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7-21)

물류관리사 1교시
(2018-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류관리론

1. 21세기 물류 추세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벌물류 추구
  2. 자사화물 중심의 수ㆍ배송물류 추구
  3. 고품격 고객맞춤 서비스물류 지향
  4. 3PL(3자물류) 또는 4PL(4자물류)로 발전
  5. 환경친화 및 안전 지향적 물류로 발전
(정답률: 77%)
  • "자사화물 중심의 수ㆍ배송물류 추구"가 옳지 않은 것은, 물류 산업이 고객 중심의 서비스 산업으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맞춰 유연하고 효율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사화물 중심의 물류 추구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고, 경쟁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고객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는 물류 추세가 옳은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물류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문횟수 감소 경향
  2. 고객욕구의 다양화와 고도화
  3. 운송시간과 비용의 상승
  4. 제조부문 원가절감의 한계
  5.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물류부문의 우위확보 필요
(정답률: 78%)
  • "주문횟수 감소 경향"은 옳지 않은 이유입니다. 물류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는 고객욕구의 다양화와 고도화, 운송시간과 비용의 상승, 제조부문 원가절감의 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물류부문의 우위확보 필요 등이 있습니다. 주문횟수 감소 경향은 온라인 쇼핑 등으로 인해 오히려 물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물류비 절감효과에 관한 것이다. ( )에 들어갈 값은?

  1. 30
  2. 45
  3. 60
  4. 75
  5. 90
(정답률: 40%)
  • 물류비 절감효과는 이전년도 대비 현재년도의 물류비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전년도 물류비 - 현재년도 물류비) / 이전년도 물류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75 - 15) / 75 x 100 = 90 이므로, 물류비 절감효과는 90이 된다. 이는 이전년도 대비 현재년도의 물류비가 75에서 15로 60만큼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물류기업의 물류비 계산을 위한 자료이다. 제품 A와 제품 B의 운송비 비율은? (단, 운송비 배부기준은 거리 × 중량을 사용함)

  1. 3 : 2
  2. 2 : 3
  3. 4 : 3
  4. 3 : 4
  5. 1 : 1
(정답률: 65%)
  • 제품 A와 제품 B의 총 무게는 각각 10kg, 20kg이다. 따라서 총 운송비 중 제품 A의 비중은 10 × 100 + 10 × 200 = 3000, 제품 B의 비중은 20 × 100 + 20 × 200 = 6000 이다. 이를 합산하면 총 운송비는 9000원이다. 이에 따라 제품 A의 운송비 비율은 3000/9000 = 1/3, 제품 B의 운송비 비율은 6000/9000 = 2/3 이므로, 제품 A와 제품 B의 운송비 비율은 1 : 2 가 된다. 이를 간단화하여 4 : 8 으로 나타내면, 1 : 2 가 되고, 이를 다시 간단화하여 4 : 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 : 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물류의 기본적 기능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형태적 조정
  2. 수량적 조정
  3. 가격적 조정
  4. 장소적 조정
  5. 시간적 조정
(정답률: 63%)
  • 물류의 기본적 기능은 제품을 생산부터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형태적 조정"입니다. 형태적 조정은 제품의 형태나 크기를 변경하여 운송이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물류의 기본적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다른 기능들은 수량, 가격, 장소, 시간 등을 조정하여 물류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물류비의 비목별 계산과정으로 옳은 것은?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ㅁ - ㄴ - ㄹ - ㄷ
  3. ㄱ - ㅁ - ㄷ - ㄹ - ㄴ
  4. ㅁ - ㄱ - ㄴ - ㄷ - ㄹ
  5. ㅁ - ㄱ - ㄴ - ㄹ - ㄷ
(정답률: 49%)
  • 물류비의 비목별 계산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 운송비, 보관비, 취급비 등의 비용을 산출합니다.
    ㄴ. 산출된 비용을 물류활동의 종류(입고, 출고, 이동 등)에 따라 분류합니다.
    ㄷ. 분류된 비용을 각 물류활동에서 발생한 비용으로 분배합니다.
    ㄹ. 분배된 비용을 각 물류활동에서 처리한 제품 수량으로 나누어 단위당 비용을 계산합니다.
    ㅁ. 각 물류활동에서 처리한 제품 수량과 단위당 비용을 곱하여 각 물류활동별 비용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ㅁ - ㄱ - ㄴ - ㄹ - ㄷ" 입니다. 물류활동에서 처리한 제품 수량과 단위당 비용을 곱하여 각 물류활동별 비용을 계산한 후, 이를 물류활동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비용을 각 물류활동에서 발생한 비용으로 분배하며, 분배된 비용을 각 물류활동에서 처리한 제품 수량으로 나누어 단위당 비용을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최근의 물류환경 변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의 소량 다빈도화
  2. 환경문제를 중시하는 그린물류 부상
  3. 세계교역량의 급격한 감소
  4. 물류정보화의 진전
  5. 물류기술의 고도화
(정답률: 70%)
  • 세계교역량의 급격한 감소는 최근의 물류환경 변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물류정보화의 진전과 물류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더욱 활성화되고 있으며, 물류의 소량 다빈도화와 환경문제를 중시하는 그린물류 부상 등의 변화와 함께 물류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업물류비의 분류체계 중 기능별 물류비가 아닌 것은?

  1. 운송비
  2. 보관비
  3. 포장비
  4. 노무비
  5. 물류정보ㆍ관리비
(정답률: 69%)
  • 기능별 물류비는 물류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비용을 기능별로 분류한 것이다. 이 중에서 "노무비"는 물류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력을 고용하고 관리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능별 물류비가 아닌 것은 "노무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문주기시간(order cycle ti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문주기시간은 재고정책의 개선활동을 통하여 단축될 수 있다.
  2. 주문전달(order transmittal)은 적재서류 준비, 재고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작업, 주문 확인 등의 활동이다.
  3. 재고 가용성(stock availability) 확보시간은 창고에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없을 때 생산지의 재고로부터 보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4. 주문인도(order delivery)는 주문품을 재고지점에서 고객에게 전달하는 활동이다.
  5. 오더피킹(order picking)은 재고로부터 주문품 인출ㆍ포장ㆍ혼재 작업과 관련된 활동이다.
(정답률: 45%)
  • 주문전달(order transmittal)은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활동이며, 적재서류 준비, 재고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작업, 주문 확인 등의 활동은 주문처리(order processing)에 해당한다. 따라서 "주문전달(order transmittal)은 적재서류 준비, 재고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작업, 주문 확인 등의 활동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업의 고객서비스 측정요소 중 거래 전(pre-transaction) 요소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ㄹ, ㅂ
  3. ㄴ, ㄷ, ㄹ
  4. ㄷ, ㄹ, ㅁ
  5. ㄴ, ㄹ, ㅁ, ㅂ
(정답률: 58%)
  • 거래 전(pre-transaction)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ㄹ, ㅂ" 입니다.

    - "ㄹ"은 리더십(Leadership)을 나타내며, 기업의 경영진이나 조직문화 등이 고객서비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합니다.
    - "ㅂ"은 브랜드(Brand)를 나타내며,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나 인지도 등이 고객서비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이 두 요소가 거래 전(pre-transaction)에 해당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급사슬의 수익관리전략이 유용한 경우가 아닌 것은?

  1. 고가의 상품으로 가격이 변하지 않을 경우
  2. 상품이 쉽게 변질되거나 상품의 가치가 하락될 경우
  3. 수요가 계절적이거나 특정 시기에 피크(peak)가 발생될 경우
  4. 상품을 대량단위와 소량단위로 계약할 수 있을 경우
  5. 상품의 가치가 다양한 시장세분화에 따라 달라질 경우
(정답률: 67%)
  • 고가의 상품으로 가격이 변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익관리전략이 유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가격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을 조절하여 수익을 높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른 전략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급사슬의 유연성이나 신속성을 달성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용절감
  2. 직접주문 방식 도입
  3. 전략적 지연
  4. 파트너십 구축
  5. 모듈러 디자인
(정답률: 45%)
  • 비용절감은 공급사슬의 유연성이나 신속성을 달성하는 방법이 아니라, 비용을 줄이는 목적으로 취해지는 조치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제품수명주기 단계 중 성장기 전략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장기적인 수요에 대비하여 유통망의 확대가 필요하나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물류계획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2. 가격인하 경쟁에 대응하고 수요를 자극하기 위한 촉진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3. 대량생산을 통한 가격인하로 시장의 규모가 확대된다.
  4.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품가용성을 넓은 지역에 걸쳐 증가시키게 된다.
  5. 제품의 유통지역이 가장 광범위하며 제품가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수의 물류거점이 필요한 시기이다.
(정답률: 46%)
  • "대량생산을 통한 가격인하로 시장의 규모가 확대된다."가 성장기 전략의 특성이 아닙니다.

    제품의 유통지역이 가장 광범위하며 제품가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수의 물류거점이 필요한 시기는 제품이 시장에서 인지도를 얻고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증가하는 단계입니다. 이때는 제품을 더 많은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유통망을 확대하고 물류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물류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관리 활동은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키고 물류비용을 감소시키는 목표를 추구한다.
  2. 국제적인 경제환경이 변화하면서 물류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3. 물류비용 절감을 통한 이익창출은 제3의 이익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4. 제품의 수명주기가 길어지고 차별화된 제품생산의 요구 증대로 물류비용 절감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5. 원자재 및 부품의 조달, 구매상품의 보관, 완제품 유통도 물류관리의 대상이다.
(정답률: 61%)
  • "제품의 수명주기가 길어지고 차별화된 제품생산의 요구 증대로 물류비용 절감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제품의 수명주기가 길어지고 차별화된 제품생산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물류비용 절감보다는 더욱 효율적인 물류관리와 고객서비스 향상이 강조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효율적 공급사슬(efficient supply chain)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ㅁ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ㅁ
(정답률: 28%)
  • 효율적 공급사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재고 최소화를 통한 비용 절감
    2. 생산 계획과 수요 예측을 통한 생산량 최적화
    3. 공급자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원가 절감
    4. 물류 및 운송 과정에서의 효율적인 관리
    5.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수준 유지

