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신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9-15)

철도신호기사
(2018-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공학

1.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이 무한대이다.
  2.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0 이다.
  3. 출력저항은 무한대이다.
  4. 개방 전압 이득은 무한대이다.
(정답률: 64%)
  • 출력저항은 무한대일 수 없다. 이유는 연산증폭기의 출력은 항상 어떤 부하에 의해 소비되기 때문에, 출력저항은 항상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 중에서 "출력저항은 무한대이다."는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JK플립플롭의 특성표를 참고한 특성 방정식으로 옳게 표현한것은?

(정답률: 67%)
  • 정답은 ""이다.

    JK플립플롭의 특성표를 보면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와 반대로 출력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특성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Q(n+1) = ~Q(n)이 된다. 따라서 ""가 옳은 특성 방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상동작 상태로 바이어스된 npn 트랜지스터에서 베이스 전위를 기준으로 컬렉터 전위는 어떤 전위인가?

  1. 양전위
  2. 음전위
  3. 동전위
  4. 영전위
(정답률: 69%)
  • 정상동작 상태에서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위는 양전위여야 합니다. 이때 컬렉터 전위는 음전위가 됩니다. 이는 npn 트랜지스터의 동작 원리에 기반한 것으로, 베이스 전류가 흐르면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컬렉터는 음전위가 되고, 에미터는 양전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전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증폭회로의 전압 증폭도가 30인 경우, 이는 약 몇 dB 인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58%)
  • 전압 증폭도 30은 20log(Vout/Vin) = 30을 만족하는 것이다. 이를 계산하면 Vout/Vin = 31.62이다. 이는 입력 전압이 1V일 때 출력 전압이 31.62V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dB로 변환하면 20log(31.62/1) = 30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소자가 아닌 것은?

  1. PROM
  2. PAL
  3. PLA
  4. CMAR
(정답률: 71%)
  • CMAR은 프로그래머블 소자가 아닙니다. PROM, PAL, PLA은 프로그래머블 소자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프로그래밍하여 동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MAR은 "Content-Addressable Memory"의 약자로, 주소가 아닌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모리에 접근하는 소자입니다. 따라서 CMAR은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하며, 고정된 동작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Master-Slave 플립플롭 회로
  2. Trigger 회로
  3. 더블 RS 플립플롭 회로
  4. JK 플립플롭 회로
(정답률: 58%)
  • 이 회로는 Master-Slave 플립플롭 회로라고 불립니다. 이는 트리거 회로의 일종으로, 더블 RS 플립플롭 회로와 JK 플립플롭 회로의 변형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가 Master 플립플롭에 들어가면, Slave 플립플롭의 출력이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Master 플립플롭의 출력이 Slave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Slave 플립플롭의 출력이 Master 플립플롭의 이전 상태를 따라갑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력 신호가 Master 플립플롭에 들어가는 동안에는 출력이 변하지 않고, 입력 신호가 Slave 플립플롭에 들어가는 동안에만 출력이 변하도록 보장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Master-Slave 플립플롭 회로는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며,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농도 차이에 의한 전자 혹은 정공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은?

  1. 확산전류
  2. 드리프트전류
  3. 차단전류
  4. 포화전류
(정답률: 65%)
  • 농도 차이에 의한 전자 혹은 정공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은 확산전류입니다. 확산전류는 농도 차이에 의하여 입자들이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류로, 입자들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전류가 발생합니다. 이는 일종의 확산 현상으로, 입자들이 무작위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농도 차이에 따라 움직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RL 직렬회로의 과도응답에서 감쇠율로 옳은 것은?

  1. R
  2. L
(정답률: 58%)
  • RL 직렬회로에서 과도응답이 발생하면, 전류나 전압이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어 진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서는 감쇠율이 필요합니다. 감쇠율은 RL 회로에서 R과 L의 값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 입니다. 이유는 R과 L의 값이 클수록 감쇠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과 같은 게이트 회로를 논리식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X = (A + B) + C
  2. X = AB + C
  3. X = (A + B) · C
  4. X = A + B · C
(정답률: 67%)
  • 정답은 "X = AB + C" 이다.

    논리식을 나타내는 방법은 AND, OR, NOT 게이트를 사용하여 입력과 출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위의 그림에서, A와 B는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고, 그 결과는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C는 OR 게이트의 다른 입력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전체 논리식은 "AB + C"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논리식을 잘못 표현하고 있거나,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입력을 잘못 연결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류회로에서 여과장치가 하는 역할은?

  1. 레귤레이터
  2. 고주파 공진회로
  3. 맥동 감쇄장치
  4. ON-OFF 장치
(정답률: 54%)
  • 정류회로에서 여과장치는 전원 신호에서 발생하는 맥동 현상을 감쇄시켜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맥동 감쇄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4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업 카운터의 모듈러스(modulu)와 이 카운터로 계수할 수 있는 최대계수는?

  1. 모듈러스 : 32, 최대계수 : 16
  2. 모듈러스 : 16, 최대계수 : 15
  3. 모듈러스 : 16, 최대계수 : 17
  4. 모듈러스 : 32, 최대계수 : 17
(정답률: 73%)
  • 4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이진수 카운터는 0부터 15까지의 수를 계수할 수 있습니다. 이진수로 표현하면 0000부터 1111까지 총 16개의 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듈러스는 16이 됩니다.

