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형설계

1. 핀포인트 게이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변형하기 쉬운 성형품에 다점 주입을 할 수 있다.
  2. 성형품에 직접 충전되는 게이트로서 압력손실이 적다.
  3. 게이트의 위치가 비교적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결정된다.
  4. 게이트 부위는 절단하기 쉬우므로, 금형의 형개력(型開力)에 의해 자동 절단된다.
(정답률: 59%)
  • "성형품에 직접 충전되는 게이트로서 압력손실이 적다."가 핀포인트 게이트의 특징이 아닌 이유는, 핀포인트 게이트는 성형품에 직접 충전되는 게이트가 아니라, 게이트 핀을 통해 성형품 내부로 연결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력손실이 적다는 특징은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출성형품 설계 시 빼기 구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성형품을 쉽게 빼내기 위해서 가능한 한 크게 설계한다.
  2. 성형 수축률이 적은 재료는 가능한 한 구배를 크게 한다.
  3. 성형품의 형상 및 성형재료의 종류에 따라 빼기 구배를 다르게 준다.
  4. 컵과 같은 제품은 외면측보다 내면측에 빼기 구배를 약간 적게 주는 것이 좋다.
(정답률: 70%)
  • "성형품을 쉽게 빼내기 위해서 가능한 한 크게 설계한다."가 틀린 것이다. 사출성형에서는 빼기 구배를 적절히 주어야 성형품을 쉽게 빼낼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설계하는 것보다는 적절한 크기와 빼기 구배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크루의 지름이 42㎜이고 사출속도가 5㎝/sec일 때, 사출율[cm3/sec]은 약 얼마인가?

  1. 67.3
  2. 69.3
  3. 70.5
  4. 78.2
(정답률: 74%)
  • 사출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출율 = (스크루 직경/2)2 × π × 사출속도

    = (42/2)2 × 3.14 × 5

    ≈ 69.3

    따라서, 정답은 "69.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금형 조립 시 사용되는 핀을 설계할 때, 전단응력에 대해 필요한 핀의 지름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P는 하중, τa 는 허용 전단 응력이다.)

(정답률: 75%)
  • 정답은 "" 이다.

    핀의 지름은 P/τa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다. 이는 전단응력이 핀의 허용 전단 응력보다 작아야 핀이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핀의 지름은 하중 P와 허용 전단 응력 τa에 비례하며, 전단응력이 작을수록 핀의 지름은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성형품의 구멍이 있는 깊은 보스(boss)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성형품을 밀어내는 데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금형 부품은?

  1. D형 핀
  2. 슬리브 핀
  3. 블레이드 핀
  4. 밸브 헤드 핀
(정답률: 94%)
  • 슬리브 핀은 금형의 보스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성형품을 밀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금형 부품입니다. 다른 핀들은 보스 부위와 직접적인 접촉이 어렵거나, 성형품을 밀어내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물통이나 컵과 같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시 진공상태로 되는, 깊고 얇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에 가장 적당한 방식은?

  1. 공기압 이젝터 방식
  2. 슬리브 이젝터 방식
  3. 가이드 핀 이젝터 방식
  4. 이젝터 핀에 의한 방식
(정답률: 81%)
  • 깊고 얇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에 가장 적합한 방식은 공기압 이젝터 방식입니다. 이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진공상태를 만들어 성형품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슬리브 이젝터 방식은 성형품 내부에 슬리브를 사용하여 밀어내는 방식이며, 가이드 핀 이젝터 방식은 가이드 핀을 사용하여 밀어내는 방식입니다. 이젝터 핀에 의한 방식은 이젝터 핀을 사용하여 밀어내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들 방식은 깊고 얇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언더컷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가 복잡하다.
  2. 이형이 어렵게 된다.
  3. 성형사이클이 단축된다.
  4. 성형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정답률: 85%)
  • 정답은 "이형이 어렵게 된다."이다.

    언더컷 처리는 제품의 디자인을 보다 세밀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제품의 형태가 복잡하고 세부적인 부분이 많을 때 사용된다. 이러한 처리는 성형사이클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형이 어렵게 된다는 것은 제품의 형태가 복잡해지면서 성형기에서 제품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성형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성형품의 호칭치수 200㎜이며, 성형 수지의 수축률이 15/1000일 때, 상온의 금형치수는 약 얼마인가?

  1. 200.30㎜
  2. 203.05㎜
  3. 215.16㎜
  4. 230.04㎜
(정답률: 64%)
  • 성형품의 호칭치수는 200㎜이므로, 이 값이 상온에서의 금형치수가 된다.
    하지만 성형 수지의 수축률이 15/1000이므로, 금형치수는 이 값보다 더 커진다.
    즉, 금형치수 = 호칭치수 / (1 - 수축률) = 200 / (1 - 0.015) = 203.05㎜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3.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러너리스(runnerless)금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생산원가가 절감된다.
  2. 제품의 외관이나 물리적 특성이 좋아진다.
  3. 사출 용량이 적은 성형기로 성형이 가능하다.
  4.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 수지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90%)
  •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 수지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러너리스 금형은 사출 용량이 적은 성형기로 성형이 가능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제품의 외관이나 물리적 특성이 좋아질 수 있지만,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 수지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러너리스 금형의 구조상 러너가 없기 때문에 러너 부분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른 제약이 없어지지만, 금형 내부의 유동성이나 충돌 등의 문제로 인해 일부 형상이나 사용 수지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파팅 라인(Parting line)의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게이트의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한다.
  2. 언더컷이 있는 곳에 설치하도록 한다.
  3. 제품의 후처리가 쉬운 곳에 설치하도록 한다.
  4. 제품 표면 및 눈에 잘 보이는 곳은 가능한 한 피한다.
(정답률: 90%)
  • "언더컷이 있는 곳에 설치하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파팅 라인은 제품을 분리하는 라인으로, 언더컷이 있는 곳에 설치하면 분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언더컷이 있는 곳에 설치하지 않도록 한다."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트랜스퍼 금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생산성이 높다.
  2. 작업안정성이 높다.
  3.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4. 기계설비의 초기 투자비가 낮다.
(정답률: 93%)
  • "기계설비의 초기 투자비가 낮다."는 트랜스퍼 금형의 특징이 아닙니다. 트랜스퍼 금형은 여러 개의 작업공정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작업안정성이 높으며,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투자비는 다른 금형과 비슷하거나 더 높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두께가 3㎜이고, 직경이 30㎜인 제품의 블랭킹 가공을 하기 위한 펀치와 다이의 직경은? (단, 소재의 편측 클리어런스는 4%이다.)

