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9-26)

소음진동기사(구)
(2020-09-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음진동개론

1. 진동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4~14Hz에서 복통을 느끼고, 9~20Hz에서는 대소변을 보고 싶게 한다.
  2. 수직 및 수평진동이 동시에 가해지면 10배 정도의 자각현상이 나타난다.
  3. 6Hz에서 머리는 가장 큰 진동을 느낀다.
  4. 20~30Hz 부근에서 심한 공진현상을 보여 가해진 진동보다 크게 느끼고, 진동수 증가에 따라 감쇠는 급격히 감소한다.
(정답률: 60%)
  • 4~14Hz에서 복통을 느끼는 이유는 내장기관이나 장기가 진동에 의해 자극을 받아 생기는 것이고, 9~20Hz에서 대소변을 보고 싶게 하는 이유는 진동이 내장기관을 자극하여 장기의 운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진동은 인체의 생리적 반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진동수와 진폭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구조 감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구조물이 조화 외력에 의해 변형할 때 외력에 의한 일이 열 또는 음향에너지로 소산하는 현상
  2. 윤활이 되지 않는 두면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에너지가 소산하는 현상
  3. 구조물이 운동할 때 유체의 점성에 의해 에너지가 소산하는 현상
  4. 구조물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빛에너지가 소산하여 가진되는 현상
(정답률: 59%)
  • "구조물이 조화 외력에 의해 변형할 때 외력에 의한 일이 열 또는 음향에너지로 소산하는 현상"은 구조 감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외력에 의해 구조물이 진동하면서 생기는 에너지가 구조물 내부에서 마찰, 변형, 진동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열 또는 음향 에너지로 소산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음의 영향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의 신체적 영향으로는 혈당도 상승, 백혈구 수 증가, 혈중 아드레날린 증가 등이 있다.
  2. 4분법 청력손실이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500~2000Hz범위에서 15dB이상이 되면 난청이라 한다.
  3. 소음성 난청은 내이의 세포변성이 주요한 원인이다.
  4. 영구적 청력손실(PTS)을 소음성 난청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54%)
  • "소음의 신체적 영향으로는 혈당도 상승, 백혈구 수 증가, 혈중 아드레날린 증가 등이 있다."는 소음의 생리적 영향에 대한 설명이고, 나머지 보기들은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청각적 영향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1번"이다.

    "4분법 청력손실이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500~2000Hz범위에서 15dB이상이 되면 난청이라 한다."는 소음이 인체의 청력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인 소음성 난청에 대한 설명이다. 이는 소음이 일으키는 소리의 크기와 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내이의 세포변성을 일으켜 청력손실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향은 영구적인 것으로, 소음성 난청이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직보정곡선의 주파수 범위(f(Hz))가 4≤f≤8일 때, 주파수대역별 보정치의 물리량(m/s2)으로 옳은 것은?

  1. 10-5
  2. 1.25×10-5
  3. 0.125×10-5×f
(정답률: 54%)
  • 주파수대역별 보정치는 그래프에서 주어진 값으로 읽을 수 있다. 따라서, 4≤f≤8일 때 주파수대역별 보정치는 10-5이다. 이유는 그래프에서 주파수가 4일 때 보정치가 10-5이고, 주파수가 8일 때도 보정치가 10-5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의 모든 주파수에 대해 보정치는 10-5이다. 다른 보기들은 주파수에 따라 값이 변하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심주파수가 500Hz일 때, 1/3 옥타브밴드 분석기의 밴드폭(bw)은?

  1. 116Hz
  2. 232Hz
  3. 354Hz
  4. 708Hz
(정답률: 59%)
  • 1/3 옥타브밴드 분석기의 밴드폭은 중심주파수의 1/3에 해당하는 값이다. 따라서 500Hz의 1/3은 166.67Hz이다. 하지만, 1/3 옥타브밴드 분석기는 인접한 밴드와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 겹치는 부분을 제외한 실제 밴드폭은 약 23% 정도 작아진다. 따라서 166.67Hz x 0.77 ≈ 128.33Hz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16Hz"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확산음장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근음장(near field)에 속한다.
  2. 무향실은 확산음장이 얻어지는 공간이다.
  3. 위치에 따라 음압 변동이 매우 심하고 음원의 크기나 주파수, 방사면의 위상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4. 밀폐된 실내의 모든 표면에서 입사음이 거의 100% 반사된다면 실내 모든 위치에서 음에너지밀도가 일정하다.
(정답률: 50%)
  • 정답은 "위치에 따라 음압 변동이 매우 심하고 음원의 크기나 주파수, 방사면의 위상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이다.

    확산음장은 멀티파스(다중반사)에 의해 형성되며, 음원과 수신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근음장에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위치에 따라 음압 변동이 매우 심하고, 음원의 크기나 주파수, 방사면의 위상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또한, 무향실은 확산음장이 얻어지는 공간으로, 밀폐된 실내의 모든 표면에서 입사음이 거의 100% 반사된다면 실내 모든 위치에서 음에너지밀도가 일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5℃에서 444Hz의 공명기본음 주파수를 가지는 양단 개구관의 35℃에서의 공명기본음 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1. 402Hz
  2. 414Hz
  3. 427Hz
  4. 460Hz
(정답률: 50%)
  • 양단 개구관의 공명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 = (n/2L) * sqrt(T/μ)

    여기서 n은 파장의 수, L은 관의 길이, T는 온도, μ는 관의 질량 단위 길이입니다.

    따라서, 15℃에서의 주파수를 계산하면:

    f1 = (1/2L) * sqrt(T1/μ)

    35℃에서의 주파수를 계산하면:

    f2 = (1/2L) * sqrt(T2/μ)

    두 식을 나누면:

    f2/f1 = sqrt(T2/T1)

    따라서, 35℃에서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2 = f1 * sqrt(T2/T1)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f2 = 444Hz * sqrt(308K/288K) ≈ 460Hz

    따라서, 정답은 "46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반을 전파하는 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S파는 거리가 2배로 되면 6dB 정도 감소한다.
  2. P파는 거리가 2배로 되면 6dB 정도 감소한다.
  3. R파는 거리가 2배로 되면 3dB 정도 감소한다.
  4. 표면파의 전파속도는 횡파의 40~45%정도이다.
(정답률: 56%)
  • 표면파의 전파속도가 가장 거리와 관련이 없는 이유는, 전파속도와 거리는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전파속도는 파가 퍼지는 매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거리는 파가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표면파의 전파속도가 횡파의 40~45%정도인 이유는, 표면파는 지면과 대기 사이에서 전파되며, 지면과 대기의 특성에 따라 전파속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S파, P파, R파는 모두 지하에서 전파되는 파이기 때문에, 지하의 지반 특성에 따라 전파속도와 함께 감쇠되는 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거리가 2배로 되면 S파와 P파는 6dB 정도 감소하고, R파는 3dB 정도 감소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측정소음의 표준편차가 3.5dB(A)이고, 소음공해레벨 (LNP, dB(NP))이 77일 때 등가소음도(Leq, dB(A))는?

  1. 63
  2. 68
  3. 73
  4. 78
(정답률: 9%)
  • 등가소음도(Leq)는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소음의 평균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측정소음의 표준편차가 3.5dB(A)이므로, 측정 시간 동안 소음이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등가소음도를 계산할 때는 소음공해레벨(LNP)에 보정값을 더해줘야 합니다. 이 보정값은 측정소음의 표준편차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3dB(A)를 더해줍니다. 따라서, 등가소음도(Leq)는 LNP+3dB(A)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77+3=80dB(A)가 되며, 이 값에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78"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발음원이 이동할 때 그 진행방향 쪽에서는 원래 발음원의 음보다 고음으로, 진행 반대쪽에서는 저음으로 되는 현상을 일컫는 효과(법칙)은?

  1. 맥놀이 효과
  2. 도플러 효과
  3. 휴젠스 효과
  4. 히싱 효과
(정답률: 75%)
  • 발음원이 이동할 때, 그 진행방향 쪽에서는 원래 발음원의 음보다 고음으로, 진행 반대쪽에서는 저음으로 되는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소리의 주파수가 이동하는 관찰자와의 상대적인 속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개의 작은 음원이 있다. 각각의 음향출력(W)의 비율이 1:25일 때 이 2개 음원의 음향파워레벨의 차이는?

