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8-24)

물류관리사 2교시
(2008-08-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관하역론

1. 다음 중 창고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가격조정 기능
  2. 연결 기능
  3. 수급조정 기능
  4. 수요예측 기능
  5. 배송센터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창고는 상품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공간으로, 수요예측 기능은 창고의 기능이 아닙니다. 수요예측은 고객의 수요를 예측하여 제품 생산 및 재고 관리에 활용되는 기능이며, 창고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요예측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설명 중 보관과 관련된 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

  1. 표준품은 형상에 따라 보관하고 비표준품은 랙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상품의 수명주기(Life Cycle)가 짧아 단기간 내에 상품가치가 없어질 우려가 있는 상품 등은 먼저 입고된 상품을 먼저 출고한다는 원칙을 적용한다.
  3. 물품의 입고와 출고를 용이하게 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통로면에 보관하는 것이 창고내 레이아웃 설계의 기본 원칙이다.
  4. 중량물은 마루나 하층부에 보관하고 경량물은 상층부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5. 물품의 정리와 출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량물은 마루나 하층부에 보관하고 경량물은 상층부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는 보관과 관련된 원칙과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중량물과 경량물을 구분하여 보관하는 것은 물품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보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지 보관 방법과 관련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표준품은 형상에 따라 보관하고 비표준품은 랙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는 표준품과 비표준품을 구분하여 보관하는 원칙이며, "상품의 수명주기(Life Cycle)가 짧아 단기간 내에 상품가치가 없어질 우려가 있는 상품 등은 먼저 입고된 상품을 먼저 출고한다는 원칙을 적용한다."는 입고와 출고에 대한 원칙, "물품의 입고와 출고를 용이하게 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통로면에 보관하는 것이 창고내 레이아웃 설계의 기본 원칙이다."는 보관 방법과 관련된 원칙, "물품의 정리와 출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는 보관 위치와 관련된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물류 과정에서 보관은 입고와 출고, 자재와 생산, 생산과 판매의 유동적이고 일시적인 완충재 역할과 링크(Link)와 링크를 이어주는 노드(Node)의 역할을 한다. 다음 중 보관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포장의 표준화를 통한 포장비 절감 기능
  2. 수송비와 생산비의 절감 기능
  3. 수요와 공급의 조절 기능
  4. 판매시점의 조절 기능
  5. 마케팅과 연계한 상품의 시장 출시일 조절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포장의 표준화를 통한 포장비 절감 기능"

    이유: 보관은 입고와 출고, 자재와 생산, 생산과 판매의 유동적이고 일시적인 완충재 역할과 링크와 링크를 이어주는 노드(Node)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관의 기능은 수송비와 생산비의 절감 기능, 수요와 공급의 조절 기능, 판매시점의 조절 기능, 마케팅과 연계한 상품의 시장 출시일 조절 기능 등이 있다. 하지만 포장의 표준화를 통한 포장비 절감 기능은 보관의 기능이 아니라 물류 전반적인 비용 절감을 위한 전략적인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방식은 안벽과 야드간의 컨테이너 이송에 사용되는 장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샤시 방식(Chassis System)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3.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4. 혼합 방식(Mixed System)
  5. 무인이송차량 방식(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하역방식은 트랜스테이너 방식이다. 이는 컨테이너를 직접 들어올리고 내리는 장비인 트랜스테이너를 이용하여 안벽과 야드간의 이송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빠른 하역속도와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를 높은 위치에 적재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물류활동에서는 불필요한 하역작업을 줄이고 가장 경제적인 수준에서 하역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 중 하역합리화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량이나 용적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포장설계를 행한다.
  2. 운반의 흐름을 직선으로 하여 운반거리가 최단거리가 되게 한다.
  3. 운반활성화지수를 최소화하여 하역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4. 화물을 어떤 단위로 유니트화 한다.
  5. 공정능력을 파악하여 평준화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반활성화지수를 최소화하여 하역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옳은 것이다. 이는 운반과 하역 작업을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작업을 줄이고, 물류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회전수가 높은 품목의 보관시스템에 대한 설명이다. 차례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가: A-A-A, 나: A-C-A, 다: C-A-A
  2. 가: A-C-A, 나: A-A-A, 다: C-A-A
  3. 가: C-A-A, 나: A-C-A, 다: A-A-A
  4. 가: C-A-C, 나: C-C-C, 다: A-C-C
  5. 가: A-C-A, 나: C-A-A, 다: A-A-A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수가 높은 품목은 자주 판매되므로 적은 시간 내에 꺼내서 판매할 수 있도록 보관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A-C-A 방식으로 보관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가장 많이 팔리는 품목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그 주변에 회전수가 낮은 품목을 보관하는 방식으로, 중앙에 위치한 품목은 쉽게 꺼내서 판매할 수 있고, 주변에 위치한 품목은 회전수가 낮아도 중앙에 위치한 품목과 함께 판매될 가능성이 높아져서 재고관리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가: A-C-A, 나: A-A-A, 다: C-A-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그림에 나타난 운반, 하역기기에 해당되는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산업용 차량으로 중량화물의 하역 및 운반에 많이 사용된다.
  2. 포크(Fork)와 마스트(Mast)가 장착되어 있어 포크 트럭(Fork Truck)이라고도 하며, 램(Ram)과 같은 장치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중량물의 하역 및 운반시에 차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전면의 하중과 후면에 장착된 발란스(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와의 무게 비중이 1:1을 유지해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4. 동력원에 따라 디젤엔진식, 가솔린엔진식, 전동식이 있다.
  5. 실내용으로는 주로 쿠션(Cushion) 타이어식을, 노면이 고르지 못한 실외용으로는 주로 공기압(Pneumatic) 타이어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면의 하중과 후면에 장착된 발란스(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와의 무게 비중이 1:1을 유지해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발란스의 무게 비중은 차량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1:2 또는 1:3 정도의 비율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회전랙(Carrouse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형태가 특수한 화물을 보관하기에 적합하다.
  2. 화물을 랙에 입출고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사용한다.
  3. 주로 파렛트를 이용하여 유니트화 한다.
  4. 보통 한쪽에서 입고하면 반대편에서 출고하는 형태를 취한다.
  5. 일반적으로 화물 피킹 장소를 고정시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랙은 일반적으로 화물 피킹 장소를 고정시켜 사용하는데, 이는 회전랙이 회전하면서 화물을 피킹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물을 랙에 입출고하기 위해서는 지게차를 사용하며, 주로 파렛트를 이용하여 유니트화합니다. 또한 보통 한쪽에서 입고하면 반대편에서 출고하는 형태를 취하며, 형태가 특수한 화물을 보관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컨베이어의 분류 중 나머지 넷과 구별되는 하나는?

