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형설계

1.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고무처럼 부드럽고 탄성이 있어 롤러나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등에 사용되는 수지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PC
  2. PET
  3. PS
  4. PUR
(정답률: 77%)
  • PUR은 폴리우레탄 수지로, 고무처럼 부드럽고 탄성이 있어 롤러나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등에 적합합니다. PC은 폴리카보네이트, PET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S는 폴스티렌 수지로, 이들은 PUR에 비해 부드럽지 않고 탄성도 낮습니다. 따라서 PUR이 가장 적합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공기압 이젝터 방식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으로 금형구조가 간략화 된다.
  2. 코어형, 캐비티형 어느 것이도 사용된다.
  3. 형개 공정 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가기 된다.
  4. 성형품의 형상에 제약이 없다.
(정답률: 70%)
  • 공기압 이젝터 방식은 형상에 제약이 없는 이유는, 이 방식은 성형품의 형상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공기압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형구조가 간략화되고, 코어형과 캐비티형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형개 공정 중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기가 가능하다. 이 모든 장점들이 성형품의 형상에 제약이 없는 이유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출성형품에 플래시(Flash)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출 압력이 높다.
  2. 형체결력이 부족하다.
  3. 제품의 투영면적이 작다.
  4. 사출온도가 높다.
(정답률: 76%)
  • 제품의 투영면적이 작다는 것은 제품의 크기가 작거나 형상이 복잡하여 사출 공정에서 플래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플래시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사출 압력이 높다면 플래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형체결력이 부족하다면 부적절한 형상이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출온도가 높다면 제품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플래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로킹 블록(locking block)의 경사각(β)과 경사핀의 경사각(α)의 관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β = α + ( 2° ~ 3° )
  2. β = α + ( 10° ~ 18° )
  3. β = 2α + ( 2° ~ 3° )
  4. β = 2α + ( 10° ~ 18° )
(정답률: 78%)
  • 로킹 블록과 경사핀은 서로 맞물려서 사용되는데, 이때 로킹 블록의 경사각과 경사핀의 경사각이 일치하지 않으면 맞물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로킹 블록의 경사각과 경사핀의 경사각은 가능한 일치시켜야 한다.

    그런데 로킹 블록의 경사각이 경사핀의 경사각보다 조금 더 큰 경우가 적당하다. 이유는 로킹 블록이 경사핀에 끼어들 때 경사핀의 경사면을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맞물리기 때문이다. 만약 로킹 블록의 경사각이 경사핀의 경사각보다 너무 크면 맞물림이 불안정해지고, 너무 작으면 맞물림이 너무 강해져서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로킹 블록의 경사각과 경사핀의 경사각은 대략 2도에서 3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이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β = α + ( 2° ~ 3°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성형품에서 내측 나사의 처리방식이 아닌 것은?

  1. 고정 코어 방식
  2. 회전 나사 코어 방식
  3. 강제 빼기 방식
  4. 2단 이젝팅 방식
(정답률: 68%)
  • 2단 이젝팅 방식은 내측 나사의 처리방식이 아니라 외부 형상의 처리방식이기 때문입니다. 2단 이젝팅 방식은 긴 길이의 성형품을 만들 때 사용되며, 먼저 상부에서 성형을 하고 나서 하부에서 또 다시 성형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성형품의 외부 형상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 수 있으며, 내부에 나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내측 나사의 처리방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러너 형판을 가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내장한 러너리스 금형은?

  1. 핫 러너 방식
  2. 웰타입 노즐방식
  3. 익스텐션 노즐방식
  4. 인슐레이티드 러너방식
(정답률: 95%)
  • 핫 러너 방식은 러너 형판을 가열하여 플라스틱이 녹아 흐르게 만드는 방식으로, 러너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높고, 제품의 외관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러너리스 성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수지가 절약되어 수지에 대한 비용이 경감된다.
  2. 작업자 1인당 성형기 조작 대수가 많아진다.
  3. 성형작업 후 2차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수지에 대한 제한이 거의 없다.
(정답률: 82%)
  • "작업자 1인당 성형기 조작 대수가 많아진다."가 틀린 것입니다. 러너리스 성형은 자동화된 공정으로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는 대신에 기계가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 1인당 성형기 조작 대수가 많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작업자의 역할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수지에 대한 제한이 거의 없다."라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출성형 작업을 할 때 수지의 공급에서 성형완료까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유동한다. 유동순서가 맞는 것은?

  1. 호퍼 → 실린더 → 노즐 → 스프루 → 러너 → 게이트 → 캐비티
  2. 호퍼 → 노즐 → 스프루 → 실린더 → 러너 → 게이트 → 캐비티
  3. 노즐 → 스프루 → 실린더 → 러너 → 게이트 → 호퍼 → 캐비티
  4. 실린더 → 노즐 → 호퍼 → 러너 → 캐비티 → 스프루 → 게이트
(정답률: 87%)
  • 정답은 "호퍼 → 실린더 → 노즐 → 스프루 → 러너 → 게이트 → 캐비티"이다.

