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5-11)

디지털영상편집 2급
(2019-05-11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영상미학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샷 크기의 변화 - 주로 한 인물의 행위를 서로 다른 크기의 샷들로 분할해서 연결한다.
  2. 행위의 일치 - 등장인물이 행동하는 중간에 편집을 하면 관객들은 샷과 샷의 연결을 의식하지 못 한다.
  3. 시선의 일치 - 영화 속의 등장인물이 어느 한 곳을 바라보고 있다면 이어지는 다음 샷은 그 인물이 바라보고 있는 대상을 보여준다.
  4. 설정 샷 - 등장인물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 에서 샷 크기의 변화를 한 단계 이상 건너뛰어 연결한다.
(정답률: 74%)
  • "설정 샷 - 등장인물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샷 크기의 변화를 한 단계 이상 건너뛰어 연결한다."가 영상미학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설정 샷은 등장인물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샷 크기의 변화를 건너뛰어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나 분위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샷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디지털영상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복사, 합성, 수정, 편집이 가능하다.
  2. 디지털 통신을 이용한 분야에서도 디지털 영상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3. 디지털 영상은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러도 처음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 할 수 있는 영구성이 있다.
  4. 선형편집(linear editing)만 가능하다.
(정답률: 85%)
  • 선형편집(linear editing)만 가능하다. - 디지털 영상은 비디오 테이프와 달리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복사, 합성, 수정, 편집이 가능하며, 디지털 통신을 이용한 분야에서도 디지털 영상 전송이 가능하며, 디지털 영상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처음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할 수 있는 영구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영상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영상은 움직임이 있는 그림이다.
  2. 움직이지 않는 컷을 연결하면 영상의 흐름을 의식 할 수 있다.
  3. 영상 속에서 아래에 보이는 것은 크고 상위의 것으로 느껴진다.
  4. 컷이 쌓여가면서 작품이 된다.
(정답률: 77%)
  • 영상 속에서 아래에 보이는 것이 크고 상위의 것으로 느껴지는 것은 영상의 원근감 때문이다. 원근감은 먼 거리에 있는 것일수록 작아지고, 아래쪽에 있는 것일수록 크게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이다. 따라서 영상 속에서 아래에 보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크고 상위의 것으로 느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씬(Scene)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오프스크린(Off Screen) - 인물의 연기, 물체의 상태나 음향 등이 촬영하는 화면 밖에 위치 한 상태를 의미한다.
  2. 내레이션(Narration) - 등장인물의 대사로 장면 의 내용이나 스토리를 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3. 독백(Monologue) - 등장인물이 자신의 내적인 심리 상태를 혼자서 드러내어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4. 나라타주(Narratage) - 드라마 줄거리가 진행 되는 도중에 과거를 회상하는 형식의 장면을 의미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내레이션(Narration) - 등장인물의 대사로 장면의 내용이나 스토리를 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촬영 기법이나 장면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이고, 내레이션은 대사를 통해 스토리를 전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프리미어에서 Edit/Preferences의 하위 메뉴 중 작업하는 동안 스스로 저장을 하며, 저장 간격 및 저장하는 프로젝트 수를 설정 할 수 있는 메뉴로 알맞은 것은?

  1. Auto Save 메뉴
  2. Media 메뉴
  3. Device Control 메뉴
  4. Playback 메뉴
(정답률: 75%)
  • 정답: "Auto Save 메뉴"

    설명: Auto Save 메뉴는 프리미어에서 작업하는 동안 자동으로 저장을 하며, 저장 간격 및 저장하는 프로젝트 수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이를 통해 작업 중에 갑작스러운 문제로 인해 프로그램이 강제 종료되거나 컴퓨터가 다운되더라도 최근 작업 내용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uto Save 메뉴는 중요한 작업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프리미어의 기본 설정 중 컴퓨터에 장착된 재생/기록 장치를 제어 할 때 사용하는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1. 컨트롤 디스크 (Control Disks)
  2. 레코드 컨트롤 (Record Control)
  3. 디바이스 컨트롤 (Device Control)
  4. 컨트롤 세이버 (Control Saver)
(정답률: 63%)
  • 디바이스 컨트롤은 컴퓨터에 장착된 재생/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설정으로, 비디오 카메라, 오디오 레코더 등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사용하면 프리미어에서 장치를 쉽게 제어하고, 녹화나 재생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프리미어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요소 들을 사용자의 장비 및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설정하는 옵션명칭으로 알맞은 것은?

