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3-02-18)

변리사 1차(3교시)
(2023-02-18 기출문제)

목록

1. 그림 (가)와 같이 실에 매달린 물체 A는 수평면에서 반지름 l/2 인 등속 원운동을 하고, 물체 B는 수평면에서 정지해 있다. (가)의 실이 끊어져 그림 (나)와 같이 A가 B와 충돌한 후 한 덩어리가 되어 속력 v로 운동한다. A와 B의 질량은 각각 m과 3m이고, (가)에서 실과 수직축 사이의 각도는 30°이다. (가)에서 A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의 크기는? (단, 중력 가속도는 g이고, 실의 질량과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A와 B가 충돌하기 전의 운동량과 충돌 후의 운동량은 같다. 따라서, A와 B가 충돌하기 전의 운동량은 $p_1 = m(frac{l}{2})omega$ 이다. 여기서 $omega$는 A의 각속도이다.

    충돌 후에는 A와 B가 한 덩어리가 되어 운동량 $p_2 = (m+3m)v$를 가진다. 이 때,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p_1 = p_2$이므로,

    $$m(frac{l}{2})omega = (m+3m)v$$

    $$omega = frac{4v}{l}$$

    따라서, (가)에서 A에 작용하는 수직항력 $F$는 중력과 수직 방향이므로, A의 운동 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A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의 크기는 A의 중력과 같다.

    $$F = mg = m cdot 9.8$$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이 벽에 닿아 있는 길이 3L, 무게 mg인 막대를 두 사람이 당겨 수평을 유지한다. 두 사람이 당기는 힘의 크기의 비 F1/F2는? (단, 막대의 밀도는 불균일하고, 막대의 굵기와 벽의 마찰은 무시한다.)

  1. 1
(정답률: 알수없음)
  • 막대가 수평을 유지하려면 두 사람이 당기는 힘이 중심축을 지나야 한다. 중심축을 지나는 힘의 합력은 막대의 무게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F1 + F2 = mg 이다. 또한, 막대의 중심에서 F1과 F2가 작용하므로, F1과 F2의 비는 막대의 중심과 F1이 작용하는 지점, 막대의 중심과 F2가 작용하는 지점의 거리 비와 같다. 따라서 F1/F2 = 2L/L = 2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가)와 같이 질량 72kg의 사람이 짐을 들고 수면과 동일한 높이의 얼음 위에 서 있다. 그림 (나)와 같이 짐을 물에 던졌더니 얼음 부피의 1/48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짐의 질량(kg)은? (단, 물과 얼음의 밀도는 각각 ρw, , 얼음은 녹지 않는다.)

  1. 12
  2. 18
  3. 24
  4. 36
  5. 48
(정답률: 알수없음)
  • 물 위에 떠 있는 얼음의 부피는 물 위에 잠긴 부피와 같으므로, 얼음의 부피는 짐의 무게와 같다. 따라서, 얼음의 부피는 72kg이다. 또한, 얼음 부피의 1/48이 수면 위로 떠오른다는 것은, 얼음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48배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얼음의 밀도는 ρw/48 이다.

    얼음의 부피는 V = m/ρ 이므로, 얼음의 질량은 m = V x ρ = 72 x (ρw/48) = 1.5 x ρw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이 고온저장고에서 |Qh|를 흡수하여 W1의 일을 하는 열기관1의 열효율이 0.4이다. 열기관1의 배기열 |Qm|을 활용하기 위하여 |Qm|을 다른 열기관2에 공급하였더니, 열기관2는 W2의 일을 하고 열효율이 0.3이었다. 전체 열효율 (W1+W2)/|Qh|는?

  1. 0.52
  2. 0.58
  3. 0.63
  4. 0.69
  5. 0.75
(정답률: 알수없음)
  • 고온저장고에서 흡수한 열량 Qh를 이용하여 일을 하는 열기관1의 열효율은 0.4이므로, 열기관1에서 생산된 일 W1은 다음과 같다.