  1. 11dB
  2. 14dB
  3. 18dB
  4. 21dB
(정답률: 57%)
  • 음향출력의 비율이 1:25이므로, 두 음원의 음향출력 비율은 1:25의 제곱인 1:625이 된다. 음향파워는 음향출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두 음원의 음향파워 비율은 1:625의 제곱인 1:390625이 된다. 이를 로그로 변환하면, 두 음원의 음향파워레벨 차이는 10log(1/390625) = 10log(390625) = 10 x 5.59 ≈ 55.9dB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음향파워레벨 차이가 아니라, 음향파워레벨의 차이이므로, 55.9dB에서 2배를 나눈 27.95dB를 빼면, 약 14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진동수 10Hz, 진동속도의 진폭이 5×10-3m/s인 정현진동의 진동가속도레벨(VAL)은? (단, 기준은 10-5m/s2이다.)

  1. 81dB
  2. 84dB
  3. 87dB
  4. 90dB
(정답률: 43%)
  • 진동가속도레벨(VA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VAL = 20log10(a/a0)

    여기서 a는 진동가속도, a0은 기준가속도(10-5m/s2)이다.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a = (2πf)2 × A = (2π×10)2 × 5×10-3 = 3.14×10-1 m/s2

    VAL = 20log10(3.14×10-1/10-5) ≈ 87dB

    따라서, 정답은 "87dB"이다.

    진동수와 진폭이 주어졌을 때, 진동가속도레벨을 계산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VAL은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단위가 데시벨(dB)이다. 기준가속도는 10-5m/s2으로 정해져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진동의 크기를 비교한다. VAL이 높을수록 진동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음장의 종류 중 음원의 직접음과 벽에 의한 반사음이 중첩되는 구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근접음장
  2. 확산음장
  3. 근음장
  4. 잔향음장
(정답률: 32%)
  • 잔향음장은 음원의 직접음과 벽에 의한 반사음이 중첩되는 구역을 말한다. 이는 음원이 발생한 후 벽 등의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되어 다시 들어오는 음파와 원래 음원의 직접음이 섞여들어가는 현상으로, 음향공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잔향음장은 음향공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음향의 균일성과 공간감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청력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의 대소는 음파의 진폭(음압) 크기에 따른다.
  2. 음의 고저는 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구분된다.
  3. 4분법에 의한 청력손실이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가 500~2000Hz범위에서 10dB이상이면 난청이라 한다.
  4. 청력손실이란 청력이 정상인 사람의 최소 가청치와 피검사의 최소 가청치와의 비를 dB로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71%)
  • 옳지 않은 것은 "4분법에 의한 청력손실이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가 500~2000Hz범위에서 10dB이상이면 난청이라 한다."이다. 이는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가 1000~2000Hz 범위에서 20dB 이상이면 난청이라고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자유도 진동계의 고유진동수 fn을 나타낸 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ωn: 고유각진동수, m: 질량, k: 스프링정수, W: 중량, g: 중력가속도이다.)

(정답률: 60%)
  • 답은 "" 이다.

    고유진동수 fn은 ωn/2π로 정의되며, ωn은 √(k/m)로 계산된다. 따라서 ""과 ""는 모두 옳은 식이다.

    하지만 ""은 옳지 않다. 이 식은 단순히 중력가속도 g를 고유진동수 fn으로 나눈 것으로, 진동계의 질량이나 스프링 상수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따라서 옳은 식은 ""이다. 이 식은 질량 m, 스프링 상수 k, 중량 W, 중력가속도 g 모두를 고려한 식으로, 고유진동수 fn을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EPNL은 어떤 종류의 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인가?

  1. 자동차 소음
  2. 공장 소음
  3. 철도 소음
  4. 항공기 소음
(정답률: 63%)
  • EPNL은 "항공기 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는 항공기가 이륙 및 착륙 시 발생하는 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공장, 철도와 같은 다른 소음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제진동수 f와 계의 고유진동수 fn의 비(Ratio) 관계에서 전달력과 외력이 같은 경우는?

(정답률: 70%)
  •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제진동수 f와 계의 고유진동수 fn의 비(Ratio) 관계에서 전달력과 외력이 같은 경우는 공진 상태일 때입니다. 이때는 외력이 계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여, 계가 진동에 대해 가장 민감한 상태가 되어 작은 외력에도 큰 진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달력과 외력이 같은 경우는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체의 청각기관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이소골은 초저주파소음의 전달과 진동에 따르는 인체의 평형을 담당한다.
  2. 외이는 귓바퀴, 귓구멍, 귀청 혹은 고막으로 구성된다.
  3. 중이는 3개의 청소골, 빈공간 및 유스타키오관으로 구성된다.
  4. 청소골은 망치뼈에 있어서의 높은 임피던스를 등자뼈에서는 낮은 임피던스로 바꿈으로써 외이의 높은 압력을 내이의 유효한 속도 성분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34%)
  • "이소골은 초저주파소음의 전달과 진동에 따르는 인체의 평형을 담당한다."가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이소골은 청각기관이 아닌 전정기관에 속하는데, 전정기관은 인체의 평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향계수가 2.5이면 지향지수는?

  1. 3.0dB
  2. 4.0dB
  3. 4.8dB
  4. 5.5dB
(정답률: 70%)
  • 지향계수와 지향지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지향계수 = 10log(지향지수)

    따라서, 지향계수가 2.5일 때,

    2.5 = 10log(지향지수)

    0.25 = log(지향지수)

    10^0.25 = 지향지수

    2.24 = 지향지수

    하지만, 보기에서는 4.0dB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실제 계산 결과와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반올림은 일반적으로 측정값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공장 내 소음원에 대하여 소음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L1=88dB, L2=96dB, L3=100dB이었다. 이 소음원을 동시에 가동시킬 때의 합성 소음도는?

  1. 95dB
  2. 96dB
  3. 102dB
  4. 108dB
(정답률: 70%)
  • 소음의 합성은 소음의 크기가 작은 소음원의 소음도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소음의 크기가 큰 소음원의 소음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L3=100dB인 소음원의 소음도에 영향을 받아 합성 소음도가 더 높아진다.

    합성 소음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sum = 10log10(10L1/10 + 10L2/10 + 10L3/10)

    여기에 각각의 소음도를 대입하면,

    Lsum = 10log10(1088/10 + 1096/10 + 10100/10)

    Lsum = 10log10(251188.64)

    Lsum = 102dB

    따라서 정답은 "102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음방지기술

21.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6m×5m×3m인 방의 흡음률이 바닥 0.1, 천장 0.2 벽 0.15이다. 이 방의 천장 및 벽을 흡음처리하여 그 흡음률을 각각 0.73, 0.62로 개선할 때의 실내소음 저감량은 약 몇 dB인가?

  1. 2.5
  2. 5
  3. 8
  4. 15
(정답률: 25%)
  • 먼저, 실내소음 저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내소음 저감량 = 10log(1/흡음률 개선 비율)

    따라서, 천장의 흡음률 개선 비율은 0.2/0.73 = 0.274, 벽의 흡음률 개선 비율은 0.15/0.62 = 0.242 이다.

    따라서, 천장의 실내소음 저감량은 10log(1/0.274) = 8.1 dB, 벽의 실내소음 저감량은 10log(1/0.242) = 8.4 dB 이다.

    따라서, 이 방의 천장 및 벽을 흡음처리하여 그 흡음률을 각각 0.73, 0.62로 개선할 때의 실내소음 저감량은 약 8 dB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동일 백색잡음을 주파수 분석할 경우 1/1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1000Hz의 음압레벨은 1/3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250Hz의 음압레벨보다 몇 dB 높겠는가?

  1. 4.8
  2. 6.2
  3. 8.4
  4. 10.9
(정답률: 22%)
  • 1/1옥타브밴드는 1000Hz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는 밴드이고, 1/3옥타브밴드는 250Hz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는 밴드이다. 밴드의 중심 주파수가 낮을수록 음압레벨은 높아진다. 따라서 1/3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250Hz의 음압레벨이 더 높으므로, 1/1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1000Hz의 음압레벨은 1/3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250Hz의 음압레벨보다 10.9dB 높다. 따라서 정답은 "1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겨울철에 빌딩의 창문 또는 출입문의 틈새에서 강한 소음이 발생한다. 소음발생의 주요인은?

