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9-26)

사회조사분석사 1급
(2020-09-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

1. 질문지 구성 문항 중 가장 적절한 질문형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실험설계의 내적·외적타당도의 저해요인과 그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연한 사건(history) : 연구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어떤 사건이 발생하여 조사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
  2. 통계적 회귀(statistical regression) : 사전검사에서의 극단적인 결과 점수가 사후검사에서도 지속되는 것
  3. 실험대상의 소멸(mortality) : 실험대상의 이탈로 인해 독립변수의 효과가 왜곡되는 것
  4. 시험효과(testing effect) : 처음의 측정 경험이 다음 측정에 영향을 주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통계적 회귀(statistical regression)는 사전검사에서의 극단적인 결과 점수가 사후검사에서도 지속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극단적인 결과는 우연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후검사에서는 평균적인 결과로 회귀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설문조사로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연구주제는?

  1. CCTV설치 여부와 범죄와의 관계
  2. 비행친구와 사귀는 것과 범죄와의 관계
  3. 실업률과 범죄율과의 관계
  4. 처벌의 두려움과 범죄와의 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실업률과 범죄율과의 관계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어서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결하기 어려운 연구주제입니다. 예를 들어, 실업률이 높아지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인과관계가 아니며,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순수실험설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조작
  2. 조사대상의 무작위 추출
  3. 측정시기 통제
  4. 측정대상 통제
(정답률: 알수없음)
  • 순수실험설계에서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조작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지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조작"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실험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법들이지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조작"은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실험 설계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통합하는 혼합연구(mixed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1. 혼합연구는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통합하여 보다 전체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ㄱ, ㄴ, ㄷ, ㄹ" 모두 옳은 설명이 될 수 있다.
    2. "ㄱ, ㄷ"는 혼합연구에서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 중 일부만을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3. "ㄷ, ㄹ"은 혼합연구에서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병렬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질적 연구방법의 엄밀성(rigorousness)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각적 방법(triangulation)의 활용
  2. 예외적인 사례의 분석
  3. 연구자와 연구대상 간의 공식적 관계 유지
  4. 연구대상을 통한 재확인
(정답률: 알수없음)
  • 연구자와 연구대상 간의 공식적 관계 유지는 질적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원칙 중 하나이며, 연구자의 주관적인 편견이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구대상과의 관계를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관계로 유지해야 하며, 연구대상의 개인적인 정보나 이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는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구문제의 선정에 있어서 옳지 않은 것은?

  1. 이론적으로 또는 실용적으로 가치가 있는 주제이어야 한다.
  2. 새롭고 참신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좋다.
  3.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문헌고찰을 한 후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해결한다.
  4. 모든 연구에 있어서 가설 설정은 꼭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설 설정은 연구의 목적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든 연구에 있어서 가설 설정은 꼭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단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단연구는 횡단연구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
  2. 장기간의 연구시기를 필요로 한다.
  3. 패널연구와 동향연구가 대표적이다.
  4.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조건이 연구기간 동안 같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연구는 횡단연구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종단연구가 장기간의 연구시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조건이 연구기간 동안 같아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표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패널연구와 동향연구가 종단연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어떤 실험설계에 해당하는가?

  1. 사전실험설계
  2. 순수실험설계
  3. 유사실험설계
  4. 사후실험설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실험설계는 "유사실험설계"에 해당한다. 이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선정하지 않고, 이미 존재하는 집단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이미 존재하는 집단의 특성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외생변수의 효과를 제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내용분석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구중간에 연구수정이 용이하다.
  2. 이미 사망한 사람의 연구가 가능하다.
  3. 수량화작업이 불가능하다.
  4. 코딩(coding)하는 사람에 따라 내용에 대한 분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분석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용분석법은 연구 중간에 수정이 용이하고, 이미 사망한 사람의 연구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내용을 수량화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분석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주관적인 해석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양적연구방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깊이 있는 이해 목적
  2. 새로운 현상의 연구목적
  3. 원인이 결과를 낳는지 입증하기 위한 연구
  4. 개별사례 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연구방법은 대규모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특징 중 "원인이 결과를 낳는지 입증하기 위한 연구"는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한 요인이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등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고서 작성 시 고려되어야 할 유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 여부
  2. 연구계획이 과학적 절차에 부합여부
  3.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된 적합한 도구의 사용 여부
  4. 확률표집방법의 활용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보고서 작성 시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 연구계획의 과학적 절차,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된 적합한 도구의 사용은 모두 중요한 요소이지만, 확률표집방법의 활용여부는 보고서 작성 시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확률표집방법은 표본을 추출할 때 모집단의 모든 개체가 동일한 확률로 추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보고서 작성 시에는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의 표본을 사용하고, 표본 추출 방법은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확률표집방법의 활용여부는 보고서 작성 시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과관계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사건의 영향으로 다른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인과관계의 추론은 과학적 방법으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사회과학이란 원인과 결과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4. 사회과학은 순환론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과학은 순환론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사회과학은 단순히 순환론적 인과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설문지의 보조 도구의 사용이 가장 제한적인 조사방법은?

  1. 전화조사
  2. 우편조사
  3. 집단조사
  4. 면접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조사는 대상자의 시각적인 자극이 없기 때문에 설문지의 보조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전화조사는 보조 도구의 사용이 가장 제한적인 조사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개방형질문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약물남용의 다양한 이용 동기를 알고 싶을 때
  2. 직업의 종류를 알고 싶을 때
  3. 무응답을 줄이려고 할 때
  4. 탐색조사를 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방형질문은 상대방의 자유로운 의견을 듣기 위해 사용하는 질문 방법이다. 따라서 무응답을 줄이려고 할 때는 개방형질문보다는 단순한 질문이나 객관적인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후실험설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가설의 실제적 가치 및 현실성을 높일 수 있다.
  2. 분석 및 해석에 있어 편파적이거나 근시안적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다.
  3. 순수실험설계에 비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있다.
  4. 조사의 과정 및 결과가 객관적이며 조사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수실험설계에 비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있다."는 올바른 특징이 아닙니다. 사후실험설계는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한 조사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특징은 틀린 것입니다.

    가설의 실제적 가치 및 현실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은 사후실험설계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이미 일어난 사건을 조사하기 때문에 가설을 검증하고 현실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석 및 해석에 있어 편파적이거나 근시안적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은 사후실험설계의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조사의 과정 및 결과가 객관적이며 조사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사후실험설계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이미 일어난 사건을 조사하기 때문에 조사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참여관찰의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참여관찰의 장점은 다양한 시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참여자들은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의견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더욱 다양하고 포괄적인 의견을 수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인 이유는 이러한 참여관찰의 장점이 "다양한 시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관찰조사에서 자기 자신을 완전히 감추어 버리거나, 완전히 공개적으로 관찰하는 조사자의 참여수준은?

  1. 완전참여자
  2.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3.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4. 완전관찰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전관찰자"입니다. 완전관찰자는 자신을 완전히 감추지 않고, 관찰 대상에게 자신의 존재를 공개적으로 알리지 않으면서도 관찰을 수행하는 참여자입니다. 따라서 완전관찰자는 관찰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관찰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례연구방법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양적 연구
  2. 현상주의적 방법
  3. 전체적(holistic) 방법
  4. 맥락과 과정의 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사례연구방법의 특징은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맥락과 과정을 중요시하며 전체적인(holistic)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현상주의적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이나 조직의 경험과 행동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이에 비해 양적 연구는 통계적인 분석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양적 연구는 사례연구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법칙정립적 인과관계의 판단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두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2. 시간적으로 원인이 결과에 우선하여 발생해야 한다.
  3. 예외를 발견함으로써 인과관계를 부정할 수 있다.
  4. 결과가 제3의 변수에 의해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법칙정립적 인과관계의 판단기준은 "예외를 발견함으로써 인과관계를 부정할 수 있다." 입니다. 이는 인과관계를 판단할 때,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 예외적인 상황이나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방에서 식물이 잘 자란다는 것을 관찰했다고 가정해보면, 이는 햇빛이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에서 식물이 자라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한다면, 햇빛이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외적인 상황이나 변수를 고려하지 않으면 인과관계를 잘못 추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질문지 설계에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회수율의 고려
  2. 선도형 등의 유도형 질문회피
  3. 이중목적 질문의 사용으로 신뢰성 확보
  4. 사생활정보의 보호
(정답률: 알수없음)
  • 이중목적 질문은 질문 하나에 여러 개의 의도를 담아서 묻는 것으로, 응답자가 혼란스러워하거나 정확한 답변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중목적 질문의 사용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캐어묻기(probing)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곳은?

