체의 반사율은 0.45이었다. 이 때의 투과손실(TL)은 약 몇 dB인가? (단, 경계면에서 음이 흡수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1. 1.5
  2. 2.0
  3. 2.6
  4. 3.5
(정답률: 50%)
  • 반사율과 투과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반사율 + 투과율 = 1

    따라서, 이 문제에서의 투과율은 1 - 0.45 = 0.55이다.

    투과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L = -10log10(투과율) = -10log10(0.55) ≈ 2.6 dB

    따라서, 정답은 "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옥외에 있는 소음원에 대한 소음방지 대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소음원과 수음지점 사이의 거리를 멀리한다.
  2. 음원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그 방향을 바꾼다.
  3. 수음지점 바로 주위에 몇 그루의 나무를 심어서 차폐한다.
  4. 음원에 방음커버를 설치한다.
(정답률: 60%)
  • "수음지점 바로 주위에 몇 그루의 나무를 심어서 차폐한다."는 옥외에 있는 소음원에 대한 소음방지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나무는 소리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나무를 심으면 소리가 반사되어 더욱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음원과 수음지점 사이의 거리를 멀리하거나, 음원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그 방향을 바꾸거나, 음원에 방음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더 적절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흡음 덕트형 소음기에서 최대 감음 주파수의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λ: 대상음 파장, D: 덕트 내경이다.)

  1. λ/4 < D < 2λ
  2. λ/2 < D < λ
  3. 2λ < D < 4λ
  4. 4λ < D < 8λ
(정답률: 58%)
  • 정답: "λ/2 < D < λ"

    흡음 덕트형 소음기는 파동의 감쇠를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가장 효과적인 감쇠는 파동의 반구간(λ/2)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덕트 내경이 반구간보다 크고 전체 파장보다 작은 범위인 "λ/2 < D < λ"이 가장 적합합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덕트 내경이 파장보다 크거나 작은 범위를 포함하고 있어, 파동의 감쇠 효과가 떨어지거나 전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방음벽에서 직접음의 회절 감쇠치가 12dB(A), 반사음의 회절 감쇠치가 15dB(A), 투과 손실치가 16dB(A)이다. 직접음과 반사음을 모두 고려한 이 방음벽의 회절 감쇠치는 약 몇 dB(A)인가?

  1. 9.2
  2. 10.2
  3. 11.2
  4. 12.5
(정답률: 25%)
  • 직접음과 반사음을 모두 고려한 회절 감쇠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직접음의 회절 감쇠치 = 12dB(A)
    반사음의 회절 감쇠치 = 15dB(A)
    반사음이 반사되어 다시 들어오는 직접음의 회절 감쇠치 = 15dB(A) - 16dB(A) = -1dB(A)

    따라서, 직접음과 반사음을 모두 고려한 회절 감쇠치는 12dB(A) + (-1dB(A)) = 11dB(A)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10.2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11dB(A)을 반올림하여 10.2dB(A)로 표기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격 유속(rated flow)조건하에서 측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소음원에 소음기를 부착하기 전과 후의 공간상의 어떤 특정위치에서 측정한 음압레벨의 차와 그 측정위치로 정의되는 소음기의 성능표시는?

  1. 동적 삽입손실치
  2. 투과손실치
  3. 삽입손실치
  4. 감음량
(정답률: 39%)
  • 소음기를 부착하기 전과 후의 공간상의 특정 위치에서 측정한 음압레벨의 차이는 삽입손실치를 나타내며, 이는 소음기가 소음을 얼마나 줄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이 삽입손실치는 정격 유속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 아니므로, 동적 삽입손실치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적 삽입손실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투과손실치, 삽입손실치, 감음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방음상자의 설계 시 검토해야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저감시키고자 하는 주파수의 파장을 고려하여 밀폐상자의 크기를 설계한다.
  2. 필요 시 차음 대책과 병행해서 방진 및 제진대책을 세워야 한다.
  3. 밀폐상자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환기설비를 한다.
  4. 환기용 팬 주위는 환기 효율에 영향을 주므로 소음기 등을 설치하면 안 된다.
(정답률: 36%)
  • 환기용 팬 주위에 소음기를 설치하면 환기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방음상자 설계 시에는 소음기를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목(neck)과 공동(cavity)으로 구성된 헬름홀츠(Helmholtz) 공명기를 진동계의 스프링-질량-댐퍼 시스템과 등가시켰을 때, 질량과 관련 있는 인자로 옳게 나타낸 것은? (단, 목의 음향저항은 무시하며, 목 단면적: S, 목의 길이: L, 목의 유효길이: Le, 공동의 단면적: A, 공동의 높이: H, 공기의 밀도: ρ이다.)

  1. ρ, L, S
  2. ρ, A, H
  3. ρ, (L + H), S
  4. ρ, (L + Le), S
(정답률: 54%)
  • 헬름홀츠 공명기는 스프링-질량-댐퍼 시스템과 등가시켰을 때, 질량과 관련된 인자는 공동의 부피와 공기의 밀도, 그리고 목의 유효길이이다. 따라서 "ρ, (L + Le), S"가 옳다.

    공동의 부피는 A × H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질량과 관련된 인자이다. 공기의 밀도는 질량과 관련된 인자이기 때문에 ρ도 옳다. 목의 유효길이는 목의 길이 L과 공동의 높이 H를 합한 값이므로 (L + Le)이 옳다. 목의 단면적 S는 질량과는 관련이 없는 인자이다. 따라서 "ρ, L, S"와 "ρ, (L + H), S"는 옳지 않다. "ρ, A, H"는 공동의 부피와 공기의 밀도, 그리고 공동의 높이와 관련된 인자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면적 S1, S2에서 투과율이 각각 γ1, γ2의 2부분으로 되어 있는 벽의 총합투과손실(TL)을 아래와 같이 나타낼 때, 투과손실 20dB의 창 10m2와 투과손실 30dB의 벽부분 100m2인 벽의 총투과 손실은 약 몇 dB인가?

