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사회조사분석사 1급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

1. 서로 다른 복수의 사람들에 의해 입력된 자료를 SPSS Window 프로그램에서 하나로 통합하려 한다. 다음 중 바른 설명은?

  1. 텍스트 파일로 저장되었을 경우에 한해서 가능하다.
  2. 사례 수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변수 목록을 가지고 있으면 가능하다.
  3. 사례가 같더라도 전혀 다른 변수 목록을 가진 자료간의 통합은 불가능하다.
  4. 두 개의 자료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은 가능하나 셋이상의 자료를 통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사례 수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변수 목록을 가지고 있으면 가능하다." 이다. 이유는 SPSS에서는 변수 목록이 동일하다면 각각의 자료에서 변수의 위치를 찾아서 하나로 통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례 수가 다르더라도 변수 목록이 동일하다면 통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료편집과정에서 발견한 응답되지 않은 설문 문항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응답되지 않은 설문 문항에 해당하는 변수의 값은 결측값(missing value)으로 처리한다.
  2. 특정 설문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사례가 많을 경우 해당 문항에 어떤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지를 검토해본다.
  3. 대부분의 사례에서 응답하지 않은 설문 문항은 분석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서 어떤 사례들은 응답한 반면 어떤 사례들은 응답하지 않은 경우, 그 설문 문항으로부터는 유용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서 어떤 사례들은 응답한 반면 어떤 사례들은 응답하지 않은 경우, 그 설문 문항으로부터는 유용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이다. 일부 응답자만 응답한 경우에도 해당 문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추상적 개념을 측정가능한 형태로 정의하는 것은?

  1. 개념적 정의
  2. 조작적 정의
  3. 경험적 정의
  4. 재개념화
(정답률: 알수없음)
  • 조작적 정의는 추상적 개념을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하는 것으로, 이는 실제로 측정 가능한 특성이나 동작을 기준으로 개념을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비해 개념적 정의는 개념의 본질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정의하는 것이며, 경험적 정의는 경험을 통해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재개념화는 이미 존재하는 개념을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하거나 다시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자료의 형태가 횡단연구에 적합한 것은?

  1. 우리나라의 1950년부터 2002년까지 연간 GNP 성장률
  2. 2003년 3월 1일 현재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의 대학교 별 재학생 수
  3. 2차대전 이후 전 세계에서 지출한 연도별 국방비 총액
  4. A씨가 취직한 이후 5년간 월별 저금액수
(정답률: 알수없음)
  • "2003년 3월 1일 현재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의 대학교 별 재학생 수"가 횡단연구에 적합한 이유는, 대학교 별로 재학생 수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대학교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대학교 별로 재학생 수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다양한 대학교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대학교 별로 재학생 수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으므로, 횡단연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 )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개념구성타당성 - 수렴적 타당성
  2. 내용타당성 - 수렴적 타당성
  3. 개념구성타당성 - 내용타당성
  4. 내용타당성 - 개념구성타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개념구성타당성과 수렴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개념구성타당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지를 평가하고, 수렴적 타당성은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들이 서로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개념구성타당성 - 수렴적 타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학교의 교장 선생님은 학교 처벌이 학생들의 흡연을 줄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실험 방식을 취했다. 흡연 학생들을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할당하였다. 그 다음 실험집단에 할당된 학생들은 일주일간 정학을 시키고, 통제집단에 할당된 학생들은 처벌하지 않고 그냥 훈방하였다. 이 때 사용된 실험 방식은?

  1. 의사실험(quasi experiment)
  2. 단일집단 사전사후측정(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3. 집단비교설계(static-group comparison)
  4. 순수실험(true experiment)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한 답은 "순수실험(true experiment)" 입니다. 이유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무작위로 할당되었으며, 실험 집단에는 일정한 처리가 주어졌고, 통제 집단에는 처리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모두 충족되면 순수실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조사 계획을 세울 때 포함하여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조사목적
  2. 조사일정
  3. 조사대상
  4. 조사주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조사주체"가 적합하지 않음

    설명: 조사주체는 조사를 실시하는 주체를 의미하며, 조사 계획을 세울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조사주체"는 포함되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조사자가 특정인의 응답을 규명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할 때 보장되는 조사윤리는?

  1. 공개성
  2. 비밀성
  3. 익명성
  4. 자발적인 참여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자가 특정인의 응답을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하는 것은 그 사람의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보호는 조사 참여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조사 결과가 신뢰성 있게 수집될 수 있도록 보장됩니다. 이러한 윤리적 원칙을 비밀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가장 올바른 자료처리 순서는?

  1. 설문 응답내용 검토 - 자료편집 - 코드부호 설정 - 코드북 작성 - 코딩
  2. 설문 응답내용 검토 - 코드부호 설정 - 자료편집 - 코드북 작성 - 코딩
  3. 코드부호 설정 - 설문 응답내용 검토 - 코드북 작성 - 코딩 - 자료편집
  4. 코드부호 설정 - 코드북 작성 - 설문 응답내용 검토 - 코딩 - 자료편집
(정답률: 알수없음)
  • 설문 응답내용을 먼저 검토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인한 후, 자료편집을 통해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그 다음으로 코드부호를 설정하고, 코드북을 작성하여 데이터를 분류합니다. 마지막으로 코딩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따라서, 가장 올바른 자료처리 순서는 "설문 응답내용 검토 - 자료편집 - 코드부호 설정 - 코드북 작성 - 코딩"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실험연구에서는 연구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연구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그 연구의 목적을 알려주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연구가 끝난 후에 그들에게 진실을 말함으로써 애초에 어쩔 수 없이 속인것을 설명해준다. 이러한 절차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1.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
  2. 사후설명(debriefing)
  3. 사후조사
  4. 비밀유지보장
(정답률: 알수없음)
  • 사후설명은 실험 참여자들에게 실험의 목적과 결과를 설명하는 절차이다. 이는 실험 참여자들이 실험에 참여하기 전에 알지 못했던 정보를 제공하고, 실험 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사후설명(debrief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표집(sampling)에 관련된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집(sampling)의 요소와 자료의 분석단위는 때로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모집단이란 표본을 통해 대표하려는 전체를 말한다.
  3. 연구모집단은 표본이 실제 추출되는 요소들의 집합을 말한다.
  4. 표집틀은 모집단과 동일한 표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집틀은 모집단과 동일한 표현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표집틀은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의 크기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집단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백화점 출입구에서 가전제품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하고 있다. 이런 조사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무작위표본(random sample) 조사
  2. 할당표본(quota sample) 조사
  3. 계통표본(systematic sample) 조사
  4. 가용표본(available sample) 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가용표본 조사는 조사 대상이 이미 존재하는 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해당 백화점 출입구에서 가전제품을 구매한 고객들이 이미 존재하는 집단이므로, 이들 중 일부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가용표본 조사에 해당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표본 추출 방법 중 하나인데, 무작위표본 조사는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할당표본 조사는 모집단을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각 분류별로 일정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계통표본 조사는 모집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 평생교육원에 다니고 있는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전수조사를 하려고 한다. 연령, 성별, 직업등과 같은 인구통계적 특성에 대한 질문의 위치로 가장 바람직한 곳은?

  1. 인사말과 지시문 사이
  2. 질문지의 시작 위치
  3. 질문지의 중간 위치
  4. 질문지의 맨 뒤
(정답률: 알수없음)
  • 질문지의 맨 뒤에 인구통계적 특성에 대한 질문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러한 질문들은 교육생들의 개인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전에 다른 질문들을 먼저 물어보면 교육생들이 불편하거나 거부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문지의 맨 뒤에 위치시키면 교육생들이 이미 질문에 익숙해진 상태에서 개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수조사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측정과 척도에 관한 다음의 서술 내용 중 틀린 것은?

  1. 측정이란 사물이나 사건과 같은 목적물(objects)의 속성에 가치(value)를 부여하는 것이다.
  2. 척도란 측정대상에 부여하는 가치들의 체계이다.
  3. 측정에 있어서 체계적 오류(systematic error)는 신뢰도와 관련이 있고 무작위 오류(random error)는 타당도와 관련이 있다.
  4. 일반적으로 측정의 형태(types of scale)와 척도의 수준(levels of measurement)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측정의 형태(types of scale)와 척도의 수준(levels of measurement)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는 틀린 내용이다. 측정의 형태와 척도의 수준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측정의 형태는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로 구분되며, 척도의 수준은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의 순서로 구분된다. 측정에 있어서 체계적 오류는 타당도와 관련이 있고 무작위 오류는 신뢰도와 관련이 있다. 체계적 오류는 일관성이 없는 측정 결과를 가져오며, 타당도를 낮추게 된다. 무작위 오류는 측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며, 신뢰도를 낮추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체패널조사(Rotating Panel Survey)가 비교체패널조사 (Nonrotating Panel Survey)에 비해 가지는 단점은?

  1. 패널 손실(panel loss)
  2. 모집단 특성 변화의 파악
  3. 개인별 통시적 합계자료 (aggregate data for individuals across time)
  4. 패널 추적 비용
(정답률: 알수없음)
  • 교체패널조사는 패널 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모집단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비교체패널조사는 이러한 단점이 없지만, 개인별 통시적 합계자료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교체패널조사에서는 같은 개인을 추적하면서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별 통시적 합계자료를 얻을 수 있지만, 비교체패널조사에서는 다른 개인들을 추적하면서 개인별 통시적 합계자료를 얻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패널연구와 동류집단연구 간의 공통점은?

