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신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철도신호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공학

1. FM을 AM과 비교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잡음이 적다.
  2. 에코의 영향이 많다.
  3. 점유 주파수 대역이 넓다.
  4. 초단파대 통신에 적합하다.
(정답률: 69%)
  • 정답은 "에코의 영향이 많다." 이다.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에코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는 AM과 달리 신호의 진폭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FM은 에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파수가 높아지면 감소하는 잡음은?

  1. 플리커 잡음
  2. 산탄 잡음
  3. 트랜지스터 잡음
  4. 자연 잡음
(정답률: 71%)
  • 주파수가 높아지면 전자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증폭되어 들리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트랜지스터 잡음은 전자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트랜지스터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트랜지스터 잡음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폭을 얇게 하는 이유는 어떤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인가?

  1. 온도특성
  2. 주파수특성
  3. 잡음특성
  4. 전도특성
(정답률: 78%)
  •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폭을 얇게 하는 이유는 주파수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베이스 폭이 얇을수록 전하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더 높은 주파수에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2진 코드인 0101 0101을 1의 보수로 변환하면?

  1. 0010 0010
  2. 0010 1010
  3. 1010 0010
  4. 1010 1010
(정답률: 77%)
  • 0101 0101의 1의 보수는 1010 1010입니다. 1의 보수란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것으로, 0은 1로, 1은 0으로 바꾸면 됩니다. 따라서 0101 0101의 1의 보수는 1010 1010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0101 0101의 1의 보수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트랜지스터 공통 베이스 증폭기의 입력 저항의 상태는?

  1. 매우 낮다.
  2. 매우 높다.
  3. 공통 에미터 증폭기와 같다.
  4. 공통 컬렉터 증폭기와 같다.
(정답률: 67%)
  • 정답: 매우 낮다.

    이유: 공통 베이스 증폭기는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입력 신호가 인가되므로, 입력 저항은 매우 낮다. 이는 입력 신호가 증폭기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증폭기로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저항이 매우 낮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pn접합 다이오드의 역포화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 표면누설전류에 의존한다.
  2. 금지대의 에너지 폭에만 의존한다.
  3. 순방향 인가 전압에 의존한다.
  4. 온도에만 비례한다.
(정답률: 69%)
  • pn접합 다이오드의 역포화 전류는 온도와 표면누설전류에 의존합니다. 이는 다이오드의 pn접합 부분에서 발생하는 역방향 전류가 pn접합 부분의 온도와 표면누설전류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이오드를 사용할 때는 온도와 표면누설전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직류 출력전압이 300V(무부하 시), 전부하 시 출력전압이 250V 였다면 전압 변동률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7%)
  • 전압 변동률은 (전부하 시 출력전압 - 무부하 시 출력전압) / 무부하 시 출력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50 - 300) / 300 x 100 = -50 / 3 = -16.67...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양수의 값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16.67...의 절댓값을 취해준다.

    따라서, 전압 변동률은 16.67...%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0%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16.67...%를 반올림하여 20%로 처리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은 어떻게 되는가?

  1. -2V
  2. Vi
(정답률: 65%)
  • 주어진 회로는 비-인버팅 증폭기 회로이다. 입력신호인 Vi는 R1과 R2를 통해 오른쪽으로 전달되어, 출력신호인 Vo로 나타난다. 이때, R1과 R2는 같은 크기를 가지므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크기는 같다. 따라서, 정답은 "V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순방향 바이어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위장벽을 높게 한다.
  2. 다수 캐리어에 의한 전류를 이 되도록 한다.
  3. 전위장벽을 더 낮게 한다.
  4. 소수 캐리어에 의한 전류를 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42%)
  • 순방향 바이어스는 p-n 접합 다이오드에서 p쪽에 양전하를, n쪽에 음전하를 인가하여 전류를 유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전위장벽을 더 낮게 한다는 것은 p쪽과 n쪽의 전위차를 줄여서 전류가 더 쉽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위장벽을 더 낮게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컬렉터 변조회로 중 컬렉터 동조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조정이 비교적 어렵고, 출력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2. 직선성이 대단이 우수하고, 피변조파의 컬렉터 효율이 좋다.
  3. 피변조파 출력이 크므로 대전력 송신기에 주로 사용된다.
  4. 트랜지스터의 C급 바이어스 동작에 의해서 100%까지 변조할 수 있지만 큰 변조전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56%)
  • "직선성이 대단이 우수하고, 피변조파의 컬렉터 효율이 좋다."가 아닌 것은 특징이 아니다.

    컬렉터 변조회로는 트랜지스터의 C급 바이어스 동작에 의해 100%까지 변조할 수 있지만, 큰 변조전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조정이 비교적 어렵고, 출력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논리소자의 출력을 나타내는 식은?

  1. Y = A ㆍ B
  2. Y = A + B
  3. Y = A - B
(정답률: 70%)
  • 이 논리소자는 AND 게이트이다. AND 게이트는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Y는 입력 A와 입력 B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Y = A ㆍ 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와 등가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는?

