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4-08)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2017-04-08 기출문제)

목록

1. 상온에서 10kg인 톱밥을 건조오븐에서 5시간 동안 완전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였더니 7.5kg이었다. 건조 전 중량기준으로 계산한 톱밥의 함수율[%]은?

  1. 10
  2. 25
  3. 50
  4. 75
(정답률: 92%)
  • 건조 전 중량은 10kg이고, 건조 후 중량은 7.5kg이므로, 물의 무게인 2.5kg이 증발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율은 (증발한 물의 무게 / 건조 전 중량)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함수율 = (2.5 / 10) x 100 = 25

    즉, 건조 전 중량의 25%가 증발한 것이므로 함수율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mol%의 에테인(ethane)이 포함된 가스가 20°C, 15 atm에서 물과 접해 있다. 헨리(Henry)의 법칙이 적용 가능할 때 물에 용해된 에테인의 몰분율은? (단, 헨리 상수는 2.5 × 104atm/mole fraction으로 가정한다)

  1. 1.2 × 10-5
  2. 2.4 × 10-5
  3. 3.6 × 10-5
  4. 6.0 × 10-5
(정답률: 86%)
  • 헨리의 법칙은 가스가 액체에 용해될 때, 가스의 분압과 액체에 용해된 가스의 몰분율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P = kX (P: 가스의 분압, X: 가스의 몰분율, k: 헨리 상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헨리 상수가 주어졌으므로, 가스의 분압을 알면 액체에 용해된 가스의 몰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가스의 분압을 구해야 한다.

    가스의 분압은 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이상 기체 법칙을 사용하여 가스의 분압을 계산해야 한다. 이상 기체 법칙은 PV = nRT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P는 가스의 분압, V는 가스의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온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가스의 몰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우선 가스의 부피를 구해야 한다. 가스의 부피는 이상 기체 법칙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V = nRT
    V = nRT/P

    여기서 n은 몰수이므로, n = 2mol% × 15 atm × 1 L / (0.0821 L·atm/mol·K × 293 K) = 0.009 mol이다. 따라서 가스의 부피는 V = 0.009 mol × 0.0821 L·atm/mol·K × 293 K / 15 atm = 0.014 L이다.

    이제 가스의 분압을 계산할 수 있다. 이상 기체 법칙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V = nRT
    P = nRT/V

    여기서 n, R, T, V는 위에서 구한 값이므로, P = 0.009 mol × 0.0821 L·atm/mol·K × 293 K / 0.014 L = 15.2 atm이다.

    이제 헨리의 법칙을 사용하여 물에 용해된 에테인의 몰분율을 계산할 수 있다.

    P = kX
    X = P/k

    여기서 P는 위에서 구한 가스의 분압이고, k는 문제에서 주어진 헨리 상수이므로, X = 15.2 atm / 2.5 × 10^4 atm/mole fraction = 6.08 × 10^-5이다.

    따라서 정답은 "6.0 × 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액체상태의 물과 벤젠이 층 분리되어 있고 두 성분은 모두 기-액평형을 이루고 있다. 물과 벤젠을 제외한 다른 성분은 없다고 가정할 때 자유도(degree of freedom)의 수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56%)
  • 액체상태에서 두 성분이 층 분리되어 있고 기-액평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은 두 성분의 농도가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성분의 농도를 알면 시스템의 상태를 완전히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자유도는 1입니다. 즉, 두 성분의 농도를 알면 다른 변수들은 자동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자유도는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격이 2억 원인 장치의 수명은 10년이고, 폐장치의 예상가격(salvage value)은 2천만 원이다. 정액법(straight-line method)으로 계산할 때, 이 장치의 5년 후 장부가격(book value)은?

