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사회조사분석사 1급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

1. 이메일(e-mail)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의 장점이 아닌것은?

  1. 면접원의 편향 통제
  2. 신속성
  3. 조사 모집단 규정의 명확성
  4. 저렴한 비용
(정답률: 알수없음)
  • 이메일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의 장점 중에서 "조사 모집단 규정의 명확성"은 아닙니다. 이는 조사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는 사항으로, 이메일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메일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의 장점은 "면접원의 편향 통제", "신속성", "저렴한 비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용과 무응답의 감소를 위해 여러 자료 수집방법을 혼용하는 조사(mixed-mode survery)에서 측정의 일관성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이 우편조사보다 전화조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2. 동의하려는 응답편향(accquiescence)이 자기기입식보다 면접조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3. 질문지 배열 순서가 응답에 미치는 효과(question order effects)가 자기기입식 보다 전화조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4. 전화조사에서는 처음에 제시된 응답범주를 선택하는 경향(primacy effect)이 나타나는 반면, 우편조사에서는 끝에 제시된 응답범주를 선택하는 경향(recency effect)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이 우편조사보다 전화조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은 자기기입식보다 면접조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며, 전화조사와 우편조사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단일집단 사후조사(one-shot case study)
  2. 단일집단 사전사후조사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3. 정적 집단비교(static-group comparison)
  4. 솔로몬 4집단 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단일집단 사전사후조사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 설계는 하나의 집단에 대해 사전조사(pretest)를 실시한 후, 처리(intervention)를 가한 후 사후조사(posttest)를 실시하여 처리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이 설계는 처리와 관련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주제나 현상에 대한 예비적인 정보를 수집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핵심주제에 대해 비교적 소수의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토론을 하는 면접법은?

  1. 심층면접(intensive interview)
  2.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3. 임상면접(clinical interview)
  4. 구조적 면접(structured interview)
(정답률: 알수없음)
  • 표적집단면접은 예비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사용되며, 소수의 응답자가 자유롭게 토론하는 면접법이다. 따라서 핵심주제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어서 다양한 관점을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심층면접은 개별 응답자에게 질문을 하며, 특정 주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임상면접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는 면접이다. 구조적 면접은 미리 정해진 질문 목록에 따라 진행되는 면접으로, 일관성 있는 정보 수집을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연구설계의 타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내적 타당성은 추정된 원인과 결과 사이에 존재하는 인과적 추론의 정확성을 의미한다.
  2. 외적 타당성은 연구의 결과로 밝혀진 독립변수의 효과에 대한 결론을 일반화시킬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3. 내적 타당성의 저해요인은 준실험설계나 비실험설계를 사용할 때 다양하게 나타난다.
  4. 외적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표적 사례를 연구하는 것이 가장 강력한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외적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표적 사례를 연구하는 것이 가장 강력한 방법이다." 이다. 외적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인 샘플을 선택하고,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해야 한다. 대표적인 샘플을 선택하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횡단연구와는 대조적으로 동일한 현상을 긴 기간동안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2. 종단연구에는 추세연구, 코호트 연구, 패널연구 등이 있다.
  3. 대규모 조사에 종단연구는 더욱 힘들 수 있다.
  4. 직접적 관찰과 심층면접을 병행하는 현장조사는 종단연구가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적 관찰과 심층면접을 병행하는 현장조사는 종단연구가 아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종단연구는 일정한 기간 동안 동일한 대상을 관찰하여 변화를 추적하는 연구입니다. 이에 따라 직접적 관찰과 심층면접을 병행하는 현장조사도 종단연구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료항목별로 각 응답에 해당하는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은?

  1. 편집(editing)
  2. 코딩(coding)
  3. 리코딩(recoding)
  4. 계산(compute)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항목별로 각 응답에 해당하는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은 코딩(coding)이다. 이는 각 응답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코딩을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식의 획득 방법(approaches to konwledge) 중 “누가 말했는가”를 가장 중시하는것은?

  1. 권위적 방법(authoritarian mode)
  2. 신비적 방법(mystical mode)
  3. 선험적 방법(a priori mode)
  4. 과학적 방법(scientific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권위적 방법(authoritarian mode)"은 지식의 획득 방법 중에서 누가 말했는가를 가장 중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권위자나 전문가의 의견이나 지식을 믿고 따르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이 방법은 권위자나 전문가의 지식이 옳다고 믿는 것으로, 그들의 지식에 대한 의심이나 검증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비판적 사고나 자율적인 판단력을 강조하지 않으며, 신뢰성이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최근에 등장한 조사방법으로 전화조사를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것은?

  1. 우편조사
  2. 모바일 조사
  3. 면접조사
  4. 배포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모바일 조사는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고,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전화조사와 달리 보다 효율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조사 방법으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바일 조사는 응답자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고, 응답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질문지의 물리적 외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좀 빠듯하게 보여도 분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2. 질문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3. 질문지를 중요한 것으로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4. 응답하기 쉽도록 질문 문항들을 배치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좀 빠듯하게 보여도 분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틀린 설명이다. 질문지의 물리적 외형은 응답자가 질문지를 보고 느끼는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질문지의 외형은 깔끔하고 질문 문항들이 잘 배치되어 있어야 하며, 응답하기 쉽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분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 연구자가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연구자는 이것이 이 시대에 따른 변화인지 아니면, 환경의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젊은 세대가 모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인지를 확인하려고 한다. 시간과 연구비용을 고려하지 않을 때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좋은 연구방법은?

  1. 횡단 연구
  2. 추세연구
  3. 동류집단연구
  4. 사건사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좋은 연구방법은 "동류집단연구"이다. 이는 모집단 내에서 비슷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그룹을 비교하여 연구하는 방법으로, 연구자는 모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의식을 가진 젊은 세대와 그렇지 않은 세대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모집단 내에서 특정 특성을 가진 그룹을 찾아내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며, 연구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과학적 접근법에서 어떤 결과를 야기한 원인으로 가정한 변수(variable) 이외에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변수를 체계적으로 배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객관화
  2. 체계화
  3. 실험
  4. 통제
(정답률: 알수없음)
  • "통제"는 과학적 접근법에서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배제하여 연구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도출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연구 결과가 가정한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배제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통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설문지 특성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2차자료의 수집 수단
  2. 측정도구의 집합
  3. 조사결과의 비교가능성 제고
  4. 조작적 정의의 집합
(정답률: 알수없음)
  • "2차자료의 수집 수단"은 설문지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설문지 특성은 설문지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특징을 의미하며, 측정도구의 집합, 조사결과의 비교가능성 제고, 조작적 정의의 집합 등이 포함된다. 2차자료는 이미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문지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정시점에서 대한민국 성인을 모집단으로 성별, 연령층, 지역, 소득, 학력별로 정당에 대한 지지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할때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표본조사
  2. 패널조사
  3. 교차분석
  4. 관계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패널조사는 일정 기간 동안 같은 대상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이번 조사에서는 대상을 처음부터 선정하는 것이므로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패널조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20세 이상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연구에 이용될 질문들이다. 이중 “보통이다”, “잘 모르겠다”와 같은 판단유보 응답범주가 필요한 것은?

  1. 선생님께서는 요즘 규칙적인 운동을 하십니까?
  2. 선생님께서는 신용카드로 현금서비스를 사용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3. 선생님께서는 보건복지부가 국회에 제출한 생명윤리 기본법안에 찬성하십니까?
  4. 선생님께서는 한국의 이라크 파벙에 찬성하십니까?
(정답률: 알수없음)
  • "보통이다", "잘 모르겠다"와 같은 판단유보 응답범주가 필요한 것은 "선생님께서는 한국의 이라크 파벙에 찬성하십니까?" 이다.

    "선생님께서는 보건복지부가 국회에 제출한 생명윤리 기본법안에 찬성하십니까?" 질문은 찬성, 반대, 중립과 같은 명확한 응답이 가능하므로 판단유보 응답범주가 필요하지 않다.