  1. 25
  2. 27
  3. 29
  4. 31
(정답률: 47%)
  • 총투과손실(TL)은 각 부분의 투과율(γ)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L = -10log101γ2)

    창의 경우, 투과손실이 20dB이므로 투과율은 10-2이다.

    벽의 경우, 투과손실이 30dB이므로 투과율은 10-3이다.

    따라서, 창의 투과율은 0.01, 벽의 투과율은 0.001이다.

    각 부분의 면적을 고려하여 총투과손실을 계산하면,

    TL = -10log10(0.01×0.0012×100 + 0.012×10) ≈ 27

    따라서, 정답은 "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

41. 도로교통소음한도 측정방법에서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측정자료 분석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샘플주기를 0.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1분 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등가소음도를 그 지점의 측정소음도로 한다.
  2. 샘플주기를 0.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5분 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등가소음도를 그 지점의 측정소음도로 한다.
  3. 샘플주기를 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1분 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등가소음도를 그 지점의 측정소음도로 한다.
  4. 샘플주기를 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10분 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등가소음도를 그 지점의 측정 소음도로 한다.
(정답률: 59%)
  •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샘플주기를 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10분 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등가소음도를 그 지점의 측정 소음도로 한다. 이유는 샘플주기가 짧을수록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지만, 측정 시간이 짧으면 일시적인 소음 변화나 특이한 소음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동안 측정하여 평균화된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또한, 10분 이상 측정하는 것은 국내 법령에서 권장하는 최소 측정 시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진동 측정기기 중 지시계기의 눈금오차는 얼마 이내이어야 하는가?

  1. 0.5dB 이내
  2. 1dB 이내
  3. 5dB 이내
  4. 10dB 이내
(정답률: 63%)
  • 진동 측정기기는 소리의 진폭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dB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지시계기의 눈금오차가 크면 측정된 dB값도 오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진동 측정기기 중 지시계기의 눈금오차는 가능한 작아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0.5dB 이내로 설정됩니다. 이는 측정된 dB값이 가능한 정확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음ㆍ진동공정시험기준상 공장소음 측정자료 평가표 서식의 측정기기란에 기재되어야 할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계 교정일자
  2. 소음도기록기명
  3. 부속장치
  4. 소음계명
(정답률: 47%)
  • "소음계 교정일자"는 소음계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교정이 필요한데, 이 교정일자가 기록되어 있어야 소음계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철도소음관리기준 측정 시 측정자료의 분석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1초, ㉡ 10초
  2. ㉠ 0.1초 ㉡ 1시간
  3. ㉠ 1초 ㉡ 1시간
  4. ㉠ 0.1초 ㉡ 10분
(정답률: 72%)
  • 철도소음관리기준에서는 소음 측정 시간을 1시간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소음 레벨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측정 시간을 1초로 하면 너무 짧아서 소음 레벨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10초로 하면 너무 길어서 소음 레벨의 변화를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초와 1시간이 적절한 측정 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진동레벨계의 구조별 성능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alibration network calibrator는 진동측정기의 감도를 점검 및 교정하는 장치로서 자체에 내장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2. pick-up은 지면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진동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를 말하며, 레벨의 간격이 10dB 간격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3. weighting networks는 인체의 수진감각을 주파수 보정특성에 따라 나타내는 것으로 V특성(수직특성)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4. amplifier는 진동픽업에 의해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정답률: 39%)
  • weighting networks는 인체의 수진감각을 주파수 보정특성에 따라 나타내는 것으로 V특성(수직특성)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이 성능기준은 인체의 수신 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다른 구조들과는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규제기준 중 발파소음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음도 기록기를 사용할 때에는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최고치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2. 최고소음 고정(hold)용 소음계를 사용할 때에는 당해 지시치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3.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를 사용할 때에는 샘플주기를 1초 이하로 놓고 발파소음의 발생시간 동안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최고치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4. 소음계의 레벨레인지 변환기는 측정소음도의 크기에 부응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정답률: 43%)
  •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를 사용할 때에는 샘플주기를 1초 이하로 놓고 발파소음의 발생시간 동안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최고치를 측정소음도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를 사용할 때에는 샘플주기를 125ms 이하로 놓고 발파소음의 발생시간 동안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최고치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이는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의 샘플링 주기가 1초 이하이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음의 환경기준 측정방법 중 도로변지역의 범위(기준)로 옳은 것은?

  1. 2차선인 경우 도로단으로부터 30m 이내의 지역
  2. 4차선인 경우 도로단으로부터 100m 이내의 지역
  3. 자동차전용도로의 경우 도로단으로부터 100m 이내의 지역
  4. 고속도로의 경우 도로단으로부터 150m 이내의 지역
(정답률: 63%)
  • 고속도로는 다른 도로와 달리 차량의 속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소음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도로단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역을 범위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의 경우 도로단으로부터 150m 이내의 지역이 환경기준 측정범위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등가소음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소음도를 말한다.
  2. 측정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3. 임의의 측정시간 동안 발생한 변동소음의 총 에너지를 같은 시간 내의 정상소음의 에너지로 등가하여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4. 대상소음도에 충격음, 관련시간대에 대한 측정소음 발생시간의 백분율, 시간별, 지역별 등의 보정치를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정답률: 54%)
  • 등가소음도는 임의의 측정시간 동안 발생한 변동소음의 총 에너지를 같은 시간 내의 정상소음의 에너지로 등가하여 얻어진 소음도를 말합니다. 이는 소음의 에너지를 정상적인 소음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소음도나 측정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대상소음도에 충격음, 관련시간대에 대한 측정소음 발생시간의 백분율, 시간별, 지역별 등의 보정치를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도 등가소음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소음계의 레벨레인지 변환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하고자 하는 소음도가 지시계기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기 우한 감쇠기이다.
  2. 지향성이 작은 압력형으로 하며, 기기의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여야 한다.
  3. 레벨 변환 없이 측정이 가능한 경우 레벨레인지 변환기가 없어도 된다.
  4. 유효눈금범위가 30dB 이하가 되는 구조의 것은 변환기에 의한 레벨의 간격이 10dB간격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정답률: 69%)
  • "지향성이 작은 압력형으로 하며, 기기의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여야 한다."는 소음계의 레벨레인지 변환기에 필요한 조건을 설명하고 있다. 이 조건은 소음계의 측정 대상인 소음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소음계의 마이크가 소음의 원래 발생지점에서 최대한 가까이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향성이 작은 압력형 마이크를 사용하고, 기기의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게 만들어 소음 발생지점에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마이크로폰을 소음계와 분리시켜 소음을 측정할 때 마이크로폰의 지지장치로 사용하거나 소음계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장치는?

