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02)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2008-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초음파탐상시험원리

1. 원거리 음장영역에서 초음파 빔의 에너지 집중은?

  1. 빔의 폭에 비례한다.
  2. 빔의 중심에서 최대가 된다.
  3. 빔의 외곽에서 최대가 된다.
  4. 빔의 외곽 및 중심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거리 음장영역에서 초음파 빔은 직선적으로 진행하며, 빔의 폭이 좁기 때문에 빔의 에너지는 중심에서 집중됩니다. 따라서 빔의 중심에서 최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동일한 시험조건 하에서 봉형 강재 등의 수직탐상시 측면에서 모드변환이 발생하여 가상 지시가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이 가장 작은 주파수는?

  1. 1MHz
  2. 3MHz
  3. 4MHz
  4. 5MHz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탐상시 모드변환이 발생하여 가상 지시가 나타날 확률은 물체의 두께와 탐사 주파수에 영향을 받는다. 두께가 일정하다면, 주파수가 높을수록 모드변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주파수가 가장 작은 1MHz일 때는 모드변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3MHz와 4MHz일 때도 모드변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져 가상 지시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가장 작은 확률을 가지는 주파수는 5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불감대 영역(Dead Zone)이란?

  1. 근거리 음장내에 있는 탐상불능 영역
  2. 빔 분산의 외측 영역
  3. 송신펄스와 저면에코사이의 영역
  4. 원거리 음장과 근거리 음장사이의 영역
(정답률: 알수없음)
  • 불감대 영역(Dead Zone)은 근거리 음장내에 있는 탐상불능 영역을 말합니다. 이 영역은 송신펄스와 저면에코사이의 영역으로, 빔 분산의 외측 영역이며 원거리 음장과 근거리 음장사이의 영역입니다. 이 영역은 음파가 반사되기 전에 수신기에서 감지되지 않는 영역으로, 탐지 불가능한 물체가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침투탐상시험에 사용되는 침투액의 오염액의 오염에 가장 일반적인 대상은?

  1. 금속 부스러기
  2. 기름
  3. 세척제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시험에서는 오염된 침투액이 시험 대상의 표면에 침투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오염액의 오염이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물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자연적으로 오염이 적고, 침투액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성의 액체입니다. 따라서 침투탐상시험에서는 물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오염액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이 선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초음파탐상시 시험편의 양 표면에 탐촉자를 두고 검사하는 방법은? (단, 한쪽은 송신, 다른 한쪽은 수신이다.)

  1. 접촉법
  2. 판파법
  3. 투과법
  4. 표면파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 시험편의 양 표면에 탐촉자를 두고 검사하는 방법은 "접촉법"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 언급한 방법은 "투과법"입니다. 이는 탐촉자를 시험편의 한쪽에 두고, 반대쪽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시험편을 투과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험편의 내부 결함을 탐지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두 개의 송, 수신 탐촉자를 사용하여 초음파탐상을 수행할 때 가장 효율적인 조합은?

  1. 수정의 송신기, 티탄산바륨의 수신기
  2. 티탄산바륨의 송신기, 티탄산바륨의 수신기
  3. 황산리튬의 송신기, 티탄산바륨의 수신기
  4. 티탄산바륨의 송신기, 수정의 수신기
(정답률: 알수없음)
  • 티탄산바륨은 초음파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데 있어서도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티탄산바륨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알루미늄에서 표면파가 발생하도록 쐐기를 설계할 때 입사각은 약 얼마인가? (단, 알루미늄에서의 횡파속도는 3100m/s, 쐐기에서의 종파속도는 2700m/s 이다.)

  1. 48°
  2. 57°
  3. 61°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파가 발생하려면 쐐기에서 발생한 종파가 알루미늄 표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와야 한다. 이 때 반사각과 입사각은 같으므로, 쐐기에서의 종파속도와 알루미늄에서의 횡파속도를 이용하여 식을 세울 수 있다.

    sin(입사각) = 알루미늄에서의 횡파속도 / 쐐기에서의 종파속도
    sin(입사각) = 3100 / 2700
    입사각 = sin^-1(3100 / 2700)
    입사각 = 61°

    따라서 정답은 "6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와전류탐상시험에서 시험주파수 시험주파수 고려해야 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피 효과
  2. 코일임피던스 특성
  3. 프로브의 속도
  4. 프로브의 형태
(정답률: 알수없음)
  • 와전류탐상시험에서 시험주파수를 고려해야 할 요소는 코일임피던스 특성과 프로브의 형태입니다. 하지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프로브의 형태"입니다. 왜냐하면 프로브의 형태는 시험주파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시험주파수가 바뀌어도 프로브의 형태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접부의 덧붙임이 편평하게 표면처리된 용접부에서 횡균열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주사방법은?

  1. 상하주사
  2. 경사평행주사
  3. 좌우주사
  4. 용접선상주사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선상주사는 용접선 상에서 수직으로 주사를 하는 방법으로, 용접부의 횡단면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횡균열 검출에 가장 적합합니다. 상하주사나 좌우주사는 용접선과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기 때문에 횡균열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고, 경사평행주사는 용접부의 표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주사하기 때문에 횡균열 검출에는 적합하지만, 용접선상주사보다는 검출능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덧붙임이 편평하게 표면처리된 용접부에서 횡균열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주사방법은 용접선상주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자분탐상시험에서 관촬되는 의사지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탈자 후 재자화시키면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2. 시험체의 단면적이 급변하는 곳에 나타나기 쉽다.
  3. 프로드 접촉부에서는 주로 방사상의 형태로 나타난다.
  4. 낮은 전류를 사용하는 경우 자화케이블 근처에 나타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낮은 전류를 사용하는 경우 자화케이블 근처에 나타나기 쉽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낮은 전류를 사용하는 경우 전류의 자기장이 약하기 때문에 자화케이블 근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자분탐상시험에서 관측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초음파 탐상기의 성능점검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폭 직선성
  2. 초음파 빔 강도
  3. 시간축 직선성
  4. 분해능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탐상기의 성능점검 사항으로는 증폭 직선성, 시간축 직선성, 분해능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초음파 빔 강도는 성능점검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초음파 빔 강도가 초음파의 진행 방향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음파 빔 강도는 성능점검 시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동일 조건으로 검사하여 원거리음장 영역에 존재하는 금속 내부의 원형평면 결함의 결합지시가 가장 큰 것은?

