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9-21)

사회조사분석사 1급
(2019-09-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

1. 조사보고서의 일반적인 작성지침과 가장거리가 먼 것은?

  1. 조사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분명히 기술한다.
  2. 자료의 수집과 처리방법 등을 정확하고 분명하게 제시한다.
  3. 조사결과를 해석하고 제시할 때 존 보사의 한계와 문제점 등을 논의해서는 안 된다.
  4. 조사연구에 관련된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빠짐없이 분명하게 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결과를 해석하고 제시할 때 존 보사의 한계와 문제점 등을 논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조사보고서는 단지 조사결과를 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조사결과를 제시할 때는 존 보사의 한계와 문제점 등을 논의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질문항목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자에게 민감한 질문(연령, 학력, 직업, 소득 등)은 가능한 한 나중에 해야 한다.
  2. 첫 번째 질문은 가능한 한 쉽게 응답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앞의 질문이 다음 질문 내용에 영향을 미칠 경우 가능한 한 함께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4. 문항이 담고 있는 내용의 범위가 넓은 것에서부터 점차 좁아지도록 문항을 배열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답자에게 민감한 질문(연령, 학력, 직업, 소득 등)은 가능한 한 나중에 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응답자에게 민감한 질문은 가능한 한 먼저 해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설문조사가 특정 제품의 구매자 대상으로 진행되는 경우, 구매자의 소득 수준이나 직업 등은 제품의 마케팅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첫 번째 질문으로 배치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질문항목의 순서를 결정할 때에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설을 그 목적에 따라 구분할 때 설명적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어떠한 사실을 묘사하기 위한 가설이다.
  2. 당위적 진술의 타당성을 말하는 가설이다.
  3. 현상의 발생빈도를 묘사하기 위한 가설이다.
  4.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표현하는 가설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명적 가설은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표현하는 가설입니다. 이는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는 가설로, 이를 통해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찰법 (observation method)의 분류기준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찰이 일어나는 상황이 인공적인지 여부에 따라 ‘자연적/인위적 관찰’로 나누어진다.
  2. 피관찰자가 관찰사실을 알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공개적/비공개적 관찰’로 나누어진다.
  3. 관찰시기가 행동발생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체계적/비체계적관찰’로 나누어진다.
  4. 관찰 주체 또는 도구가 무엇인지에 따라 ‘인간의 직접적/기계를 이용한 관찰’로 나누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찰법의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관찰이 일어나는 상황이 인공적인지 여부에 따라 ‘자연적/인위적 관찰’로 나누어진다.
    2. 피관찰자가 관찰사실을 알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공개적/비공개적 관찰’로 나누어진다.
    3. 관찰시기가 행동발생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체계적/비체계적관찰’로 나누어진다.
    4. 관찰 주체 또는 도구가 무엇인지에 따라 ‘인간의 직접적/기계를 이용한 관찰’로 나누어진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인간의 직접적/기계를 이용한 관찰"이다. 이것은 관찰 방법의 구분이 아니라 관찰 주체 또는 도구의 구분이기 때문이다.

    "관찰시기가 행동발생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체계적/비체계적관찰’로 나누어진다."는 관찰 시기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행동이 발생하는 시점에 맞춰 관찰하는 것이 체계적 관찰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체계적 관찰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면접조사와 비교한 우편 설문조사의 특정으로 들린 것은?

  1. 설문구성이 제한적이다
  2. 심층규명 (probing)이 어렵다.
  3. 응답자에 대한 접근성이 낮다.
  4. 응답자에 대한 통제가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편 설문조사는 응답자에게 직접 접근하지 않고 우편으로 조사지를 보내기 때문에 응답자에 대한 접근성이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과학적 연구의 논리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귀납법은 이론에서부터 출발한다.
  2. 연역법은 일반적 사실에서 특수 사실을 도출한다.
  3. 귀납법은 관찰을 통해 일정 패턴을 발견하고 잠정적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4. 연역법은 경험적으로 증명되지 않더라도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귀납법은 이론에서부터 출발한다."이다. 귀납법은 관찰을 통해 일정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이론에서 출발하는 것은 연역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가설의 평가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설은 논리적으로 간결하여야 한다.
  2.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3. 가설검증결과는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4. 동일 연구 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 연구 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없어야 한다." 가설의 평가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가설이 다른 연구 분야의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있을 경우, 해당 분야에서 이미 검증된 결과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설은 해당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검증 가능한 내용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코호트 조사(cohort stud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호트 조사는 종단조사이다.
  2. 코호트 조사의 모집단은 변할 수 있다.
  3. 조사시점마다 샘플로 선정된 조사대상은 변할 수 있다.
  4. 코호트란 특정 시기에 시점에 태어났거나 동일 시점에 특정한 사건을 경험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코호트 조사의 모집단은 변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코호트 조사에서는 특정 시기에 시점에 태어났거나 동일 시점에 특정한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추적하여 연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모집단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사 대상이나 샘플은 조사시점마다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우편조사를 위한 질문지의 조사안내문에 포함해야 할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사 실시 기관명
  2. 연구자의 연락처
  3. 응답에 대한 비밀유지
  4. 표본의 규모와 응답자의 범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조사 실시 기관명"입니다.

    조사안내문에는 조사를 실시하는 기관의 이름이나 로고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는 선택사항입니다.

    반면에, "표본의 규모와 응답자의 범위"는 조사의 신뢰성과 대표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표본의 규모가 작거나 응답자의 범위가 제한적이면 조사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조사안내문에서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합한 혼합연구방법 (mixed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질적 연구결과에서 양적 연구가 시작될 수 없다.
  3. 질적 연구결과와 양적 연구결과는 상반될 수 있다.
  4. 주제에 따라 두 가지 연구방법의 비중은 상이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질적 연구결과에서 양적 연구가 시작될 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혼합연구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주제에 따라 두 가지 연구방법의 비중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적 연구결과에서 양적 연구가 시작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과학적 조사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구결과에 대해 잠정적이다.
  2. 인과관계의 규명을 추구한다.
  3. 조사자의 규범적 판단에 의거한다.
  4. 일정한 규칙과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는 일정한 규칙과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며, 인과관계의 규명을 추구합니다. 연구결과는 잠정적이며, 조사자의 규범적 판단에 의거합니다. 이는 과학적 조사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과학적 조사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결과를 추구하기 때문에 조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은 배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과 같이 질문에 대한 대답의 강도를 요구하는 질문유형은?

  1. 평정식 (rating) 질문
  2. 찬부식 (dichotomous) 질문
  3. 서열식 (ranking) 질문
  4. 다항선택식 (multiple choice) 질문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질문은 "강도"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평정식 (rating) 질문이다. 평정식 질문은 대상에 대한 평가를 숫자나 척도로 표현하는 질문으로, 강도나 정도를 파악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험에서 X( 독립변인)의 실험조작이 Y( 종속변인)에 변화 때문에 일어난 것인가를 측정하는 척도는?

  1. 신뢰도
  2. 예측빈도
  3. 내적 타당도
  4. 외적 타당도
(정답률: 알수없음)
  • 내적 타당도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관계를 측정하는 척도로, 실험에서 독립변인의 조작이 종속변인의 변화를 일으켰는지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신뢰도는 측정 도구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척도, 예측빈도는 측정 도구가 미래에도 유효한지를 예측하는 척도, 외적 타당도는 다른 척도와의 관계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Campbell이 제시한 실험조사의 내적 타당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통계적 회귀
  2. 피험자 선택의 편견
  3. 실험자 자체에서 일어나는 성장적 변이과정
  4. 실험도중 여러 가지 이유로 피험자 수가 감소되는 문제
(정답률: 알수없음)
  • 피험자 선택의 편견은 실험에 참여하는 피험자들이 자신들의 특성에 따라 실험군 또는 대조군으로 선택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어 내적 타당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피험자 선택의 편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차 자료는 도서관 자료, 연구문헌자료 등을 통해 수집된다.
  2. 의사소통방법과 관찰법은 대표적인 2차 자료 수집 방법에 해당한다.
  3. 1차 자료는 2차 자료에 비해 인력과 시간,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4. 2차 자료는 당면한 조사문제 해결에 적합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자료는 이미 다른 사람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1차 자료에 비해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횡단 연구 (cross - sectional stud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 번의 조사로 끝나는 표본 조사가 대표적이다.
  2. 이미 존재하는 각 집단의 차이를 주로 분석한다.
  3. 시간적 선후가 없으므로 어떤 경우의 인과관계 방향도 설정할 수 없다.
  4. 변수에 대한 통제는 자료수집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자료수집 후 분석단계에서도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수에 대한 통제는 자료수집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자료수집 후 분석단계에서도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횡단 연구는 한 시점에서 여러 집단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이미 존재하는 각 집단의 차이를 주로 분석한다. 하지만 시간적 선후가 없으므로 어떤 경우의 인과관계 방향도 설정할 수 없다. 변수에 대한 통제는 자료수집 단계에서만 가능하며, 자료수집 후 분석단계에서는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탐색적 조사(exploratory research)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현상에 관한 기술이 주 목적이다.
  2. 질문지 작성 후 질문지를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3. 사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조사이다.
  4. 사전지식이 부족한 경우 본 조사에 포함될 내용을 얻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색적 조사는 사전지식이 부족한 경우 본 조사에 포함될 내용을 얻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입니다. 이는 현상에 대한 기술이 주 목적이며, 질문지 작성 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 아니며, 사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통제 집 단 사후측정 설 계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를 이용하여 교정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여건이 허락지 않아 무작위 표본선정과정을 생략하였다면 다음 중 어떤 설계와 가까운가?

