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2-03)

금속도장기능사
(2008-02-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

1. 다음 중 채도와 관련 없는 것은?

  1. 순색
  2. 맑은 색
  3. 탁색
  4. 밝은 색
(정답률: 알수없음)
  • 밝은 색은 채도와 관련이 없습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나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밝은 색은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밝은 색은 채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중간 혼합에 해당되는 것은?

  1. 감산 혼합
  2. 회전 혼합
  3. 가산 혼합
  4. 색광 혼합
(정답률: 92%)
  • 중간 혼합은 빛의 색깔이 서로 섞여서 새로운 색이 만들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감산 혼합과 가산 혼합은 각각 빨강, 초록, 파랑(RGB) 또는 청록, 자홍, 노랑(CMY) 색을 혼합하여 새로운 색을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중간 혼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색광 혼합은 빛의 파장이 서로 섞여서 새로운 색이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중간 혼합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회전 혼합은 빨강, 초록, 파랑 색을 회전시켜서 섞는 방식으로 중간 혼합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전 혼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가장 후퇴 및 수축해 보이는 색은?

  1. 고채도, 고명도색
  2. 저채도, 저명도색
  3. 저채도, 고명도색
  4. 중채도, 중명도색
(정답률: 92%)
  • 정답은 "저채도, 저명도색"입니다. 이유는 색의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채도가 낮고,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도 낮기 때문에 후퇴 및 수축해 보입니다. 즉, 색이 흐려보이고 어두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색의 유사조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빨강과 연두와 같은 배색조화를 말한다.
  2. 같은 색상에서 명도의 차이를 극단적으로 벌어지게 배색할 때에 얻어지는 조화를 말한다.
  3. 서로 반대되는 배색끼리의 조화를 말한다.
  4. 명도가 비슷한 인접 색상을 동시에 배색하였을 때 얻어지는 색의 조화를 말한다.
(정답률: 92%)
  • 명도가 비슷한 인접 색상을 동시에 배색하였을 때 얻어지는 색의 조화를 말한다. 이는 인접한 색상들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지면서 조화로운 느낌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파랑 순색에 회색의 혼입량이 단계적으로 많아지면?

  1. 청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낮아진다.
  2. 청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높아진다.
  3. 탁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낮아진다.
  4. 탁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높아진다.
(정답률: 77%)
  • 회색은 색상의 채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파란색에 회색이 혼입되면 파란색의 채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회색이 점점 많아지면서 파란색이 희미해지고 회색이 강해져서 결국에는 탁색이 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탁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색 중 자동차를 가장 크게 보이도록 하는 색은?

  1. 노랑
  2. 파랑
  3. 연두
  4. 검정
(정답률: 92%)
  • 노랑은 시각적으로 가장 밝고 선명한 색상 중 하나이며, 주변과 대조되어 눈에 더욱 띄게 보입니다. 따라서 자동차를 가장 크게 보이도록 하기에 적합한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1. 흰색
  2. 녹색
  3. 청록
  4. 자주
(정답률: 58%)
  • 채도란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자주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채도가 가장 높은 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명시도가 가장 높은 배색은?

  1. 빨강-노랑
  2. 검정-노랑
  3. 녹색-흰색
  4. 파랑-회색
(정답률: 84%)
  • 검정-노랑이 명시도가 가장 높은 배색입니다. 검정은 어두운 색이며, 노랑은 밝은 색입니다. 이 두 색을 함께 사용하면 대비가 크고 눈에 띄기 때문에 명확하게 인식됩니다. 또한 검정은 안정감과 신뢰감을, 노랑은 활기와 경쾌함을 상징하기 때문에, 이 배색은 믿음직하면서도 활기찬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흰색의 상징으로 옳은 것은?

  1. 신성
  2. 활동
  3. 애정
  4. 용기
(정답률: 100%)
  • 흰색은 많은 문화에서 신성하다고 여겨지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흰색이 순수하고 깨끗하며, 빛과 진리를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많은 종교에서도 흰색은 신성한 색상으로 여겨지며, 예를 들어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순수성과 신성성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신성"이 흰색의 상징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빨강색을 주시하다가 흰색 바탕을 보았을 때 나타나는 색은?