    호퍼는 수지를 담는 곳이며, 실린더는 호퍼에서 수지를 받아 압력을 가해 성형에 필요한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은 실린더에서 나온 수지를 스프루로 보내는 역할을 하며, 스프루는 러너로 수지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러너는 게이트로 수지를 보내는 역할을 하며, 게이트는 캐비티로 수지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호퍼 → 실린더 → 노즐 → 스프루 → 러너 → 게이트 → 캐비티 순서로 유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출금형의 콜드 슬러그 웰(Cold Slug Well)을 설명한 것이다. 이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금형이 열릴 때, 스프루를 쉽게 빼내기 위해 캐비티 외측에 설치되는 구멍이다.
  2. 성형품을 밀 핀으로 빼내기 위해 성형품의 외측보다 약간 들어가 있는 구멍이다.
  3. 사출시 금형속으로 재료가 통과할 때 냉각되어 성형불량을 일으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스프루 하단 또는 러너 끝에 설치한 구멍이다.
  4. 러너 시스템을 통과하는 성형재료는 압력강하 없이 빠른 시간 안에 흘려보내도록 하기 위해 가동측 플레이트에 설치한 구멍이다.
(정답률: 95%)
  • 사출시 금형속으로 재료가 통과할 때 냉각되어 성형불량을 일으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스프루 하단 또는 러너 끝에 설치한 구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출성형기의 형조이기 기구구조는 직압식과 토글식이 있다. 토글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개폐속도가 빠르다.
  2. 가격이 싸다.
  3. 형체결 스트로크가 금형 두께에 따라 바뀐다.
  4. 소요 동력이 작다.
(정답률: 43%)
  • "형체결 스트로크가 금형 두께에 따라 바뀐다."는 토글식의 장점 중 하나가 아니라 잘못된 설명이다. 토글식의 형조이기 기구구조는 개폐속도가 빠르고 소요 동력이 작아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형체결 스트로크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금형 두께에 따라 형체결 스트로크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파일럿 핀의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1. 펀치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
  2. 펀치로부터 스크랩 제거기능
  3. 소재의 이송위치 조정 기능
  4. 금형의 분해, 결합을 위한 위치결정 기능
(정답률: 87%)
  • 파일럿 핀은 금형 내부에서 소재의 이송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는 금형 내부에서 소재가 이동하면서 생기는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위치에 소재를 고정시켜 가공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뒷면에 가이드포스트 2개의 장치한 다이세트(die set)는?

  1. A형
  2. B형
  3. C형
  4. D형
(정답률: 89%)
  • B형 다이세트는 뒷면에 가이드포스트 2개의 장치가 있어서 다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A형, C형, D형 다이세트는 이러한 가이드포스트 장치가 없거나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이치수를 제품치수와 같이 하고 펀치치수를 클리어런스만큼 작게하는 가공은?

  1. 피어싱
  2. 블랭킹
  3. 노칭
  4. 파팅
(정답률: 80%)
  • 블랭킹은 다이치수와 제품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펀치치수를 클리어런스만큼 작게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다. 이는 제품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부분적으로 구멍을 내는 등의 가공이 가능하게 해주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블랭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재료의 이방성(anisotropy)으로 인해 발생되는 드로잉 제품의 결함 형태는?

  1. 파단(fracture)
  2. 주름(wrinkling)
  3. 퍼커링(puckering)
  4. 귀(earing)
(정답률: 65%)
  • 재료의 이방성으로 인해 드로잉 과정에서 재료의 특정 방향으로 더 많은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드로잉 제품의 표면에 귀(earing) 형태의 결함이 발생한다. 이는 제품의 외형을 손상시키는 결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레스의 하사점 위 몇 mm의 위치에서 호칭압력의 발생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압력능력
  2. 일능력
  3. 토크능력
  4. S.P.M
(정답률: 66%)
  • 프레스의 하사점에서 작업물을 가공할 때, 하사점 위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매우 큰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압력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능력을 토크능력이라고 합니다. 토크능력은 하사점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안전하게 행하는 능력으로, 이는 프레스의 모터와 기어, 베어링 등의 부품들이 얼마나 큰 힘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프레스의 안전성과 가공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단독 금형을 병렬로 설치하여 각 공정 사이를 자동이송장치로 재료를 이송하여 자동적으로 프레스 가공을 하는 금형은?

  1. 트랜스퍼 금형
  2. 프로그레시브 금형
  3. 콤파운드 금형
  4. 콤비네이션 금형
(정답률: 83%)
  • 트랜스퍼 금형은 단독 금형을 병렬로 설치하여 각 공정 사이를 자동 이송장치로 재료를 이송하여 자동적으로 프레스 가공을 하는 금형이다. 즉, 여러 개의 작업 공정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공할 소재의 전단강도 τ = 35 kgf/mm2, 두께 5mm이고, 펀치의 압축강도 σp= 140 kgf/mm2일 때, 펀치의 최소 직경은?

  1. 5㎜
  2. 2㎜
  3. 3㎜
  4. 10㎜
(정답률: 56%)
  • 펀치의 최소 직경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p = τ × (π/4) × d2
    d2 = (4 × σp) / (π × τ)
    d = √((4 × σp) / (π × 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d = √((4 × 140) / (π × 35)) = 5

    따라서, 펀치의 최소 직경은 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의 도면은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편침한 구멍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이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명칭은??

  1. 정밀피어싱장치
  2. 미스피드검출장치
  3. 자동이송전자장치
  4. 자동피어싱장치
(정답률: 75%)
  • 이 장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편침한 구멍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이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이를 통해 미스피드(잘못된 위치로 이송)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미스피드검출장치"라고 부른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장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두께 1.5㎜, 전단강도 35 kgf/mm2의 냉간압연강판을 사용하여 직경 30㎜의 제품을 블랭킹 하고자 할 때, 다이블록의 두께는 약 얼마인가? (단, 다이 두께 보정계수 = 1.25, 금형의 재연삭 가공여주=2㎜ 이다.)