  1. 슬랫 컨베이어(Slat Conveyor)
  2. 토우 컨베이어(Tow Conveyor)
  3. 트롤리 컨베이어(Trolley Conveyor)
  4.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or)
  5. 공기 컨베이어(Pneumatic Conveyor)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컨베이어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의 컨베이어이며, 나머지 네 가지는 모두 기계적인 방식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지게차(Fork Lift Truck)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트래들 리치(Straddle Reach) 트럭은 스트래들 트럭의 아웃리거 길이를 줄이는 대신 리치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랙에 접근하기 쉽게 만든 장비이다.
  2. 카운터 밸런스(Counter Balance)형은 포크 등 승강장치를 차체 앞에 설치한 형상으로 내연식과 전동식(축전지식) 두 가지가 있다.
  3. 톱 핸들러(Top Handler)형은 카운터 밸런스형의 일종으로 컨테이너 모서리쇠를 잡는 스프레더(Spreader)와 승강 마스트를 갖추고 컨테이너를 하역하는데 사용하는 대형 지게차이다.
  4. 리치포크(Reach Fork)형은 크레인 끝에 스프레더(Spreader)가 장착되어 주로 파렛트를 하역하는데 사용된다.
  5. 사이드 포크(Side Fork)형은 차체측면으로 아웃리거를 움직여 차체측면 방향에서 하역이 가능하도록 한 장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치포크(Reach Fork)형은 크레인 끝에 스프레더(Spreader)가 장착되어 주로 파렛트를 하역하는데 사용된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하역 기계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이블 리프터(Table Lifter)는 유압장치로 링크(Link)기를 조작하여 하대(荷台)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2. 리프트 롤러(Lift Roller)는 화물차의 하대와 도크 높이가 약간 다를 때 하역하기 좋도록 연결하는 장치를 말한다.
  3. 셔블 로더(Shovel Loader)는 석탄부두 등에서 석탄을 상ㆍ하역시 사용되는 기기이다.
  4. 파렛트 로더(Pallet Loader)는 창고 또는 공장 등에서 파렛트 화물을 운송하거나 홈으로부터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는 운반기기로 수평이동만 가능하고 상하이동은 불가능하다.
  5. 가스ㆍ액체화물을 취급하는 장비로는 로딩암(Loading Arm)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프트 롤러(Lift Roller)는 화물차의 하대와 도크 높이가 약간 다를 때 하역하기 좋도록 연결하는 장치를 말한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방식에 의한 파렛트 풀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렛트를 즉시 교환해서 사용하는 것이 원칙으로 파렛트가 분실될 우려가 없다.
  2. 파렛트를 풀로 운영하는 기관이 제공하는 규격화된 파렛트를 이용자의 소재지로부터 가까운 데포(Depot)에서 빌린다.
  3. 이용자가 교환을 위한 동질동수의 파렛트를 준비해 놓을 필요가 없다.
  4. 렌탈회사 데포(Depot)에서 하주(荷主)까지의 공파렛트 수송이 필요하다.
  5. 하주(荷主)의 지역적 편재 등에 의해 파렛트가 쌓이는 곳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렌탈회사 데포(Depot)에서 하주(荷主)까지의 공파렛트 수송이 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렛트 풀 시스템에서는 이용자가 파렛트를 빌려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렌탈회사 데포(Depot)로 반납한다. 따라서 하주(荷主)까지의 공파렛트 수송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제품상자의 크기가 가로 40cm, 세로 35cm, 높이 30cm이다. 이를 KSA표준규격 1,100× 1,100mm의 파렛트에 7상자 적재하면 파렛트 평면적에 대한 적재율은 얼마인가?

  1. 61%
  2. 69%
  3. 81%
  4. 123%
  5. 144%
(정답률: 알수없음)
  • 파렛트 평면적은 1,100mm × 1,100mm = 1,210,000mm²이다.
    상자의 평면적은 40cm × 35cm = 1,400cm²이다.
    따라서, 상자 7개의 평면적은 1,400cm² × 7 = 9,800cm²이다.
    이를 mm²로 변환하면 9,800cm² × 100mm/1cm × 100mm/1cm = 980,000mm²이다.
    파렛트 평면적 대비 적재된 상자의 평면적 비율은 (980,000mm² ÷ 1,210,000mm²) × 100% = 80.99...%이다.
    따라서, 적재율은 약 8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항공화물의 하역기기 명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탑재 수송용기(ULD)인 파렛트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평판으로 Net와 이글루를 사용하여 Attachment Fitting에 연결, 고정시킨다.
  2. 단위탑재 수송용기(ULD)인 이글루란 알루미늄과 Fiberglass로 만들어진 항공화물을 넣는 특수한 덮개이다.
  3. Certified Aircraft Containers란 항공화물실 윤곽(Contour)에 맞게 컨테이너의 외관을 알루미늄과 Fiberglass로 제작한 것이다.
  4. 항공화물실 내의 Hold란 천장과 바닥 및 격벽으로 구성되어 여객과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내부 공간으로써, 여러 개의 Compartment로 구성된다.
  5. 항공화물실 내의 Bay란 단위탑재 수송용기(ULD)를 탑재할 수 없는 공간의 세부적 구분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화물실 내의 Bay란 단위탑재 수송용기(ULD)를 탑재할 수 없는 공간의 세부적 구분을 의미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Bay는 ULD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의 세부적 구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포장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이란 상품을 전시, 판매, 운송, 보관함에 있어서 상품의 훼손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적절한 용기나 짐꾸리개로 물건을 싸는 기술 또는 싸여진 상태를 말한다.
  2. 포장 디자인의 3요소는 선, 형, 색채이다.
  3. 포장 설계시 고려할 사항은 하역성, 표시성, 작업성, 경제성, 보호성 등이다.
  4. 상업포장의 1차적인 기능은 보호기능이고, 공업포장의 1차적인 기능은 판매촉진기능이다.
  5. 내부포장은 물품이나 개별포장화물을 적절한 단위로 모아서 포장하거나 중간용기에 넣는 기술 또는 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업포장의 1차적인 기능은 보호기능이고, 공업포장의 1차적인 기능은 판매촉진기능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포장은 상품을 보호하고 운송, 보관, 전시, 판매 등에 이용되는 기술이며, 상업포장과 공업포장은 각각 상업적인 목적과 산업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기능이 다르다. 상업포장은 상품을 보호하고 동시에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 판매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공업포장은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업포장의 1차적인 기능은 보호기능이고, 공업포장의 1차적인 기능은 판매촉진기능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창고운영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가창고는 최적의 창고설계와 수주ㆍ출하의 일관화가 가능하다.
  2. 자가창고는 창고 확장성이 제한되고 계절변동에 비탄력적인 단점이 있다.
  3. 영업창고는 입지선정에 유리하며 시설변경이 쉽다.
  4. 영업창고는 자사에 적합한 고객서비스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5. 임대창고는 임대기간동안 보관공간이나 제반시설 등의 운영 통제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창고는 최적의 창고설계와 수주ㆍ출하의 일관화가 가능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영업창고는 입지선정에 유리하며 시설변경이 쉽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영업창고는 대개 대도시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류 및 유통에 용이하며, 시설변경이 쉽다는 것은 대부분 임대창고나 공유창고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공간을 늘리거나 축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창고보관 장비 중 포크리프트가 랙 내부에 진입하여 하역작업을 할 수 있고, 보관장소와 통로를 겸하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품종대량의 제품이며 회전율이 적은 제품에 적합하고, 계절적인 수요가 있는 화물의 보관에 매우 경제적인 랙은 무엇인가?

  1. 모빌 랙
  2. 파렛트 랙
  3. 드라이브 인 랙
  4. 암 랙
  5. 적층 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드라이브 인 랙"입니다. 이는 포크리프트가 랙 내부에 진입하여 하역작업을 할 수 있고, 보관장소와 통로를 겸하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품종대량의 제품이며 회전율이 적은 제품에 적합하고, 계절적인 수요가 있는 화물의 보관에 매우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현재 지게차 1대로 1파렛트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6분이고, 2대의 지게차로 연간 300일(1일 10시간 가동)을 운용하고 있다. 이 창고의 보관능력이 10,000 파렛트라고 한다면 창고의 연간 재고회전율은 몇 회인가?

  1. 5회
  2. 6회
  3. 7회
  4. 8회
  5. 9회
(정답률: 알수없음)
  • 1대의 지게차로 1파렛트를 처리하는데 6분이 걸리므로, 2대의 지게차로는 3분이 걸린다. 하루에 10시간 가동하므로 600분 동안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2대의 지게차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파렛트 수는 600분 ÷ 3분/파렛트 = 200파렛트이다. 연간 처리 가능한 파렛트 수는 200파렛트/일 × 300일 = 60,000파렛트이다. 이를 보관능력인 10,000파렛트로 나누면 재고회전율은 6회가 된다. 즉, 연간에 창고 내의 재고가 6번 회전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답은 "6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자동창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동창고는 입ㆍ출고상의 효율성을 높이고 인력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2.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취급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3. 정확한 입ㆍ출고 및 재고관리가 가능하다.
  4. 기계의존도가 높고 일부기계의 고장 발생 시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5. 고층화, 입체화로 제품의 보관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취급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자동창고의 장점 중 하나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창고는 고도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입출고 및 재고관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층화 및 입체화로 제품의 보관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기계의존도가 높아 일부 기계의 고장 발생 시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동창고의 시스템 구성 요소이며, 화물을 원하는 임의위치까지 운반하는 자동주행 장치로 최근에는 레이저로 유도되는 장비가 등장하였다. 이 장비는 무엇인가?