  1. 펀치직경 : 29.76㎜, 다이직경 : 30㎜
  2. 펀치직경 : 29.88㎜, 다이직경 : 30㎜
  3.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76㎜
  4.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88㎜
(정답률: 64%)
  • 블랭킹 가공에서는 펀치와 다이의 직경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다이의 직경은 30㎜이다.

    펀치의 직경은 소재의 편측 클리어런스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소재의 편측 클리어런스는 소재의 두께에 일정한 비율을 곱한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소재의 편측 클리어런스가 4%이므로, 3㎜의 4%는 0.12㎜이다.

    따라서 펀치의 직경은 30㎜에서 0.12㎜를 뺀 값인 29.88㎜이 될 것 같지만, 이 값은 다이의 직경과 다르므로 오답이다.

    실제로는 펀치의 직경을 계산할 때, 다이의 직경도 고려해야 한다. 블랭킹 가공에서는 소재가 다이와 펀치 사이에서 약간의 변형을 겪게 되는데, 이 때문에 다이의 직경보다 펀치의 직경이 조금 작아져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펀치의 직경을 계산하면, 다이의 직경이 30㎜일 때 펀치의 직경은 29.76㎜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펀치직경 : 29.76㎜, 다이직경 :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두께 1.8mm의 연강판을 사용하여 지름 38㎜의 구멍을 피어싱 가공할 경우 소요되는 전단력(kgf)은 약 얼마인가? (단, 전단하중은 40kgf/mm2 이다.)

  1. 4798.5
  2. 8595.4
  3. 12893.6
  4. 17691.2
(정답률: 73%)
  • 전단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단력 = 전단하중 × 전단면적

    전단면적은 구멍의 면적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단면적 = π/4 × (지름)2

    따라서 전단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단력 = 40kgf/mm2 × π/4 × (38mm)2 × 1.8mm
    ≈ 8595.4kgf

    따라서 정답은 "8595.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요 공정 수에 상당하는 대수의 프레스 기계를 병렬로 배치한 프레스 라인을 통해 가공제품을 전자동으로 이송하여 각 기계간에 흐르게 하는 방법은?

  1. 조립 가공
  2. 트랜스퍼 가공
  3. 파인블랭킹 가공
  4. 프로그레시브 가공
(정답률: 78%)
  • 트랜스퍼 가공은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방법으로, 여러 대의 프레스 기계를 일렬로 배치하여 가공제품을 전자동으로 이송하여 각 기계간에 순차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공정의 안정성과 일관성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요 공정 수에 상당하는 대수의 프레스 기계를 병렬로 배치한 프레스 라인에서는 트랜스퍼 가공이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용기 또는 판재에 장식, 보강, 변형제거의 목적으로 끈 모양의 돌출부를 내는 가공은?

  1. 비딩(beading)
  2. 벌징(bulging)
  3. 시밍(seaming)
  4. 사이징(sizing)
(정답률: 67%)
  • 비딩은 끈 모양의 돌출부를 만드는 가공 기술로, 장식, 보강, 변형제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판재나 용기의 가장자리에 둥근 모양의 비딩을 만들어내어 강도를 높이고, 누출을 방지하며, 디자인적인 요소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비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두께 1㎜, 지름 100㎜의 원형 소재를 가지고 지름 40㎜의 원통컵을 만들고자 할 때 필요한 드로잉 공정 수는? (단, 초기 드로잉률은 0.55, 2공정 이후의 재드로잉률은 0.8로 계산)

  1. 1공정
  2. 2공정
  3. 3공정
  4. 4공정
(정답률: 56%)
  • 드로잉 공정은 소재를 원하는 형태로 만들기 위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공정입니다. 초기 드로잉률이 0.55이므로, 처음에는 소재의 두께가 0.55배로 줄어들어 0.55㎜가 됩니다. 이후 2공정에서 재드로잉률이 0.8이므로, 다시 소재의 두께가 0.8배로 줄어들어 0.44㎜가 됩니다. 이제 이 소재를 가지고 지름 40㎜의 원통컵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3공정이 필요합니다. 3공정에서는 소재를 원하는 형태로 더욱 더 재드로잉하여 원통컵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3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금형 부품 중 가공 압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 방지를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반드시 열처리를 해야 하는 부품은?

  1. 다이홀더
  2. 펀치홀더
  3. 펀치 고정판
  4. 다이플레이트
(정답률: 75%)
  • 다이플레이트는 금형에서 가공 압력을 받는 부품 중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다이플레이트는 금형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금형에서 가공 압력을 받아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열처리를 해야 합니다. 다이홀더, 펀치홀더, 펀치 고정판은 다이플레이트와는 달리 가공 압력을 직접 받지 않기 때문에 열처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프레스 기계의 점검 사항 내용이 아닌 것은?