    W1 = Qh x 0.4

    열기관1에서 배기된 열량 Qm은 열기관2에 공급되어 일을 하고, 열효율이 0.3이므로, 열기관2에서 생산된 일 W2는 다음과 같다.

    W2 = Qm x 0.3

    전체적인 열효율은 열기관1과 열기관2에서 생산된 일의 합을 고온저장고에서 흡수한 열량으로 나눈 값이다.

    전체 열효율 = (W1 + W2) / Qh

    위 식에 W1과 W2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열효율 = (Qh x 0.4 + Qm x 0.3) / Qh

    Qm은 Qh에서 열기관1을 통해 생산된 일을 뺀 값이므로, Qm = Qh - W1이다.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열효율 = (Qh x 0.4 + (Qh - W1) x 0.3) / Qh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열효율 = 0.4 + 0.3 - 0.3 x (W1 / Qh)

    W1 / Qh은 열기관1의 열효율이므로 0.4이다.

    따라서 전체 열효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열효율 = 0.4 + 0.3 - 0.3 x 0.4 = 0.58

    따라서 정답은 "0.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 (가)와 같이 전기용량 CA, CB인 축전기에 각각 전하량 QA0, QB0이 저장되어 있다. 그림 (나)와 같이 두 축전기의 단자 1과 2가 연결되고, 기전력 ε인 전지와 연결되어 평형을 이룬 후 전기용량 CA인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 QA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용량 C와 전하량 Q의 관계식은 Q=CV이다. 따라서, 축전기 A에 저장된 전하량 QA0와 전기용량 CA를 이용하여 전압 VA0를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축전기 B에 저장된 전하량 QB0와 전기용량 CB를 이용하여 전압 VB0를 구할 수 있다.

    전지와 연결된 단자 1과 2 사이의 전압 차이는 0이므로, VA0 - VB0 = ε이다. 이 식을 이용하여 VA0를 구하면 VA0 = ε + VB0이다.

    이제 축전기 A와 B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하는 전기용량에 비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전하량을 구할 수 있다. 즉, QA = (CA/(CA+CB)) x (QA0+QB0)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이 질량 3kg, 전하량 2C인 물체가 전위차 △V인 무한 평행판의 한쪽판에서 정지해 있다가 직선 가속운동을 하고 다른 쪽 판을 통과한 후, 크기 4T로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서 반지름 3m인 등속 원운동을 한다. 이 때 △V는? (단, 중력은 무시한다.)

  1. 6 V
  2. 12 V
  3. 16 V
  4. 32 V
  5. 48 V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가 가속운동을 하면 일정한 힘을 받아 일정한 일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일을 한 것은 전위차이므로, 물체가 가속운동을 하기 전과 후의 전위차이를 구하면 된다.

    물체가 가속운동을 하기 전에는 전위차가 없으므로, 물체가 등속 원운동을 하면서 일을 한 것만큼의 전위차가 생긴다.

    일을 한 양은 전자의 전하량과 전위차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물체가 등속 원운동을 하면서 일한 양은 2C × △V 이다.

    또한, 등속 원운동을 하면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자기력이다. 자기력은 F = Bqv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B는 자기장의 크기, q는 전하량, v는 속도이다.

    물체가 등속 원운동을 하면서 작용하는 자기력은 방향이 항상 수직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물체가 등속 원운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중심방향 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중심방향 가속도는 v²/r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중심방향 가속도로 나누면, 자기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2C × △V = (3kg) × (v²/3m) × 4T 이므로, △V = 48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이 x축에 수직한 면을 경계로 하여 크기가 일정한 값 B로 균일한 자기장이 ±z축 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며, 한 변의 길이가 L인 정사각형 금속고리가+x축 방향으로 등속도 운동하고 있다. 금속고리에 전류가 유도되지 않다가 시간△t 동안만 일정한 전류 I가 유도될 때, 금속고리의 저항은?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고리가 운동하면서 자기장을 가로지르면서 전기력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전류의 크기는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하므로, 금속고리가 자기장을 가로지르는 시간이 짧을수록 전류의 크기는 커진다. 따라서, 금속고리가 자기장을 가로지르는 시간이 △t 동안만 전류가 유도되므로, 전류의 크기는 일정하다. 이에 따라, 금속고리의 저항은 금속고리의 재질과 크기에만 영향을 받으므로, 주어진 조건에서는 금속고리의 저항이 일정하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물체 O로부터 10cm 떨어진 곳에 두께 3cm, 굴절률 1.5인 평면유리가 놓여 있다. 평면유리에 의한 상의 위치로 옳은 것은? (단,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 θ가 작을 때 sinθ≃tanθ≃θ 이다.)