  1. 우편조사
  2. 자동화된 전화조사
  3. 면접조사
  4. 온라인 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캐어묻기는 상대방의 의견이나 생각을 더 자세히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접조사에서는 지원자의 경험, 역량, 성격 등을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캐어묻기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우편조사나 자동화된 전화조사, 온라인 조사는 상대방과 대면하지 않고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이므로 캐어묻기 기법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2차 자료(secondary data)가 아닌 것은?

  1. 정부가 발행한 통계연보에서 수집한 자료
  2. 신문에서 나온 것을 수집한 자료
  3. 은행 등의 기관에서 발행된 것을 수집한 자료
  4. 표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이다.

    이유는 표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직접 수집한 1차 자료(primary data)이기 때문이다. 2차 자료는 이미 존재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것으로, 정부가 발행한 통계연보나 신문에서 나온 기사, 은행 등의 기관에서 발행된 보고서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존 스튜어트 밀(Mill)은 현상 또는 변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음 중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한 3가지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일치(agreement) 방법
  2. 일반화(generalization) 방법
  3. 차이(difference) 방법
  4. 동시변화(concomitant variation)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화 방법은 특정한 사례나 상황에서 얻은 결과를 일반적인 법칙으로 일반화하여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특정한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법칙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한 유효한 방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일반화(generalization)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사윤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사자는 응답자 등의 자료원을 보호해야 한다.
  2. 응답자에게 막연한 설명을 하면서 면접에 동의하도록 유도해서는 안 된다.
  3. 응답자에게 정신적 부담을 주어서는 안 된다.
  4. 응답자에게 도움이 된다면 어떤 자료를 수집해도 상관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답자에게 도움이 된다면 어떤 자료를 수집해도 상관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응답자의 개인정보와 권리를 침해할 수 있으며, 조사의 목적과 필요성에 비례하여 적절한 자료만 수집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설이 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2. 구체적이고 분명해야 한다.
  3.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어야 한다.
  4. 가치판단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설은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가치판단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는 가설이 되기 위한 조건이 아니다. 가치판단은 주관적이며, 과학적인 검증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설은 검증 가능하고 구체적이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보고서 내용의 일부이다. 이 연구의 분석단위는?

  1. 개인
  2. 집단
  3. 공식적 사회조직
  4. 사회적 가공물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연구에서 분석하는 대상은 여러 개인이 모여 이루는 집단이다. 이는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여러 개인이 모여 있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집단"이다. "개인"은 분석대상이 아니며, "공식적 사회조직"과 "사회적 가공물"은 이 연구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질문의 응답범주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포괄적이면서 상호배타적이다.
  2. 포괄적이지 않지만 상호배타적이다.
  3. 포괄적이지만 상화배타적은 아니다.
  4. 포괄적이지도 상호배타적이지도 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응답범주는 "예"와 "아니오" 두 가지이며, 이 두 가지는 서로 배타적인 관계에 있다. 즉, "예"와 "아니오"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상호배타적이다. 그러나 보기에는 모든 가능한 응답을 포괄하는 것이 아니므로 포괄적이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포괄적이지 않지만 상호배타적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온라인 조사의 최대 쟁점은?

  1. 표본의 대표성
  2. 복수응답의 가능성
  3. 유인요소
  4. 질무지 설계 및 작성
(정답률: 알수없음)
  • 온라인 조사에서 표본의 대표성은 최대 쟁점이다. 이는 온라인 조사에서 표본을 선정할 때,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면, 조사 결과가 신뢰성이 떨어지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본의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샘플링 방법을 사용하고, 샘플링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샘플링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회적 변화를 개인 행위자 수준에서 파악하는데 가장 적합한 조사 방법은?

  1. 추세조사
  2. 패널조사
  3. 코호트조사
  4. 실험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패널조사는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한 대상을 추적 조사하는 방법으로, 개인의 행동 변화를 파악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조사 방법들은 일시적인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패널조사는 장기적인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더욱 유용합니다. 따라서, 사회적 변화를 개인 행위자 수준에서 파악하는 데에는 패널조사가 가장 적합한 조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I

31. 소시오메트리 척도 사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장조사
  2. 집단 내 사기
  3. 조직 내 권력 구조
  4. 사회적 적응 부조화
(정답률: 알수없음)
  • 소시오메트리 척도는 사회적 관계를 측정하는 도구로, 집단 내 사기, 조직 내 권력 구조, 사회적 적응 부조화와 관련된 요소들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조사는 소비자들의 선호도나 시장 동향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소시오메트리 척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시장조사가 소시오메트리 척도 사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본격적인 조사작업을 실시하기 이전에 그 분야에 필요한 예비지식을 얻기 위한 기초조사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문헌조사
  2. 전문가 의견조사
  3. 사전검사
  4. 표본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표본조사

    표본조사는 본격적인 조사작업을 실시하기 이전에 그 분야에 필요한 예비지식을 얻기 위한 기초조사가 아닌, 본격적인 조사작업에서 실시하는 조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표본조사는 모집단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조사하는 방법으로, 추출된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본조사는 본격적인 조사작업에서 실시하는 방법으로, 예비지식을 얻기 위한 기초조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비율척도를 적용할 수 있는 측정대상에 해당하는 것은?

  1. 학교성적 석차
  2. 온도
  3. 주가지수
  4. 무게
(정답률: 알수없음)
  • 비율척도는 측정 대상의 크기나 양을 숫자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척도이며, 무게는 양을 숫자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율척도를 적용할 수 있는 측정대상에 해당합니다. 반면 학교성적 석차는 순서만 나타내고 크기나 양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비율척도가 아닙니다. 온도와 주가지수도 크기나 양을 나타내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없어서 비율척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층화표집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집단의 특수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표본의 편중을 줄일 수 있다.
  2. 단순무작위표집과 같은 표본의 무작위성이 확보되면서 불필요한 분산을 줄여준다.
  3. 모집단의 성격이 동질적이든 아니든 골고루 추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4. 별도의 층화목록(stratified lists)이 없어도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별도의 층화목록(stratified lists)이 없어도 이용할 수 있다." 입니다. 층화표집은 모집단을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층화목록이 없으면 층화표집을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비체계적 오차(random error)의 발생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호손효과
  2. 표본의 대표성 결여
  3. 측정자의 가변성
  4. 피측정자의 지식결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호손효과"입니다.

    호손효과는 측정 대상자가 실험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게 반응하거나, 실험자의 선호나 편견에 따라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비체계적 오차 중에서도 주관적인 요소에 의한 오차로, 다른 세 가지 보기는 객관적인 요소에 의한 오차입니다.

    표본의 대표성 결여는 측정 대상자를 대표하는 표본이 적절하지 않거나, 측정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측정자의 가변성은 측정자의 기술적인 능력이나 경험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피측정자의 지식결여는 측정 대상자가 측정하려는 내용에 대해 충분한 이해나 지식이 없어서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비체계적 오차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호손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설문지에서 혼인 경험을 묻는 문항에 대해서 혼인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이후 문항에서 이혼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을 경우 어떤 조치가 필요한 상황인가?

