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16)

금속도장기능사
(2007-09-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

1. 먼셀(Munsell)의 주요 5원색은?

  1. 빨강, 노랑, 녹색, 파랑, 보라
  2. 빨강, 주황, 녹색, 남색, 보라
  3. 빨강, 노랑, 청록, 남색, 자주
  4. 빨강, 주황, 녹색, 파랑, 자주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 색채계는 색을 측정하고 분류하는 시스템으로, 색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색상(hue), 채도(chroma), 밝기(value)를 이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먼셀의 주요 5원색은 색상(hue)을 기준으로 빨강, 노랑, 녹색, 파랑, 보라로 정해졌습니다. 이는 색상(hue)이 가장 분명하게 구분되는 색상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동시대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상대비
  2. 명도대비
  3. 보색대비
  4. 면적대비
(정답률: 80%)
  • 면적대비는 다른 세 가지 대비와 달리 색상이나 명도가 아닌, 영역의 크기에 따른 대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동시대비와는 개념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대비이며, 시각적으로도 다른 대비와는 구분이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먼셀(Munsell) 표색계 표기가 5R 4/14인 경우, 채도를 나타내는 것은?

  1. 5
  2. R
  3. 4
  4. 14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 표색계에서 "5R"은 색상을 나타내고, "4"는 색상의 진하기(hue)를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14"는 채도(chroma)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5R 4/14"는 빨간색 계열의 색상 중 진하기가 중간 정도이며, 채도가 14인 색상을 의미합니다. 채도는 색상의 선명도나 진하게 나타나는 정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색상이 더 진하고 선명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가산혼합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색료를 혼합할 때 색 수가 많을수록 혼합 결과의 명도는 낮아진다.
  2. 컬러영화필름, 색채사진 등이 가산혼합의 예이다.
  3. 가산혼합의 3원색은 마젠타, 노랑, 시안이다.
  4. 2가지 이상의 색광을 혼합할 때 혼합 결과의 명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2가지 이상의 색광을 혼합할 때 혼합 결과의 명도가 높아진다. - 이는 빛의 혼합에서 적용되는 원리로, 빨강, 초록, 파랑 등의 색광을 혼합할 때 각각의 색광이 가진 명도를 합쳐서 더 밝은 색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를 가산혼합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색채 조화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계획으로 틀린 것은?

  1. 동화된 분위기를 얻기 위하여 동색상의 조화를 실시한다.
  2. 주제와 배경과의 대비를 생각한다.
  3. 색의 차고 따뜻한 느낌을 이용한다.
  4. 무채색의 사용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3%)
  • 무채색은 색상의 조화를 깨뜨리고, 무관심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저명도와 저채도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저명도는 어둡고 저채도는 맑다.
  2. 저명도는 어둡고 저채도는 탁하다.
  3. 저명도는 밝고 저채도는 맑다.
  4. 저명도는 밝고 저채도는 탁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명도는 색상의 밝기가 낮아서 어둡게 느껴지고, 저채도는 색상의 선명도가 낮아서 색감이 탁해 보인다. 따라서 "저명도는 어둡고 저채도는 탁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색 중 명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주황
  2. 보라
  3. 노랑
  4. 연두
(정답률: 알수없음)
  • 보라가 명도가 가장 낮은 색입니다. 이유는 보라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색 모두 명도가 높은 색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은 색의 3속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A에 해당되는 요소는 무엇인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명시도
(정답률: 알수없음)
  • A에 해당되는 요소는 "명도"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세로축이 명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거나, 이미지에서 사용되지 않는 속성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배색 중 가장 따뜻한 느낌의 배색은?

  1. 파랑과 녹색
  2. 노랑과 녹색
  3. 주황과 노랑
  4. 빨강과 파랑
(정답률: 알수없음)
  • 주황과 노랑은 노란색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상입니다. 또한, 주황색은 태양이 떠오르는 느낌을 주고, 노란색은 따뜻한 햇살을 상징하기 때문에 더욱 따뜻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주황과 노랑이 가장 따뜻한 느낌의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색료혼합의 결과로 옳은 것은?