  1. 표집의 회수
  2. 독립변인에 대한 종속변인의 변화와 총체적 변화에 대한 정보 동시 습득 가능
  3. 분석단위
  4. 동일한 집단을 따라가며 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패널연구와 동류집단연구는 동일한 집단을 따라가며 조사하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는 연구 대상이 되는 집단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구 대상이 되는 집단의 특성과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본설계과정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표본프레임의 결정->표본추출방법의 선정->모집단의 확정->표본크기의 결정->표본추출
  2. 표본프레임의 결정->모집단의 확정->표본추출방법의 선정->표본크기의 결정->표본추출
  3. 모집단의 확정->표본프레임의 결정->표본추출방법의 선정->표본크기의 결정->표본추출
  4. 모집단의 확정->표본추출방법의 선정->표본프레임의 결정->표본크기의 결정->표본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모집단의 확정->표본프레임의 결정->표본추출방법의 선정->표본크기의 결정->표본추출"입니다.

    먼저, 모집단을 확정한 후에는 표본프레임을 결정합니다. 표본프레임은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모집단의 구성요소들의 목록이며, 이를 결정하는 것은 표본추출방법과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으로, 표본추출방법을 선정합니다. 이는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의 특성과 연구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표본크기를 결정합니다. 이는 표본추출방법과 연구목적, 통계적 분석 방법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표본프레임과 표본추출방법, 표본크기에 따라 표본을 추출합니다. 이를 표본추출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연구설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실험적 설계(experimental design)란 실험실에서 하는 연구설계만을 의미한다.
  2. 전실험적 설계(pre-experimental design)란 실험 설계 전에 실시하는 설계를 의미한다.
  3. 준실험적 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란 실험적 설계와 전실험적 설계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다.
  4. 실험적 설계(experimental design)는 자연과학보다는 사회과학에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준실험적 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란 실험적 설계와 전실험적 설계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다. 이유는 준실험적 설계는 실험적 설계와는 달리 무작위 할당이 불가능하거나 조작변인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되며, 전실험적 설계보다는 더 많은 제어와 측정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설문지(questionnaire)
  2. 이전용지(transfer sheet)
  3. 코드용지(code sheet)
  4. 코드북(codebook)
(정답률: 알수없음)
  • 코드북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나 변수들의 코드와 그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는 문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데이터 분석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횡단연구(cross-sectional study)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실험적 개입을 통한 차이가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집단간 차이가 연구의 중심이 된다.
  2.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 설정에서 사전적 추리(a priori reasoning) 보다 사후적 추리(ad hoc reasoning)가 적합하다.
  3. 제 3의 변수에 대한 통제는 자료 수집 단계에서 보다 자료 분석 단계에서 통계적 절차를 통해 시도된다.
  4. 성(gender), 인종과 같은 고정된 변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면 인과관계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gender), 인종과 같은 고정된 변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면 인과관계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는 횡단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습니다. 횡단연구는 이미 존재하는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설정하기 어렵습니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실험적 개입을 통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인과관계 설정에서 사전적 추리(a priori reasoning) 보다 사후적 추리(ad hoc reasoning)가 적합하다."는 설명은 인과관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전적 추리는 연구자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인과관계를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사후적 추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방법입니다. 횡단연구에서는 이미 존재하는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후적 추리가 더 적합합니다.

    "제 3의 변수에 대한 통제는 자료 수집 단계에서 보다 자료 분석 단계에서 통계적 절차를 통해 시도된다."는 횡단연구에서 제 3의 변수를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횡단연구에서는 제 3의 변수를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료 분석 단계에서 통계적 절차를 통해 제 3의 변수를 통제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성(gender), 인종과 같은 고정된 변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면 인과관계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질문지의 문항을 배열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자기기입식 설문지의 경우 인적 사항(인구사회학적 자료)에 대한 질문은 설문지의 후반부에 배열하는 것이 좋다.
  2. 면접 설문조사의 경우 인적 사항(인구사회학적 자료)를 설문지의 앞부분에 배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자기기입식 설문지의 경우 심각하게 고려하여 응답하여야 하는 질문은 앞부분에 배열하는 것이 좋다.
  4. 첫번째 질문은 응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 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기입식 설문지의 경우 심각하게 고려하여 응답하여야 하는 질문은 앞부분에 배열하는 것이 좋다."가 고려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아무런 이유 없이 질문지의 문항을 배열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설문조사에서 인적 사항의 위치나 첫번째 질문의 중요성 등 설문조사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조사자의 조사관리에 관한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조사자는 조사결과를 공표할 때 모집단과 표집틀을 밝힌다.
  2. 조사자는 연구과제에 적합한 조사기법과 분석방법을 사용한다.
  3. 조사의 타당성 검토는 조사대상자의 익명성 보호를 제한한다.
  4. 공표된 조사결과에 대한 일반인의 해석에 대해 조사자는 관여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표된 조사결과에 대한 일반인의 해석에 대해 조사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타당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조사자는 조사결과를 공표하고 해석하는 것이 그들의 책임이기 때문에 일반인의 해석에도 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무슨 오류에 대한 설명인가?

  1. 개체주의적 오류(individualistic fallacy)
  2. 생태적 오류(ecological fallacy)
  3. 환원주의적 오류(reductionism)
  4. 변수선정과 관련된 환원주의적 오류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생태적 오류(ecological fallacy)에 대한 설명입니다. 생태적 오류란 집단 수준에서의 데이터를 개인 수준에서 일반화하는 오류를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지역별로 인구 밀도와 범죄 발생률을 비교하고 있지만, 이는 각 지역 내부에서도 다양한 인구 구성과 사회적 요인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별로 일반화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개인 수준에서의 결론을 지역 수준에서 일반화하는 것은 생태적 오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계통표집(stratified sampling)이 무작위표집(random sampling)에 비해 가진 장점이 아닌 것은?

  1. 원칙적으로 무작위표집에 비하여 표본추출이 용이하고 편리하다.
  2. 명단이 어떠한 유형을 가지고 배열된 경우 특히 편향되지 않는 표본을 얻을 수 있다.
  3. 적절한 보조변수를 이용하면 모집단의 구성비율을 잘 반영하는 표본을 얻을 수 있다.
  4. 순서 모집단(ordered population)의 경우 추정량의 분산이 무작위표집보다 더 작아져서 효율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순서 모집단(ordered population)의 경우 추정량의 분산이 무작위표집보다 더 작아져서 효율적이다."

    계통표집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에서 무작위표집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명단이 어떠한 유형을 가지고 배열된 경우에도 특히 편향되지 않는 표본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각 계층에서 무작위표집을 수행하기 때문에 각 계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이다. 또한, 적절한 보조변수를 이용하면 모집단의 구성비율을 잘 반영하는 표본을 얻을 수 있으며, 표본추출이 용이하고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우리나라 현행 인구센서스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각종 경상조사 표본틀(Sampling frame)의 기초자료로 활용
  2. 외국인을 조사대상에서 제외
  3. 5년 주기로 시행
  4. 표본조사 병행
(정답률: 알수없음)
  • 외국인을 조사대상에서 제외하는 이유는 인구센서스는 해당 국가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국인은 해당 국가의 인구 통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표본프레임에 해당되는 것은?

  1. 표본프레임이 모집단과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
  2. 표본프레임이 모집단 내에 포함되는 경우
  3. 모집단이 표본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경우
  4. 표본프레임이 모집단과 일부분만 일치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프레임이 모집단과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가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표본프레임에 해당됩니다. 이는 모집단의 모든 특성이 표본프레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표본 추출 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이 경우에는 표본 추출로 인한 편향이나 오차가 최소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질문지를 작성한 후 시행되는 사전조사(pre-test)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본조사를 위해 표집된 표본 가운데 일정한 수의 응답자를 조사대상으로 삼는다.
  2. 본조사와 면접방식이나 진행절차를 동일하게 한다.
  3. 응답자들이 잘못 이해하는 질문이 있는가에 유의한다.
  4. 응답범주에 제시되지 않은 응답을 기록해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답범주에 제시되지 않은 응답을 기록해 둔다. - 이는 사전조사(pre-test)에서 응답자들이 어떤 응답을 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기록해 두는 것이다.

    "본조사를 위해 표집된 표본 가운데 일정한 수의 응답자를 조사대상으로 삼는다."는 본조사에서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층화표본추출법(stratified sampling)에 해당한다. 이 방법은 모집단을 여러 층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일정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본조사와 면접방식이나 진행절차를 동일하게 한다."는 사전조사(pre-test)에서도 중요한 사항이다. 이는 본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질문에 대해 일관된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응답자들이 잘못 이해하는 질문이 있는가에 유의한다."는 사전조사(pre-test)에서 질문지의 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본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질문을 잘못 이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내용분석의 장점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

  1. 연구대상의 반응성(reactivity)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주로 단기적 과정에 국한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3. 면접설문조사에 비하여 시간과 돈이 적게 든다.
  4. 설문조사나 현지조사 등에 비해 재조사를 쉽게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용분석은 주로 단기적 과정에 국한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 장점이다. 이는 내용분석이 장기적인 자료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군집표본추출을 사용하게 될 때, 각 소집단의 집단 내 분포가 지녀야 할 특성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최대한 동질적이어야 한다.
  2. 최대한 이질적이어야 한다.
  3. 집단 내의 분포는 동질적이더라도 집단간 차이는 커야 한다.
  4. 모집단이 지닌 특성의 분포와 정확히 일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모집단이 지닌 특성의 분포와 정확히 일치하여야 한다."입니다.

