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13)

디지털영상편집 1급
(2017-05-13 기출문제)

목록

1. PAL, NTSC, SECAM 등 컬러 텔레비전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색 형식은?

  1. RGB 색 공간
  2. YUV 색 공간
  3. HSL 색 공간
  4. CMYK 색 공간
(정답률: 60%)
  • PAL, NTSC, SECAM 등 컬러 텔레비전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색 형식은 YUV 색 공간입니다. 이는 밝기 정보를 나타내는 Y 성분과 색상 정보를 나타내는 U, V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Y 성분은 흑백 영상을 나타내며, U, V 성분은 색상 정보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YUV 색 공간은 RGB 색 공간보다 텔레비전에서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에서 30프레임까지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않고 5프레임, 10프레임, 15프레임 등 임의의 프레임 단위로 정지됐다가 재생되는 효과는?

  1. 스트로브(Strobe)
  2. 패스트(Fast)
  3. 슬로(Slow)
  4. 프리즈(Freeze)
(정답률: 64%)
  • 이 효과는 "스트로브(Strobe)"이다. 스트로브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빛을 발산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효과를 내는데, 이와 같이 프레임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것이 이 효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브(Strob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MOV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애플사가 개발한 매킨토시용 표준 시스템 확장 파일이다.
  2.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유형만을 제공한다.
  3. 다양한 환경에서 표준 인터페이스, 재생,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을 제공한다.
  4. 멀티미디어 제작 도구에서 지원되는 표준 멀티미디어 파일포맷에 가장 근접한 기술로 평가된다.
(정답률: 53%)
  • MOV 파일은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유형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제작 도구에서 지원되는 표준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에 가장 근접한 기술로 평가된다.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유형만을 제공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NTSC 방식의 필드 주파수는?

  1. 50Hz
  2. 60Hz
  3. 70Hz
  4. 80Hz
(정답률: 72%)
  • NTSC 방식은 미국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텔레비전 방식으로, 필드 주파수가 60Hz인 것은 미국 전기 시스템의 주파수가 60Hz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유럽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PAL 방식은 전기 시스템의 주파수가 50Hz이므로 필드 주파수도 5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SECA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필드 주파수가 50Hz이다.
  2. 텔레비전의 한 프레임은 635개의 주사선으로 되어 있다.
  3. 1초에 25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4. 프랑스에서 개발되었다.
(정답률: 66%)
  • SECA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프랑스에서 개발되었다." 이다. SECAM은 프랑스, 소련, 독일 등에서 공동으로 개발되었다.

    텔레비전의 한 프레임은 635개의 주사선으로 되어 있다는 것은 SECAM 방식에서 사용되는 주사선의 수이다. SECAM 방식은 한 프레임을 2개의 필드로 나누어 각 필드를 312.5개의 주사선으로 구성하므로, 한 프레임은 625개의 주사선으로 되어야 하지만, SECAM 방식에서는 블랙 버스트 신호를 위해 10개의 주사선을 추가로 사용하므로 635개의 주사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SECAM 방식은 1초에 25프레임으로 되어 있으며, 필드 주파수는 5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연결 단자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CA : VCR, 튜너, CD 플레이어 같은 일반 소비자용의 오디오나 비디오 연결을 위해 사용한다.
  2. XLR : 마이크 혹은 다른 밸런스 오디오 장치를 연결하거나 AES/EBU 디지털 오디오 연결을 위해 사용한다.
  3. IEEE1394 : DV 캠코더나 VCR, 1394 포트를 장착한 컴퓨터 등의 연결에 사용하는 단자로 단방향 전송이 가능하다.
  4. BNC : 아날로그 컴포넌트, SDI, SDTI 등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52%)
  • 답은 "IEEE1394 : DV 캠코더나 VCR, 1394 포트를 장착한 컴퓨터 등의 연결에 사용하는 단자로 단방향 전송이 가능하다." 이다. IEEE1394는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단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마이크로소프트용 코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SF
  2. WMA
  3. WMV
  4. MPEG
(정답률: 72%)
  • 정답은 "MPEG"입니다. MPEG은 마이크로소프트용 코덱이 아니라 MPEG 그 자체로 독립적인 비디오 코덱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SF, WMA, WMV와 같은 자체 개발 코덱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오디오와 관계된 용어로 옳은 것은?