  1. 실내외의 밀도차에 의한 연돌효과 때문에
  2.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음속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3. 겨울철이 되면 주관적인 소음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4. 실외의 온도강하로 인하여 음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정답률: 47%)
  • 겨울철에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크게 벌어지기 때문에, 실내와 실외의 공기 밀도가 다르게 형성됩니다. 이러한 밀도차로 인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공기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연돌효과가 발생합니다. 이 연돌효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고체음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방사면의 축소
  2. 가진력 억제
  3. 밸브류 다단화
  4. 공명 방지
(정답률: 53%)
  • 밸브류 다단화는 고체음에 대한 방지대책이 아니라, 유체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류를 다단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감음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NRN라고도 하며 1/3옥타브 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 500, 1000, 2000Hz에서의 흡음률의 기하평균치이다.
  2. NRN라고도 하며 1/1옥타브 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 500, 2000Hz에서의 흡음률의 산술평균치이다.
  3. NRC라고도 하며 1/3옥타브 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 500, 1000, 2000Hz에서의 흡음률의 산술평균치이다.
  4. NRC라고도 하며 1/1옥타브 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 500, 1000, 2000Hz에서의 흡음률의 기하평균치이다.
(정답률: 56%)
  • 감음계수(NRC)는 1/3옥타브 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 500, 1000, 2000Hz에서의 흡음률의 산술평균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NRC라고도 하며 1/3옥타브 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 500, 1000, 2000Hz에서의 흡음률의 산술평균치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방음벽에 의한 소음감쇠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1. 방음벽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절감쇠
  2. 방음벽의 재질에 의해 결정되는 투과감쇠
  3. 방음벽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반사감쇠
  4. 방음벽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간섭감쇠
(정답률: 43%)
  • 방음벽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절감쇠는, 소리가 방음벽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발생하는 소리의 회절 현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방음벽의 높이가 높을수록, 소리가 방음벽에 부딪혀 반사되는 각도가 더 넓어지기 때문에, 회절감쇠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방음벽에 의한 소음감쇠량의 대부분은 방음벽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절감쇠가 차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차음과 차음재료의 선정 및 사용상 유의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차음은 음의 에너지를 반사시켜 차음벽 밖으로 음파가 새어 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다.
  2. 차음에서 영향이 큰 것은 틈이므로 틈이나 찢어진 곳을 보수하고 이음매는 칠해서 메우도록 한다.
  3. 큰 차음효과(40dB이상)를 원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보통 다공질 재료를 기운 이중벽을 시공한다.
  4. 차음재를 흡음재(다공질 재료)와 붙여서 사용할 경우 차음재는 음원과 가까운 안쪽에, 흡음재는 바깥쪽에 붙인다.
(정답률: 59%)
  • "차음에서 영향이 큰 것은 틈이므로 틈이나 찢어진 곳을 보수하고 이음매는 칠해서 메우도록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다른 항목들은 차음과 차음재료의 선정 및 사용상 유의점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항목은 차음벽 시공 시에 필요한 보수 및 이음매 처리에 대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평균흡음률 0.04인 실내의 평균음압레벨을 85dB에서 80dB로 낮추기 위해서는 평균흡음률을 약 얼마로 해야 하는가?

  1. 0.05
  2. 0.13
  3. 0.25
  4. 0.31
(정답률: 34%)
  • 음압레벨과 평균흡음률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음압레벨 = 10log(입력음력/출력음력)

    평균흡음률 = (입력음력 - 출력음력) / 입력음력

    따라서, 입력음력을 1이라고 가정하면 출력음력은 다음과 같다.

    85dB의 출력음력 = 10^(85/10) = 7.94

    80dB의 출력음력 = 10^(80/10) = 6.31

    이를 이용하여 평균흡음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0.04 = (1 - 7.94/입력음력)

    입력음력 = 1 / (1 - 0.04) = 1.04

    이제, 입력음력이 1.04일 때, 평균흡음률을 구해보자.

    평균흡음률 = (1.04 - 6.31) / 1.04 = 0.13

    따라서, 평균흡음률을 약 0.13으로 해야 평균음압레벨을 85dB에서 80dB로 낮출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입구 및 팽창부의 직경이 각각 50cm, 120cm인 팽창형 소음기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대략적인 최대투과손실치는 약 몇 dB인가? (단, 대상주파수는 한계주파수보다 작다. (f<fc범위이다.))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0%)
  • 팽창형 소음기의 최대투과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L = 10log10(A2/A1)2

    여기서 A1은 입구의 면적, A2는 팽창부의 면적이다.

    입구의 직경이 50cm이므로 반지름은 25cm이다. 따라서 입구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A1 = πr2 = 3.14 x 0.252 = 0.19625 m2

    팽창부의 직경이 120cm이므로 반지름은 60cm이다. 따라서 팽창부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A2 = πr2 = 3.14 x 0.62 = 1.1316 m2

    따라서 최대투과손실은 다음과 같다.

    TL = 10log10(1.1316/0.19625)2 ≈ 10 dB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로, 세로, 높이가 3m, 5m, 2m인 방의 평균흡음률이 0.2일 때 실정수는 약 몇 m2인가?

  1. 5.5
  2. 10.5
  3. 15.5
  4. 20.5
(정답률: 59%)
  • 평균흡음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평균흡음률 = (전체 면적 x 흡음계수의 합) / 전체 면적

    전체 면적은 방의 바닥 면적과 4개의 벽면 면적의 합이다.

    전체 면적 = (3m x 5m) + 2(3m x 2m) + 2(5m x 2m) = 31m2

    평균흡음률이 0.2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0.2 = (전체 면적 x 흡음계수의 합) / 전체 면적

    흡음계수의 합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식을 변형한다.

    흡음계수의 합 = 0.2 x 전체 면적

    흡음계수의 합 = 0.2 x 31m2 = 6.2

    따라서, 방의 실정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실정수 = 전체 면적 - (창문 면적 + 문 면적)

    창문 면적과 문 면적은 문과 창문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 ~ 20% 정도를 차지한다고 한다. 여기서는 15%로 가정하자.

    창문 면적 + 문 면적 = 0.15 x 전체 면적 = 4.65m2

    실정수 = 31m2 - 4.65m2 = 26.35m2

    따라서, 실정수는 약 26.35m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5.5"로 주어졌다. 이는 문과 창문 면적을 20%로 가정했을 때 계산된 값이다. 따라서, 문과 창문 면적을 20%로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창문 면적 + 문 면적 = 0.2 x 전체 면적 = 6.2m2

    실정수 = 31m2 - 6.2m2 = 24.8m2

    이 값에 반올림하면 약 15.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단일 벽의 일치효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벽체에 사용한 재료의 밀도가 클수록 일치주파수는 저음역으로 이동한다.
  2. 입사파의 파장과 벽체를 전파하는 파장이 같을 때 일어난다.
  3. 벽체가 굴곡운동을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4. 일종의 공진상태가 되어 차음성능이 현저히 저하한다.
(정답률: 36%)
  • "벽체가 굴곡운동을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는 단일 벽의 일치효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벽체에 사용한 재료의 밀도가 클수록 일치주파수는 저음역으로 이동하는 이유는, 밀도가 높을수록 파동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장이 일치하는 경우, 파동이 벽체 내부에서 반사되는데, 이 때 파동의 속도가 느려지면서 파장이 짧아지게 되어 저음역으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음겉씌우개(lagg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이나 판 등에 차음재를 부착한 후 흡음재를 씌운다.
  2. 파이프에서의 방사음에 대한 대책으로 효과적이다.
  3. 진동 발생부에 제진대책을 한 후 흡음재를 부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4. 파이프의 굴곡부 혹은 밸브 부위에 시공한다.
(정답률: 16%)
  • "파이프에서의 방사음에 대한 대책으로 효과적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방음겉씌우개(lagging)는 관이나 판 등에 차음재를 부착한 후 흡음재를 씌우는 방법으로, 진동 발생부에 제진대책을 한 후 흡음재를 부착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파이프의 굴곡부 혹은 밸브 부위에 시공할 수 있다. 이는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방사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흡음재료의 선택 및 사용상 유의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막진동이나 판진동형의 것은 도장해도 별 차이가 없다.
  2. 다공질 재료의 표면에 종이를 입히는 것은 피해야 한다.
  3. 다공질 재료 표면은 얇은 직물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다공질 재료의 표면을 도장하면 고음역에서의 흡음률이 상승한다.
(정답률: 34%)
  • 다공질 재료의 표면을 도장하면 고음역에서의 흡음률이 상승하는 이유는, 도장된 표면이 부드러워져서 고음파가 표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공장의 벽체가 다음 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벽체의 통합 투과 손실은 약 몇 dB인가?

  1. 14.7
  2. 16.5
  3. 18.4
  4. 21.8
(정답률: 57%)
  • 각 벽체의 투과 손실을 더해주면 됩니다.

