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종자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속씨식물의 중복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낭 중의 난핵이 제1웅핵과 결합하여 배(胚)가 되고, 두개의 극핵은 제2웅핵과 수정하여 배유(胚乳)를 형성한다.
  2. 화분관 내의 화분관핵과 난핵이 결합하여 배(胚)가 되고, 극핵과 웅핵이결합하여 배유(胚乳)를 형성한다.
  3. 화분관 내의 정핵과 배주 내의 난핵이 결합하여 배가 되고, 화분관핵과 두 개의 극핵이 배유(胚乳)를 형성한다.
  4. 배주 내의 난핵과 극핵이 결합하여 배를 형성하고, 동시에 화분관핵과 웅핵이 결합하여 배유(胚乳)를 형성한다.
(정답률: 75%)
  • "배낭 중의 난핵이 제1웅핵과 결합하여 배(胚)가 되고, 두개의 극핵은 제2웅핵과 수정하여 배유(胚乳)를 형성한다." 이 설명이 옳은 이유는, 속씨식물의 배낭에는 난핵과 웅핵이 각각 두 개씩 있으며, 난핵과 제1웅핵이 결합하여 배가 형성되고, 웅핵과 제2웅핵이 결합하여 배유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는 속씨식물의 대표적인 생식 방식인 이중수정(double fertilization)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심사관이 품종보호출원에 대하여 거절사정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규정에 위반하여 품종보호를 받을 수 없는 경우
  2. 무권리자가 출원한 경우
  3. 조약에 위반하여 출원된 경우
  4. 3명 이상이 공동 출원한 경우
(정답률: 92%)
  • 품종보호법 제9조에 따르면, 3명 이상이 공동 출원한 경우에도 품종보호출원이 거절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정 위반, 무권리자 출원, 조약 위반 등으로 인해 거절사정을 하여야 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채소 채종포의 10a당 붕사 시용량으로 적당한 양은 몇 Kg 인가?

  1. 1
  2. 5
  3. 10
  4. 15
(정답률: 50%)
  • 정답은 "1"입니다.

    채소 채종포의 붕사 시용량은 1ha당 1~2kg으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10a당 붕사 시용량은 0.1~0.2kg이 됩니다. 이 중에서 적당한 양은 0.1kg인데, 이를 Kg로 환산하면 1kg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종자 정선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내용으로만 구성된 것은?

  1. 종자건조, 이형주 제거, 종자검사
  2. 종자검사, 정밀정선, 순도분석
  3. 순도분석, 이형주 제거, 종자소독
  4. 종자소독, 정밀정선, 종자건조
(정답률: 50%)
  • 종자 정선 단계에서는 종자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이 중에서도 종자소독은 종자에 붙어있는 병원균을 제거하여 식물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작업입니다. 정밀정선은 종자의 크기, 모양, 색상 등을 통해 품질을 판단하고 이형주를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마지막으로 종자건조는 종자의 수분 함량을 낮추어 보관할 때 오염과 변질을 방지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종자소독, 정밀정선, 종자건조가 종자 정선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내용으로만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자의 순도검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1. 종자표본의 발아능력
  2. 종자표본의 수분함량
  3. 종자표본의 병해 정도
  4. 종자표본의 고유 특성을 가진 종자비율
(정답률: 80%)
  • 종자의 순도검사는 종자표본에서 다른 종자나 불순물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검사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종자표본의 고유 특성을 가진 종자비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자의 품질과 관련된 요소들이지만, 순도검사는 종자의 종류와 관련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배의 미숙에 의해 휴면을 하는 종자는?

  1. 인삼
  2. 양배추
  3. 땅콩
  4. 서브클로버
(정답률: 44%)
  • 인삼은 배의 미숙에 의해 휴면을 하는 종자입니다. 인삼은 배양 시기가 중요하며, 일정한 기간 동안 휴면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인삼 종자는 배의 미숙에 의해 휴면 상태에 들어가며, 이후에 적절한 환경에서 발아하여 생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결구상추의 채종재배에서 1주당 채종량 및 천립중에 영향이 가장 큰 비료는?

  1. 황(S)
  2. 칼륨(K)
  3. 인(P)
  4. 질소(N)
(정답률: 39%)
  • 결구상추는 높은 질소 요구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질소 비료가 가장 영향력이 큽니다. 질소는 식물의 생장과 엽록소 합성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결구상추의 잎이 빠르게 성장하고 녹색으로 유지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질소 비료를 제공하는 것이 결구상추의 적절한 채종과 생산에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 성숙과정에서 저장물질이 축적되는 주된 시기는?

  1. 종자형성 전기
  2. 종자형성 중기
  3. 종자형성 후기
  4. 종자형성 초기부터 중기까지
(정답률: 44%)
  • 종자형성 후기는 식물의 종자가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저장물질이 가장 많이 축적됩니다. 이는 식물이 생장과 발아를 위해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종자 성숙과정에서 저장물질이 축적되는 주된 시기는 종자형성 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작물종자의 배(胚)가 옥고리 모양을 하고 있는 종자는?

