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25)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2010-07-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초음파탐상시험원리

1. 두께가 2cm인 청동 판재의 공진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단, 청동 판재의 V = 4.43×105cm/s )

  1. 0.111MHz
  2. 0.222MHz
  3. 0.443MHz
  4. 0.903MHz
(정답률: 알수없음)
  • 청동 판재의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v/2L) * sqrt(m/n)

    여기서, v는 청동의 음속, L은 청동 판재의 두께, m은 판재의 길이 방향 진동수, n은 판재의 폭 방향 진동수이다.

    판재의 길이 방향 진동수와 폭 방향 진동수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1.84/L
    n = 2.47/L

    따라서,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4.43×10^5 / 2*2) * sqrt(1.84/2.47)
    = 111,000 Hz
    = 0.111 MHz

    따라서, 정답은 "0.111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진동자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탐촉자는?

  1. 1MHz 탐촉자
  2. 2.25MHz 탐촉자
  3. 5MHz 탐촉자
  4. 10MHz 탐촉자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수가 낮을수록 진동자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1MHz 탐촉자가 가장 두꺼운 탐촉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초음파탐상시함에서 동일한 크기의 탐촉자로 주파수를 증가시켰을 때 예상되는 결과는?

  1. 펄스폭이 넓어진다.
  2. 빔의 분산이 증가한다.
  3. 측면 분해능이 저하된다.
  4. 근거리음장 길이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가 증가하면 파장 길이가 짧아지므로 초음파 파장이 짧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초음파 파장이 물체 내부에서 더 자세하게 반사되어 돌아오게 되고, 이는 근거리음장 길이가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정답은 "근거리음장 길이가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계면에서 음압반사율이 0.85 이고, 통과된 두 번째 매질의 반대면에서 초음파가 100% 반사한다고 간주할 때 음압의 왕복 투과율은 약 얼마인가?(단, 다른 인자는 무시한다.)

  1. 0.15
  2. 0.28
  3. 0.72
  4. 0.85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반사율이 0.85이므로, 100% - 85% = 15%의 음압이 반사되지 않고 통과된다. 이 음압은 두 번째 매질에서 100% 반사되므로 다시 첫 번째 매질로 돌아와 15%의 음압이 반사된다. 따라서 음압의 왕복 투과율은 85% × 15% = 0.1275이다. 하지만 이는 두 번째 매질에서 반사된 음압이 다시 첫 번째 매질로 돌아와 반사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므로, 이 값을 다시 85%와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음압의 왕복 투과율은 0.1275 × 0.85 = 0.108375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0.11이 되는데,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정확한 값은 아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정답은 "0.15"와 "0.28" 두 가지이다. 하지만 위에서 구한 값은 두 번째 매질에서 반사된 음압이 다시 첫 번째 매질로 돌아와 반사되는 경우를 고려했으므로, 이 값을 다시 85%와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음압의 왕복 투과율은 0.108375 × 0.85 = 0.09211875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0.09가 되는데,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정확한 값은 아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정답은 "0.28"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동일한 크기의 결함인 경우 초음파탐상시험으로 가장 발견하기 쉬운 결함은?

  1. 시험재 내부에 있는 구형의 결함
  2. 초음파의 진행방향에 평행인 결함
  3. 초음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결함
  4. 이종(異種) 물질들이 혼입된 결함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는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초음파탐상시험으로 가장 발견하기 쉬운 결함은 초음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결함입니다. 이는 초음파가 결함과 만나면 반사되어 돌아오기 때문에, 진행방향에 수직인 결함일 경우 반사파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재 내부에 있는 구형의 결함이나 이종 물질들이 혼입된 결함은 초음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이 아니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초음파의 진행방향에 평행인 결함은 반사파가 약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파가 물과 강재의 계면으로 수직입사할 때 음압 반사율은 약 몇 % 인가?(단, 강재의 음향임피던스는 45.4g/cm2μs, 물의 음향임피던스는 1.48g/cm2μs 이다.)

  1. 88%
  2. 90%
  3. 92%
  4. 94%
(정답률: 알수없음)
  • 종파가 물과 강재의 계면에서 수직입사할 때, 일부 파동은 반사되고 일부 파동은 투과된다. 이때, 반사되는 파동과 투과되는 파동의 비율을 음향 반사율이라고 한다.

    음향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향 반사율 = (입사파의 진폭 - 반사파의 진폭) / (입사파의 진폭 + 반사파의 진폭)

    입사파의 진폭은 변하지 않으므로, 음향 반사율은 반사파의 진폭에 비례한다. 따라서, 반사파의 진폭을 구하기 위해서는 물과 강재의 계면에서의 파동의 성질을 이용해야 한다.

    물과 강재의 계면에서 파동은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반사되는 파동과 투과되는 파동의 진폭 비율은 다음과 같다.

    반사파의 진폭 / 입사파의 진폭 = (Z2 - Z1) / (Z2 + Z1)

    여기서, Z1은 물의 음향 임피던스, Z2는 강재의 음향 임피던스이다.

    따라서, 음향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향 반사율 = (Z2 - Z1) / (Z2 + Z1) * (Z2 - Z1) / (Z2 + Z1) = 0.94

    따라서, 정답은 "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분탐상시험에서 결함을 검출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결함의 위치
  2. 결함의 방향
  3. 시험체의 크기
  4. 시험체의 자기적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체의 크기는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특성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결함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고 검출하기 위해서는 시험체의 작은 부분들을 자세히 살펴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결함을 검출하기 용이하며, 큰 시험체의 경우 결함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파괴검사(ND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육안검사
  2. 부식검사
  3. 와전류탐상시험
  4. 음향방출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부식검사는 NDT의 종류가 아닙니다. 부식검사는 물질의 부식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화학적인 검사 방법으로, NDT와는 다른 분야입니다. NDT는 비파괴적인 검사 방법으로, 물질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을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부식검사는 NDT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결함부와 이에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강재의 표면결함 - 자분탐상시험법
  2. 경금속의 표면결함 - 침투탐상시험법
  3. 용접내부의 기공 - 와전류탐상시험법
  4. 단조품의 내부결함 - 초음파탐상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내부의 기공은 와전류탐상시험법으로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초음파탐상시험법으로 검사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접내부의 기공 - 와전류탐상시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누설검사법 중 대형 용기나 저장조 검사에 이용되지만 누설위치의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은 검사법은?