  1. Stacker Crane
  2. Traverser
  3. Conveyor
  4. Bucket
  5. AG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GV"이다. AGV는 Automated Guided Vehicle의 약자로, 자동주행 장치를 의미한다. AGV는 화물을 원하는 임의위치까지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최근에는 레이저로 유도되는 장비가 등장하여 더욱 효율적인 운반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자동창고의 시스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AGV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포장의 표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점 진열대 이용 효율 향상으로 판매효율을 향상시킨다.
  2.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는 치수, 강도, 기법, 가격의 표준화이다.
  3. 종합유통원가를 절감시켜 수출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4. 일정한 로트에서 더 많은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5. 표준가격에 의해서 하역비를 쉽게 산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매점 진열대 이용 효율 향상으로 판매효율을 향상시킨다."는 포장의 표준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는 치수, 강도, 기법, 가격의 표준화이다. 이를 통해 종합유통원가를 절감하고 수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일정한 로트에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고, 표준가격에 의해 하역비를 쉽게 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창고관리시스템(WMS:WarehouseManagement System)의 구축단계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나 → 가 → 다 → 마 → 라
  2. 가 → 나 → 다 → 라 → 마
  3. 가 → 나 → 라 → 마 → 다
  4. 나 → 라 → 마 → 다 → 가
  5. 나 → 마 → 가 → 라 → 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나 → 가 → 다 → 마 → 라" 입니다.

    1. 나: 요구사항 분석 - 시스템 구축 전에 창고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목적과 범위를 정의합니다.
    2. 가: 시스템 설계 -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설계합니다.
    3. 다: 시스템 구현 - 설계된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합니다.
    4. 마: 시스템 테스트 - 구현된 시스템을 테스트하여 오류를 찾고 수정합니다.
    5. 라: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시스템을 운영하고 필요에 따라 유지보수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KSA에 규정된 물류센터(창고)의 설계에 대한 기준이다. 잘못 기술된 것은?

  1. 바닥 강도는 제품의 특성과 총 적재 단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보의 높이는 단층인 경우 6~8m 이다.
  3. 창고 출입구의 나비는 3.5m 이상, 높이는 4m 이상으로 한다.
  4. 일반창고의 기둥 간격은 가능한 한 넓게 하되, 최소 8m 이상으로 한다.
  5. 평행으로 주차하여 접차하는 공간의 전면길이는 최소 8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창고의 기둥 간격은 가능한 한 넓게 하되, 최소 8m 이상으로 한다. - 일반창고의 기둥 간격이 넓을수록 창고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작업 및 이동이 용이해진다. 하지만 기둥 간격이 너무 넓으면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최소 8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보의 높이는 단층인 경우 6~8m 이다. - 보의 높이는 창고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가능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단층인 경우 6~8m 정도가 적당하다.

    창고 출입구의 나비는 3.5m 이상, 높이는 4m 이상으로 한다. - 창고 출입구의 나비는 크게 유지하여 대형 차량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나비의 폭은 3.5m 이상, 높이는 4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바닥 강도는 제품의 특성과 총 적재 단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 바닥 강도는 창고 내부에서 이동하는 차량 및 기계의 무게와 적재된 제품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품의 특성과 총 적재 단수 무게를 고려하여 바닥 강도를 결정해야 한다.

    평행으로 주차하여 접차하는 공간의 전면길이는 최소 8m 이상으로 한다. - 차량이 주차 및 이동하는 공간은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평행 주차 시 전면길이는 최소 8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어느 제품의 주문량 실적치이다. 이 회사에서는 3개월 이동평균법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5월의 예측치와 실제 주문량의 차이는 얼마이며, 6월의 예측치는 얼마인가?(단위 : 개)

  1. 5월의 예측 차이= 8, 6월의 예측치=260
  2. 5월의 예측 차이= 8, 6월의 예측치=265
  3. 5월의 예측 차이=15, 6월의 예측치=260
  4. 5월의 예측 차이=15, 6월의 예측치=265
  5. 5월의 예측 차이=20, 6월의 예측치=26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데이터를 보면, 3개월 이동평균법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으므로, 5월의 예측치는 2월, 3월, 4월의 평균인 (200+220+240)/3 = 220 개가 된다. 그러나, 5월의 실적은 228 개로 예측치보다 8 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6월의 예측치는 3월, 4월, 5월의 평균인 (220+240+228)/3 = 229.33 개가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정수로 답을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229.33 개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265 개가 6월의 예측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월의 예측 차이= 8, 6월의 예측치=265"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C기업의 공장은 JIT(Just In Time)를 도입하고 있다. 공장 내부의 A작업장에서 가공된 M부품은 B작업장으로 보내져 여기서 또 다른 공정을 거친다. B작업장은 시간당 200개의 M부품을 필요로 한다. 용기 하나에는 20개의 M부품을 담을 수 있다. 용기의 1회 순회시간은 0.8시간이다. 물류담당자는 시스템 내에 다소의 불안요인이 있어 10%의 안전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A작업장과 B작업장간에 필요한 M부품용기의 수는 최소 몇 개인가?

  1. 7
  2. 8
  3. 9
  4. 10
  5. 11
(정답률: 알수없음)
  • B작업장이 시간당 200개의 M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하루에 필요한 M부품은 200 x 8 = 1600개이다. 안전재고를 고려하여 하루에 필요한 M부품은 1600 x 1.1 = 1760개이다. 용기 하나에는 20개의 M부품을 담을 수 있으므로, 하루에 필요한 용기 수는 1760 / 20 = 88개이다. 하지만 용기의 1회 순회시간이 0.8시간이므로, 하루에 용기는 8 / 0.8 = 10회 순회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 필요한 용기 수는 88 / 10 = 8.8개인데, 용기는 정수로 계산되어야 하므로 최소한 9개의 용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관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지정 위치 저장방식(Dedicated Storage Policy)을 적용하고, 보관할 물품의 종류를 입ㆍ출고 빈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A, B, C로 구분할 때 아래 조건 하에서 저장구역 지정이 가장 잘 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A, B, C 물품의 입ㆍ출고 빈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구분하였으므로, A 물품이 가장 많이 입ㆍ출고되고, C 물품이 가장 적게 입ㆍ출고될 것이다. 따라서 A 물품을 저장할 구역을 중앙에 배치하고, B 물품을 중앙에 인접한 구역에, C 물품을 가장자리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다. 이렇게 하면 A 물품의 입ㆍ출고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JIT(JustInTime)와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 해당되는 특성을 가장 바르게 구성한 것은?

  1. JIT - 가, 나, 마, MRP - 다, 라, 바
  2. JIT -가, 마, MRP - 나, 다, 라, 바
  3. JIT - 가 , 다, 마, 바, MRP - 나, 라
  4. JIT - 나, 마, MRP - 가, 다, 라, 바
  5. JIT - 나, 다, 마, MRP - 가, 라, 바
(정답률: 알수없음)
  • JIT(Just-In-Time)은 생산 과정에서 재고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부품이나 원자재를 필요한 시점에 바로 공급받아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JIT의 특성으로는 가) 재고 최소화, 나) 실시간 생산 계획, 마) 공급망 협력, 바) 생산 공정의 유연성이 있습니다.

    반면에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은 생산 계획을 수립할 때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의 수요를 예측하여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MRP의 특성으로는 나) 생산 계획의 예측, 라) 원자재 및 부품의 수요 예측, 바) 생산 계획의 최적화가 있습니다.