  1. 단일 사례연구 (one shot study)
  2. 집단비교설계 (static-group comparison)
  3. 사후실험설계 (ex-post facto research design)
  4. 단일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와 가깝다. 이는 무작위 표본선정과정을 생략하였기 때문에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험 전과 후의 결과만을 비교하여 교정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설계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질문지의 초안이 작성된 후 사전검사(pre-test)를 시행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문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확인한다.
  2. 부적절한 설문문항이 있는지 파악한다.
  3. 설문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4. 응답자에게 설문조사 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전검사를 시행하는 이유는 설문조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이 중에서 "응답자에게 설문조사 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설문조사의 내용과 목적을 응답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응답자의 동의를 얻고 설문조사의 진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종단 연구의 유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향연구
  2. 패널연구
  3. 동류집단연구
  4. 정태적 집단비교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태적 집단비교연구는 다른 종단 연구들과는 달리, 두 개 이상의 집단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반면에 경향연구는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추세를 파악하는 연구, 패널연구는 동일한 개체나 집단을 일정 기간 동안 추적하여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 동류집단연구는 동일한 시기에 서로 다른 집단을 조사하여 비교하는 연구이다. 따라서, 정태적 집단비교연구가 다른 종단 연구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친복지적 가치에 동의하는 사람들의 비율을 복지체제의 발전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는?

  1. 환원주의적 오류
  2. 생태학적 오류
  3. 통계학적 오류
  4. 비체계적 오류
(정답률: 알수없음)
  • 환원주의적 오류는 복잡한 현상을 단순화하여 분석하려는 경향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따라서 친복지적 가치에 동의하는 사람들의 비율만으로 복지체제의 발전정도를 판단하면,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화된 결과를 도출하게 되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복지적 가치에 동의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복지체제가 발전한 것은 아니며, 다른 요인들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질적 연구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면접녹취록을 분석하여 근거 이론을 형성하는 것
  2. 연구자의 관찰기록에서 주요한 맥락을 파악하는 것
  3. 단일사례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행동빈도를 측정하는 것
  4. 설문조사의 자유웅답에 대한 응답자의 주관적인 생각을 해석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사례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행동빈도를 측정하는 것은 질적 연구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질적 연구에서는 개별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며, 개별 사례의 특성과 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일사례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행동빈도를 측정하는 것보다는 그들의 경험과 생각, 행동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의 일반적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강제된 측정과 통제된 측정을 이용한다.
  2. 사회현상의 사실이나 원인들을 탐구하는 논리실증주의의 입장을 취한다.
  3. 실증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시도할 뿐만 아니라 연역적 추론을 추구한다.
  4. 행위자 자신의 준거의 틀에 입각하여 인간의 행태를 이해하는데 관심을 갖는 현상학적 입장을 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질적 연구는 행위자 자신의 준거의 틀에 입각하여 인간의 행태를 이해하는데 관심을 갖는 현상학적 입장을 취한다. 이는 질적 연구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표준화된 면접의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자들에게 동일한 응답환경을 제공한다.
  2. 개방형 질문에서만 캐묻기(probing)를 사용하고 폐쇄형 질문에서는 캐묻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3. 응답자가 개방형 질문에서 제공한 응답을 충실히 기록한다.
  4. 면접자는 면접 전 응답자에게 설문조사를 소개하고, 응답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설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방형 질문에서만 캐묻기(probing)를 사용하고 폐쇄형 질문에서는 캐묻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캐묻기(probing)는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캐묻기는 응답자가 제공한 정보를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개방형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의견이나 경험을 더 자세히 듣기 위해 사용되고, 폐쇄형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의견이나 경험을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용 사례에 해당하는 연구의 유형은?

  1. 횡단연구
  2. 종단연구
  3. 추세연구
  4. 코호트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특정 시점에서 여러 집단을 비교하는 것으로, 횡단연구에 해당합니다. 횡단연구는 특정 시점에서 집단을 비교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질문지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폐쇄형 질문의 응답범주는 포괄적 (exhaustive)이어야 한다.
  2. 응답자의 이해능력을 고려하여 문항이 작성되어야 한다
  3. 이중질문 (double-barreled question)은 배제되어야 한다
  4. 폐쇄형 질문의 응답범주는 상호배타적 (mutually exclusive)이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쇄형 질문의 응답범주는 상호배타적 (mutually exclusive)이지 않아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폐쇄형 질문의 응답범주는 상호배타적이어야 하며, 응답자가 여러 응답을 선택할 수 없도록 작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관찰을 통한 자료수집 시 지각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관찰을 통한 자료수집 시 지각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다양합니다. 이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ㄱ"은 다양한 관찰자를 사용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사람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ㄴ"은 자료를 수집하기 전에 사전에 관찰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관찰 대상에 대한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관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ㄷ"은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기록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나중에 자료를 분석할 때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ㄹ"은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과 자료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의 시각을 반영하여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ㄱ, ㄴ, ㄷ, ㄹ"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조사윤리를 준수하기 위한 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사 참여자의 익명성을 보장하였다.
  2. 조사 참여를 통해 받을 혜택을 조사 후에 알려주었다.
  3.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구대상과 보호자로부터 동의를 구했다.
  4. 조사 과정 중 본인이 원하면 언제라도 중단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 참여를 통해 받을 혜택을 조사 후에 알려주는 것은 참여자들이 조사에 참여할 때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리는 것으로, 이는 참여자들이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따라서 조사 참여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고, 연구대상과 보호자로부터 동의를 구하며, 조사 과정 중 본인이 원하면 언제라도 중단할 수 있음을 알리는 것과는 반대되는 활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내용분석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구대상의 반응성 (reactivity)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주로 단기적 과정에 국한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3. 면접설문조사에 비하여 시간과 돈이 적게 든다.
  4. 설문조사나 현지조사 등에 비해 재조사를 쉽게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용분석은 주로 단기적 과정에 국한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내용분석이 주로 텍스트 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이러한 자료는 대부분 단기적인 것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뉴스 기사나 광고 등은 대부분 단기적인 자료이며,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는 경우 내용분석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연구자가 검정요인 (test factor) 을 연구에 도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인과성의 확인
  2. 측정의 타당도 향상
  3. 측정의 신뢰도 향상
  4. 일반화 가능성의 증대
(정답률: 알수없음)
  • 검정요인을 연구에 도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과성의 확인"입니다. 검정요인을 조작하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요인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I

31. 여론조사에서 조사기관이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이상으로 대규모의 조사를 하면 모수 추정에 있어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제로 여론조사에서 그 크기를 추정할 수 있는 오차는 표본오차뿐이다.
  2. 비표본오차는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어렵고 표본오차보다 훨씬 클 수도 있다.
  3. 표본수를 증가시키면 비표본오차는 줄어 든다.
  4. 조사기관의 역량에 맞는 규모의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수를 증가시키면 비표본오차는 줄어 든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표본오차와는 다른 개념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모수 추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한다. 비표본오차는 표본오차보다 추정하기가 어렵고, 표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표본오차는 커진다. 따라서 표본수를 증가시키면 비표본오차는 줄어들게 되어 모수 추정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측정하는 것은?

