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1101-03-31)

전산회계 2급
(1101-03-31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혼합거래에 속하는 것은?

  1. 보험료 40,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2. 비품 40,000원을 구입하고 대금은 신용카드로 결제하다.
  3. 현금 10,000,000원을 출자하여 영업을 개시하다.
  4. 단기대여금 1,000,000원과 이자 20,000원을 현금으로 받다.
(정답률: 67%)
  • 혼합거래란 동일한 거래에서 물품이나 서비스의 대가로서 현금과 비현금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단기대여금 1,000,000원과 이자 20,000원을 현금으로 받다."가 혼합거래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거래의 결합관계에서 동시에 나타날 수 없는 것은?

  1. 비용의 발생과 자산의 감소
  2. 자산의 증가와 부채의 증가
  3. 자본의 증가와 부채의 증가
  4. 자산의 증가와 수익의 발생
(정답률: 73%)
  • 자본의 증가와 부채의 증가는 거래의 결합관계에서 동시에 나타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자본과 부채가 회사의 자원 구조에서 상반된 개념이기 때문이다. 자본은 회사의 자기자본으로서 회사가 보유한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하며, 부채는 회사가 타인으로부터 빌린 돈이나 미지급금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본의 증가는 회사의 자기자본을 늘리는 것이고, 부채의 증가는 회사가 타인으로부터 빌린 돈이나 미지급금 등을 늘리는 것이다. 이 두 가지는 서로 상반된 개념이므로 동시에 나타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기업 결산일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보고서의 계정과목에 해당하는 것은?

  1. 예수금
  2. 기부금
  3. 선급비용
  4. 미지급비용
(정답률: 43%)
  • 기부금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기부한 금액을 나타내는 계정과목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 여부와 관련된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보고서의 계정과목이다. 예수금은 입금되었지만 아직 사용되지 않은 금액을 나타내는 계정과목이며, 선급비용과 미지급비용은 각각 미래에 발생할 비용을 미리 지불한 비용과 아직 지불하지 않은 비용을 나타내는 계정과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재무상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정한 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이다.
  2. 기초자본과 기말자본을 비교하여 당기순손익을 산출한다.
  3. 재무상태표 등식은 '자산=부채+자본'이다.
  4.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이 낮은 순서로 기록한다.
(정답률: 81%)
  •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이 낮은 순서로 기록한다."는 재무상태표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이는 유동성이 낮은 자산과 부채가 장기적인 경영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장기적인 대출이나 장기적인 투자 등이 유동성이 높은 자산과 부채로 기록되면, 기업의 단기적인 재무상황을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무상태표에서는 유동성이 낮은 자산과 부채를 먼저 기록하고, 유동성이 높은 자산과 부채를 나중에 기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자료에 의한 기말 현재 대손충당금 잔액은 얼마인가?

  1. 100,000원
  2. 240,000원
  3. 250,000원
  4. 300,000원
(정답률: 43%)
  •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은 100,000원이다. 이유는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이 150,000원이고, 당기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200,000원이므로,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은 150,000원 - 200,000원 = -50,000원 이다. 하지만 대손충당금은 마이너스가 될 수 없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기말에 100,000원을 추가 적립해야 한다. 따라서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은 1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재고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는 매입가액 뿐만 아니라, 매입운임 등 매입부대비용까지 포함한다.
  2. 선입선출법은 먼저 구매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는 가정하에 매출원가 및 기말재고액을 구하는 방법이다.
  3. 후입선출법은 나중에 구매한 상품이 나중에 판매된다는 가정하에 매출원가 및 기말재고액을 구하는 방법이다.
  4. 개별법은 매입단가를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후입선출법은 나중에 구매한 상품이 나중에 판매된다는 가정하에 매출원가 및 기말재고액을 구하는 방법이다."가 아닌 "선입선출법은 먼저 구매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는 가정하에 매출원가 및 기말재고액을 구하는 방법이다."입니다.

    후입선출법은 나중에 구매한 상품이 먼저 판매되는 것과 달리, 나중에 구매한 상품이 먼저 판매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LIFO(Last In, First Out)라고도 불리며, 재고자산의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당해연도 기말재고액이 1,000원만큼 과대계상될 경우, 이 오류가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해연도 매출총이익이 1,000원만큼 과대계상된다.
  2. 당해연도 기말재고자산이 1,000원만큼 과대계상된다.
  3. 다음연도 기초재고자산이 1,000원만큼 과대계상된다.
  4. 당해연도 매출원가가 1,000원만큼 과대계상된다.
(정답률: 46%)
  • 정답: "당해연도 매출총이익이 1,000원만큼 과대계상된다."