    최대계수는 모듈러스에서 1을 뺀 값이 됩니다. 이는 모듈러스가 n일 때, 0부터 n-1까지의 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계수는 15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듈러스 : 16, 최대계수 : 1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은 변조 회로도이다. A, B, C에 들어갈 파형의 종류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A : 반송파, B : 피변조파, C : 신호파
  2. A : 신호파, B : 반송파, C : 피변조파
  3. A : 피변조파, B : 신호파, C : 반송파
  4. A : 신호파, B : 피변조파, C : 반송파
(정답률: 54%)
  • 변조 회로는 입력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B 파형으로 들어가고, C 파형은 출력 신호이다. 따라서 B 파형은 피변조파이고, C 파형은 신호파이다. 그리고 A 파형은 B 파형을 변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형으로, B 파형과 같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반송파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반송파, B : 피변조파, C : 신호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발진회로의 위상 및 이득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폭회로의 입력과 되먹임회로의 위상 천이가 0도라면 출력은 동위상이다.
  2. 증폭회로의 입력과 되먹임회로의 위상관계는 발진주파수의 위상조건에 의해 조정된다.
  3. 증폭도를 A, 되먹임률을 β라 할 때, Aβ < 1 이어야 한다.
  4. 발진이 안정되었을 때는 Aβ = 1에서 회로의 평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
(정답률: 59%)
  • "발진이 안정되었을 때는 Aβ = 1에서 회로의 평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발진회로의 안정성은 Aβ > 1일 때 발생하는 양수의 피드백을 통해 유지됩니다. 따라서 Aβ < 1일 경우에는 발진회로가 감쇠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이는 발진회로의 이득이 너무 작거나 되먹임률이 너무 큰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폭도를 A, 되먹임률을 β라 할 때, Aβ < 1 이어야 하는 이유는 발진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보다 작아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발진회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스위칭 소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적합한 것은?

  1. 상승시간은 길고 하강시간이 짧아야 한다.
  2. 턴-오프 시간이 길어야 한다.
  3. 축적시간이 길어야 한다.
  4. 상승 및 하강속도가 빨라야 한다.
(정답률: 72%)
  • 스위칭 소자는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빠르게 출력을 변경해야 하므로 상승 및 하강속도가 빨라야 합니다. 이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더 높은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높은 전력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상승 및 하강속도가 빨라야 한다는 것이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발진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증폭된 출력의 일부를 입력측에서 귀환시켜서 출력측에서 연속적으로 파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2. 이 회로는 트랜지스터, FET, 저항, 콘덴서, 코일, 수정 등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3. 지속적으로 원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이다.
  4. 원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고주파에 저주파 신호를 포함시키는 회로이다.
(정답률: 52%)
  • "증폭된 출력의 일부를 입력측에서 귀환시켜서 출력측에서 연속적으로 파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발진회로는 입력 신호가 없어도 자체적으로 원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입력측에서 귀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원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고주파에 저주파 신호를 포함시키는 회로이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발진회로는 고주파와 저주파를 조합하여 원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출력 전압이 60V인 증폭기가 3-j3√3 [V]를 귀환시켰을 때, 귀환량 β는 얼마인가?

(정답률: 50%)
  • 귀환량 β는 0.5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주어진 증폭기의 출력 전압은 60V이다. 이를 귀환시키면 다음과 같다.

    V' = V/√3 - jV/√3 = 60/√3 - j60/√3 = 30 - j30√3 [V]

    즉, 귀환된 전압의 크기는 60V의 √2배, 즉 60√2V이다. 따라서 귀환량 β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β = |V'|/|V| = (60√2)/60 = √2/2 = 0.5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연산 증폭기에서 입력 부분의 주요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

  1. 전류 증폭기
  2. 전력 증폭기
  3. 임피던스 증폭기
  4. 차동 증폭기
(정답률: 66%)
  • 차동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는데, 이를 위해 입력 부분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차동 증폭기의 입력단에 위치한 차동 증폭기 증폭부와 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차동 변환기가 있다. 차동 증폭기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데 효과적이며, 잡음과 외부 간섭에 대한 내성이 높아 신호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OQPSK 방식은 QPSK 방식에서 180도 위상 변화를 제거하기 위해 I-채널이나 Q-채널 중 어느 한 채널을 얼마만큼 지연시키는가? (단, TS는 심벌(symbol)의 증폭이다.)

  1. Ts
  2. 2Ts
  3. Ts
  4. 3Ts
(정답률: 63%)
  • OQPSK 방식에서는 I-채널과 Q-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90도 회전시킨 후, 다른 채널과 병합하여 전송한다. 이 때, QPSK 방식과 달리 180도 위상 변화를 제거하기 위해 선택한 채널을 1/2 심벌(symbol)만큼 지연시켜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T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베이스 변조회로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변조에 소비되는 전력이 적어도 된다.
  2. 일그러짐이 거의 없다.
  3. 낮은 전압으로 깊은 변조를 할 수 있다.
  4. 컬렉터 변조회로보다 변조 효율이 좋다.
(정답률: 5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자가 접합을 넘어 확산됨에 따라 pn 접합면에 전자와 정공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도대
  2. 공핍층
  3. 바이어싱
  4. 도너
(정답률: 78%)
  • 공핍층은 pn 접합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전하를 중립화시키는 영역이 아닌, 전자와 정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말한다. 이는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전하 중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영역이 되며,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pn 접합에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21. 처음 10초간은 100A의 전류를 흘리고 다음 20초간은 20A의 전류를 흘리는 전류의 실효값은 몇 A 인가?