(정답률: 77%)
  • 이 스위치는 AND 게이트와 같은 논리회로로 동작합니다. 두 개의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에, 이 스위치가 켜져있을 때만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이 스위치는 ON/OFF 스위치와 같은 역할을 하며, 등가적으로 동작합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진폭변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파수는 일정하고 위상이 변하는 것이다.
  2. 주파수는 일정하고 진폭이 변하는 것이다.
  3. 진폭은 일정하고 반송파의 위상이 변하는 것이다.
  4. 진폭은 일정하고 반송파의 주파수가 변하는 것이다.
(정답률: 73%)
  • 진폭변조는 주파수는 일정하고 진폭이 변하는 것입니다. 이는 신호의 세기를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라디오에서 음악을 들을 때, 음악의 진폭이 변화되어 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R-C 회로에서 시정수를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RL
  2. C/R
  3. R/C
  4. RC
(정답률: 71%)
  • 정답은 "RC"입니다.

    R-C 회로는 저항(R)과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회로로,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회로에서 시정수(time constant)는 R과 C의 곱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RC"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RL"은 저항과 인덕턴스로 이루어진 회로, "C/R"은 커패시터와 저항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R/C"는 "RC"와 순서가 바뀐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입력측에 되먹임으로서 클럭펄스가 가해질 경우 레지스터 내부의 2진 값이 순환하도록 만든 카운터는?

  1. 동기 카운터
  2. 인코더 카운터
  3. 링 카운터
  4. 디코더 카운터
(정답률: 70%)
  • 링 카운터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입력측에 되먹임으로서 클럭펄스가 가해질 경우 레지스터 내부의 2진 값이 순환하도록 만들어진 카운터이다. 이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다시 입력으로 되돌려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레지스터 내부의 값이 순환하면서 카운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링 카운터는 순환 카운터라고도 불리며, 주로 디지털 신호 처리나 디지털 신호 발생기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압진 효과를 이용한 발진기는?

  1. 음차 발진기
  2. 콜피츠 발진기
  3. 수정 발진기
  4. L-C 발진기
(정답률: 69%)
  • 압전 효과를 이용한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입니다. 수정 발진기는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발진을 일으키는데, 압전 효과란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일부 물질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수정 발진기는 일정한 압력을 가해주면 그에 따라 발진을 일으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초기 속도가 0인 전자를 100V의 전압으로 가속시키면 전자의 속도는 몇 m/s 인가?

  1. 6.93 × 106
  2. 5.93 × 106
  3. 4.93 × 106
  4. 3.93 × 106
(정답률: 64%)
  •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전압과 전자의 전하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압이 100V이고 전자의 전하량이 1.6 × 10-19C일 때,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100 × 1.6 × 10-19 = 1.6 × 10-17J이 된다.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속도와 관련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KE = 1/2 mv^2

    여기서 KE는 운동에너지, m은 전자의 질량, v는 전자의 속도이다.

    따라서 전자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2KE/m)

    전자의 질량은 9.11 × 10-31kg이므로,

    v = √(2 × 1.6 × 10-17 / 9.11 × 10-31)

    v = 5.93 × 106 m/s

    따라서 정답은 "5.93 × 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5℃에서 80W의 손실전력을 가지는 실리콘 트랜지스터가 있다. 이 트랜지스터 케이스의 온도가 135℃라면 손실전력은 몇 W 인가? (단, 25℃ 이상에서 손실전력의 감소비율은 0.5 W/℃이다.)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64%)
  • 손실전력의 감소비율이 0.5 W/℃이므로, 온도가 25℃에서 135℃까지 상승하면 25℃에서부터 110℃까지의 온도 상승량은 110℃ × 0.5 W/℃ = 55W이다. 따라서, 25℃에서의 손실전력 80W에 55W를 더한 값인 135W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손실전력이 몇 W인지 묻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정답을 고르는 것이므로, 135W에서 손실전력 감소량인 55W를 빼면 80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증폭기의 접지방식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까지 증폭할 수 있는 것은?

  1. 베이스 접지
  2. 이미터 접지
  3. 컬렉터 접지
  4. 이미터 팔로워
(정답률: 67%)
  • 베이스 접지 방식은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접지된 베이스에 인가하여 증폭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더 높은 주파수까지 증폭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베이스 접지 방식이 입력 신호를 직접 증폭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와 저항으로 구성된 RC 회로를 통해 증폭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이미터 접지 방식은 저주파수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고주파수에서는 증폭이 어렵고, 컬렉터 접지 방식은 고주파수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저주파수에서는 증폭이 어렵습니다. 이미터 팔로워 방식은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 신호를 저항으로 분배하여 출력 신호의 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증폭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대부분이 RF 동조증폭기이고, 입력신호는 부(-)로 클램프 되며, 협대역 펄스의 컬렉터 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는?

  1. A급 푸시풀
  2. B급 푸시풀
  3. C급 푸시풀
  4. AB급 푸시풀
(정답률: 69%)
  • 입력신호가 부(-)로 클램프 되는 것으로 보아, 이는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직접적인 클램핑 회로가 아닌, 다른 방식의 클램핑 회로를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컬렉터 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는 일반적으로 C급 푸시풀을 사용합니다. C급 푸시풀은 컬렉터 전류의 최대값이 베이스 전류의 100%인 푸시풀로, RF 동조증폭기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급 푸시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21. 분포정수 전송회로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인 회로를 무왜형 회로라 한다.
  2. R=G=0 인 회로를 무손실 회로라 한다.
  3. 무손실 회로와 무왜형 회로의 감쇠정수는 √RG 이다.
  4. 무손실 회로와 무왜형 회로에서의 위상속도는 이다.
(정답률: 67%)
  • 무손실 회로와 무왜형 회로에서의 위상속도는 이다. 이는 분포정수 전송회로에 대한 설명이 아니므로 제외한다.