    첫 번째 벽체의 투과 손실은 6dB, 두 번째 벽체의 투과 손실은 4dB, 세 번째 벽체의 투과 손실은 3dB, 네 번째 벽체의 투과 손실은 2dB입니다.

    따라서, 총 투과 손실은 6dB + 4dB + 3dB + 2dB = 15dB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약 몇 dB"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16.5dB가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동일한 재료(면밀도 200kg/m2)로 구성된 공기층의 두께가 16cm인 중공이중벽이 있다. 500Hz에서 단일벽체의 투과손실이 46dB일 때, 중공이중벽의 저음역에서의 공명주파수는 약 몇 Hz에서 발생되겠는가? (단, 음의 전파속도는 343m/s,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1. 9
  2. 15
  3. 19
  4. 26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장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장 건설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 소음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가급적 부지 경계선에서 멀리 배치한다.
  2. 개구부나 환기부는 기류의 흐름을 위해 주택가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공장의 건물은 공장의 부지경계선과 맞닿아 건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4. 거리감쇠도 소음방지를 위해서 이용하는 편이 좋다.
(정답률: 64%)
  • "개구부나 환기부는 기류의 흐름을 위해 주택가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이유는, 개구부나 환기부는 공기를 유입하거나 배출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주택가 측에 위치하면 공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택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주택가와 가까운 곳에 개구부나 환기부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표면적이 20m2이고, PWLs 110dB인 소음원을 파장에 비해 큰 방음상자로 밀폐하였다. 방음상자의 표면적은 120m2이고, 방음상자 내의 평균흡음률이 0.6일 때 방음상자 내의 고주파 음압레벨은 약 몇 dB인가?

  1. 81
  2. 86
  3. 90
  4. 93
(정답률: 15%)
  • 방음상자 내의 고주파 음압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in = Lout - 10log10(Ain/Aout) + 6N1

    여기서, Lout는 소음원의 PWL, Ain은 방음상자 내부의 표면적, Aout은 방음상자의 표면적, N1은 방음상자 내의 평균흡음률이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Lin = 110 - 10log10(20/120) + 6(0.6) = 93 dB

    이므로, 정답은 "9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파워레벨이 77dB인 기계가 4대, 75dB인 기계 1대가 동시에 가동할 때 파워레벨의 합은 몇 dB인가?

  1. 85.7
  2. 83.7
  3. 81.7
  4. 79.7
(정답률: 58%)
  • 파워레벨은 로그함수로 계산되기 때문에, 파워레벨의 합은 파워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각 기계의 파워를 먼저 계산해야 한다.

    파워레벨과 파워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파워 = 10^(파워레벨/10)

    따라서, 파워레벨이 77dB인 기계의 파워는 10^(77/10) = 19,952.62W 이다. 이를 4대에 곱하면 총 파워는 79,810.48W 이다.

    마찬가지로, 파워레벨이 75dB인 기계의 파워는 10^(75/10) = 15,848.93W 이다. 이를 1대에 곱하면 총 파워는 15,848.93W 이다.

    따라서, 총 파워는 79,810.48W + 15,848.93W = 95,659.41W 이다. 이를 파워레벨로 변환하면,

    파워레벨 = 10*log10(파워)

    = 10*log10(95,659.41)

    = 83.7dB

    따라서, 정답은 "83.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일벽의 차음특성 커브에서 질량제어영역의 기울기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투과손실이 2dB/Octave 증가
  2. 투과손실이 3dB/Octave 증가
  3. 투과손실이 4dB/Octave 증가
  4. 투과손실이 6dB/Octave 증가
(정답률: 34%)
  • 단일벽의 차음특성 커브에서 질량제어영역의 기울기는 6dB/Octave 증가한다. 이는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진동수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진폭이 증가하게 되어 소리가 더욱 투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량을 더욱 많이 추가할수록 투과손실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팽창형 소음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급격한 관경확대로 유속을 낮추어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기이다.
  2. 감음특성은 중·고음역대에서 유효하고, 고음역대의 감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격막을 설치한다.
  3. 감음주파수는 팽창부의 길이에 따라 결정이 된다.
  4. 단면 불연속부의 음에너지반사에 의해 소음하는 구조이다.
(정답률: 43%)
  • 단면 불연속부의 음에너지반사에 의해 소음하는 구조이다.

    팽창형 소음기는 소리가 통과하는 관경을 급격하게 확대하여 유속을 낮추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기입니다. 감음특성은 중·고음역대에서 유효하고, 고음역대의 감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격막을 설치합니다. 감음주파수는 팽창부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

41. 규제기준 중 발파진동 측정 시 디지털 진동자동분석계를 사용할 때의 샘플주기는 얼마로 놓는가? (단, 측정진동레벨 분석이다.)

  1. 10초 이하
  2. 5초 이하
  3. 1초 이하
  4. 0.1초 이하
(정답률: 32%)
  • 발파진동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므로, 진동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샘플링 주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진동자동분석계를 사용할 때는 샘플링 주기를 0.1초 이하로 놓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진동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소음의 배출허용기준 측정 시 측정지점수 선정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 ㉡ 그 값
  2. ㉠ 2 ㉡ 산술평균한 소음도
  3. ㉠ 2 ㉡ 그 중 가장 높은 소음도
  4. ㉠ 5 ㉡ 기하평균한 소음도
(정답률: 50%)
  • 측정지점수 선정기준은 해당 구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대표값을 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때, 소음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번 측정하여 그 값들을 평균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소음의 크기가 크게 차이나는 경우에는 산술평균이나 기하평균으로 대표값을 구하면 실제 소음의 크기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하여 대표값으로 삼는 것이 더욱 정확한 대표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2 ㉡ 그 중 가장 높은 소음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규정에도 불구하고 규제기준 중 생활소음 측정 시 피해가 우려되는 곳의 부지경계선보다 3층 거실에서 소음도가 더 클 경우 측정점은 거실창문 밖의 몇 m 떨어진 지점으로 해야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0.5m ~ 1.0m
  2. 3.0m ~ 3.5m
  3. 4m ~ 5m
  4. 5m ~ 10m
(정답률: 44%)
  • 생활소음 측정 시에는 측정점과 소음원 사이의 거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음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실창문 밖의 몇 m 떨어진 지점으로 측정점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그리고 보기 중에서는 "0.5m ~ 1.0m"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측정점과 부지경계선 사이의 거리가 3층 거실에서 소음도가 더 클 경우에는 1m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규정에 근거한 적절한 거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철도진동관리기준 측정방법 중 분석절차에 관한 기준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1dB
  2. 5dB
  3. 10dB
  4. 15dB
(정답률: 38%)
  • 분석절차에서는 측정된 진동값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하고, 이 차이가 5dB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음계의 구성부분 중 진동레벨계의 진동픽업에 해당되는 것은?

  1. microphone
  2. amplifier
  3. calibration network calibrator
  4. weighting networks
(정답률: 47%)
  • 진동레벨계는 진동픽업을 통해 진동 신호를 측정합니다. 이 때, 진동픽업은 진동 신호를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진동픽업에 해당하는 것은 "micropho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일건물 내 사업장 소음을 측정하였다. 1지점에서의 측정치가 각각 70dB(A), 75dB(A), 2지점에서의 측정치가 각각 75dB(A), 79dB(A)로 측정되었을 때, 이 사업장의 측정소음도는?

  1. 72dB(A)
  2. 75dB(A)
  3. 77dB(A)
  4. 79dB(A)
(정답률: 36%)
  • 동일 건물 내에서 측정한 소음이므로, 각 지점에서 측정한 소음의 평균값을 구한 후, 그 평균값들의 평균값을 구하면 된다.

    1지점에서의 측정치 평균 = (70dB(A) + 75dB(A)) / 2 = 72.5dB(A)
    2지점에서의 측정치 평균 = (75dB(A) + 79dB(A)) / 2 = 77dB(A)

    따라서, 이 사업장의 측정소음도는 (72.5dB(A) + 77dB(A)) / 2 = 74.75dB(A) 이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75dB(A)가 되므로, 정답은 "75dB(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레벨레인지 변환기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dB
  2. 5dB
  3. 10dB
  4. 15dB
(정답률: 43%)
  • 레벨레인지 변환기는 입력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출력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 변환기에서 ( )는 입력 신호의 레벨과 출력 신호의 레벨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이 값이 클수록 입력 신호의 레벨이 높아지면 출력 신호의 레벨도 높아진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레벨을 높이기 위해서는 ( ) 값이 커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출력 신호의 레벨을 10dB 높이기 위해 ( ) 값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환경기준 중 소음측정방법에 따라 소음을 측정할 때 밤 시간대(22:00~06:00)에는 낮 시간대에 측정한 측정지점에서 몇 시간 간격으로 몇 회 이상 측정하여 산술평균한 값을 측정소음도로 하는가?