  1. 스캘로그램
  2. 재생계수
  3. 단일차원계수
  4. 최소오차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측정하는 것은 "재생계수"이다. 이는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재생계수는 이상적인 패턴과 응답이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거트만척도에서 사용되는 다른 측정 지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척도의 신뢰성을 파악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측정점수를 몇 가지 다른 기준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도를 측정한다.
  2. 여러 평가자들을 통해 얻은 측정결과들 간의 일치도를 비교한다.
  3. 한 측정도구의 전체문항들을 반씩 나누어 두 부분 간의 상관성을 측정한다.
  4. 하나의 척도를 동일인에 대하여 두 번 이상 반복하여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점수를 몇 가지 다른 기준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도를 측정한다."는 척도의 신뢰성을 파악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척도의 신뢰성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측정점수를 몇 가지 다른 기준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도를 측정한다."가 아닌 것이 정답이다. 이 방법은 측정도구의 일관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대상에 대해 여러 번 측정을 하여 얻은 점수들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K고등학교의 학생 명단에서 뽑은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언어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런데 실제 조사에서는 해당 학생의 담임 선생님에 대한 면접을 통해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표집단위 (A), 관찰단위 (B), 표집틀 (C)은 각각 무엇인가?

  1. A: 학생, B: 학생, C: 학생 명단
  2. A: 학생, B: 담임 선생님, C: 학생 명단
  3. A: 담임 선생님, B: 학생, C: 학생
  4. A: 담임 선생님, B: 학생 명단, C: 학생
(정답률: 알수없음)
  • A는 표본을 추출할 단위를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학생이 표집단위이다. B는 조사 대상이 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담임 선생님이 관찰단위이다. C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참조하는 틀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학생 명단이 표집틀이다. 따라서 정답은 "A: 학생, B: 담임 선생님, C: 학생 명단"이다. 이유는 학생 명단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담임 선생님에 대한 면접을 통해 언어사용실태를 조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조사 대상이 되는 소수의 응답자들을 표집한 후 그 응답자들을 활용하여 유사한 속성의 대상을 소개 받아 정보를 표집하는 것은?

  1. 유의 표집 (purpose sampling)
  2. 연속표집 (sequential sampling)
  3. 눈덩이 표집 (snowball sampling)
  4. 단순무작위표집 (simple random sampling)
(정답률: 알수없음)
  • 눈덩이 표집은 초기에 조사 대상이 되는 소수의 응답자들을 표집한 후 그 응답자들을 활용하여 유사한 속성을 가진 대상을 소개 받아 정보를 표집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 집단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이나 현상이 비교적 새로운 분야일 경우,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가나 참여자들을 먼저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을 통해 다른 유사한 대상들을 소개받아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료의 결측치를 처리하는 방법 중 표본의 수가 많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결측치가 존재하고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이 높지 않을 경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중간값으로 대체
  2. 임퓨테이션 방법
  3. 응답자 제거
  4. 결측치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결측치가 존재하고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이 높지 않을 경우에는 결측치 제거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결측치를 제거함으로써 데이터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측치가 많은 경우나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이 높은 경우에는 다른 방법들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비율측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나이(세)
  2. 지능지수 (IQ)
  3. 소득(원)
  4. 신장(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능지수 (IQ)는 비율측정이 아니라 상대적인 측정이기 때문에 비율측정으로 볼 수 없다. 비율측정은 어떤 값이 0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하지만 IQ는 일정한 기준이 없이 상대적인 수치로만 나타내기 때문에 비율측정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층화표본추출방법과 군집표본추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가지 표본추출방법 모두 모집단을 소집단으로 세분화한다.
  2. 군집표본추출방법에서 는 소집단이 모집단을 잘 대표해야 한다.
  3. 층화표본추출방법은 비례층화추출방법과 불비례층화추출방법으로 구분된다.
  4. 군집표본추출방법은 집단 간의 특성은 이질적이고 집단 내의 특성이 동질적일 때 가장 이상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군집표본추출방법은 집단 간의 특성은 이질적이고 집단 내의 특성이 동질적일 때 가장 이상적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군집표본추출방법이 각 군집 내에서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집단 간의 이질성이 큰 경우에도 대표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표집방법들로만 구성된 것은?

  1. ㄱ, ㄴ, ㅁ
  2. ㄴ, ㄷ, ㄹ
  3. ㄷ, ㅁ, ㅂ
  4. ㄹ, ㅁ, ㅂ
(정답률: 알수없음)
  • 확률적 표본추출은 모집단의 각 원소가 선택될 확률이 정해져 있는 표본추출 방법을 말합니다. 따라서 "ㄱ, ㅁ, ㅂ"은 단순임의추출, "ㄷ, ㅁ, ㅂ"은 계통추출, "ㄴ, ㄷ, ㄹ"은 층화추출에 해당합니다. 즉,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표집방법들로만 구성된 것은 "ㄴ,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료수집적 측면에서 척도를 구분할 때 양적판단법 (quantitative judgment method)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쌍대비교법 (paired comparison)
  2. 비율분할법 (fractionation method)
  3. 직접 판단법 (direct judgment method)
  4. 고정총합척도법 (constant sum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판단법은 측정 대상의 양적인 속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쌍대비교법은 양적이 아닌 질적인 속성을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쌍대비교법은 두 가지 항목을 짝지어 비교하여 어느 쪽이 더 우수한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양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양적판단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도구는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2. 측정 항목의 모호성을 제거하고, 측정 항목의 수를 늘리면 타당도가 높아진다.
  3. 상표충성도를 측정해야 하는데 상표선호도를 측정한 경우 측정의 타당도에 문제가 있다.
  4. 웅답자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 정치성향이 다르게 측정되는 경우는 측정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 항목의 모호성을 제거하고, 측정 항목의 수를 늘리면 타당도가 높아진다."는 옳은 내용이다. 측정 항목이 명확하고 다양할수록 측정 결과의 타당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ㄷ"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의 원인 중에서는 가장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ㄱ"은 측정 도구의 정확도 문제, "ㄴ"은 측정자의 기술적인 한계, "ㄹ"은 측정 대상의 변동성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하지만 "ㄷ"은 예측하기 어렵거나 파악하기 어려운 외부적인 요인들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예를 들어 기상 조건이나 인간의 감정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ㄷ"은 다른 오차들에 비해 더욱 예측하기 어렵고, 대처하기도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과 같은 표본추출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표본추출방법은?

  1. 군집표본추출방법
  2. 층화표본추출방법
  3. 계통표본추출방법
  4. 단순무작위표본추출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방법은 전체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작은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무작위로 일부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그룹을 군집이라고 하며, 군집 내부의 개체들은 서로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모집단을 더 작은 군집으로 나누어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모집단의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무원 채용시험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채용시험성적과 채용 후 근무성적을 비교한 결과 양자 간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ㄴ" 입니다.

    - "ㄱ, ㄷ": 상관계수가 높다고 해서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지표일 뿐입니다.
    - "ㄴ, ㄷ": 채용 후 근무성적이 높은 사람들이 채용시험 성적도 높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결과입니다. 따라서 이것만으로는 채용시험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없습니다.
    - "ㄴ, ㄹ": 채용 후 근무성적과 관련된 다른 요인들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는 채용시험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입니다. 채용시험 성적과 채용 후 근무성적이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은 채용시험의 타당성을 일부 입증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변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명목척도는 양적 측정이다.
  2. 등간척도는 서열의 간격이 균등해야 한다.
  3. 서열척도는 등간의 간격을 균등하게 조작시키는 방법이다.
  4. 비율척도는 명목, 서열, 등간측정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등간척도는 서열의 간격이 균등해야 한다." 이다. 등간척도는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서열 간의 간격이 균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0도와 10도 사이의 간격은 5도와 15도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등간척도는 서열 간의 간격이 균등한 측정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불비례층화표본추출 (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이 적합한 경우는?