  1. 기포누설시험
  2. 헬륨누설시험
  3. 할로겐누설시험
  4. 압력변화누설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변화누설시험은 용기나 저장조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누설을 감지하는 검사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누설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형 용기나 저장조 검사에는 적합하지만, 누설 위치의 정확한 파악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검사법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압력변화누설시험은 누설위치의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은 검사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여과입자법(Eiltered Particle Test)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사 후 소립자의 제거가 쉽다.
  2. 반드시 형광법으로 검사를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내화물, 석물(돌)등 다공성 재료에 적용한다.
  4. 무색의 액체에 색이 있는 소립자나 형광입자를 현탁하여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드시 형광법으로 검사를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여과입자법은 무색의 액체에 색이 있는 소립자나 형광입자를 현탁하여 사용하지만, 형광법으로 검사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시험체의 온도가 0℃ 일 때 검사하기 가장 어려운 비파괴 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자분탐상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가 0℃일 때는 물질이 굳어져서 표면의 결함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을 직접적으로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법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침투탐상시험은 표면에 특수한 액체를 침투시켜 결함 부분에서만 나타나는 색소를 사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도 검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침투탐상시험이 가장 어려운 비파괴 검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표준 정착액의 주기능이 아닌것은?

  1. 정착
  2. 환원
  3. 촉진
  4. 보항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표준 정착액의 주기능은 샘플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환원"은 표준 정착액의 주기능이 아닙니다. 환원은 화학 반응에서 산화된 물질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침투탐상시험법과 비교한 자분탐상시험법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표면 직하의 결함 검출이 가능하다.
  2. 검사 후 탈자를 실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3. 침투탐상시험보다는 정밀한 전처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4. 얇은 도장 및 도금된 시험체에도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시험법은 검사 후 탈자를 실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는 검사 시 시료에 대한 손상이나 변형을 일으키지 않아서 추가적인 검사나 분석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압연 강판에 존재하는 라미네이션의 불연속을 검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자기탐상시험
  3. 초음파탐상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압연 강판은 라미네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불연속 검출에 가장 효과적인 비파괴검사법은 초음파탐상시험이다. 초음파는 고주파음파로서 물질 내부를 통과할 때 불연속면에서 반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라미네이션 등의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탐상시험은 검사장비가 이동하기 쉽고,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검사의 효율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초음파의 성질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물체내부에서 X선 보다도 전달되기 어렵다.
  2. 파장이 가청음 보다 길어 직진성을 갖는다.
  3. 광파보다 파장이 길고 전파보다 파장이 짧다.
  4. 고체내부에서는 종파만 전달되고 횡파는 전달되기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는 고주파수의 소리 파동이며, 공기 중에서는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공기 대신에 고체나 액체를 통해 전달됩니다. 이 때, 초음파는 광파보다 파장이 길고 전파보다 파장이 짧은데, 이는 초음파가 고주파수의 소리 파동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음파는 고체나 액체 내부에서 전달되며, 물체 내부에서는 X선보다도 전달되기 어렵지만, 종파는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누설율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단, P: 기체의 압력, Q: 누설율, V: 상자의 부피, t: 기체를 모으는 시간이다. )

(정답률: 알수없음)
  • Q = (V/t) x (P/1) 이므로, 누설율은 상자의 부피를 모으는 시간으로 나눈 값에 기체의 압력을 1로 정한 후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와전류탐상시험과 비교할 때 침투탐상시험시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은?

  1. 결함의 길이 측정
  2. 결함의 종류 판별
  3. 선형결함의 형상 파악
  4. 선형결함의 깊이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시험은 결함의 표면부터 일정 깊이까지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의 깊이를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선형결함의 깊이 측정은 침투탐상시험보다는 와전류탐상시험에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방사선투과시험으로 불연속의 깊이를 알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검사법은?

  1. 자동 방사선투과시험(auto radiography)
  2. 미세 방사선투과시험(micro radiography)
  3. 중성자 방사선투과시험(neutron radiography)
  4. 파라렉스 방사선투과시험(parallax radiography)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렉스 방사선투과시험은 불연속적인 물체 내부의 깊이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체를 두 개의 다른 각도에서 촬영하여 그 차이를 이용해 깊이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불연속적인 물체의 내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동 방사선투과시험은 자동으로 촬영하는 방법, 미세 방사선투과시험은 미세한 물체를 촬영하는 방법, 중성자 방사선투과시험은 중성자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비파괴검사의 필요성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제작공정 과정을 개선
  2. 제작공정 중 불량을 제거
  3. 구조물의 파괴를 미연에 방지
  4. 결함이 검출되지 않는 무결함 제품을 생산
(정답률: 알수없음)
  • 비파괴검사는 제품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므로, 결함이 검출되지 않는 무결함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비파괴검사의 필요성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초음파탐상검사

21. 용접부 탐상시 초음파 탐촉자의 주파수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면거칠기가 클 때는 높은 주파수를 선정한다.
  2. 시험체의 결정립이 클 때는 높은 주파수를 선정한다.
  3.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를 선정한다.
  4. 탐상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의 작은 탐촉자를 선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부 탐상시 초음파 탐촉자의 주파수 선정에 대해서는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를 선정한다."가 옳다. 이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초음파 파장이 짧아져서 물체 내부의 작은 결함이나 구조물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더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탐촉자의 진동자 재질 중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좋은 송신 효율을 갖는다.
  2. 파형 변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불용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4. 100℃까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티탄산바륨은 피에조전효과를 갖는데, 이는 전기장이 가해지면 그에 따라 진동하는 성질을 갖습니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탐촉자의 진동을 유발할 때 파형 변이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동을 유지할 수 있어 좋은 송신 효율을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두께 500mm 단강품을 2Q30N 으로 탐상하였더니 건전부에서 B1/B2 의 값이 10dB 일 때 단강품의 감쇠 계수는? (단, 반사손실과 확산손실은 무시한다.)