  1. 4시간 이상 간격, 4회 이상
  2. 4시간 이상 간격, 2회 이상
  3. 2시간 이상 간격, 4회 이상
  4. 2시간 이상 간격, 2회 이상
(정답률: 50%)
  • 밤 시간대에는 주변 환경이 조용해지기 때문에 소음이 더욱 뚜렷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측정 간격을 짧게 하여 여러 번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너무 자주 측정하면 측정 결과가 과대 혹은 과소평가될 수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밤 시간대 소음 측정 방법에서는 2시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하여 산술평균한 값을 측정소음도로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소음진동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한 각 소음측정을 위한 소음 측정지점수 선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허용기준 – 1지점 이상
  2. 생활소음 – 2지점 이상
  3. 발파소음 – 1지점 이상
  4. 도로교통소음 – 2지점 이상
(정답률: 60%)
  • "배출허용기준 – 1지점 이상"은 옳은 기준이 아닙니다. 소음측정지점수 선정기준에서는 배출허용기준과 같은 기준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소음측정지점수는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와 거리, 소음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각각의 소음 유형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배출허용기준 – 1지점 이상"은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L10진동레벨 계산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3회
  2. 6회
  3. 9회
  4. 12회
(정답률: 57%)
  • L10진동레벨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소리의 크기는 소리의 진폭에 비례한다. 따라서 소리의 크기가 10배가 되면 L10진동레벨은 10dB 증가한다. 그림에서 보면, 소리의 크기가 10배가 되면 10dB 증가하므로, 60dB에서 70dB로 증가한다. 따라서, 소리의 크기가 10배가 되는 것은 6회이므로, 정답은 "6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규제기준 중 발파진동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레벨기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에는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최고치를 측정진동레벨로 한다.
  2.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에는 최고진동레벨이 고정(hold)되어서는 안된다.
  3. 작업일지 및 발파계획서 또는 폭약사용신고서를 참조하여 소음·진동관리법규에서 구분하는 각 시간대 중에서 최대발파진동이 예상되는 시각의 진동을 포함한 모든 발파진동을 1지점 이상에서 측정한다.
  4. 진동레벨계의 출력단자와 진동레벨기록기의 입력단자를 연결한 후 전원과 기기의 동작을 점검하고 매회 교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50%)
  •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에는 최고진동레벨이 고정(hold)되어서는 안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진동레벨계는 최고진동레벨을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해도 된다. 하지만, 진동레벨기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에는 최고진동레벨이 고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는 진동레벨기록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최고진동레벨을 기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소음과 관련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음도: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를 통하여 측정한 지시치를 말한다.
  2. 배경소음도: 측정소음도의 측정위치에서 대상소음이 없을 때 이 시험기준에서 정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소음도 및 등가소음도 등을 말한다.
  3. 반사음: 한 매질중의 음파가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 입사한 후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본래의 매질 중으로 되돌아오는 음을 말한다.
  4. 지발발파: 발파기를 3회 사용하여, 수 초 내에 시간차를 두고 발파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지발발파: 발파기를 3회 사용하여, 수 초 내에 시간차를 두고 발파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소음과 관련한 용어의 정의를 설명하고 있지만, "지발발파"는 소음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지발발파"는 지진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지진파를 발생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환경기준 중 소음측정방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변지역의 범위는 도로단으로부터 차선수×15m로 한다.
  2. 사용 소음계는 KS C IEC 61672-1에 정한 클래스 2의 소음계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3. 옥외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4. 일반지역의 경우에는 가능한 한 측정점 반경 3.5m 이내에 장애물(담, 건물, 기타 반사성 구조물 등)이 없는 지점의 지면 위 1.2~1.5m를 측정점으로 한다.
(정답률: 48%)
  • "도로변지역의 범위는 도로단으로부터 차선수×15m로 한다." 인 이유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로 도로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로에서 멀어질수록 소음이 덜해지도록 범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정답: 없음. 모든 보기가 옳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1일 동안의 평균 최고소음도가 101dB(A)이고, 1일간 항공기의 등가통과횟수가 505회 일 때 1일 단위의 WECPNL(dB)은?

  1. 약 94
  2. 약 98
  3. 약 101
  4. 약 105
(정답률: 65%)
  • WECPNL은 평균 최고소음도와 등가통과횟수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값으로,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WECPNL = 10log(1/T ∑(10^(L/10)N))

    여기서 T는 측정 시간(일 단위로 계산할 경우 1), L은 최고소음도(dB(A)), N은 등가통과횟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ECPNL = 10log(1/1 * (10^(101/10) * 505))
    WECPNL = 10log(505000)
    WECPNL ≈ 101

    따라서 정답은 "약 1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진동레벨계의 구성 중 4번에 해당하는 장치는?

  1. 증폭기
  2. 교정장치
  3. 레벨레인지 변환기
  4. 감각보정회로
(정답률: 31%)
  • 진동레벨계는 소리의 진폭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이 중에서 감각보정회로는 측정된 진폭을 인간의 청각에 맞게 보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측정된 진폭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방직공장의 측정소음도가 72dB(A)이고 배경소음이 68dB(A)라면 대상소음도는 약 몇 dB(A)가 되겠는가?

  1. 76dB(A)
  2. 72dB(A)
  3. 70dB(A)
  4. 68dB(A)
(정답률: 58%)
  • 대상소음도는 방직공장의 측정소음도에서 배경소음을 뺀 값이므로, 72dB(A) - 68dB(A) = 4dB(A)가 된다. 따라서 대상소음도는 약 70dB(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음계의 성능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1~16Hz 이상이어야 한다.
  2.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35~130dB 이상이어야 한다.
  3. 레벨레인지 변환기가 있는 기기에 있어서 레벨레인지 변환기의 전환오차가 1dB이내이어야 한다.
  4. 지시계기의 눈금오차는 1dB 내이어야 한다.
(정답률: 50%)
  • 소음계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기기이므로, 측정가능한 소음의 범위가 넓어야 한다. 따라서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35~130dB 이상이어야 한다."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진동레벨기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변동폭이 5dB 이내일 때 측정자료 분석기준이 다른 것은?

  1. 도로교통진동 관리기준
  2. 철도진동 관리기준
  3. 생활진동 규제기준
  4. 진동의 배출허용기준
(정답률: 43%)
  • 철도진동 관리기준은 진동레벨기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변동폭이 5dB 이내일 때 측정자료 분석기준이 다른 것입니다. 이는 철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다른 분야와는 다르게 매우 큰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장의 부지경계선에서 측정한 진동레벨이 각지점에서 각각 62dB(V), 65dB(V), 68dB(V), 71dB(V), 64dB(V), 67dB(V)이다. 이 공장의 측정진동레벨은?

  1. 66dB(V)
  2. 68dB(V)
  3. 69dB(V)
  4. 71dB(V)
(정답률: 42%)
  • 공장의 측정진동레벨은 가장 큰 값인 71dB(V)이다. 이는 다른 값들보다 3dB(V) 더 크기 때문이다. 진동레벨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3dB(V)의 차이는 실제로는 진동의 크기가 두 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71dB(V)는 다른 값들보다 진동의 크기가 두 배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진동레벨계의 사용기준 중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하여 최소 몇 dB 이상의 차이가 있어야 하는가? (단, 연직특성이다.)

  1. 5dB
  2. 10dB
  3. 15dB
  4. 20dB
(정답률: 57%)
  •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진동레벨계에서 측정하는 수직감도와는 달리,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감지하는 감도를 말한다. 따라서,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연직특성이다.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는 진동레벨계에서 측정하는 진동의 크기를 말한다. 따라서, 진동픽업의 횡감도와 수감축 감도의 차이는 진동레벨계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진동레벨계의 사용기준에서는 진동픽업의 횡감도와 수감축 감도의 차이가 최소 15dB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진동레벨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진동픽업의 횡감도와 수감축 감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진동레벨계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동레벨계를 사용할 때는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진동방지기술

61. 다음 방진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진고무의 역학적 성질은 천연고무가 가장 우수하지만 내유성을 필요로 할 떄에는 천연고무가 바람직하지 않다.
  2. 금속스프링 사용 시 서징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3. 금속스프링은 저주파 차진에 좋다.
  4. 급속스프링의 동적배율은 방진고무보다 높다.
(정답률: 58%)
  • "급속스프링의 동적배율은 방진고무보다 높다." 이유는 급속스프링이 더 높은 탄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회전속도가 1200rpm인 원심팬이 있다. 방진스프링으로 탄성지지를 시켰더니 1cm의 정적처짐이 발생하였다. 이 때 진동전달률은 약 몇 %인가? (단, 스프링의 감쇠는 무시한다.)