  1. 대규모 조사 시 다단계 표본추출이 필요할 때
  2. 층화된 집단들을 비슷한 수의 표본들로 비교하고 싶을 때
  3. 조사자가 조사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대상을 선택하여 선별하고자 할 때
  4. 조사 대상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이 알려져 있지 않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불비례층화표본추출은 층화된 집단들을 비슷한 수의 표본들로 비교하고 싶을 때 적합합니다. 이는 각 층의 중요도가 다를 때, 중요한 층의 표본을 더 많이 추출하여 정확한 추정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서 인구 조사를 할 때, 각 동별로 인구 비율이 다르다면, 중요한 동은 더 많은 표본을 추출하여 정확한 추정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신뢰성이 있다고 인정된 측정도구를 이용한다.
  2. 조사자의 면접방식과 태도는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3. 조사 대상자가 잘 모르거나 전혀 관심이 없는 내용에 대한 측정은 하지 않는다.
  4. 응답자의 집중력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질문은 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성이 있다고 인정된 측정도구를 이용한다."는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맞는 것이고,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기 위해 직업, 소득, 교육 등을 사용하여 각 측정치들의 상관계수를 통해서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은?

  1. 표면타당성 (face validity)
  2. 내용타당성 (content validity)
  3. 개념 타당성 (construct validity)
  4. 기준관련타당성 (criterion-related validity)
(정답률: 알수없음)
  • 직업, 소득, 교육 등은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들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치들의 상관계수를 통해 다른 기준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기준관련타당성이다. 즉,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 요소들이 실제로 그 개인의 다른 기준과도 연관성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측정도구 자체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이나 개념을 얼마나 대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1. 내용타당성 (content validity)
  2. 집중타당성 (convergent validity)
  3. 판별타당성 (discriminant validity)
  4. 기준관련타당성 (criterion-related validity)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도구 자체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이나 개념을 얼마나 대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내용타당성 (content validity)"이다. 이는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이나 개념이 측정도구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측정도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이나 개념을 대표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지표화
  2. 범주화
  3. 개념적 정의
  4. 조작적 정의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조작적 정의"에 관한 설명이다. "조작적 정의"란, 연구나 조사를 위해 특정한 개념을 정의할 때, 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건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즉, 개념을 정의할 때 그 개념이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측정될 것인지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다. 이는 연구나 조사에서 개념을 일관성 있게 사용하고, 결과를 비교하거나 분석할 때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과 같이 복지관 이용 동기를 측정하였다면 이는 어떤 수준의 측정인가?

  1. 명목수준
  2. 서열수준
  3. 등간수준
  4. 비율수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측정은 각 항목마다 단순히 "매우 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같은 명목적인 수준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명목수준"의 측정이다. 명목수준은 각 항목 간의 순서나 간격이 없이 단순히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측정의 신뢰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정성, 일관성, 의존가능성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개념이다.
  2. 반복 측정했을 때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3. 어떤 조사결과가 부정확한 측정 자료에서 우연히 발견된 것이 아니라는 확신을 줄 수 있다.
  4. 연구결과와 그 해석을 위한 필요조건일 뿐 아니라 충분조건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구결과와 그 해석을 위한 필요조건일 뿐 아니라 충분조건에 해당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측정의 신뢰도는 연구결과와 그 해석을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다른 변수들과의 상호작용, 측정 도구의 한계 등 다양한 요인들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의 신뢰도만으로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측정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오차에는 무작위와 체계적 오차가 있다.
  2. 무작위 오차란 우연히 발생하는 오차이며 신뢰도와 관련된 오차이다.
  3. 체계적 오차란 편견이 개입된 경우로서 타당도와 관련된 오차이다.
  4. 행동과 연결되지 않는 바람직한 응답만 하려는 경우는 무작위 오차에 해당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행동과 연결되지 않는 바람직한 응답만 하려는 경우는 무작위 오차에 해당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바람직하지 않은 응답은 체계적 오차에 해당되며, 타당도와 관련된 오차입니다. 무작위 오차는 우연히 발생하는 오차로, 측정 도구의 정확도와 관련된 오차입니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응답은 무작위 오차가 아닌 체계적 오차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불포함 오류 (noncoverage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표본에 적합한 표집틀을 사용하지 결과로 일어나는 오차이다.
  2. 목표모집단에는 있지만 표집틀에는 없는 표본 요소들로 인해 일어나는 오차이다.
  3. 표집틀에는 있지만 목표모집단에는 없는 표본 요소들로 인해 일어나는 오차이다.
  4. 표본에 적합한 목표모집단을 사용하지 못한 결과로 일어나는 오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표모집단에는 있지만 표집틀에는 없는 표본 요소들로 인해 일어나는 오차이다." 불포함 오류는 표본을 추출할 때 목표모집단에 존재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하지 못하고 일부 요소를 놓치는 경우 발생합니다. 이는 표본이 목표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코드북 (code book) 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변수이름
  2. 변수정의
  3. 변수의 측정수준
  4. 데이터에서 변수의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변수의 측정수준은 코드북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적인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이지만, 코드북은 변수에 대한 설명과 정의, 데이터에서 변수의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합니다. 변수의 측정수준은 변수가 어떤 형태로 측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변수의 종류와 분석 방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코드북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이므로, 따로 기록해두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념적 정의는 추상적 수준의 정의이다.
  2. 조작적 정의는 인위적이기 때문에 가능한한 피해야 한다.
  3.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간의 불일치는 타당도의 문제이다.
  4. 조작적 정의는 측정을 위해서 불가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작적 정의는 인위적이기 때문에 가능한한 피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조작적 정의는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측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조작적 정의를 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본조사 (sample surve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앓은 것은?

  1. 전수조사가 불가능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2. 비용·시간 등이 한정적일 때 전수조사보다 선호된다.
  3. 센서스(census) 조사의 경우 표본조사가 전수조사 보다 적합하다.
  4. 표본조사를 실시할 때는 신뢰성을 위해 표본의 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센서스(census) 조사의 경우 표본조사가 전수조사 보다 적합하다. 이는 전수조사의 경우 모든 대상을 조사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대상이 많을 경우 조사의 정확성도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상이 많은 경우에는 표본조사를 활용하여 대표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학생들의 성적을 ‘A, B, C, D’ 또는 ‘수·우·미·양·가’와 같이 몇 개의 단계로 구분해서 평가하는 척도는?

  1. 평정척도
  2. 서스톤척도
  3. 거트만 척도
  4. 보가더스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평정척도는 학생들의 성적을 몇 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는 척도이다. 이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가 척도 중 하나로, 학생들의 성적을 A, B, C, D와 같이 4단계로 구분하거나, 수, 우, 미, 양, 가와 같이 5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평정척도"이다. 서스톤척도, 거트만 척도, 보가더스척도는 다른 종류의 평가 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할당표본추출법 (quota sampling)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종 단계의 표본추출방식을 제외한다면 전체적으로는 층화표본추출법과 유사하다.
  2. 조사 주제와 관련하여 모집단의 동질성이 크면 클수록 그 효과가 극대화된다.
  3. 할당량 설정 후 표본 구성요소의 추출에서 조사원에 의한 편견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4. 최종 단계에서의 표본이 확률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비확률표본추출법으로 보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할당표본추출법은 모집단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일정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층화표본추출법과 유사하지만, 최종 단계에서의 표본이 확률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비확률표본추출법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조사 주제와 관련하여 모집단의 동질성이 크면 클수록 할당표본추출법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는 모집단의 동질성이 높을수록 각 그룹에서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사 주제와 관련하여 모집단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할당표본추출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할당량 설정 후 표본 구성요소의 추출에서 조사원에 의한 편견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사전에 할당량을 설정할 때 조사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할당표본추출법의 한계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설문의 측정 방식을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면, 어떤 척도를 사용한 것인가?

  1. 리커트 척도
  2. 서스톤V 척도
  3. 어의 차이 척도
  4. Q-sort technique
(정답률: 알수없음)
  • 위 설문의 측정 방식은 어의 차이 척도를 사용한 것이다. 이는 각 항목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각 항목의 순서를 비교하여 차이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즉, 각 항목 간의 차이가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순서에 따라 점수가 부여된다. 다른 보기들은 리커트 척도, 서스톤V 척도, Q-sort technique 등 다른 측정 방식들을 나타내며, 어의 차이 척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급통계처리및분석

61. 다음 분산분석표에 대응하는 통계적 모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표에서 Treatment, Error, Total의 제곱합(SS)과 자유도(df)를 보면, Treatment와 Error의 자유도 합이 Total의 자유도와 같고, Treatment와 Error의 제곱합 합이 Total의 제곱합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일원분산분석의 가정 중 하나인 Treatment와 Error의 분산이 같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분산분석표는 일원분산분석 모형에 대응합니다.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확률화 블록계획법 (Randomized block design) 으로 실험 한 어 떤 자료의 분산분석 표의 일부가 다음과 같다. C 와 D의 값을 합하면 얼마인가?