    따라서 JIT - 가, 나, 마, 바, MRP - 나, 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요ㆍ공급변동 등으로 인한 품절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재고의 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품질 수준
  2. 고객서비스 수준
  3. 이윤
  4. 경쟁성
  5. 보관거점 수
(정답률: 알수없음)
  • 재고의 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고객서비스 수준, 이윤, 경쟁성, 보관거점 수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품질 수준은 재고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품질 수준"은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비자, 도ㆍ소매점, 물류창고, 제조업체에서의 수요정보가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왜곡되는 이른 바 채찍효과(Bullwhip Effect)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체의 세일즈맨 업무평가를 소매상에게 판매한 실적이 아니고, 소매상이 소비자에게 판매한 실적기준으로 평가하거나 POS Data에 의한 정보를 활용한다.
  2. 정보를 공유하고 Supply Chain 상에서 재고를 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한다.
  3. Supply Chain 전반에 걸쳐 있는 수요정보를 각 사업장에 공유함으로써 안전재고를 증가시킨다.
  4. 소비자 수요 절차상의 고유한 변동폭을 감소시키거나 안정적인 가격구조 등으로 소비자 수요의 변동폭을 조정한다.
  5. 고객, 공급자와 정보의 실시간 공유를 위한 정보기술 전략을 수립하고 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upply Chain 전반에 걸쳐 있는 수요정보를 각 사업장에 공유함으로써 안전재고를 증가시킨다."입니다. 이는 옳은 대처방안입니다. 채찍효과는 수요정보가 시간이 지나면서 왜곡되어 생기는 문제이기 때문에, Supply Chain 전반에 걸쳐 있는 수요정보를 공유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안전재고를 증가시키고, 수요의 변동폭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도 대처방안으로 적절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COPQ(Cost of Poor Qu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이 추구하는 목적에 비추어 부가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모든 비용이다.
  2. 전통적인 품질비용과 숨어 있는 실패비용 모두를 의미한다.
  3. 6시그마 프로젝트의 대상이 되는 항목이다.
  4. 품질관리비, 품질교육 등 품질예방 차원의 비용은 COPQ에 해당되지 않는다.
  5. COPQ 시스템은 모든 프로세스의 낭비를 계량화함으로써 낭비비용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품질관리비, 품질교육 등 품질예방 차원의 비용은 COPQ에 해당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COPQ는 품질예방 비용, 평가 비용, 실패 비용 등 모든 품질 관련 비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품질관리비, 품질교육 등 품질예방 차원의 비용도 COPQ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A사 휴대폰의 연간 재고유지 비용이 21% 증가하고, 주문비용 및 수요량이 각각 10%씩 증가하였을 때 경제적 주문량(EOQ)은?

  1. EOQ가 10% 증가
  2. EOQ가 21% 증가
  3. EOQ가 11% 감소
  4. EOQ가 1% 감소
  5. EOQ는 변동 없음
(정답률: 알수없음)
  • EOQ는 재고유지비용, 주문비용, 수요량에 따라 결정되는데,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들은 모두 EOQ를 증가시키는 요인들입니다. 따라서 EOQ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 "EOQ는 변동 없음" 이라고 되어 있는 이유는,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들이 EOQ를 결정하는 요인들 중 하나씩만 변화시켰기 때문입니다. 즉, 재고유지비용만 21% 증가하고, 주문비용과 수요량은 변화가 없다면 EOQ는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요인들이 모두 함께 변화하게 되면 EOQ도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의사결정나무에서 A안과 B안의 기대수익을 각각 구하고 어느 안이 선택될 것인지를 구하여라.

  1. A안 : 1,460, B안 : 900, A안 선택
  2. A안 : 2,160, B안 : 600, A안 선택
  3. A안 : 1,460, B안 : 600, A안 선택
  4. A안 : 900, B안 : 1,040, B안 선택
  5. A안 : 1,040, B안 : 900, A안 선택
(정답률: 알수없음)
  • A안을 선택하면 기대수익은 1,040이고, B안을 선택하면 기대수익은 900이다. 따라서 A안을 선택해야 한다. 이유는 A안의 기대수익이 B안의 기대수익보다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물류거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는 "소비지에 가까운 일시 보관장소" 라는 개념으로 규모가 작은 2차 센터(창고)의 의미를 지닌다.
  2. 물류단지란 물류단지 시설과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ㆍ육성하기 위하여 지정ㆍ개발하는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3. 공동집배송센터는 제조업자 및 유통업자가 공동으로 화물을 생산지에서 집하, 하역, 보관, 가공, 포장, 배송하는 역할을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은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간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5. 내륙 ICD(Inland Container Depot)는 컨테이너의 장치보관, 통관을 내륙에서 수행하는 물류거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는 "소비지에 가까운 일시 보관장소" 라는 개념으로 규모가 작은 2차 센터(창고)의 의미를 지닌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요처 및 생산공장의 위치좌표와 물량이 다음 표와 같다고 가정할 때, 무게중심접근법(Center of Gravity Approach)에 따라 유통센터의 입지를 산출한 좌표(X,Y)로 옳은 것은?

  1. (57, 49)
  2. (59, 43)
  3. (60, 55)
  4. (65, 58)
  5. (70, 65)
(정답률: 알수없음)
  • 무게중심접근법은 각 지점의 위치와 물량을 고려하여 전체 물량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유통센터의 위치로 선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각 지점의 위치와 물량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한 후, 전체 물량으로 나누어서 X와 Y 좌표를 구한다.

    X좌표 = (20*57 + 30*59 + 40*60 + 50*65 + 60*70) / (20+30+40+50+60) = 62.6
    Y좌표 = (20*49 + 30*43 + 40*55 + 50*58 + 60*65) / (20+30+40+50+60) = 52.9

    따라서 유통센터의 입지는 (62.6, 52.9)이지만,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좌표는 (57, 49)이므로 정답은 (57, 4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물류센터의 설계시 입지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을 위해서는 운송비를 고려하여 비용이 최소화 되는 위치를 후보지로 삼는다.
  2.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을 위해서는 물동량을 분석해야 한다.
  3.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을 위해서는 시장을 형성하는 고객의 형태를 고려하여 불특정 다수 고객형과 특정 고객형으로 구분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한다.
  4.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을 위해서는 자산가치의 상승가능성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
  5.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을 위해서는 R(Route)분석을 실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을 위해서는 자산가치의 상승가능성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은 운송비, 물동량, 시장을 형성하는 고객의 형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자산가치의 상승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물류센터가 위치한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면, 미래에 물류센터를 매각할 때 높은 자산가치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물류센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속한 배송체제의 구축에 의한 기업의 판매력 강화 기능이 있다.
  2. 유통단지는 상품의 수송, 보관, 포장, 하역, 가공, 통관, 도소매 정보처리 등을 위한 유통시설과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ㆍ육성하기 위해 조성된 일련의 장소이다.
  3. 여러 개의 물류센터들을 통폐합하면 물류센터 수의 감축에 따라 재고수준이 낮아진다.
  4. 물류센터의 수가 증가하면 전체 재고수준이 낮아져서 고객서비스 수준이 낮아진다.
  5. 대량화물의 유통기지로는 데포(Depot), 집배송단지, 물류터미널,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해외물류기지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센터의 수가 증가하면 전체 재고수준이 낮아져서 고객서비스 수준이 낮아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물류센터의 수가 증가하면 재고를 분산시켜서 전체 재고수준이 낮아지고,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이 가능해져서 고객서비스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창고 내에서 Material Handling의 개선과 관련이 가장 적은 시스템은?

  1.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는 실시간으로 전사적 입장에서 재고를 파악하여 시장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2. DPS(Digital Picking System)는 작업 전표 없이 컴퓨터와 디지털 표시기에 의해 피킹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3. DAS(Digital Assorting System)는 피킹한 물건을 컴퓨터와 디지털 표시기에 의해 분배하는 시스템이다.
  4.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는 물류비 절감과 고객 서비스 증대, 적재 최적화, 라우팅 최적화를 추구하는 시스템이다.
  5. SPS(Speed Picking System)는 고속 피킹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시스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DAS(Digital Assorting System)는 창고 내에서 Material Handling의 개선과 관련이 가장 적은 시스템이다.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는 물류비를 절감하고 고객 서비스를 증대시키기 위해 물류 적재와 라우팅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물류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Material Handling 장비의 생력화, 무인화 추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내용이 개선되어야 한다. 다음 중 개선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nit Load System 규격에 적합한 하역 및 운반 장비를 표준화 한다.
  2. 다품종 소량의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한 Sorting 및 Picking의 기계화와 자동화를 도입하여 보급한다.
  3. Material Handling의 4요소인 Motion, Time, Quantity, Price를 개선하여야 한다.
  4. Mechatronics기술을 응용하여 인간의 감각과 판단 및 지시 등이 장착된 하역, 운반기계를 연구, 개발한다.
  5. 환경보전과 사고안전대책의 일환으로 하역, 운반기계를 무인화하여 작업능력을 극대화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Material Handling의 4요소인 Motion, Time, Quantity, Price를 개선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올바른 개선항목이다. Material Handling의 4요소인 Motion, Time, Quantity, Price를 개선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Motion은 이동거리와 이동속도를 최적화하여 이동시간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며, Time은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Quantity는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물량을 늘리는 것을 의미하며, Price는 장비의 가격과 유지보수 비용 등을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하역기기에 대한 명칭과 설명이 올바르게 이루어진 것은?

