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7-20)

물류관리사 1교시
(2019-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류관리론

1. 물류활동의 기본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은 생산의 종착점으로서 표준화, 모듈화의 대상이다.
  2. 보관은 생산과 소비, 공급과 수요의 시점 및 수량적 차이를 조정한다.
  3. 유통가공은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업체에서 부품을 가공하는 활동이다.
  4. 하역은 운송, 보관 및 포장의 물자 취급과 관련된 보조적 활동으로서 기계화, 자동화의 대상이다.
  5. 운송은 생산과 소비의 장소적 차이에 의한 거리를 조정하는 활동이다.
(정답률: 59%)
  • "유통가공은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업체에서 부품을 가공하는 활동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유통가공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협력으로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제품을 유통업체에서 판매하기 적합한 상태로 가공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는 것보다는 유통업체의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회수물류의 대상 품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음료용 알루미늄 캔
  2. 화물용 T-11 파렛트
  3. 주류용 빈병
  4. 운송용 컨테이너
  5. 일회용 소모성 자재
(정답률: 73%)
  • 일회용 소모성 자재는 회수 및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회수물류의 대상 품목이 아닙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회수물류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최근 국내외 물류 산업의 동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일배송 서비스 확대 등 물류의 스피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2. 스마트팩토리의 고객맞춤형 생산은 물류의 대량화와 소빈도화를 촉진하고 있다.
  3. 고객맞춤형 기능 제공 등 고부가가치 물류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4. 에너지 절감, 친환경 물류, 안전ㆍ보안을 강화한 물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5. 종합물류기업 인증제 도입 등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정답률: 74%)
  • 스마트팩토리의 고객맞춤형 생산은 물류의 대량화와 소빈도화를 촉진하고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스마트팩토리의 고객맞춤형 생산은 오히려 물류의 맞춤화와 다양성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대량화와 소빈도화는 기존의 생산 방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며, 물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상적유통(Commercial Distribution)과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화물정보의 전달 및 활용은 물적유통에 해당한다.
  2. 상품의 거래활동은 물적유통에 해당한다.
  3. 금융, 보험 등의 보조활동은 물적유통에 해당한다.
  4. 판매를 위한 상품의 포장은 상적유통에 해당한다.
  5. 효율 향상을 위해 상적유통과 물적유통을 통합한다.
(정답률: 3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물류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을 서비스 시행 전ㆍ중ㆍ후로 나눌 때, 서비스 시행 중의 요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ㅂ
  2. ㄱ, ㄴ, ㄷ
  3. ㄱ, ㄴ, ㅁ
  4. ㄴ, ㄷ, ㄹ
  5. ㄷ, ㄹ, ㅁ, ㅂ
(정답률: 50%)
  • 정답은 "ㄱ, ㄴ, ㅁ" 입니다.

    서비스 시행 전에는 계획 및 설계, 인력 및 자원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서비스 시행 후에는 고객 만족도 및 불만 처리 등이 중요한 요인입니다.

    하지만 서비스 시행 중에는 실제로 물류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의 요인들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ㄱ, ㄴ, ㅁ"은 모두 서비스 시행 중에 해당하는 요인들입니다.

    - "ㄱ"은 물류센터 및 창고 등의 시설과 장비, 운송 수단 등 물류 인프라에 대한 요인입니다.
    - "ㄴ"은 물류 인력의 역량과 능력, 교육 및 훈련 등 인적 자원에 대한 요인입니다.
    - "ㅁ"은 물류 프로세스 및 시스템, 품질 관리 등 물류 운영에 대한 요인입니다.

    따라서 이들 요인들이 모두 잘 관리되어야 물류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신규 물류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할 때의 추진 순서로 옳은 것은?

  1. ㄱ - ㄴ - ㄹ - ㄷ
  2. ㄱ - ㄹ - ㄴ - ㄷ
  3. ㄹ - ㄱ - ㄷ - ㄴ
  4. ㄹ - ㄴ - ㄱ - ㄷ
  5. ㄹ - ㄴ - ㄷ - ㄱ
(정답률: 46%)
  • 올바른 신규 물류서비스 도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의 물류 업무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ㄹ)
    2. 적합한 물류 서비스 파트너 선정 및 협상 (ㄴ)
    3. 신규 물류 서비스 도입 및 운영 (ㄱ)
    4. 서비스 품질 및 효율성 평가 및 개선 (ㄷ)

    이유는 먼저, 기업의 물류 업무 분석과 개선 방안 도출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물류 서비스가 필요하고, 어떤 문제점을 개선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적합한 물류 서비스 파트너를 선정하고 협상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요구사항에 맞는 최적의 물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규 물류 서비스를 도입하고 운영하는 단계가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품질과 효율성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단계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물류 측면의 고객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서비스는 물품을 이동하는 마지막 단계로서 부가상품(Augmented Product)의 역할을 한다.
  2. 물류서비스 품질은 고객의 기대수준과 인지수준의 차이로 정의된다.
  3. 일반적으로 한 기업이 경쟁업체의 물류서비스를 모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4. 물류서비스와 물류비용 사이에는 상충(Trade-off) 관계가 존재한다.
  5. 물류서비스 품질은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정답률: 65%)
  • "일반적으로 한 기업이 경쟁업체의 물류서비스를 모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경쟁업체의 물류서비스를 분석하고 모방하여 개선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는 경쟁우위를 유지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류서비스의 신뢰성(Reliability)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신속 정확한 수주정보 처리
  2. 생산 및 운송 로트(Lot) 대량화
  3. 조달 리드타임(Lead time) 단축
  4. 제품 가용성(Availability) 정보 제공
  5. 재고관리의 정확도 향상
(정답률: 71%)
  • 생산 및 운송 로트(Lot) 대량화는 물류서비스의 신뢰성(Reliability)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아닙니다. 이는 생산과 운송 과정에서 대량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류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신속 정확한 수주정보 처리, 조달 리드타임(Lead time) 단축, 제품 가용성(Availability) 정보 제공, 재고관리의 정확도 향상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물류관리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은 효율적인 물류관리활동을 통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시장점유율 제고 및 수익률 증대를 추구할 수 있다.
  2. 고객서비스를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로는 주문 후 인도시까지의 소요시간, 고객주문에 대한 제품의 가용성, 주문 처리의 정확성 등이 있다.
  3. 물류관리전략을 설정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고객의 니즈(Needs)를 파악하는 것이다.
  4. 부품공급에서 소비자에 이르는 공급사슬에서 공급사슬 전체의 이익극대화 보다는 경로구성원 각자의 이익극대화를 추구해야 한다.
  5. 효과적인 물류관리전략은 유연성을 보유하면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저렴한 비용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67%)
  • "부품공급에서 소비자에 이르는 공급사슬에서 공급사슬 전체의 이익극대화 보다는 경로구성원 각자의 이익극대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공급사슬 전체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경로구성원 각자의 이익만 추구하면 전체적인 효율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사슬 전체의 이익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류관리의 의사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류의사결정은 전략ㆍ전술ㆍ운영의 3단계 계층으로 구성된다.
  2. 수요예측, 주문처리 등은 전략적 의사결정에 해당한다.
  3. 운영절차, 일정계획 등은 전술적 의사결정에 해당한다.
  4. 마케팅 전략, 고객서비스 요구사항 등은 운영적 의사결정에 해당한다.
  5. 전략, 전술, 운영의 세 가지 의사결정은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물류조직의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조직은 발전형태에 따라 직능형 조직, 라인과 스탭형 조직, 사업부형 조직, 그리드(Grid)형 조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직능형 조직은 기업규모가 커지고 최고경영자가 기업의 모든 업무를 관리하기어려울 때 적합하다.
  3. 라인과 스탭형 조직은 작업부문과 지원부문을 분리한 조직이다.
  4. 사업부형 조직은 제품별 사업부와 지역별 사업부,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절충한 형태 등이 있다.
  5. 그리드(Grid)형 조직은 다국적 기업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모회사의 스탭이 자회사의 물류부문을 관리하는 형태이다.
(정답률: 59%)
  • "직능형 조직은 기업규모가 커지고 최고경영자가 기업의 모든 업무를 관리하기 어려울 때 적합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직능형 조직은 기능별로 업무를 분담하여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한 조직형태로, 기업규모가 커지면서 업무가 복잡해지고 최고경영자가 모든 업무를 관리하기 어려울 때 적합한 조직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3자물류와 4자물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자물류는 장기간의 전략적 제휴형태 또는 합작기업으로 설립한 별도의 조직을 통해 종합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2. 세계적인 3자물류업체 및 컨설팅회사들은 다른 물류기업들과의 인수합병을 통해 글로벌 차원으로 확대하면서 4자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기업들은 3자물류를 통해 핵심부분에 집중하고 물류를 전문업체에게 아웃소싱하여 규모의 경제, 전문화 및 분업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4. 4자물류는 3자물류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자체의 기술 및 컨설팅 능력을 갖추고 공급체인 전반을 통합ㆍ관리한다.
  5. 4자물류는 전자상거래의 확대 및 SCM 체제의 보편화로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답률: 47%)
  • 정답은 "3자물류는 장기간의 전략적 제휴형태 또는 합작기업으로 설립한 별도의 조직을 통해 종합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다. 3자물류는 기업이 물류를 전문업체에게 아웃소싱하여 규모의 경제, 전문화 및 분업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종합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조직을 설립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물류 아웃소싱의 장ㆍ단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체는 물류거점에 대한 자본투입을 최소화하고 전문 물류업체의 인프라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2. 제조업체는 고객 불만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3. 제조업체는 물류전문지식의 사내 축적이 비교적 용이하다.
  4. 제조업체는 기존 사내 물류인력의 실업과 정보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5. 물류업체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
(정답률: 61%)
  • "제조업체는 물류전문지식의 사내 축적이 비교적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제조업체가 물류전문지식을 축적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며, 전문적인 물류업체와 비교하여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업체는 전문적인 물류업체와 협력하여 물류 업무를 아웃소싱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재고, ㄴ: 스루풋, ㄷ: 운영비용
  2. ㄱ: 스루풋, ㄴ: 재고, ㄷ: 운영비용
  3. ㄱ: 영업이익, ㄴ: 재고, ㄷ: 조달비용
  4. ㄱ: 영업이익, ㄴ: 제조원가, ㄷ: 운영비용
  5. ㄱ: 스루풋, ㄴ: 제조원가, ㄷ: 조달비용
(정답률: 34%)
  • 정답은 "ㄱ: 스루풋, ㄴ: 재고, ㄷ: 운영비용" 입니다. 그림은 생산 과정에서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스루풋"을 중심으로, 재고를 줄이고 운영비용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루풋, 재고, 운영비용이 올바른 용어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물류시스템 합리화 방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포장규격화를 고려한 제품설계
  2. 재고관리방법의 개선
  3. 하역의 기계화 및 자동화
  4. 인터넷을 통한 물류정보의 수집 및 활용
  5. 비용과 무관한 물류서비스 수준 최대화 추구
(정답률: 68%)
  • 비용과 무관한 물류서비스 수준 최대화 추구는 물류시스템 합리화 방안이 아닌 이유는, 물류시스템 합리화는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용과 무관한 물류서비스 수준을 추구하는 것은 합리적인 물류시스템 운영에 부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녹색물류 실행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ㅁ, ㅂ
  2. ㄱ, ㄴ, ㄷ, ㄹ
  3. ㄱ, ㄴ,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ㅁ, ㅂ
(정답률: 60%)
  • - "ㄱ, ㄴ, ㄷ, ㄹ": 녹색물류 분리수거의 기본적인 분류 항목으로, 종이류, 유리병류, 플라스틱병류, 캔류 등을 의미한다.
    - "ㅁ": 음식물 쓰레기를 의미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녹색물류 분리수거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 "ㅁ, ㅂ": 위의 "ㅁ"에 추가로, 배출 시기나 방법이 규정된 위험 폐기물을 의미한다.
    - "ㄱ, ㄴ, ㄷ, ㄹ, ㅁ": 위의 "ㄱ, ㄴ, ㄷ, ㄹ"에 추가로, 종이컵, 일회용품 등의 일부 품목을 포함한다.
    - "ㄱ, ㄴ, ㄷ, ㄹ, ㅁ, ㅂ": 위의 "ㄱ, ㄴ, ㄷ, ㄹ, ㅁ"에 추가로, 위험 폐기물을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2018년도 매출액이 100억원인 A기업의 영업이익률은 5 %이고 물류비는 10억원이었다. 2019년도의 경영혁신 추진방안 중에서 재무적 기대효과가 가장 큰 것은? (단, 2019년 영업이익률은 2018년과 동일하다고 가정)

  1. 전년대비 매출액 20 % 증가와 물류비용 20 % 절감
  2. 전년대비 매출액 30 %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
  3. 전년대비 매출액 2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
  4. 전년대비 매출액 4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20 % 절감
  5. 전년대비 매출액 5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10 % 절감
(정답률: 35%)
  • 정답은 "전년대비 매출액 30 %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이다.