  1. 요효코드 클리닝
  2. 상황적 클리닝
  3. 사전부호화(edge) 코딩
  4. 직접(direct) 코딩
(정답률: 알수없음)
  • 상황적 클리닝은 응답자의 응답이 모순되거나 불가능한 경우, 이전 문항의 응답을 다시 확인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혼인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이후 문항에서 이혼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 상황적 클리닝을 통해 이전 문항의 응답을 다시 확인하고 수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 연구자가 “신앙심”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측정에서는 응답자들이 종교의 중요성과 일상생활에서의 기도와 고백의 가치에 관한 질문에 답하도록 요구되었다. 다음 중 어느 것이 이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가장 잘 검증해주는 기준 변인(criterion variable)이 될 수 있는가?

  1. 응답자들에게 그들이 진보적인지 보수적인지 묻는 것
  2. 응답자들이 교회예배에 얼마나 헌신적으로 참여하는 지를 묻는 것
  3. 응답자들이게 공립학교에서의 기도조직을 승인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것
  4. 응답자들이 자신들의 종파적 선호(기독교, 카톨릭, 불교 등)를 선택하도록 묻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응답자들이 교회예배에 얼마나 헌신적으로 참여하는 지를 묻는 것이 이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가장 잘 검증해주는 기준 변인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이 척도가 종교적인 신앙심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교회예배에 헌신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종교적인 신앙심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는 것이 이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가장 잘 검증해줄 수 있는 기준 변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조사가설의 내용
  2. 연구자의 수
  3. 조사비용의 한도
  4. 모집단의 동질성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크기는 연구자의 수와는 무관하며, 조사가설의 내용, 조사비용의 한도, 모집단의 동질성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연구자의 수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비확룔표집을 사용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모집단의 특서잉 매우 다양할 경우
  2. 모집단을 규정지을 수 없는 경우
  3. 표본오차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
  4. 본조사에 앞서 탐색적 연구가 필요할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모집단의 특성이 매우 다양할 경우"는 비확률표집을 사용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이유입니다. 이는 모집단의 특성이 다양하다는 것은 모집단을 대표하는 샘플을 뽑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집단의 특성이 다양할 경우, 확률표집보다는 비확률표집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에서 표본조사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1. 라면 신제품 광고에 대한 인지도 조사
  2. 맥주회사들의 연간 평균 맥주생산량 조사
  3. 비표본오차(non-sampling error)를 최소화하려고 할 때
  4. 소비자물가지수를 위한 상품가격 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맥주회사들의 연간 평균 맥주생산량 조사는 모집단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고, 모집단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표본조사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정부의 한 부처에서 기본적인 업무 수행 능력이 우수한 사람들을 공직적격성 평가시험을 통해 공무원으로 선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험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예측타당도 - 내용타당도
  2. 기준관련 타당도 - 내적타당도
  3. 내용타당도 - 구성체타당도
  4. 예측타당도 – 기준관련 타당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부 부처에서 공무원으로 선발하기 위한 공직적격성 평가시험에서는 예측타당도와 내용타당도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예측타당도는 시험 결과가 실제 업무 수행 능력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고, 내용타당도는 시험 문항이 실제 업무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가 높을수록 공무원으로서의 업무 수행 능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체계적 오차의 주요 발생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1. 설문지 문항 수
  2. 사회적 바람직성
  3. 복잡한 응답절차
  4. 응답자의 기분
(정답률: 알수없음)
  • 체계적 오차는 조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모든 응답자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오차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사회적 바람직성"은 응답자들이 자신의 의견이나 행동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을 선택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즉, 응답자들은 자신의 의견이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조사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응답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향성은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신뢰성 측정방법인 반분법(split-half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뢰성 측정을 위해 두 개의 척도를 만들어야 한다.
  2. 어떻게 반분하느냐에 따라 상관계수가 달라질 수 있다.
  3. 첫 번째 조사가 두 번째 조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신뢰도가 낮을 경우 어떤 문항을 제거해야 할지 알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분법은 하나의 척도를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점수를 비교하여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때, 어떻게 반분하느냐에 따라 상관계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반분하는 방법에 따라 각 부분의 점수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분법을 사용할 때는 반분하는 방법을 명확히 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 또한, 첫 번째 조사가 두 번째 조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반분법을 적용할 때는 두 조사 간의 시간 간격을 충분히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뢰도가 낮을 경우 어떤 문항을 제거해야 할지 알 수 있으므로, 반분법은 척도 개발 및 수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척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일문항보다 척도사용이 측정오류를 줄일 수 있다.
  2.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는 명목척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거트만 척도(Guttman scale)는 단일차원적이며 동시에 누적적이다.
  4. 서스톤 척도(Thurstone scale)는 등간척도라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는 명목척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리커트 척도는 등간척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처음에는 소수의 응답자들을 찾아내어 면접하고, 다음 단계에서는 이들이 소개한 사람들을 면접하는 방식으로 표본크기를 늘려가는 표본추출방법은?

  1. 편의표집
  2. 할당표집
  3. 군집표집
  4. 눈덩이표집
(정답률: 알수없음)
  • 눈덩이표집은 초기 표본을 뽑은 후, 해당 표본 내에서 추가적인 표본을 뽑는 방식입니다. 즉, 초기 표본에서 선택된 응답자들이 다른 응답자들을 추천하거나 소개하여 추가적인 표본을 뽑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초기 표본에서 선택된 응답자들이 특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해당 특성을 가진 다른 응답자들을 뽑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크론바하 알파값(cronbach's alpha)으로 계산하는 신뢰성 측정유형은?

  1. 반분법(split-half method)
  2. 재검사법(test-trtest method)
  3. 복수양식법 parallel-forms technique)
  4. 내적일관성법(internal consistency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론바하 알파값은 내적일관성법으로 계산하는 신뢰성 측정유형이다. 내적일관성법은 하나의 테스트나 척도 내에서 항목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그들이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크론바하 알파값은 이러한 항목들 간의 상호관계를 측정하여 그들이 얼마나 일관성 있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코딩 시 주의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모든 항목을 숫자로 입력해야 분석이 용이하다.
  2. 무응답과 “모르겠다”의 구분을 명확히 해야 한다.
  3. 칸을 입력할 때 응답을 고려하여 넉넉하게 칸을 배정하는 것이 좋다.
  4. 자유형식보다 고정형식으로 코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형식보다 고정형식으로 코딩하는 것이 좋다."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주요한 사항들입니다.

    "칸을 입력할 때 응답을 고려하여 넉넉하게 칸을 배정하는 것이 좋다."는 데이터의 누락이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입니다. 예를 들어, "나이" 항목에서 "20대"라는 응답이 들어올 경우, 이를 어떤 숫자로 변환할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이때, 넉넉하게 칸을 배정하면 "20대"를 "20"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군집표집(clster sampl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전체 모집단의 목록표(frame)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
  3. 선정된 각 군집(cluster)은 다른 조사의 표본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4. 군집간이 동질적이면 오차의 개입가능성이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군집표집의 장점 중 군집간이 동질적이면 오차의 개입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은, 즉 군집 내부의 개체들이 서로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 해당 군집을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군집 내부의 비슷한 특성들이 표본 추출 시에도 유지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통해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측정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오차에는 비체계적 오차와 체계적 오차가 있다.
  2. 비체계적 오차란 우연히 발생하는 오차이며 신뢰도와 관련된 오차이다.
  3. 체계적 오차란 편견이 개입된 경우로서 타당도와 관련된 오차이다.
  4. 행동과 연결되지 않는 바람직한 응답만 하려는 경우는 비체계적 오차에 해당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행동과 연결되지 않는 바람직한 응답만 하려는 경우는 비체계적 오차에 해당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체계적 오차에 해당된다. 비체계적 오차는 우연히 발생하는 오차로, 응답자의 실수나 기억력 등과 관련된 오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후보자 선호순위, 학교성적 석차 및 사회계층 등에 사용되며 중앙값으로 평균을 측정하는 척도는?