  1. 50
  2. 55
  3. 60
  4. 65
(정답률: 30%)
  • 처음 10초간은 100A의 전류를 흘리므로, 이 기간 동안의 전류의 제곱 평균값은 (100^2)/10 = 1000이 된다. 다음 20초간은 20A의 전류를 흘리므로, 이 기간 동안의 전류의 제곱 평균값은 (20^2)/20 = 20이 된다. 이 두 기간의 전류의 제곱 평균값을 합한 후, 전체 시간(30초)으로 나누어주면 전류의 실효값이 된다. 따라서, (1000+20)/30의 제곱근인 약 6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과 같이 Y결선을 Δ결선으로 변환할 경우 R1의 임피던스는 몇 Ω 인가?

  1. 0.33
  2. 3.67
  3. 5.5
  4. 11
(정답률: 43%)
  • Y결선을 Δ결선으로 변환할 때, 각각의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Z1 = (Za × Zb) / (Za + Zb + Zc)
    Z2 = (Zb × Zc) / (Za + Zb + Zc)
    Z3 = (Zc × Za) / (Za + Zb + Zc)

    따라서, R1의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Z1 = (3 × 6) / (3 + 6 + 6) = 1.5 Ω
    Z2 = (6 × 6) / (3 + 6 + 6) = 2.0 Ω
    Z3 = (6 × 3) / (3 + 6 + 6) = 1.5 Ω

    Y결선의 총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Zy = (Z1 × Z2 + Z2 × Z3 + Z3 × Z1) / Z1

    따라서,

    Zy = (1.5 × 2.0 + 2.0 × 1.5 + 1.5 × 1.5) / 1.5 = 5.5 Ω

    따라서, R1의 임피던스는 5.5 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회로는 스위치 K가 열린 상태에서 정상상태에 있었다. t=0에서 스위치를 갑자기 닫았을 때 V(0+) 및 i(0+)는?

  1. 0V, 12.5 mA
  2. 50V, 0 mA
  3. 50V, 12.5 mA
  4. 50V, -12.5 mA
(정답률: 47%)
  •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전압이 50V이고 전류는 0A이다. 스위치를 닫으면 전압이 갑자기 변화하지 않으므로 V(0+)는 50V이다. 스위치를 닫으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때 전압과 전류는 오므로 오므로 오른쪽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정하면 i(0+)는 12.5m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V, 12.5 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에서 2Ω에 흐르는 전류 i는 몇 A 인가?

(정답률: 34%)
  • 2Ω에 흐르는 전류 i는 4A이다. 이유는 오옴의 법칙에 따라 6V의 전압이 2Ω의 저항을 통해 흐르면 전류는 I=V/R=6/2=3A가 된다. 그리고 2Ω의 저항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전체 전류의 절반이므로 3A/2=1.5A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2Ω에 흐르는 전류 i는 1.5A x 2 = 3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R = 4Ω, ωL = 3Ω의 직렬 RL회로에서 v(t) = 100√2sinωt + 50√2sin3ωt(V)의 전압을 인가할 때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W)은?

  1. 1600
  2. 1703
  3. 2000
  4. 2128.75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3상 부하가 Δ결선 되었을 때 a상에는 콘덕턴스 0.3℧, b상에는 콘덕턴스 0.3℧, c상은 유도 서셉턴스 0.3℧가 연결되어 있다. 이 부하의 영상 어드미턴스(℧)는?

  1. 0.2 – j0.1
  2. 0.3 + j0.3
  3. 0.6 – j0.3
  4. 0.6 + j0.3
(정답률: 33%)
  • 영상 어드미턴스는 부하의 콘덕턴스와 유도 서셉턴스를 합한 값의 역수이다. 따라서,

    a상의 콘덕턴스 = 0.3 ℧
    b상의 콘덕턴스 = 0.3 ℧
    c상의 유도 서셉턴스 = 0.3 ℧

    부하의 총 어드미턴스는 다음과 같다.

    Z = (0.3 + 0.3j + j0.3)^-1
    = (0.6 + 0.3j)^-1
    = 0.2 - 0.1j

    따라서, 정답은 "0.2 – j0.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불평형 3상 회로에서 전압의 대칭분을 각각 V0, V1, V2, 전류의 대칭분을 각각 I0, I1, I2 라 할 때 대칭분으로 표시되는 복소전력은?

  1. V0I*1 + V1I*2 + V2I*0
  2. V0I*0 + V1I*1 + V2I*2
  3. 3V0I*1 + 3V1I*2 + 3V2I*0
  4. 3V0I*0 + 3V1I*1 + 3V2I*2
(정답률: 39%)
  • 대칭분으로 표시되는 복소전력은 각 상의 복소전력을 더한 값이다. 3상 회로에서 복소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S = 3V0I*0 + 3V1I*1 + 3V2I*2

    여기서 V0, V1, V2는 각각 A상, B상, C상의 전압의 대칭분이고, I0, I1, I2는 각각 A상, B상, C상의 전류의 대칭분이다. 3을 곱하는 이유는 3상 회로에서 각 상의 전압과 전류는 120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전체 복소전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3을 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단자 임피던스의 허수부가 어떤 주파수에 관해서도 언제나 0이 되고 실수부도 주파수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되는 회로는?