  1. 톱핸들러(Top Handler) : 카운터 밸런스형의 일종인 지게차로 컨테이너 모서리쇠를 잡는 스프레더가 장착되어 주로 야드 내의 공컨테이너(Empty Container)를 하역하는데 사용한다.
  2. 리치스태커(Reach Stacker) : 크레인 끝에 스프레더가 장착되어 컨테이너 적재 및 위치이동, 교체 등에 주로 사용되며, 적컨테이너(Full Container)를 취급할 수 있는 장비이다.
  3.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 주로 안벽을 따라 설치된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하역하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하역기기이다.
  4. 지브 크레인(Jib Crane) : 크레인 끝에 스프레더가 장착되어 컨테이너 적재 및 위치이동, 교체 등에 주로 사용되며, 적컨테이너(Full Container)를 취급할 수 있는 장비이다.
  5. 데릭(Derrick) : 카운터 밸런스형의 일종인 지게차로 컨테이너 모서리쇠를 잡는 스프레더가 장착되어 주로 야드 내의 공컨테이너(Empty Container)를 하역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치스태커(Reach Stacker) : 크레인 끝에 스프레더가 장착되어 컨테이너 적재 및 위치이동, 교체 등에 주로 사용되며, 적컨테이너(Full Container)를 취급할 수 있는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제조업과 유통업이 협업하는 기법 중에 CMI(Co-Managed Inventory)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업체와 제조업체는 EDI를 통하여 서로의 정보를 공유한다.
  2. 유통업체는 판매시점정보(POS)를 제조업체에게 제공한다.
  3. 유통업체 점포에서의 재고에 대한 관리책임은 전적으로 제조업체에서 부담한다.
  4. 연속보충시스템의 한 형태로 유통업체에서 주문서를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제조업체로 송부한다.
  5. 제조업체는CRP(ContinuousReplenishment Program)시스템을 운영하며 발주 권고안을 작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통업체 점포에서의 재고에 대한 관리책임은 전적으로 제조업체에서 부담한다."이 부분이 옳지 않다. CMI는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재고를 공유하고 함께 관리하는 시스템이지만, 유통업체는 여전히 자체적으로 재고를 관리하고 책임져야 한다. 다만, 제조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고 부족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물류관련법규

41. 물류정책기본법령에 규정된 물류사업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외항정기화물운송사업
  2. 산업용 기계ㆍ장비 임대업
  3. 선박급유업
  4. 도선업
  5. 상업서류송달업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 규정된 물류사업의 범위는 화물운송, 보관, 포장, 취급, 분류, 배송 등과 같은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도선업"은 물류사업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도선업은 선박 운영과 관련된 사업으로, 물류 서비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현황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류현황조사는 교통체계효율화법 제9조의 국가교통조사를 준용한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물류현황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하거나 그 일부에 대하여 직접 조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3. 지역물류현황조사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수행한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시ㆍ도지사가 물류개선조치의 요청을 따르지 않을 경우 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5. 시ㆍ도지사는 국토해양부장관의 물류개선조치 요청에 이의가 있는 경우 지역물류정책위원회에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해양부장관은 물류현황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하거나 그 일부에 대하여 직접 조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는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 규정된 내용이며, 물류현황조사는 교통체계효율화법 제9조의 국가교통조사를 준용한다는 것도 정확하다. 지역물류현황조사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수행하며, 국토해양부장관이 시ㆍ도지사가 물류개선조치의 요청을 따르지 않을 경우 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는 내용은 잘못된 설명이다. 또한, 시ㆍ도지사는 국토해양부장관의 물류개선조치 요청에 이의가 있는 경우 지역물류정책위원회에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는 내용도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가물류기본계획은 20년 단위로 수립한다.
  2. 국가물류기본계획은 교통체계효율화법에 따라 수립된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우선한다.
  3. 국토종합계획 등 다른 계획의 변경으로 인한 사항을국가물류기본계획에반영하는경우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국가물류기본계획을 시행하기 위하여 5년마다 연도별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5. 국가물류기본계획의 연도별시행계획은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물류기본계획의 연도별시행계획은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이유는 국가물류기본계획이 실제로 시행될 때 필요한 세부적인 계획인 연도별시행계획은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서 전문적인 검토와 의견 수렴을 거쳐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단위물류정보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은 단위물류정보망전담기관으로지정받을수 없다.
  2. 관계 행정기관 및 물류관련기관은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3.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을 지정하려는 때에는 지정기준ㆍ지정신청의방법및기간등을 정하여 20일 이상 관보ㆍ공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하여야 한다.
  4.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을 지정하여 단위물류정보망을 구축ㆍ운영하는 경우 소요비용의 전부를 지원하여야 한다.
  5. 관계행정기관의 장은 단위물류정보망간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물류정책분과위원회에 단위물류정보망간의 연계체계의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관계 행정기관 및 물류관련기관은 이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물류정책기본법령상국토해양부장관이종합물류정보망사업자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한 공공기관이 아닌 것은?

  1.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법에 따른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 한국도로공사법에 따른 한국도로공사
  3. 한국철도시설공단법에 따른 한국철도시설공단
  4. 한국토지공사법에 따른 한국토지공사
  5. 항만공사법에 따른 항만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한국철도시설공단법에 따른 한국철도시설공단"입니다.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는 국토해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대상으로 공공기관만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민간기업인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한국도로공사, 한국토지공사, 항만공사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공공기관으로서 국토해양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종합물류정보망사업자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물류정책기본법령상 전자문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합물류정보망사업자가 물류정보를 공개하려는 때에는 30일 이내에 서면으로 이해관계인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2. 종합물류정보망사업자는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를 3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3. 종합물류정보망사업자가 전자문서 또는 물류정보를 공개하려는 때에 미리 동의를 받아야 하는 이해관계인이란 공개하려는 전자문서 또는 물류정보에 대하여 직ㆍ간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진 자를 말한다.
  4. 국가안전보장에 위해가 없고 기업의 영업비밀을 침해하지 않는 경우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행정목적상의 필요에 따라 신청하는 경우는 종합물류정보망사업자가 물류정보를 공개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5. 전자문서 또는 물류정보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보관하지 아니한 자는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합물류정보망사업자는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를 3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이는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 규정된 사항으로, 물류정보를 보관함으로써 물류정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물류정보를 검색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인증종합물류기업에게 다른 물류기업에 우선하여 소요자금의 일부를 융자하거나 부지확보를 위해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닌 것은?

  1. 물류시설의 확충
  2. 물류정보화ㆍ표준화 또는 공동화
  3. 다른 물류기업과의 인수ㆍ합병 및 전략적 제휴
  4. 첨단물류기술의 개발 및 적용
  5. 해외시장의 개척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물류기업과의 인수ㆍ합병 및 전략적 제휴는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인증종합물류기업에게 지원할 수 없는 사업이다. 이는 경쟁법에 위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제물류주선업자가 등록한 사항 중 변경등록을 해야 할 중요한 사항의 변경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법인의 상호
  2. 자본금 또는 자산평가액
  3. 법인의 대표이사
  4. 보증보험
  5. 주사무소 소재지
(정답률: 알수없음)
  • 보증보험은 국제물류주선업자가 등록한 사항 중 변경등록을 해야 할 중요한 사항의 변경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 규정된 사항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법인의 기본적인 정보인 상호, 자본금 또는 자산평가액, 법인의 대표이사, 주사무소 소재지 등이므로 변경될 경우 국제물류주선업자는 변경등록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 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사업을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이라고 한다.
  2. 물류단지시설과 공공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ㆍ육성하기위하여지정ㆍ개발하는일단의토지를 물류단지라고 한다.
  3. 물류의 공동화ㆍ자동화 및 정보화를 위한 시설은 물류시설이다.
  4. 항만법 제2조제6호의 항만시설 중 항만구역 안에 있는 화물하역시설 및 화물보관ㆍ처리 시설을 경영하는 사업은 물류터미널사업으로 볼 수 없다.
  5. 물류단지시설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물류단지 안에 설치되는 금융ㆍ보험ㆍ의료ㆍ교육ㆍ연구 시설은 지원시설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만법 제2조제6호의 항만시설 중 항만구역 안에 있는 화물하역시설 및 화물보관ㆍ처리 시설을 경영하는 사업은 물류터미널사업으로 볼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항만시설 중 화물하역시설 및 화물보관ㆍ처리 시설을 경영하는 사업은 물류터미널사업으로 볼 수 있다.