  1. 15
  2. 16
  3. 31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확률화 블록계획법에서는 각 블록 내에서의 처리들의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블록 내에서의 처리들을 무작위로 배치한다. 따라서, C와 D는 같은 블록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되었으므로, C와 D의 값의 차이는 블록 내에서의 처리들의 차이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C와 D의 값을 합한 값은 블록 간의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A와 B의 값의 합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C와 D의 값을 합한 값은 15+16=3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임의표본 X1, ……, Xn(n < 30)이 모평균 μ와 표준편차 σ가 알려져 있지 않는 정규모집단에서 추출되었을 때 모평균이 μ0인지를 검정하고자 한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검정통계량과 분포로 옳은 것은? (단, Z는 표준정규확률변수이며, tn은자유도가 n인 t분포를 의미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규모집단에서의 모평균 검정 문제이므로, 표본평균을 이용하여 검정통계량을 구하고, t분포를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한다. 따라서 옳은 보기는 "" 이다.

    검정통계량: t = (X̄ - μ0) / (S / √n)

    분포: tn-1 (자유도가 n-1인 t분포)

    이유: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고, 모평균과 모표준편차가 모두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표본평균과 표본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검정통계량을 구하고, t분포를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연속확률분포를 가지는 모집단으로부터의 랜덤 샘플 X1,X2,...,Xn에 대하여 중앙값 θ에 대한 가설 H0 : θ = θ0 vs H1 : θ ≠ θ0을 검정하기 위한 통계량 S를 θ0보다 큰 자료의 수라할 때, 귀무가설(H0)이 참일 때 S의 확률분포는?

  1. N (0, 1)
  2. N(n/2, n/4)
  3. B (n, 1/2)
  4. B (n, 1/4)
(정답률: 알수없음)
  • S는 이항분포를 따르며, 각 시행에서 성공할 확률은 θ0보다 큰 값인 1/2이다. 따라서 S의 확률분포는 이항분포 B(n,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30개의 자료에 대한 설명변수를 4개 사용한 중회귀모형 , i = 1, 2, ... , 30 에서 잔차변동(SSE) 의 지유도는?

  1. 4
  2. 5
  3. 25
  4. 26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의 수가 설명변수의 수보다 많으므로 중회귀분석을 할 수 있다. 잔차변동(SSE)의 지유도는 (n-p-1)이므로, 여기서는 (30-4-1) = 2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떤 자료의 판별분석을 통해 얻어진 선형판별함수가 Z=3x-2x2+10 일 때, 자료 (9, 5)의 판별득점은?

  1. 7
  2. 10
  3. 17
  4. 27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자료 (9, 5)를 선형판별함수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Z = 3(9) - 2(5) + 10 = 27 이므로, 정답은 "27"입니다. 이는 주어진 자료가 선형판별함수에 의해 27점을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정준적재 (canonical loading)
  2. 공통요인 (common factor)
  3. 헤이우드 상황 (Heywood case)
  4. 공통성 (communality)
(정답률: 알수없음)
  • 정준적재 (canonical loading)은 요인분석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분석 기법인 정준상관분석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정준상관분석은 두 개 이상의 변수 집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각 변수 집합에서 가장 중요한 선형 결합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요인분석과는 다른 분석 기법이므로 정준적재는 요인분석과 관련이 없다.

    공통요인 (common factor), 헤이우드 상황 (Heywood case), 공통성 (communality)은 모두 요인분석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공통요인은 여러 개의 변수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요인을 의미하며, 헤이우드 상황은 요인분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로, 분석 결과로 나온 요인들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중복되거나, 모순되는 경우를 말한다. 공통성은 각 변수가 공통요인으로 설명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표는 4 개의 처리에 대하여 동일한 반복수로 완전확률화계획법(completely randomized design)으로 얻어진 자료에 대한 분산분석표의 일부이다. 이 때 세 처리에 대한 비교 (contrast) 의 표준오차를 구하면?

  1. 10√2
  2. 10√3
  3. 10√4
  4. 10√5
(정답률: 알수없음)
  • 에서 처리간 제곱합(SS)의 합은 240이므로, 각 처리의 제곱합은 60이다.

    따라서 는 (20-10)-(30-10)+(10-10)=0 이다.

    그리고 에서 오차제곱합(MS_E)은 80/12=6.67 이므로, 의 표준오차(SE)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E = √(2*6.67/4) = 2.89

    따라서 정답은 "10√3"이다.

    이는 SE에 10을 곱한 값이며, 이는 자료의 단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요인분석 (Factor analysis)에서 공통성 (commun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수들의 분산의 합은 공통성의 합과 같다.
  2. 공통성은 유일성 (uniqueness)이라고도 한다.
  3. 변수의 분산 중 공통인자로 설명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4. 공통성은 원 변수와 공통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통성은 변수의 분산 중 공통인자로 설명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즉, 변수들의 분산 중 공통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이는 요인분석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공통적인 요인을 추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통성에 대한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군집 분석 (cluster analysis)에서 비 유사성 (dissimilarity)에 대한 측도 중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통계적 거리를 나타내는 측도는?

  1. 유클리디안 (Euclidean) 거리
  2. 민코우스키 (Minkowski) 거리
  3. 시티블록 (city block) 거리
  4. 마할라노비스 (Mahalanobis)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마할라노비스 거리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거리를 계산하기 때문에, 다른 거리 측도들보다 더 정확한 군집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변수 A와 변수 B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을 때, 유클리디안 거리나 민코우스키 거리는 A와 B를 서로 다른 변수로 취급하여 거리를 계산하지만, 마할라노비스 거리는 A와 B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거리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중요한 경우에는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판별분석에서는 판별함수를 구한 후 판별함수값(판별점수)을 이용하여 각 개체를 분류한다. 이 때 사용되는 분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개체의 판별함수값이 각 집단의 판별함수 최댓값에 가까운 쪽으로 개체를 분류한다.
  2. 각 개체의 판별함수값이 각 집단의 판별함수 최솟값에 가까운 쪽으로 개체를 분류한다.
  3. 각 개체의 판별함수값이 각 집단의 판별함수값의 중심점(평균 판별점수)에 가까운 쪽으로 개체를 분류한다.
  4. 각 개체의 판별함수값이 각 집단의 판별함수값의 중심점(평균 판별점수)에서 먼 쪽으로 개체를 분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판별분석에서는 각 개체의 판별함수값을 이용하여 분류를 수행한다. 이 때, 각 집단의 판별함수값의 중심점(평균 판별점수)을 기준으로 개체를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각 집단의 판별함수값이 중심점에서 멀어질수록 다른 집단과 구분이 더욱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개체의 판별함수값이 각 집단의 판별함수값의 중심점에 가까운 쪽으로 개체를 분류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두 설명변수 x1, x2를 사용한 회귀 추정식이 으로 얻어졌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회귀계수의 값 1.7 의 의미는 x2의 값에 상관없이 설명변수 x1의 값을 1단위 증가시 킬 때 반응변수 x1의 값은 1.7 단위 증가할 것임을 나타낸다.
  2. 회귀계수의 값 2.5의 의미는 설명변수 x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x2의 값을 1단위 증가시키면 반응변수 y의 값은 2.5 단위 증가할 것임을 나타낸다.
  3. 설명변수 x1만을 이용하여 회귀모형을 적합하였을 때 회귀추정식의 기울기는 1.7일 것이다.
  4. 설명변수 x2만을 이용하여 회귀모형을 적합하였을 때 회귀추정식은 일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회귀계수의 값 2.5의 의미는 설명변수 x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x2의 값을 1단위 증가시키면 반응변수 y의 값은 2.5 단위 증가할 것임을 나타낸다."이다.

    회귀분석에서 회귀계수는 각 설명변수가 반응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회귀계수의 값이 양수인 경우, 해당 설명변수가 증가할수록 반응변수도 증가하며, 음수인 경우에는 해당 설명변수가 증가할수록 반응변수는 감소한다.

