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5-12)

디지털영상편집 1급
(2018-05-12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송출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컬러 비디오 시스템은 크게 NTSC, PAL, SECAM으로 나뉜다.
  2. 50Hz의 전기를 사용하는 국가들의 텔레비전에서 한 프레임은 625개의 주사선으로 되어 있다.
  3. 일반적으로 국가의 전기 시스템이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주사방식을 결정한다.
  4. NTSC 방식은 캐나다에서 개발해 미국, 일본, 한국에서 채택하고 있다.
(정답률: 69%)
  • "NTSC 방식은 캐나다에서 개발해 미국, 일본, 한국에서 채택하고 있다."라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NTSC 방식은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며, 미국, 일본, 한국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한국과 미국에서 채용하고 있는 송출 방식으로, 525개의 수평 주사선으로 되어 있는 송출 방식은?

  1. PAL
  2. SECAM
  3. PAN-N
  4. NTSC
(정답률: 88%)
  • 정답은 "NTSC"입니다. 이는 미국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표준 송출 방식으로, 525개의 수평 주사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PAL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SECAM은 프랑스와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 PAN-N은 중국에서 사용되는 송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면전환 기법 중 원형으로 화면이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기법은?

  1. IRIS
  2. WIPE
  3. FADE
  4. CUT
(정답률: 86%)
  • "Iris"는 화면이 원형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화면전환 기법이다. 이 기법은 화면의 일부분이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전체 화면이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효과를 준다. 이러한 효과는 일반적으로 영화나 TV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어떤 장비에 대한 설명인가?

  1. VTR
  2. Switcher
  3. Character Generator (문자 발생기)
  4. DAE (영상효과기기)
(정답률: 68%)
  • 위 그림은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비들 중 하나인 Switcher를 나타낸다. Switcher는 여러 개의 비디오 신호를 받아서 하나의 출력 신호로 합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하나의 화면에 보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Switcher"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2D효과 중 화면의 상하가 바뀌어 보이는 효과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크로울링(Crawling)
  2. 프리즈(Freeze)
  3. 플립(Flip)
  4. 플롭(Flop)
(정답률: 90%)
  • 정답: 플립(Flip)

    플립(Flip) 효과는 화면을 상하 반전시켜 보이게 하는 효과이다. 이는 2D 그래픽에서 이미지를 뒤집는 것과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위로 점프할 때 화면이 아래로 내려가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준말로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이며, 고품질 음향 및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는?

  1. IEEE1394
  2. RGB
  3. VGA
  4. HDMI
(정답률: 85%)
  • HDMI는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고품질 음향 및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비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이지만, HDMI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모두 전송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고 고품질의 음향과 영상을 제공합니다. 또한, HDMI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깨끗한 화질과 음질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영상의 극적 리듬과 템포를 조절하는 가장 기본적인 편집 방법은?

  1. 샷의 크기와 길이
  2. 재설정 샷의 이용
  3. 화면 전환
  4. 포커스 인/아웃
(정답률: 80%)
  • 영상의 극적 리듬과 템포를 조절하는 가장 기본적인 편집 방법은 "샷의 크기와 길이"입니다. 이는 샷의 크기와 길이를 조절하여 영상의 텐션과 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큰 샷으로 시작하여 작은 샷으로 전환하면 긴 시간 동안 지루하지 않고 영상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긴 샷을 짧게 자르면 영상의 텐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영상의 극적 리듬과 템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리버스 앵글 샷(Reverse Angle Sho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사나 액션에서 이를 보거나 듣는 사람의 반응을 설명하는 샷
  2. 앞의 화면과 180도 반대 방향에서 찍은 샷
  3. 카메라 위치를 상하로 움직이며 찍는 샷
  4. 파노라마 샷으로, 피사체와 멀리 떨어져 찍는 샷
(정답률: 79%)
  • 리버스 앵글 샷은 앞의 화면과 180도 반대 방향에서 찍은 샷입니다. 이는 대사나 액션에서 이를 보거나 듣는 사람의 반응을 설명하는 샷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카메라 워크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Dolly
  2. Truck shot
  3. Arc
  4. Panning
(정답률: 71%)
  • 정답은 "Panning"입니다.

