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1)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201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진로상담

1. 진로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담내용에 대해 어떠한 경우라도 비밀을 보장한다.
  2. 진로상담자로서 지켜야 할 상담윤리를 숙지하고 전문성을 유지한다.
  3. 진로상담은 심리문제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슈퍼비전을 받을 필요가 없다.
  4. 연구의 목적으로 상담사례를 발표할 때에는 내담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아도 된다.
  5. 검사를 선택할 때 가급적 표준화검사보다는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체크리스트를 활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로상담자는 상담내용에 대해 어떠한 경우라도 비밀을 보장하며, 상담윤리를 숙지하고 전문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는 내담자의 신뢰를 유지하고 상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진로상담자로서 지켜야 할 상담윤리를 숙지하고 전문성을 유지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홀랜드(J. Holland)의 성격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행동은 성격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2. RS 유형은 RI 유형보다 일관성이 더 낮은 수준이다.
  3. 여섯 가지 유형의 점수가 비슷할수록 변별성이 높다.
  4. 각 흥미 유형 간의 거리는 그들의 상관관계와 반비례한다.
  5. S 유형은 청소년상담사로 일을 하는 경우 일치성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여섯 가지 유형의 점수가 비슷할수록 변별성이 높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홀랜드의 성격이론에서 각 유형의 점수가 비슷할수록 해당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하지만 "RS 유형은 RI 유형보다 일관성이 더 낮은 수준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홀랜드의 성격이론에서는 RS 유형과 RI 유형은 모두 일관성이 높은 유형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하는 직업선호도 검사 L형의 하위검사가 바르게 묶인 것은?

  1. 흥미검사, 성격검사, 생활사검사
  2. 흥미검사, 성격검사, 직업적성검사
  3. 흥미검사, 성격검사, 직업가치관검사
  4. 흥미검사, 생활사검사, 직업가치관검사
  5. 흥미검사, 진로발달검사, 직업적성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흥미검사, 성격검사, 생활사검사"입니다. 이유는 이 세 가지 검사는 각각 개인의 흥미, 성격, 생활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직업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흥미검사는 개인의 관심사와 취미 등을 파악하고,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격 유형을 파악하며, 생활사검사는 개인의 가족, 교육, 경제적 상황 등을 파악합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개인의 직업 선택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에, 이 세 가지 검사는 직업선호도 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진로의사결정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겔라트(H. Gelatt)는 직업선택과 발달의 과정을 의사결정 순환과정으로 보았다.
  2. 겔라트(H. Gelatt)의 진로의사결정과정은 목표수립, 정보수집,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의 수립, 진로의사결정으로 진행된다.
  3. 하렌(V. Harren)의 의사결정유형은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하렌(V. Harren)은 진로의사결정과정을 인식, 계획, 확신, 이행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5. 타이드만(D. Tiedeman)과 오하라(R. O'Hara)는 진로의사결정과정을 탐색, 결정화, 구체화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드만(D. Tiedeman)과 오하라(R. O'Hara)는 진로의사결정과정을 탐색, 결정화, 구체화의 단계로 구분하였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실제로 이들은 진로의사결정과정을 탐색, 결정화, 구체화, 구현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이버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담이 익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상담이 대부분 상담자 주도적으로 이루어진다.
  3. 상담자와 내담자의 시ㆍ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4. 상담내용과 정보의 저장 및 가공이 용이하다.
  5. 다양한 진로상담의 형태로 변형하거나 보조역할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담이 대부분 상담자 주도적으로 이루어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이버 진로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상호작용하며 상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가 상담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진로상담 방법을 제시하고, 내담자는 자신의 상황과 필요를 적극적으로 전달하여 상담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크럼볼츠(J. Krumboltz)가 제안한 사회학습진로이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사회학습진로이론은 개인의 경험, 관찰, 모델링 등을 통해 진로 선택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 이론에서는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술, 관능, 인격,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 "ㄱ, ㄷ"는 이 중에서 "기술"과 "가치"를 선택한 것이다.
    - "기술"은 개인이 보유한 기술적 역량과 능력을 의미하며, "가치"는 개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을 의미한다.
    - 따라서, "ㄱ, ㄷ"는 개인의 역량과 가치관이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문제해결능력
  2. 의사소통능력
  3. 수리능력
  4. 정보능력
  5. 외국어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외국어능력은 직업기초능력 중에서는 다른 능력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국어능력은 직업에 따라 필수적일 수도 있고, 선택적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는 직업기초능력으로는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특성-요인이론에 관한 평가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특성-요인이론은 개인의 성격이나 특성이 일정한 요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 이론의 장점으로는 개인의 특성을 다양한 요인들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단점으로는 요인들의 조합이 개인의 특성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ㄱ, ㄴ, ㄹ"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은 특성-요인이론의 장점 중 하나인 다양한 요인들로 개인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 "ㄴ"은 특성-요인이론의 단점 중 하나인 요인들의 조합이 개인의 특성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 "ㄹ"은 특성-요인이론이 개인의 성격이나 특성을 일정한 요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진로상담 면담방법은?

  1. 알파벳 연습
  2. 진로가계도 활동
  3. 직업카드분류 활동
  4. 역할모델 탐색 활동
  5. 과거의 선택 탐색 활동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직업카드분류 활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활동은 학생들이 자신이 가진 관심사와 능력을 바탕으로 어떤 직업군에 속하는지 분류하는 활동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어떤 분야에서 일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로상담자가 다음의 평가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내담자의 특성은?

  1. 가치
  2. 적성
  3. 성격
  4. 흥미
  5. 역할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평가는 내담자의 가치관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그림은 다양한 가치관을 나타내며, 내담자가 선택한 그림을 통해 그들의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가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기반한 생애진로사정(LCA)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를 수집하는 초기단계에서 유용하다.
  2. 내담자 자신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3. 내담자의 강점을 저해하는 장애를 발견할 수 있다.
  4. 내담자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이다.
  5. 구조는 진로사정, 전형적인 하루, 강점과 장애, 요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담자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LCA는 생애진로사정을 위한 모델로, 내담자의 인생 전반에 걸쳐 경험한 사건들을 분석하여 진로와 삶의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LCA는 검사도구가 아니며, 내담자의 객관적인 파악을 위한 표준화된 검사도구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학자와 주요 이론(개념)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브라운(D. Brown) - 실재 구성, 역할 수행, 결정 구체화하기
  2. 크럼볼츠(J. Krumboltz) -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
  3. 투크만(B. Tuckman) - 자아인식, 진로인식, 진로의사결정
  4. 다위스(R. Dawis)와 롭퀴스트(L. Lofquist) - 흥미, 곤란도, 책무성
  5.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 유전적 특성, 환경적 조건과 사건들, 학습경험, 과제접근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투크만은 그룹 발달 단계 이론을 제시하면서, 그룹 내에서 개인이 자아인식, 진로인식을 하고 진로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습니다. 따라서 "투크만(B. Tuckman) - 자아인식, 진로인식, 진로의사결정"이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홀랜드(J. Holland)가 제시한 여섯 가지 성격유형과 그 특징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현실적 유형(R): 정확하고, 빈틈이 없고, 조심성이 있다.
  2. 탐구적 유형(I): 개방적이고, 감정이 풍부하고, 자유분방하다.
  3. 예술적 유형(A): 탐구심이 많고, 논리적이고, 학구적이다.
  4. 기업적 유형(E): 소박하고, 솔직하고, 성실하다.
  5. 관습적 유형(C): 계획적이고, 검소하고, 질서정연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습적 유형(C)은 계획적이고, 검소하고, 질서정연하다. 이는 일상적인 일 처리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성향을 가지며, 규칙과 질서를 중요시하며 안정적인 환경을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제한과정 4번째 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제한과정 4번째 단계는 개인의 능력과 성향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다.
    - "ㄱ, ㄷ, ㄹ"은 모두 직업 선택과 관련된 요소들이다.
    - "ㄱ"은 일의 성격과 관련된 요소로,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일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적합한 직업을 선택한다.
    - "ㄷ"는 일의 지적인 요소와 관련된 요소로, 분석적이고 추론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적합한 직업을 선택한다.
    - "ㄹ"은 일의 예술적인 요소와 관련된 요소로,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적합한 직업을 선택한다.
    - 따라서, "ㄱ, ㄷ, ㄹ"은 모두 제한과정 4번째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 이론에서 탐색단계의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ㄹ" 입니다.