  1. 9천만 원
  2. 1억 원
  3. 1억 1천만 원
  4. 1억 2천만 원
(정답률: 70%)
  • 정액법은 장치의 가치를 수명 기간 동안 일정하게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장치의 연간 감가상각액은 (2억 - 2천만) / 10년 = 18천만 원입니다. 5년이 지난 후에는 이미 5년간 90천만 원의 감가상각이 이루어졌으므로, 장부가격은 2억 - 90천만 원 = 1억 1천만 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억 1천만 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량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벤추리미터(venturi meter)는 오리피스미터(orifice meter)보다 압력손실이 크다.
  2. 로터미터(rotameter)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면적이 유량에 따라 변하도록 되어 있다.
  3. 피토관(pitot tube)은 국부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4. 자력식 유량계(magnetic meter)는 패러데이 전자기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법칙을 이용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6%)
  • "벤추리미터(venturi meter)는 오리피스미터(orifice meter)보다 압력손실이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벤추리미터는 유동이 흐르는 구간이 좁아져 유속이 증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데, 이 때 압력손실이 발생한다. 오리피스미터도 마찬가지로 압력손실이 발생하지만, 벤추리미터보다는 손실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정지유체(still fluid) 중에서 낙하하는 입자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지유체 중에서 낙하하는 입자에는 중력, 부력, 항력의 세 가지 힘이 작용한다.
  2. 입자가 용기의 경계 및 다른 입자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서 그 낙하가 영향을 받지 않을 때 자유침강이라 한다.
  3. 입자가 서로 충돌하지는 않아도 한 입자의 운동이 다른 입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 간섭침강이라 한다.
  4. 간섭침강에서의 항력계수는 자유침강에서의 항력계수보다 작다.
(정답률: 79%)
  • "간섭침강에서의 항력계수는 자유침강에서의 항력계수보다 작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간섭침강에서는 입자가 서로 충돌하거나 용기의 경계에 부딪히는 등의 상황에서 입자의 운동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힘들로 인해 입자의 운동이 더욱 제한되어 항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간섭침강에서의 항력계수는 자유침강에서의 항력계수보다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지름 10 cm인 구형(sphere) 열원이 두께가 15 cm이고 열전도도가 0.5W/m°C인 단열재로 덮여있다. 정상상태에서 전도에 의한 열흐름 속도가 30W이고, 단열재 외부 표면 온도가 25 °C로 일정하게 유지될 때 열원과 접하고 있는 단열재 내부 표면의 온도[°C]는? (단, π=3으로 가정한다)

  1. 70
  2. 80
  3. 90
  4. 100
(정답률: 69%)
  • 열원과 접하고 있는 단열재 내부 표면에서의 열전달은 전도에 의한 열전달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전도열전달식을 이용하여 내부 표면의 온도를 구할 수 있다.

    전도열전달식: Q = (kAΔT)/d

    여기서, Q는 전도에 의한 열흐름 속도, k는 단열재의 열전도도, A는 단열재의 표면적, ΔT는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 d는 단열재의 두께이다.

    구의 표면적은 A = 4πr^2 = 4π(0.1)^2 = 0.04π m^2 이다.

    따라서, 전도열전달식에 대입하면,

    30 = (0.5 x 0.04π x (T-25))/0.15

    T - 25 = 100

    T = 125

    내부 표면의 온도는 125°C이므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반경(R)이 10 cm인 고체 구(sphere)를 뜨거운 용액에 넣었을 때, 비정상상태에서의 구 내부 온도분포를 다음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고자 한다. 여기서, α는 열확산도(thermal diffusivity), T0는 고체 구의 초기 온도, T1은 뜨거운 용액의 온도, T는 임의의 시간에서 구 내부의 온도, r은 고체 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cm], t는 경과시간[s]을 나타낸다. 고체 구의 중심(r=0) 온도가 93.5 °C에 도달할 때 걸리는 시간(t)은? (단, α=20cm2/s, T0=50°C, T1=200°C이고, 용액의 온도변화는 무시하며 구의 표면온도는 용액의 온도와 같다고 가정한다)

  1. 0.1s
  2. 0.5s
  3. 1s
  4. 2s
(정답률: 56%)
  • 고체 구의 중심(r=0) 온도가 93.5°C에 도달할 때 걸리는 시간(t)은, 그래프에서 T(r=0,t)가 93.5°C가 되는 시간을 구하면 된다. 그래프에서 T(r=0,t)가 93.5°C가 되는 시간은 약 0.5초이다. 이는 그래프에서 T(r=0,t)가 93.5°C에 도달하는 지점이 시간축 상에서 약 0.5초 지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0.5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복사(radi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흑체(black body)는 주어진 온도에서 최대의 방사율(emissivity)을 가진다.
  2. 정반사(specular reflection)가 일어나는 물체 표면에서 반사율은 거의 1이며, 흡수율은 0에 가깝다.
  3. 불투명 고체의 반사율과 흡수율의 합은 1이다.
  4. 회색체(gray body)는 파장에 따라 단색광 방사율이 변한다.
(정답률: 78%)
  • "회색체(gray body)는 파장에 따라 단색광 방사율이 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회색체는 모든 파장에서 일정한 방사율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파장에 따라 방사율이 변하는 물체를 말한다. 이러한 물체는 일반적으로 흑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물체이다. 회색체는 일반적으로 흑체보다는 반사율과 흡수율이 높은 물체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중이 1.0이고 점도가 4cP인 유체를 내경이 8cm인 파이프를 통해 20cm/s의 유속으로 흘릴 때 Reynolds 수(Re)는?