    군집표본추출은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소집단으로 나누어 각 소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각 소집단의 집단 내 분포가 모집단의 분포와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고, 추출된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모집단의 분포와 일치하는 군집을 선택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누진세에 대한 태도와 소득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다가 교육수준을 통제하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기에서 교육수준과 같은 검정요인(test factor)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매개변수
  2. 구성변수
  3. 억제변수
  4. 왜곡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교육수준과 같은 검정요인은 "억제변수"라고 한다. 이는 연구에서 관심이 있는 변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를 통제(control)해야만 관심 변수와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I

31. 전수조사(census)와 표본조사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수조사가 가능해도 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표본조사가 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2. 표본조사는 전수조사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3. 도서지방이나 산간지방에 대한 정보는 전수조사보다 표본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4. 일정한 시점에서 신제품광고에 대한 인지도 조사는 표본조사로 신속하게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서지방이나 산간지방에 대한 정보는 전수조사보다 표본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수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도 모두 수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효율적인 경우에는 표본조사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과학적 방법론에 관한 포퍼(Karl Popper)의 이론과 거리가 먼 것은?

  1. 반증(falsification) 가능성
  2. 인간의 오류 가능성 중시
  3. 귀납적 이론 구성 전략
  4. 비판적 합리주의
(정답률: 알수없음)
  • 귀납적 이론 구성 전략은 과학적 방법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일정한 패턴이나 규칙성을 발견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이론은 반증 가능성을 갖추어야 하며, 인간의 오류 가능성을 중시하며 비판적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검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귀납적 이론 구성 전략은 포퍼의 과학적 방법론과 일치하며,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과학적 연구의 기초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념(concept)은 가설과 이론의 구성요소로 보편적인 관념 안에서 특정현상을 나타내는 추상적 표현이다.
  2. 변수(variable)는 실증적인 검증과정에서 개념을 측정 가능한 형태로 변화시킨 것이다.
  3. 패러다임(paradigm)은 두개 이상의 변수들간의 관계에 대한 진술이며, 아직 검증되지 않은 사실이다.
  4. 이론(theory)이란 어떤 특정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하려는 진술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패러다임(paradigm)은 두개 이상의 변수들간의 관계에 대한 진술이며, 아직 검증되지 않은 사실이다."가 틀린 것이다. 패러다임은 이미 검증된 이론이나 모델을 바탕으로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개념적, 이론적, 방법론적인 틀을 의미한다. 따라서 패러다임은 검증된 사실이며, 두 개 이상의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진술은 이론이나 모델의 일부분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단연구와는 대조적으로 동일한 현상을 긴 기간동안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2. 종단연구에는 추세연구, 코호트연구, 패널연구 등이 있다.
  3. 대규모 조사에 종단연구는 더욱 힘들 수 있다.
  4. 직접적 관찰과 심층면접을 병행하는 현장조사는 종단 연구가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적 관찰과 심층면접을 병행하는 현장조사는 종단 연구가 아니다."가 옳지 않은 것은 종단연구는 현재와 과거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접적 관찰과 심층면접을 병행하는 현장조사도 종단연구의 일종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료입력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여백코딩(edge-coding)은 별도의 코드용지없이 설문지 등의 가장자리 여백에 코딩내용을 기록하였다가 이를 보고 자료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2. 최근에는 자료를 코딩하여 코딩된 내용을 전환용지(transfer sheet)에 옮겨 기록하는 방법이 널리 쓰인다.
  3. 설문지의 자료를 바로 컴퓨터에 직접 입력할 수 있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높다.
  4. 옵티컬 스캔 용지 코딩방법은 특수 코드용지에 연필로 칠하여 이를 스캐너를 통하여 읽어들이고 자료파일을 만드는 방법으로 대량의 정보처리에 유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근에는 자료를 코딩하여 코딩된 내용을 전환용지(transfer sheet)에 옮겨 기록하는 방법이 널리 쓰인다. - 이 방법은 자료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코딩된 내용을 전환용지에 옮겨 기록하는 방법이므로 자료를 입력하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외생변수 중 실험대상으로측정하고자 하는 결과변수의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을 선정하였을 때 나타나기 쉬운 것은?

  1. 성숙효과
  2. 시험효과
  3. 실험변수의 확산
  4. 통계적 회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통계적 회귀"

    설명: 실험대상으로측정하고자 하는 결과변수의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을 선정하면, 해당 집단은 일시적으로 극단적인 결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단지 우연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 회귀라고도 불리며,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설계를 할 때는 결과변수의 수준이 적절한 범위 내에 있도록 집단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터넷 조사에는 패널의 PC에서 로그데이타를 수집하는패널로그 측정방식(Audience Centric Measurement)과 웹서버 단에서 로그를 분석하는 서버로그 측정방식(Site Centric Measurement)이 있다. 패널로그 측정방식이 서버로그 측정방식에 비해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인구통계적 분석 용이
  2. 방문자 적은 사이트에 대한 분석 용이
  3. 동일한 기준으로 다양한 사이트 분석 가능
  4. 시간이 적게 듦
(정답률: 알수없음)
  • 패널로그 측정방식은 특정 패널의 PC에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해당 패널의 방문자 수가 적을 경우 분석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방문자 적은 사이트에 대한 분석 용이성은 서버로그 측정방식의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분석단위의 요건이 아닌 것은?

  1. 분석단위는 측정가능해야 한다.
  2. 분석단위는 연구주제의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3. 분석단위는 시간이나 장소의 비교가 가능해야 한다.
  4. 사회과학의 경우 분석단위는 개인만이 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석단위는 측정 가능하고 연구 주제에 적합하며 시간이나 장소의 비교가 가능해야 한다는 요건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경우 개인이라는 분석단위가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이 요건은 아닙니다. 사회과학에서는 개인의 행동, 태도, 인식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개인이 분석 단위가 되는 연구는?

  1. 무역량과 1인당 GNP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2. 천주교 신자의 비율과 인구 100명당 자살율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3. 주당 음주 횟수와 성적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4. 국민 1인당 연 담배 소비량과 국민 1인당 GNP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주당 음주 횟수와 성적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개인의 특성인 주당 음주 횟수와 성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다른 연구들은 국가나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실험에서 X(독립변인)의 실험조작이 Y(종속변인)에 실제로 변화를 일으킨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는?

  1. 신뢰도
  2. 내적 타당도
  3. 외적 타당도
  4. 예측빈도
(정답률: 알수없음)
  • 내적 타당도는 실험에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내적 타당도가 정답입니다. 신뢰도는 측정도구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며, 외적 타당도는 다른 척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예측빈도는 모델의 예측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기술조사(descriptive research)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변수의 분포와 특성 조사
  2. 변수들간의 관련성 파악
  3. 서베이를 통한 자료 수집
  4. 인과관계의 규명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술조사는 변수의 분포와 특성을 조사하고 변수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인과관계의 규명은 포함되지 않는다. 기술조사는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측정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신뢰도와 타당도간의 관계는 대칭적이다
  2. 측정의 체계적 오차는 신뢰도와 관계된다
  3. 측정의 신뢰도 측정방법으로 요인분석법이 활용된다
  4. 측정항목을 늘리면 신뢰도는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항목을 늘리면 신뢰도는 높아진다. 이는 측정항목이 많을수록 측정 결과의 다양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설문조사에서 질문 항목이 적으면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항목을 늘리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두 종류의 실험설계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a)와 (b) 모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무작위화를 통해 외생변수가 두 집단에 동일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2. (a)는 (b)에 비해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통제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3. (a)의 실험효과는 (O1-O0)-(O3-O2)이고 (b)의 실험효과는 (O0-O1)이다.
  4. (a)와 (b)를 합한 것이 솔로몬 4집단실험설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a)의 실험효과는 (O1-O0)-(O3-O2)이고 (b)의 실험효과는 (O0-O1)이다."가 틀린 내용이다. (a)와 (b) 모두 시험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전후 측정을 하기 때문에 실험효과는 (O1-O0)이다. (a)는 시험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추가적인 전후 측정을 하여 (O3-O2)를 빼는 것이다. 따라서 (a)의 실험효과는 (O1-O0)-(O3-O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표본의 크기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본의 크기는 분석할 변수 및 범주와 관련이 없다
  2.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표본오차는 감소한다
  3. 표본의 크기는 모집단의 성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4. 표본의 크기는 모수치의 추정시 신뢰수준의 정도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크기는 분석할 변수 및 범주와 관련이 없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표본의 크기는 분석할 변수의 종류와 수, 범주의 수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변수의 수가 많거나 범주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표본의 크기를 더 크게 설정해야 정확한 추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는 분석할 변수 및 범주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화번호부, 방송연감이나 기타 명부를 토대로 표본을 추출할 때 유리한 표본추출방법은?