  1. 청록
  2. 노랑
  3. 보라
  4. 파랑
(정답률: 67%)
  • 빨강색과 흰색은 보색 관계에 있으므로, 빨강색을 오랫동안 바라보고 흰색을 보면 눈에 보이는 색은 보색인 청록색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여름철 의상에 가장 어울리는 배색은?

  1. 빨강 바탕에 회색 무늬
  2. 흰색 바탕에 빨강 무늬
  3. 흰색 바탕에 파랑 무늬
  4. 빨강 바탕에 파랑 무늬
(정답률: 100%)
  • 여름철은 더운 계절이기 때문에 시원하고 상큼한 느낌을 주는 색상이 어울립니다. 흰색은 시원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주며, 파란색은 바다나 하늘과 연관되어 시원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두 색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장 어울리며, 무늬를 넣어서 더욱 화사하고 경쾌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흰색 바탕에 파랑 무늬"가 여름철 의상에 가장 어울리는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먼셀 표색계의 색상환에서 중성색에 속하는 색은?

  1. 청록
  2. 연두
  3. 빨강
  4. 파랑
(정답률: 92%)
  • 먼셀 표색계에서 중성색은 색상환의 중앙에 위치하며, 색채의 포화도가 낮아서 무채색에 가까운 색상을 의미합니다. 연두는 노란색과 초록색이 혼합된 중성색으로, 먼셀 표색계의 색상환에서 중성색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화촉진성을 갖고 있으며, 도막의 표면효과에 가장 효과가 있는 건조제는?

  1. 고발트(Co) 건조제
  2. 아연(Zn) 건조제
  3. 납(Pb) 건조제
  4. 망간(Mn) 건조제
(정답률: 77%)
  • 고발트(Co) 건조제는 산화촉진성이 강하며, 도막의 표면효과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고발트(Co)가 도막의 표면에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도막의 결합력을 높이고, 더욱 튼튼한 도막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발트(Co) 건조제는 도막의 내구성을 높이고, 부식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상도도료 중 내열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아크릴 수지도료
  2. 애폭시 수지도료
  3. 실리콘 수지도료
  4. 알키드 수지도료
(정답률: 67%)
  • 실리콘 수지도료는 내열성이 가장 우수한 이유는 실리콘 결합이 매우 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실리콘 결합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높은 내열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실리콘 수지도료는 고온에서 사용되는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비철금속재료 중 전기전도도, 열전도율이 높으며 전성과 연성이 가장 좋은 것은?

  1. 구리
  2. 니켈
  3. 황동
  4. 단동
(정답률: 86%)
  • 정답은 "구리"입니다. 구리는 전기전도도와 열전도율이 높아 전기와 열을 잘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전성과 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구리는 전기선, 전선, 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유성 바니시(varnish)를 전색제로 한 프라이머는?

  1. 합성수지 프라이머
  2. 광명단 프라이머
  3. 래커 프라이머
  4. 오일 프라이머
(정답률: 70%)
  • 유성 바니시는 오일 기반의 바니시이기 때문에 오일 프라이머와 호환성이 높아 오일 프라이머를 전색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일 프라이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프탈산 수지라고도 부르며, 상온 건조용 및 가열 건조용 합성수지 도료의 도막 형성 요소로서 현재 많이 사용되는 도료용 합성수지는?

  1. 페놀 수지
  2. 아미노 수지
  3. 알키드 수지
  4. 아크릴 수지
(정답률: 34%)
  • 알키드 수지는 저렴하고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상온 건조용 및 가열 건조용 합성수지 도료의 도막 형성 요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유기 용제와의 호환성이 높아 다른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용제 중 래커용 진용제가 아닌 것은?

  1. 케톤류
  2. 알콜류
  3. 에스테르류
  4. 에테르류
(정답률: 73%)
  • 알콜류는 래커용 진용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래커용 진용제는 보통 케톤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등이 사용됩니다. 알콜류는 래커용 진용제로 사용하기에는 증발속도가 느리고, 물과 혼합되기 쉬워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퍼티 작업시 안료의 농도가 높은 경우 발생하는 결함으로 틀린 것은?