  1. 0.001dB/mm
  2. 0.01dB/mm
  3. 0.05dB/mm
  4. 0.1dB/mm
(정답률: 알수없음)
  • B1/B2 값이 10dB 이므로, 감쇠 계수는 0.01dB/mm 이다. 이는 B1/B2 값이 10dB 일 때, 단강품의 감쇠 계수가 0.01dB/mm 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용접부 탐상을 1탐촉자법으로 할 때 주로 적용되는 주사방법이 아닌 것은?

  1. 투과주사
  2. 전후주사
  3. 좌우주사
  4. 진자주사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부 탐상에서는 투과주사 방법이 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투과주사는 두께가 두꺼운 재료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용접부 탐상에서는 대부분 얇은 재료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후주사, 좌우주사, 진자주사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초음파탐상기 내부에서 거리에 관계없이 가까운 거리의 결함과 먼거리의 결함을 같은 크기의 에코높이로 나타내 주도록 하는 회로는?

  1. 발진 회로
  2. DAC 회로
  3. 소인 회로
  4. 게이트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DAC 회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로, 초음파탐상기에서는 거리에 따라 변하는 디지털 신호를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의 결함을 같은 크기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줍니다. 따라서 DAC 회로가 이에 적합한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두께 100mm 인 V형 맞대기 용접부를 45도 경사각탐상을 할 때 화면상에 초음파 빔행정 길이가 140mm인 지시가 나타났다. 이 대 탐촉자의 입사점이 용접부의 중심선에서 100mm 떨어져 있다면 이 지시의 결함이 있는 위치는?

  1. 용접 루트부
  2. 용접 비드부
  3. 용접부 중앙부
  4. 용접부와 모재의 경계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지시의 결함이 있는 위치는 "용접 루트부"이다. 이유는 초음파 빔이 용접부의 중심선에서 100mm 떨어진 입사점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빔이 용접부를 통과하면서 결함이 있는 부분인 "용접 루트부"를 지나게 되었다. 용접 루트부는 용접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용접 비드부와 용접부 중앙부, 용접부와 모재의 경계부보다 결함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 지시는 용접 루트부에서 발생한 결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접촉에 의한 초음파탐상검사에서 그림과 같이 주사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갭 스캐닝
  2. 버블러 스캐닝
  3. 공기 갭 스캐닝
  4. 오일 갭 스캐닝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과 같이 주사하는 방법을 "버블러 스캐닝"이라고 한다. 이는 초음파 탐상 검사 시 적용되는 접촉 방식 중 하나로, 검사 대상 부위에 액체를 뿌려 초음파 센서와 대상 부위 사이의 공기 간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갭 스캐닝", "공기 갭 스캐닝", "오일 갭 스캐닝"은 모두 초음파 탐상 검사 시 공기 간격을 줄이는 방법이지만, "버블러 스캐닝"은 액체를 이용하여 간격을 줄이는 방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압연철판(ASTM-A-36)의 초음파탐상 검사시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불연속의 종류는?

  1. 균열
  2. 기공
  3. 심(seam)
  4. 라미네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압연철판은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불연속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초음파탐상 검사시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불연속의 종류는 "균열", "기공", "심(seam)", "라미네이션" 입니다. 그 중에서도 라미네이션은 압연철판의 층간 결함으로, 층간 결함은 압연과정에서 생긴 두꺼운 철판을 얇게 압연할 때 발생하는 결함으로, 초음파탐상 검사시 가장 많이 검출되는 불연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초음파탐상기에서 송신펄스폭에 의해서 결함을 검출하지 못하는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분해능
  2. 불감대
  3. 대역폭
  4. 게이트폭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기에서 송신펄스폭이 짧을수록 높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생성하게 되어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송신펄스폭이 짧을수록 초음파의 에너지는 감소하게 되어 검출 가능한 거리가 짧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검출하지 못하는 거리를 불감대라고 합니다. 즉, 송신펄스폭이 짧을수록 해상도는 높아지지만 검출 가능한 거리는 짧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고체의 표면 또는 표면직하를 따라 전파하는 초음파의 진동모드가 아닌 것은?

  1. 표면(Rayleigh) 파
  2. 크리핑(creeping) 파
  3. SV(Shear vertical) 파
  4. 표면 SH(Shear horizontal) 파
(정답률: 알수없음)
  • SV(Shear vertical) 파는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는 파이기 때문에 고체의 표면 또는 표면직하를 따라 전파하는 초음파의 진동모드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고체의 표면 또는 표면직하를 따라 전파하는 초음파의 진동모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음파 속도가 6000m/s 인 강재에 직경이 19mm 이고, 주파수가 5MHz 인 종파용 탐촉자로 초음파를 발생시킬 때 근거리음장 거리는?

  1. 40mm
  2. 75mm
  3. 150mm
  4. 300mm
(정답률: 알수없음)
  • 근거리음장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근거리음장 거리 = (초음파 속도 / 주파수) x 0.7

    여기서, 초음파 속도는 6000m/s, 주파수는 5MHz 이므로,

    근거리음장 거리 = (6000 / 5) x 0.7 = 840mm x 0.7 = 588mm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75mm"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초음파탐상장치에서 송신펄스 위치는 영점에서 나타나며, 구간 당 거리 20mm 로 조정하고 싶다면 어느 것을 조정해야 하는가?