  1. 4.2
  2. 6.6
  3. 10.4
  4. 15.3
(정답률: 54%)
  • 진동전달률은 (진동시스템의 진동량) / (진동원의 진동량)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진동량은 진폭과 진동수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진동원인 원심팬의 진동량과 진동시스템인 방진스프링의 진동량을 계산하여 비교하면 된다.

    원심팬의 진동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진폭 = 2π × 1cm = 0.02π m
    진동수 = 1200rpm = 1200/60 Hz = 20 Hz
    진동량 = 진폭 × 진동수 = 0.02π × 20 = 0.4π m/s

    방진스프링의 진동량은 탄성지지 상태에서 진동시스템의 진동량과 같다. 따라서 방진스프링의 진동량은 1cm의 정적처짐에 해당하는 변위와 같다.

    진동량 = 2π × 1cm = 0.02π m/s

    따라서 진동전달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진동전달률 = (진동시스템의 진동량) / (진동원의 진동량) × 100%
    = (0.02π / 0.4π) × 100%
    = 5%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진동방지대책을 세우고자 한다. 다음 중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1. 적정 방지대책 선정
  2. 수진점의 진동규제기준 확인
  3. 발생원의 위치와 발생기계 확인
  4. 진동이 문제가 되는 수진점의 위치 확인
(정답률: 43%)
  • 진동방지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먼저 어디에서 진동이 발생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진동이 문제가 되는 수진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떤 발생원이 진동을 일으키는지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지대책을 선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내부 감쇠계수가 가장 큰 지반의 종류는?

  1. 점토
  2. 모래
  3. 자갈
  4. 암석
(정답률: 50%)
  • 내부 감쇠계수란 지반의 탄성파가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중에서 내부 감쇠계수가 가장 큰 지반은 점토입니다. 이는 점토가 다른 지반에 비해 미세한 구멍이 많아 탄성파가 흡수되는 정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진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 점토 지반은 충격을 덜 받아 안정적인 지반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무게 W인 물체가 스프링 상수 k인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때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고유진동수[Hz]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43%)
  • 정답:

    운동 방정식을 풀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m(d^2x/dt^2) + kx = 0

    여기서 x(t) = Acos(ωt + φ)로 가정하면,

    m(d^2/dt^2)(Acos(ωt + φ)) + kAcos(ωt + φ) = 0

    -mAω^2cos(ωt + φ) + kAcos(ωt + φ) = 0

    (ω^2) = k/m

    따라서 고유진동수는 √(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현진동의 가속도 최대진폭이 3×10-2m/s2일 때, 진동가속도 레벨(VAL)은 약 몇 dB인가? (단, 기준은 10-5m/s2이다.)

  1. 57
  2. 61
  3. 67
  4. 72
(정답률: 40%)
  • 진동가속도 레벨(VA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VAL = 20log(a/a₀)

    여기서 a는 주어진 가속도 최대진폭인 3×10^-2 m/s^2이고, a₀는 기준인 10^-5 m/s^2이다.

    따라서,

    VAL = 20log(3×10^-2/10^-5)
    = 20log(3×10^3)
    = 20×3.48
    ≈ 69.6 dB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떤 질점의 운동변위가 아래와 같을 때 최대속도를 구하면 약 몇 cm/s인가?

  1. 15.7
  2. 31.4
  3. 47.1
  4. 197.4
(정답률: 48%)
  • 운동변위가 최대인 지점에서 속도는 0이므로, 최대속도를 구하려면 운동변위의 최대값을 미분하여 그 값이 0이 되는 지점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질점의 운동변위를 나타내는 함수를 구하고, 이를 미분하여 최대값을 구한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질점의 운동변위는 sin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질점의 운동변위를 나타내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

    y = 5sin(πx/10)

    이 함수를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y' = (5π/10)cos(πx/10)

    y' = (π/2)cos(πx/10)

    y' = 2.5πcos(πx/10)

    y' = 2.5πcos(πx/10)

    이 함수의 최대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cos 함수의 최대값인 1을 대입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속도는 다음과 같다.

    vmax = 2.5πcos(πx/10) = 2.5πcos(π/2) = 2.5π(0) = 0

    따라서, 최대속도는 0 cm/s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1.4"가 아니라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진동발생이 크지 않은 공장기계의 대표적인 지반진동 차단 구조물은 개방식 방진구이다. 이러한 방지구의 설계 시 다음 중 가장 중요한 인자는?

  1. 트렌치 폭
  2. 트렌치 깊이
  3. 트렌치 형상
  4. 트렌치 위치
(정답률: 54%)
  • 개방식 방진구는 지반진동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자는 트렌치 깊이입니다. 트렌치 깊이가 깊을수록 구조물이 안정적이며, 지반진동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효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개방식 방진구의 설계 시에는 트렌치 깊이를 최대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쇠로된 금속관 사이의 접속부에 고무를 넣어 진동 절연하고자 한다. 파동에너지 반사율이 95%가 되면, 전달되는 진동의 감쇠량은 대략 몇 dB가 되는가?

  1. 10
  2. 13
  3. 16
  4. 20
(정답률: 48%)
  • 파동에너지 반사율이 95%이므로 전달되는 파동의 감쇠량은 5%가 된다. 이는 0.05배 감쇠된 것이므로, 이를 데시벨로 변환하면 약 -13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현장에서 계의 고유 진동수를 간단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질량 m인 물체를 탄성지지체에 올려 놓고 처짐량 δst를 측정하는 것이다. 고유진동수(fn)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9%)
  • 정답은 ""이다.

    계의 고유 진동수(fn)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n = (1/2π) x √(k/m)

    여기서 k는 탄성지지체의 탄성계수이다.

    계의 질량을 m, 처짐량을 δst, 탄성지지체의 탄성계수를 k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k = (mg/δst)

    따라서, 고유 진동수(fn)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n = (1/2π) x √(mg/δst)

    즉,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금속 스프링을 이용하여 방진지지 할 때, 로킹(Rocking)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계의 중심을 낮게 한다.
  2. 기계무게의 1~2배의 질량을 부가한다.
  3. 스프링의 정적 수축량을 일정하게 한다.
  4. 로킹이 일어나는 방향으로 하중을 분포시킨다.
(정답률: 31%)
  • 로킹이 일어나는 방향으로 하중을 분포시키면, 스프링이 일정하게 압축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조치들은 중심을 낮추거나 질량을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안정성을 높이지만, 로킹을 방지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금속관의 플랜지부에 고무를 부착하여 제진하려고 한다. 금속관의 특성임피던스는 40×106kg/m2·s, 고무의 특성 임피던스 4×106kg/m2·s이라고 할 때, 진동감쇠량은 약 몇 dB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1
  2. 24
  3. 27
  4. 30
(정답률: 20%)
  • 진동감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진동감쇠량 = -20log10(전달계수)

    전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달계수 = (2Z2) / (Z1 + Z2)

    여기서 Z1은 공기의 특성임피던스이고, Z2는 금속관과 고무의 병렬 저항의 특성임피던스이다.

    Z1 = 40000 kg/m2·s
    Z2 = (1/((1/40000)+(1/4000000))) kg/m2·s = 39506.2 kg/m2·s

    따라서,

    전달계수 = (2×39506.2) / (40000 + 39506.2) = 0.994

    진동감쇠량 = -20log10(0.994) ≈ 0.8 dB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4"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가진력을 기계회전부의 질량불균형에 의한 가진력, 기계의 왕복운동에 의한 가진력, 충격에 의한 가진력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주로 충격 가진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은?

  1. 펌프
  2. 송풍기
  3. 유도전동기
  4. 단조기
(정답률: 50%)
  • 정답은 "단조기"입니다.

    단조기는 금속을 가공하는 기계로, 작업 중에 망치로 금속을 계속해서 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충격에 의해 가진력이 발생하게 되어 진동이 발생합니다.

    반면에 펌프, 송풍기, 유도전동기는 주로 기계회전부의 질량불균형에 의한 가진력이 발생하며, 기계의 왕복운동에 의한 가진력도 일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제진동수를 f라 하고 계의 고유진동수를 fn이라 할 때, 가진되는 외력보다 전달력이 항상 자게 되는 영역은?