    따라서, "ㄴ, ㄹ"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재고 최소화와 생산 계획 최적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공급자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며, 물류 및 운송 과정에서의 효율적인 관리와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수준 유지를 통해 효율적인 공급사슬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급사슬관리(SC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크로스도킹(cross docking)은 미국의 Amazon.com에서 최초로 개발하고 실행하여 성공을 거둔 공급사슬관리 기법이다.
  2. 채찍효과(bullwhip effect)는 공급사슬 내 각 주체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 보다는 단순 계약 관계의 구축이 채찍효과 감소에 도움이 된다.
  3.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솔루션의 운영을 통하여 공급자와 구매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통합되어 모든 공급자들과 장기적인 협업관계 형성을 목표로 한다.
  4.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은 공장에서 제품을 완성하는 대신 시장 가까이로 제품의 완성을 지연시켜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5. 대량고객화(mass customization)는 비용, 효율성 및 효과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개별 고객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는 전략이다.
(정답률: 49%)
  • 대량고객화(mass customization)는 비용, 효율성 및 효과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개별 고객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는 전략이다. 이는 고객 중심의 접근 방식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별 고객의 요구에 맞게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공급사슬 내에서는 유연성과 빠른 반응성이 필요하며,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고려한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고 배송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급사슬 취약성의 증가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률: 48%)
  • 공급사슬 취약성의 증가 요인은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만, 위의 보기에서 "ㄱ, ㄴ, ㄷ"은 모두 공급사슬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된 것입니다. "ㄱ"은 공급자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한 문제, "ㄴ"은 자연재해나 기타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한 문제, "ㄷ"은 정보보호 및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문제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공급사슬 내에서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전체적인 공급사슬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업의 물류관리를 위한 전략적 계획과 전술적 계획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순서대로 구분, 전술적 계획, 전략적 계획)

  1. 의사결정의 종류 혁신성 일상성
  2. 의사결정의 환경 확실성 불확실성
  3. 계획주체 중간관리층 최고경영층
  4. 기간 중ㆍ단기적 장기적
  5. 관점 부서별 관점 전사적 관점
(정답률: 57%)
  • 전술적 계획은 단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고, 전략적 계획은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획입니다. 따라서 "전략적 계획이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이고, 전술적 계획은 장기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획"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의사결정의 종류 혁신성 일상성"에서의 '의사결정의 종류'는 혁신성과 일상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혁신성 의사결정은 새로운 문제나 상황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것이고, 일상성 의사결정은 이미 경험한 문제나 상황에서 예전에 사용한 해결책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류공동화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관 파렛트화 추진 및 업계의 통일전표 사용
  2. 자사 물류시스템과 외부 물류시스템의 연계
  3. 물류서비스 내용의 명확화 및 표준화
  4. 자사만의 독자적인 물류비 적용 기준의 확립
  5. 통일된 외장표시 및 표준 물류 심벌(symbol) 사용
(정답률: 73%)
  • 자사만의 독자적인 물류비 적용 기준의 확립은 물류공동화를 위한 전제조건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물류공동화는 업계 내에서 표준화와 통일화를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자사만의 독자적인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이와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요의 정성적 예측방법 중 제품과 서비스에 대하여 고객의 심리, 선호도, 구매동기 등을 조사하는 기법은?

  1. 인과모형법
  2. 시장조사법
  3. 지수평활법
  4. 회귀분석법
  5. 시계열분석법
(정답률: 69%)
  • 시장조사법은 고객의 심리, 선호도, 구매동기 등을 조사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는 정성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수요를 예측하는 것으로, 인과모형법, 지수평활법, 회귀분석법, 시계열분석법과는 다른 방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시장조사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물류 및 마케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케팅전략에는 제품전략, 가격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이 있다.
  2. 마케팅전략은 물류를 포함하여 상호 의존성 있는 마케팅믹스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3. 물류는 마케팅믹스의 4P 중 제품(product)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물류는 포괄적인 마케팅에 포함되면서 물류 자체의 마케팅활동을 실천해야 한다.
  5. 물류는 마케팅뿐만 아니라 산업공학적 측면, 무역학적 측면 등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정답률: 66%)
  • "물류는 포괄적인 마케팅에 포함되면서 물류 자체의 마케팅활동을 실천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물류는 마케팅의 한 요소로서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류는 제품전략, 가격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과 함께 마케팅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또한 물류는 제품과 함께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일환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최근에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무점포 소매상(non-store retail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넷 사용의 증가와 정보기술의 발달로 무점포 소매상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2.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3. 판매자와 소비자 간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1대1 마케팅도 가능하다.
  4. 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다양한 상품의 매매가 가능하다.
  5. 대표적인 형태는 카탈로그 쇼룸(Catalog Showrooms)이다.
(정답률: 66%)
  • 대표적인 형태는 카탈로그 쇼룸(Catalog Showrooms)이다. -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카탈로그 쇼룸은 물리적인 매장이 존재하며, 고객이 제품을 직접 보고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무점포 소매상은 온라인 쇼핑몰, 모바일 앱, 텔레마케팅 등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이론은?

  1. 소매 수레바퀴 이론
  2. 소매 수명주기 이론
  3. 소매 아코디언 이론
  4. 소매 변증법 과정 이론
  5. 소매 자연도태 이론
(정답률: 57%)
  • 이론에서는 소매 아코디언 이론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경기가 침체기에 접어들면 기업들은 생산을 줄이고 재고를 늘리기 시작합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구매하지 않게 되고, 이는 공급업체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후 경기가 회복기로 전환되면 기업들은 생산을 늘리기 위해 원자재를 대거 구매하게 되는데, 이는 공급업체들에게 급격한 수요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생산과 수요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아코디언처럼 늘어나고 줄어들면서 발생하므로 소매 아코디언 이론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공동 수ㆍ배송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량의 적재효율 향상
  2. 주변의 교통혼잡 증가
  3. 차량의 운행효율 향상
  4. 화물의 안정적인 확보
  5. 대형화물차에 의한 대량운송 확대
(정답률: 73%)
  • 공동 수ㆍ배송 도입으로 인해 차량의 적재효율과 운행효율이 향상되며, 화물의 안정적인 확보와 대형화물차에 의한 대량운송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이로 인해 주변의 교통혼잡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공동 수ㆍ배송을 실시할 때 출발지와 도착지, 경로 등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교통혼잡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물류의 영역적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달물류는 생산업체에서 생산된 제품이 출하되어 판매창고에 보관될 때까지의 물류활동이다.
  2. 생산물류는 반환된 제품의 운반, 분류, 정리, 보관과 관련된 물류활동이다.
  3. 사내물류는 완제품이 출하되어 고객에게 인도될 때까지의 물류활동이다.
  4. 판매물류는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이 협력회사나 도매업자로부터 제조업자의 자재창고에 운송되어 생산공정에 투입되기 전까지의 물류활동이다.
  5. 회수물류는 제품이나 상품의 판매활동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물류용기의 재사용에 관련된 물류활동이다.
(정답률: 66%)
  • 회수물류는 제품이나 상품의 판매활동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물류용기의 재사용에 관련된 물류활동이다. 이는 제품이나 상품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사용된 후에 물류용기가 회수되어 재사용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음료수 병이나 캔, 배송용 박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회수물류는 환경보호와 자원절약을 위한 중요한 물류활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송 리드타임이 3주이고 1회 발주량이 70개 일 때, ( )에 들어갈 값은? (단, 안전재고는 55개이다.)

  1. 60
  2. 70
  3. 80
  4. 90
  5. 100
(정답률: 38%)
  • 수송 리드타임이 3주이므로, 안전재고 55개와 1회 발주량 70개를 합한 총 재고량은 125개이다. 따라서, 최소한 125개의 재고가 있어야 한다.

    주문을 받으면 3주 후에 재고가 도착하므로, 3주 후에 필요한 재고량은 최소한 125개이다.

    따라서, 3주 후에 필요한 재고량을 고려하여 현재 재고량에 125개를 더한 값이 정답이 된다.

    즉, 70(1회 발주량) + 55(안전재고) + 125(3주 후 필요한 재고량) = 250 이므로, 정답은 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바코드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QR 코드는 2차원 바코드 중 하나이다.
  2. 바코드는 표준 바코드와 비표준 바코드로 나눌 수 있다.
  3. POS(Point of Sales)는 바코드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소매관리시스템이다.
  4. 바코드는 보안에 취약하므로 포인트 적립, 할인 등의 수단에만 사용 가능하고 결제시스템에는 사용될 수 없다.
  5. EAN-14는 업체 간 거래단위인 물류단위, 주로 골판지박스에 사용되는 국제표준 물류 바코드이다.
(정답률: 68%)
  • "바코드는 보안에 취약하므로 포인트 적립, 할인 등의 수단에만 사용 가능하고 결제시스템에는 사용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바코드는 결제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많은 상점에서 바코드를 이용한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바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역물류(reverse logistics)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과잉재고 반품
  2. 폐기물류
  3. 회수물류
  4. 재주문(reorder)
  5. 운반용기 회수
(정답률: 71%)
  • 재주문은 제품을 처음 주문하는 것으로, 역물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역물류는 제품이나 재고 등이 소비자나 유통 채널에서 거꾸로 역행하여 생기는 물류 활동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재주문"은 역물류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화주기업의 수송부문 이산화탄소 추정 배출량(kg)은? (단, 이산화탄소 배출량(kg) = 연료사용량(L) × 이산화탄소배출계수(kg-CO2/L))