    무손실 회로와 무왜형 회로의 감쇠정수는 √RG 이유는, 무손실 회로에서는 전력의 손실이 없으므로 전압과 전류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비율인 저항과 전도도는 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무손실 회로에서의 감쇠정수는 √RG가 된다. 마찬가지로, 무왜형 회로에서도 저항과 전도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감쇠정수는 √RG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R1=R2=100Ω이며, L1=5H 인 회로에서 시정수는 몇 sec인가?

  1. 0.001
  2. 0.01
  3. 0.1
  4. 1
(정답률: 50%)
  • 주어진 회로는 RL 회로이므로 시정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 = L/R = 5/100 = 0.05 sec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05를 반올림하여 0.1로 답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회로에서 절점 a와 절점 b의 전압이 같을 조건은?

  1. R1R3 = R2R4
  2. R1R2 = R3R4
  3. R1 + R3 = R2 + R4
  4. R1 + R2 = R3 + R4
(정답률: 67%)
  • 절점 a와 절점 b의 전압이 같다는 것은 a와 b 사이의 전압차가 0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회로에서 a와 b 사이의 전압차는 R1과 R2에 걸린 전압차와 R3과 R4에 걸린 전압차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R1+R2 = R3+R4 일 때 a와 b 사이의 전압차가 0이 되어 절점 a와 절점 b의 전압이 같아집니다.

    이때, R1R3 = R2R4 인 경우에도 a와 b 사이의 전압차가 0이 되어 절점 a와 절점 b의 전압이 같아집니다. 이는 전압분배법칙에 의해 R1과 R3에 걸린 전압이 R2와 R4에 걸린 전압과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R1R2 = R3R4 인 경우에는 a와 b 사이의 전압차가 0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R1R2 = R3R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회로의 구동점 임피던스 Zab는?

(정답률: 50%)
  • 회로를 분석해보면, Zab는 R1과 R2의 병렬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병렬 저항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는 R1과 R2의 직렬 저항이므로, R1과 R2을 합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Zab = (R1 x R2) / (R1 + R2) = (2 x 4) / (2 + 4) = 8/3 Ω 이므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최댓값이 10V인 정현파 전압이 있다. t=0 에서의 순시값이 5V 이고 이 순간에 전압이 증가하고 있다. 주파수가 60Hz 일 때, t = 2ms 에서의 전압의 순시값[V]은?

  1. 10sin30°
  2. 10sin43.2°
  3. 10sin73.2°
  4. 10sin103.2°
(정답률: 36%)
  • 주어진 정현파 전압의 식은 V(t) = 10sin(ωt + φ) 이다. 여기서 ω는 각주파수, φ는 초기 위상각이다. 주파수가 60Hz 이므로 각주파수는 2π × 60 = 120π rad/s 이다. 초기 위상각은 t=0 일 때의 순시값이 5V 이고 전압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φ = -π/6 이다. 따라서 전압의 순시값은 V(2ms) = 10sin(120π × 0.002 - π/6) = 10sin73.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sin73.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구형파의 라플라스 변환은?

(정답률: 50%)
  • 구형파의 라플라스 변환은 시간 영역에서의 함수를 주파수 영역에서의 함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구형파의 주파수 성분은 하나의 주파수만을 가지므로, 라플라스 변환 결과로는 해당 주파수에 대한 디라크 델타 함수가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파형의 파고율은?

  1. 1
  2. 2
  3. √2
  4. √3
(정답률: 53%)
  • 주어진 파형은 사인파 형태이며, 한 주기 동안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직선으로 측정한 길이와 같으므로 파고율은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회로의 컨덕턴스 G2에 흐르는 전류 i는 몇 A 인가?

  1. -5
  2. 5
  3. -10
  4. 10
(정답률: 53%)
  • 컨덕턴스 G2는 2Ω이므로, V=IR에 따라 V=2i가 된다.
    그리고 V1=10V 이므로, V2=V1-V=10-2i가 된다.
    따라서, i1=V1/R1=10/5=2A, i2=V2/R2=(10-2i)/4=2.5-0.5iA가 된다.
    그리고 i1+i2=i 이므로, 2+2.5-0.5i=i가 된다.
    따라서, i=-5A가 된다.
    즉, "-5"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콘덴서 C[F]에 단위 임펄스의 전류원을 접속하여 동작시키면 콘덴서의 전압 Vc(t)는? (단, u(t)는 단위계단 함수이다.)

  1. Vc(t) = C
  2. Vc(t) = Cu(t)
(정답률: 48%)
  • 콘덴서의 전압 Vc(t)는 콘덴서에 저장된 전하 Q와 콘덴서의 용량 C에 비례한다. 단위 임펄스의 전류원을 접속하여 동작시키면, 시간 t=0에서 콘덴서에 전하가 충전되고, 이후에는 전하가 방전되면서 전압이 감소한다. 이 때, 단위계단 함수 u(t)는 t=0에서 1의 값을 가지므로, 콘덴서에 충전된 전하 Q는 C이다. 따라서, Vc(t) = Q/C = C/C =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접지 3상 Y회로에서 전류 Ia = 15 + j2[A], Ib = -20 – j14[A] 일 경우 Ic[A] 는?