  1. 토마토
  2. 시금치
  3. 가지
(정답률: 62%)
  • 시금치의 종자는 옥고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품종목록등재 신청시 첨부할 품종의 사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진의 제출매수는 각 3매이다.
  2. 사진의 크기는 10″× 7″이상이어야 한다.
  3. 사진의 색채는 원색으로 선명도가 확실하여야 한다.
  4. 식량작물의 촬영부위는 포장과 종실 2가지 이다.
(정답률: 82%)
  • 품종목록등재 신청시 첨부하는 사진은 해당 품종을 명확하게 보여주어야 하며, 색채는 원색으로 선명도가 확실하여야 한다. 이는 품종의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발아율검정에 사용하는 모래의 크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0.01mm ~ 0.03mm
  2. 0.05mm ~ 0.08mm
  3. 0.1mm ~ 0.3mm
  4. 0.5mm ~ 0.8mm
(정답률: 37%)
  • 발아율 검정에서는 모래를 이용하여 씨앗을 균일하게 배치하고, 씨앗이 발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때 모래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씨앗이 묻혀서 발아하지 못하고, 너무 크면 씨앗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발아율 검정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적당한 크기의 모래를 사용해야 합니다. "0.5mm ~ 0.8mm"는 씨앗을 균일하게 배치하고 발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웅성불임성(雄性不稔性)을 이용한 채종에서 세포질핵유전의 경우 웅성불임주의 유전인자 구성에 해당되는 것은?

  1. SMSns
  2. SMSMS
  3. Smsms
  4. SMsMs
(정답률: 73%)
  • 웅성불임성은 수컷이 씨앗을 생산하지 못하는 유전적인 문제이다. 이를 이용한 채종에서는 웅성불임주의 유전인자를 이용하여 씨앗생산을 억제하고 수확량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웅성불임주의 유전인자는 세포질핵유전자가 아니라 염색체상의 유전자로 작용하며, 이 중에서도 "S" 유전자가 웅성불임주의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S" 유전자는 대문자로 표기되며, "s" 유전자는 소문자로 표기된다. 따라서 "SMSns"와 "SMsMs"는 웅성불임주의 유전자가 아니라 "S" 유전자와 "s" 유전자가 혼합된 유전자 구성이므로 정답은 "SMSMS"와 "Smsms" 중 "Sms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층적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윤저온처리라고도 한다.
  2. 5℃내외의 저온이 효과적이다.
  3. 목초종자의 휴면 유도방법이다.
  4. 휴면타파를 위한 종자의 후숙 과정이다.
(정답률: 72%)
  • "목초종자의 휴면 유도방법이다."가 틀린 것이다. 층적법은 식물의 종자를 휴면 상태에서 벗어나 동정상태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습윤저온처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습윤저온처리라고도 한다.", "5℃내외의 저온이 효과적이다.", "휴면타파를 위한 종자의 후숙 과정이다."는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종피에 의해 휴면하는 종자의 경우 휴면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1. 물의 투과
  2. Gas의 투과
  3. 기계적 종피 파상
  4. 미성숙 배의 후숙
(정답률: 54%)
  • 종자가 휴면 상태에 있을 때는 종자의 생리활동이 멈추어 있기 때문에, 물이나 기체 등이 투과하여도 발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휴면타파 방법으로는 기계적 종피 파상이나 미성숙 배의 후숙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미성숙 배의 후숙은 종자의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직무육성품종의 육성자는 누구인가?

  1. 공무원
  2. 종자관리사
  3. 종묘회사
  4. 농민
(정답률: 알수없음)
  • 직무육성품종은 국가적인 중요성을 가지는 작물이며, 이를 육성하는 것은 국가적인 책임이 있기 때문에 공무원이 육성자로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채종포 관리에 있어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항목은?

  1. 잡초방제
  2. 병해충방제
  3. 도복방지
  4. 자연교잡 및 이품종(異品種) 혼입방지
(정답률: 92%)
  • 채종포 관리에서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항목은 "자연교잡 및 이품종(異品種) 혼입방지"입니다. 이는 채종포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로, 다른 작물의 종자나 이상한 품종의 채종포가 혼입되면 원하는 작물을 재배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채종포를 생산하거나 보관할 때는 이러한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전적 원인에 의한 불임현상이 아닌 것은?

  1. 이형예현상
  2. 다즙질불임성
  3. 장벽수정
  4. 자가불화합성
(정답률: 62%)
  • 이형예현상, 장벽수정, 자가불화합성은 모두 유전적 원인에 의한 불임현상이지만, 다즙질불임성은 유전적 원인이 아니라 생활습관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한 불임현상이다. 다즙질불임성은 식습관이나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하면 불임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국가보증 또는 자체보증의 대상이 아닌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는 경우 품질표시 사항이 아닌 것은?