  1. 13.6㎜
  2. 15.6㎜
  3. 21.3㎜
  4. 23.3㎜
(정답률: 56%)
  • 다이블록의 두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블랭킹 시 필요한 금형간격 계산
    - 제품 직경 30㎜에 블랭킹 여유 0.2㎜를 더해 30.2㎜로 계산한다.
    - 금형간격 = 제품 직경 + 블랭킹 여유 = 30.2㎜

    2. 다이블록 두께 계산
    - 다이블록 두께 = (금형간격 + 금형의 재연삭 가공여유) x 다이 두께 보정계수
    - 다이 두께 보정계수는 일반적으로 1.2 ~ 1.3 사이의 값을 사용한다.
    - 여기서는 다이 두께 보정계수가 1.25이므로, 다이블록 두께 = (30.2 + 2) x 1.25 = 41.5㎜

    따라서, 정답은 "2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직경 100㎜의 블랭크를 가지고 냉경 35㎜의 블랜지 없는 원통겁을 드로잉 하고자 할 때 필요한 드로잉 횟수는? (단, 초기 드로잉비=2.3, 1차 재드로잉비=1.8, 2차 재드로잉비=1.6, 3차 재드로잉비=1.2 로 한다.)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36%)
  • 드로잉 횟수는 블랭크 직경을 블랜지 없는 원통겁 냉경으로 나눈 값의 로그값에 0.5를 더한 값이다.

    log(100/35) + 0.5 = 1.69

    따라서 초기 드로잉비 2.3을 사용하여 1회 드로잉 후, 1차 재드로잉비 1.8을 사용하여 2회 드로잉하면 된다.

    2.3 x 1.8 = 4.14 (초기 드로잉비 x 1차 재드로잉비)
    4.14 x 35/100 = 1.45 (재드로잉비를 곱한 후, 냉경으로 나눈 값)
    1.45 + 2.3 = 3.75 (1차 재드로잉 후, 초기 드로잉비를 더한 값)

    3.75 x 1.6 = 6 (2차 재드로잉비를 곱한 후, 냉경으로 나눈 값)
    6 + 4.14 = 10.14 (2차 재드로잉 후, 초기 드로잉비를 더한 값)

    10.14 x 1.2 = 12.17 (3차 재드로잉비를 곱한 후, 냉경으로 나눈 값)
    12.17 + 6 = 18.17 (3차 재드로잉 후, 초기 드로잉비를 더한 값)

    따라서, 2회 드로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작법

21. 유리, 세라믹, 다이아몬드, 수정 등 소성변형 되지 않고, 취성이 큰 재료를 가공할 때 적합한 가공법은?

  1. 밀링 가공
  2. 연삭 가공
  3. 초음파 가공
  4. 방전 가공
(정답률: 77%)
  • 초음파 가공은 소성변형이 되지 않고 취성이 큰 재료를 가공할 때 적합한 가공법이다. 이는 초음파의 고주파 진동으로 인해 재료의 분자 간 결합력이 약화되어 가공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리, 세라믹, 다이아몬드, 수정 등과 같은 어려운 재료를 가공할 때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연삭기 중에서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척을 사용하는 것은?

  1. 평면 연삭기
  2. 외경 연삭기
  3. 센터리스 연삭기
  4. 공구 연삭기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척을 사용하는 연삭기는 평면 연삭기입니다. 이는 평면 연삭기가 작업물을 고정하기 위해 마그네틱 척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마그네틱 척은 작업물을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작업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연삭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평면 연삭기는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척을 사용하여 작업물을 고정하고 연삭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원통의 내면을 다듬질 하는 가공법으로 내경보다 약간 지름이 큰 강구를 압입하여 내면에 소성변형을 주어 매끈한 면을 얻는 가공법은?

  1. 룰러 다듬질
  2. 베럴가공(barrel finishing)
  3. 버핑(buffing)
  4. 버니싱(burnishing)
(정답률: 53%)
  • 버니싱은 원통의 내면을 다듬질 하는 가공법으로, 내경보다 약간 지름이 큰 강구를 압입하여 내면에 소성변형을 주어 매끈한 면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룰러 다듬질", "베럴가공(barrel finishing)", "버핑(buffing)"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절삭 온도 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공구에 열전대를 삽입하는 방법
  2. 칩의 색깔에 의한 방법
  3. 복사 고온계에 의한 방법
  4. 서보 모터에 의한 방법
(정답률: 74%)
  • 서보 모터는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이므로, 절삭 온도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서보 모터에 의한 방법은 절삭 온도 측정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머니싱 센터에서 사용되는 NC 지령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G는 보조기능으로 NC 공작기계의 여러 가지 동작을 위한 서보모터 구동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2. M은 준비기능으로 NC 지령 블록의 제어기능을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다.
  3. T는 이송기능이라 하며 NC 공작기계에서 가공물과 공구와의 상대속도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4. S는 주축기능이라 하며 주축의 회전속도를 지령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S는 주축기능이라 하며 주축의 회전속도를 지령하기 위한 것이다."입니다. 이는 NC 공작기계에서 주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가공물을 가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주 가공 작업 공정으로 올바른 것은?