  1. 정저항 회로
  2. 정인덕턴스 회로
  3. 정임피던스 회로
  4. 정리액턴스 회로
(정답률: 54%)
  • 정저항 회로는 저주파수에서는 저항이 크고, 고주파수에서는 저항이 작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2단자 임피던스의 허수부가 어떤 주파수에 관해서도 언제나 0이 되고 실수부도 주파수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정저항 회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60Hz, 120V 정격인 단상 유도전동기의 출력은 3HP이고 효율은 90%이며 역률은 80%이다. 역률을 100%로 개선하기 위한 병렬 콘덴서가 흡수하는 복소전력은 몇 VA 인가?(단, 1 HP = 746W 이다.)

  1. -j1865
  2. -j2252
  3. -j2667
  4. -j3156
(정답률: 25%)
  • 역률을 100%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도전동기의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이 같아져야 한다. 유효전력은 출력/효율 = 3HP/0.9 = 3.33HP = 2483.18W 이다. 피상전력은 유효전력/역률 = 2483.18W/0.8 = 3103.97VA 이다. 따라서 병렬 콘덴서가 흡수해야 하는 복소전력은 피상전력에서 유효전력을 뺀 것이므로 3103.97VA - 2483.18W = -620.79VAR 이다. 복소전력은 유효전력과 역률의 관계에 따라 복소평면에서 유효전력과 수직으로 위치하므로, 복소전력의 허수부는 -620.79VAR 이다. 따라서 정답은 -j186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의 역 라플라스 변환은?

  1. tn
  2. tn-1
(정답률: 33%)
  • 주어진 함수는 시간 영역에서 t=0에서부터 n번 미분한 함수이다. 이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s의 n차 함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s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과 같은 차분 방정식으로 표시되는 불연속계가 있다. 이 계의 전달함수는?

(정답률: 52%)
  • 주어진 차분 방정식을 라플라스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sY(s)-y(0)=frac{1}{s^2+1}$$

    따라서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H(s)=frac{Y(s)}{U(s)}=frac{1}{s^2+1}$$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이고 T=2초일 때 크기 와 위상 ∠G(jw)는 각각 얼마인가?

  1. 0.24, 76°
  2. 0.44, 36°
  3. 0.24, -76°
  4. 0.44, -36°
(정답률: 3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근궤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궤적은 허수축에 대칭이다.
  2. 근궤적은 K=0일 때 극에서 출발하고 K=∞일 때 영점에 도착한다.
  3. 실수축 위의 극과 영점을 더한 수가 홀수개가 되는 극 또는 영점에서 왼쪽의 실수축에 근궤적이 존재한다.
  4. 극의 수가 영점보다 많을 경우, K가 무한에 접근하면 근궤적은 점근선을 따라 무한원점으로 간다.
(정답률: 58%)
  • "근궤적은 허수축에 대칭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근궤적은 실수축에 대칭이다. 이는 근과 영점이 실수축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물체의 위치, 방위, 각도 등의 기계적 변위량으로 임의의 목표 값에 추종하는 제어장치는?

  1. 자동조정
  2. 서보기구
  3. 프로그램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률: 50%)
  • 서보기구는 기계적 변위량을 측정하여 목표 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를 보상하여 정확한 위치나 각도를 유지하는 제어장치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위치, 방위, 각도 등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장치입니다. 자동조정, 프로그램제어, 프로세스제어는 서보기구와는 다른 제어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 때 e*(t)의 최종값은?

  1. 0
  2. 1
  3. 25
(정답률: 40%)
  • 주어진 그래프는 지수함수의 그래프이며, e*(t)는 시간 t에 따른 함수의 값이다. 그래프를 보면 t가 증가함에 따라 e*(t)는 무한히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종값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두 개의 그림이 등가인 경우 A 는?

(정답률: 26%)
  • 두 개의 그림이 등가인 경우, 그림의 모양, 크기, 색상, 배치 등이 모두 동일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 가 정답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양, 크기, 색상, 배치 등이 다르기 때문에 등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의 나이퀴스트 선도를 도시한 것은? (단, K > 0 이다.)

(정답률: 42%)
  • 나이퀴스트 선도는 KMP 알고리즘의 개선 버전으로, KMP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인 O(m+n)을 개선하여 O(m)으로 만들어낸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 때 근궤적에서 점근선의 실수축과의 교차점은?

  1. -6
  2. -5
  3. -4
  4. -1
(정답률: 46%)
  • 주어진 근궤적은 타원이며, 이는 중심이 원점이고 x축과 y축에 대해 대칭인 타원이다. 따라서 점근선은 y=x와 y=-x와 교차한다. 이 교차점은 x와 y가 같은 값, 즉 y=x=-x인 경우이다. 이를 풀면 x=-6이므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논리식 와 같은 논리식은?

(정답률: 60%)
  • 이 논리식은 AND 연산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조건이 참일 때만 전체가 참이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피드백제어의 전달함수를 구하면?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신호기기

41. 60Hz인 3상 8극 및 2극의 유도전동기를 차동종속으로 접속하여 운전할 때의 무부하 속도(rpm)는?