    탐색단계는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까지의 청년기에 해당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아 정체성을 찾기 위해 다양한 경험과 시도를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직업, 취미, 인간관계 등을 탐색하며 자신의 취향과 관심사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ㄱ"은 다양한 경험과 시도를 하는 것을 의미하며, "ㄹ"은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ㄴ, ㄷ" 단계에서의 특성이나 "ㄴ, ㄷ, ㄹ" 단계에서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 이론의 진로상담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기개념 분석하기
  2. 진로성숙 수준 확인하기
  3. 수행결과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 확인하기
  4. 진로발달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 익히기
  5. 자신의 흥미, 능력, 가치를 확인하고 생애 역할과 연계하여 이해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수퍼의 생애진로발달 이론의 진로상담 목표는 수행결과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 확인하기가 아닙니다. 이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진로에 대한 기대와 목표가 현실적인지 확인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설명에서 ( )에 들어갈 용어는?

  1. 과거수행
  2. 환경적 배경
  3. 진로장벽
  4. 성격
  5. 학습경험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는 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할 때 마주치는 장벽들을 나타낸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진로장벽"은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과 성격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들을 의미합니다. 이는 학생들의 과거 수행과 학습 경험, 그리고 환경적 배경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탐색할 수 있는 적절한 진로상담 도구는?

  1. 아치웨이
  2. 취업로드 맵
  3. 진로수레바퀴
  4. 원형검사
  5. 진로무지개
(정답률: 알수없음)
  • "진로무지개"는 다양한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학생들의 성향과 관심사를 고려하여 적합한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종합적인 진로상담 도구이다. 따라서 다양한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자신의 성향과 관심사를 파악하여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회인지진로이론 중 흥미발달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과기대는 흥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2. 흥미는 활동목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3.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는 활동목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4. 학습경험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5. 목표는 활동의 선택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과기대는 흥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자신의 능력을 얼마나 믿고 있는지에 대한 감각이며, 결과기대는 행동의 결과에 대한 예상입니다. 이 둘은 활동에 대한 흥미와 활동목표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개인의 학습경험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는 활동목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와 "학습경험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또한 "흥미는 활동목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와 "목표는 활동의 선택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기효능감이 낮은 청소년을 진로상담 할 때 전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효능감이 낮은 청소년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불안감이 크기 때문에 진로 선택에 있어서도 망설이고 주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ㄱ.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활동을 함께 계획하고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능력을 인식하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ㄷ. 청소년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그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가능성을 더욱 믿을 수 있습니다.

    ㄹ. 청소년이 가진 능력과 관심사를 고려하여 적합한 진로를 찾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능력을 살릴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ㄱ, ㄷ, ㄹ"이 옳은 전략입니다. "ㄱ, ㄴ"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활동만 계획하고, 진로 선택에 대한 도움을 주지 않는 것이므로 부족합니다. "ㄱ, ㄷ, ㄹ"은 청소년의 자신감을 회복하고, 가능성을 믿게 하며, 적합한 진로를 찾도록 도와주는 종합적인 전략입니다. "ㄱ, ㄴ, ㄷ, ㄹ"은 모든 전략을 포함하지만, 자기효능감이 낮은 청소년에게는 너무 많은 정보와 활동을 제공할 수 있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는?

  1. 진로미결정척도(Career Decision Difficulties Questionnaire)
  2. 진로결정척도(Career Decision Scale)
  3. 직업결정척도(Vocational Decision Scale)
  4. 진로상황검사(My Vocational Situation)
  5. 진로의사결정평가(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척도는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하위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진로미결정척도(Career Decision Difficulties Questionnaire)"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진로 결정과 관련된 척도이지만, 이 척도와는 구성 요소나 목적 등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청소년진로상담자가 진로정보와 검사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회적으로 공인된 기관에서 출연하였는가?
  2. 탑재된 심리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었는가?
  3. 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는가?
  4. 사용자의 학력수준이 높고 이용횟수가 많은가?
  5. 검사나 서비스 사용에 비용이 드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의 학력수준이 높고 이용횟수가 많은가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려사항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진로상담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퍼(D. Super)가 제안한 여성의 진로패턴에 관한 설명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안정적 전업주부 진로패턴(stable homemaking career pattern): 학교 졸업 후 취업을 하지만 결혼 후 가사에 전념 함
  2. 일 지속형 진로패턴(stable working career pattern): 학교 졸업 후 전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일을 함
  3. 일-가사 양립 진로패턴(double tracking career pattern): 일을 하다가 결혼을 하면 중단하고 자녀양육이 끝난 후 다시 시작 함
  4. 단절 진로패턴(interrupted career pattern): 전 생애에 걸쳐 일과 가사를 병행 함
  5. 불안정한 진로패턴(unstable career pattern): 확고한 일의 종류 없이 일을 함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적 전업주부 진로패턴과 일-가사 양립 진로패턴은 결혼과 가사에 대한 차이가 있지만, 일을 하지 않는 것이 공통점입니다. 단절 진로패턴은 일과 가사를 번갈아가며 하지만, 일을 중단하고 다시 시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불안정한 진로패턴은 일의 종류가 확고하지 않고 불안정한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일 지속형 진로패턴은 학교 졸업 후 지속적으로 일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대화에서 청소년 진로상담자가 '생애주제'를 다루는 데 적용한 진로상담이론과 학자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인지정보처리모델: 샘슨(J. Sampson), 피터슨(G. Peterson)
  2. 갈등모델이론: 야니스(I. Janis), 만(L. Mann)
  3. 기대모델이론: 브룸(V. Vroom)
  4. 발달이론: 긴즈버그(E. Ginzberg)
  5. 진로구성이론: 사비카스(M. Savickas)
(정답률: 알수없음)
  • 청소년 진로상담자가 '생애주제'를 다루는 것은 개인의 삶 전반에 걸쳐서 진로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에 적용되는 이론은 '진로구성이론'입니다. 이론의 학자는 '사비카스(M. Savickas)'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로구성이론: 사비카스(M. Savicka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타협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신에게 맞지 않는 직업을 배제하는 과정이다.
  2. 직업의 성역할, 사회적 지위, 흥미가 타협되는 과정이다.
  3. 수용 가능한 진로대안 영역을 축소하는 과정이다.
  4. 진로선택을 통해 일차적으로 심리적 자아실현을 달성하는 과정이다.
  5. 타협의 정도가 낮을 때는 성역할 적합성을 중요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갓프레드슨의 타협과정은 직업의 성역할, 사회적 지위, 흥미가 타협되는 과정이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성격, 능력,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자신에게 맞지 않는 직업을 배제하고, 수용 가능한 진로대안 영역을 축소하게 된다. 또한, 진로선택을 통해 일차적으로 심리적 자아실현을 달성하고, 타협의 정도가 낮을 때는 성역할 적합성을 중요시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집단상담

26. 비구조화 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비구조화 집단이란 구성원들 간의 관계나 역할이 불명확하고 명확한 목표나 계획이 없는 집단을 말한다.
    - "ㄱ, ㄴ"은 불명확한 관계나 역할이 있는 집단을 의미한다.
    - "ㄷ, ㄹ"은 명확한 목표나 계획이 없는 집단을 의미한다.
    - "ㄱ, ㄴ, ㄷ"는 불명확한 관계나 역할이 있으면서 명확한 목표나 계획이 없는 집단을 의미한다.
    - "ㄴ, ㄷ, ㄹ"은 구성원들 간의 관계나 역할이 불명확하지만 명확한 목표나 계획이 있는 집단을 의미한다.
    - "ㄱ, ㄴ, ㄷ, ㄹ"은 구성원들 간의 관계나 역할이 불명확하면서 명확한 목표나 계획이 없는 집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성장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교적 정상범위의 적응 수준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2. 인원은 8-12명 정도가 적당하나, 대상자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집단원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변화와 성장을 지향한다.
  4. 내용이나 정보 전달에 초점을 두고 지도자가 책임과 주도성을 갖고 진행한다.
  5. 지도자와 집단원이 정기적으로 만나 상호 수용적 분위기에서 진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용이나 정보 전달에 초점을 두고 지도자가 책임과 주도성을 갖고 진행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성장 집단상담에서는 지도자가 집단원들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그들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지향한다. 따라서 지도자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보다는 집단원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집단원에게 도움을 주는 이타성은 치료적 요인이다.
  2. 자기이해에 기반한 통찰력은 청소년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치료적 요인이다.
  3.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의 지각을 듣는 피드백 경험은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다.
  4. 특정 경험의 의미를 설명, 해석, 명료화하는 인지적 요소는 치료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5. 타인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지지와 도움에 한계가 있고 고통은 피할 수 없음을 인식하는 것은 치료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이해에 기반한 통찰력은 청소년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치료적 요인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주관적인 견해일 뿐, 모든 청소년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집단상담에서 치료적 요인은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며, 개인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거나 설명을 통해 돕는 것을 집단상담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제시한 참만남집단 모형은?