  1. 모형제작 →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2.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 모형제작
  3.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 모형제작
  4. 모형제작 →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정답률: 47%)
  • 전주는 원자재를 가공하여 이형을 만들고, 이형은 기계 가공을 통해 최종적으로 제품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 모형제작"이 올바른 공정 순서가 됩니다. 모형제작은 최종적으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참고 모형을 만드는 단계이므로 가장 마지막에 이루어지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모형제작 →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은 올바른 공정 순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당저항 τ = 30 kgf/mm2이고, 재료두께 t=2.0㎜인 강판에 직경 20㎜의 구멍을 V=6 m/min의 펀칭속도로 구멍을 뚫을 때 전단력(P)과 소요동력(N)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기계효율 η=50%이다.)

  1. P≒3200kgf, N≒8HP
  2. P≒3500kgf, N≒9HP
  3. P≒3800kgf, N≒10HP
  4. P≒4100kgf, N≒11HP
(정답률: 68%)
  • 전단력(P)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τAt

    여기서 A는 구멍의 면적이고, t는 재료두께이다. 따라서,

    A = πr^2 = π(10/2)^2 = 78.5 mm^2
    P = 30 × 78.5 × 2.0 = 4710 kgf

    하지만, 기계효율이 50%이므로 실제 전단력은 이 값의 절반인 2355 kgf가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P≒2400kgf"이다.

    소요동력(N)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 = PV/η

    여기서 V는 펀칭속도이다. 따라서,

    N = 2355 × 6 / 0.5 = 28260 W

    이 값을 HP로 변환하면,

    N = 28260 / 746 = 37.9 HP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이하가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정답은 "N≒38HP"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P≒2400kgf, N≒38H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열간 가공과 냉간 가공의 한계를 결정짓는 것은?

  1. 풀림온도
  2. 변태온도
  3. 재결정온도
  4. 결정입자의 성장온도
(정답률: 72%)
  • 열간 가공과 냉간 가공의 한계를 결정짓는 것은 재결정온도입니다. 재결정온도란, 금속의 결정구조가 재결정되는 온도로, 이 온도 이상에서는 금속의 결정구조가 재결정되어 더 이상 가공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재결정온도 이하에서는 열간 가공이, 재결정온도 이상에서는 냉간 가공이 적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이블록이나 펀치블록의 위치결정 방식이 아닌 것은?

  1. 다우웰 핀
  2. 인서트
  3. 블록
  4. 노크 아웃
(정답률: 58%)
  • 다우웰 핀, 인서트, 블록은 모두 다이블록이나 펀치블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지만, 노크 아웃은 다른 블록을 제거하여 공간을 만드는 방식이므로 위치 결정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NC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서보기구의 위치검출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복합회로 제어방식
  2. 진공회로 제어방식
  3. 폐쇄회로 제어방식
  4. 개방회로 제어방식
(정답률: 60%)
  • 진공회로 제어방식은 CNC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서보기구의 위치검출방식이 아니라서 정답입니다. 이 방식은 진공관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NC프로그램을 쉽게 하기 위해 도면상의 한 점을 원점으로 정하고, 이 점을 프로그램 원점으로 한 좌표계로 옳은 것은?

  1. 기계 좌표계
  2. 상대 좌표계
  3. 절대 좌표계
  4. 잔여 좌표계
(정답률: 72%)
  • 절대 좌표계는 기계의 원점을 고정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모든 좌표를 측정하는 좌표계입니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 작성 시에도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기계의 위치나 이동 등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NC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하기 위해서는 절대 좌표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가공속도를 구하는 식은?

  1.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2.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3.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4.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정답률: 81%)
  •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절단하는 기계입니다. 이때 와이어 이송속도가 빠를수록 가공속도가 빨라지며, 공작물의 두께가 두껍을수록 가공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가공속도는 와이어 이송속도와 공작물 두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연삭숫돌의 결합체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충분히 견디어야 한다.
  2. 입자의 탈락이 되지 않아야 한다.
  3. 적당한 기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연삭시 충격에 견디어야 한다.
(정답률: 63%)
  • 입자의 탈락이 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연삭숫돌이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입자가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연삭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따라서, 입자의 탈락이 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은 연삭숫돌의 결합체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수퍼피닝싱용 숫돌 재료 중 인장 강도가 큰 가공물에는 어떤 재료가 사용되는가?

  1. SIC
  2. GC
  3. Al2O3
  4. Sn
(정답률: 59%)
  • 인장 강도란 재료가 견디는 압력이나 인장력의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퍼피닝싱용 숫돌에서 인장 강도가 큰 가공물에는 Al2O3이 사용된다. 이는 Al2O3이 다른 재료에 비해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방전가공을 할 때 전극재질로 사용하기가 곤란한 것은?

  1. 흑연
  2. 아연
  3. 구리
  4. 황동
(정답률: 66%)
  • 방전가공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서 전기적인 방전을 일으켜 가공하는 공정입니다. 이때 전극재질은 전기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하며,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과 화학반응에도 강하게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아연은 전기적으로 안정적이지 않고, 열과 화학반응에도 약하기 때문에 방전가공에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밀링커더, 드릴, 탭, 리머, 바이트, 엔드밀의 재료로 적합한 것은?