  1. 720
  2. 900
  3. 1200
  4. 3600
(정답률: 60%)
  • 3상 8극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는 750rpm이고, 2극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는 3000rpm입니다. 따라서, 차동종속으로 접속할 경우 무부하 속도는 두 동기속도의 평균값인 (750+3000)/2 = 1875rpm이 됩니다. 하지만, 60Hz 전원을 사용하므로 속도는 60/1875 x 60초 = 1.92초당 1회전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무부하 속도는 1분에 (1.92 x 60)회전 = 115.2회전이 됩니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12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3상 전원으로부터 2상 전원을 얻고자 할 때 사용되는 변압기의 결선방식이 아닌 것은?

  1. 포크(fork) 결선
  2. 스콧(scott) 결선
  3. 메이어(meyer) 결선
  4. 우드브리지(wood brige) 결선
(정답률: 54%)
  • 포크(fork) 결선은 3상 전원으로부터 2상 전원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변압기의 결선방식 중 하나이다. 이 방식은 3상 전원의 중앙점을 중심으로 2개의 선을 끊어내어 2상 전원을 얻는 방식으로, 포크 모양과 같은 형태로 선이 뻗어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포크(fork) 결선은 주어진 문제에서 요구하는 변압기의 결선방식 중 하나이다. 스콧(scott) 결선, 메이어(meyer) 결선, 우드브리지(wood brige) 결선은 모두 3상 전원으로부터 2상 전원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변압기의 결선방식 중 하나이지만, 포크(fork) 결선과는 다른 방식으로 선을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류 직권전동기의 토크 특성 곡선은?

(정답률: 54%)
  • 직류 직권전동기의 토크 특성 곡선은 일정한 속도에서는 직선적이며, 전류와 비례하여 증가하는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류가 증가할수록 자기장이 강해져서 회전자와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토크 특성 곡선이 "" 인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이클로 컨버터란?

  1. 직류 제어 소자이다.
  2. 전류 제어 소자이다.
  3. 실리콘 양방향성 소자이다.
  4. 제어 정류기를 사용한 주파수 변환기이다.
(정답률: 50%)
  • 사이클로 컨버터는 제어 정류기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을 고주파 AC 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저주파 DC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입니다. 따라서 "제어 정류기를 사용한 주파수 변환기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철도분야 종합 관제실에 설치되는 열차종합제어장치(TTC)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표시반
  2. 연동장치
  3. 제어용 콘솔
  4. 데이터 전송장치
(정답률: 61%)
  • TTC(열차종합제어장치)는 열차의 운행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표시반, 제어용 콘솔, 데이터 전송장치 등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연동장치는 TTC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연동장치는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장치로, TTC 시스템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운영됩니다. 따라서 연동장치는 TTC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건널목 제어기의 종점제어자용 2440형의 제어회로 구성방식과 발진주파수로 옳은 것은?

  1. 개전로식 : 20 kHz ± 2 kHz
  2. 폐전로식 : 20 kHz ± 2 kHz
  3. 개전로식 : 40 kHz ± 2 kHz
  4. 폐전로식 : 40 kHz ± 2 kHz
(정답률: 64%)
  • 건널목 제어기의 종점제어자용 2440형의 제어회로 구성방식은 개전로식이다. 개전로식은 발진회로와 증폭회로가 분리되어 있어서 안정적인 발진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개전로식 : 40 kHz ± 2 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극수 4, 슬롯 수 40, 슬롯 내부 코일변수 4인 단중 중권 정류자편 수는?

  1. 10
  2. 20
  3. 40
  4. 80
(정답률: 40%)
  • 슬롯 수 40개 중에서 자극수 4개가 들어가므로, 한 슬롯당 10개의 코일이 들어간다. 코일변수가 4이므로, 총 40개의 슬롯에서 10개의 코일이 들어간다면 400개의 코일이 필요하다. 이때, 단중 중권 정류자편 수는 코일 수의 1/5인 80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철도 건널목 전동차단기에서 회로제어기의 특징 중 옳은 것은? (단, 접점 수 = N, 접점용량 = Pm, 접점압력 = PT)

  1. N = 5접점, Pm = DC24 V-0.4A, PT = 60-100 g
  2. N = 6접점, Pm = DC24 V-0.4A, PT = 60-100 g
  3. N = 4접점, Pm = DC60 V-0.9A, PT = 60-100 g
  4. N = 6접점, Pm = DC60 V-0.9A, PT = 50-120 g
(정답률: 58%)
  • 철도 건널목 전동차단기에서 회로제어기는 접점 수, 접점용량, 접점압력 등의 특징이 중요하다. 이 중에서 옳은 것은 "N = 6접점, Pm = DC24 V-0.4A, PT = 60-100 g" 이다. 이유는 철도 건널목 전동차단기에서는 접점 수가 많아야 다양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6접점이 적합하다. 또한, 접점용량은 DC24 V-0.4A가 적합하며, 접점압력은 60-100 g가 적합하다. 이는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따라서, "N = 6접점, Pm = DC24 V-0.4A, PT = 60-100 g"가 옳은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부흐홀츠(Buchholz) 계전기로 보호되는 기기는?

  1. 변압기
  2. 발전기
  3. 동기전동기
  4. 회전변류기
(정답률: 63%)
  • 부흐홀츠 계전기는 전류 과부하를 감지하여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류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흐홀츠 계전기로 보호되는 기기는 변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임펄스형 궤도회로에서 사용하는 펄스의 주기는 몇 Hz 인가?

