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초음파탐상시험원리

1. 자분탐상시험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
  2. 철강 재료가 자화되면 결함으로 인해 누설자속이 생긴다.
  3. 결함과 자속의 방향이 평행에 가까울수록 누설자속이 작아진다.
  4. 자화전류로 교류를 사용하면 표피효과에 의해 표면결함 검출에 유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든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자분탐상시험법은 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자화시키는 재료에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재료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X선 초점을 중심으로 하여 X선의 방출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강도가 안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를 무슨 효과라고 하는 가?

  1. 스크린(screen)효과
  2. 힐(heel)효과
  3. 위험각도(angle of emergence)효과
  4. 난시(astigmatism)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X선이 물체를 통과할 때, 물체 내부의 밀도 차이로 인해 X선이 산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X선이 산란되는 방향에 따라 X선의 강도가 달라지는데, 이를 힐(heel)효과라고 한다. 즉, X선이 산란되는 방향에 따라서 X선의 강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X선 영상 진단에서 정확한 진단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재료마다 고유 음향임피던스가 존재한다. 음향임피던스 값은 재료의 밀도와 재료 내에서의 파의 속도를 곱한 값과 같다. 음파가 물에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수직하게 입사할 경우 음의 에너지 반사율은 약 몇 %인가? (단, 물의 음향임피던스 : 0.149 g/cm2ㆍμs, 알루미늄합금의 음향임피던스 : 1.72 g/cm2ㆍμs 이다.)

  1. 11.5%
  2. 29.4%
  3. 70.6%
  4. 88.6%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가 물에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수직하게 입사할 때, 물과 알루미늄 합금 간의 음향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일부 에너지가 반사된다. 이 때의 에너지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에너지 반사율 = ((Z2 - Z1) / (Z2 + Z1))2 × 100%

    여기서 Z1은 물의 음향임피던스, Z2는 알루미늄 합금의 음향임피던스이다. 따라서,

    Z1 = 0.149 g/cm2ㆍμs
    Z2 = 1.72 g/cm2ㆍμs

    에너지 반사율 = ((1.72 - 0.149) / (1.72 + 0.149))2 × 100% = 70.6%

    따라서 정답은 "7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매질 내에서 입자의 운동이 파의 진행방향과 평행일 때 송신되는 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종파
  2. 횡파
  3. 판파
  4. 표면파
(정답률: 알수없음)
  • 종파는 매질 내에서 입자의 운동이 파의 진행방향과 평행할 때 송신되는 파를 말합니다. 이는 매질 내에서 파동이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라디오나 TV에서 사용되는 전자기파도 종파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감쇠량(dB)의 차이가 -14dB이었다면 신호크기(Amplitude)의 비는 약 얼마인가?

  1. 0.2
  2. 0.5
  3. 0.8
  4. 1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량(dB)과 신호크기(Amplitude)는 로그함수 관계이므로, 감쇠량이 -14dB일 때 신호크기의 비는 10의 (-14/20)승이 된다. 계산하면 약 0.2가 된다. 즉, 원래 신호크기의 1/5에 해당하는 크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파가 아크릴에서 철강재로 경사 입사할 때 종파의 임계각은 약 얼마인가? (단, 아크릴에서 종파속도는 2600m/s이고, 철강재에서 종파속도는 6000m/s이다.)

  1. 26도
  2. 36도
  3. 46도
  4. 52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임계각은 sinθ = v1/v2 (v1: 진행중인 매질의 파속, v2: 진행하려는 매질의 파속)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아크릴에서 철강재로 경사 입사할 때, sinθ = 2600/6000 = 0.4333 이다.