  1. 40
  2. 800
  3. 4,000
  4. 8,000
(정답률: 82%)
  • Re = (유속 × 내경 × 유체밀도) / 유체점도

    Re = (20 × 0.08 × 1) / 4 = 0.4

    Reynolds 수는 2,300 이상이면 유동이 난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유동이 라미나르(정상) 유동이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라미나르 유동에서는 Re가 2,300 이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e가 4,000이 될 수 없으며,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액-액 추출에 사용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혼합침강기(mixer-settler)
  2. 맥동탑(pulse column)
  3. 충전탑(packed column)
  4. 이동상 추출기(moving-bed extractor)
(정답률: 42%)
  • 액-액 추출에 사용되는 장치 중 이동상 추출기는 고체-액 추출에 사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액-액 추출에 사용되는 장치가 아닙니다. 이동상 추출기는 고체-액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식으로, 고체가 이동하면서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액-액 추출에 사용되는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randtl 수(Pr)는 이동현상에서 전달되는 두 물리량의 확산도 (diffusivity) 비교에 유용한 무차원수 중의 하나이다. Pr가 1보다 클 때의 확산도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열 확산도(thermal diffusivity)가 물질 확산도(mass diffusivity)보다 크다.
  2. 물질 확산도가 열 확산도보다 크다.
  3. 열 확산도가 운동량 확산도(momentum diffusivity)보다 크다.
  4. 운동량 확산도가 열 확산도보다 크다.
(정답률: 67%)
  • Pr이 1보다 클 때는 운동량 확산도가 열 확산도보다 크다. 이는 Pr이 클수록 물질의 운동량 전달이 열 전달보다 더 빠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온의 유체에서는 열이 빠르게 전달되지만, 유체 내부의 입자들은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운동량 전달은 더 느리게 일어난다. 따라서 Pr이 클수록 운동량 전달이 더 빠르기 때문에 운동량 확산도가 열 확산도보다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벤젠 70mol%, 톨루엔 30mol%의 혼합액이 100mol/h의 유량으로 증류탑에 공급된다. 이 혼합액이 벤젠 90 mol %인 탑상제품 (top product)과 10 mol%의 탑저제품(bottom product)으로 분리 될 때 탑상제품의 유량[mol/h]은?

  1. 25
  2. 50
  3. 75
  4. 82
(정답률: 80%)
  • 벤젠과 톨루엔은 증류탑에서 분리되는 두 개의 구성 성분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벤젠이 더 높은 분획계수를 가지므로 탑상제품에 농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탑상제품의 유량은 농도가 높은 벤젠의 유량과 같습니다.

    즉, 탑상제품의 벤젠 유량은 70mol% x 90mol% x 100mol/h = 63mol/h 입니다.

    따라서, 탑상제품의 유량은 63mol/h / 0.9 = 70mol/h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탑저제품의 농도도 주어졌으므로, 탑저제품의 벤젠 유량은 70mol% x 10mol% x 100mol/h = 7mol/h 입니다.

    따라서, 탑저제품의 유량은 7mol/h / 0.1 = 70mol/h 입니다.

    따라서, 탑상제품의 유량과 탑저제품의 유량을 합하면, 70mol/h + 70mol/h = 140mol/h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혼합액의 유량이 100mol/h 이므로, 탑상제품의 유량은 100mol/h - 70mol/h = 30mol/h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mol/h의 벤젠 유량을 가진 탑상제품의 총 유량인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체 수평면과 평행으로 흐르는 액체의 유속(u)이 수평면으로부터 y인 위치에서 u[m/s]=10 y-y2의 분포로 흐르고 있다. 액체의 점도가 0.0015 Paㆍs이고 뉴턴의 점성법칙을 따른다고 가정할 때, 평면 위(y=0)에서 액체의 전단응력[Pa]은?

  1. 0.008
  2. 0.015
  3. 0.042
  4. 0.058
(정답률: 85%)
  • 뉴턴의 점성법칙에 따르면 전단응력 τ는 τ = μ(dv/dy)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μ는 액체의 점도, dv/dy는 유속 u의 y에 대한 변화율이다.

    평면 위(y=0)에서는 유속이 u=10(0)-0=0m/s 이므로 dv/dy=0이다. 따라서 전단응력 τ=μ(dv/dy)=0이 된다.