  1. 클러치의 동작 상태
  2. 안전장치의 동작 상태
  3. 램의 섕크 고정볼트 조임 상태
  4. 가이드 핀과 부시의 슬라이딩 상태
(정답률: 89%)
  • 가이드 핀과 부시의 슬라이딩 상태는 프레스 기계의 점검 사항 중 하나이지만, 이는 중요한 점검 사항이 아닙니다. 가이드 핀과 부시는 램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품으로, 슬라이딩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하지만, 이는 프레스 기계의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이드 핀과 부시의 슬라이딩 상태는 다른 점검 사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로그레시브 금형가공에서 캐리어(carrier)의 가장 큰 역할로 적합한 것은?

  1. 소재 잔폭을 결정한다.
  2. 재료의 이용률을 높게 한다.
  3. 블랭크의 이빠짐 현상을 방지한다.
  4. 반 가공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정확하게 운송한다.
(정답률: 77%)
  • 캐리어는 금형에서 가공된 반 가공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는 제품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유지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가공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반 가공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정확하게 운송한다."가 가장 큰 역할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동식 스트리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펀치를 고정시킨다.
  2. 가공한 제품의 거스러미가 적다.
  3. 펀치가 소재에 박힐 때까지 안내한다.
  4. 스트립을 누르면서 가공하기 때문에 제품이 휘지 않는다.
(정답률: 73%)
  • "펀치를 고정시킨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동식 스트리퍼는 펀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트립을 고정시켜 가공하는 도구입니다. 스트립을 누르면서 가공하기 때문에 제품이 휘지 않고, 펀치가 소재에 박힐 때까지 안내합니다. 또한 가공한 제품의 거스러미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작법

21. 주형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주물사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반복 사용하여도 노화하지 않을 것
  2. 용탕의 압력에 견딜 만한 고온 강도
  3. 용탕의 온도에 견딜 만한 내화 온도
  4. 용탕에서 나오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것
(정답률: 87%)
  • 주형을 만드는 과정에서 용탕에서 나오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는 것은 구비조건이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용탕에서 나오는 가스는 대기오염물질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물사에서는 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가능하면 완전히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주형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구비조건이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합금 주철에 첨가되는 원소의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크롬은 경도, 내열성, 내부식성이 증가한다.
  2. 니켈은 얇은 부분은 칠(chill)발생을 방지한다.
  3. 몰리브덴은 흑연화를 방지하며, 경도를 증가시킨다.
  4. 바나듐은 흑연을 조대화시키고, 흑연화를 촉진시킨다.
(정답률: 77%)
  • 바나듐은 흑연을 조대화시키고, 흑연화를 촉진시킨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바나듐은 주로 경도와 내식성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드로잉(drawing)시 역장력을 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이 수명이 증가된다.
  2. 드로잉 저항이 감소된다.
  3. 다이면에 발생되는 압력이 증가된다.
  4. 가공된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 좋아진다.
(정답률: 73%)
  • "다이면에 발생되는 압력이 증가된다."가 틀린 것이다. 역장력은 금속의 결정 구조를 조절하여 가공된 제품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 드로잉 저항을 감소시키며, 다이 수명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다이면에 발생되는 압력은 역장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절삭 작업에서 절삭저향력이 300kgf, 절삭속도가 75m/min일 때 절삭동력은 몇 PS인가?

  1. 3
  2. 5
  3. 7
  4. 9
(정답률: 70%)
  • 절삭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절삭동력 = (절삭저향력 × 절삭속도) ÷ 60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절삭동력 = (300 × 75) ÷ 60000 = 0.375

    단위는 kW(킬로와트)이므로, 이를 PS(마력)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절삭동력(PS) = 0.375 × 1.36 = 0.51 ≈ 5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름 6㎜, 날수 6개인 엔드밀을 사용하여 회전수 1500rpm, 이송속도 1800㎜/min로 가공할 때, 날 1개당 이송량(㎜)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62%)
  • 이송속도는 1800㎜/min 이므로 1초당 이송량은 30㎜입니다. 엔드밀의 지름이 6㎜이므로 한 번의 회전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원주인 πd (≈18.85㎜)입니다. 따라서 1회전당 이송량은 18.85㎜입니다. 날수가 6개이므로 1개당 이송량은 18.85/6 ≈ 3.14㎜입니다. 이를 1초당 이송량으로 환산하면 3.14/30 ≈ 0.1㎜/s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1"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삼침법에서 나사산이 각도 60°인 미터나사의 유효지름(De)을 구하는 식이 옳은 것은? (단, M은 삼침을 나사 홈에 접촉 후 측정한 외측거리, W는 삼침의 지름, P는 미터나사의 피치이다.)

  1. De = M + 3 W - 0.86601 P
  2. De = M - 3 W + 0.86603 P
  3. De = M - 5 W + 0.96605 P
  4. De = M + 3 W - 0.96607 P
(정답률: 70%)
  • 삼침법에서 나사산이 각도 60°인 미터나사의 유효지름(De)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De = M - 3W + 0.86603P

    이 식에서 M은 삼침을 나사 홈에 접촉 후 측정한 외측거리이다. W는 삼침의 지름이다. P는 미터나사의 피치이다.

    이 식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유도된 것이다. 나사산이 60°인 경우, 삼각형의 한 변이 P, 다른 한 변이 W, 그리고 나사산과 이 변들이 이루는 각이 60°이므로, 나머지 한 변은 Pcos60° = 0.5P이다. 이 삼각형에서 높이를 구하면, h = 0.86603P이다.

    이제 이 삼각형을 이용하여 유효지름을 구할 수 있다. 유효지름은 나사산에서 삼침까지의 거리인 M에서, 삼침의 지름 2W와 나사산과 삼각형의 높이 h를 더한 것이다.