  1. 결함 면적 3mm2이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10mm지점
  2. 결함 면적 6mm2이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20mm지점
  3. 결함 면적 9mm2이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30mm지점
  4. 결함 면적 12mm2이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40mm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결함 면적 3mm2이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10mm지점"이다.

    결함 면적이 작을수록 결함의 크기가 작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가까울수록 검출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결함 면적이 작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가까운 "결함 면적 3mm2이고,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10mm지점"이 가장 큰 결합지시를 보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비파괴시험의 실시목적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옳은 것은?

  1. 비파괴시험은 재료나 부품, 구조물 등을 파괴하는 것도 포함하며, 결함이나 내부구조 등을 조사하는 시험이다.
  2. 비파괴시험으로 결함을 검출하는 경우 결함의 합ㆍ부 기준을 명확히 하고, 적절히 시험방법과 시험조건을 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3. 비파괴시험의 주목적은 대량 생산의 향상에 있다.
  4. 비파괴시험에서 원리적인 차이는 검출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어떤 방법을 이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비파괴시험으로 결함을 검출하는 경우 결함의 합ㆍ부 기준을 명확히 하고, 적절히 시험방법과 시험조건을 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이다.

    비파괴시험은 재료나 부품, 구조물 등을 파괴하지 않고 결함이나 내부구조 등을 조사하는 시험이다. 이러한 시험에서는 결함의 합부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하며, 적절한 시험방법과 시험조건을 선택해야 한다. 이는 검출 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방법을 이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검토해야 한다. 비파괴시험의 주목적은 대량 생산의 향상이 아니라 결함을 검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비파괴검사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 결함의 검출에 적당한 방법은 방사선투과시험과 초음파탐상시험이다.
  2.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초음파의 진행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결함을 검출하기 쉽다.
  3. 표층부 결함의 검출에는 자분탐상시험과 와전류탐상시험이 적당하다.
  4. 용접부의 기공을 검출하기에 가장 좋은 시험법은 방사선투과시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부의 기공을 검출하기에 가장 좋은 시험법은 방사선투과시험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초음파 파동이 물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소리의 반사파를 측정하여 결함을 검출합니다. 이 때, 초음파의 진행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결함은 반사파가 강하게 반사되어 검출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내부 결함의 검출에 적합합니다.

    반면, 방사선투과시험은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부의 기공 검출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방사선의 방출로 인한 안전 문제가 있어서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초음파 탐상시험에서 주어진 재질의 음향임피던스는?

  1. 밀도에 정비례하고 속도에 반비례 한다.
  2. 밀도에 반비례하고 속도에 정비례한다.
  3. 밀도와 속도에 반비례한다.
  4. 밀도와 속도의 곱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탐상시험에서는 재질의 밀도와 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음파는 재질 내에서 전달될 때 밀도와 속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음파가 재질 경계면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재질의 음향임피던스는 밀도와 속도의 곱으로 정의됩니다. 이는 밀도와 속도가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즉, 밀도가 증가하면 음향임피던스도 증가하고, 속도가 증가하면 음향임피던스는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물질 내의 전파하는 초음파의 굴절각을 계산하는데 이용되는 법칙은?

  1. 프라운 호퍼의 법칙
  2. 스넬의 법칙
  3. 프레스넬장의 법칙
  4. 샤를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스넬의 법칙은 물질 내에서 전파하는 파동의 굴절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파동이 물질 경계면을 통과할 때 속도와 파장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 때 굴절각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이 법칙은 광학, 음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며, 물질의 굴절률과 파동의 진행 방향에 따라 굴절각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침법에서 초음파가 입사각 13.1°로 강재에 전달되었다면 강재 내에 존재하는 음파로 옳은 것은?

  1. 표면파만 존재한다.
  2. 종파, 횡파 모두 존재한다.
  3. 횡파는 존재하나 종파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종파는 존재하나 횡파는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가 강재에 입사할 때, 표면파는 발생하지만 강재 내부에서는 종파와 횡파가 모두 존재합니다. 따라서 "종파, 횡파 모두 존재한다."가 정답입니다. 종파는 입사각과 수치파장에 따라 굴절되며, 횡파는 강재 내부에서 반사되어 전파가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표면이 거칠거나 표면형상이 곡면인 경우, 탐촉자의 불완전한 접촉이나 접촉매질의 두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 또는 감쇠는?

  1. 전달손실
  2. 확산손실
  3. 반사손실
  4. 산란감쇠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이 거칠거나 곡면인 경우, 탐촉자와 표면 사이의 접촉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거나 접촉매질의 두께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달되는 신호의 일부가 손실되거나 감쇠됩니다. 이러한 손실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전달손실"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대비시험편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내용은?