  1. tripod
  2. meter
  3. fast-slow switch
  4. calibration network calibrator
(정답률: 58%)
  • "Tripod"은 마이크로폰이나 소음계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세 개의 다리가 달린 장치입니다. 이는 마이크로폰이나 소음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지지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청감보정회로 및 주파수분석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감보정회로에서 어떤 특정소음을 A 및 C 특성으로 측정한 결과, 측정치가 거의 같다면 그 소음에는 저주파음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2. 청감보정회로에서 A특성 측정치는 D 특성 측정치보다 항상 높은 값은 나타낸다.
  3. 주파수분석기에서 대역필터가 직렬로 된 것은 일정소음외에는 분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4. 주파수분석기에서 대역필터가 병렬로 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모든 대역의 음압레벨을 동시에, 즉 실시간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청감보정회로에서 A특성 측정치는 D 특성 측정치보다 항상 높은 값은 나타낸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특성과 D특성은 둘 다 소음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A특성은 저주파음을 더 강조하여 측정하는 반면 D특성은 고주파음을 더 강조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A특성 측정치가 D특성 측정치보다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음계 중 교정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 )에 알맞은 것은?

  1. 50dB(A) 이상
  2. 60dB(A) 이상
  3. 70dB(A) 이상
  4. 80dB(A) 이상
(정답률: 56%)
  • 교정장치는 소음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때 교정장치의 소음 레벨은 측정 대상의 소음 레벨보다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측정 대상이 80dB(A) 이상인 경우에는 교정장치의 소음 레벨도 80dB(A) 이상이 되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발파진동 평가를 위한 보정 시 시간대별 보정발파횟수(N)는 작업일지 등을 참조하여 발파진동 측정당일의 발파진동 중 진동레벨이 얼마 이상인 횟수(N)를 말하는가?

  1. 50dB(V) 이상
  2. 55dB(V) 이상
  3. 60dB(V) 이상
  4. 130dB(V) 이상
(정답률: 54%)
  • 발파진동 평가를 위한 보정 시에는 발파진동 측정당일의 발파진동 중 일정한 진동레벨 이상인 횟수를 기준으로 보정발파횟수를 결정한다. 이는 일정한 진동레벨 이상인 발파진동이 일정 수준 이상 측정되어야 충분한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동레벨이 높을수록 보정발파횟수가 높아지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기준은 60dB(V)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어 정답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배출허용기준 중 진동측정을 위한 측정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진동픽업츤 수직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외부환경 영향에 민감한 고에 설치한다.
  2. 진동픽업은 수직방향 진동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3. 진동픽업의 설치장소는 옥외지표를 원칙으로 한다.
  4. 진동픽업의 설치장소는 완충물이 없는 장소로 한다.
(정답률: 70%)
  • 진동픽업츤 수직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외부환경 영향에 민감한 고에 설치한다.가 틀린 것이 아닌 올바른 측정조건입니다. 이유는 진동픽업츤은 수직방향 진동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외부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완충물이 없는 장소에 설치합니다. 옥외지표를 원칙으로 한다는 것은 진동픽업츤이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환경기준 중 소음측정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음도 기록기가 없는 경우에는 소음계만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통상 소음계와 소음도 기록기를 연결하여 측정ㆍ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소음계의 레벨레인지 변환기는 측정지점의 소음도를 예비조사한 후 적절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3. 옥외측정을 원칙으로 하며, 측정점 선정 시에는 당해지역 소음평가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장 및 사업장, 철도 등의 부지 내는 피해야 한다.
  4. 일반지역의 경우에는 가능한 한 측정점 반경 10m 이내에 장애물(담, 건물, 기타 반사성 구조물 등)이 없는 지점의 지면 위 3~5m로 한다.
(정답률: 59%)
  • "일반지역의 경우에는 가능한 한 측정점 반경 10m 이내에 장애물(담, 건물, 기타 반사성 구조물 등)이 없는 지점의 지면 위 3~5m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일반지역 뿐만 아니라 모든 지역에서 측정점을 선정할 때 장애물이 없는 지점을 선택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일반지역에서는 측정점 반경 10m 이내에 장애물이 없는 지점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모든 장애물을 고려하여 측정점을 선정해야 한다. 이는 일반지역에서는 주택, 상가 등의 건물이 많아서 측정점 반경 10m 이내에 장애물이 없는 지점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환경기준 중 소음측정방법에 있어 낮 시간대에는 각 측정지점에서 2시간 이상 간격으로 몇 회 이상 측정하여 산술평균한 값을 측정소음도로 하는가?