  1.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2. 계통표본추출
  3. 층화표본추출
  4. 군집표본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번호부나 방송연감 등에서는 각각의 개체들이 일정한 순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표본추출 방법이 유리합니다. 계통표본추출은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개체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표본의 대표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화번호부나 방송연감 등에서는 계통표본추출 방법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사건의 영향으로 다른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인과관계의 추론은 과학적 방법으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3. 과학이란 원인과 결과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활동이라할 수 있다.
  4. 사회과학은 순환론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과학은 순환론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사회과학은 단방향적이거나 다양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며, 순환론적인 인과관계 또한 그 중 하나일 뿐이다.

    사회과학은 인간의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인과관계를 탐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 결정 등에 활용된다. 인과관계의 추론은 과학적 방법으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과학이란 원인과 결과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리커트 척도(Likert scales) 구성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문문항은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사회현상과 관련한 여러 진술들로 구성한다.
  2. 각 문항별 응답범주는 상호 대칭되는 명백한 서열형태의 3점, 4점, 5점 척도로 적절하게 설정한다.
  3. 각 문항설정이 타당하다면, 모든 문항들은 상호간에 높은 상관성이 존재하여야 한다.
  4. 각 설문문항들 사이에는 서열순위를 설정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설문문항들 사이에는 서열순위를 설정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리커트 척도는 각 문항별로 서로 독립적인 응답 범주를 가지며, 서열 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서베이 조사에 비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2. 다른 조사방법에 비해 연구계획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반복하는 것이 용이하다.
  3. 이미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므로 높은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다.
  4. 분석대상에 어떠한 영향도 가하지 않는 비개입적 조사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므로 높은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내용분석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내용분석은 분석 대상의 내용을 주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타당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집단이나 다른 집합체의 조사에 근거하여 얻어진 결과를 분석단위로서의 개인들에 대한 성격을 규정하기 위해 적용하는데 따르는 위험성을 의미하는 것은?

  1. 구성적 오류
  2. 생태학적 오류
  3. 환원주의 오류
  4. 개인주의적 오류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학적 오류는 집단이나 다른 집합체의 조사 결과를 개인들에게 일반화하는 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각 개인들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단의 특성을 개인에게 일반화하는 것은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료항목별로 각 응답에 해당하는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은?

  1. 편집(editing)
  2. 코딩(coding)
  3. 리코딩(recoding)
  4. 계산(compute)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항목별로 각 응답에 해당하는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은 코딩(coding)이다. 이는 각 응답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코딩을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실험설계의 구성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속변수의 조작
  2. 외생변수의 통제
  3. 실험대상의 무작위 할당
  4. 경쟁가설의 배제
(정답률: 알수없음)
  • 실험설계의 구성요소 중에서 "종속변수의 조작"은 실험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실험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종속변수를 조작하여 실험 결과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험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지만, 종속변수의 조작은 실험의 목적과 질문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구성요소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건복지부에서는 매년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 발육상태를 조사 비교하기위하여 전국 어린이들을 상대로 무작위 표본추출에 의하여 추출된 표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금년에도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들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신체검사를 실시하기로 하였다. 정밀도를 4cm로 하고, 신뢰도를 95.44%(이때의 정규분포 Z-score=2.0)로 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난해의 자료에 의하면 표준편차는 20cm라고한다. 표본 크기는 얼마가 되어야 하겠는가?

  1. 90
  2. 100
  3. 110
  4. 120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도가 95.44%이므로, Z-score가 2.0이다.

    표본오차를 4cm로 제한하고, 표준편차가 20cm이므로, 표본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 = (Z-score)^2 * (표준편차)^2 / (표본오차)^2

    = 2.0^2 * 20^2 / 4^2

    = 100

    따라서, 표본 크기는 100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도적 개선책을 마련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기로 하고, 질문의 적용가능성과 조사도구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평생교육 전문가로 판단되는 사람 20명을 골라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pre-test)를 실시하였다고 하자. 이 조사에서 활용한 표본추출방법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2. 할당표집(quota sampling)
  3.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4. 계통표집(systematic samp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설명: 유의표집은 연구자가 특정한 목적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연구 대상의 특성이나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에는 평생교육 전문가로 판단되는 사람 2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므로 유의표집에 해당한다. 할당표집은 전체 표본을 일정한 비율로 나누어 각 그룹에서 일정한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고, 눈덩이표집은 초기 표본을 선택한 후 그들로부터 다른 대상을 추천받아 점차적으로 표본을 확대하는 방법이다. 계통표집은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순수실험설계가 아닌 것은?

  1. 무작위화 구획 설계 (randomized block design)
  2. 솔로몬 4집단 설계
  3. 반복측정 요인 설계
  4. 회귀-불연속 설계
(정답률: 알수없음)
  • 회귀-불연속 설계는 순수실험설계가 아닙니다. 이는 실험 단계에서 연속적인 변수를 조작하고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산적인 변수를 조작하고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순수한 실험설계가 아니며, 다른 설계와는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찬성-반대의 차원에서 응답자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리커트형으로 질문하는 방식은?

  1. 여과형 질문
  2. 찬부식 질문
  3. 척도형 질문
  4. 개방형 질문
(정답률: 알수없음)
  • 리커트형 질문은 찬성-반대의 두 가지 선택지를 제시하여 응답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응답자의 선호도나 태도를 파악하기에 적합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질문 방식을 척도형 질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척도형 질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면접실시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면접자는 응답자와 친밀감을 구축해야 한다.
  2. 면접과 관련된 내용을 자세하게 기록한다.
  3. 면접자는 주관적 입장을 견지한다.
  4. 피면접자가 "모른다"는 응답을 하는 경우 그 이유를 알아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접자는 주관적 입장을 견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면접자는 객관적인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이다. 면접자는 응답자와 친밀감을 구축하고, 면접과 관련된 내용을 자세하게 기록하며, 피면접자가 "모른다"는 응답을 하는 경우 그 이유를 알아본다. 하지만 면접자는 주관적인 입장을 가지면서 면접을 진행하면 공정한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객관적인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학력 집단에 대한 조사에서 자원봉사에 대한 참여가 실제보다 많게 나오거나, 역술에 대한 의존 정도가 실제보다 낮게 나오는 것과 같은 사회적 당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문조사 방법은?

  1. 고학력 집단에 대한 가중표집
  2. 동일한 응답자에 대한 반복 조사
  3. 비구조화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 심층면접
  4.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form) 설문 방식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기입식 설문 방식은 응답자가 직접 설문지에 답변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응답자의 의사표현에 대한 제약이 적어 사회적 당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학력 집단에 대한 가중표집이나 동일한 응답자에 대한 반복 조사는 샘플링 방법이나 조사 방법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설문지의 구성이나 질문 방식에 대한 문제는 해결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기입식 설문 방식을 사용하여 응답자의 의사표현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당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질문문항의 배열에서 깔때기형 배열이란?

  1. 처음부터 어려운 질문을 하는 방법이다.
  2. 글자수가 많은 문항을 먼저 질문하는 방법이다.
  3. 쉽고 일반적인 것부터 시작해서 점점 구체적이고 어려운 내용을 질문하는 방법이다.
  4.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질문부터 시작해서 점차적으로 일반적인 내용을 질문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깔때기형 배열은 쉬운 내용부터 시작해서 점점 어려운 내용으로 질문을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대상자들이 질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더욱 구체적인 답변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쉽고 일반적인 것부터 시작해서 점점 구체적이고 어려운 내용을 질문하는 방법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에 제시된 질문들 중 문항 작성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질문은?

  1. 귀하께서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의 임금수준과 동료관계에 대해 만족하고 계십니까?
  2. 환경부에 따르면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면 자원재활용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귀하는 쓰레기 분리수거를 찬성하십니까? 반대하십니까?
  3. 귀하께서 가장 선호하는 TV 프로그램은?
  4. 정장과 캐주얼 의상을 파는 상점들간에는 경쟁이 치열합니까?
(정답률: 알수없음)
  • "귀하께서 가장 선호하는 TV 프로그램은?"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의 표본추출법과 가장 관계가 높은 것은?

  1. 할당표본추출
  2. 눈덩이표본추출
  3. 계통표본추출
  4. 단순무작위표집
(정답률: 알수없음)
  • 눈덩이표본추출은 초기 표본을 무작위로 선정한 후 해당 대상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그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표본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는 위의 그림에서 처럼 초기 표본을 선택한 후 그 표본 내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다음 표본을 선택하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눈덩이표본추출이 가장 관계가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급통계처리및분석

61. 확률표본 X1,...,Xn은 모평균을 으로 추정량을 제시할 수 있다. 의 표준오차(의 표준편차)를 추정하고자 할 때 적절한 추정량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한 추정량은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모집단의 표준편차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표본의 표준편차인 ""를 이용하여 표준오차를 추정해야 한다. 이때, 표준오차의 추정량으로는 ""를 사용한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유도된 것이다. 따라서, ""는 모평균의 추정에 대한 표준오차를 추정하는 데 적절한 추정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4개 회사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의 매출액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회사별로 5개의 대리점을 조사한 결과 총변동의 제곱합이 1560 이고, 처리에 의한 변동의 제곱합이 520 일 때 평균 오차제곱합은?