    이유는 매출액이 30% 증가하면 2019년 매출액은 130억원이 되고, 영업이익률이 5%이므로 영업이익은 6.5억원이 된다. 이에 물류비용이 3억원 절감되면, 순영업이익은 3.5억원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재무적 기대효과가 가장 큰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매출액 증가나 물류비용 절감이 크지만, 순영업이익 증가폭이 "전년대비 매출액 30 %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에 비해 작기 때문에 재무적 기대효과가 더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물류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비 산정을 통해 물류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2. 물류활동의 계획, 관리 및 실적 평가에 활용된다.
  3. 재무회계 방식은 관리회계 방식보다 상세하고 정확하게 물류비를 산정할 수 있다.
  4. 경영 관리자에게 필요한 원가자료를 제공한다.
  5. 물류비 분석을 통하여 물류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재무회계 방식은 관리회계 방식보다 상세하고 정확하게 물류비를 산정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사실, 재무회계 방식은 일반적으로 회계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며, 물류비를 산정하는 데에는 제한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반면에, 관리회계 방식은 물류비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관리하는 데에 더 적합하다. 따라서, "재무회계 방식은 관리회계 방식보다 상세하고 정확하게 물류비를 산정할 수 있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류비의 정의와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재료 조달, 완제품 생산, 거래처 납품 그리고 반품, 회수, 폐기 등의 제반 물류활동에 소요되는 모든 경비이다.
  2. 세목별로 재료비, 노무비, 경비, 이자 등으로 구분된다.
  3. 판매물류비는 생산된 완제품 또는 매입상품을 판매창고에 보관하는 활동부터 고객에게 인도할 때까지의 비용을 의미한다.
  4. 조달물류비는 자재창고에서 원재료 등을 생산에 투입하는 시점부터 완제품을 창고에 보관하기까지의 물류활동에 따른 비용을 의미한다.
  5. 물류비를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개별기업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제품, 지역, 고객, 운송수단 등과 같은 관리항목을 정의하여 구분한다.
(정답률: 51%)
  • 옳지 않은 설명은 "조달물류비는 자재창고에서 원재료 등을 생산에 투입하는 시점부터 완제품을 창고에 보관하기까지의 물류활동에 따른 비용을 의미한다." 이다. 조달물류비는 원재료나 부품 등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류비용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제품 A와 B를 취급하는 물류업체의 연간 물류비의 비목별 자료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품 A의 물류비는 5,000만원이다.
  2. 제품 B의 물류비는 4,500만원이다.
  3. 제품 A의 운송비로 6,000만원이 배부된다.
  4. 제품 B의 보관비로 600만원이 배부된다.
  5. 제품 A와 B의 하역비는 동일하게 배부된다.
(정답률: 40%)
  • 제품 B의 물류비는 4,500만원이다. 이유는 제품 B의 운송비가 2,000만원, 보관비가 1,500만원이며, 하역비가 1,000만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급사슬관리(SCM) 기법의 명칭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ㄱ: QR, ㄴ: CRP, ㄷ: CPFR
  2. ㄱ: Cross-docking, ㄴ: BPR, ㄷ: CPFR
  3. ㄱ: Cross-docking, ㄴ: CRP, ㄷ: CPFR
  4. ㄱ: QR, ㄴ: ECR, ㄷ: VMI
  5. ㄱ: QR, ㄴ: Cross-docking, ㄷ: VMI
(정답률: 51%)
  • 정답은 "ㄱ: Cross-docking, ㄴ: CRP, ㄷ: CPFR" 입니다.

    - Cross-docking: 제품을 중간 창고에서 보관하지 않고 바로 다음 공급자나 고객에게 전달하는 기법으로, 재고를 최소화하고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수요 예측과 재고 관리를 최적화하는 기법입니다.
    -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협력적인 수요 예측과 재고 관리를 위한 기법으로, 정보 공유와 협력적인 계획 수립을 통해 재고 비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채찍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요정보를 집중화하고 공유한다.
  2. 제품공급의 리드타임(Lead time)을 단축시킨다.
  3. 상시저가전략 등의 가격안정화 정책을 도입한다.
  4. 최종소비자의 수요변동을 감소시키는 영업 전략을 선택한다.
  5. 일회 주문량을 증가시켜 운송비용을 절감한다.
(정답률: 63%)
  • 일회 주문량을 증가시켜 운송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채찍효과를 감소시키는 대응방안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고객들이 불필요한 재고를 가지게 되고, 제품의 유통기한이 지나거나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어 기존 제품의 수요가 감소할 경우 재고 폐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대응방안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채찍효과를 감소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급사슬관리(SCM)의 필요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률: 60%)
  • - ㄱ.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원활한 협력과 정보 공유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ㄴ. 재고 관리와 물류 체계를 최적화하여 제품의 유통 기간을 단축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 ㄷ.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유연한 생산 계획을 수립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공급사슬관리(SCM)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측면에서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기업사례에서 설명하는 공급사슬관리(SCM) 기법은?

  1. Risk Pooling
  2. Exponential Smoothing
  3. Postponement
  4. Vendor Managed Inventory
  5. Sales and Operation Planning
(정답률: 52%)
  • 이 기업사례에서 설명하는 SCM 기법은 "Postponement"이다. 이는 제품을 가능한 한 늦게 생산하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품을 조립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재고를 줄이고, 제품의 유효기간을 연장시키며, 고객의 요구에 더욱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법은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집중구매와 분산구매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중구매는 수요량이 큰 품목에 적합하다.
  2. 집중구매는 자재의 긴급조달이 어렵다.
  3. 분산구매는 구입경비가 많이 든다.
  4. 분산구매는 구매량에 따라 가격할인이 가능한 품목에 적합하다.
  5. 분산구매는 구매절차가 간편하다.
(정답률: 62%)
  • 정답은 "분산구매는 구매절차가 간편하다."이다.

    분산구매는 여러 공급업체로부터 작은 양의 자재를 구매하는 것으로, 구매량이 적은 경우에도 가격할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구매량에 따라 가격할인이 가능한 품목에 적합하다.

    반면, 집중구매는 수요량이 큰 품목에 적합하며, 자재의 긴급조달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유통경로는?

  1. 수직적 유통경로
  2. 매트릭스형 유통경로
  3. 네트워크형 유통경로
  4. 수평적 유통경로
  5. 전통적 유통경로
(정답률: 56%)
  • 이 유통경로는 제조업체가 직접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수직적 유통경로이다. 제조업체가 직접 제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중간 유통업체가 없어지고 제조업체가 직접 제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품질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매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자 도매기관은 제조업자가 직접 도매기능을 수행한다.
  2. 제조업자 도매기관은 제조업자가 입지 선정부터 점포 내의 판매원 관리까지 모든 업무를 직접 관리한다.
  3. 상인 도매기관은 상품을 직접 구매하여 판매한다.
  4. 대리 도매기관은 제조업자의 상품을 대신 판매ㆍ유통시켜준다.
  5. 대리 도매기관은 상품의 소유권을 가진다.
(정답률: 64%)
  • "대리 도매기관은 상품의 소유권을 가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대리 도매기관은 제조업자의 상품을 대신 판매ㆍ유통시켜주지만, 상품의 소유권은 여전히 제조업자에게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물류정보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운송정보에는 화물보험정보, 컨테이너보험정보, 자동차운송보험정보 등이 포함된다.
  2. 수출화물검사정보에는 검량정보, 검수정보, 선적검량정보 등이 포함된다.
  3. 화물통관정보에는 수출입신고정보, 관세환급정보, 항공화물통관정보 등이 포함된다.
  4. 화주정보에는 화주성명, 전화번호, 화물의 종류 등이 포함된다.
  5. 항만정보에는 항만관리정보, 컨테이너추적정보, 항만작업정보 등이 포함된다.
(정답률: 46%)
  • "화물운송정보에는 화물보험정보, 컨테이너보험정보, 자동차운송보험정보 등이 포함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화물운송정보는 화물의 출발지, 도착지, 운송수단, 운송일자, 운송비용 등을 포함한다. 화물보험정보, 컨테이너보험정보, 자동차운송보험정보는 보험과 관련된 정보이므로 화물보험정보, 컨테이너보험정보, 자동차운송보험정보는 화물운송정보의 일부분이지만, 화물운송정보 자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류정보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정보시스템은 운송, 보관, 하역, 포장 등의 전체 물류 기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시스템이다.
  2. 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는 발생원, 처리장소, 전달대상 등이 넓게 분산되어 있다.
  3. 물류정보시스템의 수ㆍ배송관리 기능은 고객의 주문에 대하여 적기배송체계의 확립과 최적운송계획을 수립한다.
  4. 물류정보시스템의 재고관리 기능은 최소의 비용으로 창고의 면적, 작업자, 하역설비 등의 경영자원을 배치한다.
  5. 물류정보시스템의 주문처리 기능은 주문의 진행 상황을 통합ㆍ관리한다.
(정답률: 36%)
  • 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는 발생원, 처리장소, 전달대상 등이 넓게 분산되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물류정보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함으로써 물류 기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는 발생원, 처리장소, 전달대상 등이 넓게 분산되어 있다."입니다.

    물류정보시스템의 재고관리 기능은 최소의 비용으로 창고의 면적, 작업자, 하역설비 등의 경영자원을 배치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를 위해 재고 수준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재고 회전율을 높이는 등의 전략을 수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바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OS 시스템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2. 13자리 바코드의 처음 세 자리는 물류식별코드를 의미한다.
  3. 정보의 변경과 추가가 가능하다.
  4. 응용범위가 다양하고 신속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나, 도입비용이 많이 든다.
  5.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다.
(정답률: 57%)
  • 바코드는 POS 시스템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바코드를 이용하면 상품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어서 매출 관리나 재고 관리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는 정보의 변경과 추가가 가능하며, 응용범위가 다양하고 신속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지만, 도입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바코드는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다는 특징도 있다. 바코드의 13자리 중 처음 세 자리는 물류식별코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RFID의 주파수대역별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주파수일수록 중장거리용으로 사용된다.
  2. 고주파수일수록 RFID 태그를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3. 저주파수일수록 시스템 구축비용이 저렴하다.
  4. 저주파수일수록 장애물의 영향을 덜 받는다.
  5. 저주파수일수록 인식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38%)
  • "저주파수일수록 인식 속도가 빠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수일수록 인식 속도가 빠르며, 저주파수일수록 인식 속도가 느리다. 이는 고주파수일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저주파수일수록 인식 거리가 짧고, 시스템 구축비용이 저렴하며, 장애물의 영향을 덜 받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에 비해 고주파수는 중장거리용으로 사용되며, RFID 태그를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POS 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ㅂ
  2. ㄱ, ㅁ, ㅂ
  3. ㄴ,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ㅁ, ㅂ
(정답률: 56%)
  • POS 시스템은 판매된 상품의 종류, 수량, 가격, 결제 수단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ㄱ. 판매된 상품의 종류", "ㄴ. 수량", "ㄷ. 가격", "ㅁ. 결제 수단", "ㅂ. 판매 일시"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ㅁ, ㅂ"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유통업종은?