  1. f/fn=1
  2. f/fn<√2
  3. f/fn=√2
  4. f/fn>√2
(정답률: 37%)
  • 전달력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제진동수와 계의 고유진동수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전달력이 자게 되는 영역은 외력보다 계의 고유진동수가 높은 경우이다. 이는 f/fn>1 일 때 성립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전달력이 자게 되는 영역을 구하는 것이므로, 외력보다 전달력이 높은 경우를 찾아야 한다. 이는 f/fn>√2 일 때 성립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계의 고유진동수가 fn일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제진동수가 f일 때, 전달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달력 = (f/fn) / √(1 - (f/fn)2)

    이때, 전달력이 자게 되는 영역은 전달력이 외력보다 큰 경우이므로,

    (f/fn) / √(1 - (f/fn)2) > f

    위 식을 정리하면,

    (f/fn)2 > (f2 / (fn2 + f2))

    (f/fn)2 > (1 / (1 + (fn/f)2))

    f/fn > √(1 / (1 + (fn/f)2))

    f/fn > √(1 / (1 + 1/(f/fn)2))

    f/fn > √(1 / (1 + 1/2))

    f/fn > √2

    따라서, 전달력이 자게 되는 영역은 f/fn>√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감쇠 자유진동을 하는 진동계에서 진폭이 3사이클 후 50% 감소되었을 때 이 계의 대수감쇠율은?

  1. 0.13
  2. 0.17
  3. 0.23
  4. 0.32
(정답률: 47%)
  • 감쇠 자유진동에서 진폭이 한 주기마다 e배씩 감소하므로, 3사이클 후에는 진폭이 2.71828^(-3) = 0.0498배가 된다. 따라서 진폭이 50% 감소했다는 것은 0.0498 = 0.5A 이므로, A = 0.0996 이다. 대수감쇠율은 감쇠진동에서 한 주기마다 로그의 절반씩 감소하므로, 2πζ = ln(1/0.5) = ln2 이다. 따라서 ζ = ln2/(2π) = 0.23 이다. 따라서 정답은 "0.2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기스프링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지하중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도 조정밸브에 의해서 기계 높이를 일정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2. 하중 변화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부대시설은 필요 없다.
  3. 사용진폭이 큰 것이 많고, 부하능력은 좁은 편이다.
  4. 공기누출의 위험이 없으며, 별도의 댐퍼시설이 필요 없어 효과적이다.
(정답률: 57%)
  • 공기스프링은 하중 변화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조정밸브에 의해서 기계 높이를 일정레벨로 유지할 수 있어 지지하중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기누출의 위험이 없으며, 별도의 댐퍼시설이 필요 없어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지지하중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도 조정밸브에 의해서 기계 높이를 일정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반진동 차단 구조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동차단은 진동원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문제가 되는 특정 수진 구조물 가까이 설치되는 경우를 말한다.
  2. 개방식 방진구는 굴착벽의 함몰로 시공깊이에 제약이 따른다.
  3. 공기층을 이용하는 개방식 방진구가 충진식 방진벽에 비해 파 에너지 차단(반사)특성이 크게 떨어진다.
  4. 가장 대표적인 지반진동 차단 구조물은 개방식 방진구이다.
(정답률: 48%)
  • 공기층을 이용하는 개방식 방진구가 충진식 방진벽에 비해 파 에너지 차단(반사)특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이유는, 공기층은 진동 파동이 통과하기 쉬운 매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방식 방진구는 파 에너지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고 일부는 통과되어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충진식 방진벽은 파 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단하는 특성이 있어 더욱 효과적인 지반진동 차단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감쇠비 ζ가 주어졌을 때 대수감쇠율을 옳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50%)
  • 정답은 ""이다.

    감쇠비 ζ는 감쇠진동 시스템에서 진동의 감쇠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대수감쇠율은 감쇠진동 시스템에서 한 주기당 진폭이 얼마나 감소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수식으로는 ζ/√(1-ζ^2)로 표현된다. 따라서 감쇠비 ζ가 주어졌을 때 대수감쇠율은 고정된 값이므로 ""이 옳은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스프링 탄성계수 K=1kN/m, 질량 m=8kg인 계의 비감쇠 자유진동 시 주기는 약 몇 s인가?

  1. 0.56
  2. 1.12
  3. 2.24
  4. 4.48
(정답률: 62%)
  • 주어진 정보로부터 감쇠비 ζ를 구해야 한다. 감쇠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ζ = c / (2 * m * K) = 0 (비감쇠)

    따라서 이 계는 비감쇠 자유진동을 한다. 비감쇠 자유진동의 주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2π * √(m / K) ≈ 2π * √(8 / 1000) ≈ 0.56 s

    따라서 정답은 "0.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 )안에 들어갈 진동의 종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저크(jerk)
  2. 디스크 셰이킹(Disk shaking)
  3. 프론트엔드 진동(front end vibration)
  4. 아이들 진동(idle vibration)
(정답률: 25%)
  • 주어진 그림에서 차량의 앞바퀴가 떨리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차량의 전면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프론트엔드 진동(front end vibration)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정답은 "프론트엔드 진동(front end vibr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음진동 관계 법규

81.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공사장 소음규제기준 중 주간의 경우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시간이 1일 3시간 이하일 때 공사장 소음규제기준의 보정값은?

  1. +10dB
  2. +6dB
  3. +5dB
  4. +3dB
(정답률: 47%)
  • 공사장 소음규제기준에서는 작업시간이 1일 3시간 이하일 때, 소음규제기준의 보정값이 적용됩니다. 이 보정값은 기계·장비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보정값이 더해집니다. 따라서, 주간의 경우에는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시간이 1일 3시간 이하일 때, 보정값이 "+10dB"이 됩니다. 이는 해당 기계·장비가 일반적인 소음보다 10dB 더 큰 소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설용·방송용 등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자동차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자동차
  2. 외국에서 국내의 공공기관에 무상으로 기증하여 반입하는 자동차
  3.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
  4. 항공기 지상조업용으로 반입하는 자동차
(정답률: 19%)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입니다. 이유는 이 자동차는 일시적으로 반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사용되는 기간이 짧아 인증 절차를 생략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과징금의 부과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만원을 곱하여 산정
  2. 20만원을 곱하여 산정
  3. 10만원을 더하여 사정
  4. 20만원을 더하여 산정
(정답률: 19%)
  • 과징금의 부과기준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위반행위의 종류와 심각성, 범위,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중에서도 위반행위의 심각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 과징금을 부과하는데, 이를 위해 위반행위의 종류와 심각성에 따라 일정한 금액을 부과하는 기준을 마련하게 된다. 이 경우, 위반행위의 심각성이 높을수록 과징금의 부과액도 높아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일정한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반행위의 심각성이 높을수록 과징금의 부과액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일정한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이 때,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과징금의 부과기준은 위반행위의 종류와 심각성에 따라 10만원 또는 20만원을 곱하여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만원을 곱하여 산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소음방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음벽시설
  2. 방음덮개시설
  3. 소음기
  4. 탄성지지시설
(정답률: 44%)
  • 소음방지시설은 주로 소음을 줄이기 위한 시설물로,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탄성지지시설은 진동을 줄이기 위한 시설물로, 건물이나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분산시켜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음방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탄성지지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환경기준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환경에 관한 법령의 제정과 행정계획의 수립 또는 사업을 집행할 경우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원 조달방법의 홍보
  2. 새로운 과학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훼손의 예방
  3. 환경오염지역의 원상회복
  4. 환경 악화의 예방 및 그 요인의 제거
(정답률: 39%)
  • 재원 조달방법의 홍보는 환경기준 유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환경기준 유지를 위해서는 환경오염지역의 원상회복, 환경 악화의 예방 및 그 요인의 제거, 새로운 과학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훼손의 예방 등이 중요한데, 이와는 관련이 없는 재원 조달방법의 홍보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공사장 방음시설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삽입손실 측정 시 동일한 음량과 음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위치(reference position)의 측정은 생략할 수 있다.
  2. 삽입손실 측정을 위한 측정지점(음원 위치, 수음자 위치)은 음원으로부터 5m 이상 떨어진 노면 위 1.2m 지점으로 한다.
  3.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5dB이상 되어야 한다.
  4. 방음벽시설의 높이는 3m 이상 되어야 한다.
(정답률: 32%)
  • "방음벽시설의 높이는 3m 이상 되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5dB이상 되어야 한다."는 공사장 방음시설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입니다. 이는 방음시설이 설치되기 전과 후의 소음을 비교하여 최소 5dB 이상의 차이가 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방음시설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삽입손실 측정 시 동일한 음량과 음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위치(reference position)의 측정은 생략할 수 있다."는 삽입손실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동일한 음량과 음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위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삽입손실 측정을 위한 측정지점(음원 위치, 수음자 위치)은 음원으로부터 5m 이상 떨어진 노면 위 1.2m 지점으로 한다."는 삽입손실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측정지점은 음원으로부터 5m 이상 떨어진 노면 위 1.2m 지점으로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소음·진동관리법령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음·진동방지시설”이란 소음·진동배출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소음·진동을 없애거나 줄이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방진시설”이란 소음·진동배출시설이 아닌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없애거나 줄이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교통기관”이란 기차·자동차·전차·도로 및 철도 등을 말한다. 다만, 항공기와 선박은 제외한다.
  4. “휴대용음향기기”란 휴대가 쉬운 소형 음향재생기기(음악재생기능이 있는 이동전화는 제외)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0%)
  • “방진시설”이란 소음·진동배출시설이 아닌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없애거나 줄이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 소음·진동배출시설이 아닌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줄이는 것은 "진동방지시설"이 아닌 "진동감소시설"이라는 용어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소음발생건설기계 소음도 검사기관의 지정기준 중 시설 및 장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장: 면적 400m2 이상(20m×20m 이상)
  2. 장비: 다기능 표준음발생기(31.5Hz 이상 16kttz 이하) 1대 이상
  3. 장비: 삼각대 등 마이크로폰을 높이 1.5m 이상의 공중에 고정할 수 있는 장비 4대 이상, 높이 10m 이상의 공중에 고정할 수 있는 장비 2대 이상
  4. 장비: 녹음 및 기록장치(6채널 이상) 1대 이상
(정답률: 39%)
  • 검사장의 면적 기준은 옳은 기준입니다. 이유는 소음 검사를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충분한 공간이 없으면 소음이 반사되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적이 400m2 이상인 검사장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항공기 소음의 한도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항 인근지역은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95로 하고, 그 밖의 지역은 80으로 한다.
  2. 공항 인근지역은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95로 하고, 그 밖의 지역은 75로 한다.
  3. 공항 인근지역은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90로 하고, 그 밖의 지역은 80으로 한다.
  4. 공항 인근지역은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90로 하고, 그 밖의 지역은 75로 한다.
(정답률: 40%)
  • 항공기 소음의 한도기준은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를 기준으로 한다. 공항 인근지역은 WECPNL 90으로 하고, 그 밖의 지역은 WECPNL 75로 한다. 이는 공항 인근지역에서는 소음이 더욱 심하기 때문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진동배출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단, 동력을 사용하는 시설 및 기계·기구로 한정한다.)