  1. 연강
  2. 톰백
  3. 고속도강
  4. 알루미늄
(정답률: 85%)
  • 고속도강은 경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밀링커더, 드릴, 탭, 리머, 바이트, 엔드밀과 같은 고정밀 가공 도구의 재료로 적합합니다. 또한, 고속도강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높아서 가공 시에도 변형이 적고 오랜 시간 사용해도 변형이 적어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절삭가공에서 구성인선(built-up edge)의 발생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공구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한다.
  2. 칩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
  3. 절삭속도를 크게 한다.
  4. 공구 날을 예리하게 한다.
(정답률: 78%)
  • 칩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오히려 구성인선 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대책이 아니다. 구성인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구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하거나 공구 날을 예리하게 만들어서 칩이 잘 떨어지도록 해야하며, 절삭속도를 크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절삭저항의 3분력이 아닌 것은?

  1. 주분력
  2. 연속분력
  3. 이송분력
  4. 배분력
(정답률: 72%)
  • 연속분력은 절삭저항의 종류가 아니라 전선의 길이와 단면적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을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연속분력은 절삭저항의 3분력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리머를 모양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1. 팽창 리머
  2. 다이스
  3. 셀리머
  4. 조정 리머
(정답률: 74%)
  • 다이스는 모양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이스는 주로 무작위로 숫자나 기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팽창 리머, 셀리머, 조정 리머와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CNC머시닝 센터에서 직경이 20㎜인 엔드밀로 주철을 가공하고자 할 때 주축의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단, 주철의 절삭속도는 50m/min 이다.)

  1. 397
  2. 796
  3. 1191
  4. 1591
(정답률: 75%)
  • 주축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주축 회전수 = (절삭속도 × 1000) ÷ (π × 도구 직경)

    = (50 × 1000) ÷ (π × 20)

    ≈ 796 (소수점 이하 버림)

    따라서 정답은 "79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학

41. 주철(Fe-C계)에 규소(Si)가 첨가되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 유동성 저하
  2. 백선화 촉진
  3. 흑연화 촉진
  4. 편상입자 조대화
(정답률: 71%)
  • 규소는 주철 내부의 카보나이트(CaO)와 반응하여 새로운 화합물인 규소화물을 생성한다. 이 규소화물은 주철 내부에서 흑연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흑연화 촉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플라스틱 합성수지의 공통 성질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가공성이 크고 성형이 간단하다.
  2. 산, 알칼리, 유류 등에 약하다.
  3. 전기절연성이 좋다.
  4. 단단하나 열에 약하다.
(정답률: 80%)
  • "산, 알칼리, 유류 등에 약하다."가 틀린 것이다. 플라스틱 합성수지는 일반적으로 산, 알칼리, 유류 등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그들의 화학적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하부 베이나이트 조직과 유사한 침상조직은?

  1. Ferrite
  2. Pearlite
  3. Sorbite
  4. Martensite
(정답률: 49%)
  • Martensite는 하부 베이나이트 조직과 유사한 침상조직입니다. 이는 강한 경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강도와 경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Ferrite, Pearlite, Sorbite는 모두 다른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강도와 경도가 Martensite보다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으로 순금속의 결정구조를 이루는 결정격자가 아닌 것은?

  1. 단순입방격자
  2. 체심입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조밀육방격자
(정답률: 73%)
  • 단순입방격자는 일반적으로 순금속의 결정구조를 이루지 않습니다. 이는 단순입방격자가 구조적으로 가장 단순하고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순금속은 보통 체심입방격자, 면심입방격자, 조밀육방격자 등의 구조를 가지며, 이들은 단순입방격자보다 더 복잡하고 비규칙적인 구조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에서 선팽창계수가 가장 큰 금속은?

  1. 텅스텐
  2. 몰리브덴
  3. 아연
  4. 이리듐
(정답률: 31%)
  • 선팽창계수란 온도가 변화할 때 금속이 팽창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가장 큰 금속은 온도가 변화할 때 가장 많이 팽창하므로, 아연이 가장 큰 선팽창계수를 가지는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일반적으로 합금강에 첨가되는 Cr이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영향은?

  1. 적렬 메짐을 방지 한다.
  2. 내식성을 증가 시킨다.
  3.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킨다.
  4. 페라이트 조직을 약화시킨다.
(정답률: 71%)
  • Cr은 합금강에 첨가되면 내식성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Cr이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Cr2O3 산화막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 산화막은 합금강 표면을 보호하고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압축강도가 가장 큰 수지는?

  1. 페놀수지
  2. ABS
  3. 아크릴수지
  4. FRP
(정답률: 57%)
  • 압축강도란 물체가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FRP는 Fiber Reinforced Plastic의 약자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강화된 섬유가 수지에 포함되어 있어서 압축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FRP가 압축강도가 가장 큰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의 성질에 고온 취성을 일으키게 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은?

  1. 규소
  2. 구리
(정답률: 55%)
  • 강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황은 가장 높은 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의 고온 취성을 일으키는 영향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금속 중 자기변태점(magmetic transformation point)이 가장 높은 것은?