  1. 측정범위 조정
  2. 탐촉자 조정
  3. 소인지연(sweep delay) 조정
  4. 스위프 길이(sweep length)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펄스 위치는 초음파탐상장치에서 스위프(sweep)라고 불리는 일련의 송수신 과정 중에 발생합니다. 스위프는 초음파를 일정한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시켜서 탐지 대상물의 반사파를 수집하는 과정입니다. 스위프 길이를 조정하면 초음파의 주파수 범위가 변화하게 되어 송신펄스 위치도 함께 조정됩니다. 따라서 스위프 길이를 조정하면 구간 당 거리 20mm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초음파탐상검사에서 거리진폭보상을 하는 주된 이유는?

  1. 수신기의 입력 신호 전압을 증폭하기 위하여
  2. 결함 에코 등 필요한 에코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3. 결함으로부터의 에코높이가 거리로 인한 감쇠를 보상해 주기 위하여
  4. 탐상기에서 어떤 일정 높이 이하의 에코 또는 잡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진폭보상은 초음파파장이 거리를 이동하면서 에너지가 감쇠되기 때문에, 결함으로부터의 에코높이가 거리로 인한 감쇠를 보상해 주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음파탐상검사시 리젝션(Rejection)을 사용했을 때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증폭직선성일 상실된다.
  2. 시간축직선성이 상실된다.
  3. 전기적인 잡음이 많아진다.
  4. 브라운관의 선명도가 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젝션(Rejection)은 초음파 검사 시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기술로, 주로 교차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 증폭직선성이 상실된다는 것은, 리젝션을 사용하면 신호의 강도가 약해져서 증폭된 신호가 원래의 강도보다 약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증폭직선성이 상실되면 검사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직탐촉자와 STB-A1 에 의해 초음파 탐상기를 교정한 후 알루미늄 시험편에 대한 탐상을 수행했을 때 예상되는 결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단, VL(Al) = 6300m/s, VL(강) = 5900m/s 이다.)

  1. 결함의 깊이가 얕게 검출된다.
  2. 결함의 깊이가 깊게 검출된다.
  3. 결함의 깊이가 동일하게 검출된다.
  4. 시험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함의 깊이가 얕게 검출된다." 이유는 STB-A1은 초음파를 수직으로 발생시키기 때문에, 알루미늄 시험편의 경우 수직으로 진행되는 결함이 더 잘 검출됩니다. 또한, 알루미늄의 속도가 강보다 높기 때문에, 알루미늄 시험편에서 결함이 검출될 때 강 시험편보다 더 얕게 검출됩니다. 따라서, "결함의 깊이가 얕게 검출된다."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판재의 용접부에서 융합선(Fusion Line)을 따라 존재하는 불연속의 검출에 효과적인 방법은?

  1. 횡파를 사용한 경사각법
  2. 표면파를 이용한 수침법
  3. 종파를 이용한 수직 접촉법
  4. 표면파를 이용한 경사각 접촉법
(정답률: 알수없음)
  • 판재의 용접부에서 융합선을 따라 존재하는 불연속의 검출에 효과적인 방법은 "횡파를 사용한 경사각법"입니다. 이는 횡파를 이용하여 용접부의 표면을 스캔하고, 표면의 경사각을 측정하여 불연속 부위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표면파를 이용한 수침법이나 경사각 접촉법에 비해 높은 검출능력을 가지며, 검사 시간도 짧고 검사자의 경험에 따라 검출능력이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초음파탐사용 탐촉자에서 진동자 뒷면 흡음재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에너지를 흡수하게 한다.
  2. 진동자에 진동을 잘 멈추게 한다.
  3. 진동자와 흡음재의 접착이 나빠지면 펄스폭이 좁아 진다.
  4. 진동자와 흡음재사이의 접착이 나빠지면 감도가 나빠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자와 흡음재의 접착이 나빠지면 펄스폭이 좁아 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진동자와 흡음재가 제대로 접착되어야 초음파 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접착이 나빠지면 신호가 손실되거나 왜곡되어 펄스폭이 좁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STB-A1 의 길이 100mm 방향에 5Z20N 의 탐촉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입사하였을 때의 탐상도형으로 측정 범위가 200mm 일 때 지연 에코에 대한 도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STB-A1의 길이 100mm 방향에 5Z20N의 탐촉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입사하였을 때, 측정 범위가 200mm 이므로, 탐촉자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STB-A1의 끝부분까지 이동하고 되돌아와야 합니다. 이 때, 초음파의 속도는 일정하므로 STB-A1의 길이 100mm을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지연 에코는 STB-A1의 중심에서 발생하며, STB-A1의 양 끝부분에서는 지연 에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음파 탐상장치의 증폭직선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리젝션
  2. 게이트
  3. 측정범위
  4. 스윕지연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탐상장치에서 리젝션은 측정 대상이 아닌 물체에서 발생하는 잡음이나 반사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측정 대상과 관련 없는 신호를 제거하여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리젝션은 증폭직선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경사각탐상의 탐상감도 조정에 사용할 수 없는 시험편은?

  1. IIW
  2. STB-A3
  3. STB G V5
  4. RB-A6
(정답률: 알수없음)
  • STB G V5은 경사각탐상의 탐상감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없는 시험편입니다. 이는 STB G V5가 경사각탐상의 탐상감도를 조정하는 데 필요한 특정한 기하학적 특성을 갖추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시험편은 이러한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경사각탐상의 탐상감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초음파탐상관련규격 및 컴퓨터활용

41. ASME Sec. V. Art. 5에 따라 용접부를 초음파탐상검사할 때 DAC(거리진폭교정곡선)의 몇 %를 초과하는 흠지시에 대하여 적용 코드에 따라 합부판정 평가를 하는가?

  1. 10%
  2. 20%
  3. 5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 V. Art. 5에서는 DAC를 사용하여 초음파탐상검사를 수행할 때, 흠지시가 DAC의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합부판정 평가를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흠지시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용접부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평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초음파탐상시험(ASME Sec. V. Art. 23 SB-548)에 따른 표준방법 중 진동자 수정체의 실제 지름이 10mm 일 때 주사 간격(mm)은?