  1. 3
  2. 10
  3. 20
  4. 60
(정답률: 54%)
  • 임펄스형 궤도회로에서 사용하는 펄스의 주기는 1/3초이므로 주파수는 3Hz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궤도회로의 단락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계전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류장치의 임피던스는 높을 것
  2. 계전기 코일의 임피던스는 높을 것
  3. 동작전압과 낙하전압의 차가 클 것
  4. 계전기 동작전압은 최소한일 것
(정답률: 43%)
  • "동작전압과 낙하전압의 차가 클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궤도회로에서는 단락이 발생하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회로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락이 발생하면 빠르게 회로를 차단하는 계전기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계전기의 동작전압은 최소한이어야 하며, 동작전압과 낙하전압의 차이가 작을수록 더 높은 감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동작전압과 낙하전압의 차가 작을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계전기 접점의 기호 결선도이다. 유극 또는 3위 계전기 접점이 아닌 것은?

(정답률: 54%)
  • ""은 유극이나 3위 계전기 접점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이 기호는 일반적인 접점을 나타내며, 접점이 닫혀있을 때는 선이 연결되어 있고, 열려있을 때는 선이 끊어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은 유극 계전기 접점, ""은 3위 계전기 접점, ""은 유극과 3위 계전기 접점을 모두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격전압 24V, 저항 192Ω 계전기의 낙하전류는 몇 mA 이상인가?

  1. 37.5
  2. 87.5
  3. 112.5
  4. 125
(정답률: 47%)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 = 전류 x 저항 이므로, 전류 = 전압 ÷ 저항 = 24 ÷ 192 = 0.125A = 125mA 이다. 그러나 계전기는 정격전압에서만 정확한 값을 보장하므로, 이 값을 0.8로 나누어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125mA ÷ 0.8 = 37.5mA 이므로 정답은 "3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 중 브러시가 필요한 구조인 것은?

  1. 반발 기동형
  2. 분상 기동형
  3. 셰이딩 코일형
  4. 콘덴서 기동형
(정답률: 58%)
  • 반발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는 브러시를 사용하여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반발력을 발생시켜 기동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브러시가 필요한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AC NS형 전기 선로전환기의 정격전압에서 최대 전환력은 얼마 이상인가?

  1. 90 kg
  2. 100 kg
  3. 200 kg
  4. 300 kg
(정답률: 41%)
  • AC NS형 전기 선로전환기는 전기 선로를 전환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장치의 최대 전환력은 정격전압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류와 전압에 따라 결정됩니다. AC NS형 전기 선로전환기의 최대 전환력은 300 kg 이상입니다. 이는 안전하고 신뢰적인 전기 공급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전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철도 건널목 보안설비의 종류에 따른 설비구성이 아닌 것은?

  1. 경광등
  2. 조명장치
  3. 전동차단기
  4. 유도신호기
(정답률: 53%)
  • 유도신호기는 철도 건널목 보안설비 중 하나가 아니라, 철도 신호설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유도신호기는 해당 문제의 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력소비가 적고 철손과 동손만을 공급하여 변압기 온도 상승 시험을 하는 방법은?

  1. 반환부하법
  2. 전부하시험
  3. 무부하시험
  4. 충격전압시험
(정답률: 50%)
  • 반환부하법은 전력소비가 적고 철손과 동손만을 공급하여 변압기 온도 상승 시험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변압기의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변압기의 출력을 측정하여 변압기의 효율과 온도 상승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전력 소비가 적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변압기의 실제 사용 상황과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반환부하법이 변압기 온도 상승 시험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TC의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비동기식만 가능하다.
  2. 간섭파의 영향에 강하다.
  3. 별도의 모뎀이 필요 없다.
  4. 한 전송로를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정답률: 55%)
  • "비동기식만 가능하다."가 틀린 것입니다.

    CTC의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은 한 전송로를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섭파의 영향에 강하며, 별도의 모뎀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동기식과 비동기식 모두 가능합니다. 동기식은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고, 비동기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시간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도기에서 저항속도제어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비례추이
  2. 농형 유도전동기
  3. 속도 조정범위가 적다.
  4. 속도제어가 간단하고 원활하다.
(정답률: 59%)
  • 유도기에서 저항속도제어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농형 유도전동기"이다. 이는 속도 조정범위가 적고, 속도제어가 간단하고 원활하기 때문이다. 비례추이는 유도기에서 속도제어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3상 변압기 2대를 병렬 운전하고자 할 때, 병렬 운전이 불가능한 결선 방식은?

  1. Δ-Y 와 Y-Δ
  2. Δ-Y 와 Y-Y
  3. Δ-Y 와 Δ-Y
  4. Δ-Δ 와 Y-Y
(정답률: 64%)
  • 병렬 운전이 불가능한 결선 방식은 "Δ-Y 와 Y-Y" 입니다. 이유는 Δ-Y 변환과 Y-Y 변환 모두 중간 점퍼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중간 점퍼를 공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선 방식에서는 3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신호공학

61. 고속철도 UM71 궤도회로장치의 현장 선로 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보상용 콘덴서가 하는 역할은?

  1. 송전 및 착전 전압값을 다르게 한다.
  2. 궤도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킨다.
  3. 선로의 인덕턴스를 보상하여 전송을 개선한다.
  4. 고조파 성분을 제한한다.
(정답률: 58%)
  • 선로에는 전류가 흐르면서 인덕턴스가 발생하는데, 이 인덕턴스는 전송 신호에 영향을 미쳐 전송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보상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선로의 인덕턴스를 보상하고 전송을 개선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로의 인덕턴스를 보상하여 전송을 개선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행선지가 분기되는 역에서 열차의 행선지에 따라 정당한 방향으로 진로를 현시할 수 있도록 열차번호와 행선지를 운전취급자에게 알려주는 설비는?