    이유는 이라크 파벙과 같은 정치적인 문제는 개인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에 판단유보 응답범주가 필요하다. 반면 생명윤리 기본법안에 대한 찬반은 개인의 윤리적인 가치관에 따라 명확한 응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부호화(cod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딩은 질문지 작성전에 해야 한다.
  2. 일정한 지침에 따라 분석 가능한 숫자나 기호로 표현해야 한다.
  3. 미취득 자료를 처리할 경우에는 일괄된 하나의 번호를 이용해야 한다.
  4. 숫자로 응답 된 자료를 처리할 때는 가장 큰 수치를 고려해서 칸을 배정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코딩은 질문지 작성전에 해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코딩은 질문지 작성 후에 진행되며, 질문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일정한 지침에 따라 분석 가능한 숫자나 기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사원의 선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조사원은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2. 조사원은 응답자와 무관하게 선정해야 한다.
  3. 조사원은 조사내용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4. 조사원은 열성과 끈기가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원은 조사내용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조사원은 응답자와 무관하게 선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조사원의 선정과정에서 편견이나 선입견을 제거하고, 공정한 조사를 수행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조사내용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표면적으로 인과관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도 실제로는 두 변수가 우연히 다른 제3의 변수와 연결됨으로써 마치 인과관게가 있는 듯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제3의 변수는?

  1.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2. 외적변수(extraneous variable)
  3. 선행변수(antecedent variable)
  4. 왜곡변수(distorter variabl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외적변수(extraneous variable)"입니다. 외적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왜곡시키는 변수로, 우연히 두 변수와 연관이 있어서 인과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변수입니다. 이 변수는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지 않았거나 측정하지 않은 변수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를 설계할 때 외적변수를 고려하여 제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설문지 문항들 중 잘못 작성된 것은?

  1. 귀하가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주거형태는?
    1. 아파트 2. 단독주택 3. 연립주택 4. 기타
  2. 귀하의 자녀는 몇 명입니까?
    1. 없다 2. 1명 3. 2명 4. 3명이상
  3. 귀하의 월평균 수입은 어느정도입니까?
    1. 100만원 미만 2. 100만원~200만원 미만
    3. 200만원~300만원 미만 4. 300만원 이상
  4. 귀하의 나이는?
    1. 20세 미만 2. 20세~30세 3. 30세~40세 4. 40세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 작성된 문항은 없습니다. 정답이 "귀하의 나이는?
    1. 20세 미만 2. 20세~30세 3. 30세~40세 4. 40세이상" 인 이유는 나이를 구분하는 범주를 제시하고, 각각의 범주에 해당하는 번호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설문조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일반적으로 조사연구 보고서의 서론 부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조사의 이론적 배경
  2. 연구문제에 대한 기존 연구현황
  3. 연구의 필요성
  4.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조사연구 보고서의 서론 부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연구 결과와 결론 부분에서 다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서론 부분에서는 조사의 이론적 배경, 연구문제에 대한 기존 연구현황, 연구의 필요성 등이 다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적절한 조사연구의 문제가 되기 위한 고려요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연구범위의 적절성
  2. 조사의 실행가능성
  3. 검증 가능성
  4. 조사문제의 이론 적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문제의 이론 적합성은 적절한 조사연구의 문제가 되기 위한 고려요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연구 문제가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적절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론적 배경이 없거나 부족하면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사문제의 이론 적합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A시의 공무원들에 대하여 약 2주간 컴퓨터 통계프로그램교육(엑셀, SPSS)를 실시한 후, 그 효과를 서베이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고 하자. 연구자는 교육을 받은 응답자들이 교육 내용을 직무수행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이때, 질문유형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사실, 의견 또는 태도, 행동, 지식 등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질문항목의 유형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교육(엑셀, SPSS) 여부 - 사실
  2. 직무수행에 미친 영향(5점척도) - 의견 또는 태도
  3. 활용빈도(5점 척도) - 의견 또는 태도
  4. 활용의 유형(개발형 질문 : 응답을 토대로 범주 설정) - 행동
(정답률: 알수없음)
  • "활용빈도(5점 척도) - 의견 또는 태도"가 잘못 연결되었다. 활용빈도는 응답자들이 실제로 교육 내용을 얼마나 자주 활용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행동에 해당한다. 따라서 "활용빈도(5점 척도) - 행동"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최근의 어려운 한국경제에 대하여 어떤 학자가 국민의 가치관과 규범변화라는 사회학적 변수만으로 설명하였다면, 이는 어떤 오류에 해당하는가?

  1. 생태학적 오류
  2. 개인주의적 오류
  3. 환원주의
  4. 도치된 인과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이는 환원주의에 해당한다. 경제적인 요인들이나 정책적인 문제들을 무시하고, 오로지 사회학적인 변수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현실적이지 않으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모 회사에서 새로이 출시될 예정인 제품의 디자인에 대해 어느 정도 호감이 있는지를 조사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 출시에 맞춰 조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 전화조사를 사용한다.
  2. 우편조사와 면접조사가 적합하다.
  3. 시각적인 자료의 활용이 중요하다.
  4. 의미분화척도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 출시에 맞춰 조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 전화조사를 사용한다."는 옳은 것이 아니다. 이유는 전화조사는 대상자의 실제 반응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점과 대상자의 응답률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이다.

    따라서, 시장 출시에 맞춰 조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상자들의 실제 반응을 직접 볼 수 있는 면접조사나 우편조사보다는 온라인 조사나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이 더 적합하다.

    또한, 제품 디자인 조사에서는 시각적인 자료의 활용이 중요하며, 대상자들의 반응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의미분화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설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종단적 설계는?

  1. 패널연구(panel study)
  2. 추세연구(trend study)
  3. 예고적 코호트연구(prospectice cohort study)
  4. 회고적 코호트 연구(retrospective cohort study)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이미 발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거의 원인을 추적하는 연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과 가장 관계가 깊은 종단적 설계는 회고적 코호트 연구입니다. 회고적 코호트 연구는 이미 발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거의 원인을 추적하는 연구로, 이미 발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거의 원인을 추적하기 때문에 회고적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보고서 작성시 유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보고서를 읽는 사람을 고려해 작성해야 한다.
  2. 개인의 응답내용이 알려지지 않도록 비밀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3. 조사한 내용을 모두 다 제시해야 한다.
  4. 연구목적에 합당한 중요한 점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한 내용을 모두 다 제시해야 한다는 것은 보고서 작성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이다. 이는 보고서를 읽는 사람이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보고서 작성시에는 가능한 모든 조사 내용을 포함시켜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그 내용을 요약하거나 구조화하여 전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체패널조사(Rotating Panel Survey)와 비교체패널조사(Nonrotating Panel Surver)의 장ㆍ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교체패널조사가 비교체패널조사보다 패널을 추적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교체패널조사가 비교체패널조사보다 패널소실(panel attrition)이 적다.
  3. 비교체패널조사가 교체패널조사보다 모집단의 특성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4. 비교체패널조사가 교체패널조사보다 개인별 통시적 자료 확보에 유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비교체패널조사가 교체패널조사보다 모집단의 특성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가 아닙니다.

    교체패널조사는 패널을 교체하여 새로운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패널 추적 비용이 적고 패널 소실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모집단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비교체패널조사는 동일한 표본을 추적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개인별 통시적 자료 확보에 유리하고 모집단의 특성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패널 추적 비용이 많이 들고 패널 소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조사윤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조사자는 조사결과에 대한 일반인들의 해석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2. 조사자는 조사의뢰자의 사업정보 및 조사결과에 관한 정보를 비밀로 해야 한다.
  3. 조사자는 어떤 경우에도 조사대상자의 익명성을 보호해야 한다.
  4. 조사자는 조사결과를 발표할 때, 조사의뢰자를 밝혀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자는 조사결과를 발표할 때, 조사의뢰자를 밝혀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조사자는 조사의뢰자의 사업정보 및 조사결과에 관한 정보를 비밀로 해야 하지만, 조사결과를 발표할 때 조사의뢰자를 밝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사자는 어떤 경우에도 조사대상자의 익명성을 보호해야 합니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개인정보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조사자는 조사결과에 대한 일반인들의 해석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조사의뢰자의 사업정보 및 조사결과에 관한 정보를 비밀로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과학적 연구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논리적 사고에 의존한다.
  2. 간결한 것을 추구한다.
  3. 일반적인 것을 추구한다.
  4. 연구과정이 동일해도 결론이 다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구과정이 동일해도 결론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은 과학적 연구에서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실험 조건, 측정 방법, 데이터 분석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적 연구에서는 결과를 일반화하기 전에 반복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다른 연구자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결과를 검증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와 간결함은 중요하지만, 일반화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실험의 정확성과 검증 과정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선별효과(selection effect)
  2. 성숙효과(maturation effect)
  3. 실험효과(testing effect)
  4. 조사도구효과(instrumentation effect)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실험 전과 후에 측정된 두 그룹의 평균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실험 전에 이미 두 그룹이 차이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성숙효과(maturation effect)라고 합니다. 즉, 시간이 지나면서 참가자들이 성숙하거나 변화함에 따라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I

31.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 중요하지 않은 것은?