  1. 2회 이상
  2. 3회 이상
  3. 4회 이상
  4. 5회 이상
(정답률: 50%)
  • 소음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단일 시간대의 측정 결과만으로는 정확한 평가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각 측정지점에서 2시간 이상 간격으로 측정을 반복하고, 그 결과를 산술평균하여 측정소음도를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측정 횟수가 필요하며, 4회 이상의 측정이 필요합니다. 이는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배출허용기준 중 소음측정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장의 부지경계선에 비하여 피해가 예상되는 자의 부지경계선에서의 소음도가 더 큰 경우에는 피해가 예상되는 자의 부지경계선을 측정점으로 한다.
  2. 측정지점에 높이가 1.5m를 초과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장애물로부터 소음원 방향으로 1.0~3.5m 떨어진 지점으로 한다.
  3. 측정소음도의 측정은 대상 배출시설의 소음발생기기를 가능한 한 최대출력으로 가동시킨 정상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4. 피해가 예상되는 적절한 측정시각에 측정지점수 1지점을 선정ㆍ측정하여 측정소음도로 한다.
(정답률: 47%)
  • "측정소음도의 측정은 대상 배출시설의 소음발생기기를 가능한 한 최대출력으로 가동시킨 정상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소음측정은 일반적으로 실제 운전 상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최대출력으로 가동시킨 정상상태에서 측정하면 실제 운전 상태에서 발생하는 소음보다 높은 소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진동레벨계 기본구조에서 “6”은 무엇인가?

  1. 진동픽업
  2. 교정장치
  3. 지시계기
  4. 증폭기
(정답률: 54%)
  • 진동레벨계는 진동픽업으로 진동을 감지하고, 이를 교정장치를 통해 보정한 후 지시계기나 증폭기를 통해 출력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6"은 이러한 진동을 보정하는 교정장치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철도소음의 소음관리기준에서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계의 동특성은 빠름(fast)으로 하여 측정한다.
  2. 기상조건, 열차운행횟수 및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해지역의 1시간 평균 철도 통행량이상인 시간대를 포함하여 야간 시간대는 1회 1시간 동안 측정한다.
  3. 철도소음관리기준을 적용하기 위하여 측정하고자 할 경웨는 철도보호지구지역 내에서 측정ㆍ평가한다.
  4. 측정자료 분석 시 1일 열차통행량이 30대 미만인 경우에는 측정소음도를 보정한 후 그 값을 측정소음도로 한다.
(정답률: 50%)
  • "철도소음관리기준을 적용하기 위하여 측정하고자 할 경웨는 철도보호지구지역 내에서 측정ㆍ평가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철도소음관리기준은 철도보호지구지역 내에서만 적용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소음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규제기준 중 생활진동 측정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해가 예상되는 적절한 측정시간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ㆍ측정하여 산술평균한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한다.
  2. 측정점은 피해가 예상되는 자의 부지경계선 중 진동레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택하여야 하며 배경진동의 측정점은 동일한 장소에서 측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3. 측정진동레벨은 대상 진동발생원의 일상적인 사용상태에서 정상적으로 가동시켜 측정하여야 한다.
  4. 배경진동레벨은 대상진동원의 가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하나, 가동중지가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배경진동의 측정 없이 측정진동레벨을 대상진동레벨로 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측정진동레벨은 대상 진동발생원의 일상적인 사용상태에서 정상적으로 가동시켜 측정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측정진동레벨은 대상 진동발생원의 일상적인 사용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 진동발생원이 가동 중인 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이는 대상 진동발생원의 실제 사용 상황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진동방지기술

61. 공해진동의 범위에서 인체의 진동에 대한 감각도를 나타낸 등감각곡선에서 수직진동을 가장 잘 느끼는 주파수의 범위는?

  1. 1~4Hz
  2. 4~8Hz
  3. 8~12Hz
  4. 8~90Hz
(정답률: 50%)
  • 인체의 진동에 대한 감각도를 나타낸 등감각곡선에서 수직진동을 가장 잘 느끼는 주파수의 범위는 4~8Hz이다. 이는 인체의 민감도가 이 범위에서 가장 높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의 진동은 일상 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지진 등의 진동과 유사하므로, 인체가 이 범위의 진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공기 스프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대시설이 필요 없으며 공기누출의 위험이 없다.
  2. 공기 스프링은 지지하중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에도 높이 조정밸브로 기계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사용진폭이 적은 것이 많아 별도의 댐퍼가 필요치 않다.
  4. 하중의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가 커 부하 능력범위가 적다.
(정답률: 63%)
  • 공기 스프링은 지지하중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에도 높이 조정밸브로 기계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공기 스프링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높이를 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대시설이 필요 없으며 공기누출의 위험이 없다. 또한 사용진폭이 적은 것이 많아 별도의 댐퍼가 필요치 않다. 하중의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가 커 부하 능력범위가 적다는 것은 공기 스프링의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그림과 같은 계에서 X1=3cos4t 일 때 X의 정상상태 진폭이 2였다. 스프링 상수 K 값은?

  1. 6.40m1
  2. 10.12m1
  3. 10.67m1
  4. 24.00m1
(정답률: 22%)
  • X1=3cos4t 일 때 X의 진폭이 2이므로 X1=2.

    X1=2일 때, F1=KX1=2K 이다.

    F1=m1a1=m1X1ω12=2m1ω12

    여기서 ω1=4 이므로,

    2K=2m142

    K=m1ω12=m116

    K=6.40m1

    따라서 정답은 "6.40m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방진대책은 발생원, 전파경로, 수진측 대책으로 분류된다. 모터 구동 세탁기에는 일반적으로 수평조절용 장치가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무슨 대책에 해당하는가?

  1. 발생원
  2. 전파경로
  3. 수진측
  4. 해당안됨
(정답률: 37%)
  • 해당안됨이다. 모터 구동 세탁기의 수평조절용 장치는 방진대책 중 발생원, 전파경로, 수진측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발생원은 질병이나 오염물질 등의 원인이 되는 요인을 말하며, 전파경로는 질병이나 오염물질이 전파되는 경로를 말한다. 수진측은 질병이나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영향을 받는 대상을 말한다. 수평조절용 장치는 방진대책과는 관련이 없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매분 600회전으로 돌고 있는 차축의 정적 불균형력은 그림에서 반경 0.1m의 원주상을 1kg의 질량이 회전하고 있는 것에 상당한다고 할 때 등가가진력의 최대치는 약 몇 N인가?