  1. 스톨러(Stoller) 모형
  2. 얄롬(Yalom) 모형
  3. 하르트만(Hartman) 모형
  4. 슈츠(Schutz) 모형
  5. 로저스(Rogers) 모형
(정답률: 알수없음)
  • 참만남집단 모형에서 집단상담자는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거나 설명을 통해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이러한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는 모형은 스톨러(Stoller) 모형이다. 스톨러 모형은 집단상담자가 집단 내에서 모범적인 행동을 보이면서 동시에 집단원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모형은 집단상담자의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집단원들의 감정과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의 기법이나 개념이 강조되는 집단상담 접근은?

  1. 게슈탈트 집단상담
  2. 교류분석 집단상담
  3. 개인심리 집단상담
  4. 심리극적 집단상담
  5. 해결중심 집단상담
(정답률: 알수없음)
  • 해결중심 집단상담은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둔 접근 방식으로, 참여자들이 서로의 문제를 듣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참여자들이 서로의 문제를 듣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모습이 나타나므로,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강조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집단상담 과정에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적합한 상담자 의뢰가 어려워 자신의 학생에게 고지된 동의를 받고 상담 기록을 하면서 자문, 지도감독을 받으며 진행했다.
  2. 집단원이 매회 가져오는 꽃이나 케이크를 작은 정성으로 여겨 받았다.
  3. 개인의 비밀을 카드에 익명으로 쓰게 한 후, 무작위로 뽑아 발표하면서 누구의 비밀인지 알게 되었다.
  4. 미진한 성과를 얻은 집단원을 상담 종결 후 다른 상담자에게 의뢰했으나, 이를 거부한 집단원에게 상담 받을 것을 재차 요구했다.
  5. 법정 전염병에 걸린 집단원이 편안하게 집단에 참여하도록 이에 대한 비밀을 유지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적합한 상담자 의뢰가 어려워 자신의 학생에게 고지된 동의를 받고 상담 기록을 하면서 자문, 지도감독을 받으며 진행했다."

    해설: 이 내용은 윤리적으로 적절한 상담 방법이다. 상담자가 자신의 역량을 넘어서는 상담을 맡을 경우, 적절한 지도감독을 받고 상담 기록을 남기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내용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들이다. 집단원의 비밀을 무작위로 뽑아 발표하는 것은 개인정보 보호에 위배되며, 미진한 성과를 다른 상담자에게 의뢰하고 거부한 집단원에게 강요하는 것은 상담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또한 법정 전염병에 대한 비밀을 유지하는 것은 집단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집단원이 가져온 꽃이나 케이크를 받는 것은 상담자의 도덕성에 따라 다르지만, 이 역시 윤리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어떤 초점화(focusing) 개입인가?

  1. 초점 유지
  2. 초점 확립
  3. 초점 이동
  4. 초점 심화
  5. 초점 일반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 초점화 개입은 "초점 유지"이다. 이유는 이미 주어진 그림에서 초점이 확립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초점을 이동하거나 심화하거나 일반화하는 것보다는 주어진 초점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신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이와 저항에 주의를 기울이며 해석을 통해 집단원의 통찰을 돕는다.
  2. 전이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집단은 비슷한 특성을 지닌 사람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3. 집단원들이 다른 집단원의 문제를 듣고 반응하면서 보조 혹은 공동상담자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4. 슬랩손(S. Slavson)은 집단상담자의 기능으로 지도, 자극, 확충, 해석 기능을 제시했다.
  5. 개인분석과 달리 대인관계 양상을 분석한 후 개인의 내적 심리과정을 분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신분석 집단상담에서는 전이와 저항에 주의를 기울이며 해석을 통해 집단원의 통찰을 돕는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전이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집단은 비슷한 특성을 지닌 사람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집단상담에서는 다양한 배경과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전이와 저항을 경험하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며 성장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집단상담자의 자질을 인성적 특성과 전문적 특성으로 구분할 때, 전문적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ㄹ, ㅁ
  3. ㄱ, ㄷ, ㅁ
  4. ㄴ,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전문적 특성으로 구분할 때, "ㄴ, ㄹ, ㅁ"은 모두 집단 상담 기술과 기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ㄱ, ㄷ"는 상담자의 대인관계 능력과 관찰력, "ㅁ"은 상담자의 자기성찰 능력과 이해심이 필요한 인성적 특성입니다. "ㄱ, ㄴ, ㄷ, ㄹ, ㅁ"은 모두 상담자로서 필요한 인성적 특성과 전문적 특성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청소년 집단상담의 계획, 실시,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집단 계획서는 사전검사 실시 후 완성한다.
  2.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회기 당 활동을 최대한 많이 구성한다.
  3. 집단 계획 절차에서 가장 먼저 하는 것은 부모나 보호자의 승인을 받는 것이다.
  4. 평가의 객관성을 위해 집단평가는 심리검사 등을 통한 수치화된 정보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5. 집단 진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집단의 규모, 장소, 모임 시간과 빈도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 상담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집단의 규모, 장소, 모임 시간과 빈도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해야 합니다. 이는 집단 상담의 원활한 진행과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의 집단상담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에서 모두 자주 사용한다.
  2. 집단원 간의 차이점을 드러낼 때 사용한다.
  3. 집단의 상호작용과 응집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4. 모호하거나 모순된 진술을 드러내는 직면 효과가 있다.
  5. 현상이나 문제에 대한 상담자의 관점이나 의견을 드러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상담 기법에서 집단의 상호작용과 응집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은 집단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집단 내에서의 유대감과 소속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집단의 상호작용과 응집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효율적이고 현장 적용성이 높은 청소년 집단상담의 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ㄴ": 집단상담은 여러 명의 청소년들이 함께 참여하므로, 개인상담보다 효율적인 시간 활용이 가능하고, 그룹 내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높다는 특성이 있다.
    - "ㄹ": 청소년들은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담자는 그들의 다양한 문제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과 방법을 보유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상담자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집단 상담에서 침묵 상황에 대한 효과적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기 초기에 오랜 침묵을 허용하는 것은 지도력 발휘가 안된 것이다.
  2. 생산적으로 여겨지는 침묵 상황에서 말하려는 집단원에게 기다리라고 제지할 수 있다.
  3. 말하고 싶으나 기회를 잡지 못하는 집단원에게 말할 기회를 준다.
  4. 짝지어 말하기나 돌아가면서 말하기 등의 구조화 개입으로 침묵하는 집단원의 참여를 이끈다.
  5. 대리학습이나 경험이 되므로 침묵하는 집단원이 집단 내내 말하지 않더라도 그대로 놔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리학습이나 경험이 되므로 침묵하는 집단원이 집단 내내 말하지 않더라도 그대로 놔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침묵하는 집단원이 계속해서 침묵하게 된다면 그 집단원은 집단 내에서 참여하지 않고, 다른 집단원들도 그 집단원에 대한 이해와 소통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집단 상담에서는 침묵하는 집단원에게 말할 기회를 주는 등의 구조화된 개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게슈탈트 집단상담에서 다루는 저항의 유형과 표현 양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융합(confluence): 자신의 의견을 말하거나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2. 반전(retroflection): 집단 초기 정서 표현이나 참여를 주저한다.
  3. 내사(introjection): 상담자 개입이나 규칙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4. 투사(projection): 집단 통제 경향을 보이는 집단원이 자신이 아니라 다른 집단원이 그렇다고 주장한다.
  5. 편향(deflection): 다른 집단원이 자신과 동일한 생각과 감정을 경험한다고 생각하며, 특정 집단원을 향한 강한 정서를 경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편향(deflection): 다른 집단원이 자신과 동일한 생각과 감정을 경험한다고 생각하며, 특정 집단원을 향한 강한 정서를 경험한다."