  1. 명목척도
  2. 서열척도
  3. 등간척도
  4. 비율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서열척도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각 데이터의 위치를 비교하여 중앙값으로 평균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따라서 후보자 선호순위, 학교성적 석차 및 사회계층 등과 같은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하다. 명목척도는 단순히 분류하는 데에 사용되며, 등간척도와 비율척도는 숫자 간의 간격이 일정한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내용타당도
  2. 구성타당도
  3. 기준관련 타당도
  4. 예측타당도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설문조사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구성타당도"를 나타낸다. 구성타당도란, 설문조사에서 사용되는 질문들이 서로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즉, 같은 주제에 대한 질문들이 서로 연관성이 있고 일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강아지를 키우는 방법"이라는 주제에 대한 질문들이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사례에서 A 연구원이 고려하지 못한 타당성 저해요인은?

  1. 우연적 사건(history)
  2. 실험대상의 소멸(mortality)
  3. 통계적 회귀(statistical regression)
  4. 시험효과(testing effect)
(정답률: 알수없음)
  • A 연구원이 선택한 참여자들은 초기에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이들의 점수가 평균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통계적 회귀(statistical regression)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연구 결과를 왜곡할 수 있는 타당성 저해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표본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오차(sampling error)는 줄어든다.
  2. 잘 선정된 표본이라면 표본의 규모가 반드시 크지 않더라도 모집단을 효율적으로 대표할 수 있다.
  3. 모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모집단의 동질성이 강할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져야 한다.
  4.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는 모집단의 크기, 표본 추출방법, 조사를 위해 활용 가능한 자원의 양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모집단의 동질성이 강할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져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모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져야 하는 것은 맞지만, 모집단의 동질성이 강할수록 표본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모집단이 동질적이면 표본의 크기를 줄여도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연속변수와 이산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연속변수는 사람·대상물 또는 사건을 그들 속성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2. 이산변수는 측정한 값들이 척도상에서 무한대로 미분해도 가능하리만큼 연속성을 띤 것으로 거의 무한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3. 가장 단순한 이산변수는 이분(dichotomous)변수로 단지 특정한 속성이 있느냐 없는냐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다.
  4. 명목척도·서열척도는 연속변수와 관련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단순한 이산변수는 이분(dichotomous)변수로 단지 특정한 속성이 있느냐 없는냐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다. 이는 이산변수가 연속변수와 달리 불연속적인 값을 가지며, 이분변수는 두 가지 값만을 가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별은 이분변수로 남성 또는 여성 두 가지 값만을 가지며, 이는 연속적인 값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1000명을 번호 순서대로 배열한 모집단에서 4번이 처음 무작위로 선정되고 9번, 14번, 19번, … 등이 차례로 체계적(systematic) 표집을 통해 선정되었다. 이 표집에서 표집간격( ㄱ )과 표본수( ㄴ )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 4, ㄴ : 200
  2. ㄱ : 4, ㄴ : 250
  3. ㄱ : 5, ㄴ : 200
  4. ㄱ : 5, ㄴ : 250
(정답률: 알수없음)
  • 표집간격은 모집단의 크기를 표본의 크기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표본수가 200이고 첫 번째 표본이 4번이므로 표집간격은 (1000-4)/200 = 4.98이다. 하지만 체계적 표집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계산하므로 표집간격은 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 5, ㄴ :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측정의 수준과 그 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명목척도로 측정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정답은 "ㄴ"이다. 명목척도는 각 항목이 서로 구분되는 것만을 나타내며, 순서나 크기 등의 의미는 없다. 따라서 "ㄱ, ㄷ"와 "ㄴ, ㄷ"는 틀린 짝지어짐이고, "ㄱ, ㄴ, ㄷ"는 순서와 크기를 나타내는 등급척도와 관련된 것이므로 틀린 짝지어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한 연구자가 한국인의 식습관 조사를 위하여 각 가구의 주부를 면접하여 가구구성원들의 식습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단위 – 관찰단위 – 표집단위는 각각 무엇인가?

  1. 주부 – 가구구성원 - 가구
  2. 가구구성원 – 주부 - 가구
  3. 가구 – 가구구성원 - 주부
  4. 가구 – 주부 – 가구구성원
(정답률: 알수없음)
  • 분석단위는 가구구성원, 관찰단위는 주부, 표집단위는 가구이다. 이는 연구자가 각 가구의 주부를 면접하여 가구구성원들의 식습관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구구성원이 분석단위이고, 주부가 관찰단위이며, 가구가 표집단위이다. 따라서, "가구구성원 – 주부 - 가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 안에 포함된 모든 의미를 포괄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

  1. 동시타당도
  2. 판별타당도
  3. 집중타당도
  4. 내용타당도
(정답률: 알수없음)
  • "내용타당도"는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 안에 포함된 모든 의미를 포괄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척도의 타당도를 나타내는 다른 측면들을 나타내는데, "동시타당도"는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두 개의 척도가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 정도를, "판별타당도"는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는 두 개의 척도가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 정도를, "집중타당도"는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집중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척도와 지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척도와 지수는 변수에 대한 서열측정이다.
  2. 척도의 지수는 변수의 합성측정이다.
  3. 지수는 변수측정에 사용된 문항들 각각의 강도를 고려하기 때문에 척도보다 더 나은 방법이다.
  4. 지수는 개별 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를 합산해서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수는 변수측정에 사용된 문항들 각각의 강도를 고려하기 때문에 척도보다 더 나은 방법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지수는 개별 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를 합산해서 구성하는 것이 맞습니다. 척도와 지수는 각각 다른 측정 방법이며, 어떤 것이 더 나은 방법인지는 측정하려는 변수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척도는 변수의 서열측정을 위해 사용되며, 지수는 변수의 합성측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어떤 것이 더 나은 방법인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며, 연구자가 적절한 측정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작적 정의는 측정을 위해서 불가피하다.
  2. 개념적 정의는 추상적 수준의 정의이다.
  3. 조작적 정의는 인위적이기 때문에 가능한한 피해야 한다.
  4. 개념적 정의는 조작적 정의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조작적 정의는 인위적이기 때문에 가능한한 피해야 한다." 이다. 이유는 조작적 정의는 측정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정의이기 때문에, 그 측정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조작적 정의를 사용할 때는 그 측정 방법을 명확히 정의하고, 가능한 한 다양한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검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급통계처리및분석

61. 고객 만족도의 평균을 추정하기 위하여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려고 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총경비
  2. 허용오차
  3. 표준편차
  4. 유의확률
(정답률: 알수없음)
  • 고객 만족도의 평균을 추정하기 위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 총경비, 허용오차, 표준편차는 모두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유의확률은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유의확률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유의확률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 유의확률은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회귀모형 yi = α + βxi + εi에서 회귀계수의 추정치 의 표준오차를 가능한 작게 하고자 한다. 설명변수 xi는 0부터 5사이의 값을 가지며 6개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할 때, 다음 중 설명변수 xi의 값을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의 표준오차를 가장 작게 하는가?

  1. 0,1,2,3,4,5
  2. 2,2,2,3,3,3
  3. 0,0,0,5,5,5
  4. 2,3,3,4,4,5
(정답률: 알수없음)
  • 설명변수 xi의 값이 가능한 범위인 0부터 5사이에서 균등하게 분포하면, 회귀계수의 추정치 의 표준오차가 가장 작아진다. 이는 설명변수의 값이 골고루 분포할 때, 회귀선이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0,1,2,3,4,5"나 "2,3,3,4,4,5"와 같이 설명변수의 값이 불균등하게 분포하는 경우보다, "0,0,0,5,5,5"와 같이 균등하게 분포하는 경우가 의 표준오차를 가장 작게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중회귀분석의 변수선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진선택법은 완전모형부터 시작한다.
  2. 후진제거법은 완전모형에서 시작한다.
  3. 단계적선택법은 후진제거법을 기준으로 실행한다.
  4. 단계적선택법은 완전모형에서 출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후진제거법은 완전모형에서 시작한다."이다.

