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27)

종자산업기사
(2008-07-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피자식물에서 중복수정(double fertilization)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3n의 접합체, 2n의 배유원핵
  2. 2n의 접합체, 3n의 배유원핵
  3. 4n의 접합체, 2n의 배유원핵
  4. 2n의 접합체, 4n의 배유원핵
(정답률: 86%)
  • 중복수정(double fertilization)은 꽃받침 안에 있는 꽃방울에서 한 개의 정자세포가 암컷 생식세포인 난자세포와 결합하여 2n의 접합체를 형성하고, 다른 한 개의 정자세포가 배유원핵(polar nucleus) 두 개와 결합하여 3n의 배유원핵을 형성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n의 접합체, 3n의 배유원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전자적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F1의 종자를 채종할 경우 필요한 계통이 아닌 것은?

  1. 웅성불임계통
  2. 웅성불임 유지계통
  3. 임성회복친
  4. 웅성불임 1대 잡종
(정답률: 알수없음)
  • 웅성불임 1대 잡종은 웅성불임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계통이 아니다. 웅성불임계통은 웅성불임성을 유지하면서도 씨앗을 생산할 수 있으며, 웅성불임 유지계통은 웅성불임성을 유지하면서도 씨앗을 생산하지 않는 계통이다. 임성회복친은 웅성불임성을 가진 부모와 웅성불임성을 가지지 않는 부모를 교잡하여 웅성불임성을 가진 자손에서 임성을 회복시키는 계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공수분 전 웅화(雄花)를 피대(被袋)하는 이유는?

  1. 수정능력 향상
  2. 화분 오염방지
  3. 병충해 예방효과
  4. 자식종자 혼입방지
(정답률: 59%)
  • 인공수분 전 웅화를 피대하는 이유는 화분 오염방지입니다. 인공수분 전 웅화를 피대에 넣으면 토양이 직접 노출되지 않아 물이나 비료 등이 직접 토양으로 스며들지 않아 화분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정립이 아닌 것은?

  1. 미숙립
  2. 주름진 립
  3. 원래 크기의 1/2 이상이 종자 쇄립
  4. 선충에 의한 충영립
(정답률: 알수없음)
  • 선충에 의한 충영립은 정립이 아닙니다. 충영립은 식물 배양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선충이 식물 세포 내부에 침입하여 세포분열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세포 내부에 충영립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선충에 의한 충영립은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정립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험 또는 연구를 목적으로 농립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수량 이하의 종자를 수출 또는 수입하는 경우에는 수출입 신고가 면제되는데 수출입신고가 면제되는 품종당 종자수량(kg)으로 맞는 것은?

  1. 벼 10kg
  2. 콩 10kg
  3. 옥수수 20kg
  4. 감자 50kg
(정답률: 55%)
  • 농립수산식품부령에 따르면, 시험 또는 연구를 목적으로 수출 또는 수입하는 경우에는 수출입 신고가 면제되는데, 이때 종자의 수량은 농립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수량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감자 종자의 수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많은 이유는 농립수산식품부령에서 감자 종자의 수량을 50kg 이하로 정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벼 포장검사기준에 관한 기술 중 가장 옳은 것은?

  1. 포장검사는 황숙기에 1회 실시한다.
  2. 파종된 종자는 종자원이 명확하여야 하며, 포장검사시 1/2 이상이 도복되어서는 아니 된다.
  3. 포장과 이품종이 논둑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종포는 이품종으로부터 3m 이상 격리되어야 한다.
  4. 특정해초는 없으며, 특정병에는 도열병 등이 있다.
(정답률: 80%)
  • 벼 포장검사기준 중 가장 옳은 것은 "포장과 이품종이 논둑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종포는 이품종으로부터 3m 이상 격리되어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원종포가 이품종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거리를 두어 격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포장과 이품종이 논둑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는 이미 격리되어 있으므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발아검사에서 발아묘의 판별 및 발아율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아묘 숫자를 비율로 표시하며, 비율은 정수로 한다.
  2. 발아시험 결과는 반복간 최고치와 최저치 사이의 허용오차 이내일 때는 신뢰할 수 있다.
  3. 복수발아 종자에서는 단위당 한 개의 정상묘만 시험결과 계산에 넣는다.
  4. 발아율 검정에서 경실종자 및 휴면종자를 제외하고, 백분율로 계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아율 검정에서 경실종자 및 휴면종자를 제외하고, 백분율로 계산하는 것은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경실종자나 휴면종자는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발아묘 숫자를 비율로 표시하며, 비율은 정수로 한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발아율이 아니라 발아묘 비율을 의미한다. 발아시험 결과는 반복간 최고치와 최저치 사이의 허용오차 이내일 때는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발아율 검정에서만 해당되는 내용이다. 복수발아 종자에서는 단위당 한 개의 정상묘만 시험결과 계산에 넣는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복수발아 종자에서는 발아묘 수를 모두 계산하여 발아율을 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는 작물이 아닌 것은?

  1. 고추
  2. 양파
  3. 오이
  4. 양배추
(정답률: 46%)
  • 오이는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는 작물이 아닙니다. 웅성불임성은 고추, 양파, 양배추 등의 작물에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자산업법에서 정한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1.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
  2. 품종보호권을 침해한 자
  3.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품종보호사정을 받은 자
  4. 선서한 감정인이 심판위원회에 대해 허위 감정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에서 정한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선서한 감정인이 심판위원회에 대해 허위 감정한 때"입니다. 이는 법정에서 진실성을 보장하기 위해 선서를 한 감정인이 그 선서를 위반하여 허위 감정을 한 경우로, 이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벌금 이상의 처벌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종자산업법에서 정하는 품종보호권이 미치지 아니하는 것은?