    이때, θ는 약 26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26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침법에서 탐촉자의 근거리음장 효과를 없애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탐촉자 크기가 큰 것을 사용한다.
  2. 탐촉자 주파수를 증가 시킨다.
  3. 적절한 물거리를 사용한다.
  4. 초점 탐촉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한 물거리를 사용하면 탐촉자와 대상 사이의 거리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근거리음장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탐촉자의 크기나 주파수를 변경하여 근거리음장 효과를 줄이려는 방법이지만, 이는 탐촉자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이므로 적절한 물거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불감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펄스 반복 주파수
  2. 검사 주파수
  3. 펄스 길이
  4. 피검체에서의 음속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반복 주파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송신자의 주파수를 의미하며, 불감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는 불감대의 물성과는 무관하게 송신자가 발생시키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펄스 반복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접부의 탠덤탐상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탠덤법은 2개의 탐촉자를 사용하므로 1탐촉자법에서와 같은 탐상불능 영역은 없다.
  2. 탠덤법은 후판의 루트 용입부족의 검출에 적합하다.
  3. 탠덤법은 개선 융합부족의 검출에 적합하다.
  4. 탠덤법은 판두께가 두꺼울수록 굴절각을 크게 하면 결함 검출능은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탠덤법은 개선 융합부족의 검출에 적합하다." 이 설명이 옳은 것이다. 탠덤법은 두 개의 탐촉자를 사용하여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개선 융합부족과 같은 용접 결함을 검출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두 개의 탐촉자가 용접부의 두께와 각도에 따라 다른 굴절각을 가지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는 탐촉자 간의 신호 강도 차이가 발생하여 결함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적산효과(superimpose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료내에서 종파가 횡파로 변환한 초음파에 의해 생긴 것이다.
  2. 수직탐상시 저면에코 보다 뒤에 나타난 결함에코가 누적되어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3. 적산효과가 나타났을 때 결함의 평가는 결함에코간의 진폭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4. 적산효과는 잔류 에코의 일종으로 고려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산효과는 수직탐상시 저면에코 보다 뒤에 나타난 결함에코가 누적되어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는 재료내에서 종파가 횡파로 변환한 초음파에 의해 생긴 것이다. 결함의 평가는 적산효과가 나타났을 때 결함에코간의 진폭을 비교하여 평가하며, 적산효과는 잔류 에코의 일종으로 고려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초음파탐상기를 이용하여 두께측정을 할 때 초기조정에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1. 영점 조정
  2. 시간축 조정
  3. 게인 조정
  4. 펄스폭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기를 이용하여 두께측정을 할 때 초기조정에 필요한 것은 영점 조정, 시간축 조정, 펄스폭 조정입니다. 이들은 초음파 신호를 정확하게 보내고 받아들이기 위해 필요한 조정 작업입니다. 게인 조정은 초음파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는 작업으로, 초기조정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음향 이방성이 있는 재료를 초음파탐상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재 중에서 초음파의 음속이나 감쇠 등의 초음파전파 특성이 탐상방향에 따라 다른 재료를 음향이방성을 갖는 재료라 부른다.
  2. 압연강판과 같이 주 압연방향(L방향)과 이것에 직각인 방향(C방향)사이에 초음파 전파특성이 현저히 다른 재료에는 음향 이방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3. 음향 이방성을 갖는 재료의 탐상에는 공칭 굴절각이 70°인 탐촉자를 사용한다.
  4. 음속비의 측정에 의해 음향 이방성을 점검할 경우 음속비가 1.02를 넘을 때 음향 이방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 이방성을 갖는 재료의 탐상에는 공칭 굴절각이 70°인 탐촉자를 사용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음향 이방성을 갖는 재료의 탐상에는 공칭 굴절각이 60°인 탐촉자를 사용합니다. 이는 음향 이방성을 갖는 재료에서 초음파가 전파될 때, 전파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전파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탐촉자의 각도를 조절하여 정확한 탐상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직탐상에 의한 초음파탐상시험시 주의해야 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고분해능 탐촉자를 사용하면 조직이 미세한 재료의 탐상에서는 임상에코가 많이 나타난다.
  2. 감쇠가 심한 재료에는 낮은 주파수가 적합하다.
  3. 탐상면에 가까운 결함 검출에는 직경이 크고, 낮은 주파수가 적합하다.
  4. 탐상면이 거칠 때에는 폰은 주파수를 선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가 심한 재료는 초음파가 흡수되어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면 신호가 약해져서 결함을 탐지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교류가 흐르는 코일을 전도체에 가까이 하면 코일 주위에 발생된 자계가 도체에 작용하여, 도체를 관통하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기전력 변화를 이용한 검사방법은 무엇인가?

  1. 전류관통법
  2. 축통전법
  3. 와전류탐상검사법
  4. 자분탐상코일법
(정답률: 알수없음)
  • 와전류탐상검사법은 교류가 흐르는 코일을 전도체에 가까이 하면, 도체를 관통하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기전력 변화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전기적인 결함을 검출할 수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와전류탐상검사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초음파탐상시 탐상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시험체의 표면이 거친 경우
  2. 결정 입자의 크기가 큰 경우
  3. 시험편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
  4. 시험체의 탐상 표면과 저면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편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는 초음파가 시험편 내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탐상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적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초음파의 진행 방향을 방해하거나 반사시켜서 탐상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내부결함 검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부결함 검출에 적합한 방법은 주로 자분탐상시험과 와전류탐상시험 등이다.
  2. 직접촬영법에 의한 방사선투과시험법은 건전부와 결함부에서 굴절차로 생기는 필름상의 농도차를 이용한다.
  3. 펄스반사법에 의한 초음파탐상시험은 결함에 의한 초음파의 반사현상을 이용한다.
  4. 방사선투과시험은 면상결함이 주 검출 대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반사법에 의한 초음파탐상시험은 결함에 의한 초음파의 반사현상을 이용하여 내부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초음파를 결함 부위에 쏘아 보내고, 결함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탐지하여 결함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내부결함 검출에 적합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파수 2.25㎒, 진동자의 직경 10㎜의 탐촉자로 강재를 검사할 때 초음파 빔의 분산각은 약 얼마인가? (단, 강재의 음속은 5900m/s이다.)

  1. 12.66°
  2. 14.76°
  3. 16.76°
  4. 18.66°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의 파장은 λ = v/f = 5900/2.25 = 2622.22mm 이다.
    진동자의 직경이 D일 때, 분산각 θ는 sinθ = λ/D 이다.
    따라서, sinθ = 2622.22/10 = 262.22 이므로, 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초음파 탐상시 피검재의 표면 거칠기가 감도 및 분해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2. 탐상기의 게인을 올린다.
  3. 초음파 출력이 낮은 탐촉자를 사용한다.
  4. 탐촉자에 표면 보호막을 사용하여 검사체와의 접촉을 개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출력이 높은 탐촉자를 사용하면 피검재의 표면 거칠기가 감도 및 분해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초음파 출력이 낮은 탐촉자를 사용하여 이를 줄이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초음파 출력이 낮은 탐촉자를 사용하면 검사체와의 접촉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탐촉자에 표면 보호막을 사용하여 검사체와의 접촉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음파 출력이 낮은 탐촉자를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탐촉자 중 진동자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은?

  1. 1㎒ 탐촉자
  2. 2.25㎒ 탐촉자
  3. 5㎒ 탐촉자
  4. 10㎒ 탐촉자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자의 두께는 탐촉자의 용량 값이 작을수록 두꺼워진다. 따라서 용량 값이 가장 작은 "1㎒ 탐촉자"가 가장 두꺼운 진동자를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시험체를 대상으로 초음파탐상검사를 실시할 때, 동일한 주파수라면 횡파가 종파보다 작은 결함을 탐지하는데 유리하다. 그 이유는?