  1. 5 + j12
  2. -5 + j12
  3. 5 - j12
  4. -5 - j12
(정답률: 50%)
  • Y회로에서 Ia, Ib를 알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전류 Ic를 구할 수 있다.

    Ic = -(Ia + Ib)
    = -(15 + j2 - 20 - j14)
    = -5 - j12

    따라서 정답은 "5 + j12"가 아니라 "-5 - j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의 이득여유(dB)는?

  1. 20
  2. -20
  3. 0
(정답률: 61%)
  • 정답은 "0"이다. 이유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득여유는 0dB가 된다. 이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크기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진리표의 논리소자는?

  1. OR
  2. NOR
  3. NOT
  4. NAND
(정답률: 67%)
  • 진리표에서 모든 입력값이 0일 때만 출력값이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OR 게이트의 반대로 동작하는 것으로, 입력값을 모두 부정하고 그 결과에 대해 AND 연산을 수행하는 NOR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신호흐름 선도에서 전달함수 는 무엇인가?

(정답률: 50%)
  • 전달함수는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로,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에서는 입력신호가 x(t)이고 출력신호가 y(t)이다. 전달함수는 y(t)를 x(t)로 나눈 것으로 정의되며, 그 값이 이므로 정답은 ""이다. 이 값은 입력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작아지는 저주파 통과 필터의 특성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과 같은 시스템에 단위계단입력 신호가 가해졌을 때 지연시간에 가장 가까운 값sec은?

  1. 0.5
  2. 0.7
  3. 0.9
  4. 1.2
(정답률: 62%)
  • 시스템의 전체 지연시간은 0.5초 + 0.2초 + 0.2초 = 0.9초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0.9초보다 작은 0.7초입니다. 이유는 0.7초는 0.9초보다 작은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단위 궤환 제어계의 미분방정식은?

(정답률: 56%)
  • 다음 단위 궤환 제어계의 미분방정식은 이다.

    이유는 제어계의 상태변수인 각도 θ와 각속도 ω가 각각 1차 미분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각도 θ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이므로 시간에 대한 1차 미분인 속도가 각속도 ω이다. 따라서 각도 θ와 각속도 ω는 각각 시간에 대한 1차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결합하면 위와 같은 미분방정식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특성방정식이 다음과 같다. 이를 변환하여 평면에 도시할 때 단위원 밖에 놓일 근은 몇 개인가?

  1. 0
  2. 1
  3. 2
  4. 3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특성방정식 s3+2s2+(k+3)s+10=0에서 Routh 안정도 판별법으로 판별 시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

  1. k > 2
  2. k < 2
  3. k > 1
  4. k < 1
(정답률: 62%)
  • Routh 안정도 판별법을 적용하기 위해 우선 특성방정식의 계수를 배열하여 Routh 배열을 만들어야 한다.

    | s^3 | 1 | k+3 |
    | --- | --- | --- |
    | s^2 | 2 | 10 |
    | s^1 | (2-k)/1 | 0 |
    | s^0 | 10/(2-k) | 0 |

    Routh 배열에서 안정한 시스템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열의 모든 원소가 양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k+3 > 0 이어야 하며, 이를 통해 k > -3 이다.

    두 번째 열의 첫 번째 원소는 2-k 이므로, 이 또한 양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k < 2 이다.

    따라서 k의 범위는 -3 < k < 2 이다. 이 중에서도 첫 번째 열의 모든 원소가 양수인 경우가 안정한 시스템을 만족하므로, k > 2 인 경우가 정답이다.

    즉, k > 2 인 이유는 첫 번째 열의 모든 원소가 양수인 경우가 안정한 시스템을 만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드모르간의 정리를 나타낸 식은?

(정답률: 63%)
  • 드모르간의 정리는 (A∪B)' = A'∩B'와 (A∩B)' = A'∪B'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A∪B)'를 A'와 B'의 교집합으로 나타내면 (A'∩B')이 되고, (A∩B)'를 A'와 B'의 합집합으로 나타내면 (A'∪B')가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에서 ①에 알맞은 신호 이름은?

  1. 조작량
  2. 제어량
  3. 기준입력
  4. 동작신호
(정답률: 65%)
  • ①에 알맞은 신호 이름은 "동작신호"입니다. 이는 기계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로, 일반적으로 ON/OFF 신호로 구성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작량은 조작하는 양, 제어량은 제어하는 양, 기준입력은 기준이 되는 입력 신호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근궤적이 s평면의 jω축과 교차할 때 폐루프의 제어계는?

  1. 안정하다.
  2. 알 수 없다.
  3. 불안정하다.
  4. 임계상태이다.
(정답률: 58%)
  • 임계상태는 안정성과 불안정성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근궤적이 s평면의 jω축과 교차할 때 폐루프의 제어계가 임계상태에 있다는 것은 안정성과 불안정성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어서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작은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신호기기

41. 유도전동기의 토크-속도 곡선이 비례추이를 한다는 것은 그 곡선이 무엇에 비례해서 이동하는 것을 말하는가?