  1. 아웃렛스토어
  2. 하이퍼마켓
  3. 카테고리킬러
  4. 슈퍼센터
  5.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
(정답률: 65%)
  • 위 그림은 브랜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아울렛스토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웃렛스토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물류표준화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물류활동의 효율화
  2. 화물유통의 원활화
  3. 물류의 다품종ㆍ소량화
  4. 물류의 호환성과 연계성 확보
  5. 물류비의 절감
(정답률: 57%)
  • 물류의 다품종ㆍ소량화는 물류표준화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물류표준화의 목적 중 하나인 물류활동의 효율화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다양한 제품을 소량씩 운송하면서 물류비용이 증가하고 물류활동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류표준화는 물류의 다품종ㆍ소량화를 방지하고, 물류활동의 효율화와 화물유통의 원활화, 물류의 호환성과 연계성 확보, 물류비의 절감 등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물류표준화 내용 중 소프트웨어 표준화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59%)
  • 물류표준화에서 소프트웨어 표준화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화이므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식이나 규격이 일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ㄱ, ㄷ, ㄹ"은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화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닛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국가에서 사용하는 표준 파렛트의 종류와 규격은 동일하다.
  2. 포장단위치수, 파렛트, 하역장비, 보관설비 등의 표준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3. 작업효율의 향상, 운반 활성화, 물류비용 감소 등을 기대할 수 있다.
  4. 하역을 기계화하고 운송, 보관 등을 일관화ㆍ합리화할 수 있다.
  5. 파렛트화 또는 컨테이너화에 의해 적재효율이 감소하고 추가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45%)
  • "모든 국가에서 사용하는 표준 파렛트의 종류와 규격은 동일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각 국가나 지역마다 사용하는 표준 파렛트의 종류와 규격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EUR파렛트가 표준이지만 미국에서는 US파렛트가 표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물류공동화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 처리를 통한 물류비 절감
  2. 인력부족에 대한 대응
  3. 수ㆍ배송 효율의 향상
  4. 중복투자의 감소
  5. 참여 기업별로 차별화된 물류서비스 제공
(정답률: 64%)
  • 물류공동화의 목적은 참여 기업들이 함께 협력하여 대량 처리를 통해 물류비를 절감하고, 인력부족에 대응하며, 수ㆍ배송 효율을 향상시키고, 중복투자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참여 기업별로 차별화된 물류서비스 제공은 물류공동화의 목적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운송사업자 관점의 수ㆍ배송 공동화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34%)
  • 운송사업자 관점에서 수ㆍ배송 공동화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 비용 절감: 수송과 배송을 함께 처리하면 운송 비용과 인력 비용 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ㄷ. 효율적인 운송 계획: 수송과 배송을 함께 고려하면 물류 네트워크를 최적화하고 효율적인 운송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ㄹ. 고객 만족도 향상: 수송과 배송이 함께 이루어지면 배송 일정이 예측 가능해지고, 고객에게 더 빠르고 정확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 ㄹ"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동형 RFID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가격이 고가이며 다양한 센서와 결합이 가능하다.
  2. 전파의 수신만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다.
  3. 원거리 데이터 교환에 사용된다.
  4.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5. 태그의 수명이 최장 10년으로 제한된다.
(정답률: 49%)
  • 수동형 RFID는 태그 내부에 전력 공급 장치가 없기 때문에 전파의 수신만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술은?

  1. 빅데이터
  2. 사물인터넷
  3. 인공지능
  4. 블록체인
  5. 클라우드 서비스
(정답률: 50%)
  • 위 그림은 블록체인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기술로, 여러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연결한 체인 형태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며, 중앙 관리자 없이도 신뢰성 있는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과 보관에 매우 유용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물수송론

41. 운송수단을 선택할 때의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종류 및 중량
  2. 운임부담력
  3. 화물 운송구간의 소요시간
  4. 로트 사이즈(Lot Size)
  5. 화물 납품처의 매출규모
(정답률: 59%)
  • 화물 납품처의 매출규모는 운송수단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닙니다. 매출규모는 화주의 경제적 상황과 관련이 있으며, 운송수단 선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화물 납품처의 매출규모"가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국내 화물운송에 관한 합리화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체계를 다변화하여 기존에 이용하고 있는 운송수단을 효율성이 높은 다른 운송수단으로 교체한다.
  2.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자사의 비핵심 업무를 외부에 위탁하는 아웃소싱을 추진한다.
  3. 전체 운행거리에서 화물의 적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영차율을 최소화한다.
  4. 대량화물을 고속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블록 트레인(Block Train)을 도입한다.
  5. 운송경로-물류거점-운송수단을 연계한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정답률: 52%)
  • 전체 운행거리에서 화물의 적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영차율을 최소화하는 것은 옳지 않은 방안이다. 영차율은 운송수단이 비어있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를 최소화하면 운송비용이 절감되지만, 화물의 적재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적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화물의 크기와 형태에 맞는 적절한 운송수단을 선택하고, 적재방법을 최적화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물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의 3대 요소는 운송연결점(Node), 운송경로(Link), 운송수단(Mode)이다.
  2. 물류활동의 목표인 비용절감과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추구한다.
  3. 제품의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역할을 수행한다.
  4. 배송은 물류거점 간 간선운송을 의미한다.
  5. 운송수단을 통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화물을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이다.
(정답률: 61%)
  • "배송은 물류거점 간 간선운송을 의미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배송은 물류거점에서 고객까지의 최종적인 운송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류거점 간 간선운송은 배송의 일부분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물운송 서비스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수단으로 화물을 이동하는 순간에 운송서비스가 창출되기 때문에 생산과 동시에 소비된다.
  2. 운임 비중이 클 경우에 운임상승은 운송수요를 감소시킨다.
  3. 운송수단 중에서 기술적으로 대체가능하다면 가장 저렴한 수단을 선택한다.
  4. 운송시기와 목적지에 따라 수요가 합해지고 이에 따라 운송서비스 공급이 가능하다.
  5. 운송수요는 많은 이질적인 개별수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특성이 있다.
(정답률: 40%)
  • 운송수요는 많은 이질적인 개별수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특성이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물운송 서비스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운송서비스가 생산과 동시에 소비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운송서비스는 화물이 이동하는 순간에 창출되는 것이 아니라, 운송 계획과 예약, 운송 수단의 배치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운송효용 측면에서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격차 조정’에 해당되는 것은?

  1. 지역 간 거리해소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가능하다.
  2. 원격지 간의 생산과 판매를 촉진하여 유통의 범위와 기능을 확대시킨다.
  3. 지역 간 유통으로 상품가격의 조정 및 안정화를 도모한다.
  4. 유통활동의 간소화와 가격안정을 통하여 유통의 효율화를 촉진시킨다.
  5. 제품을 필요한 시점까지 보관하였다가 수요에 따라 공급하는 과정에서 운송효용이 달성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제품을 필요한 시점까지 보관하였다가 수요에 따라 공급하는 과정에서 운송효용이 달성된다."입니다.

    이유는 제품을 필요한 시점까지 보관하고 수요가 발생하면 공급하는 과정에서 운송효용이 달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격차를 조정하여 제품을 효율적으로 운송하고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유통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운송수단의 선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해상운송보다 자동차 또는 항공운송을 선택한다.
  2. 자동차운송은 운송거리가 길수록 적합하고, 해상운송은 거리가 짧을수록 합리적이다.
  3. 운임부담능력이 있는 고가화물은 항공운송을 선택한다.
  4. 화물가치가 낮고 운임이 저렴하면 해상운송을 선택한다.
  5. 석유류, 가스제품의 경우에는 파이프라인 운송을 선택한다.
(정답률: 60%)
  • "자동차운송은 운송거리가 길수록 적합하고, 해상운송은 거리가 짧을수록 합리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오히려 해상운송은 운송거리가 길수록 경제적이며, 자동차운송은 거리가 짧을수록 합리적이다. 이는 해상운송이 대량의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운송비용이 저렴해지는 반면, 자동차운송은 운송거리가 짧을수록 운송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운송 효율화 측면에서 ‘운송수단과 비용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수단의 선정 시 운송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을 고려한다.
  2. 운송수단별 운송물량에 따라 운송비용에 차이가 있다.
  3. 항공운송은 리드타임(Lead Time)이 짧기 때문에 재고유지비용이 증가한다.
  4. 해상운송은 운송기간 중에 재고유지비용이 증가한다.
  5. 속도가 느린 운송수단일수록 운송 빈도가 낮아져 보관비가 증가한다.
(정답률: 59%)
  • "항공운송은 리드타임(Lead Time)이 짧기 때문에 재고유지비용이 증가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항공운송은 리드타임이 짧아서 재고유지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즉, 물류 시스템에서 재고를 줄이고 물류 프로세스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고유지비용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운송의 주요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매와 생산을 조정하여 생산계획의 원활화를 도모한다.
  2. 약속된 장소와 기간 내에 화물을 고객에게 전달한다.
  3. 물류계획과 실행을 일치시킨다.
  4. 수주에서 출하까지의 작업효율화를 도모한다.
  5. 유통재고량을 최대로 유지시킨다.
(정답률: 57%)
  • "유통재고량을 최대로 유지시킨다."는 운송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오히려 운송은 유통재고량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물류체계를 구축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화물자동차의 중량 및 운송능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차중량은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연료, 냉각수, 윤활유 등을 채우지 않은 상태의 중량이다.
  2. 최대 적재중량은 화물을 최대로 적재할 수 있도록 허용된 중량이다.
  3. 자동차연결 총중량은 최대 적재중량에 트레일러와 트랙터의 무게까지 합산한 중량이다.
  4. 최대접지압력은 최대 적재상태에서 접지부에 미치는 단위면적당 중량이다.
  5.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은 최대 적재중량에 자동차의 평균 속도를 곱하여 계산한다.
(정답률: 53%)
  •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은 최대 적재중량에 자동차의 평균 속도를 곱하여 계산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운송능력은 최대 적재중량과 최대접지압력, 그리고 도로 및 교통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특장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장차를 전용으로 이용할 경우에 화물의 포장비가 절감된다.
  2. 특장차는 신속한 상ㆍ하차가 가능하여 차량의 회전율을 향상시킨다.
  3. 특장차는 복화화물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편도 공차운행을 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있다.
  4. 특장차는 운송화물의 특성에 맞춰 제작되기 때문에 차체의 무게가 가벼워진다.
  5. 특장차는 다른 종류의 화물을 수송하기에 부적합하며 화물 부족 시 운영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54%)
  • "특장차는 운송화물의 특성에 맞춰 제작되기 때문에 차체의 무게가 가벼워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특장차는 운송화물의 크기, 무게, 형태 등에 따라 차체를 맞춤 제작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최적화된 구조로 만들어져 무게가 가벼워진다. 이는 연료 절약과 운전 안정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운송회사는 공급지 A, B, C에서 수요지 W, X, Y, Z까지 화물을 운송하려고 한다. 최소비용법에 의한 총운송비용과 공급지 B에서 수요지 X까지의 운송량은? (단, 공급지와 수요지간 톤당 단위운송비용은 셀의 우측 상단에 표시됨)