  1. 보호품종을 반복하여 사용하여야 종자생산이 가능한 품종
  2. 보호품종 종자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 품종
  3. 보호품종으로부터 기본적으로 유래된 품종
  4. 보호품종을 육종재료로 이용하여 육성된 품종
(정답률: 알수없음)
  • 보호품종을 육종재료로 이용하여 육성된 품종은 품종보호권이 미치지 아니하는 것이다. 이는 보호품종을 기반으로 육종되었지만, 보호품종과는 명확하게 구별되는 새로운 품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품종은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춘화처리 효과를 가지고 있는 식물 중 종자춘하형은 어느 것인가?

  1. 양파
  2. 당근
  3. 상추
  4. 완두
(정답률: 67%)
  • 완두는 춘화처리 효과를 가지고 있는 식물 중 종자춘하형에 속합니다. 춘화처리란, 식물이 겨울철에 잠자는 상태에서 봄철에 일어나는 생명 활동을 촉진시켜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완두는 겨울철에 잠자는 상태에서 봄철에 일어나는 생명 활동을 촉진시켜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유사분열을 일명 무슨 분열이라 하는가?

  1. 감수분열
  2. 간접분열
  3. 이형분열
  4. 배우자분열
(정답률: 알수없음)
  • 유사분열은 DNA 염기서열이 유사하지만, 염기서열의 일부가 다른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DNA 염기서열이 유사하지만, 분열과정에서 염기서열이 직접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분리되는 경우를 간접분열이라고 한다. 따라서, 유사분열은 간접분열이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화분에 있는 우성유전자의 형질발현이 당대에 나타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가불화합성
  2. 키아스마
  3. 크세니아
  4. 단위결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크세니아"이다. 크세니아는 화분에 있는 우성유전자의 형질발현이 당대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화분에서 특정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꽃이나 잎의 색상, 모양 등이 변하는 현상으로,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현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식물이라도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자가불화합성"은 식물이 자체적으로 탄소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을 말하며, "키아스마"는 염색체의 교차점을 말한다. "단위결과"는 유전자의 특정 형질이 나타나는 최소 단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약제 중 주로 보리와 밀의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메프로닐분제(논사)
  2. 베노밀·티람수화제(벤레이트티)
  3. 그사가마이신액제(가스가민)
  4. 카복신·티람분제(비타지람)
(정답률: 알수없음)
  • 카복신·티람분제(비타지람)은 보리와 밀의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이다. 이는 카복신과 티람이라는 두 가지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화합물이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리와 밀의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서는 카복신·티람분제(비타지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종자는 알맞은 등숙단계에서 채종되어야 한다. 다음 중 화곡류의 채종 수학적기는?

  1. 유숙기
  2. 황숙기
  3. 호숙기
  4. 완숙기
(정답률: 91%)
  • 화곡류는 씨앗이 완전히 익어서 땅에 떨어지기 전에 수확해야 한다. 이 때 적절한 등숙기는 황숙기이다. 황숙기는 씨앗이 완전히 익어서 색깔이 변하고, 씨앗 내부의 수분이 적어져서 보존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곡류의 씨앗을 최적의 상태로 수확하기 위해서는 황숙기에 채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벼의 발아형태이다. 부위별 명칭이 틀린 것은?

  1. 제1본엽
  2. 자엽
  3. 관근
  4. 종자근
(정답률: 59%)
  • 그림에서 "자엽"은 끝이 뾰족하고 선명한 부분으로, 벼의 잎사귀 끝 부분을 의미한다. "제1본엽"은 벼의 첫 번째 잎사귀를 의미하고, "관근"은 뿌리에서 뻗어나온 줄기를 의미한다. "종자근"은 벼의 씨앗에서 뻗어나온 뿌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단자엽식물의 종자에서 배반(scutellum)의 위치와 발아시의 역할은 무엇인가?

  1. 배유와 배 사이에 위치하며, 양분과 효소의 통로가 된다.
  2. 유근 위에 위치하며, 뿌리를 보호한다.
  3. 배아부분에 위치하며, 싹을 보호한다.
  4. 배유에 존재하며, 전분대사 효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반은 단자엽식물의 종자에서 배유와 배 사이에 위치하며, 양분과 효소의 통로가 된다. 이는 발아시에 역할을 수행하여 배아가 양분과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배반은 배아의 초기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산업법에서 품종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작물의 속 또는 종은 무슨 영에 의해 정해지는가?

  1. 대통령령
  2. 국무총리령
  3. 농림수산식품부령
  4. 농촌진흥청장령
(정답률: 73%)
  • 종자산업법에서 품종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작물의 속 또는 종은 농림수산식품부령에 의해 정해진다. 이는 농림수산식품부가 해당 작물의 특성과 보호 대상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며, 대통령령, 국무총리령, 농촌진흥청장령 등 다른 법령에서는 이를 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자산업법에서 품종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작물의 속 또는 종은 농림수산식품부령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자는 성숙 전이라도 수정 후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발아능력을 갖지만 성숙종자보다 발아율은 낮다. 발아능력을 가진 미숙종자를 수확한 후 후숙을 시키면 발아율이 증가하는 작물들로 구성된 것은?