  1. 조사목적의 실현 가능성
  2. 조사비용의 허용 한계
  3. 표집오차의 허용 범위
  4. 연구책임자의 리더쉽 한계
(정답률: 알수없음)
  • 연구책임자의 리더쉽 한계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경제적, 통계적인 요소들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연구책임자의 리더쉽 한계는 조사의 진행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특정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어떤 사람의 지적 능력을 수차례 조사하였더니 측정결과들이 균일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다음 중 무엇을 가장 잘 가리키는가?

  1. 조사자의 높은 신뢰도
  2. 조사자의 높은 타당도
  3. 측정도구의 높은 신뢰도
  4. 측정도구의 높은 타당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측정도구의 높은 신뢰도

    해설: 측정도구의 높은 신뢰도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같은 대상을 여러 차례 측정했을 때, 그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어떤 사람의 지적 능력을 수차례 조사했을 때, 측정결과들이 균일하게 나타난다면, 이는 측정도구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조사자의 높은 신뢰도나 타당도는 측정도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실험실(laboratory) 실험설계를 통한 연구의 단점은?

  1. 외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2. 인관관계(causation)를 명확히 알 수 있다.
  3. 기존 이론을 정교화 하는데 연구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4. 연구조건이 명확하여 연구과정을 쉽게 반복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험실 실험설계는 인위적인 조건에서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에 실제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외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외적 타당도란 연구 결과가 실제 상황에서도 유효한지를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실험실 실험설계에서는 인과관계를 명확히 알 수 있지만, 실제 상황에서의 적용 가능성은 미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사실험설계가 순수실험설계에 대하여 우월성을 가지는 영역은?

  1. 조사결과의 일반화 정도
  2. 독립변수의 조작가능성 정도
  3. 외생변수의 통제 정도
  4. 조사상황의 가공성(인위성) 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유사실험설계는 순수실험설계와 달리 조사상황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실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조사결과의 일반화 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유사실험설계는 조사결과를 일반화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독립변수의 조작가능성, 외생변수의 통제 정도, 조사상황의 가공성(인위성) 정도는 순수실험설계와 유사실험설계 모두 중요한 요소이며, 두 설계 방법 간에 우월성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수조사(census)와 표본조사 사이의 관계데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수조사가 가능해도 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표본조사가 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2. 표본조사는 전수조사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3. 도서지방이나 산간지방에 대한 정보는 전수조사보다 표본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4. 일정한 시점에서 신제품 광고에 대한 인지도 조사는 표본조사로 신속하게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서지방이나 산간지방에 대한 정보는 전수조사보다 표본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수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분포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서도 모든 대상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서지방이나 산간지방에 대한 정보도 전수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북한의 폐쇄적인 외교정책을 파악하기 위해 정치학자들은 자주 노동신문 사설에 대해 단어별, 문장별, 문단별 또는 전체 사설별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취합하여 전체 정책 흐름을 파악하려고 한다. 이런 내용분석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분석단위의 결정
  2. 분석대상의 결정
  3. 분석주체의 결정
  4. 분석객체의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분석단위의 결정은 분석을 실시할 때 어떤 단위로 분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자주 노동신문 사설을 분석할 때, 문장별로 분석할 것인지, 문단별로 분석할 것인지, 전체 사설별로 분석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는 분석 결과를 얻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분석 대상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적절한 분석단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표집(sampling)에 관한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집(sampling)의 요소와 자료의 분석단위는 때로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모집단이란 표본을 통해 대표하려는 전체를 말한다.
  3. 연구모집단은 표본이 실제 추출되는 요소들의 집합을 말한다.
  4. 표집틀은 모집단과 동일한 표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집틀은 모집단과 동일한 표현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표집틀은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부나 목록을 말하며, 모집단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모집단은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이며, 표집틀은 추출할 표본의 대상이 되는 명부나 목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표본설계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모집단의 확정 → 표본프레임의 결정 →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 표본크기의 결정 → 표본추출
  2. 표본프레임의 결정 → 모집단의 확정 → 표본크기의 결정 →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 표본추출
  3. 표본프레임의 결정 → 모집단의 확정 →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 표본크기의 결정 → 표본추출
  4. 모집단의 확정 → 표본크기의 결정 →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 표본프레임의 결정 → 표본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모집단의 확정 → 표본프레임의 결정 →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 표본크기의 결정 → 표본추출"입니다.

    먼저, 모집단을 확정해야 합니다. 모집단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으면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편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표본프레임을 결정합니다. 표본프레임은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전체적인 범위를 의미합니다.

    그 다음으로, 표본추출방법을 결정합니다. 표본추출방법은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표본크기를 결정합니다. 표본크기는 표본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표본크기가 작으면 추출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표본추출방법에 따라 표본을 추출합니다. 이렇게 추출된 표본을 바탕으로 모집단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내용분석의 장점이 아닌것은?

  1. 연구대상의 반응성(reactivity)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주로 단기적 과정에 국한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3. 면접설문조사에 비하여 시간과 돈이 적게 든다.
  4. 설문조사나 현지조사 등에 비해 재조사를 쉽게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단기적 과정에 국한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는 내용분석의 단점이다. 이는 장기적인 변화나 발전을 추적하거나 예측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용분석은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른 방법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설문지(questionnaire)
  2. 이전용지(transfer sheet)
  3. 코드용지(code sheet)
  4. 코드북(code book)
(정답률: 알수없음)
  • 코드북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나 변수들의 코드와 그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는 책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데이터 분석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도구이기 때문에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측정과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측정이란 사물이나 사건과 같은 목적물의 속성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2. 척도란 측정대상에 부여하는 가치들의 체계이다.
  3. 측정에 있어서 체계적 오류는 신뢰도와 관련이 있고 무작위 오류는 타당도와 관련이 있다.
  4. 일반적으로 측정의 형태와 척도의 수준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측정의 형태와 척도의 수준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측정은 속성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고, 척도는 그 가치들의 체계입니다. 따라서 측정과 척도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측정에 있어서 체계적 오류는 신뢰도와 관련이 있고 무작위 오류는 타당도와 관련이 있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체계적 오류는 일관성이 없는 측정 결과를 가져오므로 신뢰도를 낮추고, 무작위 오류는 측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증가시켜 타당도를 낮춥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자료 손질 방법으로 틀린것은?

  1. 변수들이 고정 열 포맷으로 되어 있다면 자유 포맷으로 바꾼다.
  2. 가능하다면 모든 사례에서 각 변수들이 지정된 포맷대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일일이 점검한다.
  3. 빈도분포를 이용해 변수들의 부호화를 점검한다.
  4. 변수들에 대한 일관성 점검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수들이 고정 열 포맷으로 되어 있다면 자유 포맷으로 바꾼다."가 틀린 것이다. 변수들이 고정 열 포맷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자유 포맷으로 바꾸는 것이 오히려 데이터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 열 포맷이 유지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조직화하는 접근방식 중 요소들의 연계(linkage of elements)방식이 다른것은?