    "Dolly"는 카메라를 수평선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하며, "Truck shot"은 카메라를 수직선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Arc"는 카메라를 곡선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하며, "Panning"은 카메라를 수평선 상에서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Panning"은 다른 카메라 워크들과는 성격이 다르며, 카메라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아크(Arc)
  2. 틸트(Tilt)
  3. 벡터(Vector)
  4. 게인(Gain)
(정답률: 72%)
  • 위 그림은 벡터를 나타내고 있다.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위 그림에서는 화살표의 길이가 벡터의 크기를 나타내고, 화살표의 방향이 벡터의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위 그림은 벡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벡터(Vec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마이크로소프트용 코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PEG
  2. ASF
  3. WMV
  4. WMA
(정답률: 58%)
  • 정답은 "MPEG"입니다. MPEG은 마이크로소프트용 코덱이 아니라 MPEG 그 자체로 독립적인 비디오 코덱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SF, WMV, WMA 등의 코덱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화면 전환 기법 중 앞의 화면이 사라짐과 동시에 다른 화면이 점차적으로 나타나는 화면 전환 기법은?

  1. Dissolve
  2. Wipe
  3. Cut
  4. Iris
(정답률: 89%)
  • 정답: Dissolve

    Dissolve는 앞의 화면이 사라짐과 동시에 다른 화면이 점차적으로 나타나는 화면 전환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두 화면이 서서히 섞이면서 전환되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이러한 효과는 영화나 TV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MV는 고압축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2. AVI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합쳐 하나의 동영상을 구성한다는 뜻에서 Audio Video Interleaved 라고 한다.
  3. FLV는 플래쉬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가능하다.
  4. MP4는 웹 환경에 적합하도록 어도비가 개발한 파일 포맷이다.
(정답률: 75%)
  • 정답은 "MP4는 웹 환경에 적합하도록 어도비가 개발한 파일 포맷이다." 이다. MP4는 MPEG-4 Part 14라는 국제 표준 파일 포맷으로, 웹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TV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범용적인 파일 포맷이다. 어도비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파일 포맷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1. WMA
  2. AVI
  3. MOV
  4. MPEG
(정답률: 77%)
  • 정답: WMA

    WMA는 음악 파일 포맷으로, 다른 세 개의 파일 포맷은 모두 비디오 파일 포맷이다. 따라서 WMA는 성격이 다른 파일 포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에서 설명하는 파일 포맷은 무엇인가?

  1. WMV
  2. MOV
  3. ASF
  4. MPEG
(정답률: 79%)
  • 위 그림은 Apple사의 QuickTime Player에서 재생 가능한 동영상 파일이다. QuickTime Player에서는 MOV 파일 포맷을 지원하며, 따라서 이 파일은 MOV 파일 포맷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Windows Media Video, Advanced Systems Format, MPEG 파일 포맷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AVI 코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비디오신호 전용 파일 포맷이다.
  2. 사진이미지 포맷에서 가장 높은 압축률을 자랑한다.
  3. 2차원 애니메이션 제작에 효과적이다.
  4.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파일 포맷이다.
(정답률: 71%)
  • AVI 코덱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파일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면에서 피사체가 특정 방향을 보는 장면에서 보는 방향의 화면 공간을 지칭하는 말로, 이것이 충분하지 못하면 움직이고 있는 피사체가 화면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제지받는 듯한 느낌이 들게 된다. 이것은 다음 중 어느 것에 대한 설명인가?