  1. 0.01
  2. 12
  3. 60
  4. 300
  5. 6,000
(정답률: 55%)
  • 이산화탄소 배출계수는 연료당 0.3kg-CO2/L 이므로, 수송부문의 이산화탄소 추정 배출량은 40L × 0.3kg-CO2/L = 12kg-CO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수ㆍ배송관리 모듈
  2. 창고관리 모듈
  3. 생산관리 모듈
  4. 물류정보관리 모듈
  5. 주문처리 모듈
(정답률: 47%)
  • 생산관리 모듈은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물류정보시스템은 주로 물류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생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산관리 모듈은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주문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문처리 우선순위는 주문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순차처리(sequential processing)방식은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방식에 비해 총 주문처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3. 주문을 모아서 일괄처리하면 주문처리비용 및 주문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 주문처리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확인 및 재처리로 인해 주문처리시간이 증가하므로 오더필링(order filling)의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5. 물류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주문처리시간을 줄이면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든다.
(정답률: 54%)
  • "주문처리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확인 및 재처리로 인해 주문처리시간이 증가하므로 오더필링(order filling)의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옳은 것이다. 주문처리시간은 오더필링의 정확성과 빠른 처리 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오더필링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고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물류보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보안제도는 적용범위에 따라 공급사슬의 특정 구간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도와 공급사슬의 전 구간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도로 나눌 수 있다.
  2. 최초의 물류보안제도는 2005년 11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발표한 ISO/PAS 28000 이다.
  3.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은 9.11테러 이후 반러프로그램의 일환으로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를 도입하였다.
  4. 24시간 전 적하목록 제출제도는 운송인이 선적항에서 선적 24시간 전에 화물적 하목록을 제출하도록 규정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의 규칙이다.
  5. 세계관세기구(WCO)는 무역의 안전 및 원활화를 조화시키는 표준협력으로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를 도입하였다.
(정답률: 45%)
  • "최초의 물류보안제도는 2005년 11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발표한 ISO/PAS 28000 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류정보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은 출판물의 효율화를 위한 표시 제도로 음성, 영상 등 무형의 자료를 제외한 종이에 인쇄된 대부분의 출판물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인공위성으로 신호를 보낼 수는 없고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을 수만 있다.
  3. POS(Point of Sales)시스템의 단점은 바코드를 사용하여 상품의 정보를 읽어야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한다.
  4.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의 일종으로 교통여건, 도로상황 등 각종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한다.
  5. 전자문서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은 인쇄된 문서를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서로 교환하는 시스템으로 사무처리 비용 및 인건비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정답률: 37%)
  • 정답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인공위성으로 신호를 보낼 수는 없고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을 수만 있다."이다. 이는 GPS 시스템이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GPS 수신기는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따라서 GPS는 인공위성에서 신호를 보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 TO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출회계(throughput accounting)는 재고를 자산으로 평가한다.
  2. 골드랫(E.M. Goldratt)이 TOC이론을 제안하였다.
  3. TOC는 SCM에 응용할 수 있다.
  4. TOC는 제약을 찾아 집중적으로 개선하는 경영이론이다.
  5. DBR은 Drum, Buffer, Rope를 의미한다.
(정답률: 45%)
  • "산출회계(throughput accounting)는 재고를 자산으로 평가한다."는 TO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산출회계는 제품 판매로 인한 수익(Throughput),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및 인건비(Operating Expense), 그리고 재고 유지 비용(Inventory Carrying Cost)을 고려하여 이익을 계산하는 회계 방법이다. 따라서 산출회계는 재고를 자산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재고 유지 비용을 고려하여 이익을 계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물류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연계되도록 물류시스템을 구축한다.
  2. 물류시스템의 목적은 보다 적은 물류비로 효용 창출을 극대화하는 최적 물류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3. 물류시스템의 하부시스템으로는 운송시스템, 보관시스템, 하역시스템, 포장시스템, 정보시스템 등이 있다.
  4. 물류시스템과 관련된 개별비용은 상충되지 않는다.
  5. 물류시스템에서의 자원은 인적자원, 물적자원, 재무적 자원, 정보적 자원 등이다.
(정답률: 69%)
  • "물류시스템과 관련된 개별비용은 상충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물류시스템에서는 각 하부시스템들이 서로 연계되어 작동하므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개선이 이루어지면 다른 시스템에서는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시스템에서 보관비용을 줄이기 위해 보관기간을 단축시키면 운송시스템에서는 더 많은 물류운송이 필요해져 운송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물류시스템에서는 각 하부시스템들의 개별비용과 전체적인 물류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물류조직의 유형은?

  1. 직능형 물류조직
  2. 라인ㆍ스태프형 물류조직
  3. 사업부형 물류조직
  4. 그리드형 물류조직
  5. 매트릭스형 물류조직
(정답률: 64%)
  • 이 조직은 기능별로 구성된 부서와 지역별로 구성된 부서가 함께 일하는 매트릭스형 물류조직이다. 이는 지역별로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하고, 동시에 기능별 전문성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물류운영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6-시그마(6-σ)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그마는 통계학에서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2. 6-시그마 수준은 같은 실험을 100만회 시행했을 때 6회 정도 오류가 나는 수준이다.
  3. 6-시그마는 모토롤라의 해리(M.Harry)가 창안하였다.
  4. DMAIC란 정의(Define), 측정(Measure), 분석(Analyze), 개선(Improve), 관리(Control)를 의미한다.
  5. 6-시그마는 제조 부문뿐만 아니라 서비스 부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58%)
  • "6-시그마 수준은 같은 실험을 100만회 시행했을 때 6회 정도 오류가 나는 수준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6-시그마 수준은 같은 프로세스에서 생산되는 제품 중 1백만 개 중에 오류가 3.4개 이하인 수준을 의미한다.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품질 수준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파렛트 풀 시스템(Pallet Pool System)의 운영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58%)
  • - "ㄱ" : 파렛트 풀 시스템은 자동화된 운영 시스템으로, 로봇이나 컨베이어 벨트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렛트를 이동시키고 관리한다.
    - "ㄴ" : 파렛트 풀 시스템은 여러 대의 가공기와 연결되어 있어, 가공이 완료된 제품은 자동으로 다음 가공기로 이동하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ㄷ" : 파렛트 풀 시스템은 파렛트의 재고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생산 계획에 따라 파렛트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재고 관리도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스마이키(E.W. Smykey)가 제창한 물류의 원칙인 7R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Right Safety
  2. Right Quality
  3. Right Time
  4. Right Place
  5. Right Impression
(정답률: 56%)
  • 7R원칙은 "Right Product, Right Quantity, Right Condition, Right Place, Right Time, Right Customer, Right Cos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Right Safety"는 7R원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물류의 원칙 중에서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Right Safety"는 보다 더 일반적인 안전 관리 원칙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에 해당하는 물류합리화의 유형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생력(省力)형, ㄴ: 생지능(省知能)형
  2. ㄱ: 비용(費用)절감형, ㄴ: 생지능(省知能)형
  3. ㄱ: 생지능(省知能)형, ㄴ: 생력(省力)형
  4. ㄱ: 생지능(省知能)형, ㄴ: 비용(費用)절감형
  5. ㄱ: 비용(費用)절감형, ㄴ: 생력(省力)형
(정답률: 62%)
  • 주어진 그림은 작업자가 물건을 옮기는 과정에서 생지능(省知能)형 물류합리화를 적용한 것이다. 생지능(省知能)형 물류합리화는 작업자의 지능적 노력을 줄이는 방법으로, 작업자의 노력을 대신할 수 있는 기계나 장비를 도입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따라서, ㄱ은 생지능(省知能)형이 맞고, ㄴ은 생력(省力)형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물수송론

41. 운송시장의 환경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화 사회의 진전
  2. 글로벌 아웃소싱 시장의 확대
  3. 구매고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 향상
  4. 전자상거래 증가
  5. 물류보안 및 환경 관련 규제 완화
(정답률: 62%)
  • 물류보안 및 환경 관련 규제 완화는 운송시장의 환경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양한 환경문제와 보안문제가 발생하면서 오히려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국제해운업계에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물류보안에 대한 규제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류보안 및 환경 관련 규제 완화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컨테이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단위화를 목적으로 하는 운송용기로서 육상ㆍ해상ㆍ항공을 통한 화물운송에 있어 경제성, 신속성, 안정성의 이점을 갖고 있다.
  2. 물적유통 부문의 운송ㆍ보관ㆍ포장ㆍ하역 등의 전 과정을 일관운송할 수 있는 혁신적인 운송용기이다.
  3. 반복사용이 가능한 운송용기로서 신속한 하역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종운송수단 간 접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화물수송용기이다.
  4. 화물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재포장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취급이 용이하며, 해상운송방식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운송용기이다.
  5. 환적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며, 화물의 적입 및 적출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1m3이상의 용기이다.
(정답률: 66%)
  • "화물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재포장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취급이 용이하며, 해상운송방식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운송용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컨테이너는 해상, 육상, 항공 등 모든 운송방식에서 사용 가능하며, 재포장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취급이 용이하다는 것은 맞지만, 해상운송방식에만 사용할 수 있는 운송용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물자동차운송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거리운송에 적합하다.
  2. 문전일관운송이 가능하다.
  3. 비교적 간단한 포장으로 운송이 가능하다.
  4. 단위포장으로 파렛트(Pallet)를 사용할 수 있다.
  5. 대량화물운송에 적합하다.
(정답률: 61%)
  • 대량화물운송에 적합하다는 것은 화물자동차운송이 대량의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운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화물자동차운송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운송비용 중 고정비 항목이 아닌 것은?

  1. 연료비
  2. 감가상각비
  3. 보험료
  4. 인건비
  5. 제세공과금
(정답률: 55%)
  • 연료비는 운송 거리나 운송량에 따라 변동하는 가변비용이므로 고정비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운송수단의 선택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종류
  2. 화물량
  3. 운송비용
  4. 종업원 수
  5. 운송거리
(정답률: 63%)
  • 운송수단의 선택 기준으로 "종업원 수"는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이는 운송수단의 선택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운송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화물운송의 비용 및 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기선운송 시 무차별운임은 화물이나 화주, 장소에 따라 차별하지 않고 화물의 중량이나 용적을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부과하는 운임이다.
  2. 정기선운송 시 혼재운임은 여러 화주의 화물을 혼재하여 하나의 운송단위로 만들어 운송될 때 부과되는 운임이다.
  3. 철도운송이나 해상운송의 경우, 대량화물을 운송할 때 단위비용이 낮아 항공운송이나 자동차운송보다 유리하다.
  4. 운송수단의 선정 시 운송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5. 부정기선운송 시 부적운임은 선적하기로 계약했던 화물량보다 실선적량이 부족 한 경우 용선인이 계약물량에 대해 지불하는 운임이다.
(정답률: 37%)
  • "철도운송이나 해상운송의 경우, 대량화물을 운송할 때 단위비용이 낮아 항공운송이나 자동차운송보다 유리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량화물을 운송할 때는 항공운송이나 자동차운송보다 철도운송이나 해상운송이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A기업의 화물운송 방식이다. 채트반(Chatban) 공식을 이용하여 운송할 때 그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기업은 80∼100 km 구간에서 자동차운송이 유리하다.
  2. A기업은 100∼120 km 구간에서 철도운송이 유리하다.
  3. 100 km 지점에서 톤당 철도운송의 부대비용이 50,000원일 때, 자동차운송비와 철도운송비가 동일하다.
  4. A기업은 106 km 지점에서 자동차운송비와 철도운송비가 동일하다.
  5. A기업의 자동차운송의 경제적 효용거리는 106 km이다.
(정답률: 45%)
  • "100 km 지점에서 톤당 철도운송의 부대비용이 50,000원일 때, 자동차운송비와 철도운송비가 동일하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채트반 공식에 따르면, 두 운송 방식의 경제적 효용거리는 부대비용이 동일할 때 교차하는 지점에서 같아지는 것이므로, 이 문장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특수화물운송 취급 장비 중 유압식 크레인의 용도 및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이드로 크레인(Hydro Crane)이라고도 하며, 중ㆍ단거리 이동이 가능한 트럭위에 탑재시킨 장비이다.
  2. 상자형 화물실을 갖추고 있는 원동기부의 덮개가 운전실 앞쪽에 나와 있다.
  3. 화물실의 지붕이 없고, 옆판이 운전대와 일체로 되어 있다.
  4. 적재함 위에 회전하는 드럼을 싣고 화물을 뒤섞으면서 운행한다.
  5. 화물 적재장치(포크, 램)와 승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정답률: 35%)
  • "하이드로 크레인(Hydro Crane)이라고도 하며, 중ㆍ단거리 이동이 가능한 트럭위에 탑재시킨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B기업의 2018년도 화물자동차 운행실적이다. 실차율, 적재율, 가동률이 모두 옳은 것은? (단,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순서대로 실차율, 적재율, 가동률)

  1. 83.3%, 80.0%, 86.7%
  2. 83.3%, 86.7%, 80.0%
  3. 86.7%, 60.0%, 83.3%
  4. 86.7%, 80.0%, 83.3%
  5. 86.7%, 86.7%, 80.0%
(정답률: 41%)
  • 실차율은 실제로 운행한 거리와 예상 운행 거리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실제 운행 거리 / 예상 운행 거리) × 100 으로 계산하면 된다. 이 경우, 실제 운행 거리는 1,200km이고 예상 운행 거리는 1,386km이므로 실차율은 (1,200 / 1,386) × 100 = 86.7% 이다.