  1. 인공결함으로는 평저공 만을 사용한다.
  2. 대피시험편에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청유 등을 도포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
  3. 시험대상물과 동일한 재료만으로 제작해야 한다.
  4. 대비시험편과 표준시험편의 사용 목적은 항상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비시험편은 시험대상물과 유사한 재료로 제작되어 대비시험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 때 대피시험편에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청유 등을 도포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대피시험편이 오랜 시간 동안 보관되어야 하기 때문에 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비시험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펄스반사법에서 초음파가 탐촉자로부터 발생한 후 저면에 반사되어 수신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이 10μs라면 이 시험체의 두께는 얼마인가? (단, 이 시험체의 초음파 종파속도는 6000mm/s이다.)

  1. 7.5mm
  2. 15mm
  3. 30mm
  4. 60mm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반사법에서 시험체의 두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두께 = (초음파 종파속도 × 소요시간) / 2

    여기서 소요시간은 초음파가 탐촉자에서 발생한 후 저면에 반사되어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문제에서 소요시간이 10μs로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두께 = (6000mm/s × 10μs) / 2 = 30mm

    따라서 이 시험체의 두께는 3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초음파탐상검사

21. 다음 중 용접부의 초음파탐상시험시 결함의 종류 판별에 가장 영향이 먼 인자는?

  1. 결함의 형상
  2. 결함의 위치
  3. 반사파의 크기
  4. 시험체의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체의 두께가 가장 영향이 먼 인자인 이유는,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반사파는 시험체 내부에서 발생하고, 시험체의 두께가 반사파의 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두께가 결함의 종류 판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접덧살을 제거하지 않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를 검사하기에 가장 좋은 탐촉자는?

  1. 횡파수직탐촉자
  2. 횡파경사각탐촉자
  3. 종파수직탐촉자
  4. 종파경사각탐촉자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덧살은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하나로,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덧살을 제거하지 않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를 검사할 때는 종파경사각탐촉자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종파 결함을 탐지하기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용접부에 대한 경사각탐상시 어떤 결함이 검출되었다. 이 결함을 진자주사하였더니 결함에코 높이가 변하지 않고, 목돌림주사하였더니 결함에코 높이가 급격히 변하였다. 이 때 추정되는 결함의 종류는?

  1. 단일기공
  2. 용입불량
  3. 언더컷
  4. 균열
(정답률: 알수없음)
  • 목돌림주사에서 결함에코 높이가 급격히 변하는 것은 결함 부근에서 용접재가 끊어지거나 불완전하게 용입된 경우에 나타납니다. 이는 용입불량이나 언더컷과 같은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진자주사에서 결함에코 높이가 변하지 않는 것은 결함 부근에서 용접재가 끊어지지 않았으며, 결함 부근에 단일한 기공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 추정되는 결함의 종류는 "단일기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강용접부를 [보기]와 같이 경사각탐상할 때 탐상순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② - ① - ③ - ④ - ⑥ - ⑤
  2. ③ - ① - ② - ④ - ⑥ - ⑤
  3. ③ - ① - ② - ④ - ⑤ - ⑥
  4. ③ - ② - ① - ④ - ⑥ - 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부를 경사각탐상할 때는 먼저 가장 높은 부분인 ③에서 시작하여 ①으로 내려가고, 다시 ②로 올라가서 ④로 내려가고, ⑥으로 올라가서 마지막으로 ⑤로 내려가는 순서로 탐상합니다. 이는 강용접부의 지형적 특징을 고려하여 최적의 탐상순서를 결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 ① - ② - ④ - ⑥ - 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다른 진동모드로 변환이 가장 쉬운 파의 종류는?

  1. 종파
  2. 횡파
  3. 판파
  4. 표면파
(정답률: 알수없음)
  • 종파는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진폭과 위상이 일정한 파형이다. 따라서 다른 진동모드로 변환하기 쉽다. 반면에 횡파, 판파, 표면파는 여러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파동의 방향이나 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변환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탐촉자의 진동자 재질로 수정을 사용할 때 수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불용성이다.
  2. 송신효율이 좋다.
  3. 큐리점(curie point)이 높다.
  4.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송신효율이 좋다."

    설명: 수정은 불용성이며, 큐리점이 높고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하다. 하지만 수정은 송신효율이 좋지 않다. 이는 수정의 굴절률이 높기 때문으로, 광섬유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는 굴절률이 낮은 소재가 더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두께가 14.3mm인 강용접부를 70° 굴절각으로 탐상하려한다. 1.2스킵(skip)에 해당하는 빔거리(beam path)는 얼마인가?

  1. 36mm
  2. 50mm
  3. 94mm
  4. 100mm
(정답률: 알수없음)
  • 두께가 14.3mm인 강판을 70° 굴절각으로 탐상할 때, 스킵(skip)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스킵 거리 = 두께 / tan(굴절각)
    = 14.3 / tan(70°)
    ≈ 100mm

    따라서, 정답은 "10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시험편의 표면과 평행한 내부결함을 검출하는데 용이한 초음파 탐상시험법은?