  1. 횡파의 파장이 종파에 비해 짧기 때문
  2. 횡파는 종파에 비해 분산각이 작기 때문
  3. 횡파가 종파에 비해 감쇠가 작기 때문
  4. 횡파의 음압이 종파에 비해 크기 때문
(정답률: 알수없음)
  • 횡파의 파장이 종파에 비해 짧기 때문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결함의 크기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횡파는 종파보다 작은 결함을 더욱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초음파탐상검사

21. A스캔 장비의 스크린에서 저면반사파의 강도(음압)를 나타내는 것은?

  1. 반사파의 폭
  2. 반사파의 밝기
  3. 반사파의 거리
  4. 반사파의 높이
(정답률: 알수없음)
  • 저면반사파의 강도(음압)는 스크린에서 반사파의 높이로 나타납니다. 이는 반사파가 물체와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이 때 반사파의 진폭이 스크린에 나타나는 높이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사파의 높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초음파 탐상기의 송신부의 기능은?

  1. 송신의 초음파 펄스를 만든다.
  2. 송신 펄스의 증폭을 행한다.
  3. 송신의 전압 펄스를 만든다.
  4. 전기로부터 초음파를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탐상기에서 송신부는 초음파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송신부는 전압 펄스를 만들어내고 이를 변환기로 보내어 초음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송신의 전압 펄스를 만든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초음파탐상검사를 원리에 의해 분류할 때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펄스반사법
  2. 투과법
  3. A주사법
  4. 공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검사는 초음파 파동을 이용하여 물체의 내부를 탐색하는 검사 방법으로, 펄스반사법, 투과법, 공진법 등이 해당된다. 그러나 A주사법은 X선 검사 방법으로, 초음파탐상검사와는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초음파탐상검사시 탐촉자의 진동자 두께와 주파수와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두께와는 전혀 무관하다.
  2. 얇을수록 높은 주파수를 발생한다.
  3. 두꺼울수록 높은 주파수를 발생한다.
  4. 종파는 두꺼울수록, 횡파는 얇을수록 높은 주파수를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탐촉자의 진동자 두께와 주파수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즉, 진동자가 얇을수록 높은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이는 진동자의 두께가 작을수록 더 빠르게 진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얇을수록 높은 주파수를 발생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침법에서 경사진 시험편을 검사할 때 시편은 어떻게 놓아야 하는가?

  1. 전체에 걸쳐 수위가 일정하도록 한다.
  2. 물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한다.
  3. 표면에서 입사각이 15°가 되도록 탐촉자를 고정시킨다.
  4. 표면에서 입사각이 5°가 되도록 탐촉자를 고정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침법에서는 시료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수위가 일정하도록 놓여져야 합니다. 이는 시료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료를 놓을 때는 가능한 한 평평하고 수위가 일정한 부분에 놓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굴절각 70°에서 판두께 15㎜의 빔진행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skip 빔진행거리는 약 50㎜ 이다.
  2. 1skip 빔진행거리는 약 90㎜ 이다.
  3. 1skip 빔진행거리는 약 100㎜ 이다.
  4. 1skip 빔진행거리는 약 120㎜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skip 빔진행거리는 약 90㎜ 이다."입니다.

    굴절각이 70°이므로, 사인 법칙에 따라 빔진행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sin(70°) = n2/n1

    n2는 공기보다 더 밀도가 높은 유리의 굴절률이므로, 대략 1.5 정도로 가정합니다. n1은 공기의 굴절률이므로 1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sin(70°) = 1.5/1 = 1.5 이고, 이를 역삼각함수로 계산하면 약 42.5°가 됩니다.

    그리고, 빔진행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빔진행거리 = 판두께 / cos(42.5°)

    cos(42.5°)는 대략 0.75 정도이므로, 빔진행거리는 15 / 0.75 = 20입니다.

    하지만, 1skip은 빔이 한 번 왕복하는 거리를 의미하므로, 실제 빔진행거리는 20 / 2 = 10입니다.

    따라서, "1skip 빔진행거리는 약 90㎜ 이다."라는 설명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험체 두께가 t인 강재에 대하여 전몰 수직 수침초음파탐상검사를 할 때 최소한의 물거리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t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수침초음파탐상검사에서는 초음파가 강재 내부를 통과하면서 반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결함을 파악합니다. 이 때, 초음파는 물속에서 전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물을 매질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물거리가 짧을수록 검사 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입니다.

    그러나 초음파는 일정한 두께 이상의 물질에서는 전달이 어렵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 이상의 강재에 대해서는 검사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t 이상의 두께를 가진 강재에 대해서는 검사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물거리로 가장 적당한 것은 이상입니다. 이는 물거리가 일정 이상 확보되면 t 이상의 두께를 가진 강재에 대해서도 검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스크린 상에 높이가 낮은 지시파가 아주 많이 나타났을 때 (Hash 현상) 그 원인은 대개 무엇에 의한 것인가?