  1. Head Room
  2. Lead Room
  3. Nose Room
  4. Looking Room
(정답률: 73%)
  • 이것은 "Nose Room"에 대한 설명이다. Nose Room은 피사체가 바라보는 방향과 화면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충분한 Nose Room이 없으면 피사체가 화면 가장자리에 닿아 제한된 느낌을 줄 수 있다. "Head Room"은 피사체의 머리 위쪽 공간을 의미하며, "Lead Room"은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 앞쪽 공간을 의미한다. "Looking Room"은 피사체가 바라보는 방향 앞쪽 공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화면 속 피사체가 가장 멀리 보이는 샷은?

  1. 미디엄 샷(Medium shot)
  2. 클로즈업 샷(Close-up shot)
  3. 풀 샷(Full shot)
  4. 익스트림 롱 샷(Extreme long shot)
(정답률: 85%)
  • 정답은 "익스트림 롱 샷(Extreme long shot)"입니다. 이는 피사체가 매우 멀리 있어서 전체적인 배경이 크게 보이는 샷으로, 피사체의 크기는 작고 배경의 크기는 큽니다. 이 샷은 전체적인 분위기나 규모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omponent 영상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YUV신호는 RGB 신호보다 전송, 기록의 효율과 경제성이 높다.
  2. RGB와 YUV신호는 고화질이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3. YUV신호는 RGB 신호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4. RGB 신호는 크로마키 합성 등 일부 영역 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정답률: 56%)
  • 정답은 "YUV신호는 RGB 신호보다 전송, 기록의 효율과 경제성이 높다."입니다.

    RGB 신호는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상 신호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며, YUV 신호는 밝기와 색상 정보를 분리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YUV 신호는 밝기 정보가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서 전송 및 기록에 효율적이며, 경제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YUV 신호는 주로 비디오 전송 및 기록에 사용됩니다.

    반면에 RGB와 YUV 신호는 고화질이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높은 해상도와 색상 표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YUV 신호는 RGB 신호의 결점을 보완하면서도 전송 및 기록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RGB 신호는 크로마키 합성 등 일부 영역 외에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YUV 신호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소스모니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타임라인 패널에서 편집되는 영상의 결과물을 보여준다.
  2. 개별클립을 재생하며 시퀀스에 추가할 클립을 준비할 수 있다.
  3. 영상편집에 사용할 클립을 폴더로 묶어 관리한다.
  4. 클립의 비디오 효과를 제어한다.
(정답률: 62%)
  • 소스모니터는 개별클립을 재생하며 시퀀스에 추가할 클립을 준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영상편집 작업에서 필수적인 기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디지털 영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빛의 데이터를 샘플링,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친다.
  2.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합성, 수정, 편집을 쉽게 할 수 있다.
  3. 영상 파일을 반복적으로 복사할 경우 화질 저하가 발생한다.
  4.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해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80%)
  • "영상 파일을 반복적으로 복사할 경우 화질 저하가 발생한다." 인 이유는, 디지털 영상 파일은 압축된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파일을 복사할 때마다 압축된 데이터가 다시 압축되어 저장되면서 정보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프리미어에서 두 클립의 결합된 지속시간은 유지하면서 클립간 편집 지점을 이동하여 한 클립의 시작지점과 다른 클립의 종료지점을 동시에 트리밍하는 도구는?

  1. Rolling Edit Tool
  2. Razor Tool
  3. Rate Stretch Tool
  4. Track Select Tool
(정답률: 83%)
  • Rolling Edit Tool은 두 클립의 결합된 지속시간을 유지하면서 클립간 편집 지점을 이동하여 한 클립의 시작지점과 다른 클립의 종료지점을 동시에 트리밍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Razor Tool은 클립을 자르는 도구, Rate Stretch Tool은 클립의 속도를 조절하는 도구, Track Select Tool은 특정 트랙을 선택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Timeline 패널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원하는 트랙의 비디오 클립을 숨기거나 표시할 수 있다.
  2. 마커를 만들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3. 트랙을 잠가 편집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4. 시퀀스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86%)
  • "시퀀스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는 Timeline 패널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이다. 이는 시퀀스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더 높은 품질의 비디오를 만들거나, 작은 화면에 맞게 비디오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은 시퀀스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New Bin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클립의 목록 크기를 축소한다.
  2. 원하는 클립을 가져온다.
  3. 새로운 시퀀스를 만든다.
  4. 클립을 폴더별로 관리하도록 폴더를 만든다.
(정답률: 70%)
  • New Bin 옵션은 클립을 폴더별로 관리하도록 폴더를 만드는 옵션이다. 이는 프로젝트 내에서 클립을 구분하여 정리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리미어에서 작업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작업 공간 레이아웃을 선택하도록 하는 Window 메뉴를 고르시오.