    설명: 게슈탈트 집단상담에서 융합은 자신의 의견을 말하거나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을 말하며, 반전은 집단 초기 정서 표현이나 참여를 주저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사는 상담자 개입이나 규칙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투사는 집단 통제 경향을 보이는 집단원이 자신이 아니라 다른 집단원이 그렇다고 주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편향은 다른 집단원이 자신과 동일한 생각과 감정을 경험한다고 생각하며, 특정 집단원을 향한 강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현실치료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집단원의 바람이나 욕구 달성에서 3R은 책임감(Responsibility), 현실성(Reality), 합리성(Rationality)을 뜻한다.
  2. 전 행동(total behavior) 변화는 사고-감정-생리-행동 순으로 개입할 때 용이하다.
  3. 지각이 행동을 통제한다는 통제이론에 기초한다.
  4. 역설적 기법을 통해 집단원은 행동에 대한 통제와 선택 가능성을 자각할 수 있다.
  5. 집단원의 현재 행동에 대한 논의를 장려하고, 비효과적 행동의 해명 기회를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역설적 기법은 집단원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시도하는 행동이 오히려 그 결과를 방해하는 것임을 인식하게 하여, 그 행동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집단원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제와 선택 가능성을 자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효율적인 집단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리치료집단은 성격 구조 재구성이 목적이므로 상이한 진단을 받은 이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2. 심리교육집단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둔 구조화된 집단으로 진행할 때 유용하다.
  3. 성장집단은 성장 지향이 목적이므로 이질집단 구성과 비구조화된 회기가 유용하다.
  4. 지지집단은 정서적 지지가 목적이므로 동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5. 자조집단은 상호 지지가 목적이므로 특정 주제를 가진 동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리치료집단은 성격 구조 재구성이 목적이므로 상이한 진단을 받은 이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상이한 진단을 받은 이질집단 구성은 다양한 성격 구조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인식과 행동 방식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성격 구조 재구성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집단상담 초기 단계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집단상담 초기 단계에서는 집단상담자가 집단 구성원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 ㄴ: 집단상담 초기 단계에서는 집단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 ㄷ: 집단상담 초기 단계에서는 집단 구성원들의 감정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ㄱ, ㄴ, ㄷ"가 모두 옳은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중도 탈락 집단원이 발생하는 경우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떠나려는 집단원에게 남으라는 압박이 가해질 경우, 이를 저지한다.
  2. 법정 명령으로 참여한 경우 그만두는 결정에 따른 결과와 후속 조치에 대해 설명한다.
  3. 그만두는 이유를 묻는 것은 압력이 될 수 있으므로 지양한다.
  4. 남겨진 집단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사고와 감정을 탐색한다.
  5. 떠나려는 의사를 존중하면서 신중히 고려할 시간을 갖도록 권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만두는 이유를 묻는 것은 압력이 될 수 있으므로 지양한다."는 떠나려는 집단원에게 부담을 주거나 압박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집단원의 자율성과 존중을 위해 중요한 접근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청소년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소년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이 필요하다.
  2. 상담자의 사생활 관련 질문을 할 경우 집단 규칙을 벗어나므로 주의를 준다.
  3. 비자발적으로 참여한 경우 개별 면담을 통해 참여에 대한 감정이나 생각을 탐색한다.
  4. 집단원들이 회기 밖에서 관계를 맺는 것이 집단 역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5. 비협조적인 경우 과거 상담 경험 등을 탐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담자의 사생활 관련 질문을 할 경우 집단 규칙을 벗어나므로 주의를 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상담자의 사생활 관련 질문은 집단상담에서도 개별 면담에서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집단 규칙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상담 윤리에 위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담자의 사생활 관련 질문을 할 경우에도 집단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집단상담에서 효과적이지 않은 집단원의 행동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보기에서 "ㄱ, ㄴ, ㄷ, ㄹ"은 모두 효과적이지 않은 집단원의 행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효과적이지 않은 집단원의 일부 행동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집단상담의 작업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발적 자기개방이 증가한다.
  2. 집단원의 불안이 감소하면서 비방어적으로 상호작용하므로 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3. 지금-여기에 초점을 두고 원활하게 소통이 이루어진다.
  4. 집단 신뢰와 결속력이 높아져 실험적 행동도 시도한다.
  5. 상담자에 대한 전이로 인해 집단원의 도전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원의 불안이 감소하면서 비방어적으로 상호작용하므로 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집단상담에서는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상담자가 적극적으로 다루어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종결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자 피드백으로 유용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ㄴ, ㄷ" 입니다.

    이유는 종결단계에서 상담자가 피드백을 제공할 때, 유용한 피드백은 고객의 문제 해결과 관련된 내용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ㄱ"은 고객의 감정이나 태도에 대한 피드백이며, "ㄴ"은 고객의 말을 반복하는 것으로 유용하지 않은 피드백입니다. "ㄷ"는 고객의 말을 끊어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것으로, 고객의 의견을 무시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유용하지 않은 피드백입니다.

    따라서 "ㄱ, ㄴ, ㄷ"는 유용하지 않은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집단상담에서 비밀유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밀유지 한계를 공지하여 집단원이 자기 개방 수위를 결정하게 한다.
  2. 자신의 집단 경험을 집단 밖에서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른 집단원이 말한 내용을 노출하는 것은 허용된다.
  3. 집단 작업에 비밀유지가 필수이므로 어떤 경우라도 집단 내용이 외부로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4. 미성년자의 경우 부모와의 협력이 중요하므로, 작업 내용을 부모와 정기적으로 공유한다.
  5. 집단원의 비밀유지 의무는 강제할 수 없으므로, 상담자에게만 적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상담에서 비밀유지 한계를 공지하여 집단원이 자기 개방 수위를 결정하게 한다는 것은, 집단원들이 자신의 개인적인 정보를 어느 정도까지 공유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집단 내에서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집단원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상호작용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집단상담에서는 비밀유지 한계를 명확히 공지하고, 집단원들이 이를 함께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종결단계의 집단상담자 과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결에 대한 감정을 탐색하고 다룬다.
  2. 종결 시점을 알리며 마무리 못한 과제를 다룰 기회를 준다.
  3. 집단원의 달성하지 못한 목표에 대한 언급은 실패감을 줄 수 있으므로 지양한다.
  4. 집단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도록 돕는다.
  5. 필요시 상담 종결 후 추수 모임을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원의 달성하지 못한 목표에 대한 언급은 실패감을 줄 수 있으므로 지양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집단상담에서는 집단원들이 달성하지 못한 목표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이유와 해결책을 함께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실패감을 느끼지 않도록 집단원들을 격려하고, 다음에는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집단상담자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ㄴ"은 옳은 설명이다. 아들러의 개인심리 집단상담은 개인의 문제를 집단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개인의 문제를 집단에서 공유하고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 "ㄷ"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아들러의 개인심리 집단상담은 집단에서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집단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 "ㄹ"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아들러의 개인심리 집단상담은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집단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가족상담