  1. 금이 간다.
  2. 터진다.
  3. 탄성이 높아진다.
  4. 광택이 소실된다.
(정답률: 62%)
  • 안료의 농도가 높을수록 퍼티링 시 안료 입자들이 서로 밀집하여 공간을 채우게 되어 퍼티링 층이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탄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탄성이 높아진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스킹 테이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접착력이 강해야 한다.
  2. 내용제성을 가져야 한다.
  3. 내열성을 가져야 한다.
  4. 접착제가 도막에 남아야 한다.
(정답률: 100%)
  • "접착제가 도막에 남아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마스킹 테이프는 도색 작업 시 페인트가 칠해지지 않아야 할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프로, 접착제가 도막에 남으면 도색 작업이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스킹 테이프는 접착력이 강하고 내용제성, 내열성을 가져야 하지만, 접착제가 도막에 남아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도장재료

21. 분말 수지를 가소제에 분산시킨 비닐졸 도료는?

  1. 에멀션(emulsion) 도료
  2. 주정(spirit) 도료
  3. 오르가노졸(organosol) 도료
  4. 플라스티졸(plastisol) 도료
(정답률: 70%)
  • 분말 수지를 가소제에 분산시킨 비닐졸 도료는 플라스티졸(plastisol) 도료입니다. 이는 PVC(polyvinyl chloride) 수지와 가소제, 안정제, 색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도료로, 가열하면 고체가 되어 원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플라스티졸 도료는 인쇄, 코팅, 접착, 장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탈지용제가 아닌 것은?

  1. 미네랄 스피릿(mineral spirit)
  2. 산화철(iron oxide)
  3. 톨루엔(toluene)
  4.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정답률: 85%)
  • 산화철(iron oxide)은 색소로 사용되는 물질이며, 탈지용제가 아닙니다. 반면, 미네랄 스피릿,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은 모두 탈지용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도막의 부착성이 좋고 내약품성이(특히 내알칼리성)이 좋은 도료는?

  1. 에폭시 수지도료
  2. 요소 수지도료
  3. 페놀 수지도료
  4. 아크릴 수지도료
(정답률: 59%)
  • 에폭시 수지도료는 부착성이 뛰어나고 내약품성이 좋아서 내알칼리성에도 강합니다. 이는 에폭시 수지가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폭시 수지도료가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미노 알키드수지 도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촉매로의 자연 건조형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금속에는 가열형이 사용된다.
  2. 도장방법은 에어 스프레이 정전도장이 사용된다.
  3. 가열온도는 일반적으로 저온룔과 고온용이 많이 사용된다.
  4. 신나는 고온에서 위험성이 없는 전용 신나를 사용한다.
(정답률: 54%)
  • "가열온도는 일반적으로 저온룔과 고온용이 많이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미노 알키드수지 도료는 고온에서 가열되어 건조됩니다. 이는 수지 내의 아미노기와 알데하이드기가 반응하여 크로스링크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온용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료용 식물유 중 건성유가 아닌 것은?

  1. 아마인유
  2. 들기름
  3. 오동유
  4. 피마자유
(정답률: 67%)
  • 피마자유는 건성유가 아닌 이유는 그 성분 구성이 다른 식물유들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피마자유는 지방산 구성이 다른 식물유들과는 다르게 오메가-7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 구성 때문에 피마자유는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며, 특히 건조한 피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녹을 제거시키는 방법 중 기계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와이어 브러시법
  2. 스케링 해머법
  3. 분사법(브라스트법)
  4. 프레임 크리너법
(정답률: 77%)
  • 와이어 브러시법은 기계적인 방법이 아니라 손으로 녹을 긁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계적인 방법이 아닌 것입니다. 스케링 해머법은 해머를 사용하여 녹을 제거하는 방법, 분사법(브라스트법)은 고압 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녹을 제거하는 방법, 프레임 크리너법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녹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화성 피막처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화학처리로 피막형성, 방식성을 부여하고 도료의 부착성을 높인다.
  2. 화학처리로 피막형성, 방식성을 부여하고 금속면의 유지류를 제거시킨다.
  3. 화학처리로 피막형성, 방식성을 부여하고 금속면의 산화물을 제거시킨다.
  4. 화학처리로 피막형성, 방식성을 부여하고 내약품성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92%)
  • 화성 피막처리는 금속 표면에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피막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방식성을 부여하고 도료의 부착성을 높입니다. 이는 도료가 금속 표면에 잘 부착되어 더욱 튼튼한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화학처리로 피막형성, 방식성을 부여하고 도료의 부착성을 높인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약한 방사선을 내는 성분이 있어서 밤에 빝을 받지 않아도 선명하게 보이는 특수안료는?