    다중회귀분석에서 변수선택법은 모형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변수들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변수선택법에는 전진선택법, 후진제거법, 단계적선택법 등이 있다.

    전진선택법은 변수를 하나씩 추가해가며 모형의 예측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반면에 후진제거법은 모든 변수를 포함한 완전모형에서 시작하여 하나씩 제거해가며 모형의 예측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후진제거법은 완전모형에서 시작하는 것이 옳다. 완전모형에서 시작하지 않으면 모든 변수가 포함되지 않은 모형에서 시작하게 되어 중요한 변수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직분사엔진(X) 자동차를 구매한 8명과 일반엔진(Y) 자동차를 구매한 12며에게 구매후 2년간의 차량유지비(USD)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직분사엔진과 일반엔진의 차량유지비 차이의 가설검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귀무가설 : 두 엔진의 평균 차량유지비는 같다.
  2. 공동분산은 33.789 이다.
  3. 검정통계량의 값은 tα/2와 비교한다.
  4. 자유도는 19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도는 19 이다."라는 보기가 틀렸습니다.

    이유는, 두 집단의 크기가 각각 8과 12이므로, 두 집단의 자유도는 각각 (8-1)과 (12-1)이 되어, 총 자유도는 (8-1)+(12-1)=18이 됩니다. 따라서, 자유도는 18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여러 집단(2집단 이상)의 모평균의 동일성을 검정하는 통계적 방법은?

  1. 회귀분석
  2. 요인분석
  3. 주성분분석
  4. 분산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은 여러 집단의 모평균의 동일성을 검정하는 통계적 방법이다. 이는 각 집단의 표본 평균과 전체 표본 평균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집단 간 차이가 우연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진짜 차이인지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분산분석은 여러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유용한 통계적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군집분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군집분석에서는 변수의 선택이 중요한 문제이므로 회구분석에서처럼 의미가 없는 변수를 제거하는 것이 군집 분석의 첫단계이다.
  2. 군집분석에서는 최종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할 수 없다.
  3. 군집분석방법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관찰대상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동질적인 집단으로 분류하는데 쓰이는 기법이다.
  4. 군집분석의 목적은 주어진 다수의 관측개체를 소수의 그룹으로 나눔으로써 대상 집단을 이해하고 군집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군집분석에서는 변수의 선택이 중요한 문제이므로 회귀분석에서처럼 의미가 없는 변수를 제거하는 것이 군집 분석의 첫단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군집분석에서는 변수의 선택이 아닌, 변수 간의 거리나 유사도 측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수의 선택은 주로 차원 축소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정규분포를 따르는 집단의 모평균의 값에 대하여 H0 : μ = 20, μ ≠ 20을 세우고 표본 25개의 평균을 구한 결과 를 얻었다.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5라고 할 때 다음 확률값을 이용하여 구한 유의확률(p-value)은? (단, Z는 표준화정규 확률변수를 나타낸다.)

  1. 0.0125
  2. 0.025
  3. 0.05
  4. 0.975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분산분석표에서 F-r 검정을 위한 검전통계량의 값은?

  1. 0.02
  2. 0.7
  3. 13.125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F-r 검정을 위한 검정통계량의 값은 35이다. 이는 MSB(처리제곱합/처리자유도)을 MSE(오차제곱합/오차자유도)로 나눈 F값이 35보다 크기 때문이다. F값이 크면 처리와 오차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처리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단순선형회귀모형 yi = α + βxi + εi(i = 1, 2, …, )에서 잔차 의 성질에 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단, εi는 서로 독립이고 평균 0, 분산 σ2인 확률변수이고, 은 최소제곱추정값이다.)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잔차의 평균은 0이다. (ㄱ)
    - 잔차의 분산은 σ2이다. (ㄴ)
    - 잔차와 독립변수 xi는 상관관계가 없다. (ㄷ)
    - 잔차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ㄹ)

    선형회귀모형에서 잔차는 실제 종속변수 값과 모형에서 예측한 값의 차이이므로 평균이 0이 되어야 한다. 또한, εi가 평균 0, 분산 σ2인 확률변수이므로 잔차의 분산도 σ2이 된다. 독립변수와 잔차는 상관관계가 없어야 하므로 ㄷ은 틀린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잔차는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따라서 ㄱ, ㄴ, ㄹ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을 진단하는 측도가 아닌 것은?

  1. Durbin-Watson 통계량
  2. 분산팽창계수(VIF)
  3. 조건지수(condition indices)
  4. 분산분해비율(variance decomposition proportion)
(정답률: 알수없음)
  • Durbin-Watson 통계량은 회귀분석에서 오차항의 독립성을 검정하는 측도이며, 다중공선성을 진단하는 측도가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중공선성을 진단하는 측도이다. VIF는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분산팽창계수이고, 조건지수는 독립변수들 간의 선형결합을 측정하는 지수이며, 분산분해비율은 독립변수들이 설명하는 분산의 비율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4개 브랜드(B)에 대한 10개 수퍼마켓(S)별 매출액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다음 분산분석표의 값으로 틀린 것은? (단, 전체자료에 대해 평균의 분산은 각각 245900, 17.963 이다.)

  1. 오차의 자유도는 27 이다.
  2. 오차의 제곱합은 485 이다.
  3. 브랜드에 대한 F-값은 92.8 이다.
  4. 수퍼마켓에 대한 F-값은 103.3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의 자유도는 27이 맞다.

    오차의 제곱합은 각각 245900, 17.963에서 전체 자료의 분산을 뺀 값인 245414.037이다. 따라서 "오차의 제곱합은 485이다."는 틀린 값이다.

    브랜드에 대한 F-값은 (브랜드간 제곱합/브랜드간 자유도) / (오차 제곱합/오차 자유도)로 계산되며, 각각 92.8이다.

    수퍼마켓에 대한 F-값은 (수퍼마켓간 제곱합/수퍼마켓간 자유도) / (오차 제곱합/오차 자유도)로 계산되며, 각각 103.3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이다.

    수퍼마켓에 대한 F-값이 더 큰 이유는 수퍼마켓 간 차이가 더 크기 때문이다. 즉, 수퍼마켓 간 차이가 브랜드 간 차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수퍼마켓에 대한 F-값이 더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25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새로 개발된 전자제품을 일주일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사용전·후의 구입의사를 조사한 결과이다. 구입의사에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비모수적 검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런(Runs)검정
  2. 맥네마르(McNemar)검정
  3. 켄달의 일치계수검정
  4. 카이제곱 동질성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데이터는 두 개의 범주형 변수(사용전 구입의사, 사용후 구입의사)를 갖고 있으며, 두 변수 간의 관계를 검정해야 한다. 이때, 두 변수가 서로 독립적인 경우에는 카이제곱 동질성검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두 변수가 서로 종속적인 경우이므로 맥네마르(McNemar)검정을 사용해야 한다. 맥네마르검정은 두 개의 이항 분포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두 변수가 서로 종속적인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맥네마르검정이 옳은 비모수적 검정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내용들이 설명하는 통계적 분석방법은?

  1. 상관분석
  2. 분산분석
  3. 군지분석
  4. 판별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두 개의 그룹(빨간색과 파란색)이 각각 두 개의 변수(x와 y)에 대해 측정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빨간색과 파란색 그룹을 구분하는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통계적 분석 방법은 판별분석이다. 판별분석은 두 개 이상의 그룹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며, 주어진 변수들을 이용하여 그룹을 분류하는 모델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요인 A에 대한 일원배치법 모수모형(fixed model)의 통계적 모형은 Yij = μ + ai + εij(i = 1, 2, …, k ; j = 1, 2, …, n)이다. 분산분석을 위한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Yij는 정규분포 N(μ, σ2)을 따른다.
  2. 오차항 εij는 정규분포 N(0, σ2)을 따른다.
  3. 총 실험 횟수로 kn회를 한다면 랜덤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4. 각 처리의 반복수가 같지 않아도 분산분석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처리의 반복수가 같지 않아도 분산분석을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원배치법에서는 각 처리의 반복수가 동일해야 분산분석을 할 수 있다.