  1. 균열
  2. 큰 개재물
  3. 시험편 재질의 입자가 조대
  4. 기공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 상에 높이가 낮은 지시파가 많이 나타나는 Hash 현상은 대개 시험편 재질의 입자가 조대되어 발생합니다. 이는 시험편 제작 과정에서 입자의 크기나 분포가 일정하지 않거나, 시료가 부적절하게 처리되어 입자가 뭉쳐져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대된 입자들이 균열이나 기공에 끼어들어서 빛의 경로를 방해하게 되어 스크린 상에 높이가 낮은 지시파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또한, 큰 개재물이나 균열 등도 Hash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단조품의 초음파탐상검사에 적용되는 저면에코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면 거칠기의 보정이 필요하다.
  2. 시험체 곡률의 보정이 필요하다.
  3. 충분한 저면에코가 얻어지는 형태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4. 결함의 길이 측정이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면에코방법은 초음파 파장이 시험체 내부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이 때, 충분한 저면에코가 얻어지는 형태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시험체 내부에서 충분한 반사가 일어나지 않으면 신호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체의 표면 거칠기나 곡률 등을 보정하여 충분한 저면에코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관재의 탐상을 직접 접촉법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탐촉자 전면에 아크릴 슈(Shoe)를 관재의 곡면과 동일하게 가공해 부착한다.
  2. 관지름이 200㎜가 넘는 경우에는 탐촉자를 탐촉면의 곡면에 맞출 필요가 없다.
  3. 탐상면과 탐촉자 전면 사이의 틈에 흐르는 물로 채워(국부수침법) 검사한다.
  4. 탐촉자의 접촉면을 시험재 곡면에 맞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지름이 200㎜가 넘는 경우에는 탐촉자를 탐촉면의 곡면에 맞출 필요가 없다."가 틀린 것이다. 관지름이 크다고 해서 탐촉자를 곡면에 맞추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다. 탐촉자와 관재의 접촉면은 가능한 정확하게 맞춰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탐촉자의 접촉면을 시험재 곡면에 맞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종파속도가 5920㎧인 강재를 수직탐상할 때, 빔진행거리 25㎜의 위치에서 결함A가 검출되고, 빔진행거리가 50㎜ 위치에서 결함B가 검출되었다. 다음 중 설명이 옳은 것은?

  1.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A까지의 거리는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B까지 거리의 2배이다.
  2. 감쇠에 의해 종파속도가 변화하므로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B까지의 거리는 결함A까지의 거리와 같다.
  3.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A까지의 거리는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B까지 거리의 1/2이다.
  4. 감쇠에 의해 종파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B까지의 거리는 결함A 거리의 4배이상 먼 곳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A까지의 거리는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B까지 거리의 1/2이다." 이다.

    이유는 종파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종파속도는 시험체 내부의 물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함B까지의 거리가 결함A까지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빔진행거리를 기준으로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빔진행거리 25㎜에서 결함A가 검출되었으므로,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A까지의 거리는 25㎜이다. 또한, 빔진행거리 50㎜에서 결함B가 검출되었으므로,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B까지의 거리는 50㎜이다. 따라서,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A까지의 거리는 시험체 표면에서 결함B까지 거리의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부의 경사각탐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부 용입불량과 측면 루트부의 용입불량은 결함의 크기가 같으면 에코높이는 거의 같게 된다.
  2. 같은 탐상면에서 탐상하면 모든 용접부의 결함은 1회 반사법보다 직사법이 에코높이가 더 높게 나타난다.
  3. 면상균열은 초음파가 결함에서 입사각이 변하면 에코높이는 현저하게 변화한다.
  4. 융합불량은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에코높이는 균열보다 매우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면상균열은 초음파가 결함에서 입사각이 변하면 에코높이가 현저하게 변화한다. 이는 결함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초음파가 결함에 직각으로 입사할 때와 경사각으로 입사할 때의 반사파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접부의 경사각탐상에서는 면상균열을 탐지하기 위해 입사각을 변화시켜가며 탐상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펄스반사식 초음파 탐상기에서 시간축을 만들어 내는 부분은 어느 곳인가?

  1. 펄스발생기
  2. 소인회로
  3. 수신기
  4. 동기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반사식 초음파 탐상기에서 시간축을 만들어 내는 부분은 "소인회로"이다. 이는 펄스발생기에서 발생한 초음파 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발생시키는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와 비교하여 시간축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직탐촉자와 비교하였을 때 경사각탐촉자 만이 갖는 특유한 성능에 해당하는 것은?

  1. 감도
  2. 분해능
  3. 수신기
  4. 불감대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각탐촉자는 수직탐촉자와 달리 측정 대상의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형의 3차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사각탐촉자의 측정 결과는 수신기를 통해 전송되며, 이 수신기는 측정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따라서 경사각탐촉자의 특유한 성능 중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수신기의 감도와 분해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이 수침법으로 시험체를 검사하여 도면과 같은 탐상도형이 CRT에 나타났다. 시험체 내부결함의 반사지시는 CRT상에서 어느 것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상도형이 CRT에 나타났다는 것은 시험체 내부결함이 X-Y 좌표평면상에 표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 반사지시는 검은색 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를 나타냅니다. 그림에서는 검은색 선이 시계 방향으로 약 135도 회전한 것으로 보이므로, 정답은 "③"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거리증폭 보상(DAC)회로의 역할은?

  1. 탐상기의 증폭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2. 시험체내에서의 감쇠에 대한 보상회로이다.
  3. CRT화면의 시간에 대한 보상회로이다.
  4. 시험체에서의 거리와 CRT화면의 시간을 동조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증폭 보상(DAC)회로는 시험체내에서의 감쇠에 대한 보상회로입니다. 이는 탐상기에서 수신된 신호가 시험체를 통과하면서 감쇠되는 현상을 보상하여 증폭 오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탐촉자의 진동자 재질 중 물에 녹기 쉬워, 수침법 사용시 방수에 주의해야 하는 것은?