  1. 형광안료
  2. 축광안료
  3. 시온안료
  4. 발광안료
(정답률: 72%)
  • 발광안료는 약한 방사선을 내는 성분이 있어서 밤에 빛을 받지 않아도 스스로 빛을 내어 선명하게 보이는 특수안료입니다. 따라서 밤에도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는 곳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금속 또는 비철금속 표면에 있는 유지류를 제거할 목적을 사용하는 것은?

  1. 박리제
  2. 탈지제
  3. 첨가제
  4. 중화제
(정답률: 100%)
  • 유지류는 기름, 그리스, 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금속 또는 비철금속 표면에 부착되어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탈지제입니다. 탈지제는 유지류를 용해시켜서 표면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금속 또는 비철금속 표면에서 유지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탈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

  1. 스티롤 수지
  2. 아크릴 수지
  3. 비닐 수지
  4. 페놀 수지
(정답률: 67%)
  • 페놀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입니다. 스티롤 수지, 아크릴 수지, 비닐 수지는 모두 열가소성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장 공정에 의한 도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것은?

  1. 투명도료, 중도용 도료, 상도용 도료
  2. 하도용 도료, 중도용 도료, 상도용 도료
  3. 용제건조형 도료, 반응건조형 도료, 가열건조형 도료
  4. 목공용 도료, 자동차용 도료, 건축용 도료
(정답률: 100%)
  • 도장 공정에서는 도료를 하도용, 중도용, 상도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하도용 도료는 기본적인 색상을 입히는 역할을 하며, 중도용 도료는 색상을 교정하거나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상도용 도료는 마감작업을 위해 사용되며, 광택감이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하도용 도료, 중도용 도료, 상도용 도료"가 도장 공정에 의한 도료의 종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도막 형성 후에 일어나는 결함이 아닌 것은?

  1. 핀홀
  2. 황변
  3. 백화
  4. 부풀음
(정답률: 87%)
  • 도막 형성 후에 일어나는 결함 중에서 "백화"는 포화된 색소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서 생기는 결함으로, 도막 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좋은 붓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털에 광택이 있고, 촉감이 좋으며 꺽이지 않아야 한다.
  2. 털끝이 가지런하고 정돈되어야 한다.
  3. 털이 빠지지 않아야 한다.
  4. 굵은 털이 많이 섞여 있고, 털의 허리부분이 탄성을 가져야 한다.
(정답률: 86%)
  • 좋은 붓의 조건 중에서 "굵은 털이 많이 섞여 있고, 털의 허리부분이 탄성을 가져야 한다."는 잘못된 조건입니다. 붓의 성능은 털의 질과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굵은 털이 많이 섞여 있으면 선이 두꺼워지고, 털의 허리부분이 탄성을 가지면 붓의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선의 굵기와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좋은 붓의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정전 도장시 발생하는 크레이터링(cratering) 현상이란?

  1. 도료를 도장한 도면에 바늘 구멍이 생기는 현상
  2. 도막에 2색 이상의 안료가 분리해서 도면에 나타나는 현상
  3. 도막에 귤 껍질과 같은 요철 모양이 생기는 현상
  4. 도막에 분화구상의 구멍이 생기는 현상
(정답률: 82%)
  • 크레이터링 현상은 도장시 도막 표면에 공기 포집이나 화학 반응 등으로 인해 작은 구멍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 구멍들은 분화구와 같은 모양을 띄어서 분화구상의 구멍이 생기는 것으로 비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도장 공정별 분류가 아닌 것은?

  1. 프라이머(primer)
  2. 서페이서(surfacer)
  3. 해머톤(hammaton)
  4. 상도(top coating)
(정답률: 91%)
  • 해머톤은 도장 공정별 분류가 아닙니다. 해머톤은 표면에 두꺼운 층을 형성하여 내구성과 방수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프라이머, 서페이서, 상도와 같은 도장 공정과는 다른 분야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기용제의 위험성과 가장 관계 없는 것은?