    따라서, De = M - 3W + 0.86603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방전가공 시 전극 재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구리
  2. 황동
  3. 세라믹
  4. 그라파이트(흑연)
(정답률: 87%)
  • 방전가공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서 전기를 통해 방전을 일으켜 가공하는 공정입니다. 이때 전극은 전기를 통해 방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극 재질은 전기전도성이 높아야 하며, 세라믹은 전기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방전가공 시 전극 재질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1. 쏘잉(sawing)
  2. 호닝(honing)
  3. 펀칭(punching)
  4. 드릴링(drilling)
(정답률: 83%)
  •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호닝입니다. 호닝은 고속 회전하는 연마 도구를 이용하여 구멍의 내면을 깨끗하게 연마하는 공정으로, 표면의 거칠기와 직경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쏘잉, 펀칭, 드릴링보다 더욱 정밀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을 A3 ~ Acm 변태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조직을 변화시킨 후 공랭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뜨임
  2. 불림
  3. 질화법
  4. 침탄법
(정답률: 53%)
  • 강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조직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불림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강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어서, 강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불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교류아크 용접기에서 효율(%)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입니다.

    교류아크 용접기에서의 효율(%)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효율(%) = (용접전력 ÷ 입력전력) × 100

    입력전력은 용접기에 공급되는 전력이고, 용접전력은 실제로 용접에 사용되는 전력입니다. 따라서 입력전력보다 용접전력이 작을수록 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위의 보기에서 ""은 용접전력이 입력전력보다 작아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와 ""은 입력전력과 용접전력이 같거나 입력전력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효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는 입력전력과 용접전력이 같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효율은 10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절삭저항을 3분력 중 주분력 P1, 이송분력 P2, 배분력 P3일 때 크기 비교가 옳은 것은? (단, 공구는 초경바이트 피삭재는 저탄소강, 절삭 깊이는 노즈 반지름 이내로 가공할 때이다.)

  1. P1 > P2 > P3
  2. P1 > P3 > P2
  3. P3 > P1 > P2
  4. P3 > P2 > P1
(정답률: 61%)
  • 절삭저항은 주분력, 이송분력, 배분력에 따라 달라진다. 주분력은 가공물의 절삭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송분력은 가공물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분력은 절삭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절삭저항이 가장 큰 것은 주분력이 가장 큰 경우이고, 그 다음으로는 배분력이 큰 경우이며, 가장 작은 것은 이송분력이 큰 경우이다. 따라서, "P1 > P3 > P2"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이음의 안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시공조건
  2. 재료의 용접성
  3. 용접사의 심리상태
  4. 구조상의 노치부 회피
(정답률: 81%)
  • 용접이음의 안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는 "용접사의 심리상태"가 아닙니다. 이는 용접 기술과 경험, 안전 교육 등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요소들은 시공조건, 재료의 용접성, 구조상의 노치부 회피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절삭공구 재료 중 다이아몬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장시간 고속 절삭이 가능하다.
  2. 날 끝이 손상되면 재가공이 어렵다.
  3. 금속에 대한 마찰계수 및 마모율이 크다.
  4. 표면 거칠기가 우수한 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74%)
  • 다이아몬드는 금속에 대한 마찰계수 및 마모율이 크지 않습니다. 오히려 다이아몬드는 금속을 절삭할 때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모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금속에 대한 마찰계수 및 마모율이 크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래핑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얻을 수 있다.
  2. 가공면은 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좋다.
  3. 가공이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4.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하기 쉽다.
(정답률: 82%)
  • 래핑가공은 가공과정에서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해연마 가공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2.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연마가 가능하다.
  3. 가공 변질층이 있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4. 연질의 알루미늄, 구리 등도 쉽게 광택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4%)
  • 가공 변질층이 있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전해연마 가공법이 가공 과정에서 재료의 표면을 깨끗하게 연마하면서도, 동시에 재료의 표면을 약간 변형시켜 가공면을 더욱 평활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가공법에 비해 더욱 정밀하고 깨끗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이 내의 테이퍼 구멍으로 소재를 잡아당겨서 테이퍼 구멍과 동일한 단면의 봉재, 관재, 선재를 제작하는 가공방법은?

  1. 압연
  2. 압출
  3. 인발
  4. 전조
(정답률: 74%)
  • 다이 내의 테이퍼 구멍으로 소재를 잡아당겨서 테이퍼 구멍과 동일한 단면의 봉재, 관재, 선재를 제작하는 가공방법은 인발이다. 인발은 다이 내부에 있는 소재를 외부로 끌어내어 길이를 늘리고 단면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압연, 압출, 전조와는 다른 가공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인바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각도는?

  1. 15도
  2. 25도
  3. 35도
  4. 45도
(정답률: 75%)
  • 사인바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각도는 45도이다. 이는 사인 함수의 특성상 45도에서 최대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45도에서는 작은 변화에도 큰 값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오차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선반에서 절삭에 필요한 전 소비동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손실동력
  2. 이송동력
  3. 회전동력
  4. 유효절삭동력
(정답률: 53%)
  • 선반에서 절삭에 필요한 전 소비동력은 "손실동력", "이송동력", "유효절삭동력"이 모두 해당하지만, "회전동력"은 절삭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동력이 아니라 회전하는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이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선반에서 경사면 위를 연속적으로 흘러 나가는 모양의 칩이 발생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경사각이 클 때
  2. 절삭속도가 빠를 때
  3. 절삭깊이가 많을 때
  4. 윤활성이 좋은 절삭제를 사용할 때
(정답률: 72%)
  • 절삭깊이가 많을 때는 칩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절삭깊이가 깊어질수록 절삭력이 증가하고, 이는 칩이 발생하기 전에 재료를 파괴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삭깊이가 많을 때는 칩 대신 재료 파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알루미늄 합금과 마그네슘 합금 등의 주조에 주로 사용하나, 금형의 선택 조건이 까다롭고 비싸므로 대량 생산에 주로 이용되는 주조법은?