    위 문제에서는 x1과 x2 두 개의 설명변수를 사용한 회귀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회귀계수의 값 2.5는 x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x2의 값이 1단위 증가할 때, 반응변수 y의 값이 2.5 단위 증가할 것임을 나타낸다. 즉, x2가 증가할수록 y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크기는 2.5배로 예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실험계획법의 한 방법인 완전확률화계획법(completely randomized design)에서 k개 의 처리(treatment)를 고려할 때, 이 k개의 처리 사이에 존재하는 직교비교 (orthogonal contrast)는 몇 개인가?

  1. k
  2. k-l
  3. k+l
  4. k-2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확률화계획법에서 k개의 처리를 고려할 때, 직교비교는 k-1개가 된다. 이는 각 처리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마지막 처리는 다른 처리와 모두 비교되기 때문에 k-1개의 직교비교가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k-1"이 아니라 "k-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4 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다변량 자료의 상관계수의 행렬이 다음과 같다. 위 상관계수 행렬의 고유값 (eigenvalue) 이 2.00, 1.79, 0.19, 0.02 일 때, 자료의 총 분산(각 변수의 분산의 합) 중 첫 번째 인자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는 비율은?

  1. 20%
  2. 40%
  3. 50%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고유값은 해당 축으로 설명 가능한 분산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첫 번째 고유값인 2.00은 첫 번째 축으로 설명 가능한 분산의 크기를 나타낸다. 총 분산은 각 변수의 분산의 합이므로, 첫 번째 인자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는 비율은 첫 번째 고유값이 전체 고유값의 합인 2.00 + 1.79 + 0.19 + 0.02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따라서 첫 번째 인자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는 비율은 (2.00 / (2.00 + 1.79 + 0.19 + 0.02)) x 100% = 50%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연구자가 관찰벡터를 두 모집단 π1과 π2 중에서 어디에 분류시킬 것인지 연구하고 있다. 두 모집단에 관련된 밀도함수를 각각 f1(x), f2(x)라 하고, 잘못 분류하여 생기는 비용이 c(2|1)=40원, c(1|2)=70원임을 알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모든 관찰대상물 중의 60%가 π1에 속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제 새로 관찰된 x0에서 밀도함수값이 f1(x0=0.2, f2(x0)=0.6이라고 할 때, 이 개체가 π2에서 나왔을 사후확률은?

  1. 0.33
  2. 0.55
  3. 0.67
  4. 0.84
(정답률: 알수없음)
  • 베이즈 정리에 따라, 이 개체가 π2에서 나왔을 사후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π2|x0) = P(x02)P(π2)/[P(x01)P(π1) + P(x02)P(π2)]

    여기서, P(x01) = f1(x0) = 0.2, P(x02) = f2(x0) = 0.6, P(π1) = 0.6, P(π2) = 0.4이다.

    따라서,

    P(π2|x0) = (0.6)(0.4)/[(0.2)(0.6) + (0.6)(0.4)] = 0.67

    따라서, 이 개체가 π2에서 나왔을 사후확률은 0.67이다. 이는 π2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3개의 자동차 회사에서 만들어 내는 자동차의 리터당 평균주행 거리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산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잔차제곱합과 처리제곱합을 구하면?

  1. 잔차제곱합=6, 처리제곱합=6
  2. 잔차제곱합=6, 처리제곱합=2
  3. 잔차제곱합=2, 처리제곱합=2
  4. 잔차제곱합=2, 처리제곱합=6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처리제곱합과 잔차제곱합을 구해야 한다. 처리제곱합은 각 그룹의 평균과 전체 평균의 차이를 제곱하여 합한 값이다. 따라서, A 그룹의 처리제곱합은 (20-16)^2=16, B 그룹의 처리제곱합은 (25-16)^2=81, C 그룹의 처리제곱합은 (30-16)^2=196 이다. 이들을 합한 값은 16+81+196=293 이다.

    잔차제곱합은 각 데이터와 해당 그룹의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합한 값이다. 따라서, A 그룹의 잔차제곱합은 (20-18)^2=4, B 그룹의 잔차제곱합은 (25-21)^2=16, C 그룹의 잔차제곱합은 (30-27)^2=9 이다. 이들을 합한 값은 4+16+9=29 이다.

    따라서, 정답은 "잔차제곱합=6, 처리제곱합=6" 이 아니라 "잔차제곱합=29, 처리제곱합=29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경로분석 절차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설에 따른 모형을 미리 설정한다
  2. 필요한 경우 변수를 표준화 시킨다.
  3.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을 결정한다.
  4. 분산분석을 통해 주요경로를 설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은 경로분석에서 사용되는 통계적 분석 방법 중 하나로, 주어진 데이터를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주요한 변수들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경로분석 절차 중에서 "분산분석을 통해 주요경로를 설정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떤 진통에 대한 처방의 효과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에 2명, 처방을 받은 처리군에 3명으로부터 진통시간을 측정하였을 경우 적절한 비교분석방법은?

  1. 부호검정
  2. 런 검정
  3. 윌콕슨 순위합검정
  4. 윌콕슨 부호순위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두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한 것이며, 진통시간은 연속형 자료이지만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모수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부호검정"과 "런 검정"은 적절하지 않다. "윌콕슨 순위합검정"은 비모수적인 방법 중에서도 두 집단 간의 순위를 비교하여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에서는 적절한 방법이다. "윌콕슨 부호순위검정"은 한 집단의 중앙값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에서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윌콕슨 순위합검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회귀분석에서 결정계수 R2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결정계수 R2의 범위는 상관계수의 범위와 일치한다.
  2. 회귀모형에 설명변수를 추가하게 되면 R2값이 증가하므로 새 모형이 이전의 모형보다 반드시 우월하게 된다.
  3. 결정계수 R2값이 0 에 가까울수록 회귀직선에 의한 변동이 총변동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4. 결정계수 R2은 총변동에 대한 회귀직선에 의해 설명되는 변동의 비율로 정의되는 측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계수 R2은 총변동에 대한 회귀직선에 의해 설명되는 변동의 비율로 정의되는 측도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어느 직업군의 월 평균소득을 조사하고자 한다. 월 소득에 대한 분포는 표준편차가 100 만원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때 월 평균소득에 대한 95% 신뢰구간의 길이가 50 만원 이하가 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표본크기는? (단, P(N(0,l) > 1.96) = 0.025 이다 )

  1. 16
  2. 62
  3. 96
  4. 128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구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신뢰구간의 길이 = 2 × (z값) × (표준편차 / √n)

    여기서 z값은 표준정규분포에서의 분위수를 의미하며, 95% 신뢰수준에서의 z값은 1.96이다.

    따라서, 50 ≤ 2 × 1.96 × (100 / √n) 이 성립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n ≥ 62.34 가 된다.

    따라서, 최소한 63명의 표본이 필요하다.

    하지만, 표본의 크기는 정수이어야 하므로, 정답은 6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5 개의 변수에 대하여 두 대상의 관찰값이 주어진 표와 같다. 이 때 군집분석의 거리 측정방식 중에서 2차의 민코우스키 거리 (Minkowski distance)를 이용하여 대상 i와 대상 k의 거리를 구하면?

  1. √2
  2. 2
  3. √6
  4. 4
(정답률: 알수없음)
  • 2차의 민코우스키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i,k) = [(∑|Xi - Xk|^2)^0.5]

    따라서 대상 i와 대상 k의 거리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D(i,k) = [(|1-2|^2 + |2-1|^2 + |3-3|^2 + |4-4|^2 + |5-5|^2)^0.5]

    = [(1 + 1 + 0 + 0 + 0)^0.5]

    = √2

    따라서 정답은 "√2"이다. 이는 대상 i와 대상 k 간의 거리가 2차원 평면에서 (1,2)와 (2,1)을 잇는 대각선의 길이와 같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X1, X2, …, Xn이 정규분포 N(θ1, θ2), -∞<θ1<∞, 0<θ2<∞의 랜덤표본일 때, θ1과 θ2의 적률추정량(method of moment estimator)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규분포의 적률추정량은 표본평균과 표본분산이다. 따라서 θ1의 적률추정량은 X̄이고, θ2의 적률추정량은 S2이다. 따라서 옳은 보기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이상점(outlier)이 포함된 자료에 대한 평균차이 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모수검정 통계에서 귀무가설이 기각되면 T-검정도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된다.
  2. 이상점을 더 큰 값으로 바꾸면 미모수검정 통계의 유의확률은 서로 다르게 계산된다.
  3. 이상점이 포함되지 않은 자료는 어떤 통계적 방법을 쓰더라도 결과는 동일하다.
  4. T-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면 비모수검정 통계는 반드시 귀무가설이 기각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T-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면 비모수검정 통계는 반드시 귀무가설이 기각된다. 이는 T-검정과 비모수검정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T-검정은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있으며, 이상점이 포함된 자료에 대해서는 평균값이 크게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점이 포함된 자료에 대해서는 비모수검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이에 따라 T-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더라도 비모수검정에서 귀무가설이 기각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은 외생변수 X1, 내생변수 Y1, Y2를 이용한 경로모형이다. X1 이 Y2 에 미치는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바르게 구한 것은?