  1. 인화점
  2. 폭발한계
  3. 발화점
  4. 비중
(정답률: 100%)
  • 유기용제의 위험성과 관련된 보기는 모두 화학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비중은 물과의 비교로서 물에 대한 상대적인 밀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기용제의 위험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에어 스프레이 도장 시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도료가 완전히 혼합되지 않았을 때
  2. 도료가 지나치게 묽을 때
  3. 금속 안료가 정전력에 의해 뭉칠 때
  4. 건을 도장 표면에서 멀리 할 때
(정답률: 47%)
  • 에어 스프레이 도장 시 건을 도장 표면에서 멀리 할 때는 얼룩이 생기지 않습니다. 이는 건이 도장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분사된 도료 입자들이 이미 건이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을 멀리 떨어뜨리면 도료 입자들이 건 위에 고르게 분포되어 얼룩이 생기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에어 스프레이 도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너무 멀리 떨어져 분무하면 표면이 거칠게 된다.
  2. 너무 가까이서 분무하면 균일한 도막의 두께를 가질 수가 없다.
  3. 도료의 패턴을 조절하여 작업하면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얻을 수 없다.
  4. 압력이 높으면 도료의 손실이 많아진다.
(정답률: 88%)
  • "도료의 패턴을 조절하여 작업하면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얻을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도료의 패턴을 조절하여 작업하면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도료의 패턴을 조절하는 것은 분무 거리와 분무 각도를 조절하여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걱도장시에 사용되는 나무주걱의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단풍나무
  2. 옻나무
  3. 버드나무
  4. 노송나무
(정답률: 75%)
  • 주걱도장은 노송나무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노송나무가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물에 젖어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노송나무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여 주걱도장 제작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주걱도장 제작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노송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노들 1.2mm의 에어 스프레이 건을 사용할 때 컴프레서의 안전밸브 압력을 몇 kg/cm2로 조절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2kg/cm2
  2. 5kg/cm2
  3. 8kg/cm2
  4. 11kg/cm2
(정답률: 80%)
  • 에어 스프레이 건을 사용할 때 필요한 압력은 보통 3~6kg/cm2 정도이며, 이 중에서도 5kg/cm2가 가장 적합한 압력입니다. 이는 너무 낮은 압력으로는 스프레이가 제대로 되지 않고, 너무 높은 압력으로는 스프레이가 너무 세게 나와서 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kg/cm2로 안전밸브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도장

41. 도료 시험법 중 유출식 점도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오스왈드 점도계(Ostwald viscometer)
  2. 레드우드 점도계(Red wood viscometer)
  3. 포드컵 점도계(Ford cup viscometer)
  4. 스토머 점도계(Stormer viscometer)
(정답률: 93%)
  • 스토머 점도계는 시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유출식 점도계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 점도계는 모두 유출식 점도계입니다. 따라서 스토머 점도계는 유출식 점도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막 형성 후에 일어나는 결함으로 도막에 금이 가서 갈라지는 현상은?

  1. 균열
  2. 핀홀
  3. 주름
  4. 얼룩
(정답률: 100%)
  • 도막 형성 후에 금이 가서 갈라지는 현상은 균열입니다. 균열은 재료 내부의 응력이나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생기는 결함으로, 도막 내부의 금속이 냉각되면서 수축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균열은 도막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고, 부식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정전도장 시 도막의 결함 중 흐름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도착량이 많을 때
  2. 용제의 증발속도가 빠른 것을 사용
  3. 도료 점도가 낮은 경우
  4. 정전 도장기의 조정 불량
(정답률: 86%)
  • 용제의 증발속도가 빠른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도막을 형성하는 용제가 빠르게 증발하여 도막이 빠르게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도착량이 많을 때나 도료 점도가 낮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정전 도장기의 조정 불량은 도막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흐름의 원인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은폐력과 착색력을 가졌으며, 색상을 부여하고, 유기와 무기안료로 구분되는 안료는?