  1. 품종의 명칭
  2. 종자의 발아율
  3. 재배상 특히 주의할 사항
  4. 이품종율
(정답률: 50%)
  • 이유: 이품종율은 품종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판매하는 종자의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이품종율은 종자의 불량률을 나타내며, 높을수록 양호한 상태의 종자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품종율은 품질표시 사항이 아니며, 국가보증 또는 자체보증의 대상이 아닌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는 경우에도 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국가품종목록 등재대상작물 품종의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경우는 품종목록에 등재하고 보증을 받아야 한다. 다음 품종목록 등재대상작물 중 목록에 등재 및 보증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1대 잡종의 친으로만 사용되는 품종
  2. 시험이나 연구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3. 생산된 종자를 전량 수출하는 경우
  4. 생산된 종자를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률: 90%)
  • 정답은 "생산된 종자를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국가품종목록 등재대상작물의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품종이 품종목록에 등재되어 있어야 하며, 등재된 품종은 보증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생산된 종자를 판매하고자 할 경우에도 품종목록에 등재하고 보증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품종명칭등록의 요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수박 품종명칭으로 그 품종의 유명한 특산지를 표시하였다.
  2. 벼 품종명칭으로 수량이 높아 다수량 품종이라고 하였다.
  3. 참깨 품종명칭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아 우수 참깨라고 하였다.
  4. 배추 품종명칭으로 육성자의 성명을 이용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추 품종명칭으로 육성자의 성명을 이용하였다. 이는 해당 배추 품종을 육성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으로, 해당 품종의 육성자를 인식하고 존경하는 의미가 있다. 이는 품종의 유래와 역사를 보존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배수체를 얻는데 사용되는 콜히친(Colchichine)이 잘 녹지 않는 물질은?

  1. 에테르
  2. 알콜
  3. 클로로포름
(정답률: 48%)
  • 콜히친은 수용성이 낮은 물질이기 때문에, 물과는 잘 혼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에테르는 극성이 낮아서 물과는 잘 혼합되지 않는 특성이 있지만, 콜히친과는 잘 혼합되어 배수체를 얻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콜히친을 녹이기 위해서는 에테르가 적합한 용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연계에서 발생한 변이를 인공교배 없이 직접 선발하여 육종하는 방법은?

  1. 분리육종
  2. 교배육종
  3. 잡종강세육종
  4. 계통육종
(정답률: 40%)
  • 분리육종은 자연적으로 발생한 변이를 인공적인 교배 없이 직접 선발하여 육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원하는 특성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것으로, 특정한 유전자를 고정시키고 원하는 성질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다른 육종 방법과 달리 인공적인 개입 없이도 자연적인 변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리보핵산(RNA)에 들어있는 염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denine
  2. cytosine
  3. guanine
  4. thymine
(정답률: 64%)
  • 리보핵산(RNA)에는 티민(thymine)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티민은 디옥시리보핵산(DNA)에만 존재하는 염기입니다. RNA에는 대신 우라실(uracil)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잡종강세육종을 위한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동시에 검정 할 수 있는 방법은?

  1. 단교배검정
  2. 다교배검정
  3. 이면교배검정
  4. Top교배검정
(정답률: 77%)
  • 잡종강세육종에서는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이 동시에 중요합니다. 이 때, 이면교배검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품종을 교배하여 만든 잡종에서,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모두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면교배검정은 두 품종을 교배한 후, 그 자손들을 다시 교배하여 만든 후대에서 검정을 수행합니다. 이 때,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모두 고려하여 검정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면교배검정은 잡종강세육종에서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동시에 검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가불화합성(自家不和合性)을 이용하여 F1종자를 생산하는 작물이 아닌 것은?

  1. 배추
  2. 양배추
  3. 오이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불화합성은 부모 개체의 유전자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F1종자를 생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오이는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여 F1종자를 생산하는 작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선발차(i)가 10, 유전 획득량(△G)이 8일 때, 유전력(h2) 은?

  1. 10%
  2. 18%
  3. 25%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력(h2)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h2 = △G / i

    따라서, h2 = 8 / 10 = 0.8 = 80%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잡종강세 육종법에서 형질은 균일하나 채종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1대잡종 종자 채종 방법은?

  1. 단교잡
  2. 복교잡
  3. 3계교잡
  4. 다계교잡
(정답률: 100%)
  • 단교잡은 한 종류의 부모식물에서 얻은 씨앗을 다시 그 부모식물과 교배하여 얻은 잡종으로, 형질이 균일하면서도 채종량이 적은 경우에 적합한 육종법입니다. 이는 부모식물의 유전자가 균일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형질이 균일하게 나타나며, 채종량이 적은 경우에도 적합한 이유는 부모식물과의 교배로 인해 씨앗 생산량이 적어도 부모식물과 유사한 형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채종량이 적은 1대잡종 종자 채종 방법으로는 단교잡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배추나 양배추의 F1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종강세를 이용한다.
  2. 품종의 균등성이 유지된다.
  3. 열성내병성 유전자를 이용한다.
  4. 품질이 향상된다.
(정답률: 50%)
  • 정답은 "열성내병성 유전자를 이용한다." 이다.

    배추나 양배추의 F1품종은 잡종강세를 이용하여 생산되며, 이는 부모 품종의 다양한 유전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F1품종은 부모 품종보다 품질이 향상되고, 균등성이 유지된다.

    하지만 열성내병성 유전자를 이용하는 것은 잡종강세와는 다른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를 선택하여 품종의 내병성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이는 특정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시켜 농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전자의 다면발현(pleiotropy)이란?