  1. 경사각 탐상법
  2. 수직 탐상법
  3. 탠텀(Tandem)법
  4. TOF(time of flight)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탐상법은 초음파를 시험편의 표면과 수직으로 쏘아내리는 방법으로, 표면과 평행한 내부결함을 검출하기에 용이합니다. 이는 수직으로 쏘아내리기 때문에 표면과 내부결함 사이의 경로가 직선적이며, 이로 인해 검출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초음파탐상시 결함 크기와 관련하여 수행하는 전이 손실(transfer los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빔거리에 의한 감쇠는 보정해야 한다.
  2. 시험체의 표면상태 등의 영향을 보상해 주는 방법이다.
  3. 에코의 최대높이에서 50% 될 때가지 탐촉자의 이동 거리를 보정한다.
  4. 시험체 및 시험편에서의 감쇠량을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에코의 최대높이에서 50% 될 때가지 탐촉자의 이동 거리를 보정한다."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초음파탐상에서는 에코의 최대높이에서 50% 될 때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결함의 크기를 파악한다. 이때 탐촉자의 이동거리가 정확하지 않으면 결함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보정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에코의 최대높이에서 50% 될 때가지 탐촉자의 이동 거리를 보정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판재의 용접부에서 융합선(Fusion Line)을 따라 존재하는 불연속의 검출에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표면파를 이용한 경사각 접촉법
  2. 종파를 이용한 수직 접촉법
  3. 표면파를 이용한 수침법
  4. 횡파를 사용한 경사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판재의 용접부에서 융합선을 따라 존재하는 불연속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횡파를 사용한 경사각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횡파를 이용하여 용접부의 표면을 스캔하면서 경사각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불연속 부위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보다 높은 검출률과 정확도를 보이며, 빠른 검사 속도와 쉬운 조작성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5Z10N 탐촉자를 사용하여 측정범위를 250mm에 조정한 후탐촉자를 5Z10×10A70 탐촉자로 교체, 측정범위를 100mm로 탐상하려고 할 때 필요한 조작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영점만 재조정한다.
  2. 그대로 탐상하여도 좋다.
  3. 영점은 그대로 하고 측정범위만 재조정한다.
  4. 측정범위 조정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다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범위 조정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다시 한다."가 맞습니다. 이유는 측정범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탐촉자의 위치와 영점을 재조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측정범위를 줄이면 탐촉자의 위치도 변경되므로 영점을 다시 재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과정을 다시 한다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강용접부의 경사각탐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부 용입불량의 검출에는 탠덤탐상법이 적합하다.
  2. 내부 용입불량의 검출에는 V투과법이 적합하다.
  3. 측면 용입불량의 검출에는 탠덤탐상법이 적합하다.
  4. 블로홀의 검출에는 탠덤탐상법 및 V투과법이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 용입불량은 탠덤탐상법이 적합하다. 이는 내부 용입불량이 탠덤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탠덤탐상법은 물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물체에 X선을 쏘아 투과된 영상을 촬영하여 결함을 파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이 국부 수침법에 의해 강재를 경사각 탐상할 때 강재 중에 횡파 굴절각 45도로 전파시키기 위해서는 입사각을 몇 도로 하면 되는가? (단, Ci 는 1480m/s, Cs 는 3230m/s이다.)

  1. 18.9
  2. 24.8
  3. 34.6
  4. 54.7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재 중에 횡파 굴절각이 45도가 되기 위해서는 Snell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해야 한다.

    sin(입사각) / Ci = sin(굴절각) / Cs

    여기서 입사각을 구하기 위해 위 식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in(입사각) = (Ci / Cs) * sin(굴절각)

    sin(입사각) = (1480 / 3230) * sin(45)

    sin(입사각) = 0.305

    입사각 = arcsin(0.305)

    입사각 = 18.9도

    따라서 정답은 "18.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똑같은 크기의 결함이 있는 경우 초음파탐상 시험에서 가장 발견하기 쉬운 결함은?

  1. 이종 물질의 혼입
  2. 시험재 내부의 구형의 결함
  3. 초음파 진행 방향에 수직인 균열
  4. 초음파 진행 방향에 평행인 균열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는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초음파 진행 방향에 수직인 균열은 다른 결함들보다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똑같은 크기의 결함이 있는 경우 초음파탐상 시험에서 가장 발견하기 쉬운 결함은 초음파 진행 방향에 수직인 균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초음파탐상시험시 결함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게이트(gate)법
  2. AVG선도(AVG diagram)법
  3. 문턱값(threshold value)법
  4. 6데시벨 드롭(6db drop)법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트(gate)법은 결함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게이트(gate)법은 초음파 신호를 보내고 받은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서 해당 구간에서의 반사파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결함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결함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AVG선도(AVG diagram)법, 문턱값(threshold value)법, 6데시벨 드롭(6db drop)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기에너지와 기계에너지를 상호변환해 주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서 일반적으로 초음파 탐촉자에 널리 사용되는 소자는?

  1. 압전소자
  2. 자왜소자
  3. 광전소자
  4. 광음향소자
(정답률: 알수없음)
  • 압전소자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거나, 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입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초음파 탐촉자에 널리 사용되며, 초음파가 압전소자에 도달하면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되어 전기 신호로 감지됩니다. 따라서 압전소자가 초음파 탐촉자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초음파가 두 매질의 경계를 통과 할 때에 다음 중 투과율이 가장 큰 것은?

  1. 철강 → 알루미늄
  2. 알루미늄 → 공기
  3. 공기 → 알루미늄
  4. 물 → 철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의 투과율은 매질의 밀도와 속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철강은 알루미늄보다 밀도가 높고,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초음파가 철강에서 알루미늄으로 이동할 때 투과율이 가장 큽니다. 따라서 "철강 → 알루미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침법 초음파탐상용 탐촉자에 사용되는 음향렌즈의 중요한 특성이 아닌 것은?

  1. 조립하기에 용이할 것
  2. 음향감쇠가 매우 작을 것
  3. 물에서 굴절율이 작을 것
  4. 물과 진동자의 음향 임피던스가 유사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물에서 굴절율이 작을 것"은 음파가 물과 다른 물질을 지나갈 때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인데, 이는 음파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음향렌즈가 물에서 굴절율이 작을수록 음파가 렌즈를 통과할 때 진행 방향이 크게 바뀌지 않아 더 정확한 초음파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음파 탐상장치의 스크린표시방법 중 시험체의 평명을 표시하는 방식은?