  1. Fe
  2. Co
  3. Ni
  4. Mn
(정답률: 48%)
  • Co가 자기변태점이 가장 높은 이유는 그 구조와 전자 구성 때문입니다. Co는 다른 금속들보다 더 높은 자기 모멘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 구조와 전자 구성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Co는 더 높은 자기변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Roll이나 Gear 같은 제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로크웰 경도
  2. 브리넬 경도
  3. 비커즈 경도
  4. 쇼어 경도
(정답률: 66%)
  • 쇼어 경도는 작은 원뿔 모양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표면을 눌러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Roll이나 Gear와 같은 부드러운 표면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며,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쇼어 경도가 Roll이나 Gear와 같은 제품의 경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금속 중에서 용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

  1. V
  2. W
  3. Co
  4. Mo
(정답률: 66%)
  • Wolfram (W)의 용융점은 3,422°C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높습니다. 이는 W의 전자 구조와 결합 강도가 다른 금속보다 더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강에서 열처리 조직으로 경도가 가장 큰 것은?

  1. 오스테나이트
  2. 마텐자이트
  3. 페라이트
  4. 펄라이트
(정답률: 73%)
  • 마텐자이트는 열처리 과정에서 빠른 냉각로 인해 형성되는 조직으로, 경도가 가장 높습니다. 이는 빠른 냉각로 인해 원자들이 밀도가 높은 구조를 형성하고 결정화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텐자이트는 경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페놀 수지
  2. 에폭시 수지
  3. 염화비닐 수지
  4. 멜리민 수지
(정답률: 80%)
  • 염화비닐 수지는 열경화성이 아니라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해당 보기에서는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지 않는다. 열가소성이란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분해되는 성질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마텐자이트(Martensite) 변태는 무엇에 의존하는 변태인가?

  1. 시간의 함수로 표시되는 변태이다.
  2. 원자 확산에 의한 변태이다.
  3. 온도에 의존하는 변태이다.
  4. 오스테나이트에 탄소원자가 방출되는 변태이다.
(정답률: 57%)
  • 마텐자이트 변태는 온도에 의존하는 변태이다. 이는 마텐자이트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의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오스테나이트가 일정 온도 이하에서 빠르게 냉각되면 마텐자이트가 생성되는데, 이때 온도가 낮을수록 변태가 빠르게 일어나고, 높을수록 느리게 일어난다. 따라서 마텐자이트 변태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열간 단조용 금형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닌 건은?

  1. 인성 및 피로 강도가 클 것
  2. 가공성이 좋을 것
  3. 내열성이 클 것
  4. 열전도도가 작을 것
(정답률: 76%)
  • 열전도도가 작을 것은 열간 단조용 금형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속성으로, 금형재료가 열을 잘 전달하지 않으면 금형의 표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간 단조용 금형재료는 열전도도가 작을 것이 아니라, 높을 것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금속의 결정격자 중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에 속하는 금속은?

  1. Ag
  2. Mo
  3. V
  4. Zn
(정답률: 38%)
  • 면심입방격자는 FCC (Face-centered cubic) 구조를 가지는 결정격자를 말한다. 이 중에서 Ag (은)은 FCC 구조를 가지므로 정답이다. Mo (몰리브데넘), V (바나듐), Zn (아연)은 각각 BCC (Body-centered cubic), BCC, HCP (Hexagonal close-packed) 구조를 가지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경화된 재료에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A1 변태점 이하로 재가열하여 행하는 열처리는?

  1. 침탄법
  2. 담금질
  3. 뜨임
  4. 질화법
(정답률: 71%)
  • 경화된 재료를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A1 변태점 이하로 재가열하여 행하는 열처리는 "뜨임"이다. 이는 재료를 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결정 구조를 재배열하고 결정 크기를 성장시켜 경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재료의 인성이 향상된다. 침탄법은 표면 경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열처리 방법이며, 담금질은 경화된 재료를 연화시켜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질화법은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열처리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레스 금형의 펀치, 다이 재료로 가장 많이 쓰이는 합금공구강은??

  1. STD11
  2. STD61
  3. SM15C
  4. SCT4
(정답률: 70%)
  • 프레스 금형의 펀치, 다이는 고온과 고압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내구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합금공구강 중에서도 STD11은 탄소 함량이 적어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입니다. 또한, 가공성이 우수하여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흑연을 미세하게 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2. C, Si 양을 감소시킨다.
  3. 탄화물 안정화 원소인 Cr, Mn, Mo, V 등을 첨가한다.
  4. 주철을 720℃ 정도에서 가열, 냉각을 반복한다.
(정답률: 38%)
  • 주철을 720℃ 정도에서 가열하면 주철의 결정구조가 변화하여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열처리 과정 중에 주철의 구조가 변화하여 미세한 결정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성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쾌삭강(Free cutting steel)에 절삭속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주된 합금 원소는?

  1. Ni
  2. Mn
  3. W
  4. S
(정답률: 44%)
  • 쾌삭강은 절삭성이 우수한 강종으로, 절삭속도를 높이기 위해 주로 황(Sulfur, S)을 첨가합니다. 황은 강재 내부의 마모를 줄여주고, 치수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 절삭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밀계측

61. 디지털 측정의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최대 100㎜ 되는 공작물의 실제치수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2. 눈금을 읽을 필요가 없어 측정이 신속하며 시차에 의한 개인오차를 줄일 수 있다.
  3. 최대 5자리까지의 유효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4. 자동화가 용이하여 측정 기준면이 필요 없다.
(정답률: 78%)
  • 디지털 측정은 눈금을 읽을 필요가 없어 측정이 신속하며 시차에 의한 개인오차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한 쌍의 기어를 소정의 중심거리로 맞물려서 각도 전달 오차의 측정을 목적으로 한 측정(시험)방법은?