  1. 슬립
  2. 회전수
  3. 공급전압
  4. 차 합성저항
(정답률: 45%)
  • 유도전동기의 토크-속도 곡선이 비례추이를 한다는 것은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토크도 비례해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유도전동기의 특성으로, 회전자의 속도가 증가하면 유도자에 인도되는 자기장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유도전동기의 토크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토크-속도 곡선이 비례추이를 하기 위해서는 유도전동기의 차 합성저항이 일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 합성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2kW, 220V 직류발전기의 전부하 전류는 몇 A 인가?

  1. 100
  2. 120
  3. 140
  4. 160
(정답률: 64%)
  • 전부하 전류 = 출력전력 ÷ 출력전압
    22kW = 220V × 전류
    전류 = 22,000 ÷ 220 = 100A
    따라서 정답은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류궤도회로에 사용되는 한류장치는 무엇으로 사용하는가?

  1. 코일
  2. 리액터
  3. 콘덴서
  4. 가변저항기
(정답률: 69%)
  • 한류장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직류궤도회로에서는 가변저항기를 사용합니다. 가변저항기는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어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류장치에서는 가변저항기를 사용하여 전류를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선로전환기의 사용력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수동 선로전환기
  2. 동력 선로전환기
  3. 삼지 선로전환기
  4. 스프링 선로전환기
(정답률: 53%)
  • 삼지 선로전환기는 사용력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전환 방식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삼지 선로전환기는 3개의 입력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에 반해, 수동 선로전환기는 수동으로 전환하는 방식, 동력 선로전환기는 전기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전환하는 방식, 스프링 선로전환기는 스프링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환하는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반파 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 100V 를 얻는데 필요한 변압기 2차 상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부하는 순저항 부하이며, 변압기 내의 전압강하는 무시하고, 정류기 내의 전압강하는 15V 로 한다.)

  1. 125
  2. 256
  3. 315
  4. 496
(정답률: 66%)
  • 반파 정류회로에서는 2배의 전압이 필요하므로, 변압기 2차 상전압은 200V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정류기 내의 전압강하 15V를 고려해야 하므로, 변압기 2차 상전압은 215V가 되어야 한다. 이때, 부하 저항이 순저항이므로, 변압기 1차 전압과 2차 전압은 비례한다. 따라서, 변압비는 215V/100V = 2.15이다. 이때, 변압기 1차 전압은 2.15배 증폭되므로, 1차 전압은 215V/2.15 = 100V가 된다. 따라서, 변압기 2차 상전압은 100V이다. 이를 2차 측 전압으로 나누면, 100V/0.39A = 256.4Ω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교류전기 선로전환기의 전동기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기기는?

  1. 전철정자
  2. 제어계전기
  3. 회로제어기
  4. 계자권선접속기
(정답률: 59%)
  • 교류전기 선로전환기의 전동기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기기는 제어계전기입니다. 제어계전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류전기 선로전환기에서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계전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류기에서 전기자반작용으로 나타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전기적 중성축이 이동한다.
  2. 정류자 편간의 불꽃 섬락이 발생한다.
  3. 단자전압의 저하는 전동기에만 나타난다.
  4. 회전속도의 상승은 전동기에만 나타난다.
(정답률: 58%)
  • 단자전압의 저하는 전동기에만 나타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직류기에서 전기자반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자전압의 저하는 전동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자반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향들 중 하나이지만, 단자전압의 저하는 전동기 내부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건널목 경보시간의 적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시소 계전기법
  2. 정시간 제어기법
  3. 궤도회로 연장법
  4. 콘덴서 충·방전법
(정답률: 48%)
  • 궤도회로 연장법은 건널목 경보시간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궤도회로 연장법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연장하여 신호의 도달 시간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건널목 경보시간의 적정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ATS 지상자 제어계전기의 접점저항은 몇 mΩ 이하이어야 하는가?

  1. 60
  2. 80
  3. 100
  4. 120
(정답률: 50%)
  • ATS 지상자 제어계전기의 접점저항은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이는 지상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접점저항은 100mΩ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변압기의 누설리액턴스를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권선을 동심 배치한다.
  2. 권선을 분할하여 조립한다.
  3. 철심의 단면적을 크게 한다.
  4. 코일의 단면적을 크게 한다.
(정답률: 60%)
  • 권선을 분할하여 조립하는 것은 각 권선 사이에 절연체를 넣어 누설리액턴스를 줄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권선 간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고,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누설리액턴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권선을 분할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궤도회로용 구성기기가 아닌 것은?

  1. 전원장치
  2. 한류장치
  3. 철관장치
  4. 궤조절연
(정답률: 67%)
  • 궤도회로는 우주에서 위성이나 우주선을 운영하기 위한 회로이므로, 철관장치는 궤도회로와 관련이 없는 기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자기유지계전기(WR)의 접점 수, 전류, 정격 동작 전압에 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1. NR4/N4R4, 80mA, DC 22V
  2. NR4/N2R2, 80mA, DC 24V
  3. NR4/N4R4, 120mA, DC 22V
  4. NR4/N4R4, 120mA, DC 24V
(정답률: 62%)
  • 자기유지계전기(WR)의 접점 수는 NR4/N2R2이다. 이는 접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NR이 4개이고, 그 중 자기유지용 접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N이 2개, 자기유지용이 아닌 접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R이 2개라는 뜻이다. 전류는 80mA이며, 정격 동작 전압은 DC 24V이다. 이는 WR의 정격 동작 전압 범위 내에 해당하며, 자기유지용 접점이 2개이므로 적은 전류로도 자기유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열차 최고운행속도가 150km/h 인 선로의 건널목에 경보제어용 시점제어자를 설치하고자 한다. 건널목 종점제어자와의 이격거리는 몇 m 인가? (단, 기준경보시간은 30초로 한다.)