    적재율은 운송 중에 실제로 적재된 화물의 중량과 최대 적재 중량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실제 적재 중량 / 최대 적재 중량) × 100 으로 계산하면 된다. 이 경우, 실제 적재 중량은 24t이고 최대 적재 중량은 30t이므로 적재율은 (24 / 30) × 100 = 80.0% 이다.

    가동률은 운행 중에 실제로 운행한 시간과 예상 운행 시간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실제 운행 시간 / 예상 운행 시간) × 100 으로 계산하면 된다. 이 경우, 실제 운행 시간은 40시간이고 예상 운행 시간은 48시간이므로 가동률은 (40 / 48) × 100 = 83.3% 이다.

    따라서 정답은 "86.7%, 80.0%, 83.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물대를 기울여 적재물을 중력으로 내리는 적재함 구조의 전용특장차는?

  1. 덤프트럭(Dump Truck)
  2. 세미 트레일러 트럭(Semi-Trailer Truck)
  3. 롤러컨베이어(Roller Conveyor) 장치차량
  4. 롤러베드(Roller Bed) 장치차량
  5. 파렛트 레일(Pallet Rail) 장치차량
(정답률: 59%)
  • 덤프트럭은 적재물을 기울여 중력으로 내리는 적재함 구조의 전용특장차로, 다른 보기들은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갖춘 트럭이나 차량이지만, 덤프트럭은 적재물을 내리는 기능을 갖춘 차량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에서 설명하는 차량은?

  1. 슬라이딩도어(Sliding Door) 차량
  2. 컨버터블(Convertible) 적재함 차량
  3. 셔터도어(Shutter Door) 차량
  4. 윙바디(Wing Body) 차량
  5. 폴트레일러(Pole Trailer) 차량
(정답률: 49%)
  • 정답은 "슬라이딩도어(Sliding Door) 차량"입니다. 이 차량은 문이 일반적인 차량과 달리 옆으로 슬라이딩하여 열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승객이나 화물을 편리하게 태우고 내릴 수 있도록 하며, 주차 공간이 제한적인 지역에서도 출입이 용이하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화물정보망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공차율의 감소
  2. 공산품 생산의 감소
  3. 운송시장의 투명성 제시
  4. 정보 수요자 중심의 시장으로 전환
  5. 운송효율의 제고
(정답률: 59%)
  • 화물정보망은 운송시장의 투명성을 제시하고, 정보 수요자 중심의 시장으로 전환하며, 운송효율을 제고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공산품 생산의 감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화물운송실적신고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자가 신고 대상 운송 또는 주선 실적을 정부에서 정한 일정 기준에 따라 의무적으로 관리하고 신고하여야 하는 제도이다. 실적신고 내용이 아닌 것은?

  1. 운송의뢰자 정보
  2. 계약내용
  3. 의뢰받은 화물을 재위탁한 경우 계약내용
  4. 배차내용
  5. 차량경로정보
(정답률: 38%)
  • 화물운송실적신고는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정부에 제출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차량경로정보"는 운송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실적신고 내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물운송의 운임 결정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축간거리(Wheel Base)
  2. 운송거리(Distance)
  3. 운송되는 화물의 크기(Volume)
  4. 밀도(Density)
  5. 적재성(Stowability)
(정답률: 64%)
  • 축간거리(Wheel Base)는 화물운송의 운임 결정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차량의 기술적인 요소로, 차량의 안정성과 조향성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운임 결정요인으로는 운송거리, 운송되는 화물의 크기, 밀도, 적재성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국제물류주선업자의 기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ㅁ
  3. ㄴ,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60%)
  • 국제물류주선업자의 기능은 다양하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ㄱ. 국제운송수단 및 물류시설 등을 활용하여 물류체인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능
    ㄴ. 수출입 상품의 운송, 보관, 통관 등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ㄷ. 수출입 거래에 필요한 문서 작성 및 관리, 보험 가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ㄹ. 수출입 거래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ㅁ. 수출입 거래에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따라서, "ㄴ, ㄹ, ㅁ"이 모두 옳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수송문제의 모형에서 공급지 1∼3의 공급량은 각각 300, 500, 200이고, 수요지 1∼4의 수요량은 각각 200, 400, 100, 300이다. 공급지에서 수요지 간의 1단위 수송비용이 그림과 같을 때 제약 조건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Xij에서 X는 물량, i는 공급지, j는 수요지를 나타냄)

  1. X11+Z21+X31=200
  2. X14+X24+X34=400
  3. X11+X12+X13+X14=300
  4. X21+X22+X23+X24=500
  5. X31+X32+X33+X34=200
(정답률: 33%)
  • 공급지 1에서 수요지 4로 직접적인 운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X14은 0이어야 한다. 따라서 "X14+X24+X34=400"은 옳지 않은 제약 조건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통센터에서 납품처 A, B까지의 배송시간은 각각 45분, 55분이며, 납품처A에서 납품처 B까지의 배송시간은 25분이다. 기존의 방식은 유통센터에서 납품처 A를 갔다 온 후 다시 납품처 B까지 갔다 오는 배송방식을 사용한다. 유통센터에서 납품처 A, B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유통센터로 돌아오는 세이빙(Saving) 기법에 의한 배송 절약 시간은?

  1. 3시간 20분
  2. 3시간
  3. 2시간 5분
  4. 1시간 15분
  5. 55분
(정답률: 52%)
  • 기존의 방식으로 배송을 하면 유통센터에서 A까지 45분, 다시 B까지 55분, 마지막으로 유통센터로 돌아오는데 45분이 걸리므로 총 2시간 25분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세이빙 기법을 사용하면 유통센터에서 A까지 45분, A에서 B까지 25분, B에서 유통센터까지 55분, 마지막으로 유통센터로 돌아오는데 45분이 걸리므로 총 2시간 소요됩니다.

    따라서 배송 절약 시간은 2시간 25분 - 2시간 = 1시간 25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네트워크에서 출발지 S로부터 도착지 F까지 최단경로의 거리는 얼마인가? (단, 경로별 숫자는 km임)

  1. 23 km
  2. 24 km
  3. 25 km
  4. 26 km
  5. 27 km
(정답률: 54%)
  • 출발지 S에서 도착지 F까지의 최단경로는 S-A-D-F이다. 이 경로의 거리는 10+5+10=25km이므로 정답은 "25 km"이다. 다른 경로들은 최단경로가 아니므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최소비용법(Least-Cost Method)과 보겔추정법(Vogel's Approximation Method)을 적용하여 총 운송비용을 구할 때 각각의 방식에 따라 산출된 총운송비용의 차이는? (단, 공급지에서 수요지까지의 톤당 운송비는 각 셀의 우측 하단에 제시되어 있음)

  1. 0
  2. 100
  3. 200
  4. 300
  5. 400
(정답률: 33%)
  • 최소비용법은 각 행과 열에서 가장 작은 운송비용을 가지는 셀을 선택하여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최소비용법으로 산출된 총 운송비용은 100이다.

    반면, 보겔추정법은 각 행과 열에서 가장 작은 운송비용과 그 다음으로 작은 운송비용의 차이를 구하여 가장 큰 차이를 가지는 셀을 선택하여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보겔추정법으로 산출된 총 운송비용은 200이다.

    따라서, 최소비용법과 보겔추정법으로 산출된 총 운송비용의 차이는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ㆍ배송시스템 설계 시 고려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리드타임
  2. 적재율
  3. 차량의 회전율
  4. 차량운행 대수
  5. 안전수요량
(정답률: 49%)
  • 안전수요량은 수ㆍ배송시스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안전수요량은 재고 관리에서 고려하는 개념으로, 예상치 못한 수요나 공급 지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재고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수ㆍ배송시스템 설계 시에는 안전수요량보다는 리드타임, 적재율, 차량의 회전율, 차량운행 대수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수ㆍ배송시스템을 합000 546.00리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요건과 분석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루트배송법은 다수의 소비자에게 소량 배송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으로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2. TSP(Travelling Salesman Problem)는 차량이 지역 배송을 위해 배송센터를 출발하여 되돌아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또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이다.
  3. 다이어그램 배송(Diagram Delivery)은 집배구역 내에서 차량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배송화물의 양이나 배송처의 거리, 수량, 배송시각, 도로 상황 등을 고려하여 미리 배송경로를 결정하여 배송하는 시스템이다.
  4. 변동 다이어그램은 과거 통계 또는 경험에 의존하여 주된 배송경로와 시각을 정해 두고 적시배달을 중시하는 배송시스템이다.
  5. 변동 다이어그램 방식으로 SWEEP, TSP, VSP 등이 있다.
(정답률: 38%)
  • "변동 다이어그램은 과거 통계 또는 경험에 의존하여 주된 배송경로와 시각을 정해 두고 적시배달을 중시하는 배송시스템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변동 다이어그램은 현재의 주문량과 배송 요구사항에 따라 배송 경로와 시간을 조정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과거 경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배송 경로와 시간을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노드 S로부터 G까지 모든 노드들에 원유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짧은 길이의 송유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할 때, 송유관의 총 길이는 얼마인가? (단, 숫자는 두 노드 상의 거리이며, 단위는 km임)

  1. 18 km
  2. 19 km
  3. 20 km
  4. 21 km
  5. 22 km
(정답률: 25%)
  • 노드 S에서부터 G까지의 최단 경로는 S-A-D-G이다. 이 경로를 따라 송유관을 설치하면 S에서 A까지는 5km, A에서 D까지는 7km, D에서 G까지는 8km의 송유관이 필요하므로 총 길이는 20k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 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그림에서 숫자는 인접한 노드 간의 용량을 의미한다. 현재 노드 간(c → d)의 용량은 7이다. 만약, 노드 간(c → d)의 용량이 7에서 2로 감소한다고 가정할 때, S에서 F까지의 최대 유량의 감소분은?