  1. Events
  2. VST Editor
  3. Info
  4. Workspace
(정답률: 85%)
  • 정답은 "Workspace"입니다. 이는 프리미어에서 작업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작업 공간 레이아웃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다른 보기인 "Events"는 이벤트 창, "VST Editor"는 VST 플러그인 에디터 창, "Info"는 정보 창을 나타내는 메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시퀀스(Sequence) 메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pply Video Transition
  2. Export
  3. Zoom Out
  4. Add Tracks
(정답률: 60%)
  • 시퀀스(Sequence) 메뉴는 비디오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시퀀스를 만들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메뉴이다. "Export"는 시퀀스를 만들거나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기능이 아니라, 완성된 비디오를 내보내는(Export) 기능이므로 시퀀스(Sequence) 메뉴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리미어에서 프로젝트(Project) 패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영상편집의 실질적인 작업 공간이다.
  2. 폴더를 이용해 소스를 종류나 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3. 소스의 해상도, 지속시간 등 간략한 정보를 제공한다.
  4.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고, 미리보기 기능을 지원한다.
(정답률: 70%)
  • 정답: "영상편집의 실질적인 작업 공간이다."

    설명: 프리미어의 프로젝트(Project) 패널은 영상편집에서 사용되는 소스들을 관리하고, 프로젝트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자료들을 제공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영상편집의 실질적인 작업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프로젝트 패널의 기능 중 하나이며, 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하며, 미리보기를 지원하는 등 영상편집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Undo : 바로 이전에 실행한 명령이나 작업을 취소한다.
  2. Paste Attributes : 잘라 내거나 복사한 클립을 현재 위치에 삽입한다.
  3. Label : 소스 클립 간의 구분을 위해 레이블 색상을 부여한다.
  4. Ripple Delete : 편집할 때 발생하는 클립간의 빈 공간을 제거한다.
(정답률: 69%)
  • 정답: "Paste Attributes : 잘라 내거나 복사한 클립을 현재 위치에 삽입한다." 설명이 맞다.

    Paste Attributes는 클립의 속성을 복사하여 다른 클립에 붙여넣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비디오 클립에서 색상 보정을 적용하고, 이를 다른 비디오 클립에도 적용하고 싶을 때, 이전 클립에서 적용한 색상 보정 속성을 복사하여 다른 클립에 붙여넣을 수 있다. 이 기능은 잘라내기와 복사하기와 유사하지만, 클립 자체를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클립의 속성만을 복사하여 붙여넣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urrent Time Indicator가 위치한 시간의 장면을 보여주고, 영상편집 과정과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패널은?

  1. Timeline
  2. Effect Controls
  3. Tools
  4. Program Monitor
(정답률: 82%)
  • Program Monitor은 현재 시간 인디케이터가 위치한 시간의 장면을 보여주고, 영상편집 과정과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패널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영상편집에 사용되는 다른 패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리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어도비사의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다.
  2. 2GB이상의 RAM을 권장한다.
  3. Windows 전용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다.
  4. CS3 버전 이후 Windows98에서 설치되지 않는다.
(정답률: 70%)
  • 프리미어는 CS3 버전 이후 Windows98에서 설치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정답은 "Windows 전용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다."입니다. 이유는 프리미어는 Mac OS와 Windows 운영체제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중 Windows 운영체제에서만 사용 가능한 버전도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