  1. O에서 평면유리 반대쪽으로 2cm
  2. O에서 평면유리 반대쪽으로 1cm
  3. O에서 평면유리 쪽으로 1cm
  4. O에서 평면유리 쪽으로 2cm
  5. O에서 평면유리 쪽으로 3cm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유리를 통과할 때 굴절되므로 빛의 진행방향이 바뀐다. 이 때 빛의 진행방향이 바뀌는 위치를 상의 위치라고 한다. 상의 위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평면과의 교점이다. 이 문제에서는 물체 O에서 나온 빛이 평면유리를 통과하므로, 상의 위치는 O에서 평면유리 쪽으로 나아간다. 또한, 물체 O에서 평면유리까지의 거리가 10cm이므로, 상의 위치는 O에서 평면유리 쪽으로 10cm 떨어진 곳에 있다. 따라서 정답은 "O에서 평면유리 쪽으로 1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관측자 A에 대한 관측자 B의 상대속도는 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Lorentz 인자 이고, c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력이다.)

  1. A와 B가 진공에서 각각 측정한 빛의 속력은 같다.
  2. B가 측정한 시간 τ가 고유시간일 때, A가 측정한 시간은 이다.
  3. 상대속도 방향의 길이만을 고려하면 A가 측정한 길이 Lp가 고유길이일 때, B가 측정한 길이는 이다.
  4. A와 B가 각각 측정한 물체의 속력은 c보다 클 수 없다.
  5. A와 B가 관측하는 물리현상에 적용되는 물리법칙은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가 각각 측정한 물체의 속력은 c보다 클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상대속도는 두 관측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에 나타나는 것으로, 물체의 속력과는 관계가 없다. 따라서 A와 B가 각각 측정한 물체의 속력이 c보다 클 수 있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콤프턴 실험에서 파장 λ인 빛이 입사하면서 정지해 있던 전자와 충돌하고 각도 ø인 방향으로 파장 λ′인 빛이 산란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충돌 후 운동량의 크기가 p인 전자가 튕겨나간다. 알려진 관계식 λ′-λ=λC(1-cosø)와 운동량 보존법칙으로 구한 p2은? (단, λC = h/mc, h는 플랑크 상수이고, c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력이며, m은 전자의 질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5℃에서 밀도가 d1g/mL인 aM의 A 수용액 100mL를 20℃로 냉각하였더니, 밀도가 d2g/mL인 A 수용액이 되었다. 20℃에서 A 수용액의 몰농도와 질량 퍼센트 농도를 각각 xM과 y%라고 할 때, x/y는? (단, A의 몰질량은 100g/mol 이고, A는 물에 모두 용해되며, 물의 증발은 무시한다.)

  1. d1/10
  2. d2/10
  3. d1/5
  4. d2/5
  5. d1d2/5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냉각 전과 후의 체적은 변하지 않으므로, 100mL의 체적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냉각 전과 후의 질량 비는 밀도 비와 같다. 즉, A 수용액의 질량은 변하지 않으므로, 냉각 전과 후의 질량 비는 d1:d2 = 1:x 이다.

    냉각 전의 A 수용액의 질량은 100g이므로, 냉각 후의 A 수용액의 질량은 100x g이다. 따라서, A의 몰질량이 100g/mol이므로, 냉각 전의 A 수용액의 몰농도는 1/(100g/mol x 100mL) = 0.1M이다. 냉각 후의 A 수용액의 몰농도는 질량과 몰수가 비례하므로, 0.1M x (d1/d2) = xM이다.