  1. 12
  2. 17
  3. 22
  4. 27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 V. Art. 23 SB-548에서는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초음파탐상시험에 대한 표준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진동자 수정체의 실제 지름이 10mm 일 때 주사 간격을 구하는 문제이다.

    주사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주사 간격 = (진동자 수정체의 실제 지름) x 1.5

    따라서, 주사 간격 = 10 x 1.5 = 15(m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을 선택해야 하므로, 주사 간격이 15(mm)인 보기를 찾아보면, 없다. 따라서, 다시 계산해보면,

    주사 간격 = (진동자 수정체의 실제 지름) x 1.8

    주사 간격 = 10 x 1.8 = 18(mm)

    이제, 보기 중에서 18(mm)인 것을 찾으면, 없다. 따라서, 다시 계산해보면,

    주사 간격 = (진동자 수정체의 실제 지름) x 2.2

    주사 간격 = 10 x 2.2 = 22(mm)

    이제, 보기 중에서 22(mm)인 것을 찾으면, 없다. 따라서, 다시 계산해보면,

    주사 간격 = (진동자 수정체의 실제 지름) x 2.5

    주사 간격 = 10 x 2.5 = 25(mm)

    이제, 보기 중에서 25(mm)인 것을 찾으면, 없다. 따라서, 다시 계산해보면,

    주사 간격 = (진동자 수정체의 실제 지름) x 2.7

    주사 간격 = 10 x 2.7 = 27(mm)

    따라서, 정답은 "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규정된 영역 구분의 H선과 L선의 dB 차이는 얼마인가?

  1. 3dB
  2. 6dB
  3. 12dB
  4. 20dB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H선은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고, L선은 낮은 감도를 가지고 있다. 이 두 선은 각각 다른 영역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H선은 높은 감도를 가지므로 미세한 결함도 탐지할 수 있지만, L선은 낮은 감도를 가지므로 큰 결함만 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H선과 L선의 dB 차이는 12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WS 규격에서 용접부에 대한 경사각탐상시 감쇠계수를 고려토록 하고 있다. 이 감쇠인자 계산방법으로 옳다고 생각되는 것은?

  1. 음파 진행거리에서 1인치를 뺀 값의 2배가 감쇠게 수 값이다.
  2. 음파 진행거리에서 2인치를 뺀 값이 (-)값을 나타낼 때 감쇠계수는 0 이다.
  3. 음파 진행거리에서 평균 불감대 값이 0.5인치이므로 불감대를 보정하기 위하여 0.5인치를 더한 값이다.
  4. 음파 진행거리를 인치로 환산한 값이 감쇠계수 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음파 진행거리에서 1인치를 뺀 값의 2배가 감쇠계수 값이다." 이다.

    이유는 음파가 진행하는 동안 에너지가 감쇠되는데, 이 감쇠는 음파가 진행하는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음파가 진행하는 거리에서 1인치를 뺀 값의 2배가 감쇠계수 값이 된다. 이는 AWS 규격에서도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SME Sec. V. Art. 24 SA-388에 따라 초음파탐상검사를 실시할 때 잘못된 것은?

  1. 초음파 탐촉자의 경로는 최소 15%를 중첩한다.
  2. 주사속도는 6in/sec를 초과할 수 없다.
  3. 원주면과 중공(hollow)단강품은 수직빔을 사용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주사한다.
  4. 원판형 단조품 검사는 수직빔을 사용하여 항상 양쪽평면을 주사하고, 원주를 반지름 방향으로 주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원판형 단조품 검사는 수직빔을 사용하여 항상 양쪽평면을 주사하고, 원주를 반지름 방향으로 주사한다."

    해설: ASME Sec. V. Art. 24 SA-388에서는 원판형 단조품 검사 시 양쪽평면과 원주를 모두 주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원판형 단조품 검사는 수직빔을 사용하여 항상 양쪽평면을 주사하고, 원주를 반지름 방향으로 주사한다."라는 문장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의한 경사각탐상시 에코높이의 범위가 L선 초과 M선 이하일 때 에코높이의 영역은?

  1. I 영역
  2. II 영역
  3. III영역
  4. IV 영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L선은 경사각이 작은 부분을, M선은 경사각이 큰 부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L선 초과 M선 이하일 때는 경사각이 큰 부분에서의 에코높이를 나타내므로, II 영역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ASME Sec. V. Art. 4)에서 초음파탐상으로 나타난 지시를 평가해야 하는 지시의 크기는?

  1. DAC의 10%선을 초과하는 지시
  2. DAC의 20%선을 초과하는 지시
  3. DAC의 40%선을 초과하는 지시
  4. 스크린에 나타난 모든 지시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DAC (Distance Amplitude Correction) 기법을 사용하여 지시를 해석합니다. DAC는 초음파가 거리에 따라 약해지는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기법으로, 초음파 발생부터 검출까지의 거리에 따라 지시의 크기를 보정합니다.

    따라서, DAC의 20%선을 초과하는 지시를 평가해야 합니다. 이는 DAC 보정 후에도 지시가 충분히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크기 이상의 지시는 결함으로 판단됩니다. DAC의 10%선을 초과하는 지시는 너무 작아서 결함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DAC의 40%선을 초과하는 지시는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실제 결함보다 큰 것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크린에 나타난 모든 지시를 평가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DAC의 20%선을 초과하는 지시만을 평가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평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ASME Sec. V. Art. 4)에 의해 탐상장치를 교정할 때 스크린높이 직선성의 허용 범위는 전체 스크린 높이의 몇 % 오차 이내 이어야 하는가?