  1. 환경재설정(Re-Preference)
  2. 셋업(Set Up)
  3. 환경정리(Clean Environment)
  4. 환경설정(Preference)
(정답률: 70%)
  • - 환경설정(Preference): 사용자의 장비 및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프리미어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요소들을 설정하는 옵션. 이 옵션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편리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환경재설정(Re-Preference): 이미 설정된 환경을 다시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 셋업(Set Up): 프로그램을 처음 실행할 때 필요한 초기 설정을 하는 옵션입니다.
    - 환경정리(Clean Environment):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캐시나 임시 파일 등을 정리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프리미어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요소들을 설정하는 옵션은 "환경설정(Preference)"입니다. 이 옵션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편리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음성 코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P3: 블루레이 디스크(BD) 등의 가정용 HD 장치에 사용하고자 돌비 연구소가 개발한 무 손실 오디오 압축 코덱이다.
  2. WMA: windows media audio의 줄임말로 Microsoft 사가 개발한 오디오 코덱이다.
  3. FLAC(free lossless audio codec): 원 음원을 지우지 않고 파일만 압축해 용량을 줄이므로, 원본 오디오와 비교하여 음원의 손실이 없다 는 것이 장점이다.
  4. DTS: 디지털 시어터 시스템에서 개발한 손실 오디오 코덱이다.
(정답률: 57%)
  • MP3: 블루레이 디스크(BD) 등의 가정용 HD 장치에 사용하고자 돌비 연구소가 개발한 무 손실 오디오 압축 코덱이다. - 틀린 설명입니다. MP3는 손실 압축 오디오 코덱으로,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고화질 장치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화면에서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의 빈 공간을 말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아크 (arc)
  2. 리드룸 (lead room)
  3. 헤드룸 (head room)
  4. 게인 (gain)
(정답률: 61%)
  • 리드룸 (lead room)은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의 빈 공간을 말한다. 이는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시선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영상 촬영 시 인물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드룸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크 (arc)는 카메라가 인물 주위를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헤드룸 (head room)은 인물의 머리 위쪽 공간을 말한다. 게인 (gain)은 카메라나 마이크의 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프리미어에서 타이틀, 자막을 삽입할 때 사용하는 기능들이다. 기능의 명칭과 설명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폰트 사이즈 (Font Size) - 문자의 전체 크기를 조절한다.
  2. 커닝 (Kerning) - 문자의 간격을 설정한다.
  3. 리딩 (Leading) - 줄 간격을 조절한다.
  4. 슬랜트 (Slant) - 기준선에서의 높이를 설정한다.
(정답률: 66%)
  • 정답: 슬랜트 (Slant) - 기울임 각도를 설정한다.

    슬랜트는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기준선에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기준선 오프셋 (Baseline Offset) 기능입니다. 폰트 사이즈는 문자의 전체 크기를, 커닝은 문자 간의 간격을, 리딩은 줄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코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컴프레서(Compressor)와 디컴프레서(Decompre ssor)의 앞 글자인 Co와 Dec가 합쳐진 용어로 영상, 음향 등의 미디어를 압축하는 기술이다.
  2. 코덱이 적용되기 전의 원본 영상에 비해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3. 화질은 최소한으로 열화시키면서 용량을 최대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코덱들이 개발 되고 있다.
  4. 대표적인 음성용 손실 코덱으로는 MP3, AAC, DTS 등이 있다.
(정답률: 65%)
  • "코덱이 적용되기 전의 원본 영상에 비해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코덱은 영상이나 음향을 압축하여 용량을 줄이는 기술이기 때문에, 압축된 영상은 원본 영상에 비해 화질이나 음질이 약간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코덱은 최소한으로 열화시키면서 용량을 최대한 줄이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기 때문에, 이 열화는 대부분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페이지 필(Page Peel)
  2.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3. 클락 와이프(Clock Wipe)
  4. 아이리스 크로스 (Iris Cross)
(정답률: 57%)
  • 이미지가 점점 작아지면서 중앙에서 사라지는 모션을 "아이리스"라고 부르는데, 이 모션을 사용하여 화면 전환 효과를 구현한 것이 "아이리스 크로스 (Iris Cros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선택한 소스 클립을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정하는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1. Preferences
  2. Ripple Delete
  3. Edit Original
  4. Paste Attributes
(정답률: 70%)
  • 정답은 "Edit Original"입니다. "Edit Original"은 선택한 소스 클립을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정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프리미어 프로에서 사용되는 다른 기능들입니다. "Preferences"는 사용자가 프로그램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고, "Ripple Delete"는 선택한 클립을 삭제하면서 다른 클립들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입니다. "Paste Attributes"는 선택한 클립에 이전에 복사한 속성을 붙여넣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색상, 채도, 명도를 기준으로 색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RGB
  2. CMYK
  3. HSV
  4. CIE
(정답률: 50%)
  • 정답은 "HSV"입니다.