  1. 방청안료
  2. 특수안료
  3. 체질안료
  4. 착색안료
(정답률: 67%)
  • 착색안료는 색상을 부여하는 데에 더해, 물체의 투명도나 반사율을 변화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해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안료들과는 달리 은폐력과 착색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유기와 무기안료로 구분되는 안료 중에서도 특히 색감의 다양성과 풍부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착색안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도료와 도장에 종사하는 작업자의 안전수칙 중 틀린 것은?

  1. 흡연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한다.
  2. 용제의 처리나 도료의 도장은 반드시 열이 있는 표면에 행한다.
  3. 밀폐된 장소에서 도장할 경우 반드시 환기 장치를 설비한다.
  4. 규정된 안전 방비를 사용한다.
(정답률: 100%)
  • "용제의 처리나 도료의 도장은 반드시 열이 있는 표면에 행한다."이 틀린 안전수칙입니다. 이유는 열이 있는 표면에서 작업을 할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료와 도장 작업은 열기구 근처에서는 하지 않아야 하며, 안전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운반차의 사용시 적절치 못한 사항은?

  1. 과다하게 적재치 말 것
  2. 너무 급히 이송하지 말 것
  3. 구르기 쉬운 물건은 고정 시킬 것
  4. 가벼운 물건을 아래에 실을 것
(정답률: 100%)
  • 운반차에서 가벼운 물건을 아래에 실으면 차량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급정거나 급커브를 돌 때 물건이 움직여서 차량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거운 물건은 아래에 실고, 가벼운 물건은 위쪽에 실어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용성 도료 탱크 속에 피도물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여 침지시키고, 피도물과 그 반대극 사이에 직류 전류를 통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도막을 석출시켜 도장하는 방법은?

  1. 전착도장
  2. 침지도장
  3. 분체도장
  4. 정전도장
(정답률: 73%)
  • 전착도장은 수용성 도료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도막을 석출시켜 도장하는 방법입니다. 피도물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여 침지시키고, 직류 전류를 통해 피도물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도막을 석출시키는 방식으로 도장을 합니다. 따라서 "전착도장"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제 세척에 사용되는 용제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동ㆍ식물유, 광물류에 대한 용해력이 없을 것
  2. 휘발성이며 표면에 남지 않은 것
  3. 인화성이 적을 것
  4. 금속면에 대한 부식성이 없고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정답률: 100%)
  • 동ㆍ식물유, 광물류는 용제 세척에 사용되는 금속 부품에 부식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용해력이 없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동ㆍ식물유, 광물류에 대한 용해력이 없을 것"이 아닌 것이 용제 세척에 사용되는 용제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산화물의 용해 능력이 크고, 산세의 속도가 가장 빠른 산은?

  1. 인산
  2. 질산
  3. 황산
  4. 염산
(정답률: 90%)
  • 염산은 수용액에서 쉽게 이온화되어 수소 이온(H+)을 방출하므로 산성이 강하며, 이로 인해 산화물의 용해 능력이 크고, 산세의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염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방진 마스크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여과 효율이 좋을 것
  2. 중량이 무거울 것
  3. 배기성이 좋을 것
  4. 안면에 밀착성이 좋을 것
(정답률: 100%)
  • 중량이 무거울 것은 방진 마스크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장시간 착용 시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진 마스크는 여과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안면에 밀착성이 좋고, 배기성이 좋은 경량의 제품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처리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소지면을 불활성화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2. 소지면과 도료의 친화력과 습윤성을 준다.
  3. 소지면에 부착, 생성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도료의 밀착성을 낮춘다.
  4. 소지면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소지면을 평탄하게 한다.
(정답률: 75%)
  • 전처리의 목적으로 "소지면에 부착, 생성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도료의 밀착성을 낮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처리는 소지면을 깨끗하고 적절한 상태로 만들어 도료가 잘 부착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도료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피도물을 도료와 같이 회전 용기 안에 넣고 회전시켜 도장하는 도장법은?