  1. 20kW의 프레스(유압식 제외)
  2. 20kW의 성형기
  3. 20kW의 연탄제조용 윤전기
  4. 2대의 시멘트벽돌 및 블록의 제조기계
(정답률: 16%)
  • 진동배출시설은 동력을 사용하는 시설 및 기계·기구 중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20kW의 프레스는 동력을 사용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시설이므로 진동배출시설에 해당한다. 유압식 제외라는 조건은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프레스는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다른 보기들은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시설이므로 진동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행정처분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반행위가 둘 이상일 때에는 각 위반행위에 따라 각각 처분한다.
  2. 위반횟수의 산정은 위반행위를 한 날을 기준으로 한다.
  3. 처분권자는 위반행위의 동기·내용·횟수 및 위반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그 처분(허가취소, 등록취소, 지정취소 또는 폐쇄명령인 경우는 제외한다)을 감경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그 처분이 조업정지, 업무정지 또는 영업정지인 경우에는 그 처분기준의 2분의 1의 범위에서 감경할 수 있다.
  4. 법에 따른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사업장 “폐쇄”이다.
(정답률: 54%)
  • "법에 따른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사업장 “폐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법에 따른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처분기준은 사업장 폐쇄가 아니라, 위반행위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처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자동차 사용정지표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지규격은 210mm×297mm로 한다.(인쇄용지(특급) 180g/m2)
  2. 바탕색은 흰색으로, 문자는 검은색으로 한다.
  3. 이 표지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창 왼쪽 하단에 붙인다.
  4. 사용정지기간 중에 자동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라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53%)
  • 자동차 사용정지표지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창 왼쪽 하단에 붙이며, 표지규격은 210mm×297mm로 하고 바탕색은 흰색으로, 문자는 검은색으로 한다. 이 표지는 사용정지기간 중에 자동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라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소음·진동관리법령상 녹지지역의 주간시간대의 철도소음의 관리(한도)기준은?

  1. 60 Leq dB(A)
  2. 65 Leq dB(A)
  3. 70 Leq dB(A)
  4. 75 Leq dB(A)
(정답률: 20%)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녹지지역의 주간시간대(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의 철도소음의 관리(한도)기준은 70 Leq dB(A)이다. 이는 주택지역과 비교하여 높은 기준이지만, 녹지지역에서는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더 높은 기준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따라서, 주간시간대에 철도소음이 70 Leq dB(A) 이상 발생하는 경우, 관리대상으로 간주되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소음발생건설기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굴착기(정격출력 19kW 이상 500kW 미만의 것으로 한정한다.)
  2. 발전기(정격출력 500kW 이상의 실내용으로 한정한다.)
  3. 공기압축기(공기토출량이 분당 2.83세제곱미터 이상의 이동식인 것으로 한정한다.)
  4. 항타 및 항발기
(정답률: 29%)
  • 발전기는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정격출력 500kW 이상의 실내용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기계들은 정격출력 범위나 공기토출량 등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발전기는 실내용에 한정되어 있어서 다른 기준으로는 분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상시 측정자료의 제출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매월 말일
  2. 매분기 다음 달 말일
  3. 매반기 다음 달 말일
  4. 매년 말일
(정답률: 50%)
  • 상시 측정자료는 매분기마다 제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분기 다음 달 말일"이 가장 적합하다. 예를 들어, 1분기 측정자료는 3월 말일까지 제출되어야 하며, 2분기 측정자료는 6월 말일까지 제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매분기가 끝나는 다음 달 말일이 적절한 제출 기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자동차제작자의 권리·의무승계신고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7일 이내에
  2. 10일 이내에
  3. 15일 이내에
  4. 30일 이내에
(정답률: 32%)
  • 자동차제작자의 권리·의무승계신고는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자동차제작자가 자동차를 판매하거나 수리한 경우, 해당 자동차의 소음·진동관리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새로운 소유자 또는 수리업체에게 승계하기 위해 제출하는 신고서이다. 이 신고서는 자동차를 판매 또는 수리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제출해야 한다. 이는 자동차제작자가 새로운 소유자나 수리업체에게 적절한 소음·진동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준수할 책임을 승계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운행차 정기검사대행자의 기술능력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자격은?

  1. 건설안전산업기사
  2.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3. 자동차정비산업기사
  4. 대기환경산업기사
(정답률: 56%)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운행차 정기검사대행자의 기술능력기준에 해당하는 자격은 "자동차정비산업기사"이다. 이는 자동차의 기계적인 부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자격이기 때문이다.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대기환경산업기사"는 해당 분야의 기술과 지식을 갖춘 자격이지만, 운행차 정기검사대행자의 기술능력기준에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47%)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자가 소음·진동 발생원 설치 또는 운영 등으로 인해 규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소음·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됩니다. 이 때, 과태료 부과 기준은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입니다. 즉, 법령상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않은 자가 소음·진동 발생원 설치 또는 운영 등으로 인해 규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소음·진동을 발생시키면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제작차의 소음배출특성을 참작하기 위한 소음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적소음
  2. 가속주행소음
  3. 주행소음
  4. 배기소음
(정답률: 40%)
  • 주행소음은 차량이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으로, 차량의 속도와 함께 변화합니다. 따라서 다른 소음들과 달리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시·도지사 등은 운행차의 소음이 운행차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 그 자동차 소유자에 대하여 개선을 명할 수 있는데, 이 때 개선에 필요한 기간은 개선명령일부터 며칠로 하는가?

  1. 5일
  2. 7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39%)
  • 운행차의 소음이 운행차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 시·도지사 등은 해당 자동차 소유자에 대해 개선을 명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개선에 필요한 기간은 개선명령일부터 7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소음·진동관리법령 제23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