  1. 원심 주조법
  2. 칠드 주조법
  3. 다이캐스팅법
  4. 셀 몰드 주조법
(정답률: 89%)
  • 다이캐스팅법은 금형 내부에 고압으로 압축된 용융 금속을 주입하여 제품을 만드는 주조법으로, 고정밀 제품 생산에 적합하며 대량 생산에도 용이하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과 마그네슘 합금 등의 대량 생산에 주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학

41. 섬유강화금속(FRM)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비강도 및 비강성이 낮다.
  2. 2차성형성 및 접합성이 있다.
  3. 섬유축 방향의 강도가 크다.
  4. 고온의 역학적 특성 및 열적안정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4%)
  • 섬유강화금속(FRM)은 섬유로 강화된 금속으로, 섬유축 방향의 강도가 크고 고온의 역학적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비강도 및 비강성이 낮다는 것은 FRM이 일반적인 금속보다는 덜 단단하고 덜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FRM이 강화를 위해 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단점으로, FRM은 강도와 강성을 희생하고 가벼움과 가공성을 얻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조밀육방격자로만 짝지어진 것은?

  1. Fe, Cr, Mo
  2. Pb, Ti, Pt
  3. Mg, Zn, Cd
  4. Al, Ni, Cu
(정답률: 63%)
  • 조밀육방격자 구조는 각 원자들이 서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구조로, 이 구조를 가지는 원소들은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Mg, Zn, Cd는 모두 조밀육방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다른 보기들은 조밀육방격자 구조를 가지지 않거나, 구조가 비슷하지 않아서 비슷한 성질을 가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크리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크리프의 3단계 중 1단계를 정상크리프라 한다.
  2. 어떤 재료가 크리프가 생기는 요인은 온도와 하중과 시간이다.
  3. 어떤 시간 후에 크리프가 정지하는 최대 응력을 크리프 한도라 한다.
  4. 철강 및 합금 등은 250℃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크리프 현상이 일어난다.
(정답률: 54%)
  • 정답: "철강 및 합금 등은 250℃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크리프 현상이 일어난다."

    설명: 크리프의 3단계 중 1단계를 정상크리프라 하는 이유는, 이 단계에서는 응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시간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재료가 크리프가 생기는 요인은 온도와 하중과 시간이 맞습니다. 어떤 시간 후에 크리프가 정지하는 최대 응력을 크리프 한도라고 합니다. 그러나 철강 및 합금 등은 250℃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크리프 현상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은 "철강 및 합금 등은 250℃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크리프 현상이 일어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구조용강에서 청열취성이 원인이 되는 고용 성분은?

  1. N
  2. V
  3. Al
  4. Nb
(정답률: 62%)
  • 정답은 "N"입니다. 이유는 청열취성이 원인이 되는 고용 성분은 질소(Nitrogen)입니다. V, Al, Nb은 강도를 증가시키는 합금 원소이며, 청열취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현상은?

  1. 공식 발생을 일으키는 주요 이온은 Cl-, F-, Br-이다.
  2. 고온(1000~1150℃)에서 가열 후 급냉하면 입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3. 공식 발생 대책은 재료 중에 C를 많게 하거나 Ni, Cr, Mo, I, N 등을 적게 한다.
  4. 입계부식의 방지대책은 C 와의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Nb, Ta을 첨가해서 안정화 시킨다.
(정답률: 53%)
  • "공식 발생 대책은 재료 중에 C를 많게 하거나 Ni, Cr, Mo, I, N 등을 적게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C, Ni, Cr, Mo, I, N 등을 적절히 첨가하여 합금화하여 공식 발생을 예방하고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C를 많게" 하거나 "적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양을 첨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연(Zn)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융점은 약 420℃ 이다.
  2. 고온의 증기압이 높다.
  3.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이다.
  4. 일반적으로 25℃에서 밀도는 약 7.13g/cm3 이다.
(정답률: 60%)
  •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아연은 상온에서는 입방격자를 가지고 있으며, 면심입방격자는 다른 금속인 구리(Cu)나 알루미늄(Al) 등이 가지고 있는 구조입니다.