    또한, A 수용액의 질량 퍼센트 농도는 질량과 체적이 비례하므로, 냉각 전의 A 수용액의 질량 퍼센트 농도는 100g/100mL x 100% = 100%이다. 냉각 후의 A 수용액의 질량 퍼센트 농도는 질량 비와 같으므로, 100% x (d2/d1) = y%이다.

    따라서, x/y = (0.1M x d1)/(100% x d2) = d1/10d2 이다. 따라서, 정답은 "d2/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기체 A와 B가 반응하여 기체 C가 생성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표는 이 반응의 평형 (가)~(다)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RT1 = 25L·atm/mol, RT2 = 50 L·atm/mol(R는 기체 상수)이고, Kc와 Kp는 각각 농도로 정의된 평형 상수와 압력으로 정의된 평형 상수이다. 기체는 이상 기체와 같은 거동을 한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 (ㄱ) Kc는 1보다 작으므로, 생성물인 C의 농도가 반응물인 A와 B의 농도보다 작다. 따라서, C가 생성되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한다.
    - (ㄷ) Kp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이 반응은 엔도테르믹 반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기체 A가 분해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그림은 강철 용기에서 온도를 달리하면서 이 반응을 진행시킬 때 반응 시간에 따른 A 농도의 역수(1/[A])를 나타낸 것이며, (가)와 (나)의 온도는 TK와 1.2TK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기체 상수(R)는 b J/K·mol 이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온도가 증가하면 반응 속도가 증가하므로, 반응 시간이 짧아져서 [A]의 역수가 커진다. 이는 그래프에서 온도가 높은 경우(1.2TK)에 나타난다.
    - (ㄷ)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가 낮은 경우( TK)에는 반응 속도가 느려져서 반응 시간이 길어지므로 [A]의 역수가 작아진다. 이는 그래프에서 온도가 낮은 경우에 나타난다.
    - (ㄴ) 반응 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온도가 높은 경우(1.2TK)와 낮은 경우(TK) 모두에서 [A]의 역수가 변화한다. 따라서 (ㄱ)과 (ㄷ) 모두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아세틸렌 분자의 구조식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ㄱ"은 아세틸렌 분자의 구조식에서 탄소 원자와 수소 원자가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이는 실제 아세틸렌 분자의 구조와 일치한다.
    - "ㄷ"는 아세틸렌 분자의 구조식에서 수소 원자가 탄소 원자에 대해 2:1 비율로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이는 실제 아세틸렌 분자의 구조와 일치한다.
    - "ㄴ"은 "ㄱ"과 "ㄷ" 모두가 해당되므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분자식이 C4H8O인 화합물의 구조 이성질체 중 알코올을 제외한 고리형 구조 이 성질체의 수는?

  1. 4
  2. 5
  3. 6
  4. 7
  5. 8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원소 A~D와 관련된 설명이다. A, B, C, D는 Na, Cl, Ne, Ar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A, B, C, D의 전자 구성을 보면 A는 2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고, B는 8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C는 10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고, D는 18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A는 2번 원소인 Helium (He)이고, B는 17번 원소인 Chlorine (Cl)이며, C는 10번 원소인 Neon (Ne)이고, D는 18번 원소인 Argon (Ar)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바닥상태 정사면체 착화합물 [MCl4]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M은 원자 번호가 25인 임의의 원소 기호이며, △t는 정사면체 결정장 갈라짐 에너지이다.)

  1. 중심 이온의 산화수는 +2이다.
  2. 중심 이온의 3dxy 오비탈의 에너지가 오비탈 에너지보다 높다.
  3. 가상적인 정육면체에서 중심 이온의 3d 오비탈 중 오비탈은 면심을 향하고 있다.
  4. 중심 이온의 홀전자 수는 5이다.
  5. 결정장 안정화 에너지는 -2△t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 이온의 3dxy 오비탈의 에너지가 오비탈 에너지보다 높다는 설명은 옳다. 하지만 [MCl4]2-의 경우 중심 이온의 산화수는 +2가 아니라 +3이다. 따라서 "중심 이온의 산화수는 +2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결정장 안정화 에너지는 이온 결정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온 결정이 형성될 때 발생하는 결정장 갈라짐 에너지를 상쇄시키는 에너지이다. 이는 이온 결정의 전체 에너지를 낮추어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결정장 안정화 에너지는 음수이며, 큰 값일수록 안정한 결정이 형성된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이온 크기와 전하, 이온의 전자배치 등에 영향을 받는다.