  1. 1,210,000원, 30톤
  2. 1,210,000원, 40톤
  3. 1,210,000원, 50톤
  4. 2,050,000원, 30톤
  5. 2,050,000원, 40톤
(정답률: 46%)
  • 최소비용법에 따라서 공급지 A에서 수요지 W까지는 100톤을 운송하고, 공급지 B에서 수요지 X까지는 30톤을 운송하며, 공급지 C에서 수요지 Y까지는 70톤을 운송하고, 공급지 C에서 수요지 Z까지는 10톤을 운송한다. 따라서 총운송비용은 1,210,000원이 된다. 또한, 공급지 B에서 수요지 X까지의 운송량은 30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운송회사는 공장에서 물류창고 E, G, I까지 각각 1대씩의 화물차량을 배정하려고 한다. 최단거리로 운송할 경우에 합산한 총운송거리는? (단, 링크의 숫자는 거리이며 단위는 km임)

  1. 19 km
  2. 20 km
  3. 21 km
  4. 22 km
  5. 23 km
(정답률: 23%)
  • E에서 G로 가는 최단거리는 E-F-G로 10+1=11km이다. G에서 I로 가는 최단거리는 G-H-I로 8+2=10km이다. 따라서 E에서 G를 가는 화물차량과 G에서 I를 가는 화물차량이 만나는 지점인 G에서의 거리는 1+3+2=6km이다. 따라서 총운송거리는 11+10+6=<<11+10+6=27>>27k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각각 1대씩의 화물차량을 배정하라고 했으므로, E에서 G로 가는 화물차량과 G에서 I로 가는 화물차량이 만나는 지점인 G에서 반드시 만나야 한다. 따라서 E에서 G를 가는 화물차량과 G에서 I를 가는 화물차량은 같이 가야 하므로, 총운송거리는 11+1+2+1+10=<<11+1+2+1+10=25>>25km이다. 따라서 정답은 "21 km"이 아니라 "25 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트레일러 형상과 적재하기에 적합한 화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평상식 트레일러 - 일반화물
  2. 저상식 트레일러 - 불도저
  3. 중저상식 트레일러 - 대형 핫코일(Hot Coil)
  4. 밴 트레일러 - 중량 블록화물
  5. 오픈탑 트레일러 - 고척화물
(정답률: 32%)
  • 밴 트레일러는 측면이 닫혀 있어서 중량 블록화물과 같이 크고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중량 블록화물은 크기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적재할 때 측면이 열린 오픈탑 트레일러나 저상식 트레일러와 같은 형상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물자동차 운임 결정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거리는 연료비, 수리비, 타이어비 등 변동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2. 밀도가 높은 화물은 동일한 용적을 갖는 용기에 많이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다.
  3. 한 번에 운송되는 화물 단위가 클수록 대형차량을 이용하며 이 경우에 운송단위당 부담하는 고정비 및 일반관리비는 높아진다.
  4. 화물형상의 비정형성은 적재작업을 어렵게 하고 적재공간의 효율성을 떨어지게한다.
  5. 운송 중 발생되는 화물의 파손, 부패, 폭발가능성 등에 따라 운임이 달라진다.
(정답률: 54%)
  • 한 번에 운송되는 화물 단위가 클수록 대형차량을 이용하며 이 경우에 운송단위당 부담하는 고정비 및 일반관리비는 높아진다. - 이는 옳은 설명이다. 클수록 대형차량을 이용해야 하므로 운송단위당 부담하는 고정비 및 일반관리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물자동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54%)
  • - "ㄱ, ㄴ, ㄹ" : 화물자동차의 구성 요소인 "전륜", "후륜", "하중"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옳은 것이다.
    - "ㄱ, ㄴ, ㄷ" : "하중" 대신 "차체"가 포함되어 있어 화물자동차의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 "ㄴ, ㄷ, ㄹ" : "전륜", "후륜", "차체"를 모두 포함하지만 "하중"이 빠져 있어 화물자동차의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 "ㄴ, ㄹ, ㅁ" : "전륜", "차체", "하중"을 모두 포함하지만 "후륜"이 빠져 있어 화물자동차의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 "ㄷ, ㄹ, ㅁ" : "후륜", "차체", "하중"을 모두 포함하지만 "전륜"이 빠져 있어 화물자동차의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적재함의 크기가 폭 2.3미터, 길이 6.2미터인 윙바디 트럭이 있다. T-11형 파렛트를 1단으로 적재할 경우와 T-12형 파렛트를 1단으로 적재할 경우에 각각 적재 가능한 파렛트 수는?

  1. T-11형 10개, T-12형 10개
  2. T-11형 10개, T-12형 11개
  3. T-11형 10개, T-12형 12개
  4. T-11형 11개, T-12형 10개
  5. T-11형 11개, T-12형 11개
(정답률: 30%)
  • 적재함의 크기는 폭 2.3미터, 길이 6.2미터이므로 적재면적은 2.3 x 6.2 = 14.26m²이다.
    T-11형 파렛트의 크기는 1.0 x 1.2 = 1.2m², T-12형 파렛트의 크기는 1.0 x 1.0 = 1.0m²이다.
    따라서, T-11형 파렛트를 1단으로 적재할 경우 적재 가능한 파렛트 수는 14.26 / 1.2 = 11.88개이지만, 정수로 계산하면 10개이다.
    T-12형 파렛트를 1단으로 적재할 경우 적재 가능한 파렛트 수는 14.26 / 1.0 = 14.26개이지만, 정수로 계산하면 11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T-11형 10개, T-12형 11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물차 안전운임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운임제는 과로ㆍ과적ㆍ과속에 내몰리는 화물운송 종사자의 근로 여건을 개선하고자 정부에서 직권으로 마련하였다.
  2. 안전운임제는 위반 시 과태료 처분이 내려지는 ‘안전운임’과 운임 산정에 참고할수 있는 ‘안전운송원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3. 안전운임은 컨테이너, 유류 품목에 한하여 3년 일몰제(2020년~2022년)로 우선적으로 도입된다.
  4. 안전운송원가는 철강재와 시멘트 품목에 우선적으로 도입된다.
  5.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하여 20명 이내로 구성하도록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에 명시되어 있다.
(정답률: 23%)
  • 안전운임제는 위반 시 과태료 처분이 내려지는 ‘안전운임’과 운임 산정에 참고할수 있는 ‘안전운송원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는 화물운송 종사자의 근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에서 마련한 제도이다. 따라서 첫 번째와 두 번째 보기가 옳다. 그러나 세 번째와 네 번째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위원회는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위원장을 포함하여 20명 이내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공로운송의 운행제한에 관한 설명 중 ( )에 들어갈 숫자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40, ㄴ: 10, ㄷ: 5
  2. ㄱ: 40, ㄴ: 10, ㄷ: 10
  3. ㄱ: 50, ㄴ: 12.5, ㄷ: 5
  4. ㄱ: 50, ㄴ: 12.5, ㄷ: 10
  5. ㄱ: 60, ㄴ: 15, ㄷ: 5
(정답률: 29%)
  • 주어진 그림에서 보면, 1시간에 4대의 공로운송이 운행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루에 운행 가능한 공로운송 대수는 24시간 x 4대 = 96대 입니다.

    그런데 문제에서는 "운행제한"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하루에 운행 가능한 공로운송 대수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ㄱ) 40대: 하루에 운행 가능한 공로운송 대수가 40대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ㄴ) 10대: 하루에 운행 가능한 공로운송 대수가 10대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ㄷ) 10대: 하루에 운행 가능한 공로운송 대수가 10대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40, ㄴ: 10, ㄷ: 1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택배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 근거한 보상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등산화 가격 110만원을 보상 받는다.
  2. 등산화 가격 110만원과 A 백화점 상품권 60만원을 모두 보상 받는다.
  3. 등산화 가격 110만원과 A 백화점 상품권 60만원의 각각 50%까지 보상 받는다.
  4. A 백화점 상품권 60만원 중 40만원까지 보상 받는다.
  5. 등산화 가격 110만원 중 50만원까지 보상 받는다.
(정답률: 4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내용은 "운송물의 손상 또는 분실로 인한 배상금액은 운송물의 실제 가액(또는 가액증명서에 의한 가액)과 운송료의 합계액에서 50만원을 공제한 금액으로 한다." 이므로 등산화의 가격이 110만원이라면, 운송료를 제외한 60만원에서 50만원을 공제한 10만원까지만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산화 가격 110만원 중 50만원까지 보상 받는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용열차의 종류는?

  1. 셔틀 트레인(Shuttle Train)
  2. 커플링앤세어링 트레인(Coupling & Sharing Train)
  3. 싱글웨곤 트레인(Single-Wagon Train)
  4. 블록 트레인(Block Train)
  5. 유닛 트레인(Unit Train)
(정답률: 47%)
  • 전용열차 중에서 블록 트레인은 하나의 블록(열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블록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직행하는 열차를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열차와의 커플링이나 분리가 없이 일괄적으로 운송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송유관 네트워크로 A 공급지에서 F 수요지까지 최대의 유량을 보내려고 한다. 최대유량은? (단, 링크의 화살표 방향으로만 송유가능하며 링크의 숫자는 용량을 나타냄)

  1. 12톤
  2. 13톤
  3. 14톤
  4. 15톤
  5. 16톤
(정답률: 37%)
  • 송유관 네트워크에서 최대 유량을 구하는 문제는 최대 유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네트워크의 모든 경로 중에서 최대 유량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이다.

    이 문제에서는 A 공급지에서 F 수요지까지의 최대 유량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 유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A에서 F까지의 경로 중에서 최대 유량을 찾아내면 된다.

    최대 유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A에서 F까지의 경로 중에서 최대 유량을 찾아보면, A-B-D-F 경로에서 최대 유량이 14톤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4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에서 각각 설명하는 철도화물 운송용 차량은?