  1. 파랑(B) + 빨강(R) = 자주(M)
  2. 노랑(Y) + 청록(C) = 파랑(B)
  3. 자주(M) + 노랑(Y) = 빨강(R)
  4. 자주(M) + 청록(C) = 검정(BL)
(정답률: 알수없음)
  • 자주(M)는 빨강(R)과 파랑(B)의 혼합으로 만들어지고, 노랑(Y)은 파랑(B)와 청록(C)의 혼합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자주(M)과 노랑(Y)을 섞으면 빨강(R)과 파랑(B)이 함께 혼합되어 빨강(R)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흰색에 대하여 추상적으로 연상되는 감정이 아닌 것은?

  1. 청결
  2. 순수
  3. 침묵
  4. 소박
(정답률: 알수없음)
  • "청결", "순수", "소박"은 모두 흰색과 관련하여 추상적인 감정이지만, "침묵"은 색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회색을 흰색 바탕 위에 놓으면 회색이 더욱 어둡게 보이는 현상은?

  1. 색상대비
  2. 명도대비
  3. 채도대비
  4. 보색대비
(정답률: 80%)
  • 회색은 밝기가 중간 정도인 색상이므로, 흰색과 함께 놓으면 흰색이 더욱 밝아지고 회색은 더욱 어둡게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명도대비라고 합니다. 명도대비는 색상의 밝기 차이에 따라 색상의 구분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녹막이도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 수분, 유해가스의 접촉을 막는다.
  2. 화학적, 물리적으로 녹을 막는 작용을 한다.
  3. 중도 다음에 칠한다.
  4. 안료는 크롬산염을 사용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퍼티 연마의 마무리를 할 때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연마지는?

  1. #60 ∼ 80
  2. #240 ∼ 320
  3. #400 ∼ 500
  4. #600 ∼ 1000
(정답률: 73%)
  • 퍼티 연마는 고급 마감을 위해 마지막으로 사용되는 연마 과정입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연마지는 #240 ~ 320입니다. 이유는 이 범위의 연마지는 표면을 부드럽게 마무리하면서도 충분한 연마력을 가지고 있어 깨끗하고 매끄러운 마감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의 연마지는 너무 까다롭지 않아 작업자가 실수를 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산염 화성처리의 장점은?

  1. 피막이 두터워서 외력(外力)을 가하여도 견디는 힘이 강하다.
  2. 굴곡, 강도에 강하기 때문에 화성처리 후의 변형 가공이 쉽다.
  3. 금속 피도물과 도료의 부착성이 증대된다.
  4. 화성처리 후 장시간 노출시키면 결정피막의 내식성이 증가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산염 화성처리는 금속 표면에 인산염을 코팅하여 표면을 보호하고 내식성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인산염 코팅이 표면에 밀착하여 피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피막은 매우 얇고 밀도가 높아서 금속 피도물과 도료의 부착성이 증대됩니다. 따라서 인산염 화성처리를 한 금속 표면은 부식이나 마모에 강하며, 도장 등의 부착성도 높아져서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착색안료가 아닌 것은?

  1. 징크 크로메이드
  2. 아연화
  3. 황연
  4. 카본블랙
(정답률: 47%)
  • 정답: 징크 크로메이드

    설명: 징크 크로메이드는 산화 아연과 크로뮴산을 혼합하여 만든 화합물로, 착색안료가 아닌 화학 물질입니다. 아연화는 아연과 황의 혼합물로 착색안료입니다. 황연은 황의 혼합물로 착색안료입니다. 카본블랙은 탄소의 혼합물로 착색안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청안료 중 가장 독성이 적은 안료는?

  1. 아연말
  2. 징크 크로메이트
  3. 염기성 크롬산 연
  4. 광명단
(정답률: 64%)
  • 아연말은 무해하고 안전한 청색 안료로,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습니다. 반면, 징크 크로메이트와 염기성 크롬산 연은 각각 암과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는 가능성이 있으며, 광명단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따라서, 방청안료 중 가장 독성이 적은 안료는 아연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정도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내후성과 내열성이 나쁘다.
  2. 용제가 증발하여 수지가 도막으로 된다.
  3. 용제로서는 주로 휘발유를 사용한다.
  4. 목재에는 적합하나 경금속, 모르타르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제로서는 주로 휘발유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틀린 것은 "내열성이 나쁘다."입니다. 주정도료는 내열성이 높아서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고 유지됩니다.

    주정도료는 목재, 경금속, 모르타르 등 다양한 재료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경금속이나 모르타르에는 부적합합니다. 이는 경금속이나 모르타르가 주정도료의 용제로 사용될 때 용제가 증발하여 수지가 도막으로 된다는 것 때문입니다.