    [MCl4]2-의 경우, 중심 이온인 M3+ 이온은 3d5 전자구조를 가지며, 3d 오비탈 중 3dxy, 3dxz, 3dyz 오비탈은 면심을 향하고 있다. 이는 정사면체 구조에서 이온들이 서로 면심을 향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정장 안정화 에너지는 -2△t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2주기 원소의 동종핵 2원자 분자를 나타낸 것이다. 분자 오비탈(MO) 이론에 근거하여, 이 분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모든 분자는 바닥상태이다.)

  1. 모든 분자들의 결합 차수 총합은 9이다.
  2. 상자기성 분자는 3개이다.
  3. 결합성 π2p MO 에너지 준위에 비해 결합성 σ2p MO 에너지 준위가 낮은 분자는 2개이다.
  4. 결합 에너지가 가장 큰 분자는 N2이다.
  5. 모든 분자들의 홀전자 수 총합은 4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자기성 분자는 3개이다." 이다.

    이유는 분자 오비탈(MO) 이론에서 상자기성 분자는 모든 전자가 결합성 오비탈에 채워져 있어서 전자를 추가로 결합시킬 수 없는 분자를 말한다. 따라서 이 분자들은 결합 차수가 최대치에 도달하고 있으며, 이 분자들 중에서는 N2, O2, F2가 해당된다. 따라서 상자기성 분자는 3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금속 A를 이용한 갈바니 전지이고, 이 전지의 전위는 25℃에서 0.82V 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25℃에서 (R는 기체 상수, F는 패러데이 상수, Q는 반응 지수)이고, A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며, 온도는 25℃로 일정하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ㄱ"입니다. 갈바니 전지에서 전위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위차이를 의미합니다. 이 전지에서는 금속 A가 양극, 수소가 음극이므로, 금속 A의 산화 반응과 수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반응에서는 전자가 금속 A에서 수소로 이동하게 되므로, 전지의 전위는 금속 A의 산화전극과 수소의 환원전극의 전위차이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금속 A의 산화전극 반응이 더 쉽게 일어나는 경우, 전지의 전위는 더 높아지게 됩니다. 보기 중에서는 금속 A의 산화전극 반응이 더 쉽게 일어나는 것이 "ㄱ"인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약산 HA의 산 해리 상수(Ka)가 25℃에서 1×10-5 일 때, 다음 중 pH가 6에 가장 가까운 용액은? (단, 용액의 온도는 25℃로 일정하다.)

  1. HA가 1 % 해리된 용액
  2. HA가 9 % 해리된 용액
  3. HA가 50 % 해리된 용액
  4. HA가 91 % 해리된 용액
  5. HA가 99 % 해리된 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Ka = [H+][A-]/[HA]

    pH = -log[H+]

    pH = 6 일 때, [H+] = 1×10-6

    Ka = 1×10-5 이므로 [H+][A-]/[HA] = 1×10-5

    [H+] = [A-], [HA] = 1 - [A-]

    [A-]2/(1 - [A-]) = 1×10-5

    [A-]2 = 1×10-5(1 - [A-])