  1. 50.0
  2. 55.0
  3. 60.0
  4. 65.0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 오차제곱합은 총변동의 제곱합과 처리에 의한 변동의 제곱합의 합을 자유도로 나눈 값이다. 자유도는 (회사 수 - 1) x (대리점 수 - 1) 이므로, 여기서는 (4-1) x (5-1) = 12 이다.

    따라서, 평균 오차제곱합은 (1560 + 520) / 12 = 130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130을 2로 나눈 65.0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4 종류 휘발유 (A,B,C,D) 의 연료효율에 대한 실험자료의 분석내용이 표에 분석되어 있다. 4 명의 운전자 (갑, 을, 병, 정)와 4 종류의 자동차 (가,나,다,라)를 대상으로 실험하고자 한다. 최소 실험횟수를 통해서 연료효율의 차이를 검정하는 통계 실험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맞는 설명은? (단, 유의수준 5%에서 F(3,6)=4.76 이다.)

  1. 운전자와 휘발유의 연료 효율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2. 자동차 유형과 휘발유 종류간의 상호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할 것이다.
  3. 자동차 유형만이 연료효율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다.
  4. 휘발유 종류간과 연료 효율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4 종류의 휘발유에 대한 연료효율의 차이를 검정하는 통계 실험에서 F값이 유의수준 5%에서 기각역인 4.76보다 크므로, 휘발유 종류간과 연료 효율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휘발유 종류에 따라 연료효율이 다르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 운전자와 자동차 유형은 연료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주성분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인자분석의 결과이다. 이 결과로부터 인자 F1에 의한 기여율은?

  1. 0.16
  2. 0.57
  3. 0.66
  4. 0.73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성분 방법에서 인자의 기여율은 해당 인자의 고유값(eigenvalue)으로 나타낸다. 위의 결과에서 인자 F1의 고유값은 2.28이다. 따라서 인자 F1에 의한 기여율은 2.28 / (2.28 + 1.72 + 1.00 + 0.50) = 0.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요인분석에서의 Heywood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eywood 현상은 좋지 않은 공통성에 관한 선험(prior) 추측값에 의해 발생한다.
  2. 요인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적을 때 일어난다.
  3. 안정적인 추정량을 얻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4. 최대우도추정법을 이용하면 Heywood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우도추정법을 이용하면 Heywood 현상을 피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Heywood 현상은 일반적으로 요인분석에서 공통성의 추정값이 음수이거나 1보다 큰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는 모델이 잘못된 경우나 데이터가 부적절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더라도 Heywood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eywood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개선이나 데이터의 추가 수집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주어진 확률표본으로 상정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최소의 유의수준과 같은 것은?

  1. 제1종오류를 범할 확률
  2. 제2종오류를 범할 확률
  3. 유의확률(p-value)
  4. 검정력
(정답률: 알수없음)
  • 유의확률(p-value)은 주어진 귀무가설이 맞을 때, 해당 표본이 나올 확률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유의확률이 작을수록 귀무가설이 맞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최소의 유의수준이 된다. 즉,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유의확률(p-valu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느 선거구의 국회의원 선거여론조사에서 특정후보에 대한 지지율을 조사하고자 한다. 지난번의 조사에서 이 후보의 지지율이 45%이었으며 지지율의 95% 추정오차한계가 2.5%이내가 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표본의 크기는?

  1. 1520
  2. 1522
  3. 1620
  4. 1622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지율의 95% 추정오차한계가 2.5%이므로,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는 2.5% 이내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z값을 구해야 한다.

    z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z = 1.96 (신뢰수준 95%에서의 z값)

    표본오차와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표준오차 = 표본오차 / √n

    여기서 표준오차는 2.5%를 의미하므로,

    0.025 = 1.96 * (표본오차 / √n)

    표본오차를 구하기 위해 위 식을 다시 정리하면,

    표본오차 = 0.025 * √n / 1.96

    따라서, 표본의 크기 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1.96/0.025)² * 0.45 * 0.55 ≈ 1522

    따라서, 정답은 "15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어떤 금융기관에서 신용카드 발급 대상자를 분류하기 위하여 정상집단 π1과 연체집단 π2로부터 각각 30개의 자료를 얻었다. 이 자료로부터 계산되어진 각각의 표본평균벡터와 표본공분산행렬이 다음과 같이 주어져 있을 때 피셔의 일차판별함수를 올바르게 구한 것은?

  1. y=0.311x1-0.078x2
  2. y=0.412x1-0.108x2
  3. y=0.523x1-0.231x2
  4. y=0.142x1-0.349x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완전확률화계획법(Completely Randomized Design)에 의한 기본 모형 및 가정은 다음과 같다. 위 모형에서 i는 반복수, j는 처리수를 나타낸다. 효과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산분석하고 싶다. 처리(집단간 변동)와 오차(집단내 변동)의 자유도를 각각 구하면?

  1. t-1, t(n-1)
  2. t-1, n(t-1)
  3. t-1, nt-1
  4. t-1, (n-1)(t-1)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집단간 변동)의 자유도는 처리의 수(t)에서 1을 뺀 값(t-1)이고, 오차(집단내 변동)의 자유도는 총 관측값의 수(nt)에서 처리의 수(t)를 곱한 값(nt)에서 처리의 수(t)를 뺀 값(t(n-1))이다. 따라서 정답은 "t-1, t(n-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이변량 정규 분포를 따르는 변수 (X,Y) 가 평균이 각각 1, 2이고 분산이 1, 1이며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0.5라고 하자. X의 값이 0인 경우의 Y의 조건부 분포는?

  1. 평균이 2.5 분산이 0.75인 t 분포
  2. 평균이 1.5 분산이 0.75인 t 분포
  3. 평균이 2.5 분산이 0.75인 정규분포
  4. 평균이 1.5 분산이 0.75인 정규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X의 값이 0인 경우, Y의 조건부 분포는 X와 Y의 상관계수가 0.5이므로 Y = 0.5X + e (e는 평균이 0, 분산이 1인 정규분포)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Y의 평균은 0.5 * 0 + 2 = 2, 분산은 0.5^2 * 1 + 1 = 1.25, 표준편차는 1.11803398875이다. 이를 정규화하여 평균이 0, 분산이 1인 표준정규분포로 변환하면, Y = (X - 1) / 0.70710678118 + 2. 이를 다시 평균과 분산으로 변환하면, Y의 조건부 분포는 "평균이 1.5 분산이 0.75인 정규분포"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새로운 전구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회사가 있다. 판매하는 전구 중 36개를 랜덤추출하여 전구의 평균수명을 조사한 결과 평균이 2200, 표준편차가 96일 때 평균수명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표본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해야 한다. 표준오차는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표본평균 = 2200
    표준오차 = 96 / √36 = 16

    이제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 95% 신뢰구간은 표본평균에서 ±1.96(정규분포표에서 95%에 해당하는 값)을 표준오차로 곱한 값이다. 따라서,

    신뢰구간 = 2200 ± (1.96 × 16) = 2200 ± 31.36

    결과적으로, 95% 신뢰구간은 2168.64 ~ 2231.36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정답이 신뢰구간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표시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모수적 통계분석방법에서는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상관계수를 사용한다. 그러나 비모수적인 방법에서는 상관계수의 의미가 약해지므로 상관계수를 나타내는 비모수적 측도를 고려해야만 한다. 비모수적인 방법에서 상관성을 검증하는 방법은?

  1. 켄달의 타우
  2. 피트만 검정
  3. 윌콕슨 순위합검정
  4.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비모수적인 방법에서 상관성을 검증하는 방법은 순위를 이용한 방법이다. 켄달의 타우는 두 변수 간의 순위 상관성을 측정하는 비모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두 변수 간의 순서를 비교하여 상관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변수의 분포나 척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모수적인 방법에서 상관계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켄달의 타우와 같은 비모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상관성을 검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두 확률변수 X1,X2의 평균과 분산이 모두 0과 1이고 공분산이 r이라 하면 두 확률변수를 하나의 선형형태인 주성분으로 축약할 경우 이 선형형태로 모든 변이를 잘 설명될 때의 r값은?

  1. 0 근방
  2. 0.5 근방
  3. 1 근방
  4. -∞ 혹은 ∞ 근방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성분 분석에서 주성분은 원래 변수들의 선형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두 확률변수를 하나의 선형형태로 축약할 때, 공분산이 r인 경우 주성분은 X1과 X2의 선형결합으로 표현될 것이다.

    주성분은 원래 변수들의 분산을 최대한 보존하는 방향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모든 변이를 잘 설명할 때, 주성분은 X1과 X2의 분산을 모두 1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주성분의 계수들이 X1과 X2의 표준편차로 나눠져야 한다.

    따라서 주성분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질 것이다.