  1. 1
  2. 2
  3. 3
  4. 4
  5. 5
(정답률: 39%)
  • 노드 간(c → d)의 용량이 7에서 2로 감소하면, S에서 F까지의 최대 유량도 7에서 2만큼 감소한다. 따라서 최대 유량의 감소분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과 같은 운송조건의 수송표가 주어졌을 때 북서코너법을 이용한 총 수송비는 얼마인가? (단, 각 셀은 단위당 수송비용임)

  1. 900,000원
  2. 1,000,000원
  3. 1,100,000원
  4. 1,200,000원
  5. 1,300,000원
(정답률: 49%)
  • 북서코너법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직선거리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북쪽과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도착지에 도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북쪽과 서쪽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야 합니다.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북쪽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3, 1) → (2, 1) → (1, 1)입니다. 이 경로의 총 수송비는 300,000원 + 200,000원 + 100,000원 = 600,000원입니다.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서쪽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3, 1) → (3, 2) → (3, 3) → (3, 4)입니다. 이 경로의 총 수송비는 400,000원 + 500,000원 + 600,000원 = 1,500,000원입니다.

    따라서 북서코너법을 이용한 총 수송비는 600,000원 + 1,500,000원 = 2,100,000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000원"이 아니라 "2,100,000원"이 되며, 보기에서는 이 값을 가장 근접한 값으로 반올림하여 "1,000,000원"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의 운송물의 수탁거절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이 제7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청구나 승낙을 거절하여 운송에 적합한 포장이 되지 않은 경우
  2. 고객이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확인을 거절하거나 운송물의 종류와 수량이 운송장에 기재된 것과 다른 경우
  3. 운송물 1포장의 가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4. 운송물의 인도예정일(시)에 운송이 가능한 경우
  5. 운송물이 현금, 카드, 어음, 수표, 유가증권 등 현금화가 가능한 물건인 경우
(정답률: 61%)
  • 운송물의 인도예정일(시)에 운송이 가능한 경우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택배 업체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운송물을 최대한 빠르게 배송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송물의 인도예정일(시)에 운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수탁거절 사유가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소화물일관운송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ㄱ, ㄴ, ㄷ, ㄹ
  4. ㄱ, ㄷ,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률: 35%)
  • - 소화물일관운송은 일관된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운송기간, 운송비용, 운송방법 등이 모두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ㄱ. 운송기간이 일정하다.", "ㄴ. 운송비용이 일정하다.", "ㅁ. 운송방법이 일정하다." 는 모두 소화물일관운송의 특징으로 옳다.
    - "ㄷ. 운송기간이 짧다.", "ㄹ. 운송비용이 저렴하다." 는 소화물일관운송의 특징이 아니므로 오답이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ㅁ"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택배운송시스템은?

  1. Milk Run 시스템
  2. Point to Point 시스템
  3. Hub & Spoke 시스템
  4. 절충형 혼합식 네트워크 방식
  5. 프레이트 라이너 방식
(정답률: 58%)
  • 이 시스템은 중앙 집중형의 허브(Hub)와 지역별 분산된 스포크(Spoke)를 이용하여 물류를 운송하는 방식으로, 허브에서 모든 물류를 집중적으로 처리하고 분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Hub & Spoke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고객이 운송장에 손해배상한도액을 기재하지 않았을 경우 한도액은 50만원이 적용되고, 운송물의 가액에 따라 할증요금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각 운송가액 구간별 평균가액이 적용된다.
  2. 운송물이 포장당 50만원을 초과하거나 운송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일 때는 따로 추가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3. 운송장에 인도예정일의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운송장에 기재된 운송물의 수탁일로부터 인도예정 장소에 따라 일반 지역 1일, 도서, 산간벽지 3일로 한다.
  4. 운송물의 멸실, 현저한 훼손 또는 연착이 천재지변 기타 불가항력적인 사유 또는 고객의 책임 없는 사유로 인한 것인 때에는 사업자는 운임을 청구하지 못하고 통지ㆍ최고ㆍ운송물의 처분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청구한다.
  5. 운송물의 일부 멸실 또는 훼손에 대한 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은 수화인이 운송물을 수령한 날로부터 21일 이내에 그 일부 멸실 또는 훼손에 대한 사실을 사업자에게 통지를 발송하지 아니하면 소멸한다.
(정답률: 41%)
  • 운송물이 포장당 50만원을 초과하거나 운송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경우에는 따로 추가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는 운송물의 가치나 특성에 따라 더욱 신중한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국내 철도화물 운임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철도화물 운임은 별도의 할인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다.
  2. 철도화물 운임체계는 일반화물, 특수화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3. 일반화물 운임은 운송거리(km) × 운임단가(운임/km) × 화물중량(톤)으로 산정한다.
  4. 일반화물의 최저기본운임은 사용화차의 최대 적재중량에 대한 10 km에 해당하는 운임이다.
  5. 1 km 미만의 거리와 1톤 미만의 일반화물은 실제 거리와 중량으로 계산한다.
(정답률: 57%)
  • 일반화물 운임은 운송거리(km) × 운임단가(운임/km) × 화물중량(톤)으로 산정한다. 이는 일반화물의 운임 산정 방식이며, 거리, 단가, 중량을 곱하여 계산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철도화물운송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Kangaroo: 철도의 일정구간을 정기적으로 고속운행하는 열차를 편성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다.
  2. TOFC: 화차에 컨테이너만을 적재하는 방식이다.
  3. Freight Liner: 트레일러 바퀴가 화차에 접지되는 부분을 경사진 요철 형태로 만들어 적재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다.
  4. COFC: 화차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를 적재한 채로 운송을 한 후 목적지에 도착하여 트레일러를 견인장비로 견인, 하차한 후 트랙터와 연결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다.
  5. Piggy Back: 화차 위에 화물을 적재한 트럭 등을 적재한 상태로 운송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56%)
  • Piggy Back 방식은 화차 위에 화물을 적재한 트럭 등을 적재한 상태로 운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철도운송 서비스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lock Train: 스위칭 야드(Switching Yard)를 이용하지 않고 철도화물역 또는 터미널 간을 직행 운행하는 방식이다.
  2. Shuttle Train: 철도역 또는 터미널에서의 화차조성비용을 줄이기 위해 화차의 수와 타입이 고정되며 출발지 →목적지 → 출발지를 연결하는 루프형 구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3. Single-Wagon Train: 복수의 중간역 또는 터미널을 거치면서 운행하는 방식이다.
  4. Train Ferry: 중ㆍ단거리 수송이나 소규모 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소형 열차서비스 방식이다.
  5. Y-Shuttle Train: 한 개의 중간터미널을 거치는 것을 제외하고는 셔틀트레인(Shuttle Train)과 같은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35%)
  • Train Ferry: 중ㆍ단거리 수송이나 소규모 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소형 열차서비스 방식이다. - 이 설명이 옳지 않다. Train Ferry는 철도와 수상운송을 결합한 서비스로, 열차를 배에 싣고 수상을 건너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철도운송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차의 소재 관리가 용이하다.
  2. 대량화물을 원거리수송할 경우 화물자동차운송에 비해 저렴하고 경제적이다.
  3. 궤도수송이기 때문에 사고율이 낮고 안전도가 높다.
  4. 화물자동차에 비해 매연발생이 적다.
  5. 기후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계획적인 운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53%)
  • 정답: "화차의 소재 관리가 용이하다."

    설명: 화차의 소재 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화물을 운송하는데 있어서 화차의 소재 관리가 어려워서 오히려 불편하고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장점이 아닌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항공화물운송대리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출입항공화물의 유치 및 계약체결
  2. 내륙운송주선
  3. 항공운항 스케줄 관리
  4. 수출입통관절차 대행
  5. 항공화물 부보업무
(정답률: 44%)
  • 항공화물운송대리점은 항공화물의 유치, 계약체결, 내륙운송주선, 수출입통관절차 대행, 항공화물 부보업무 등 항공화물 운송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합니다. 하지만 항공운항 스케줄 관리는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업무로, 항공화물운송대리점의 업무 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항공화물운송 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ㅁ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40%)
  • - "ㄱ, ㄴ, ㄷ": 항공화물운송 운임은 무게와 거리에 따라 계산되며, 무게 구간별로 운임이 다르게 적용된다. 따라서, 무게 구간을 나타내는 "ㄱ, ㄴ, ㄷ"이 모두 포함되어 정답이 된다.
    - "ㄱ, ㄴ, ㄹ": 위와 같은 이유로 "ㄱ, ㄴ, ㄷ"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무게 구간을 나타내는 "ㄹ"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답이 된다.
    - "ㄱ, ㄷ, ㅁ": 무게 구간을 나타내는 "ㅁ"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답이 된다.
    - "ㄱ, ㄷ, ㄹ": 위와 같은 이유로 "ㄱ, ㄴ, ㄷ"이 포함되어야 하며, 무게 구간을 나타내는 "ㄹ"도 존재한다. 따라서, 정답이 된다.
    - "ㄴ, ㄷ, ㄹ": 무게 구간을 나타내는 "ㄱ"이 빠져있기 때문에 오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항공화물운송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 위탁된 화물을 접수했다는 수령증이다.
  2. 송화인과의 운송계약 체결에 대한 문서증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화물과 함께 목적지로 보내 수화인의 운임 및 요금 계산 근거를 제공한다.
  4. 세관에 대한 수출입 신고자료 또는 통관자료로 사용된다.
  5. 화물 취급, 중계, 배송과 같은 운송 지침의 기능도 수행한다.
(정답률: 54%)
  • "송화인과의 운송계약 체결에 대한 문서증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항공화물운송장은 운송계약의 증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송화인과 운송사 간의 계약 내용과 운임 등을 명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해상운송에서 정기선운송과 부정기선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해상운송계약 체결의 증거로서 정기선운송은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부정기선운송은 용선계약서(Charter Party)를 사용한다.
  2. 정기선운송은 벌크화물을 운송하고, 부정기선운송은 컨테이너화물을 운송한다.
  3. 정기선운송인은 사적 계약운송인의 역할을, 부정기선운송인은 공공 일반운송인의 역할을 수행한다.
  4. 정기선운송 운임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고, 부정기선운송 운임은 공표운임(Tariff)에 의해 결정된다.
  5. 정기선운송의 하역비 부담조건은 FI, FO, FIO 등이 있고, 부정기선은 Berth term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54%)
  • 해상운송에서 정기선운송은 일정한 시간과 노선에 따라 규칙적으로 운항하는 운송 방식이며, 부정기선운송은 특정 화주 또는 선사와 계약에 따라 운항하는 운송 방식입니다. 이에 따라 정기선운송은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사용하여 계약을 증명하고, 부정기선운송은 용선계약서(Charter Party)를 사용합니다. 이는 각각의 운송 방식에서 계약의 형태와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보기 1>의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른 운항형태에 대한 설명을 <보기 2>에서 찾아 모두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ㄱ - a, ㄴ - c, ㄷ- b, ㄹ - e, ㅁ- d
  2. ㄱ- a, ㄴ - b, ㄷ- c, ㄹ- e, ㅁ - d
  3. ㄱ - b, ㄴ - a, ㄷ - c, ㄹ - e, ㅁ- d
  4. ㄱ- b, ㄴ- c, ㄷ- a, ㄹ- d, ㅁ- e
  5. ㄱ - b, ㄴ - c, ㄷ - e, ㄹ - a, ㅁ- d
(정답률: 49%)
  • 보기 1에서는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라서 운항형태가 결정된다는 내용이 나와있다. 이에 따라서 보기 2에서는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른 운항형태에 대한 설명을 찾아야 한다.