    보기에서 정답이 "0.015"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80%)
  • 흡착은 분자나 이온이 고체 표면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현상입니다. 이 중에서 "ㄱ"은 흡착의 유형 중 하나인 흡착열량에 대한 설명입니다. 흡착열량은 흡착체가 고체 표면에 결합할 때 방출되는 열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흡착열량이 클수록 흡착이 강하게 일어납니다. "ㄷ"는 흡착의 유형 중 하나인 흡착균일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흡착균일도는 고체 표면에 결합하는 흡착체의 분포가 균일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흡착균일도가 높을수록 고체 표면에 결합하는 흡착체의 분포가 균일하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개방된 대형 물탱크에 물이 20 m 높이로 들어있다. 물탱크의 바닥에 면적이 2cm2인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을 통한 물의 초기 배출 유량[L/s]은? (단, 모든 마찰 손실은 무시하며, 중력가속도는 10m/s2로 가정한다)

  1. 1
  2. 2
  3. 3
  4. 4
(정답률: 79%)
  • 물의 초기 배출 유량은 노즐에서의 속도와 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초기 배출 유량은 노즐에서의 속도를 구하면 된다.

    노즐에서의 속도는 물의 높이에서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물의 높이가 h일 때, 노즐에서의 속도는 √(2gh)이다.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이다.

    물의 높이가 20m이므로, 노즐에서의 속도는 √(2×10×20) = √400 = 20m/s이다.

    노즐의 면적은 2cm2이므로, 이를 m2 단위로 변환하면 0.0002m2이다.

    따라서 초기 배출 유량은 속도 × 면적 = 20 × 0.0002 = 0.004m3/s = 4L/s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업용 반응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회분 반응기(semi-batch reactor)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는 주로 액상반응에 사용된다.
  2. 반회분 반응기는 기체가 액체를 통하여 기포를 만들면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2상 반응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3. 반응기 부피당 전화율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가 관형 반응기(tubular reactor)보다 크다.
  4. 관형 반응기는 반응기 내의 온도조절이 어려우며, 발열반응의 경우 국소 고온점(hot spot)이 생길 수 있다.
(정답률: 74%)
  • "반응기 부피당 전화율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가 관형 반응기(tubular reactor)보다 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관형 반응기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보다 더 높은 전화율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는 반응물이 반응기 내에서 더 긴 시간 동안 머무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연속 분별증류탑(continuous fractionating column)에서 메탄올 수용액을 원료로 하여 메탄올 몰분율이 0.7인 탑상제품을 얻었다. 환류비(reflux ratio)가 3일 때 정류부(rectifying section)의 조작선을 나타내는 식은?

  1. yn+1=0.75xn+0.175
  2. yn+1=0.75xn-0.175
  3. yn+1=-0.75xn+0.175
  4. yn+1=0.75xn+0.75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와 B의 2성분계 혼합물(binary mixture)에서 성분 A의 확산이 성분 B의 몰유량(molar flow)과 양이 같으면서 반대방향이 되어 알짜 몰유량(net molar flow)이 없는 경우로 해석될 수 있는 단위조작 공정은?

  1. 흡착(adsorption)
  2. 흡수(absorption)
  3. 정류(rectification)
  4. 추출(extraction)
(정답률: 71%)
  • 정류(rectification)는 이성분의 증류 분리 공정으로, 이성분들의 증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합니다. 이 공정에서는 이성분 A와 B가 각각 증발하여 증기 상태가 되고, 이 증기들이 적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증류탑에서 상승하면서 분리됩니다. 이 때, 이성분 A와 B의 증기압 차이가 크면 더욱 효과적인 분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성분 A와 B의 증기압 차이가 크고, 이 두 성분의 확산이 서로 상쇄되어 알짜 몰유량이 없는 경우에는 정류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투석 막(dialysis membrane)을 사이에 두고 액체 B와 액체 C가 각각 흐르고, 성분 A가 투석 막을 통해 액체 B에서 액체 C로 전달된다. 다음의 자료와 같을 때, 물질전달 속도를 가장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단, 투석 막의 두께 및 면적은 각각 200 μm 및 1m2이며, 액체 B와 액체 C에서 A의 농도는 각각 5.0M 및 0.1M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1. 액체 B의 유량을 4배로 증가시킨다.
  2. 막의 두께를 절반으로 줄인다.
  3. 막에서의 성분 A의 유효확산계수를 절반으로 낮춘다.
  4. 액체 C의 유량을 2배로 증가시킨다.
(정답률: 70%)
  • 물질전달 속도는 투석막의 면적과 농도차, 그리고 투석막의 두께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물질전달 속도를 가장 크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최적화해야 한다. 이 중에서도 막의 두께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유는 막의 두께가 감소하면 막을 통과하는 물질의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물질전달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막의 두께를 절반으로 줄이면 물질전달 속도가 가장 크게 증가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