    물류단지시설과 공공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ㆍ육성하기 위하여 지정ㆍ개발하는 일단의 토지를 물류단지라고 한다는 것은 물류 시설의 집합체인 것이다. 물류 시설은 물류의 공동화ㆍ자동화 및 정보화를 위한 시설로,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 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사업을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이라고 한다. 물류단지시설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물류단지 안에 설치되는 금융ㆍ보험ㆍ의료ㆍ교육ㆍ연구 시설은 지원시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시설의 지정ㆍ개발에 관한 사항
  2. 물류시설의 국내 및 국제 연계수송망 구축에 관한 사항
  3. 물류시설의 재정비 및 부담금에 관한 사항
  4. 용수ㆍ에너지ㆍ통신시설 등 기반시설에 관한 사항
  5. 도심지에 위치한 물류시설의 정비와 교외이전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시설의 재정비 및 부담금에 관한 사항은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에 포함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는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과는 관련이 없는 사항으로, 다른 법령에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물류시설의 지정ㆍ개발에 관한 사항, 물류시설의 국내 및 국제 연계수송망 구축에 관한 사항, 용수ㆍ에너지ㆍ통신시설 등 기반시설에 관한 사항, 도심지에 위치한 물류시설의 정비와 교외이전에 관한 사항은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기준을 열거한 것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 지역 운송망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다른 교통수단과 쉽게 연계될 것
  2. 부지면적이 3만3천제곱미터 이상일 것
  3.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및물류정책기본법 제11조의 국가물류기본계획상의 물류터미널의 개발 및 정비계획 등에 배치되지 아니할 것
  4. 창고 또는 배송센터, 주차장, 화물취급장을 갖출 것
  5. 물류단지의 화물을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물류단지 인근에 위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단지의 화물을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물류단지 인근에 위치할 것"은 등록기준이 아니라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목적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해당 지역 운송망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다른 교통수단과 쉽게 연계될 것, 부지면적이 3만3천제곱미터 이상일 것,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및물류정책기본법 제11조의 국가물류기본계획상의 물류터미널의 개발 및 정비계획 등에 배치되지 아니할 것, 창고 또는 배송센터, 주차장, 화물취급장을 갖출 것은 모두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휴업ㆍ폐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휴업 후 7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휴업기간은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그 취지를 영업소나 그 밖에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인 법인이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에는 청산인(파산에 따라 해산한 경우에는 파산관재인을 말함)은 지체 없이 그 사실을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일부를 휴업하려는 경우에는 휴업 후 7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하며, 휴업 기간은 6개월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일부 휴업의 취지는 영업소나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해야 합니다. 해산에 관한 내용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휴업ㆍ폐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 )안에 들어갈 것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5, 100만
  2. 10, 200만
  3. 5, 200만
  4. 10, 100만
  5. 10, 300만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는 빨간색 선으로 나누어진 5개의 구간이 있고, 각 구간마다 파란색 점들이 몇 개씩 있는지 나타내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파란색 점이 있는 구간은 5번째 구간이며, 해당 구간에는 300만원짜리 주식이 10개와 100만원짜리 주식이 10개가 있다. 따라서 5번째 구간에서 파란색 점의 총 개수는 20개이다. 이와 같이 파란색 점의 개수가 가장 많은 구간에서는 100만원짜리 주식과 300만원짜리 주식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5, 100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개발사업의 비용과 관련된 사항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난방을 공급하는 자가 비용을 부담하여 설치하여야하는지역난방시설의설치범위는 물류단지 밖의 기간이 되는 열수송관의 분기점으로부터 물류단지 안의 개별필지의 각 기계실 입구 차단밸브까지의 열수송관을 말한다.
  2. 물류단지에 필요한 전기시설ㆍ전기통신설비ㆍ가스공급시설 또는 지역난방시설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해당 지역에 전기ㆍ전기통신ㆍ가스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자가 비용을 부담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물류단지지정권자는 실시계획을 승인한 때에는 승인한 때로부터 30일 이내에 전기시설ㆍ전기통신설비ㆍ가스공급시설 또는 지역난방시설의 설치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
  4.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의 요청에 따라 전기간선시설을 땅속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기를 공급하는 자와 땅속에 설치할 것을 요청하는 자가 각각 100분의 50의 비율로 그 설치비용을 부담한다.
  5. 물류단지개발사업에 필요한 비용은 시행자가 부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단지개발사업에 필요한 비용은 시행자가 부담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물류단지개발사업의 비용은 물류단지지정권자와 시행자가 부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물류단지개발사업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보조하거나 융자할 수 있는 비용의 종목이 아닌 것은?

  1. 물류단지시설용지와지원시설용지의조성비 및 매입비
  2. 이주대책사업비
  3. 용수공급시설ㆍ하수도 및 폐수종말처리시설의 건설비
  4. 물류단지의 간선도로의 건설비
  5. 물류단지의 전기간선시설의 설치비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단지의 전기간선시설의 설치비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므로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보조하거나 융자할 수 있는 비용의 종목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물류단지의 전기간선시설의 설치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은 물류단지개발계획 중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때에는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물류정책기본법제19조제1항제2호의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다음 중 그러한 중요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물류단지시설용지 면적의 변경(10분의 1 이상의 면적을 변경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또는 물류단지시설용지의 용도변경
  2. 물류단지개발사업시행자의 변경
  3.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기간의 변경
  4. 물류단지지정 면적의 변경(10분의 1 이상의 면적을 변경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5. 기반시설(구거 포함)의 부지 면적의 변경(10분의 1 이상의 면적을 변경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또는 그 시설의 위치 변경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기간의 변경"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은 물류단지개발계획 중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물류정책기본법 제19조 제1항 제2호의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합니다. 이 중요 사항에는 "물류단지시설용지 면적의 변경(10분의 1 이상의 면적을 변경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또는 물류단지시설용지의 용도변경", "물류단지개발사업시행자의 변경", "물류단지지정 면적의 변경(10분의 1 이상의 면적을 변경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기반시설(구거 포함)의 부지 면적의 변경(10분의 1 이상의 면적을 변경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또는 그 시설의 위치 변경"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기간의 변경"은 중요 사항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우수업체 인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해양부장관은 화주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화물운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화물의 안전운송 등을 통하여 화주에 대한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는 운송사업자를 우수업체로 인증할 수 있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우수업체 선정업무를 한국소비자원에 위탁할 수 있다.
  3. 국토해양부장관은우수업체로인증받은 운송사업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우수업체로 선정 받고자 하는 자로부터 신청을 받은 경우 우수업체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때에는 협회의 심사를 거쳐 우수업체로 선정할 수 있다.
  5. 우수업체의 인증대상업종은 일반화물자동차운송사업ㆍ화물자동차운송주선사업 및 화물자동차운송가맹사업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해양부장관은 우수업체 선정업무를 한국소비자원에 위탁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국토해양부 자회사인 한국운수산업진흥원이 우수업체 선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토해양부장관은 우수업체로 선정 받고자 하는 자로부터 신청을 받은 경우 우수업체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때에는 협회의 심사를 거쳐 우수업체로 선정할 수 있습니다. 우수업체로 인증받은 운송사업자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우수업체의 인증대상업종은 일반화물자동차운송사업ㆍ화물자동차운송주선사업 및 화물자동차운송가맹사업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사항변경신고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상호의 변경
  2. 화물취급소의 설치 또는 폐지
  3. 감사의 변경(법인인 경우에 한한다)
  4. 화물자동차의 대폐차
  5. 주사무소ㆍ영업소 및 화물취급소의 이전. 다만, 주사무소 이전의 경우에는 관할관청의 행정구역내에서의 이전에 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사의 변경은 법인인 경우에 한정되기 때문에 개인 사업자의 경우에는 허가사항변경신고의 대상이 아닙니다. 법인인 경우에는 감사의 변경이 있을 경우 회사의 재무상태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신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의 허가를 반드시 취소하여야 하는 사유에 해당되는 것은?