  1. 스닉 아웃
  2. 콘트라스트
  3. 리드룸
  4. 달리
(정답률: 64%)
  • 정답: "스닉 아웃"

    스닉 아웃(Snake out)은 오디오 장비들 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멀티케이블을 의미합니다. 이 케이블은 여러 개의 오디오 채널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무대나 녹음실에서 사용됩니다. 콘트라스트(Contrast)는 이미지나 색상의 대비를 의미하며, 리드룸(Lead room)은 마이크와 소리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달리(Dali)는 조명 기술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카메라 문법의 명칭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틸트 : 카메라가 피사체로 다가가고 후퇴하며 촬영하는 것
  2. 크레인 : 피사체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둥글게 움직이는 것
  3. 엘리베이터 : 카메라 위치는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 헤드를 위와 아래로 움직이는 것
  4. 팬 : 카메라가 피사체인 인물의 움직임을 따라 가며 찍는 것
(정답률: 40%)
  • 정답은 "엘리베이터 : 카메라 위치는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 헤드를 위와 아래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틸트는 카메라를 위아래로 움직여 피사체의 상하부를 촬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크레인은 카메라를 높이 들어올려 피사체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둥글게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팬은 카메라를 좌우로 움직여 피사체의 좌우 움직임을 따라가며 찍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코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상이나 음성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PCM)를 사용하여 전송에 적합한 디지털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2. 영상 또는 음성 등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디코더(Decoder)라고 한다.
  3.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한 영상이나 음성을 컴퓨터에서 보기 위해 코덱 파일을 설치해야 한다.
  4. 'Divx'는 비교적 뛰어난 화질을 보여주는 영상 코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45%)
  • 영상 또는 음성 등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디코더(Decoder)라고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디코더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를 해석하여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디코더는 코덱의 일부분으로,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해독하여 원래의 영상이나 음성 등의 정보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래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게인
  2. 믹싱
  3. 벡터
  4. 아크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살표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가진 것을 벡터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벡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영상의 의미성을 발생시키는 영상 다이나미즘의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피드감
  2. 화상의 크기
  3. 화상의 질감
  4. 길이(시간의 길이)
(정답률: 49%)
  • 화상의 크기는 영상의 의미성을 발생시키는 영상 다이나미즘의 구성요소가 아니다. 영상의 크기는 영상의 시각적 효과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영상의 의미성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는 아니다. 스피드감, 화상의 질감, 길이(시간의 길이)는 영상의 의미성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영상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상은 연결성을 발생시킨다.
  2. 컷이 쌓여가면서 작품이 된다.
  3. 상하의 감각으로 위에 보이는 것은 크고 상위의 것이다.
  4. 움직이지 않는 컷은 길이가 없다.
(정답률: 75%)
  • 상하의 감각으로 위에 보이는 것이 크고 상위의 것이라는 것은 영상에서의 시각적인 효과 중 하나인 원근감을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상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움직이지 않는 컷은 길이가 없다." 이다. 이는 영상에서의 길이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며, 움직이지 않는 컷은 시간의 흐름이 없기 때문에 길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파일의 종류는?

  1. MOV
  2. AVI
  3. MPEG
  4. MP4
(정답률: 69%)
  • 위 그림은 동영상 파일을 나타내고 있으며, AVI는 Audio Video Interleave의 약자로 오디오와 비디오를 함께 저장하는 파일 형식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AVI 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타임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임코드는 영상을 재생하거나 편집을 할 때 프레임들이 어떻게 계산되는가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드롭 프레임 타임코드는 10의 배수가 되는 분을 매분마다 1프레임씩 누락시킨다.
  3. 거의 모든 방송용과 가정용 비디오 장비들은 SMPTE 비디오 타임코드를 이용하여 시간을 나타낸다.
  4. 드롭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타임코드는 1초가 언제나 30프레임이다.
(정답률: 49%)
  • "드롭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타임코드는 1초가 언제나 30프레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드롭 프레임 타임코드는 10의 배수가 되는 분을 매분마다 1프레임씩 누락시키는 이유는 시간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이다. 1초는 항상 30프레임이 아니라, 비디오 포맷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NTSC 포맷에서는 1초당 29.97프레임이고, PAL 포맷에서는 1초당 25프레임이다. 따라서, 타임코드에서도 해당 포맷에 맞는 프레임 레이트를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특수 영상 효과 중 메커니컬 효과(Mechanical Effect)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특수분장
  2. 애니매트로닉스
  3. 합성효과
  4. 화공효과
(정답률: 51%)
  • 정답은 "합성효과"입니다.

    메커니컬 효과는 실제 물리적인 장치나 기계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효과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폭발하는 차량을 촬영할 때 실제 차량을 폭발시키는 것이 메커니컬 효과입니다.

    반면에 합성효과는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적으로 합성하여 만드는 효과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초록색 배경에 촬영한 배우를 합성하여 마치 그가 실제로 그곳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이 합성효과입니다.