  1. 보리, 옥수수
  2. 수박, 보리
  3. 옥수수, 오이
  4. 오이, 수박
(정답률: 알수없음)
  • 미숙종자를 수확한 후 후숙을 시키면 발아율이 증가하는 작물들은 오이와 수박입니다. 이는 미숙종자를 수확한 후 후숙을 시키면 성장과정에서 발아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보리와 옥수수는 성숙종자에서도 발아율이 높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종자산업법에서의 신규성과 관련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숫자는?

  1. 1
  2. 2
  3. 4
  4. 6
(정답률: 40%)
  • 신규성은 해당 종자의 출원일로부터 (5)년 이내에 상표나 디자인 등록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식물의 학명(學名)을 이명법(二名法)으로 표현할 때 가장 보편적인 것은?

  1. 과(科)와 종(種)
  2. 종(種)과 품종(品種)
  3. 품종과 계통
  4. 속(屬)과 종(種)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의 이명법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은 "속(屬)과 종(種)"이다. 이는 각각의 식물을 그룹화하는 데 있어서 가장 유용하고 명확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속은 비슷한 특징을 가진 식물들을 묶어서 그룹화하고, 종은 그 속 안에서 서로 다른 개체들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이명법은 식물 분류학에서 매우 중요하며, 식물의 특징과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아조변이를 이용하여 육종하기 가장 용이한 원예작물은?

  1. 양배추
  2. 호박
  3. 사과
  4. 토마토
(정답률: 70%)
  • 아조변이란 식물의 꽃을 수술하여 새로운 종자를 만드는 방법으로, 사과는 이 방법으로 쉽게 육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과가 가장 용이한 원예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전적 변이와 환경변이를 구분하는 방법은?

  1. 후대검정
  2. 특성검정
  3. 상관의 이용
  4. 세포학적 검정
(정답률: 86%)
  • 유전적 변이와 환경변이를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는 후대검정입니다. 후대검정은 특정 유전자 변이가 어떤 특성과 연관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정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 유전자 변이가 특정 특성과 연관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 집단을 먼저 선택하고, 그 후에 해당 유전자 변이가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합니다. 이를 통해 유전적 변이와 환경변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5개의 화분모세포가 있다. 이들이 감수분열을 하여 형성하는 생식세포(소포자)의 수는 몇 개인가?

  1. 5개
  2. 10개
  3. 15개
  4. 20개
(정답률: 75%)
  • 감수분열은 한 세포가 2개의 세포로 분열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1번 분열 후에는 10개의 세포가 생성되고, 2번 분열 후에는 20개의 세포가 생성된다. 따라서 5개의 화분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하여 형성하는 생식세포(소포자)의 수는 2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2쌍 이상의 유전자가 누적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1. 중복유전자
  2. 복수유전자
  3. 변경유전자
  4. 복대립유전자
(정답률: 알수없음)
  • 복수유전자는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2쌍 이상의 유전자가 누적효과를 나타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각각의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보다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키는 여러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데, 이 중 일부 유전자들은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여 누적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복수유전자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관 관계가 없을 때 유전자형 AaBb를 가진 식물체가 만드는 배우자 중에서 유전자형 Ab를 가진 배우자의 출현 비율은 얼마인가?

  1. 1/2
  2. 1/4
  3. 1/16
  4. 1/3
(정답률: 80%)
  • 유전자 A와 B는 서로 독립적인 상속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 AaBb를 가진 식물체의 각 유전자는 A, a, B, b 중 하나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AaBb를 가진 식물체의 생식세포는 AB, Ab, aB, ab 중 하나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중 Ab를 가진 생식세포는 A와 B 유전자 중 하나는 a 또는 b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Ab를 가진 생식세포의 출현 비율은 각각 1/2이다. 따라서 Ab를 가진 배우자의 출현 비율은 (1/2) × (1/2) =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상동염색체(非相同染色體)간의 염색체 부분교환 현상인 것은?

  1. 교차
  2. 상호전좌
  3. 키아스마
  4. 역위
(정답률: 65%)
  • 상호전좌는 비상동염색체간의 염색체 부분교환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교차와 유사하지만, 교차와 달리 염색체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상호 전좌하여 부분교환이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키아스마가 형성되며, 역위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배수체를 만드는데 쓰이는 것이 아닌 것은?

  1. 아세나프텐(Acenaphthene)
  2. 콜히친(Colchicine)
  3. 아산화질소(N2O)
  4. 사이클로트론(Cyclotron)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이클로트론은 입자 가속기로, 배수체를 만드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복2배체 작성과 관계 없는 것은?

  1. 이종속간의 교배
  2. 게놈의 배가
  3. 염색체 배가
  4. homo 접합체의 증가
(정답률: 84%)
  • "homo 접합체의 증가"는 복2배체 작성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유전자 변이나 유전자 조작과 같은 다른 요인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복2배체 작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이 나타나는 것과 가장 관계가 적은 가설은?

  1. 우성유저자 연관설
  2. 유전자 작용의 상승효과
  3. 헤테로 접합성설
  4. 돌연변이 유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종강세 현상은 서로 다른 두 종이 교배하여 새로운 형질을 가진 후대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때, 유전자 작용의 상승효과나 헤테로 접합성설은 교배로 인해 새로운 형질이 발현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므로 잡종강세 현상과 관련이 있다. 우성유저자 연관설은 우성유전자가 더 많은 개체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잡종강세 현상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돌연변이 유발설은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새로운 형질이 생기는 것과 관련이 있으므로, 잡종강세 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작물의 근계교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장 극단적인 근친교배는 형매(兄妹)교배이다.
  2. 관계 유전자가 많을수록 호모(homo)정도가 빨라진다.
  3. 근교약세 현상은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심하다.
  4. 근교약세 현상은 자가수정 작물에서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근계교배란 같은 부모로부터 유래한 근처의 개체들 간의 교배를 말한다. 근친교배는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호모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교약세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심해진다. 따라서, "근교약세 현상은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심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옳지 못한 방법은?