51. 가족상담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계론적 세계관에 기초한다.
  2. 내담자 내면세계의 변화에 일차적 초점을 둔다.
  3. 내담자를 반응적이고 수동적인 존재로 이해한다.
  4. '이것 아니면 저것' 이라는 이분법적 입장을 취한다.
  5. 증상은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가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족상담의 특성은 "증상은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가정한다." 입니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이 증상을 유발하거나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족상담에서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증상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족상담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족상담 초기에 평가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전이, 역전이
  2. 가족의 강점
  3. 혼외관계 여부
  4. 발달주기 단계와 과업
  5. 문제 유지에 기여하는 가족원의 역할
(정답률: 알수없음)
  • "전이, 역전이"는 가족상담 초기에 평가하는 항목이 아닙니다. "전이, 역전이"는 가족상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 중 하나로,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감정이나 행동이 상담실 안에서 상담자나 다른 가족 구성원으로 전이되거나 역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가족상담에서 평가하는 항목이 아니라 상담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가족상담자가 지켜야 할 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가족상담자는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하므로 "ㄱ"이 옳다.
    - 가족상담자는 클라이언트의 신뢰를 유지해야 하므로 "ㄴ"이 옳다.
    - 가족상담자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야 하므로 "ㄷ"이 옳다.
    - 가족상담자는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서는 안 되므로 "ㄹ"이 옳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족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족체계는 선형적인 인과관계를 가진다.
  2. 가족의 하위체계들은 상호작용하면서도 각 체계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3. 리츠(T. Lidz)는 '체계는 부분들의 합보다 크다'는 생각을 주창하였다.
  4.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만 탐색하면 전체 체계를 이해할 수 있다.
  5. 가족체계는 여러 하위체계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가족원은 하나의 하위체계에만 속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족체계이론에서는 가족을 여러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며, 이 하위체계들은 상호작용하면서도 각 체계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즉, 가족의 구성원들은 각자의 역할과 기능을 가지며, 이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가족체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족체계는 단순한 선형적인 인과관계가 아니라,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족 의사소통에 대한 가족상담자의 효과적인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가족원이 동시에 말하는 경우: 특정 가족 구성원을 지정하여 질문하였다.
  2.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경우: 가족 상호작용이 원만하지 않기 때문인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억압하기 때문인지 원인을 파악하였다.
  3. 다른 가족원 대신 말하는 경우: 표현을 잘 못하는 가족원을 대신하여 말해주도록 격려하였다.
  4. 다른 가족원을 비난하는 경우: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감정반사적이지 않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5. 가족원들이 상담자에게만 말하는 경우: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므로 직접 표현하도록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가족원 대신 말하는 것은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의사소통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옳지 않은 개입이다. 따라서 정답은 "다른 가족원 대신 말하는 경우: 표현을 잘 못하는 가족원을 대신하여 말해주도록 격려하였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족 평가에서 탐색해야하는 가족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규칙: 가족행동을 설정하는 관계상의 합의이다.
  2. 경계선: 밀착된 가족의 경계선은 경직되어 있다.
  3. 가족신화: 가족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4. 부모화: 부모화된 아동은 자기 나이보다 책임감과 능력 등이 발달되는 경향이 있다.
  5. 가족의례: 삶의 과정을 통해 세대 및 가족 간의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선: 밀착된 가족의 경계선은 경직되어 있다."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경계선은 가족 구성원 간의 개인적 공간과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밀착된 가족의 경우 경계선이 모호해지거나 불분명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계선이 경직되어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족상담의 종결을 고려하는 지표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소증상이 완화되거나 소멸된 경우
  2. 가족과 합의된 상담 목표가 달성된 경우
  3. 가족의 규칙과 구조가 합리적이고 유연하게 변화된 경우
  4. 상담자가 가족원들과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 경우
  5. 가족 간 의사표현이 명료하고 갈등 협상 능력이 생긴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상담자가 가족원들과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 경우가 옳지 않은 지표이다. 이는 가족상담에서 상담자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개선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상담자가 치료적인 관계를 형성하면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 개선보다는 상담자와의 개인적인 관계가 중심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가족상담의 목적에 어긋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가정폭력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현적 폭력의 경우 상보성을 띄지 않으며 피해자와 가해자의 역할이 정해져 있다.
  2. 지속적인 폭력의 경우에는 개인 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가족의 역동도 이해하고 개입해야 한다.
  3. 상담과정에서 부부 간 폭력이 드러난 경우 자녀에 대한 폭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4. 폭력으로 인한 아동기 우울증은 성인기 이후의 적응까지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5. 가정폭력 가해자는 상담자나 권위적 대상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현적 폭력의 경우 상보성을 띄지 않으며 피해자와 가해자의 역할이 정해져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표현적 폭력은 말이나 행동으로 상대방을 괴롭히는 것으로, 상대방이 반격할 수 있는 여지가 없기 때문에 상보성이 띄지 않으며, 피해자와 가해자의 역할이 분명하게 나뉘어져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능적 가족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기능적 가족(Functional family)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여 가족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족 형태를 말한다.
    - "ㄱ, ㄷ"는 기능적 가족의 특성 중 일부이다.
    - "ㄱ"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여 가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 "ㄷ"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ㄱ, ㄷ"가 기능적 가족의 특성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가족생활주기 중 청소년기 자녀 가족의 특성 및 과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청소년기 자녀 가족의 특성: 청소년기는 아이에서 어른으로의 과도기로서, 자아성찰과 독립심을 강화하고, 동시에 가족과의 유대감을 유지하려는 시기이다. 이로 인해 가족 구성원 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친구나 동료와의 관계도 중요해진다.
    - 청소년기 자녀 가족의 과제: 청소년기 자녀와의 대화와 소통, 자율성과 책임감을 함께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자녀의 독립심을 존중하면서도 안정적인 가정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ㄱ, ㄴ"은 청소년기 자녀의 특성과 과제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ㄷ, ㄹ"은 해당 내용과 관련이 없다. "ㄱ, ㄴ, ㄷ"은 청소년기 자녀의 특성과 과제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ㄴ, ㄷ, ㄹ"은 자녀의 독립성과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으며, "ㄱ, ㄴ, ㄷ, ㄹ"은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상담접근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조각: IP가 지각하고 있는 가족관계와 상호작용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2. 빙산작업: IP의 문제 행동 밑에 있는 감정과 욕구를 탐색하고 이해한다.
  3. 동적가족화: IP가 지각하고 있는 가족들의 태도, 감정, 행동을 확인할 수 있다.
  4. 탈삼각화: 어머니가 삼각관계에 끼여 있음을 인식시키고 어머니가 주도적으로 남매의 갈등을 해결하도록 한다.
  5. 가계도 탐색: 어머니가 경험하고 있는 불안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원가족에서의 관계 경험을 살펴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탈삼각화: 어머니가 삼각관계에 끼여 있음을 인식시키고 어머니가 주도적으로 남매의 갈등을 해결하도록 한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이 부분은 옳은 설명입니다. 탈삼각화는 가족 내에서 삼각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관계를 해소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 접근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삼각관계에 끼여 있는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주도적으로 상황을 해결하도록 유도합니다. 이 경우에는 어머니가 삼각관계에 끼여 있으므로, 어머니가 주도적으로 남매 간의 갈등을 해결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가족상담 초기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무울타리는 가족을 둘러싼 경계가 자신들의 편의에 따라 넓어지기도 하고 축소되기도 하는 것이다.
  2. 부부가 균열(marital schism)된 가족에서는 자녀들이 종종 부부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하게 된다.
  3. 이중구속 메시지는 논리적으로 상호 모순되며 일치하지 않는 두 가지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는 것이다.
  4. 부부가 불균형(marital skew)한 경우는 파워경쟁을 하면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의견을 달리하거나 다툼을 일으킨다.
  5. 거짓친밀성을 드러내는 가족에서는 가족원 모두 결속된 모습을 보여야 하기 때문에 역할에 융통성이 없고 유머와 자발성이 부족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부가 불균형(marital skew)한 경우는 파워경쟁을 하면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의견을 달리하거나 다툼을 일으킨다."이 부분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부부가 불균형한 경우에도 모든 영역에서 의견이 달라지거나 다투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족상담자와 상담목표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티어(V. Satir): 내담자가 자기 삶에 대한 선택을 하도록 한다.
  2. 보웬(M. Bowen): 내담자가 정서체계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하게 한다.
  3. 화이트(M. White): 단기적으로 내담자 가족이 호소하는 문제를 감소시킨다.
  4. 미뉴친(S. Minuchin): 불균형(unbalancing)으로 하위체계 내 위계를 변화시켜 재구조화한다.
  5. 보스조르메니 나지(I. Boszormenyi-Nagy): 관계에서 상호성에 대한 기대와 공평성을 도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웬(M. Bowen): 내담자가 정서체계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하게 한다. - 이는 가족상담자와 상담목표를 연결한 것으로 옳은 것이다.