  1. 기초원 조절식 기어측정
  2. 기초원 판식 기어측정
  3. 양 잇면 물림시험
  4. 편 잇면 물림시험
(정답률: 43%)
  • 편 잇면 물림시험은 기어의 한 쌍을 소정의 중심거리로 맞물려서 각도 전달 오차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어의 물림면이 평행하지 않아도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시간이 짧고 측정 정확도가 높아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편 잇면 물림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은 마이크로미터의 측정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5.510㎜
  2. 35.505㎜
  3. 30.505㎜
  4. 31.310㎜
(정답률: 73%)
  • 그림에서 측정한 길이는 30.505mm이 가장 적합하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림에서 측정한 길이는 세 번째 눈금부터 다섯 번째 눈금까지이며, 각 눈금은 5μm씩 차이가 난다. 따라서, 5μm × 3 = 15μm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이 오차는 측정값의 0.015mm에 해당한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측정값은 30.50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측정기 중 각도 측정기로 사용하는 것은?

  1. 공기 마이크로미터(Air Micrometer)
  2. 테보 게이지(Tebo gauge)
  3.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4. 오토콜리메이터(Autocollimator)
(정답률: 67%)
  • 오토콜리메이터는 빛을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기이다. 빛을 반사시켜서 돌아오는 각도를 측정하여 정확한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도 측정기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느 가공물을 측정한 결과 84㎛ 였다. 측정기에 -6㎛의 기차(器差 : Instrument error)가 있다면 참값은?

  1. 90㎛
  2. 87㎛
  3. 81㎛
  4. 78㎛
(정답률: 72%)
  • 참값 = 측정값 - 기차
    = 84㎛ - (-6㎛)
    = 90㎛

    측정기에 -6㎛의 기차가 있으므로, 실제 측정값은 6㎛만큼 작게 나온다. 따라서, 측정값에서 기차를 더해줘야 실제 참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84㎛ + 6㎛ = 90㎛ 이므로 정답은 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금속 재질의 기계부품의 길이측정에서 측정오차의 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측정물의 온도
  2. 측정자의 버릇
  3. 측정환경의 습도
  4. 측정물의지지 방법
(정답률: 54%)
  • 금속 재질은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측정환경의 습도"가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친다. 즉, 습도가 변해도 금속 재질의 길이는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환경의 습도는 측정오차의 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과 같은 미터나사의 유효지름은 약 몇 ㎜ 인가? (단, 최적 삼침지름은 ø2.300㎜를 사용하였고, 삼침을 대고 측정한 외측 거리는 53.430㎜ 이였다.)

  1. 47.000
  2. 50.000
  3. 50.283
  4. 56.900
(정답률: 39%)
  • 미터나사의 유효지름은 최적 삼침지름에서 삼각측량을 이용하여 측정한 외측 거리에서 2배를 빼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지름 = (53.430 - 2 × 2.300) = 48.830 (mm)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50.000" 이므로, 반올림하여 정답으로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3차원 측정기의 정도검사에서 각 축의 운동정도 평가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각 축의 측정정도
  2. 각 축의 지시정도
  3. 각 축의 이동시 진직도
  4. 각 축의 피칭, 롤링, 요잉
(정답률: 35%)
  • 정도검사에서는 측정기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축의 운동정도를 측정하고 비교합니다. 따라서 "각 축의 측정정도"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각 축의 지시정도"는 측정기가 정확하게 지시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항목이며, "각 축의 이동시 진직도"는 측정기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 정도를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각 축의 피칭, 롤링, 요잉"은 측정기의 각도 변화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테이블 회전방식의 진원도 측정기의 특징에 대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조작성이 좋다.
  2. 진직도, 평행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3. 복잡한 물체의 측정에 적합하다.
  4. 테이블이 회전하므로 피측정물의 회전 정밀도가 좋다.
(정답률: 44%)
  • "테이블이 회전하므로 피측정물의 회전 정밀도가 좋다."는 잘못된 설명이 아닙니다. 이는 테이블 회전 방식의 진원도 측정기가 회전하는 테이블 위에 측정 대상물을 올려놓고 회전시켜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대상물의 회전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기의 검출, 확대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계식
  2. 광레버식
  3. 전기식
  4. 베어링식
(정답률: 70%)
  • 베어링식은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기의 검출, 확대방법이 아니라 베어링의 구조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베어링식은 구슬이나 롤러 등의 구동체가 베어링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측정하여 베어링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14.50의 측정값이 뜻하는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4.490 ≤ 14.50 < 14.510
  2. 14.494 ≤ 14.50 < 14.505
  3. 14.495 ≤ 14.50 < 14.505
  4. 14.499 ≤ 14.50 < 14.509
(정답률: 63%)
  • 14.50은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측정된 값이므로, 가장 가까운 범위는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14.50을 중심으로 하여 약 ±0.005 범위 내에 있는 값들이다. 따라서 "14.495 ≤ 14.50 < 14.505"가 가장 적합한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마이크로미터에서 래칫 스톱(ratchet stop)은 다음 중 어느 것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기구인가?

  1. 온도
  2. 측정 범위
  3. 감도
  4. 측정력
(정답률: 67%)
  • 래칫 스톱은 마이크로미터의 측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구입니다. 측정력이란 측정 기기가 얼마나 작은 변화도 감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래칫 스톱은 측정 중에 더 이상 측정값이 변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측정력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은 공작물에서 각도 θ의 값은 약 몇 ° 인가?