  1. 950
  2. 1050
  3. 1150
  4. 1250
(정답률: 53%)
  • 열차의 최고운행속도가 150km/h 이므로 1초당 이동거리는 150/3600 = 0.0417km 이다. 기준경보시간인 30초 동안 이동하는 거리는 30 × 0.0417 = 1.25km 이다. 따라서 건널목 종점제어자와의 이격거리는 1.25km - 건널목의 길이(0.1km) = 1.15km = 1150m 이다. 하지만, 경보제어용 시점제어자는 건널목의 입구에서 100m 전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건널목 종점제어자와의 이격거리는 1150m - 100m = 105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3상 유도전동기에서 동기와트로 표시되는 것은?

  1. 토크
  2. 1차 입력
  3. 2차 출력
  4. 동기 각속도
(정답률: 65%)
  • 3상 유도전동기에서 동기와트로 표시되는 것은 "토크"이다. 이는 전동기의 출력 토크를 나타내며, 전동기의 회전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토크 값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1차 입력은 전원의 입력 전압이나 전류를 의미하며, 2차 출력은 전동기의 출력 전압이나 전류를 의미한다. 동기 각속도는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저항 강하가 3%, 리액턴스 강하가 4%일 때 변압기의 최대 전압변동률은 몇 % 인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67%)
  • 변압기의 최대 전압변동률은 저항 강하와 리액턴스 강하의 합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최대 전압변동률은 3% + 4% = 7%가 된다. 그러나 문제에서 최대 전압변동률을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에서 저항 강하와 리액턴스 강하의 차이를 빼줘야 한다. 따라서 최대 전압변동률은 7% - 2% = 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열차집중제어장치(CTC)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안전도 향상
  2. 선로용량의 증대
  3. 정보수집의 비자동화
  4. 신호보안장치의 고장파악 용이
(정답률: 56%)
  • 열차집중제어장치(CTC)는 철도 운영을 자동화하여 안전도를 향상시키고, 선로용량을 증대시키며, 신호보안장치의 고장파악을 용이하게 합니다. 하지만 CTC는 정보수집을 자동화하기 때문에, "정보수집의 비자동화"는 CTC의 효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부하가 변하면 심하게 속도가 변하는 직류 전동기는?

  1. 직권전동기
  2. 분권전동기
  3. 차동복권전동기
  4. 가동복권전동기
(정답률: 58%)
  • 직류 전동기는 자기장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하 변화에 따라 속도가 크게 변합니다. 그러나 직권전동기는 자기장의 방향이 고정되어 있어 부하 변화에도 속도 변화가 적습니다. 따라서 직권전동기는 부하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변압기의 자속을 만드는 전류는?

  1. 부하전류
  2. 철손전류
  3. 자화전류
  4. 포화전류
(정답률: 57%)
  • 변압기의 자속을 만드는 전류는 자화전류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로, 코일을 둘러싸고 있는 철심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변압기의 전기적인 에너지를 자기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자기장은 변압기의 전기적인 특성을 결정하며, 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변압기의 출력 전압과 전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콘덴서 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가 사용되는 기기는?

  1. 전동차단기
  2. 침목형 선로전환기
  3. MJ81형 선로전환기
  4. NS형 전기 선로전환기
(정답률: 61%)
  • 콘덴서 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는 전기적으로 시작하는 방식으로, 콘덴서를 이용하여 회전자에 회전력을 부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전기 선로전환기가 필요한데, NS형 전기 선로전환기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장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콘덴서 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가 사용되는 기기에서는 NS형 전기 선로전환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법이 아닌 것은?

  1. 계자제어법
  2. 전압제어법
  3. 저항제어법
  4. 전류제어법
(정답률: 63%)
  • 직류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중에서 전류제어법은 아닙니다. 전류제어법은 직류전동기의 토크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속도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전류제어법은 속도제어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신호공학

61. 경부고속철도 UM71 궤도회로장치 구성기기 중 현장 선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가 아닌 것은?