    보웬은 가족시스템의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그들의 정서체계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가족시스템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내담자가 정서체계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하게 함으로써, 가족시스템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것이 보웬의 상담목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가족상담모델에서 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ㄴ, ㄷ, ㄹ
  3. ㄱ, ㄷ,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가족 구성원들의 관계를 이해하고,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담자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내는 역할을 한다.
    - ㄷ: 가족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상담자는 가족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이해하고 협력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 ㄹ: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담자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대화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ㅁ: 가족 구성원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담자는 가족 구성원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발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미래에도 비슷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 ㄹ, ㅁ"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사례에 대한 가족상담 사례개념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증상은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에 기인할 수 있다.
  2. IP는 말을 하지 않음으로써 부모의 관심을 끌 수 있다.
  3. 나이 차가 있어 형제간 위계질서는 세워져 있는 편이다.
  4. IP 증상은 부모의 일관되지 못한 양육태도에 기인할 수 있다.
  5. 친조모 상실감에 대한 애도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IP는 말을 하지 않음으로써 부모의 관심을 끌 수 있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IP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지만, 이는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 자신의 내면적인 갈등이나 불안을 표출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IP를 오해하고 있으며, 가족상담에서는 이러한 오해를 바로잡고 정확한 이해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금-여기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도록 한다.
  2. 목표는 목적지가 아니라 시작하는 첫 단계이다.
  3. 청소년기 자녀가 '학교에 덜 지각하기'를 목표로 한다.
  4. 상담자가 중요하다고 진단하는 것으로 목표를 정한다.
  5. 부모와 갈등이 많은 자녀가 '가족과 행복하게 살기'를 목표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목표는 "지금-여기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도록 한다." 이며, "목표는 목적지가 아니라 시작하는 첫 단계이다."라는 것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시작하는 첫 단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것이 목적지가 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첫 단계가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신경성 식욕부진증 청소년 자녀가 있는 가족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ㅁ
  3. ㄱ, ㄴ, ㄷ,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ㄷ": 부모의 식습관이 불규칙하고,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여 자녀의 정서적 안정감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ㄴ, ㄹ, ㅁ": 부모의 과도한 간섭과 통제, 자녀의 스트레스와 불안감, 가정 내 갈등 등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ㄱ, ㄴ, ㄷ, ㅁ": 부모의 식습관, 가정 내 갈등, 자녀의 스트레스와 불안감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ㄴ, ㄷ, ㄹ, ㅁ": 자녀의 성격이 내성적이고, 부모의 간섭과 통제가 적은 환경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ㄱ, ㄴ, ㄷ, ㄹ, ㅁ":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상담자 반응에 사용된 가족상담모델과 기법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보웬가족상담 – 과정질문
  2. 경험적 가족상담 – 빙산질문
  3. 해결중심단기치료 – 관계성 질문
  4. 전략적 가족상담 – 역설적 질문
  5. 이야기치료 – 문제외재화 질문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상담자의 반응은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듣고, 그 이야기 속에 내포된 문제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야기치료의 문제외재화 질문 기법이 적합합니다. 이 기법은 클라이언트의 이야기 속에서 내포된 문제를 드러내기 위해, 직접적인 질문보다는 간접적인 질문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무의식적인 부분을 드러내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이야기치료 – 문제외재화 질문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가족상담 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족상담은 일반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를 토대로 태동되었다.
  2. 다중귀결성(multifinality)은 여러 방법으로 동일한 최종 목표에 도달하는 능력을 뜻한다.
  3. 가족체계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부분만 제거하고 고친다.
  4. 안정지향성(morphostasis)은 체계가 안정의 맥락에서 성장과 변화를 허용하려는 성향을 의미한다.
  5. 부적피드백은 가족체계가 어떤 파괴 상황에 직면해서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족상담은 일반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를 토대로 태동되었다. 이는 가족체계가 상호작용하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만 제거하고 고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체계를 고려하여 해결해야 한다는 접근 방식을 강조한다. 다중귀결성(multifinality)은 여러 방법으로 동일한 최종 목표에 도달하는 능력을 뜻하며, 안정지향성(morphostasis)은 체계가 안정의 맥락에서 성장과 변화를 허용하려는 성향을 의미한다. 부적피드백은 가족체계가 어떤 파괴 상황에 직면해서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때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에서 구조적 가족상담자가 활용한 기법은?

  1. 추적
  2. 실연
  3. 합류
  4. 재명명
  5. 증상유지
(정답률: 알수없음)
  • 구조적 가족상담자가 활용한 기법은 "재명명"이다.

    "증상유지"가 정답인 이유는, 구조적 가족상담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문제를 유지시키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증상이 유지되는 이유를 파악하고, 이를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재명명"은 이를 위한 기법 중 하나로, 가족 구성원들이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사회구성주의 가족상담모델의 주요 기법을 나열한 것은?

  1. 모방, 은유, 정의예식
  2. 가족게임, 가족조각, 회원재구성
  3. 척도질문, 가계도, 스캐폴딩 재저작
  4. 대처질문, 공명하기, 문제의 외재화
  5. 반영팀 치료, 나의 입장 기법, 독특한 결과 입장진술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구성주의 가족상담모델의 주요 기법은 대처질문, 공명하기, 문제의 외재화입니다.

    - 대처질문: 상담자가 가족 구성원의 발언에 대해 질문을 하면서 그들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기법입니다.
    - 공명하기: 상담자가 가족 구성원의 발언에 대해 공감하고 이해한다는 것을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 문제의 외재화: 가족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문제를 외부적인 요인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경험적 가족상담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ㅁ
  2. ㄴ, ㄷ, ㅁ
  3. ㄱ, ㄴ, ㄷ, ㄹ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경험적 가족상담모델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치료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 "ㄱ, ㄷ, ㄹ, ㅁ"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네 가지 패턴을 의미한다. "ㄱ"은 갈등 패턴을, "ㄷ"은 방어 패턴을, "ㄹ"은 연합 패턴을, "ㅁ"은 협력 패턴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네 가지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경험적 가족상담모델의 핵심이다. "ㄴ, ㄷ, ㅁ"은 잘못된 보기이다. "ㄱ, ㄴ, ㄷ, ㄹ"은 연합 패턴이 빠져있는 잘못된 보기이며, "ㄱ, ㄷ, ㄹ, ㅁ"과 "ㄱ, ㄴ, ㄷ, ㄹ, ㅁ"은 모두 옳은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략적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전략적 가족상담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다.
    - 목표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 "ㄱ, ㄷ"는 전략적 가족상담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양자간 상호작용"과 "양자간 피드백"을 나타낸다.
    - "양자간 상호작용"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 "양자간 피드백"은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서로의 반응을 통해 상호작용을 조절하고, 새로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이야기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담자는 탈중심적이고 영향력 있는 위치를 취한다.
  2. 과거를 재조명하고 삶의 이야기를 다시 쓰도록 한다.
  3. 문제에 대해 잘 설명하지 못할 때는 체험의 어려움 때문이므로 내담자가 더 이상 이야기하지 않도록 한다.
  4. 문제를 가져온 상호작용의 패턴에서 벗어나기 위해 문제이야기를 해체한다.
  5. 내담자의 삶에서 중요한 영향을 주었던 인물을 찾아내어 이야기를 풍성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 대해 잘 설명하지 못할 때는 체험의 어려움 때문이므로 내담자가 더 이상 이야기하지 않도록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야기치료에서는 내담자가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려울 때,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을 수용하고 이해하며, 내담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내담자가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가계도를 통한 가족역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와 모는 친밀한 관계이다.
  2. 세대 간에 삼각관계가 전수되고 있다.
  3. IP 모는 남동생과 정서적 단절을 하고 있다.
  4. IP 모는 불안정한 애착관계를 형성했을 것이다.
  5. IP 부는 알코올문제를 갖고 있는 아버지와 갈등관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IP와 모는 친밀한 관계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가계도에서 IP와 모 사이에 직선으로 연결선이 그어져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가계도에서 나타난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학업상담

76. 맥키치(W. McKeachie)의 학습전략 중 인지전략으로 옳은 것은?