  1. A-Scope 표시
  2. B-Scope 표시
  3. C-Scope 표시
  4. D-Scope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C-Scope 표시는 시험체의 평면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초음파 파장이 시험체를 통과하면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직 방향으로 표시하여 시험체의 평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A-Scope 표시는 시간에 따른 반사 신호의 진폭을 표시하며, B-Scope 표시는 시간에 따른 반사 신호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D-Scope 표시는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검사자로서 초음파탐상검사를 하기 위한 준비자세 중 관계가 먼 것은?

  1. 합부판정에 대한 사항을 숙지하여야 한다.
  2. 장비의 검교정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3. 결함의 유무가 제품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판정한다.
  4. 개선각도나 용접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선각도나 용접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초음파탐상검사를 하기 위한 준비자세와는 관계가 먼 것입니다.

    "결함의 유무가 제품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판정한다."는 검사자가 결함을 발견했을 때, 그 결함이 제품의 안전성이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판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검사 결과를 신뢰성 있게 판단하고,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초음파탐상관련규격 및 컴퓨터활용

4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Art4)에 따라 용접부에 대한 시스템 교정 중에서 경사각빔에 대해 교정 또는 측정해야 할 대상이 아닌 것은?

  1. 거리 범위 교정
  2. 탐촉자 이동속도 측정
  3. 거리-진폭 교정
  4. 기본 교정시험편의 표면노치로부터 에코진폭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탐촉자 이동속도 측정은 경사각빔에 대한 교정 또는 측정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탐촉자 이동속도가 보일러나 압력용기의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탐촉자 이동속도는 탐촉자가 용접부를 통과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탐촉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르며, 보일러나 압력용기의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탐촉자 이동속도 측정은 경사각빔에 대한 교정 또는 측정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의 경사각 탐촉자 성능 점검주기에서 입사점, 탐상굴절각, 탐상감도 등은 작업개시시에 조정하며 또한 이것들은 작업 시간 몇 시간이내 마다 점검하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4시간이내
  2. 5시간이내
  3. 6시간이내
  4. 8시간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는 경사각 탐촉자의 성능 점검주기를 작업개시시에 조정하며, 작업 시간 몇 시간이내 마다 점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사각 탐촉자의 성능이 작업 중에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4시간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경사각탐상시 초음파가 통과하는 부분의 모재는 필요에 다라 미리 수직탐상을 하여 탐상에 방해가 되는 흠을 미리 검출해야 하는데 이 때 탐상감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건전부의 제1회 바닥면 에코높이가 50%가 되게 한다.
  2. 건전부의 제1회 바닥면 에코높이가 80%가 되게 한다.
  3. 건전부의 제2회 바닥면 에코높이가 50%가 되게 한다.
  4. 건전부의 제2회 바닥면 에코높이가 80%가 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 시험에서 탐상감도는 초음파가 흠을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경사각탐상시 초음파가 통과하는 부분의 모재에서 흠이 발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탐상감도가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건전부의 제2회 바닥면 에코높이가 80%가 되게 함으로써 초음파의 반사파가 충분히 강해져 탐상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Art.4)에 따른 용접부 탐상에서 탐상에 필요한 절차서의 필수 변수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1. 시험될 용접부 또는 재료의 종류와 형상
  2. 표면조건(상태)
  3. 접촉매질의 종류
  4. 탐촉자의 형식, 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접촉매질의 종류는 초음파탐상검사에서 탐상에 필요한 절차서의 필수 변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탐상 시 용접부 또는 재료의 표면에 접촉하는 매질의 종류가 탐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변수는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알루미늄의 맞대기용접부의 초음파경사각탐상 시험방법(KSB 0897)에서 모재 두께가 30mm 일 때 흠길이가 9mm이면 홈의 분류는? (단, B종으로 구분된다.)

  1. 1류
  2. 2류
  3. 3류
  4. 4류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의 맞대기용접부의 초음파경사각탐상 시험방법(KSB 0897)에서 B종으로 구분된다면, 모재 두께가 30mm이고 흠길이가 9mm인 경우 홈의 분류는 "2류"이다. 이는 KSB 0897에서 정의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모재 두께와 흠길이에 따라 홈의 분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2류는 홈의 크기가 중간 수준으로, 일부 수리가 필요하지만 용접부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초음파 탐상시험용 표준 시험편(KS B 0896)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굴절각 측정에 이용되는 것은?

  1. STB-N1
  2. STB-A2
  3. STB-G V3
  4. STB-A7963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96 표준 시험편에서는 경사각 탐촉자의 굴절각 측정에 STB-A7963이 이용된다. 이는 해당 표준 시험편에서 요구하는 굴절각 측정 범위와 정확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택된 모델이기 때문이다. 다른 모델들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인접한 구분선 작성의 감도차는?

  1. 2dB
  2. 6dB
  3. 9dB
  4. 12dB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인접한 구분선 작성의 감도차는 6dB이다. 이는 인접한 두 구분선 사이의 감도차가 6dB 이상이어야 각 구분선이 서로 구분될 수 있기 때문이다. 6dB는 소리의 청력에서 인접한 두 음의 크기 차이가 느껴지는 최소한의 값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알루미늄의 맞대기용접부의 초음파 경사각탐상 시험방법(KSB 0897)에서 흠의 지시길이가 5mm였다면 이 흠의 몇 류에 속하는가?

  1. 1류
  2. 2류
  3. 3류
  4. 4류
(정답률: 알수없음)
  • 흠의 지시길이가 5mm인 경우, 이는 1류 흠에 해당한다. 1류 흠은 지시길이가 5mm 이하인 흠으로, 초음파 경사각탐상 시험에서 이러한 흠은 검출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1류 흠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압력 용기용 강판의 초음파탐상시험(KS D 0233)에서 두께가 63.5mm인 강판 용접부에 사용하여야 할 탐촉자는?