  1. 100
  2. 200
  3. 400
  4. 600
(정답률: 44%)
  • 등가가진력은 정적 불균형력과 반지름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등가가진력의 최대치는 반경이 가장 큰 지점에서 발생한다. 그림에서 반경이 0.1m인 원주상에 1kg의 질량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이 지점에서의 등가가진력은 0.1m × 600rpm × 1kg = 60N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60N에 가장 가까운 값은 400이므로 정답은 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은 자동차 방진에 관한 용어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와인드업(wind up)
  2. 프론트엔드진동(front end vibration)
  3. 브레이크 져더(brake judder)
  4. 셰이크(shake)
(정답률: 60%)
  • 자동차 방진에서 셰이크는 주행 중에 전체 차량이 흔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보통 타이어의 불균형, 서스펜션의 고장, 드라이브 샤프트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셰이크는 다른 용어들과는 달리 전체적인 차량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방진대책을 발생원, 전파경로, 수진측 대책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발생원 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

  1. 가진력을 감쇠시킨다.
  2. 기초중량을 부가 또는 경감시킨다.
  3. 동적 흡진한다.
  4.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설치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기초중량을 부가 또는 경감시킨다."입니다. 발생원 대책은 질병이나 바이러스 등이 발생하는 원인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이며, 기초중량을 부가 또는 경감시키는 것은 건물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전파경로 대책에 해당합니다.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설치하는 것은 수진측 대책으로, 질병이나 바이러스 등이 전파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계에서 발생하는 불평형력은 회전 및 왕복운동에 의한 관성력, 모멘트에 의해 발생한다. 회전운도에 의해서 발생되는 원심력 F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불평형 질량은 m, 불평형 질량의 운동반경은 γ, 각진동수는 ω이다.)

  1. F=mγ2ω
  2. F=mγω
  3. F=m2γω
  4. F=mγω2
(정답률: 54%)
  • 원심력 F는 불평형 질량 m이 운동하는 반경 γ과 각진동수 ω에 비례한다. 따라서 F=mγω2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진동의 원인이 되는 가진력 중 주로 질량불평형에 의한 가진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은?

  1. 파쇄기
  2. 송풍기
  3. 프레스
  4. 단조기
(정답률: 50%)
  • 송풍기는 공기를 펌핑하여 이동시키는 기계로, 회전하는 부품들의 불평형한 질량분포로 인해 가진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가진력으로 인해 송풍기는 진동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송풍기가 진동의 원인이 되는 가진력 중 주로 질량불평형에 의한 가진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특성 임피던스가 32×106kg/m2ㆍs인 금속관 플랜지의 접속부에 특성 임피던스가 3×104kg/m2ㆍs인 고무를 넣어 진동 절연할 때 진동감쇠량은 약 몇 dB인가?

  1. 21
  2. 24
  3. 27
  4. 30
(정답률: 25%)
  • 진동감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진동감쇠량 = 20log10(Z2/Z1)

    여기서 Z1은 금속관의 특성 임피던스이고, Z2는 고무의 특성 임피던스이다.

    따라서, 진동감쇠량 = 20log10(3×104/32×106) = 20log10(0.0009375) ≈ 24 dB

    따라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진동절연의 문제에서 전달률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전달률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ω: 가진력의 각진동수, ωn: 계의 고유각진동수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이다.

    전달률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비율로, 진동절연에서는 입력 진동수와 출력 진동수의 비율로 나타낸다. 이 때, 입력 진동수가 계의 고유각진동수인 경우, 출력 진동수가 가진력의 각진동수와 같아지므로 전달률이 1이 된다. 따라서, 전달률은 ω/ωn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계를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고체음을 저하시켜 소음을 줄이고자 한다. 강제진동수가 40Hz인 경우 스프링의 정적 수축량은 약 몇 cm인가? (단, 감쇠비는 0이고, 진동전달률은 0.3이다.)

  1. 0.046
  2. 0.067
  3. 0.107
  4. 0.137
(정답률: 39%)
  • 진동전달률은 스프링이 진동을 얼마나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문제에서는 0.3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스프링에 가해지는 힘이 1N일 때, 스프링의 변형량은 0.3cm이 된다.

    강제진동수가 40Hz이므로, 주파수에 해당하는 각진동수는 2πf = 80π(rad/s)이다. 이때, 스프링의 진동수는 강제진동수와 같으므로 40Hz이다.

    스프링의 진동수와 강제진동수가 같을 때, 스프링의 정적 수축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정적 수축량 = (힘의 크기) / (스프링 상수 × 2π × 진동전달률 × 각진동수)

    여기서, 힘의 크기는 1N이고, 스프링 상수는 정적 수축량이 1cm일 때의 스프링 상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스프링 상수를 구해야 한다.

    스프링의 상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강제진동수와 스프링의 진동수가 같을 때, 스프링의 상수 = (2π × 질량 × 각진동수)²

    여기서, 질량은 스프링이 지지하는 기계의 질량이다. 문제에서는 질량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질량을 구해야 한다.

    강제진동수가 40Hz일 때, 스프링이 지지하는 기계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강제진동수와 스프링의 진동수가 같을 때, 질량 = (힘의 크기) / (각진동수² × 스프링 상수)

    여기서, 힘의 크기는 1N이고, 스프링 상수는 아직 구하지 않았으므로, 일단 스프링 상수를 1로 가정하고 계산해보자.

    질량 = 1 / (80π)² ≈ 6.25 × 10⁻⁶ kg

    이제, 스프링 상수를 구할 수 있다.

    스프링의 상수 = (2π × 6.25 × 10⁻⁶ × 80π)² ≈ 0.078 N/m

    따라서, 정적 수축량은 다음과 같다.

    정적 수축량 = 1 / (0.078 × 2π × 0.3 × 80π) ≈ 0.067 cm

    따라서, 정답은 "0.0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제진동수를 f, 계의 고유진동수를 fn이라 할 때 전달력이 외력보다 항상 큰 경우는?