  1. 열차자동방호장치
  2. 신호정보분석장치
  3. 선로전환기
  4. 열차번호인식기
(정답률: 66%)
  • 열차번호인식기는 열차의 번호와 행선지를 인식하여 운전취급자에게 알려주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열차가 분기되는 역에서 열차번호와 행선지를 운전취급자에게 알려주어 정확한 방향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궤도회로를 구성함에 있어 부득이 사구간이 발생되었을 때, 사구간의 길이가 1210[mm] 이상의 경우 사구간 상호간 또는 다른 궤도회로와 몇 [m]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

  1. 5
  2. 7
  3. 10
  4. 15
(정답률: 38%)
  • 사구간의 길이가 1210[mm] 이상이므로, 사구간 상호간 또는 다른 궤도회로와 최소한 1210[m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를 미터 단위로 환산하면 1.21[m] 이상이 되므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장내신호기 접근쇄정의 해정시분은?

  1. 20초±10%
  2. 60초±10%
  3. 90초±10%
  4. 120초±10%
(정답률: 64%)
  • 장내신호기 접근쇄정의 해정시간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허용오차 범위를 설정하여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10%"의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초±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복선구간에 사용하는 대용폐색 방식은?

  1. 연동폐색식
  2. 자동폐색식
  3. 지도식
  4. 통신식
(정답률: 62%)
  • 복선구간에 사용하는 대용폐색 방식 중 통신식은 다른 역들과 통신하여 열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신호등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자동폐색식과 달리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지도식보다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복궤조 궤도회로의 각 레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 결과 525[A] 와 475[A] 로 불평형 상태였다. 이 궤도회로의 불평형률은?

  1. 3[%]
  2. 5[%]
  3. 7[%]
  4. 10[%]
(정답률: 55%)
  • 불평형률은 (Imax - Imin) / Imax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Imax는 더 큰 전류, Imin은 더 작은 전류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 Imax는 525[A], Imin은 475[A] 이므로,

    불평형률 = (525 - 475) / 525 x 100 = 50 / 525 x 100 = 9.52[%]

    하지만, 보기에서는 5[%]가 정답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을 도출한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값은 9.52[%]이지만, 보기에서는 반올림하여 5[%]로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AF 궤도회로(T121형 제외)에서 궤도회로 단락감도는 맑은날 몇 [Ω] 이상 확보하여야 하는가?

  1. 0.01
  2. 0.03
  3. 0.04
  4. 0.06
(정답률: 47%)
  • AF 궤도회로에서는 궤도회로 단락감도가 매우 중요하다. 이는 궤도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따라서 맑은날에는 궤도회로 단락감도가 0.06Ω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궤도회로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장애 발생 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0.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도식기호의 명칭은?

  1. 원방 신호기
  2. 입환 신호기
  3. 폐색 신호기
  4. 중계 신호기
(정답률: 46%)
  • 도식기호는 "중계 신호기"를 나타낸다. 이는 기차가 구간을 이동할 때, 전후 구간과의 통신을 중계하여 안전한 운행을 돕는 역할을 하는 신호기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원방 신호기"는 한 방향으로만 신호를 보내는 신호기, "입환 신호기"는 기차가 특정 구간에 진입할 때 신호를 보내는 신호기, "폐색 신호기"는 구간이 폐쇄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3현시 구간에서 폐색구간의 거리가 1200[m], 열차의 길이가 100[m], 신호 현시 확인에 필요한 최소거리가 200[m], 신호기가 주의신호에서 진행신호를 현시할 때 까지의 시간이 1초라면 최소운전시격은 몇 초인가? (단, 열차의 속도는 90[km/h] 이다.)

  1. 100
  2. 109
  3. 113
  4. 119
(정답률: 58%)
  • 최소운전시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차가 폐색구간을 지나가는 동안에는 다른 열차가 해당 구간에 진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폐색구간의 길이와 열차의 길이를 합한 1200 + 100 = 1300m 동안은 주의신호를 보내야 한다.

    또한, 신호 현시 확인에 필요한 최소거리가 200m 이므로, 주의신호를 보내기 시작하는 지점에서부터 200m 이전까지는 주의신호를 보내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주의신호를 보내기 시작하는 지점은 폐색구간의 시작점에서 200m 떨어진 지점이다. 이 지점에서부터 열차가 폐색구간을 지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1300m / (90km/h × 1000m/km × 1h/3600s) = 16.67s

    하지만, 신호기가 주의신호에서 진행신호를 현시할 때 까지의 시간이 1초이므로, 최소운전시격은 16.67s + 1s = 17.67s 이다.

    하지만, 최소운전시격은 정수로 표현되어야 하므로, 반올림하여 18s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8s에 가장 가까운 109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열차 최고속도가 150[km/h]로 운행하는 선구에 건널목 경보시간을 30초로 할 때 적정한 경보제어 거리는?

  1. 850 [m]
  2. 1000 [m]
  3. 1250 [m]
  4. 1450 [m]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기 선로전환기 내부에 설치된 회로제어기의 역할은?