  1. ㄱ: 유개차, ㄴ: 곡형평판차
  2. ㄱ: 컨테이너차, ㄴ: 곡형평판차
  3. ㄱ: 곡형평판차, ㄴ: 유개차
  4. ㄱ: 곡형평판차, ㄴ: 컨테이너차
  5. ㄱ: 무개차, ㄴ: 곡형평판차
(정답률: 41%)
  • 이 차량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 "ㄱ: 유개차"는 화물을 직접 싣고 운반하는 차량이 아니라, 화물을 싣은 컨테이너를 싣고 운반하는 차량이므로 오답입니다. "ㄱ: 무개차"는 해당 그림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오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곡형평판차, ㄴ: 유개차"입니다. 곡형평판차는 화물을 직접 싣고 운반하는 차량으로, 유개차는 화물을 싣은 컨테이너를 싣고 운반하는 차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택배사업자가 택배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 근거하여 운송물의 수탁을 거절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A 회사가 B 회사에게 보낸 재생 불가능한 계약서
  2. C 농업법인이 보낸 쌀 10 kg
  3. D 애견회사가 보낸 강아지 2마리
  4. E 보석상이 보낸 400만원 상당의 금목걸이
  5. F 총포상이 보낸 화약
(정답률: 58%)
  • 택배표준약관에 따르면, 운송물이 법령, 공서양속 등에 위배되는 경우나 운송물의 특성상 운송이 불가능하거나 위험한 경우에만 택배사업자가 운송물의 수탁을 거절할 수 있다. 따라서, "C 농업법인이 보낸 쌀 10 kg"는 위배되는 사항이나 운송이 불가능하거나 위험한 경우가 아니므로 거절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도하역방식인 COFC(Container on Flat Ca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를 철도화차에 상차하거나 철도화차로부터 하차하는 것이다.
  2. 컨테이너 자체만 철도화차에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방식이다.
  3. 철도운송과 해상운송의 연계가 용이하다.
  4. 하역작업이 용이하고 화차중량이 가벼워 보편화된 철도하역방식이다.
  5. 철도화차에 컨테이너를 상ㆍ하차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및 지게차 등의 하역장비가 필요하다.
(정답률: 54%)
  •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를 철도화차에 상차하거나 철도화차로부터 하차하는 것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OFC 방식은 "컨테이너 자체만 철도화차에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하역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철도운송과 해상운송의 연계가 용이하며, 화차중량이 가벼워 보편화된 철도하역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택배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 따른 용어 설명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수탁, ㄴ: 수하인, ㄷ: 인도, ㄹ: 고객
  2. ㄱ: 수탁, ㄴ: 수탁인, ㄷ: 운송, ㄹ: 고객
  3. ㄱ: 수하, ㄴ: 수탁인, ㄷ: 인도, ㄹ: 운송 수령인
  4. ㄱ: 수하, ㄴ: 수탁인, ㄷ: 배달, ㄹ: 운송 수탁인
  5. ㄱ: 수하, ㄴ: 수하인, ㄷ: 운송, ㄹ: 운송 수령인
(정답률: 50%)
  • 택배표준약관에서 "수탁"은 택배사가 고객으로부터 물품을 인도받아 운송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고객은 "수하"로서 물품을 택배사에게 맡기게 됩니다. "수하인"은 수하로부터 물품을 받는 사람을 말하며, "인도"는 택배사가 수하인에게 물품을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수탁, ㄴ: 수하인, ㄷ: 인도, ㄹ: 고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택배서비스 형태의 설명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B2C, ㄴ: C2C, ㄷ: C2B
  2. ㄱ: C2C, ㄴ: B2B, ㄷ: C2B
  3. ㄱ: B2B, ㄴ: C2C, ㄷ: B2C
  4. ㄱ: C2B, ㄴ: B2B, ㄷ: C2C
  5. ㄱ: C2C, ㄴ: B2B, ㄷ: B2C
(정답률: 56%)
  • 정답은 "ㄱ: C2C, ㄴ: B2B, ㄷ: B2C" 입니다.

    C2C는 개인 간 거래를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개인이 개인에게 물건을 보내는 형태의 택배서비스입니다.

    B2B는 기업 간 거래를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기업이 기업에게 물건을 보내는 형태의 택배서비스입니다.

    B2C는 기업이 개인에게 물건을 보내는 형태의 택배서비스입니다. 이 경우에는 개인이 상품을 주문하고 기업이 해당 상품을 개인에게 배송하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상운송계약의 형태는?

  1. Daily Charter
  2. Lump Sum Charter
  3. Bareboat Charter
  4. Trip Charter
  5. Partial Charter
(정답률: 46%)
  • 해상운송선을 임대받아 스스로 운항하고 관리하는 형태의 계약인 "Bareboat Charter"에 해당합니다. 이미 보유한 선박을 활용하여 운송을 하기 때문에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대한 책임이 임차인에게 있으며, 임대료 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선박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ASH선은 부선(Barge)에 화물을 적재한 채로 본선에 적재 및 운송하는 선박이다.
  2. 전용선(Specialized Vessel)은 특정화물의 적재 및 운송에 적합한 구조와 설비를 갖춘 선박이다.
  3. 로로선(RO-RO Vessel)은 경사판(Ramp)을 통하여 하역할 수 있는 선박이다.
  4. 유조선(Tanker)은 원유, 액화가스, 화공약품 등 액상 화물의 운송에 적합한 선박이다.
  5. 겸용선(Combination Carrier)은 부선(Barge)에 적재된 화물을 본선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으로 하역하는 선박이다.
(정답률: 50%)
  • 선박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인 함부르크 규칙(Hamburg Rules, 1978)의 주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박의 감항능력(내항성) 담보에 관한 주의의무 규정의 삭제
  2. 화재면책의 폐지 및 운송인 책임한도액의 인상
  3. 항해과실 면책조항의 신설
  4. 면책 카탈로그(Catalogue)의 폐지
  5. 지연손해에 관한 운송인 책임의 명문화
(정답률: 27%)
  •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인 함부르크 규칙의 주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항해과실 면책조항의 신설"이다. 함부르크 규칙은 운송인의 책임을 강화하고, 운송인의 면책 사유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항해과실 면책조항을 신설하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항공운임은?

  1. General Cargo Rate
  2. Commodity Classification Rate
  3. Specific Commodity Rate
  4. Bulk Unitization Charge
  5. Disbursement Amount
(정답률: 40%)
  • 이 항공운임은 특정 상품군에 대한 운임으로, 해당 상품군의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운임입니다. 따라서 "Specific Commodity Rate"입니다. "General Cargo Rate"는 일반화물에 대한 운임, "Commodity Classification Rate"는 상품 분류에 따른 운임, "Bulk Unitization Charge"는 대량화물 운임, "Disbursement Amount"는 지출금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해상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iscrimination Rate는 화물, 장소, 화주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과하는 운임이다.
  2. Freight Collect는 무역조건이 CFR계약이나 CIF계약으로 체결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운임이다.
  3. Optional Surcharge는 양륙항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송 도중에 양륙항이 정해지는 경우에 부과되는 할증운임이다.
  4. Terminal Handling Charge는 화물이 CY에 입고된 순간부터 본선의 선측까지와 본선의 선측에서 CY 게이트를 통과하기까지의 화물 이동에 따른 비용으로 국가별로 그 명칭과 징수내용이 다소 상이하다.
  5. Congestion Surcharge는 도착항의 항만이 혼잡할 경우에 부과되는 할증료이다.
(정답률: 31%)
  • Freight Collect는 무역조건이 CFR계약이나 CIF계약으로 체결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운임이 아니라, 수출인이 수입인에게 운임을 청구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선박의 톤수는?

  1. 총톤수(Gross Tonnage)
  2. 순톤수(Net Tonnage)
  3. 중량톤수(Weight Tonnage)
  4. 배수톤수(Displacement Tonnage)
  5. 재화중량톤수(Dead Weight Tonnage)
(정답률: 49%)
  • 선박의 톤수는 "총톤수(Gross Tonnage)"이다. 총톤수는 선박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선박의 모든 공간을 포함한 총 부피를 계산하여 나온 값이다. 이에 비해 "순톤수(Net Tonnage)"는 선박의 운송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선박의 화물 운송 능력과 관련된 공간만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다. "중량톤수(Weight Tonnage)"는 선박의 총 중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배수톤수(Displacement Tonnage)"는 선박이 수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의 중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마지막으로 "재화중량톤수(Dead Weight Tonnage)"는 선박이 최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혼재서비스(Consolidation Service) 형태는?

  1. Buyer’s Consolidation
  2. Shipper’s Consolidation
  3. Consigner’s Consolidation
  4. Co-Loading Service
  5. Seller’s Consolidation
(정답률: 44%)
  • 이 그림은 여러 공급업체로부터 제품을 구매한 바이어가, 제품을 한곳으로 모아서 한번에 운송하는 Buyer's Consolidation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항공운송 관련 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항공운송사업은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이다.
  2. 항공운송총대리점업은 항공운송사업자를 위하여 유상으로 항공기를 이용한 여객이 나 화물의 국제운송계약 체결을 대리하는 사업이다.
  3. 항공운송사업자는 국내항공운송사업자, 국제항공운송사업자 및 소형항공운송사업자를 말한다.
  4. 국제물류주선업자(Freight Forwarder)는 항공기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독자적인 운송약관과 자체 운임요율표를 가지고 있으며 자체 운송장인 MAWB(Master Air Waybill)를 발행하는 자이다.
  5. 상업서류송달업은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유상으로 수출입 등에 관한 서류와 그에 딸린 견본품을 항공기를 이용하여 송달하는 사업이다.
(정답률: 52%)
  • "국제항공운송사업자는 국내항공운송사업자, 국제항공운송사업자 및 소형항공운송사업자를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국제항공운송사업자는 국제적으로 항공기를 이용하여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국내항공운송사업자와 소형항공운송사업자는 국내적으로 항공기를 이용하여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산업단지 내에 있는 6개의 물류거점을 모두 연결하는 도로를 신설하려고 한다. 총도로연장을 최소화할 경우에 필요한 도로연장은? (단, 다음은 각 링크의 출발지 물류거점, 도착지 물류거점, 해당 링크연장을 나타내고 ‘0’은 해당 링크가 없음을 나타냄)

  1. 14 km
  2. 15 km
  3. 16 km
  4. 17 km
  5. 18 km
(정답률: 25%)
  • 6개의 물류거점을 모두 연결하려면 최소한 5개의 도로가 필요하다. 이때, 각 물류거점을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도로를 연결하면 된다.

    1-2: 3 km
    1-3: 2 km
    2-4: 4 km
    3-4: 1 km
    4-5: 5 km

    따라서, 총 도로연장은 3+2+4+1+5=15 k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 k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3개의 공급지와 3개의 수요지를 지닌 수송문제를 보겔추정법을 적용하여 해결하려고 한다. 총운송비용과 공급지 B에서 수요지 Z까지의 운송량은? (단, 공급지와 수요지간 톤당 단위운송비용은 셀의 우측 상단에 표시됨)

  1. 3,600,000원, 50톤
  2. 3,700,000원, 50톤
  3. 3,700,000원, 100톤
  4. 3,800,000원, 50톤
  5. 3,800,000원, 100톤
(정답률: 36%)
  • 먼저, 공급지 A에서 수요지 X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200,000원이다. 공급지 A에서 수요지 Y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500,000원이다. 공급지 A에서 수요지 Z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900,000원이다.

    공급지 B에서 수요지 X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300,000원이다. 공급지 B에서 수요지 Y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600,000원이다. 공급지 B에서 수요지 Z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900,000원이다.

    공급지 C에서 수요지 X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100,000원이다. 공급지 C에서 수요지 Y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400,000원이다. 공급지 C에서 수요지 Z로 운송하는 경우, 운송비용은 1,800,000원이다.

    따라서, 최소 운송비용을 구하기 위해서는 공급지 B에서 수요지 Z로 100톤을 운송해야 한다. 이 경우, 운송비용은 3,800,000원이다. 다른 경우들은 모두 이보다 높은 운송비용을 가지기 때문에 최소 운송비용은 3,8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통행배정모형 중 용량비제약모형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ㅁ
  5. ㄹ, ㅁ
(정답률: 25%)
  • 용량비제약모형은 각 노드의 용량이 무한대이거나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는 모형이다. 따라서 노드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모두 용량비제약모형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ㄷ, ㅁ"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20개의 공항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가 허브 앤드 스포크(Hub and Spoke) 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 한다. 20개의 공항 중 4개를 허브로 선택하여 운영할 경우에 총 몇 개의 왕복노선이 필요한가?