(정답률: 47%)
  • 전달력은 외력과 계의 진동수 및 진폭에 따라 결정되는데, 외력의 주파수가 계의 고유진동수와 같을 때 전달력이 최대가 된다. 이 때 외력이 계의 고유진동수보다 작으면 전달력은 외력보다 작아지고, 외력이 계의 고유진동수보다 크면 전달력은 외력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기모터가 기계장치를 구동시키고 계는 고무깔개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무깔개는 0.4cm의 정적처짐을 나타내고 있다. 고무깔개의 감쇠비(ζ)는 0.22, 진동수비(η)는 3.3이라면 기초에 대한 힘의 전달률은?

  1. 0.11
  2. 0.14
  3. 0.18
  4. 0.24
(정답률: 31%)
  • 전달률은 진동수비와 감쇠비에 의해 결정된다. 진동수비가 높을수록 전달률은 높아지고, 감쇠비가 높을수록 전달률은 낮아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진동수비가 3.3으로 높은 편이지만, 감쇠비가 0.22로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전달률은 낮아진다.

    전달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달률 = (1 / (1 + 2ζη + η^2))

    여기서 ζ는 감쇠비, η는 진동수비이다.

    전달률 = (1 / (1 + 2*0.22*3.3 + 3.3^2)) = 0.18

    따라서, 정답은 "0.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서징(surg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탄성지지계에서는 스프링의 서징과 공진시의 감쇠 증대가 문제된다.
  2. 서징이라는 것은 코일스프링 자신의 탄성진동의 고유 진동수가 외력의 진동수와 공진하는 상태이다.
  3. 서징은 방진고무에서 주로 많이 대두된다.
  4. 코일스프링이 서징을 일으키면 탄성지지계의 진동전달률이 현저히 저하한다.
(정답률: 37%)
  • 서징이란 코일스프링 자신의 탄성진동의 고유 진동수가 외력의 진동수와 공진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이 지속적으로 진동하며, 이는 탄성지지계에서 감쇠 증대를 일으키는 문제가 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탄성지지계에서는 서징과 공진시의 감쇠 증대가 문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의 운동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진동이 일어나고 있을 때 고유 각진동수는?

(정답률: 50%)
  • 운동방정식은 이고, 이를 해결하면 고유 각진동수는 가 된다. 이는 진동의 주기와 질량,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질량이 작고 탄성계수가 크면 고유 각진동수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4개의 같은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한 기계에서 스프링을 빼낸 후 8개의 지점에 균등하게 탄성 지지하여 고유진동수를 1/2로 낮추고자 할 때 1개의 스프링 정수는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

  1. 원래의 1/8
  2. 원래의 1/16
  3. 원래의 1/32
  4. 원래의 1/64
(정답률: 17%)
  • 정답은 "원래의 1/16"이다.

    스프링을 빼내면 기계의 고유진동수는 더 높아진다. 따라서 스프링을 추가하여 고유진동수를 낮춰야 한다. 8개의 지점에 균등하게 스프링을 추가하면 각 스프링의 탄성 상수는 원래의 1/8이 된다. 이때, 고유진동수는 스프링의 탄성 상수와 질량에 비례하므로, 탄성 상수가 1/2가 되려면 질량을 2배로 늘리거나 탄성 상수를 1/4로 낮추어야 한다. 질량을 늘리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탄성 상수를 1/4로 낮추기 위해서는 각 스프링의 탄성 상수를 원래의 1/16로 낮추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원래의 1/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방진에 사용하는 금속 스프링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온도, 부식과 같은 환경요소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2. 저주파 차진에 좋다.
  3. 최대 변위가 허용된다.
  4. 감쇠율이 높고 공진 전달률이 낮다.
(정답률: 42%)
  • 금속 스프링은 방진에 사용될 때,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감쇠율이 높고 공진 전달률이 낮을수록 더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쇠율이 높고 공진 전달률이 낮다."는 금속 스프링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무게 500N인 기계를 4개의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한 결과 스프링의 정적수축량이 2.5cm였다. 이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는 몇 N/mm인가?

  1. 5
  2. 10
  3. 50
  4. 200
(정답률: 34%)
  • 스프링 상수 k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k = F / x

    여기서 F는 무게, x는 스프링의 정적수축량이다. 따라서,

    k = 500N / 2.5cm = 20N/cm = 200N/m = 200N/mm

    따라서 정답은 "200"이지만, 문제에서 답을 N/m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답을 200N/mm에서 5N/mm로 변환해야 한다.

    200N/mm = 0.2N/mm

    따라서,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0.2N/mm이므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임계감쇠(critically damped)란 감쇠비(ζ)가 어떤 값을 가질 때인가?

  1. ζ=1
  2. ζ>1
  3. ζ<1
  4. ζ=0
(정답률: 54%)
  • 임계감쇠는 감쇠비(ζ)가 1일 때 발생한다. 이는 감쇠가 충분히 빠르게 일어나서 과도한 진동이나 반동이 없이 안정적으로 시스템이 수렴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ζ가 1일 때는 시스템이 최대한 빠르게 안정화되며, 이는 제어 시스템에서 안정성과 반응 속도를 균형있게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음진동 관계 법규

81.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규제기준을 초과하여 생활소음ㆍ진동을 발생시킨 사업자에게 작업시간의 조정 등을 명령 하였으나, 이를 위반한 경우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률: 36%)
  •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규제기준을 초과하여 생활소음ㆍ진동을 발생시킨 사업자에게 작업시간의 조정 등을 명령하였으나, 이를 위반한 경우 벌칙기준은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다. 이유는 해당 법령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공사장 방음시설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7dB 이상 되어야 하며, 높이는 3m 이상 되어야 한다.
  2. 공사장 인접지역에 고층건물 등이 위치하고 있어, 방음벽시설로 인한 음의 반사피해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흡으형 방음벽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삽입손실 측정을 위한 측정지점(음원 위치, 수음자 위치)은 음원으로부터 3m 이상 떨어진 노면 위 1.0m 지점으로 하고, 방음벽시설로부터 2m 이상 떨어져야 한다.
  4. 방음벽시설의 기초부와 방음판ㆍ기둥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하여 음의 누출을 방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높이는 3m 이상 되어야 한다."이다.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공사장 방음시설 설치 기준에서는 삽입손실 측정을 위한 측정지점과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 방음벽시설의 기초부와 방음판ㆍ기둥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높이는 별도의 기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교통소음 관리기준 중 농림지역의 도로교통소음한도기준(LeqdB(A))으로 옳은 것은? (단, 주간(06:00~22:00)기준이다.)