  1. 사전에 토양의 균일성을 검정한다.
  2. 포장 및 재배조건은 인위적으로 최상의 상태로 만든다.
  3. 반복 실험을 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다.
  4. 포장 배치는 임의 배열 등으로 경합을 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포장 및 재배조건을 인위적으로 최상의 상태로 만드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실제 생산환경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검정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검정시험에서는 가능한 실제 생산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신품종의 유전적 퇴화 원인들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자연교잡, 잡종강세
  2. 잡종강세, 바이러스병 감염
  3. 바이러스병 감염, 돌연변이
  4. 돌연변이, 자연교잡
(정답률: 알수없음)
  • 신품종은 교배를 통해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지만, 이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자연교잡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전적 변화들이 쌓이면서 신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이는 퇴화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돌연변이와 자연교잡은 신품종의 유전적 퇴화 원인으로 짝지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영양번식작물의 무병주 생산에 가장 좋은 조직배양법은?

  1. 생장점배양
  2. 배배양
  3. 자방배양
  4. 배주배양
(정답률: 84%)
  • 생장점배양은 식물의 생장점을 이용하여 조직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식물의 세포분열과 세포분화를 촉진시켜 빠른 생장과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영양번식작물의 무병주 생산에 가장 좋은 조직배양법은 생장점배양입니다. 다른 배양법들은 생장점배양에 비해 생산성이 낮고, 무병주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F1 배우자의 비가 AB : Ab : aB : ab = 1 : 4 : 4 : 1 일 때 연관 현상과 교차율은?

  1. 상인현상으로 교차율 20% 이다.
  2. 상반현상으로 교차율 20% 이다.
  3. 상인현상으로 교차율 25% 이다.
  4. 상반현상으로 교차율 25% 이다.
(정답률: 50%)
  • 연관 현상은 두 개의 유전자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한 유전자의 특정 변이가 나타날 때 다른 유전자의 특정 변이가 함께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 AB, Ab, aB, ab는 각각 두 개의 서로 다른 유전자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두 개의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어서 한 유전자의 형태가 나타날 때 다른 유전자의 형태도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상반현상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을 때, 한 유전자의 특정 변이가 나타날 때 다른 유전자의 특정 변이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 AB와 ab는 서로 다른 유전자이므로 상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교차율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을 때, 그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이다. 교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교차율 = (연관된 유전자의 개수 / 전체 유전자의 개수) × 100

    이 문제에서 연관된 유전자는 AB, Ab, aB, ab로 총 4개이고, 전체 유전자는 2 × 2 = 4개이다. 따라서 교차율은 (4 / 4) × 100 = 100%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AB : Ab : aB : ab = 1 : 4 : 4 : 1인 것으로 주어졌으므로, AB와 ab가 연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반현상이 발생하고, 교차율은 (2 / 4) × 100 = 50%가 아니라 (2 / 4) × 100 = 20%이다. 따라서 정답은 "상반현상으로 교차율 20% 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생산력 검정의 포장시험을 할 때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오차가 생기는 원인과 관계 없는 것은?

  1. 작물의 원산지 파악이 불명확할 때
  2. 실험계획의 결함과 실험의 취급이 불완전할 때
  3. 실험결과에 대한 해석이 잘못되었을떼
  4. 시험조작, 측정, 포장관리 등에 있어서 개인에 의한 차이가 있을 때
(정답률: 59%)
  • 작물의 원산지 파악이 불명확할 때는 생산성과 관련이 없는 요인이다. 생산성 검정은 작물의 품질과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로, 작물의 원산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작물의 원산지 파악이 불명확하더라도 생산성 검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웅성불임현상을 일대잡종 종자 생산에 이용할 경우 가장 유리한 점은?

  1. 1회에 얻을 수 있는 채종량이 많다.
  2. 교배에 필요한 노력이 절감된다.
  3. 임성이 회복된다.
  4. 잡종의 형질이 우수해 진다.
(정답률: 91%)
  • 웅성불임현상은 수컷과 암컷의 생식기능이 상실되어 교배가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인공수정 등의 방법으로 교배를 시도해야 하지만, 이는 매우 번거롭고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웅성불임현상을 이용하여 일대잡종 종자를 생산할 경우, 교배에 필요한 노력이 절감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종자를 생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옥수수의 격리 채종을 위해 다른 품종과의 최소한의 실용적인 격리거리(隔離距離)는?

  1. 50 ~ 100m 이상
  2. 200 ~ 600m 이상
  3. 10 ~ 50m 이상
  4. 100 ~ 150m 이상
(정답률: 84%)
  • 옥수수는 수분과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른 품종과의 교잡이 발생하면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격리 채종이 필요한데, 옥수수의 꽃가루는 바람에 의해 쉽게 전파되므로 최소한의 격리거리는 200 ~ 600m 이상이 필요합니다. 이는 다른 품종과의 교잡을 최소화하면서도 실용적인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한 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폴리진(polugene)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개별 유전자의 지배자가 작은 다수의 유전자군이다.
  2. 분리세대에서 연속변이의 원인이 된다.
  3. 환경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
  4. 각 유전자들 간에는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정답률: 84%)
  • "환경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는 폴리진의 특징 중 틀린 것입니다. 폴리진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현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의 영향을 받는 유전자도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식성 집단에서 F1의 유전자형이 Aa인 개체를 3회 자식한 F4 집단의 동형접합체(호모개체)의 비율은?