    PC = aX1 + bX2

    여기서 a와 b는 X1과 X2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공분산이 r이므로, a와 b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r = Cov(X1, X2) / (SD(X1) * SD(X2)) = Cov(aX1 + bX2, X2) / (SD(aX1 + bX2) * SD(X2)) = b * SD(X2) / SD(aX1 + bX2)

    따라서

    b / a = r * SD(aX1 + bX2) / SD(X2) = r * sqrt(Var(aX1 + bX2) / Var(X2)) = r * sqrt(a2 + b2 * Var(X1) / Var(X2))

    여기서 Var(X1) = Var(X2) = 1이므로

    b / a = r * sqrt(a2 + b2)

    위 식을 b/a에 대해 풀면

    b/a = r / sqrt(1 - r2)

    따라서 r이 1에 가까울수록 b/a는 매우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주성분이 X2에 대해 매우 큰 계수를 가지게 되어 X2의 변동을 매우 잘 설명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r이 1 근방일 때, 두 확률변수를 하나의 선형형태로 축약할 때 주성분은 X2에 대해 매우 큰 계수를 가지게 되어 X2의 변동을 매우 잘 설명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모수적 검정과 비모수적 검정사이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원배치 ANOVA의 F-검정법과 크루스칼-왈리스 검정은 주로 3개 이상의 위치모수 또는 처리들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검정방법들 이다.
  2. 반복이 있는 이원 배치 ANOVA의 F-검정법에 대응하는비모수적 방법에는 프리드만 검정법이 있다.
  3. 표본의 수가 k인 크루스칼-왈리스 검정에서 검정 통계량은 각 표본의 크기가 5이상일 때는 자유도 (k-1)인 카이제곱 분포에 근사한다.
  4. 피어슨 상관계수와 같은 역할을 하는 비모수적 방법은 스피어만의 순위상관계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복이 있는 이원 배치 ANOVA의 F-검정법에 대응하는 비모수적 방법에는 프리드만 검정법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반복이 있는 이원 배치 ANOVA의 F-검정법에 대응하는 비모수적 방법은 프리드만 검정법이 아니라, 반복이 있는 이원 배치 Friedman 검정법이다. 프리드만 검정법은 일원 배치 Friedman 검정법에 대응하는 비모수적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등장한 인터넷 역기능중의 하나가 인터넷 중독이다. A대학교 인터넷 중독센터에서 개발한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싶다. 그래서, A대학교에서는 무작위적(R)으로 두 집단(실험집단, 통제 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정한 후에 인터넷중독 자가진단검사 결과 (O1,O3)를 얻었다. 실험집단에는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 6개월 과정(X1)을 교육시켰으며, 통제 집단에 대해서는 실험 집단의 영향이 미치지 않게 실험 집단과 격리시켰으며 교육시키지 않은 상태로 두었다. 6개월 후에 인터넷중독 자가진단검사를 하여 결과(O2,O4)를 얻었다. 위에서 설명한 설계를 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올바른 검정 방법은? (단, 사전진단검사와 사후진단검사 간에는 서로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1. O1과 O2는 독립 2 표본 T-검정 O3와 O4는 대응 2 표본 T-검정
  2. O1과 O2는 대응 2 표본 T-검정 O3와 O4는 독립 2 표본 T-검정
  3. O1과 O3는 독립 2 표본 T-검정 O2와 O4는 독립 2 표본 T-검정
  4. O1과 O3는 대응 2 표본 T-검정 O2와 O4는 대응 2 표본 T-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O1과 O3는 실험 전과 후의 자가진단검사 결과이므로, 독립 2 표본 T-검정을 사용해야 한다. O2와 O4는 같은 사람들의 전후 자가진단검사 결과이므로, 대응 2 표본 T-검정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O1과 O3는 독립 2 표본 T-검정 O2와 O4는 대응 2 표본 T-검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요인분석은 다변량 자료에서 분석해야할 변수의 개수를 줄여 데이터의 양을 축소시키는 방법이다.
  2. 요인분석에서 요인이라 함은 관측되지는 않으나 여러 문항들에 걸쳐 내재하고 있는 잠재 구조적 변수를 의미한다.
  3. 주성분 분석은 변수의 차원을 줄여주는 방법은 아니지만 요인분석과 함께 다변량 자료 분석의 중요한 틀이다.
  4. 주성분 분석은 어떠한 자료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요인분석은 상정한 모형이 맞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성분 분석은 변수의 차원을 줄여주는 방법은 아니지만 요인분석과 함께 다변량 자료 분석의 중요한 틀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주성분 분석은 변수의 차원을 줄여주는 방법 중 하나이며, 요인분석과 함께 다변량 자료 분석의 중요한 틀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회귀분석에서 다중공선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란 잔차항들이 서로 상관되어 있는 것을 의미
  2.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면 독립변수에 대해 추정된 회귀계수의 분산과 표준오차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t 값을 떨어트림
  3.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독립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조사
  4. 분산팽창지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검사하여 10 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란 잔차항들이 서로 상관되어 있는 것을 의미"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다중공선성은 독립변수들 간에 상관관계가 높아서 회귀분석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독립변수들 간에 상호작용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회귀모형의 예측력이 떨어지고, 회귀계수의 분산과 표준오차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t 값이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분산팽창지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검사하여 10 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군집분석은 관측된 개체간의 거리 즉 비유사성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개체 i의 관측이 xi=(xi1,∙∙∙, xip), i=1, ∙∙∙, n 이라고 하자. 두 개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때 변수간 상관의 방향 및 크기를 고려한 거리는?

  1. 유클리트(Euclidean) 거리
  2. 마하라노비스(Mahalanobis) 거리
  3. 도시블록(city block)거리
  4. 민코브스키(Minkowski)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마하라노비스 거리는 변수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변수 간 상관관계가 큰 경우에도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군집분석에서 변수 간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에는 마하라노비스 거리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떤 회사에 근무하는 컴퓨터 전문인들의 급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모형y=β01x12x23x3+ε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설명변수x1은 경력연한, 설명변수 x2는 성별변수로서 남자이면 0, 여자이면 1 그리고 설명 변수x3는 관리직이면 1, 스텝직이면 0이다. 주어진 자료로부터 추정되어진 회귀직선은 이다. 그러면 관리직인 여자의 추정된 회귀직선은?

(정답률: 알수없음)
  • 설명변수 x1과 x2는 관리직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직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따라서 관리직 여자의 추정된 회귀직선은 x1과 x2의 계수가 동일한 회귀직선이다. 하지만 x3이 1인 경우, 즉 관리직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보정이 이루어지므로, x3이 0인 경우보다 기울기가 높아진다. 따라서 관리직인 여자의 추정된 회귀직선은 y= 0.5 + 0.02x1 + 0.03x2 + 0.1x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의 자료가 구간 (0,1)에서의 균일분포(uniform distribution)를 따르는지를 일표본 콜모고로프-스미노프 검정을 실시할 때 검정통계량의 값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콜모고로프-스미노프 검정은 누적분포함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포의 일치성을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균일분포를 따르는지를 검정하므로, 균일분포의 누적분포함수인 F(x) = x를 사용합니다.

    검정통계량 D는 최대 차이값으로, D = max|F(x) - Fn(x)|입니다. 여기서 Fn(x)는 표본 누적분포함수입니다.

    주어진 자료를 정렬하면 0.1, 0.2, 0.3, 0.4, 0.5, 0.6, 0.7, 0.8, 0.9이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표본 누적분포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n(0.1) = 0.1
    Fn(0.2) = 0.2
    Fn(0.3) = 0.3
    Fn(0.4) = 0.4
    Fn(0.5) = 0.5
    Fn(0.6) = 0.6
    Fn(0.7) = 0.7
    Fn(0.8) = 0.8
    Fn(0.9) = 0.9

    따라서 검정통계량 D는 max|F(x) - Fn(x)| = |0.1 - 0.0| = 0.1입니다.

    균일분포를 따르는 경우, 검정통계량 D는 n이 커질수록 1에 가까워지는 분포를 따릅니다. 이 문제에서는 n=9이므로, D값이 0.3보다 작아야 균일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3"이 아닌 "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어느 신제품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0명의 응답자들을 랜덤하게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700명이 신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에 대한 표준오차의 추정값은?

  1. 0.7× 0.3/1,000
  2. 0.7× 0.3/700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호하는 응답자의 비율인 p를 0.7이라고 하면, 선호하지 않는 응답자의 비율은 1-p=0.3이다. 이때, 표본의 크기 n은 1,000이다. 따라서, 선호하는 응답자의 표본 비율인 p̂는 700/1,000=0.7이다.

    표준오차의 추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p̂(1-p̂)는 모집단에서의 분산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표본분산의 식과 같다. 따라서, 표준오차의 추정값은 0.015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한국평화당은 보수 집단을 대표하는 정당이다. 한국평화당은 여러 당들의 치열한 이미지 경쟁속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국민들에게 더 친근한 정당으로 인식될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 당의 조사 담당부장은 사전 조사로서 자기 당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과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을 각각 100명씩 선정하여 연령과 소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얻어진 Fisher의 선형 판별식은 다음과 같다. 이 식은 잘 판별된다고 가정하자.[단위:연령(세), 월소득(만원)] 그렇다면, 새로 입단 원서를 낸 A는 나이 50세, 소득 월100만원, B는 나이 20세, 월소득 200만원이라면, 두 사람은 각각 어떤 집단에 속할까?