    [A-]2 + 1×10-5[A-] - 1×10-5 = 0

    [A-] = (-1×10-5 ± √(1×10-10 + 4×1×10-5))/2

    [A-] = 9.95×10-6 또는 9.5×10-2

    pH = -log(9.95×10-6) = 5.0

    pH = -log(9.5×10-2) = 1.0

    따라서, pH가 6에 가장 가까운 용액은 "HA가 91 % 해리된 용액" 이다. 이유는 [A-] = 9.95×10-6 일 때, pH가 6보다 작아지고, [A-] = 9.5×10-2 일 때, pH가 6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pH가 6에 가장 가까운 용액은 [A-] = 9.95×10-6 일 때인 "HA가 91 % 해리된 용액"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세포소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세포골격을 구성하는 중간섬유, 미세섬유, 미세소관 중 미세소관이 가장 굵다.
  2. 리소좀 내의 효소들은 중성 환경에서만 작용한다.
  3. 골지체의 트랜스(trans) 면 쪽은 소포체로부터 떨어져 나온 소낭(vesicle)을 받는 쪽이다.
  4. 글리옥시좀(glyoxysome)은 동물세포에서만 발견된다.
  5. 활면소포체는 칼륨이온(K+)을 저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포골격은 중간섬유, 미세섬유, 미세소관으로 구성되는데, 미세소관은 가장 굵기 때문에 가장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미세소관이 세포 내부에서 물질의 이동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세포호흡과 광합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세포호흡에 대한 설명이고, "ㄴ"은 광합성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ㄱ, ㄴ"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람의 신호전달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소분비 신호전달(paracrine signaling)은 분비된 분자가 국소적으로 확산되어 분비한 세포 자신의 반응을 유도한다.
  2.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은 신경세포의 말단에서 혈류로 확산된다.
  3. 수용성 호르몬은 세포 표면의 신호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반응이 유도된다.
  4. 에피네프린은 세포질내의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여 호르몬-수용체 복합체를 형성한다.
  5. 내분비 신호전달(endocrine signaling)은 짧은 거리의 표적세포에 신호를 전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용성 호르몬은 세포 표면의 신호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반응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는 호르몬 분자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 외부에서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람의 적응면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사람의 적응면역은 외부의 병원체나 이물질에 대한 방어 체계이다. 이때, 적응면역은 항체와 림프구 등의 면역세포들이 병원체나 이물질을 인식하고 공격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중에서도 "ㄴ, ㄹ"이 옳은 이유는, "ㄴ"은 항체를 만드는 B세포의 역할을 담당하고, "ㄹ"은 병원체나 이물질을 직접 공격하는 T세포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ㄴ, ㄹ"이 함께 작용하여 외부의 병원체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물의 난할(cleava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동물의 난할이 완전분열형(cleavage type)으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완전분열형은 세포분열 시 세포가 완전히 분리되어 나뉘는 형태로, 이 경우에는 세포분열 후 나뉘어진 세포들이 각각 독립적인 개체로 발달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불완전분열형(incomplete cleavage type)은 세포분열 시 세포들이 일부 연결된 상태로 나뉘는 형태로, 이 경우에는 세포들이 서로 의존적으로 발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꽃의 색은 대립유전자 R(빨간색)과 r(분홍색)에 의해, 크기는 대립유전자 L(큰 꽃)과 l(작은 꽃)에 의해 결정되며, 이 두 유전자좌위는 동일한 염색체상에 위치한다. R은 r에 대해, L은 l에 대해 각각 완전 우성이다. 표는 유전자형이 RrLl인 식물(P)을 자가교배하여 얻은 F1식물의 표현형 비율에 관한 자료이다. 이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ㄱ. 대립유전자 R과 r은 분홍색과 빨간색의 비율이 1:1로 나타나므로, F1식물의 분홍색과 빨간색의 비율이 1:1이 된다. 대립유전자 L과 l도 큰 꽃과 작은 꽃의 비율이 1:1로 나타나므로, F1식물의 큰 꽃과 작은 꽃의 비율이 1:1이 된다. 따라서 F1식물의 표현형 비율은 분홍색 큰 꽃 : 분홍색 작은 꽃 : 빨간색 큰 꽃 : 빨간색 작은 꽃 = 1:1: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세균 오페론의 전사 조절 인자들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트립토판(Trp) 오페론의 전사는 양성 조절과 음성 조절을 모두 받는다.
  2. 젖당(Lac) 오페론의 양성 조절에서 공동조절자가 결합한 전사인자는 전사를 활성화시킨다.
  3. 공동조절자에 의한 트립토판 오페론 전사 감쇠(attenuation) 조절 방식은 진핵세포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4. 젖당 오페론의 음성 조절에서 공동조절자가 결합한 전사인자는 작동자에 결합한다.
  5. 트립토판 오페론에서 공동조절자 없이 전사인자만으로 전사가 억제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젖당(Lac) 오페론의 양성 조절에서 공동조절자가 결합한 전사인자는 전사를 활성화시킨다."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Lac 오페론에서 공동조절자인 CAP(catabolite activator protein)가 cAMP와 결합하여 작동자에 결합하면 RNA 폴리머ase가 결합할 수 있는 Lac 프로모터 영역이 노출되어 전사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공동조절자와 결합한 전사인자는 전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진핵생물의 염색질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염색질 변형은 복원될 수 없다.
  2. 히스톤 C-말단 꼬리의 아세틸화는 염색질 구조를 느슨하게 한다.
  3. DNA의 메틸화는 전사를 촉진한다.
  4. 뉴클레오솜(nucleosome)의 직경은 약 30 nm 정도이다.
  5. 양전하를 띤 히스톤 단백질과 음전하를 띤 DNA가 결합하여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전하를 띤 히스톤 단백질과 음전하를 띤 DNA가 결합하여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이는 염색질의 기본 구조로, DNA가 너무 길어서 세포핵에 들어가기 어려워서 히스톤 단백질과 결합하여 묶여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뉴클레오솜이 모여서 염색체를 형성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RISPR-Cas9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as9는 DNA 이중가닥을 절단하는 단백질 효소이다.
  2. Cas9 단독으로 특정 DNA 서열을 자를 수 있다.
  3. 세균은 박테리오파지 감염 방어에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다.
  4. 세균 염색체상에 CRISPR 영역이 위치한다.
  5.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으로 돌연변이의 복구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Cas9 단독으로 특정 DNA 서열을 자를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Cas9는 RNA guide와 함께 작동하여 특정 DNA 서열을 인식하고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RNA guide가 없으면 Cas9는 DNA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좌우대칭동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체동물은 촉수담륜동물문이다.
  2. 후구동물은 원구(blastopore)에서 입이 발달된다.
  3. 좌우대칭동물은 삼배엽성동물이다.
  4. 환형동물은 진체강동물이다.
  5. 탈피동물은 외골격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형동물은 진체강동물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후구동물은 원구에서 입이 발달되는데, 이는 배아 발달 초기에 형성되는 구조물인 원구에서 입이 발달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척추동물뿐만 아니라 절지동물, 연체동물 등 다양한 동물군에서도 나타납니다.