  1. 직접효과: 0.4, 간접효과: 1.6, 총효과: 2.0
  2. 직접효과: 0.4, 간접효과: 0.4, 총효과: 0.16
  3. 직접효과: 0.4, 간접효과: 0.4, 총효과: 0.8
  4. 직접효과: 0.4, 간접효과: 0.64, 총효과: 1.04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효과는 X1이 Y2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의미하며, X1에서 Y1로 가는 경로와 Y1에서 Y2로 가는 경로를 통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직접효과는 0.4이다.

    간접효과는 X1이 Y2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의미하며, X1에서 Y1로 가는 경로를 통해 Y1에서 Y2로 가는 경로로 전달된다. 따라서 간접효과는 X1에서 Y1로 가는 경로의 가중치 0.8과 Y1에서 Y2로 가는 경로의 가중치 0.8을 곱한 0.64이다.

    총효과는 X1이 Y2에 미치는 총 영향을 의미하며,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값이다. 따라서 총효과는 0.4 + 0.64 = 1.04이다.

    따라서 정답은 "직접효과: 0.4, 간접효과: 0.64, 총효과: 1.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단쉰회귀모형 y10ixii (i=1,2,…, n), ϵi ~ N(0,σ2)에 대해 최소제곱추정법을 적용한 분산분석표이고, 은 적합된 회귀식, 은 잔차이다. 추정 및 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σ2에 대한 최우추정량과 MSE는 같다.
  2. 최소제곱추정법과 최우추정법에 의한 (b0, b1)의 추정식은 같다.
  3. 회귀식의 유의성에 대한 검정통계량은 이다.
  4. 을 최소가 되게 하는 (b0, b1)을 찾는 방법을 최우추정법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 σ2에 대한 최우추정량과 MSE는 같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최소제곱추정법과 최우추정법은 모두 σ2에 대한 추정량을 구합니다. 하지만 최소제곱추정법은 MSE를 이용하여 추정하고, 최우추정법은 우도함수를 이용하여 추정합니다. 따라서 추정량이 같을 수는 있지만, MSE와 우도함수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추정량이 다릅니다.
    - 최소제곱추정법과 최우추정법에 의한 (b0, b1)의 추정식은 같다. : 옳은 설명입니다. 최소제곱추정법과 최우추정법은 모두 잔차의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b0, b1)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 때, 잔차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최소제곱추정법과 최우추정법은 같은 추정식을 가집니다.
    - 회귀식의 유의성에 대한 검정통계량은 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회귀식의 유의성 검정에서는 F-통계량을 사용하며, 이 때 분자의 자유도는 회귀제곱합의 자유도, 분모의 자유도는 잔차제곱합의 자유도입니다. 따라서 F-통계량은 회귀제곱합의 평균(MSR)과 잔차제곱합의 평균(MSE)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 을 최소가 되게 하는 (b0, b1)을 찾는 방법을 최우추정법이라 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최우추정법은 우도함수를 최대화하는 모수의 값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 때, 우도함수는 잔차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구할 수 있으며, 이를 최대화하는 (b0, b1)을 찾는 것이 최우추정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최소제곱추정법으로 단순회귀모형 y10ixii (i=1,2,…, n)을 적합한 회귀식 와 잔차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ϵi ~ N(0,σ2))

  1. (yi, ei)의 표본상관계수는 0이다.
  2. (xi, ei)의 표본상관계수는 0이다.
  3. (, ei)의 표본상관계수는 0이다.
  4. 적합된 회귀직선은 (xi, yi)들의 평균 ()를 통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yi, ei)의 표본상관계수는 0이다."가 옳지 않다. 이는 일반적으로 회귀분석에서는 참인 경우가 많다. 최소제곱추정법에서는 잔차 ei가 독립 변수 xi와 상관관계가 없기 때문에 (xi, ei)의 표본상관계수는 0이 된다. 또한, 적합된 회귀직선은 (xi, yi)들의 평균 ()를 통과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Runs 검정은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결과만을 갖는 경우에 독립성의 여부를 알아보는 비모수적 검정방법이다. 어느 모집단으로부터 15명의 학생들을 표본추출하여 얻은 성별자료는 아래와 같다. 이 때 Runs 검정에 사용되는 통계량의 값은?

  1. 6
  2. 7
  3. 8
  4. 9
(정답률: 알수없음)
  • Runs 검정에서 통계량은 연속된 동일한 값의 개수를 세어서 계산한다. 따라서 위의 성별자료에서 Runs의 개수는 "M F M F M M F F M F F F M F M"으로 총 8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귀무가설이 참일 때, 표본의 크기가 20인 경우 부호순위 검정통계량의 평균값은?

  1. 100
  2. 105
  3. 110
  4. 115
(정답률: 알수없음)
  • 부호순위 검정통계량은 양쪽 꼬리 확률을 더한 값이므로, 귀무가설이 참일 때 평균값은 0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평균값이 0에 가까운 "10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회의원 후보자 A에 대한 청년층 지지율 p1과 노년층 지지율 p2의 차이 p1-p2는 6.6%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회의원 후보자 TV토론 후, 세대별(청년층과 노년층에 대해) 500명씩을 랜덤추출하여 조사하니, 위 지지율 차이는 3.3%로 나타났다. 세대 간 지지율 차이가 줄어들었다고 할 수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한 귀무가설 H0과 대립가설 H1로 옳은 것은?

  1. H0 : p1-p2=0.033, H1 : p1-p2>0.033
  2. H0 : p1-p2>0.033, H1 : p1-p2≤0.033
  3. H0 : p1-p2<0.066, H1 : p1-p2≥0.066
  4. H0 : p1-p2=0.066, H1 : p1-p2<0.066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H0 : p1-p2=0.066, H1 : p1-p2<0.066"

    세대 간 지지율 차이가 줄어들었다는 것은, 즉 p1-p2가 6.6%에서 3.3%로 줄어들었다는 것은, p1-p2가 0.066보다 작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귀무가설은 "p1-p2=0.066"이고, 대립가설은 "p1-p2<0.0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A, B 두 종류의 청량음료를 8 명 의 전문가에게 교대로 맛을 보게 한 다음, 시음 결과를 점수로 나타내도록 했다. 주어진 표에는 맛의 점수와 그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두 청량음량의 맛에 심각한 차이가 있는지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고자 한다. 다음 중 윌콕슨 부호순위통계량의 관측값(W+)을 바르게 구한 것은?

  1. 17
  2. 23
  3. 65.5
  4. 71.5
(정답률: 알수없음)
  •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에서는 차이의 부호를 무시하고, 크기만을 고려하여 등수를 매긴다. 그리고 등수의 합인 부호순위합(W)을 계산하여 검정통계량으로 사용한다. 이 때, 차이가 0인 경우는 제외한다.

    주어진 표에서 차이가 0인 경우는 없으므로 모든 차이에 대해 등수를 매긴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차이 | 등수 |
    |------|------|
    | 1 | 1 |
    | 2 | 2 |
    | 3 | 3 |
    | 4 | 4 |
    | 5 | 5 |
    | 6 | 6 |
    | 7 | 7 |
    | 8 | 8 |

    이제 등수의 합인 부호순위합(W)을 계산한다. 이 때, 부호는 양수만 고려한다. 따라서, 1, 2, 3, 4, 5, 6, 7, 8의 등수 중에서 양수인 것만 더하면 된다.