    HSV는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Value)를 기준으로 색을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색상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색의 밝기와 채도를 조절하기 쉽기 때문에 컴퓨터 그래픽스나 디자인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RGB는 빛의 3원색(Red, Green, Blue)을 조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며, CMYK는 인쇄에서 사용되는 4원색(Cyan, Magenta, Yellow, Black)을 조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CIE는 색의 인식과 관련된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색공간으로, 색의 밝기와 채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시퀀스(Sequence)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atch Frame 메뉴 - 현재 작업 중인 시퀀스 에서 특정 지점을 소스 동영상에서 찾아내는 기능이다.
  2. Link Media 메뉴 - 오프라인 상태가 된 파일 의 원본 동영상을 찾아 연결하는 기능이다.
  3. Trim Edit 메뉴 - 트림모니터를 실행해 클립 의 시작 부분이나 종료 부분을 정밀하게 자 를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4. Lift 메뉴 - 타임라인에서 마크 인/아웃 구간 이 있을 때 사용한다. 인/아웃 구간을 잘라낸 뒤 빈 공간을 없애주는 기능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Lift 메뉴 - 타임라인에서 마크 인/아웃 구간 이 있을 때 사용한다. 인/아웃 구간을 잘라낸 뒤 빈 공간을 없애주는 기능이다."가 맞다. Lift 메뉴는 인/아웃 구간을 잘라내는 기능이 아니라 해당 구간을 선택하여 다른 트랙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마커(Marker)
  2. 타이틀(Title)
  3. 사운드(Sound)
  4. 아이리스(Iris)
(정답률: 75%)
  • 위 그림은 비디오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효과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마커(Marker)"는 비디오 편집 작업 중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이 부분에서 음악을 바꾸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면 해당 위치에 마커를 표시해두고, 나중에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커(Mark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이미지 시퀀스(Image Sequence)
  2. HDTV 비압축 포맷(Uncompressed HDTV)
  3. 프로레스(ProRes) 압축 포맷
  4. 디엔엑스에이치디(DNxHD) 압축 포맷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여러 장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나열된 이미지 시퀀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미지 시퀀스(Image Sequen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프로젝트 메뉴의 명칭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utomate to Sequence : 프로젝트 패널에서 임포트(Import)된 소스 클립을 자동으로 타임 라인에 배치시키는 기능
  2. Link Media : 오프라인 파일이나 캡쳐한 파일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능
  3. Removed Unused : 임포트(Import)한 후 사용 하지 않은 소스파일을 프로젝트 패널에서 삭제시키는 기능
  4. Export Batch List : 배치 캡처 후 생성된 배치 로그파일과 캡처가 완료된 클립을 내보내는 기능
(정답률: 68%)
  • 정답은 "Link Media : 오프라인 파일이나 캡쳐한 파일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능"입니다. Link Media는 오프라인 파일이나 캡쳐한 파일을 연결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오프라인 파일이나 캡쳐한 파일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색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광원의 색을 절대온도를 이용한 숫자로 표시 한 것으로 단위는 칸델라(cd)을 사용한다.
  2. 붉은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는 높다. 붉은색은 이론상 10000K에 해당한다.
  3. 푸른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는 낮다. 푸른색은 이론상 1000K에 해당한다.
  4. 주변 환경이 붉은 3000K일 때 카메라는 3000K의 붉은 값을 화이트 계열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푸르게 표시해야 한다.
(정답률: 68%)
  • 주변 환경이 붉은 3000K일 때 카메라는 3000K의 붉은 값을 화이트 계열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푸르게 표시해야 한다. 이는 색온도가 낮을수록 빨간색 계열이 강하고, 높을수록 푸른색 계열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색온도와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푸른색 계열을 강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의 클립 메뉴에서 클립 마커를 제거하는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1. 셋 시퀀스 마커 (Set Sequence Marker)
  2. 클리어 시퀀스 마커 (Clear Sequence Marker)
  3. 셋 클립 마커 (Set Clip Marker)
  4. 클리어 클립 마커 (Clear Clip Marker)
(정답률: 66%)
  • 정답은 "클리어 클립 마커 (Clear Clip Marker)"입니다. 이 기능은 선택한 클립에서 마커를 제거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퀀스 마커를 설정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상위 트랙의 영상에 특정영역을 투과 시킨 뒤 하위 트랙의 영상이 보이게 하는 영상 합성 이펙트로 알맞은 것은?