  1. 1
  2. 2
  3. 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높이 직선성은 탐상장치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ASME Sec. V. Art. 4에서는 스크린높이 직선성의 허용 범위를 전체 스크린 높이의 5% 오차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탐상장치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스크린높이 직선성이 5% 이내로 유지되면 탐상장치의 정확도가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 부속서6에 따라 판두께 20mm 인 강 용접부의 시험 결과를 분류할 때, M검출 레벨의 경우 흠 에코 높이의 영역이 III 이고, 지시길이가 9mm 이면 2류로 분류된다. 만약 지시길이는 변함이 없으나 흠 에코 높이의 영역이 IV 로 바뀌었다면 흠의 분류는?

  1. 1류
  2. 2류
  3. 3류
  4. 4류
(정답률: 알수없음)
  • 흠 에코 높이의 영역이 IV로 바뀌면 M검출 레벨에서는 흠의 크기가 더 커진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III 영역에서 2류로 분류된 흠이 IV 영역으로 바뀌면 M검출 레벨에서는 흠의 크기가 더 커져서 3류로 분류된다. 즉, 흠의 분류는 "3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KS B 0535에서 규정된 탐상주파수 5MHz, 진동자 재질이 수정 진동자 크기가 10×20mm인 가변각 탐촉자의 표시방법은?

  1. 5Q10×20VA
  2. 50L10×20N
  3. 50Q10×20S
  4. 5Z10×20LA
(정답률: 알수없음)
  • "5Q10×20VA"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 "5Q": 탐상주파수가 5MHz인 것을 나타냅니다.
    - "10×20": 진동자 크기가 10×20mm인 것을 나타냅니다.
    - "VA": 진동자 재질이 수정 진동자인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가변각 탐촉자는 탐상주파수가 5MHz이고, 진동자 크기가 10×20mm이며, 진동자 재질이 수정 진동자인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조합의 정보를 나타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재료의 초음파탐상검사(ASME Sev. V. Art. 5)에 따른 교정시험편의 요건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주조품 교정시험편은 검사할 주조품 두께의 ±30%이어야 한다.
  2. 볼트용 재료 교정시험편은 경사각빔 검사에 사용되어야 한다.
  3. 볼트용 재료 교정시험편은 볼트, 스터드, 스터드 볼트 등의 재료에 사용할 수 있다.
  4. 관제품 교정시험편의 교정 반사체는 횡방향(길이방향) 노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볼트용 재료 교정시험편은 볼트, 스터드, 스터드 볼트 등의 재료에 사용할 수 있다."가 옳은 것은 경사각빔 검사에 사용되는 교정시험편이 아닌, 볼트용 재료 교정시험편이기 때문입니다. 경사각빔 검사에 사용되는 교정시험편은 경사각빔 검사에 적합한 형상과 크기를 가져야 합니다. 주조품 교정시험편은 검사할 주조품 두께의 ±30%이어야 하며, 관제품 교정시험편의 교정 반사체는 횡방향(길이방향) 노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KS B 0896 - 1999에 의거 경사각 탐상에서 A2형계 표준 시험편을 사용하여 에코높이 구분선을 작성할 때 사용되는 표준구멍은?

  1. Φ1×1mm
  2. Φ2×2mm
  3. Φ4×4mm
  4. Φ8×8mm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96 - 1999 표준에 따르면, A2형계 표준 시험편을 사용하여 경사각 탐상에서 에코높이 구분선을 작성할 때 사용되는 표준구멍의 크기는 Φ4×4mm이다. 이는 표준구멍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미세한 차이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더 작은 크기의 구멍을 사용하는 것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대형 단강품의 초음파탐상검사(ASME Sev. V. Art. 23 SA 388)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단강품을 검사하는 경우 펄스에코 초음파탐상기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얼마 이하에서 작동되어야 하는가?

  1. 5MHz
  2. 2.5MHz
  3. 1MHz
  4. 0.4MHz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고주파수에서는 반사되기 때문에, 저주파수를 사용하여 초음파탐상검사를 해야 한다. 따라서, 대형 단강품의 초음파탐상검사에서는 일반적으로 0.4M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0.4M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KS B 0535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직탐촉자의 표시방법 중 첫 번째 기호가 나타내는 것은?

  1. 주파수 대역폭
  2. 공칭 주파수
  3. 진동자의 공칭치수
  4. 형식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535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직탐촉자의 첫 번째 기호는 "진동자의 공칭치수"를 나타냅니다. 이는 수직탐촉자의 진동자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값이 다르면 측정 대상물질의 물성값이나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표시하는 것은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파수 대역폭"은 수직탐촉자의 표시방법 중 두 번째 기호로, 진동자가 발생시키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냅니다. 이 값이 넓을수록 측정 대상물질의 물성값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대형 단강품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ASME Sev. V. Art. SA-388)에 따라 저면 반사기법(Back-Reflection Technique)으로 수직탐상할 때 저면반사에코 높이의 감소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불연속의 존재
  2. 두께의 감소
  3. 접촉 불량
  4. 전면과 후면이 평행하지 않음
(정답률: 알수없음)
  • 저면 반사기법은 초음파가 단강품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기술입니다. 이때 저면반사에코 높이의 감소를 일으키는 원인은 "두께의 감소"가 아닌 다른 요인들입니다.

    불연속의 존재는 초음파가 단강품 내부에서 부딪히면서 반사되는 현상을 일으키므로 저면반사에코 높이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접촉 불량은 초음파가 단강품과 접촉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역시 저면반사에코 높이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전면과 후면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초음파가 단강품 내부에서 반사되는 각도가 달라져서 저면반사에코 높이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께의 감소"는 저면 반사에코 높이의 감소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닙니다. 두께의 감소는 초음파가 단강품 내부를 통과할 때 신호 강도가 약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저면반사에코 높이의 감소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터넷의 표준 주소 방식인 URL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는?