  1. 50%
  2. 75%
  3. 87.5%
  4. 93.75%
(정답률: 알수없음)
  • Aa 개체를 3회 자식하면 다음과 같은 유전자형 비율이 나옵니다.

    AA : Aa : aa = 1 : 2 : 1

    이 중 Aa 개체만을 선택하여 다시 교배하면 다음과 같은 유전자형 비율이 나옵니다.

    AA : Aa : aa = 1 : 1 : 1

    즉, Aa 개체를 3회 자식한 후 Aa 개체만을 선택하여 다시 교배하면 Aa 개체의 비율은 1/2가 됩니다.

    따라서 F4 집단에서 Aa 개체의 비율은 (1/2)3 = 1/8 이며, 동형접합체의 비율은 (1 - 1/8) = 7/8 = 87.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다음은 질소비료의 종류를 화학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시용하면 음이온이 되어 토양 교질에 잘 흡착되지 앟고 유실되기 때문에 논보다 밭작물에 유리한 비료는?

  1. (NH4)2SO4
  2. NH4NO3
  3. (NH2)2CO
  4. CaCN2
(정답률: 60%)
  • 정답은 "NH4NO3"이다. 이유는 NH4NO3은 질소를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모두 가지고 있어서 토양 교질에 잘 흡착되어 유실되지 않고 밭작물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NH4)2SO4"와 "(NH2)2CO"는 모두 음이온을 가지고 있어서 토양 교질에 잘 흡착되어 유실될 가능성이 높고, "CaCN2"는 질소를 양이온으로만 가지고 있어서 토양 교질에 잘 흡착되지 않아 유실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맥류는 품종의 파성과 지역에 따라 품종의 선택이 다르게 된다. 다음 중 선택이 가장 잘못된 것은?

  1. 한지에서 추파하는 경우 추파성이 높은 품종의 선택
  2. 한지에서 춘파하는 경우 춘파성이 높은 품종의 선택
  3. 난지에서 추파하는 경우 추파성이 낮은 품종의 선택
  4. 난지에서 추파하는 경우 추파성이 높은 품종의 선택
(정답률: 알수없음)
  • "난지에서 추파하는 경우 추파성이 높은 품종의 선택"이 가장 잘못된 선택이다. 이는 문장 자체가 모순되기 때문이다. "추파성이 높은 품종"은 추파 지역에서 잘 자라는 품종을 의미하는데, "난지에서 추파하는 경우"는 추파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추파를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난지에서 추파하는 경우에는 추파성이 높은 품종보다는 다른 특성이 더 중요한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무기 성분 중 결핍증상을 하위엽에서 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만 짝지워진 것은?

  1. N, P
  2. P, B
  3. K, Ca
  4. Ca, B
(정답률: 30%)
  • 하위엽에서는 질소(N)과 인(P)의 결핍증상이 주로 관찰됩니다. 이는 하위엽에서 질소와 인이 필요한 단백질 합성과 염기 인산의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두 무기 성분이 부족하면 식물의 성장과 생산성이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저온작물(맥류, 감자 등)의 생육적은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 ~ 10℃
  2. 5 ~ 15℃
  3. 10 ~ 20℃
  4. 15 ~ 25℃
(정답률: 30%)
  • 저온작물은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 취약하며, 낮은 온도에서는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그 중에서도 15 ~ 25℃는 저온작물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범위로, 이 온도 범위에서는 균형잡힌 생육이 가능하며, 생산성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포도(델라웨어)에서 단위결과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은?

  1. 옥신
  2. 지베렐린
  3. 사이토카이닌
  4. 에스렐
(정답률: 79%)
  • 지베렐린은 식물의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을 촉진시켜 단위결과를 유발시키는 호르몬으로, 포도(델라웨어)에서도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비료 중 생리적 중성 비료에 해당되는 것은?

  1. 황산암모니아
  2. 용성인비
  3. 염화칼륨
  4. 질산암모늄
(정답률: 46%)
  • 생리적 중성 비료는 식물의 생리적인 pH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질산암모늄은 pH가 중성에 가까워 생리적 중성 비료에 해당됩니다. 다른 비료들은 pH를 산성 또는 알칼리성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생리적 중성 비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겨울철의 유채, 시금치의 동사온도 범위(℃)는?