  1. 한 개의 유전자가 여러개의 형질 발현에 관여하는 것
  2. 유전자 두 개가 극도로 가깝게 연관되어 있는 것
  3. 유전자가 환경변화에 부응하여 형질 발현이 달라지는 것
  4. 여러개의 유전자가 한 개의 형질 발현에 관여하는 것
(정답률: 84%)
  • 유전자는 여러 가지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단백질들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한 개의 유전자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이는 한 개의 유전자가 여러개의 형질 발현에 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다면발현(pleiotropy)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전변이와 환경변이를 감별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방법은?

  1. 수량성 검정
  2. 후대검정
  3. 전체형성능(totipotency) 검정
  4. 질소 이용율 검정
(정답률: 91%)
  • 유전변이와 환경변이를 감별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후대검정입니다. 후대검정은 유전자 변이가 유전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자손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유전자 변이가 유전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환경적 요인에 의한 변이와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대검정은 유전변이와 환경변이를 감별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양친의 유전자형이 A1A1과 A2A2이고, F1이 A1A2일 때 초우 성(overdominance)을 표현한 것은?

  1. A1A2 >1/2 (A1A1+A2A2)
  2. A1A2 = A1A1 또는 A2A2
  3. A1A2 = 1/2 (A1A1+A2A2)
  4. A1A2 >A1A1 또는 A2A2
(정답률: 60%)
  • 초우 성(overdominance)은 F1 개체가 양 부모의 유전자형 중 하나 이상에서 우세한 형질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F1 개체의 유전자형이 A1A2이므로, A1과 A2 중 적어도 하나는 우세한 형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A1A2 >A1A1 또는 A2A2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A1A2 >A1A1 또는 A2A2"가 정답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폴리진(Polygene)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불연속 변이를 보이는 질적형질의 유전에 주로 관여한다.
  2.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주동 유전자들이 모인 것이다.
  3. 세포질 속에 들어 있으며 주로 호흡작용에 관여 한다.
  4. 개개의 유전자의 작용이 작으며 연속변이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34%)
  • 폴리진(Polygene)은 개개의 유전자의 작용이 작으며 연속변이의 원인이 된다. 즉, 양적형질보다는 양적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유전자들이 모여서 특정 형질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질은 불연속 변이를 보이는 질적형질보다는 연속적인 범위에서 나타나며, 환경적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소양평지(Brassica napus)의 염색체수와 게놈(genome) 구성이 옳게 표기된 것은?

  1. n = 10, AA
  2. n = 17, BBCC
  3. n = 18, AABB
  4. n = 19, AACC
(정답률: 50%)
  • 소양평지는 유전체가 AABBCC로 구성된 삼합체(hexaploid)이므로, 염색체 수는 3n이 되며, n은 19가 된다. 또한, A, B, C는 각각 서로 다른 유전자 세트를 나타내므로, 게놈 구성은 AACC가 된다. 따라서, "n = 19, AACC"가 옳은 표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파리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인 돌연변이를 유발시키는데 성공한 사람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몰간(Mprgan)
  2. 멘델(Mendel)
  3. 드 브리스(De Vries)
  4. 뮬러(Muller)
(정답률: 29%)
  • 뮬러는 1927년 초파리를 이용하여 X선을 이용한 돌연변이 실험을 통해 돌연변이의 발생과 유전적 변화를 연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돌연변이가 유전적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고, 이는 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고정된 품종의 특성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격리 재배
  2. 다비 재배
  3. 원원종 재배
  4. 종자 저장
(정답률: 알수없음)
  • 다비 재배는 고정된 품종의 특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다비 재배는 다른 품종의 꽃가루를 이용해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새로운 품종을 얻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고정된 품종의 특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은 "격리 재배", "원원종 재배", "종자 저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양파의 웅성불임성과 관계되는 웅성불임의 유전자형이다. 웅성불임 개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조합은? (단, S : 세포질 웅성불임인자, N : 세포질 가임인자, MS : 핵내 가임인자, ms : 핵내 웅성불임인자)

  1. Smsms× SMSMS
  2. Smsms× Smsms
  3. Smsms× NMSMS
  4. Smsms× Nmsms
(정답률: 10%)
  • 양파의 웅성불임은 핵내와 세포질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핵내 웅성불임인자(ms)와 세포질 웅성불임인자(S)가 모두 존재해야 한다. 또한, 핵내 가임인자(MS)와 세포질 가임인자(N)은 웅성불임과 관련이 없다. 따라서, 유전자형이 "Smsms× Nmsms"인 경우, 세포질 웅성불임인자(S)와 핵내 웅성불임인자(ms)가 모두 존재하고, 세포질 가임인자(N)과 핵내 가임인자(MS)는 모두 웅성불임과 관련이 없으므로 웅성불임 개체를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조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환경변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속변이
  2. 일시적 변이
  3. 방황변이
  4. 대립변이
(정답률: 40%)
  • 대립변이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개체들이 생존할 확률이 높아져서 그들의 유전자가 더 많이 전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대립변이는 환경변이의 특징이 아니라 진화의 결과물 중 하나입니다. 연속변이는 서서히 변화하는 형질을 말하고, 일시적 변이는 일시적인 환경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변이를 말합니다. 방황변이는 개체들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면서 발생하는 변이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동의유전자
  2. 폴리진
  3. 환경
  4. 단인자 우성
(정답률: 50%)
  • 양적형질은 여러 유전자와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도 "단인자 우성"은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하나의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보다 우세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적형질은 다수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인자 우성"은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적으로 육종연한이 가장 길게 소요되는 교잡육종법은?