    즉, 아연은 상온에서 입방격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의 강재 중 탄소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SKH51
  2. SM15C
  3. SCr415
  4. SNCM220
(정답률: 60%)
  • 정답은 "SKH51"입니다. 이는 고속도로용 자동차 부품, 항공기 부품, 공작기계 부품 등에 사용되는 고속도감각강재로, 탄소 함유량이 0.9%에서 1.2%로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다른 강재들은 탄소 함유량이 SKH51보다 낮거나 비슷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신소재를 각 군으로 나눌 때 반도체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U, Th
  2. Cs, Na, Li
  3. Ge, Si, Se
  4. V, W, Mo
(정답률: 58%)
  • 반도체는 전기를 통과시키는 능력이 있지만, 금속처럼 전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지는 않는 소재를 말합니다. Ge, Si, Se는 반도체 소재로, 전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어 전기를 통과시키는 능력이 있지만, 금속처럼 자유롭게 전기를 통과시키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Mg계 합금이 구조재료로서 갖는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에서 변형이 쉽다.
  2. 감쇠능이 주철보다 커서 소음방지 구조재로서 우수하다.
  3. 비강도가 커서 휴대용 기기나 항공우주용 재료로 사용된다.
  4. 치수 안정성이 좋아 상온에서 100℃까지는 장시간에 걸쳐도 치수 변화가 없다.
(정답률: 56%)
  •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에서 변형이 쉽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Mg계 합금은 소성가공성이 낮아 상온에서는 변형이 어렵습니다. 이는 Mg의 결정구조와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고온에서는 소성가공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쾌삭강(快削鋼)의 제조에서 쾌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S
  2. Se
  3. Cr
  4. Pb
(정답률: 54%)
  • 쾌삭강의 제조에서 쾌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는 주로 S(황)과 Se(셀레늄)이며, 이들은 강의 절삭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반면에 Cr(크롬)은 강의 내식성과 경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지만, 쾌삭성을 향상시키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분말야금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절삭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2. 다공질의 금속재료를 만들 수 있다.
  3. 용해법으로 만들 수 없는 합금을 만들 수 있다.
  4. 제조과정에서 융점이상까지 온도를 올려야 한다.
(정답률: 70%)
  • "제조과정에서 융점이상까지 온도를 올려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분말야금법은 고온에서 금속 분말을 압축하여 고체로 만드는 기술이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융점 이상의 고온이 필요합니다. 이는 분말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분말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고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조과정에서 융점이상까지 온도를 올려야 한다."는 분말야금법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항온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마퀘칭(Marquenching)
  2. 마템퍼링(Martempering)
  3. 인상 담금질(Time quenching)
  4. 오스템퍼링(Austempering)
(정답률: 79%)
  • 인상 담금질은 열처리 과정 중에 강재를 일정한 시간 동안 고온에서 유지한 후 냉각하는 방법이 아니라, 담금질 과정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고온에서 유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항온열처리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모넬 메탈(Monel metal)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Ni에 Al을 첨가하여 주조성을 높인 합금이다.
  2. 일명 백동이라 하며 가공성과 절삭성을 개선한 합금이다.
  3. Ni(60~70%)에 Cu 를 첨가하여 내식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합금이다.
  4. R - monel은 소량의 Si 를 넣어 강도를 향상시키고 절삭성을 저하한 합금이다.
(정답률: 49%)
  • 모넬 메탈은 니켈(Ni)에 구리(Cu)를 첨가하여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합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i(60~70%)에 Cu 를 첨가하여 내식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합금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금속의 강화기구 중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고용강화
  2. 가공경화
  3. 분산강화
  4. 결정립미세화강화
(정답률: 73%)
  • 결정립미세화강화는 금속 내부의 결정립 크기를 작게 만들어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작은 결정립은 금속 내부에서 발생하는 변형을 방해하여 강도를 높이고, 동시에 결정립 경계에서 발생하는 변형이 더욱 쉬워져 인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결정립미세화강화는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주철을 접종처리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기지조직을 조대화 하기 위해서
  2. 흑연형상의 개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주철에서 chill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4. 결정의 핵생성을 촉진하고 조직 및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답률: 56%)
  • 주철을 접종처리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결정의 핵생성을 촉진하고 조직 및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l-Cu-Si계 합금으로 Si 에 의하여 주조성을 개선하고, Cu 에 의해 피삭성을 좋게 한 합금의 명칭은?

  1. 라우탈(Lautal)
  2. 슈퍼인바(Superinvar)
  3. 문쯔메탈(Muntz metal)
  4. 하이드로날륨(Hydronalium)
(정답률: 60%)
  • Al-Cu-Si계 합금은 Si와 Cu의 함량에 따라 다양한 성질을 가지는데, Si 함량이 높을수록 주조성이 개선되고 Cu 함량이 높을수록 피삭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Si 함량이 높고 Cu 함량이 적당한 합금을 "라우탈(Lautal)"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6:4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으로 판ㆍ봉 등으로 가공되어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

  1. 델타 메탈(delta metal)
  2. 네이벌 브라스(navel brass)
  3. 두라나 메탈(durana metal)
  4. 애드미럴티 메탈(admiralty metal)
(정답률: 54%)
  • 네이벌 브라스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해군에서 사용되는 항해용 기기와 장비에 사용되는 고강도 합금입니다. 이 합금은 높은 내식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바다에서 사용되는 기기와 장비에 적합합니다. 또한, 네이벌 브라스는 높은 연성과 가공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공이 용이하며,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강을 열간가공한 후 냉간 가공하여 제품의 치수조절, 표면 마무리 면을 아름답게 하거나 가공 경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간가공은 잔류응력이 압축응력일 때 피로강도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2. 청열취성온도 영역에서 온간가공하면 전위밀도의 증가에 따라 강도가 상승한다.
  3. 적층결함에너지가 낮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에서 경화현상이 현저하다.
  4. 항복점 연신을 나타내는 강을 항복점 이상으로 냉간가공하면 항복점과 항복연신이 증가한다.
(정답률: 60%)
  • "적층결함에너지가 낮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에서 경화현상이 현저하다."는 냉간가공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항복점 연신을 나타내는 강을 항복점 이상으로 냉간가공하면 항복점과 항복연신이 증가하는 이유는, 냉간가공 과정에서 잔류응력이 증가하고 결정립 구조가 세분화되면서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항복점 이상으로 가공하면 항복점 이하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변형이 감소하므로 항복점과 항복연신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C) 함량은 약 몇 %인가?

  1. 0.027wt%C
  2. 0.8wt%C
  3. 2.0wt%C
  4. 6.67wt%C
(정답률: 64%)
  • 강과 주철은 모두 철과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강은 탄소 함량이 2.0wt% 이하인 것을 강조하고, 주철은 탄소 함량이 2.0wt% 이상인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C) 함량은 약 2.0w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쇼트 피이닝(shot peening)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강재의 피로한도(fatigue limit)를 높여 준다.
  2. 쇼트피이닝은 강재의 화학조성을 변화시키는 표면 경화법이다.
  3. 크랭크 축(crank shaft), 각종 기어, 스프링등의 부품에 이용된다.
  4. 강재의 표면경도를 높게 하고 표면층에 압축응력을 존재하게 한다.
(정답률: 65%)
  • "쇼트피이닝은 강재의 화학조성을 변화시키는 표면 경화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쇼트피이닝은 강재의 표면을 작은 금속 구슬이나 파우더로 충격 처리하여 표면을 압축하고 경화시키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강재의 화학조성을 변화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밀계측