  1. 2진동자 수직 탐촉자
  2. 경사각 탐촉자
  3. 수직 탐촉자
  4. 수직 탐촉자 또는 2진동자 수직 탐촉자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 용기용 강판의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두께가 두꺼운 강판을 검사해야 하므로, 수직 탐촉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수직 탐촉자는 탐촉자의 진행 방향이 수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두꺼운 강판의 검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수직 탐촉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초음파 탐상검사(ASME Sec.V.Art4)에서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시 시험편의 곡률반지름이 100mm일 때, 사용되어 질 수 있는 보정 블록의 곡률 반지름은?

  1. 80mm
  2. 120mm
  3. 200mm
  4. 2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탐상검사에서 보정 블록은 시험편과 동일한 물질과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미세한 결함을 가지고 있어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보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때 보정 블록의 곡률 반지름은 시험편의 곡률 반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큰 값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험편의 곡률 반지름이 100mm이므로, 사용 가능한 보정 블록의 곡률 반지름은 10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120mm이 사용 가능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압력용기 제작규정(ASME Sec.Ⅷ, Div.1)dp 따라 초음파탐상 결과를 판정하고자 할 때 결함의 길이에 관계없이 불합격 처리되는 결함은?

  1. 균열
  2. 기공
  3. 슬래그
  4. 블로우홀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용기 제작규정(ASME Sec.Ⅷ, Div.1)에서는 균열 결함이 가장 위험한 결함으로 간주합니다. 균열은 길이에 관계없이 결함이 발생한 부위에서부터 전체 구조물을 파괴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음파탐상 결과에서 균열 결함이 발견되면 어떤 길이의 균열이든 불합격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23 SA-577)의 강판 경사각빔에 대한 경사각탐상 기준에서 격자선을 따라 탐촉자를 주사할 때 결함이 검출되면 그 부위를 중심으로 얼마나 넓이를 100% 시험하여야 하는가?

  1. 3.35in2
  2. 6.65in2
  3. 8.85in2
  4. 12.25in2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23 SA-577에서는 경사각빔에 대한 경사각탐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격자선을 따라 탐촉자를 주사할 때 결함이 검출되면 그 부위를 중심으로 1/4인치 반경 내부를 100% 시험하여야 한다. 따라서, 결함이 검출된 부위의 넓이는 1/4인치 반경 내부의 면적이 된다.

    반경이 1/4인치인 원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r^2 = π(1/4)^2 = 0.049in^2

    따라서, 결함이 검출된 부위의 넓이는 0.049in^2이 된다. 하지만, 이는 반경이 1/4인치인 원의 면적이므로, 이를 격자로 나누어 계산하여야 한다.

    ASME Sec.V Art.23 SA-577에서는 격자의 크기가 1/2인치 x 1/2인치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1/4인치 반경 내부의 면적을 격자로 나누어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넓이 = (0.049in^2 / π) x 4 = 0.623in^2

    즉, 결함이 검출된 부위를 중심으로 1/4인치 반경 내부를 100% 시험하면, 이는 격자로 나누어 계산하면 0.623in^2의 면적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65in^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금속재료의 펄스반사법에 따른 초음파탐상 시험방법 통칙(KS B 0897)에서 규정된 탐상도형표시 기본기호와 설명의 연결이 서로 틀린 것은?

  1. T : 송신펄스
  2. F : 흠집에코
  3. B : 바닥면에코
  4. S : 측면에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 : 측면에코"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KS B 0897에서 규정된 탐상도형표시 기본기호와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T : 송신펄스 -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송신부의 신호
    - F : 흠집에코 - 불량 부위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
    - B : 바닥면에코 - 부품의 바닥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
    - S : 측면에코 - 부품의 측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

    따라서, "S : 측면에코"는 올바른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5)에 따라 지시진폭이 거리진폭곡선의 몇%를 초과하는 모든 불완전부를 조사하는가?

  1. 20%
  2. 40%
  3. 5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5에서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에서 지시진폭이 거리진폭곡선의 20%를 초과하는 모든 불완전부를 조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불완전부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이며, 안전한 운영을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5)에서 볼트재의 수직빔 검사교정에 쓰이는 A형 시험편의 평저공의 위치는?

  1. 시험편의 끝부분의 D/5
  2. 시험편의 끝부분의 D/4
  3. 시험편의 중심선
  4. 시험편의 끝부분의 D/3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험편의 끝부분의 D/4"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ASME Sec.V, Art.5)에서 볼트재의 수직빔 검사교정에 쓰이는 A형 시험편은 직경이 1인치(25.4mm)이며, 길이는 6인치(152.4mm)입니다. 이 시험편은 끝부분이 평면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이 평면의 위치는 시험편의 끝부분에서 직경의 1/4 지점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시험편의 끝부분의 D/4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웹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자원들에 대한 주소를 나타내는 것은?

  1. JAVA
  2. URL
  3. HTML
  4. XML
(정답률: 알수없음)
  •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 웹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자원들에 대한 주소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인터넷 상에서 특정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자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메인네임을 구성하는 영역 중 최상위 도메인의 종류와 그에 해당하는 기관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du - 교육 기관
  2. org - 연구 기관
  3. net - 네트워크 관련기관
  4. gov - 정부 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org - 연구 기관"이다. org는 비영리 단체를 나타내는 최상위 도메인이며, 연구 기관 뿐만 아니라 비영리 단체 전반을 포함한다. 따라서 "org - 비영리 단체"로 정확한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자우편의 송ㆍ수신을 담당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DNS
  2. PPP
  3. POP
  4. FTP
(정답률: 알수없음)
  • POP는 Post Office Protocol의 약자로,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OP는 전자우편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컴퓨터에서 속도가 빠른 CPU와 속도가 느린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동작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메모리는?