    W+ = 1 + 2 + 3 + 4 + 5 + 6 + 7 + 8 = 36

    따라서, 정답은 "36"이다. 보기에서 "23"이 아닌 이유는 등수를 잘못 계산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표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본평균의 기댓값은 표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2. 신뢰도를 높이려면 신뢰구간의 범위를 늘려야 한다.
  3.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평균은 모평균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4. 일반적으로 신뢰구간의 길이는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도를 높이려면 신뢰구간의 범위를 늘려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구간의 범위를 줄여야 합니다.

    표본평균의 기댓값은 표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됩니다. 중심극한정리는 모집단이 어떤 분포를 가지더라도,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평균은 모평균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신뢰구간의 길이는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작아진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 방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베이즈 (Bayes)
  2. 튜키 (Tukey)
  3. 던칸 (Duncan)
  4. 최소유의차(Least Significant Difference)
(정답률: 알수없음)
  • 베이즈 (Bayes)는 다중비교 방법과 관련이 없습니다. 베이즈는 확률론적인 접근 방법으로, 사전 정보와 새로운 데이터를 결합하여 업데이트된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다중비교 방법은 여러 개의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튜키, 던칸, 최소유의차 등이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대응비교(paired comparis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산이 동일한 경우 공통분산에 대한 추정치를 사용한다.
  2. 동일한 개체에 대해 두 개의 특성치를 측정한 자료에 적합하다.
  3. 개체 간의 독립성은 만족되나, 개체 내의 독립성은 만족되지 않는다.
  4. 소표본의 경우에는 정규성의 가정하에 t-검정, 대표본의 경우에는 z-검정을 수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이 동일한 경우 공통분산에 대한 추정치를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대응비교는 동일한 개체에 대해 두 개의 특성치를 측정한 자료에 적합한 검정 방법이다. 개체 간의 독립성은 만족되나, 개체 내의 독립성은 만족되지 않는다. 이 때, 분산이 동일한 경우 공통분산에 대한 추정치를 사용하여 검정을 수행한다. 이는 각 개체의 차이가 특정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소표본의 경우에는 정규성의 가정하에 t-검정, 대표본의 경우에는 z-검정을 수행한다는 설명도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주어진 자료 X1, X2, …, Xn에 대하여 위치모수 θ에 대한 귀무가설 H0 : θ = θ0 를 검정하기 위한 부호 검정 통계량 의 귀무가설하에서의 평균은? (단, 이다.)

  1. n/4
  2. n/2
  3. n
  4. 2n
(정답률: 알수없음)
  • 부호 검정 통계량은 자료 중에서 θ0보다 큰 값의 개수와 작은 값의 개수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귀무가설 H0 : θ = θ0 하에서는 Xi - θ0의 부호를 취한 값들 중에서 양수의 개수와 음수의 개수가 대체적으로 비슷할 것이다. 따라서 부호 검정 통계량의 평균은 대체적으로 0에 가까울 것이다.

    하지만 부호 검정 통계량은 이항 분포를 따르므로, n이 충분히 크면 근사적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게 된다. 이 때 평균은 n/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n/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두 확률변수 X, Y가 대응짝의 형태인 (X1, Y1), (X2, Y2), …,(Xn, Yn)으로 측정되었을 때, 두 변수의 관련성을 측정하는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할계수는 카이제곱통계량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2. 감마(Gamma) 는 두 명목자료에 대한 연관성 척도이다.
  3.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각 변수들의 사용하여 계산한다.
  4.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수들 간의 선형관계만을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마(Gamma) 는 두 명목자료에 대한 연관성 척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감마(Gamma)는 두 개의 이진 변수 간의 연관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이진 변수란 두 가지 값 중 하나만을 가지는 변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성별(남/여)과 흡연여부(흡/비흡)는 이진 변수이다. 감마는 이진 변수 간의 연관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명목자료에 대한 연관성 척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유권자들로부터 정당선호도라는 행변수와 투표여부라는 열변수로 분류하여 얻은 교차표이다. 분석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총 유권자의 투표율은 76.47%이다.
  2. 카이제곱통계량의 자유도는 2이다.
  3. 정당선호도에 따라 투표율이 다르다.
  4. 정당 선호도가 약한 투표자의 기댓값은 305명보다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카이제곱통계량의 자유도는 2이다."는 교차표의 분석결과에 대한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다. 교차표에서는 정당선호도와 투표여부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므로, 카이제곱통계량의 자유도는 (행의 개수-1) x (열의 개수-1)인 (2-1) x (3-1) = 2가 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카이제곱통계량의 자유도는 2이다."이다.

    정당 선호도가 약한 투표자의 기댓값은 305명보다 적다는 이유는, 교차표에서 정당 선호도가 약한(무응답 및 무당파) 유권자의 투표율이 다른 정당 선호도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유권자들의 투표 예상 인원 수도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정부정책에 대한 찬반을 알아보기 위한 여론조사에서 n명의 표본을 랜덤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n명 중에서 X명이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p는 찬성하는 유권자의 모비율이다.)

  1. X - B(n, p)
  2. 는 모비율 p에 대한 불편추정량(비편향추정량)이다.
  3. n, p<5, n(1-p)<5이면 근사적으로 ~ N(p,(1-p)/p)이다.
  4. 는 근사적으로 표준정규분포를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는 모비율 p에 대한 불편추정량(비편향추정량)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는 모비율 p에 대한 최대우도추정량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n, p<5, n(1-p)<5이면 근사적으로 ~ N(p,(1-p)/np)이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한 근사이다. 즉,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이항분포는 정규분포로 근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표본에서 구한 비율 은 평균이 p이고 분산이 (1-p)/np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는 근사적으로 표준정규분포를 따른다. 이는 표본에서 구한 비율 을 이용하여 계산된 표준화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공중보건에 관한 조사에서 시각장애인의 비율을 추정하고자 한다. 만약 이 조사에서 얻어지는 결과에 대한 추정의 98% 오차한계를 5% 이내로 하려면 몇 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 여부를 조사하여야 하는가? (단, z0.01 = 2.33)

  1. 253
  2. 543
  3. 632
  4. 645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한계는 표본비율의 표준오차로부터 구할 수 있다. 따라서,

    E = z0.01 × √(p̂(1-p̂)/n)

    여기서, E = 0.05, z0.01 = 2.33로 대입하면,

    0.05 = 2.33 × √(p̂(1-p̂)/n)

    양변을 제곱하고 정리하면,

    n = (2.33/0.05)² × p̂(1-p̂)

    p̂는 모르기 때문에, 최대값으로 대입하여 계산한다. 시각장애인의 비율이 가장 크다고 가정하면, p̂ = 0.5이다. 따라서,

    n = (2.33/0.05)² × 0.5(1-0.5) = 542.89

    따라서, 대상자 수는 543명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에 대한 분석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이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다.
  2. 모형의 통계적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3. 결정계수는 표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4. 결정계수가 60% 보다 작아 설명력이 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든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다."는 분석결과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해석이다.

    "모형의 통계적 타당성이 확보되었다."는 분석결과에서 유의수준이나 검정통계량 등을 통해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판단한 것이므로 옳은 해석이다.

    "결정계수는 표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는 결정계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므로 옳은 해석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해석은 "결정계수가 60% 보다 작아 설명력이 떨어진다."이다. 결정계수가 60%보다 작다는 것은 모형이 데이터를 설명하는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것이 설명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므로 옳지 않은 해석이다. 결정계수는 데이터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야 하며, 다른 변수들을 추가하거나 모형을 개선함으로써 설명력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두 집단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 표를 얻었다. 두 집단의 분산이 같다고 가정할 때, 두 집단의 공통분산의 추정값은?

  1. 2.6
  2. 3.5
  3. 4.0
  4. 5.7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집단의 분산이 같다는 가정하에, 두 집단의 표본분산을 합쳐서 풀어야 한다. 표본분산은 (n-1)로 나누어주어야 하므로, 각 집단의 자유도는 9-1=8이다. 따라서, 각 집단의 표본분산을 합한 후, 자유도를 합한 값으로 나누어준다. (19.2+12.8)/(8+8) = 32/16 = 2.0 이므로, 공통분산의 추정값은 2.0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공통분산의 추정값이 2.6, 3.5, 4.0, 5.7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 중에서 공통분산의 추정값이 2.0과 가장 가까운 값은 4.0이다. 따라서, 정답은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