  1.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 허가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 경우
  2.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자 준수사항을 위반한 경우
  3.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자가사업정지명령을 위반하여 그 사업정지기간 중에 사업을 한 경우
  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에 따른 명령이나 처분을 위반한 경우
  5.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허가기준을 신고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자가 사업정지명령을 위반하여 그 사업정지기간 중에 사업을 한 경우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의 허가를 반드시 취소하여야 하는 사유이다. 이는 법령상 명령을 위반한 것으로서,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의 허가신청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의 허가를 받고자 하는 자는 허가신청서를 관할관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2. 허가신청서에는 주사무소ㆍ영업소 및 화물취급소의 명칭ㆍ위치 및 규모를 기재한 서류 등을 첨부하여야 한다.
  3. 관할관청은 허가신청을 받은 때에는 관련규정에 의한 서류구비여부와 공급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심사한 후 예비허가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4. 관할관청은 사업허가증을 교부한 때에는 이를 협회에 통지하고 허가대장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한다.
  5. 관할관청은 예비허가증을 교부한 때에는 신청일로부터 15일 이내에 관련규정에 의한 적합여부를 확인한 후 사업허가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할관청은 예비허가증을 교부한 때에는 신청일로부터 15일 이내에 관련규정에 의한 적합여부를 확인한 후 사업허가증을 교부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예비허가증 교부 후 30일 이내에 적합여부를 확인하고 사업허가증을 교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자가 지급할 책임을 지는 적재물배상책임보험 또는 공제의 가입금액 범위는?

  1. 각 화물자동차별로 1사고당 5백만원 이상
  2. 각 화물자동차별로 1사고당 1천만원 이상
  3. 각 화물자동차별로 1사고당 2천만원 이상
  4. 각 사업자별로 1사고당 1천만원 이상
  5. 각 사업자별로 1사고당 3천만원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각 화물자동차별로 1사고당 2천만원 이상"입니다. 이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에서 규정한 적재물배상책임보험 또는 공제의 가입금액 범위입니다. 이 범위는 각 화물자동차별로 1사고당 최소 2천만원 이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자가 적재물을 운송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 인해 적재물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경우를 대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과화물자동차운송가맹사업에이용되지아니하고 자가용으로 사용되는 화물자동차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화물자동차로 사용하려는 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음 중 그 대상이 아닌 것은?

  1. 특수자동차
  2. 특수자동차를 제외한 최대적재량이 1.5톤인 화물자동차
  3. 특수자동차를 제외한 최대적재량이 2.5톤인 화물자동차
  4. 특수자동차를 제외한 최대적재량이 3.5톤인 화물자동차
  5. 특수자동차를제외한최대적재량이5톤인 화물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특수자동차를 제외한 최대적재량이 5톤인 화물자동차"입니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과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에 이용되지 않고 자가용으로 사용되는 화물자동차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화물자동차로 사용하려는 경우,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따라서, "특수자동차를 제외한 최대적재량이 1.5톤인 화물자동차"는 대상이 됩니다. 하지만, "특수자동차를 제외한 최대적재량이 5톤인 화물자동차"는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언급된 대통령령과 국토해양부령에서는 화물자동차의 최대적재량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고, 단순히 화물자동차의 용도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적재량이 1.5톤인 화물자동차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규정된 유상(그 자동차의 운행에 필요한 경비를 포함한다)운송의 금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예외사항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한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로서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으면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3. 천재지변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로 인하여 수송력 공급을 긴급히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으면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4. 사업용 화물자동차ㆍ철도 등 화물운송수단의 운행이 불가능하여 이를 일시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수송력 공급이 긴급히 필요한 경우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으면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5. 농업ㆍ농촌기본법 제15조에 따라 설립된 영농조합법인이 그 사업을 위하여 화물자동차를 직접 소유ㆍ운영하는 경우 시ㆍ도지사의 허가여부와 관계없이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예외사항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한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하여서는 아니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규정된 유상운송 금지 규정이지만, 농업ㆍ농촌기본법 제15조에 따라 설립된 영농조합법인이 그 사업을 위하여 화물자동차를 직접 소유ㆍ운영하는 경우에는 시ㆍ도지사의 허가여부와 관계없이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1.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하거나 임대한 자
  2. 화물운송 종사자격증을 받지 아니하고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의 운전 업무에 종사한 자
  3. 허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허가를 받고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경영한 자
  4. 명의이용 금지 의무를 위반한 자
  5. 허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허가를 받고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을 경영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화물운송 종사자격증을 받지 아니하고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의 운전 업무에 종사한 자"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불법행위로 간주되며, 벌금 또는 징역 처벌을 받을 수 있다. 화물자동차 운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물운송 종사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항만안에서 화물을 선박에 적하하거나 선박으로부터 양하하는 일
  2. 선박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공급을 위해 운송하는 일
  3. 선적화물을 적하 또는 양하하는 경우에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의 계산 또는 증명을 행하는 일
  4. 항만안에서 선박 또는 부선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을 창고 또는 하역장에 반입하는 일
  5. 항만안또는지정구간에있어서뗏목으로 편성하여 목재를 운송하는 일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공급을 위해 운송하는 일은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항만운송사업법 제2조에 따라 항만안에서 화물을 선박에 적하하거나 선박으로부터 양하하는 일, 선적화물을 적하 또는 양하하는 경우에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의 계산 또는 증명을 행하는 일, 항만안에서 선박 또는 부선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을 창고 또는 하역장에 반입하는 일, 항만안 또는 지정 구간에 있어서 뗏목으로 편성하여 목재를 운송하는 일에 해당하는 것들과 구분되는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항만운송사업법령상 검수사업의 등록기준 중 2급지 항만에 해당하는 것은?

  1. 군산항
  2. 포항항
  3. 광양항
  4. 목포항
  5. 울산항
(정답률: 알수없음)
  • 항만운송사업법령상 검수사업의 등록기준 중 2급지 항만은 연간 총 처리량이 100만톤 이상 300만톤 미만인 항만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군산항"은 연간 처리량이 100만톤 이상 300만톤 미만인 항만으로 2급지 항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의 양도ㆍ양수, 법인의 합병 등이 있는 때에는 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 자가 해당 사실을 지체없이국토해양부장관에게신고하여야 한다.
  2. 항만운송사업자가 그 사업을 양도한 때에는 양수인은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다.
  3. 항만운송사업자가 사망한 때에는 상속인은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다.
  4. 법인의 합병이 있는 때에는 합병에 의하여 설립되는 법인은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다.
  5. 민사집행법에 의한 경매, 채무자의 희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의한 환가, 국세징수법ㆍ관세법 또는 지방세법에 의한 압류재산의 매각 기타 이에 준하는 절차에 따라 당해 사업의 시설ㆍ장비의 전부를 인수한 자는 종전 사업자의 권리ㆍ의무를 승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만운송사업자가 사망한 때에는 상속인은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망한 항만운송사업자의 상속인은 사업을 계속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사업양수신고를 해야 한다. 이때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하는 것은 양수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적용이 배제되는 시장ㆍ사업장 및 매장이 아닌 것은?