    주정도료의 용제로는 휘발유, 식용유, 동물성 기름 등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휘발유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휘발유가 증발속도가 빠르고, 건조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철강의 검은 녹과 관계없는 것은?

  1. 이삼산화철(Fe2O3)
  2. 산화철(FeO)
  3. 삼사산화철(Fe3O4)
  4. 산화알루미늄(Al2O3)
(정답률: 67%)
  • 산화알루미늄은 철강의 구성 성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철강은 주로 철과 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검은 녹은 철의 산화물인 이삼산화철, 산화철, 삼사산화철 등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철과는 다른 원소이기 때문에 철강의 검은 녹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난연성과 내약품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특징은 있으나 부착성이 나빠서 부착성이 좋은 프라이머를 필요로 하는 도료는?

  1. 염화비닐수지 도료
  2. 유성 도료
  3. 비닐졸 도료
  4. 에멀션 도료
(정답률: 91%)
  • 염화비닐수지 도료는 난연성과 내약품성, 내수성이 우수하지만 부착성이 나빠서 부착성이 좋은 프라이머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이 도료는 부착성을 높이기 위해 프라이머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도장재료

21. 프라이머 중 연단이 주성분이며, 연단 이외에도 산화연을 함유시킨 것으로 철강의 방청을 목적으로 한 녹방지 도료는?

  1. 광명단 프라이머
  2. 징크 크로메이트 프라이머
  3. 래커 프라이머
  4. 오일 프라이머
(정답률: 알수없음)
  • 녹방지 도료는 철강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중 연단이 주성분인 프라이머는 철강 표면에 높은 부식 저항성을 제공합니다. 광명단 프라이머는 연단 이외에도 산화연을 함유시켜 더욱 강력한 부식 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철강의 방청을 목적으로 한 녹방지 도료로 광명단 프라이머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특수 안료 중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안료는?

  1. 형광안료
  2. 시온안료
  3. 발광안료
  4. 축광안료
(정답률: 알수없음)
  • 시온안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안료입니다. 이는 시온안료 분자 내부에 있는 색소 분자들이 온도 변화에 따라 위치를 바꾸면서 색상이 변화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알루미늄 피막 처리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양극 산화 피막 처리법
  2. 인산염 처리법
  3. 크로메이트 처리법
  4. 블라스트 처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피막 처리법 중에서 블라스트 처리법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블라스트 처리법이 알루미늄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기 위한 기계적인 방법으로, 피막을 형성하는 화학적인 처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양극 산화 피막 처리법, 인산염 처리법, 크로메이트 처리법은 모두 알루미늄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화학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용제의 휘발만으로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는?

  1. 비닐수지도료
  2. 에멀젼도료
  3. 주정도료
  4. 래커
(정답률: 알수없음)
  • 래커는 용제의 휘발만으로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입니다. 이는 라커의 용제가 휘발성이 높아서 빠르게 증발하면서 도료 입자를 고체 상태로 남겨두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라커는 빠른 건조성과 높은 광택성을 가지며, 특히 자동차나 가구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폴리싱 콤파운드(Polishing compound)의 주된 용도는?

  1. 연마제
  2. 건조제
  3. 백화방지제
  4. 방부제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싱 콤파운드는 주로 연마제로 사용됩니다. 이는 표면의 깊은 부분까지 연마하여 광택을 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내알칼리성이 가장 좋은 도료는?

  1. 에폭시수지 도료
  2. 에멀션 도료
  3. 유성 도료
  4. 비닐졸 도료
(정답률: 70%)
  • 에폭시수지 도료는 내알칼리성이 가장 좋은 도료입니다. 이는 에폭시수지 도료가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알칼리성 물질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폭시수지 도료는 콘크리트나 철강 등의 알칼리성 표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내구성과 방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 도장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탈지의 방법 중 물리, 기계적 탈지방법이 아닌 것은?

  1. 스크레이퍼법
  2. 에멀션 세척법
  3. 블라스트법
  4. 고온가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에멀션 세척법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지방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물리, 기계적인 방법이 아닌 것입니다. 스크레이퍼법, 블라스트법, 고온가열법은 모두 물리, 기계적인 방법으로 지방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크롬과 니켈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비철금속은?