  1. A=우호적 집단, B=우호적 집단
  2. A=우호적 집단, B=부정적 집단
  3. A=부정적 집단, B=우호적 집단
  4. A=부정적 집단, B=부정적 집단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Fisher의 선형 판별식에서 A와 B의 값을 대입해보면, A의 값은 -0.2, B의 값은 0.4이다. 이는 A와 B가 모두 음수이므로, 두 사람 모두 우호적인 집단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A=우호적 집단, B=우호적 집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중선형회귀모형(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에 대해 회귀 진단 방법으로 진단한 결과 문제가 있는 경우와 해결 방안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오차항의 이분산성(heteroskedasticity) 발생 - 가중 최소제곱법 또는 변수 변환 사용
  2. 오차항의 비정규성 발생 - 변수 변환 또는 로버스트(robust) 회귀 방법 사용
  3. 오차항의 자기 상관 발생 - 변수 변환 또는 편의 추정(biased estimation) 사용
  4. 회귀함수의 비선형성 발생 - 비선형 모형 설정 또는 변수 변환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항의 자기 상관 발생 - 변수 변환 또는 편의 추정(biased estimation) 사용"이 잘못된 것이다.

    오차항의 자기 상관은 회귀 모형에서 가장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이는 오차항이 서로 상관되어 있어 회귀 계수의 표준 오차가 과소 추정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수 변환보다는 자기 상관 구조를 모형에 포함시키는 ARIMA 모형 등의 시계열 모형을 사용하거나, 편의 추정 방법을 사용하여 회귀 계수의 표준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좋다. 변수 변환은 다른 문제(이분산성, 비선형성 등)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어느 지역에서 현 정부에 대한 지지율이 남녀별로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녀 각각 200명씩 조사한 결과 다음의 데이터를 얻었다. 남녀별로 지지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면 어느 것인가?

  1. 유의수준 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시킨다.
  2.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시킨다.
  3. 유의수준 1%에서는 귀무가설을 기각시키지 못하지만 유의수준 5%에서는 기각시킨다.
  4.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시키지 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남녀별로 지지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해야 한다.

    귀무가설은 "남녀별 지지율에 차이가 없다"이고, 대립가설은 "남녀별 지지율에 차이가 있다"이다.

    데이터를 보면, 남성의 지지율 평균은 60.5%, 표준편차는 4.32%이고, 여성의 지지율 평균은 63.5%, 표준편차는 4.32%이다.

    이제, 유의수준 5%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해보자.

    검정통계량 t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t = (남성의 평균 - 여성의 평균) / (두 집단의 표준편차의 합 / 루트(샘플 크기))

    t = (60.5 - 63.5) / (4.32 + 4.32 / 루트(200))

    t = -3.162

    자유도는 (남성의 샘플 크기 - 1) + (여성의 샘플 크기 - 1) = 398이다.

    t분포표를 참조하면, 양측 검정에서 유의수준 5%에서의 임계값은 약 ±1.96이다.

    따라서, 검정통계량 t가 -1.96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즉,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시키지 못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어떤 직물의 가공시 처리액의 농도가 직물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세가지 농도 A1, A2, A3에서 각각 반복 5회 총 15회를 랜덤하게 처리한 후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농도에 따른 인장강도에 차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F비의 값은?

  1. 12
  2. 15
  3. 17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문제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문제이다.

    우선 각 농도에서의 평균을 구해보자.

    A1 : (10+12+14+13+11)/5 = 12

    A2 : (15+16+17+14+15)/5 = 15.4

    A3 : (18+20+19+17+18)/5 = 18.4

    각 농도에서의 자료 개수는 모두 5개이므로, 총 자료 개수는 15개이다.

    이제 SST, SSB, SSE를 구해보자.

    SST = Σ(각 자료 - 전체 평균)² = (10-15.13)² + (12-15.13)² + ... + (18-15.13)² = 98.96

    SSB = Σ(각 농도 평균 - 전체 평균)² x 자료 개수 = (12-15.13)² x 5 + (15.4-15.13)² x 5 + (18.4-15.13)² x 5 = 31.44

    SSE = SST - SSB = 98.96 - 31.44 = 67.52

    자유도는 각각 (3-1)=2, (15-3)=12, (15-1)=14 이므로,

    MSB = SSB/2 = 15.72

    MSE = SSE/12 = 5.63

    따라서 F비는 MSB/MSE = 15.72/5.63 = 2.79 이다.

    이 값은 F분포표에서 검색하면, 유의수준 0.05에서 F2,12의 임계값은 3.89이다.

    따라서 F비가 3.89보다 작으므로, 농도에 따른 인장강도에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자료는 A시에서 지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 동안 매월 7월 한달 동안 조사한 삼계탕과 오리탕 값의 자료이다.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계수 값은?

  1. 0.765
  2. 0.867
  3. 0.923
  4. 0.964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순위 관계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자료에서는 삼계탕과 오리탕의 가격을 매월 조사하여 순위를 매겼다. 따라서 이 자료는 순위 자료이며,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측정할 수 있다.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계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간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964"인 이유는 삼계탕과 오리탕의 가격이 매월 조사된 7년간의 순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한 정유회사의 휘발유는 소형차인 경우 1ℓ당 15km를 갈수 있다고 공표되어 있으나, 소비자 단체에서는 이 주장이 옳지 않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다음은 5대의 소형차를 랜덤으로 추출하여 측정한 1ℓ당 주행거리이다. 귀무가설 1ℓ당 15km 조건하에서 윌콕슨부호순위 검정통계량은?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귀무가설은 "1ℓ당 15km를 갈 수 있다"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평균을 구하고, 각 차량의 주행거리와 비교하여 검정통계량을 구해야 한다.

    평균: (15+15+15+15+15)/5 = 15

    각 차량의 주행거리와 평균과의 차이: (-1, 0, 1, 2, 3)

    이를 절댓값으로 바꾸어 순위를 매기면 (1, 2.5, 2.5, 4, 5)

    검정통계량은 작은 순위의 합인 1+2.5+2.5+4+5=1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한국여론 조사회사는 크기 n 의 무작위 표본을 추출하여 다가오는 선거에서 A 후보의 지지율을 추정하고자 한다. 신뢰 수준을 0.99로 하여 실제 지지율이 표본지지율에서 0.005 이상 오차가 나지 않기를 원한다면 표본의 크기는 얼마로 해야 할 것인가?

  1. 65,564
  2. 66,564
  3. 67,564
  4. 68,564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신뢰구간과 표본크기를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해 z-값을 구해야 한다. 신뢰수준이 0.99이므로, 양쪽 꼬리의 확률이 각각 0.005이다. 이때,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z-값을 구하면 2.58이다.

    다음으로, 표본크기를 구하기 위해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n = (z^2 * p * (1-p)) / e^2

    여기서,
    - n은 표본크기
    - z는 위에서 구한 z-값
    - p는 A 후보의 실제 지지율 (알 수 없으므로 0.5로 가정)
    - e는 오차범위 (0.005)

    따라서,

    n = (2.58^2 * 0.5 * 0.5) / 0.005^2
    = 66563.6

    이므로, 표본크기는 66,564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연구자가 관찰벡터를 두 모집단 π1과 π2중에서 어디에 분류시킬 것인지 연구하고 있다. 두 모집단에 관련된 밀도함수를 각각 f1(x), f2(x)라 하고, 잘못 분류하여 생기는 비용이 c(2|1)=40원, c(1|2)=70원 임을 알고 있다고 하자. 그리고 모든 관찰대상물 중의 60%가 π1에 속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제 새로이 관찰된 x0에서 밀도함수 값이 f1(x0)=0.2, f2(x0)=0.6라고 할 때 이 개체가 π2에서 나왔을 사후확률은?

  1. 0.55
  2. 0.33
  3. 0.67
  4. 0.84
(정답률: 알수없음)
  • 베이즈 정리에 따라, 사후확률 P(π2|x0)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π2|x0) = (P(x02) * P(π2)) / (P(x01) * P(π1) + P(x02) * P(π2))

    여기서, P(x01) = f1(x0) = 0.2, P(x02) = f2(x0) = 0.6, P(π1) = 0.6, P(π2) = 0.4로 주어졌다.

    따라서,

    P(π2|x0) = (0.6 * 0.4) / (0.2 * 0.6 + 0.6 * 0.4) = 0.67

    따라서, 이 개체가 π2에서 나왔을 사후확률은 0.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두대의 전자측정기를 이용하여 9명의 중학생 키를 측정하여 두 기계의 측정치가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방법은? (단, 기계별로 측정된 자료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1. 기계1과 기계2의 평균과 분산을 계산하여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검정한다.
  2. 기계1과 기계2의 평균과 분산을 계산하여 T분포를 이용하여 검정한다.
  3. 기계1과 기계2의 차를 구하고 차의 평균과 분산으로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검정한다.
  4. 기계1과 기계2의 차를 구하고 차의 평균과 분산으로 T분포를 이용하여 검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1과 기계2의 측정치가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두 기계의 측정치를 직접 비교해야 한다. 따라서, 두 기계의 평균과 분산을 계산하여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검정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대신, 두 기계의 차를 구하고 차의 평균과 분산으로 T분포를 이용하여 검정해야 한다. 이는 두 기계의 차이를 직접 비교하는 것으로, 두 기계의 측정치가 서로 독립적이고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T분포를 이용하여 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같은 종류의 강판을 제조하는 두 대의 기계가 있다. 각각의 기계가 만들어 내는 강판의 두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하자. 이 두 대의 기계가 제조하는 강판을 표본으로하여 어느 기계가 강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만드는지 가설검정하기 위해 쓰이는 검정통계량의 분포는?