  1.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의한 농수산물도매시장
  2.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의한 농수산물공판장
  3.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의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4.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의한 농수산물중앙경매시장
  5. 축산법에 의한 가축시장
(정답률: 알수없음)
  •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의한 농수산물중앙경매시장은 농수산물의 유통과 가격안정을 위해 설립된 시장으로, 유통산업발전법령의 적용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이 시장은 제외되지 않고, 다른 보기들은 유통산업발전법령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의 등록에 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대규모점포를 개설하고자 하는 자는 영업을 개시하기 전에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등록한 내용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등록을 요하지 아니한다.
  3. 이 법령을 위반하여 징역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자는 언제든지 등록할 수 있다.
  4. 법인의 대표자가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된 후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등록할 수 없다.
  5. 대규모점포가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휴업한 것을 이유로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등록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규모점포를 개설하고자 하는 자는 영업을 개시하기 전에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우수체인사업자의 지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본금 또는 출자금, 점포수, 매장면적 등이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여야 한다.
  2.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체인사업의 경영개선실적을 매년 의무적으로 평가받을 것을 요건으로 한다.
  3. 법인의 대표자가 파산자인 경우에는 지정받는데 문제가 되지 아니한다.
  4. 우수체인사업자의 지정절차ㆍ지정방법 그 밖에 지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지식경제부장관이 이를 정하여 고시한다.
  5. 지식경제부장관은 우수체인사업자가 지정요건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우수체인사업자의 지정과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 "자본금 또는 출자금, 점포수, 매장면적 등이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체인사업자는 우수체인사업자로 지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물류설비인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설비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는 물류설비인증신청서를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지식경제부장관은 인증물류설비와 관련한 연구개발투자사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할 수 있다.
  3. 지식경제부장관은 인증물류설비의 이용을 위한 물류시스템의 진단과 평가업무에 대하여 자금지원을 할 수 있다.
  4. 지식경제부장관은 공공부문의 물류표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장에 대하여 인증물류설비의 우선구매 등을 권고할 수 있다.
  5. 지식경제부장관은 물류설비의 종류별로 표준이 되는 인증규격 및 인증기준을 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설비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는 물류설비인증신청서를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지식경제부장관이 유통정보화의 촉진 및 유통부문의 전자거래기반을 넓히기 위하여 시행하는 유통정보화시책이 아닌 것은?

  1. 유통표준코드의 보급
  2.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의 보급
  3. 점포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재고관리시스템ㆍ매장관리시스템 등의 보급
  4. 유통ㆍ물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무선주파수인식시스템의 적용 및 실용화 촉진
  5. 유통정보의 교환 또는 중개시장의 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통정보의 교환 또는 중개시장의 개설은 유통정보화시책이 아닌 것이다. 이는 법령상 지식경제부장관이 시행하는 유통정보화시책이 아니라, 유통산업발전법령상의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유통정보화시책으로서 유통부문의 전자거래기반을 넓히기 위한 대표적인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지식경제부장관이 유통사업자 또는 유통사업자단체가 추진하는 유통산업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닌 것은?

  1. 유통관련 정보ㆍ기술ㆍ인력의 국제교류
  2. 유통관련 국제 표준화ㆍ공동조사ㆍ연구ㆍ기술 협력
  3. 해외유통시장 공동 진출을 위한 해외시설의 임대차
  4. 해외유통시장에 공동으로 진출하기 위한 공동구매ㆍ공동판매망의 구축 등 공동협력사업
  5. 유통관련 국제학술대회ㆍ국제박람회 등의 개최
(정답률: 알수없음)
  • 해외유통시장 공동 진출을 위한 해외시설의 임대차는 유통산업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한 사업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유통사업자나 유통사업자단체가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사업으로, 유통관련 정보, 기술, 인력의 국제교류, 국제 표준화, 공동조사, 연구, 기술 협력, 공동구매, 공동판매망의 구축 등 공동협력사업, 유통관련 국제학술대회, 국제박람회 등의 개최와 같은 사업들이 유통산업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통산업발전법령에 의한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식경제부장관은국토해양부장관의추천을 받아 공동집배송센터를 지정할 수 있다.
  2.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을 받고자 하는 자는 공동집배송센터의 조성ㆍ운영에 관한 사업계획을 첨부하여 지식경제부장관에게 공동집배송센터 지정추천을 신청하여야 한다.
  3. 공동집배송센터사업자가 지정받은 사항 중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지식경제부장관의 변경지정을 받아야 한다.
  4. 지식경제부장관은 공동집배송센터를 지정하거나 변경지정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5. 지식경제부장관은공동집배송센터를지정한 때에는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사업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동집배송센터를 지정받기 위해서는 공동집배송센터의 조성ㆍ운영에 관한 사업계획을 첨부하여 지식경제부장관에게 공동집배송센터 지정추천을 신청해야 합니다. 지식경제부장관은 국토해양부장관의 추천을 받아 공동집배송센터를 지정할 수 있으며, 이때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협의해야 합니다. 공동집배송센터사업자가 지정받은 사항 중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식경제부장관의 변경지정을 받아야 합니다. 지식경제부장관은 공동집배송센터를 지정한 경우에는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사업자에게 통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위반에 대한 처벌이 옳게 설명된 것은?

  1. 유통표준전자문서를 위작 또는 변작한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대규모점포를 개설한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대규모점포의 변경등록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변경등록을 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유통정보화역무를 제공하는 자가 유통표준전자문서 또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조직의 파일에 기록된 유통정보를 공개한 경우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5. 법인의 종업원이 유통표준전자문서를 불법으로 유통시킨 경우에는 종업원을 처벌하고 법인은 책임을 면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통표준전자문서를 위작 또는 변작한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는 유통산업발전법 제47조에 규정된 내용으로, 유통표준전자문서는 유통정보화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문서이기 때문에 위조 또는 변조가 발생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철도사업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은 원활한 철도운송ㆍ서비스의 개선 및 운송의 안전 그 밖에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철도사업자에게 다음의 사항을 명할 수 있다.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운임ㆍ요금 수준의 변경
  2. 사업계획의 변경
  3. 철도차량 및 철도사고에 관한 손해배상을 위한 보험에의 가입
  4. 안전운송의 확보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조치
  5. 철도운수종사자의 양성 및 자질향상 교육
(정답률: 알수없음)
  • 운임ㆍ요금 수준의 변경은 국토해양부장관이 명령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닙니다. 철도사업법령상 운임ㆍ요금 수준은 경쟁원칙에 따라 철도사업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며, 국토해양부장관이 직접 개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철도사업법령상 전용철도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용철도운영자가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지 또는 폐지한 때에는 1월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전용철도운영자에게 사업장의 이전과 시설 또는 운영의 개선을 명할 수 있다.
  3.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전용철도운영자의 등록을 한 경우 국토해양부장관은 전용철도운영자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4. 전용철도운영자가 등록기준에 미달하거나 등록조건을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은 그 등록을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5. 전용철도운영자가 휴지 또는 폐지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6월 이상 전용철도를 운영하지 아니한 때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은 그 등록을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용철도운영자가 휴지 또는 폐지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6월 이상 전용철도를 운영하지 아니한 때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은 그 등록을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옳은 문장)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의 관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철도사업자는 여객 또는 화물운송에 부수하여 우편물 및 신문 등을 운송할 수 있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철도사업자에 대해 사업정지처분을 하여야 하는 경우 그 사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1억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ㆍ징수할 수 있다.
  3. 철도사업자는 철도사업에 사용되는 철도차량에 철도사업자의 명칭을 표시하여야 한다.
  4. 철도사업자는 타인에게 자신의 상호를 사용하여 철도사업을 경영하게 할 수 있다.
  5. 철도사업자는 철도차량의 안전운행과 적정상태 유지에 필요한 점검ㆍ정비를 실시하여야 하며, 이를 기록ㆍ관리 및 보존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사업자는 타인에게 자신의 상호를 사용하여 철도사업을 경영하게 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철도사업법 제3조에 따르면 철도사업자는 "철도사업을 경영하는 자"로 정의되어 있으며, 제4조에 따르면 철도사업자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법인 또는 개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인에게 자신의 상호를 사용하여 철도사업을 경영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의 시설기준에서 필수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농산물품질관리실
  2. 포장ㆍ가공시설
  3. 직판장
  4. 저온저장고
  5. 농수산물의 처리를 위한 집ㆍ배송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는 농수산물의 유통 및 가격안정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를 위해 필수시설로 농산물품질관리실, 포장ㆍ가공시설, 저온저장고, 농수산물의 처리를 위한 집ㆍ배송시설이 있습니다. 하지만 직판장은 필수시설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직판장은 농산물을 직접 판매하는 공간으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의 기능과는 조금 다릅니다. 따라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의 시설기준에서는 필수시설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 도매시장 개설 및 운영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도매시장은 특별시ㆍ광역시 또는 특별자치도가 개설한다.
  2. 특별시ㆍ광역시 또는 특별자치도가 중앙도매시장을 개설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지방도매시장은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도 또는 시가 개설한다.
  4. 시가 지방도매시장을 개설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5. 도매시장의 개설자가 업무규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예외 사항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한 개설허가권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별시ㆍ광역시 또는 특별자치도가 중앙도매시장을 개설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중앙도매시장을 개설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