  1. 수정
  2. 지르콘티탄산납
  3. 황산리튬
  4. 니오브산리튬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리튬은 물에 녹기 쉬운 재질이기 때문에 수침법 사용시 방수에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에 녹기 어렵거나 녹지 않는 재질들이기 때문에 방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다음의 [절차]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굴절각 측정
  2. 분해능 측정
  3. 거리진폭 교정
  4. 입사점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과 절차는 광학계에서 렌즈나 거울 등의 광학 부품을 조립할 때, 정확한 입사점을 찾기 위한 과정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사점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경사각탐상에 있어서 A1 시험편을 이용하여 A1감도를 측정하려고 한다. 그림에서 어느 부분을 이용하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

    이유: A1감도는 경사각탐상에서 사용되는 측정 기기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기울기 변화에 따른 수평축 변위를 측정하여 계산한다. 그림에서 A1 시험편의 중앙 부분은 수평축 변위가 가장 크기 때문에 A1감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름이 작고 긴 봉강을 길이 방향에서 종파로 초음파탐상검사할 때 1차 저면 반사파(B1)와 2차 저면 반사파(B2)사이에 나타나는 간섭 파형은 무엇 때문에 일어나는가?

  1. 잡음
  2. 전기적 간섭 신호
  3. 표면파
  4. 파형변이
(정답률: 알수없음)
  • 파형변이는 초음파가 물체 내부에서 전파될 때, 물체 내부의 밀도나 탄성계수 등이 변화되어 초음파 파형이 변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름이 작고 긴 봉강을 길이 방향에서 종파로 초음파탐상검사할 때, 초음파가 봉강 내부에서 전파될 때 파형변이가 발생하여 1차 저면 반사파와 2차 저면 반사파 사이에 간섭 파형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초음파탐상관련규격 및 컴퓨터활용

41.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규정된 경사각 탐촉자의 공칭주파수와 진동자의 공칭치수가 아닌 것은?

  1. 2㎒, 14×14㎜
  2. 2㎒, 20×20㎜
  3. 5㎒, 10×10㎜
  4. 5㎒, 20×2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5㎒, 20×20㎜"입니다. 이유는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규정된 경사각 탐촉자의 공칭주파수는 2㎒ 또는 5㎒이며, 진동자의 공칭치수는 10×10㎜ 또는 14×14㎜입니다. 따라서, "5㎒, 20×20㎜"는 규정에 포함되지 않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음파탐상 시험용 표준시험편(KS B 0831)에 의한 G형 표준시험편의 사용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탐상감도의 조정
  2. 탐상기의 종합 성능 측정
  3. 수직 탐촉자의 특성 측정
  4. 경사각 탐촉자의 특성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G형 표준시험편은 초음파탐상기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시험편으로, 탐상감도의 조정, 탐상기의 종합 성능 측정, 수직 탐촉자의 특성 측정 등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경사각 탐촉자의 특성 측정은 G형 표준시험편의 사용목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경사각 탐촉자가 다른 종류의 탐촉자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사각 탐촉자의 특성 측정은 다른 시험편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따라 탐상시험시 사용하는 경사각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을 조정 및 점검하는 시기는?

  1. 작업개시시 및 작업시간 4시간이내 마다
  2. 작업개시시 및 작업시간 8시간이내 마다
  3. 작업종료시 및 작업시간 10시간이내 마다
  4. 작업종료시 및 작업시간 12시간이내 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각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을 조정 및 점검하는 이유는 정확한 초음파탐상 결과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경사각탐촉자의 입사점이나 굴절각이 조정되지 않으면 탐상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개시시 및 작업시간 8시간이내 마다 조정 및 점검을 해야합니다. 작업시간이 길어질수록 경사각탐촉자의 입사점이나 굴절각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 자주 조정 및 점검을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복원중(문제 오류로 복원중입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1.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2.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3.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4.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를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해 해당 보기의 내용이 손상되어 복원 중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내용을 알고 계신 분은 오류 신고를 통해 내용을 제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따라 탠덤탐상하는 경우 탐상장치의 조정 및 점검시기는?

  1. 작업시간 4시간이내 마다
  2. 작업시간 6시간이내 마다
  3. 작업시간 8시간이내 마다
  4. 작업시간 1주일이내 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탠덤탐상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용접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이때 탐상장치의 조정 및 점검은 작업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온도, 습도, 진동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정확한 탐상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4시간 이내 마다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시간 4시간이내 마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크 용접 강관의 초음파탐상 검사방법(KS D 0252)에 규정된 자동탐상에 의한 탐상형식이 아닌 것은?

  1. 갭법
  2. 수침법
  3. 공진법
  4. 직접 접촉법
(정답률: 알수없음)
  • 공진법은 자동탐상에 의한 탐상형식이 아닙니다. 공진법은 용접 부위에 충격을 가해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비해 갭법, 수침법, 직접 접촉법은 자동탐상에 의한 탐상형식입니다. 갭법은 용접 부위에 갭을 두고 초음파를 쏘아 반사파를 측정하는 방법, 수침법은 용접 부위에 수침을 대고 초음파를 쏘아 반사파를 측정하는 방법, 직접 접촉법은 용접 부위에 초음파 프로브를 직접 대고 반사파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초음파탐상장치의 성능 측정방법(KS B 0534)에서 분해능 시험편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RB-RA
  2. RB-RB
  3. RB-RC
  4. RB-RE
(정답률: 알수없음)
  • RB-RE은 초음파탐상장치의 광축 방향과 수평 방향의 분해능을 측정하는 시험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RB-RA, RB-RB, RB-RC는 모두 광축 방향과 수평 방향의 분해능을 측정하는 시험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S 0896)에 규정된 H선과 L선의 dB차이는 얼마인가?

  1. 6dB
  2. 10dB
  3. 12dB
  4. 20dB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S 0896)에서 H선과 L선은 각각 높은 주파수와 낮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의미합니다. 이 두 선은 강재 내부 결함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H선은 얕은 결함을, L선은 깊은 결함을 탐지합니다. 이 때, H선과 L선의 dB차이는 12dB입니다. 이는 H선이 L선보다 12dB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선과 L선을 함께 사용하여 강재 내부 결함을 보다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4)에 따른 수동탐상시험 주사 속도(㎜/s)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 최고 얼마로 제한하고 있는가?