    - "ㄱ - a, ㄴ - c, ㄷ- b, ㄹ - e, ㅁ- d": 보기 1에서는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라서 운항형태가 결정된다고 하였는데, 보기 2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없다. 따라서 연결이 잘못되었다.
    - "ㄱ- a, ㄴ - b, ㄷ- c, ㄹ- e, ㅁ - d": 보기 1에서는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라서 운항형태가 결정된다고 하였고, 보기 2에서도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와있다. 따라서 연결이 맞다.
    - "ㄱ - b, ㄴ - a, ㄷ - c, ㄹ - e, ㅁ- d": 보기 1에서는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라서 운항형태가 결정된다고 하였고, 보기 2에서도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와있다. 따라서 연결이 맞다.
    - "ㄱ- b, ㄴ- c, ㄷ- a, ㄹ- d, ㅁ- e": 보기 1에서는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라서 운항형태가 결정된다고 하였는데, 보기 2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없다. 따라서 연결이 잘못되었다.
    - "ㄱ - b, ㄴ - c, ㄷ - e, ㄹ - a, ㅁ- d": 보기 1에서는 부정기선의 계약에 따라서 운항형태가 결정된다고 하였는데, 보기 2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없다. 따라서 연결이 잘못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ㄱ - b, ㄴ - a, ㄷ - c, ㄹ - e, ㅁ- 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연료유, 식수 등의 중량을 제외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으로 용선료의 기준이 되는 선박 톤수는?

  1. 총톤수(Gross Tonnage)
  2. 순톤수(Net Tonnage)
  3. 재화중량톤수(Dead Weight Tonnage)
  4. 배수톤수(Displacement Tonnage)
  5. 재화용적톤수(Measurement Tonnage)
(정답률: 45%)
  • 용선료는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 중량은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연료유, 식수 등의 중량을 제외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으로, 이를 재화중량톤수(Dead Weight Tonnage)라고 합니다. 따라서, 용선료의 기준이 되는 선박 톤수는 재화중량톤수입니다. 총톤수는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순톤수는 선박의 운항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배수톤수는 선박이 수중에 있는 무게를 나타내며, 재화용적톤수는 선박의 적재용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선화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명식 선화증권은 선화증권의 수화인란에 수화인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는 선화증권을 말한다.
  2. 선화증권은 운송계약서는 아니지만 운송인과 송화인 간에 운송계약이 체결되었음을 추정하게 하는 증거증권의 기능을 가진다.
  3. 기명식 선화증권은 화물의 전매나 유통이 자유롭다.
  4. 지시식 선화증권은 선화증권의 수화인란에 수화인의 성명이 명시되어 있지 않고 ‘to order of’로 표시된 선화증권을 말한다.
  5. 기명식 선화증권은 선화증권에 배서금지 문언이 없으면 배서양도는 가능하지만, 기명된 당사자만이 화물을 인수할 수 있다.
(정답률: 50%)
  • "기명식 선화증권은 화물의 전매나 유통이 자유롭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명식 선화증권은 선화증권의 수화인란에 수화인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어서, 해당 선화증권을 소유하고 있는 기명된 당사자만이 화물을 인수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의 전매나 유통은 제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운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보타지(Cabotage)는 해운자유주의 정책의 근본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공공단체, 정부 또는 대리인의 개입 없이 상선은 운임시장에 의해 운항되는 정책이다.
  2. 해운자유화의 의의는 선박에 게양되는 국기에 상관없이 해상운송의 자유 및 공정한 경쟁원칙을 적용하는 데 있다.
  3. 해운자유주의 정책에서 화주는 국적선이든 외국적선이든 간에 운송인 선정의 자유를 갖는다.
  4. 해운보호주의는 외부경쟁으로부터 국내 해운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다.
  5. 해운의 국가통제란 정부가 직접 해운에 개입하는 것을 말하며 계획조선제도가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률: 35%)
  • 해운자유주의 정책에서 화주는 국적선이든 외국적선이든 간에 운송인 선정의 자유를 갖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해운자유주의 정책에서는 국내 운송은 국내선만 운항할 수 있도록 규제되는 카보타지 정책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국내 운송에서는 국내선을 선호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국제물류론

81. 국내물류와 국제물류에 대한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내물류에 비해 국제물류는 각국의 언어ㆍ사회ㆍ문화ㆍ정치ㆍ법적 측면에서 영향을 받게 된다.
  2. 국내물류에 비해 국제물류는 대금결제, 선적, 통관 등의 복잡한 서류절차를 필요로 한다.
  3. 국내물류에 비해 국제물류는 일반적으로 운송비용이 높다.
  4. 국내물류에 비해 국제물류는 운송과정에서 위험요소가 적다.
  5. 국내물류에 비해 국제물류의 리드타임이 길다.
(정답률: 54%)
  • 정답은 "국내물류에 비해 국제물류는 운송과정에서 위험요소가 적다." 이다. 국제물류는 국경을 넘어 다양한 국가와 문화, 법률 등의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에 국내물류보다 더 많은 위험요소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국제물류에서는 세관 검사, 해외 운송 중의 사고, 해외 배송 중의 분실 등의 위험요소가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한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북방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라시아 지역 국가들과 상호협력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것이 목적중 하나이다.
  2. 한ㆍ러 협력사업으로 조선, 항만, 철도 등 9개 분야 ‘나인 브릿지(9-Bridge)’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3. 신북방정책의 지리적 범위에는 러시아, 중앙아시아, CIS국가 그리고 중국 동북3성이 포함된다.
  4. 한국은 TCR과 TSR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국제철도협력기구(OSJD)에 가입하지 못한 상태이다.
  5. 항만분야는 극동 러시아지역 항만 현대화가 주요 사업이다.
(정답률: 53%)
  • 한국은 TCR과 TSR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국제철도협력기구(OSJD)에 가입하지 못한 상태이다. - 이유는 OSJD는 전통적으로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이 가입해왔던 기구이기 때문에, 한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들은 가입이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주요국의 글로벌 물류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국은 일대일로 계획을 통해 해상과 육상 실크로드를 구축하여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2. 일본은 컨테이너 해운산업 구조조정을 위하여 국영 해운기업의 인수합병을 실행하였다.
  3. 한국은 인천국제공항 확장과 배후단지를 개발하여 동북아 허브공항 육성전략을 실행하였다.
  4. 아랍에미리트는 DPW(Dubai Port World)를 설립하고 M&A를 통한 글로벌 터미널 운영전략을 실행하였다.
  5. 싱가포르는 국영기업인 PSA(Port of Singapore Authority)를 통해 해외 항만개발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정답률: 43%)
  • 일본은 국영 해운기업의 인수합병을 실행하여 해운산업 구조조정을 추진한 것은 옳은 글로벌 물류정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최근 국제물류 환경변화로 옳은 것은?

  1. 제품의 수명주기가 길어짐에 따라 신속한 국제운송이 요구되고 있다.
  2. 환경친화적 물류관리를 위하여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고 있다.
  3. 위치기반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실시간 화물추적과 운행관리가 가능해졌다.
  4. 기업들은 SCM체제를 구축하여 재고 증대를 통한 빠른 고객대응을 추구하게 되었다.
  5. e-Logistics의 활용으로 물류 가시성이 낮아지고 있다.
(정답률: 52%)
  • 위치기반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실시간 화물추적과 운행관리가 가능해졌다는 것은 최근 국제물류 환경변화에서 옳은 것이다. 이는 GPS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물류 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글로벌 소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들은 글로벌 소싱을 활용하여 공급사슬을 확대할 수 있다.
  2. 구매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외국의 공급자로부터 자재와 부품을 구매할 수 있다.
  3. 글로벌 소싱은 품질과 납기 등을 개선시킬 기회가 될 수 있다.
  4. 해외공급자 파악, 선정, 평가 등의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5.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글로벌 구매 시 국내 구매와 동일한 절차로 자재를 획득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글로벌 구매 시 국내 구매와 동일한 절차로 자재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글로벌 소싱은 해외 공급자와의 거래이기 때문에 국내 구매와는 다른 절차와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북극해항로(Northern Sea Rou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북극해항로를 이용할 경우 수에즈운하를 이용하는 항로에 비해 운항거리와 운항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2. 북극해항로는 캐나다 북부해안을 따라 운항하는 북동항로를 일컫는다.
  3. 북극해항로는 얕은 수심으로 인해 초대형 컨테이너선 운항에 어려움이 있다.
  4. 북극해항로의 상업적 이용을 위해서는 해당지역의 항만시설 개선과 쇄빙선 이용료의 인하 등이 필요하다.
  5. 북극해항로는 북극지역의 광물 및 에너지자원 활용차원에서 초기에는 부정기선 위주로 활용될 전망이다.
(정답률: 36%)
  • "북극해항로는 캐나다 북부해안을 따라 운항하는 북동항로를 일컫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북극해항로는 러시아 북쪽 해안을 따라 운항하는 항로를 일컫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항만 내에서 발생하는 서비스의 대가로 화주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ㄹ
  4. ㄴ, ㅁ
  5. ㄷ, ㄹ
(정답률: 38%)
  • 정답은 "ㄴ, ㄹ"입니다. 항만 내에서 발생하는 서비스의 대가로 화주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항만 이용료"와 "적하료"입니다. "항만 이용료"는 항만 시설물을 이용하는 대가로, "적하료"는 항만 내에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비용입니다. 따라서 "항만 이용료"와 "적하료"는 모두 화주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므로 정답은 "ㄴ,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해상운송 관련 국제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ISF: 해사법과 해사관행 및 관습의 통일을 위해 설립되었다.
  2. FIATA: 선주의 이익 증진을 위하여 국제적인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3. BIMCO: 국제상거래법의 단계적인 조화와 통일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4. CMI: 국제해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1944년 시카고 조약으로 설립이 합의되었다.
  5. IMO: 정부간 해사기술의 상호협력, 해사안전 및 해양오염방지대책 수립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정답률: 38%)
  • IMO: 정부간 해사기술의 상호협력, 해사안전 및 해양오염방지대책 수립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IMO는 국제해운기구로, 해운안전, 해양환경보호, 해운기술 발전 등을 총괄적으로 다루는 기구이다. IMO는 국제해사기술의 상호협력을 촉진하고, 해양오염방지 및 해운안전을 위한 국제규제를 수립하며, 해운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제해상운송 서비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운송은 대량수송에 적합하며 대체로 원거리수송에 이용된다.
  2. 적재되지 않은 컨테이너선의 미사용 선복이나, 용선되지 못하고 계선 중인 부정기선의 선복은 항만당국으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다.
  3.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화주의 참여기회가 적다.
  4.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단위거리 당 운송비가 저렴하다.
  5. 수출지원 산업으로 국제무역을 촉진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정답률: 37%)
  • 적재되지 않은 컨테이너선의 미사용 선복이나, 용선되지 못하고 계선 중인 부정기선의 선복은 항만당국으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항만당국이나 보험회사가 제공하는 보상과는 별개로, 선박운영자가 직접 부담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국제항공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CI는 국제항공운송협회로 1945년 쿠바의 하바나에서 세계항공사회의를 개최함으로써 설립되었다.
  2. ICAO는 시카고조약의 기본원칙인 기회균등을 기반으로 하여 국제항공운송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이다.
  3. IATA는 국제항공의 안전 및 발전을 목적으로 하여 각국 정부의 국제협력기관으로서 설립되었다.
  4. FAI는 1926년 설립된 국가별 운송주선인협회와 개별운송주선인으로 구성된 국제민간기구로서 전세계적인 운송주선인의 연합체이다.
  5. ICAO의 회원은 IATA회원국의 국적을 가진 항공사만 가능하다.
(정답률: 38%)
  • ICAO는 국제항공운송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이며, 이는 시카고조약의 기본원칙인 기회균등을 기반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정기선 할증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ulky/Lengthy Surcharge: 본선 출항전까지 양륙항을 지정하지 못하거나 양륙항이 복수일 때 항만 수 증가에 비례하여 부과된다.
  2. Port Congestion Surcharge: 양륙항의 체선이 심해 장기간의 정박이 요구되어 선사에 손해가 발생할 때 부과된다.
  3. Heavy Cargo Surcharge: 초과 중량에 따라 기본운임에 가산하여 부과된다.
  4. Bunker Adjustment Factor: 선박의 주연료인 벙커유가격 인상으로 발생하는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부과된다.
  5. Currency Adjustment Factor: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을 보전하기 위해 부과된다.
(정답률: 46%)
  • Bulky/Lengthy Surcharge는 항만 수 증가에 비례하여 부과되는 것이 맞으므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이 할증운임은 화물의 크기나 길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부과되며, 이로 인해 항만 내에서 더 많은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GENCON Charter Party에 명시된 체선료 조항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적항 및 양륙항에서의 체선료는 1일당 또는 1일 미만의 경우에는 그 비율에 따라 20란(Box 20)에 표시된 체선요율과 지급 방법에 의거해 용선자가 지급한다.
  2. 체선료는 매일 계상하고 선주로부터 청구서 수령시 지급한다.
  3. 체선료가 지급되지 않을 경우 선주는 그 불이행을 시정하기 위해 용선자에게 연속 96시간의 서면통지를 한다.
  4. 체선료가 96시간내에 지급되지 않는 경우 선주는 용선계약자의 동의하에 용선계약을 종료시킬 수 있지만 그에 따른 손해배상은 청구할 수 없다.
  5. 이 경우 용선계약을 종료시킬 수 있는 권리는 선적항에서 발생가능하다.
(정답률: 42%)
  • 체선료가 96시간내에 지급되지 않는 경우 선주는 용선계약자의 동의하에 용선계약을 종료시킬 수 있지만 그에 따른 손해배상은 청구할 수 없다. 이 항목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이 항목은 체선료 지급이 지연될 경우 선주가 용선계약을 종료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지만, 이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항공운송과 관련되는 국제규범으로 옳은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ㄴ, ㅂ
  4. ㄷ, ㅂ
  5. ㄹ, ㅁ
(정답률: 45%)
  • 항공운송과 관련된 국제규범으로는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의 규정이 있습니다. 이 규정은 항공기의 운항, 안전, 보안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규정을 제공합니다.