    따라서 합성효과는 메커니컬 효과와는 다른 종류의 특수 영상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편집 기법 중 영상의 극적 리듬과 템포를 조절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1. 포커스 인/아웃
  2. 화면전환
  3. 샷의 크기와 길이
  4. 재설정 샷의 이용
(정답률: 77%)
  • 샷의 크기와 길이는 영상의 극적 리듬과 템포를 조절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큰 샷으로 시작하여 작은 샷으로 전환하면 긴 시간 동안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고, 작은 샷으로 시작하여 큰 샷으로 전환하면 빠르게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러한 샷의 크기와 길이를 조절하여 영상의 리듬과 템포를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편집의 기능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합(combine) : 적절한 순서에 따라 여러 개의 촬영 데이터를 장면별로 연결
  2. 손질(trim) :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말끔히 정리
  3. 수정(correct) : 잘못 촬영한 것이나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 장면을 삭제
  4. 구성(build) : 이미 촬영 완료된 수많은 화면들을 이용해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
(정답률: 63%)
  • 정답은 "구성(build) : 이미 촬영 완료된 수많은 화면들을 이용해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이다. 이유는 구성(build)은 이미 촬영된 화면들을 이용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으로, 편집의 기능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정(correct)은 잘못 촬영한 것이나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 장면을 삭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검은 화면에서 점점 밝아지거나, 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는 화면 전환 기법으로 옳은 것은?

  1. 디졸브
  2.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
  3. 포커스 인/아웃
(정답률: 77%)
  • 검은 화면에서 점점 밝아지거나, 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는 화면 전환 기법은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이다. 이는 화면을 서서히 나타내거나 사라지게 하여 부드러운 전환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디졸브는 서로 다른 두 장면이 서서히 섞이는 기법이며, 컷은 갑자기 장면이 바뀌는 기법이다. 포커스 인/아웃은 초점을 맞추는 기법으로 화면 전환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코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션제이펙(M-Jpeg) 코덱은 사진이미지 포맷에서 가장 높은 압축률을 자랑한다.
  2. Xvid 코덱은 DivX 코덱의 경쟁 코덱으로써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판매한다.
  3. MOV는 애플사에서 만든 동영상 코덱이다.
  4. RLE(Run Length Encoded)코덱은 2차원 애니메이션 제작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60%)
  • Xvid 코덱은 DivX 코덱의 경쟁 코덱으로써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판매하는 것은 옳지 않다. Xvid 코덱은 오픈소스로 개발되어 있으며 무료로 제공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Adobe Dynamic Link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리미어 내에서 어도비 프로덕션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한다.
  2. 영상 재생 중 클릭을 통해 웹사이트로 연결 시켜준다.
  3. 편집 중 화면이 끊김없이 재생되도록 도와 준다.
  4. 최종 완성된 영상 파일의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프리미어 내에서 어도비 프로덕션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한다." 이다. Adobe Dynamic Link는 Adobe Creative Suite의 여러 어플리케이션 간에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 중에서도 프리미어 프로에서 다른 어도비 프로덕션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fter Effects에서 만든 모션 그래픽을 프리미어 프로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기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시퀀스 메뉴의 Lift의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은 남겨둔다.
  2.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끝지점을 지정한 후 앞부분을 모두 제거한다.
  3.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을 자동으로 당겨 채운다.
  4.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지점을 지정한 후 뒷부분을 모두 제거한다.
(정답률: 49%)
  •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은 남겨둔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시퀀스 메뉴에서 Lift 기능을 사용할 때, 클립의 시작과 끝 지점을 지정하여 해당 부분을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의 공백을 남겨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클립의 길이를 조절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프로젝트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간단한 편집도 가능하다.
  2. 파일 이름만 볼 수 있다.
  3. 사운드 클립만 불러와 정렬하는 것도 가능하다.
  4. 클립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63%)
  • 프로젝트창은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등의 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창입니다. 이 창에서는 파일 이름 뿐만 아니라 각 파일의 정보를 확인하고, 간단한 편집도 가능합니다. 또한 사운드 클립만 불러와 정렬하는 것도 가능하며, 클립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미디어 파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편집 작업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클립을 한 번 이상 자를 때 사용하는 도구는?

  1. Rate Stretch Tool
  2. Rolling Edit Tool
  3. Razor Tool
  4. Ripple Edit Tool
(정답률: 68%)
  • Razor Tool은 클립을 자르는 도구로, 한 번 이상 클립을 자를 때 사용합니다. 다른 도구들은 클립을 이동하거나 늘리거나 줄이는 등의 편집 작업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 내용은 어떠한 기능에 대한 설명인가?