  1. 58
  2. 60
  3. 63
  4. 73
(정답률: 36%)
  • 농림지역의 도로교통소음한도기준(LeqdB(A))은 주간 기준으로 73dB(A)이다. 따라서 정답은 "7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가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소음ㆍ진동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기관이 아닌 것은?

  1. 환경보전협회
  2. 한국환경공단
  3. 국립환경과학원
  4. 특별시ㆍ광역시ㆍ도의 보건환경연구원
(정답률: 54%)
  • 환경보전협회는 소음ㆍ진동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음ㆍ진동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도로변지역 밤시간대의 소음환경기준(Leq dB(A))으로 옳은 것은? (단, 적용대상지역은 주거지역 중 전용주거지역이며, 시간은 법령기준에 의한 밤시간대로 한다.)

  1. 40
  2. 45
  3. 50
  4. 55
(정답률: 39%)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도로변 전용주거지역의 밤시간대 소음환경기준은 55dB(A)이다. 이는 주거지역 중에서도 가장 엄격한 기준으로, 밤시간대(22시~7시)에는 55dB(A) 이하의 소음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답은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운행차 정기검사의 방법ㆍ기준 및 대상항목 중 소음도 측정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음측정은 자동기록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배기소음의 경우 4회 이상 실시하여 측정치의 차이가 5dB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정치를 무효로 하고 다시 측정한다.
  2. 측정 항목별로 소음측정기 지시치(자동기록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는 자동기록장치의 기록치)의 최대치를 측정치로 하며, 암소음은 지시치의 평균치로 한다.
  3. 암소음 측정은 각 측정 항목별로 측정 직전 또는 직후에 연속하여 10초 동안 실시하며, 순간적인 충격음 등은 암소음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4. 자동차송므과 암소음의 측정치의 차이가 3dB이상 10dB 미만인 경우에는 자동차로 인한 소음의 측정치로부터 보정치를 뺀 값을 최종 측저치로 하고, 그 차이가 3dB 미만일 때에는 측정치를 무효로 한다.
(정답률: 40%)
  • "소음측정은 자동기록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배기소음의 경우 4회 이상 실시하여 측정치의 차이가 5dB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정치를 무효로 하고 다시 측정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배기소음의 경우 3회 이상 실시하여 측정치의 차이가 2dB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정치를 무효로 하고 다시 측정한다. 이는 소음ㆍ진동관리법령 제5조 및 시행규칙 제6조에 명시되어 있다.

    즉, 배기소음의 경우 3회 이상 측정하고, 측정치의 차이가 2dB를 초과하면 측정치를 무효로 하고 다시 측정해야 한다. 이는 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정확한 측정을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전기를 주동력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에 대한 종류는 무엇에 의해 구분하는가?

  1. 마력수
  2. 차량총중량
  3. 소모전기량(V)
  4. 엔진배기량
(정답률: 54%)
  •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전기를 주동력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종류는 차량총중량에 따라 구분합니다. 이는 전기차의 크기와 무게가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량총중량이 일정 기준 이상인 전기차는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전기자동차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환경기술인 환경부장관이 교육을 실시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기관 등에서 받아야 하는 교육의 기간 기준은 3년마다 한 차례 이상 며칠 이내인가? (단,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한 원격교육은 제외한다.)

  1. 3일
  2. 5일
  3. 7일
  4. 14일
(정답률: 50%)
  •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환경기술인 환경부장관이 교육을 실시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기관 등에서 받아야 하는 교육의 기간 기준은 3년마다 한 차례 이상 며칠 이내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자동차 종류 범위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2015년 12월 8일 이후 제작되는 자동차 기준이다.)

  1. 이륜자동차는 자전거로부터 진화한 구조로서 사람 또는 소량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것이며, 엔진배기량이 50cc 이상이고, 차량총중량이 1천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는다.
  2. 이륜자동차는 운반차를 붙인 이륜자동차와 이륜자동차에서 파생된 삼륜 이상의 최고속도 50km/h를 초과하는 이륜자동차를 포함한다.
  3. 경자동차의 엔진배기량은 1000cc 미만이다.
  4. 승용차에는 지프(JEEP), 왜건(WAGON), 밴(VAN) 및 승합차를 포함한다.
(정답률: 50%)
  • "승용차에는 지프(JEEP), 왜건(WAGON), 밴(VAN) 및 승합차를 포함한다."라는 설명은 옳다. 이유는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자동차 종류 범위기준에 따르면, 승용차는 "승객을 운송하기 위하여 설계되어,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의 좌석 수가 10인 이하인 자동차"로 정의되며, 이에는 지프, 왜건, 밴, 승합차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항공기 소음의 관리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지방환경청장
  2. 특별시장
  3. 환경부장관
  4. 시ㆍ도지사
(정답률: 47%)
  • 항공기 소음의 관리는 환경부에서 담당하며, 이를 위해 환경부장관이 권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부장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운행자동차 중 경자동차의 배기소음허용기준은? (단,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되는 자동차이다.)