  1. 계통육종법
  2. 집단육종법
  3. 1개체1계통법
  4. 여교잡육종법
(정답률: 50%)
  • 집단육종법은 여러 개체를 한데 모아 교배시켜 교잡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다른 육종법에 비해 교잡을 일으키는 확률이 높아 육종연한이 가장 길게 소요되는 교잡육종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교잡육종법 중에서 현재 재배되고 있는 우량 품종에서 소수유전자가 관여하는 형질의 단점만을 개량코자 할 때 이용 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육종 방법은?

  1. 순계분리육종법
  2. 도입육종법
  3. 집단육종법
  4. 여교잡육종법
(정답률: 90%)
  • 여교잡육종법은 서로 다른 두 종이나 품종을 교배하여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수유전자가 관여하는 형질의 단점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다. 다른 세 가지 육종법은 각각 순수한 품종을 분리하여 육종하는 방법(순계분리육종법), 새로운 품종을 도입하여 육종하는 방법(도입육종법), 그리고 같은 종 또는 품종 내에서 집단을 이루어 육종하는 방법(집단육종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다음 중 수분이 토양에 가장 강하게 붙어있는 수분항수는?

  1. 최대용수량
  2. 흡습계수
  3. 포장용수량
  4. 영구위조점
(정답률: 80%)
  • 정답은 "흡습계수"입니다. 흡습계수는 토양 입자 표면에 붙어있는 수분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 입자와 수분 분자 간의 분자력이 강하기 때문에 가장 강하게 붙어있습니다. 따라서 흡습계수가 높을수록 토양에서 수분이 잘 보존되며, 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물의 버어널리제이션(춘화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비로프에 의하여 주창되었다.
  2. 맥류에서는 주로 봄밀에서 효과가 있다.
  3. 저온 춘화처리의 감응부위는 이삭이다.
  4. 녹체버어널리제이션은 주로 양배추에 적용된다.
(정답률: 80%)
  • 작물의 버어널리제이션(춘화처리)은 작물의 생장을 조절하기 위해 일부러 인위적으로 추운 온도에서 일정 기간 동안 처리하는 것입니다. 이 때, 녹체버어널리제이션은 주로 양배추에 적용되는 이유는 양배추가 저온에 노출될 때 녹말이 분해되어 당분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당분은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양배추의 생장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녹체버어널리제이션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세계 3대 식량작물로 구성된 것은?

  1. 밀, 옥수수, 벼
  2. 밀, 감자, 보리
  3. 보리, 고구마, 벼
  4. 감자, 고구마, 벼
(정답률: 92%)
  • 세계 3대 식량작물은 인류가 가장 많이 소비하는 식량작물로, 밀, 옥수수, 벼가 해당됩니다. 이는 이들 작물이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인류 식생활의 중심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들 작물 중에서 두 개 이상이 포함되어 있지만, 세계 3대 식량작물은 이들 중에서 세 개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벼의 도복은 줄기가 완전히 신장한 출수기 이후에 발생하고, 줄기 기부가 절곡(折曲)되는 것인데, 대부분 위쪽으로부터 몇 번째 절간에서 절곡되는가?

  1. 1 ~ 2 절간
  2. 3 절간
  3. 4 ~ 5 절간
  4. 6 절간
(정답률: 67%)
  • 벼의 도복은 줄기가 출수기 이후에 발생하고, 줄기 기부가 절곡되는 것이다. 이때, 도복이 발생하는 위치는 줄기의 기부 부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줄기의 위쪽으로 갈수록 기부가 적어지기 때문에, 도복이 발생하는 위치도 위쪽으로 갈수록 더 높아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도복은 4 ~ 5 절간에서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고구마의 저장 적온은? (단, 저장시 상대습도는 85~90% 이다.)

  1. 1~4℃
  2. 4~7℃
  3. 7~10℃
  4. 12~15℃
(정답률: 59%)
  • 고구마는 상대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보관할 때 가장 적합하며, 온도는 12~15℃가 적당하다. 이는 고구마가 저온에서는 식품품질이 떨어지고, 고온에서는 부패가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구마를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상대습도와 12~15℃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양의 과습에 의한 습해의 직접적인 피해는?

  1. 양분흡수 저해
  2. 호흡 장해
  3. 유해가스 피해
  4. 유기산 피해
(정답률: 75%)
  • 토양의 과습으로 인해 습해가 발생하면, 토양 중의 공기가 차단되어 산소 공급이 어려워지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식물의 호흡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흡 장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결핍될 경우 수정, 결실이 나빠지는 원소는?