  1. 냉연강판
  2. 함석판
  3. 브론즈메탈(Bronze metal)
  4. 스테인레스 강판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롬과 니켈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인레스 강판이라고 불립니다. 스테인레스 강판은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녹이나 부식에 강합니다. 따라서 식음료 산업이나 의료기기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료용 용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도료 또는 전색제에 대한 용해성이 좋을 것
  2. 불휘발 유분을 남기지 않고 전부가 증발 할 것
  3. 휘발분은 악취가 없고 독성이 없을 것
  4. 진한색을 갖고 있을 것
(정답률: 100%)
  • 진한색을 갖고 있을 것은 구비조건이 아니라 도료용 용제의 특성 중 하나일 뿐입니다. 도료용 용제는 도료를 분산시키고 희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용해성이 좋고 불휘발 유분을 남기지 않으며 휘발분이 악취가 없고 독성이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색상은 도료의 종류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열경화성 아크릴수지 도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후성이 우수하며 광택이 좋다.
  2. 아미노 알키노 수지에 비해 소부온도가 낮다.
  3. 내약품성, 부착성, 내오염성이 좋다.
  4. 색상 보유력이 우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경화성 아크릴수지 도료는 아미노 알키노 수지에 비해 소부온도가 낮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열경화성 아크릴수지 도료가 아미노 알키노 수지에 비해 높은 소부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미노 알키노 수지에 비해 소부온도가 낮다."는 특징은 열경화성 아크릴수지 도료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조작이 간단하여 투명 도료나 수지 용액의 점도 측정에 사용되는 점도계는?

  1. 모세관 점도계
  2. 기포 점도계
  3. 스토머 점도계
  4. B형 점도계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 점도계는 간단한 조작으로 점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투명 도료나 수지 용액과 같은 물질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명 도료나 수지 용액의 점도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장작업 중 기본적인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속건성 도료의 도장은 햇빛을 이용한 건조가 좋다.
  2. 저온 다습을 피한다.
  3. 바탕의 조성에 정성을 들인다.
  4. 도료의 품질을 조사하여 사용법에 주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속건성 도료의 도장은 햇빛을 이용한 건조가 좋다."

    이유: 속건성 도료는 햇빛에 노출되면 건조가 빨라지기 때문에 햇빛을 이용한 건조가 좋다. 이는 다른 도료와는 달리 속건성 도료의 특성으로 인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실내의 천장이나 벽 등 넓고 평활한 면을 도장하는데 능률적이며, 작업성도 붓 작업보다 대단히 뛰어난 도장은?

  1. 주걱도장
  2. 전착도장
  3. 롤러 브러쉬도장
  4. 정전도장
(정답률: 알수없음)
  • 롤러 브러쉬도장은 넓은 면적을 빠르고 균일하게 도장할 수 있는 도장 방법입니다. 롤러 브러쉬를 사용하여 벽이나 천장 등의 면을 균일하게 칠할 수 있으며, 붓 작업보다 작업성이 뛰어나고 더욱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실내의 천장이나 벽 등 넓은 면적을 도장할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중도용 도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도와 상도의 부착을 좋게 하고 상도를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도장하는 것이다.
  2. 용제의 휘발만으로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이다.
  3. 퍼티의 흡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4. 중간 도장을 두꺼운 도막으로 하고 연마지로 그 대부분을 연마하여 평탄한 면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제의 휘발만으로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중도용 도료는 용제와 함께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입니다. 용제의 휘발은 도막 형성에 도움을 주지만, 도료 자체가 용제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막에 녹, 부풀음이 발생하는가를 시험하는 것은?

  1. 가열시험
  2. 염수분무시험
  3. 침전시험
  4. 내습시험
(정답률: 73%)
  • 도막에 녹, 부풀음이 발생하는 것은 습기나 물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물 혹은 염수를 분무하여 도막의 내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염수분무시험이라고 합니다. 가열시험은 열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는 것이고, 침전시험은 도막 내부의 화학적 안정성을 시험하는 것입니다. 내습시험은 습기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피도물에 도료를 흘려 내려서 도장하는 방법은?

  1. 플로우 도장
  2. T.F.S 도장
  3. 텀블링 도장
  4. 분체 도장
(정답률: 알수없음)
  • 피도물에 도료를 흘려 내려서 도장하는 방법은 "플로우 도장"입니다. 이는 피도물에 도료를 떨어뜨려서 표면을 덮는 방식으로, 도료의 두께와 균일성을 조절하기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처리 작업의 중요한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소지면과 도료의 친화력과 습윤성을 없앤다.
  2. 소지면을 안정화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3. 소지면에 부착, 생성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4. 소지면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소지면을 평탄하게 한다.
(정답률: 80%)
  • 전처리 작업의 중요한 목적은 제품의 내식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소지면과 도료의 친화력과 습윤성을 없앤다."는 오히려 전처리 작업의 목적과는 반대되는 행동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전처리 작업에서는 소지면을 안정화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소지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소지면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소지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금속의 작은 입자를 분사시켜 제청하는 방법은?