  1. 0 ~ 5
  2. -5 ~ 0
  3. -13 ~ -7
  4. -17 ~ -15
(정답률: 46%)
  • 겨울철의 유채와 시금치는 저온에 강하고 생육이 잘 되는 작물이다. 따라서 동사온도가 낮은 -17 ~ -15℃ 범위에서도 잘 자라낼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동사온도가 높아서 유채와 시금치의 생육에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남아메리카의 열대지방, 동남아의 열대지역에서 고무나무, 사탕수수 등을 기업적으로 생산하는 재배형식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소경(疎耕)
  2. 포경(圃耕)
  3. 식경(殖耕)
  4. 원경(園耕)
(정답률: 알수없음)
  • 열대지방에서는 토양이 비교적 빠르게 퇴적되고, 영양분이 부족한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무나무, 사탕수수 등을 재배할 때는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토양을 보호하기 위해 식물을 계속해서 심어나가는 식경(殖耕)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식은 토양의 영양분을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며, 토양의 침식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재배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습해(濕害)의 대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습답에서는 휴립(畦立)재배
  2. 종자에 분의하여 과산화석회 사용
  3. 심층시비
  4. 토양개량제 시용
(정답률: 70%)
  • 습해(濕害)는 과도한 습도로 인해 작물이 부패하거나 생장이 저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습해 대책으로는 토양의 배수성을 높이기 위해 휴립재배를 하거나, 과산화석회를 사용하여 종자에 분무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심층시비"는 습해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심층시비는 뿌리가 깊게 침투하는 식물의 경우 뿌리가 깊은 곳까지 비료를 주입하여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입니다. 습해 대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버널리제이션(vernalization)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버널리제이션은 고온에 의해서만 일어난다.
  2. 식물호르몬은 버널리제이션 효과를 일부 대체할 수 있다.
  3. 버널리제이션 효과는 종자에서만 일어난다.
  4. 버널리제이션에 필요한 온도와 시간은 품종간의 차이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버널리제이션은 일정한 저온에 노출되어야만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를 통해 식물이 꽃을 피우거나 종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물호르몬은 버널리제이션 효과를 일부 대체할 수 있다."라는 말은, 식물이 버널리제이션을 통해 얻는 이점 중 일부를 식물호르몬이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식물이 버널리제이션을 통해 얻는 효과 중 일부는 식물호르몬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한해(旱害, 가뭄해)의 대책 설명으로 부적합 것은?

  1. 밭에서는 뿌림골을 넓히거나 높게 한다.
  2. 토양 입단(粒團)을 조성한다.
  3. 내건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4. 질소의 다용을 피한다.
(정답률: 85%)
  • 정답은 "밭에서는 뿌림골을 넓히거나 높게 한다."입니다. 이는 한해 대책이 아니라 일반적인 농업 기술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밭에서 뿌림골을 넓히거나 높게 하는 이유는 물이 흐르는 속도를 늦추어 토양에 물이 잘 스며들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가뭄해 대책 중 하나이지만, 다른 대책들과 달리 한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농업 기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밭에서는 뿌림골을 넓히거나 높게 한다."가 한해 대책 설명으로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 농업의 특질로 볼 수 없는 것은?

  1. 공산물에 비하여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
  2.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3. 농산물의 가격변동이 심한 편이다.
  4. 생산의 조절이 곤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 농업의 특질 중에서 "공산물에 비하여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는 특징은 아니다. 이는 오히려 농산물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농산물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지만, 수요의 변화에 대한 반응이 상대적으로 둔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농산물이 필수적인 식품이기 때문에 수요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사성동위원소의 이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물체 내의 에너지원으로 이용
  2. 표지화합물로 작물의 생리연구에 이용
  3. 영양기관의 장기저장에 이용
  4. 돌연변이를 유발시켜 육종에 이용
(정답률: 64%)
  • "식물체 내의 에너지원으로 이용"은 방사성동위원소의 이용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방사성동위원소는 주로 의학 분야에서 진단과 치료에 이용되며, 또한 돌연변이를 유발시켜 육종에 이용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N율과 작물의 발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질소가 많으면 C-N율을 높여 개화를 촉진시킨다.
  2. C-N율은 유기물이 많은 토양에서 증가한다.
  3. C-N율이 높아지면 개화를 촉진하는 경우가 많다.
  4. C-N율이 감소하면 이층이 발달하여 낙엽이 촉진된다.
(정답률: 60%)
  • C-N율은 탄소와 질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유기물이 많은 토양에서 증가합니다. 질소가 많으면 C-N율이 높아지고, 이는 작물의 개화를 촉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질소가 식물의 생장과 꽃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N율이 높아지면 개화를 촉진하는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콩 종자를 20×50cm 간격으로 1곳에 3립씩 점파 하고자 한다. 10a 에 소요되는 콩 종자의 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0000 개
  2. 60000 개
  3. 90000 개
  4. 120000 개
(정답률: 알수없음)
  • 20×50cm 간격으로 1곳에 3립씩 점파하면, 1m²당 150개의 콩 종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10a(1000m²)에 필요한 콩 종자의 수는 150×1000=150000개이다.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30000 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물의 내열성에 관여하는 요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건성이 큰 것은 내열성도 크다.
  2. 세포의 결합수가 적고 유리수가 많으면 내열성이 커진다.
  3. 세포의 점성, 당분함량이 증가하면 대체로 내열성은 증대한다.
  4. 작물체의 연령이 높아지면 내열성이 증대한다.
(정답률: 59%)
  • "세포의 결합수가 적고 유리수가 많으면 내열성이 커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세포의 결합수가 많고 유리수가 적으면 내열성이 커진다."입니다. 이는 세포의 결합수가 많을수록 작물체의 구조가 더 견고해지고, 유리수가 적을수록 열전도율이 낮아져 열이 쉽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종자 선종에서 까락이 없는 메벼 종자에 알맞은 용액의 비중은?

  1. 1.03
  2. 1.06
  3. 1.10
  4. 1.13
(정답률: 80%)
  • 메벼 종자는 물 위에 떠오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까락이 없는 메벼 종자를 심기 전에는 물에 담가 떠오르는 종자를 걸러내기 위해 용액의 비중을 높여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가진 "1.13"이 알맞은 용액의 비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의 생장조절제 중 유형이 다른 하나는?

  1. NAA
  2. IAA
  3. 2,4-D
  4. CC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CC"입니다.

    "NAA", "IAA", "2,4-D"는 모두 식물 성장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오삭산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성장조절제입니다. 이들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CCC"는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성장조절제입니다. 이는 식물의 줄기와 잎의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생장을 저해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CC"는 다른 성장조절제들과 유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육 기간의 적산온도가 가장 높은 작물은?