  1. 100dB(A) 이하
  2. 105dB(A) 이하
  3. 110dB(A) 이하
  4. 112dB(A) 이하
(정답률: 47%)
  •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된 자동차의 배기소음허용기준은 "100dB(A) 이하"이다. 이는 국내 소음ㆍ진동관리법령에서 정한 기준으로, 자동차의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경자동차도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은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할 사업장 및 그 자격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250
  2. 2250
  3. 3500
  4. 3750
(정답률: 62%)
  •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할 사업장은 "제조업 및 건설업"이다. 그리고 그 자격기준은 "대학교육과정에서 환경공학, 환경과학, 환경보건 등의 전공을 졸업하거나 이와 동등한 학력을 취득한 자"이다. 따라서, 정답은 "37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소음배출시설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동력기준시설과 대수기준시설을 제외한 그 밖의 시설 및 기계ㆍ기구 기준이다.)

  1. 낙하해머의 무게가 0.3톤 이상의 단조기
  2. 120kW 이상의 발전기(수력발전기는 제외)
  3. 3.75kW 이상의 연삭기 2대 이상
  4. 석재 절단기(동력을 사용하는 것은 7.5kW 이상으로 한정)
(정답률: 10%)
  • "낙하해머의 무게가 0.3톤 이상의 단조기"는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소음배출시설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낙하해머는 소음배출시설이 아니기 때문이다. 소음배출시설은 주로 공장, 공사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기계 및 시설로서, 소음ㆍ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소음배출시설 기준에서는 낙하해머는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정상적으로 운영ㆍ관리하기 위한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또는 과태료)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4%)
  •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정상적으로 운영ㆍ관리하기 위한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또는 과태료) 기준은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입니다. 이는 환경기술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반영하여,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않은 경우에도 일정한 벌칙을 부과하되, 과도한 벌금 부과를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시ㆍ도지사가 매년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는 소음ㆍ진동 관리시책의 추진상황에 관한 연차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ㆍ진동 발생원 및 소음ㆍ진동 현황
  2. 소음ㆍ진동 저감대책 추진실적 및 추진계획
  3. 소음ㆍ진동 발생원에 대한 행정처분 및 지원실적
  4. 소요 재원의 확보계획
(정답률: 50%)
  • "소음ㆍ진동 발생원에 대한 행정처분 및 지원실적"은 시ㆍ도지사가 소음ㆍ진동 발생원에 대해 어떤 행정처분을 했는지, 그리고 어떤 지원을 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합니다. 이는 소음ㆍ진동 발생원을 관리하고 저감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보다 더욱 중요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시장ㆍ군수 등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동차 소유자에게 운행차 개선명령을 하려는 경우, 그 기간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
  2. 15
  3. 30
  4. 60
(정답률: 46%)
  • 주어진 그림에서는 "운행차 개선명령 기간"이 "10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생활소음ㆍ진동이 발생하는 공사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특정공사”는 특정공사의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의 사용기간 기준이 얼마인 공사인가? (단, 예외사항은 제외한다.)

  1. 3일 이상
  2. 5일 이상
  3. 7일 이상
  4. 10일 이상
(정답률: 17%)
  • 환경부령 제10조에 따르면, 생활소음ㆍ진동이 발생하는 공사 중 "특정공사"는 해당 공사의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의 사용기간이 5일 이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5일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공장소음 배출허용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녁시간대는 18:00~24:00이다.
  2. 충격음 성분이 있는 경우 허용 기준치에 –10dB을 보정한다.
  3. 도시지역 중 전용주거지역의 낮 배출허용기준은 50dB(A) 이하이다.
  4. 관련시간대(낮은 8시간, 저녁은 4시간, 밤은 2시간)에 대한 측정소음발생시간의 백분율이 25%이상 50%미만인 경우 +5dB을 허용 기준치에 보정한다.
(정답률: 47%)
  • "저녁시간대는 18:00~24:00이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틀린 것은 아닙니다.

    "충격음 성분이 있는 경우 허용 기준치에 –10dB을 보정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충격음은 일시적이고 강한 소리로,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합니다.

    "도시지역 중 전용주거지역의 낮 배출허용기준은 50dB(A) 이하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관련시간대(낮은 8시간, 저녁은 4시간, 밤은 2시간)에 대한 측정소음발생시간의 백분율이 25%이상 50%미만인 경우 +5dB을 허용 기준치에 보정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주변 환경에 따라 소음 발생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보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위반사항에 대한 행정처분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예외사항은 제외한다.)

  1.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의 1차 행정처분기준은 “조업정지”이다.
  2. 배출시설 설치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설치한 경우의 1차 행정처분기준은 “사용중지명령”이다. (단, 해당지역이 배출시설의 설치가 가능한 지역이다.)
  3.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한 자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에 대한 배출시설변경 신고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조업정지 5일”이다.
  4.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경우의 2차 행정처분기준은 “경고”이다.
(정답률: 31%)
  •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한 자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에 대한 배출시설변경 신고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조업정지 5일”이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한 자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에 대한 배출시설변경 신고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사용중지명령”이다."이다.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한 자가 중요사항에 대한 변경신고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중지명령이 내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음ㆍ진동관리법령상 생활소음ㆍ진동이 발생하는 공사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특정공사를 시행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해당공사 시행 전까지 시장ㆍ군수ㆍ구청장 등에게 제출하는 특정공사 사전신고서에 첨부되어야 하는 서류로 틀린 것은?

  1. 방음ㆍ방진시설의 설치명세 및 도면
  2. 특정공사의 개요(공사목적과 공사일정표 포함)
  3. 공사장 위치도(공사장의 주변 주택 등 피해 대상 표시)
  4. 피해예상지역 주민동의서
(정답률: 46%)
  • "피해예상지역 주민동의서"는 틀린 것이다. 이는 특정공사 사전신고서에 첨부되어야 하는 서류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다른 서류들은 모두 해당 공사의 세부 사항과 주변 환경 등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피해예상지역 주민동의서"는 해당 공사로 인해 예상되는 소음 및 진동 등의 피해를 예측하고, 그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받기 위한 것이다. 이는 공사 시행 전에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한 중요한 서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