  1. 16개
  2. 18개
  3. 20개
  4. 22개
  5. 24개
(정답률: 25%)
  • 허브 앤드 스포크 네트워크에서는 허브와 스포크 공항을 연결하는 왕복노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4개의 허브에서 출발하는 왕복노선은 각각 16개씩 필요하다(스포크 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공항과의 연결). 따라서 총 왕복노선 수는 4(허브 수) x 16(각 허브당 왕복노선 수) = 64개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허브끼리 연결하는 왕복노선은 중복이므로, 4개의 허브끼리 연결하는 왕복노선은 각각 3개씩 필요하다(4C2). 따라서 중복을 제외한 총 왕복노선 수는 64(전체 왕복노선 수) - 6(중복되는 왕복노선 수) = 58개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22개"가 아니므로, 정답은 "22개"가 아닌 다른 보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화물분포모형이 아닌 것은?

  1. 평균인자법
  2. 프래타법
  3. 중력모형
  4. 엔트로피 극대화모형
  5. 로짓모형
(정답률: 16%)
  • 로짓모형은 화물분포모형이 아닌 이유는 로짓모형은 이항분포를 따르는 이진분류 문제에 적용되는 모형으로, 화물분포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화물분포모형과 관련된 모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A 공장에서 B 물류창고까지 도로망을 이용하여 상품을 운송하려고 한다. 최소 비용수송계획법에 의한 A 공장에서 B 물류창고까지의 총운송비용 및 총운송량은? (단, 링크의 첫째 숫자는 도로용량, 둘째 숫자는 톤당 단위운송비용임)

  1. 330,000원, 26톤
  2. 330,000원, 27톤
  3. 330,000원, 28톤
  4. 346,000원, 29톤
  5. 346,000원, 30톤
(정답률: 17%)
  • 최소 비용수송계획법에 따라 A 공장에서 B 물류창고까지의 최소 비용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플로우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각 링크의 최대 흐름량을 구해보자. A 공장에서 출발하여 1번 노드를 거쳐 B 물류창고에 도착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A → 1 → 2 → B
    A → 1 → 3 → B
    A → 4 → 3 → B

    이 중에서 최대 흐름량이 가장 작은 경로를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경로의 최대 흐름량을 구해보자.

    A → 1 → 2 → B: 20톤
    A → 1 → 3 → B: 15톤
    A → 4 → 3 → B: 20톤

    따라서 최대 흐름량은 15톤이다.

    이제 각 링크의 비용을 고려하여 최소 비용을 구해보자. 각 링크의 비용은 톤당 단위운송비용과 흐름량을 곱한 값이다. 예를 들어, A에서 1로 가는 링크의 비용은 10,000원/톤 × 15톤 = 150,000원이다.

    이를 모든 링크에 대해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A → 1: 150,000원
    1 → 2: 120,000원
    1 → 3: 90,000원
    4 → 3: 60,000원
    2 → B: 120,000원
    3 → B: 180,000원

    따라서 A 공장에서 B 물류창고까지의 총운송비용은 150,000원 + 120,000원 + 180,000원 = 450,000원이다.

    총운송량은 최대 흐름량인 15톤이다.

    따라서 정답은 "450,000원, 15톤"이다.

    하지만 보기를 보면 이 중에서 "346,000원, 29톤"이라는 답이 있다. 이는 최소 비용수송계획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최적화를 한 결과일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최소 비용수송계획법에 따라 답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346,000원, 29톤"은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국제물류론

81. 물류와 무역 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역 수요는 물류 수요를 창출한다.
  2. 무역계약 조건은 국제운송계약에 영향을 미친다.
  3. 물류비용 절감은 국제무역 확대발전으로 이어진다.
  4. 물류기술 발전은 무역거래 비용의 절감으로 이어진다.
  5. 무역규제 완화는 물류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정답률: 57%)
  • "무역규제 완화는 물류비용 증가로 이어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무역규제 완화는 물류비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무역규제가 완화되면 물류기업들은 더 많은 무역 수요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물류비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보호무역주의 확산이 글로벌생산업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지국 내의 공급사슬관리 체제가 강화된다.
  2. 부품수입량이 감소하고 생산일정 관리가 어려워진다.
  3. 지역별로 전개하는 글로벌 분업체제가 강화된다.
  4. 연구개발 및 생산에서 규모의 경제가 약화된다.
  5. 표준화된 글로벌 제품의 대량생산체제가 어려워진다.
(정답률: 48%)
  •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인해 지역별로 전개하는 글로벌 분업체제가 강화된다는 것은 옳은 것이다. 이는 보호무역주의로 인해 국경을 넘어가는 무역이 제한되고, 각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이 해당 지역에서 판매되는 경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글로벌 생산업체들은 각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을 조합하여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분업체제를 강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제물류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외시장으로의 상품인도 시간을 단축시킨다.
  2. 수출업자의 물류비를 절감시킨다.
  3. 해외시장 고객에 대한 서비스 활동을 향상시킨다.
  4. 국제 경영활동에서 최대비용으로 사업효율성을 향상시킨다.
  5. 국제간 상품의 가격을 평준화시킨다.
(정답률: 52%)
  • "국제 경영활동에서 최대비용으로 사업효율성을 향상시킨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국제물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수출업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시장에서의 성공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최대비용"으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최근 국제운송의 발전 방향과 그 사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대형화: 일본의 TSL(Techno Super Line)
  2. 무인자동화: AGV Supervisor 시스템
  3. 빅데이터화: Samsung SDS의 Cello
  4. 스마트화: 함부르크항 smartPORT
  5. 친환경화: IMO MEPC MARPOL Annex VI
(정답률: 37%)
  • 초대형화는 국제운송의 발전 방향 중 하나이지만, TSL은 일본 내부에서만 운영되는 철도로로 국제운송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TSL은 일본 내부의 물류 및 교통체계 개선을 위한 사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정기용선계약에서 특정한 사유로 선박의 이용이 방해되는 기간동안 용선자의 용선료 지불의무를 중단하도록 하는 조항은?

  1. Off-hire
  2. Demurrage
  3. Employment and Indemnity
  4. Laytime
  5. Cancelling Date
(정답률: 37%)
  • "Off-hire" 조항은 선박의 이용이 방해되는 기간동안 용선자가 용선료를 지불하지 않도록 하는 조항입니다. 이는 선박의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용선자가 부담할 수 없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선박이 수리를 위해 도크에 들어가야 하는 경우, 용선자는 그 기간동안 용선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해상운송화물의 선적절차와 관련이 없는 서류는?

  1. Shipping Request
  2. Mate's Receipt
  3. Letter of Indemnity
  4. Shipping Order
  5. Letter of Guarantee
(정답률: 46%)
  • 해상운송화물의 선적절차와 관련이 없는 서류는 "Letter of Guarantee"입니다. 이는 보험회사나 금융기관 등이 선적인도를 보장하기 위해 발행하는 서류로, 화주나 운송업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Shipping Request", "Mate's Receipt", "Letter of Indemnity", "Shipping Order"는 모두 선적절차와 관련된 서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해상운송화물의 운임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칙적으로 운송인은 운임부과기준에 대한 재량권을 가진다.
  2. FAK는 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부과되는 운임이다.
  3. Dead Freight는 화물의 실제 적재량이 계약수량에 미달할 경우 그 부족분에 대해 지불하는 일종의 위약금이다.
  4. FIO조건은 선적과 양륙과정에서 선내 하역인부임을 화주가 부담하는 조건이다.
  5. Detention Charge는 CY에서 무료장치기간(free time)을 정해두고 그 기간 내에 컨테이너를 반출해가지 않을 경우 징수하는 부대비용이다.
(정답률: 29%)
  • Detention Charge는 CY에서 무료장치기간(free time)을 정해두고 그 기간 내에 컨테이너를 반출해가지 않을 경우 징수하는 부대비용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해상운송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흘수(Draft)는 선박의 수중에 잠기지 않는 수면 위의 선체 높이로 예비부력을 표시한다.
  2. 편의치적(FOC)은 자국선대의 해외이적을 방지하기 위해 자국의 자치령 또는 속령에 치적할 경우 선원고용의 융통성과 세제혜택을 허용하는 제도이다.
  3. 항만국 통제(Port State Control)는 자국 항만에 기항하는 외국국적 선박에 대해 국제협약이 정한 기준에 따라 선박의 안전기준 등을 점검하는 행위이다.
  4. 재화중량톤수(DWT)는 흘수선을 기준으로 화물이 적재된 상태의 선박과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5. 운임톤(Revenue Ton)은 직접 상행위에 사용되는 용적으로 톤세, 항세, 항만시설사용료 등의 부과기준이 된다.
(정답률: 33%)
  • 항만국 통제(Port State Control)는 자국 항만에 기항하는 외국국적 선박에 대해 국제협약이 정한 기준에 따라 선박의 안전기준 등을 점검하는 행위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선박의 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해 실시되는 중요한 절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해상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품운송계약은 선하증권에 의해 증빙되는 부합계약의 성질을 지닌다.
  2. 용선계약의 내용은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약한 용선자를 보호하기 위해 Hague-Visby Rules 같은 강행법규에 의해 규율된다.
  3. 정기선운송의 경우 부정기선운송에 비해 해운시황에 따른 배선축소나 운항항로에서의 철수 등이 신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4. 부정기선운송의 운임은 해운시장에서 물동량과 선복량에 따라 변동하므로 정기선 운임에 비해 불안정하다.
  5. 정기용선계약에서 용선선박은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일체의 속구를 갖추고 선원을 승선시킨 상태로 용선자에게 인도된다.
(정답률: 45%)
  • "용선계약의 내용은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약한 용선자를 보호하기 위해 Hague-Visby Rules 같은 강행법규에 의해 규율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는 Hague-Visby Rules는 선박운송에서 적용되는 국제법규 중 하나이며, 용선계약의 내용은 이 법규에 따라 규정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로테르담 규칙의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공복합운송 및 해륙복합운송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2. 해상화물운송장 및 전자선하증권이 발행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3. 인도 지연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4. 운송인은 항해과실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도 책임을 부담한다.
  5.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 의무는 전체 해상운송기간에 대해서까지 확대된다.
(정답률: 49%)
  • "인도 지연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로테르담 규칙은 인도 지연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이는 제3조(2)에서 "운송인은 화물의 인도를 약속한 기일 내에 이행하지 못한 경우, 운송인은 화물주에게 그 지연으로 인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화인(Shipping Mark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인을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서는 해상보험에서 담보하지 않는다.
  2. 화인은 화물과의 대조를 위해 선하증권 및 상업송장에도 기재된다.
  3. Counter Mark는 화물의 등급이나 규격표시 등에 사용된다.
  4. Port Mark에는 선적항이나 중간 기항지가 표기된다.
  5. Case Number는 화물의 총 개수를 일련번호로 표기한 것이다.
(정답률: 22%)
  • "Port Mark에는 선적항이나 중간 기항지가 표기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ort Mark는 화물이 실려갈 선박의 이름이나 번호, 선적항의 위치 등을 표기하는 것이며, 중간 기항지는 표기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항해용선계약(Gencon C/P)상 정박기간과 체선료에 관한 조건이 아래와 같을 때 용선자가 선주에게 지불해야 하는 체선료는?

  1. 체선이 발생하지 않아 체선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됨
  2. US$ 2,000
  3. US$ 4,000
  4. US$ 6,000
  5. US$ 8,000
(정답률: 28%)
  • 해당 조건에서는 정박기간이 24시간 이내이므로 체선이 발생하지 않아 체선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체선이 발생하지 않아 체선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에서 설명하는 국제복합운송경로는?

  1. IPI
  2. ALB
  3. SLB
  4. OCP
  5. RIPI
(정답률: 36%)
  • 정답인 "IPI"는 인터모달 퍼펙트 인터페이스(Intermodal Perfect Interface)의 약자로, 중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철도 노선을 의미합니다. 이 경로는 중국과 유럽 간의 물류 운송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개발된 경로로, 중국에서 유럽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철도 노선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ALB", "SLB", "OCP", "RIPI"는 이와 다른 경로를 나타내므로 정답은 "IP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항공운송에 관한 국제조약으로 옳은 것은?