  1. 메밀
  2. 보리
  3. 담배
(정답률: 70%)
  • 벼는 생육 기간 동안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산온도가 가장 높은 작물 중 하나입니다. 다른 작물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는 경우가 있지만, 벼는 높은 온도에서만 생육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산온도가 높은 작물 중 하나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작물의 기원과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물의 기원지를 찾는 방법은 근연야생종의 분포와 품종의 다양성을 찾는 식물지리학적 방법이 있다.
  2. De Candolle은 고고학, 언어학적 고찰을 통해 유전자 중심설을 주장하였다.
  3. 지구상에 존재하는 약 235000종의 식물 중 세계적으로 재배됙 있는 작물은 2200종이다.
  4.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작물의 종류 중에서 식용작물은 약 40%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De Candolle은 고고학, 언어학적 고찰을 통해 유전자 중심설을 주장하였다."가 틀린 것이다. De Candolle은 식물 지리학적 연구를 통해 작물의 기원지와 분포를 연구하였으며, 유전자 중심설은 다른 학자인 Mendel이 발견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과수뿌리혹병(根頭癌腫病)의 병원균이 월동하는 주된 장소는?

  1. 토양
  2. 줄기
  3. 열매
(정답률: 알수없음)
  • 과수뿌리혹병의 병원균은 토양에서 월동하며, 이는 병원균이 토양 속에서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은 이 병원균의 주된 월동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보르도액을 만드는 원료를 알맞게 연결한 것은?

  1. 황산동, 수은
  2. 황산동, 유황
  3. 황산동, 생석회
  4. 유황, 생석회
(정답률: 알수없음)
  • 보르도액은 황산동과 생석회를 원료로 사용하여 만듭니다. 황산동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미량 원소인 아연과 망간을 함유하고 있으며, 생석회는 토양의 산성도를 조절하여 식물이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원료를 조합하여 보르도액을 만들어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농약 제제 중 고형시용제인 것은?

  1. 플로우어블(flowable)
  2. 플로우더스트(flow dust ; FD제)
  3. 유제(EC)
  4. 수화제(SP)
(정답률: 59%)
  • 플로우더스트는 고형시용제로,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액체 형태의 농약 제제입니다. 따라서 플로우더스트가 고형시용제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보리, 밀 줄긴고병의 중간 기주는?

  1. 매자나무
  2. 좀꿩의다리
  3. 향나무
  4. 편백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보리와 밀은 농작물이므로 농경지에서 자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줄긴고병"이라는 말은 산간지대에서 자라는 나무를 뜻합니다. 따라서 "매자나무"와 "좀꿩의다리"는 산지에서 자라는 나무이며, "향나무"와 "편백나무"는 주로 평지나 낮은 곳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따라서 "매자나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농작업에서의 어네지 투여를 경감하고, 동시에 지표면에 유입된 잡초 종자를 토양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유도하면서 종자의 발아억제나 유묘 생장기에 잡초를 쉽게 제거하는 방법은?

  1. 제한경운
  2. 관배수 조절
  3. 전면살포 시비
  4. 방수용 천
(정답률: 알수없음)
  • 제한경운은 토양 표면에 얕게 경운하여 작물과 잡초의 발아를 억제하고, 동시에 지표면에 유입된 잡초 종자를 토양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유도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농작업에서의 어네지 투여를 경감할 수 있습니다. 관배수 조절, 전면살포 시비, 방수용 천은 제한경운과는 관련이 없는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병에 대한 방제방법 중 농민의 입장에서 가장 확실하고 안전하며, 값이 싼 방제법은?

  1. 화학적 방제법
  2. 저항성 품종 제배
  3. 생물적 방제법
  4. 재배적 예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성 품종 제배는 병에 강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화학적 방제법과 달리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생물적 방제법과 달리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따라서 농민의 입장에서는 가장 확실하고 안전하며, 값이 싼 방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향나무가 중간 기주인 병원균은?

  1. 사과나무 부란병균
  2. 맥류 붉은곰팡이병균
  3. 배나무 불마름병균
  4.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
(정답률: 46%)
  • 향나무가 중간 기주인 병원균은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이다. 이는 향나무와 배나무가 같은 속에 속하며, 이 병원균은 배나무에서 발견되는 병원균으로 향나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나무가 중간 기주인 병원균이라고 할 때, 배나무에서 발생하는 병원균인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이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광발아 잡초가 아닌 것은?

  1. 냉이
  2. 소리쟁이
  3. 메귀리
  4. 참방동사니
(정답률: 75%)
  • 냉이는 광발아 잡초가 아닌 것입니다. 광발아 잡초는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해치는 해충이나 병원균을 운반하고 번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냉이는 식용이 가능한 채소로, 광발아 잡초와는 전혀 다른 종류의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보기의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1. Glomerella cingulata
  2. Agrobacterium tumefaciens
  3. Xanthomonas campestris
  4. Pseudomonas glycinea
(정답률: 80%)
  • 위의 그림은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의해 유발된 Crown gall 병입니다. Crown gall은 식물의 줄기와 가지에 고름 모양의 종양을 일으키는 질병입니다. Agrobacterium tumefaciens는 식물에 감염되면 T-DNA를 식물의 DNA에 삽입하여 종양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이 질병의 원인균은 Agrobacterium tumefacie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벼의 저온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벼줄기굴파리
  2. 벼애잎굴파리
  3. 벼잎벌레
  4. 벼끝동매미충
(정답률: 82%)
  • 벼끝동매미충은 벼의 해충 중에서는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는 해충 중 하나이지만, 저온성 해충은 아닙니다. 벼줄기굴파리, 벼애잎굴파리, 벼잎벌레는 모두 저온성 해충으로, 추운 계절에도 활동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AChE(acetylcholinesterase) 저해작용 농약은?