61. 측정에서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확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우연오차에 의한 것이고, 정밀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계통적 오차에 의한 것이다.
  2. 측정에 있어서는 정확도와 정밀도의 양쪽을 포함한 것 또는 그 어느 쪽을 지적하여 정도라 한다.
  3. 정확도는 한쪽으로 치우침이 작은 정도를 말하며, 정밀도는 흩어짐이 작은 정도를 말한다.
  4. 양적인 표시에 대해서 정확도는 모평균에서 참값을 뺀 값으로 표시하고 정밀도는 모표준편차 값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53%)
  • "양적인 표시에 대해서 정확도는 모평균에서 참값을 뺀 값으로 표시하고 정밀도는 모표준편차 값으로 표시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확도와 정밀도는 모두 측정값과 참값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정확도는 참값과의 차이를 평균화한 것이고, 정밀도는 측정값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20℃에서 50.000인 게이지 블록을 손으로 잡아서 30℃가 되었다면, 이 때의 게이지 블록 치수는 약 몇 ㎜ 인가? (단, 게이지 블록의 선팽창계수 α = 11.1 x 10-5/℃ 한다.)

  1. 50.006
  2. 50.012
  3. 50.056
  4. 50.082
(정답률: 61%)
  • 먼저, 선팽창계수 α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α = (변화한 길이) / (초기 길이 x 변화한 온도)

    여기서 변화한 길이는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게이지 블록의 치수이다. 초기 길이는 50.000인 게이지 블록의 길이이고, 변화한 온도는 30℃ - 20℃ = 10℃이다.

    따라서, 변화한 길이 = α x 초기 길이 x 변화한 온도 = 11.1 x 10^-5/℃ x 50.000 x 10℃ = 0.0555mm

    따라서, 50.000인 게이지 블록이 30℃에서의 치수는 50.000 + 0.0555 = 50.056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 거칠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Ra
  2. Rmax
  3. Rz
  4. Rq
(정답률: 43%)
  • 정답은 "Rmax"입니다.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 거칠기의 종류는 "Ra", "Rz", "Rq"이며, 이들은 각각 평균 거칠기, 최대 거칠기, 효과적 거칠기를 나타냅니다. 반면 "Rmax"는 최대 거칠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KS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3차원 측정기의 사용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능률의 향상
  2. 측정값의 불안정성
  3. 피로의 경감
  4. 데이터 정리의 자동화
(정답률: 80%)
  • 측정기의 3차원 측정 기능은 측정능률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정리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측정기의 측정값이 불안정하다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어 측정값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측정값의 불안정성은 3차원 측정기의 사용효과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간접 측정에 속하는 것은?

  1. 하이트 마이크로미터에 의한 금형부품의 높이 측정
  2. 삼점식 내측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내경의 측정
  3.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한 외경의 측정
  4. 3침에 의한 나사 유효지름 측정
(정답률: 78%)
  • 간접 측정은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크기를 다른 크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하이트 마이크로미터에 의한 금형부품의 높이 측정", "삼점식 내측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내경의 측정",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한 외경의 측정"은 모두 직접 측정에 해당한다. 반면에 "3침에 의한 나사 유효지름 측정"은 나사의 기본 지름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때, 나사의 피치(나사 간격)와 나사 각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방법이므로 간접 측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한계 게이지에 의한 검사로 불합격된 부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통과쪽이 불합격인 축의 경우는 허용치수보다 크기 때문이다.
  2. 통과쪽이 불합격인 구멍의 경우는 허용치수보다 작기 때문이다.
  3. 통과쪽이 불합격인 제품은 모두 재가공이 불가능한 것들이다.
  4. 정지쪽이 불합격인 축의 경우는 허용치수보다 작기 때문이다.
(정답률: 61%)
  • "통과쪽이 불합격인 제품은 모두 재가공이 불가능한 것들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부 부품은 재가공을 통해 허용치수 이내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기의 검출, 확대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계식
  2. 광학식
  3. 전기식
  4. 베어링식
(정답률: 78%)
  • "베어링식"은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기의 검출, 확대방법의 종류가 아닙니다. 베어링식은 베어링의 구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 대상의 표면거칠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린 도형에 대해 같은 중심으로 공유해서 도형의 내측에 접하는 원과 외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지름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진원도 측정 방식은?

  1. 최소자승 중심법
  2. 최소외접 중심법
  3. 최대내접 중심법
  4. 최소영역 중심법
(정답률: 56%)
  • 최소영역 중심법은 그린 도형의 내측에 접하는 원과 외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지름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그린 도형의 넓이를 최소화하는 중심을 찾는 것과 같은 원리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그린 도형의 형태와 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유효하며,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정확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투영기의 투영배율이 20X일 때, 10㎛ 까지 읽을 수 있다면, 투영배율이 50X 때는 몇 ㎛ 까지 읽을 수 있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62%)
  • 투영배율이 20X에서 10㎛를 읽을 수 있다는 것은 실제 크기가 10/20 = 0.5㎛인 물체가 투영되어 10㎛로 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투영배율이 50X일 때, 동일한 크기의 물체가 투영되면 0.5 × (20/50) = 0.2㎛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50X의 투영배율에서는 0.2㎛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300㎜의 게이지 블록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에어리 점(airy point) a 의 값은 약 몇 ㎜ 인가?

  1. 63.39
  2. 66.09
  3. 68.96
  4. 71.58
(정답률: 57%)
  • 에어리 점이란 빛의 굴절로 인해 빛이 모이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게이지 블록을 사용하여 측정하므로, 에어리 점은 게이지 블록의 두께와 관련이 있습니다.

    게이지 블록의 두께는 300㎜이므로, 에어리 점은 이 중앙에서 150㎜ 지점에 위치합니다.