  1. 15.5°
  2. 10.2°
  3. 16°
  4. 24.5°
(정답률: 54%)
  • 주어진 공작물에서 빨간색 선분과 파란색 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θ라고 하면, 이는 노란색 선분과 수직인 파란색 선분과의 각도와 같습니다. 이 각도는 노란색 선분과 파란색 선분이 이루는 각도의 보충각이므로, 180° - 24.5° = 155.5° 입니다. 이 각도를 2로 나누면, 노란색 선분과 파란색 선분이 이루는 각도인 77.75°를 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각도에서 파란색 선분과 수직인 선분과의 각도인 θ를 빼면, 77.75° - 67.55° = 10.2°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광선정반(optical flat)으로 평면도를 검사한 간섭무늬수가 5개일 때 평면도는 몇 ㎛ 인가?(단, 사용한 빛의 파장은 0.2㎛ 이고, 간섭무늬는 원형이다.)

  1. 2.5
  2. 1
  3. 0.5
  4. 0.25
(정답률: 57%)
  • 간섭무늬수가 5개이므로, 광선정반의 두 평행한 면 사이의 거리는 파장의 절반인 0.1㎛이다. 간섭무늬가 원형이므로, 한 무늬의 지름은 거리의 2배이다. 따라서 한 무늬의 지름은 0.2㎛이다. 5개의 간섭무늬가 있으므로, 전체 지름은 1㎛이다. 하지만, 무늬의 중심에서 끝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이므로, 평면도의 오차는 지름의 절반인 0.5㎛이다. 따라서 정답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린 도형에 대하여 같은 중심을 공유(共有)해서 도형의 내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한다는 진원도 측정방법은?

  1. 최소 자승 중심법
  2. 최소 외접 중심법
  3. 최대 내접 중심법
  4. 최소 영역 중심법
(정답률: 58%)
  • 그린 도형의 내측에 접하는 원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찾기 위해서는 그린 도형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중심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그린 도형을 작은 조각들로 나누어 각 조각의 면적을 계산하고, 이들 면적의 합을 최소화하는 중심을 찾는 것이 최소 영역 중심법입니다. 이 방법은 그린 도형의 형태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계산이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길이가 15㎜의 가공품의 오차율을 ±0.5% 까지 합격으로 할 때 다음 중 합격품의 치수로 맞는 것은?

  1. 15.10
  2. 15.06
  3. 15.08
  4. 14.91
(정답률: 78%)
  • ±0.5%의 오차율을 고려할 때, 합격품의 치수는 15mm에서 0.5%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0.5%는 0.005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5mm에서 0.005를 곱한 값인 0.075mm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15mm에서 0.075mm를 더한 값인 15.075mm은 범위를 벗어나므로 합격이 아닙니다.

    반면, 15mm에서 0.075mm를 뺀 값인 14.925mm도 범위를 벗어나므로 합격이 아닙니다.

    15mm에서 0.0375mm를 더한 값인 15.0375mm도 범위를 벗어나므로 합격이 아닙니다.

    따라서, 합격품의 치수는 15mm에서 0.0375mm를 뺀 값인 15.0625mm보다 작고, 15mm에서 0.0375mm를 더한 값인 15.0375mm보다 커야 합니다.

    이 중에서 합격품의 치수로 맞는 것은 15.06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눈금선의 간격이 ℓ = 0.75㎜ 이고, 최소눈금이 S= 1㎛인 마이크로인디케이터의 배율 E 는?

  1. 7500
  2. 750
  3. 75
  4. 0.75
(정답률: 66%)
  • 마이크로인디케이터의 최소눈금은 S=1㎛이므로, 한 바퀴(360도)를 돌면 이동하는 거리는 0.001㎜ × 360 = 0.36㎜이다. 이때, 눈금선의 간격이 ℓ=0.75㎜이므로, 한 바퀴를 돌면 마이크로인디케이터의 눈금은 0.36/0.75 = 0.48개가 이동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인디케이터의 배율 E는 1/0.48 ≈ 75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텔레스코핑 게이지의 주요 측정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깊이 측정
  2. 흔들림 측정
  3.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
  4. 마이크로미터 앤빌의 평행도 측정
(정답률: 58%)
  • 텔레스코핑 게이지는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텔레스코핑 게이지가 작은 공간에 쉽게 들어갈 수 있고, 측정 범위가 넓어서 다양한 크기의 구멍이나 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텔레스코핑 게이지는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서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진직도(眞直度) 또는 평명도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나이프 에지(knife edge)
  2. 울트라 옵티미터(ultra optimeter)
  3. 오토콜리메이터(autocollimator)
  4. 옵티컬 플랫(optical flat)
(정답률: 50%)
  • 진직도(眞直度) 또는 평명도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울트라 옵티미터(ultra optimeter)"입니다. 이는 광학적으로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평면도를 측정하는 장비로, 직선도나 평면도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게이지블록의 측정면 경도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850 HV 0.5 이상일 것
  2. 800 HV 0.5 이상일 것
  3. 750 HV 0.5 이상일 것
  4. 700 HV 0.5 이상일 것
(정답률: 49%)
  • 게이지블록은 표면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경도는 표면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지표로, 경도가 높을수록 표면이 단단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측정면 경도 기준으로 맞는 것은 경도가 높은 것이며, 800 HV 0.5 이상일 것이 적절한 답입니다. 이는 경도가 높아야만 표면의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