  1. 샌드 블라스트법
  2. 쇼트 블라스트법
  3. 원심 블라스트법
  4. 위트 블라스트법
(정답률: 100%)
  • 쇼트 블라스트법은 고속의 공기나 가스를 이용하여 금속 입자를 분사시켜 제청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샌드 블라스트법과 비교하여 입자의 크기가 작고, 분사 속도가 빠르며, 작업 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샌드 블라스트법과 달리 환경오염이 적고, 작업자의 안전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금속의 작은 입자를 분사시켜 제청하는 방법으로는 쇼트 블라스트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무 도장시 스프레이 건의 패턴 형상이 그림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1. 도료의 분출량이 과다하다.
  2. 도료의 점도가 높다.
  3. 스프레이 공기캡에 측면 구멍이나 보조 구멍의 일부가 막혔다.
  4. 분무압력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레이 건의 패턴 형상이 그림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면, 스프레이 공기캡에 측면 구멍이나 보조 구멍의 일부가 막혔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분사되는 공기와 도료의 비율이 바뀌어 분사 패턴이 변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기용제에 의한 재해요소가 아닌 것은?

  1. 화재
  2. 감전
  3. 중독
  4. 폭발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용제는 화재, 중독, 폭발 등의 재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감전은 유기용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감전은 전기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도장

41. 적외선 건조 장치에서 건조에 사용되는 열에너지 형태는?

  1. 대류열
  2. 복사열
  3. 전도열
  4. 간접열
(정답률: 알수없음)
  • 적외선 건조 장치에서 건조에 사용되는 열에너지는 복사열입니다. 이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에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대류열은 공기의 움직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이고, 전도열은 물체 내부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입니다. 간접열은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세척법 중 효능은 작지만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심한 상태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탈지 방법의 보조적인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산세척법
  2. 알칼리세척법
  3. 용제세척법
  4. 에멀션세척법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제세척법은 오염물질을 용제(화학제)로 용해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오염물질의 종류와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이 간단하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오염물질이 심한 경우에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며, 다른 세척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건성유를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 도장이 용이하며, 특히, 붓 작업이 쉽고 휘발성이 적기 때문에 1회에 두꺼운 도막이 가능한 도료는?

  1. 유성 도료
  2. 비닐졸 도료
  3. 에멀션 도료
  4. 주정 도료
(정답률: 알수없음)
  • 유성 도료는 건성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도장이 용이하고 붓 작업이 쉽습니다. 또한 휘발성이 적어 1회에 두꺼운 도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유성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정전 도장시 발생하는 백화(blushing) 현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하도 도막이 두꺼울 때
  2. 도장 환경이 고온 다습한 경우
  3. 피도물이 젖어 있을 때
  4. 사용 용제의 증발 속도가 빠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도장에서 발생하는 백화 현상은 일반적으로 도장 내부의 습도와 온도, 사용 용제의 증발 속도, 그리고 도막의 두께와 밀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하도 도막이 두꺼울 때"는 백화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도장 내부의 습도와 온도, 사용 용제의 증발 속도 등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도막이 두꺼울 경우에는 오히려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안전, 보건표지의 종류와 색상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금지표지 - 빨강
  2. 정지표지 - 노랑
  3. 안내표지 - 녹색
  4. 지시표지 - 파랑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표지는 주로 노란색으로 표시되며, 빨간색은 금지표지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지표지 - 노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안료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도장시 건조 속도를 조절한다.
  2. 도료에 유동성을 준다.
  3. 도막에 내구력, 기계적 강도를 보강해 준다.
  4. 도막에 색채를 부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료에 유동성을 준다는 것은 안료가 도료의 특성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막에 내구력, 기계적 강도를 보강해 준다는 것은 안료가 도막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켜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막에 색채를 부여한다는 것은 안료가 도막의 색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안료의 역할이 아닌 것은 "도장시 건조 속도를 조절한다."입니다. 이는 보통 건조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적인 도장 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하도 → 바탕조정 → 퍼티 및 연마 → 광택 마무리 → 중도 → 상도
  2. 바탕조정지 → 하도 → 퍼티 및 연마 → 중도 → 상도 → 광택 마무리
  3. 바탕조정 → 퍼티 및 연마 → 중도 → 광택 마무리 → 수연 → 상도
  4. 바탕조정 → 상도 → 퍼티 및 연마 → 중도 → 하도 → 광택 마무리
(정답률: 100%)
  • 바탕조정지 → 하도 → 퍼티 및 연마 → 중도 → 상도 → 광택 마무리가 옳은 순서입니다.