  1. 텀블링 도장
  2. 에어레스 스프레이 도장
  3. T.F.S 도장
  4. 플로우 도장
(정답률: 64%)
  • 텀블링 도장은 회전 용기 안에 도료와 피도물을 넣고 회전시켜 도장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피도물과 도료가 균일하게 섞이고,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어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래기계 도료의 정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살붙임이 좋고 금속면과의 부착도 좋다.
  2. 건조가 늦고 먼지가 잘 타는 단점이 있다.
  3. 단단하고 광택이 있는 도막을 얻을 수 있다.
  4. 붓도장에 가장 적합하다.
(정답률: 47%)
  • 래기계 도료는 단단하고 광택이 있는 도막을 형성하여 표면을 보호하고 미관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호구를 사용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장에는 필요한 수량의 보호구를 비치한다.
  2. 보호구를 사용하는데 불편이 있더라도 사용이 불가능할 때까지 계속 사용한다.
  3. 작업에 적절한 보호구를 설정한다.
  4. 작업자에게 올바른 사용방법을 빠짐없이 가르친다.
(정답률: 100%)
  • 보호구를 사용하는데 불편이 있더라도 사용이 불가능할 때까지 계속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안전을 위해서입니다. 보호구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거나 불편하다고 생각되더라도 계속 사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광 에너지로 도료 분사 중에 연쇄반응을 활발하게 하는 분자를 발생시켜 중합 반응으로부터 고분자간의 가교가 진행되어 경화시키는 건조 장치는?

  1. 적외선 건조장치
  2. 원 적외선 건조장치
  3. 자외선 건조장치
  4. 열풍대류 건조장치
(정답률: 74%)
  • 광 에너지로 도료 분사 중에 연쇄반응을 활발하게 하는 분자를 발생시켜 중합 반응으로부터 고분자간의 가교가 진행되어 경화시키는 건조 장치는 자외선 건조장치입니다. 이는 자외선이 고분자 분자 내부의 이중결합을 깨뜨리고, 이중결합이 깨진 자리에 새로운 결합을 형성하여 고분자 간의 가교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제청작업시 산세에 사용되는 산이 염산일 경우 사용온도가 보통 30~40℃ 이하일 때 가장 적합한 농도는?

  1. 1~5%
  2. 10~15%
  3. 60~75%
  4. 80~95%
(정답률: 77%)
  • 산세에 사용되는 산이 염산일 경우, 10~15% 농도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1~5% 농도는 너무 약해서 효과가 미미하고, 60~75%와 80~95% 농도는 너무 강해서 산세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0~15% 농도가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래커 프라이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속건성이다.
  2. 내후성이 우수하다.
  3. 부착성이 낮다.
  4. 전색제는 래커이다.
(정답률: 84%)
  • 정답: "부착성이 낮다."

    래커 프라이머는 속건성이 뛰어나며, 내후성이 우수합니다. 그러나 부착성은 낮은 편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통 래커 프라이머 위에 다른 부착성이 높은 페인트를 추가로 바를 수 있습니다. 전색제는 래커이며, 래커 프라이머는 이를 바르기 전에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의 취급시 지켜야 할 사항은?

  1. 매일 1회 이상 V벨트를 새 것으로 교환한다.
  2. 매일 1회 이상 압력계를 분해 소제한다.
  3. 매일 1회 이상 에어탱크의 배출구를 열어 수분과 유분을 배출시킨다.
  4. 매일 1회 이상 에어탱크를 온수로 세척해야 한다
(정답률: 93%)
  • 에어 컴프레서는 공기를 압축하여 사용하는 기계로, 압축된 공기는 수분과 유분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분과 유분이 에어탱크 내부에 축적되면 부식이나 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매일 1회 이상 에어탱크의 배출구를 열어 수분과 유분을 배출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무용제 도장에 해당 되는 것은?

  1. 정전도장
  2. 분체도장
  3. 롤러 브러시도장
  4. 분무도장
(정답률: 73%)
  • 무용제 도장은 표면에 무게가 가볍고 고르게 분포되는 분체를 이용하여 도장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무용제 도장에 해당하는 것은 "분체도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에어 스프레이 부스 내의 공기 흐름 속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0.1m/sec
  2. 0.6m/sec
  3. 1.5m/sec
  4. 5m/sec
(정답률: 75%)
  • 에어 스프레이 부스 내의 공기 흐름 속도는 적절한 환기와 물질의 침전을 위해 일정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이 범위는 0.5~1.5m/sec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적당한 공기 흐름 속도는 0.6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