    정답이 "ㄷ, ㅂ" 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ㄷ" : ICAO의 규정 중 하나인 'Doc 9303'은 여권, 신분증 등의 여러 가지 신분증명서에 대한 표준을 제공합니다. 이는 항공운송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신분증명서가 필요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 "ㅂ" : ICAO의 규정 중 하나인 'Annex 17'은 항공기의 보안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을 제공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보안 시스템, 절차 등을 규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에서 파나마운하를 통과하여 미국 동부지역으로 해상 운송한 후 미국 내륙지점까지 운송하는 복합운송방식은?

  1. Reversed Interior Point Intermodal
  2. Overland Common Point
  3. Canada Land Bridge
  4. American Land Bridge
  5. Mini Land Bridge
(정답률: 40%)
  • 해당 복합운송방식은 극동지역에서 출발하여 파나마운하를 통과한 후 미국 동부지역으로 해상 운송한 후, 미국 내륙지점까지 철도나 트럭 등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다. 이때, 미국 내륙지점에서 해상 운송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해상 운송을 먼저 한 후 내륙지점에서 운송을 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방식을 "Reversed Interior Point Intermodal"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제복합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복합운송이란 국가 간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것이다.
  2. 국제복합운송은 컨테이너의 등장과 운송기술의 발달로 인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3. 국제복합운송의 기본요건은 일관선하증권(through B/L), 일관운임(through rate), 단일운송인책임(single carrier's liability) 등이다.
  4. NVOCC는 자신이 직접 선박을 소유하고 자기명의와 책임으로 복합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인이다.
  5. 계약운송인형 국제물류주선업자는 운송수단을 직접 보유하지 않으면서 운송의 주체자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운송인을 말한다.
(정답률: 57%)
  • NVOCC는 자신이 직접 선박을 소유하고 자기명의와 책임으로 복합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인이 아니다. NVOCC는 선사와 화주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종류의 운송수단을 조합하여 최적의 운송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NVOCC는 선박을 직접 소유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철도에 의한 컨테이너 운송방식이 아닌 것은?

  1. COFC
  2. TOFC
  3. Double stack train
  4. Rail car service
  5. Semi-trailer combination
(정답률: 43%)
  • Semi-trailer combination은 철도에 의한 운송방식이 아니라 도로에 의한 운송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OFC는 Container On Flat Car, TOFC는 Trailer On Flat Car, Double stack train은 컨테이너를 2층으로 적재한 기차, Rail car service는 철도차량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컨테이너 운송과 관련된 국제협약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ㄱ: CCC협약, ㄴ: TIR협약, ㄷ: ITI협약, ㄹ: CSC협약
  2. ㄱ: TIR협약, ㄴ: CCC협약, ㄷ: CSC협약, ㄹ: ITI협약
  3. ㄱ: ITI협약, ㄴ: CSC협약, ㄷ: CCC협약, ㄹ: TIR협약
  4. ㄱ: TIR협약, ㄴ: CSC협약, ㄷ: CCC협약, ㄹ: ITI협약
  5. ㄱ: ITI협약, ㄴ: CSC협약, ㄷ: TIR협약, ㄹ: CCC협약
(정답률: 45%)
  • 정답은 "ㄱ: ITI협약, ㄴ: CSC협약, ㄷ: TIR협약, ㄹ: CCC협약"입니다.

    - ITI협약: 국제적인 컨테이너 운송을 표준화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협약입니다.
    - CSC협약: 컨테이너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협약입니다.
    - TIR협약: 국제적인 물류 운송에서 통관 절차를 간소화하고 물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협약입니다.
    - CCC협약: 중국으로의 자동차 수출을 위한 인증제도로, 중국으로 자동차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CCC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컨테이너 운송과 관련된 국제협약이 옳게 연결된 것은 "ㄱ: ITI협약, ㄴ: CSC협약, ㄷ: TIR협약, ㄹ: CCC협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컨테이너화물 수출선적절차에 필요한 서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ㄴ-ㄷ -ㄹ- ㅁ
  2. ㄱ-ㄹ -ㄴ - ㄷ -ㅁ
  3. ㄴ - ㄱ-ㄷ -ㄹ - ㅁ
  4. ㄴ - ㄷ-ㄹ -ㄱ- ㅁ
  5. ㄷ-ㄴ -ㄱ - ㄹ -ㅁ
(정답률: 47%)
  • 정답은 "ㄱ - ㄴ-ㄷ -ㄹ- ㅁ" 입니다.

    - ㄱ: 수출신고서 (Export Declaration)를 작성하여 관세사에게 제출합니다.
    - ㄴ: 수출신고서에 기재된 내용과 일치하는 운송장 (Bill of Lading)을 발급받습니다.
    - ㄷ: 수출신고서와 운송장을 기반으로 수출신고를 합니다.
    - ㄹ: 수출신고 완료 후, 수출화물을 검사합니다.
    - ㅁ: 검사를 통과한 수출화물을 선박에 실어 출항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TSR(Trans Siberian Railwa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부산에서 로테르담까지의 운송거리가 수에즈운하를 경유하는 올 워터 서비스(All Water Service)에 비해 단축될 수 있다.
  2.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항만이 없는 내륙국가와의 국제운송에도 유용하다.
  3. SLB(Siberian Land Bridge)라고도 불리며, 한국을 비롯한 극동지역과 유럽대륙간의 Sea & Air 복합운송시스템이다.
  4. 극동지역과 유럽간의 대외교역 불균형에 따른 컨테이너 수급문제와 동절기의 결빙문제가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5. 러시아 철도의 궤도 폭과 유럽 철도의 궤도 폭이 달라 환적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정답률: 49%)
  • SLB(Siberian Land Bridge)라고도 불리며, 한국을 비롯한 극동지역과 유럽대륙간의 Sea & Air 복합운송시스템이 아니다. TSR(Trans Siberian Railway)는 러시아를 가로지르는 철도로,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선하증권 이면에 표기되어 있는 다음 약관에 해당하는 것은?

  1. New Jason Clause
  2. Both to Blame Clause
  3. Unknown Clause
  4. Paramount Clause
  5. Lien Clause
(정답률: 33%)
  • 선하증권 이면에 표기되어 있는 약관 중에서 "Unknown Clause"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Unknown Claus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선적서류보다 물품이 먼저 목적지에 도착하는 경우, 수입화주가 화물을 조기에 인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류는?

  1. ㄱ, ㄴ
  2. ㄱ, ㅂ
  3. ㄷ, ㄹ
  4. ㄷ, ㅂ
  5. ㄹ, ㅁ
(정답률: 32%)
  • 선적서류는 물품이 도착하기 전에 수입화주가 물품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서류이므로, 이미 물품이 도착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물품이 먼저 도착한 경우에는 수입신고서와 관세사의 수입신고필증을 사용하여 조기 수입화가 가능합니다. 이 중에서도 수입신고서는 수입화주가 물품을 인수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서류이며, 관세사의 수입신고필증은 수입신고서와 함께 제출하여 수입화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적인 서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ㄷ, ㅂ"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AWB의 전면약관에는 표기되어 있으나, B/L 전면약관에는 없는 기재항목으로만 나열된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ㅁ
  3. ㄴ, ㄹ, ㅂ
  4. ㄷ, ㅁ, ㅂ
  5. ㄹ, ㅁ, ㅅ
(정답률: 32%)
  • B/L 전면약관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AWB의 전면약관에는 표기되어 있는 기재항목들이 "ㄴ, ㄷ, ㅁ"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 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국제물류주선업자가 소량의 LCL화물을 집화하여 FCL화물로 만드는 과정을 뜻하는 용어는?