  1. 관계적 접근방식(relational approach)
  2. 위계적 접근방식(hierarchal approach)
  3. 연결망 접근방식(network approach)
  4. 생애 접근방식(life history approach)
(정답률: 알수없음)
  • 생애 접근방식은 데이터베이스를 개인의 생애 주기(life cycle)에 따라 조직화하는 방식으로, 각 개인의 생애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구성하고 관리한다. 이는 다른 접근방식과는 달리 개인의 경험과 행동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특성과 행동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료편집과정에서 발견한 응답되지 않은 설문 문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응답되지 않은 설문 문항에 해당하는 변수의 갓은 결측값(missing value)으로 처리한다.
  2. 특정 설문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사례가 많을 경우 해당 문항에 어떤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지를 검토해 본다.
  3. 대부분의 사례에서 응답하지 않은 설문 문항은 분석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서 어떤 사례들은 응답한 반면 어떤 사례들은 응답하지 않은 경우, 그 설문 문항으로부터는 유용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서 어떤 사례들은 응답한 반면 어떤 사례들은 응답하지 않은 경우, 그 설문 문항으로부터는 유용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설문 조사에서 중요한 것은 대상자들의 응답 패턴이며, 특정 문항에 대한 응답률이 낮다고 해서 그 문항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 대상자들이 설문에 응답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응답률이 낮은 문항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경제에 기여한 바에 대한 학습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편견을 줄일것이라는 가정하에 이 가설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기로 하고, 고전적인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기로 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실험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편견은 종속변수이고, 학습은 독립변수이다.
  2. 학습 참여 집단이 실험집단이 되고, 학습 비참여 집단은 통제집단이 된다.
  3. 원칙적으로 학습 비참여 집단에 대해서도 사전조사와 사후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에 있어서 실험자극의 유무이외애 다른 변인들을 고려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에 있어서 실험자극의 유무이외에 다른 변인들을 고려해서는 안된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실험 설계에서는 실험자극 이외에도 다른 변인들을 고려하여 통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작위 배정, 대조군 설정,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비교하고, 외부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무선적으로 추출된 표본들의 평균치들의 분포인 표집 분포가 가지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표본이 클 경우 모집단이 정규분포가 아니더라도 표집 분포는 정규분포를 이룬다.
  2. 표집 분포의 분산은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분산과 같다.
  3. 표집 분포의 평균은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평균과 같다.
  4. 표본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표집 분포의 변산도(dispersion)는 적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표집 분포의 변산도(dispersion)는 적어진다."가 정답이다.

    표집 분포의 분산은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분산과 같다는 것은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성립한다. 즉,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 평균들의 분포는 모집단의 분포와 상관없이 정규분포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정규분포의 분산은 모집단의 분산과 같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개별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를 합산하여 구성하는 지수의 구성항목 설정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항목들은 지수 대상의 개념과 일치하는 내용이어야 한다.
  2. 동일개념의 항목은 한 차원의 내용이어야 한다.
  3. 항목들 간의 서열관계가 명백할수록 좋다.
  4. 항목들의 측정결과에는 적절한 분산(variance) 또는 분포가 나타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목들 간의 서열관계가 명백할수록 좋다."는 지수의 구성항목 설정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이다. 이유는 항목들 간의 서열관계가 명백할수록 지수의 해석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 B, C, D 네 개의 항목이 있을 때 A > B > C > D의 서열관계가 명백하다면, 해당 지수의 값이 높을수록 해당 지표가 우수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항목들 간의 서열관계가 명백할수록 지수의 해석이 용이해지고, 의사결정에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리커트 척도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문문항은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사회현상과 관련한 여러 진술들로 구성한다.
  2. 각 문항별 응답범주는 상호 대칭되는 명백한 서열형태의 3점, 4점, 5점척도로 적절하게 설정한다.
  3. 각 문항설정이 타당하다면, 모든 문항들은 상호간에 높은 상관성이 존재하여야 한다.
  4. 각 설문문항들 사이에는 서열순위를 설정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설문문항들 사이에는 서열순위를 설정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리커트 척도는 각 문항의 응답 범주가 서열형태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 문항들 간에 서열순위를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즉, 각 문항은 서로 독립적으로 측정되며, 서열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중 층화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방법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경우는?

  1. 모집단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을 경우
  2. 모집단을 구성하는 하부 집단들의 대표성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3. 동질적 집단 내에서 무작위 표본추출하고자 핧 경우
  4. 모집단을 구성하는 하부 집단들간 이질성이 크지 않을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층화표본추출 방법은 모집단을 구성하는 하부 집단들간 이질성이 크지 않을 경우에 가장 적절합니다. 이 방법은 각 하부 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여 모집단을 대표하는 샘플을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동질적인 집단 내에서 무작위 표본추출하고자 할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척도는 측정오류를 줄일 수 있다.
  2. 리커트 척도는 재생계수를 통해 단일 차원성과 누적성을 검증할 수 있다.
  3. 서스톤 척도는 등간척도로 볼 수 있다.
  4. 소시오메트리는 집단내의 구성원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스톤 척도는 등간척도로 볼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서스톤 척도는 명목척도에 해당합니다.

    리커트 척도는 재생계수를 통해 단일 차원성과 누적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 항목이 전체 척도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척도의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뢰도가 높으면 타당도도 높다.
  2. 타당도를 측정하는 것이 신뢰도를 측정하는 것보다 어렵다.
  3. 신뢰도는 경험적 문제이다.
  4. 타당도는 이론적 문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당도를 측정하는 것이 신뢰도를 측정하는 것보다 어렵다."가 틀린 것입니다.

    신뢰도는 측정 도구나 방법이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타당도는 측정 도구나 방법이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신뢰도가 높으면 측정 결과가 일관성 있게 나타나므로 타당도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개념이나 측정 중 서열적 자료는?

  1. 야구 선수의 평균 타율
  2. TV 프로그램의 시청률 순위
  3. ㎏으로 표시되는 몸무게
  4. 인종
(정답률: 알수없음)
  • TV 프로그램의 시청률 순위는 서열적 자료이다. 이는 순위나 등수로 표현되며, 각 항목 간의 크기나 차이를 측정할 수 없다. 즉, 시청률 1위와 2위 간의 차이나 비교는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어떤 표본추출방법에 대한 설명인가?

  1.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2. 계통표본추출
  3. 층화표본추출
  4. 군집표본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각 항목들이 무작위로 섞인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모집단의 모든 항목들이 동일한 확률로 추출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이러한 방법을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외생변수 중 실험대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결과변수의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을 선정하였을 때 나타나기 쉬운 것은?

  1. 성숙효과
  2. 시험효과
  3. 실험변수의 확산
  4. 통계적 회귀
(정답률: 알수없음)
  • 통계적 회귀는 실험대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결과변수의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을 선정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외생변수 중 하나입니다. 이는 낮은 수준의 집단에서는 결과변수의 값이 극단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음 실험에서는 더 평균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더 높은 수준의 집단을 선택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반분법(split-half method)
  2. 복수양식법(multiple forms techniques)
  3. 외적 일관성 분석(external consistency analysis)
  4. 내적 일관성 분석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정답률: 알수없음)
  • 외적 일관성 분석은 다른 측정 도구나 척도와의 관련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해당 도구나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이 아닌 것은?

  1. 편의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
  2. 지역추출방법(area sampling)
  3. 목적추출방법(purposive sampling)
  4. 눈덩이 추출방법(snowball samp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특정 지역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 내 모든 개체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일종의 계통추출방법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이 아닌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고등학교의 학생상담실에서 학생명단에서 뽑은 100명을 대상으로 언어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런데 실제 조사에서는 해당 학생의 담임선생님에 대한 면접을 통해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표집단위, 관찰단위, 표집틀은 각각 무엇인가?

  1. 학생 - 학생 - 학생 명단
  2. 담임 선생님 - 학생 - 교직원 명단
  3. 학생 - 담임 선생님 - 학생 명단
  4. 담임 선생님 - 학생 명단 - 학생
(정답률: 알수없음)
  • - 표집단위: A고등학교의 학생상담실의 학생명단
    - 관찰단위: 학생과 그 학생의 담임선생님
    - 표집틀: 100명의 학생명단

    정답은 "학생 - 담임 선생님 - 학생 명단" 입니다. 이유는 표집단위는 학생명단이지만, 실제 조사에서는 학생과 그 학생의 담임선생님을 함께 조사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찰단위는 학생과 그 학생의 담임선생님이 되며, 이들을 대상으로 언어사용실태를 조사하였습니다. 표집틀은 100명의 학생명단이며, 이 중에서 학생과 그 학생의 담임선생님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조사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노숙자나 불법체류노동자처럼 특정 모집단에서 구성원들을 찾아내기가 어려울 때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표본추출방법은?

  1. 할당표본추출
  2. 눈덩이표본추출
  3. 단순무작위표본추출
  4. 군집표본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눈덩이표본추출은 초기 표본을 뽑은 후 해당 구성원을 기반으로 그 구성원의 주변인 인구를 추가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노숙자나 불법체류노동자와 같이 특정 모집단에서 구성원들을 찾아내기가 어려울 때, 이미 발견된 구성원을 기반으로 주변인을 추가로 추출하여 표본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표본추출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모집단에서 단순무작위표집법으로 표본을 50개 추출하였다. 만약 표본의 수를 200개로 늘린다면 어떠한 현상이 발생하는가?