  1. 블러(Blur)
  2. 디스토트(Distort)
  3. 루메트리(Lumetri)
  4. 키잉(keying)
(정답률: 57%)
  • 정답: 키잉(keying)

    키잉(keying)은 특정 색상이나 영역을 제거하거나 투명하게 만들어 다른 영상이나 배경이 보이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이용해 상위 트랙의 영상에 특정 영역을 투과시킨 뒤 하위 트랙의 영상이 보이게 합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색 배경을 사용해 촬영한 배우를 키잉(keying) 기술로 제거하고 다른 배경과 합성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에서 설명하는 영상포맷으로 알맞은 것은?

  1. MPEG-1
  2. WMA
  3. H.264
  4. DTS
(정답률: 56%)
  • 위 영상은 H.264 포맷으로 인코딩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H.264가 고화질 영상을 압축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H.264는 대부분의 디바이스에서 지원되는 표준 포맷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클립의 인/아웃점 간격이 유지된 채 좌측으로 드래그하며 인/아웃점이 함께 앞쪽으로 이동되고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접 클립의 인/아웃점은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전체 클립의 길이는 변함이 없도록 하 는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1. Slip Tool
  2. Track Select Forward Tool
  3. Ripple Edit Tool
  4. Razer Tool
(정답률: 42%)
  • 정답은 "Slip Tool"입니다. Slip Tool은 클립의 인/아웃점 간격을 유지한 채로 클립 내부의 소리나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때 인접 클립의 인/아웃점은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전체 클립의 길이는 변함이 없도록 합니다. 따라서 Slip Tool은 주어진 조건에 알맞은 기능입니다. Track Select Forward Tool은 특정 트랙을 선택하는 기능, Ripple Edit Tool은 클립을 이동시킬 때 인접 클립의 위치도 함께 이동시키는 기능, Razer Tool은 클립을 자르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작업 화면의 종류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젝트 윈도우 - 편집에 필요한 동영상, 사진, 오디오 등을 폴더 형태로 관리하는 창이다.
  2. 모니터 윈도우 - 편집할 영상을 미리 보거나 편집된 영상을 확인하는 창으로 편집 기능도 갖추고 있다.
  3. 타임라인 윈도우 - 실질적으로 편집이 이뤄지는 곳으로 비선형 편집이 가능한 것은 바 로 타임라인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4. 이펙트 윈도우 -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킹하기 위한 창이다.
(정답률: 68%)
  • "이펙트 윈도우 -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킹하기 위한 창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펙트 윈도우는 비디오나 오디오 클립에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편집 단계에서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지만 이미지 센서에 직접 기록이 되는 촬영단계에서 확실히 결정하여 촬영 및 편집을 하고 텔레비전으로 송출하게 된다. 1920×1080 픽셀로 촬영하고 편집하였다면 어떤 텔레비전에 최적화 된 것인가?

  1. Analog TV
  2. SDTV
  3. HDTV
  4. UHDTV
(정답률: 70%)
  • 1920×1080 픽셀은 HDTV의 해상도이기 때문에 HDTV에 최적화 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보다 낮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거나, UHDTV는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적화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