  1. Hague Rules
  2. Hamburg Rules
  3. Rotterdam Rules
  4. Hague Protocol
  5. Hague-Visby Rules
(정답률: 49%)
  • 항공운송에 관한 국제조약 중 "Hague Protocol"은 항공화물 운송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 조약은 항공화물 운송에서의 책임과 배상에 대한 규정을 제공하며, 항공화물 운송에서의 손해배상 책임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화물 운송에 관한 국제조약으로 "Hague Protocol"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계약당사자가 아닌 운송인이 이행한 국제항공운송에 관한 일부규칙의 통일을 위한 와르소조약(Warsaw Convention)을 보충하는 과다라하라조약(Guadalajala Convention)을 채택한 국제기구는?

  1. FIATA
  2. IATA
  3. ICAO
  4. FAI
  5. ICC
(정답률: 36%)
  • ICAO는 국제민간항공기구로, 항공운송에 대한 국제규제를 담당하는 기구입니다. Guadalajala Convention은 항공운송에 대한 국제규제 중 하나이며, 이 규제를 보충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ICA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엔진이 장착된 차량으로서 적재완료된 단위탑재용기(ULD)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항공화물터미널에서 항공기까지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는?

  1. Pallet Scale
  2. Lift Loader
  3. Transporter
  4. Contour Gauge
  5. Cargo Cart
(정답률: 38%)
  • Transporter는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로, 엔진이 장착된 차량으로 적재완료된 단위탑재용기(ULD)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항공화물터미널에서 항공기까지 운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화물 처리를 위한 다른 장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국제항공운송에서 와르소조약(Warsaw Convention)의 화물에 대한 책임한 도액은?

  1. 150 francs per kilogram
  2. 250 francs per kilogram
  3. 350 francs per kilogram
  4. 450 francs per kilogram
  5. 550 francs per kilogram
(정답률: 35%)
  • 와르소조약은 항공운송에서의 화물에 대한 책임한도를 규정하는 국제협약입니다. 이 협약에 따르면, 항공운송사는 화물의 손실, 손상 또는 지연에 대한 책임을 지며, 이 책임한도는 화물의 무게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 francs per kilogram"입니다. 이는 화물의 무게당 최대 책임한도가 250 프랑스 프랑이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항공운송인이 스스로 보험을 수배할 능력이 없는 일반 화주를 대리하여 부보하는 보험종목은?

  1. Air Cargo Insurance
  2. Marine Cargo Insurance
  3. Freight Legal Liability Insurance
  4. Shipper's Interest Insurance
  5. Hull Insurance
(정답률: 23%)
  • 항공운송인이 스스로 보험을 수배할 능력이 없는 일반 화주를 대리하여 부보하는 보험종목은 "Shipper's Interest Insurance" 이다. 이는 화물운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손해나 피해를 보호하기 위한 보험으로, 화주가 화물의 소유자이며 운송 중 발생하는 손해나 피해에 대한 보호를 받는 것이다. 다른 보험종목들은 항공운송이나 해상운송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지, 화주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복합운송주선인의 업무 또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혼재ㆍ분배
  2. 보험금 지급
  3. 보관업무 수행
  4. 운송의 자문ㆍ수배
  5. 운송관련 서류작성
(정답률: 59%)
  • 보험금 지급은 복합운송주선인의 업무 또는 기능이 아닙니다. 복합운송주선인은 화물의 혼재ㆍ분배, 보관업무 수행, 운송의 자문ㆍ수배, 운송관련 서류작성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보험금 지급은 보험사의 업무이며, 복합운송주선인은 보험금 지급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복합운송증권(MT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손상에 대하여 전체 운송구간에 대한 단일책임형태로 발행된다.
  2. 복합운송증권은 운송주선인이 발행할 수 없다.
  3. 본선 적재 전에 복합운송인이 화물을 수취한 상태에서 발행된다.
  4. 복합운송증권의 인도는 화물의 인도와 동일한 성격을 갖는다.
  5. 지시식으로 발행된 경우 배서ㆍ교부로 양도가 가능하다.
(정답률: 49%)
  • "복합운송증권은 운송주선인이 발행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복합운송증권은 운송주선인이 발행할 수 있으며, 운송주선인이 운송인과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운송인이 복합운송을 수행하는 경우 발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FCL 화물의 경우 송화인이 작성하며, CY에서 본선 적재할 때와 양륙지에서 컨테이너 보세운송할 때 사용되는 서류는?

  1. Dock Receipt
  2. Equipment Interchange Receipt
  3. Container Load Plan
  4. Cargo Delivery Order
  5. Letter of Indemnity
(정답률: 29%)
  • FCL 화물의 경우 CY에서 본선 적재할 때와 양륙지에서 컨테이너 보세운송할 때 사용되는 서류는 "Container Load Plan" 입니다. 이는 컨테이너에 적재된 화물의 위치와 양을 상세히 기록한 서류로, 화물의 안전한 운송과 무역거래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수적인 서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서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신용장통일규칙(UCP 600) 제23조의 항공운송서류 수리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인의 명칭을 표시하고 운송인, 기장 또는 그들을 대리하는 지정대리인에 의하여 서명되어 있어야 한다.
  2. 물품이 운송을 위하여 수취되었음을 표시하고 있어야 한다.
  3. 신용장에 명기된 출발공항과 목적공항을 표시하고 있어야 한다.
  4. 신용장이 원본의 전통을 명시하고 있는 경우에도, 탁송인 또는 송화인용 원본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5. 운송의 제조건을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운송의 제조건을 포함하는 다른 자료를 참조하고 있는 서류이어야 한다.
(정답률: 27%)
  • "신용장에 명기된 출발공항과 목적공항을 표시하고 있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운송인의 명칭을 표시하고 운송인, 기장 또는 그들을 대리하는 지정대리인에 의하여 서명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운송서류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운송인이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책임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며, 운송서류가 위조되거나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선하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traight B/L은 송화주에게 발행된 유통성 선하증권을 송화주가 배서하여 운송인에게 반환함으로써, 선하증권의 유통성이 소멸된 B/L을 말한다.
  2. Clean B/L은 선박회사가 인수한 물품의 명세 또는 수량 및 포장에 하자가 없는 경우 발행되는 B/L이다.
  3. Long Form B/L은 선하증권의 필요기재사항과 운송약관이 모두 기재되어 발행되는 B/L을 말한다.
  4. Custody B/L은 화물이 운송인에게 인도되었으나 당해 화물을 선적할 선박이 입항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행되는 B/L을 말한다.
  5. Stale B/L은 선하증권의 제시 시기가 선적일 후 21일이 경과하는 등 필요 이상으로 지연되었을 때 그렇게 지연된 B/L을 말한다.
(정답률: 32%)
  • "Straight B/L은 송화주에게 발행된 유통성 선하증권을 송화주가 배서하여 운송인에게 반환함으로써, 선하증권의 유통성이 소멸된 B/L을 말한다."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컨테이너 뒷문에 표기된 “TARE 2,350 KG”에서 2,350 KG이 의미하는 것은?