    당해연도 기말재고액이 1,000원만큼 과대계상될 경우, 이는 실제 재고보다 많은 재고가 계산되어 매출원가가 과대계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당해연도 매출원가가 1,000원만큼 과대계상된다.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이므로, 매출원가가 과대계상되면 매출총이익도 과대계상되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재고와 관련된 계정들이므로, 재고가 과대계상되면 해당 계정들도 모두 영향을 받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아래 자료의 (가)와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8%)
  • (가) : 이 자료는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21년 10월 기준의 환율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나) : ③은 미국 달러와 일본 엔화의 환율을 나타내며, 1달러당 113.05엔으로 환산된다.

    정답이 ③인 이유는 이 자료에서 미국 달러와 일본 엔화의 환율이 1달러당 113.05엔으로 나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일반기업회계기준상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은?

  1. 정액법
  2. 정률법
  3. 평균법
  4. 연수합계법
(정답률: 46%)
  •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으로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을 인정하지만, 평균법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평균법은 유형자산의 원가를 사용기간 동안 일정하게 분배하는 방법으로,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유형자산의 경과상각률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외상매입금을 조기 지급하여 매입할인을 받은 경우, 당기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순매입액의 감소
  2. 순매입액의 증가
  3. 매출총이익의 감소
  4. 영업이익의 감소
(정답률: 62%)
  • 외상매입금을 조기 지급하여 매입할인을 받은 경우, 매입원가가 감소하므로 순매입액이 감소합니다. 이는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들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순매입액의 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결산 시 선수이자에 대한 결산정리분개를 누락한 경우, 기말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부채의 과소계상
  2. 수익의 과소계상
  3. 자산의 과대계상
  4. 비용의 과소계상
(정답률: 37%)
  • 정답: 부채의 과소계상

    선수이자에 대한 결산정리분개를 누락하면 부채가 과소계상되어 기말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게 됩니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는 부채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므로 기업의 부채 상황을 왜곡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부채의 과소계상이 옳은 답입니다. 수익의 과소계상은 수익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자산의 과대계상은 자산을 과대평가하는 것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비용의 과소계상은 비용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자본구성 내역을 자본거래와 손익거래 결과로 구분할 때, 그 구분이 다른 것은?

  1. 자본금
  2. 자본조정
  3. 이익잉여금
  4. 자본잉여금
(정답률: 48%)
  • 자본금, 자본조정, 자본잉여금은 모두 자본거래로 구성된다. 이에 반해 이익잉여금은 손익거래 결과로 구성된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이 얻은 순이익 중에서 배당이나 재투자 등으로 사용하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이익잉여금은 손익거래 결과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과 같은 자료만으로 알 수 있는 당기의 추가출자액은 얼마인가?

  1. 5,000,000원
  2. 9,000,000원
  3. 15,000,000원
  4. 20,000,000원
(정답률: 60%)
  • 자본금 증자로 인한 발행주식수 증가량은 30,000주이다. 이는 10,000주씩 3회에 걸쳐 발행되었으므로, 한 번의 발행당 주식수는 10,000주이다. 따라서 한 주당 추가출자액은 500원이다. 따라서 30,000주에 500원을 곱한 값인 15,000,000원이 당기의 추가출자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기부금
  2. 차입금에 대한 이자 지급액
  3. 판매촉진 목적으로 광고, 홍보, 선전 등을 위하여 지급한 금액
  4. 유형자산을 장부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처분하여 발생한 손실 금액
(정답률: 63%)
  • 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은 수익에서 비용을 뺀 금액입니다. 따라서 판매촉진 목적으로 광고, 홍보, 선전 등을 위하여 지급한 금액은 비용으로 인정되어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고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으로, 매출 증가와 직결되기 때문에 기업의 성장과 이익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자산에 속하는 계정과목이 아닌 것은?

  1. 구축물
  2. 개발비
  3. 임대보증금
  4. 단기금융상품
(정답률: 44%)
  • 임대보증금은 자산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임대보증금은 임대차 계약 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불하는 보증금으로,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면 임차인에게 반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대보증금은 자산으로 기록되지 않고, 부채로 기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