    도장 공정에서는 먼저 바탕조정지로 표면을 정리하고, 하도로 도장을 덮어주어 기본 색상을 입힙니다. 그 후 퍼티 및 연마로 표면을 연마하여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중도에서는 중간 층을 덮어주어 색상을 더 진하게 만들어주고, 상도에서는 최종 층을 덮어주어 완성도를 높여줍니다. 마지막으로 광택 마무리로 도장의 광택을 높여주어 완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착도장의 단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착성이 우수하지 않다.
  2. 전력의 소비가 많으며 설비비가 많이 든다.
  3. 피도물이 도전성이 없으면 도장이 곤란하다.
  4. 가열 온도가 높고 색의 교환은 거의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착도장은 부착성이 우수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는 도장을 부착할 재질의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워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도장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착도장을 사용할 때는 부착할 재질의 표면 처리에 매우 신경써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도료를 보관하는 곳으로 가장 적합한 장소는?

  1. 어둡고, 밀폐된 창고
  2. 햇빛이 잘 드는 밀폐된 창고
  3. 통풍이 잘 되고 차광을 알맞게 한 내화구조의 창고
  4. 습기가 많은 내화구조의 창고
(정답률: 알수없음)
  • 도료는 공기 중의 습기와 빛에 노출되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통풍이 잘 되고 차광을 알맞게 한 내화구조의 창고가 가장 적합합니다. 통풍이 잘 되면 습기가 적어지고, 차광을 알맞게 하면 빛에 노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화구조의 창고는 화재 발생 시 안전성이 높아서 보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열풍 대류 건조 장치 중 오븐의 구성 형식이 건조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터널로
  2. 사다리꼴로
  3. 캐비넷형로
  4. 열풍 발생로
(정답률: 알수없음)
  • 열풍 발생로는 대류 건조 방식이 아니라 직접적인 열을 가하여 건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대류 건조 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스프레이 건의 구조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공기 캡은 주 중심 구멍, 측면 공기 구멍, 보조 공기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일반 도료용은 내부 혼합식이 사용되고, 고점도나 특수도료는 외부 혼합식이 사용된다.
  3. 조절부는 공기량 조절 장치, 도료 분출량 조절 장치, 패턴 조절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4. 도료 노즐은 도료 통로와 공기 통로로 이루어져 있고 열처리된 강철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정답률: 80%)
  • 정답은 "일반 도료용은 내부 혼합식이 사용되고, 고점도나 특수도료는 외부 혼합식이 사용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스프레이 건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기 캡: 주 중심 구멍, 측면 공기 구멍, 보조 공기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기 캡은 공기를 통해 도료를 분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조절부: 공기량 조절 장치, 도료 분출량 조절 장치, 패턴 조절 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조절부는 사용자가 스프레이 건을 조절하여 원하는 분사 패턴을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
    - 도료 노즐: 도료 통로와 공기 통로로 이루어져 있고 열처리된 강철계 합금으로 만들어집니다. 도료 노즐은 공기 캡과 함께 도료를 분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 도료용과 고점도나 특수도료의 구분은 내부 혼합식과 외부 혼합식의 차이입니다. 내부 혼합식은 도료와 공기가 스프레이 건 내부에서 혼합되어 분사되는 방식이고, 외부 혼합식은 도료와 공기가 스프레이 건 외부에서 혼합되어 분사되는 방식입니다. 고점도나 특수도료는 내부 혼합식으로는 분사가 어렵기 때문에 외부 혼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인산염 피막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비가 간단하여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다.
  2. 내식성이 있고 마모성이 강하다.
  3. 피막은 전기를 통하지 않고 녹이 번지는 것을 막는다.
  4. 재질이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품종을 선택할 수 있다.
(정답률: 91%)
  • "설비가 간단하여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인산염 피막은 설비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높아 대량 생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스프레이 건을 사용한 후의 일반적인 손질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세척액을 도료용기에 넣어 세척액을 분산시켜 도료 통로를 세척시킨다.
  2. 공기 캡, 도료 노즐, 기타 몸체를 물로 깨끗이 닦는다.
  3. 도료 노즐, 기타 니들, 당김쇠 등의 마찰 부분에는 기름칠을 한다.
  4. 니들 조정 패킹, 공기 조정 패킹 등의 패킹 부위부터 새는 데가 없나 점검한다.
(정답률: 70%)
  • 정답인 "공기 캡, 도료 노즐, 기타 몸체를 물로 깨끗이 닦는다."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이유는 스프레이 건을 사용한 후에는 세척액을 사용하여 도료 통로를 세척해야 하며, 그 후에는 물로 깨끗이 헹궈서 마른 수건로 닦아주어야 합니다. 물만으로 닦으면 도료나 오일 등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스크레이퍼 탈청 작업 중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 때 가장 올바른 치료방법은?