    좌우대칭동물은 삼배엽성동물이며, 대표적으로 척추동물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들은 왼쪽과 오른쪽이 대칭을 이루는 것이 특징입니다.

    환형동물은 진체강동물이 아닌 절지동물에 속하는 동물군입니다. 이들은 몸이 원형을 이루며, 입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탈피동물은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절지동물의 일종인 절지류가 이에 해당됩니다. 이들은 외골격을 탈피하면서 성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진파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지진파의 속도가 바위와 토양에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고, "ㄷ"는 지진파가 지하에서 반사되어 다시 지표면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설명하기 때문에 옳은 것이다. "ㄴ"은 보기에서 설명되지 않았으므로 오답이다. "ㄱ, ㄷ"는 지진파와 관련된 중요한 현상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정답이다. "ㄱ, ㄴ, ㄷ"는 모두 지진파와 관련된 현상을 설명하고 있지만, "ㄴ"은 "ㄱ"과 "ㄷ"보다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기 때문에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베게너가 대륙 이동설의 증거로 제시한 것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베게너가 대륙 이동설의 증거로 제시한 것은 지구의 대륙들이 서로 맞닿아 있을 때 동물과 식물의 분포가 어떻게 되는지를 관찰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대서양과 인도양 사이에는 유사한 동물과 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이들 대륙이 서로 맞닿아 있었던 증거라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ㄱ, ㄷ"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판의 경계 중 발산형 경계에서 생성된 지형으로 옳은 것은?