  1. 152
  2. 304
  3. 476
  4. 608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4에서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UT)의 수동탐상시험 주사 속도를 152mm/s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검사자의 탐상 능력과 검사 조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 속도를 초과하면 검사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4)에 따라 수직탐상할 때 설정하는 거리진폭교정곡선의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 교정시험편의 구멍에서 나오는 진폭 중 가장 높은 지점을 찾는다.
  2. 가장 높은 진폭이 나오는 구멍에서 최대 응답을 주는 위치에 탐촉자를 위치시킨다.
  3. 전스크린 높이의 80%가 되도록 감도를 조종한다.
  4. 가장 높은 지점의 지시값과 다른 한 구멍의 최대 지시값의 1/2 되는 부분을 스크린에 표시, 선으로 연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스크린 높이의 80%가 되도록 감도를 조종한다."는 거리진폭교정곡선의 절차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다.

    "가장 높은 지점의 지시값과 다른 한 구멍의 최대 지시값의 1/2 되는 부분을 스크린에 표시, 선으로 연결한다."는 거리진폭교정곡선을 그리기 위한 절차 중 하나이다. 이는 가장 높은 진폭이 나오는 구멍과 다른 구멍 중에서 최대 지시값의 1/2가 되는 부분을 찾아서 이를 스크린에 표시하고, 두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거리진폭교정곡선을 그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용접부나 압력용기의 용접 결함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ASME Sec.V Art.23 SB 548)에서 검사 후 합격된 제품에는 어떤 글자의 도장을 찍는가?

  1. A
  2. P
  3. U
  4. O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에서 합격된 제품에는 "U" 도장을 찍습니다. 이는 ASME Sec.V Art.23 SB 548에서 정한 규정으로, "U"는 Ultrasonic Examination(초음파탐상)을 통과한 제품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U" 도장이 찍힌 제품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임을 보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건축용 강판 및 평강의 초음파탐상시험에 따른 등급분류와 판정기준(KS D 0040)에 따라 강판을 탐상할 경우 탐상부위로 옳은 것은?

  1. 200㎜ 피치의 압연 방향 선을 탐상선으로 한다.
  2. 200㎜ 피치의 압연 방향과 수직인 선을 탐상선으로 한다.
  3. 100㎜ 피치의 압연 방향 선을 탐상선으로 한다.
  4. 100㎜ 피치의 압연 방향과 수직인 선을 탐상선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00㎜ 피치의 압연 방향 선을 탐상선으로 한다."입니다.

    KS D 0040에서는 강판 및 평강의 초음파탐상시험에 따른 등급분류와 판정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탐상부위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탐상선은 압연 방향과 수직인 선 또는 압연 방향 선으로 한다.
    - 탐상선 간격은 100㎜ 또는 200㎜ 중에서 선택한다.

    따라서, 강판을 탐상할 때는 압연 방향 선을 탐상선으로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유는 강판의 결함이 대부분 압연 방향에 따라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200㎜ 피치의 탐상선 간격을 선택하는 것은 탐상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충분한 탐상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대형단강품의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23 SA 388)에서 두께가 두꺼운 단조품을 탐상시 직접 접촉방법일 때 허용되는 검사표면의 최대 표면거칠기는 얼마인가?

  1. 1㎛
  2. 3㎛
  3. 6㎛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23 SA 388에서는 두께가 두꺼운 단조품을 탐상할 때 직접 접촉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검사표면의 최대 표면거칠기는 6㎛으로 제한됩니다. 이유는 초음파파장이 짧기 때문에 검사표면의 거칠기가 크면 초음파가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사표면의 최대 표면거칠기를 6㎛로 제한하여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4)에서 규정하고 있는 탐상장치의 스크린높이 직선성은 교정된 스크린 높이의 20~80%에서 전 스크린 높이의 몇 %이내의 직선성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4에서는 탐상장치의 스크린높이 직선성이 전 스크린 높이의 20~80%에서 ±5% 이내의 직선성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탐상장치가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해서는 스크린높이의 일정 범위에서 일정한 정확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스크린높이 직선성이 ±5% 이내로 유지되어야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5)에서 규정하고 있는 탐상장치의 점검과 교정시기가 잘못 설명된 것은?

  1. 검사의 시작전후
  2. 검사자가 교체되었을 때
  3. 장치기능의 오류가 의심될 때
  4. 탐상장치는 적어도 8시간마다 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상장치는 정확한 검사결과를 위해 교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적어도 8시간마다 점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탐상장치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체나 오류 의심시에도 점검이 필요합니다. 검사의 시작전후에도 점검이 필요하지만, 이는 규정에서 강제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뉴스그룹으로서 특정주제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일종의 게시판형식의 인터넷 서비스는?

  1. BBS
  2. Gopher
  3. Usenet
  4. Telnet
(정답률: 알수없음)
  • Usenet은 인터넷 상에서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게시판 형식의 서비스로, 사용자들이 새로운 글을 작성하거나 기존 글에 대한 답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BBS와 유사하지만, Usenet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므로 규모와 범위가 더 큽니다. Gopher와 Telnet은 다른 종류의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어프로그램 중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포맷과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은?

  1.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2. 작업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
  3. 문제처리 프로그램(Problem Processing Program)
  4. 데이터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관리 프로그램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포맷과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생성, 수정, 삭제, 검색 등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며, 데이터의 보안과 백업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프로그램 중에서 데이터를 중심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바로 데이터관리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조 및 프로토콜 간을 연결해 주는 장치는?