  1. 계획전략, 시연전략, 노력관리전략
  2. 시연전략, 정교화전략, 조직화전략
  3. 점검전략, 조직화전략, 조정전략
  4. 노력관리전략, 계획전략, 시연전략
  5. 조정전략, 점검전략, 계획전략
(정답률: 알수없음)
  • 인지전략은 학습자가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방식에 관한 것입니다. 따라서 "시연전략, 정교화전략, 조직화전략"이 옳은 답입니다.

    - 시연전략: 학습자가 새로운 개념이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연결시켜 보여주는 전략입니다.
    - 정교화전략: 학습자가 새로운 개념이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비교하고 구체화시키는 전략입니다.
    - 조직화전략: 학습자가 새로운 개념이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정보를 구조화하고 조직화하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학습상담과 관련된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업동기검사(AMT)는 크게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2. 학습태도검사는 학습전략검사에 비해 학습흥미, 학습동기, 학습습관에 더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3. ALSA 청소년 학습전략검사는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학습기술(인지 및 초인지전략), 자원관리기술의 4개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4. MLST 학습전략검사는 성격적, 정서적, 동기적 차원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5. 기초학습기능검사(KEDI-IBLST)는 정보처리, 셈하기, 읽기Ⅰ, 읽기Ⅱ, 쓰기의 5개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MLST 학습전략검사는 성격적, 정서적, 동기적 차원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효과적인 기억력 증진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過)학습한다.
  2. 기억할 정보에 의미 부여를 줄여 단순화한다.
  3. 암기할 때 기억단서를 사용한다.
  4. 기억을 방해하는 간섭요인을 최소로 줄인다.
  5. 학습한 것을 자신의 언어로 반복해서 복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억할 정보에 의미 부여를 줄여 단순화한다."는 옳은 전략이며, 이유는 정보를 의미 있는 단위로 나누고 이를 조직화하여 기억하기 쉽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기억력 부담을 줄이고, 정보를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학습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ㄱ은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 ㄴ은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것이 학습전략에 해당합니다. ㄹ은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장기적으로 기억에 남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ㄱ, ㄴ, ㄹ"이 옳은 답입니다. "ㄷ, ㄹ"은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것과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평가하는 것이 학습전략에 해당하지만,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ㄱ, ㄴ, ㄷ"는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과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것, 그리고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평가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만, 학습전략에 해당하는 "ㄹ"이 빠져있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ㄱ, ㄴ, ㄹ"과 "ㄱ, ㄴ, ㄷ, ㄹ"은 모두 학습전략에 해당하는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ㄱ, ㄴ, ㄷ, ㄹ"은 불필요한 내용인 "ㄷ"가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ㄱ, ㄴ, ㄹ"이 더 간결하고 명료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길포드(J. Guildford)의 창의적 사고의 인지적 요인이 아닌 것은?

  1. 유창성
  2. 유연성
  3. 정교성
  4. 독창성
  5. 지적 호기심
(정답률: 알수없음)
  • 길포드의 창의적 사고의 인지적 요인 중 "지적 호기심"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지적 호기심은 개인의 지적 호기심과 탐구욕을 의미하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를 발휘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적 호기심"은 창의적 사고의 인지적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토마스(E. Thomas)와 로빈슨(H. Robinson)이 제안한 PQ4R의 단계와 구체적인 전략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미리보기(Preview) - 요약된 단락을 읽는다.
  2. 질문하기(Question) - 각 장과 절의 소제목을 의문문으로 변형한다.
  3. 읽기(Read) - 빠뜨린 정보는 없는지 찾아본다.
  4. 암송하기(Recite) - 중요한 내용을 소리 내어 읽고 주제 등을 적으며 암기한다.
  5. 복습하기(Review) - 주어진 자료를 바로 또는 나중에 다시 훑어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읽기(Read) - 빠뜨린 정보는 없는지 찾아본다."와 연결되어야 하는 전략은 "미리보기(Preview) - 요약된 단락을 읽는다."가 아니라 "질문하기(Question) - 각 장과 절의 소제목을 의문문으로 변형한다."입니다. "읽기(Read) - 빠뜨린 정보는 없는지 찾아본다."는 텍스트를 읽을 때 빠뜨린 정보가 없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내용을 모두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학업상담을 위해 실시하는 심리검사의 활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2. 검사의 목적과 한계에 대해 내담자에게 충분히 설명해주어야 한다.
  3. 검사에서 얻은 정보에 대해서는 비밀보장의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4. 검사요강에 제시된 표준화된 채점절차를 따라야 한다.
  5.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평상시와 같이 어느 정도 외부 자극이 있는 곳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평상시와 같이 어느 정도 외부 자극이 있는 곳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이다. 검사를 실시하는 환경은 검사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다르며,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평상시와 같은 환경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집중력 검사를 실시할 때는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이 필요하며, 사회성 검사를 실시할 때는 다른 사람들이 있는 환경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검사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적절한 환경을 선택하여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학습효과를 높이는 수면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벼운 운동 후 따뜻한 물에 샤워하면 숙면에 도움이 된다.
  2. 자신에게 알맞은 수면시간을 찾아 규칙적으로 잠을 잔다.
  3. 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4. 수면부족으로 머리가 멍하다면 수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5. 15분 정도의 낮잠은 학습 효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15분 정도의 낮잠은 학습 효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단기적인 휴식으로 인해 뇌가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깨어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커크(S. Kirk)와 찰판트(J. Chalfant)가 제안한 학습장애의 하위 유형 중 학업적 학습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커크와 찰판트가 제안한 학습장애의 하위 유형 중 학업적 학습장애는 읽기, 쓰기, 철자, 계산 등 학교에서 배우는 학습 내용에 대한 어려움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ㄴ, ㄹ"이 정답인 이유는 이 두 유형이 학교에서 배우는 학습 내용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ㄱ, ㄷ"는 언어적인 어려움, "ㄱ, ㄴ, ㄷ"는 음성 인식 및 처리에 대한 어려움, "ㄴ, ㄹ, ㅁ"은 학습 기억력에 대한 어려움, "ㄴ, ㄷ, ㄹ, ㅁ"은 전반적인 학습 장애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효율적인 시간관리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여지는 내용 중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할 일을 정리하고, 중요한 일부터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내용은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모든 일을 혼자서 처리하려고 하지 말고,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라는 내용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혼자서 처리할 수 있는 일은 최대한 혼자서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ㄷ"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또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을 계획하고, 계획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내용은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일을 처리하는 동안에는 휴식을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라는 내용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을 처리하는 동안에는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해 휴식을 취하지 않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ㄹ"도 옳지 않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노트필기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노트필기전략에서 "ㄱ"은 간단하게 요약하고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ㄴ"은 내용을 구조화하고 정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ㄱ, ㄴ"은 간단하게 요약하고 구조화하여 정리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ㄹ"은 연관성을 파악하고 관련 내용을 함께 정리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ㄱ, ㄴ, ㄹ"은 간단하게 요약하고 구조화하며 연관성을 파악하여 정리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정교화 전략의 구체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기
  2. 시각적 청각적 심상을 머릿속에 표상하기
  3.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기
  4. 자신이 알고 있는 자료와 연결점을 만들기
  5. 질문에 답하기
(정답률: 알수없음)
  •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기"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 정교화 전략의 구체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지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지능은 비중 있게 다루어져 온 정서적 요인이다.
  2. 지능검사의 결과를 활용할 때 지능에 대한 과대 또는 과소평가를 주의해야 한다.
  3. 지능검사에는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주제통각검사 등이 있다.
  4. 지능에 대한 학습자의 주관적 관점과 학습태도는 관련이 없다.
  5. 내담자의 지능지수와 다양한 정보를 함께 활용하는 것은 내담자 이해를 어렵게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능은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비중 있게 다루어져 온 정서적 요인이며, 지능검사의 결과를 활용할 때 지능에 대한 과대 또는 과소평가를 주의해야 한다. 이는 지능검사는 일부 측면만을 측정하고, 학습자의 주관적 관점과 학습태도는 지능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지능지수와 다양한 정보를 함께 활용하여 ganzfeld 효과를 방지하고, 내담자 이해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시험불안에 관한 개입전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ㄱ은 시험 전에 충분한 대비와 준비를 하고, 시험 당일에는 긴장을 풀기 위한 숨쉬기, 명상 등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옳다. ㄴ은 시험 당일에 긴장을 푸는 방법으로는 규칙적인 호흡, 근육 이완, 긍정적인 자기 대화 등이 있으므로 옳다. ㄷ와 ㄹ은 시험불안에 대한 개입전략으로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따라 내담자의 결핍욕구를 탐색하기 위한 학업상담자의 활동이 아닌 것은?