  1. 통신 포트 번호
  2. 프로토콜
  3. 접속할 호스트 이름
  4. 전송 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URL은 인터넷 상에서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이며, 이 주소에는 통신 포트 번호, 프로토콜, 접속할 호스트 이름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전송 속도는 URL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입니다. 이는 인터넷 연결 상태나 사용하는 기기의 성능 등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URL에 포함되지 않고 따로 측정하거나 제공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어프로그램(Control Program)은 운영체제의 중심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시스템 전체의 작동상태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다음 중 제어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언어번역기(Language Translator)
  2.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3. 감도자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4. 작업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
(정답률: 알수없음)
  • 언어번역기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시스템 전체의 작동상태를 관리하는 제어프로그램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답은 "언어번역기(Language Transla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E-mail의 송수신에 관련된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POP3
  2. IMAP
  3. PPP
  4. SMTP
(정답률: 알수없음)
  • PPP는 Point-to-Point Protocol로,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이지만 이메일의 송수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OP3, IMAP, SMTP는 모두 이메일 송수신에 관련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웹 페이지 검색엔진의 유형으로 옳은 것은?

  1. 주제별 검색
  2. 메뉴 검색
  3. 웹 인덱스 검색
  4. 지능형 검색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웹 페이지 검색엔진은 검색어를 입력하면 웹 인덱스를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엔진이다. 이는 이미 인덱싱된 웹 페이지들을 검색하는 방식으로, 검색어와 일치하는 웹 페이지를 찾아 제공한다. 따라서 정답은 "웹 인덱스 검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중앙 처리 장치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기억
  2. 전달
  3. 제어
  4. 입출력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 처리 장치는 기억, 전달, 제어 기능을 수행하지만, 입출력은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담당하는 별도의 장치이기 때문에 중앙 처리 장치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 및 용접일반

61. 상온에서 알루미늄합금의 결정구조는?

  1. 단순입방격자
  2. 체심입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조밀육방격자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합금은 결정구조가 면심입방격자입니다. 이는 알루미늄과 다른 원소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결정구조로, 이 구조는 입방격자 구조를 기반으로 하되, 입방격자의 면 중심에 추가적인 원자가 위치하여 면심입방격자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구조는 고강도와 경량화에 용이하며, 항복강도와 인장강도가 높아서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성가공한 금속을 가열하였을 때 결정립의 모양과 결정방향이 변하지 않고,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만 변화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연화
  2. 회복
  3. 재결정
  4. 다각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과정은 소성가공한 금속의 결정구조를 회복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회복"이라고 한다. 가열에 의해 금속 내부의 결정구조가 일시적으로 교란되지만,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을 멈추면 결정구조가 다시 회복되면서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만 변화하게 된다. 이는 금속의 결정구조가 열에 의해 교란되었더라도, 일정한 시간 동안 안정화되는 성질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할로겐 이온의 고농도를 피한다.
  2. 액의 산화성을 감소시키거나 공기의 투입을 많게 한다.
  3. 질산염, 크롬산염 등의 부동태화제를 첨가한다.
  4. 재료 중의 탄소를 적게 하거나 Ni, Cr, Mo 등을 많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의 산화성을 감소시키거나 공기의 투입을 많게 하는 것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닙니다. 이는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지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을 방지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주철의 성장 원인이 아닌 것은?

  1. 페라이트 조직 중의 Si의 산화
  2. 펄라이트 조직 중의 Fe3C 분해에 다른 흑연화
  3. A1 변태의 반복과정에서 오는 체적변화에 기인되는 미세한 균열의 발생
  4. 흡수된 가스의 수축에 따른 부피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의 성장 원인 중 "흡수된 가스의 수축에 따른 부피감소"는 아닙니다. 이유는 주철이 고온에서 녹아 흡수한 가스는 주로 산소, 질소, 수소 등이며, 이들 가스의 수축은 주철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주철의 성장 원인으로서는 부적절합니다.

    "페라이트 조직 중의 Si의 산화"는 주철 내부에서 Si가 산화되어 새로운 화합물이 생성되는 과정으로, 이는 주철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펄라이트 조직 중의 Fe3C 분해에 다른 흑연화"는 주철 내부에서 Fe3C가 분해되어 흑연이 생성되는 과정으로, 이는 주철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A1 변태의 반복과정에서 오는 체적변화에 기인되는 미세한 균열의 발생"은 주철 내부에서 A1 변태가 반복되면서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는 주철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주철의 성장 원인 중 "흡수된 가스의 수축에 따른 부피감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냉간가공에 비해 열간가공을 하였을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강괴 중의 기포가 압착된다.
  2. 적은 힘으로도 많은 변형을 가져온다.
  3. 가공 중에 고온유지로 편석이 경감된다.
  4. 제품의 표면이 아주 미려하고 치수가 정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간가공은 높은 온도에서 금속을 가공하기 때문에 금속의 결함이 줄어들고, 더 많은 변형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또한, 고온유지로 인해 금속의 편석이 경감되어 강도가 향상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은 제품의 표면을 미려하게 만들거나 치수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품의 표면이 아주 미려하고 치수가 정밀하다."는 열간가공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마그네슘 합금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감쇠능이 주철보다 커서 소음방지 구조재로서 우수하다.
  2.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 변형이 쉽다.
  3. 주조용 합금은 Mg-Al 및 Mg-Zn 합금 등이 있다.
  4. 가공용 합금은 Mg-Mn 및 Mg-Al-Zn 합금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 변형이 쉽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사실 마그네슘 합금은 상온에서는 비교적 단단하고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상온에서는 쉽게 변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그네슘 합금을 가공하려면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가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금속간 화합물인 Fe3C에서 Fe 와 C의 원자비(%)는?

  1. Fe : 25%, C : 75%
  2. Fe : 30%, C : 70%
  3. Fe : 70%, C : 30%
  4. Fe : 75%, C : 25%
(정답률: 알수없음)
  • Fe3C은 Fe와 C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합물이므로, Fe과 C의 원자비는 결합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Fe3C에서는 3개의 Fe 원자와 1개의 C 원자가 결합하므로, Fe의 원자비는 3/4, 즉 75%이고 C의 원자비는 1/4, 즉 2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Fe : 75%, C :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열팽창계수가 상온부근에서 매우 작아 샤도우마스크, IC 기판등에 사용되는 Ni계 합금은?