  1. B
  2. Si
  3. Mn
  4. Fe
(정답률: 65%)
  • 정답은 "B"입니다.

    "B"는 결핍될 경우 결실이 나빠지는 원소입니다. 이는 "B"가 식물의 성장과 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B" 결핍은 식물의 새로운 세포벽 생성을 방해하고, 꽃과 열매의 발달을 저해하며, 잎이 죽어나가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B" 결핍은 작물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Si", "Mn", "Fe"는 결핍될 경우에도 결실이 나빠지는 원소이지만, "B"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Si"는 식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결핍시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Mn"과 "Fe"는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역할을 하지만, 대부분의 토양에서 충분히 함유되어 있어 결핍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들 원소의 결핍은 "B"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잎맥(葉脈)과 울타리조직이 발달한다.
  2. 표면적/체적의 비(比)가 작다.
  3. 지상부에 비해 근군(根群)의 발달이 좋다.
  4. 잎의 두께가 얇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잎의 두께가 얇다는 것은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닙니다. 내건성이 강한 작물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이는 잎맥과 울타리조직이 발달하고 표면적/체적의 비가 작아서 수분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근군의 발달이 좋아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뿌리가 강하게 발달합니다. 따라서 잎의 두께가 얇다는 것은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특징이 아니라 다른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기유황계 보호살균제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1. Kasugamycin
  2. prochloraz
  3. mancozeb
  4. caboxin
(정답률: 20%)
  • 유기유황계 보호살균제는 유기물과 유황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물질들이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mancozeb은 유기유황계 보호살균제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답전윤환 작부체계의 효과와 관련이 적은 것은?

  1. 지력증진
  2. 기지현상 회피
  3. 습해방지
  4. 잡초감소
(정답률: 50%)
  • 답전윤환 작부체계는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습해방지"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관련성이 적은 것입니다. 습해방지는 작물의 수분 관리와 관련이 있는데, 답전윤환 작부체계는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습해방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작물의 내적균형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닌 것은?

  1. C/N 율
  2. T/R 율
  3. G-D 균형
  4. Hormone
(정답률: 60%)
  • "C/N 율", "T/R 율", "G-D 균형"은 모두 작물의 영양 상태와 생장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Hormone"은 작물의 내적균형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닙니다. Hormone은 작물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로, 내부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변화합니다. 따라서 Hormone은 작물의 내적균형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래 조건일 때 10a 당 예상 현미(정조) 수량은?

  1. 300Kg
  2. 400Kg
  3. 500Kg
  4. 600Kg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조건에서 1a당 예상 현미 수량은 50Kg이다. 따라서 10a당 예상 현미 수량은 500K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약한 작물로만 묶인 것은?

  1. 벼, 미나리
  2. 옥수수, 유채
  3. 보리, 감자
  4. 당근, 자운영
(정답률: 59%)
  • 당근과 자운영은 모두 뿌리채소로서 토양 속에서 자라는 작물이지만, 다른 작물들과 비교했을 때 내습성이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내습성이 약하다는 것은 토양의 수분을 잘 유지하지 못하고 건조해지는 환경에서도 잘 자라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작물들보다는 더 많은 관리와 관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토양표면을 여러 재료로 피복하는 것을 멀칭(mulching)이라 하는데 그 이용성이 아닌 것은?

  1. 한해경감
  2. 생육억제
  3. 잡초억제
  4. 토양보호
(정답률: 알수없음)
  • 생육억제는 작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수확량을 줄이는 것으로, 멀칭은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토양을 보호하며 잡초를 억제하는 등 다양한 이용성이 있지만, 생육억제는 멀칭의 이용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환상박피(Girdling, Ringing)에 의하여 과수의 개화, 결실을 조절하는 것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일장효과
  2. 춘화처리
  3. 감온성
  4. C/N율
(정답률: 75%)
  • 환상박피는 수분과 영양분의 이동을 차단하여 과수의 개화와 결실을 조절하는데, 이때 C/N율이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C/N율은 탄소와 질소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비율이 높을수록 과수의 생장이 억제되고 개화와 결실이 조절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C/N율을 조절함으로써 환상박피에 의한 과수의 개화와 결실을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논 토양의 산화와 환원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호는?

  1. Eh
  2. pF
(정답률: 100%)
  • 논 토양의 산화와 환원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호는 "Eh"이다. 이는 논 토양 내의 환원력과 산화력의 균형을 나타내는데, Eh 값이 높을수록 산화력이 강하고, Eh 값이 낮을수록 환원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Eh 값은 논 토양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위도 지대에 가장 알맞은 벼의 기상생태형은?

  1. blt형
  2. BlT형
  3. bLt형
  4. Blt형
(정답률: 17%)
  • 고위도 지대는 일조량이 적고 기온이 낮은 환경이므로, 높은 생육력과 내한성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벼의 기상생태형 중에서는 "blt형"이 가장 알맞다. "blt형"은 일조량이 적어도 생육이 가능하며, 저온에도 내한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위도 지대에서도 안정적인 수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료작물이 아닌 것은?

  1. 사탕무
  2. 평지
  3. 해바라기
(정답률: 55%)
  • 사탕무는 유료작물이 아닌 무료 작물입니다. 평지, 해바라기, 콩은 모두 유료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완효성 고형 복합비료의 장점은?