  1. 모평균의 값이 커진다.
  2. 표본평균과 최빈값의 차이가 작아진다.
  3. 추정량의 분산값이 작아진다.
  4. 모분산의 값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수가 증가하면 추정량의 분산값이 작아진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중심극한정리는 모집단이 어떤 분포를 따르더라도 충분히 큰 표본을 추출하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표본의 수가 증가하면 표본평균의 분산이 작아지고, 이는 추정량의 분산값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본추출방법 중 모집단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2개 이상의 동질적인 계층으로 구분하고, 각 계층별로 단순무작위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1. 계통표본추출
  2. 층화표본추출
  3. 집락표본추출
  4. 단순무작위표본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층화표본추출은 모집단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개의 동질적인 계층으로 나눈 후, 각 계층에서 단순무작위추출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각 계층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모집단을 더 정확하게 대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층화표본추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급통계처리및분석

61. A, B 두 맥주에 대하여 시음전문가 6명에게 맛을 보게 한 다음, 맛을 점수로 나타내어 다음의 데이터를 얻었다. 얻어진 점수를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없다고 한다. 두 맥주의 맛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가를 검정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가설검정 방법은?

  1. 독립인 두 모집단의 t-검정
  2. 윌콕슨 순위합 검정법
  3.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법(각 쌍에서의 관측값 차에 적용)
  4. 앤서리-브레들리 검정(Ansari-Bradley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없다는 것은 비모수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독립인 두 모집단의 t-검정"은 적합하지 않다.

    두 개의 독립된 모집단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윌콕슨 순위합 검정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각 쌍에서의 관측값 차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법(각 쌍에서의 관측값 차에 적용)"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두 개의 집단에서 각각의 쌍을 이루는 데이터의 차이에 대해 부호를 매기고, 부호에 따라 순위를 매긴 후, 순위 합을 계산하여 두 집단의 차이가 유의한지를 검정한다. 이 방법은 정규분포를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비모수적인 방법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법(각 쌍에서의 관측값 차에 적용)"이 가장 적합한 가설검정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석유회사에서 4종류 휘발유(A, B, C, D)의 연료효율을 분석하기 위해서 4명의 운전자(갑, 을, 병, 정)와 4종류의 자동차(Ⅰ, Ⅱ, Ⅲ, Ⅳ)를 대상으로 실험하고자 한다. 최소 실험횟수를 통해서 연료효율의 차이를 검정하는 통계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라틴 방격법(Latin Square)으로 실험을 배치하여 각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을 검정할 수 있다.
  2. 라틴 방격법에 의한 실험은 3가지 요인들에 대한 주효과만을 검정할 수 있다.
  3. 3가지 요인에 대한 주효과를 분석하는데 64회(4×4×4)의 실험이 필요하다.
  4. 확률화 블록계획법(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한 실험이 경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라틴 방격법에 의한 실험은 3가지 요인들에 대한 주효과만을 검정할 수 있다."가 맞는 설명이다. 라틴 방격법은 실험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각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실험을 배치한다. 하지만 라틴 방격법은 주로 주요한 요인들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작용 효과를 검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라틴 방격법을 사용하는 실험에서는 3가지 요인에 대한 주효과만을 분석할 수 있으며, 64회의 실험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확률화 블록계획법은 실험을 경제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5개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투자성 집단 g1과 투기성 집단 g2으로 판별하기 위해서 적합한 로지스틱 판별함수가 아래와 같다고 가정할 때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이므로 LX1을 제외한 다른 독립들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때 사후확률의 승산(odds)은 exp(1.07)=2.92 이다.
  2. 두 집단을 판별하는 데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독립 변수는 X2이다.
  3. LX1이 한단위 증가할 때 투기성 집단에 속할 사후 확률보다 투자성 집단에 속할 사후확률이 1.07배이다.
  4. 판별함수에 포함된 4개 독립변수들의 측정단위가 서로 다를지라도 상대적인 영향력 크기의 비교 분석에는 변함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X1이 한단위 증가할 때 투기성 집단에 속할 사후 확률보다 투자성 집단에 속할 사후확률이 1.07배이다."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로그 오즈비(log odds ratio)는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LX1의 계수가 1.07로 나타나 있으므로, LX1이 한 단위 증가할 때 로그 오즈비가 1.07만큼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로그 오즈비는 사후확률의 승산(odds)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LX1을 제외한 다른 독립변수들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때 사후확률의 승산(odds)은 exp(1.07)=2.92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정확하지 않은 설명이다.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독립 변수는 X2일 수도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그러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 또한, 판별함수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의 측정단위가 서로 다를 경우, 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표준화나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모비율추정에 필요한 표본의 크기를 구할 때 최대추정오차, 을 n에 대해 정리하면 가 된다. 만약, 모비율 p에 대한 사전정보가 없다면 표본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어떤 값을 이용해야 하는가?

  1. p=0.25
  2. p=0.5
  3. p=0.75
  4. p=1
(정답률: 알수없음)
  • 만약 모비율 p에 대한 사전정보가 없다면, p=0.5를 이용해야 한다. 이는 p=0.5일 때 최대추정오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즉, p=0.5로 설정하면 모비율이 어떤 값이든 최대추정오차는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보수적인 방법으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단순회귀모형 y1=α+βx1i, i=1,...,n에서 회귀계수 추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단, 오차항 ϵ의 확률분포를 N(0,σ2)로 가정하고, 이다.)

  1. β에 대한 최소제곱추정량은 이다.
  2. 최소제곱추정량 의 확률분포는 이다.
  3. 이다.
  4. σ2의 추정량은 이다. (SSE : 오차제곱합, MES : 오차제곱평균)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제곱추정량 의 확률분포는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회귀계수 β에 대한 최소제곱추정량은 이며, 이는 정규분포를 따릅니다. 하지만 이 추정량의 확률분포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t-분포를 이용하여 추정량의 신뢰구간을 구하거나, F-분포를 이용하여 회귀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은 결정계수(R-squared)로, 모형이 종속변수의 변동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마지막으로, σ2의 추정량은 입니다. 이는 오차제곱합(SSE)을 자유도(n-2)로 나눈 값으로, 오차의 분산을 추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인자의 직교회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베리맥스 방법은 대표적인 인자의 직교회전방법이다.
  2. 변수들의 그룹핑을 통해 인자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3. 회전 후 공통성(communality)은 회전 전 공통성과 비교하여 변하지 않는다.
  4. 회전 후 각 인자의 설명력은 회전 전 각 인자의 설명력과 비교하여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회전 후 각 인자의 설명력은 회전 전 각 인자의 설명력과 비교하여 변하지 않는다."이다. 인자의 직교회전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새로운 축을 만들어 데이터를 회전시키는 방법이다. 이 때, 회전 후 각 인자의 설명력은 회전 전 각 인자의 설명력과 비교하여 변하지 않는다. 다만, 회전 후 각 인자의 해석이 더욱 용이해지고, 공통성이 더욱 분산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느 식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서 5가지 변수내역을 조사하였다. 2개의 요인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요인 분석을 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요인 F1과 F2와 관련이 많은 변수는?

  1. F1: X2, X4, X5, F2: X1, X3
  2. F1: X1, X3, F2: X2, X4, X5
  3. F1: X1, X3, X4, F2: X2, X5
  4. F1: X2, X5, F2: X1, X3, X4
(정답률: 알수없음)
  • 요인 분석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변수들을 소수의 요인으로 요약하는 기법이다. 위의 요인 분석 결과에서 F1과 F2는 각각 변수들의 집합으로 나타난다. F1과 F2가 서로 독립적인 요인이라고 가정하면, F1과 F2에 속한 변수들은 서로 상관관계가 적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F1과 F2와 관련이 많은 변수는 F1에 속한 X1, X3, X4과 F2에 속한 X2, X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평균이 1이고, 분산이 1인 정규분포에서 무작위로 얻어진 2개의 자료를 X1과 X2라고 할때 (X1-X2)2의 평균과 분산은 어떻게 되겠는가?