  1. 니코틴
  2. Pyrethroid 계
  3. 요소유도체
  4. Carbamate 계
(정답률: 알수없음)
  • AChE(acetylcholinesterase) 저해작용 농약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분해를 방해하여 신경전달을 막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Carbamate 계 농약은 AChE를 저해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방해하여 신경전달을 막습니다. 따라서 Carbamate 계 농약은 AChE(acetylcholinesterase) 저해작용 농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종자에 발생하는 피해의 원인 중 외관상 나타난 병징만으로 쉽게 구별할 수 없는 것은?

  1. 곰팡이병
  2. 세균병
  3. 바이러스병
  4. 해충피해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러스병은 종자의 외관상 나타나는 병징만으로는 쉽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종자 내부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병을 진단하려면 전문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곤충 중 종의 수가 가장 많이 포함된 목(order)은?

  1. 메뚜기목
  2. 파리목
  3. 나비목
  4. 딱정벌레목
(정답률: 알수없음)
  • 딱정벌레목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의 곤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딱정벌레목에는 약 350,000종의 곤충이 속해 있으며, 이는 모든 곤충 종의 약 40%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딱정벌레목은 가장 종다양성이 높은 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잡초를 1년생, 월년생, 2년생 및 다년생으로 구분하는 분류 방식은?

  1.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분류
  2. 잡초방제의 실용면에 따른 분류
  3. 잡초의 생활형에 따른 분류
  4. 잡초의 토양수분의 적응성에 따른 분류
(정답률: 82%)
  • 잡초의 생활형에 따른 분류는 잡초가 한 해 동안 생장하고 죽는 시기와 방식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1년생은 한 해 동안 생장하고 씨앗을 남기고 죽는 잡초를 말하며, 월년생은 2~3년 동안 생장하고 씨앗을 남기고 죽는 잡초를 말합니다. 2년생은 1년 동안 생장하고 다음해에 씨앗을 남기고 죽는 잡초를 말하며, 다년생은 여러 해 동안 생장하고 겨울에 지하에서 생존하며 다음해에도 생장하는 잡초를 말합니다. 이러한 생활형에 따라 잡초의 생육과 번식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잡초 방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곤충과 거미의 일반적인 특징 중 곤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되어 있다.
  2. 가슴, 배에 마디가 있고, 더듬이는 2쌍이 있다.
  3. 다리는 3쌍이고, 5마디로 구성된다.
  4. 기관이나 숨문은 몸의 옆에 줄지어 있다.
(정답률: 62%)
  • 곤충은 가슴과 배에 마디가 있고, 더듬이는 1쌍이 있다. 따라서 "가슴, 배에 마디가 있고, 더듬이는 2쌍이 있다."는 곤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이화명나방의 학명은?

  1. Inazuma dorsalis
  2. Chilo suppressalis
  3. Oxya chinensis
  4. Laodelphax striatellus
(정답률: 알수없음)
  • 이화명나방의 학명은 "Chilo suppressalis"이다. 이는 이화명나방의 분류학적인 명칭으로, "Chilo"는 이화명나방 속에 속하며, "suppressalis"는 이화명나방의 종을 나타낸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종의 곤충들을 나타내는 학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귀화 잡초로 국화과에 속하는 1~2년생 광엽 잡초는?

  1. 쇠비름
  2. 망초
  3. 명아주
  4. 돌피
(정답률: 60%)
  • 망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1~2년생 광엽 잡초로, 귀화 잡초로도 불립니다. 따라서 망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이상 기온에 의해 발생하는 기상재해가 아닌 것은?

  1. 냉해(冷害)
  2. 동해(凍害)
  3. 상해(霜害)
  4. 한해(旱害)
(정답률: 알수없음)
  • 한해는 기온이 높아서 발생하는 기상재해가 아니라, 강수량이 부족하여 식물이나 농작물 등이 말라 죽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상 기온에 의해 발생하는 기상재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곤충 체벽(integument)의 구조 중 제일 안쪽 층은?

  1. 왁스층(wax layer)
  2. 내원표피층(endocuticle layer)
  3. 외원표피층(exocuticle layer)
  4. 시멘트층(cement layer)
(정답률: 알수없음)
  • 곤충 체벽의 구조는 외원표피층, 내원표피층, 외골격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내원표피층은 외골격과 연결되어 있으며, 주로 산소와 이온의 통과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내원표피층은 외원표피층과 함께 체벽의 강도와 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곤충 체벽의 구조 중에서 내원표피층이 제일 안쪽 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A유제 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0a당 8말(160L)을 살포하여 약제 방제하려 할 때 A유제 소요량은?

  1. 140 mL
  2. 150 mg
  3. 160 mL
  4. 170 mg
(정답률: 알수없음)
  • A유제를 50%로 희석하면 농도는 1/2이 됩니다. 그리고 1000배로 희석하면 농도는 1/1000이 됩니다. 따라서 최종 농도는 1/2 × 1/1000 = 1/2000이 됩니다.

    약제 방제할 때 10a당 8말(160L)을 살포하려고 하므로, 1a당 16mL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A유제 소요량은 1a당 16mL × 10a = 160m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0 m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