  1. 핀셋으로 하나하나 집어낸다.
  2. 에어로 불어낸다.
  3. 수건이나 비눗물로 닦아 낸다.
  4. 전문의의 조치를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레이퍼 탈청 작업 중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 때는 눈을 자주 깨끗이 씻어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물질이 눈에 깊숙이 박혀 있거나 눈이 아프거나 붓는다면 전문의의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핀셋이나 에어로로 제거하려고 하면 더 큰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건이나 비눗물로 닦아낸다면 눈을 더욱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의의 조치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크레이터링(cratering)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중간에 필터를 부착시킨다.
  2. 에어로 불어낸다.
  3. 상도 도료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도장한다.
  4. 용해성이 양호한 용제를 사용하여 유동성을 높인다.
(정답률: 70%)
  • 상도 도료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도장하는 것은 크레이터링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아니라, 도료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경우 도료의 표면장력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크레이터링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중간에 필터를 부착시키거나 에어로 불어내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에어 컴프레서 관련 기기 중 혼탁액인 드레인을 제거하는 것은?

  1. 공기 청정기
  2. 공기 감압밸브
  3. 공기 탱크
  4. 배관
(정답률: 90%)
  • 에어 컴프레서에서 생산되는 공기 중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수분은 에어 컴프레서 내부에서 생기는 증기와 함께 혼합되어 혼탁액인 드레인으로 배출됩니다. 이러한 혼탁액은 기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가 공기 청정기입니다.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수분과 오일, 먼지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에어 컴프레서에서 생산되는 혼탁액인 드레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전 도장 작업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건(gun)을 시너 속에 담글 것
  2. 고압 발생기는 접지할 것
  3. 고압 발생기는 도장 부스 내에 설치하지 않을 것
  4. 필터는 정기적으로 청소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건(gun)을 시너 속에 담글 것"이 틀린 것입니다. 정전 도장 작업시에는 건(gun)을 시너 속에 담기보다는 시너 앞에 위치시켜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붓 도장에 사용하는 붓 중 건조가 빠른 도료는 붓 사용시 충분히 적셔 주어야 하며, 끝이 부드러운 것을 필요로 하는 붓은?

  1. 래커 붓
  2. 페인트 붓
  3. 바니시 붓
  4. 수성 붓
(정답률: 알수없음)
  • 래커 붓은 건조가 빠른 도료인 래커를 사용할 때 적합하며, 끝이 부드러운 표면을 필요로 하는 붓으로서 래커 붓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나무주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노송나무의 곧은 결이나 벚나무 등으로 만든다.
  2. 반죽이나 바탕 붙임, 버팀 붙임 등에 사용된다.
  3. 도장 작업자에 따라서 직접 제작이 가능하다.
  4. 주로 원형으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원형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나무주걱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작되며,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손잡이가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나무주걱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염기산과 다가알콜을 주로 한 에스테르를 각종 오일(oil) 또는 지방산으로 변성한 합성수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안료의 분산이 쉬운 특성을 가진 도료는?

  1. 비닐 수지 도료
  2. 알키드 수지 도료
  3. 에폭시 수지 도료
  4.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
(정답률: 20%)
  • 알키드 수지 도료는 다염기산과 다가알콜을 주로 한 에스테르를 각종 오일 또는 지방산으로 변성한 합성수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안료의 분산이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도료입니다. 따라서 이 도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