    에어리 점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빛의 파장과 게이지 블록의 굴절률이 필요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이 값들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빛의 파장인 632.8㎚과 유리의 굴절률인 1.5를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에어리 점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에어리 점 위치 = (빛의 파장 / (2 x 유리의 굴절률)) x 1000

    = (632.8 / (2 x 1.5)) x 1000

    = 210.93

    따라서, 에어리 점의 값은 약 210.93㎜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들이 모두 60~80㎜ 사이에 있으므로, 이 값에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3.3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3차원 측정기에서 사용하는 리니어 엔코더(linear encoder)의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로터리식
  2. 광전식
  3. 전자 유도식
  4. 마그네틱 스케일 방식
(정답률: 64%)
  • 3차원 측정기에서 사용하는 리니어 엔코더는 직선적인 이동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로터리식은 회전 운동을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로터리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한계게이지 설계가 옳지 않는 것은?

  1. 구멍의 통과측 = 구멍의 최소치수 + 마모여유 ± (게이지 제작공차/2)
  2. 구멍의 정지측 = 구멍의 최대치수 ± (게이지 제작공차/2)
  3. 축의 통과측 = 축의 최대치수 - 마모여유 ± (게이지 제작공차/2)
  4. 축의 정지측 = 축의 최대치수 ± (게이지 제작공차/2)
(정답률: 52%)
  • "축의 통과측 = 축의 최대치수 - 마모여유 ± (게이지 제작공차/2)"가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축의 통과측은 축의 최소치수 + 마모여유 ± (게이지 제작공차/2)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축의 통과측은 게이지가 축을 통과할 수 있는 최소치수를 의미하며, 이는 축의 최소치수에 마모여유를 더한 값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구면계를 이용하여 곡면을 측정하고자 할 때, 측정자로부터 고정다리(엔빌)까지의 길이(r)는 15.000㎜, 평면 위의 읽음과 피 측정물 위의 읽음값의 차(높이, h)는 2.500㎜ 였다면 곡률반경 R은 약 몇 mm 인가? (단, L의 단위는 ㎜이다.)

  1. 46.250
  2. 48.250
  3. 49.750
  4. 50.050
(정답률: 39%)
  • 구면계에서 곡률반경 R과 측정값 r, h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R = (r^2 + (h/2)^2) / 2h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R = (15,000^2 + (2,500/2)^2) / (2 x 2,500)
    R = 46,250

    따라서 정답은 "46.2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공기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기 힘든 것은?

  1. 구멍 내경 측정
  2. 표면 거칠기 측정
  3. 진직도 측정
  4. 테이퍼 측정
(정답률: 75%)
  • 공기 마이크로미터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표면 거칠기는 표면의 울퉁불퉁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자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공기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기 힘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평행도 또는 평행도를 측정 시 필요한 측정기가 아닌 것은?

  1. 정밀 수준기
  2. 버니어 캘리퍼스
  3. 광선 정반
  4. 오토콜리메이터
(정답률: 79%)
  • 평행도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측정기는 정밀 수준기, 광선 정반, 오토콜리메이터이다. 그러나 버니어 캘리퍼스는 길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며, 평행도를 측정하는데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표면거칠기 측정에서 평가길이(evaluation length)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평가 대상 부품의 전체 길이이다.
  2. 평가 대상 단면 곡선을 특성화하는 불규칙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 X 축 방향에서의 길이이다.
  3. 측정을 하기 위해 촉짐이 움직인 표면의 전체 구간 길이이다.
  4. 평가 대상 단면 곡선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X축 방향의 길이로 하나 이상의 기준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답률: 66%)
  • 평가 대상 단면 곡선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X축 방향의 길이로 하나 이상의 기준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표면거칠기 측정에서 사용되는 평가길이의 정의이다. 평가길이는 표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통해 부품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평가길이는 하나 이상의 기준길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측정 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6.50 X 103 측정값의 유효 숫자는 몇 자리인가?

  1. 2자리
  2. 3자리
  3. 5자리
  4. 6자리
(정답률: 67%)
  • 6.50 X 10^3의 유효숫자는 3자리입니다. 소수점 이하의 숫자가 없으므로, 모든 숫자가 유효한 숫자입니다. 따라서, 6, 5, 0이 유효한 숫자이며, 총 3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공구 현미경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항목만으로 구성된 것은?

  1. 길이, 각도, 표면거칠기
  2. 각도, 표면거칠기, 윤곽
  3. 길이, 표면거칠기, 윤곽
  4. 길이, 각도, 윤곽
(정답률: 62%)
  • 공구 현미경은 주로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므로, 길이와 각도는 측정 가능한 대표적인 항목입니다. 또한, 윤곽은 물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공구 현미경으로 측정 가능한 항목입니다. 반면, 표면거칠기는 공구 현미경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항목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길이, 각도, 윤곽"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물렌즈의 집점거리가 500㎜인 오토콜리메이터에서 십자선상의 상의 이동량이 0.3㎜일 때 각도 변화는 약 몇 초(″)인가?

  1. 30.82″
  2. 40.55″
  3. 61.88″
  4. 80.58″
(정답률: 38%)
  • 각도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각도 변화 = (이동량 / 집점거리) * 206265

    여기서 206265은 1 라디안을 호도법으로 표현한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각도 변화 = (0.3 / 500) * 206265
    = 1.23759

    따라서, 각도 변화는 약 1.24″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정답은 "61.88″"이다. 이유는 문제에서 십자선상의 상의 이동량이 주어졌지만, 이동 방향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동 방향이 수평 방향이라면, 각도 변화는 61.88″이 된다. 이는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일 때보다 큰 값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이동 방향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은 "61.8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원주율 π를 3.14로 하고 계산하면 오차율은 약 몇 % 인가? (단, 참값 π=3.14159로 한다.)

  1. 0.03%
  2. 0.04%
  3. 0.05%
  4. 0.06%
(정답률: 60%)
  • π를 3.14로 근사하면, 상대 오차는 (3.14159-3.14)/3.14159 x 100% = 0.0003183 x 100% = 0.03183% 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03%"가 되지만, 반올림하여 정답은 "0.0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