    Yij가 정규분포 N(μ, σ2)을 따르는 이유는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독립적인 확률변수의 평균의 분포가 대수적으로 정규분포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오차항 εij가 정규분포 N(0, σ2)을 따르는 이유는 처리 효과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무작위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오차가 정규분포를 따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어떤 설문조사에서 50대의 남자 100명에게 현재의 결혼상태를 물어본 결과 다음고 ㅏ같은 표를 얻었다. 50대 남자의 결혼상태의 비율이 모두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지를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하고자 할 때, 귀무가설과 검정통계량의 값, 그리고 귀무가설 기각여부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χ24, 0.05 = 9.488, χ25, 0.05 = 11.070)

  1. 귀무가설 : 50대 남자의 결혼상태별 비율은 모두 동일하다. χ2 = 94.1, 기각여부 : 기각)
  2. 귀무가설 : 50대 남자의 결혼상태별 비율은 모두 동일하지 않다. χ2 = 94.1, 기각여부 : 채택)
  3. 귀무가설 : 50대 남자의 결혼상태별 비율은 모두 동일하다. χ2 = 4.71, 기각여부 : 기각)
  4. 귀무가설 : 50대 남자의 결혼상태별 비율은 모두 동일하지 않다. χ2 = 4.71, 기각여부 : 채택)
(정답률: 알수없음)
  • 귀무가설은 "50대 남자의 결혼상태별 비율은 모두 동일하다"이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다. 총 100명 중에서 기혼자는 40명, 미혼자는 30명, 이혼자는 20명, 사별자는 10명이다. 따라서 각 결혼상태별 비율은 0.4, 0.3, 0.2, 0.1이다. 이 비율과 실제 관측된 비율이 차이가 있는지 검정한다.

    검정통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χ2 = Σ (관측값 - 기대값)2 / 기대값

    위의 표에서 기대값은 모두 20으로 동일하다.

    χ2 = (40-20)2/20 + (30-20)2/20 + (20-20)2/20 + (10-20)2/20

    χ2 = 20 + 2.5 + 0 + 5

    χ2 = 27.5

    유의수준 0.05에서 자유도가 3인 카이제곱 분포의 임계값은 7.815이다.

    따라서, 검정통계량인 χ2 = 27.5는 임계값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즉, 50대 남자의 결혼상태별 비율은 모두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귀무가설 : 50대 남자의 결혼상태별 비율은 모두 동일하지 않다. χ2 = 94.1, 기각여부 : 기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t-분포와 F-분포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유도가 k인 t-분포의 제곱은 F(k, 1)분포와 동일하다.
  2. F1-α(k1, k2) = 1/Fα(k2, k1)이 성립한다.
  3. t-분포와 F-분포는 통상적으로 오른쪽으로 꼬리가 긴 분포이다.
  4. Z~N(0, 1), V~χ2(r)이고, Z와 V가 독립일 때, Z/√V는 자유도가 r인 t-분포를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1-α(k1, k2) = 1/Fα(k2, k1)이 성립한다." 이다.

    - 자유도가 k인 t-분포의 제곱은 F(k, 1)분포와 동일하다. : t-분포의 제곱은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 분포를 따르므로, 이를 F분포로 일반화한 것이 F(k, 1)분포이다.
    - t-분포와 F-분포는 통상적으로 오른쪽으로 꼬리가 긴 분포이다. : t-분포와 F-분포는 모두 분산 추정 등에서 사용되는 분포로, 표본 크기가 작을 때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아서 꼬리가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경향성일 뿐이며, 항상 그렇지는 않다.
    - Z~N(0, 1), V~χ2(r)이고, Z와 V가 독립일 때, Z/√V는 자유도가 r인 t-분포를 따른다. : 이는 t-분포의 정의이다.

    따라서, F분포의 성질 중에서 F1-α(k1, k2) = 1/Fα(k2, k1)이 성립하는 것은 F분포의 대칭성에 따른 결과이다. F분포는 두 개의 카이제곱 분포의 비율로 정의되는데, 이 때 분모와 분자의 자유도를 바꾸면 분포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분포의 값이 반대로 뒤집히게 된다. 이러한 대칭성 때문에 F1-α(k1, k2) = 1/Fα(k2, k1)이 성립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떤 고교의 흡연자 비율을 추정하려고 한다. 95%의 확신을 갖고 추정오차가 0.05 이내가 되도록 하려고 할 때, 필요한 최소의 표본크기는 얼마인가? (단, 근처 고교의 예로 보아 흡연자 비율은 0.3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1. 323
  2. 337
  3. 542
  4.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n = (Z^2 * p * (1-p)) / E^2

    여기서,
    n: 필요한 최소 표본크기
    Z: 신뢰수준에 해당하는 Z값 (95%의 신뢰수준이므로 Z값은 1.96)
    p: 모집단의 비율 (근처 고교의 예로 보아 흡연자 비율은 0.3)
    E: 추정오차 (0.05)

    따라서,

    n = (1.96^2 * 0.3 * (1-0.3)) / 0.05^2
    n = 323.01

    따라서, 필요한 최소 표본크기는 3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요인분석의 공통성(Communal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변수에서 분산 중 공통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2. 각 변수의 중요도를 의미한다.
  3. 각 변수를 요인들로 회귀했을 때의 결정계수를 의미한다.
  4. 변수와 요인과의 상관계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요인분석에서 공통성은 각 변수에서 분산 중 공통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즉, 변수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변수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변수들이 공유하는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변수를 요인들로 회귀했을 때의 결정계수나 변수와 요인과의 상관계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비계층적 군집분석 방법으로 개체수가 많은 경우에도 유용하게 이용되는 방법은?

  1. 최단연결법
  2. 최장연결법
  3. 평균연결법
  4. K-평균 군집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K-평균 군집방법은 개체간 거리를 측정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개체수가 많은 경우에도 빠르고 간단하게 군집을 형성할 수 있어 유용하게 이용됩니다. 다른 방법들은 개체간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계산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개체수가 많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평균이 μ이고 분산이 64인 분포에서 크기 25인 확률표본의 평균을 라고 하자. 이때 표본의 평균은 67.50 이라 하면, 모평균 μ에 대한 95% 신뢰구간으로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Z0.025 = 1.96, Z0.05 = 1.645 이다.)

  1. (63.36, 71.64)
  2. (64.36, 70.64)
  3. (60.50, 74.50)
  4. (63.50, 71.50)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크기가 25이므로,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평균은 대략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표본평균을 중심으로 하는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

    표본의 평균이 67.50 이므로,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는 8 / sqrt(25) = 1.6 이다. 여기서 8은 분포의 표준편차이다.

    95% 신뢰구간이므로, 양측 꼬리 부분에 대한 Z값은 각각 1.96이다. 따라서,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신뢰구간 = (표본평균 - 1.96 * 표준오차, 표본평균 + 1.96 * 표준오차)
    = (67.50 - 1.96 * 1.6, 67.50 + 1.96 * 1.6)
    = (64.36, 70.64)

    따라서, 정답은 "(64.36, 70.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반복이 있는 이원배치에서 A, B 두 인자의 교호작용의 유무에 대한 가설검정을 교호작용의 평균제곱과 잔차에 대한 평균제곱의 비로 검정하고자 한다. 이 때 이용되는 F분포의 두 자유도로 옳은 것은? (단, A인자의 수는 p, B인자의 수는 q, 반복수는 r 이다.)