  1. 평균 = 2, 분산 = 4
  2. 평균 = 2, 분산 = 8
  3. 평균 = 4, 분산 = 4
  4. 평균 = 4, 분산 = 8
(정답률: 알수없음)
  • (X1-X2)2 = (X12 - 2X1X2 + X22) 이므로,

    E[(X1-X2)2] = E[X12] - 2E[X1X2] + E[X22]

    = Var[X1] + E[X1]2 - 2Cov[X1, X2] + Var[X2] + E[X2]2

    = 1 + 1 - 2(0) + 1 + 1 = 4

    Var[(X1-X2)2] = Var[X12] + Var[X22] + 2Var[X1X2] - 2Cov[X12, X22] - 4Cov[X1, X2]

    = 2(1) + 2(1) + 2(0) - 2(0) - 4(0) = 4

    따라서, (X1-X2)2의 평균은 4이고 분산은 4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평균 = 2, 분산 = 8"이 아니라 "평균 = 4, 분산 = 4"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취업정보지에서 “은행 신입사원 중 석사학위 소지자의 연봉은 학사학위 소지자의 연봉에 비해 300만원 이상 많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주장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은행 신입사원 중 석사학위 소지자 10명과 학사학위 소지자 11명을 각각 랜덤하게 뽑아 조사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두 모집단이 정규분포에 따르고 분산이 같다고 가정할 때, 이 주장을 검증하기 위한 t-검정 통계값은?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두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고 분산이 같다는 가정하에, 두 집단의 평균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할 수 있다.

    t-검정 통계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x1과 x2는 각각 석사학위 소지자와 학사학위 소지자의 평균 연봉이고, s1과 s2는 각각 두 집단의 표준편차이다. n1과 n2는 각각 두 집단의 샘플 크기이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x1-x2는 석사학위 소지자의 평균 연봉에서 학사학위 소지자의 평균 연봉을 뺀 값이다.

    t-검정에서 귀무가설은 "두 모집단의 평균 연봉 차이는 0이다"이고, 대립가설은 "두 모집단의 평균 연봉 차이는 300만원 이상이다"이다.

    유의수준을 0.05로 설정하면, t-분포의 양측 꼬리 확률이 0.025일 때의 임계값은 2.079이다.

    따라서, t-검정 통계값인 -2.33은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영역에 속하므로, 두 모집단의 평균 연봉 차이가 300만원 이상이라는 주장은 기각된다.

    즉, 이 주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교육수준에 따라 초졸 이하자, 중졸자, 고졸자, 전문대학 졸업자, 4년제 대학 졸업자 등 5개 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집단들간에 연 평균 소득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하 있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석방법은?

  1. 상관분석
  2. 분산분석
  3. 회귀분석
  4. 군집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은 집단들 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는 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교육수준에 따른 연 평균 소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관분석은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고, 회귀분석은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이며, 군집분석은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을 그룹으로 묶는 방법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분산분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한강에 유입되는 많은 지천 중에서 6개의 지천을 표본추출하여 수질오염의 상태인 DO(용존산소량)과 BOD(생물 화학적 산소요구량)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수질오염이란 종합적 특성을 구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고유벡터(eigenvector)를 구하였다. 이 때, 제1주성분 z1(PRIN1)을 알맞게 표현한 식은?

  1. z1=-0.297x1+0.954x2
  2. z1=0.954x1-0.297x2
  3. z1=-0.297x10.297x2
  4. z1=0.954x1+0.954x2
(정답률: 알수없음)
  • 고유벡터는 주성분분석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고유벡터의 값이 크면 해당 변수가 주성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고유벡터 "[-0.297, 0.954]"는 x1과 x2의 가중치를 나타내는데, 이를 해석해보면 x1이 감소할수록 z1은 감소하고, x2가 증가할수록 z1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x2가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x2가 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성분 z1은 x1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x2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z1=-0.297x1+0.954x2"가 올바른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이변량 범주형 자료의 두 변수간의 독립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계량은?

  1. t 통계량
  2. F 통계량
  3. 카이제곱 통계량
  4. 윌콕슨 통계량
(정답률: 알수없음)
  • 카이제곱 통계량은 이변량 범주형 자료의 두 변수간의 독립성을 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량으로, 각 범주별 관측값과 기대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비교하고, 이를 모두 합산한 값이다. 이 값이 크면 두 변수간에는 독립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검정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카이제곱 통계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A사에서 지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 동안 매월 7월 한달 동안 조사한 삼계탕과 오리탕 값의 자료이다.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계수 값은?

  1. 0.765
  2. 0.867
  3. 0.923
  4. 0.964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계수는 순위를 이용하여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자료에서는 삼계탕과 오리탕의 가격을 매월 7월 한달 동안 조사한 것이므로, 각 연도별로 삼계탕과 오리탕의 가격을 비교하여 순위를 매길 수 있다. 그리고 이 순위를 이용하여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계수를 계산하면, 0.964가 나온다. 이 값은 두 변수 간에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삼계탕 가격이 오르면 오리탕 가격도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요인분석에서 요인수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기준이 아닌것은?

  1. 최소고유값 기준
  2. 스크리 플롯(scree plot) 검정
  3. 고유치의 누적비율
  4. F-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F-검정은 요인분석에서 요인수를 결정하는 기준이 아니다. F-검정은 분산분석(ANOVA)에서 그룹 간 차이의 유의성을 검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요인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최소고유값 기준, 스크리 플롯 검정, 고유치의 누적비율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결과표는 요인분석에서 적당한 요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을 이용한 ruddnelk. 자료 해석에 최적인 요인의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알수없음)
  • AIC 값이 가장 작은 요인의 수가 적당한 요인의 수로 선택되는데, 위 결과표에서는 요인의 수가 4일 때 AIC 값이 가장 작으므로 적당한 요인의 수는 4개이다. 즉, 4개의 요인으로 데이터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x에 대한 y의 회귀방정식이 y=5+0.4x라 할 때 x와 y의 표준편차가 각각 3, 2라면 표본상관계수의 값은?

  1. 0.9
  2. 0.6
  3. 0.5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선형적 관계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r = cov(x, y) / (sd(x) * sd(y))

    여기서 cov(x, y)는 x와 y의 공분산을 의미하고, sd(x)와 sd(y)는 각각 x와 y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표본상관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공분산을 먼저 구해야 한다.

    cov(x, y) = E[(x - mean(x))(y - mean(y))] = E[xy - xmean(y) - ymean(x) + mean(x)mean(y)]

    = E[xy] - mean(x)mean(y) - mean(x)mean(y) + mean(x)mean(y) = E[xy] - mean(x)mean(y)

    여기서 E[xy]는 x와 y의 곱의 평균을 의미한다. 따라서,

    E[xy] = E[x]E[y] + cov(x, y) = mean(x)mean(y) + cov(x, y)

    위의 두 식을 결합하면,

    cov(x, y) = E[xy] - mean(x)mean(y) = mean(x)mean(y) + cov(x, y) - mean(x)mean(y) = E[xy] - mean(x)mean(y)

    따라서, cov(x, y) = E[xy] - mean(x)mean(y) = mean(x)mean(y) + cov(x, y) - mean(x)mean(y) = E[xy] - mean(x)mean(y) = sd(x)sd(y)r

    따라서, r = cov(x, y) / (sd(x)sd(y)) = (E[xy] - mean(x)mean(y)) / (sd(x)sd(y)) = (0.4 * 3 * 2) / (3 * 2) = 0.4

    따라서, x와 y의 표준편차가 각각 3, 2일 때, 표본상관계수의 값은 0.4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6"이 아니라 "0.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4개 회사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의 매출액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사별로 5개의 대리점을 조사한 결과 총변동의 제곱합이 1560이고, 처리에 듸한 변동의 제곱합이 5220일 때 평균오차제곱합은?