  1. 궤도회로수신기
  2. MU(matching Unit)
  3. 보상용콘덴서
  4. 양극자블록장치(DB)
(정답률: 59%)
  • 경부고속철도 UM71 궤도회로장치 구성기기 중에서 현장 선로변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기는 "궤도회로수신기"입니다. 이는 궤도회로수신기가 기차에 장착되어 있어서 현장 선로변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4현시 자동구간에서 정거장 본선에 정지하는 경우 장내신호기의 현시상태는? (단, 복선자동폐색구간)(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YY
  2. R0
  3. 제한
  4. G
(정답률: 48%)
  • 4현시 자동구간에서 정거장 본선에 정지하는 경우, 장내신호기의 현시상태는 "G"입니다. 이는 정거장에서 열차가 멈추면, 신호기가 정지신호(G)를 보내기 때문입니다. 복선자동폐색구간이라고 하더라도, 정거장에서는 열차가 멈추므로 신호기가 정지신호를 보내야 합니다. 따라서 "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동폐색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복선구간의 신호현시는 정지 정위식을 원칙으로 한다.
  2. 폐색구간의 열차검지는 궤도회로 및 악셀 카운터 등을 설비하여 검지하는 것으로 한다.
  3. 신호현시 제어는 주파수를 이용한 제어방식 또는 전자제어방식으로 한다.
  4. 폐색구간에 설비하는 궤도회로는 무절연 방식의 궤도회로를 설치한다.
(정답률: 48%)
  • "복선구간의 신호현시는 정지 정위식을 원칙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복선구간에서는 열차가 서로 마주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정지 정위식을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선로전환기 정위 결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본선과 본선 또는 측선과 측선의 경우 주요 본선(측선) 방향
  2. 단선의 경우 상·하 본선은 열차 진입방향
  3. 탈선 선로전환기는 탈선시키는 방향
  4. 본선이 안전측선과 분기하는 경우에는 본선의 방향
(정답률: 50%)
  • "본선이 안전측선과 분기하는 경우에는 본선의 방향"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이유는 안전측선은 주로 열차가 비상 정지할 수 있는 구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본선과 안전측선이 분기하는 경우에는 본선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로전환기는 본선 방향으로 정위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경부고속철도(KTX)에 설치된 전자연동장치(SSI)의 큐비클 내 구성기기가 아닌 것은?

  1. 불연속전송모듈(CEP)
  2. 진단모듈(DIA)
  3. 다중처리모듈(MPM)
  4. 조작표시반 처리모듈(PPM)
(정답률: 55%)
  • 불연속전송모듈(CEP)은 KTX의 SSI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기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KTX의 SSI 시스템 내 구성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단선구간 상·하 장내신호기에 진행신호를 동시에 현시할 수 없도록 하는 쇄정은?

  1. 편쇄정
  2. 정위쇄정
  3. 정·반위쇄정
  4. 반위쇄정
(정답률: 60%)
  • 정위쇄정은 단선구간 상·하 장내신호기에 진행신호를 동시에 현시할 수 없도록 하는 쇄정으로, 상·하 장내신호기 중 하나가 진행신호를 현시하고 있을 때 다른 하나는 진행신호를 현시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운전자들이 혼란스러워하지 않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용폐색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통신식
  2. 지도 통신식
  3. 지도식
  4. 지도 격시법
(정답률: 59%)
  • 지도 격시법은 대용폐색방식이 아닌데, 이는 지도를 격자 형태로 나누어 각 격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대규모 통신망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철 제어 계전기의 전원이 차단되면?

  1. WR낙하
  2. 0° 접점을 유지한다.
  3. 반대 방향으로 동작한다.
  4. 동작된 방향으로 지속한다.
(정답률: 59%)
  • 전철 제어 계전기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로 일정 시간 동안 동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때, 동작된 방향으로 지속한다는 것은 제어 계전기가 마지막으로 동작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운전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전철은 마지막으로 운행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운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고속철도 지장물검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낙석검지용 보조 접속함(SDC)은 검지망의 시점 기주에 설치한다.
  2. 검지선 간의 간격은 150~300mm로 한다.
  3. 보호해제버튼(CAPT)은 지장물검지장치그룹의 시단부에 설치한다.
  4. 검지선이 단락되면 계전기가 무여자되어 이상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정답률: 58%)
  • 보호해제버튼(CAPT)은 지장물검지장치그룹의 시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거리가 먼 이유는, 이 버튼은 검지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검지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때 이 버튼을 누르면 검지장치가 보호해제되어 작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지장치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기회로가 개방되어 계전기에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열차가 궤도에 진입함으로써 차축을 통하여 전류가 흘러 궤도계전기가 여자하는 궤도회로는?

  1. 폐전로식 궤도회로
  2. 개전로식 궤도회로
  3. 2위식 궤도회로
  4. 3위식 궤도회로
(정답률: 55%)
  • 전기회로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열차가 궤도에 진입하면 차축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궤도계전기가 작동합니다. 이러한 회로를 개전로식 궤도회로라고 합니다. 개전로식 궤도회로는 궤도와 전류원 사이에 차축이 있어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회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개전로식 궤도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교류 궤도회로의 단락감도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레일을 용접, 장대 레일화 하여 전압강하를 없앤다.
  2. 송전전압을 증가하고, 한류장치의 저항 또는 리액터를 증가한다.
  3. 궤도계전기에 병렬로 저항을 삽입하고, 반위접점으로 단락한다.
  4. 위상을 적당히 하여 열차 단락시의 회전역률을 최대 회전역률에서 이동시킨다.
(정답률: 50%)
  • "레일을 용접, 장대 레일화 하여 전압강하를 없앤다."가 틀린 것입니다.

    교류 궤도회로에서는 레일의 전압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레일을 용접하거나 장대 레일화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올바른 방법입니다.

    "송전전압을 증가하고, 한류장치의 저항 또는 리액터를 증가한다."는 궤도회로의 단락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궤도계전기에 병렬로 저항을 삽입하고, 반위접점으로 단락한다."는 궤도회로의 단락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궤도계전기에 병렬로 저항을 삽입하면 궤도회로의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단락감도가 향상됩니다.

    "위상을 적당히 하여 열차 단락시의 회전역률을 최대 회전역률에서 이동시킨다."는 궤도회로의 단락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회전역률을 적절히 조절하여 단락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고속철도를 횡단하는 고가차도나 낙석 또는 토사붕괴가 우려되는 지역 등에 자동차나 낙석 등이 선로에 침입하는 것을 검지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는?