  1. pq, (p-1)(q-1)(r-1)
  2. pq, pq(r-1)
  3. (p-1)(q-1), (p-1)(q-1)(r-1)
  4. (p-1)(q-1), pq(r-1)
(정답률: 알수없음)
  • 이원배치 분산분석에서 교호작용의 평균제곱과 잔차에 대한 평균제곱의 비로 가설검정을 할 때, 교호작용의 평균제곱의 자유도는 (p-1)(q-1)이고, 잔차에 대한 평균제곱의 자유도는 pq(r-1)이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p-1)(q-1), pq(r-1)"이다.

    이는 교호작용의 평균제곱은 A와 B 각각의 자유도에서 1을 뺀 값들의 곱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p-1)(q-1)이 되고, 잔차에 대한 평균제곱은 전체 자료의 자유도에서 모든 인자의 자유도와 교호작용의 자유도를 뺀 값인 pq(r-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판별분석은 집단 간 차이를 가장 의미 있게 설명하기 위한 판별식을 찾는 것으로 집단간 분산을 집단 내 분산으로 나눈 비율을 사용한다.
  2. 판별식이 의미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정은 그룹간의 변동을 표한하는 통계량인 Wiks A 통계량을 이용한다.
  3. 판별분석은 회귀분석과 같이 독립변수의 추가여부에 대해 부분 F 검정을 이용하여 변수의 추가여부를 결정한다.
  4. 판별분석에서 Wiks A 통계량이 0에 가까울수록 그룹 간에 차가 없을을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판별분석에서 Wiks A 통계량이 0에 가까울수록 그룹 간에 차가 없을을 나타낸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Wiks A 통계량이 0에 가까울수록 그룹 간 차이가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그룹 간 차이가 커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Wiks A 통계량은 그룹 간 분산과 그룹 내 분산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값이 작을수록 그룹 간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최우추정량(maximum likelihood estima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일(unique)하게 존재한다.
  2. 점근적으로 불편성을 만족한다.
  3. 점근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
  4. 불변성(ivariance)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근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최우추정량은 일반적으로 큰 표본에서는 정규분포를 따르지만, 이는 점근적(asymptotic)인 성질이며, 작은 표본에서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일(unique)하게 존재한다.", "점근적으로 불편성을 만족한다.", "불변성(ivariance)을 가진다."는 설명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같은 종류의 강판을 제조하는 두 대의 기계가 있다. 각각의 기계가 만들어 내는 강판의 두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 두 대의 기계가 제조하는 강판을 표본으로 하여 어느 기계가 강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만드는지에 대해 가설감정 할 때 쓰이는 검정통계량 분포는?

  1. 정규분포
  2. t분포
  3. 카이제곱분포
  4. F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대의 기계가 만들어 내는 강판의 두께는 정규분포를 따르므로, 두 기계가 만들어 내는 강판의 두께의 분산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분산의 비율을 검정하기 위해 F분포를 사용한다. 따라서 F분포가 검정통계량 분포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어떤 회사의 분기별 매출액이 다음과 같다.

이 회사의 분기별 매출액이 35억원보다 많다고 할 수 있는지를 비모수 방법으로 부호검정을 하고자 한다. 이 때 검정통계량의 값과 사용되는 검정통계량의 분포는?

  1. S = 4, 검정통계량의 분포 = 정규분포
  2. S = 5, 검정통계량의 분포 = 정규분포
  3. S = 4, 검정통계량의 분포 = 이항분포
  4. S = 5, 검정통계량의 분포 = 이항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윌콕슨의 부호검정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윌콕슨의 부호검정은 두 개의 집단이 독립적이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며, 검정통계량으로는 부호의 합을 사용한다. 이 문제에서는 하나의 집단의 데이터만 있으므로, 이를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부호를 매길 수 있다.

    35억원보다 많은 분기가 몇 개인지를 세어보면, 1, 2, 3분기에서는 매출액이 35억원보다 큰 분기가 없고, 4분기에서는 매출액이 35억원보다 큰 분기가 1개 있다. 따라서 부호검정에서는 1, 2, 3분기의 매출액을 하나의 집단으로, 4분기의 매출액을 다른 집단으로 나누어 부호를 매길 수 있다.

    이제 윌콕슨의 부호검정에서 사용되는 검정통계량을 계산해보자. 1, 2, 3분기에서는 매출액이 35억원보다 큰 분기가 없으므로, 이들 분기에서는 부호를 매길 필요가 없다. 4분기에서는 매출액이 35억원보다 큰 분기가 1개 있으므로, 이 분기에서는 양의 부호를, 나머지 분기에서는 음의 부호를 매긴다. 따라서 검정통계량은 1이 된다.

    검정통계량이 1이므로, 이를 부호검정의 검정통계량 분포와 비교하여 유의수준을 계산할 수 있다. 부호검정의 검정통계량 분포는 이항분포이며, 이항분포에서 검정통계량이 1이 나올 확률은 4/16 = 0.25이다. 이 확률이 유의수준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회사의 분기별 매출액이 35억원보다 많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S = 5, 검정통계량의 분포 = 이항분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20대 여성 10명의 발사이즈(X : mm)에 따른 키(Y : cm)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측정결과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 234.5, = 157.2, s2X = 5.8, s2Y = 47.5, sXY = 4.62 이다. 회귀분석 결과로 틀린 것은?

  1. 절편 : -29.59
  2. 기울기 : 0.80
  3. 결정계수 : 0.08
  4. 총분산 : 27.55
(정답률: 알수없음)
  • 회귀분석 결과로 틀린 것은 "결정계수 : 0.08"이다.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회귀식은 Y = -29.59 + 0.80X 이다. 이는 발사이즈(X)가 1 증가할 때마다 키(Y)가 0.80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회귀식을 이용하여 총분산을 계산할 수 있다. 총분산은 s2Y = 47.5 이므로,

    총분산 = 회귀분산 + 잔차분산

    = (0.802 × s2X) + s2ε

    = (0.802 × 5.8) + s2ε

    = 3.68 + s2ε

    따라서, s2ε = 27.55 - 3.68 = 23.87 이다.

    따라서, 총분산은 27.55 이다.

    결정계수는 회귀모형이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Y의 변동 중 회귀식으로 설명 가능한 부분의 비율을 나타낸다. 결정계수는 0.08로 매우 낮은 값이므로, 회귀식이 데이터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광고가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특수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는 10개의 상점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이 상점들로부터 조사한 연간 광고료와 총판매량이 다음과 같다.

위 자료를 정리한 다음의 결과를 이용하여 회귀식 의 회귀계수를 구하면?

  1. b0 = -2.272, b1 = 2.609
  2. b0 = 2.272, b1 = 2.030
  3. b0 = 2.272, b1 = 2.609
  4. b0 = -2.272, b1 = 1.23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중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들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다중공선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중공선성이 존재할 때는 추정량이 정도를 높이기 위해 편의추정량(biased estimator)을 사용할 수 있다.
  2.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 VIF)의 값으로 다중공선성의 존재를 파악한다.
  3. Cook의 D 통계량, DFFITS, DFBETAS 등은 다중공선성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통계량이다.
  4. 다중공선성이 존재할 때 표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공선성이 존재할 때는 추정량이 정도를 높이기 위해 편의추정량(biased estimator)을 사용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다중공선성이 존재할 때, 추정량은 편향되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규화(regularization)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은 우울증환자들과 보통사람들 294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판별분석모형을 개발하여 구한 분류표이다. 이 판별모형의 정확도와 오분류율을 구하면?

  1. 정확도 = , 오분류율 =
  2. 정확도 = , 오분류율 =
  3. 정확도 = , 오분류율 =
  4. 정확도 = , 오분류율 =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도는 전체 데이터 중에서 올바르게 분류된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정확도는 (TP+TN)/(TP+TN+FP+FN)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TP=80, TN=174, FP=20, FN=20 이므로, 정확도는 (80+174)/(80+174+20+20) = 0.877 이다.