  1. 방화벽
  2. 하이퍼텍스트
  3. 계정
  4. 게이트웨이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조 및 프로토콜 간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네트워크 보안, 웹 기술, 사용자 계정 등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메인의 분류 중 교육기관을 의미하는 것은?

  1. com
  2. gov
  3. edu
  4. net
(정답률: 알수없음)
  • "edu"는 education(교육)의 약어로, 교육기관을 나타내는 도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용자로 하여금 모아놓은 여러 개의 검색엔진들 중 원하는 검색엔진 하나를 선택해서 검색할 수 있는 것은?

  1. 메타 검색엔진
  2. 키워드형 검색엔진
  3. 디렉토리형 검색엔진
  4. 로봇 에이전트형 검색엔진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타 검색엔진은 여러 개의 검색엔진을 동시에 검색하여 그 결과를 한번에 보여주는 검색엔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개의 검색엔진을 일일이 검색하지 않고도 한번에 여러 검색엔진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고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 및 용접일반

61. 정격 2차 전류가 200A, 정격사용율 40%인 용접기의 용접전류 150A로 아크 용접을 할 대 허용사용률(%)은 약 얼마인가?

  1. 53.3
  2. 60.0
  3. 71.1
  4. 90.0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사용률(%)은 정격사용율에서 용접기가 실제로 사용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허용사용률(%)은 (150A / 200A) * 40% = 30% 이다. 이 값을 기존의 정격사용율 40%에 더해주면 허용사용률(%)은 70%가 된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7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용접의 분류 중 저항용접에 해당하는 것은?

  1. 아크 용접
  2. 업셋 맞대기 용접
  3. 원자수소 용접
  4. 와이어 아크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업셋 맞대기 용접은 두 개의 금속을 압력과 열로 접합시키는 용접 방법으로, 저항을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저항용접에 해당합니다. 이 방법은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열하고, 그 가열된 부분을 압력으로 압착하여 용접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업셋 맞대기 용접"이 저항용접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점용접의 3대요소가 아닌 것은?

  1. 전극의 재질
  2. 용접 전류
  3. 통전 시간
  4. 가압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점용접의 3대요소는 용접 전류, 통전 시간, 가압역입니다. 전극의 재질은 용접 전류와 전극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만, 3대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극의 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용접 결함 중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균열 발생 방지
  2. 아크 쏠림 방지
  3. 용접 속도 증가
  4. 용접봉 절약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속도 증가는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것이다. 이는 용접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용접 속도를 높이면 용접 부위의 열이 빨리 식어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아크가 쏠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구조상의 결함이 아니며, 용접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안전성과 품질을 유지하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복원중(문제 오류로 복원중입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1.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2.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3.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4.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를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해 해당 보기의 내용이 손상되어 복원 중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내용을 알고 계신 분은 오류 신고를 통해 내용을 제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피복 아크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대해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1. 아크 전압에 비례한다.
  2. 아크 전류에 비례한다.
  3. 용접봉의 직경과 전압의 곱에 비례한다.
  4. 아크 전류와 전압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아크 전류에 비례한다."

    이유: 피복 아크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아크 전류에 비례한다. 이는 아크 전류가 증가하면 용접봉의 단면적에서 발생하는 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크 전류가 높을수록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스용접시 사용되는 산소용기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충전가스의 명칭
  2. 용기 재질
  3. 용기의 내압시험 압력
  4. 용기 제조자의 용기번호 및 제조번호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용접시 사용되는 산소용기에 표시하는 사항 중에서 "용기 재질"은 해당 용기의 안전성과 사용 가능한 가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항목들은 용기의 안전성과 사용 가능한 가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플러그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개 부재 사이의 휨 부분을 용접하는 이음 방법
  2. 접합하려고 하는 한쪽의 부재에 둥근 구멍을 뚫고 그 곳에 용접하여 이음하는 방법
  3. 동일 평면에 있는 2개의 부재를 마주 붙여 용접하는 이음방법
  4. 고 진공 중에서 고속 전자 빔에 의한 충격 발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접합하려고 하는 한쪽의 부재에 둥근 구멍을 뚫고 그 곳에 용접하여 이음하는 방법은 플러그 용접이다. 이 방법은 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때 사용되며, 구멍을 뚫고 용접함으로써 부재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용접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시에 스패터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용접 조건의 부적당
  2. 1차 입력전압의 불균형
  3. 직류 리액터의 탭 불량
  4. 이음 형상의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이음 형상의 불량은 스패터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스패터 발생은 용접 조건의 부적당, 1차 입력전압의 불균형, 직류 리액터의 탭 불량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용접 구조물의 용접 순서는 수축변형에 크게 영향을 주며 잔류응력 및 구속응력에도 영향을 준다. 용접순서의 일반적인 원칙이 아닌 것은?

  1. 수축량이 큰 것은 먼저 용접하고 수축량이 적은 것은 나중에 용접한다.
  2. 좌ㆍ우는 될 수 있는 대로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용접한다.
  3. 긴 용접부는 끝단에서 중앙부로 동시에 용접한다.
  4. 동일 평면 내에 이음이 많을 경우 수축은 가능한 자유단으로 보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긴 용접부는 끝단에서 중앙부로 동시에 용접한다."

    이유: 긴 용접부는 끝단에서 중앙부로 동시에 용접하면, 용접열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수축변형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일반적인 원칙이 아니다. 일반적으로는 수축량이 큰 것부터 용접하여 수축변형을 최소화하고,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동일 평면 내에 이음이 많을 경우 수축을 가능한 자유단으로 보내는 것이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표점거리의 길이가 50㎜인 재료를 인장시험 후 측정하였더니 55㎜가 되었을 때, 이 재료의 연신율(%)은?