  1. Media
  2. Scratch Disks
  3. Device Control
  4. Auto Save
(정답률: 70%)
  • "Scratch Disks"는 작업 중에 생성되는 임시 파일들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적인 저장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시퀀스 메뉴로 옳지 않은 것은?

  1. Render Work Area
  2. Razor At Current Time Indicator
  3. Apply Video Transition
  4. Synchronize
(정답률: 58%)
  • 정답은 "Synchronize"입니다. 시퀀스 메뉴에는 "Synchronize" 옵션이 없습니다. 다른 옵션들은 모두 시퀀스 작업에 유용한 기능들입니다. "Render Work Area"는 현재 작업 영역을 렌더링하는 기능이고, "Razor At Current Time Indicator"는 현재 시간 인디케이터에서 클립을 자르는 기능입니다. "Apply Video Transition"은 비디오 전환 효과를 적용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프로젝트 패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택한 소스의 미리 보기나 미리 듣기 기능을 지원한다.
  2. 해당 소스의 해상도, 지속시간 등 간략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저장소 폴더를 이용하여 소스를 종류나 목적에 따라 분류해 작업 효율성을 높여준다.
  4. 영상이나 사운드 등의 자르기, 붙이기, 효과 주기, 화면 전환하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옳지 않은 것은 "선택한 소스의 미리 보기나 미리 듣기 기능을 지원한다."이다. 프로젝트 패널은 소스를 관리하고 편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소스의 미리 보기나 미리 듣기 기능은 프리뷰 패널에서 제공된다.

    영상이나 사운드 등의 자르기, 붙이기, 효과 주기, 화면 전환하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유는 프로젝트 패널에서 소스를 선택하고, 타임라인 패널에서 해당 소스를 편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타임라인 패널에서 시퀀스를 편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옳지 않은 것은?

  1. Select Tool
  2. Razor Tool
  3. Insert Tool
  4. Pen Tool
(정답률: 56%)
  • 정답: "Insert Tool"

    설명: "Insert Tool"은 타임라인 패널에서 시퀀스를 편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 중 하나가 아닙니다. "Select Tool"은 클립을 선택하고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며, "Razor Tool"은 클립을 자르는 데 사용됩니다. "Pen Tool"은 마스크를 만들거나 베지어 경로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편집 작업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컴퓨터 환경 설정 ⇨ 동영상 캡쳐 ⇨ 임포트 ⇨ 편집 ⇨ 자막 넣기 ⇨ 각종 효과 적용 ⇨ 오디오 작업 ⇨ 렌더링 및 익스포트
  2. 컴퓨터 환경 설정 ⇨ 동영상 캡쳐 ⇨ 편집 ⇨ 자막 넣기 ⇨ 임포트 ⇨ 각종 효과 적용 ⇨ 오디오 작업 ⇨ 렌더링 및 익스포트
  3. 컴퓨터 환경 설정 ⇨ 동영상 캡쳐 ⇨ 임포트 ⇨ 오디오 작업 ⇨ 편집 ⇨ 자막 넣기 ⇨ 각종 효과 적용 ⇨ 렌더링 및 익스포트
  4. 컴퓨터 환경 설정 ⇨ 임포트 ⇨ 편집 ⇨ 자막 넣기 ⇨ 동영상 캡쳐 ⇨ 각종 효과 적용 ⇨ 오디오 작업 ⇨ 렌더링 및 익스포트
(정답률: 67%)
  • 정답은 "컴퓨터 환경 설정 ⇨ 동영상 캡쳐 ⇨ 임포트 ⇨ 편집 ⇨ 자막 넣기 ⇨ 각종 효과 적용 ⇨ 오디오 작업 ⇨ 렌더링 및 익스포트"입니다.

    컴퓨터 환경 설정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설정을 마치는 것이므로 가장 먼저 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동영상 캡쳐와 임포트를 진행하여 편집할 영상을 가져옵니다. 이후에는 편집 작업을 진행하고, 자막을 넣고 각종 효과를 적용합니다. 그리고 오디오 작업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렌더링 및 익스포트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된 영상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프로젝트 메뉴의 항목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utomate to Sequence : 클립 묶음을 전체 또는 선별적인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타임라인 윈도우에 배치한다.
  2. Frame : 각 클립을 대표하는 화면을 리스트 보기에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3. Play-Stop On/Off : 영상만 플레이하는 버튼이다.
  4. Thumbnails : 프로젝트 패널에서 클립의 아이콘의 형태를 설정한다.
(정답률: 40%)
  • Thumbnails : 프로젝트 패널에서 클립의 아이콘의 형태를 설정한다. - 이 항목은 프로젝트 패널에서 클립을 보여줄 때 아이콘의 형태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클립의 첫 프레임을 아이콘으로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