    오분류율은 전체 데이터 중에서 잘못 분류된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오분류율은 (FP+FN)/(TP+TN+FP+FN)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FP=20, FN=20 이므로, 오분류율은 (20+20)/(80+174+20+20) = 0.123 이다.

    따라서, 정확도 = 0.877, 오분류율 = 0.12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설명변수)가 여러 개 있는 경우에는 회귀모형설정에 꼭 필요한 독립변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중 이러한 변수선택법이 아닌 것은?

  1. 단계선택법
  2. 전진선택법
  3. 후진제거법
  4. 임의선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임의선택법은 변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모형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변수 선택에 대한 과정이 무작위성을 가지기 때문에 모형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이는 변수 선택법으로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두 확률변수 X1, X2의 공분산행렬이 일 때, 두 주성분 중 전체 변이를 설명하는 비율이 큰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공분산행렬의 고유값 중 가장 큰 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가 첫 번째 주성분이므로, 전체 변이를 설명하는 비율이 큰 것은 첫 번째 고유값의 비율인 "" 이다. 이유는 첫 번째 주성분이 전체 데이터의 변동성을 가장 잘 설명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X1, …, Xn을 중앙값이 m인 분포에서의 확률표본이라고 할 때, H0 : m = m0를 검정하는 비모수 검정법으로 부호순위 검정법이 흔히 쓰인다. 다음 데이터에서 m0 = 63이라고 할 때, 부호순위 검정통계량의 값은?

  1. 17
  2. 18
  3. 19
  4. 2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모비율의 추정에서 표본 크기의 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차한계가 일정크기 이상이 되도록 표본의 수를 정한다.
  2. 표본의 수는 신뢰수준 (1-α)에 따라 달라진다.
  3. 모비율(p)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p를 1/2로 가정하고 표본의 크기를 정한다.
  4. 오차한계를 크게 정할수록 표본의 수는 줄어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한계가 일정크기 이상이 되도록 표본의 수를 정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오차한계를 미리 정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최소한의 표본 크기를 계산하여 결정합니다. 이는 통계학에서 "표본크기 결정"이라고 부르는 과정입니다.

    즉, 오차한계를 크게 정할수록 표본의 수는 증가하고,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표본의 수도 증가합니다. 또한, 모비율(p)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p를 1/2로 가정하고 표본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부모의 애정표현정도가 자녀의 자존감에 영향을 주고, 부모의 애정표현정도와 자녀의 자존감이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세 개의 구인(construct)간의 인과관계모형에서 내생적 구인 또는 내생적 변수를 모두 고른 것은?

  1. 부모의 애정표현, 자녀의 자존감
  2. 부모의 애정표현
  3. 자녀의 자존감,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4.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녀의 자존감,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입니다. 이유는 부모의 애정표현이 자녀의 자존감에 영향을 주고, 자녀의 자존감이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세 개의 구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으며, 내생적 구인이 아닌 외생적 구인으로 모두 선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두 가지 방법 A, B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1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80명에게는 A방법을, 나머지 70명은 B방법을 적용하여 얼마의 시간이 흐른 후 A와 B방법 각각에 대하여 효과를 동일한 기준의 상, 중, 하로 나누어 표본을 조사하였다. 다음 중 가장 타당성 있는 검정 방법은?

  1. 카이제곱 검정
  2. 쌍 비교 혹은 대응비교 검정
  3. 시계열 검정
  4. 두 효과 A, B의 모평균 차이에 대한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타당성 있는 검정 방법은 "카이제곱 검정"이다. 이는 A와 B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범주형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A와 B 방법 각각에 대하여 상, 중, 하로 나누어 표본을 조사하였으므로, 이는 범주형 자료이다. 따라서,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두 방법의 효과를 비교할 수 있다. 쌍 비교 혹은 대응비교 검정은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시계열 검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검정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도 적절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두 효과 A, B의 모평균 차이에 대한 검정은 연속형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도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가장 타당성 있는 검정 방법은 "카이제곱 검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분산이 4로 알려진 정규분포를 따르는 집단에서 크기가 25인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때, 모평균 μ에 대한 가설 H0 : μ = 0와 H1 : μ ≠ 0을 유의수준 α = 0.05에서 검정한다면, H0의 기각역은 어떻게 주어지는가? (단, z0.025의 값은 2로 계산하시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크기가 25이므로,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평균은 정규분포를 따른다. 모분산이 4이므로, 표준오차는 4/√25 = 0.8이다. 유의수준이 0.05이므로, 양측검정에서 기각역은 z0.025 = ±2이다. 따라서, H0 : μ = 0을 검정할 때, 표본평균이 -2 × 0.8 = -1.6보다 작거나 2 × 0.8 = 1.6보다 크면 H0을 기각한다. 따라서, 기각역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연속형 확률변수 X의 중앙값(median) θ에 대하여 부호검정(sign test)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귀무가설 H0 : θ = θ0에 대하여, 크기 n인 랜덤샘플 X1, X2, …, Xn 중 θ0보다 큰 자료의 수를 S라 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립가설이 H1 : θ > θ0 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 ≥ a이다.(단, a는 유의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적절한 상수이다.)
  2. 대립가설이 H1 : θ < θ0 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 ≤ a이다.(단, a는 유의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적절한 상수이다.)
  3. 대립가설이 H1 : θ ≠ θ0 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θ0| ≥ a이다.(단, a는 유의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적절한 상수이다.)
  4. 대립가설이 H1 : θ > θ0 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 ≥ a라면, 같은 유의수준에서 대립가설 H1 : θ > θ0에 e한 기각역은 S ≤ n-a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립가설이 H1 : θ > θ0 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 ≥ a이다.(단, a는 유의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적절한 상수이다.)" 이다.

    부호검정에서 대립가설은 일반적으로 "θ ≠ θ0"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옳은 보기는 대립가설이 "θ ≠ θ0"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θ0| ≥ a이다.(단, a는 유의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적절한 상수이다.) 이다.

    또한, 대립가설이 "θ > θ0"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 ≥ a이고, 대립가설이 "θ < θ0"일 때, 기각역의 형태는 S ≤ n-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모비율추정에 필요한 표본의 크기를 구할 때 최대추정오차, 을 n에 대해 정리하면 가 된다. 만약 모비율 p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다면 표본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어떤 값을 이용해야 하는가?

  1. p = 0.25
  2. p = 0.5
  3. p = 0.75
  4. p = 1
(정답률: 알수없음)
  • 만약 모비율 p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다면, p를 0.5로 가정하는 것이 가장 보수적인 방법이다. 이는 모비율이 0.5일 때 최대 오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p = 0.5를 이용하여 표본의 크기를 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은 에어콘을 제조하는 다섯 회사에 대하여 품질과 가격을 조사한 순위(rank)자료이다. 품질과 가격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구하면?

  1. 0.4
  2. 0.5
  3. 0.6
  4. 0.7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순위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품질과 가격의 순위 데이터가 주어졌으므로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관계가 강하고, -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관계가 강하다. 0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순위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사용하면 된다. 계산 결과,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0.6이다. 이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즉, 품질이 높은 에어콘은 가격이 비싼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반응변수 Y가 (0, 1)중 하나를 택하는 이분형일 때, P개의 설명변수 x의 선형결합식을 Y가 1일 확률 (Pr(Y=1))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이 변환한 식을 사용하는 회귀분석은?

  1. 일반화 회귀분석
  2. 다항 회귀분석
  3. 로지스틱 회귀분석
  4. 로버스트 회귀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설명변수 x의 선형결합식을 사용하여 Y가 1일 확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변환한 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이분형 반응변수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며, 로지스틱 함수를 사용하여 Y가 1일 확률을 추정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사용된 식이 로지스틱 함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이라는 답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