  1.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는지 탐색한다.
  2. 학교폭력의 피해는 없는지 탐색한다.
  3. 부모의 이혼 등으로 가정에서의 안정감이 위협받고 있는지 탐색한다.
  4. 교사와 또래들로부터 인정을 못 받고 있는지 탐색한다.
  5. 적절한 학습전략을 활용하고 있는지 탐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한 학습전략을 활용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은 내담자의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에서는 자아실현 욕구가 최상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는 결핍욕구를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성취 욕구를 지원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발레란드(R. Vallerand)와 비소네트(R. Bissonnette)가 자기결정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구분한 학습동기의 단계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기력(Amotivation) 단계 : 학습동기가 전혀 내면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2. 외적강압(Extrinsic-external regulation) 단계 : 누군가가 직접적으로 보상을 주거나 통제를 가하면서 구체적인 행동을 지시할 때 행동을 수행한다.
  3. 유익추구(Extrinsic-identified regulation) 단계 : 알고 이해하고 의미를 추구하려는 욕구에 의해 공부한다.
  4. 의미부여(Extrinsic-integrated regulation) 단계 : 공부하면서 내적 갈등이나 긴장을 경험하지는 않는다.
  5. 지적자극추구(Intrinsic-to experience stimulation) 단계 : 흥분되는 학습 내용을 통하여 강렬한 지적 즐거움을 얻기 위해 공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의미부여(Extrinsic-integrated regulation) 단계 : 공부하면서 내적 갈등이나 긴장을 경험하지는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유익추구(Extrinsic-identified regulation) 단계는 외적강압(Extrinsic-external regulation) 단계와는 달리 보상이나 통제가 아닌 알고 이해하고 의미를 추구하려는 욕구에 의해 공부하는 단계이다.

    즉, 유익추구 단계에서는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의미를 중요시하며, 이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내적 동기화가 일어나는 단계로, 외부적인 보상이나 강압이 없어도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유익추구 단계에서는 내적 갈등이나 긴장을 경험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주의집중력의 정서적 측면인 자기통제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이 있을 때 더 잘 발휘된다.
  2. 자신의 행동으로 결과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을 때 더 잘 발휘된다.
  3. 언어 발달 수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의미 있는 주변 사람의 반응이 예측 가능하고 신뢰로우면 잘 발달된다.
  5. 실패하더라도 자존감이 손상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을 때 더 잘 발달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언어 발달 수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언어 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을 발달시키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언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등의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언어 발달이 늦은 아이들은 자기통제력 발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시험불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ㄴ은 시험불안으로 인해 집중력이 떨어지고, 실수를 많이 하게 되기 때문에 옳은 선택지이다. ㄷ과 ㄹ은 시험불안으로 인해 긴장이 높아져 뇌가 느려지고, 기억력이 감소하며 판단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옳은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특정학습장애에 대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제5판(DSM-5)의 진단기준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부분의 경우 학업적 어려움은 학령기 초기에 분명해지기 시작한다.
  2. 학업적 어려움은 환경적으로 불리한 조건이나 교육기회의 부족과 같은 일반적인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3. 학업적 어려움은 지적발달장애나 전반적 발달지연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4. 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있어야 한다.
  5.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이 그에 맞는 적절한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있어야 한다."

    해설: DSM-5에서는 학습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기준은 DSM-5에서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 "대부분의 경우 학업적 어려움은 학령기 초기에 분명해지기 시작한다.": 학습장애는 학령기 초기부터 발견될 수 있으며, 이 기준은 DSM-5에서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 "학업적 어려움은 환경적으로 불리한 조건이나 교육기회의 부족과 같은 일반적인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학습장애는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 "학업적 어려움은 지적발달장애나 전반적 발달지연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학습장애는 지적발달장애나 전반적 발달지연과는 구분되는 별개의 질환이라고 정의되고 있습니다.
    -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이 그에 맞는 적절한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DSM-5에서는 학습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이러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와이너(B. Weiner)가 제시한 귀인의 차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제소재에 따른 구분은 성공과 실패의 원인이 학습자의 내부에 있는가, 외부에 있는가를 기준으로 한다.
  2. 안정성에 따른 구분은 성공과 실패의 원인이 시간의 경과나 과제에 따라 변하는가를 기준으로 한다.
  3. 통제가능성에 따른 구분은 성공과 실패의 원인이 학습자 자신에 의해 통제 가능한가를 기준으로 한다.
  4.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구분은 학습자의 성공과 실패가 사회적 지지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기준으로 한다.
  5. 통제소재에서 내적 요인으로는 능력, 외적 요인으로는 과제의 난이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구분은 학습자의 성공과 실패가 사회적 지지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기준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귀인의 차원 중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구분"은 학습자가 받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하는 것입니다. 즉,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은 학습자는 귀인의 차원에서 "사회적 지지자"로 분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사회적 지지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학습장애, 학습지체 등과 구별하여 학습부진을 정의할 때 학습부진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습동기의 결여
  2. 경계선 이하의 지능
  3. 교사의 낮은 기대
  4. 공부기술의 부족
  5. 학습시간의 부족
(정답률: 알수없음)
  • 학습부진의 원인으로 "경계선 이하의 지능"이 옳지 않은 이유는, 학습부진은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동기, 교사의 기대, 공부기술, 학습시간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학습부진을 경계선 이하의 지능으로 단순화하여 정의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학업상담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학업상담은 학생의 학업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이다.
    - 학생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며, 학생의 의견을 존중하고 공감한다.
    - 학생의 개인적인 상황과 성격, 학습 스타일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조언을 제공한다.
    - 학생의 자신감을 높이고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 따라서, "ㄱ. 학생 중심적인 접근 방식", "ㄴ. 맞춤형 조언 제공", "ㄹ. 자신감과 학습 동기 부여"가 학업상담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학습부진의 요인을 분류할 때, 변화 불가능한 내담자의 개인 내 변인은?

  1. 기질
  2. 우울
  3. 자아개념
  4. 부모에 대한 지각
  5. 학교 풍토
(정답률: 알수없음)
  • 기질은 개인의 선천적인 생리적 특성으로, 변화가 불가능한 내적 요인이다. 따라서 학습부진의 원인을 분류할 때, 기질은 변화가 어렵기 때문에 개입하기 어렵다. 우울, 자아개념, 부모에 대한 지각, 학교 풍토는 모두 개인의 경험과 환경에 따라 변화 가능한 내적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학습부진을 겪고 있는 영재아를 위한 일반적인 상담 전략이 아닌 것은?

  1. 내담자의 영재성을 알아주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다.
  2. 상담 과정에서 가족 및 부모의 참여와 역할을 강조한다.
  3. 사회성이 훼손된 경우에 또래에게 지지받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4. 영재성으로 인해 받게 되는 주위의 기대로부터 기인하는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영재성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심리적 정보를 얻기 위해 심리검사를 활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담자의 영재성을 알아주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다."가 일반적인 상담 전략이 아닌 이유는, 영재아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왜곡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영재성을 인식하고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능력을 더욱 자각하고,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미스(J. Meece)가 제안한 자녀의 학업동기를 높일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미스(J. Meece)가 제안한 자녀의 학업동기를 높일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칭찬과 격려를 통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ㄱ, ㄴ")
    2. 자녀의 능력과 관심사에 맞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것 ("ㄷ, ㄹ")

    이러한 방법들은 자녀의 자신감을 높이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하여 학업동기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