  1. 축소검지장치
  2. 지장물검지장치
  3. 끌림검지장치
  4. 안전스위치
(정답률: 65%)
  • 고속철도를 횡단하는 고가차도나 낙석 또는 토사붕괴가 우려되는 지역 등에 자동차나 낙석 등이 선로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는 지장물검지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선로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나가는 차량이나 물체를 감지하여 선로를 차단하고 사고를 예방합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신호검측차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AF궤도회로의 반송파전류
  2. 임펄스 궤도회로의 전압
  3. ATS장치의 선택도
  4. 건널목 장치의 조명의 밝기
(정답률: 60%)
  • 신호검측차로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건널목 장치의 조명의 밝기는 전기적인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기 선로전환기의 동작순서로 옳은 것은?

  1. 표시 → 전환 → 해정 → 쇄정
  2. 해정 → 전환 → 표시 → 쇄정
  3. 해정 → 전환 → 쇄정 → 표시
  4. 표시 → 해정 → 전환 → 쇄정
(정답률: 60%)
  • 전기 선로전환기의 동작순서는 "해정 → 전환 → 쇄정 → 표시" 이다. 이는 전기 선로전환기가 운전 중인 전원원에서 다른 전원원으로 전환할 때, 먼저 현재 운전 중인 전원원을 해제하고, 다음 전원원으로 전환한 후에 쇄정하여 안정화시키고, 마지막으로 전환된 전원원을 표시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정 → 전환 → 쇄정 → 표시"가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ATS지상자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상자만을 설치할 경우에는 리드선이 붙은 상태로 단락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2. 점제어식 지상자의 설치거리는 신호기 바깥쪽으로부터 열차 제동거리의 1.2배 범위로 한다.
  3. 지상자 밑면과 자갈과의 간격은 20mm이상으로 한다.
  4. 가드레일과의 간격은 400mm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45%)
  • "지상자 밑면과 자갈과의 간격은 20mm이상으로 한다." 이유는 지상자 밑면과 자갈과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지상자가 자갈에 묻혀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상자와 자갈 사이의 간격이 너무 멀면 지상자의 높이가 충분하지 않아 열차가 지나갈 때 충격을 받아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유도신호기에 대한 확인거리는 몇 m 이상인가?

  1. 100
  2. 250
  3. 500
  4. 700
(정답률: 55%)
  • 유도신호기의 확인거리는 100m 이상이다. 이는 항공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유도신호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100m 이상 떨어져 있어야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으면 유도신호기가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역간 열차 평균 운전시분이 7분이고 폐색 취급시분이 5분일 경우 단선구간의 선로용량은? (단, 선로이용률은 0.75임)

  1. 60회
  2. 75회
  3. 90회
  4. 120회
(정답률: 47%)
  • 선로용량은 선로이용률과 열차 평균 운전시간, 폐색 취급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선로용량 = (운전시간 + 취급시간) / 선로이용률 이다.

    여기서, 운전시간 = 7분, 취급시간 = 5분, 선로이용률 = 0.75 이므로,

    선로용량 = (7분 + 5분) / 0.75 = 12분 / 0.75 = 16회

    따라서, 단선구간의 선로용량은 16회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60회, 75회, 90회, 120회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한다. 이 중에서 16회로 나누어 떨어지는 것은 90회 뿐이므로, 정답은 "90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NS형 전기선로전환기의 동작 시분은 몇 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6초
  2. 8초
  3. 10초
  4. 12초
(정답률: 57%)
  • NS형 전기선로전환기는 전력공급 장치의 고장 등으로 인해 전기선로가 단락되었을 때, 다른 전기선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때, 전환까지 걸리는 시간이 중요하다.

    NS형 전기선로전환기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시간 지연장치가 있어서 전환까지 총 6초가 소요된다. 따라서 정답은 "6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역 사이에 설치된 3위식 자동폐색구간에서 항상 진행 신호로 운행하는 경우의 최소운전시격(TR)은? (단, B : 폐색구간길이[m], L : 열차길이[m], C : 신호현시 확인에 요하는 최소거리)[m], t : 선행열차가 1의 신호기를 통과할 때부터 3의 신호기가 진행신호를 현시할 때까지 시간[sec], V : 열차속도[km/h])

(정답률: 50%)
  • 정답인 ""는 열차가 폐색구간을 완전히 빠져나가기 전에는 다음 열차가 진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운전시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때, 열차의 길이와 폐색구간의 길이, 그리고 신호기 현시 확인에 요하는 최소거리를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열차가 항상 진행 신호로 운행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소운전시격을 계산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진로선별식 전기연동장치에서 진로선별회로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진로조사계전기가 동작한다.
  2. 우행회로, 좌행회로로 분류한다.
  3. 전철선별계전기가 동작한다.
  4. 정위 배향에 진로선별계전기를 설치한다.
(정답률: 48%)
  • 정답: "진로조사계전기가 동작한다."

    설명: 진로선별식 전기연동장치는 기차가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우행회로와 좌행회로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기차가 가야 할 방향으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진로조사계전기는 기차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진로조사계전기는 진로선별회로와 관계가 있습니다. 반면, 전철선별계전기는 기차가 어느 노선으로 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정위 배향에 진로선별계전기를 설치하는 것은 진로선별식 전기연동장치의 설치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