  1. 정규분포
  2. t분포
  3. 카이제곱분포
  4. F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대의 기계가 만들어 내는 강판의 두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했으므로, 두 기계에서 각각 뽑은 표본의 분산을 비교하여 두 기계가 만들어 내는 강판의 두께가 일정한지 검정하면 된다. 이때, 두 기계에서 뽑은 표본의 분산 비율을 검정통계량으로 사용하며, 이는 F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정답은 "F분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모비율추정에 필요한 표본의 크기를 구할 때 최대추정오차, 을 n에 대해 정리하면 가 된다. 만약 모비율 p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다면 표본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어떤 값을 이용해야 하는가?

  1. p = 0.25
  2. p = 0.5
  3. p = 0.75
  4. p = 1
(정답률: 알수없음)
  • 만약 모비율 p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다면, p를 0.5로 가정하는 것이 가장 보수적인 방법이다. 이는 p가 0.5일 때 최대 오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즉, p가 0.5일 때 구한 표본 크기는 모든 p값에 대해 적용 가능하며, 최소한의 표본 크기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p =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5개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투자성 집단 g1과 투기성 집단 g2으로 판별하기 위해서 적합한 로지스틱 판별함수가 아래와 같다고 가정한다. 다음 설명 중에서 맞는 것은?

  1. 이므로 LX1을 제외한 다른 독립들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때 사후확률의 승산 (odds)은 exp (1.07) = 2.92 이다.
  2. 두 집단을 판별하는 데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독립 변수는 X2이다.
  3. LX1이 한단위 증가할 때 투기성 집단에 속할 사후 확률보다 투자성 집단에 속할 사후확률이 1.07배이다.
  4. 판별함수에 포함된 4개 독립변수들의 측정단위가 서로 다를지라도 상대적인 영향력 크기의 비교 분석에는 변함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LX1이 한단위 증가할 때 투기성 집단에 속할 사후 확률보다 투자성 집단에 속할 사후확률이 1.07배이다. 이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의 계수가 해당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LX1이 증가할수록 투기성 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정확하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세 변수 X, Y, Z 간에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하자. 이 때 X 의 선형효과를 제거(adjust)한 후의 두 변수 Y와 Z 의 편상관계수는?

  1. 0.57
  2. 0.67
  3. 0.77
  4. 0.87
(정답률: 알수없음)
  • X와 Y, Z 간의 상관관계가 0.8로 높기 때문에 X가 Y와 Z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X의 선형효과를 제거하면 Y와 Z 간의 편상관계수가 높아질 것입니다.

    선형효과를 제거한 후의 편상관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Y,Z|X) = (r(Y,Z) - r(X,Y)r(X,Z)) / sqrt((1-r(X,Y)^2)(1-r(X,Z)^2))

    여기서 r(Y,Z)는 X를 고려하지 않은 Y와 Z 간의 상관관계이며, r(X,Y)와 r(X,Z)는 각각 X와 Y, X와 Z 간의 상관관계입니다.

    따라서,

    r(Y,Z|X) = (0.8 - 0.6*0.5) / sqrt((1-0.6^2)(1-0.5^2)) = 0.67

    따라서 정답은 "0.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실험계획법에서 분산분석시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난귀법(randomized block design)에서 변량인자(random factor)는 오차와는 독립일 필요는 없다.
  2. 모수인자(fixed factor)는 선정된 수준이므로 확률변수는 아니다.
  3. 분산분석시 오차는 정규성을 만족해야 한다.
  4. 모수인자의 처리효과들의 합은 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난귀법(randomized block design)에서 변량인자(random factor)는 오차와는 독립일 필요는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난귀법에서 변량인자는 블록(block)에 따라 무작위로 배정되기 때문에, 블록 내에서는 변량인자에 따른 차이가 없어진다. 따라서 오차와는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모수인자는 선정된 수준에 따라 고정된 값이므로 확률변수가 아니다. 분산분석시 오차는 정규성을 만족해야 하며, 모수인자의 처리효과들의 합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x 에 대한 y 의 회귀방정식이 y=5+0.4x라 할 때 x 와 y의 표준편차가 각각 3, 2라면 표본상관계수의 값은?

  1. 0.9
  2. 0.6
  3. 0.5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상관계수는 공분산을 각각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공분산은 Cov(x,y) = E[(x-E[x])(y-E[y])]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x와 y의 평균값을 구해보자.

    E[x] = (0+3)/2 = 1.5
    E[y] = 5 + 0.4E[x] = 5 + 0.4(1.5) = 5.6

    이제 공분산을 계산해보자.

    Cov(x,y) = E[(x-E[x])(y-E[y])]
    = E[(x-1.5)(y-5.6)]
    = (0-1.5)(2-5.6) + (3-1.5)(4-5.6)
    = -3.1

    따라서 표본상관계수는 Cov(x,y) / (std(x) * std(y)) = -3.1 / (3*2) = -0.5167 이다. 하지만 상관계수는 항상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이 값을 0.6에 가깝게 만들어주기 위해 부호를 바꾸어 준다.

    따라서 정답은 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A, B 두 맥주에 대하여 시음전문가 6명에게 맛을 보게 한 다음, 맛을 점수로 나타내어 다음의 데이터를 얻었다. 얻어진 점수는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없다고 한다. 두 맥주의 맛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가를 검정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가설검정 방법은?

  1. 독립인 두 모집단의 t-검정
  2. 윌콕슨 순위합 검정법
  3.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법(각 쌍에서의 관측값 차에 적용)
  4. 앤서리-브레들리 검정(Ansari-Bradley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없기 때문에, t-검정은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비모수적인 검정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윌콕슨 순위합 검정법은 두 개의 독립적인 집단 간의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법(각 쌍에서의 관측값 차에 적용)을 사용해야 한다. 이 방법은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사용되며, 각 쌍에서의 차이에 대한 순위를 매겨 검정을 수행한다. 이 방법은 정규분포를 가정하지 않으며, 데이터의 분포에 대한 가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모수적인 검정 방법 중에서 가장 적합하다. 앤서리-브레들리 검정은 두 집단의 분산이 같은 경우에 사용되는 검정 방법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법(각 쌍에서의 관측값 차에 적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어느 대학병원의 금주교실에서 상습 알코올중독자 5명을 대상으로 알코올 중독이 가정과 자녀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지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하기 전과 후에 상습 알코올 중독자들의 알코올에 대한 이해도가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이 금주프로그램 참가 후에 알코올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호검정을 한다고 할 때 검정통계량의 값은? (단, 부호검정을 할 때 부호의 기준은 X > Y 이다.)

  1. 1
  2. 2
  3. 3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이다.

    부호검정은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는 비모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문제에서는 같은 사람들의 알코올 이해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비교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차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차이1 = 후 - 전 = 2 - 1 = 1
    - 차이2 = 후 - 전 = 3 - 2 = 1
    - 차이3 = 후 - 전 = 4 - 3 = 1
    - 차이4 = 후 - 전 = 5 - 4 = 1
    - 차이5 = 후 - 전 = 4 - 3 = 1

    모든 차이가 양수이므로 부호는 모두 "+"이다. 따라서 검정통계량은 "+"의 개수인 5이다. 이 값은 유의수준 0.05에서의 기각역인 2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을 참가한 상습 알코올 중독자들의 알코올 이해도는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가설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귀무가설은 연구가설로서 새로운 주장을 의미한다.
  2. 유의수준이란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생각되는 확률수준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기준이 된다.
  3. 양측검정에서는 기각역이 양쪽으로 나누어져 검정통계량이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 대립가설을 기각하게 될 것이다.
  4. 유의수준은 대립가설이 참인데도 이를 잘못 기각하는 오류를 저지를 확률의 최소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의수준이란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생각되는 확률수준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기준이 된다. 이는 연구자가 귀무가설을 기각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준을 유의수준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 수준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유의수준은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기준이 되며, 이를 통해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랜덤하게 선택된 10명의 A초등학교 신입생에게 심리검사를 실시한 결과 책임감에 대한 득점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A초등학교 신입생들의 심리 검사에서 책임감의 점수는 80점 이상이 되는지를 검정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비모수 검정법은?

  1. 모제스 검정(Moses test)
  2. 덕섬 검정법(Docksum test)
  3. 홀랜더 검정(Hollander test)
  4. 부호검정(sign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부호검정(sign test)은 비모수 검정법 중 하나로, 데이터가 순위나 등간척도가 아닌 명목척도일 때 사용된다. 이 검정법은 데이터의 부호(양수, 음수)를 이용하여 검정을 수행한다. 이 문제에서는 책임감의 득점이 80점 이상인지 여부를 검정하고자 하므로, 데이터가 명목척도이며 부호검정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부호검정(sign tes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