  1. Clearance
  2. Consolidation
  3. Tariff filing
  4. Import inspection
  5. Quarantine
(정답률: 54%)
  • Consolidation은 소량의 LCL화물을 모아서 FCL화물로 만드는 과정을 뜻합니다. 즉, 여러 개의 작은 화물을 하나로 합쳐서 큰 화물로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Consolidatio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복합운송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합운송증권이 비유통성증권으로 발행된 경우에는 지명된 수화인을 증권에 기재하여야 한다.
  2. UN 국제물품복합운송조약에서는 복합운송서류를 ‘Multimodal Transport Document’라고 한다.
  3. 복합운송인이 화주에게 발행하며, 계약의 내용이나 운송조건 및 운송화물의 수령을 증명하는 서류이다.
  4.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복합운송증권은 FIATA의 표준양식을 사용하여 발행될 수 없다.
  5. 유통성 복합운송증권은 수하인이 배서 또는 교부하여 화물을 처분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유가증권이다.
(정답률: 42%)
  •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복합운송증권은 FIATA의 표준양식을 사용하여 발행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FIATA는 복합운송증권의 표준양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발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아래 하역기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antry Crane 또는 Container Crane으로 불린다.
  2. 컨테이너터미널 내의 하역기기 중 가장 크다.
  3. 타이어로 된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4. 컨테이너의 본선 작업에 사용되는 하역 장비이다.
  5.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아웃리치(Outreach)가 길어지는 추세이다.
(정답률: 52%)
  • 타이어로 된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최근 선박대형화가 해운항만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역장비의 대형화
  2. Hub & Spoke 운송시스템의 감소
  3. 대형선박 투입으로 기항항만 수 감소
  4. 항만생산성 제고 압력 증대
  5. 항만운영에 있어서 자본투입 증가
(정답률: 47%)
  • 선박대형화로 인해 대형선박이 많은 양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되어, 항만에서 직접적으로 화물을 싣고 내리는 Hub & Spoke 운송시스템이 감소하게 됩니다. 대형선박은 대형항만에서 직접적으로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Hub & Spoke 시스템을 거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항만에서 직접적으로 화물을 다루는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 )에 해당하는 물류보안제도는?

  1. ISPS Code
  2. CSI
  3. C-TPAT
  4. ISO 28000
  5. AEO
(정답률: 43%)
  • 이미지에서 보이는 보안인증서는 AEO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서이다. AEO는 국제무역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물류체인을 구축하기 위한 제도로, 수출입기업이 물류보안 관리체계를 갖추고 검증을 받아 인증을 받는 것을 말한다. AEO 인증을 받으면 관세청 등 관련 기관에서 물류보안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컨테이너터미널 구성요소에 관한 명칭과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벽: 선박이 접안하기 위한 계선시설
  2. 마샬링야드: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안벽 크레인이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이 설치된 장소
  3. 컨테이너야드: 수출입 컨테이너의 반입, 장치, 보관이 이루어지는 장소
  4. 컨트롤타워: 컨테이너터미널 전체 작업을 관리ㆍ감독하는 장소
  5. 컨테이너화물조작장: 컨테이너 화물의 혼재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
(정답률: 50%)
  • 정답: 마샬링야드: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안벽 크레인이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이 설치된 장소

    해설: 마샬링야드는 안벽에 접한 부분이 아니라, 컨테이너를 정렬하고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입니다. 따라서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안벽 크레인이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이 설치된 장소"는 마샬링야드가 아니라 안벽에 설치된 크레인이 작업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트래들캐리어: 컨테이너를 양각 사이에 끼워 놓고 운송하거나 하역하는 장비로 완전자동화터미널에 적합한 장비이다.
  2. 야드트랙터: 에이프런과 컨테이너 야드간 컨테이너의 이동을 위한 장비로 통상야드 샤시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3. 트랜스퍼크레인: 컨테이너 야드 내에서 컨테이너의 적재나 이동에 사용하는 장비로 RTGC와 RMGC가 대표적이다.
  4. 포크리프트: CFS에서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입ㆍ적출할 때 사용하는 장비이다.
  5. 리치스태커: 컨테이너를 적양하할 때 사용하고 이송작업도 가능한 장비이다.
(정답률: 25%)
  • 정답은 "스트래들캐리어: 컨테이너를 양각 사이에 끼워 놓고 운송하거나 하역하는 장비로 완전자동화터미널에 적합한 장비이다." 이다. 스트래들캐리어는 컨테이너를 양각 사이에 끼워 놓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를 들어서 이동시키는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최근 세계적으로 GDP 대비 컨테이너 해상물동량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비스 중심으로 산업구조 변화
  2. 보호무역주의의 심화
  3. 컨테이너화(containerization)의 둔화
  4. 3D 프린팅 기술의 도입
  5. 생산의 오프쇼어링(offshoring) 증가
(정답률: 25%)
  • 생산의 오프쇼어링은 제품 생산을 국내에서 해외로 이전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해외에서 생산 비용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이전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던 제품들이 해외에서 생산되고, 이를 수출해야 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해상물동량이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생산의 오프쇼어링 증가"는 옳지 않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한국의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서 수행하고 있지 않는 기능은?

  1. 통관
  2. 혼재
  3. 보관
  4. 제조
  5. 철도운송
(정답률: 48%)
  • ICD는 내륙에서 컨테이너를 보관하고 통관, 혼재, 철도운송 등을 수행하는 시설입니다. 그러나 제조는 ICD에서 수행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이는 ICD가 제조 공정이 필요한 생산단계보다는 물류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CD에서는 제조와 같은 생산과 관련된 작업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해상보험에서 적하보험 부가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PND
  2. JWOB
  3. RFWD
  4. Sweat & Heating
  5. Refrigerating Machinery
(정답률: 32%)
  • 해상보험에서 적하보험 부가조건으로 "Refrigerating Machinery"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보험 대상물이 냉장기계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보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적하보험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Marine Insurance Act(1906)에 규정된 용어의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용어들이 옳게 나열된 것은?

  1. ㄱ: Actual total loss ㄴ: sue and labour charge
  2. ㄱ: Particular charges ㄴ: actual total loss
  3. ㄱ: Salvage charges ㄴ: particular charges
  4. ㄱ: Salvage charges ㄴ: constructive total loss
  5. ㄱ: Actual total loss ㄴ: constructive total loss
(정답률: 23%)
  • 해양보험법(1906)에서는 선박이나 화물 등에 대한 손해를 보상하기 위해 여러 용어들을 규정하고 있다. 이 중에서 "Salvage charges"는 선박이나 화물 등을 구조하거나 구제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의미하며, "particular charges"는 선박이나 화물 등에 대한 특정한 비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Salvage charges ㄴ: particular charge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Institute Cargo Clause(C)(2009)에서 담보하는 위험이 아닌 것은?

  1. 추락손
  2. 화재ㆍ폭발
  3. 육상운송용구의 전복ㆍ탈선
  4. 피난항에서의 화물의 양하
  5. 본선ㆍ부선의 좌초ㆍ교사ㆍ침몰ㆍ전복
(정답률: 38%)
  • Institute Cargo Clause(C)(2009)에서 담보하는 위험이 아닌 것은 "추락손"입니다. 이는 화물이 떨어져서 손상을 입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는 Institute Cargo Clause(C)(2009)에서는 담보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New York Convention(1958)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용어는?

  1. agreement in writing
  2. arbitral authority
  3. intercession
  4. signatures and ratifications
  5. declarations and notifications
(정답률: 35%)
  • "Agreement in writing"은 New York Convention(1958)에서 국제상사중재에 관한 조약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조건 중 하나로, 중재계약서가 서면으로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제상사중재를 실시하려면 중재계약서가 서면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이를 "agreement in writing"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Incoterms 2010상 THE BUYER'S OBLIGATIONS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1 : General obligations of the buyer
  2. B4 : Taking delivery
  3. B5 : Transfer of risks
  4. B8 : Proof of delivery
  5. B9 : Checking-packing-marking
(정답률: 24%)
  • 정답은 "B9 : Checking-packing-marking"입니다. 이유는 Incoterms 2010에서는 판매자가 제품의 포장과 표시를 책임지기 때문에, 이는 구매자의 의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9는 판매자의 의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Incoterms 2010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는?

  1. CFR
  2. FCA
  3. CIP
  4. FOB
  5. CIF
(정답률: 1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용어는 모두 Incoterms 2010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그 중에서도 정답은 "CIP"이다.

    "CIP"는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의 약어로, 판매자는 물건을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그 운송비용과 보험료를 부담한다. 따라서 판매자는 물건이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도록 책임을 진다.

    반면에 "CFR"은 Cost and Freight의 약어로, 판매자는 물건을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그 운송비용을 부담하지만 보험료는 부담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건이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것은 판매자의 책임이지만, 그 이후의 위험은 구매자가 부담한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이는 용어들 중에서 "CIP"가 정답인 이유는, 판매자가 물건의 운송비용과 보험료를 모두 부담하고, 물건이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도록 책임을 진다는 점에서 "CFR"과 구분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 )에 해당하는 특허보세구역의 명칭은?

  1. 보세창고
  2. 보세공장
  3. 보세건설장
  4. 보세전시장
  5. 보세판매장
(정답률: 4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물은 생산과 가공이 가능한 공장 형태이기 때문에 "보세공장"이라는 명칭이 적합하다. "보세창고"는 물건을 저장하는 창고, "보세건설장"은 건설자재를 저장하는 창고, "보세전시장"은 전시용품을 보관하는 장소, "보세판매장"은 물건을 판매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항공화물 지연(delay) 사고의 하나로, 화물이 하기되어야 할 지점을 지나서 내려진 경우를 뜻하는 용어는?

  1. shortshipped
  2. offloaded by error
  3. overcarried
  4. shortlanded
  5. cross labelled
(정답률: 53%)
  • "Overcarried"는 항공화물이 목적지를 지나서 계속 운송되는 경우를 뜻합니다. 즉, 목적지를 지나서 운송되어야 할 지점을 지나쳐서 운송이 지연되는 사고입니다. 따라서 "overcarrie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 )에 들어갈 클레임 해결 방법은?

  1. 소송
  2. 중재
  3. 조정
  4. 화해
  5. 청구권의 포기
(정답률: 48%)
  • 이미 발생한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소송, 중재, 조정, 화해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조정은 당사자 간의 합의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소송이나 중재와 달리 법적인 결정력이 없습니다. 따라서 당사자들이 서로 합의할 수 있는 분쟁의 경우에는 조정을 통해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