  1. 캐시 메모리
  2. 가상 메모리
  3. 플래시 메모리
  4. 자기코어 메모리
(정답률: 알수없음)
  • 캐시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는 고속 메모리입니다. 이렇게 미리 저장해둔 데이터를 사용하면 CPU가 주기억장치에 접근하는 시간을 줄여 동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가 아닌 것은?

  1. 쿠키(Cookie)
  2. 모자이크(Mosaic)
  3. 넷스케이프(Netscape)
  4.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정답률: 알수없음)
  • 쿠키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웹 브라우저가 아니라,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텍스트 파일입니다. 따라서 쿠키는 웹 브라우저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 및 용접일반

61. 잠호용접이라고도 하며 용접법 중 입상의 미세한 용제를 사용하는 용접법은?

  1.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
  2. 버트 용접
  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4. 시임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용접 부위를 물속에 잠금으로써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용접 시에 발생하는 산화물을 방지하여 용접 부위의 품질을 높이는 용접법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잠호용접이라고도 불리며, 대형 구조물의 용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표점거리 50mm, 인장시험후 표점거리가 60mm일 경우 연신율은?

  1. 16.7%
  2. 20%
  3. 25%
  4. 33.3%
(정답률: 알수없음)
  • 연신율은 (표점거리 변화량 / 원래 표점거리)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연신율 = ((60-50)/50) x 100 = 20%

    즉, 인장 시험 후 표점거리가 50mm에서 60mm으로 증가한 것으로, 이는 원래 길이의 20% 증가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잔류응력 완화법이 아닌 것은?

  1. 응력 제거 어닐링
  2. 그라인딩
  3. 저온 응력 완화법
  4. 피닝
(정답률: 알수없음)
  • 그라인딩은 잔류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금속의 표면을 연마하여 균일한 표면을 만드는 공정이다. 따라서 그라인딩은 이 보기에서 잔류응력 완화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탄산가스 아크 용접법의 분류에서 용극식 중 플럭스와이어 CO2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아코스 아크법
  2. 텅스텐 아크법
  3. 퓨즈 아크법
  4. 유니언 아크법
(정답률: 알수없음)
  • 탄산가스 아크 용접법은 용접 시 발생하는 열로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용접 전극과 용접 부위 사이에 탄산가스를 통해 전기를 통해 아크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 플럭스와이어 CO2법은 용접 전극과 용접 부위 사이에 CO2 가스와 함께 플럭스를 사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텅스텐 아크법은 탄산가스 아크 용접법의 분류에서 플럭스와이어 CO2법에 속하지 않는다. 텅스텐 아크법은 용접 전극으로 텅스텐을 사용하며, 용접 부위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피복 아크 용접봉 선택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용접성
  2. 자동성
  3. 작업성
  4.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피복 아크 용접봉 선택시 고려할 사항은 용접성, 작업성, 경제성이다. 자동성은 용접봉의 선택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정답은 "자동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교류 용접기의 종류 4가지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가동철심형, 발전기형, 탭전환형, 가포화리액터형
  2. 가동철심형, 가동코일형, 탭전환형, 가포화리액터형
  3. 가동철심형, 가동코일형, 정류기형, 포화리액터형
  4. 가동철심형, 가동코일형, 탭전환형, 셀렌 정류기형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용접기의 종류는 가동철심형, 가동코일형, 탭전환형, 가포화리액터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동철심형은 용접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철심을 이용하고, 가동코일형은 코일을 이용해 전류를 조절합니다. 탭전환형은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탭을 전환하며, 가포화리액터형은 용접 전류를 안정화하기 위해 가포화리액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가동철심형, 가동코일형, 탭전환형, 가포화리액터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맞대기용접, 필릿용접 등의 비드 표면과 모재와의 경제부에 발생되는 균열이며, 구속응력이 클 때 용접부 가장자리에서 발생하여 성장하는 균열은?

  1. 토 균열
  2. 설퍼 균열
  3. 루트 균열
  4. 헤어 크랙
(정답률: 알수없음)
  • 토 균열은 구속응력이 큰 용접부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균열로, 비드 표면과 모재와의 경제부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균열은 용접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용접 공정에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가스 절단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절단산소의 압력
  2. 절단산소의 순도
  3. 강판의 두께
  4. 용기내의 가스압력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 절단속도는 절단산소의 압력, 순도, 강판의 두께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용기내의 가스압력은 가스 절단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가스압력은 절단기의 작동에 필요한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지만, 절단속도는 절단기의 노즐 크기, 가스 유량, 강판과 노즐 사이의 거리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용기내의 가스압력은 가스 절단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용접부 그림의 명칭 중 틀린 것은?

  1. ①:홈의 각도
  2. ②:홈의 깊이
  3. ③:루트 간격
  4. ④:모재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②:홈의 깊이"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홈의 깊이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를 측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홈의 깊이"라는 명칭은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용접법중 저항용접에 속하는 것은?

  1. 프로젝션 용접
  2. 전자빔 용접
  3. 테르밋 용접
  4. 레이져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젝션 용접은 저항을 이용하여 용접을 하는 방법으로, 두 개 이상의 금속 부품을 접합면에 접촉시켜 전류를 흘려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저항용접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대표적인 시효 경화성 합금은?

  1. Al-Cu-Mg-Mn 합금
  2. Cu-Zn 합금
  3. Cu-Sn 합금
  4. Fe-C 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Al-Cu-Mg-Mn 합금"은 대표적인 시효 경화성 합금으로, 알루미늄과 구리, 마그네슘, 망간 등의 원소가 혼합된 합금입니다. 이 합금은 시효 경화 처리를 통해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내식성과 가공성도 우수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자동차, 선박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그림]과 같은 격자결함은? (단, 점선으로 표시된 원자는 격자사이로 끼어 들어가는 상태를 그린 것이다.)