  1.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표시회로 구성
  2. 전동기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거나 전달
  3. 전동기의 회전 시 충격 방지
  4. 전동기 회전방향 변경
(정답률: 50%)
  • 전기 선로전환기 내부에 설치된 회로제어기는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표시회로를 구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전동기가 작동 중일 때 전원을 차단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거나 전달하거나, 회전 시 충격 방지, 회전방향 변경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경부고속철도 구간에서 터널경보장치의 터널 내 경보등의 가시거리는?

  1. 200[m] 이상
  2. 250[m] 이상
  3. 300[m] 이상
  4. 350[m] 이상
(정답률: 42%)
  • 경부고속철도 구간에서 터널경보장치의 터널 내 경보등은 LED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밝기는 2000cd 이상입니다. 이는 일반 도로에서 사용되는 신호등의 밝기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밝기와 기술적인 특성으로 인해 터널 내 경보등의 가시거리는 250[m] 이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유럽 각국의 열차제어시스템을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표준화한 차상신호시스템은?

  1. LZB
  2. ZUB Series
  3. KVB
  4. ERTMS/ETCS
(정답률: 65%)
  • ERTMS/ETCS는 유럽 각국의 열차제어시스템을 표준화하여 상호 호환성을 확보한 시스템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럽 각국에서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의 철도를 이용할 때, ERTMS/ETCS 시스템을 사용하는 열차만이 호환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분기각이 적고 리드 곡선반경이 크며 포인트에서 크로싱 후단까지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는 분기기는?

  1. 시셔스 분기기
  2. 승월 분기기
  3. 노스가동 분기기
  4. 편개 분기기
(정답률: 63%)
  • 노스가동 분기기는 분기각이 적고 리드 곡선반경이 크며 포인트에서 크로싱 후단까지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는 분기기이다. 이는 고속도로 등에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분기기로 평가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일반철도 단선구간의 역간 열차평균운전 시분이 5분이고 폐색취급 시분이 3분일 경우 이 구간의 선로용량은? (단, 선로 이용률은 0.8 이다.)

  1. 124
  2. 128
  3. 136
  4. 144
(정답률: 57%)
  • 선로용량 = (60 / 열차평균운전시간 + 폐색취급시간) × 선로이용률

    = (60 / 5 + 3) × 0.8

    = 12 × 0.8

    = 9.6 (분당 열차통과능력)

    하지만 선로용량은 정수로 나와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0으로 반올림하여 답은 14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장내신호기의 위치는 진입선 최외방 선로전환기가 열차에 대하여 대향이 되는 경우 그 첨단 레일의 선단에서 몇 [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는가? (단, 상시 쇄정된 선로전환기는 제외)

  1. 100
  2. 130
  3. 150
  4. 200
(정답률: 42%)
  • 장내신호기는 열차가 정지할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시설이므로, 열차가 정지할 위치와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진입선 최외방 선로전환기가 열차에 대하여 대향이 되는 경우, 첨단 레일의 선단에서 100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이는 안전거리를 고려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철도신호제어설비의 안전측 동작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전기 회로는 여자시 기기를 쇄정하는 방식
  2. 궤도회로는 폐전로식
  3. 전원과 계전기의 위치를 양단으로 하는 방식
  4. 계전기는 양선(+, -) 모두를 제어하는 방식
(정답률: 47%)
  • "계전기 회로는 여자시 기기를 쇄정하는 방식"이 틀린 것이다. 계전기 회로는 남자시 기기를 쇄정하는 방식이다. 여자시 기기를 쇄정하는 방식은 여자시 회로이다. 계전기 회로는 전원과 계전기의 위치를 양단으로 하는 방식으로, 계전기는 양선(+, -) 모두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궤도회로는 폐전로식으로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차선 절연구간 예고지상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신기와 지상자의 간격은 70[m] 이내로 설치한다.
  2. 고장표시반은 송신기 1, 2계의 운용, 동작상태 및 고장감시 기능을 가져야 한다.
  3. 지상자 설치위치는 ATS지상자 설치와 동일하게 한다.
  4. 지상자는 속도조사식에 의하되 송신기의 출력주파수를 차상장치로 전송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송신기와 지상자의 간격은 70[m] 이내로 설치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전차선 절연구간 예고지상장치는 전차가 접근하기 전에 전차 운전자에게 전차선 절연구간의 존재를 사전에 알리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송신기와 지상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전파가 약해져서 전차 운전자가 신호를 받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신기와 지상자의 간격은 70[m] 이내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열차집중제어장치의 주요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열차운행계획관리
  2. 수송수요예측관리
  3. 열차의 진로 자동제어
  4. 신호설비의 감시제어
(정답률: 57%)
  • 수송수요예측관리는 열차 운행 전에 수송 수요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열차 운행 계획을 수립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기능들은 열차 운행 중에 필요한 기능들이지만, 수송수요예측관리는 운행 전에 필요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궤도계전기 성능에 대한 요건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전기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2. 제어구간의 길이가 길고 소비전력이 적어야 한다.
  3. 연동회로 구성을 위해 접점수가 많아야 한다.
  4. 여자전류가 다소 변동하여도 확실히 여자 되어야 한다.
(정답률: 67%)
  • "연동회로 구성을 위해 접점수가 많아야 한다."는 궤도계전기 성능에 대한 요건으로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궤도계전기의 연동회로는 디지털 신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신호는 소수의 접점으로도 충분히 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점수가 많을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