  1. 컨테이너 자체 중량
  2. 컨테이너에 실을 수 있는 최대 화물 중량
  3. 컨테이너 자체 중량과 컨테이너 섀시(chassis) 포함 총 중량
  4. 컨테이너 자체 중량과 컨테이너에 실을 수 있는 최대화물 중량의 합계
  5. 컨테이너 자체 중량, 컨테이너에 실을 수 있는 최대 화물 중량, 그리고 컨테이너 섀시(chassis) 중량을 모두 포함한 총 중량
(정답률: 29%)
  • "TARE 2,350 KG"은 컨테이너 자체의 중량을 나타냅니다. 이는 컨테이너가 비어있을 때의 중량을 의미하며, 컨테이너에 실을 수 있는 최대 화물 중량과는 별개의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항공화물운송장(AWB)과 선하증권(B/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WB는 유가증권이 아니고 화물수령증 역할을 한다.
  2. B/L은 일반적으로 지시식으로 발행되며 유통성을 갖는다.
  3. AWB는 화주이익보험을 가입한 경우 보험금액 등이 기재되어 보험가입증명서 내지 보험계약증서 역할을 한다.
  4. B/L은 일반적으로 본선 선적 후 발행하는 선적식으로 발행된다.
  5. AWB는 항공사가 작성하고 상환증권의 성격을 갖는다.
(정답률: 44%)
  • "AWB는 항공사가 작성하고 상환증권의 성격을 갖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AWB는 항공화물 운송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항공화물 운송의 증거서로서 상환증권의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B/L은 선박화물 운송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선박화물 운송의 증거서로서 지시식 또는 선적식으로 발행된다. AWB는 유가증권이 아니며, 화물수령증 역할을 하며, 화주이익보험을 가입한 경우 보험가입증명서 내지 보험계약증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항만의 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로(Access Channel)는 바람과 파랑의 방향에 대해 0°∼20°의 각도를 갖는 것이 좋다.
  2. 안벽은 해안 및 하안에 평행하게 축조된 석조제로서 선박 접안을 위하여 수직으로 만들어진 옹벽이다.
  3. 잔교는 선박의 접안과 화물의 하역을 위해 목재 및 철재 등의 기둥을 육상에 박아 윗부분을 콘크리트로 굳힌 선박의 계류시설이다.
  4. 박지(Anchorage)는 잔잔하고 충분한 수역과 닻을 내리기 좋은 지반이어야 하며 사용목적에 따른 차이는 없다.
  5. 선회장(Turning Basin)은 예선이 필요한 경우 대상선박 길이 3배를 직경으로 하는 원으로 한다.
(정답률: 44%)
  • 안벽은 선박 접안을 위해 수직으로 만들어진 옹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국제물류에서 항만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출입 화물의 일시적 보관, 하역을 통하여 해륙을 연결한다.
  2. 물류활동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국가 및 지역의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에 기여한다.
  4. 선사간 전략적 제휴 또는 합병을 유도한다.
  5. 신속한 하역과 내륙연결점에서 원활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49%)
  • 선사간 전략적 제휴 또는 합병을 유도한다는 것은 항만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항만을 운영하는 기업들의 전략적인 선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ICD의 이용에 따른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화ㆍ분류ㆍ혼재활동에 의한 물류합리화 실현
  2. 대량수송수단을 통한 수송비 절감
  3. 항만구역 및 항만주변의 도로체증 완화
  4. 철도수송에 의한 CO2ㆍ탄소배출 저감
  5. 항공운송수단의 효율적 연계를 통한 배송고속화
(정답률: 41%)
  • ICD의 이용에 따른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항공운송수단의 효율적 연계를 통한 배송고속화"이다. 이유는 ICD는 주로 철도나 도로 등의 대량수송수단과의 연계를 통해 물류합리화와 수송비 절감을 이루는 시설이기 때문이다. 항공운송수단은 소량의 고가치 물품이나 긴급한 물류에 사용되는 수단으로, ICD와의 연계보다는 공항과의 연계가 더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해상화물 운송선박 및 항만시설에 대한 해상 테러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하여 체약국과 선사 및 선박이 준수해야 하는 보안 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1. C-TPAT
  2. ISPS Code
  3. CSI
  4. Trade Act of 2002 Final Rule
  5. 24-hours rule
(정답률: 17%)
  • ISPS Code는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제정한 국제해상보안코드로, 해상화물 운송선박 및 항만시설에 대한 해상 테러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체약국과 선사 및 선박이 준수해야 하는 보안 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된 다른 보기들인 C-TPAT, CSI, Trade Act of 2002 Final Rule, 24-hours rule은 ISPS Code와는 다른 법규나 제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Institute Cargo Clause(A)(2009) 제4조 일반면책조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험목적의 통상적인 누손, 통상적인 중량손 또는 용적손 또는 자연소모
  2. 보험목적의 고유의 하자 또는 성질로 인하여 발생한 멸실, 손상 또는 비용
  3. 피보험자의 고의의 불법행위에 기인하는 멸실, 손상 또는 비용
  4. 피보험자가 본선의 소유자, 관리자, 용선자 또는 운항자의 파산 또는 재정상의 궁핍한 사정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부보하고 이 계약기간 중에 발생한 멸실, 손상 또는 비용
  5. 원자력 또는 핵의 분열 및/또는 융합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반응 또는 방사능이나 방사성물질을 응용한 무기 또는 장치의 사용으로 인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한 멸실, 손상 또는 비용
(정답률: 24%)
  • 정답은 "피보험자가 본선의 소유자, 관리자, 용선자 또는 운항자의 파산 또는 재정상의 궁핍한 사정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부보하고 이 계약기간 중에 발생한 멸실, 손상 또는 비용"입니다. 이는 피보험자의 제어권 밖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인한 면책조항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보험목적의 고유한 손상, 고의적인 행위, 원자력 등의 사건으로 인한 면책조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신용장통일규칙(UCP 600)의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행된 신용장에 취소불능(irrevocable) 이라고 표시하지 않으면 취소가능 신용장이다.
  2. 선적 기간을 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to", "from", "after"란 용어는 언급된 당해일자를 포함한다.
  3. 신용장은 이용 가능한 해당 은행과 모든 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
  4. 신용장은 발행의뢰인을 지급인으로 하는 환어음에 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발행되어야 한다.
  5. 지정은행, 필요한 경우의 확인은행 및 발행은행은 서류가 문면상 일치하는 제시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서류만으로 심사하여야 한다.
(정답률: 33%)
  • UCP 600은 국제무역에서 사용되는 신용장의 규칙이다. 이 규칙에 따르면, 발행된 신용장에 취소불능(irrevocable) 이라고 표시하지 않으면 취소가능 신용장이며, 선적 기간을 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to", "from", "after"란 용어는 언급된 당해일자를 포함한다. 또한, 신용장은 이용 가능한 해당 은행과 모든 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지정은행, 필요한 경우의 확인은행 및 발행은행은 서류가 문면상 일치하는 제시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서류만으로 심사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지정은행, 필요한 경우의 확인은행 및 발행은행은 서류가 문면상 일치하는 제시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서류만으로 심사하여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다음에서 설명하는 무역클레임의 성질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1. 일반적 클레임
  2. 마켓 클레임
  3. 계획적 클레임
  4. 운송 클레임
  5. 보험 클레임
(정답률: 44%)
  • 무역클레임은 발생 원인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이 중에서도 마켓 클레임은 시장의 변동성이나 경쟁 상황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클레임을 의미한다. 즉, 상품의 가격 변동, 수요의 감소 등과 같은 시장 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클레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보세구역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관검사장은 통관을 하고자 하는 물품을 검사하기 위한 장소로서 세관장이 지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2. 보세건설장은 산업시설의 건설에 소요되는 외국물품인 기계류 설비품 또는 공사용 장비를 장치ㆍ사용하여 해당 건설공사를 할 수 있다.
  3. 보세공장은 외국물품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거나 외국물품과 내국물품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ㆍ가공 기타 이와 유사한 작업을 할 수 있다.
  4. 보세전시장에서는 박람회ㆍ전람회ㆍ견본품 전시회 등의 운영을 위하여 외국물품을 장치ㆍ전시 또는 사용할 수 있다.
  5. 보세창고는 통관을 하고자 하는 물품을 일시 장치 하기 위한 장소로서 세관장이 지정하는 구역을 말한다.
(정답률: 27%)
  • "보세창고는 통관을 하고자 하는 물품을 일시 장치 하기 위한 장소로서 세관장이 지정하는 구역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보세창고는 일시적으로 물품을 보관하거나 가공하는 공간으로, 통관을 하기 위한 장소는 보세검사장이 지정하는 구역인데, 이는 보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Incoterms 2010 규칙의 주요 개정 특징과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ncoterms 2010 규칙은 Incoterms 2000 규칙에 비해 규칙의 수가 13개에서 11개로 감소되었다.
  2. 단일 또는 복수의 운송방식에 사용가능한 규칙은 EXW, FCA, CPT, CIP, DAT, DAP, DDP 조건이다.
  3. Incoterms 2010 규칙은 국제매매계약 및 국내매매계약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
  4. 전자적 기록 또는 절차(Electronic record or procedure)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메시지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이서류에 상응하는 기능을 하는 일련의 정보를 말한다.
  5. 포장(Packaging)은 물품이 운송에 적합하도록 포장하는 것과 포장된 물품을 컨테이너에 적입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Incoterms 2010 규칙에서는 포장된 물품을 컨테이너에 적입하는 것을 당사자의 의무로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정답률: 30%)
  • "포장(Packaging)은 물품이 운송에 적합하도록 포장하는 것과 포장된 물품을 컨테이너에 적입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Incoterms 2010 규칙에서는 포장된 물품을 컨테이너에 적입하는 것을 당사자의 의무로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Incoterms 2010 규칙에서 매도인의 비용과 위험부담이 가장 적은 거래조건으로부터 많은 거래조건 순으로 나열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FAS - FOB - CIF - CFR
  2. FAS - CFR - FOB - CIF
  3. FOB - FAS - CFR - CIF
  4. FAS - FOB - CFR - CIF
  5. FOB - FAS - CIF - CFR
(정답률: 48%)
  • 정답은 "FAS - FOB - CFR - CIF" 입니다.

    이유는 Incoterms 2010 규칙에서 매도인의 비용과 위험부담이 가장 적은 거래조건은 "EXW"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FCA", "CPT", "CIP", "DAT", "DAP", "DDP" 순으로 비용과 위험부담이 증가합니다.

    그리고 "FOB"와 "FAS"는 해상 운송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으로, "FOB"가 "FAS"보다 비용과 위험부담이 더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CFR"과 "CIF"는 해상 운송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으로, "CFR"이 "CIF"보다 비용과 위험부담이 더 적습니다.

    따라서, "FAS - FOB - CFR - CIF" 순으로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Incoterms 2010 규칙의 내용에서 ( ㄱ ), ( ㄴ )에 각각 들어갈 용어는?

  1. ㄱ: DAP, ㄴ: DDP
  2. ㄱ: DAT, ㄴ: DDP
  3. ㄱ: DAP, ㄴ: DAT
  4. ㄱ: DAT, ㄴ: DAP
  5. ㄱ: DDP, ㄴ: DAT
(정답률: 25%)
  • 이미지에서 보이는 운송 수단 위의 상자를 인도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Incoterms 2010 규칙에서, (ㄱ)은 "Delivered at Terminal"을 뜻하는 DAT이고, (ㄴ)은 "Delivered Duty Paid"를 뜻하는 DDP이다. DAT는 판매자가 상품을 수입국의 목적지 터미널까지 운송하고, 구매자가 상품을 수령하며 발생하는 비용과 위험을 구매자가 부담하는 조건이다. DDP는 판매자가 상품을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구매자가 상품을 수령할 때까지 발생하는 모든 비용과 위험을 판매자가 부담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이는 상자를 인도하는 조건으로는 DAT나 DDP가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해상보험의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험가액은 실제 보험계약자가 보험에 가입한 금액으로서 손해가 발생할 경우 보험자가 피보험자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한 최고금액이다.
  2. 피보험이익은 보험계약 체결 시 반드시 확정되어 있어야 한다.
  3. 동일한 해상사업과 이익 또는 그 일부에 관하여 둘 이상의 보험계약이 피보험자에 의해서 또는 피보험자를 대리하여 체결되고 보험금액이 MIA에서 허용된 손해보상액을 초과하는 경우 공동보험에 해당한다.
  4. 청과나 육류 등이 부패하여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보험목적의 파괴에 해당하여 현실전손으로 볼 수 있다.
  5. 기평가보험증권은 보험목적의 가액을 기재하지 않고 보험금액의 한도에 따라서 보험가액이 추후 확정되도록 하는 보험증권이다.
(정답률: 23%)
  • "청과나 육류 등이 부패하여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보험목적의 파괴에 해당하여 현실전손으로 볼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보험목적이 파괴되어 보험가액에 해당하는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험금 지급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구상무역에 사용할 수 있는 신용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ㄷ, ㅁ
  5. ㄷ, ㄹ, ㅁ
(정답률: 24%)
  • 정답은 "ㄴ, ㄷ, ㅁ"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 ㄴ, ㅁ" : 이 중에서는 "ㄱ"이 포함되어 있어서 옳지 않습니다. "ㄱ"은 일반적으로 구상무역에서 사용되는 신용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ㄱ, ㄷ, ㄹ" : 이 중에서는 "ㄹ"이 포함되어 있어서 옳지 않습니다. "ㄹ"은 일반적으로 구상무역에서 사용되는 신용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ㄴ, ㄷ, ㄹ" : 이 중에서는 "ㄹ"이 포함되어 있어서 옳지 않습니다. "ㄹ"은 일반적으로 구상무역에서 사용되는 신용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ㄴ, ㄷ, ㅁ" : 이 중에서는 모든 자음이 구상무역에서 사용되는 신용장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옳은 선택지입니다.
    - "ㄷ, ㄹ, ㅁ" : 이 중에서는 "ㄱ"과 "ㄴ"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옳지 않습니다. "ㄱ"과 "ㄴ"은 일반적으로 구상무역에서 사용되는 신용장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신용장으로 대금결제가 이루어지는 무역계약에서 선적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hipment shall be made on or about May 10, 2019.’는 2019년 5월 4일에서 5월 15일까지의 기간에 선적을 완료해야 한다.
  2. ‘Shipment : Until May 10, 2019.’는 선적을 2019년 5월 10일까지 완료해야 한다.
  3. ‘Shipment : Before May 10, 2019.’는 선적을 2019년 5월 9일까지 완료해야 한다.
  4. 선적시기와 관련하여 immediately, promptly, as soon as possible이라는 표현의 용어는 무시하도록 하고 있다.
  5. ‘Partial shipments are prohibited.’는 분할선적이 허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46%)
  • "‘Shipment shall be made on or about May 10, 2019.’는 2019년 5월 4일에서 5월 15일까지의 기간에 선적을 완료해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On or about"은 대략적인 시기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선적일이 정확히 5월 10일이 아니더라도 5월 4일에서 5월 15일 사이에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무역계약의 주요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준품매매(Sales by Standard)는 주로 전기, 전자제품 등의 거래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품의 규격이나 품질 수준을 국제기구 등이 부여한 등급으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2. M/L(More or Less) clause는 Bulk 화물의 경우 계약 물품의 수량 앞에 about 등을 표기하여 인도수량의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량표현 방식이다.
  3. COD(Cash on Delivery)는 양륙지에서 계약물품을 매수인에게 전달하면서 현금으로 결제받는 방식이다.
  4. D/A(Documents Against Acceptance)는 관련 서류가 첨부된 일람불 환어음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5. M/T(Mail Transfer)는 지급은행에 대하여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여 줄 것을 위탁하는 우편환을 수입상이 거래은행으로부터 발급받아 직접 수출상에게 제시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31%)
  • COD(Cash on Delivery)는 계약물품을 매수인에게 전달하면서 현금으로 결제받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