  1. 점결함
  2. 선결함
  3. 면결함
  4. 체적결함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격자결함은 점결함이다. 격자 사이로 끼어 들어가는 원자가 있기 때문에 격자의 구조가 깨져서 점결함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오스테나이트계(austenite type) 스테인리스강에서 입계 부식(intergranular corrosion)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탄소의 함량을 0.03% 이하로 낮게 한 것을 사용한다.
  2. 1000∼1150℃로 가열하여 탄화물을 고용시킨 후 급냉하는 고용화열처리를 한다.
  3. Cr 탄화물을 가능한 한 많이 석출시켜 스테인리스강이 예민화(sensitize) 되도록 한다.
  4. 탄소와의 친화력이 Cr 보다 큰 Ti, Nb 등을 첨가해서 안정화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Cr 탄화물을 가능한 한 많이 석출시켜 스테인리스강이 예민화(sensitize) 되도록 하는 것은 입계 부식을 방지하는 대책이 아니라 오히려 입계 부식을 유발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Cr 탄화물이 많이 석출되면 스테인리스강의 결정구조 주변에서 크롬이 고갈되어 결정구조 주변이 취약해지기 때문에 입계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Cr 탄화물을 석출시키는 것은 오히려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비정질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이방성이 없다.
  2. 구조적으로 장거리의 규칙성이 없다.
  3. 가공경화가 심하여 경도를 상승시킨다.
  4. 열에 약하며, 고온에서는 결정화하여 전혀 다른 재료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에 약하며, 고온에서는 결정화하여 전혀 다른 재료가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정질 합금은 결정이방성이 없고, 구조적으로 장거리의 규칙성이 없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가공시에는 가공경화가 심하여 경도를 상승시킵니다. 또한, 비정질 합금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열에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열전대 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백금 - 백금ㆍ로듐
  2. 철 - 콘스탄탄
  3. 크로멜 - 알루멜
  4. 구리 - 콘스탄탄
(정답률: 알수없음)
  • 백금 - 백금ㆍ로듐 열전대는 고온에서 안정적이며, 높은 온도에서도 변형이 적기 때문에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백금과 로듐이 고온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며, 높은 온도에서도 변형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백금 - 백금ㆍ로듐 열전대는 고온 측정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심한 가공이나 주조하여 만든 Cu 합금은 사용 중 혹은 저장 중에 자연균열(season crack)이 일어난다. 이 균열의 방지법으로 틀린 것은?

  1. 표면에 도료를 칠한다.
  2. 표면에 아연도금을 한다.
  3. 암모니아가스 분위기 속에 저장해 둔다.
  4. 185∼260℃ 의 범위에서 가열하여 응력을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암모니아가스 분위기 속에 저장해 둔다." 이다.

    Cu 합금은 자연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재질이다. 이러한 균열은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Cu 합금을 저장할 때는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암모니아가스 분위기는 Cu 합금의 자연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암모니아가스 분위기가 Cu 합금의 표면을 보호하고,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변화를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u 합금을 저장할 때는 암모니아가스 분위기 속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반면에 "표면에 도료를 칠한다.", "표면에 아연도금을 한다.", "185∼260℃ 의 범위에서 가열하여 응력을 제거한다."는 Cu 합금의 자연균열 방지법으로 틀린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Cu 합금의 표면을 보호할 수는 있지만, 자연균열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Cu 합금을 저장할 때는 암모니아가스 분위기 속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금속에 관한 일반적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은을 제외한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상태의 결정구조를 갖는다.
  2. 전성 및 연성이 좋고, 금속 고유의 광택을 갖는다.
  3. 강자성체 금속으로 Fe, Co, Ni 등이 있다.
  4. 순금속은 합금에 비해 경도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금속은 합금에 비해 경도가 높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순금속은 합금에 비해 경도가 낮은 편이다. 이는 합금이 여러 금속 원소가 혼합되어 있어서 결정구조가 복잡하고 강력한 결합력을 갖기 때문이다. 반면 순금속은 결정구조가 단순하고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경도가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응고 과정에서 결정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이루어진 결정 조직은?

  1. 수지상결정
  2. 주상결정
  3. 편상결정
  4. 구상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응고 과정에서 결정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이루어진 결정 조직은 "수지상결정"이다. 이는 수지가 결정화되면서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주상결정은 직육면체 모양, 편상결정은 평행사변형 모양, 구상결정은 구 모양으로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0.5% 탄소강의 723℃ 성상에서의 pearlite 양은 몇 %정도 인가? (단, 공석점의 탄소량은 0.8%이다.)

  1. 37.5
  2. 42.5
  3. 57.5
  4. 62.5
(정답률: 알수없음)
  • Pearlite는 Fe-Fe3C계에서 eutectoid 변태가 일어나면 형성되는 미세한 조직이다. Eutectoid 변태는 Fe-C계에서 0.8% 탄소량에서 일어나며, 이때 pearlite가 형성된다. 따라서, 0.5% 탄소강에서는 pearlite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62.5"가 없으므로, 문제가 잘못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실용되고 있는 형상기억 합금계가 아닌 것은?

  1. Co - Mn 계
  2. Ti - Ni 계
  3. Cu - Al - Ni 계
  4. Cu - Zn - Al 계
(정답률: 알수없음)
  • "Co - Mn 계"는 형상기억 합금계가 아닙니다. 이는 주로 자석 재료로 사용되며, 형상기억 효과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반면, "Ti - Ni 계", "Cu - Al - Ni 계", "Cu - Zn - Al 계"는 모두 형상기억 합금계로 실용화되어 있습니다. 이들 합금은 온도나 응력 등의 외부 조건에 따라 형태를 변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