  1. 9
  2. 10
  3. 15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연신율(%) = (측정된 표점거리 - 원래 표점거리) / 원래 표점거리 × 100

    따라서, 연신율(%) = (55 - 50) / 50 × 100 = 10

    즉, 원래 길이에서 10%만큼 늘어난 것이므로 연신율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냉간 가공한 금속을 풀림(annealing)하였을 때 내부조족의 변화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재결정 → 회복 → 결정립 성장
  2. 결정립 성장 → 재결정 → 회복
  3. 회복 → 결정립성장 → 재결정
  4. 회복 → 재결정 → 결정립 성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회복 → 재결정 → 결정립 성장"입니다.

    냉간 가공한 금속은 내부조직이 변형되어 있어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지만, 가공 후에는 내부응력이 존재하고 결정립 구조가 불안정합니다. 따라서 풀림(annealing) 과정을 거쳐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결정립 구조를 안정화시킵니다.

    먼저, 회복 과정에서는 금속 내부의 응력을 완화시키고 결정립 구조를 일부 회복시킵니다. 이후 재결정 과정에서는 결정립 구조가 완전히 재구성되어 더욱 안정화됩니다. 마지막으로 결정립 성장 과정에서는 결정립이 성장하면서 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개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초경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경도가 높다.
  2. 내모마성 및 압축강도가 높다.
  3. 고온경도 및 강도는 양호하나 고온에서 변형이 크다.
  4. WC분말에 TiC, TaC, 및 Co분말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WC분말에 TiC, TaC, 및 Co분말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는 초경합금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초경합금의 물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고온경도 및 강도는 양호하나 고온에서 변형이 크다."가 가장 관계가 먼 설명입니다.

    이유는 초경합금은 고온에서 사용되는 재료로, 고온에서의 강도와 경도가 중요하지만, 고온에서 변형이 크다는 것은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초경합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온에서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탄성구역에서 변형은 세로방향에 연신이 생기면 가로방향에 수축이 생기는데 각 방향의 치수변화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 가?

  1. 강성률의 비
  2. 포아송의 비
  3. 탄성률의 비
  4. 전단변형량의 비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구역에서 변형이 생기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치수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세로방향의 변형에 비해 가로방향의 변형이 작아지는데, 이 비율을 포아송의 비(Poisson's ratio)라고 합니다. 포아송의 비는 탄성체의 물성 중 하나로, 탄성체의 물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값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아송의 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베어링에 사용되는 구리합금의 대표적인 켈밋(kelmet)의 주성분은?

  1. 70%Cu-30%Pb 합금
  2. 70%Pb-30%Mg 합금
  3. 60%Cu-40%Zn 합금
  4. 60%Pb-40%Ti 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켈밋은 베어링에 사용되는 구리합금 중 하나로, 주성분은 구리(Cu)와 납(Pb)입니다. 따라서 "70%Cu-30%Pb 합금"이 정답입니다. 이 합금은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베어링의 부식과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설명을 틀린 것은?

  1. 특정한 모양의 것을 인장하여 탄성한도를 넘어서 소성 변형시킨 경우에도 하중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돌아가는 현상
  2. 주어진 특정모양의 것을 인장하거나 소성 변형된 것이 가열에 의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현상
  3. Ti-Ni합금은 형상 기억효과가 있다.
  4. 냉각시의 유기 마텐자이트 변태가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냉각시의 유기 마텐자이트 변태가 일어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형상기억합금은 특정한 모양의 것을 인장하여 탄성한도를 넘어서 소성 변형시킨 경우에도 하중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을 보입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마르텐사이트 상태가 변화하여 일어나는 것입니다. Ti-Ni합금은 이러한 형상 기억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가열에 의하여 소성 변형된 것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현상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Ni과 Al의 주된 슬립면으로 옳은 것은?

  1. {100}
  2. {110}
  3. {111}
  4. {0001}
(정답률: 알수없음)
  • Ni과 Al의 주된 슬립면은 {111}이다. 이는 FCC 구조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방향으로 슬립하기 때문이다. 또한, {111} 슬립면은 다른 슬립면에 비해 높은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더 많은 응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Ni과 Al의 주된 슬립면은 {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철에서 접종처리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chill화 방지
  2. 흑연형상의 개량
  3. 기계적 성질향상
  4. 질량효과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에서 접종처리하는 목적은 "질량효과의 증가"가 아니라, 다른 보기들처럼 "chill화 방지", "흑연형상의 개량", "기계적 성질향상" 등의 목적이다.

    하지만, 주철에서 접종처리를 하면서 발생하는 "질량효과의 증가"는 부수적인 효과로서, 주철의 결정화 구조를 개선하고, 결정의 크기와 분포를 균일하게 만들어줌으로써 기계적 성질향상을 이루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내식성이 좋고 비자성체이며,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은?

  1. 3%Cr 스테인리스강
  2. 35%Cr 스테인리스강
  3. 18%Cr-8%Ni 스테인리스강
  4.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알수없음)
  • 내식성이 좋은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이 함유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중에서도 18% 크롬과 8% 니켈을 함유한 스테인리스강은 비자성체이며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Cr-8%Ni 스테인리스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크롬 함량이 너무 낮거나 높거나, 석출경화형이기 때문에 내식성이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황동의 자연 균열 방지책으로 틀린 것은?

  1. 도료칠
  2. 아연도금
  3. 저온응력 풀림
  4. 암모니아분위기 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분위기 조성은 황동의 자연 균열 방지에 효과가 없습니다. 이유는 암모니아분위기는 황동의 산화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동의 자연 균열 방지책으로는 "도료칠", "아연도금", "저온응력 풀림"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