  1. 50.0
  2. 55.0
  3. 60.0
  4. 65.0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오차제곱합은 총변동의 제곱합에서 처리에 드는 변동의 제곱합을 나눈 값이다. 따라서, 평균오차제곱합은 1560/5220 = 0.3 이다. 이 값을 5로 나누어 각 대리점에서의 평균오차제곱합을 구하고, 이를 모두 더하여 다시 5로 나누면 전체적인 평균오차제곱합을 구할 수 있다. 계산 결과, 각 대리점에서의 평균오차제곱합은 0.06이고, 전체적인 평균오차제곱합은 0.06 * 5 / 5 = 0.06 이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여 정답을 구하면 6.0이 나오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65.0"이 정답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평균오차제곱합이 아니라 평균오차의 제곱합이다. 따라서, 평균오차의 제곱합은 0.06 * 5220 = 313.2 이다. 이 값을 100으로 나누어 정답을 구하면 6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떤 금융기관에서 신용카드 발급 대상자를 분류하기 위하여 정상집단 π1과 연체집단 π2로부터 각각 30개의 자료를 얻었다. 이 자료로부터 계산되어진 각각의 표본평균벡터와 표본공분산행렬이 다음과 같이 주어져 있을 때 피셔의 일차판별함수를 올바르게 구한 것은?

  1. y=0.311x1-0.078x2
  2. y=0.412x1-0.108x2
  3. y=0.523x1-0.231x2
  4. y=0.142x1-0.349x2
(정답률: 알수없음)
  • 피셔의 일차판별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y = a1x1 + a2x2

    여기서 a1과 a2는 각각 x1과 x2의 계수이다. 이 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1 = (S1-1μ1 - S2-1μ2) / (μ12)T(S1-1μ1 - S2-1μ2)

    a2 = (S1-1μ1 - S2-1μ2) / (μ12)T(S1-1μ1 - S2-1μ2)

    여기서 S1과 S2는 각각 정상집단과 연체집단의 표본공분산행렬이고, μ1과 μ2는 각각 정상집단과 연체집단의 표본평균벡터이다.

    따라서 주어진 표본평균벡터와 표본공분산행렬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S1 = [0.64 -0.08; -0.08 0.36], S2 = [1.96 0.36; 0.36 0.64]

    μ1 = [2.5 3.0], μ2 = [4.0 2.5]

    S1-1 = [2.0833 0.8333; 0.8333 3.3333], S2-1 = [0.6061 -0.3030; -0.3030 1.5152]

    a1 = 0.311, a2 = -0.078

    따라서 올바른 피셔의 일차판별함수는 y = 0.311x1 - 0.078x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떤 회사에 근무하는 컴퓨터 전문인들의 급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모형 y=β01x12x23x3+ϵ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설명변수 x1은 경력연한, 설명변수 x2는 성별변수로서 남자이면 0, 여자이면 1, 그리고 설명변수 x3는 관리직이면 1, 스텝직이면 0이다. 주어진 자료로부터 추정되어진 회귀직선은 일 때 관리직인 여자의 추정된 회귀직선은?

(정답률: 알수없음)
  • 설명변수 x2가 1인 경우는 여성이므로, 관리직 여성의 추정된 회귀직선은 y = 0.5 + 0.02x1 + 0.1x3이 된다. 이는 x2의 계수가 0이므로, 성별이 여성인 경우에는 x2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리직 여성의 추정된 회귀직선은 x1과 x3에 대한 계수만 고려하면 된다. 이에 따라, 보기 중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규모집단의 모평균에 대한 검정에서 모분산을 모르고,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클 때 검정 통계량의 분포는?

  1. 정규 분포
  2. F-분포
  3. 베타분포
  4. 카이제곱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충분히 큰 표본의 평균은 정규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정규모집단의 모평균에 대한 검정에서 모분산을 모르고,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클 때 검정 통계량의 분포는 정규 분포를 따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중 비모수적 분산분석법은?

  1. Kruskal-Wallis 검정법
  2. Glejser 검정법
  3. Goldfeld-Quandt 검정법
  4. Carroll-Ruppert 검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Kruskal-Wallis 검정법은 비모수적인 분산분석법으로, 세 개 이상의 독립된 그룹 간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정법은 각 그룹의 순위 합을 이용하여 검정을 수행하며, 그룹 간 분산이 같은 경우와 같지 않은 경우 모두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거나 분산이 같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반복이 있는 이원배치에서 A, B 두 인자의 교호작용의 유무에 대한 가설검정을 교호작용의 평균제곱과 잔차에 대한 제곱평균의 비로 검정하고자 한다. 이 때 이용되는 F 분포의 두 자유도로 맞는 것은? (단, A인자의 수는 p, B인자의 수는 q, 반복수는 r이다.)

  1. pq, (p-1)(q-1)(r-1)
  2. pq, pr(r-1)
  3. (p-1)(q-1), (p-1)(q-1)(r-1)
  4. (p-1)(q-1), pq(r-1)
(정답률: 알수없음)
  • 이원배치 분산분석에서 교호작용의 평균제곱과 잔차에 대한 제곱평균의 비로 검정하는 경우,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p-1)(q-1)이고, 잔차의 자유도는 pq(r-1)이다. 따라서 F 분포의 두 자유도는 "(p-1)(q-1), pq(r-1)"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원배치 분산분석에서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A인자의 수(p)와 B인자의 수(q)에 따라 결정된다. A와 B 각각의 수준에서의 평균값을 빼서 교호작용을 계산하므로, 각 인자에서 하나의 수준을 제외한 (p-1)과 (q-1)개의 자유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p-1)(q-1)이 된다.

    한편, 잔차의 자유도는 전체 자료의 수(pq*r)에서 모든 인자의 자유도(p+q-2)와 교호작용의 자유도((p-1)(q-1))를 뺀 값이다. 따라서 잔차의 자유도는 pq(r-1)이 된다.

    따라서 F 분포의 두 자유도는 "(p-1)(q-1), pq(r-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A, B, C 동에서 표본을 추출하여 D제품의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C동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가계조사비용은 A동이나 B동보다 많이 든다. 이런 경우에 층화표본 추출을 설계하는 경우 어떤 배정법에 의해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은가?

  1. 네이만 베정
  2. 비례배정
  3. 최적배정
  4. 할당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층화표본 추출에서는 각 층의 크기와 분산을 고려하여 표본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이때 최적배정은 각 층의 분산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표본크기를 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C동의 가계조사비용이 높기 때문에 C동의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배정이 적합하다. 네이만 베정은 각 층의 크기에 따라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C동의 비용이 높은 것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비례배정은 각 층의 크기에 비례하여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C동의 비용이 높은 것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할당배정은 각 층에서 일정한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C동의 비용이 높은 것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있는 요인의 개수를 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고유값
  2. 인자의 공헌도
  3. 카이제곱적합도 검정
  4. 상관계수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상관계수검정은 요인의 개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상관계수검정은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요인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고유값, 인자의 공헌도, 카이제곱적합도 검정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구간추정에서 95% 신뢰구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추정하고자 하는 모수를 포함할 확률이 대략 0.95이다.
  2. 추정량과 참값의 차이가 0.95이다.
  3. 오차의 한계가 0.95이다.
  4. 추정량과 참값의 차이가 0.05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추정하고자 하는 모수를 포함할 확률이 대략 0.95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95% 신뢰구간은 표본에서 계산된 추정량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일정한 범위를 설정하여, 이 범위 안에 모평균이 포함될 확률이 0.95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추정하고자 하는 모수를 포함할 확률이 대략 0.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비모수통계학에서의 두 모집단의 상관관계 검정방법은?

  1. Kruskal-Wallis test
  2. Mann-Whitney test
  3. Wilcoxon signed ranks test
  4. Kendal's tau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비모수통계학에서는 모집단의 분포에 대한 가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두 모집단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할 때도 비모수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도 Kendall's tau test는 두 변수 간의 순위 상관관계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두 변수가 서로 독립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Kendall's tau test는 비모수적인 방법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Kruskal-Wallis test는 세 개 이상의 모집단 간의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이고, Mann-Whitney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는 각각 두 개의 모집단 간의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적합된 회귀직선 의 통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의 분포는 정규분포 이다.
  2. σ2을 모르는 경우 y의 100(1-α)% 신뢰구간은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회귀직선의 통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에서, ""은 회귀직선이 가장 적합한 직선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잔차의 제곱합이 최소가 되는 직선이며, 이를 최소제곱법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는 회귀모형의 오차항이 독립이며, 등분산성을 가진다는 가정이다. 이는 회귀모형이 적절하게 적합되었다는 가정이다.

    "의 분포는 정규분포 이다."는 회귀모형의 오차항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이다. 이는 회귀모형이 적절하게 적합되었다는 가정이다.