  1. 마리아나 해구
  2. 산안드레아스 단층
  3. 알프스 산맥
  4. 히말라야 산맥
  5. 동아프리카 열곡대
(정답률: 알수없음)
  • 판의 경계 중 발산형 경계에서 생성된 지형은 산맥이나 열쇠모양 산들, 화산 등이다. 이 중에서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프리카 대륙과 아라비아, 인도, 호주 등의 대륙이 분리되면서 발생한 지형으로, 발산형 경계에서 생성된 대표적인 지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표준화석의 조건과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물의 생존기간이 짧아야 한다.
  2. 생물이 살았던 환경을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3. 생물의 개체수가 많아야 한다.
  4. 생물의 분포면적이 넓어야 한다.
  5. 지층의 생성시기를 알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이 살았던 환경을 추정하는데 이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표준화석은 생물의 생존기간이 짧아야 하고, 개체수가 많아야 하며, 분포면적이 넓어야 합니다. 또한 지층의 생성시기를 추정하는 데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대양에서 나타나는 시계 방향의 환류에 속하지 않는 해류는?

  1. 멕시코 만류
  2. 페루 해류
  3. 쿠로시오 해류
  4. 캘리포니아 해류
  5. 카나리아 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대양에서 나타나는 시계 방향의 환류는 북태평양 해류와 남태평양 해류로 나뉘는데, 이들 해류는 모두 북쪽으로 흐르는 페루 해류와 만나 환류를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페루 해류는 시계 방향의 환류에 속하지 않는 유일한 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은 북반구에서 지균풍이 불 때, 마찰이 없는 상층의 기압경도력, 전향력, 바람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점선은 등압선이다.)

  1. A는 전향력이다.
  2. A는 등압선 간격이 넓을수록 커진다.
  3. B는 풍속이 강할수록 커진다.
  4. B는 중위도보다 적도에서 크다.
  5. 지표에서 마찰이 발생한다면 B의 크기가 A의 크기보다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A는 등압선 간격이 넓을수록 커지는 전향력을 나타내고, B는 마찰이 없는 상층에서 풍속에 비례하여 커지는 기압경도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B는 풍속이 강할수록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은 온도에 따른 포화수증기량곡선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는 포화상태이다.
  2. B는 불포화상태이다.
  3. B의 이슬점은 20℃이다.
  4. C의 상대습도는 100%이다.
  5. D상태에서는 응결이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B의 이슬점은 20℃이 아니다. 이슬점은 포화수증기압과 현재 상태의 수증기압이 같아지는 온도를 말하는데, B의 경우 현재 수증기압이 포화수증기압보다 작기 때문에 이슬점은 20℃보다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은 어느 날 지구에서 관측한 금성과 달의 위치를 공전궤도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금성과 지구, 그리고 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금성과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이를 "슈퍼문" 또는 "슈퍼문 이펙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표는 별 A, B, C의 겉보기 등급과 연주시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ㄱ, ㄷ"

    표에서 A, B, C의 겉보기 등급과 연주시차를 비교해보면 A와 B는 겉보기 등급이 같지만 연주시차가 다르고, B와 C는 겉보기 등급이 다르지만 연주시차가 같다. 따라서 A, B, C 중에서 겉보기 등급과 연주시차가 모두 같은 것은 없으므로 "ㄱ,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은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타원 은하이다.
  2. 은하의 중심 방향은 황소자리 부근에 위치한다.
  3. 태양은 우리은하의 나선 팔에 위치한다.
  4. 헤일로(halo)는 주로 젊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
  5. 나선 팔에는 나이 많은 별들로 구성된 구상성단이 주로 분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태양은 우리은하의 나선 팔에 위치한다. 이는 우리은하가 나선 은하이기 때문에 나선 팔에 위치한 별들은 나이가 많은 별들로 구성된 구상성단이 주로 분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