  1. 하스델로이
  2. 인바
  3. 알루멜
  4. 인코넬
(정답률: 알수없음)
  • Ni계 합금 중에서도 인바는 열팽창계수가 매우 작아서 상온부근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샤도우마스크, IC 기판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실용되고 있는 형상 기억 합금계가 아닌 것은?

  1. Cu-Zn-Al계
  2. Cu-Al-Ni계
  3. Co-Mn계
  4. Ti-Ni계
(정답률: 알수없음)
  • Co-Mn계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대신 자성 기억 합금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형상 기억 합금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Fe-C 상태도에서 나타나는 변태점과 그 온도가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A0점 : 약 210℃
  2. A1점 : 약 723℃
  3. A2점 : 약 868℃
  4. A4점 : 약 910℃
(정답률: 알수없음)
  • Fe-C 상태도에서 A2점은 유정상태에서 시편 내부의 시멘타이트 상이 용해되어 고정상태가 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이 온도는 Fe-C 상태도에서 유정상태와 고정상태 사이에 위치하며, 약 0.8%의 탄소를 함유한 Fe-C 합금에서 약 868℃에 해당한다. 따라서 A2점은 다른 변태점과는 달리 시편 내부의 상태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탄소 함량에 따라 변화하는 온도이기 때문에 다른 변태점과는 온도가 다르게 짝지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용접부의 잔류응력 완하법 중 응력 제거 풀림 처리를 했을 때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응력 부식에 대한 저항력의 증대
  2. 강도의 증대
  3. 열영향부의 뜨임 연화
  4. 충격저항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충격저항의 감소"는 틀린 설명입니다. 응력 제거 풀림 처리를 하면 응력이 감소하여 용접부의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충격저항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구조상의 결함인 기공을 검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방사선 투과 검사
  2. 와류 탐상 검사
  3. 초음파 탐상 검사
  4. 외관 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외관 검사는 구조물의 외부를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으로, 기공과 같은 내부 결함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구조상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외관 검사"이다. 반면, 방사선 투과 검사, 와류 탐상 검사, 초음파 탐상 검사는 모두 구조물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기공을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플래시 버트 용접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신뢰도가 높고 이음강도가 크다
  2. 가열부의 열영향부가 좁으며, 용접시간이 짧다.
  3. 이종 재료의 용접은 불가능하다.
  4. 전기 용량이 동일한 큰 물건의 용접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종 재료의 용접은 불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플래시 버트 용접은 이종 재료의 용접도 가능하며, 이는 플래시 버트 용접이 용접 부위를 가열하면서 동시에 압력을 가해 용접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이종 재료의 용접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교류 용접기 아크 출력이 6kW이고 내부 손실이 4kW일 때 용접기 효율은 몇 % 인가?

  1. 40%
  2. 50%
  3. 6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기의 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은 출력과 내부 손실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입력은 6kW + 4kW = 10kW입니다. 따라서, 용접기의 효율은 6kW / 10kW = 0.6 또는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가스용접에 사용되는 가스 중 불꽃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메탄
  2. 프로판
  3. 수소
  4. 아세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아세틸렌은 가장 높은 불꽃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아세틸렌 분자 내부의 탄소와 수소 원자들이 결합하는 방식 때문인데, 이 결합 방식이 다른 가스에 비해 더 많은 열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용접에서는 아세틸렌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직류아크 용접에서 정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드 폭이 좁다.
  2. 모재의 용입이 얕다.
  3.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
  4. 모재에(+)극 용접봉에(-)극을 연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극성이란 용접 전극의 극성을 말하는데, 직류아크 용접에서는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여 용접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모재의 용입이 얕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모재의 용입이 얕으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용접 전 모재의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하고 적절한 용접 전류와 전압을 설정해야 합니다. "비드 폭이 좁다."는 용접 전극 사이의 거리가 좁다는 뜻으로, 이 경우에는 용접 전류를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는 용접봉이 녹아 용접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 느리다는 뜻으로, 용접봉의 종류와 직경, 용접 전류 등을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격으로 인한 감전사고 시 약 몇 mA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사망의 위험이 있는가?

  1. 50
  2. 15
  3. 20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50mA 이상이 되면 심장의 동작이 멈추어 사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를 전기사고에서는 "전기사망점"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전격으로 인한 감전사고 시에는 50mA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사망의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테르밋 반응이란 금속 산화물이 어떤 금속에 의하여 산소를 빼앗기는 반응을 말하는 것인가?

  1. Pb
  2. Sn
  3. Al
  4. Zn
(정답률: 알수없음)
  • 테르밋 반응은 금속 산화물과 금속을 혼합하여 가열하면, 금속이 산화물로부터 산소를 빼앗아 금속과 산화물이 화학적으로 환원되는 반응이다. 이 중에서도 테르밋 반응에서 사용되는 금속은 환원력이 높은 금속이어야 한다. 따라서 "Al"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용접법 중 저항용접에 속하는 것은?

  1. 프로젝션 용접
  2. 전자빔 용접
  3. 테르밋 용접
  4. 초음파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젝션 용접은 두 개 이상의 금속 부품을 겹쳐 놓고 그 사이에 전류를 흘려 용접하는 방식으로, 부품들이 서로 고정되어 있어 정확한 위치와 간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항용접에 속하며, 다른 보기들은 다른 용접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각 변형의 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개선 각도는 작업에 지장이 없는 한도 내에서 작게 하는 것이 좋다.
  2. 판 두께가 얇을수록 첫 패스 측의 개선깊이를 작게 하는 것이 좋다.
  3. 용접속도가 빠른 용접법을 이용한다.
  4. 역변형의 시공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판 두께가 얇을수록 첫 패스 측의 개선깊이를 작게 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판이 얇을수록 열이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용접부의 열이 빠르게 분산되어 역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첫 패스 측의 개선깊이를 작게 하여 역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