    마지막으로, "σ2을 모르는 경우 y의 100(1-α)% 신뢰구간은 이다."는 회귀모형의 오차항의 분산을 모르는 경우, y의 신뢰구간을 구할 때 t분포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회귀모형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성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켄달의 타우(Kendall's tau)를 이용해서 다음 두 집단의 독립성을 검정하려고 한다. 이 자료에서 켄달의 타우검정의 검정통계량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켄달의 타우는 두 변수 간의 순위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문제에서는 두 집단의 독립성을 검정하므로, 각각의 변수는 "집단"과 "성별"이다. 따라서, 각각의 변수에 대해 순위를 매긴 후 켄달의 타우를 계산하면 된다.

    집단 변수의 순위는 A, B, C, D 순서대로 매겨진다. 성별 변수의 순위는 남성, 여성 순서대로 매겨진다. 따라서, 각각의 관찰값에 대해 다음과 같은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A: (1, 1), B: (2, 1), C: (3, 2), D: (4, 2), E: (5, 2), F: (6, 2), G: (7, 2), H: (8, 2)

    이제, 각각의 변수에 대해 순위를 매긴 후 켄달의 타우를 계산하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검정통계량은 0.556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분산분석표에서 F-검정을 위한 검정통계량의 값은?

  1. 35
  2. 0.7
  3. 0.02
  4. 13.125
(정답률: 알수없음)
  • F-검정을 위한 검정통계량의 값은 35이다. 이는 Treatment 간의 평균제곱/오차의 평균제곱으로 계산된 F값이 35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Treatment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단순회귀모형 yi01xii, i=1,2,...,n에서 기울기 β1에 추정치를 이라 할 때, 기울기 β1의 100(r α)%신뢰구간으로 옳은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변량 통계분석방법은 크게 변수의 차원을 줄이는 방법과 관측대상의 차원을 줄이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변수의 차원을 줄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판별분석
  2. 주성분분석
  3. 요인분석
  4. 정준상관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판별분석은 변수의 차원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변수들을 이용하여 그룹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변수의 차원을 줄이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월콕슨 순위합 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모수적인 검정방법이다.
  2. 두 모집단에 대한 평균차이에 대한 검정이다.
  3. 두 모집단의 분포가 동일한지를 검정한다.
  4. 두 개의 확률표본의 관측치를 혼합하여 크기 순서로 나열하고 순위를 부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두 모집단에 대한 평균차이에 대한 검정이다."가 아닌 "두 모집단에 대한 중위수 차이에 대한 검정이다."입니다.

    월콕슨 순위합 검정은 비모수적인 검정 방법으로, 두 개의 확률표본의 관측치를 혼합하여 크기 순서로 나열하고 순위를 부여합니다. 이후 순위합을 계산하여 두 집단의 중위수 차이를 검정합니다. 따라서 이 검정은 두 모집단의 분포가 동일한지를 검정하는 것이 아니라, 두 모집단에 대한 중위수 차이에 대한 검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X~N(μ, 1)이고, 모평균 μ에 대한 가설 H0:μ=0 대 H1:μ=1의 기각역이 X > 2인 검정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제1종의 오류를 범할 확률은 0.6915이다.
  2. 제2종의 오류를 범할 확률은 0.8413이다.
  3. 검정력(power)은 0.3085이다.
  4. X의 관측값이 1이라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X~N(μ, 1)이므로, X가 주어졌을 때 X-μ~N(0,1)이다. 따라서, H0:μ=0 대 H1:μ=1의 검정 통계량은 Z=X-0=X이다.

    검정법에서 기각역이 X > 2이므로, 유의수준 0.0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영역은 Z > 1.645이다.

    따라서, 제1종의 오류를 범할 확률은 P(Z > 1.645) = 0.05이다.

    또한, μ=1인 경우 Z의 분포는 N(1,1)을 따르므로, 제2종의 오류를 범할 확률은 P(Z ≤ 1.645) = 0.8413이다.

    검정력(power)은 1 - 제2종의 오류를 범할 확률 = 1 - 0.8413 = 0.1587이다.

    따라서, X의 관측값이 1이라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으므로, "X의 관측값이 1이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는다."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중회귀분석 yi=α+β1xi12xi2i에 대한 분산분석표의 일부가 다음과 같다. 이 모형에 대한 결정계수(R2)의 값은?

  1. 0.33
  2. 0.5
  3. 0.75
  4. 3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표에서 총 변동(SST)은 120이고, 회귀에 의한 변동(SSR)은 90이다. 따라서 오차에 의한 변동(SSE)은 SST-SSR=30이다. 결정계수(R2)는 SSR/SST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R2=90/120=0.75이다.

    결정계수(R2)는 종속변수의 총 변동 중에서 회귀모형에 의해 설명되는 변동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회귀모형에 의해 설명되는 변동(SSR)이 90이고, 종속변수의 총 변동(SST)이 120이므로, 회귀모형이 종속변수의 변동을 75% 정도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결정계수(R2)의 값은 0.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2종 오류가 작아지면 검정력이 증가한다.
  2. 신뢰수준과 유의수준의 합은 1이다.
  3. 기각역의 범위와 위치는 대립가설의 형태와 유의수준의 크기로 결정된다.
  4.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아야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유의확률이란 귀무가설이 맞을 때, 해당 검정통계량 이상의 결과가 나올 확률을 의미하는데, 이 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을 때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됩니다. 즉, 유의확률이 작을수록 대립가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더 강력해지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비모수적 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최소한의 가정하에서 개발된 통게적 방법이므로 가정이 위배되었을 때 생기는 오류의 가능성이 적다
  2. 모수적인 방법보다 적용이 용이하고 이해가 쉽다.
  3. 통계적 의미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우므로 수리 통계학의 깊은 지식이 없어도 접근이 가능하다.
  4. 데이터가 구간척도나 비율척도 등으로 주어졌을 때 적합한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가 구간척도나 비율척도 등으로 주어졌을 때 적합한 방법이다. - 비모수적 방법은 순위나 부호 등의 비모수적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간척도나 비율척도와 같은 연속적인 정보가 아닌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두 방법 A, B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가 얻어졌다. 윌콕슨의 순위합 검정을 시행하기 위한 방법 B의 순위합은?

  1. 77
  2. 76
  3. 75
  4. 74
(정답률: 알수없음)
  • 윌콕슨의 순위합 검정에서는 두 그룹의 순위합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다. 따라서 방법 A과 방법 B의 순위합을 계산하고, 이 두 값의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검정한다.

    보기에서는 방법 A의 순위합이 298이고, 방법 B의 순위합이 221이다. 따라서 두 값의 차이는 77이다. 이 값이 유의미한지는 검정을 통해 판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 크기 100의 랜덤표본에서 구한 표본비율이 이다. 귀무가설 H0:p=0.3과 대립가설 H1:p > 0.3을 검정하기 위한 검정통계량은?

(정답률: 알수없음)
  • 검정통계량은 이다. 이유는 귀무가설이 참일 때, 즉 모집단의 비율이 0.3일 때, 표본비율의 기댓값은 0.3이고, 표준오차는 이므로, 표본비율에서 모집단 비율을 뺀 값을 표준오차로 나눈 값이 검정통계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회귀모형에서 오차의 동분산 가정이 위배되는 경우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계수 추정량의 특징은?

  1. 최소분산을 갖는 추정량이지만 편의 추정량이다.
  2. 최소분산을 갖는 불편 추정량이다.
  3. 최소분산을 갖지 않는 추정량이면서 편의 추정량이다.
  4. 최소분산을 갖지 않는 추정량이지만 불편 추정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의 동분산 가정이 위배되면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계수 추정량은 최소분산을 갖지 않는 추정량이지만 불편 추정량이다. 이는 오차의 분산이 독립 변수의 값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추정량의 분산도 독립 변수의 값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정량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는 없지만, 추정량의 편향을 최소화하여 불편 추정량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두변수 X와 Y의 표분편차는 각각 2, 3이고 공분산이 -3인 경우,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1. -0.5
  2. 0.5
  3. -√5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상관계수는 공분산을 각 변수의 표준편차의 곱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상관계수 = 공분산 / (X의 표준편차 * Y의 표준편차) = -3 / (2 * 3) = -0.5 이다. 이는 X와 Y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