  1. 비료유실이 적다.
  2. 가격이 저렴하다.
  3. 시비노력이 많이 든다.
  4. 비효가 빠르다.
(정답률: 50%)
  • 완효성 고형 복합비료는 입자 크기가 작아서 흩어지지 않고 흙에 잘 묻어 비료유실이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작물의 종류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작물은?

  1. 식용작물
  2. 사료작물
  3. 채소작물
  4. 섬유작물
(정답률: 73%)
  • 정답은 "식용작물"입니다. 이는 인간이 직접 먹거나 가공하여 먹는 작물로, 인류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료작물은 주로 가축의 먹이로 사용되며, 채소작물은 비교적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섬유작물은 주로 의류 등의 제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곤충이 번성하게 된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사항은?

  1. 불완전변태
  2. 날개의 출현
  3. 외골격의 발달
  4. 몸의 구조의 적응력
(정답률: 79%)
  • 곤충이 번성하게 된 원인은 "불완전변태"입니다. 불완전변태는 곤충이 애벌레로부터 성체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형태 변화를 말합니다. 애벌레는 성체와 다른 외모와 행동을 가지고 있으며, 성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껍질을 벗고 성체로 변태해야 합니다. 이러한 불완전변태 과정은 곤충이 매우 빠르게 번식하고 번식력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불완전변태는 곤충 번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날개의 출현", "외골격의 발달", "몸의 구조의 적응력"은 곤충의 생존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곤충 번식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곤충의 내분비계에 속하지 않는 호르몬은?

  1. 탈피호르몬
  2. 유약호르몬
  3. 신경분비호르몬
  4. 페로몬
(정답률: 47%)
  • 페로몬은 호르몬이 아니라 화학물질로, 다른 개체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내분비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병원균의 생리적 분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병원균의 돌연변이
  2. 병원균의 교잡
  3. 이질다핵 형성
  4. 기주의 단백질 변화
(정답률: 31%)
  • 기주의 단백질 변화는 병원균의 생리적 분화의 원인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기존의 단백질이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단백질이 생성되거나 기존의 단백질이 제거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병원균의 생리적 분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어떤 곤충 목에 대한 설명인가?

  1. 나비목
  2. 딱정벌레목
  3. 노린재목
  4. 사마귀목
(정답률: 77%)
  • 해당 그림은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들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딱정벌레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그림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액상 시용제의 물리적 성질에서 유제(乳劑)를 물에 가한 후 유입자(油粒子)가 균일하게 분산하여 유탁액으로 되는 성질은?

  1. 수화성
  2. 현수성
  3. 부착성
  4. 유화성
(정답률: 67%)
  • 액상 시용제의 물리적 성질 중 유제(乳劑)는 물과 유입자(油粒子)를 섞어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유화성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화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날개를 복부 뒤로 구부릴 수 없는 곤충목은?

  1. 잠자리목
  2. 메미목
  3. 바퀴목
  4. 사마귀목
(정답률: 70%)
  • 잠자리목은 날개를 복부 뒤로 구부릴 수 없는 곤충목이다. 이는 잠자리목의 날개가 몸 쪽으로 접혀서 놓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잠자리목은 날개를 놓고 휴식을 취할 때도 몸을 수직으로 세우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작물에 대한 농약의 약해 중 농약 사용법과 관련된 약해가 아닌 것은?

  1. 혼합살포에 의한 약해
  2. 동시사용으로 인한 약해
  3. 근접살포에 의한 약해
  4.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정답률: 77%)
  •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는 농약의 주성분이 아닌 부가적인 성분이 작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농약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나 부식된 용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약 사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농약 제조 및 보관 시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농약의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식독제 살충제는 해충의 소화기관내로 들어가 독작용을하는 것이다.
  2. 침투성 살충제는 살포된 농약이 식물의 표피조직을 침투하는 심달성(深達成) 농약으로 식엽성 해충의 방제에 효과적이다.
  3. 직접살균제는 예방을 목적으로 살포하는 것으로 잔효성이 중요하다.
  4. 훈증제는 성분물질을 태워 연기상태로 해충에 작용하게 하는 제제이다.
(정답률: 22%)
  • 식독제 살충제는 해충이 먹이를 먹을 때 함께 섭취되어 소화기관 내에서 독작용을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딸기 잿빛곰팡이병균의 학명은?

  1. Fusarium solani
  2. Botrytis cinerea
  3. Phytophthora capsici
  4. Erwinia amylovora
(정답률: 31%)
  • 딸기 잿빛곰팡이병균의 학명은 "Botrytis cinerea"이다. 이는 이 병균이 속한 곰팡이류의 종명과 종자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딸기 잿빛곰팡이병은 딸기 잎, 줄기, 꽃, 열매 등에 발생하는 질병으로, 이 병균이 감염되면 열매가 부패하고 썩어서 수확량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혈청학적 진답법은?

  1. PCR
  2. RELP
  3. ELISA
  4. CHAMP
(정답률: 80%)
  • ELISA는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의 약자로,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검체 내에 특정 단백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혈청학적 진답법입니다. 이 방법은 검체 내에 존재하는 항원과 특정 항체를 이용하여 반응을 측정하는데, 이를 통해 검체 내에 특정 단백질이 존재하는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LISA는 혈청학적 진답법 중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물의 경합력은 품종, 생육속도, 숙기 등에 따라 다르다.
  2. 초장이 짧은 단간형의 벼 품종은 초장이 긴 잡초에 대하여 경합에서 불리하다.
  3. 연작보다는 윤작에서 잡초발생이 적다.
  4. 벼의 잡초에 대한 경합력은 이식재배보다 직파재배에서 크다.
(정답률: 47%)
  • "벼의 잡초에 대한 경합력은 이식재배보다 직파재배에서 크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오히려 이식재배에서는 작물과 잡초가 함께 자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쟁력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이식재배에서는 작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작물의 피해 종류로서 기상재해에 해당되는 것은?

  1. 풍수해
  2. 병해
  3. 충해
  4. 들짐승
(정답률: 100%)
  • 기상재해는 자연재해 중 하나로서, 기상 조건에 의해 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 "풍수해"는 바람과 물에 의한 피해를 의미합니다.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폭우가 내리면 작물이 꺾이거나 뿌리가 흔들리면서 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홍수나 가뭄으로 인해 물이 너무 많거나 적어지면 작물이 죽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풍수해"는 기상재해 중 하나로서 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배설작용을 돕는 일을 하는 조직은?

  1. 알라타체
  2. 지방체
  3. 편도세포
  4. 앞가슴샘
(정답률: 43%)
  • 지방체는 소화기관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신호에 반응하여 배설작용을 돕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호르몬은 대장의 운동성을 증가시켜 배출을 원활하게 하거나, 소장의 점막 분비를 촉진하여 변의 통증을 완화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배설작용을 돕는 일을 하는 조직으로 지방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지과 작물에 나타나는 풋마름병의 병원균은?

  1. 진균
  2. 세균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률: 19%)
  • 풋마름병은 식물의 뿌리 부분을 침범하여 식물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만드는 질병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세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식물 바이러스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생물체에 감염성을 가진다.
  2. 전자현미경적 병원체이다.
  3. 살아있는 세포내에서만 증식한다.
  4. 핵산은 RNA로만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54%)
  • 식물 바이러스의 특징 중 핵산은 RNA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식물 바이러스는 RNA 또는 DNA로 구성된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곤충 사육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생활사를 조사하기 위하여
  2. 연대, 분포, 발상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3. 시험용 공시충을 다량 얻기 위하여
  4. 분류학적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답률: 55%)
  • 곤충 사육의 목적은 주로 시험용 공시충을 다량 얻기 위한 것이지만, 연대, 분포, 발상지를 조사하기 위해서도 거리가 먼 것들을 사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식물의 일부분에 처리하면 식물 전체에 퍼져 식물체에 피해를 입히는 약제는?

  1. 접촉제
  2. 훈증제
  3. 침투성약제
  4. 식물생장조정제
(정답률: 84%)
  • 침투성약제는 식물의 표면을 통과하여 식물 내부로 침투하여 작용하는 약제이기 때문에 일부분에 처리하면 식물 전체에 퍼져 식물체에 피해를 입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투성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진딧물, 벼멸구 그리고 온실가루이가 속하는 곤충 목(目)은?

  1. 나비목
  2. 메뚜기목
  3. 노린재목
  4. 매미목
(정답률: 29%)
  • 진딧물, 벼멸구 그리고 온실가루이는 모두 매미목에 속합니다. 이는 이들 곤충들이 공통적으로 전체적으로 긴 체형과 뒷다리가 발달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약제 Fenobucarb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0a 면적에 120L를 살포하려 한다. 유제의 소요량으로 옳은 것은?

  1. 120ml
  2. 160ml
  3. 1200ml
  4. 1600ml
(정답률: 54%)
  • 약제 Fenobucarb유제를 1000배로 희석하면 1L에 50mg의 Fenobucarb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120L에는 120 x 50 = 6000mg의 Fenobucarb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Fenobucarb유제의 농도가 50%로 주어졌으므로, 실제 필요한 Fenobucarb유제의 양은 6000mg / 0.5 = 12000mg = 12g입니다.

    따라서, Fenobucarb유제의 소요량은 12g이며, 이를 ml로 환산하면 12g / 1000 = 12m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m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잡초에 의한 피해 현상이 아닌 것은?

  1. 작물과 잡초 사이에 상호대립억제 작용이 있다.
  2. 농작업환경을 악화시킨다.
  3. 토양 비옥도를 높이고, 침식을 방지한다.
  4. 잡초의 화분이 작물에 유전적으로 혼입될 수 있다.
(정답률: 100%)
  • 잡초에 의한 피해 현상이 아닌 것은 "토양 비옥도를 높이고, 침식을 방지한다." 이유는 잡초가 자연적으로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어주고, 뿌리가 토양을 고정시켜 침식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잡초는 작물과 경쟁하며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농작업환경을 악화시키며, 화분이 작물에 유전적으로 혼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